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743B1 -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 - Google Patents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743B1
KR102635743B1 KR1020230173399A KR20230173399A KR102635743B1 KR 102635743 B1 KR102635743 B1 KR 102635743B1 KR 1020230173399 A KR1020230173399 A KR 1020230173399A KR 20230173399 A KR20230173399 A KR 20230173399A KR 102635743 B1 KR102635743 B1 KR 10263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earing
inner ring
cover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대
유승민
Original Assignee
유병대
유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대, 유승민 filed Critical 유병대
Priority to KR102023017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16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 F16C33/664Retaining the liquid in or near the bearing
    • F16C33/6655Retaining the liquid in or near the bearing in a reservoir in the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를 개시하며, 축과 결합되는 내륜과, 외측에서 회전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의 궤도면에 설치되는 전동체, 및 상기 전동체의 주위로 주입된 오일의 누유가 방지되도록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의 개방된 양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커버는 링 형태의 커버몸체와, 상기 커버몸체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원주홈과, 상기 원주홈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궤도면의 개방된 상단면과 하단면에 상기 커버몸체의 설치와 동시에 지름이 확장되어 상기 베어링커버가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의 사이에서 외부 충격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링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Leak-proof bearing assembly}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베어링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를 포함한 모든 회전기기에 있어서, 회전의 매개체로 베어링을 채택하여 그 사용 용도 및 베어링의 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지만 주로 베어링오일의 주입 여부에 따라서 오일이 내장 된 밀폐형과 주입 형태인 한쪽 개방형 및 개방형으로 구분된다.
한편, 베어링은 볼의 회전열로 인한 온도상승을 방지하고 마찰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서 베어링오일을 주입 하는데, 베어링의 수명은 물론, 전동기의 수명과 직접 연관되기 때문에 베어링을 감싸는 구조와 그 형상이 전동기의 구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베어링 내부에 주입된 베어링오일의 양 및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베어링부의 온도 상승 정도에 따라 베어링의 수명이 좌우된다.
종래의 원심펌프의 베어링커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원심펌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심펌프는 몸체를 구성하는 케이싱(11) 및 베어링 하우징(12)과, 상기 케이싱(11) 과 베어링 하우징(12) 사이에 일체로 조립되어 유입실을 형성하는 케이싱커버(13)와, 상기 베어링하우징(12)의 내부에 장착된 베어링(14-1), (14-2)에 의해 지지되어 전동기(2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15)과, 상기 회전축(15)의 일단에 일체로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11) 내부의 유입실로 물을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임펠러(16)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원심펌프의 전동기(20)에 전원이 공급되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축(15)과 그 일단에 장착된 임펠러(16)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임펠러(16)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케이싱(11) 내부의 유입실을 진공상태로 만들고, 이때 펌프내외부 사이에 발생한 압력차에 의해 외부의 유체가 유입실로 강제 이송된다.
유입실 내부로 강제 이송된 유체는 임펠러(16)의 회전에 의해 상부로 이송되어 강력한 압력에 의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회전축(15)을 지지하기 위하여 베어링이 사용되는데, 보통 ZZ-타입(type)의 베어링이 많이 사용되며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원심펌프에도 상기 베어링이 사용된다.
상기 ZZ-타입의 베어링(14-1), (14-2)은 그 내부의 볼주위에 그리이스(grease)를 주입시켜 볼의 윤할 역활을 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베어링(14-1), (14-2)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폐단을 보완하기 위하여 회학용의 프로세스(process) 펌프나 API펌프에서는 베어링 하우징(12) 내부에 오일을 채우는 유욕법(oil bath type)을 이용함으로서 베어링(14-1), (14-2)의 수명을 연장시켰다.
하지만, 이 경우 베어링하우징(12) 내부에 주입된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지 않아야 함과 동시에 외부의 이물질도 내부로 침투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러한 점을 실현하기 위하여 회전축(130)을 지지하는 베어링(14-1), (14-2)에 결합되는 베어링커버(150)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일반적으로 UU-타입으로 도 2에서 종래 베어링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베어링하우징(30)에 고무재의 베어링커버(32)를 설치하여 베어링하우징(30)내부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함과 함께 외부로 오일이 빈번하게 누유되는 문제점도 어느 정도는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베어링커버(32)가 충격 또는 충격하중에 의하여 베어링하우징(30)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지게차와 같이 하중이 많이 나가는 물건을 들거나 하는 경우 충격하중에 의하여 채용된 베어링에서 베어링커버(32)가 이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부품 불량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1998-0026852호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개선한 베어링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과 결합되는 내륜과, 외측에서 회전되는 외륜과, 내, 외륜사이의 궤도면에 전동체로 구성된 베어링조립체에 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베어링커버와 베어링커버가 베어링조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링을 설치함으로써, 충격에 의하여 베어링커버의 이탈이 방지되어 이물질의 유입은 물론,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에서는, 축과 결합되는 내륜과, 외측에서 회전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의 궤도면에 설치되는 전동체, 및 상기 전동체의 주위로 주입된 오일의 누유가 방지되도록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의 개방된 양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커버는 링 형태의 커버몸체와, 상기 커버몸체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원주홈과, 상기 원주홈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궤도면의 개방된 상단면과 하단면에 상기 커버몸체의 설치와 동시에 지름이 확장되어 상기 베어링커버가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의 사이에서 외부 충격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링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링은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으로 우레탄으로 제작되며, 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탬퍼링 온도가 300℃~400℃로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몸체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된 리브가 더 형성되어, 상기 내륜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링의 개방되는 양단면에 마주하여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가 형합되어 일시적으로 원지름을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에서는, 베어링조립체에 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베어링커버와 베어링커버가 베어링조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링을 설치함으로써, 충격에 의하여 베어링커버의 이탈이 방지되어 이물질의 유입은 물론,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유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본 발명의 베어링조립체가 채용된 장치의 안정된 작동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원심펌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UU-타입의 베어링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본 개시의 특징에 따른 베어링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베어링커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커버에서 탄성링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커버의 사이도이고,
도 8a는 도 7에서 베어링커버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7에서 베어링커버의 장착을 보여주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본 개시의 특징에 따른 베어링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베어링커버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는 크게, 축과 결합되는 내륜(110)과, 외측에서 회전되는 외륜(120)과, 내륜(110)과 외륜(120) 사이의 궤도면(114)(122)에 설치되는 전동체(130), 및 전동체(130)의 주위로 주입된 오일의 누유가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커버(150)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커버(150)는 일측이 개방된 “C”자의 탄성링(160)을 포함하는 것이다.
먼저, 베어링조립체(100)는 회전하고 있는 기계의 축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하중이 많이 나가는 지게차 등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 장치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베어링조립체(100)는 내륜(110) 및 외륜(120)과, 내륜(110)과 외륜(120) 사이의 궤도면(114)(122)에 설치되는 전동체(130)와, 전동체(130)의 주위로 주입된 오일의 누유가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커버(150)로 구성될 수 있다.
내륜(110)은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중심부에는 축(미도시)이 장착 가능하도록 관통홀(112)이 형성되고, 외주연으로 궤도면(114)이 형성되어 있다.
궤도면(114)은 곡률로 만곡 형성되고, 궤도면(114)에는 전동체(130)가 장착되도록 내륜장착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내륜장착홈(116)은 전동체(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륜(120) 역시 내륜(110)과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내주연으로 만곡의 곡률을 가지는 궤도면(122)이 내륜(110)의 궤도면(114)과 이격되고 마주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륜(120)의 궤도면(122)에도 전동체(130)가 장착되도록 외륜장착홈(124)이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동체(130)는 볼 또는 롤러일 수 있으며, 각각 마주하는 내륜장착홈(116)과 외륜장착홈(124)에 설치될 수 있다.
전동체(130)는 일정한 반경(r)을 갖는 구이고, 전동체(130)의 반경(r)은 내륜장착홈(116)과 외륜장착홈(124)의 내측반경(R)의 대략 0.2 ~ 0.4배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동체(130)를 매개로 내륜(110)과 외륜(120)에서 선접촉 또는 점접촉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시 도 3에서와 같이, 도시된 도면의 방향에서 내륜(110)의 외주연 상단부와 하단부에 일정 깊이의 안착부(118)가 형성되고, 안착부(118)와 마주하여 외륜(120)의 내주연 상단과 하단에도 일정 깊이의 가이드홈(126)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8)와 가이드홈(126)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베어링커버(150)가 장착되어 전동체(130)의 주위로 주입된 오일의 누유를 차단하게 된다.
베어링커버(150)는 도 4 또는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어링커버(150)는 내륜(110)과 외륜(120) 사이의 궤도면(114)(122)으로 개방된 상단면과 하단면에 삽입 설치되어 오일의 누유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커버(150)는 커버몸체(151), 커버몸체(151)에 형성되는 원주홈(152)과, 원주홈(152)에 설치되는 탄성링(1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몸체(151)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링 형태로 직경은 개방된 궤도면(114)(122)의 직경과 같은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151)의 외주연을 따라 중심부를 향하여 일정 깊이로 원주홈(152)이 형성되고, 상기 원주홈(152)에 탄성링(160)이 설치될 수 있다.
탄성링(160)은 원주홈(152)을 따라 설치되며, 원형이거나 일측이 개방된 “C”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탄성링(160)은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을 도시하여 설명하였고, 우레탄으로 제작되며, 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탬퍼링 온도가 300℃~400℃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링(160)은 "C"자 형으로 탄성으로 벌어지게 되며, 벌어진 "C"부분이 오므려지면 그 직경이 원주홈(152)의 깊이와 같을 수 있다.
탄성링(160)의 내주연은 원주홈(152)을 향하게 되고, 외주연은 외륜(120)의 가이드홈(126)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링(160)은 "C"자 형으로 비교적 높은 탄성으로 벌어지는 특성으로 궤도면(114)(122)의 개방된 상단면과 하단면에 커버몸체(151)의 설치와 동시에 탄성으로 지름이 확장되어 일부가 외륜(120)의 가이드홈(126)에 위치됨으로써, 베어링커버(150)가 내륜(110)과 외륜(120)의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몸체(151)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된 리브(15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일정 두께를 가지는 리브(154)는 내륜(110)의 안착부(118)에 위치되어 내륜(110)에 밀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구성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의 작용은 다시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축과 결합되는 내륜(110)과, 외측에서 회전되는 외륜(120)과, 내륜(110)과 외륜(120) 사이의 궤도면(114)(122)에 설치되는 전동체(130)로 구성되는 베어링조립체(100)에 있어서, 전동체(130)의 주위로 오일을 주입하고 주입된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륜(110)과 외륜(120) 사이의 궤도면(114)(122)으로 개방된 상단면과 하단면에 베어링커버(150)는 삽입 설치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커버(150)의 원주홈(152)에 일측이 개방된 “C”자의 탄성링(16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몸체(151)에 탄성링(160)이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베어링커버(150)를 내륜(110)과 외륜(120) 사이의 궤도면(114)(122)으로 개방된 상단면과 하단면에 삽입 설치하게 된다.
이때, “C”자의 탄성링(160)을 오므려서 원주홈(152)의 내측으로 삽입 시킨 상태에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고, 설치 후에는 "C"자의 탄성링(160)이 탄성에 의하여 지름이 확장되어 확장된 일부가 외륜(120)의 가이드홈(126)에 위치됨으로써, 외부 충격 또는 하중에 의하여 베어링커버(150)가 내륜(110)과 외륜(120)의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커버에서 탄성링의 사시도이다.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C"자 형 탄성링(20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탄성링(200)의 개방되는 일단면에 "ㄴ"자 형태의 제1 단턱부(202)가 형성되고, 타단면으로는 제1 단턱부(202)에 대응되도록 "ㄱ"자 형태의 제2 단턱부(20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턱부(202)와 제2 단턱부(204)는 마주하여 일시적으로 형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링(200)은 원주홈(152)에 삽입 위치되어 있다가, 궤도면(114)(122)의 개방된 상단면과 하단면에 커버몸체(151)의 설치 시 탄성링(200)이 제1 단턱부(202)와 제2 단턱부(204)가 뒤틀림이나 변형없이 안정적으로 마주하는 형합으로 일시적으로 원지름을 유지하였다가 설치가 완료되면, 탄성링(200)은 탄성에 의한 지름의 확장으로 원주홈(152)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륜(120)의 가이드홈(126)에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에서는 베어링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8a는 도 7에서 베어링커버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7에서 베어링커버의 장착을 보여주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커버(300)는, 내륜(110)과 외륜(120) 사이의 궤도면(114)(122)으로 개방된 상단면과 하단면에 삽입 설치되어 오일의 누유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커버(300)는 커버몸체(310), 커버몸체(310)에 형성되는 원주홈(312)과, 원주홈(312)에 설치되는 탄성링(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몸체(310)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링 형태로 직경은 개방된 궤도면(114)(122)의 직경과 같은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310)의 외주연을 따라 중심부를 향하여 일정 깊이로 원주홈(152)이 형성되고, 상기 원주홈(152)에 탄성링(320)이 설치될 수 있다.
탄성링(320)은 원주홈(152)을 따라 설치되며, 마주하는 반원링으로 제1 탄성링(322)과 제2 탄성링(3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링(320)은 우레탄으로 제작되며, 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탬퍼링 온도가 300℃~400℃로 조작될 수 있다.
제1 탄성링(322)과 제2 탄성링(324) 중 어느 하나의 양단부면으로 가이드돌기(322a)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탄성링 양단으로 일정 깊이의 가이드홈(324a)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탄성링(322)에 가이드돌기(322a)가 형성되고, 제2 탄성링(324)에 가이드홈(32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332a)는 곡률을 가지면서 제1 탄성링(16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직경이 축소되는 단차부(322b)를 형성한다.
그리고 가이드홈(324a) 역시 곡률을 가지면서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가이드홈(324a)의 내부로는 스프링(32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26)은 일단이 가이드홈(324a)에 지지되고, 타단은 가이드돌기(322a)의 단차부(322b)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링(322)의 가이드돌기(322a)가 제2 탄성링(324)의 가이드홈(324a)에 삽입 위치됨으로써, 제1 탄성링(322)과 제2 탄성링(324)이 마주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링(322)의 가이드돌기(322a)가 가이드홈(324a) 내에서 스프링(326)을 압축하면서 제2 탄성링(324)과 마주하여 밀착됨으로써, 뒤틀림이나 변형없이 상기 탄성링(320)은 원주홈(152)에 삽입 위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궤도면(114)(122)의 개방된 상단면과 하단면에 커버몸체(151)의 설치됨과 동시에 스프링(326)에 의하여 제1 탄성링(322)과 제2 탄성링(324)이 벌어지면서 원주홈(152)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륜(120)의 가이드홈(324a)에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탄성링(322)과 제2 탄성링(324)의 돌출로 베어링커버(300)가 내륜(110)과 외륜(120)의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몸체(310)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된 리브(330)가 형성되고, 리브(330)에는 밀봉부재(3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340)는 고무재일 수 있으며, 리브(330)를 포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밀봉부재(340)는 일측이 내륜(110)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 또는 'ㄷ'형의 단면형을 가지며, 개구된 내측으로 챔버(341)가 형성되고, 챔버(341)를 기준으로 상부면(341a)과 하부면(341b)으로 칭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커버(300)의 설치 시 챔버(341)의 내부공간은 적게 변형되는 반면, 챔버(341)의 상부면(341a)과 하부면(341b)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어, 챔버(341)의 개구가 좁아지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이 챔버(341)의 개구가 좁아짐과 함께 내륜(110)의 안착부(118)에 밀착되어 누유를 차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부가적으로 챔버(341)에는 개구 방향을 향하여 링돌기(34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링돌기(342)는 내륜(110)과 접촉하는 면이 많아 밀봉부재(340)에 가해지는 압력들이 분산되고 누유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링돌기(342)는 돌출리브(342a)가 존재하여 이 부분이 내륜(110)과 접촉하는 면이 많아 내부와 외부를 완벽하게 격리할 수 있다.
상기 링돌기(342)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리브(342a)는 완만하게 경사를 이루고 있고 일측면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챔버(341)와 링돌기(342)에 의하여 상부면(341a)과 하부면(341b)이 서로 맞닿게 되고 그 중심으로 링돌기(342)가 위치될 경우에 상기 밀봉부재(340)가 내륜(110)의 안착부(118)에 위치되어 내륜(110)에 밀착되어 오일의 누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베어링에 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베어링커버와 베어링커버에 탄성링을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은 물론,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누유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본 발명의 베어링이 채용된 장치의 안정된 작동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베어링조립체 110 : 내륜
112 : 관통홀 114, 122 : 궤도면
116 : 내륜장착홈 118 : 안착부
120 : 외륜 124 : 외륜장착홈
126 : 가이드홈 130 : 전동체
150 : 베어링커버 151 : 커버몸체
152 : 원주홈 154 : 리브
160 : 탄성링

Claims (4)

  1. 축과 결합되는 내륜과,
    외측에서 회전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의 궤도면에 설치되는 전동체, 및
    상기 전동체의 주위로 주입된 오일의 누유가 방지되도록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의 개방된 양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커버는,
    링 형태의 커버몸체와,
    상기 커버몸체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원주홈과,
    상기 원주홈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궤도면의 개방된 상단면과 하단면에 상기 커버몸체의 설치와 동시에 지름이 확장되어 상기 베어링커버가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의 사이에서 외부 충격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링,
    상기 탄성링은,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으로 우레탄으로 제작되며, 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탬퍼링 온도가 300℃~400℃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몸체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된 리브가 더 형성되어, 상기 내륜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의 개방되는 양단면에 마주하여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가 형합되어 일시적으로 원지름을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
KR1020230173399A 2023-12-04 2023-12-04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 KR10263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3399A KR102635743B1 (ko) 2023-12-04 2023-12-04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3399A KR102635743B1 (ko) 2023-12-04 2023-12-04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743B1 true KR102635743B1 (ko) 2024-02-13

Family

ID=8989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3399A KR102635743B1 (ko) 2023-12-04 2023-12-04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7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852U (ko) 1996-11-13 1998-08-05 이종수 전동기의 베어링오일 누유 방지용 리테이너
JP2013245715A (ja) * 2012-05-24 2013-12-09 Ntn Corp 外輪回転用軸受
CN106989105A (zh) * 2017-06-10 2017-07-28 荆门创佳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漏油的密封轴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852U (ko) 1996-11-13 1998-08-05 이종수 전동기의 베어링오일 누유 방지용 리테이너
JP2013245715A (ja) * 2012-05-24 2013-12-09 Ntn Corp 外輪回転用軸受
CN106989105A (zh) * 2017-06-10 2017-07-28 荆门创佳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漏油的密封轴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7702B1 (en) Bearing shaft seal
US6715765B2 (en) Sealing structure of a ball bearing
US4770548A (en) Hydrodynamic seal
EP0470409B1 (en) Noncontacting face seal
US5957461A (en) Radial lip shaft seal
US20060045776A1 (en) Electrically driven pump and domestic appliance having the pump
JP2007321760A (ja) 遠心ポンプ用、詳細には内燃機関の冷却液ポンプ用低摩擦の環状密閉アセンブリ
US6056293A (en) Sealing assembly for a rotary shaft, in particular of an automotive engine water pump
EP1816377A1 (en) Sealing device
KR20200018671A (ko) 밀봉장치
US4478550A (en) Pump apparatus
KR102635743B1 (ko) 누유 방지형 베어링조립체
CN108591473B (zh) 机械密封装置
CN103238012A (zh) 密封装置和密封结构
CN101026322B (zh) 润滑剂保持组件
JP4004119B2 (ja) ウォーターポンプ軸受
GB1583205A (en) Centrifugal pumps
KR102656388B1 (ko) 실링 링
US20060133702A1 (en) Hydrodynamic bearing assembly
JP6559717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
CN108626162B (zh) 油密封结构和包括油密封结构的压缩设备
CN208804125U (zh) 发动机水泵轴连轴承的密封装置
JP3897013B2 (ja) ウォータポンプ装置
KR20200097800A (ko) 밀봉장치
KR102592519B1 (ko) 씨일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