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408B1 -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408B1
KR102636408B1 KR1020230000181A KR20230000181A KR102636408B1 KR 102636408 B1 KR102636408 B1 KR 102636408B1 KR 1020230000181 A KR1020230000181 A KR 1020230000181A KR 20230000181 A KR20230000181 A KR 20230000181A KR 102636408 B1 KR102636408 B1 KR 102636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ement composition
cement
wat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석
허준
윤종혁
홍명옥
Original Assignee
남구현
남윤석
허준
윤종혁
홍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구현, 남윤석, 허준, 윤종혁, 홍명옥 filed Critical 남구현
Priority to KR102023000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04B14/026Carbon of particular shape, e.g. nanotubes
    • C04B14/028Carbon aero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5Alkali-metal containing silicates, e.g. peta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04B14/064Silica aeroge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2Glass ; Devitrified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0Oxides other than silica
    • C04B14/303Alumin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10Burned or pyrolised refuse
    • C04B18/101Burned rice husks or other burned vegeta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23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2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alkyl, ammonium or metal silicates; containing silica sols
    • C04B28/26Silicates of the alkali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 조성물에 유리비드, 에어로겔, 알루미늄분말, 물유리, 숯분말, 촙매트 등을 선택적으로 배합하여 다양한 조형물 제작 공법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조형물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조형물 표면의 백화현상, 크랙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Cement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sculpture}
본 발명은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 조성물에 유리비드, 에어로겔, 알루미늄분말, 물유리, 숯분말, 촙매트 등을 선택적으로 배합하여 다양한 조형물 제작 공법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조형물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조형물 표면의 백화현상, 크랙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형물은 경관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형상을 만든 것으로서, 이러한 조형물은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다.
그리고 조형물은 설치장소 및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거나, 조명장치 또는 분수장치 등의 기능성을 부가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최근 아파트, 대형건물 등의 주변에도 다양한 조형물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조형물은 제작 공법의 종류에 따라 기초 골조 또는 스티로폼 원형에 시멘트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켜 적층하고, 이후 제작 공법에 따라 FRP층과 같은 추가 표면층을 적층하고 표면 연마, 도장 작업을 거쳐 제작되는데, 기존의 시멘트 조성물은 단열 성능, 방수 성능이 떨어져 조형물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조형물의 표면에 백화현상, 크랙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67491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멘트 조성물에 유리비드, 에어로겔, 알루미늄분말, 물유리, 숯분말, 촙매트 등을 선택적으로 배합하여 다양한 조형물 제작 공법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조형물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조형물 표면의 백화현상, 크랙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은 물 15 내지 25중량%, 시멘트 25 내지 35중량%, 몰탈접착제 35 내지 45중량%, 촙매트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EM(EPS Moltar) 공법의 제1몰탈층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 5 내지 15중량%, 레미탈 20 내지 30 중량%, 몰탈접착제 35 내지 45중량%, 촙매트 5 내지 10중량%, 유리비드 5 내지 10중량%, 에어로겔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EM(EPS Moltar) 공법의 제2몰탈층(단열층)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 5 내지 15중량%, 시멘트 25 내지 35 중량%, 몰탈접착제 35 내지 45중량%, 물유리 5 내지 15중량%, 알루미늄분말 1 내지 10중량%, 숯분말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EM(EPS Moltar) 공법의 표면강화제 도포 공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시멘트 조성물에는, 상기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우레탄기가 결합된 폴리로타세인이 10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우레탄기가 결합된 폴리로타세인은 500,000 내지 8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0.90 내지 0.98 mmol/g의 (메타)아크릴기 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몰탈접착제는, 물 1 내지 5중량%, 에틸렌 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25 내지 35중량%, 아크릴 바인더 45 내지 55%, 직경 0.2mm의 유리비드 15 내지 2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촙매트는, 직경이 2 내지 3mm로 제조된 내알칼리성 유리섬유 촙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분말은, 알루미나 98 내지 99중량%, 이산화규소(SiO2) 0.1 내지 1.5중량%, 산화철(Fe2O3) 0.03 내지 0.5%, 산화나트륨(Na20) 0.05 내지 0.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유리는, 규사(SiO2)와 소다회(Na2CO3)를 1.6 내지 3.8의 몰비(SiO2/Na2CO3)로 혼합한 혼합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은, 시멘트 조성물에 유리비드, 에어로겔, 알루미늄분말, 물유리, 숯분말, 촙매트 등을 선택적으로 배합하여 다양한 조형물 제작 공법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즉, EM(EPS Moltar) 공법의 1차 및 2차 몰탈층 적층 공정, 표면강화제 도포 공정, FRP(Fiber Reinforced Polyestyren) 공법의 스티로폼 원형 보호 피막층 형성 공정, GRC(Glasfiber-ReinForced Concrte) 공법의 초벌층, 정벌층 및 표면층 형성 공정 등 유리비드, 에어로겔, 알루미늄분말, 물유리, 숯분말, 촙매트 등을 선택적으로 배합하여 다양한 조형물 제작 공법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시멘트 조성물에 유리비드 및 에어로겔을 특정 조성비로 배합하여 조형물의 단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멘트 조성물에 알루미늄분말, 물유리, 숯분말, 촙매트를 특정 조성비로 배합하여 조성물의 표면강도를 높여주어 표면의 백화현상, 크랙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이 적용되는 EM공법의 공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이 적용되는 FRP공법의 공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이 적용되는 GRC공법의 공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에 배합되는 촙매트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에 배합되는 유리비드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에 배합되는 에어로겔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에 배합되는 알루미늄파우더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에 배합되는 숯분말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에 의해 제작된 조형물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은 특정 조성비의 물, 시멘트 또는 레미탈, 몰탈접착제의 혼합물에 조형물 제작 공법에 따라 유리비드, 에어로겔, 알루미늄분말, 물유리, 숯분말, 촙매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우레탄기가 결합된 폴리로타세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이 선택적으로 배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시멘트 조성물에 포함되는 시멘트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또는 고로슬래그 시멘트(KS L 5210)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레미탈은 시멘트에 모래가 혼합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한미시멘트 사의 레미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시멘트 조성물에 포함되는 몰탈접착제는 내열성, 내후성, 투명성이 우수한 수용성 아크릴 바인더를 주원료로 사용하며, 수용성 아크릴 바인더는 고형분과 용매를 포함한 용액형 바인더이다. 이러한 수용성 아크릴 바인더 중에서도 소수성 성분을 고형분의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성 아크릴 바인더의 경우 소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세라믹계 원료 분말에 흡착되기 쉬워 높은 흡착력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몰탈접착제는 물 1 내지 5중량%, 에틸렌 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25 내지 35중량%, 아크릴 바인더 45 내지 55%, 직경 0.2mm의 유리비드 15 내지 2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유리비드는 미세하게 분쇄된 유리원료에 발포제를 혼합하여 소성한 무기질 유리로써 본 발명의 시멘트 조성물에 혼합되어 단열, 방음, 내수성 향상 등의 효과를 발휘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같이 소다 라임 글라스(Soda lime glass)를 원료로 제조된 직경 0.4 내지 0.6mm의 유리비드를 사용한다.
에어로겔은 도 6과 같이 사염화규소를 화염 열분해하거나 3000℃의 전기 아크에서 기화시켜 형성되는 석영모래로 만들어진 직경 20nm 이하의 미립자원료로 부피밀도가 매우 낮고, 표면적이 매우 높은(약 50-600m2/g)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일반 단열재보다 2~3배 높은 단열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에어로겔의 바람직한 예로는 카봇 코퍼레이션 사의 Cab-O-Sil이 있다.
알루미늄분말은 도 7과 같이 질화알루미늄 파우더로 일반 알루미나에 비해 약 10배 이상의 높은 전도율을 가지며, 본 발명의 시멘트 조성물에 혼합되어 높은 내구성, 유전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열 충격성, 낮은 내열 팽창성 등의 효과를 발휘하며, 연마성이 좋아 표면 마감재로도 탁월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분말은 질화알루미늄 98 내지 99중량%, 이산화규소(SiO2) 0.1 내지 1.5중량%, 산화철(Fe2O3) 0.03 내지 0.5%, 산화나트륨(Na20) 0.05 내지 0.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물유리는 규사(SiO2)와 소다회(Na2CO3)의 혼합물을 1,300 내지 1,500℃에서 용융한 후 저압증기솥에서 처리하여 만들어지며, 규사와 소다회는 1.6 내지 3.8의 몰비(SiO2/Na2CO3)로 혼합된다.
숯분말은 도 8과 같이 나무를 불완전 연소시켜 얻게 되는 다공질의 탄화물질로 다른 종류의 숯(열탄, 참숯검탄, 참숯백탄 등)과는 다르게 일반 숯에 600~900℃의 수증기를 2차적으로 가하여 열처리 과정을 반복하여 생성된 활성탄 숯으로 일반 숯보다 통풍구조에 있어 효율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숯분말은 시멘트 조성물이 경화되고 난 뒤 고체형태의 콘크리트구조체가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습기가 차 백화현상이 발생하거나 이로 인한 잔크랙 형성 및 구조붕괴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 방습, 통풍 등의 효과가 뛰어나다.
촙매트는 본 발명의 시멘트 조성물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 4와 같이 직경 2 내지 3mm로 제조된 내알칼리성 유리섬유 촙매트를 사용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우레탄기가 결합된 폴리로타세인은 시멘트 조성물의 내구성 및 표면 강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크게 환형 분자, 그리고 상기 환형 분자를 관통하는 선형 분자와 상기 선형 분자의 양쪽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선형 분자로부터 상기 환형 분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봉쇄기가 덤벨(dumbbell)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분자에 하나 이상의 락톤 화합물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락톤 화합물의 잔기에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우레탄기가 존재하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상기 환형 분자는 시클로덱스트린일 수 있다.
상기 선형 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봉쇄기는 디니트로페닐기, 시클로덱스트린기, 아다만탄기, 트리틸기, 플루오레세인기 및 피렌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봉쇄기는 상기 선형 분자의 양쪽 말단에 직접 결합되거나 우레탄기, 에테르기, 티오에스테르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톤 화합물은 상기 환형 분자에 직접 결합되거나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옥시알킬렌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500,000 내지 8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0.90 내지 0.98 mmol/g의 (메타)아크릴기 수(functional value)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우레탄기가 결합된 폴리로타세인을 사용하며,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의 조형물 제작 공법별 배합성분 및 배합비율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같이, EM(EPS Moltar) 공법은 스티로폼 원형 제조, 제1몰탈층 적층, 메쉬망 부착, 스크래치 작업, 제2몰탈층(단열층) 적층, 구조물 조각, 표면강화제 도포, 표면 도장의 공정을 거쳐 조형물을 제작하며, 본 발명의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은 제1 및 제2몰탈층 적층 공정, 표면강화제 도포 공정에 사용된다.
먼저, EM(EPS Moltar) 공법의 제1몰탈층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은 물 15 내지 25중량%, 시멘트 25 내지 35중량%, 몰탈접착제 35 내지 45중량%, 촙매트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또한, EM(EPS Moltar) 공법의 제2몰탈층(단열층)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은 물 5 내지 15중량%, 레미탈 20 내지 30 중량%, 몰탈접착제 35 내지 45중량%, 촙매트 5 내지 10중량%, 유리비드 5 내지 10중량%, 에어로겔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또한, EM(EPS Moltar) 공법의 표면강화제 도포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은 물 5 내지 15중량%, 시멘트 25 내지 35 중량%, 몰탈접착제 35 내지 45중량%, 물유리 5 내지 15중량%, 알루미늄분말 1 내지 10중량%, 숯분말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이때, 상기 EM(EPS Moltar) 공법의 제1 및 제2몰탈층 적층 공정, 표면강화제 도포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에 배합되는 몰탈접착제는 물 1 내지 5중량%, 에틸렌 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25 내지 35중량%, 아크릴 바인더 45 내지 55중량%, 직경 0.2mm의 유리비드 15 내지 2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EM(EPS Moltar) 공법의 제1몰탈층 적층 공정, 제2몰탈층(단열층) 적층 공정, 표면강화제 도포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들 각각에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우레탄기가 결합된 폴리로타세인을 시멘트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중량%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우레탄기가 결합된 폴리로타세인은 시멘트 조성물의 내구성 및 표면강도 향상을 위해 첨가되며, 10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시멘트 조성물의 내구성 및 표면강도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고,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에는 시멘트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FRP(Fiber Reinforced Polyestyren) 공법은 스티로폼 원형 제조, 석고물 바르기, 수성 퍼티 도포 및 표면 연마, 스티로폼 원형 보호 피막층 형성, 프라이머 도포, FRP층 형성, 표면 연마작업, 표면 도장의 공정을 거쳐 조형물을 제작하며, 본 발명의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은 스티로폼 원형 보호 피막층 형성 공정에 사용된다.
FRP(Fiber Reinforced Polyestyren) 공법의 스티로폼 원형 보호 피막층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은 물 10 내지 20중량%, 시멘트 20 내지 40중량%, 몰탈접착제 30 내지 50중량%, 촙매트 5 내지 20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이때, 상기 FRP(Fiber Reinforced Polyestyren) 공법의 스티로폼 원형 보호 피막층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에 배합되는 몰탈접착제는 물 1 내지 5중량%, 에틸렌 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25 내지 35중량%, 아크릴 바인더 45 내지 55중량%, 직경 0.2mm의 유리비드 15 내지 2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GRC(Glasfiber-ReinForced Concrte) 공법은 기초골조 및 세부골조 제작, 라스망 부착, 초벌층 및 정벌층 형성, 표면층 형성, 도색작업 공정을 거쳐 조형물을 제작하며, 본 발명의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은 초벌층, 정벌층 및 표면층 형성 공정에 사용된다.
먼저, GRC(Glasfiber-ReinForced Concrte) 공법의 초벌층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은 물 5 내지 10중량%, 시멘트 10 내지 30중량%, 몰탈접착제 15 내지 45중량%, 촙매트 5 내지 2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또한, GRC(Glasfiber-ReinForced Concrte) 공법의 정벌층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은 물 5 내지 10중량%, 레미탈 10 내지 30중량%, 몰탈접착제 15 내지 45중량%, 촙매트 5 내지 2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또한, GRC(Glasfiber-ReinForced Concrte) 공법의 표면층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은 물 10 내지 30중량%, 시멘트 35 내지 45중량%, 몰탈접착제 35 내지 4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이때, 상기 GRC(Glasfiber-ReinForced Concrte) 공법의 초벌층, 정벌층 및 표면층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에 배합되는 몰탈접착제는 물 1 내지 5중량%, 에틸렌 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25 내지 35중량%, 아크릴 바인더 45 내지 55중량%, 직경 0.2mm의 유리비드 15 내지 2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 20중량%, 시멘트(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30중량%, 몰탈접착제 40중량%, 촙매트(직경 2mm의 내알칼리성 유리섬유 촙매트) 10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EM(EPS Moltar) 공법의 제1몰탈층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물 10중량%, 레미탈(한미시멘트) 25중량%, 몰탈접착제 40중량%, 촙매트(직경 2mm의 내알칼리성 유리섬유 촙매트) 8중량%, 유리비드(직경 0.4mm, 소다 라임 글라스) 7중량%, 에어로겔(카봇 코퍼레이션 사의 Cab-O-Sil) 10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EM(EPS Moltar) 공법의 제2몰탈층(단열층)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물 10중량%, 시멘트(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30중량%, 몰탈접착제 40중량%, 물유리 10중량%, 알루미늄분말 5중량%, 숯분말 5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EM(EPS Moltar) 공법의 표면강화제 도포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물 15중량%, 시멘트(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35중량%, 몰탈접착제 45중량%, 촙매트(직경 2mm의 내알칼리성 유리섬유 촙매트) 5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FRP(Fiber Reinforced Polyestyren) 공법의 스티로폼 원형 보호 피막층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물 10중량%, 시멘트(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25중량%, 몰탈접착제 45중량%, 촙매트(직경 2mm의 내알칼리성 유리섬유 촙매트) 20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GRC(Glasfiber-ReinForced Concrte) 공법의 초벌층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물 10중량%, 레미탈(한미시멘트) 30중량%, 몰탈접착제 35중량%, 촙매트(직경 2mm의 내알칼리성 유리섬유 촙매트) 25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GRC(Glasfiber-ReinForced Concrte) 공법의 정벌층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물 20중량%, 시멘트(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40중량%, 몰탈접착제 40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GRC(Glasfiber-ReinForced Concrte) 공법의 표면층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중량평균분자량이 630,000이고, (메타)아크릴기 수(functional value)가 0.90mmol/g인 폴리로타세인(Superpolymer SA3403P, AMSI사)을 15중량% 혼합한 후 교반하여 EM(EPS Moltar) 공법의 제1몰탈층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중량평균분자량이 630,000이고, (메타)아크릴기 수(functional value)가 0.90mmol/g인 폴리로타세인(Superpolymer SA3403P, AMSI사)을 15중량% 혼합한 후 교반하여 EM(EPS Moltar) 공법의 제2몰탈층(단열층)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중량평균분자량이 630,000이고, (메타)아크릴기 수(functional value)가 0.90mmol/g인 폴리로타세인(Superpolymer SA3403P, AMSI사)을 15중량% 혼합한 후 교반하여 EM(EPS Moltar) 공법의 표면강화제 도포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에서 시멘트 조성물 제조에 사용된 몰탈접착제는 물 5중량%, 에틸렌 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30중량%, 아크릴 바인더 40중량%, 직경 0.2mm의 유리비드 25중량%를 혼합 및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알루미늄분말은 알루미나 98중량%, 이산화규소(SiO2) 1.5중량%, 산화철(Fe2O3) 0.4%, 산화나트륨(Na20) 0.1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또한, 물유리는 규사(SiO2)와 소다회(Na2CO3)를 1.6의 몰비(SiO2/Na2CO3)로 혼합한 혼합물을 1,300 내지 1,500℃에서 용융한 후 저압증기솥에서 처리하여 제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은, 시멘트 조성물에 유리비드, 에어로겔, 알루미늄분말, 물유리, 숯분말, 촙매트 등을 선택적으로 배합하여 다양한 조형물 제작 공법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즉, EM(EPS Moltar) 공법의 1차 및 2차 몰탈층 적층 공정, 표면강화제 도포 공정, FRP(Fiber Reinforced Polyestyren) 공법의 스티로폼 원형 보호 피막층 형성 공정, GRC(Glasfiber-ReinForced Concrte) 공법의 초벌층, 정벌층 및 표면층 형성 공정 등 유리비드, 에어로겔, 알루미늄분말, 물유리, 숯분말, 촙매트 등을 선택적으로 배합하여 다양한 조형물 제작 공법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시멘트 조성물에 유리비드 및 에어로겔을 특정 조성비로 배합하여 조형물의 단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멘트 조성물에 알루미늄분말, 물유리, 숯분말, 촙매트를 특정 조성비로 배합하여 조성물의 표면강도를 높여주어 표면의 백화현상, 크랙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에 의해 제작된 조형물인 인공암벽, 인공암, 인공폭포 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은 작업성이 우수하여 최종 완성되는 조형물인 인공암벽, 인공암, 인공폭포 등의 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하고 변형할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물 15 내지 25중량%, 시멘트 25 내지 35중량%, 몰탈접착제 35 내지 45중량%, 촙매트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EM(EPS Moltar) 공법의 제1몰탈층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우레탄기가 결합된 폴리로타세인이 10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2. 물 5 내지 15중량%, 레미탈 20 내지 30 중량%, 몰탈접착제 35 내지 45중량%, 촙매트 5 내지 10중량%, 유리비드 5 내지 10중량%, 에어로겔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EM(EPS Moltar) 공법의 제2몰탈층(단열층)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우레탄기가 결합된 폴리로타세인이 10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3. 물 5 내지 15중량%, 시멘트 25 내지 35 중량%, 몰탈접착제 35 내지 45중량%, 물유리 5 내지 15중량%, 알루미늄분말 1 내지 10중량%, 숯분말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EM(EPS Moltar) 공법의 표면강화제 도포 공정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우레탄기가 결합된 폴리로타세인이 10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탈접착제는,
    물 1 내지 5중량%, 에틸렌 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25 내지 35중량%, 아크릴 바인더 45 내지 55중량%, 직경 0.2mm의 유리비드 15 내지 2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촙매트는,
    직경이 2 내지 3mm로 제조된 내알칼리성 유리섬유 촙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분말은,
    질화알루미늄 98 내지 99중량%, 이산화규소(SiO2) 0.1 내지 1.5중량%, 산화철(Fe2O3) 0.03 내지 0.5중량%, 산화나트륨(Na20) 0.05 내지 0.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유리는,
    규사(SiO2)와 소다회(Na2CO3)를 1.6 내지 3.8의 몰비(SiO2/Na2CO3)로 혼합한 혼합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우레탄기가 결합된 폴리로타세인은 500,000 내지 8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0.90 내지 0.98 mmol/g의 (메타)아크릴기 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KR1020230000181A 2023-01-02 2023-01-02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KR102636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181A KR102636408B1 (ko) 2023-01-02 2023-01-02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181A KR102636408B1 (ko) 2023-01-02 2023-01-02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408B1 true KR102636408B1 (ko) 2024-02-14

Family

ID=8989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181A KR102636408B1 (ko) 2023-01-02 2023-01-02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4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335B1 (ko) * 2008-08-06 2009-06-10 (주)테마싸인알라딘 씨아이엠에스 공법에 의한 스티로폼을 이용한 조형물제조방법
KR101034228B1 (ko) * 2010-12-15 2011-05-12 (주)승산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 및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의 시공방법
KR20150030401A (ko) * 2013-09-12 2015-03-20 임기태 다기능의 인조대리석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인조대리석
KR20150145523A (ko) * 2014-06-20 2015-12-30 조경숙 표면 강도가 강하고 경량화된 인공조형물의 제조방법
KR101791412B1 (ko) * 2017-06-22 2017-10-31 (주)플러스스페이스 전시시설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전시시설용 인공암의 제조방법
KR102361401B1 (ko) * 2021-05-24 2022-02-15 주식회사 에이지 분진저감 효과가 뛰어난 고성능 건식 숏크리트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335B1 (ko) * 2008-08-06 2009-06-10 (주)테마싸인알라딘 씨아이엠에스 공법에 의한 스티로폼을 이용한 조형물제조방법
KR101034228B1 (ko) * 2010-12-15 2011-05-12 (주)승산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 및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의 시공방법
KR20150030401A (ko) * 2013-09-12 2015-03-20 임기태 다기능의 인조대리석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인조대리석
KR20150145523A (ko) * 2014-06-20 2015-12-30 조경숙 표면 강도가 강하고 경량화된 인공조형물의 제조방법
KR101791412B1 (ko) * 2017-06-22 2017-10-31 (주)플러스스페이스 전시시설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전시시설용 인공암의 제조방법
KR102361401B1 (ko) * 2021-05-24 2022-02-15 주식회사 에이지 분진저감 효과가 뛰어난 고성능 건식 숏크리트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3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환경친화형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972265B1 (ko) 고강도 모르타르 조성물 및 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941179B1 (ko) 고강도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900248B1 (ko) 내환경성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2194680B1 (ko) 수축 저감 효과가 뛰어난 조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유지보수공법
US6406535B1 (en) Material for constructional finished wallboard
KR100877528B1 (ko) 보온성, 차음성을 향상한 드라이 모르타르 및 상기 드라이모르타르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및 상기 드라이 모르타르로제조된 경량 벽돌
KR100924133B1 (ko) 황토도로용 포장재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황토도로 포장방법
KR101813026B1 (ko)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마감을 위한 자기 수평성 바닥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마감 시공 방법
KR102232477B1 (ko) 습윤면 시공성이 우수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2102627B1 (ko) 균열억제형 기능성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및 보수 방법
KR101779565B1 (ko) 레미콘용 친환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WO2011058574A2 (en) A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KR101598073B1 (ko)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친환경 경관석 패널
CN108314408A (zh) 一种环保抗压轻质透水砖及其制备方法
CN115417619B (zh) 一种混凝土内掺型自修复防水剂
KR102662384B1 (ko) 작업성 및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저수축 중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KR101380171B1 (ko) 내염성 시멘트를 포함하는 반강성 도로포장용 고내구성 시멘트와 이를 가진 주입 시공한 고내구성 반강성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2636408B1 (ko) 조형물 제작용 시멘트 조성물
US6171655B1 (en) Method of preparing constructional finished wallboard
KR101858477B1 (ko) 친환경 건축물 내외장용 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제조방법
KR102477171B1 (ko) 단열성능을 갖는 몰탈조성물
KR101672754B1 (ko) 폐목분을 이용한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모르타르 바닥재 또는 벽체
KR102436389B1 (ko) 도로 포장 보수용 고성능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공법
KR101085557B1 (ko) 충전형 하이브리드 단열재 조성물 및 이에 의한 단열 벽체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