KR102636828B1 - 일체타설형 선반을 포함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 - Google Patents
일체타설형 선반을 포함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6828B1 KR102636828B1 KR1020230099484A KR20230099484A KR102636828B1 KR 102636828 B1 KR102636828 B1 KR 102636828B1 KR 1020230099484 A KR1020230099484 A KR 1020230099484A KR 20230099484 A KR20230099484 A KR 20230099484A KR 102636828 B1 KR102636828 B1 KR 1026368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shelf
- firing
- kiln
- cas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DIWRORZWFLOCLC-UHFFFAOYSA-N Lorazepam Chemical compound C12=CC(Cl)=CC=C2NC(=O)C(O)N=C1C1=CC=CC=C1Cl DIWRORZWFLOC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5—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elongated articles in an upright position, e.g. sparking plu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6—Forming or maintaining special atmospheres or vacuum within heating cha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27D2007/023—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일체타설형 선반을 포함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는, 내부에 장작불을 지피는 발화공간이 형성된 봉통, 도예 제품이 안치되되며, 상기 발화공간과 불문에 의해 연통되어 상기 발화공간에서 발생한 화염 및 연소열이 유동되는 소성공간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마칸, 상기 소성공간과 불문에 의해 연통되며, 상기 소성공간으로부터 유동된 연소열 및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굴뚝이 구비된 굴뚝칸 및 상기 소성공간 내에서 상기 도예 제품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되, 소정의 성형재료를 통해 일체의 블록 형태로 타설되는 일체타설형 선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성형재료를 통해 일체의 블록 형태로 타설된 일체타설형 선반을 포함하여 극한의 온도 변화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도예 제품을 거치할 수 있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관한 것이다.
문화재는 고고학, 역사학, 예술, 과학, 종교, 민속, 생활양식 등에서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인류 문화활동의 소산으로서, 각 국가에서는 자신들의 문화재를 발굴 및 보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전통적으로 제조방법이 전수되어 온 도자기는 고운 흙을 이용하여 잔, 접시, 화분, 그릇 등과 같은 형태를 구현하고, 유약을 발라 구워 매끈하게 만든 자기를 의미한다.
도자기는 소재의 특성상 별다른 조치 없이도 매우 오래 보존될 수 있으며, 특유의 형상과 분위기로 인해 현재까지도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거나 장식물로서 그 가치를 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자기는 다양한 방식과 도구들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는 다수의 도자기를 동시에 소성시키기 위한 구조물인 장작가마가 일부 활용되고 있다.
장작가마는 지형의 오름세를 이용하여, 장작불에 의해 발생한 화염과 연소열을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유동시키는 방식으로 도자기를 소성시키게 된다. 이때 도자기의 소성 과정에서 장작가마의 내부에서는 극심한 온도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장작가마의 내부에는 도자기를 거치하기 위한 선반이 구비되며, 장작가마의 내부 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선반이 위층에서부터 이완되어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다만 이와 반대로 장작가마 내부의 온도가 내려갈 경우에는 선반이 다시 뒤로 후퇴하지는 않으므로, 도자기를 소성하는 과정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이 반복되어 선반이 계속해서 앞으로 전진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는 장작이 타는 공간을 좁게 만들어 가마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데 문제를 가져오게 되며 결과적으로 원하는 작품을 의도대로 제작될 수 없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가마칸의 내부 소성공간에서 매우 큰 온도 변화가 발생할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도예 제품을 거치할 수 있는 선반을 포함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체타설형 선반을 포함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는, 내부에 장작불을 지피는 발화공간이 형성된 봉통, 도예 제품이 안치되되며, 상기 발화공간과 불문에 의해 연통되어 상기 발화공간에서 발생한 화염 및 연소열이 유동되는 소성공간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마칸, 상기 소성공간과 불문에 의해 연통되며, 상기 소성공간으로부터 유동된 연소열 및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굴뚝이 구비된 굴뚝칸 및 상기 소성공간 내에서 상기 도예 제품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되, 소정의 성형재료를 통해 일체의 블록 형태로 타설되는 일체타설형 선반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은, 내부에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의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공간이 형성된 성형용 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성형공간 내에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성형공간 내에 주입된 상기 성형재료를 경화시켜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으로부터 상기 성형용 틀을 분리하는 단계의 과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은 상기 소성공간의 바닥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겨웅 상기 소성공간의 바닥에는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어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의 전면 하단부에 접촉되는 이동방지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은 복수 개가 상기 소성공간에서 횡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은 전면 상단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체타설형 선반을 포함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는, 소정의 성형재료를 통해 일체의 블록 형태로 타설되는 일체타설형 선반을 포함하여, 가마칸의 소성공간 내부에서 극심한 온도 변화가 일어날 경우에도 일체타설형 선반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도예 제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작이 연소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가마칸 내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으므로, 원하는 작품을 작가의 의도대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가마칸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일체타설형 선반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일체타설형 선반을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가마칸의 내부에 배치된 일체타설형 선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일체타설형 선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가마칸의 내부에 배치된 일체타설형 선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가마칸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일체타설형 선반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일체타설형 선반을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가마칸의 내부에 배치된 일체타설형 선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일체타설형 선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가마칸의 내부에 배치된 일체타설형 선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가마칸(20)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는 봉통(10), 가마칸(20) 및 굴뚝칸(30)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봉통(10)은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가 위치된 지형에서 가장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장작불을 지피는 발화공간(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봉통(1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출입하거나 장작 등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봉통출입구(12)가 형성된다.
가마칸(20)은 그 내부에 봉통(11)의 발화공간(11)과 불문(H)에 의해 연통된 소성공간(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소성공간(21)에는 발화공간(11)에서 발생한 화염 및 연소열이 유동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가마칸(20)은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며, 봉통(10)에 가까운 가마칸(20)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위치에 구축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가마칸(20)의 측면에는, 사용자가 출입하거나 장작, 도예 제품(P) 등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가마출입구(22)가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가마출입구(22)에는, 가마출입구(22)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차폐망(4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폐망(400)은 가마칸(20)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가마칸(20)의 소성공간(21) 역시 불문(H)에 의해 연통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발화공간(11)에서 발생한 화염과 연소열은 점차 높은 위치로 유동하여 최종적으로는 후술할 굴뚝칸(30)으로 유동될 수 있다.
더불어 소성공간(21)에는 도자기 등과 같은 도예 제품(P)이 안치되도록 마련되는 선반(200, 25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선반(200, 250)은 형틀에 의해 성형되고, 바닥에 거치되는 일체타설형 선반(200)과, 이와 같은 일체타설형 선반(200)보다 후방에서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일반형 선반(2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봉통(10) 또는 이전 가마칸(20)의 불문(H)을 통해 유입된 화염 및 연소열은 소성공간(21)의 바닥에 쌓인 장작을 태우며 일체타설형 선반(200) 및 일반형 선반(250)의 상부를 따라 유동되고, 다음 가마칸(20) 또는 굴뚝칸(30) 측으로 옮겨가게 된다.
이와 같은 일체타설형 선반(20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는, 소성공간(21) 내부에서 선반(200, 250)의 전방 측 바닥에 기립된 상태로 구비되어, 소성공간(21) 내에서 굴뚝칸(30) 방향으로 유동되는 기류의 일부를 소성공간(21)의 바닥 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류유도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 가마칸(20)의 측면에는, 외부에서 소성공간(21) 내부의 상태 또는 도예 제품(P)의 소성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불보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불보기구멍에 삽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불보기구멍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단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굴뚝칸(30)은 마지막으로 구축된 가마칸(20)의 소성공간(21)과 불문(H)에 의해 연통되며, 소성공간(21)으로부터 유동된 연소열 및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굴뚝(40)이 구비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체타설형 선반(2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타설형 선반(200)은 소성공간(21) 내에서 도예 제품(P)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며, 소정의 성형재료를 통해 기 설정된 단위 부피를 가지는 일체의 블록 형태로 타설될 수 있다.
이때 일체타설형 선반(200)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재료는 시멘트, 콘크리트 등 다양한 건축재료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체타설형 선반(200)은 복수 개가 소성공간(21)에서 횡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배치 개수는 제한없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일체타설형 선반(200)은 전면 상단부가 경사면(210)으로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전면 상단부 모서리를 일부 삭제하여 소성공간(21)의 하부로부터 전달되는 기류가 상부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일체타설형 선반(200)을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타설형 선반(200)을 성형하는 과정은 이하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내부에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공간(205a)이 형성된 성형용 틀(200a)을 준비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성형용 틀(200a)은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경사면(210)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면성형부(21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용 틀(200a)은 목재, 석재, 플라스틱 등 어떠한 소재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특정한 소재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성형공간(205a) 내에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며, 이어 성형공간(205a) 내에 주입된 성형재료를 경화시켜 일체타설형 선반(200)을 제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후 일체타설형 선반(200)으로부터 성형용 틀(200a)을 분리하는 단계가 수행되어, 단위 부피를 가지는 일체타설형 선반(200)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복수 회 반복하여 복수 개의 일체타설형 선반(200)을 제작한 뒤 가마칸(20)의 소성공간(21) 내에 배치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가마칸(20)의 내부에 배치된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마칸(20)의 내부에 배치된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전방에는 물결 형태가 연속되는 형태의 기류유도판(1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류유도판(100)은 소성공간(21) 내에서 후방의 다른 가마칸(20)과 굴뚝칸(30) 방향으로 유동되는 기류의 일부를 소성공간(21)의 바닥 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소성공간(21)의 바닥에는 기류유도판(100)의 전면 하단부가 걸리는 걸림단턱(25)이 형성되어, 기류유도판(100)의 상부가 일체타설형 선반(200)에 받쳐진 형태로 경사지게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기류유도판(100)의 후방과 일체타설형 선반(200) 사이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보다 원활한 기류의 유도 현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성공간(21) 내에서는 매우 극심하게 온도가 변화가 일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일체타설형 선반(200)은 소성공간(21)의 내부 온도가 높을 경우 이완되어 앞으로 전진하게 될 수 있다.
반대로 소성공간(21) 내부의 온도가 내려갈 경우에는 다시 뒤로 후퇴하지는 않으므로, 이와 같은 현상이 반복될 경우에는 일체타설형 선반(200)이 계속해서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는 일체타설형 선반(200)과 불문(H)과의 거리가 좁아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장작이 타는 공간이 좁아지게 되고, 소성공간(21)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소성공간(21)의 바닥에는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전면 하단부가 걸리는 이동방지단턱(2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방지단턱(24)은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전진을 방지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이하 설명될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내부에는 소성공간(21)의 공기를 유입시킨 후 소정 위치로 배출시키는 공기유통홀(220)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예서 공기유통홀(220)은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경사면(210)에서 소성공간(21)의 공기를 유입시키며,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하단부 전면 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소성공간(21)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되는 연소열과 화염을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공기유통홀(220)로 유입시켜 다시 소성공간(21)의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소성공간(21)의 하부에 쌓여 있는 장작을 효과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에 있어서, 가마칸(20)의 내부에 배치된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소성공간(21)의 바닥에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전면 하단부가 걸리는 이동방지단턱(24)이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이동방지단턱(24)은 후방 일부, 즉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전면과 접촉되는 일부 영역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24a)로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소성공간(21)의 내부 온도가 높아져 일체타설형 선반(200)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압력을 발생시킬 경우, 이를 탄성변형부(24a)의 탄성 변형을 통해 소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소성공간(21)의 내부 온도가 하강할 경우 탄성변형부(24a)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일체타설형 선반(20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봉통
11: 발화공간
12: 봉통출입구
20: 가마칸
21: 소성공간
22: 가마출입구
24: 이동방지단턱
24a: 탄성변형부
25: 걸림단턱
30: 굴뚝칸
40: 굴뚝
100: 기류유도판
200: 일체타설형 선반
210: 경사면
220: 공기유통홀
200a: 성형용 틀
205a: 성형공간
210a: 경사면형성부
250: 일반형 선반
300: 차단부재
400: 차폐망
11: 발화공간
12: 봉통출입구
20: 가마칸
21: 소성공간
22: 가마출입구
24: 이동방지단턱
24a: 탄성변형부
25: 걸림단턱
30: 굴뚝칸
40: 굴뚝
100: 기류유도판
200: 일체타설형 선반
210: 경사면
220: 공기유통홀
200a: 성형용 틀
205a: 성형공간
210a: 경사면형성부
250: 일반형 선반
300: 차단부재
400: 차폐망
Claims (5)
- 내부에 장작불을 지피는 발화공간이 형성된 봉통;
도예 제품이 안치되되며, 상기 발화공간과 불문에 의해 연통되어 상기 발화공간에서 발생한 화염 및 연소열이 유동되는 소성공간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마칸;
상기 소성공간과 불문에 의해 연통되며, 상기 소성공간으로부터 유동된 연소열 및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굴뚝이 구비된 굴뚝칸; 및
상기 소성공간 내에서 상기 도예 제품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되, 소정의 성형재료를 통해 일체의 블록 형태로 타설되는 일체타설형 선반;
을 포함하며,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은 전면 상단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의 내부에는 상기 소성공간의 공기를 유입시킨 후 소정 위치로 배출시키는 공기유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통홀은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의 경사면에서 상기 소성공간의 공기를 유입시키며,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의 하단부 전면 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소성공간의 하부에 쌓여 있는 장작의 연소 효과를 향상시키며,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은 상기 소성공간의 바닥부에 설치되되,
상기 소성공간의 바닥에는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어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의 전면 하단부에 접촉되는 이동방지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방지단턱은,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의 전면과 접촉되는 일부 영역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소성공간의 내부 온도가 높아져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발생시킬 경우에는 상기 탄성변형부의 탄성 변형을 통해 소산시키며, 상기 소성공간의 내부 온도가 하강할 경우에는 상기 탄성변형부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은,
내부에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의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공간이 형성된 성형용 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성형공간 내에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성형공간 내에 주입된 상기 성형재료를 경화시켜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으로부터 상기 성형용 틀을 분리하는 단계;
의 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타설형 선반은 복수 개가 상기 소성공간에서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9484A KR102636828B1 (ko) | 2023-07-31 | 2023-07-31 | 일체타설형 선반을 포함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9484A KR102636828B1 (ko) | 2023-07-31 | 2023-07-31 | 일체타설형 선반을 포함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36828B1 true KR102636828B1 (ko) | 2024-02-14 |
Family
ID=8989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9484A KR102636828B1 (ko) | 2023-07-31 | 2023-07-31 | 일체타설형 선반을 포함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682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1195A (ko) * | 2008-11-28 | 2010-06-07 | 박찬원 | 실험대 상판 |
KR20130000747U (ko) | 2011-07-22 | 2013-01-30 | 유니원기연(주) | 도자기용 가마 |
KR101839097B1 (ko) * | 2016-11-21 | 2018-03-15 | 오정택 | 장작 가마의 구조체 |
KR102358078B1 (ko) * | 2021-07-26 | 2022-02-08 | 문한조 | 소성칸의 본불 때기용 장작 절감형의 도자기 소성용 장작 가마 |
JP7114727B2 (ja) * | 2018-03-20 | 2022-08-08 | ロード コーポレーション | 広帯域回転力発生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2023
- 2023-07-31 KR KR1020230099484A patent/KR1026368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1195A (ko) * | 2008-11-28 | 2010-06-07 | 박찬원 | 실험대 상판 |
KR20130000747U (ko) | 2011-07-22 | 2013-01-30 | 유니원기연(주) | 도자기용 가마 |
KR101839097B1 (ko) * | 2016-11-21 | 2018-03-15 | 오정택 | 장작 가마의 구조체 |
JP7114727B2 (ja) * | 2018-03-20 | 2022-08-08 | ロード コーポレーション | 広帯域回転力発生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KR102358078B1 (ko) * | 2021-07-26 | 2022-02-08 | 문한조 | 소성칸의 본불 때기용 장작 절감형의 도자기 소성용 장작 가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599864B1 (en) | Gas powered burner with perforated ceramic elements | |
CA2571545A1 (en) | Infrared emitting apparatus | |
KR102636828B1 (ko) | 일체타설형 선반을 포함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 | |
ITVR20020001U1 (it) | Stufa a pellet perfezionata | |
KR20100122182A (ko) | 장작 가마 | |
KR102616774B1 (ko) | 기류유도판을 포함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 | |
KR101973413B1 (ko) | 세라믹기판 소성장치 | |
KR102677558B1 (ko) | 불보기구멍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 | |
GB2242740A (en) | Simulated solid fuel gas fires | |
KR100392990B1 (ko) | 이중 도자기 가마 | |
KR102638392B1 (ko) | 가마출입구 차폐망을 포함하는 도예 제품 소성용 장작가마 | |
KR100812894B1 (ko) | 도자기 소성용 가스가마 | |
US2624301A (en) | Funace with honeycomb baffle wall | |
FI99274C (fi) | Leivinuuni | |
KR102529531B1 (ko) | 온도 균일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 | |
KR100955069B1 (ko) | 돌가마의 축조 방법 | |
US750899A (en) | Chaeles schweizee | |
JP2011184480A (ja) | 竹炭製造用二重窯 | |
GB2198836A (en) | Simulated solid fuel gas fires | |
US285776A (en) | laemmle | |
KR101520008B1 (ko) | 벽난로용 연소실구조 | |
KR101637144B1 (ko) | 난방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건축물 | |
KR100827313B1 (ko) | 불가림 보호카바 및 소성가마에서 이를 이용한 도자기 소성방법 | |
JP2001139364A (ja) | 陶芸用窯装置 | |
US797299A (en) | Baking-ov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