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725B1 - table type air purifier using plants - Google Patents

table type air purifier using pl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725B1
KR102635725B1 KR1020220043551A KR20220043551A KR102635725B1 KR 102635725 B1 KR102635725 B1 KR 102635725B1 KR 1020220043551 A KR1020220043551 A KR 1020220043551A KR 20220043551 A KR20220043551 A KR 20220043551A KR 102635725 B1 KR102635725 B1 KR 102635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housing
air
plant
air purifier
typ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44375A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to KR1020220043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725B1/en
Publication of KR2023014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3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7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가 식물패널의 하측 공간을 통해 메인하우징 내로 유입된 후 식물패널의 상측 공간을 따라 유동되면서 식물에 접촉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식물패널을 지나기 전에 필터부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이끼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으면서도 원활한 공기 정화가 가능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ir to flow into the main housing through the lower space of the plant panel and then flow along the upper space of the plant panel to contact the plants. In addition,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re removed by the filter unit before passing through the plant panel. This allows for smooth air purification while minimizing moss damage.

Description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table type air purifier using plants} Table type air purifier using plants}

본 발명은 이끼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며, 테이블형으로 제공되어 사용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type of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that purifies indoor air using moss and is provided in a table form to improve usability.

일반적으로, 공기정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필터를 이용하여 해당 공기로부터 각종 이물질(먼지, 냄새, 위해균 등)을 걸러내고, 이렇게 정화된 공기는 실내로 재공급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된다.Generally, an air purifier sucks in indoor air and uses a filter to filter out various foreign substances (dust, odor, harmful bacteria, etc.) from the air, and purifies the indoor air by supplying the purified air back into the room. It is configured to do so.

최근에는 식물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공기정화기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이끼를 이용하여 공기를 청정한 상태로 정화함과 더불어 실내 습도의 조절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cently, various types of air purifiers using plants have been provided. For example, by using moss, the air can be purified to a clean state and indoor humidity can also be controlled.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2114591호, 등록특허 제10-2123794호, 공개특허 제10-2021-0132451호, 등록특허 제10-2292339호 등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In relation to this, there are various proposals such as Registered Patent No. 10-2114591, Registered Patent No. 10-2123794, Published Patent No. 10-2021-0132451, and Registered Patent No. 10-2292339.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정화기는 공기가 이끼로 이루어진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이끼에 각종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구성되고 있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figured so that air passes through a filter made of moss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out by the moss.

하지만, 상기와 같이 실내 공기가 이끼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방식은 상기 이끼에 각종 이물질이 포집되기 때문에 이끼가 더러워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method of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as indoor air passes through moss as described above has the problem of the moss becoming dirty because various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in the moss.

즉, 실내 먼지나 각종 오염물질 등이 이끼에 포집됨으로써 이끼가 더러워지고, 지속적인 공기 통과로 인해 쉽게 말라버리는 등 수명이 단축된 문제가 있었다.In other words, indoor dust and various contaminants were collected in the moss, causing the moss to become dirty and easily dry out due to continuous passage of air, which shortened its lifespan.

더욱이, 상기 공기가 이끼를 원활히 통과하도록 구성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이끼의 밀집도를 고려하여 송풍력을 충분히 크게 제공하여야만 하고 이로써, 이끼의 손상(예컨대, 찢김, 뜯김, 들뜸 등)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Moreover, since the air must be configured to smoothly pass through the moss, the blowing force must be sufficiently large in consideration of the density of the moss, which inevitably causes damage to the moss (e.g., tearing, tearing, lifting, etc.). there was.

이로써, 종래 기술은 이끼를 자주 교체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 및 유지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Accordingly, the prior art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frequently replace the moss, which is inconvenient and has high maintenance costs.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정화기는 단순히 실내의 바닥에 세워서 제공하는 기능만 수행하기 때문에 공기정화기 이외의 작용은 수행하지 못하였던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unable to perform functions other than air purification because it only performs the function of standing on the floor indoors.

등록특허 제10-2114591호Registered Patent No. 10-2114591 등록특허 제10-2123794호Registered Patent No. 10-2123794 공개특허 제10-2021-0132451호Public Patent No. 10-2021-0132451 등록특허 제10-2292339호Registered Patent No. 10-2292339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purification of indoor air using plant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 혹은, 테이블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끼가 시각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by allowing the moss to be visually visible while allowing it to be used as a table or part of a tabl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끼를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가 이끼를 통과하기 전에 이물질이 우선적으로 걸러져 일차적으로 정화되고, 상기 정화된 공기가 이끼를 지나면서 이끼에 의해 재차적으로 정화되거나 또는, 이끼 주변의 존재하는 정화된 공기와 합쳐져서 신선한 공기가 되도록 하여 이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더욱 신선한 공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use moss as a filte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but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first before the air passes through the moss, thereby purifying the air. As the purified air passes through the moss, it is absorbed by the moss. The purpose is to obtain fresher air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moss by purifying it again or combining it with the purified air existing around the moss to create fresh ai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끼로의 수분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위한 물통의 교체 또는, 물보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moisture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moss, and that the water tank for this can be easily replaced or water replenishm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면은 개방되고 내부가 빈 박스체로 형성되며, 테이블의 상판 전체를 형성하거나 혹은, 테이블의 상판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실내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송풍부 및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가 구비된 메인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surface is open and the inside is formed as an empty box, and is configured to form the entire top of the table or at least a part of the top of the table. , an intake port for sucking in indoor air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purified air into the room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and inside is a blower for the flow of air and a blower for the flow of air. It consists of a main housing equipped with a filter uni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 수평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공간을 상부측 공간과 하부측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식물이 배치되면서 상기 메인하우징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식물의 표면을 지나면서 정화 또는, 가습되도록 제공되는 식물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unted horizontally in the main housing and is formed to divide the space in the main housing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nd a plan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passes through the main hous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ant panel provided to purify or humidify air as it passes over the surface of the plant.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메인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에는 개방 부위를 덮는 상면커버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p cover covering the open portion of the main housing is provided on the open top surface.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상면커버는 상기 식물패널이 보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cov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plant panel can be seen.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식물패널에 식생되는 식물은 매트형으로 제공되는 이끼임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s grown on the plant panel may be moss provided in the form of a mat.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흡입구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ake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housing.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전면 중 상기 식물패널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is formed to be located above the plant panel in the front of the main housing.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면 후방측에는 내부에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식물패널의 후단과 장착부 사이는 메인하우징의 후면에 의해 서로 구획되며, 상기 장착부 내에는 공기 유동의 안내와 상기 송풍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하우징이 구비된다.According to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part providing a mounting space therein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housing, and a spac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plant panel and the mounting part is partitioned by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A mounting housing is provided within the mounting portion to guide air flow and provide space for installation of the blowing portion.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장착하우징에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면 중 식물패널보다 하측에 연결되면서 메인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면 중 식물패널보다 상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송풍부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식물패널 상면의 식물을 지나도록 토출하는 토출부가 각각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housing includes a suction part connected to a lower side than the plant panel at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and sucking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housing, and a suction part at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than the plant panel. A discharge part is formed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and discharges the air blown from the blowing part to pass through the plan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 panel.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토출부의 공기 토출측에는 해당 토출부와의 연결 부위로부터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면의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면의 폭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파이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면에는 상기 안내파이프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식물패널의 상면을 향해 분산하여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홀이 각각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ischarge side of th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rear side of the main hous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orresponding discharge portion, and air flow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side of the main housing. A guide pipe for guiding the flow is further included,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to disperse and discharge the air guided through the guide pipe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 panel.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상기 장착하우징의 어느 한 부위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된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 내에는 상기 물을 미세화하여 상기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제공하는 미스트 발생기가 구비된다.According to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wnwardly protruding storage portion is formed in one part of the mounting housing to store water, and in the storage portion, the water is finely divided and blown by the blower. A mist generator for supplying air is provid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이끼와 같은 식물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urifying indoor air using plants such as moss.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이끼로 지속적 혹은, 주기적인 수분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끼가 최적의 생육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moss to maintain an optimal growth state by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supplying moisture to moss.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공기가 이끼를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이끼의 표면을 지나도록 공기 유동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moss because the air flow is formed so that the air passes over the surface of the moss rather than penetrating the moss.

이와 함께, 이끼에 공기가 제공되기 전에 필터부에 의해 먼지가 일차적으로 걸러짐에 따라 이끼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dust is primarily filtered by the filter unit before air is provided to the moss,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moss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테이블을 사용하는 도중 사용자는 식물패널의 이끼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어서 마음의 안정 혹은, 피로의 저감을 얻을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see the moss on the plant panel while using the table, thereby providing peace of mind or reducing fatigue.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물통이 메인하우징의 전면으로 취출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물통의 물보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water replenishment of the water tank can be easily performed because the water tank is installed to be removable from the front of the main hous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를 테이블에 적용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전방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전방측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후방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후방측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후방측 부위를 나타낸 요부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물통이 설치되는 부위의 구조 설명을 위한 요부 절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저부측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장착하우징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의 유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장착하우징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의 유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A”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장착하우징 내로부터 공기가 유출되는 상태의 유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장착하우징 내로부터 공기가 유출되는 상태의 유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
도 14은 도 13의 “B”부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후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공기 송풍을 위한 장착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낸 전방측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공기 송풍을 위한 장착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낸 후방측 상태도
Figure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pplied to a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ide of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main state diagram showing the rear portion of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lumbar cutaway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area where the water tank of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low structure in which air flows into the mounting housing of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low structure in which air flows into the mounting housing of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10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low structure in which air flows out from within the mounting housing of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low structure in which air flows out from within the mounting housing of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ure 13
Figure 15 is a rear view of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front side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unting housing for air blowing of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rear state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unting housing for air blowing of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1 to 17.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대한 각 방향측 사시도와 각 방향측 분해 사시도 및 절개 사시도이다.The attached Figures 2 to 8 are a perspective view of each direc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each direction, and a cut perspective view of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대한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Additionally, Figures 9 to 14 show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실내 공기가 이끼를 관통하지 않고 이끼 표면을 지나도록 안내될 수 있도록 하여 이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이끼가 제공하는 공기 청정의 효과 및 가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indoor air to be guided to pass through the surface of the moss without penetrating the moss,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moss and purifying the air provided by the moss. This is to achieve the effect and humidification effect.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아가 식물 공기정화기를 테이블로 사용하면서 식물을 시각적으로 봄에 따른 심신 안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by using th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tabl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by visually seeing plants.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메인하우징(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housing 100.

상기 메인하우징(100)은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The main housing 100 is provided to form the appearance of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예컨대, 첨부된 도 1과 같이 상기 메인하우징(100)은 테이블(식탁 혹은, 책상 등)(1)의 일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1, the main housing 100 can be used as a part of a table (dining table, desk, etc.) 1.

상기 메인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기의 유동 및 각종 구성요소들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간(유동 공간)과 각종 구성요소들의 설치를 위한 공간(설치 공간)은 서로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설치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거나 혹은, 상기 유동 공간에 각종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main housing 100 may be formed to provide space for air flow and installation of various components therein. At this time, the space for the flow of air (flow space) and the space for installation of various components (installation space) may be provided separately, and air may flow into the installation space or various types of components may flow into the flow space.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상기 메인하우징(100)은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110) 및 둘레면을 가지는 내부가 빈 박스체(통체)로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이때, 상기 둘레면은 전면(120)과 후면(130) 및 좌우 측면(140)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저면(110)은 상기 둘레면과는 별개로 제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housing 100 is formed as a box (cylindrical body)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empty interior with a bottom surface 110 and a peripheral surface. At this time, the peripheral surface may include the front 120, the rear 130,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140, and the bottom 110 may be formed to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eripheral surface.

또한,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실내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101)가 형성됨과 더불어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배출구(102)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intake port 101 for sucking indoor air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housing 100, and an outlet port 102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housing 100 for discharging purified air into the room.

상기 흡입구(101) 및 배출구(102)는 각각 하나의 장공(長空)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서로 이격된 다수의 슬롯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실시예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01)는 하나의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02)는 다수의 슬롯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101 and outlet 102 may each be formed as a single long hole, or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slo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s shown in the example, the intake port 101 may be formed as a single long hole, and the discharge port 102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slots.

상기 흡입구(101)와 배출구(102)는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각 면 중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저면(110)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02)는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전면(120)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101 and outlet 102 may be formed on the same side of each side of the main housing 100 or may be formed on different sides. For example, as shown in the embodiment, the intake port 10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main housing 100, and the outlet port 10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120 of the main housing 100. You can.

상기 메인하우징(100)에는 상기 흡입구(101)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부(310)(첨부된 도 9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구(101)를 통과하여 메인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이 후술될 식물패널(200)의 식물(201)을 지나기 전에 상기 필터부(310)에 걸러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필터부(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먼지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The main housing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unit 310 (see attached FIG. 9)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take port 101. That i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at pass through the intake port 101 and enter the main housing 100 are filtered by the filter unit 310 before passing through the plants 201 of the plant panel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At this time, the filter unit 310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filter, and the filter may include a dust filt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특히,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저면(110) 중 전방측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310)는 상기 흡입구(101) 혹은, 상기 흡입구(101)를 지나 식물패널(200)의 식물(이끼)(201)로 유동되기 전까지의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식물(이끼)(201)로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제공되기 전에 상기 필터부(310)를 지나면서 해당 공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걸러진다.In particular, the intake port 10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main housing 100, and the filter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101 or the plant panel through the intake port 101. It is provided on the air flow path before flowing to the plants (moss) (201) of (200). Accordingly, befor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is provided to the plant (moss) 201,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310 and are filtered out.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필터부(310)는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저면 중 상기 흡입구(101)에 설치하여 교체나 청소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filter unit 310 may be installed at the inlet 101 on the bottom of the main housing 100 so that it can be easily replaced or cleaned.

또한,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후단에는 장착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50)는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후단으로부터 상향 혹은, 하향 확장되도록 형성되면서 그의 내부에 장착 공간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부(150)가 시각적으로 잘 보이지 않도록 메인하우징(100)의 후단으로부터 하향 돌출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즉, 상측에서 메인하우징(100)을 봤을 때 상기 장착부(150)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Additionally, a mounting portion 150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housing 100. The mounting portion 150 is formed to extend upward or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main housing 100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a mounting space therei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mounting portion 15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main housing 100 so as not to be visually visible. In other words, when the main housing 100 is viewed from the top, the mounting portion 150 is not visually visible.

상기 장착부(150)는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후면(130)에 의해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내부 공간과는 구획된 별도의 장착 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후면은 후술될 식물패널(200)의 후단과 장착부(150) 사이를 서로 구획하는 구획벽으로 사용된다.The mounting part 150 is configured to have a separate mounting space partitioned off from the inner space of the main housing 100 by the rear surface 130 of the main housing 100. That is,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100 is used as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rear end of the plant panel 200 and the mounting portion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장착부(150)의 후면은 개방되게 형성되며, 별도의 후면커버(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내부 공간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ar of the mounting unit 150 is formed to be open, and the internal space can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 separate rear cover (not shown).

또한, 상기 장착부(150) 내의 장착 공간에는 송풍부(320)가 설치되는 장착하우징(33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송풍부(320)는 상기 장착하우징(330) 내에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mounting housing 330 in which a blower 320 is installed is provided in the mounting space within the mounting part 150. That is, the blower 320 is configured to be mounted within the mounting housing 330.

여기서, 상기 송풍부(320)는 공기 송풍을 위해 제공되는 구성요소이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송풍부(320)는 팬모터를 가지는 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blowing unit 320 is a component provided for blowing air.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blower 320 may be made of a fan having a fan motor.

상기 장착하우징(330)은 상기 송풍부(320)의 송풍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팬하우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housing 330 may be form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fan housing to improve the blowing force of the blower 320.

이러한 장착하우징(330)의 외면 중 어느 한 부위(예컨대, 상면 일측)에는 메인하우징(100)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3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부(331)는 상기 장착하우징(33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면서 전면이 개구된 관체로 형성될 수 있다.A suction portion 331 for sucking air from the main housing 100 is formed on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mounting housing 330 (for example,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t this time, the suction part 331 may be formed as a tubular body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housing 330 and has an open front surface.

또한, 상기 장착하우징(330)의 외면 중 다른 한 부위(예컨대, 상면 타측)에는 장착하우징(330) 내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332)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discharge portion 332 for discharging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ounting housing 330 is formed on anoth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housing 330 (for example, the other upper side).

상기 토출부(332)는 상기 장착하우징(100) 내외를 연통하는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송풍부(320)는 상기 토출부(332)의 공기 입구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332 may be formed as a pipe communicating inside and outside the mounting housing 100, and the blowing unit 320 may be located on the air inlet side of the discharge unit 332.

상기 토출부(332)는 상기 장착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별개로 형성된 후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ion 33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unting housing 100 or may be formed separately and then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흡입부(331)는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후면(130) 중 식물패널(200)의 설치 높이보다 하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토출부(332)는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후면 중 식물패널(200)의 설치 높이보다 상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 suction part 331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rear 130 of the main housing 100 tha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plant panel 200, and the discharge part 332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100.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abov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middle plant panel 200.

예컨대,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후면(130) 중 하측에는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의 저부 공간을 지난 공기가 통과하는 통과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331)의 공기 입구(전면의 개구 부위)는 상기 통과공(131)에 일치되도록 형성된다.For example, a passage hole 131 through which air passes through the bottom space of the main housing 100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rear 130 of the main housing 100, and the air inlet of the suction unit 331 ( The opening area on the front) is formed to match the through hole 131.

이와 함께,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후면(130) 중 상측에는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의 상부 공간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복수의 토출홀(132)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332)의 공기 출구는 상기 각 토출홀(132)이 형성된 부위에 일치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32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to the upper space within the main housing 100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130 of the main housing 100, and the air of the discharge unit 332 is formed. The outlet is formed to match the area where each discharge hole 132 is formed.

상기 각 토출홀(132)은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후면(130)의 폭 방향(도면상 좌우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의 전 부위로 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Each of the discharge holes 132 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drawing) of the rear surface 130 of the main housing 100 and is configured to allow even inflow into all parts of the main housing 100. .

상기 토출부(332)의 공기 출구에는 해당 토출부(332)를 지나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각 토출홀(132)들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파이프(33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내파이프(333)는 상기 각 토출홀(132)이 형성된 방향(메인하우징의 폭 방향)을 따라 긴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332)의 공기 출구는 상기 안내파이프(333)의 어느 한 부위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안내파이프(333)로 인해 토출부(332)를 통과한 공기가 각 토출홀(132)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The air outlet of the discharge unit 332 is provided with a guide pipe 333 that guides the air discharged past the discharge unit 332 to flow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each of the discharge holes 132 is formed. At this time, the guide pipe 333 is formed in a long structur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each discharge hole 132 is formed (width direction of the main housing), and the air outlet of the discharge portion 332 is the guide pipe 333. It can be connected to any part of. That i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art 332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each discharge hole 132 due to the above-described guide pipe 333.

또한, 상기 장착하우징(330)의 어느 한 부위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된 저장부(334)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downwardly protruding storage portion 334 is formed in one part of the mounting housing 330 to store water.

이와 함께 상기 저장부(334) 내에는 상기 물을 미세화하여 상기 송풍부(32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제공하는 미스트 발생기(340)가 구비된다. 즉, 상기한 미스트 발생기(340)의 제공에 의해 상기 장착하우징(330)을 통과하여 토출되는 공기에는 미세한 수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로써 식물로 상기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스트 발생기(340)는 예컨대, 초음파를 이용하는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mist generator 340 is provided in the storage unit 334 to finely refine the water and provide it to the air blown by the blower 320. That is, by providing the mist generator 340,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mounting housing 330 may contain fine moisture, and thus the moisture can be supplied to plants. At this time, the mist generator 340 may be configured as a device that uses ultrasonic waves, for example.

상기 미스트 발생기(340)는 필요시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설정 주기마다 동작되도록 제어되거나, 송풍부(320)가 동작될 경우 함께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물론, 송풍부(320)가 동작될 경우 미스트 발생기(340)는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The mist generator 340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when necessary. For example, it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at every set cycle, or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together when the blower 320 is operated. Of course, when the blower 320 is operated, the mist generator 340 may be controlled to stop operation.

또한, 상기 미스트의 발생을 위해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예컨대, 장착부 내)에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3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통(350)은 메인하우징의 일측 전면으로 취출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선택적인 물의 보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인하우징(100)의 전면이나 측면에 상기 물통(350)에의 물 보충을 위한 보충홀을 형성하여 상기 보충홀을 통해 물통(350) 내에 물이 보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달리는, 상기 물통(350)은 메인하우징(100)의 후면이나 측면 혹은, 저면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in order to generate the mist, a water tank 350 in which water is stored may be provided within the main housing 100 (eg, within the mounting portion). At this time, the water tank 350 may be installed to be removable from one front side of the main housing and may be configured to allow selective replenishment of water.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a replenishment hole for replenishing water into the water tank 350 may be form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main housing 100 so that water can be replenished into the water tank 350 through the replenishment hole. Alternatively, the water tank 350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rear, side, or bottom of the main housing 100.

이와 함께, 상기 장착부(150) 내에는 상기 물통(350)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기 위한 워터펌프(3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워터펌프(360)에 의해 펌핑된 물은 장착하우징(330) 내의 저장부(334)에 제공되어 미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In addition, a water pump 360 may be installed in the mounting unit 150 to pump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50. At this time, the water pumped by the water pump 360 is provided to the storage unit 334 in the mounting housing 330 and used to generate mist.

한편, 전술된 메인하우징(100)은 테이블(1)의 상판(10) 전체를 구성하거나 혹은, 상판(10) 중 일부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ain housing 100 may constitute the entire top plate 10 of the table 1 or may constitute a portion of the top plate 10.

이때, 상기 테이블(1)은 식탁, 책상, 거실장, 협탁, 탁자, 화장대, 의자 등이 될 수 있고, 다리(20)는 사용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able 1 can be a dining table, desk, living room cabinet, side table, table, dressing table, chair, etc., and the legs 20 can be selectively provided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하우징(100)이 다리(20)를 가지는 테이블(1)의 상판(10) 중 일부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하며,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housing 100 is configured to form part of the top 10 of the table 1 having legs 20, as shown in Figure 1 attached. .

이때, 상기 메인하우징(100)은 상기 상판(10)에 일체화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메인하우징(100)은 상기 상판(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ain housing 100 may be configured to be integrated with the upper plate 10.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main housing 10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1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식물패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ant panel 200.

상기 식물패널(200)은 식물(201)이 식재되는 패널이다. 이러한 식물패널(200)은 평판이나, 격자판 혹은, 그물망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패널(200)은 펼쳐진 상태로 눕혔을 때 부분적인 처짐이 방지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plant panel 200 is a panel on which plants 201 are planted. This plant panel 200 may be formed of a flat plate, grid, or mesh. Preferably, the plant panel 200 is formed to have sufficient rigidity to prevent partial sagging when laid down in an unfolded state.

상기 식물패널(200)에 식재되는 식물(201)은 상기 식물패널(200)의 상면에 제공된다. 물론, 상기 식물패널(200)의 저면에도 식물(201)이 추가로 식재될 수도 있다.Plants 201 planted on the plant panel 20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 panel 200. Of course, plants 201 may also be additionally planted on the bottom of the plant panel 200.

상기 식물(201)은 이끼임을 제시한다. 즉, 이끼를 이용하여 공기의 정화 및 실내 습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상기 식물(201)이라는 용어 대신 이끼로 설명하도록 한다.It is suggested that the plant 201 is moss. In other words, moss was used to purify the air and control indoor humidit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 plant 201 will be replaced with moss.

특히, 상기 이끼(201)는 생토를 포함하는 매트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이끼(201)의 수분 유지뿐 아니라 곰팡이나 기타 미생물의 성장을 막을 수 있는 특수코팅재료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식생하도록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물패널(200)의 저면에는 상기 식물패널(200)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판(210)이 제공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oss 20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at containing raw soil. For example, the moss 201 may be formed and provided to grow on a non-woven fabric made of a special coating material that can not only retain moisture but also prevent the growth of mold or other microorganisms. At this time, a support plate 21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plant panel 200 to support the plant panel 200.

상기 받침판(210)은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에 수평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의 공간을 상부측 공간과 하부측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plate 210 is mounted horizontally within the main housing 100 and is formed to divide the space within the main housing 100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이를 위해,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의 전면 및 후면(혹은, 양 측면)에는 얹힘턱(104)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210)은 상기 얹힘턱(104)에 얹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식물패널(200)은 상기 받침판(210)에 얹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얹힘턱(104)은 메인하우징(100) 내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대략 중앙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resting ridges 104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or both sides) of the main housing 100, and the support plate 210 is configured to rest on the resting ridge 104, and the plant panel (200) i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210). At this time, the resting ridge 104 may be form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main housing 100 when viewed from the height direction.

특히, 첨부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볼 때, 상기 메인하우징(100)에 형성되는 배출구(102) 및 각 토출홀(132)들은 상기 얹힘턱(104)의 형성 부위를 기준으로 상측 부위에 위치되고,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통과공(131)의 경우 상기 얹힘턱(104)의 형성 부위를 기준으로 하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구(102)는 식물패널(200)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흡입구(101)는 식물패널(200)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In particular, when referring to the attached FIGS. 9 to 14, the outlet 102 and each discharge hole 132 formed in the main housing 100 are located above the portion where the resting ridge 104 is formed. It is located in, and in the case of the through hole 131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100, it is formed to be located at the lower part based on the formation area of the resting ridge 104. That is, the outlet 102 is formed to be located above the plant panel 200, and the intake port 101 is formed to be located below the plant panel 200.

이러한 공기 유동을 위한 배치 구조에 의해 메인하우징(100) 내로 흡입된 공기는 식물패널(200)의 저부를 지나면서 필터부(310)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되고, 계속해서 식물패널(200)의 상부를 지나면서 이끼(201)에 의한 공기 정화 또는, 가습이 이루어진 후 실내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arrangement structure for air flow,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housing 100 passes through the bottom of the plant panel 200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31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continues to the upper part of the plant panel 200. As it passes through, the air can be purified or humidified by the moss 201 and then discharged indoors.

한편, 상기 메인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에는 해당 개방 부위를 덮는 상면커버(160)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면커버(160)의 제공에 의해 해당 메인하우징(100)을 테이블(1)의 상판(10) 혹은, 상판(10)의 일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 top cover 160 may be provided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00 to cover the open portion. That is, by providing the top cover 160, the main housing 100 can be used as the top plate 10 of the table 1 or as a part of the top plate 10.

특히, 상기 상면커버(160)의 전부 혹은, 상면커버(16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식물패널(200)이 보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면커버(160)는 유리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의 식물패널(200)에 식재된 이끼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all of the top cover 160 or at least part of the top cover 16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plant panel 200 can be seen. That is, the top cover 160 is made of a glass material so that the moss planted on the plant panel 200 inside can be visible to the user.

또한,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의 공기가 지나는 어느 한 부위에는 UV LED(170)(도 9 및 도 12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즉, UV LED(170)에 의한 살균 작용으로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dditionally, a UV LED 170 (see FIGS. 9 and 12) may be installed at any part of the main housing 100 where air passes. In other words,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UV LED 170 prevents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such as mold.

특히, 상기 UV LED(170)는 메인하우징(100)의 후면(130) 중 각 토출홀(132)들이 형성된 부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토출홀(132)이 형성되는 부위는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도중에서 수분의 일부가 잔존할 수 있어서 미생물의 성장이 우려될 뿐 아니라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부위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 건강을 해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UV LED 170 is preferably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rear 130 of the main housing 100 where each discharge hole 132 is formed. That is, the area where each discharge hole 132 is formed is not only a place where some of the moisture may remain while the air containing moisture passes through, raising concerns abou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but it is also a visually invisible area, so it is not visible to the user's eyes. It has the advantage of not harming your health.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UV LED(170)는 상기 장착하우징(330)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장착하우징(330) 내에서 생성되는 미스트를 상기 UV LED(170)에 의해 조사되는 UV로 살균하거나 혹은, 장착하우징(330) 내로 공급된 물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끼에 미생물이 성장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UV LED(170)는 상기 장착하우징(330) 내의 전 공간에 UV를 조사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저장부(334) 내부에 UV를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UV LED 170 may be installed within the mounting housing 330. That is, the mist generated within the mounting housing 330 is sterilized with UV irradiated by the UV LED 170, or the water supplied into the mounting housing 330 is sterilized, thereby preven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moss. This was done so that it could be prevented in advance. At this time, the UV LED 17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rradiate UV to the entire space within the mounting housing 330, but may also be configured to irradiate UV to at least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334.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UV LED(170)는 메인하우징(100)의 배출구(102)가 형성된 부위에 구비(혹은,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배치에 의해 배출구(102)를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재차적인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Although not shown, the UV LED 170 may be provided (or provided additionally) in the area where the outlet 102 of the main housing 100 is formed. In other words, the above-mentioned arrangement allows the air supplied into the room through the outlet 102 to be sterilized again.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UV LED(240)는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를 따라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경로는 파이프 혹은, 덕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UV LED 240 may be provided along a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and the path may be formed of a pipe or duct.

또한,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에는 이끼(201)로 빛을 제공하는 조명장치(도시는 생략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식물패널(200)의 상면에 존재하는 이끼의 전 부위에 고르게 빛이 제공될 수 있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고려할 때 상기 조명장치는 상면커버(160)의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둘레에 위치되거나 혹은, 메인하우징(100) 내의 둘레면(예컨대, 전면이나 후면 혹은, 양 측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a lighting device (not shown) that provides light to the moss 20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in the main housing 100. This lighting device is preferably arranged so that light can be provided evenly to all areas of the moss pres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 panel 200. Considering this, the lighting device is positioned around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s of the top cover 160. It may be located on or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eg, front, back, or both sides) of the main housing 100.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의 사용 상태 및 이에 의한 실내 공기의 정화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oor air purification process thereby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테이블(1)의 상판(10) 중 일부로 제공된다.First,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part of the top plate 10 of the table 1.

이때, 메인하우징(100)의 전면은 테이블(1) 상판(10)의 전면(혹은, 어느 한 둘레면)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메인하우징(100)의 저면은 상기 상판(10)의 저면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메인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에 설치되는 상면커버(160)는 상기 상판(10)의 상면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ront of the main housing 100 is configured to form part of the front (or one of the peripheral surfaces) of the top plate 10 of the table (1), and the bottom of the main housing 100 is a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top plate 10. The top cover 160 installed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00 is configured to form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이렇게 제공되는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투명한 재질의 상면커버(160)에 의해 메인하우징(100) 내의 이끼(201)를 외부에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이끼(201)가 주는 자연의 느낌 및 자연의 색상으로 사용자는 마음의 안정감을 느낄수 있게 된다.In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provided in this way, the moss (201) in the main housing (100)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by the transparent top cover (160), and the natural feeling and natural color that this moss (201) gives. This allows users to feel a sense of peace of mind.

상기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지속적이거나 주기적 혹은, 선택적으로 송풍부(320)가 동작될 수 있다.In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the blowing unit 320 may be operated continuously, periodically, or selectively.

즉, 계속적으로 송풍부(320)가 동작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송풍부(320)가 동작되거나 설정 주기 또는, 오염 물질의 감지나 공기질이 저하되면 송풍부(320)가 동작될 수 있다.That is, the blower 320 may be operated continuously, the blower 32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or the blower 320 may be operated at a set cycle, or when pollutants are detected or air quality deteriorates.

그리고, 상기 송풍부(320)가 동작되면 상기 송풍부(320)의 동작에 의한 공기 송풍력이 발생되며, 이러한 공기 송풍력에 의해 메인하우징(100)의 흡입구(101)를 통해 실내 공기가 메인하우징(100) 내로 유입된다.In addition, when the blower 320 is operated, air blow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320, and this air blowing force causes indoor air to be blown into the main through the intake port 101 of the main housing 100. flows into the housing 100.

계속해서, 메인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후 장착부(150)를 향해 유동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흡입구와 장착부 사이의 공기 유로(메인하우징의 저면과 식물패널 사이의 공간) 상에 배치된 필터부(310)를 지나면서 해당 공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필터부(310)에 일차적으로 걸러진다.Subsequently, it flows into the main housing 100 and then flows toward the mounting part 150, and in this process, the filter unit disposed on the air flow path (space between the bottom of the main housing and the plant panel) between the inlet and the mounting part. As it passes through 310,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re primarily filtered by the filter unit 310.

상기 필터부(310)를 통과한 공기는 메인하우징(100) 후면의 통과공(131) 및 장착하우징(330)의 흡입부(331)를 통해 장착하우징(330) 내로 유입된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310 flows into the mounting housing 330 through the through hole 131 on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100 and the suction part 331 of the mounting housing 330.

또한, 상기 장착하우징(33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부(320)를 통과하여 토출부(332)로 유동된 후 메인하우징(100) 후면의 각 토출홀(132)을 통해 메인하우징(100) 내의 상측 공간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토출부(332)를 통과하는 공기는 해당 토출부(332)에 연장 형성된 안내파이프(333)를 따라 유동되면서 각 토출홀(132)들로 균일하게 공급되며, 이로써 메인하우징(100) 내의 상측 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어느 한 측에 치우침 없이 균일하게 공급된다.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ounting housing 330 passes through the blower 320 and flows to the discharge part 332, and then flows into the main housing 100 through each discharge hole 132 on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100. It is supplied to the upper space inside. At this tim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unit 332 flows along the guide pipe 333 extending from the discharge unit 332 and is uniformly supplied to each discharge hole 132, thereby forming the main housing 100. The air supplied to the upper space inside is supplied evenly without bias to any one side.

또한, 상기 메인하우징(100) 내의 상측 공간으로 공급된 공기는 해당 공간을 따라 유동되면서 메인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식물패널(200)의 상면에 식재된 이끼(201)의 표면을 지난다. 이로써, 상기 공기는 상기 이끼(201)에 의해 미세 먼지 등이 제거됨과 더불어 이끼(201)가 배출하는 산소를 포함하면서 더욱 깨끗한 공기로 정화된 후 실내로 공급된다.In addition, the air supplied to the upper space within the main housing 100 flows along the space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02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in housing 100, and in the process, the plant panel 200 Passes the surface of the moss 201 planted on the upper surface. As a result, the air is purified into cleaner air by removing fine dust and the like by the moss 201 and containing oxygen emitted by the moss 201 before being supplied indoors.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는 도중에는 미스트 발생기(340)가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스트 발생기(34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으로 동작될 수도 있고, 주기적 혹은, 수분 필요시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식물 공기정화기의 공기 정화를 위한 동작이 수행되지 않고 상기 미스트 발생기(340)가 동작될 때에는 송풍부(320)가 함께 동작된다.Meanwhile, the mist generator 340 may be operated while the air flow as described above occurs. At this time, the mist generator 340 may be operated manually by a user, or may be operated periodically or automatically when moisture is needed. If the plant air purifier is not operating to purify air and the mist generator 340 is operated, the blower 320 is operated together.

상기와 같이 미스트 발생기(340)가 동작될 경우 장착하우징(330)의 저장부(334)에 저장된 물이 미스트화되고, 이러한 미스트는 상기 장착하우징(330) 내를 지나는 공기의 유동에 편승되면서 상기 공기와 함께 송풍부(320)를 통과하여 토출부(332)로 토출된다.When the mist generator 340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334 of the mounting housing 330 is converted into mist, and this mist is piggybacked on the flow of air passing within the mounting housing 330. It passes through the blowing unit 320 together with the air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332.

이로써,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스트는 공기 유동에 따라 이끼(201)를 지나는 도중 해당 이끼(201)에 제공되면서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이로써 이끼(201)는 원활히 생식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ist contained in the air is provided to the moss 201 while passing through the moss 201 according to the air flow and supplies moisture. As a result, the moss 201 can reproduce smoothly.

특히, 상기 미스트는 공기에 포함된 상태로 실내로 제공되면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mist is provided indoors in a state contained in the air and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controlling indoor humidity.

또한, 식물 공기정화기에 제공되는 UV LED(170) 및 조명장치는 선택적(주기적 혹은, 사용자의 조작 등)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UV LED(170) 및 조명장치의 동작으로 곰팡이 발생이 방지되고, 이끼(201)는 안정적으로 생육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the UV LED 170 and the lighting device provided in the plant air purifier may be operated selectively (periodically, by user operation, etc.). The operation of the UV LED 170 and the lighting device prevents mold from growing and allows the moss 201 to grow stably.

상기 미스트 발생기(340)가 동작될 경우 실내 습도가 설정 습도를 이루거나 식물에 수분을 제공하는 기능이 종료되면 상기 미스트 발생기(340)의 동작이 종료된다.When the mist generator 340 is operated, when the indoor humidity reaches the set humidity or the function of providing moisture to the plant is terminated, the operation of the mist generator 340 is terminated.

따라서, 실내 공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에 의해 정화 및 청정화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door air can be purified and purified by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이끼(201)와 같은 식물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urify indoor air using plants such as moss 201.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이끼(201)로 지속적 혹은, 주기적인 수분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끼가 최적의 생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oss 201 to maintain an optimal growth state by providing continuous or periodic moisture supply.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공기가 이끼(201)를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이끼(201)의 표면을 지나도록 공기 유동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끼에 공기가 제공되기 전에 필터부(310)에 의해 먼지가 일차적으로 걸러짐에 따라 이끼(201)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to the moss because the air flow is formed so that the air passes over the surface of the moss 201 rather than penetrating the moss 201. In addition, as dust is primarily filtered by the filter unit 310 before air is provided to the moss, damage to the moss 201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테이블(1)을 사용하는 도중 사용자는 식물패널(200)의 이끼(201)를 볼 수 있어서 마음의 안정 혹은, 피로의 저감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e the moss 201 on the plant panel 200 while using the table 1, thereby providing peace of mind or reducing fatigue.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는 물통(350)이 메인하우징(100)의 전면으로 취출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물통(350)의 물보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350 is installed to be removable from the front of the main housing 100, so the water tank 350 can be easily refilled.

1. 테이블 10. 상판
20. 다리 100. 메인하우징
101. 흡입구 102. 배출구
104. 얹힘턱 110. 저면
120. 전면 130. 후면
131. 통과공 132. 토출홀
140. 측면 150. 장착부
160. 상면커버 170. UV LED
200. 식물패널 201. 이끼
310. 필터부 320. 송풍부
330. 장착하우징 331. 흡입부
332. 토출부 333. 안내파이프
334. 저장부 340. 미스트 발생기
350. 물통 360. 워터펌프
1. Table 10. Top table
20. Legs 100. Main housing
101. Inlet 102. Outlet
104. Resting chin 110. Bottom
120. Front 130. Rear
131. Through hole 132. Discharge hole
140. Side 150. Mounting part
160. Top cover 170. UV LED
200. Plant panel 201. Moss
310. Filter unit 320. Blowing unit
330. Mounting housing 331. Suction part
332. Discharge part 333. Guide pipe
334. Storage unit 340. Mist generator
350. Water tank 360. Water pump

Claims (9)

상면은 개방되고 내부가 빈 박스체로 형성되며, 테이블의 상판 전체를 형성하거나 혹은, 테이블의 상판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저면에는 실내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송풍부 및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가 구비된 메인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 수평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공간을 상부측 공간과 하부측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식물이 배치되면서 상기 메인하우징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식물의 표면을 지나면서 정화 또는, 가습되도록 제공되는 식물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송풍부는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하우징의 저면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하측 공간을 따라 후방측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송풍부를 경유하여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상측 공간으로 유동된 후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상측 공간에 위치된 식물의 표면을 지나 상기 메인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도록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The upper surface is open and the inside is formed as an empty box, and is configured to form the entire top of the table or at least a part of the top of the table, and an intake port for intake of indoor air is formed on the bottom, and at least one side is formed. An outlet for discharging purified air into the room is formed, and the main housing is provided with a blower for air flow and a filt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flowing air.
It is mounted horizontally within the main housing and is formed to divide the space within the main housing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 plan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main housing is purified or purified as it passes over the surface of the plant. , a plant panel provided to be humidified,
The outlet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in housing,
The blower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so that air introduced through the bottom of the main housing flows rearward along the lower space within the main housing and flows into the upper space of the main housing via the blower.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ted to discharge into the room through the front of the main housing through the surface of the plant located in the upper space within the main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에는 개방 부위를 덮는 상면커버가 제공되고,
상기 상면커버는 상기 식물패널이 보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According to claim 1,
A top cover is provided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to cover the open portion,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wherein the top cov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plant panel can be s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패널에 식생되는 식물은 매트형으로 제공되는 이끼임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According to claim 1,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ts grown on the plant panel are moss provided in the form of a m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전면 중 상기 식물패널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According to claim 1,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is formed to be located above the plant panel on the front of the main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면 후방에는 내부에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 내에는 공기 유동의 안내와 상기 송풍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하우징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According to claim 1,
A mounting portion providing a mounting space inside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a mounting housing is provided within the mounting portion to guide air flow and provide space for installation of the blowing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하우징에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면 중 식물패널보다 하측에 연결되면서 메인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면 중 식물패널보다 상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송풍부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식물패널 상면의 식물을 지나도록 토출하는 토출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According to claim 5,
In the mounting housing,
A suction part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lower than the plant panel, and sucking in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housing;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discharge part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above the plant panel and discharges 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to pass through the plan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 pane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공기 토출측에는 해당 토출부와의 연결 부위로부터 상기 메인하우징 후면의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면의 폭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파이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면에는 상기 안내파이프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식물패널의 상면을 향해 분산하여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홀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According to claim 6,
The air discharge side of the discharge unit further includes a guide pipe extending from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discharge unit along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and guiding air to flo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to disperse and discharge the air guided through the guide pipe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 pane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하우징의 어느 한 부위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된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 내에는 상기 물을 미세화하여 상기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제공하는 미스트 발생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According to claim 5,
A downwardly protruding storage portion is formed in one part of the mounting housing to store water,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a mist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storage unit to finely refine the water and provide it to the air blown by the blow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공기가 지나는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살균 작용으로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한 UV LED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According to claim 1,
A table-type plan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area where air passes within the main housing is equipped with a UV LED to preven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such as mold through sterilization.
KR1020220043551A 2022-04-07 2022-04-07 table type air purifier using plants KR1026357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551A KR102635725B1 (en) 2022-04-07 2022-04-07 table type air purifier using 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551A KR102635725B1 (en) 2022-04-07 2022-04-07 table type air purifier using p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375A KR20230144375A (en) 2023-10-16
KR102635725B1 true KR102635725B1 (en) 2024-02-13

Family

ID=88506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551A KR102635725B1 (en) 2022-04-07 2022-04-07 table type air purifier using pl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72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342Y1 (en) * 1999-11-22 2000-04-15 윤영중 Table with a ventilating device
KR100917128B1 (en) * 2008-12-05 2009-09-11 준 김 Functional des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6471A (en) * 1998-05-07 1999-12-28 Sun; En-Jang Air-cleaning ecosystem apparatus
KR101421236B1 (en) * 2012-08-13 2014-07-21 주식회사 세파란 Table for air cleaning
KR102350159B1 (en) * 2019-09-30 2022-01-12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Air purifier
KR102114591B1 (en) 2019-11-13 2020-05-22 함승원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oss
KR102123794B1 (en) 2020-03-26 2020-06-17 김소율 Air purifier using moss plants
KR102399438B1 (en) 2020-04-27 2022-05-25 농업회사법인 자연애 주식회사 An Air Purifier equipped with moss-purifying devices
KR102292339B1 (en) 2020-11-16 2021-08-24 (주)미래인더스트리 air purifier with eco-friendly triple filter with moss fil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342Y1 (en) * 1999-11-22 2000-04-15 윤영중 Table with a ventilating device
KR100917128B1 (en) * 2008-12-05 2009-09-11 준 김 Functional de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375A (en)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6549B2 (en) Air purifier and method of using air purifier
US11931471B2 (en) Shoe management device
CN101098716A (en) Systems for and methods of providing air purification in combination with fragrancing
US20070125230A1 (e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560978B1 (en)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KR101611871B1 (en) Air cleaner using plate air purification
US20210220496A1 (en) Shoe management device
JP7442279B2 (en) Air cleaner
KR20190064175A (en) Air purifier
KR102635725B1 (en) table type air purifier using plants
KR20210093104A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KR200154926Y1 (en) Air-cleaner
KR102640806B1 (en) air purifier using plants
KR20210093105A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KR100575316B1 (en) A structure of filter-assembly for Air cleaner
KR100998519B1 (en)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ozonied-water
KR102186418B1 (en) Air purifier
KR102458899B1 (en) Natural Air Purifier with Humidification
KR102594374B1 (en) Air Cleaner For Desktop
KR200144129Y1 (en) Device for air filtering and humidity using aquarium
KR20230172064A (en) Air washer
KR100991805B1 (en) a air purifier
KR102531715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20220060112A (en) Vegetation Apparatus
KR20220146144A (en) Multi-Functional Vegetation Device Of Multi-Faceted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