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381B1 - Method of operating a delivery platform and its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of operating a delivery platform and it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381B1
KR102635381B1 KR1020220042195A KR20220042195A KR102635381B1 KR 102635381 B1 KR102635381 B1 KR 102635381B1 KR 1020220042195 A KR1020220042195 A KR 1020220042195A KR 20220042195 A KR20220042195 A KR 20220042195A KR 102635381 B1 KR102635381 B1 KR 102635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delivery
server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3659A (en
Inventor
권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오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오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오더
Priority to KR102022004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381B1/en
Publication of KR2023004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6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38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8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mprising a plurality of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28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 B25J9/163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learning, adaptive, model based, rule based expert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8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lgebra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달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점, 주류판매점 등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써, 배달 서비스 온라인 플랫폼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달 정보를 자동으로 접수하고, IoT 디바이스를 통하여 수집되는 정보를 분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delivery platform.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restaurants, liquor stores, etc., and also relates to a system for an online delivery service platform.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that automatically receives delivery information and analyzes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IoT devices.

Description

배달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Method of operating a delivery platform and its system}Method of operating a delivery platform and its system {Method of operating a delivery platform and its system}

본 발명은 배달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delivery platform.

또한 본 발명은 음식점, 주류판매점 등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써, 배달 서비스 온라인 플랫폼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restaurants, liquor stores, etc., and also relates to a system for an online delivery service platform.

또한 본 발명은 배달 정보를 자동으로 접수하고, IoT 디바이스를 통하여 수집되는 정보를 분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that automatically receives delivery information and analyzes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IoT devices.

현재 다양한 물품의 배달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며, 배달을 중개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증가로 인해 배달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들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물품의 배달을 업을 하는 배달기사는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배달 물품을 검색하고, 심지어 이동 중에도 배달 물품을 검색하고 있다.Currently, the delivery of various goods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people specializing in delivery is also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applications that mediate delivery. Delivery drivers who deliver goods continuously search for delivered goods to increase profits, and even search for delivered goods while on the move.

관련하여, 선행기술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1190556호에서는 동일한 수취인에게 제공되는 복수의 우편물을 동시에 배달되도록 동시 배달 신청된 물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우편물을 동시에 배달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배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동일 수취인에게 배달될 여러 물품을 한번에 묶어 동시에 배달하고 있습니다.In relation to this, in Korean Patent No. 10-1190556, which is a prior art document, information on items requested for simultaneous delivery is registered in a database so that multiple mails provided to the same recipient are delivered simultaneously, and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database is used to register the mail. are being delivered simultaneously. Likewise, in the prior art literature, in order to increase delivery efficiency, multiple items to be delivered to the same recipient are bundled together and delivered simultaneously.

하지만, 배달을 전문으로 하는 배달기사에 의해 검색된 물품이 동일한 수취인일 확률을 매우 낮다. 실시간으로 배달 주문을 확인하여 배달하는 배달기사에게 배달을 위한 물품의 출발지와 목적지의 위치는 다양하다.However, the probability that the items retrieved by a delivery driver who specializes in delivery are the same recipient is very low. For delivery drivers who check and deliver delivery orders in real time, the locations of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goods for delivery vary.

이와 같이, 배달 주문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는 배달 물품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배달기사는 출발지와 목적지 뿐만 아니라 긴급을 요하는 퀵서비스 또는 음식과 같이 조리시간이 필요한 물품의 상황까지 고려하여 주행 동선을 일일이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배달기사가 복수의 물품을 배달하기 위해서는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늘어나 주행 경로를 설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way, the origin and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delivery order increase as the number of delivered items increases. Moreover, delivery drivers must individually decide on their driving routes,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the point of origin and destination, but also the situation of urgent quick service or items that require cooking time, such as food.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set a driving route because the number of things a delivery driver had to consider in order to deliver multiple items increased.

배달기사는 여전히 하나의 물품을 배달하는 도중에도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배달 주문 내역을 확인하며, 심지어 주행 중에도 배달 주문 내역을 확인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배달기사는 배달 주문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 운전에 집중할 수 없어 배달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주행 중에 배달 주문 내역의 확인은 배달기사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Delivery drivers are still constantly checking delivery order details to increase profits even while delivering a single item, and even while driving. As a result, delivery drivers are unable to concentrate on driving to check delivery order details, increasing the time required for delivery, and checking delivery order details while driving poses a problem that threatens the safety of delivery drivers.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Meanwhile,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007106호 (2013.01.18)Domestic Public Patent No. 10-2013-0007106 (2013.01.18) 국내공개특허 제10-2021-0058625호 (2021.05.24)Domestic Public Patent No. 10-2021-0058625 (2021.05.24)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문자가 음식을 주문함에 있어 다양한 음식점의 음식을 동시에 주문할 수 있는 온라인을 이용한 음식주문 및 배달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and to provide an online food ordering and delivery method and system that allows orderers to order food from various restaurant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점이 음식배달에 소요되는 인건비등을 제거할 수 있는 온라인을 이용한 음식주문 및 배달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다수의 음식주문자의 주문이 있더라도 배달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온라인을 이용한 음식주문 및 배달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food ordering and delivery method and system that allows restaurants to eliminate labor costs for food delivery. Furthermore, it provides an online food ordering and delivery method and system that can prevent delivery delays even if there are orders from multiple food order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may be sol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may be considered by the pers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비스 제공자의 홈페이지와, 상기 홈페이지를 구동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다수의 음식점에 설치되는 POS 기기와, 다수의 음식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버 및 POS 기기에 무선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IoT 단말을 이용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음식주문 및 배달방법에 있어서, 주문자가 상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주문하고자 하는 음식을 선택하여 음식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음식선택단계; 상기 선택한 음식에 대한 대금을 결제하는 대금결제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주문된 음식의 조리시간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받아 음식의 조리완료예상시간을 계산하는 조리시간계산단계; 상기 IoT 단말을 소지한 배달사원 중에서 상기 음식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배달사원을 검색하는 배달사원검색단계; 상기 검색된 배달사원의 IoT 단말에 상기 음식의 조리완료예상시간, 주문자의 위치정보상 및 상기 주문된 음식의 배달 지시를 전송하는 배달지시단계; 상기 홈페이지로부터 선택된 상기 음식주문 정보를 상기 주문된 음식을 조리하는 해당 음식점에 마련된 POS 기기에게 전송하는 조리지시단계; 상기 해당 음식점에서 상기 음식주문 정보로부터 확인된 음식을 조리하는 음식조리단계; 상기 해당 음식점에서 조리가 완성되면 완성된 음식을 상기 배달사원이 상기 음식점으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음식을 주문한 주문자에게 배달하는 배달단계; 상기 배달사원은 상기 휴대용 무선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해당 음식의 배달완료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배달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음식주문 및 배달방법을 제안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mepage of a service provider, a server running the homepage, a POS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and installed in a number of restaurants, and a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about a number of foods. In the online food ordering and delivery method using an Io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and POS de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a food selection step in which the orderer accesses the homepage and selects the food to order to generate food order information. ; A payment step of paying for the selected food; A cooking time calculation step in which the server receives the cooking time of the ordered food from the database and calculates an expected cooking completion time of the food; A delivery person search step of searching for a delivery person located closest to the restaurant among delivery people holding the IoT terminal; A delivery instruction step of transmitting an estimated cooking completion time of the foo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rderer, and a delivery instruction for the ordered food to the searched IoT terminal of the delivery person; A cooking instruction step of transmitting the food order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homepage to a POS device provided in the restaurant that cooks the ordered food; A food cooking step of cooking the food identified from the food order information at the corresponding restaurant; A delivery step in which, when cooking is completed at the restaurant, the delivery person receives the completed food from the restaurant and delivers it to the orderer who ordered the food; A delivery confirmation step in which the delivery person transmits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food to the server through the portable wireless network; We propose a food ordering and delivery method using an online platform that include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면을 포함하며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내부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용기와 상기 상면에 음식이나 음식 용기가 배치되는 서빙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driving part, a main body part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including an upper surface,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is open and has an interior, and a main body containe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part, A serving device is provided in which food or a food container is placed on a main container and the upper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을 운송하는 IoT 로봇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IoT 로봇 및 그 동작 방법은, 고객에게 객체를 운송하는 IoT 로봇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상기 객체를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고, 일정 간격으로 발광 적외선을 발광하고, 상기 적외선이 상기 객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부; 하나 이상의 인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IoT 로봇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부는 상기 객체가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수납된 경우, 상기 객체를 향해 상기 발광 적외선을 발광하고, 상기 반사 적외선을 감지하여 상기 적외선 센서부로부터 상기 객체에 포함된 음식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조리된 음식에 해당하는 상기 객체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부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음식을 운송하는 IoT 로봇을 제안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oT robot that transports food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re provided. The IoT robot and its operating method include: an IoT robot that transports an object to a customer;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A driving unit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robot;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object; an infrared sensor unit provided on an upper inside of the storage unit, emitting infrared rays at regular intervals, and detecting reflected infrared rays returned after the infrared rays are reflected by the object; a memory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IoT robot by executing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It includes, wherein the infrared sensor unit emits the luminous infrared rays toward the object when the object is stored inside the storage unit, and detects the reflected infrared rays to detect food included in the object from the infrared sensor unit. An IoT robot that transports food that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surface, the processor checks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ing to cooked foo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ontrols the moving speed of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distance. proposes.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표면 기울기를 산출하고, 상기 객체의 표면 기울기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부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calculate the surface slope of the object based on the distance and control the moving speed of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surface slope of the objec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의 표면 기울기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객체의 표면 기울기가 상기 기준치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When the surface inclination of the objec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processor may reduce the moving speed of the driving unit, and when the surface inclination of the object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processor may increase the moving speed of the driving unit.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서버로부터 고객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고객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음식 긴급도을 산출하고, 상기 IoT 로봇이 다른 IoT 로봇과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음식 긴급도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부를 통해 IoT 로봇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receives customer order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calculates food urgency based on the received customer order information, and, when the IoT robot is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range from another IoT robot, based on the food urgency. Thus, the moving speed of the IoT robot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driving unit.

상기 수신한 상기 고객 주문 정보는 입장 시간, 매장 내 위치하는 고객들의 인원수, 상기 고객의 호출 빈도 및 상기 객체의 판매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ed customer ord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ntry time, number of customers in the store, call frequency of the customer, and sales price of th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상기 방법은: 고객 ID (identifier)에 대한 정보와 매장 ID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 상기 고객 ID 에 대응되는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와 상기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에 대한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가 입력됨에 대한 응답으로 획득되는 추천 모델의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메뉴 리스트를 획득; 및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송신;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servic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customer ID (identifier) and information about a store ID; Obtaining a recommended menu list based on output information of a recommendation model obtained in response to input of input information including customer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D and store information about th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ommended menu list; It may include:

상기 고객 정보와 상기 매장 정보가 상기 추천 모델에 입력됨에 따라, 서로 다른 고객 ID 가 할당된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객들 중 상기 고객 ID에 대응되는 고객의 추정 선호도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이 획득될 수 있다.As the customer information and the store information are input to the recommendation model,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related to the estimated preference of a customer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D among a plurality of preset customers to which different customer IDs are assigned may be obtained. You can.

서로 다른 매장 ID 가 할당된 미리 설정된 복수의 매장들 중 상기 매장 ID에 대응되는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이 미리 할당될 수 있다.Among a plurality of preset stores to which different store IDs are assigned,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may be pre-assigned to each of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a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include one or more menu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the store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and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상기 고객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고객 ID에 따라 검색함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The customer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ased on searching a database according to the customer ID.

상기 매장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매장 ID에 따라 검색함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The stor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ased on searching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store ID.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의 생년월일, 성별, 이메일, 휴대폰, 주소를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 상기 고객의 서비스 요청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고객의 선호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ustomer information may include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the customer's date of birth, gender, email, mobile phone, and address, and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s preferred menu obtained based on the customer's service request history.

상기 매장 정보는, 상기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상기 매장의 주소, 상기 매장에 대한 후기, 상기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의 주문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매장에서의 인기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e inform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the store, a popular menu at the store obtained based on the address of the store, a review of the store, and the order history of each of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the store.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i) 상기 복수의 고객들 각각의 생년월일, 성별, 이메일, 휴대폰, 주소를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가 상기 복수의 고객들 각각에 할당된 서로 다른 고객 ID 들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the database: (i)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date of birth, gender, email, mobile phone, and addre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ustomers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different customer ID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ustomers.

(ii)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의 주문 이력에 대한 정보가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 할당된 서로 다른 매장 ID 들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ii)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and information on the order histor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are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It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by ID.

상기 추천 모델은, 상기 추천 모델 획득을 위한 AI (artificial intelligence) 엔진에 기계 학습 (machine learning) 이 적용됨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The recommendation model may be set in advance based on machine learning being applied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engine for obtaining the recommendation model.

상기 기계 학습은: - (a) 상기 추천 모델 획득을 위한 훈련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AI 엔진을 학습; - (b) 학습된 AI 엔진의 검증을 위한 테스트용 데이터가 상기 AI 엔진으로 입력됨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되는 가공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획득; - (c)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I 엔진을 업데이트; 및 - (d) 상기 (a) 내지 (c) 가 반복되되, 상기 (a) 내지 (c) 가 반복될 때 마다 초기값 0 인 카운트 값이 1씩 증가되고, 상기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카운트 임계값과 일치됨에 기초하여 종료; 됨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machine learning: - (a) learning the AI engine based on training data to obtain the recommendation model; - (b) Obtaining feedback information on processed data output in response to test data for verification of the learned AI engine being input to the AI engine; - (c) updating the AI engine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 (d) the above (a) to (c) are repeated, wherein the count value, which has an initial value of 0, is increased by 1 each time (a) to (c) are repeated, and the count value is set to a preset count threshold. Terminate based on matching value; It can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상기 훈련용 데이터와 상기 테스트용 데이터는, 상기 추천 모델 획득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The training data and the test data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training data for obtaining the recommendation model.

상기 학습용 데이터는, 고객 관련 학습용 데이터와 매장 관련 학습용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earning data may include customer-related learning data and store-related learning data.

상기 고객 관련 학습용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고객들 각각의 생년월일, 성별, 이메일, 휴대폰, 주소를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고객들 각각의 서비스 요청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복수의 고객들 각각의 선호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ustomer-related learning data includes: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date of birth, gender, email, mobile phone, and addre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ustomers, and preferenc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ustomers obtained based on the service request histor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ustomers. May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menu.

상기 매장 관련 학습용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의 주소,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 대한 후기 및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의 주문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서의 인기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e-related learning data includes: a plurality of menus that can be provid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address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review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and a plurality of menus that can be provid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The menus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popular menus at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which is obtained based on each order history.

상기 선호 메뉴에 대한 정보와 상기 인기 메뉴에 대한 정보 각각은, 미리 정의된 일정 시간 길이를 갖는 주문 시간대 및 날씨에 따라 분류된 정보일 수 있다. Each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ferred menu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opular menu may be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eather and an order time zone having a predefined length of time.

상기 매장은,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IoT 로봇들 및 복수의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운용될 수 있다. The store may be ope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IoT robots and a plurality of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s controlled by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복수의 IoT 로봇들 및 상기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ID 가 할당될 수 있다. Different IDs may be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oT robots and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상기 서비스 요청은, 상기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The service request may be received from one IoT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하나의 IoT 디바이스에 포함된 출력부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하나의 IoT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be transmitted to the one IoT device to be output from an output unit included in the one IoT device.

상기 방법은: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중 하나 이상의 메뉴에 대한 요청 정보가 상기 하나의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됨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복수의 IoT 로봇들 중 하나 이상의 IoT 로봇을 제어;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Based on receiving request information for one or more menus among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the store in response to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ommended menu list, reque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ne or more menus is received from the one IoT device. Controlling one or more IoT robots among the plurality of IoT robots to provide a service; It may include more.

상기 복수의 IoT 로봇들은, 하나 이상의 제1 IoT 로봇과 하나 이상의 제2 IoT 로봇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IoT robots may include one or more first IoT robots and one or more second IoT robots.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IoT 로봇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에 대응되는 물품을 제조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first IoT robots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manufacturing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menus.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에 대응되는 물품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물품을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may be controlled to deliver to the customer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menus or an item related to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one or more menus.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중 상기 하나 이상은, 상기 하나의 IoT 디바이스에 할당된 ID,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각각에 할당된 ID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각각과 상기 하나의 IoT 디바이스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the ID assigned to the one IoT device, the ID assigned to each of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and the one IoT device Based on this,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may be selected.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은, 메뉴의 성질 (property) 과 상기 메뉴의 성질의 정도 (level)에 의하여 정의되는 속성값 테이블 (table)에 따라 상기 복수의 매장들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메뉴들 각각에 대하여 값이 할당됨에 기초하여 미리 할당될 수 있다.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include a plurality of menu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plurality of stores according to a property value table defined by the property of the menu and the level of the property of the menu. Values may be assigned in advance based on the value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nus.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은, 상기 속성값 테이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매장들에서의 상기 고객의 주문 이력과 상기 추천 모델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추정 선호 메뉴 각각에 대하여 값이 할당됨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The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are based on a value being assigned to each of one or more estimated preference menus obtained based on the customer's order history at the plurality of stores and the recommendation model according to the attribute value table. can be obtained.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 중 제1 값과 일치되는 값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에 포함됨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는 상기 제1 값과 대응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Based on the fact that a value matching a first value among the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is included in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include a menu corresponding to the first value.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 중 제2 값과 일치되는 값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에 포함되지 않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값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각각에 대한 유사도 점수가 획득되고,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중 최대 또는 최소 유사도 점수에 대응되는 값에 대응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Based on the fact that a value matching a second value among the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is not included in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a similarity score is obtained for each of the second value and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And,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include a menu corresponding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or minimum similarity score among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상기 제1 값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각각에 대한 유사도 점수가 획득될 수 있다.A similarity score may be obtained for each of the first value and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중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 또는 이하인 유사도 점수에 대응되는 값에 대응되는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further include a menu corresponding to a value corresponding to a similarity score that is above or below a preset threshold among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상기 방법은: 상기 매장의 종류 및 상기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의 종류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광고 메시지를 송신;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includes: transmitting an advertising message obta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store and each type of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the store; It may include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database; And it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connected to the database.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고객 ID (identifier)에 대한 정보와 매장 ID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 상기 고객 ID 에 대응되는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와 상기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에 대한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가 입력됨에 대한 응답으로 획득되는 추천 모델의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메뉴 리스트를 획득; 및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송신;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one or more processors: receiv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customer ID (identifier) and information about a store ID; Obtaining a recommended menu list based on output information of a recommendation model obtained in response to input of input information including customer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D and store information about th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ommended menu list; It can be set to do so.

상기 고객 정보와 상기 매장 정보가 상기 추천 모델에 입력됨에 따라, 서로 다른 고객 ID 가 할당된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객들 중 상기 고객 ID에 대응되는 고객의 추정 선호도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이 획득될 수 있다. As the customer information and the store information are input to the recommendation model,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related to the estimated preference of a customer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D among a plurality of preset customers to which different customer IDs are assigned may be obtained. You can.

서로 다른 매장 ID 가 할당된 미리 설정된 복수의 매장들 중 상기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이 미리 할당될 수 있다.Among a plurality of preset stores to which different store IDs are assigned,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may be pre-assigned to each of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a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include one or more menu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the store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and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상기 고객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고객 ID에 따라 검색함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The customer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ased on searching a database according to the customer ID.

상기 매장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매장 ID에 따라 검색함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The stor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ased on searching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store ID.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의 생년월일, 성별, 이메일, 휴대폰, 주소를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 상기 고객의 서비스 요청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고객의 선호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ustomer information may include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the customer's date of birth, gender, email, mobile phone, and address, and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s preferred menu obtained based on the customer's service request history.

상기 매장 정보는, 상기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상기 매장의 주소, 상기 매장에 대한 후기, 상기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의 주문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매장에서의 인기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e inform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the store, a popular menu at the store obtained based on the address of the store, a review of the store, and the order history of each of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the store.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i) 상기 복수의 고객들 각각의 생년월일, 성별, 이메일, 휴대폰, 주소를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가 상기 복수의 고객들 각각에 할당된 서로 다른 고객 ID 들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In the database: (i)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date of birth, gender, email, mobile phone, and addre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ustomers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different customer ID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ustomers.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ii)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의 주문 이력에 대한 정보가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 할당된 서로 다른 매장 ID 들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In the database: (ii)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information on the order histor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is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It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by different store IDs.

상기 추천 모델은, 상기 추천 모델 획득을 위한 AI (artificial intelligence) 엔진에 기계 학습 (machine learning) 이 적용됨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The recommendation model may be set in advance based on machine learning being applied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engine for obtaining the recommendation model.

상기 기계 학습은: - (a) 상기 추천 모델 획득을 위한 훈련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AI 엔진을 학습; - (b) 학습된 AI 엔진의 검증을 위한 테스트용 데이터가 상기 AI 엔진으로 입력됨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되는 가공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획득; - (c)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I 엔진을 업데이트; 및 - (d) 상기 (a) 내지 (c) 가 반복되되, 상기 (a) 내지 (c) 가 반복될 때 마다 초기값 0 인 카운트 값이 1씩 증가되고, 상기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카운트 임계값과 일치됨에 기초하여 종료; 됨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machine learning: - (a) learning the AI engine based on training data to obtain the recommendation model; - (b) Obtaining feedback information on processed data output in response to test data for verification of the learned AI engine being input to the AI engine; - (c) updating the AI engine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 (d) the above (a) to (c) are repeated, wherein the count value, which has an initial value of 0, is increased by 1 each time (a) to (c) are repeated, and the count value is set to a preset count threshold. Terminate based on matching value; It can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상기 훈련용 데이터와 상기 테스트용 데이터는, 상기 추천 모델 획득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The training data and the test data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training data for obtaining the recommendation model.

상기 학습용 데이터는, 고객 관련 학습용 데이터와 매장 관련 학습용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rning data may include customer-related learning data and store-related learning data.

상기 고객 관련 학습용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고객들 각각의 생년월일, 성별, 이메일, 휴대폰, 주소를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고객들 각각의 서비스 요청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복수의 고객들 각각의 선호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ustomer-related learning data includes: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date of birth, gender, email, mobile phone, and addre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ustomers, and preferenc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ustomers obtained based on the service request histor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ustomers. May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menu.

상기 매장 관련 학습용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의 주소,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 대한 후기 및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의 주문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서의 인기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e-related learning data includes: a plurality of menus that can be provid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address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review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and a plurality of menus that can be provid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The menus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popular menus at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which is obtained based on each order history.

상기 선호 메뉴에 대한 정보와 상기 인기 메뉴에 대한 정보 각각은, 미리 정의된 일정 시간 길이를 갖는 주문 시간대 및 날씨에 따라 분류된 정보일 수 있다. Each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ferred menu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opular menu may be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eather and an order time zone having a predefined length of time.

상기 매장은,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IoT 로봇들 및 복수의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운용될 수 있다.The store may be ope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IoT robots and a plurality of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s controlled by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복수의 IoT 로봇들 및 상기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ID 가 할당될 수 있다.Different IDs may be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oT robots and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상기 서비스 요청은, 상기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The service request may be received from one IoT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하나의 IoT 디바이스에 포함된 출력부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하나의 IoT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be transmitted to the one IoT device to be output from an output unit included in the one IoT device.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중 하나 이상의 메뉴에 대한 요청 정보가 상기 하나의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됨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복수의 IoT 로봇들 중 하나 이상의 IoT 로봇을 제어;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one or more processors: Based on request information for one or more menus among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the store being received from the one IoT device in response to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ommended menu list, the one or more menus Controlling one or more IoT robots among the plurality of IoT robots to provide related services; It can be set to do so.

상기 복수의 IoT 로봇들은, 하나 이상의 제1 IoT 로봇과 하나 이상의 제2 IoT 로봇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IoT robots may include one or more first IoT robots and one or more second IoT robots.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IoT 로봇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에 대응되는 물품을 제조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first IoT robots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manufacturing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menus.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에 대응되는 물품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물품을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may be controlled to deliver to the customer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menus or an item related to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one or more menus.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중 상기 하나 이상은, 상기 하나의 IoT 디바이스에 할당된 ID,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각각에 할당된 ID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각각과 상기 하나의 IoT 디바이스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the ID assigned to the one IoT device, the ID assigned to each of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and the one IoT device Based on this,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may be selected.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중 상기 하나 이상은, 상기 하나의 IoT 디바이스에 할당된 ID,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각각에 할당된 ID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각각과 상기 하나의 IoT 디바이스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로봇 중에서 선택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은, 메뉴의 성질 (property) 과 상기 메뉴의 성질의 정도 (level)에 의하여 정의되는 속성값 테이블 (table)에 따라 상기 복수의 매장들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메뉴들 각각에 대하여 값이 할당됨에 기초하여 미리 할당될 수 있다. The 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the ID assigned to the one IoT device, the ID assigned to each of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and the one Io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elected from among the one or more second robots based on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are defined by the property of the menu and the level of the property of the menu. Values may be assigned in advance to each of a plurality of menus including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the plurality of stores according to an attribute value table.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은, 상기 속성값 테이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매장들에서의 상기 고객의 주문 이력과 상기 추천 모델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추정 선호 메뉴 각각에 대하여 값이 할당됨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The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are based on a value being assigned to each of one or more estimated preference menus obtained based on the customer's order history at the plurality of stores and the recommendation model according to the attribute value table. can be obtained.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 중 제1 값과 일치되는 값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에 포함됨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는 상기 제1 값과 대응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Based on the fact that a value matching a first value among the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is included in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include a menu corresponding to the first value.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 중 제2 값과 일치되는 값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에 포함되지 않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값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각각에 대한 유사도 점수가 획득되고,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중 최대 또는 최소 유사도 점수에 대응되는 값에 대응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Based on the fact that a value matching a second value among the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is not included in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a similarity score is obtained for each of the second value and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And,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include a menu corresponding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or minimum similarity score among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상기 제1 값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각각에 대한 유사도 점수가 획득될 수 있다.A similarity score may be obtained for each of the first value and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중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 또는 이하인 유사도 점수에 대응되는 값에 대응되는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further include a menu corresponding to a value corresponding to a similarity score that is above or below a preset threshold among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매장의 종류 및 상기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의 종류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광고 메시지를 송신;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one or more processors: transmit an advertising message obta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store and each type of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the store; It can be set to do so.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여러 가지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 part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embodiments reflect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derived and understood based on the explan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주문자가 음식을 주문함에 있어 다양한 음식점의 음식을 동시에 주문할 수 있는 온라인을 이용한 음식주문 및 배달방법과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nline food ordering and delivery method and system are provided that allow an orderer to order food from various restaurants at the same time when ordering food.

또한, 음식점이 음식배달에 소요되는 인건비등을 제거할 수 있는 온라인을 이용한 음식주문 및 배달방법과 시스템이 제공된다. 더욱이, 다수의 음식주문자의 주문이 있더라도 배달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온라인을 이용한 음식주문 및 배달방법과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In addition, an online food ordering and delivery method and system is provided that allows restaurants to eliminate labor costs for food delivery. Furthermore, an online food ordering and delivery method and system are provided that can prevent delivery delays even if there are orders from multiple food order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can be derived and understo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의 동작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서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또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로봇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에 수납된 객체를 적외선 센서부를 통해 표면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과 서버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을 통하여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모델을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모델을 획득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aid understanding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explain technical feature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ng system in which a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for providing an order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nd/or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surface tilt of an object stored in a storage unit through an infrared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operating an IoT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operating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erv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ystem configuration for operating a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provided through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obtaining a recommend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for obtaining a recommend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 that is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without obscuring it by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dditionally,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its actual size. In each drawing,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provid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t will be understood that each block of the processing flow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the flow diagram diagrams can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mount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the instructions perform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described in the flow chart block(s). It creates the means to perform fun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manufactured items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generating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nstructions that perform processing equipment may als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 diagram block(s).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dditio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xecution examples it is possible for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for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to be performed substantially at the same time, or it is possible for the blocks to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term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refers to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nd '~unit' refers to what role perform them.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Additionally,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regenerate one or more CPUs with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main focus will be on the example of a specific system, but the main point claimed in this specification is that the scop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pplicable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and services with similar technical background. It can be appli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and this can be done at the discretion of a person with skilled technical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1. 서빙 시스템 구현1. Serving system implemen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의 동작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서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ng system in which a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for providing an order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서빙 시스템(10)은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서빙 시스템(10)은 전자 장치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시스템(10)은 서버(20), 네트워크(30), IoT 단말(40), IoT 로봇(50) 및/또는 POS 기기(60)에 구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버(20), 네트워크(30), IoT 단말(40), IoT 로봇(50) 및/또는 POS 기기(60)는 각각의 장치에 구현된 서빙 시스템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oT-based serv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devices. In the descrip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based serv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serving system 10 may be implemented in a server 20, a network 30, an IoT terminal 40, an IoT robot 50, and/or a POS device 60. In other words, the server 20, network 30, IoT terminal 40, IoT robot 50, and/or POS device 60 implements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erving system implemented in each device.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xample can be performed.

한편, 서빙 시스템(10)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더 다양한 장치들 및/또는 서버들에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serving system 10 is not limited to what is shown in FIG. 1, and may be implemented in more diverse devices and/or servers.

서버(20)는, IoT 단말(40)들과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며, 대단위의 저장 용량을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는 복수 개의 IoT 단말(40)들과 연동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서버(20)를 제어/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디바이스가 마련될 수도 있다.The server 20 may be a device that performs wireless and/or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IoT terminals 40 and includes a database with a large storage capacity. For example, the server 20 may be linked with a plurality of IoT terminals 40.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device may be provided to control/manage the server 20.

또한 서버(20)는, IoT 단말(40) 및/또는 IoT 로봇(50)을 통하여 획득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시스템(10)이 제공되는 식당(또는 매점, 음식점)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도를 추정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거나, 상기 IoT 로봇(50)을 통하여 제공되는 음식(또는 음식류)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도를 추정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20 measures customers' satisfaction with the restaurant (or canteen or restaurant) where the serving system 10 is provided based on signals obtained through the IoT terminal 40 and/or the IoT robot 50. An estimating process can be provided, or a process for estimating customers' satisfaction with food (or food items) provided through the IoT robot 50 can be implemented.

IoT 단말(40)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주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매장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40)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고객이 보유한 스마트 디바이스 등도 IoT 단말(40)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IoT 단말(40)에 동작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IoT terminal 40 may be installed within a store to provide ordering services according to customer requests. However, the IoT terminal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for example, a smart device owned by a customer may also be the IoT terminal 40. In this case, the IoT terminal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per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that can operate on the IoT terminal 40.

IoT 로봇(50)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이 적용된 식당(또는 종업원이 상주하지 않는 매장 또는 종업원에 의해 서빙이 이루어지지 않는 매장(음료, 식사류, 기타 상품을 제공하는 카페, 상품 판매점, 또는 레스토랑이나 술집과 같은 식당을 포함)을 포함)에서 음식, 음료 및/또는 기타물품, 그리고 이를 담는 그릇(또는 용기)를 고객에게 서빙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한다. 또한 IoT 로봇(50)은 음식, 음료 및/또는 기타물품, 그리고 이를 담는 그릇(또는 용기)를 포함하는 객체를 서빙하는 과정에서 서빙되는 객체를 인식하여 음식을 흘리지 않도록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로봇(50)은 무게 센서(미도시)를 통해 객체가 수납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IoT 로봇(50)은 음식을 주문한 고객이 위치하는 테이블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음식의 기울기 및/또는 분산도를 식별할 수 있다. IoT 로봇(50)은 음식의 기울기 및/또는 분산도에 따라서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IoT 로봇(50) 및 그 동작 방법은 그릇에 담긴 음식을 흘리지 않고서 빠르게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The IoT robot 50 is a restaurant to which the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r a store where employees are not permanently stationed, or a store where service is not performed by employees (a cafe that provides drinks, meals, and other products, a product store, or Implements the process of serving food, drinks and/or other items, and dishes (or containers) containing them to customers (including establishments such as restaurants and bars). In addition, the IoT robot 50 recognizes the served object in the process of serving objects including food, drinks and/or other items, and dishes (or containers) containing them, and performs an operation to control the movement speed to prevent food from spilling. It can be done. For example, the IoT robot 50 may recognize that an object has been stored through a weight sensor (not shown). Additionally, the IoT robot 50 can identify the tilt and/or dispersion of the food while moving to the position of the table where the customer who ordered the food is located. The IoT robot 50 can control its movement spe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d/or dispersion of the food. Through this, the IoT robot 50 and its operating method can quickly deliver food in a bowl to a customer without spilling it.

IoT 로봇(50)은 구동부(320)를 통한 이동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로봇(50)은 메인 바퀴, 보조 바퀴 및 바퀴의 회전축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즉, 동력을 전달하거나 전달하는 부품을 끼워두는 기계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IoT 로봇(50)의 프로세서(360)는 구동부(320)을 제어하여 현재 지점(예; 대기 상태의 이동 로봇이 대기하거나 전력을 충전하는 위치)으로부터 매장 내의 특정 지점(예; 고객이 위치하는 테이블에 상응하는 위치)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IoT 로봇(50)은 현재 지점으로부터 특정 지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이동 경로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The IoT robot 50 may be provided with a means of moving through the driving unit 320. For example, the IoT robot 50 may be equipped with a main wheel, an auxiliary wheel, and at least one shaft that becomes the rotation axis of the wheel (i.e., a mechanical element that transmits power or inserts a part that transmits power). The processor 360 of the IoT robot 50 controls the driving unit 320 to move from the current point (e.g., the location where the mobile robot in standby state is waiting or charging power) to a specific point in the store (e.g., the table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can be moved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Additionally, the IoT robot 50 can set a movement path from the current point to a specific point and move according to the set movement path.

POS 기기(60)는 기 설치된 POS(Point of sale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OS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POS device 60 provides a POS payment service using a pre-installed Point of Sales (POS) program.

고객은 본인의 고객 단말(미도시) 및/또는 매장에 구비된 IoT 단말(40)을 통하여 주문을 접수하고, 서버(20)는 이러한 주문을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230)에 기록하거나, 배달기사 단말(70)에게 전달하여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배달이 진행되도록 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oT 단말(40) 및/또는 배달기사 단말(70)은 스마트폰 등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단말기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customer places an order through his or her customer terminal (not shown) and/or the IoT terminal 40 provided in the store, and the server 20 receives these orders and records them in the database 230 or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You can control delivery corresponding to the order by sending it to (70). Here, the IoT terminal 40 and/or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70 can be used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on a smartphone, etc., or a separate terminal can be manufactured and used.

그리고, POS 기기(60)는 고객 단말(미도시) 및/또는 매장에 구비된 IoT 단말(40)을 통하여 접수된 주문이 서버(20)에 전달되면, 상기 서버(20)를 통하여 상기 주문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POS 기기(60)는 고객 단말(미도시) 및/또는 매장에 구비된 IoT 단말(40)을 통하여 접수된 주문을 직접 전달 받을 수도 있다.And, when the order received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not shown) and/or the IoT terminal 40 provided in the store is delivered to the server 20, the POS device 60 processes the order through the server 20. It can be delivered. As another example, the POS device 60 may directly receive orders received through a customer terminal (not shown) and/or an IoT terminal 40 provided in the store.

또한 고객 단말(미도시) 및/또는 매장에 구비된 IoT 단말(40)을 통하여 접수된 주문은 외부서버(미도시)를 통하여 먼저 접수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접수된 주문(예; 제1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20)를 통하여 상기 POS 기기(60)에 전달하거나, 상기 POS 기기(60)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서버(미도시) 및/또는 서버(20)는 가상 프린터 포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주문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주문 정보가 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부서버(미도시)의 예로는, 배달의민족TM, 배달통TM, 쿠팡이츠TM 등과 같은 배달대행업체에서 운용하거나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주문 정보는 음식, 음료, 매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문 정보는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정보로써,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포함되는 음식, 음료, 매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음식, 음료, 매장에 대한 정보에 매칭되는 배달업체 또는 배달기사 단말(70)을 나타내는 정보(예; 식별자(ID))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rders received through a customer terminal (not shown) and/or an IoT terminal 40 provided in a store may be received first through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and the external server may receive the received order (e.g.; Second order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delivered to the POS device 60 through the server 20, or directly delivered to the POS device 60. To this end, the external server (not shown) and/or the server 20 may create a virtual printer port and control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or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to be immediately transmitted. Additionally, examples of external servers (not shown) may include servers operated or managed by delivery agencies such as Baedal Minjok TM , Baedaltong TM , and Coupang Eats TM . Additionally, the first ord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food, beverages, and stores.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food, beverage, and store included i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also information about the food, beverage, and store. It may include information (e.g., identifier (ID)) indicating the delivery company or delivery driver terminal 70 that matches.

한편 고객 단말(미도시) 및/또는 매장에 구비된 IoT 단말(40)을 통하여 접수된 주문, 즉 제1 주문 정보가 외부서버(미도시) ⇒ 서버(20) ⇒ POS 기기(60) 또는 외부서버(미도시) ⇒ POS 기기(60) ⇒ 서버(20) 과정을 통하여 전달되던 것을, 중간에 서버(20) 또는 POS 기기(60)를 생략함으로써, 상기 제1 주문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주문 정보가 보다 빠르게 자동으로 전달됨으로써, 주문과 배달 사이의 시간 차이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POS 기기(60)가 생략되는 경우, 매장 내 직원이 제1 주문 정보가 접수되었음을 확인한 후 해당 정보를 다른 곳(예; 서버(20))에 입력하기 위한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기에 더 효율적이 될 것이라 볼 수 있다. 한편, 매장 내 직원이 제1 주문 정보(및/또는 제2 주문 정보)를 POS 기기(60)에 입력함으로써, 해당 정보들이 서버(20)에 전달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서버(20)에 전달된 정보는 매장 내 주방에 배치되는 및/또는 주방에 위치하는 단말(또는 IoT 디바이스, 인공지능 냉장고 등)에 전달되어, 해당 주문에 상응하는 요리를 시작(및/또는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order received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not shown) and/or the IoT terminal 40 provided in the store, that is,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s sent to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 server 20 ⇒ POS device 60 or external By omitting the server 20 or POS device 60 in the middle of the process that was delivered through the server (not shown) ⇒ POS device 60 ⇒ server 20,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or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As order information is delivered more quickly and automatically, the effect of reducing the time gap between order and delivery can be expected. In addition, if the POS device 60 is omitted, it is more efficient because the store staff does not have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entering the information elsewhere (e.g., the server 20) after confirming that the first order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It can be seen that it will happen. Meanwhile, by having an in-store employee input first order information (and/or second order information) into the POS device 60,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0. The delivered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a terminal (or IoT device, artificial intelligence refrigerator, etc.) placed in and/or located in the kitchen in the store to start (and/or prepare) the dish corresponding to the order. .

서빙 시스템(10)은 동작을 위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빙 시스템에 포함된 모듈들은 서빙 시스템이 구현되는(또는, 물리적 장치에 포함되는) 물리적 장치(예: 서버(20), IoT 단말(40) 및/또는 IoT 로봇(50))가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컴퓨터 코드 내지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 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빙 시스템(10)이 구현되는 물리적 장치는 복수 개의 모듈들을 컴퓨터 코드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 개의 모듈들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 개의 모듈들은 물리적 장치가 복수 개의 모듈들에 대응하는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erving system 10 may include various modules for operation. Modules included in the serving system perform specified operations by physical devices (e.g., server 20, IoT terminal 40, and/or IoT robot 50) on which the serving system is implemented (or included in the physical device). It may be computer code implemented to do this or one or more instructions. In other words, the physical device on which the serving system 10 is implemented stores a plurality of modules in memory in the form of computer code, and when the plurality of modules stored in the memory are executed, the plurality of modules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modules in the physical device. You can perform specified actions.

또한 서버(20)는 고객의 개인 정보 및 제1 주문 정보를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제1 주문 정보(및/또는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2 주문 정보)의 자동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20 receives the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and first orde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or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delivered. You can decide.

예를 들면 서버(20)는 자동 전달 여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생략하거나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계가 생략되는 경우, 제2 주문 정보가 배달기사 단말에게 전달된 후, 상기 제2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3 주문 정보가 POS 기기(30)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3 주문 정보는 제2 주문 정보 및 배달기사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주문 정보는 배달 예상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20 may omit or proceed with the abov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o automatically deliver. Meanwhile, if the first step is omitted, after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third order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may be delivered to the POS device 30. At this time, the third order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and the third order information may include an estimated delivery time.

또한 서버(20)는 POS 기기(및/또는 고객 단말)를 통하여 제1 주문 정보(및/또는 제2 주문 정보)를 배달기사 단말에게 전달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을 대기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제1 단계). 예를 들면, 서버는 제1 주문 정보(및/또는 제2 주문 정보)를 배달기사 단말에게 전달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이 POS 기기(및/또는 고객 단말)에 의해 입력되거나 상기 POS 기기(및/또는 고객 단말)로부터 전달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rver 20 may wait for and/or receive an input as to whether to deliver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or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to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through the POS device (and/or customer terminal). (Step 1). For example, the server inputs whether to deliver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or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to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or is input by the POS device (and/or customer terminal) or the POS device (and/ Alternatively, it may remain in a waiting state until delivered from a customer terminal).

또한 서버(20)는 고객의 개인 정보 및 제1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배달기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제2 단계). 예를 들면, 서버는 고객의 개인 정보, 제1 주문 정보, 및 식당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고객의 개인 정보, 제1 주문 정보, 식당 정보 및 배달기사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배달기사 단말에 대한 정보는 배달기사의 개인 정보, 배달기사의 배달 업무에 대한 정보, 배달 대행 업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달기사의 배달 업무에 대한 정보는 소정의 기간 동안의 누적 배달량, 당일 배달량, 실시간 접수된 배달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rver 20 may generate second order information based on the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and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second step). For example, the server may generate second order information based on the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first order information, and restaura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rver may generate second order information based on the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first order information, restauran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Information about the delivery driver's terminal may include the delivery driver's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delivery driver's delivery work, and information about the delivery agency. At this time, information about the delivery driver's delivery work may include the cumulative delivery volume over a predetermined period, the same-day delivery volume, and the delivery volume received in real time.

상기 소정의 기간은 년, 월, 주 등의 기간을 나타내거나, 년, 월, 주 등의 단위동안 피크 타임(peak time) 내에서 진행된 배달량을 나타낼 수도 있다. The predetermined period may represent a period such as a year, a month, or a week, or may represent the amount of delivery progressed within a peak time during a unit such as a year, a month, or a week.

피크 타임은 "12시 내지 1시", "18시 내지 19시"와 같은 특정 시간대로 기 정의되거나,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접수된 제1 주문 정보의 개수에 기반하여 정의되거나, 배달기사 단말에게 전달된 제2 주문 정보의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peak time is predefined as a specific time zone such as “12:00 to 1:00” or “18:00 to 19:00”, is defined based on the number of first ord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onlin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s defined by the delivery driver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second order information delivered to the terminal.

또한 서버(20)(및/또는 프로세서(240))는 아래의 수학식 1에 기반하여 상기 종합 점수(CompS, comprehensive score)를 산출하고, 상기 종합 점수에 기반하여 S920 단계에서의 결정을 진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rver 20 (and/or processor 240) may calculate the comprehensive score (CompS) based on Equation 1 below, and proceed with the decision in step S920 based on the comprehensive score. there is.

예를 들면, 서버(20)(및/또는 프로세서(240))는 수학식 1에서의 CompS가 소정의 임계치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단계를 생략하고 상기 제2 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CompS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단계를 진행토록 제어될 수 있다(즉, 고객 단말(또는 POS 기기)로부터 주문 정보의 전달을 지시하는 요청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20 (and/or processor 240) may be controlled to skip the first step and proceed with the second step when CompS in Equation 1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 If CompS i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process can be controlled to proceed with the first step (that is, it can wait to receive a request instructing delivery of orde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or POS device)).

[수학식 1][Equation 1]

CleanS는 청결도 점수(Cleanliness Score)에 상응하고, StabS는 안정성 점수(Stability Score)에 상응하고, DisDiff는 해당 POS 기기(또는 해당 식당)의 제1 위치 정보와 고객 단말의 제2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 차이(Distance Difference)에 상응할 수 있다.CleanS corresponds to the Cleanliness Score, StabS corresponds to the Stability Score, and DisDiff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S device (or restaurant)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It may correspond to Distance Difference.

w1는 청결도 점수에 상응하는 제1 가중치이고, w2, w3은 상기 안정성 점수에 상응하는 제2, 제3 가중치일 수 있다.w1 may be a first weight corresponding to the cleanliness score, and w2 and w3 may be second and third weights corresponding to the stability score.

청결도 점수는 해당 식당(즉, POS 기기에 상응하는 식당)의 청결도를 나타내는 점수를 의미할 수 있으며, 0 내지 10의 상수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청결도 점수는 외부기관(예; 식품의약품안전처, 기타 정부기관, 지자체 등)에 점검받은 횟수, 외부기관으로부터 부여받은 등급(예; 위생등급제), 판매되는 음식 종류에 따라 할당되는 값에 기반하여 0 내지 10의 상수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20)는 해당 식당이 외부기관에 점검받은 횟수, 해당 식당이 외부기관으로부터 부여받은 등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외부기관에 상응하는 외부서버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The cleanliness score may refer to a score indicating the cleanliness of the restaurant (i.e., the restaurant corresponding to the POS device) and may be defined as a constant value from 0 to 10. As an example, the cleanliness score is a value assigned based on the number of inspections by external organizations (e.g.,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ther government agencies, local governments, etc.), the rating given by external organizations (e.g., hygiene rating system), and the type of food sold. It can be defined as a constant value from 0 to 10 based on . To this end, the server 20 may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e number of times the restaurant has been inspected by an external agency and the rating the restaurant has received from the external agency from an external server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agency.

일 예로, 청결도 점수는 아래의 수학식 2에 기반하여 정의(및/또는 산출)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leanliness score can be defined (and/or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Count는 해당 식당(즉, POS 기기에 상응하는 식당)이 외부기관(예; 식품의약품안전처, 기타 정부기관, 지자체 등)에 점검 받은 횟수에 상응하고, Level은 해당 식당이 외부기관으로부터 부여 받은 등급에 상응하고, Category는 해당 식당이 주메뉴로 등록한 음식의 (음식) 카테고리에 상응할 수 있다.Count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times the restaurant (i.e., a restaurant corresponding to a POS device) has been inspected by an external organization (e.g.,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ther government agencies, local governments, etc.), and the Level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times the restaurant has been inspected by an external organization. It corresponds to the grade, and the Category may correspond to the (food) category of the food registered as the main menu by the restaurant.

일 예로, Count는 해당 식당이 소정의 기간(예; 매주, 매월, 매년) 동안 외부기관에 점검 받은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As an example, Count may represent the number of times the restaurant has been inspected by an external agency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e.g., weekly, monthly, yearly).

일 예로, Level은 해당 식당이 외부기관으로부터 부여 받은 등급이 제일 높은 등급이면 제1 값으로 설정되고, 그 다음으로 높은 등급이면 제2 값으로 설정되고, 다른 등급일 경우 제3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값은 제2 값보다 높은 값이며, 제2 값은 제3 값보다 높은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값은 '2'로 설정되고, 제2 값은 '1'로 설정되고, 제3 값은 '0.5'로 설정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evel may be set to the first value if the rating given to the restaurant by an external organization is the highest, set to the second value if it is the next highest grade, and set to the third value if it is a different grade. The first value may be higher than the second value, and the second value may be higher than the third value. For example, the first value may be set to '2', the second value may be set to '1', and the third value may be set to '0.5'.

일 예로, Category는 해당 식당이 주메뉴로 등록한 음식의 (음식) 카테고리가 시간에 지남에 따라 음식이 변하는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메뉴가 '튀김', '파스타', '고기구이', '회', '초밥', '육회', '아이스크림', '빙수' 등과 같이 조리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음식 카테고리인 경우 Category는 제4 값으로 설정되고, 주메뉴가 '빵', '과일' 등과 같이 조리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음식 카테고리인 경우 Category는 제5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4 값은 상기 제5 값보다 높은 값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ategory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 food (food) category registered as the main menu by the restaurant changes over time. For example, main dishes change over time after being cooked, such as 'tempura', 'pasta', 'grilled meat', 'sashimi', 'sushi', 'yukhoe', 'ice cream', 'shaved ice', etc. If it is a food category with a relatively large degree of change, Category is set to the fourth value, and if the main menu is a food category with a relatively small degree of change over time after it is cooked, such as 'bread', 'fruit', etc. Category can be set to the fifth value. The fourth value may be higher than the fifth value.

안정성 점수(StabS)는 해당 식당(즉, POS 기기에 상응하는 식당) 또는 해당 배달기사의 배달(또는 배송)이 예상 도착 시간(즉, 서버(20)가 고객 단말(10)에게 제공하는 주문 정보에 상응하는 예상 도착 시간) 내에 정상적으로 배달이 완료된 비율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값이며, 0 내지 10의 상수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상 도착 시간은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와 POS 기기(또는 해당 식당)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서버(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배달기사 단말에 대한 정보 및/또는 안정성 점수(StabS)를 더 고려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The stability score (StabS) is the estimated arrival time of the delivery (or delivery) of the restaurant (i.e., the restaurant corresponding to the POS device) or the delivery driver (i.e., order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er 20 to the customer terminal 10). It is a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percentage of normal delivery completion within the expected arrival time (corresponding to the expected arrival time), and can be defined as a constant value from 0 to 10. The estimated arrival time may be determined by the server 2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S device (or the restaurant), further considering information about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and/or stability score (StabS). This may be decided.

일 예로, 해당 식당 또는 해당 배달기사의 배달이 상기 예상 도착 시간 내에 정상적으로 배달이 완료된 비율이 90[%] 이상 100[%] 이하인 경우에는 10점, 80[%] 이상 90[%] 미만인 경우에는 9점, 70[%] 이상 80[%] 미만인 경우에는 8점, 60[%] 이상 70[%] 미만인 경우에는 7점, 50[%] 이상 60[%] 미만인 경우에는 6점, 40[%] 이상 50[%] 미만인 경우에는 5점, 30[%] 이상 40[%] 미만인 경우에는 4점, 20[%] 이상 30[%] 미만인 경우에는 3점, 10[%] 이상 20[%] 미만인 경우에는 2점, 00[%] 이상 10[%] 미만인 경우에는 1점으로 안정성 점수(StabS)가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ercentage of deliveries by the restaurant or the delivery driver that was completed normally within the above expected arrival time is between 90 [%] and 100 [%], 10 points, and if it is between 80 [%] and below 90 [%], the score is 10 points. 9 points, 8 points for 70[%] to 80[%], 7 points for 60[%] to 70[%], 6 points for 50[%] to 60[%], 40[%] %] to 50[%], 5 points, 30[%] to 40[%], 4 points, 20[%] to 30[%], 3 points, 10[%] to 20[%] %], the stability score (StabS) can be set to 2 points, and if it is 00 [%] or more but less than 10 [%], the stability score (StabS) can be set to 1 point.

서버(20)는 아래의 수학식 3에 기반하여 수학식 1의 상대값(RelValue, Relative Value)을 산출할 수 있다.The server 20 can calculate the relative value (RelValue, Relative Value) of Equation 1 based on Equation 3 below.

[수학식 3][Equation 3]

RelValue는 수학식 1에서 산출하는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상대값(Relative Value)이고, CusPoi는 고객 단말의 고객이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여러 차례 배달 주문을 하여 누적한 포인트(Customer Point)에 상응할 수 있으며, OrdPri는 고객이 해당 식당에 주문을 넣은 배달료의 총액(Order Price)에 상응할 수 있다.RelValue is a relative value that is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calculation method in Equation 1, and CusPoi is the point accumulated by the customer of the customer terminal by placing several delivery orders through the onlin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Customer Point) ), and OrdPri may correspond to the total delivery fee (Order Price) that the customer placed an order with the restaura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또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nd/or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서버(20) 및/또는 단말(40) 각각은 입/출력부(210), 통신부(220), 데이터베이스(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each of the server 20 and/or terminal 40 may include an input/output unit 210, a communication unit 220, a database 230, and a processor 240.

입/출력부(210)는 사용자 입력을 받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각종 인터페이스나 연결 포트 등일 수 있다. 입/출력부(210)는 입력 모듈과 출력 모듈로 구분될 수 있는데, 입력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은 키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입력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 모듈의 예로는 전통적인 형태의 키패드나 키보드, 마우스는 물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마이크, 영상 인식을 통해 제스처 등을 인식하는 카메라,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센서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거나 입력 받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터치 패널이나 터치 필름을 통해 터치를 감지하는 압전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 광학적인 방식에 의해 터치를 감지하는 광학식 터치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 모듈은 자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 대신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외부의 입력 장치를 연결시키는 입력 인터페이스(USB 포트, PS/2 포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출력 모듈은 각종 정보를 출력해 사용자에게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출력 모듈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장치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출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외에도 출력 모듈은 상술한 개별 출력 수단을 연결시키는 포트 타입의 출력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unit 210 may be various interfaces or connection ports that receive user input or output information to the user. The input/output unit 210 can be divided into an input module and an output module, and the input module receives user input from the user. User input can take various forms, including key input, touch input, and voice input. Examples of input modules that can receive such user input include traditional keypads, keyboards, and mice, as well as touch sensors that detect the user's touch, microphones that receive voice signals, cameras that recognize gestures through image recognition, etc. A proximity sensor consisting of an illumination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that detects the user's approach, a motion sensor that recognizes the user's movements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and various other types of input means that detect or receive various types of user input. It i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all of the following. Here, the touch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piezoelectric or capacitive touch sensor that detects touch through a touch panel or touch film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or an optical touch sensor that detects touch by an optical method. In addition, the input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nput interface (USB port, PS/2 port, etc.) that connects an external input device that receives user input instead of a device that detects user input by itself. Additionally, the output module can output various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 An output module i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a display that outputs images, a speaker that outputs sound, a haptic device that generates vibration, and various other types of output means. In addition, the output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ort-type output interface that connects the individual output means described above.

일 예로, 디스플레이 형태의 출력 모듈은 텍스트, 정지 영상,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곡면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holographic display), 프로젝터 및 그 외의 영상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영상 표시 장치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입력 모듈의 터치 센서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디스플레이의 형태일 수도 있다.As an example, a display-type output module can display text, still images, and moving images. Display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LCD),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flat panel display (FPD), and transparent display. display, curved display, flexible display, 3D display, holographic display, projector, and various other types of devices that can perform image output functions. It is a concept that refers to a video display device in a broad sense that includes everything. This display may be in the form of a touch display integrated with the touch sensor of the input module.

통신부(220)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및/또는 서버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및/또는 서버는 통신부를 이용해 서빙 시스템에 저장 및 생성된 정보들이 공유되도록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20 can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Accordingly, the terminal and/or server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the terminal and/or server may use the communication unit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so that information stored and created in the serving system is shared.

여기서, 통신, 즉 데이터의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는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는 위성 통신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저전력 통신을 위한 NB-IoT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NB-IoT 기술은 LPWAN (Low Power Wide Area Network) 기술의 일례일 수 있고, LTE Cat (category) NB1 및/또는 LTE Cat NB2 등의 규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기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LTE-M 기술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LTE-M 기술은 LPWAN 기술의 일례일 수 있고, eMTC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LTE-M 기술은 1) LTE CAT 0, 2) LTE Cat M1, 3) LTE Cat M2, 4) LTE non-BL(non-Bandwidth Limited), 5) LTE-MTC, 6) LT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또는 7) LTE M 등의 다양한 규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기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저전력 통신을 고려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 저전력 광역 통신망(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ZigBee 기술은 IEEE 802.15.4 등의 다양한 규격을 기반으로 소형/저-파워 디지털 통신에 관련된 PAN(personal area networks)을 생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Here, communication, that i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can be accomplished wired or wirelessly.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department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that connects to the Internet, etc. through a LAN (Local Area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y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a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uch as Wi-Fi.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using an Area Network-type communication method or a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typ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or Zigbee, and a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such a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may be composed of a satellite communication module using a satellite communication module or a combination there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used for communication may include NB-IoT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for low-power communication. At this time, for example, NB-IoT technology may be an example of LPWAN (Low Power Wide Area Network) technology, and may be implemented in standards such as LTE Cat (category) NB1 and/or LTE Cat NB2, and may be referred to in the above names. It is not limited.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mplemented in the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communication based on LTE-M technology. At this time, as an example, LTE-M technology may be an example of LPWAN technology, and may be called various names such as eMTC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For example, LTE-M technologies include 1) LTE CAT 0, 2) LTE Cat M1, 3) LTE Cat M2, 4) LTE non-BL (non-Bandwidth Limited), 5) LTE-MTC, 6) LTE Machine. It can be implemented in at least one of various standards such as Type Communication, and/or 7) LTE M,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names.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mplemented in the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one of ZigBee, Bluetooth, and 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considering low-power communication. It may include any on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names. As an example, ZigBee technology can create personal area networks (PAN) related to small/low-power digital communications based on various standards such as IEEE 802.15.4, and can be called by various names.

데이터베이스(23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는 단말 및/또는 서버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 웹 사이트를 호스팅하기 위한 데이터나 점자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내지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 데이터베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들을 컴퓨터 코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The database 230 can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 database can store data temporarily or semi-permanently. For example, the database includes an operating program (OS: Operating System) for running a terminal and/or server, data for hosting a website, a program for generating Braille, or data about an application (e.g., a web application). etc. can be stored. Additionally, the database may store modules in computer code form as described above.

데이터베이스(230)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HDD: 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내장 타입 또는 탈부착 가능한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database 230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rive (SSD), flash memory, read-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etc. This can be. These databases can be provided as built-in or detachable types.

프로세서(240)는 서버(20), IoT 단말(40) 및/또는 IoT 로봇(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340)는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단말 및/또는 서버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주문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24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인 프로세서(240)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단말 및/또는 서버의 동작은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서빙 시스템에 구현되는 모듈들이 실행되는 경우, 모듈들은 프로세서(240)가 단말 및/또는 서버를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The processor 2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er 20, IoT terminal 40, and/or IoT robot 50. To this end, the processor 340 can perform computation and processing of various information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components of the terminal and/or server. For example, the processor 240 may execute a program or application for providing order services. The processor 24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based o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hardware, the processor 2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circuit that processes electrical signals to perform a control function, and in softwar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gram that drives the hardware processor 240. Meanwhile,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operations of the terminal and/or server may be interpreted as being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40. That is, when modules implemented in the serving system are executed, the modules can be interpreted as the processor 240 controlling the terminal and/or server to perform the following operations.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summar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ans. For exampl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and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 can be implemented by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etc.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below. For example, software code can be stored in memory and run by a processor. The memory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through various known means.

그리고, 상기 서버(20)는 IoT 단말(40), IoT 로봇(50), 배달기사 단말(70) 등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즉, 네트워크(30))을 통하여 연결되며, 데이터베이스(230)는 고객의 정보, 매장의 정보 및/또는 배달기사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20 is connected to the IoT terminal 40, IoT robot 50, delivery driver terminal 70, etc.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e., network 30), and the database 230 is connected to the customer Information, store information, and/or delivery driver information may be stored.

상기 서버(20)(및/또는 프로세서(240))는 고객이 고객 만달(미도시) 및/또는 IoT 단말(200)을 통하여 주문 접수시 음식 및 배달 비용을 결제하도록 제어하고, 주문 접수시 배달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도출된 경로와 데이터베이스(230)를 통하여 확인한 배달기사의 정보를 통하여 배달기사에 배달을 매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erver 20 (and/or processor 240) controls the customer to pay food and delivery costs when ordering through the customer mandal (not shown) and/or the IoT terminal 200, and delivers the food upon receipt of the order. The route can be set and controlled to match the delivery to the delivery driver using the derived route and the delivery driver's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database 230.

또한, 상기 IoT 단말(40)에는 GPS가 구비되어 있어 고객이 주문시 고객 단말(미도시)의 현재 위치를 서버(20)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상기 프로세서(240)에서 매장에서 고객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즉시 생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oT terminal 40 is equipped with GPS, so the customer can check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not shown) in real time on the server 20 when ordering, so that the processor 240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from the store to the customer. You can immediately create a route.

또한, 상기 배달기사 단말(70)에도 GPS가 구비되어 있어 서버(20)에서 실시간 배달기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프로세서(240)에서 매장에서 고객의 위치까지 경로를 생성하게 되면, 상기 프로세서(240)(및/또는 통신부(220))은 배달기사의 위치를 확인하여 매장에서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 배달기사 단말(70)로 경로 정보와 함께 배달 오더를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70 is also equipped with GPS, the server 20 can check the location of the delivery driver in real time, so when the processor 240 creates a route from the store to the customer's location, the processor 240 240 (and/or communication unit 220)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delivery driver and transmits the delivery order along with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70 located closest to the store.

그래서, 고객은 신속하게 원하는 음식을 주문하고 배달받을 수 있게 되며, 배달이 완료되면 고객은 IoT 단말(40)을 통하여 배달 완료를 확인하여 주문시 결제한 금액에서 배달 비용과 음식에 대한 비용이 각각 매장과 배달기사에게 할당되게 된다.Therefore, customers can quickly order and receive the food they want, and when delivery is completed, the customer confirms delivery completion through the IoT terminal 40 and calculates the delivery cost and food cost from the amount paid at the time of ordering. and is assigned to delivery drivers.

한편, 상기 프로세서(240)는 추가 주문이 접수가 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240)를 통하여 도출된 배달 경로가 선 접수된 주문의 배달 경로와 유사할 경우, 선 접수된 주문의 배달기사에게 배달기사 단말(70)를 통하여 추가 배달 오더를 할당하게 된다.Meanwhile, when an additional order is received, the processor 240 sends the delivery driver to the delivery driver of the pre-received order if the delivery route derived through the processor 240 is similar to the delivery route of the pre-received order. Additional delivery orders are assigned through the terminal 70.

여기서, 고객이 접수한 각 주문의 음식에 따라 음식의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베이스(230)에는 각 음식에 대한 대기 시간이 저장되어 있어, 상기 프로세서(240)는 선 주문된 음식의 대기 시간, 매장의 위치 및 배달기사의 위치를 고려하여 추가 주문을 할당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240)는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유사한 배달 경로를 가지는 추가 주문이 접수되면 해당 선 주문의 배달기사에게 추가 주문된 배달 오더를 할당하게 된다.Here, since the time required to prepare food varies depending on the food of each order received by the customer, the waiting time for each food is stored in the database 230, and the processor 240 stores the pre-ordered food. The waiting time to allocate additional orders is set considering the waiting time, the location of the store, and the location of the delivery driver. At this time, if an additional order with a similar delivery route is received within the set waiting time, the processor 240 allocates the additional delivery order to the delivery driver of the corresponding pre-order.

한편, 상기 프로세서(240)에서 추가 주문을 할당하게 되면 상기 프로세서(240)는 선 주문과 추가 주문 모두를 고려하여 최적의 배달 경로를 도출하게 되는데, 상기 프로세서(240)는 배달 경로를 도출할 때, 선 주문을 우선하여 배달 경로를 설정하여 배달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processor 240 allocates an additional order, the processor 240 derives an optimal delivery route by considering both pre-orders and additional orders. When deriving the delivery route, the processor 240 , a delivery route is set with priority placed on pre-orders to prevent delays in delivery time as much as possibl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 주문이 있어 한 명의 배달기사가 다수의 음식을 배달할 경우, 한번의 배달로 다수의 음식을 배달하게 되므로 전체 배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은 음식을 주문할 때, 고객 단말(미도시) 및/또는 프로세서(240)를 통하여 음식의 비용과 배달 비용을 모두 결제하게 되는데, 다수의 음식을 한 명의 배달기사가 배달할 경우 각 음식을 주문한 고객이 결제한 총 배달 비용에서 실제 배달기사에게 할당된 배달 비용을 제한 금액을 각 고객들에게 포인트로 할당하게 된다.Also,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n additional order and one delivery driver delivers multiple foods, the overall delivery cost can be reduced because multiple foods are delivered in one delivery. Here, when ordering food, the customer pays both the cost of the food and the delivery cost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not shown) and/or the processor 240. When multiple foods are delivered by one delivery driver, each food Points are allocated to each customer based on the total delivery cost paid by the customer who ordered, minus the actual delivery cost allocated to the delivery driver.

예를 들면 한 명의 배달기사가 4개의 음식을 한번에 배달하게 된 경우, 각 고객은 배달 비용으로 각각 2,000원을 지불하였고, 배달기사의 배달 비용으로는 4,000원이 할당되어, 고객들의 총 배달 비용은 8,000원에서 배달 비용 4,000원을 제하면 4,000원을 4명의 고객에게 동일하게 1,000원을 포인트로 할당하게 된다. 이렇게 할당된 포인트는 고객들이 추후 주문시 배달 비용으로 결제할 수 있게 되며, 추후 주문시에도 다수의 배달을 한 명의 배달기사가 배달할 경우 포인트로 결제한 배달 비용 역시 다시 포인트로 되돌려 받을 수 있게 되어 고객은 음식을 주문할 때마다 발생하는 배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one delivery driver delivers 4 foods at once, each customer pays 2,000 won for the delivery fee, and 4,000 won is allocated to the delivery driver's delivery fee, so the total delivery cost for the customers is If you deduct the delivery cost of 4,000 won from 8,000 won, 4,000 won will be allocated equally to 4 customers, with 1,000 won as points. The points allocated in this way can be used by customers to pay for delivery costs when ordering in the future, and even when ordering in the future, if multiple deliveries are delivered by one delivery driver, the delivery costs paid with points can also be refunded back to customers. Delivery costs incurred each time you order food can be reduced.

한편, 배달기사의 경우 기본 배달 비용이 2,000원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추가로 배달을 할 경우 동일한 배달 비용으로 배달하게 되면 손해이므로 상기 프로세서(240)는 각 배달기사에게 추가로 배달이 할당될 경우, 기본 배달비에 추가 배달마다 설정된 추가 금액을 배정하여, 배달기사 역시 추가 배달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급받을 수 있게 한다.Meanwhile, in the case of delivery drivers, the basic delivery cost is set at 2,000 won, and if additional deliveries are made at the same delivery cost, it is a loss, so the processor 240 determines that if additional deliveries are assigned to each delivery driver, By assigning a set additional amount to each additional delivery in addition to the basic delivery fee, delivery drivers can also receive fair compensation for additional deliveries.

이때, 고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문시에 음식의 비용 및 배달 비용을 모두 결제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달 완료시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customer may pay both the cost of the food and the delivery cost at the time of ordering, o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proceed with payment upon completion of deliver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객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주문을 신청하는 고객 단말(미도시) 및/또는 IoT 단말(40)과, 상기 고객 단말(미도시) 및/또는 IoT 단말(40)로부터 주문을 접수하는 서버(20)와, 상기 서버로부터 주문 오더를 수신하여 음식을 준비하는 매장과, 상기 서버(20)로부터 배달 오더를 접수하여 배달기사에게 통지하는 배달기사 단말(7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제안한다.In this wa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stomer terminal (not shown) and/or IoT terminal 40, where a customer applies for an order through an application, and the customer terminal (not shown) and/or IoT terminal 40. A system consisting of a server 20 that accepts orders, a store that receives order orders from the server and prepares food, and a delivery driver terminal 70 that receives delivery orders from the server 20 and notifies them to the delivery driver. suggests.

상기 서버(20)는 고객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매장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배달기사의 정보가 저장되는 배달기사 DB와, 주문 접수시 음식 및 배달 비용을 결제하는 결제모듈과, 주문 접수시 배달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모듈과, 상기 경로 모듈에서 도출된 경로와 배달기사 DB를 통하여 확인한 배달기사의 정보를 통하여 배달기사에 배달을 매칭하는 매칭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rver 20 includes a database in which customer information is stored, a database in which store information is stored, a delivery driver DB in which delivery driver information is stored, and a payment module that pays for food and delivery costs when ordering. It may be comprised of a route module that sets a delivery route upon receipt of an order, and a matching module that matches the delivery to the delivery driver through the route derived from the route module and the delivery driver's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delivery driver DB.

상기 서버(20)에는 고객이면서 배달을 지원한 고객의 정보가 저장되는 배달 지원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비되고, 상기 매칭 모듈은 상기 경로 모듈에서 도출된 경로와 배달기사 DB 및 배달 지원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확인한 배달기사 또는 배달 지원 고객에 배달을 매칭할 수 있다.The server 20 is further equipped with a delivery support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on customers who are customers and support delivery, and the matching module is configured to match the route derived from the route module and the delivery driver confirmed through the delivery driver DB and delivery support database. Alternatively, you can match deliveries to delivery-enabled customers.

상기 배달 지원 데이터베이스에는 배달을 지원한 고객이 정기적으로 이동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정기 이동 저장부와, 단발적으로 이동하는 단발성 이동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delivery support database may include a regular movement storage unit in which information on the regular movement of customers who support delivery is stored, and a one-time movement storage unit in which information is moved sporadically.

상기 정기 이동 저장부와 단발성 이동 저장부에는 배달을 지원한 고객이 이동하는 시간대, 이동 경로, 이동 수단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The regular movement storage unit and the one-time movement storage unit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time zone, movement route, and means of movement of the customer supporting the delivery.

상기 매칭 모듈은 배달을 지원한 고객의 정보 중에서 이동하는 시간대와 이동 경로가 유사할 경우, 상기 매장과 고객의 위치 그리고 상기 이동 수단에 따라 가산점을 부가하되, 매장과 고객의 위치가 차량이 쉽게 이동할 수 있는 대로변에 있을 경우에는 차량에 가산점을 주도록 하고, 골목이 있는 곳에서는 오토바이나 자전거에 가산점을 주도록 하며, 계단이 많은 경우에는 도보 이동자에게 가산점을 부가하도록 하여 배달기사를 매칭할 수 있다.The matching module adds additional point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tore and the customer and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f the travel time and travel route among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who supported the delivery are similar, but the location of the store and the customer is such that the vehicle can easily move. You can match delivery drivers by giving extra points to vehicles if they are located on a boulevard, giving extra points to motorcycles or bicycles if there are alleys, and giving extra points to people on foot if there are a lot of stairs.

상기 매칭 모듈은 추가 주문 접수시, 상기 경로 모듈을 통하여 도출된 배달 경로가 선 접수된 주문의 배달 경로와 유사할 경우, 선 접수된 주문의 접수 시간에서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동일한 배달기사에 추가 배달을 할당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n additional order, the matching module uses the same delivery driver if the delivery route derived through the route module is similar to the delivery route of the pre-received order, and if the waiting time set from the reception time of the pre-received order has not elapsed. Additional deliveries may be assigned to .

상기 결제모듈은 배달기사에게 유사 경로의 추가 배달이 할당될 경우, 해당 배달의 주문자들이 결제한 배달 비용에서 할당된 배달 비용을 제한 금액을 각 고객들에게 배달 비용 결제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로 할당할 수 있다.When an additional delivery on a similar route is assigned to a delivery driver, the payment module can allocate the amount of the allocated delivery cost minus the delivery cost paid by orderers of the delivery as points that can be used to pay the delivery cost to each customer. .

상기 서버(20)에는 IoT 단말로 광고 정보를 전송하여 고객이 광고를 시청시 포인트를 부여하는 광고 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 모듈에는 취향 분석 모듈이 더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각 고객별로 선호하는 음식의 정보를 판단하여 고객에게 선호 음식과 관련된 광고를 전송할 수 있다.The server 2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n advertising module that transmits advertising information to an IoT terminal and grants points when a customer watches an advertisement. At this time, the advertising module is further equipped with a taste analysis module to analyze the database to determine information on the preferred food for each customer and transmit advertisements related to the preferred food to the customer.

상기 경로 모듈은 상기 매칭 모듈로부터 추가 배달이 할당될 경우 현재 배달기사의 위치와 선 접수된 배달 경로와 추가 접수된 배달의 경로를 고려하여 최적의 경로를 도출할 수 있다.When an additional delivery is assigned from the matching module, the route module can derive an optimal route by conside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elivery driver, the previously accepted delivery route, and the route of the additionally accepted deliver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식당 근무자의 영업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 상기 서버(20)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버(20)가 제공하는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정보로부터 고객의 주문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상기 서버(20)에 전송하는 IoT 단말; 상기 서버(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IoT 단말이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여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는 제1 POS 기기; 및 상기 서버(20), 상기 제1 POS 기기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2 POS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2 POS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이하 중간 단말기라 함-는 상기 제1 POS 기기의 설정 명령에 따라 상기 IoT 단말이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되, 상기 중간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수신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주문진행은 상기 중간 단말기가 상기 제2 POS 기기 중에서 상기 중간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제2 POS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이하 처리 단말기라 함-에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처리 단말기가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주문내역을 처리함으로써 수행되어, 상기 제1 POS 기기의 식당 근무자가 영업공간을 이탈하게 될 경우에도 상기 제1 POS 기기의 상기 식당 근무자는 상기 제1 POS 기기의 상기 설정 명령을 통하여 상기 IoT 단말이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의 수신 및 수신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주문진행 및 결제의 처리를 상기 중간 단말기가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20 that provides business information of one or more restaurant workers; I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erver 20, generates customer order information from the business information of restaurant workers provided by the server 2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ustomer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IoT terminal; A first POS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server 20 by wire or wirelessly, receives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oT terminal, and processes order processing and payment in response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and a second POS device wirelessly connected to one selected from the server 20, the first POS device, and a combination thereof, and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the second POS device -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termediate terminal. - Receives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oT terminal according to a setting command of the first POS device, and processes order progress and paym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by the intermediate terminal. The order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is performed when the intermediate terminal is selected from among the remaining second POS devices excluding the intermediate terminal among the second POS devices. This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and the processing terminal processes order details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so that even when the restaurant worker of the first POS device leaves the business space, the restaurant of the first POS device The worker receives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oT terminal through the setting command of the first POS device and causes the intermediate terminal to process the order and paym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You can.

서버(20)는 하나 이상의 식당 근무자의 영업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서버(20)는 IoT 단말(40)로부터 전송 받은 고객의 주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제1 POS 기기 또는 제2 POS 기기로부터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의 진행상황을 실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 받아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에 저장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 또는 상기 주문 정보의 상기 진행상황은 IoT 단말(40), 제1 POS 기기 또는 제2 POS 기기가 요청할 경우 이들에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버(20)는 제1 POS 기기 이외에 상기 추가적인 제1 POS 기기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서버(20)는 하나의 영업장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영업장을 동시에 관리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서버(20)와 연결되는 제1 POS 기기 및 상기 추가적인 제1 POS 기기의 소지자는 필요할 경우 고객의 주문 정보, 주문진행정보, 결제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1 POS 기기 및 상기 추가적인 제1 POS 기기의 소지자는 자신이 관리하는 영업소의 상품재고정보, 원재료 재고 정보, 주문한 상품 또는 제품의 진행상황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로 다른 영업소의 관리자는 서버(20)를 통하여 상호 협력을 체결한 영업소 간에 상품, 원재료, 제품 등의 교류가 가능하다.The server 20 provides business information of one or more restaurant workers. Additionally, the server 20 may store customer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oT terminal 40. Additionally, the server 20 may receive the progress of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POS device or the second POS device in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store it.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or the progress status of the ord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20 may be provided to the IoT terminal 40, the first POS device, or the second POS device when they request it. In other words, the server 20 may be connected to the additional first POS devic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o the first POS device. The server 20 may be a server that manages one business location, or may be a server that manages one or more business locations simultaneously. In the latter case, the first POS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20 and the owner of the additional first POS device can share customer order information, order progress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etc.,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owner of the first POS device and the additional first POS device can share product inventory information, raw material inventory information, ordered products or product progress, etc. of the business office they manage. Through this, managers of different business offices can exchange goods, raw materials, products, etc. between business offices that have concluded mutual cooperation through the server 20.

IoT 단말(40)은 서버(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서버(20)가 제공하는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IoT 단말(40)은 서버(20)로부터 자신의 주문 내역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IoT 단말(40)은 제1 POS 기기 또는 제2 POS 기기로부터 자신의 주문 내역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IoT 단말(40)은 수신한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정보로부터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한다.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는 예로서 음식주문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는 상기 식당 근무자의 영업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주문 정보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로서 다양한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IoT 단말(40)은 제1 POS 기기 또는 제2 POS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정보는 제1 POS 기기 또는 제2 POS 기기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제1 POS 기기 또는 제2 POS 기기를 경유하여 서버(2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The IoT terminal 40 is connected to the server 20 by wire or wirelessly, and receives the business information of restaurant workers provided by the server 20. Additionally, the IoT terminal 40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how its order details are progressing from the server 20. Additionally, the IoT terminal 4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how its order details are progressing from the first POS device or the second POS device. The IoT terminal 40 generates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business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worke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may be food order information, for example. As another example,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may be product order information for products placed in the restaurant worker's business space. The above example is for understanding, and 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 various information may be used as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unlike what is shown in the drawing, the IoT terminal 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S device or the second POS device wired or wirelessly and receive the business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worker. In this case, the restaurant worker's business information may be received directly from the first POS device or the second POS device, or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20 via the first POS device or the second POS device.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한 IoT 단말(40)가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하는 과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The process by which the IoT terminal 40, which has received the restaurant worker's business information, transmits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may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IoT 단말(40)가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하는 과정은 제1 POS 기기 또는 제2 POS 기기를 소지한 소지자가 고객을 직접 방문한 후 상기 주문 정보를 제1 POS 기기 또는 제2 POS 기기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 of the IoT terminal 40 receiving the business information of a restaurant worker and transmitting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is performed by the holder of the first POS device or the second POS device. This may be done by visiting the customer in person and then directly entering the order information into the first POS device or the second POS device.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IoT 단말(40)가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하는 과정은 NFC 통신 기능을 가지는 제1 POS 기기 또는 제2 POS 기기를 소지한 소지자와 NFC 통신 기능을 가지는 고객의 IoT 단말(40) 간의 NFC 통신에 의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 of the IoT terminal 40 receiving the business information of a restaurant worker and transmitting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is performed using a first POS device or a second POS device having an NFC communication function. It may be carried out through NFC communication between the holder and the customer's IoT terminal 40 with NFC communication function.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IoT 단말(40)가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하는 과정은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소상공인들이 자신의 사업을 홍보할 수 있고, 고객들이 손쉽게 상기 소상공인들의 정보를 볼 수 있는 스마트 메뉴판을 제공할 수 있다. 고객들은 상기 스마트 메뉴판을 통하여 손쉽게 상기 소상공인들의 웹사이트로 이동하여 상기 소상공인들의 정보를 확인 및 상품 등의 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는 소셜커머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고객들은 상기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을 활용하는 영업공간을 방문한 여러 고객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상기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을 활용하는 영업공간은 고객이 방문한 영업공간일 수도 있고,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영업공간일 수도 있다. 또한, 고객들은 상기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자신이 주문하는 상품, 서비스 등과 관련하여 식당 근무자와 가격 협상을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고객들은 상기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방문후기, 사용후기 등을 서버(20)에 남길 수 있다. 또한, 식당 근무자는 자신의 영업 공간에서 진행되는 이벤트 정보를 서버(20), 제1 POS 기기 또는 제2 POS 기기 등에 남길 수 있다. 이 경우, 고객들은 상기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상기 이벤트에 응모하거나, 상기 이벤트와 관련한 정보를 서버(20), 제1 POS 기기 또는 제2 POS 기기 등에 전송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 of the IoT terminal 40 receiving the business information of a restaurant worker and transmitting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may be performed through software. The software can provide a smart menu board that allows small business owners to promote their business and allows customers to easily view information about the small business owners. Customers can easily go to the small business owners' website through the smart menu board, check the information about the small business owners, and purchase products. Additionally, the software may provide social commerce functions. Through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above software, customers can have conversations with multiple customers who have visited the business space utilizing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presented in this specification. The business space utilizing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may be a business space visited by customers, or may be a business space located nearby or far away. Additionally, through the software, customers can also negotiate prices with restaurant workers regarding products and services they order. Additionally, customers can leave visit reviews, usage reviews, etc. on the server 20 through the software. Additionally, restaurant workers can leave event information taking place in their business space on the server 20, the first POS device, or the second POS device. In this case, customers may apply for the event through the software or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ent to the server 20, the first POS device, or the second POS device.

고객은 미리 인지하고 있는 다운로드 경로를 통하거나,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홍보자료에서 제시하는 다운로드 경로를 보고 상기 소프트웨어를 IoT 단말(40)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는 IoT 단말(40)에 서버(20)의 정보도 아울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예로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형태로 IoT 단말(40)에 설치될 수 있다. 고객은 IoT 단말(40)에 설치된 상기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서버(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서버(20)가 제공하는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고객은 IoT 단말(40)에 수신된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IoT 단말(40)을 통하여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The customer can install the software on the IoT terminal 40 through a download path known in advance or by looking at the download path suggested in promotional materials plac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the restaurant worker's business space. In this case, the software can als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erver 20 to the IoT terminal 40. The software may be installed on the IoT terminal 40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for example. The customer can connect to the server 20 wired or wirelessly through the software installed on the IoT terminal 40 and receive the business information of restaurant workers provided by the server 20. The customer can use the business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worker received by the IoT terminal 40 to create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 it to the server 20 through the IoT terminal 40.

다른 예로, 고객은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NFC 태그를 통하여 상기 소프트웨어를 IoT 단말(40)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는 IoT 단말(40)에 서버(20)의 정보도 아울러 제공할 수 있다. NFC 태그는 IoT 단말(40)와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하여 상기 소프트웨어와 서버(20)의 정보를 IoT 단말(40)에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은 IoT 단말(40)에 설치된 상기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서버(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서버(20)가 제공하는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고객은 IoT 단말(40)에 수신된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IoT 단말(40)을 통하여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NFC 태그는 상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는 서버(20) 또는 제1 POS 기기가 고객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IoT 단말(40)을 통하여 서버(20)에 전송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로부터 식당 근무자는 고객의 주문내역을 처리한다. 이후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할 과정에서 NFC 태그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주문결과물이 다른 장소로 배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식당 근무자는 효과적으로 주문을 관리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customer can install the software on the IoT terminal 40 through an NFC tag plac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the restaurant worker's business space. In this case, the software can als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erver 20 to the IoT terminal 40. The NFC tag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oftware and server 20 to the IoT terminal 40 throug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the IoT terminal 40. The customer can connect to the server 20 wired or wirelessly through the software installed on the IoT terminal 40 and receive the business information of restaurant workers provided by the server 20. The customer can use the business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worker received by the IoT terminal 40 to create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 it to the server 20 through the IoT terminal 40. Meanwhile, the NFC tag may include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worker's business space.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worker's business space may help the server 20 or the first POS device determine the customer's location. In other words, the restaurant worker processes the customer's order details from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rver 20 through the IoT terminal 40. Thereafter,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of the restaurant worker included in the NFC tag can be used. Through this, the order result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livered to other locations, allowing restaurant workers to effectively manage orders.

제1 POS 기기는 서버(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IoT 단말(40)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도면에는 예로서 제1 POS 기기를 하나만 표현하였으나, 식당 근무자의 편의에 따라 제1 POS 기기는 복수개가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OS 기기로서 하나의 제1 POS 기기를 이용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서술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first POS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rver 20 by wire or wirelessly and receives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oT terminal 40. In the drawing, only one first POS device is shown as an example, but it is obvious that there can be multiple first POS devices depending on the convenience of restaurant worker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elow,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using one first POS device as the first POS device. It is obvious that this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rights of the remote ordering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제1 POS 기기는 수신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여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한다. 또한, 제1 POS 기기는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의 진행상황을 실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POS 기기가 수신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여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The first POS device processes orders and payments in response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Additionally, the first POS device may transmit the progress of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in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process of order processing and payment processing in response to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by the first POS device may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POS 기기가 수신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여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은 제1 POS 기기를 소지하고 있는 상기 식당 근무자나 상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을 담당하는 책임자에 의하여 직접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POS 기기를 소지하고 있는 상기 식당 근무자나 상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을 담당하는 책임자를 마스터(master)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마스터는 서버(20)에 저장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한 후 본인이 직접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터 본인이 직접 상기 주문 정보에 대한 주문을 진행하거나, 종업원에게 상기 주문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주문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는 상기 주문 정보 또는 주문진행상황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2 POS 기기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유추가능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하면, 제2 POS 기기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제2 POS 기기의 기능은 제1 POS 기기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내용과 관련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제2 POS 기기 역할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제2 POS 기기의 기능을 제1 POS 기기에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음을 자명하다. 또한, 상기 마스터는 상기 주문 정보에 대한 결제 역시 본인이 직접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주문 정보에 대한 결제는 일례로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가 제1 POS 기기를 통하여 고객의 카드 정보를 카드사 서버(미도시)로 유선 또는 무선의 방법으에게 전송한다. 이 경우, 고객의 상기 카드 정보는 서버(20)를 경유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에게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수신된 고객의 상기 카드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저장된 DB(data base)내의 상기 고객의 정보와 비교한다. 수신된 고객의 상기 카드 정보가 상기 카드사 서버의 상기 DB 내의 상기 고객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결제승인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상기 결제승인정보는 상기 카드사 서버의 상기 DB 내에 저장되어 관리되며, 제1 POS 기기에도 전송된다. 이 경우, 상기 결제승인정보는 서버(20)를 경유하여 제1 POS 기기에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고객의 상기 카드 정보라는 용어는 OTP 보안정보, 일회용 안심클릭 PIN 정보 또는 카드 정보 이외에 고객의 신용거래와 관련한 공지된 모든 정보를 총 망라하는 개념으로 사용됨을 분명히 밝혀둔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 of order processing and payment processing in response to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by the first POS device is performed by the restaurant worker holding the first POS device or the restaurant worker in charge of the business space. It can be performed directly by the person in charg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elow, the restaurant worker holding the first POS device or the person in charge of the restaurant worker's business space will be referred to as a master. After receiving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20, the master can directly deliver the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In this case, the master himself may directly place an order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or the order may be placed by delivering the order information to an employee. Additionally, the master may provide the order information or order progress status to the customer. Sinc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 of the second POS device, i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other words, the functions of the second POS device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of the second POS device may also be performed by the first POS devic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cont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at the functions of the second POS device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ole of the second POS device can be easily adopted in the first POS device. . Additionally, the master may directly process payment for the order information. For example, payment for the order information may proce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The master transmits the customer's card information to the card company server (not show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method through the first POS device. In this case, the customer's car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ard company server via the server 20. The card company server compares the received card information of the customer with the customer's information in a database (data base) stored in the card company server. If the received customer's card information matches the customer's information in the DB of the card company server,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generated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DB of the card company server and is also transmitted to the first POS device. In this case, the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POS device via the server 20. It is clearly stated that the term "customer's card information"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used to encompass all know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stomer's credit transaction in addition to OTP security information, one-time Secure Click PIN information, or card information.

다시 말하면, 제1 POS 기기는 서버(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IoT 단말(40)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POS 기기는 수신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로부터 영업 기간별 매출자료, 매입자료, 국세청 전자신고자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POS 기기는 수신된 고객의 카드 정보 등 신용정보로부터 고객의 구매 성향, 구매 빈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은 사업자의 영업공간에서 발생되는 주문, 매출, 매입, 고객관리 등을 제1 POS 기기 하나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POS 기기는 식당 근무자가 제2 POS 기기에 부여한 임무를 실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 차를 두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정보를 식당 근무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제1 POS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서버(2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식당 근무자는 제1 POS 기기의 상기 메모리 또는 서버(20)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제1 POS 기기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어 업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POS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rver 20 by wire or wirelessly and can receive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oT terminal 40. Through this, the first POS device can generate at least one selected from sales data by business period, purchase data, National Tax Service electronic reporting data, and a combination thereof from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received. In addition, the first POS device can check the customer's purchase tendency, purchase frequency, etc. from the received credit information such as the customer's card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efficiently manage orders, sales, purchases, customer management, etc. that occur in the business space of the business operator with just the first POS device. Additionally, the first POS device can provide the restaurant worker with information that allows the restaurant worker to monitor the mission assigned to the second POS device in real time o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monitor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first POS device or in the memory of the server 20. Restaurant workers can check the monitor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f the first POS device or the memory of the server 20 through the first POS device, thereby effectively managing work.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여 제1 POS 기기가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은 제1 POS 기기에 의한 주문진행과 주변기기를 통한 결제 진행의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POS 기기를 통한 결제의 진행은 제1 POS 기기를 통한 결제의 진행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결제를 진행한 POS 기기는 주변기기를 통하여 수집한 상기 고객의 상기 정보를 제1 POS 기기 또는 서버(20)로 유선 또는 무선으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POS 기기 또는 서버(20)는 상기 고객의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POS 기기는 POS 기기의 카드 정보, 결재 대금 정보 등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POS 기기는 제1 POS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거나, 제1 POS 기기의 몸체에 부착된 입력버튼을 통하여 상기 고객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POS 기기와 주변기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 of order processing and payment processing by the first POS devic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as a process of order processing by the first POS device and payment processing through a peripheral device. Since the payment process through the POS devic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ayment process through the first POS devic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OS device that made the payment may transmit the customer's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peripheral device to the first POS device or server 20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this, the first POS device or server 20 can receive and manage the customer's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first POS device may function as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card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etc. of the POS device. In other words, the POS device can receive the customer'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POS device or through an input button attached to the body of the first POS devi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POS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POS 기기가 수신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여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은 제2 POS 기기를 활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1 POS 기기는 필요한 경우 특정 제2 POS 기기에 매장 관리권한, 고객의 대금결제와 관련한 결제권한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2 POS 기기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POS 기기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제2 POS 기기의 기능은 제1 POS 기기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내용과 관련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제2 POS 기기 역할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제2 POS 기기의 기능을 제1 POS 기기에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음을 자명하다. 이에 제1 POS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제2 POS 기기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 of order processing and payment processing in response to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by the first POS device may be performed using the second POS device. If necessary, the first POS device can grant store management authority, payment authority related to customer payment, etc. to a specific second POS devic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of the second POS device. The functions of the second POS device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of the second POS device may also be performed by the first POS devic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cont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at the functions of the second POS device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ole of the second POS device can be easily adopted in the first POS device. .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of the second POS device that the first POS device can perform will be omitted.

NFC 태그는 상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NFC 태그는 IoT 단말(40)와 NFC 통신을 통하여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의 생성 및 전송을 위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서버(20)의 정보를 IoT 단말(40)에 제공한다. 한편, NFC 태그는 상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IoT 단말(40)에 제공할 수도 있다.The NFC tag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the business space of the restaurant worker. The NFC tag provides the IoT terminal 40 with information on the software and server 20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hrough NFC communication with the IoT terminal 40. Meanwhile, the NFC tag may provide the IoT terminal 40 with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worker's business space.

제2 POS 기기는 서버(20), 제1 POS 기기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IoT 단말(40)은 상기 고객의 식별번호를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POS 기기는 상기 고객과의 대화 또는 IoT 단말(40)와의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고객의 상기 식별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POS 기기는 수신된 상기 고객의 상기 식별번호를 서버(20) 또는 제1 POS 기기에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 또는 주문진행상황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POS 기기(120)를 소지하고 있는 종업원은 상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을 방문한 고객이 요청하거나 필요한 경우, 상기 고객의 상기 식별번호를 상기 고객으로부터 구두 또는 NFC 통신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상기 고객의 상기 식별번호를 활용하여 상기 고객이 주문한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고객이 주문한 상기 주문 정보의 진행상황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객의 상기 식별번호는 예로서 상기 고객의 휴대전화번호일 수 있다. 상기 고객의 상기 휴대전화번호는 상기 고객이 IoT 단말(40)을 통하여 서버(20)에 상기 주문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서버(20)에 전달될 수 있다.The second POS device may be connected wired or wirelessly to one selected from the server 20, the first POS device, and a combination thereof. In one embodiment, the IoT terminal 40 may transmit the customer's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server 20. The second POS device may receive the customer's identification number through conversation with the customer or NFC communication with the IoT terminal 40. Through this, the second POS device can receive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or order progress status by transmitti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customer to the server 20 or the first POS device. In other words, an employee holding the second POS device 120 can receive the customer's identification number verbally or through NFC communication from the customer if requested or necessary by a customer visiting the business space of the restaurant worker. You can. By usi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customer, the order information ordered by the customer can be confirmed, and through this, the progress of the order information ordered by the customer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customer may be, for example, the customer's mobile phone number.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custome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0 in the process of the customer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through the IoT terminal 40.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POS 기기는 IoT 단말(40)와의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POS 기기는 수신된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서버(20) 또는 제1 POS 기기에 전송하여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생성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 또는 주문진행상황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POS 기기(120)를 소지하고 있는 종업원은 상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을 방문한 고객이 요청하거나 필요한 경우, 상기 고객이 점유하고 있는 IoT 단말(40)와의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고객이 주문한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고객이 주문한 상기 주문 정보의 진행상황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는 예로서 상기 고객이 자리하고 있는 자리의 좌석번호일 수 있다. 상기 고객의 상기 좌석번호는 상기 고객이 IoT 단말(40)을 통하여 서버(20)에 상기 주문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서버(20)에 전달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POS device may receive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through NFC communication with the IoT terminal 40. The second POS device may transmit the received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or the first POS device to receive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or order progress status generated at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 other words, if a customer who visits the business space of the restaurant worker requests or needs it, an employee holding the second POS device 120 may conduct the business through NFC communication with the IoT terminal 40 occupied by the customer.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in space can be received. By using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order information ordered by the customer can be confirmed, and through this, the progress of the order information ordered by the customer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may be the seat number of the seat where the customer is seated. The customer's seat numbe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0 in the process of the customer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through the IoT terminal 40.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POS 기기는 상기 식당 근무자의 영업공간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NFC 태그와 NFC 통신을 할 수 있다. 제2 POS 기기는 NFC 태그와의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POS 기기는 수신된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서버(20) 또는 제1 POS 기기에 전송하여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생성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 또는 주문진행상황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POS 기기(120)를 소지하고 있는 종업원은 상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을 방문한 고객이 요청하거나 필요한 경우, 상기 고객이 점유하고 있는 상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NFC 태그와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고객이 주문한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고객이 주문한 상기 주문 정보의 진행상황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는 예로서 상기 고객이 자리하고 있는 자리의 좌석번호일 수 있다. 상기 고객의 상기 좌석번호는 상기 고객이 IoT 단말(40)을 통하여 서버(20)에 상기 주문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서버(20)에 전달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POS device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the restaurant worker's business space and can perform NFC communication with an NFC tag containing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worker's business space. there is. The second POS device can receive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through NFC communication with the NFC tag. The second POS device may transmit the received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or the first POS device to receive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or order progress status generated at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 other words, an employee holding the second POS device 120 may, when requested or necessary by a customer visiting the business space of the restaurant worker, locate the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business space of the restaurant worker occupied by the customer.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can be received through NFC communication with an NFC tag placed in. By using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order information ordered by the customer can be confirmed, and through this, the progress of the order information ordered by the customer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may be the seat number of the seat where the customer is seated. The customer's seat numbe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0 in the process of the customer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through the IoT terminal 40.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POS 기기는 제1 POS 기기의 설정명령에 따라 역할이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역할은 예로서 제2 POS 기기의 소지자인 종업원이 담당하는 구역에 대한 역할 배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역할은 제2 POS 기기의 소지자인 상기 종업원이 담당하는 업무에 대한 역할 배분일 수 있다. 상기 종업원이 담당하는 업무는 예로서 생산업무, 전달업무, 요리업무, 결제업무, 운송업무 등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 제1 POS 기기는 제2 POS 기기에 다양한 업무를 배분할 수 있다. 제1 POS 기기는 제2 POS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에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제2 POS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를 제1 처리 단말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처리 단말기 또는 상기 제1 처리 단말기의 식당 근무자는 제1 POS 기기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주문내역을 처리한다. 상기 주문내역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처리 단말기는 제1 POS 기기에 주문처리완료를 통지한다. 이 경우, 제1 POS 기기는 제2 POS 기기 중에서 상기 제1 처리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제2 POS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에 처리가 완료된 주문결과물을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도록 통지할 수 있다. 이하 제2 POS 기기 중에서 상기 제1 처리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제2 POS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를 제1 전달 단말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전달 단말기 또는 상기 제1 전달 단말기의 식당 근무자는 제1 POS 기기의 통지에 따라 상기 주문결과물을 상기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POS device may be assigned a role according to a setting command from the first POS device. The role may be, for example, distribution of roles to an area in charge of an employee who is the holder of the second POS device. As another example, the role may be role distribution for tasks handled by the employee who is the owner of the second POS device. The tasks handled by the above-mentioned employees may include, for example, production tasks, delivery tasks, cooking tasks, payment tasks, and transportation tasks. The above example is for understanding purposes only. 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s, the first POS device may distribute various tasks to the second POS device. The first POS device may transmit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o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the second POS devices. Hereinafter,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among the second POS devices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processing terminal. The first processing terminal or a restaurant worker at the first processing terminal processes order details according to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POS device. When the processing of the order details is completed, the first processing terminal notifies the first POS device of the completion of order processing. In this case, the first POS device may notify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among the second POS devices excluding the first processing terminal to deliver the completed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Hereinafter,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among the second POS devices excluding the first processing terminal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delivery terminal. The first delivery terminal or a restaurant worker of the first delivery terminal may deliver the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according to a notification from the first POS device.

IoT 단말(40)을 통한 주문 정보의 수신과 서로 역할이 구별되는 제2 POS 기기를 통한 상기 주문 정보에 대한 주문처리 및 주문결과물 전달을 수행함으로써 식당 근무자는 업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Restaurant workers can maximize work efficiency by receiving order information through the IoT terminal 40 and processing the order information and delivering order results through a second POS device with distinct roles.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제2 POS 기기 중 상기 제1 처리 단말기를 제2-1 POS 기기로 정하고, 상기 제1 전달 단말기를 제2-2 POS 기기로 정하기로 한다. 일례로, 제1 POS 기기는 서버(20)에 저장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확인하고 제2-1 POS 기기에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는 제1 POS 기기를 통하여 제2-1 POS 기기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르게는,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는 서버(20)를 통하여 제2-1 POS 기기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1 POS 기기는 제2-1 POS 기기에 서버(20)에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한 후 주문내역을 처리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제2-1 POS 기기 또는 제2-1 POS 기기를 소지한 종업원은 제1 POS 기기가 전송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주문내역을 처리한다. 상기 주문내역의 처리가 완료되면 제2-1 POS 기기는 제1 POS 기기에 주문처리완료를 통지한다. 상기 주문처리완료 통지를 받는 제1 POS 기기는 제2-2 POS 기기에 처리가 완료된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하도록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에 대한 정보는 제1 POS 기기를 통하여 제2-2 POS 기기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르게는,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에 대한 정보는 서버(20)를 통하여 제2-2 POS 기기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1 POS 기기는 제2-2 POS 기기에 서버(20)에서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제2-2 POS 기기 또는 제2-2 POS 기기를 소지한 종업원은 제1 POS 기기가 전송한 상기 전달정보에 따라 상기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한다.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가 복수의 종업원들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할 경우, 제1 POS 기기는 제2-1 POS 기기 이외에 제2-n POS 기기에도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주문결과물을 전달하는 과정이 복수의 종업원들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할 경우, 제1 POS 기기는 제2-1 POS 기기 이외에 다른 제2 POS 기기에도 상기 전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POS 기기의 역할을 구분함으로써 제2 POS 기기를 소유하고 있는 종업원은 제1 POS 기기가 지정한 업무만을 처리하면 된다. 식당 근무자는 제1 POS 기기를 통하여 각각의 종업원에게 할당한 업무를 확인할 수 있어 상품 판매, 주문 정보처리 등의 정보에 대한 일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Among the second POS devices, the first processing terminal is designated as the 2-1 POS device, and the first delivery terminal is designated as the 2-2 POS device. For example, the first POS device may check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20 and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2-1 POS device. In this case,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2-1 POS device through the first POS device. Alternatively,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2-1 POS device through the server 20. At this time, the first POS device may issue a command to the 2-1 POS device to process the order details after receiving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 The 2-1 POS device or an employee holding the 2-1 POS device processes order details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1st POS device. When the processing of the order details is completed, the 2-1 POS device notifies the first POS device of the completion of order processing. The first POS device that receives the order processing completion notification may notify the 2-2 POS device to deliver the completed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In this case, information about the order result that has been processed may be transmitted to the 2-2 POS device through the first POS device. Alternatively, information about the order result that has been processed may be transmitted to the 2-2 POS device through the server 20. At this time, the first POS device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order result that has been processed from the server 20 to the 2-2 POS device and then issue a command to deliver the completed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The 2-2 POS device or an employee holding the 2-2 POS device delivers the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delivery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POS device. If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must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employees, the first POS device may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2-n POS device in addition to the 2-1 POS device. Likewise, if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order result must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employees, the first POS device can transmit the delivery information to a second POS device other than the 2-1 POS device. By distinguishing the roles of the second POS device, an employee who owns the second POS device only has to handle tasks designated by the first POS device. Restaurant workers can check the tasks assigned to each employee through the first POS device, enabling comprehensive management of information such as product sales and order information processing.

종래의 주문 관리 시스템의 경우 주문 정보수신, 주문처리, 주문결과물 전달 등이 특정 종업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 특정 종업원에게 주문이 몰리는 현상, 특정 종업원의 동선이 길어져 불필요한 시간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주문 관리 시스템의 경우 종업원들 개개인이 직접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경우 종업원의 결제 대금 횡령, 현금영수증 발급 및 소액 카드 결제 내역의 무분별한 관리로 인한 카운터의 업무 과중, 판매 관련 데이터의 관리의 어려움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의 경우 고객이 IoT 단말(40)을 통하여 서버(20)에 직접 주문을 입력하여 주문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식당 근무자의 영업공간에서 이뤄지는 판매와 관련한 데이터의 체계적이고 일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제2 POS 기기를 제1 POS 기기의 관리하에 둠으로써 종업원의 결제 대금 횡령 등 불미스러운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POS 기기를 제1 POS 기기의 관리하에 둠으로써 제2 POS 기기를 소지하고 있는 종업원의 업무량과 종업원의 이동 경로 즉, 종업원의 동선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여 특정 종업원에게 업무가 몰림으로 인한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POS 기기를 제1 POS 기기의 관리하에 두고 필요한 경우 특정 제2 POS 기기에 매장 관리권한, 고객의 대금결제와 관련한 결제권한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제2 POS 기기 중 일부에 제1 POS 기기 급의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제1 POS 기기 급의 권한을 부여 받은 제2 POS 기기를 소지한 종업원은 식당 근무자의 부재시 식당 근무자를 대리하여 매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넓은 매장의 경우 식당 근무자급의 권한을 가지는 종업원을 둠으로써 식당 근무자는 식당 근무자급 권한을 가지는 종업원과 함께 넓은 매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2 POS 기기는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의 진행상황을 실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IoT 단말(40)은 서버(20)로부터 자신의 주문 내역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conventional order management systems, receiving order information, processing orders, and delivering order results were often performed directly by specific employees. In this case, problems such as a concentration of orders for a specific employee and unnecessary waste of time due to the long movement line of a specific employee often occur. Additionally, in the case of conventional order management systems, there are many cases where individual employees directly make payments. In this case, embezzlement of payment funds by employees, overwork at the counter due to indiscriminate management of cash receipt issuance and low-value card payment details, and difficulties in managing sales-related data may occur. In the case of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ustomers can efficiently manage orders by entering orders directly into the server 20 through the IoT terminal 4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and uniformly manage data related to sales made in the business space of restaurant workers. Additionally, by placing the second POS device under the management of the first POS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pleasant situations such as embezzlement of payment by employees. In addition, by placing the second POS device under the management of the first POS device,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workload of the employee holding the second POS device and the employee's movement path, which prevents work from being concentrated on a specific employee. This can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time. In addition, the second POS device can be placed under the management of the first POS device and, if necessary, store management rights, payment rights related to customer payments, etc. can be granted to a specific second POS device. By granting 1st POS device-level authority to some of the 2nd POS devices, employees holding 2nd POS devices that have been granted 1st POS device-level authority can manage the store on behalf of restaurant workers when the restaurant workers are absent. there is. Additionally, in the case of a large store, by having employees with the authority of a restaurant worker, the restaurant worker can efficiently manage the large store with employees with the authority of a restaurant worker. Additionally, the second POS device may transmit the progress of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in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rough this, the IoT terminal 40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how its order details are progressing from the server 20.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POS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는 제1 POS 기기의 설정 명령에 따라 IoT 단말(40)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제1 POS 기기의 상기 설정 명령에 따라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여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는 제2 POS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를 중간 단말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중간 단말기는 제1 POS 기기가 고장 나거나, 제1 POS 기기가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을 이탈하는 등의 경우에 제1 POS 기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단말기는 상기 식당 근무자의 상기 영업공간이 넓을 경우 식당 근무자의 업무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제1 POS 기기와 함께 제1 POS 기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단말기는 제1 POS 기기의 설정 명령에 따라 상기 중간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제2 POS 기기의 역할이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역할은 예로서 제2 POS 기기의 소지자인 종업원이 담당하는 구역에 대한 역할 배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역할은 제2 POS 기기의 소지자인 상기 종업원이 담당하는 업무에 대한 역할 배분일 수 있다. 상기 종업원이 담당하는 업무는 예로서 생산업무, 전달업무, 요리업무, 결제업무, 운송업무 등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 상기 중간 단말기는 제1 POS 기기의 상기 설정 명령 범위 내에서 제2 POS 기기에 다양한 업무를 배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중간 단말기는 제2 POS 기기 중에서 상기 중간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제2 POS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에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제2 POS 기기 중에서 상기 중간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제2 POS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를 제2 처리 단말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처리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처리 단말기의 식당 근무자는 상기 중간 단말기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주문내역을 처리한다. 상기 주문내역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2 처리 단말기는 상기 중간 단말기에 주문처리완료를 통지한다. 이 경우, 상기 중간 단말기는 상기 제2 POS 기기 중에서 상기 중간 단말기 및 상기 제2 처리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제2 POS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에 처리가 완료된 주문결과물을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도록 통지할 수 있다. 이하 제2 POS 기기 중에서 상기 중간 단말기 및 상기 제2 처리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제2 POS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를 제2 전달 단말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전달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전달 단말기의 식당 근무자는 상기 중간 단말기의 통지에 따라 상기 주문결과물을 상기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among the second POS devices receives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oT terminal 40 according to a setting command of the first POS device, and responds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We can process corresponding orders and payments. Hereinafter,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among the second POS devices that receives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command of the first POS device and processes the order and payment will be referred to as an intermediate terminal. The intermediate terminal may take over the role of the first POS device when the first POS device breaks down or the first POS device leaves the business space of a restaurant worker.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terminal may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role as the first POS device together with the first POS device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staurant worker's work convenience when the restaurant worker's business space is wide. Additionally, the intermediate terminal may be assigned the role of the second POS device other than the intermediate terminal according to a setting command of the first POS device. The role may be, for example, distribution of roles to an area in charge of an employee who is the holder of the second POS device. As another example, the role may be role distribution for tasks handled by the employee who is the owner of the second POS device. The tasks handled by the above-mentioned employees may include, for example, production tasks, delivery tasks, cooking tasks, payment tasks, and transportation tasks. The above examples are for understanding purposes only. 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s, the intermediate terminal may distribute various tasks to the second POS device within the range of the setting command of the first POS device. In other words, the intermediate terminal may transmit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o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among the second POS devices excluding the intermediate terminal. Hereinafter,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among the second POS devices excluding the intermediate terminal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processing terminal. The second processing terminal or a restaurant worker at the second processing terminal processes order details according to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ntermediate terminal. When processing of the order details is completed, the second processing terminal notifies the intermediate terminal of the completion of order processing.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terminal notifies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among the second POS devices, excluding the intermediate terminal and the second processing terminal, to deliver the completed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You can. Hereinafter, among the second POS devices,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among the second POS devices excluding the intermediate terminal and the second processing terminal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delivery terminal. The second delivery terminal or a restaurant worker at the second delivery terminal may deliver the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according to a notification from the intermediate terminal.

IoT 단말(40)을 통한 주문 정보의 수신과 서로 역할이 구별되는 제2 POS 기기를 통한 상기 주문 정보에 대한 주문처리 및 주문결과물 전달을 수행함으로써 식당 근무자는 업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간 단말기를 통해 식당 근무자는 자신의 부재시 또는 넓은 영업 공간에서 업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Restaurant workers can maximize work efficiency by receiving order information through the IoT terminal 40 and processing the order information and delivering order results through a second POS device with distinct roles. In particular, through the intermediate terminal, restaurant workers can effectively manage work in their absence or in a large business space.

제2 POS 기기 중 상기 중간 단말기를 제2-n POS 기기로 정하고, 상기 제2 처리 단말기를 제2-1 POS 기기로 정하고, 상기 제2 전달 단말기를 제2-2 POS 기기로 정하기로 한다. 도면에는 예로서 상기 중간 단말기를 하나만 표현하였으나, 식당 근무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중간 단말기는 복수개가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단말기로서 하나의 제2-n POS 기기를 이용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서술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Among the second POS devices, the intermediate terminal is set as the 2-n POS device, the second processing terminal is set as the 2-1 POS device, and the second delivery terminal is set as the 2-2 POS device. In the drawing, as an example, only one intermediate terminal is shown, but it is obvious that there can be a plurality of intermediate terminals depending on the convenience of the restaurant work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elow, as shown in the drawing, one 2-n POS device will be used as the intermediate terminal. It is obvious that this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rights of the remote ordering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제2-n POS 기기는 제1 POS 기기의 설정 명령에 따라 IoT 단말(40)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일례로, 제2-n POS 기기는 서버(20)에 저장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확인하고 제2-1 POS 기기에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는 제2-n POS 기기를 통하여 제2-1 POS 기기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르게는,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는 서버(20)를 통하여 제2-1 POS 기기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2-n POS 기기는 제2-1 POS 기기에 서버(20)에서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한 후 주문내역을 처리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제2-1 POS 기기 또는 제2-1 POS 기기를 소지한 종업원은 제2-n POS 기기가 전송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주문내역을 처리한다. 상기 주문내역의 처리가 완료되면 제2-1 POS 기기는 제2-n POS 기기에 주문처리완료를 통지한다. 상기 주문처리완료 통지를 받는 제2-n POS 기기는 제2-2 POS 기기에 처리가 완료된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하도록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에 대한 정보는 제2-n POS 기기를 통하여 제2-2 POS 기기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르게는,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에 대한 정보는 서버(20)를 통하여 제2-2 POS 기기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2-n POS 기기는 제2-2 POS 기기에 서버(20)에서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제2-2 POS 기기 또는 제2-2 POS 기기를 소지한 종업원은 제2-n POS 기기가 전송한 상기 전달정보에 따라 상기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한다. 고객의 상기 주문 정보가 복수의 종업원들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할 경우, 제2-n POS 기기는 제2-1 POS 기기 이외에 다른 제2 POS 기기(미도시)에도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주문결과물을 전달하는 과정이 복수의 종업원들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할 경우, 제2-n POS 기기는 제2-1 POS 기기 이외에 다른 제2 POS 기기(미도시)에도 상기 전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POS 기기의 역할을 구분함으로써 제2 POS 기기를 소유하고 있는 종업원은 제2-n POS 기기가 지정한 업무만을 처리하면 된다. 제1 POS 기기에 의하여 권한을 부여 받은 종업원은 제2-n POS 기기를 통하여 각각의 종업원에게 할당한 업무를 확인할 수 있어 상품 판매, 주문 정보처리 등의 정보에 대한 일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식당 근무자는 이후 제2-n POS 기기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아 식당 근무자의 부재시 또는 넓은 영업공간 중 식당 근무자가 담당하는 영업공간 이외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상품 판매, 주문 정보처리 등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제2-n POS 기기를 통한 결제의 진행은 제1 POS 기기를 통한 결제의 진행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The 2-n POS device receives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oT terminal 40 according to the setting command of the first POS device, and can process order processing and paym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 For example, the 2-n POS device may check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20 and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2-1 POS device. In this case,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2-1 POS device through the 2-n POS device. Alternatively,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2-1 POS device through the server 20. At this time, the 2-n POS device may issue a command to the 2-1 POS device to process the order details after receiving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 The 2-1 POS device or an employee holding the 2-1 POS device processes order details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2-n POS device. When the processing of the order details is completed, the 2-1 POS device notifies the 2-n POS device that order processing is complete. The 2-n POS device that receives the order processing completion notification may notify the 2-2 POS device to deliver the completed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In this case, information about the order result that has been processed may be transmitted to the 2-2 POS device through the 2-n POS device. Alternatively, information about the order result that has been processed may be transmitted to the 2-2 POS device through the server 20. At this time, the 2-n POS device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order result that has been processed from the server 20 to the 2-2 POS device and then issue a command to deliver the completed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 The 2-2 POS device or an employee holding the 2-2 POS device delivers the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delivery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2-n POS device. If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must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employees, the 2-n POS device may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to a second POS device (not shown) other than the 2-1 POS device. Similarly, if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order result must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employees, the 2-n POS device may transmit the delivery information to a second POS device (not shown) other than the 2-1 POS device. You can. By distinguishing the roles of the second POS device, the employee who owns the second POS device only has to handle tasks designated by the second-n POS device. Employees authorized by the first POS device can check the tasks assigned to each employee through the second-n POS device, enabling comprehensive management of information such as product sales and order information processing. The restaurant worker then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2-n POS device and manages information such as product sales and order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absence of the restaurant worker or in a space other than the business space handled by the restaurant worker in a large business space. can do. Since the payment process through the 2nd-n POS devic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ayment process through the first POS devic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의 구현 방법은: IoT 단말이, 배달업체에서 배달이 이루어질 때 설정된 배달가능거리 내의 다른 주문자의 주문메뉴인 동반배달메뉴에 대한 배달주문과 함께 배달될 수 있는 주문자메뉴를 선택받아 서버에 배달 요청하는 배달주문 요청 과정; 상기 서버가, 상기 다른 주문자로부터 배달주문 요청된 동반배달메뉴 및 동반배달주소, 상기 IoT 단말로부터 요청된 주문자메뉴 및 주문자배달주소를 단일의 배달 주문으로 한 주문 요청 메시지를 배달기사 단말에 전송하는 배달주문 중계 과정; 및 배달기사 단말이, 상기 주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동반배달메뉴 및 동반배달주소와, 주문자메뉴 및 주문자배달주소를 단일의 배달 주문으로서 표시하는 배달주문 표시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배달주문 요청 과정은: IoT 단말의 위치정보를 주문자 배달 주소로서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위치정보 등록 과정; 주문자로부터 주문메뉴인 주문자메뉴를 입력받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주문자메뉴 전송 과정; 주문자메뉴를 배달해줄 수 있는 배달업체의 목록을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기를 대기하는 수신 대기 과정; 상기 주문자메뉴를 배달해줄 수 있는 배달업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경우, 수신한 배달업체 목록을 표시하는 배달업체 표시 과정; 및 상기 배달업체 목록 중에서 주문자로부터 배달업체를 선택받아 상기 주문자메뉴와 함께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주문자메뉴 주문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배달주문 중계 과정은: 상기 주문자메뉴 전송 과정에 의해 IoT 단말로부터 주문자메뉴가 수신된 경우, 주문자메뉴와 함께 단일의 배달주문이 가능한 동반배달메뉴의 주문을 받은 배달업체가 있는지 검색하는 배달업체 검색 과정; 배달업체가 검색된 경우, 검색된 배달업체의 목록을 상기 IoT 단말에 전송하는 배달업체 제1목록 전송 과정; 상기 배달업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주문자메뉴를 대기후보로 등록하여 주문자메뉴와 함께 배달이 가능한 다른 주문자의 주문을 상기 대기시간 동안 대기하여 다른 주문자의 주문을 받아 배달 가능한 배달업체의 목록을 상기 IoT 단말에 전송하는 배달업체 제2 목록 전송 과정; 및 상기 주문자메뉴 주문 과정에 의해 주문된 주문자메뉴 및 주문자배달주소와, 상기 주문자메뉴와 함께 배달될 수 있는 동반배달메뉴 및 동반배달주소를 단일의 배달 주문으로 하여 주문 요청 메시지를 배달기사 단말에 전송하는 주문 요청 메시지 전송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배달업체 검색 과정은: 상기 배달가능거리 내의 배달업체들 중에서 상기 주문자메뉴와 함께 배달될 수 있는 동반배달메뉴를 주문받은 배달업체를 검색하는 과정이고, 상기 위치정보 등록 과정 후 상기 주문자 메뉴 전송 전에 화면보기 선택을 통하여 대기중인 다른 주문자가 주문한 대기 주문자메뉴를 상기 IoT 단말에 표시하는 화면보기 선택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delivery is made from a delivery company, the IoT terminal is delivered together with a delivery order for the companion delivery menu, which is an order menu from another orderer within the set delivery range. Delivery order request process of selecting a possible orderer menu and requesting delivery to the server; The server transmits an order request message to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using the companion delivery menu and delivery address requested from the other orderer, the orderer menu and the orderer delivery address requested from the IoT terminal as a single delivery order. order relay process; And a delivery order display process in which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receives the order request message and displays the accompanying delivery menu and accompanying delivery address, the orderer menu and the orderer delivery address as a single delivery order, and requesting the delivery order. The process is: a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of registe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as the orderer's delivery address to the server; An orderer menu transmission process of receiving an order menu, which is an order menu, from the orderer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er; A reception waiting process of waiting to receive a list of delivery companies that can deliver the orderer's menu from the server for a set waiting time; When a delivery company capable of delivering the orderer menu is received from the server, a delivery company display process of displaying a list of the received delivery companies; And a customer menu ordering process of selecting a delivery company from the orderer from the list of delivery companies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er along with the orderer menu. The delivery order relay process includes: the orderer menu transmission process from the IoT terminal to the orderer. When a menu is received, a delivery company search process that searches for whether there is a delivery company that has received an order for a companion delivery menu that allows a single delivery order along with the orderer menu; When a delivery company is searched, a delivery company first list transmission process of transmitting the list of searched delivery companies to the IoT terminal; If the delivery company is not searched, the IoT registers the orderer's menu as a standby candidate, waits for the waiting time to receive orders from other orderers who can deliver along with the orderer's menu, and creates a list of delivery companies that can deliver.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econd list of delivery companies to the terminal; And sending an order request message to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by combining the orderer menu and orderer delivery address ordered by the orderer menu ordering process, and the accompanying delivery menu and accompanying delivery address that can be delivered together with the orderer menu as a single delivery order. An order request message transmission process including; wherein the delivery company search process is: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delivery company that has received an order for a companion delivery menu that can be delivered together with the orderer menu among delivery companies within the delivery range, A screen view selection process of displaying a waiting orderer menu ordered by another waiting orderer on the IoT terminal through screen view selection before transmitting the orderer menu aft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It may be characterized as further comprising:

IoT 단말(40)은 배달업체에서 배달이 이루어질 때 설정된 배달가능거리 내의 다른 주문자의 주문메뉴인 동반배달메뉴에 대한 배달주문과 함께 배달될 수 있는 주문자메뉴를 선택받아 서버(20)에 배달 요청을 진행할 수 있다.When delivery is made by a delivery company, the IoT terminal 40 selects an orderer menu that can be delivered along with a delivery order for the accompanying delivery menu, which is an order menu for other orders within the set delivery range, and sends a delivery request to the server 20. You can proceed.

또한 IoT 단말(40)(및/또는 서버(20))은 IoT 단말(40)의 위치정보를 주문자배달주소로서 서버(20)에 등록할 수 있다. 위치정보 등록은, IoT 단말(40)의 GPS 위치 정보가 자동 전송되어 등록될 수 있으며, 또는 배달자가 위치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oT terminal 40 (and/or the server 20) may regist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40 as the orderer delivery address in the server 20. For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40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and registered, or the delivery person may directly input the location information.

그리고, IoT 단말(40)은 주문자로부터 주문메뉴인 주문자메뉴를 입력받아 서버(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주문자메뉴는, 최소주문 단위가 아니더라도 배달이 가능한 메뉴로서, 예컨대, 치킨 반마리, 닭다리 두 개 등과 같이 치친 한마리가 아니더라도 음식을 부분적으로 주문할 수 있는 메뉴이다. 이렇게 입력된 주문자메뉴는 서버(20)에 전송된다.In addition, the IoT terminal 40 can receive an order menu, which is an order menu, from the orderer and transmit it to the server 20. The orderer menu is a menu that can be delivered even if it is not the minimum order unit. For example, it is a menu that allows you to partially order food even if it is not a whole chicken, such as half a chicken or two chicken legs. The orderer menu entered in this way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

주문자메뉴의 전송이 있은 후, IoT 단말(40)은 주문자메뉴를 배달해줄 수 있는 배달업체의 목록을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서버(20)로부터 수신하기를 대기할 수 있다. 즉, 주문자메뉴와 함께 배달이 가능한 동반배달메뉴의 주문을 받은 배달업체의 목록의 수신을 대기시간 동안 대기한다. 이러한 대기시간은 주문자가 설정할 수 있는 시간으로서, 예컨대, 3분, 5분, 10분, 15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수신 대기 과정이 있은 후, 주문자메뉴를 배달해줄 수 있는 배달업체 목록을 대기시간동안 수신하지 못한 경우, 주문자메뉴의 주문을 취소하거나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After transmission of the orderer menu, the IoT terminal 40 may wait to receive a list of delivery companies that can deliver the orderer menu from the server 20 for a set waiting time. In other words, it waits for the waiting time to receive a list of delivery companies that have received orders for companion delivery menus that can be delivered together with the orderer menu. This waiting time is a time that can be set by the orderer, and may be, for example, 3 minutes, 5 minutes, 10 minutes, 15 minutes, etc. After the reception waiting process, if you do not receive a list of delivery companies that can deliver the orderer's menu during the waiting period, you can cancel or extend the order of the orderer's menu.

반면에, 주문자메뉴를 배달해줄 수 있는 배달업체를 서버(20)로부터 수신한 경우, IoT 단말(40)은 수신한 배달업체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delivery company that can deliver the orderer's menu is received from the server 20, the IoT terminal 40 can display the list of the received delivery companies.

배달업체 표시 과정에 있어서, 전체 배달거리가 짧은 순서대로 배달업체를 정렬하거나 대기시간이 오래된 순서데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displaying delivery companies, delivery companies can be sorted in order of shortest total delivery distance or in order of longest waiting time.

예를 들어, 제1 배달업체에서 출발하여 제1주문자의 주문자배달주소로 배달한 후 다른 제2주문자의 주소인 동반배달주소로 배달하고 제1 배달업체로 돌아올 때까지의 거리가 24[km]라 하고, 또한 제2 배달업체에서 출발하여 제1주문자의 주문자배달주소로 배달한 후 다른 제2주문자의 주소인 동반배달주소로 배달하고 제2 배달업체로 돌아올 때까지의 거리가 20[km]라 할 때, 제2 배달업체를 먼저 상위에 표시하고 제1 배달업체를 나중에 표시한다.For example, the distance from the first delivery company to delivery to the order delivery address of the first orderer, delivery to the accompanying delivery address, which is the address of the second orderer, and return to the first delivery company is 24 [km]. Also, the distance from departure from the second delivery company to delivery to the order delivery address of the first orderer, delivery to the accompanying delivery address, which is the address of the second orderer, and return to the second delivery company is 20 [km]. In this case, the second delivery company is displayed first at the top and the first delivery company is displayed later.

상기와 같은 배달업체 표시 과정이 있은 후, 배달업체 목록 중에서 주문자로부터 배달업체를 선택받아 주문자메뉴와 함께 서버(20)에 전송하여 주문자메뉴 주문을 완료하는 과정을 가진다. 예를 들어, 주문자로부터 제2 배달업체를 선택받은 경우, IoT 단말(40)은, 선택한 배달업체의 정보와 주문자메뉴를 서버(20)에 전송한다.After the delivery company display process as described above, a delivery company is selected by the orderer from the list of delivery companies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20 along with the orderer menu to complete the order of the orderer menu. For example, when a second delivery company is selected by the orderer, the IoT terminal 4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delivery company and the orderer menu to the server 20.

한편, 상기에서 주문자 메뉴 전송과정 없이 실시간으로 동반주문자를 기다리는 대기중인 모든 주문 목록을 불러와서 그중에 주문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주문하는 과정을 가질 수 있다. 주문자 중에는 뭘 먹을지 고민하는 케이스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 메뉴 선택 과정을 거치기 보다는 현 대기 중인 주문을 바로 보고 마음에 드는 주문이 있다면 바로 주문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ithout the orderer menu transmission process, a list of all orders waiting for a companion orderer can be retrieved in real time, and the orderer can select a desired menu from among them and place an order. Some orderers may be worried about what to eat, and in this case, rather than going through the menu selection process, the purpose is to allow them to see the currently waiting orders and place an order right away if they like it.

이를 위해 상기에서 설명한 위치정보 등록과정이 있은 후 주문자메뉴 전송 과정이 있기 전에, IoT 단말(40)은, 별도의 화면보기 선택 과정을 추가로 더 가질 수 있다.To this end, aft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described above and before the orderer menu transmission process, the IoT terminal 40 may additionally have a separate screen view selection process.

그리고 IoT 단말(40)은, 화면보기 선택을 통하여 대기중인 다른 주문자가 주문한 대기 주문자메뉴의 표시를 주문자로부터 요청받은 경우, 매칭가능 메뉴인 대기 주문자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가진다. 즉, 모든 메뉴(치킨, 피자, 탕수육 등)중에서 바로 매칭이 가능한 대기 주문자메뉴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불고기 피자 반판, 탕수육 반, 양념 치킨 반마리, 후라이드 치킨 반마리 등과 같이 대기중인 대기 주문자메뉴를 매칭가능 메뉴로서 표시하는 것이다.Additionally, the IoT terminal 40 has a process of displaying the waiting orderer menu, which is a matching menu, when the orderer requests to display the waiting orderer menu ordered by another waiting orderer through the screen view selection. In other words, it displays a waiting orderer menu that can be immediately matched among all menus (chicken, pizza, sweet and sour pork, etc.), for example, half a bulgogi pizza, half a sweet and sour pork, half a seasoned chicken, half a fried chicken, etc. The orderer menu is displayed as a matching menu.

이러한 대기 주문자메뉴를 표시함에 있어서, 필터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치킨 또는 치킨 후라이드 처럼 보고 싶은 메뉴만 볼 수 있게 필터 기능을 가질 수 있다.In displaying this standby orderer menu, a filter function can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view only the menus they want to see, such as chicken or chicken fried food.

IoT 단말(40)은, 원하는 메뉴의 선택이 있은 후, 대기 주문자메뉴 중에서 주문자로부터 선택된 주문자메뉴를 배달해줄 수 있는 배달업체를 서버로부터 수신한 경우, 수신한 배달업체 목록을 표시하는 배달업체 표시 과정을 가진다.When the IoT terminal 40 receives from the server a delivery company that can deliver the orderer menu selected by the orderer from among the waiting orderer menus after selecting the desired menu, the IoT terminal 40 displays a list of the received delivery companies. has

IoT 단말(40)은, 배달업체 목록 중에서 주문자로부터 배달업체를 선택받아 상기 주문자메뉴와 함께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주문자메뉴 주문 과정을 가진다.The IoT terminal 40 has a customer menu ordering process in which a delivery company is selected by the orderer from a list of delivery companies and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long with the orderer menu.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로그인 과정, 위치정보 등록과정, 주문자메뉴 전송 과정, 수신 대기 과정, 배달업체 표시 과정, 주문자메뉴 주문 과정을 거쳐서 배달 주문 요청 과정이 완료되면, 서버(20)가 배달기사 단말(70)에 주문 내용을 중계하는 배달주문 중계 과정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livery order request process is completed through the login process,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orderer menu transmission process, reception waiting process, delivery company display process, and orderer menu order process described above, the server 20 is sent to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 70) has a delivery order relay process that relays the order contents.

배달주문 중계 과정은, 서버(20)가, 상기 다른 주문자로부터 배달주문 요청된 동반배달메뉴 및 동반배달주소, IoT 단말(40)로부터 요청된 주문자메뉴 및 주문자배달주소를 단일의 배달 주문으로 하여 주문 요청 메시지를 배달기사 단말(70)에 전송하는 과정이다.In the delivery order relay process, the server 20 orders the accompanying delivery menu and accompanying delivery address requested by the other orderer, and the orderer menu and orderer delivery address requested from the IoT terminal 40 as a single delivery order. This is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 request message to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70.

이러한 배달주문 중계 과정은, 배달업체 검색 과정, 배달업체 제1목록 전송 과정, 배달업체 제2 목록 전송 과정, 및 주문요청 메시지 전송 과정을 가질 수 있다.This delivery order relay process may include a delivery company search process, a delivery company first list transmission process, a delivery company second list transmission process, and an order request message transmission process.

배달업체 검색 과정은, 주문자메뉴 전송 과정에 의해 IoT 단말(40)로부터 주문자메뉴가 수신된 경우, 주문자메뉴와 함께 단일의 배달주문이 가능한 동반배달메뉴의 주문을 받은 배달업체가 있는지 검색하는 과정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주문자가 간장치킨 반마리를 주문자메뉴로서 주문한 경우, 간장치킨 반마리를 동반배달메뉴로서 주문한 다른 주문자를 가진 배달업체가 있는지를 검색한다. 이러한 배달업체 검색 과정은, 배달가능거리내의 배달업체들 중에서 주문자메뉴와 함께 배달될 수 있는 동반배달메뉴를 주문받은 배달업체를 검색한다.The delivery company search process is a process of searching whether there is a delivery company that has received an order for a companion delivery menu that allows a single delivery order along with the orderer menu when the orderer menu is received from the IoT terminal 40 through the orderer menu transmission process. have For example, when the first orderer orders half a soy sauce chicken as a customer menu, a search is performed to see if there is a delivery company with another orderer who also ordered half a soy sauce chicken as a companion delivery menu. This delivery company search process searches for a delivery company that has received an order for a companion delivery menu that can be delivered together with the orderer's menu among delivery companies within the delivery range.

제1주문자가 배달업체 A로 주문을 시도할 때 배달업체가 설정해 놓은 최대 왕복 배달가능거리(예컨대 20[km]) 내에 다른 주문자인 제2주문자와 매칭된다.When the first orderer attempts to place an order with delivery company A, the order is matched with the second orderer, another orderer, within the maximum round-trip delivery distance (e.g., 20 [km]) set by the delivery company.

제1주문자와 제2주문자가 매칭될 시 총 왕복 배달거리가 20[km]이고, 제1주문자와 제3주문자가 매칭될 시 총 왕복 배달거리가 24[km]라 가정하면, 제1 배달업체로 주문을 시도할 때 제1 배달업체가 설정해 놓은 최대 왕복 배달가능거리 20[km] 밖에 있는 제3주문자와는 매칭되지 않게 된다.Assuming that when the first orderer and the second orderer are matched, the total round-trip delivery distance is 20 [km], and when the first orderer and the third orderer are matched, the total round-trip delivery distance is 24 [km], the first delivery company When attempting to place an order, you will not be matched with a third orderer who is outside the maximum round-trip delivery distance of 20 [km] set by the first delivery company.

또한 제1주문자가 제1 배달업체로 주문을 시도할 때 제1 배달업체가 설정해 놓은 최대 왕복 배달가능거리 20[km]내에서 총 왕복 배달거리가 짧은 순서대로 다른 주문자와 매칭을 시도한다. 이때 배달 가능 메뉴 매칭은 배달 업체에서 설정 가능하도록 한다.Additionally, when the first orderer attempts to place an order with the first delivery company, he or she attempts to match with other orderers in order of shortest total round-trip delivery distance within the maximum round-trip delivery distance of 20 [km] set by the first delivery company. At this time, delivery available menu matching can be set by the delivery company.

한편, 검색결과, 배달업체가 검색된 경우, 검색된 배달업체의 목록을 상기 IoT 단말(40)에 전송하는 배달업체 제1목록 전송 과정을 가진다.Meanwhile, when a delivery company is found as a search result, a first list of delivery companies is transmitted to the IoT terminal 40.

주문자가, 매칭 가능한 주문자가 있는 배달업체를 검색할 경우 총 배달가능거리가 짧은 순서로 실시간 매칭 배달 가능한 배달업체 목록을 생성하여 IoT 단말(40)에 제공한다. 이는 메뉴선택보다 신속한 매칭을 우선할 경우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1 배달업체에는 제1주문자와 제2주문자가 매칭되어 배달요청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총 배달거리는 20[km]이며, 제2 배달업체에는 제1주문자와 제3주문자가가 매칭되어 배달요청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총 배달거리는 18[km]라 할 경우, 따라서 제2 배달업체가 IoT 단말(40)의 화면의 가장 윗단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When an orderer searches for a delivery company with a matching orderer, a list of delivery companies available for real-time matching delivery is created in order of the total possible delivery distance and provided to the IoT terminal 40. This is so that it can be used when quick matching is prioritized over menu selection. For example, a delivery request can be made by matching the first orderer and the second orderer at the first delivery company, and in this case, the total delivery distance is 20 [km], and at the second delivery company, the first orderer and the third orderer are matched. A delivery request can be made, and if the total delivery distance is 18 [km], the second delivery company can b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of the IoT terminal 40.

반면에 검색 결과, 배달업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주문자메뉴를 대기후보로 등록하여 주문자메뉴와 함께 배달이 가능한 다른 주문자의 주문을 대기시간 동안 대기하여 다른 주문자의 주문을 받아 배달 가능한 배달업체의 목록을 IoT 단말(40)에 전송하는 배달업체 제2 목록 전송 과정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livery company is not found in the search results, the orderer's menu is registered as a standby candidate and the order of other orderers who can be delivered along with the orderer's menu is placed on standby during the waiting period, and a list of delivery companies that can receive and deliver orders from other orderers is provided. There may be a second list transmission process of delivery companies that transmits to the IoT terminal 40.

매칭을 위해 미리 설정해 둔 대기시간(예컨대, 5분 이내) 동안 매칭 가능 조건의 다른 주문자의 주문을 기다릴 수 있으며, 해당 대기시간 동안 매칭이 되지 않을 경우 매칭없이 주문을 할 것인지, 주문을 취소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다.For matching, you can wait for orders from other orderers with matching conditions for a preset waiting time (e.g., within 5 minutes). If matching is not possible during the waiting time, you can either place an order without matching or cancel the order. You can set it.

주문 시도 시 원하는 메뉴를 여러 개 선택함으로서 각 메뉴를 주문 시도한 다른 다양한 주문자와 쉽게 매칭될 수 있도록할 수 있다. 이는, 메뉴가 딱히 한가지가 먹고 싶은게 아니고 여러 개 중에서 아무거나 먹어도 상관없는 소비자가 매칭의 확률을 높임으로써, 본 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단점인 주문 시에 실시간으로 매칭을 원하는 다른 소비자가 없는 경우를 보완할 수 있다.By selecting multiple desired menus when attempting to order, you can easily match each menu with other orderers. This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matching for consumers who do not want to eat just one thing on the menu and do not mind eating any of several items, thereby making up for the case where there are no other consumers who want to be matched in real time when ordering,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is system. You can.

또한 주문 시도 시에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지 않음으로써 각 메뉴를 주문 시도한 다른 다양한 주문자와 매칭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메뉴가 딱히 한가지가 먹고 싶은게 아니고 여러 개 중에서 아무거나 먹어도 상관없는 소비자가 매칭의 확률을 높임으로써, 본 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단점인 주문 시에 실시간으로 매칭을 원하는 다른 소비자가 없는 경우를 보완할 수 있다.Additionally, by not selecting the desired menu when attempting to order, it is possible to match with various other orderers who have attempted to order each menu. This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matching for consumers who do not want to eat just one thing on the menu and do not mind eating any of several items, thereby making up for the case where there are no other consumers who want to be matched in real time when ordering,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is system. You can.

한편, 상기와 같이 배달업체 목록 전송이 있으면, 주문자메뉴 주문 과정에 의해 주문된 주문자메뉴 및 주문자배달주소와, 주문자메뉴와 함께 배달될 수 있는 동반배달메뉴 및 동반배달주소를 단일의 배달 주문으로 하여 주문 요청 메시지를 배달기사 단말(70)에 전송하는 주문 요청 메시지 전송 과정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if the list of delivery companies is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the orderer menu and orderer delivery address ordered through the orderer menu ordering process, and the accompanying delivery menu and accompanying delivery address that can be delivered along with the orderer menu are made into a single delivery order. It has an order request message transmission process for transmitting an order request message to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70.

따라서 배달기사 단말(70)은, 수신한 서버(20)를 표시하여, 배달업체가 주문 배달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70 displays the received server 20, allowing the delivery company to deliver the order.

이를 위해 배달기사 단말(70)은, 주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동반배달메뉴 및 동반배달주소와, 주문자메뉴 및 주문자배달주소를 단일의 배달 주문으로서 표시하는 배달주문 표시 과정을 가진다.To this end,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70 has a delivery order display process that receives an order request message and displays the companion delivery menu and companion delivery address, the orderer menu, and the orderer delivery address as a single delivery order.

*배달기사 단말(70)은 배달업체의 위치정보를 서버(20)에 등록하는 과정과, 배달업체의 업체광고정보와 메뉴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가질 수 있다.*The delivery driver terminal 70 may have a process of registering the delivery company'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erver 20 and a process of registering the delivery company's business advertisement information and menu information.

그리고, 배달기사 단말(70)은 배달가능지역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가진다. 배달업체는 배달 가능한 지역을 등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70 has a process of registering information on the delivery area. This is because delivery companies must be able to register areas where they can deliver.

지역 등록 방식은 2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첫째는 주소를 기준으로 특정 주소로 한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울시 관악구까지 지정하거나, 또는 서울시 관악구 북수리까지 지정하거나, 또는 서울시 관악구 북수리의 1~ 300 번지 까지로 지정하여 등록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방식은, 왕복 배달거리 기준으로 등록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왕복 10[km]'로 지정하여 등록할 수 있다.There can be two ways to register a region. The first is to limit it to a specific address based on the address. For example, designate up to Gwanak-gu, Seoul, or Buksu-ri, Gwanak-gu, Seoul, or designate and register addresses from 1 to 300 in Buksu-ri, Gwanak-gu, Seoul. Another method is to register based on the round-trip delivery distance. For example, you can register by specifying 'round-trip 10 [km]'.

이러한 두 가지 배달 가능 지역의 등록 설정은 업체의 판단에 따라 한가지 만 설정할 수도 있고 둘 다 설정할 수도 있다. 참고로, 배달업체 목록 전송 과정에서 배달가능 지역에 주문자가 속해 있어야 한다.Registration settings for these two delivery areas can be set only one or both depending on the company's judgment. For reference, the orderer must belong to a delivery area during the delivery company list transmission process.

그 후, 서버(20)로부터 배달주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배달 주문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여 배달업체 관리자로부터 승인된 경우 배달 주문 오더를 출력하여 배달이 이루어진다. 만약, 배달업체 관리자로부터 배달 주문 승인되지 않으면, 배달 불가 사유를 선택하여 서버(20)에게 전송하고, 서버(20)는 IoT 단말(40)에 이를 중계한다.Afterwards, when a delivery order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rver 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livery order is approved, and if approved by the delivery company manager, the delivery order order is printed and delivery is performed. If the delivery order is not approved by the delivery company manager, the reason for non-delivery is se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20, and the server 20 relays this to the IoT terminal 40.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동작2. Opera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호 배척되지 않는 한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또 다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Below,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bove technical idea.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 whole or in part to form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mutually exclusive, and this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understood.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절의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의되지 않은 동작, 기능, 용어 등은 제 1 절의 내용들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설명될 수 있다.The contents of Section 1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For example, operations, functions, terms, etc. that are not defin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and explained based on the contents of Section 1.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A/B/C는 A 및/또는 B 및/또는 C를 의미할 수 있다.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descrip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C may mean A and/or B and/or C.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A 초과/이상인 것은 A 이상/초과인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descrip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eater than/above A may be replaced with greater than/above A.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B 미만/이하인 것은 B 이하/미만인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descrip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ess than/less than B may be replaced with less than/less than B.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메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매장에서 판매/제공되는 및/또는 판매/제공될 수 있는 물품 및/또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숍의 경우, 해당 커피숍에서 제공되는 음료 (예를 들어,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에스프레소, 콜드브루, 에이드, 허브티 등) 및/또는 기타 디저트 중 하나 이상이 메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의 경우, 해당 음식점에서 판매/제공되는 음식의 종류 중 하나 이상이 메뉴가 될 수 있다.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descrip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refers to items that are sold/provided and/or can be sold/provided at a store where the method for providing an orde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nd/or servic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ffee shop, the menu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beverages (e.g., Americano, cafe latte, espresso, cold brew, ade, herbal tea, etc.) and/or other desserts served at the coffee shop. there i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estaurant, one or more types of food sold/offered at the restaurant may be a menu.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매장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과 관련된 서비스 및/또는 서비스 플랫폼에 가입된 매장 및/또는 가맹 매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에는 IoT 단말(40)이 설치/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과 관련된 서비스 및/또는 서비스 플랫폼에 가입된 것으로 외부의 IoT 단말(40)에 의하여도 서비스 요청/주문 요청 등을 받는 매장이라면 포함될 수 있다.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descrip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e includes a store and/or an affiliated store subscribed to a service and/or service platform related to a method for providing an orde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o. For example, an IoT terminal 40 may be installed/furnished in a store, bu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ervices and/or services related to a method of providing an order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store that has subscribed to the platform and receives service requests/order requests, etc. from an external IoT terminal 40 may be includ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40)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매장 내에 설치되는 IoT 단말과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가 설명되나,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들도 단말이 될 수 있다.Below, an IoT terminal and an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 installed in a stor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IoT terminal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ut other devices that perform similar functions are also described. It can be a termina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서버가 설명되나,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들도 서버가 될 수 있다.Below, a server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serv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other devices that perform similar functions may also be servers.

예를 들어, 단말/서버는 개인 휴대 단말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개인 통신 서비스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폰, WCDMA (Wideband CDMA) 폰, MBS (Mobile Broadband System) 폰, 스마트 (Smart) 폰 또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MM-MB: Multi Mode-Multi Band)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또는, 단말/서버는 PC, 노트북 PC, 핸드헬드 PC (Hand-Held PC), 태블릿 PC (tablet PC), 울트라북 (ultrabook), 슬레이트 PC (slate PC),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 컨트롤 신호에 의해 비행하는 비행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HMD는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HMD는 VR 또는 AR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server may includ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cellular phone,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phone, a Global System for Mobile (GSM) phone, a wideband CDMA (WCDMA) phone, It may be an MBS (Mobile Broadband System) phone, a smart phone, or a multi-mode multi-band (MM-MB: Multi Mode-Multi Band) terminal. Alternatively, the terminal/server may be a PC, laptop PC, hand-held PC, tablet PC, ultrabook, slate PC,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or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navigation, wearable devices (e.g., watch type terminal (smartwatch), glass 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For example, a drone is a wireless device without a person riding it. It may be an aircraft that flies by control signals. For example, an HMD may be a display device worn on the head. For example, an HMD may be used to implement VR or AR.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이하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장치가 이용하는 정보/장치가 출력/표시하는 정보 등은 장치가 직접 식별/획득한 정보이거나,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이거나, 서버 및/또는 기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 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descrip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the information used by the device/information output/displayed by the device, etc. is information directly identified/obtained by the device, or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included in the device. It may be information, or it may be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received from a server and/or other external devices.

2.1. 서비스 제공 동작2.1. Service provision behavior

이하의 설명에서는 IoT 단말(40)로부터 서비스 요청 정보를 획득한 서버(20)가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함을 전제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로부터 서비스 요청 정보를 획득한 IoT 단말(40)가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서버(20) 및/또는 IoT 단말(40) 각각이 직접 서비스 요청 정보를 획득(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하여,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IoT 단말(40)들 및/또는 복수의 서버(20)들이 마련되어, 복수의 IoT 단말(40)들 및/또는 복수의 서버(20)들 간에 서비스 요청 정보 송수신 및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과 관련된 동작이 각 동작 별로 분배되어, 별개로 실시될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 server 20, which has obtained servic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IoT terminal 40, performs an operation related to a response to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oT terminal 40 that obtains servic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 may perform an operation related to a response to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server 20 and/or the IoT terminal 40 directly obtains service request information (e.g., input directly from the user),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You can also perform actions related to the response.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oT terminals 40 and/or a plurality of servers 20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IoT terminals 40 and/or a plurality of servers 20 are provided. Operations related to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request information and responding to service request information may be distributed to each operation and performed separate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로봇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에 수납된 객체를 적외선 센서부를 통해 표면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surface tilt of an object stored in a storage unit through an infrared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로봇(50)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310), 상기 IoT 로봇(50)의 위치 이동을 위한 구동부(320), 주방에서 조리된 음식(및/또는 식기류, 기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330), 상기 수납부(330) 내부의 상측에 구비된 적외선 센서부(340),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35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IoT 로봇(5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36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330)는 운반 대상 객체(예를 들면, 음식을 담은 용기와 조리된 음식, 기타 식기류 등)를 수납할 수 있다.The IoT robo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driving unit 320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IoT robot 50, food cooked in the kitchen (and/or a storage unit 330 capable of storing (tableware, other items), an infrared sensor unit 34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unit 330, a memory 350 for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the at least one It may include a processor 360 that controls the IoT robot 50 by executing instructions. The storage unit 330 may store objects to be transported (eg, containers containing food, cooked food, and other tableware).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IoT 로봇(50)은 조리된 음식 및 음식을 담는 용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미도시) 및/또는 조명이나 소리로 알람을 형성하는 알람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 센서는 수납부(330) 하부에 내삽(및/또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무게 센서는 압전 센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압전 센서는 압전 효과를 사용하여 압력, 가속도, 온도, 변형 및/또는 힘의 변화를 전하로 변환하여 측정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무게 센서로 활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IoT robot 5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ight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the weight of the cooked food and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and/or an alarm unit (not shown) that generates an alarm with light or sound. More may be included. The weight sensor may be interpolated (and/or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unit 330. Additionally, the weight sensor may correspond to a piezoelectric sensor. At this time, the piezoelectric sensor may include a device that converts and measures changes in pressure, acceleration, temperature, strain, and/or force into electric charges using the piezoelectric effect.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sensors that can measure weight can be used as weight sensors.

IoT 로봇(50)의 무게 센서는 수납부(330) 내부에 올려진 객체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무게 센서는 객체가 수납부(330) 내부에 수납된 경우, 가해지는 압력, 힘 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물리량(예를 들면,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를 수납하는 방법은 매장 내에 존재하는 직원이 객체를 IoT 로봇(50)의 수납부(330)에 넣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The weight sensor of the IoT robot 50 can detect the weight of the object placed inside the storage unit 330. When an object is stored inside the storage unit 330, the weight sensor can measure a physical quantity (eg, weight) by converting applied pressure, force, etc. into an electrical signal. Here, the method of storing the object can be accomplished by having an employee present in the store place the object into the storage unit 330 of the IoT robot 50.

IoT 로봇(50)의 무게 센서(미도시)는 객체의 무게를 감지하고, 객체의 수납 신호를 프로세서(36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의 수납 신호는 객체의 무게 정보(예를 들어, 음식 500g, 그릇 800g), 객체에 포함된 음식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객체는 음식, 식기류, 기타 물품 등일 수 있다.The weight sensor (not shown) of the IoT robot 50 can detect the weight of the object and transmit a signal for storing the object to the processor 360. For example, the storage signal of the object may include weight information of the object (eg, 500g of food, 800g of bowl) and information about the food included in the object. At this time, the object may be food, tableware, or other items.

IoT 로봇(50)의 프로세서(360)는 서버(20)로부터 고객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고객 주문 정보는 고객이 주문한 음식, 주문을 요청한 시간,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 번호 및 위치 및 고객의 인원 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 번호는 매장의 테이블 배치에 기초하여 매장의 복수의 테이블들 각각에게 부여된 소정의 숫자일 수 있다.The processor 360 of the IoT robot 50 may receive customer ord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 Customer order information may include the food ordered by the customer, the time the customer requested the order, the table number and location where the customer is seated, and the number of customers. Here, the table number may be a predetermined number assigned to each of a plurality of tables in the store based on the table arrangement of the store.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360)는 적외선 발광 신호를 적외선 센서부(34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부(340)는 적외선 발광 신호를 수신하면, 적외선 발광부를 통해 객체를 향해 발광 적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단계 S005). Referring to FIG. 4, the processor 360 may transmit an infrared light emission signal to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When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receives an infrared light emitting signal, it may emit infrared light toward the object through the infrared light emitting unit (step S005).

도 4의 (a)를 살펴보면, 적외선 발광부는 적외선을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발광 신호를 수신한 시점은 IoT 로봇(50)이 객체를 수납하고 움직이기 전의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Looking at (a) of FIG. 4, the infrared light emitting unit may emit infrared light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the time at which the infrared light-emitting signal is received may correspond to the time before the IoT robot 50 stores and moves the object.

적외선 센서부(340)에 포함된 적외선 수광부는 적외선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발광 적외선이 객체로부터 반사된 반사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The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included in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may detect reflected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unit and reflected from an object.

적외선 센서부(340)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객체에 포함된 음식의 표면의 복수의 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지점은 음식의 표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부(340)는 음식의 표면에 위치한 100개의 지점에 대하여 적외선을 발광하고, 반사된 적외선을 감지하여, 각각 100개의 지점에 대하여 적외선 센서부(340)로부터 해당 지점까지 거리를 각각 지점별로 산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부(340)가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지점은 100개의 지점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복수의 지점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infrared sensor unit 340 may measure the distance from the infrared sensor to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surface of food included in the object. A plurality of points may refer to a plurality of point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food. For example,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emits infrared rays at 100 point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food, detects the reflected infrared rays, and determines the distance from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to the corresponding point for each 100 points. can be calculated for each point. The plurality of points from which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measures the distance may correspond to 100 points, but the number of points is not limited to this.

프로세서(360)는 고객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수납부(330)에 수납된 음식에 국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물이 포함된 음식인 국물류 음식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고객에 의해 주문된 음식이 '곱창 전골', '부대찌개', '해물라면', '쌀국수', '김치찌개' 및 '된장찌개' 등에 해당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비국물류 음식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고객에 의해 주문된 음식이 '두부김치', '크림 리조또', '팟타이', '비빔밥' 등에 해당하는 경우일 수 있다.The processor 360 may determine whether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includes soup based on customer order information. For example, if it is judged to be a soup-type food that contains soup, the food ordered by the customer is 'Gopchang hotpot', 'Budae stew', 'Seafood ramen', 'rice noodles', 'kimchi stew', and This may be the case for ‘soybean paste stew’, etc. Additionally, in cases where it is judged to be a non-soup food, the food ordered by the customer may be 'tofu kimchi', 'cream risotto', 'pad thai', 'bibimbap', etc.

적외선 센서부(340)는 프로세서(360)에게 거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거리 정보는 복수개의 지점 각각에 대하여 산출된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rared sensor unit 340 may transmit distance information to the processor 360. Distance information may include a distance calculat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points.

프로세서(360)는 객체에 포함된 음식이 국물류의 음식으로 판단되는 경우, 객체의 표면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적외선 센서부(340)으로부터 수신한 거리 정보에 기반하여 객체의 표면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객체의 표면 기울기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4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f the food contained in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a soup-type food, the processor 360 may calculate the surface slope of the object in real time. The processor 360 may calculate the surface slope of the object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surface slope of an object will be expla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프로세서(360)는 객체에 포함된 음식이 비국물류의 음식으로 판단되는 경우, 객체의 분산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평한 그릇에 음식이 담겨있는 경우, 적외선 센서부(340)를 통해 적외선을 감지함으로써, IoT 로봇(50)이 이동하기 전의 음식의 분산도를 산출하고, IoT 로봇(50)이 이동을 시작한 후에 실시간으로 음식의 분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음식의 분산도를 산출하는 경우, 적외선 센서부(340)은 객체의 중심부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거리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점에 대해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복수의 지점에 대한 거리에 기반하여 음식의 분산도를 산출할 수 있다.If the food included in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non-soup type food, the processor 360 may calculate the dispersion degree of the object in real time. For example, when food is placed in a flat bowl, the dispersion of the food before the IoT robot 50 moves is calculated by detecting infrared rays through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and the IoT robot 50 moves. After starting, you can calculate the dispersion of food in real time. When calculating the dispersion of food,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measures the distance to a plurality of points located within a preset radius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object, and based on the distance to the measured plurality of points,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food. The degree of dispersion can be calculated.

프로세서(360)는 객체의 표면 기울기나 음식의 분산도에 기반하여 구동부(32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객체에 포함된 음식이 국물류인 경우, 프로세서(360)는 음식의 표면 기울기에 기반하여 IoT 로봇(5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객체에 포함된 음식이 비국물류인 경우, 프로세서(360)는 음식의 분산도에 기반하여 IoT 로봇(5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360 may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driving unit 320 based on the surface inclination of the object or the degree of dispersion of the food. Specifically, when the food included in the object is soup, the processor 360 may control the movement speed of the IoT robot 50 based on the surface inclination of the food. If the food included in the object is a non-soup product, the processor 360 may control the movement speed of the IoT robot 50 based on the degree of dispersion of the food.

이를 통해, 본발명의 IoT 로봇(50)은 국물류 및/또는 비국물류의 음식을 그릇을 담은 용기 밖으로 흘리지 않고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고객의 음식에 대한 만족도 및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식점의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IoT robo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soup and/or non-soup food to customers without spilling it out of the container. Through this process, customers' satisfaction with food and quality of service can be improved, and restaurant sales can be increased.

도 4를 참조하여, IoT 로봇(50)의 수납부(330) 내부에 객체가 수납된 경우, 객체에 포함된 음식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여기서 객체는 국물류의 음식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when an object is stored inside the storage unit 330 of the IoT robot 50, we will look in detail at a method of calculating the tilt of the food contained in the object. Here, the object may include soup-type food.

도 4의 (a)는 IoT 로봇(50)이 움직이기 전의 객체의 모습을 나타낸다. 적외선 센서부(340)는 프로세서(360)로부터 적외선 발광 신호를 전달받고(S004), 객체를 향해 발광 적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S005).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로봇(50)이 움직이기 전이므로, 객체에 포함된 음식의 표면 기울기가 0에 수렴할 수 있다.Figure 4(a) shows the appearance of the object before the IoT robot 50 moves.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may receive an infrared light emitting signal from the processor 360 (S004) and emit infrared light toward an object (S005). As shown in (a) of FIG. 4, since the IoT robot 50 is before moving, the surface slope of the food included in the object may converge to 0.

이 때, 적외선 센서부(340)가 음식의 표면 기울기를 산출하는 방법은, 적외선 센서부(340)가 복수개의 지점을 향해 발광 적외선을 발광하고, 반사 적외선을 감지하여 적외선 센서로부터 복수개의 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지점은 음식의 표면 중 그릇과 맞닿은 부분들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복수개의 지점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거리 중 적외선 센서부(340)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과, 가장 멀리 있는 지점을 특정할 수 있다. 가장 가까운 지점은 음식의 표면의 높이가 가장 높은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가장 멀리 있는 지점은 음식 표면의 높이가 가장 낮은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thod by which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calculates the surface slope of the food is that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emits luminous infrared rays toward a plurality of points, detects reflected infrared rays, and moves from the infrared sensor to a plurality of points. The distance can be measured. Here, the plurality of points may correspond to portions of the surface of the food in contact with the bowl. The processor 360 may specify the closest point and the farthest point from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among the distances measur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oints. The nearest point may correspond to the point where the surface of the food is highest. Additionally, the furthest point may correspond to the point at which the height of the food surface is lowest.

다른 예로, 적외선 센서부(340)는 복수의 음식 표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적외선 발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적외선 발광부 각각은 상기 수납부(33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아래 수직 방향으로 적외선을 발광하는 위치 및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적외선 발광부 각각을 이용하여 아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발광되는 적외선이 반사된 신호를 수집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센서부(340)는 상기 복수의 적외선 발광부의 아래에 위치하는 음식 표면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적외선 센서부(340)는 상기 복수의 적외선 발광부 각각을 통하여 측정되는 복수의 음식 표면 높이를 산출(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frared light emitting units (not shown) for measuring the height of a plurality of food surfaces. Each of the plurality of infrared light emitting units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unit 330 at a position and direction to emit infrared rays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By collecting signals reflected by infrared rays emitted vertically downward using each of the plurality of infrared light emitting units,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measures the height of the food surface located below the plurality of infrared light emitting units. You will be able to. Through this,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can calculate (and/or obtain) a plurality of food surface heights measured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infrared light emitting units.

프로세서(360)는 상기 복수의 음식 표면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수납부(330)에 수납된 음식이 국물류(soup category)인지 비국물류(non-soup category)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360)는 상기 복수의 음식 표면 높이 중에서 가장 높은 음식 표면 높이와 가장 낮은 음식 표면 높이를 식별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음식 표면 높이(예; 가장 음식의 높은 지점(B)의 높이)와 가장 낮은 음식 표면 높이(예; 가장 낮은 지점(C)의 높이)에 기반하여 상기 수납부(330)에 수납된 음식의 표면(즉, 음식 표면)의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60)는 음식 표면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음식 표면 기울기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330)에 수납된 음식을 비국물류로 판단하고, 상기 음식 표면의 기울기가 상기 기 설정된 음식 표면 기울기 기준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수납부(330)에 수납된 음식을 국물류로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360 may determine whether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is a soup category or a non-soup category by considering the surface heights of the plurality of foods. As an example, the processor 360 may identify the highest food surface height and the lowest food surface height among the plurality of food surface heights, including the highest food surface height (e.g., the height of the highest food point B). ) and the lowest food surface height (e.g., the height of the lowest point (C)), the slope of the surface of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i.e., the food surface) can be calculated. For example, if the inclination of the food surface exceeds the preset food surface inclination standard, the processor 360 determines that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is a non-soup food, and the inclination of the food surface exceeds the preset food surface inclination standard. If the slope of the food surface is less than the standard,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can be judged to be soup.

또한 서버(20) 및/또는 IoT 로봇(50)에 상기 수납부(330)에 수납된 음식이 국물류인지 또는 비국물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정보와 상기 프로세서(360)가 매칭(일치)되는 비율이 소정의 임계 비율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음식 표면 기울기 기준을 재설정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음식 표면 기울기 기준의 재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20)에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is soup or non-soup is input to the server 20 and/or IoT robot 50, the information and the processor 360 When the matching rate become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te, the preset food surface slope standard may be reset, or a message requesting resetting the preset food surface slope standard may be delivered to the server 20.

그 다음으로, 프로세서(360)는 IoT 로봇(50)이 움직이기 전의 음식 표면의 중앙 지점(A)을 기준으로 하여, 적외선 센서부(340)를 통해 파악된 가장 음식의 높은 지점(B) 및 높이가 가장 낮은 지점(C)을 2차원 상에서 직선으로 연결하였을 때의 기울기를 산출하고, 해당 기울기를 음식 표면의 기울기로 인식할 수 있다.Next, the processor 360 uses the central point (A) of the food surface before the IoT robot 50 moves as a reference, the highest point (B) of the food identified through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and The slope when the point with the lowest height (C) is connected with a straight line in two dimensions is calculated, and the slope can be recognized as the slope of the food surface.

프로세서(360)는 적외선 센서부(340)로부터 실시간으로 복수개의 지점에 대한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거리 정보에 기반하여 객체에 포함된 음식 표면의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The processor 360 can receive distance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points in real time from the infrared sensor unit 340, and calculate the slope of the surface of the food included in the object in real time based on the received distance information.

도 4의 (b)는 IoT 로봇(50)이 가속하여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에서의 객체의 모습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60)는 음식의 표면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구동부(320)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Figure 4(b) shows the object when the IoT robot 50 is accelerating and moving (toward the right).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60 may reduce the moving speed of the driving unit 320 when the surface slope of the food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구체적으로, 음식의 표면 기울기가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식의 표면이 오른쪽 아래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프로세서(360)는 음식의 표면의 기울기를 음(minus)의 기울기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때, 해석된 음식 표면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프로세서(360)는 구동부(320)의 이동 속도를 음식의 표면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제1 기울기에 해당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구동부(320)의 이동 속도를 해석된 음식의 표면의 기울기(예를 들어, -30), 기 저장된 IoT 로봇(50)의 무게, 무게 센서를 통해 측정한 객체의 무게, 현재 IoT 로봇(50)의 이동 속도 및 가속도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b) of FIG. 4, the surface of the food is tilted downward to the right, so the processor 360 interprets the surface slope of the food as having a negative slope. can do. At this time, if the analyzed slope of the surface of the food corresponds to a preset standard value or less, the processor 360 may control the moving speed of the driving unit 320 so that the slope of the surface of the food corresponds to the preset first slope. . The processor 360 uses the movement speed of the driving unit 320 to determine the slope of the surface of the food (for example, -30), the previously stored weight of the IoT robot 50, the weight of the object measured through the weight sensor, and the current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movement speed and acceleration of the IoT robot 50.

반대로, 도 4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식의 표면의 기울기가 양(plus)의 기울기로 해석되는 경우, 프로세서(360)는 구동부(320)의 이동 속도를 음식의 표면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제2 기울기가 되도록 구동부(320)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구동부(320)의 이동 속도를 해석된 음식의 표면의 기울기(예를 들어, +45), 기 저장된 IoT 로봇(50)의 무게, 무게 센서를 통해 측정한 객체의 무게, 현재 IoT 로봇(50)의 이동 속도 및 가속도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식 표면의 기울기에 기반하여 이동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IoT 로봇(50)의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하고 급격한 속도 변화를 감소시킨다. 또한, 객체에 포함된 음식의 내용물을 트레이에 흘리지 않고 고객에게 빠르게 전달할 수 있으며,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Conversely, as shown in (c) of FIG. 4, when the slope of the surface of the food is interpreted as a positive slope, the processor 360 determines the moving speed of the driving unit 320 based on the slope of the surface of the food. The moving speed of the driving unit 320 may be increased to reach the set second slope. The processor 360 determines the movement speed of the driving unit 320 by calculating the slope of the surface of the food (e.g., +45), the previously stored weight of the IoT robot 50, the weight of the object measured through the weight sensor, and the current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movement speed and acceleration of the IoT robot 50.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ly controls the speed of the IoT robot 50 and reduces sudden speed changes by controlling the movement speed based on the inclination of the food surfac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food contained in the object can be quickly delivered to the customer without spilling it on the tray, and the customer's service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과 서버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operating an IoT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operating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erv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S301, S401, S501에서, IoT 단말은 서비스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서버는 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5 to 7, in operations S301, S401, and S5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may transmit service request information, and the server may receive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요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서비스/메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요청은 IoT 단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 방식이 터치 입력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2에서 설명된 입/출력부로부터 획득 가능한 모든 입력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ice request may be information requesting provision of a service/menu through a service provision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ice request may be generated based on a user's touch input on a user input interface of an IoT terminal. However, the user's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ouch input, and any input method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input/output unit described in FIG. 2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요청은 고객 ID(identifier) (또는 사용자 I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 ID는 IoT 단말 및/또는 IoT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고객 및/또는 서버가 운용하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 가입된 사용자/고객에 대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단말 및/또는 상기 IoT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고객 및/또는 서버가 운용하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 가입된 사용자/고객 별로 서로 다른 고객 ID 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 ID 정보는 IoT 단말이 서버에게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서비스/메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정보로 이해되거나 및/또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서비스/메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정보에 대응되거나 및/또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서비스/메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정보에 포함되거나 및/또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서비스/메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정보에 추가로 및/또는 별개로 송신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request may include a customer ID (identifier) (or user 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er ID may b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n IoT terminal and/or a user/customer using the IoT terminal and/or a user/customer subscribed to a service provision platform operated by a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customer ID information may be assigned to each IoT terminal and/or each user/customer using the IoT terminal and/or a user/customer subscribed to a service provision platform operated by the server.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stomer ID information is understood as information requesting that an IoT terminal provide a service/menu to a server through a service provision platform and/or provide a service/menu through a service provision platform. Information that corresponds to information requested to be provided and/or is included in information requesting provision of a service/menu through a service provision platform and/or information requesting provision of a service/menu through a service provision platform It may be transmitted in addition to and/or separat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요청은 매장 ID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 ID 는 IoT 단말이 설치/마련된 및/또는 IoT 단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메뉴를 제공할 것을 요청한 매장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운용하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 가입된 매장 별로 서로 다른 매장 ID 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 ID 정보는 IoT 단말이 서버에게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서비스/메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정보로 이해되거나 및/또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서비스/메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정보에 대응되거나 및/또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서비스/메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정보에 포함되거나 및/또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서비스/메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정보에 추가로 및/또는 별개로 송신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request may include a store I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e ID is an identification for identifying the store where the user requested to provide a menu based on the user's touch input on the user input interface of the IoT terminal and/or where the IoT terminal is installed/equipped. It could be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store ID information may be assigned to each store subscribed to the service providing platform operated by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 ID information is understood as information requesting that the IoT terminal provide a service/menu to the server through a service provision platform and/or provide a service/menu through a service provision platform. Information that corresponds to information requested to be provided and/or is included in information requesting provision of a service/menu through a service provision platform and/or information requesting provision of a service/menu through a service provision platform It may be transmitted in addition to and/or separat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503 에서, 서버는 추천 메뉴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고객 정보와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추천 모델로 입력하고, 추천 모델의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메뉴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In operation 5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obtain a recommended menu li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input input information including customer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into a recommendation model and obtain a recommended menu list based on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recommendation mod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 정보는 고객 ID 에 대응되는 고객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단말 및/또는 IoT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고객 및/또는 서버가 운용하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 가입된 사용자/고객 별로 서로 다른 고객 ID 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단말 및/또는 IoT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고객 및/또는 서버가 운용하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 가입된 사용자/고객 별 대응되는 고객 정보가 고객 ID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고객 ID 에 기초하여 고객 정보가 검색/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ID 에 대응되는 고객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정보는 고객의 생년월일, 성별, 이메일, 휴대폰, 주소를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와 상기 고객의 서비스 요청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고객의 선호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customer ID information may be given to each IoT terminal and/or user/customer using the IoT terminal and/or user/customer subscribed to the service provision platform operated by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stom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user/customer subscribed to the service provision platform operated by the IoT terminal and/or the user/customer using the IoT terminal and/or the server is classified and stored by customer ID. It can be done, and customer information can be searched/obtained based on customer ID. For example, custom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D included i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or example, customer information may include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the customer's date of birth, gender, email, mobile phone, and address, and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s preferred menu obtained based on the customer's service request histo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 정보는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운용하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 가입된 매장 별로 서로 다른 매장 ID 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운용하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 가입된 매장 별 대응되는 매장 정보가 매장 ID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매장 ID 에 기초하여 매장 정보가 검색/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정보는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매장의 주소, 매장에 대한 후기,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의 주문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매장에서의 인기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인 매장인 경우) 종업원/직원에 대한 평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included i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store ID information may be assigned to each store subscribed to the service providing platform operated by the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tore subscribed to a service provision platform operated by a server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by store ID, and store information can be searched/obtained based on the store ID. . For example,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included i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or example, store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popular menus in the store obtained based on the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in the store, the address of the store, reviews about the store, and the order histor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in the store. may include, and (in the case of a manned store)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evaluation of employees/employe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 정보, 매장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고객들 각각의 고객 정보가 복수의 고객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복수의 고객 ID 들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매장들 각각의 매장 정보가 복수의 매장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복수의 매장 ID 들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stomer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ased on a datab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stomer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customers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ustomer IDs to identify each of the plurality of custom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stores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a plurality of store IDs for ident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를 요청하는 고객의 식별 정보인 고객 ID 에 따라 검색함에 기초하여 고객 ID 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를 요청하는 대상이 된 매장의 식별 정보인 매장 ID 에 따라 검색함에 기초하여 매장 ID 에 대응하는 매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obtain custom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D based on searching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customer ID, which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er requesting the service, included i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obtains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based on a search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store ID, which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ore for which service is requested, included i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정보는 고객 정보와 매장 정보 외 기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타 정보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가 수신된 시간 대 (예를 들어, 일정 총 시간 구간이 일정 시간 크기로 분할된 복수의 시간 대들 중 서비스 요청 정보가 수신된 시점이 포함되는 시간 대일 수 있음. 예를 들어, 오전/오후/저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예를 들어, 해당 시간 대에 대응되는 인기 메뉴를 식별함에 사용될 수 있음), 서비스 요청 정보가 수신된 시점 및/또는 서비스 요청 정보가 수신된 시점에 기초하여 획득 가능한 서비스 제공 예상 시점 (예를 들어, 서비스 요청 정보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메뉴가 제공되는데 필요한 평균 시간이 더해진 시점) 에서의 날씨 및/또는 예상 날씨 (예를 들어, 맑음, 흐림, 비, 소나기, 번개, 눈, 우박 등. 예를 들어, 해당 날씨 및/또는 예상 날씨에 대응되는 인기 메뉴를 식별함에 사용될 수 있음)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information in addition to customer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For example, other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ime zone in which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was received (e.g., the number of time zones that include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was received among a plurality of time zones in which a certain total time section is divided into a certain time size. (For example,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morning/afternoon/evening. For example, it may be used to identify popular menus corresponding to that time period), when servic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and/or service Weather and/or expected weather (e.g., the average time required for the menu to be provided from the time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plus the average time required to provide the menu) based on the time th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or example, clear, cloudy, rain, showers, lightning, snow, hail, etc. For example, it may be used to identify popular menus corresponding to the weather and/or expected wea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고객 정보, 매장 정보 또는 기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추천 모델에 입력 가능하도록 변환 (예를 들어, 행렬 변환) 하여 추천 모델이 입력하고, 그에 대한 출력에 기초하여 추천 메뉴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transforms (e.g., matrix transforms) input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customer information, store information, or other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input to the recommendation model, and the recommendation model inputs it, Based on the output, a recommended menu list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정보가 추천 모델에 입력됨에 따라, 복수의 고객들 중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ID 에 대응되는 고객의 추정 선호도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이 획득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pu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recommendation model,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related to the estimated preference of the customer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D included i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customers may be obtained.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의 추정 선호도 및/또는 고객의 추정 선호도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은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을 포함하는 복수의 매장들 (예를 들어, 서버에 의하여 운용/제어되는 모든 매장들 및/또는 서버에 의하여 운용/제어되는 모든 매장들 중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과 동일한 종류의 매장들 (예를 들어,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이 음식점인 경우, 서버에 의하여 운용/제어되는 모든 매장들 중 음식점이 선택될 수 있음. 다른 예시로,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이 특정 종류의 음식점 (예를 들어, 한식 음식점, 일식 음식점, 중식 음식점, 인도 요리 음식점, 분식점, 패스트푸드점, 이자까야, 와인바, 프랜차이즈 패밀리 레스토랑 등) 인 경우, 동일한 특정 종류의 음식점이 선택될 수 있음) 및/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에 가입된 모든 매장들/모든 매장들 및/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에 가입된 모든 매장들/모든 매장들 중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과 동일한 종류의 매장들) 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메뉴들에 대하여 각각 할당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er's estimated preference and/or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related to the customer's estimated preference are stored in a plurality of stores including a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included i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e.g. For example, among all stores operated/controlled by the server and/or among all stores operated/controlled by the server, stores of the same type as th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e.g., stores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In the case of this restaurant, the restaurant may be selected among all stores operated/controlled by the server. As another example, th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is a specific type of restaurant (e.g., Korean restaurant, Japanese restaurant, Chinese restaurant). (restaurant, Indian restaurant, snack bar, fast food restaurant, izakaya, wine bar, franchise family restaurant, etc.), the same specific type of restaurant may be selected) and/or on th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ple stores provided by all registered stores/all stores and/or all stores/all stores registered to th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of the same type as th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Can be assigned to each of the men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매장들 중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이 획득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may be obtain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menus that can be provided at a store corresponding to a store ID included i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tor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 메뉴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과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 메뉴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과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매장들 중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be obtained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and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mended menu list i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and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and stores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included i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stores. It may include one or more menu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i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과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간의 비교 결과는 유사도 점수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사도 점수는 0 이상의 정수/실수 값으로,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과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간의 유사도의 정도 (level) 를 나타내는 평가 점수/평가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 점수의 오름차순 (및/또는 내림차순) 에 따라 유사도가 높은 것 (또는 낮은 것) 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 점수가 0 인 경우, 유사도가 가장 높은 것 (또는 가장 낮은 것) 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 점수는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과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과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간의 차이값이 유사도 점수가 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유사도 점수는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과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간의 차이값과 가중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과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간의 차이값에, 가중치 값이 곱해진 (또는 나누어진) 및/또는 더해진 (또는 빼진) 값이 유사도 점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중치 값은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각각에 대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상술된 기타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and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may be obtained based on a similarity sc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ilarity score is an integer/float value of 0 or more, and can be understood as an evaluation score/evaluation value indicating the level of similarity between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and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You can. For example, similarity can be understood as high (or low) depending on the ascending (and/or descending) order of similarity scores. For example, if the similarity score is 0, it can be understood as having the highest (or lowest) similarity. For example, the similarity score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and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and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can be a similarity score. As another example, the similarity scor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difference value and a weight value between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and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For example, a difference value between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and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multiplied (or divided) and/or added (or subtracted) by a weight value may be a similarity score. For example, a weight value may be obtained for each of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and may be obtained based on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other information.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은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을 포함한 복수의 매장들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에 대하여 할당되는 것인 반면,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은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에 대하여 할당되는 것이므로,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에 포함된 값 중 적어도 일부의 값에 대응되는 메뉴가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에서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are assigned to a plurality of menus that can be provided by a plurality of stores including a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included i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sinc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are assigned to a plurality of menus that can be provided in a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included i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at least some of the values included in the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value is not provided at th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included i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 중 제1 값과 일치되는 (유사도가 가장 높은 경우에 대응됨) 값이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에 포함되면, 제1 값과 대응되는 메뉴가 매장에서 제공되는 경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경우, 추천 메뉴 리스트는 제1 값과 대응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경우, 추천 메뉴 리스트는 제1 값과 일치되지 않더라도,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중 제1 값과 유사한 (예를 들어, 일정 임계치 이상 또는 이하의 유사도 점수를 갖는 경우) 값에 대응되는 메뉴가 추천 메뉴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value that matches the first value among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ase with the highest degree of similarity) is included in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value This may be the case when the menu is provided at the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include a menu corresponding to the first valu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recommended menu list is similar to the first value of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e.g., has a similarity score above or below a certain threshold) even if it does not match the first value. (if present)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enu li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 중 제2 값과 일치되는 값이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2 값과 대응되는 메뉴가 매장에서 제공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경우, 제2 값과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각각에 대한 유사도 점수에 기초하여, 추천 메뉴 리스트에 포함될 메뉴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 점수의 오름차순으로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이해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에 포함된 값 중 유사도 점수가 가장 낮은 경우에 대응되는 값에 대응되는 메뉴가 추천 메뉴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 점수의 내림차순으로 유사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이해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에 포함된 값 중 유사도 점수가 가장 높은 경우에 대응되는 값에 대응되는 메뉴가 추천 메뉴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에 포함된 값 중 유사도 점수가 동일한 복수의 값들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값들에 대응되는 모든 메뉴들이 추천 메뉴 리스트에 포함되거나 및/또는 복수의 값들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값에 대응되는 메뉴가 추천 메뉴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value matching the second value among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is not included in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alue is not provided in the store. You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a menu to be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milarity score for each of the second value and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For example, if similarity is understood to be high in ascending order of similarity scores, a menu corresponding to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lowest similarity score among the values included in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may be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enu list. . For example, if the similarity score is understood to be high in descending order of similarity scores, a menu corresponding to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similarity score among the values included in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may be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enu list. there is. For exampl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values with the same similarity score among the values included in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all menu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values are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enu list and/or are randomly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values. A menu corresponding to one selected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enu li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과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을 포함하는 속성값은 메뉴의 성질 (property) 과 메뉴의 성질의 정도 (level) 에 의하여 정의되는 속성값 테이블 (table) 에 기초하여 획득/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을 포함한 복수의 매장들의 종류 및/또는 복수의 매장들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의 종류에 대응되는 복수의 속성값 테이블이 미리 정의/설정/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뉴의 성질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속성값 테이블이 정의/설정/마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erty value including one or more first property values and one or more second property values is an property value table defined by the property of the menu and the level of the property of the menu. Can be acquired/assigned based on (tab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ttribute value tables corresponding to the types of a plurality of stores including th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and/or the types of a plurality of menu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plurality of stores are defined/set in advance. /can be arr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attribute value table may be defined/set/prepared depending on the type of menu property.

예를 들어, 음식점을 위한 속성값 테이블을 위한 경우, 음식의 종류 및/또는 음식점의 종류 (예를 들어, 한식 음식점, 일식 음식점, 중식 음식점, 인도 요리 음식점, 분식점, 패스트푸드점, 이자까야, 와인바, 프랜차이즈 패밀리 레스토랑 등의 서브 항목을 포함할 수 있음), 특정 미각 (예를 들어, 단맛, 짠맛, 매운맛, 쓴맛, 떫은맛, 감칠맛 등의 서브 항목을 포함할 수 있음) 등이 메뉴의 성질 (및/또는 메뉴의 성질의 종류) 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음식의 종류 및/또는 음식점의 종류에 대한 선호도/일치도 및/또는 특정 미각에 대한 선호도/일치도에 대한 정도값이 메뉴의 성질의 정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의 성질의 정도는 0 이상의 정수/실수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오름차순으로 갈수록 높은 선호도로 해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For example, for an attribute value table for a restaurant, the type of food and/or the type of restaurant (e.g., Korean restaurant, Japanese restaurant, Chinese restaurant, Indian restaurant, snack bar, fast food restaurant, izakaya, wine) The nature of the menu (may include sub-items such as bars, franchise family restaurants, etc.), specific tastes (e.g., may include sub-items such as sweet, salty, spicy, bitter, astringent, umami, etc.) and/or the type of menu nature). For example, the degree value for preference/consistency for each type of food and/or type of restaurant and/or preference/consistency for a specific taste may correspond to the degree of the nature of the menu. For example, the degree of a menu characteristic may be expressed as an integer/float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0, and may be interpreted as a higher preference in ascending order,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성값 테이블의 일 예는 표 1 과 같을 수 있다. An example of an attribute valu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 shown in Table 1.

표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XX1 은 속성값 테이블에 부여/할당되어, 속성값 테이블을 구분/구별/식별하기 위한 속성값 테이블 ID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속성값 테이블은 메뉴의 성질의 종류에 따라 별도로 정의/설정/마련될 수 있으며, 속성값 테이블 ID 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속성값 테이블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속성값 테이블 ID 에 따른 검색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XX1 may be an attribute value table ID given/assigned to the attribute value table to classify/distinguish/identify the attribute value tab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ribute value table can be separately defined/set/prepared according to the type of menu nature, and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attribute value table I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ttribute value tables may be stored in a database and may be selected based on a search according to an attribute value table I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B, C 등은 각 메뉴의 성질과 관련된 서브 항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0, 1, 2, 등은 각 A, B, C 에 대한 선호도/일치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도의 최대값은 각 서브 항목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정의되거나 및/또는 각 서브 항목 별로 서로 다른 최대값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에 대응되는 선호도/일치도의 최대값은 4, B 에 대응되는 선호도/일치도의 최대값은 4, C 에 대응되는 선호도/일치도의 최대값은 2 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 C, etc. may be sub-items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each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0, 1, 2, etc. may indicate preference/concordance for each A, B, and C. For example, the maximum preference value may be commonly defined for each sub-item and/or a different maximum value may be defined for each sub-item. For example, the maximum value of preference/consistency corresponding to A may be 4, the maximum value of preference/consistency corresponding to B may be 4, and the maximum value of preference/consistency corresponding to C may be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속성값 테이블은 속성값의 할당/해석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메뉴가 성질 A 의 정도가 2, 성질 B 의 정도가 3, 성질 C 의 정도가 1 임에 대응되는 경우, 특정 메뉴에는 A2B3C1 (및/또는 A2B3C1 에 대응되는 비트값) 이 속성값으로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특정 메뉴에 A2B3C1 가 할당된 경우, 특정 메뉴가 성질 A 의 정도가 2, 성질 B 의 정도가 3, 성질 C 의 정도가 1 임에 대응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ribute value table can be used to assign/interpret attribute values. For example, if a specific menu corresponds to a level of property A of 2, a level of property B of 3, and a level of property C of 1, then the specific menu will have A2B3C1 (and/or the bit value corresponding to A2B3C1). Can be assigned a value. As another example, if A2B3C1 is assigned to a specific menu, the specific menu can be interpreted as corresponding to a level of property A of 2, a level of property B of 3, and a level of property C of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505 에서, 서버는 추천 메뉴 리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IoT 단말은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 메뉴 리스트는 IoT 단말의 출력부에서 출력될 수 있는 시각적/청각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메뉴 리스트가 시각적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는 IoT 단말의 출력부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에서 추천 메뉴 리스트가 표출될 표출 위치 및/또는 표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정의되는 템플릿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정의되는 템플릿은 추천 메뉴 리스트에 대응되는 시각적 정보를 포함하는, 매장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각적 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에서의 위치를 미리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추천 메뉴 리스트에 대응되는 시각적 정보를 포함하는, 매장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각적 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에서의 위치는, IoT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저장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제공된 매장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각적 정보의 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In operation 5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ommended menu list, and the IoT terminal may receive 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include visual/auditory information that can be output from the output unit of the IoT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recommended menu list includes visual information, the server may determine the display location and/or display time at which the recommended menu list will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output unit of the IoT terminal. For example, to determine the display location, a preset/defined template may be used. For example, the preset/defined template predetermines the position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each piece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isual information for service provision in the store, including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menu list. It may be. As another example, the location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each piece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isual information for service provision in the store, including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menu list, is determined by the application running on the IoT terminal. ) may be determined by . For example, the application can determine each location of visual information for service provision in a store provided from the server using a preset/saved tem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단말은 추천 메뉴 리스트에 포함된 메뉴를 요청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버는 요청된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may transmit information requesting a menu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enu list, and in this case, the server may perform an operation to provide the requested menu.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단말에는, 추천 메뉴 리스트 뿐만 아니라,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으로부터 제공 가능한 모든 메뉴 리스트 (추천 메뉴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천 메뉴 리스트에 포함된 메뉴는 다른 메뉴보다 우선적으로 표시되거나 및/또는 강조 표시될 수 있음) 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단말은 추천 메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메뉴를 요청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버는 요청된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추천 모델로부터 획득/생성된 추천 메뉴 리스트가 부정확하였던 것으로 판단하고, 추천 모델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추천 메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메뉴를 요청하는 정보로부터 추천 모델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획득/생성하여, 이를 이용하여 추천 모델을 피드백/업데이트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may include not only a recommended menu list, but also a list of all menus (recommended menu list) that can be provided from th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and the menus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enu list are other may be displayed prior to and/or highlighted over the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may transmit information requesting a menu that is not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enu list, and in this case, the server may perform an operation to provide the requested menu.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determines that the recommended menu list obtained/generated from the recommendation model is inaccurate, and provides information requesting menus not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enu list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recommendation model. You can obtain/generate feedback information about the recommendation model from and use this to feedback/update the recommendation mod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다른 방법으로도 추천 메뉴 리스트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는 추천 메뉴 리스트에 대한 공감(좋아요, 싫어요 등)이나 댓글 형태로 수집될 수도 있고, 고객에 대하여 설문을 배포하며, 설문에 대한 응답결과를 수집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는 미디어 컨텐츠 추천 모델로부터 획득/생성된 추천 미디어 컨텐츠 리스트가 부정확하였던 것으로 판단하고, 미디어 컨텐츠 추천 모델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추천 미디어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는 정보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추천 모델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획득/생성하여, 이를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 추천 모델을 피드백/업데이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obtain feedback information about the recommended menu list using other methods. For example, feedback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in the form of likes (likes, dislikes, etc.) or comments on a recommended menu list, or may be obtained by distributing a survey to customers and collecting response results to the survey. In addition, for example, the server determines that the recommended media content list obtained/generated from the media content recommendation model is inaccurate, and requests media content not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edia content list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media content recommendation model. Feedback information for the media content recommendation model can be obtained/generated from the information and used to feedback/update the media content recommendation mod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an update the recommendation model using feedback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피드백 정보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에는 추천 메뉴 리스트 자체에 대한 평가가 아닌 다양한 내용들(예를 들어, 덧글 혹은 잡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피드백 정보로부터 이와 같은 노이즈들을 제거하고, 추천 메뉴 리스트 자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만을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an remove noise included in feedback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eedback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contents (for example, comments or chatter, etc.) rather than an evaluation of the recommended menu list itself. Accordingly, the server can remove such noises from feedback information and obtain only feedback that includes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recommended menu list itself.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서빙 시스템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ystem configuration for operating a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can be understood a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mplementation of an IoT-based ser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은 서버, IoT 단말, POS, IoT 로봇, IoT 디바이스 및/또는 미들웨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system operating a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server, IoT terminal, POS, IoT robot, IoT device, and/or middleware.

도 8에서는 IoT 단말과 IoT 디바이스가 별도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IoT 단말이 IoT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도 있다. In FIG. 8, the IoT terminal and IoT device are shown separately, but this is an example and the IoT terminal may be included in the IoT device.

도 8에서는 서버, IoT 단말, POS (POS 디바이스), IoT 로봇, IoT 디바이스 및 미들웨어 각각이 하나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복수의 서버들, 복수의 IoT 단말들, 복수의 POS 들, 복수의 IoT 로봇들,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 및/또는 복수의 미들웨어들이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서버 각각에는 서로 다른 서버 ID 가 할당되어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에는 서로 다른 IoT 단말 ID 가 할당되어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POS 각각에는 서로 다른 POS ID 가 할당되어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IoT 로봇 각각에는 서로 다른 IoT 로봇 ID 가 할당되어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미들웨어 각각에는 서로 다른 미들웨어 ID 가 할당되어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ID 는 시스템에 포함된 각 장치 간의 유무선 통신 (각 장치 간의 직접 통신 외에, 서버를 경유하는 통신을 포함) 에 따라 상호 송수신될 수 있다. In Figure 8, one server, IoT terminal, POS (POS device), IoT robot, IoT device, and middleware are each shown, but this is an example and multiple servers, multiple IoT terminals, multiple POSs, and multiple middleware are shown. IoT robots, multiple IoT devices, and/or multiple middleware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For example, each of one or more servers may be distinguished by being assigned a different server ID. For example, each of one or more devices may be distinguished by being assigned a different IoT terminal ID. For example, each of one or more POS may be distinguished by being assigned a different POS ID. For example, each of one or more IoT robots may be distinguished by being assigned a different IoT robot ID. For example, each of one or more middleware may be distinguished by being assigned a different middleware ID. For example, each ID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ach device included in the system (including communication via a server in addition to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each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IoT 단말, POS, IoT 로봇, IoT 디바이스 및/또는 미들웨어는 특정 매장 내에 설치/마련/포함되거나 적어도 일부는 매장 외에 설치/마련/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특정 매장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외 장치들은 특정 매장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rs, IoT terminals, POS, IoT robots, IoT devices, and/or middleware may be installed/provided/included within a specific store, or at least some of them may be installed/provided/included outside the store. For example, a server may be installed outside a specific store, and other devices may be included inside a specific st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장치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IoT 단말, 하나 이상의 POS, 하나 이상의 IoT 로봇,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미들웨어) 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거나 및/또는 다른 장치들을 제어 (예를 들어, 서버는 다른 장치들에 대하여 특정 동작을 제어/명령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고 상호간 유무선 통신하면 복수의 서버들일 수 있거나,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버들은 DB (database) 서버, REDIS (Remote Dictionary Server), MQ (Message Queue)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 서버는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추천 모델 획득/운용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EDIS 는 IoT 단말과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를 운용 (예를 들어, IoT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정보 생성/전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EDIS 및/또는 MQ 서버는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장치를 운용/제어할 수 있다. 반대 예시로, 각 서버의 동작/역할은 하나의 서버에 포함된 모듈들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모듈들은 서버에 포함된 복수의 프로세서들이거나 및/또는 서버에 포함된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is configured to support other devices included in the system that operates the service platform (e.g., one or more IoT terminals, one or more POS, one or more IoT robots, one or more IoT devices, and one or more middleware )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and/or control other devices (e.g., the server may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that controls/commands specific operations to other devices). You ca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be a plurality of servers that perform different functions and communicate wired and wirelessly with each other, or may be one server including a plurality of modules that perform different function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rvers may include a DB (database) server, REDIS (Remote Dictionary Server), and MQ (Message Queue) server. For example, the DB server can perform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btain/operate recommendation models, etc. For example, REDIS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IoT terminals and operate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e.g., generate/deliver information for applications running on IoT terminals). For example, REDIS and/or MQ servers can operate/control other devices included in the system. As a counter example, the operation/role of each server can be understood as the operation of modules included in one server. For example, each module may be a plurality of processors included in the server and/or may be a plurality of software running on one processor included in the server.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IoT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요청 정보는 고객 ID, 매장 ID 및/또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IoT 단말의 IoT 단말 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an receiv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ustomer ID, a store ID, and/or an IoT terminal ID of the IoT terminal transmitting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고객 ID 에 대응되는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와 매장 ID 에 대응되는 매장에 대한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추천 모델에 입력한 후에 획득되는 추천 모델의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메뉴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추천 메뉴 리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서비스 요청 정보를 송신한 IoT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provides a recommendation obtained after inputting input information including customer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D and store information about th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into the recommendation model. A recommended menu list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mod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ommended menu list to the IoT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추천 메뉴 리스트에 포함된 메뉴를 포함하는,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메뉴들 중 하나 이상의 메뉴에 대한 요청 정보를 IoT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receive request information for one or more menus from the menus available in the store, including menus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enu list, from the IoT terminal.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에 포함된 제어 모듈) 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고, 명령을 다른 장치들 중 하나 이상에 송신/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을 수신한 장치는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ontrol module included in) controls one or more of the other devices included in the system to perform operations that provide services related to providing one or more menus. can do. For example, the server generates commands to control one or more of the other devices included in the system to perform operations that provide services related to providing one or more menus, and sends commands to one or more of the other devices. Can be sent/deliv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that has received a command can perform an operation to provide a corresponding ser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단말은 매장 내 일정 위치 (예를 들어, 매장 내 각 테이블 등) 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단말은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에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may be installed/furnished to be detachable at a certain location within the store (for example, each table within the store, et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oT terminal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services to customers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a pre-installed application and/or server.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을 통하여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provided through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에서는 국어에 기초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언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에 기초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언어 전환을 위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701) 내지 제4 영역(707) 중 하나 이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In Figure 9, a user interface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is illustrated,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terface based on multiple languages (English, Japanese, Chinese, Arabic, Spanish, Italian, etc.) may be provided, and a user interface for language switching may be provided. Icons may be displayed in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701 to 707 of the display unit.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단말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시각적 정보에 기초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청각적 정보에 기초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oT 단말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 방식이 터치 입력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2에서 설명된 입/출력부로부터 획득 가능한 모든 입력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oT terminal can provide a user interface based on visual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unit. Howev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user interface based on auditor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n IoT terminal can acquire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but the user's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ouch input, and the input/output method described in FIG. 2 Any input method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department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701) 에는 '메인 항목'을 나타내는 기호, 문자, 영상, 이미지 또는 기타 시각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701) 에는 '메인 메뉴', '사리추가', '공기밥'의 문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선택된 '메인 메뉴' 항목에 대해서는 그에 대응되는 시각 정보 및/또는 시각 정보가 포함된 배경이 다른 색상 등으로 하이라이트 되는 등으로 강조 표시될 수 있다. 선택된 항목이 강조 표시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mbol, text, video, image, or other visual information representing a 'main item'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701 of the display unit. For example, the characters 'Main Menu', 'Add Sari', and 'Gonggilbap'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701 of the display unit, and for the selected 'Main Menu' item, corresponding visual information and/or The background containing visual information may be highlighted, such as by highlighting it in a different color. Highlighting the selected item may apply generally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 (701) 에는 다른 항목으로의 이동을 위한 아이콘 및/또는 IoT 단말이 설치/마련된 테이블의 번호 (IoT 단말의 ID 에 대응될 수 있음) 가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rea 701 of the display unit includes an icon for moving to another item and/or a number of a table where the IoT terminal is installed/prepared (which may correspond to the ID of the IoT terminal). can be display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 (703) 에는 '메인 항목' 에 표시된 항목들 중 선택된 항목에 포함된 '서브 항목' 을 나타내는 기호, 문자, 영상, 이미지 또는 기타 시각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메인 메뉴' 에 포함된 서브 항목인 '메인 안주', '스페셜 안주', '기본안주', '메인주문시 1,000원', '주류', '음료' 의 문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선택된 '메인 안주' 항목에 대해서는 그에 대응되는 시각 정보 및/또는 시각 정보가 포함된 배경이 다른 색상 등으로 하이라이트 되는 등으로 강조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rea 703 of the display unit contains a symbol, text, video, image, or other visual information indicating a 'sub item' included in a selected item among the items displayed in the 'main item'. This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characters 'main snack', 'special snack', 'basic snack', '1,000 won for main order', 'alcohol', and 'drink', which are sub-items included in the selected 'main menu',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selected 'main snack' item may be highlighted by highlighting the corresponding visual information and/or the background containing the visual information in a different color,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제3 영역 (705) 에는 선택된 서브 항목에 포함된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 (705) 에 표시되는 메뉴는 각 메뉴의 사진, 구성 예, 이름, 가격 및 인기 메뉴의 경우 '베스트', 'Hit' 등의 강조 표시에 각각 대응되는 기호, 문자, 영상, 이미지 또는 기타 시각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 (705) 에 표시되는 메뉴에 대한 정보는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추천 메뉴 리스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메뉴 리스트에 포함된 메뉴는 별도로 표시되거나 및/또는 별도의 강조 표시가 부여되거나 및/또는 제3 영역 (705) 의 좌상단에서부터 우선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nu included in the selected sub-item may be displayed in the third area 705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displayed in the third area 705 corresponds to each menu's photo, configuration example, name, price, and, in the case of a popular menu, highlighting such as 'Best' and 'Hit'. It may be based on symbols, text, videos, images or other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about menu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705 may be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a recommended menu lis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For example, menus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enu list may be displayed separately and/or given a separate highlight and/or arranged preferentially from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third area 70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제3 영역 (705) 에는 선택된 서브 항목에 포함된 메뉴가 표시될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는 광고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항목에 포함된 메뉴의 표시를 위한 영역의 위치는 상술된 템플릿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메뉴의 표시를 위한 영역은 광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vertising message may be display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area 705 of the display unit where a menu included in the selected sub-item will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location of the area for displaying the menu included in the sub-item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template, and the area for displaying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at least some of the areas is where the advertising message is displayed. can be repla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메시지는 기호, 문자, 영상, 이미지 또는 기타 시각 정보 (도 9 상의 'A' 문자 및 그에 대응되는 사진, 가격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메시지는 서버로부터 IoT 단말로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해당 매장의 종류 (예를 들어, 업종, 매장에서 제공되는 상품/물품의 형태 등) 및/또는 해당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메뉴들 (예를 들어, 해당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메뉴 중 적어도 일부가 광고될 수 있음), 고객 정보, 고객이 선택/요청한 메뉴 (예를 들어, 고객이 선택/요청한 메뉴와 어울리는 것으로 추정/식별되는 메뉴가 광고될 수 있음. 예를 들어, 고객이 선택/요청한 메뉴와 어울리는 것으로 추정/식별되는 메뉴를 추정/식별함에 있어서는 상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모델이 사용되거나 및/또는 빅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음), 해당 매장을 포함한 복수의 매장들에서의 주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광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메시지에 기초한 광고 수익은 광고주로부터 매장 업주에게 페이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vertising message may include symbols, characters, videos, images, or other visual information (the letter 'A' in FIG. 9 and corresponding photos, prices, et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vertising message may be transmitted from a server to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determines the type of store (e.g., industry, type of product/item provided at the store, etc.) and/or menus available at the store (e.g., the store at least some of the menus available in may be advertised), customer information, menus selected/requested by the customer (e.g., menus presumed/identified to match the menu selected/requested by the customer may be advertised, e.g. For example, in estimating/identifying a menu that is estimated/identified as matching the menu selected/requested by the customer, the recommend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nd/or big data may be used), the store An advertising message may be generated based on one or more of order data from a plurality of stores includ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vertising revenue based on the advertising message may be paid back from the advertiser to the store ow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제4 영역 (707) 에는 기타 서비스를 위한 아이콘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cons for other services may be provided in the fourth area 707 of the display unit.

예를 들어, 고객이 서비스 플랫폼이 가입할 수 있도록 '가입하기'를 나타내는 기호, 문자, 영상, 이미지 또는 기타 시각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의 제4 영역 (707)에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a symbol, text, video, image, or other visual information indicating 'sign up' may be displayed in the fourth area 707 of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customer can sign up for the service platform.

예를 들어, 미리 연계된 다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의 제4 영역(707)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및/또는 서버와 미리 연계된 대리운전 업체를 통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대리운전'을 나타내는 기호, 문자, 영상, 이미지 또는 기타 시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으로부터 미리 연계된 다른 서비스의 제공이 요청된 경우, 서버는 고객의 정보 및/또는 매장 위치 정보 및/또는 기타 정보 (예를 들어, 대리운전 서비스의 경우, 고객이 요청한 도착 위치 정보) 를 미리 연계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으로부터 미리 연계된 다른 서비스의 제공이 요청된 경우, 서버는 고객에게 미리 연계된 다른 서비스 이용에 사용 가능한 할인쿠폰을 지급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n icon for providing another pre-linked service may be displayed in the fourth area 707 of the display unit. For example, symbols, text, videos, images, or other visual information indicating 'designated driving' may be provided to provide services through a designated driver company that is previously linked to a store and/or server. For example, when the customer requests the provision of another pre-linked service, the server provides the customer's information and/or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or other information (e.g., in the case of a designated driver service, the arrival location requested by the customer)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a company that provides other pre-linked services. For example, when the customer requests the provision of another pre-linked service, the server may provide the customer with a discount coupon that can be used to use the other pre-linked service.

예를 들어, 메뉴 검색, 정렬, 인터넷 사용, 보기 전환 (간단히 보기) 및/또는 장바구니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의 제4 영역 (707) 에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cons for menu search, sorting, Internet use, view switching (simple view), and/or displaying a shopping cart may be displayed in the fourth area 707 of the display unit.

다시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OS (point of sale) 는 판매 시점 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OS 는 모든 판매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처리하여 각 부분 별 정보를 종합 분석 및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OS 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매장의 운영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시스템 유지 관리, 실시간 매출 등의 데이터를 수집, 송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8,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int of sale (POS) may be hardware and/or software that performs point-of-sale inform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S can be used to collect and process all sales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comprehensively analyze and evaluate the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S can check and manage the store's operating status in real time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llect, transmit and receive data such as system maintenance and real-time sa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로봇은 매장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하드웨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IoT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메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하나 이상의 메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IoT 로봇(복수의 IoT 로봇 중 하나 이상의 IoT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하나 이상의 메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 및/또는 제어 정보를 IoT 로봇에 송신할 수 있으며, IoT 로봇은 제어 명령 및/또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oT robot may be hardware that performs operations related to providing store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rver receives a request for one or more menus from an IoT terminal, the server can control an IoT robot (one or more IoT robots among a plurality of IoT robots) to provide services related to one or more menus. there is. For example, the server may transmit control commands and/or control information to the IoT robot to provide services related to one or more menus, and the IoT robot may perform actions based on the control commands and/or control information.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로봇은 협동 로봇(제1 IoT 로봇)과 서빙 로봇(제2 IoT 로봇)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robo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ollaborative robot (first IoT robot) and a serving robot (second IoT rob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협동 로봇은 제어 명령 및/또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의 조리 및/또는 제조를 수행할 수 있고, 로봇 팔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협동 로봇은 제어 명령 및/또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순서 및/또는 조리 순서 및/또는 제조 순서 및/또는 동일 메뉴 및/또는 테이블 동선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메뉴의 조리 및/또는 제조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aborative robot can cook and/or manufacture menus based on control commands and/or control information, and may have the form of a robot ar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aborative robot determines one or more of the order order and/or cooking order and/or manufacturing order and/or the same menu and/or table movement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and/or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is, cooking and/or manufacturing of the menu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로봇(및/또는 IoT 로봇(50))은 제어 명령 및/또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및/또는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에 요청된 메뉴 (및/또는 고객이 요청한 메뉴에 대응되는 물품 또는 서비스) 및/또는 기타 물품 (및/또는 서비스) (예를 들어, 수저, 젓가락, 물, 물수건 등의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물품)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로봇은 제어 명령 및/또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테이블 동선, 거리, 위치, 요청된 메뉴, 서비스에 제공에 필요한/관련된 물품 및/또는 물품의 제공 순서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요청된 메뉴 및/또는 기타 물품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ng robot (and/or IoT robot 50) provides a requested menu (and/or customer Goods or services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menu) and/or other goods (and/or services) (e.g., goods related to service provision such as spoons, chopsticks, water, wet towels, etc.) may be deliv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ng robot is based on a control command and/or control information, one of the following: table movement line, distance, location, requested menu, goods necessary/related to provision of service, and/or order of provision of goods. The above can be determined, and the requested menu and/or other items can be delivered based on this.

예를 들어, 각 테이블에는 IoT 단말이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마련될 수 있으며, IoT 단말에 부여된 ID에 기초하여 각 테이블의 번호/위치가 확인/식별될 수 있으며, 이는 IoT 로봇 제어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빙 로봇들이 매장에 포함된 경우, 고객에게 고객 및/또는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에 요청된 메뉴 및/또는 기타 물품을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서빙 로봇은 IoT 단말과 복수의 서빙 로봇들 각각의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빙 로봇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단말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서빙 로봇이 활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an IoT terminal may be installed/furnished (separably) in each table, and the number/position of each table may be confirmed/identified based on the ID assigned to the IoT terminal, which is used to control the IoT robot. You can utilize it.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serving robots are included in a store, the serving robot that will perform the operation of delivering the requested menu and/or other items to the customer and/or the table at which the customer is seated is an IoT terminal and a plurality of It may b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serving robot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each serving robot. For example, a serving robot located closest to the IoT terminal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는 개인 휴대 단말기, 셀룰러 폰, 개인 통신 서비스 폰, GSM 폰, WCDMA 폰, MBS 폰, 스마트 (폰 또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단말기, PC, 노트북 PC, 핸드헬드 PC, 태블릿 PC, 울트라북, 슬레이트 PC,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MP,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및/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는 IoT 기술에 기초하여 서버 및/또는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으로써, 매장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는 체온 측정 센서, 카메라, 냉난방 기기, 테이블 별 조명, 공기 청정기, AI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oT devices include personal portable terminals, cellular phone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s, GSM phones, WCDMA phones, MBS phones, smart phones (phones or multi-mode multi-band terminals, PCs, laptop PCs, handhelds). PC, tablet PC, ultrabook, slate PC,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MP, navigation, wearable device (e.g., watch type terminal (smartwatch), glass 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and/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device performs operations related to providing store-related services by exchanging data with a server and/or other devices based on IoT technology. For example, IoT devices may include body temperature sensors, cameras, heating and cooling devices, table lights, air purifiers, AI speakers,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의 동작은 서버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의 IoT 디바이스의 제어 동작은 AI 모델에 기초할 수 있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델 획득 동작은 상술된 추천 모델의 획득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되나, 유사한 방식으로 IoT 디바이스의 제어 동작은 AI 모델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하여 고객의 출입이 확인된 경우, 냉난방 기기, 공기 청정기, 스마트 스피커가 작동될 수 있으며, 체온 측정 센서에 기초하여 고객의 체온이 측정/보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하여 고객이 테이블에 착석한 것이 확인되면, 테이블 별 조명을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취소, 식자재 부족, 주방 레시피 등이 음성 및/또는 시각 정보로 스피커 및/또는 IoT 디바이스에 포함된 IoT 단말에 의하여 제어 및/또는 안내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an IoT device can be controlled by a server. For example,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server's IoT device may be based on an AI model. The model acquisi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explained by taking the above-described recommendation model acquisition operation as an example, but in a similar manner,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IoT device can obtain an AI model. For example, when a customer's entrance is confirmed through a camera, the heating/cooling device, air purifier, and smart speaker may be activated, and the customer's body temperature may be measured/reported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For example, when it is confirmed that a customer is seated at a table through a camera, lighting for each table can be activated. For example, order cancellation, lack of food ingredients, kitchen recipes, etc. may be controlled and/or guided by an IoT terminal included in the speaker and/or IoT device using voice and/or visual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는 해당 매장 외의 다른 매장/사업장 및/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에 가입되지 않은 다른 매장/사업장과의 연동을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는 다른 매장/사업장에서 필요한 및/또는 다른 매장/사업장에 요청할 정보, 주요 비즈니스 로직, 이벤트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여, 송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ddleware is hardware and/or software for linking with other stores/businesses other than the store and/or other stores/businesses that are not subscribed to th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dleware can identify and transmit one or more of information needed by and/or requested from other stores/businesses, main business logic, and events.

2.2. 모델 획득 동작2.2. Model acquisition behavior

인공 지능 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시스템이다. 인공 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 인공 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is a computer system that implements human-level intelligence, and unlike existing rule-based smart systems, it is a system in which machines learn and make decisions on their own and become smarter. As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are used, the recognition rate improves and users' preferences can be more accurately understood, and existing rule-based smart systems are gradually being replaced by deep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인공 지능 기술은 기계 학습(딥러닝) 및 기계 학습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nsists of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and element technologies using machine learning.

기계 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 기술은 딥러닝 등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Machine learning is an algorithmic technology that classifies/learns the characteristics of input data on its own, and elemental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use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deep learning to mimic the functions of the human brain such as cognition and judgment, including linguistic understanding and visual It consists of technical areas such as understanding, reasoning/prediction, knowledge expression, and motion control.

인공 지능 기술이 응용되는 다양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언어적 이해는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고 응용/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처리, 기계 번역, 대화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합성 등을 포함한다. 시각적 이해는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술로서, 객체 인식, 객체 추적, 영상 검색, 사람 인식, 장면 이해, 공간 이해, 영상 개선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정보를 지식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지식 구축(데이터 생성/분류), 지식 관리(데이터 활용) 등을 포함한다. 동작 제어는 차량의 자율 주행,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움직임 제어(항법, 충돌, 주행), 조작 제어(행동 제어) 등을 포함한다.The various fields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pplied are as follows. Linguistic understanding is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and applies/processes human language/characters and include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achine translation, conversation systems, question and answer, and voice recognition/synthesis. Visual understanding is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and processes objects like human vision, and includes object recognition, object tracking, image search, person recognition, scene understanding, spatial understanding, and image improvement. Inferential prediction is a technology that judges information to make logical inferences and predictions, and includes knowledge/probability-based reasoning, optimization prediction, preference-based planning, and recommendations. Knowledge expression is a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processes human experience information into knowledge data, and includes knowledge construction (data creation/classific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data utilization). Motion control is a technology that controls the autonomous driving of vehicles and the movement of robots, and includes motion control (navigation, collision, driving), operation control (behavior control), etc.

이하의 설명에서는 서버(20)가 모델 획득 동작을 수행함을 전제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 외부의 다른 서버가 모델 획득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IoT 단말(40)들 및/또는 복수의 서버(20)들이 마련되어, 복수의 IoT 단말(40)들 및/또는 복수의 서버(20)들 간에 모델 획득 동작의 각 동작이 분배되어, 별개로 실시될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 server 20 performs a model acquisition operation.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server outside the server 20 performs a model acquisition operation. It can also be done.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oT terminals 40 and/or a plurality of servers 20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IoT terminals 40 and/or a plurality of servers 20 are provided. Each operation of the model acquisition operation may be distributed and performed separately.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모델을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obtaining a recommend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모델을 획득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for obtaining a recommend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학습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용 데이터는 고객 관련 학습용 데이터와 매장 관련 학습용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collect train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data may include customer-related learning data and store-related learning data.

예를 들어, 고객 관련 학습용 데이터는 복수의 고객들 각각의 생년월일, 성별, 이메일, 휴대폰, 주소를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 및 복수의 고객들 각각의 서비스 요청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복수의 고객들 각각의 선호 메뉴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customer-related learning data includes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date of birth, gender, email, mobile phone, and address of each of a plurality of customers, and preferred menus for each of a plurality of customers obtained based on the service request history of each of the multiple customers. It may contain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about.

예를 들어, 매장 관련 학습용 데이터는,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복수의 매장들 각각의 주소,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 대한 후기 및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의 주문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복수의 매장들 각각에서의 인기 메뉴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 메뉴에 대한 정보와 상기 인기 메뉴에 대한 정보 각각은, 미리 정의된 일정 시간 길이를 갖는 주문 시간대 (예를 들어, 일정 총 시간 구간이 일정 시간 크기로 분할된 각 시간 대일 수 있음. 예를 들어, 오전/오후/저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예를 들어, 해당 시간 대에 대응되는 인기 메뉴를 식별함에 사용될 수 있음) 및 날씨 (예를 들어, 맑음, 흐림, 비, 소나기, 번개, 눈, 우박 등. 예를 들어, 해당 날씨 및/또는 예상 날씨에 대응되는 인기 메뉴를 식별함에 사용될 수 있음) 에 따라 분류된 정보일 수 있다. For example, store-related learning data includes a plurality of menus that can be provided by each of a plurality of stores, address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review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and a plurality of menus that can be provid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s. The menu may include one or more of information about popular menus at each of a plurality of stores obtained based on the order history of each menu. For example, each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ferred menu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opular menu is an order time slot having a predefined constant time length (e.g., a certain total time section may be each time section divided into a certain time size) For example,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morning/afternoon/evening. For example, it may be used to identify popular menus corresponding to that time period) and weather (e.g., sunny, cloudy, rainy, It may be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showers, lightning, snow, hail, etc. For example, it may be used to identify popular menus corresponding to the weather and/or expected wea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학습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학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는 학습용 데이터를 AI 엔진에 학습을 위하여 입력시킬 수 있도록 전 처리/변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는 훈련용 데이터 및 테스트용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obtain training data based on training data. For example, the learning data may be pre-processed/converted so that the learning data can be input to the AI engine for learning. For example, learning data may include training data and testing data.

예를 들어, 서버는, 학습 데이터를 훈련용 데이터 및 테스트용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훈련용 데이터는 모델을 학습시키는데 활용되고, 테스트용 데이터는 학습된 AI 엔진을 검증 및 업데이트 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may classify learning data into training data and testing data. For example, training data can be used to learn a model, and testing data can be used to verify and update the learned AI engine.

예를 들어, 서버는, 훈련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AI 엔진을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AI 엔진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학습될 수 있는 인공 지능 엔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지능 엔진은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또는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server can train an AI engine based on training data. For example, an AI engine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that can be train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For example,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s includ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Deep Neural Network (D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Deep Belief Network (DBN), and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BRDNN). ) or Deep Q-Networks,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학습된 모델에 기초하여 테스트용 데이터에 대한 가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obtain processed data for testing data based on a learned mod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가공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an obtain feedback information about processed data.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는, 서버 관리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For example, feedback information may be input from a server administrator.

또 다른 예시로, 피드백 정보는, 해당 가공 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가공된 학습 데이터가 있는 경우, 서버는 해당 미리 가공된 학습 데이터와 가공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에는 데이터의 가공 전 및 가공 후 버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서버는 가공 전 데이터를 학습된 모델에 기초하여 가공하여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고, 가공 데이터와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가공 후 버전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피드백을 획득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re is pre-processed learning data for the corresponding processed data, the server may compare the pre-processed learning data with the processed data and generate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ere is. For example, the learning data may include pre-processed and post-processed versions of the data, and the server processes the pre-processed data based on the learned model to generate processed data, and the processed data included in the processed data and the learning data. You can also compare versions and obtain feedback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피드백에 기초하여 학습된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update the learned model based on feedback.

예를 들어, 서버는 피드백에 기초하여 학습된 모델의 특성 (예를 들어, CNN 의 특성) 을 수정하고, 수정된 모델에 기초하여 테스트용 데이터를 가공하고, 다시 피드백을 획득하여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mod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d model (e.g., CNN characteristics) based on feedback, processes test data based on the modified model, and obtains feedback again to update the process. It can be repe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반복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예를 들어, 7-9회) 에 도달하면, 동작을 종료하고 학습된 AI 엔진을 추천 모델로서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umber of repetitions reaches a preset threshold (for example, 7-9 times), the server may terminate the operation and obtain the learned AI engine as a recommendation model.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1 에서, 서버는, 학습용 데이터를 처리함에 기초하여 획득된 훈련용 데이터 및 테스트용 데이터 중 훈련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AI 엔진을 학습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901, the server trains the AI engine based on training data among training data and test data obtained based on processing the training data. You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3 에서, 서버는, 테스트용 데이터가 학습된 AI 엔진으로 입력됨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되는 가공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903, the server may obtain feedback information about processed data output in response to test data being input into the learned AI eng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5 에서, 서버는,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AI 엔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905, the server may update the AI engine based on feedback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7 에서, 서버는, 동작 901 내지 동작 905 가 반복된 횟수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 (N_TH) 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901 내지 동작 905 의 반복 횟수에 대응되는 카운트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운트 값의 초기값은 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901 내지 동작 905 가 1 회 반복될 때 마다, 카운트 값이 1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이러한 카운트 값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 (N_TH) 과 비교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907, the server may compare the number of times operations 901 to 905 are repeated with a preset threshold (N_TH). For example, a count valu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operations 901 to 905 may be set. For example, the initial value of the count value may be 0. For example, each time operations 901 to 905 are repeated once, the count value may be increased by 1. For example, the server may compare this count value to a preset threshold (N_TH).

예를 들어, 서버는, 반복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즉, 반복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동작 901 로 돌아가, 동작 901 내지 동작 905 을 재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repetitions does not match the preset threshold (i.e., if the number of repetitions is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the server may return to operation 901 and re-perform operations 901 to 905.

예를 들어, 서버는, 반복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일치하면,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may terminate a process if the number of iterations matches a preset threshol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그 기술적 아이디어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another specific form without departing from its technical idea and essential features.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reference relationship in the patent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included as a new claim through amendment after filing.

Claims (1)

배달 플랫폼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 고객 단말;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단말; 하나 이상의 서빙로봇; POS(point of sales) 기기; 및 배달기사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고객 ID (identifier)에 대한 정보와 매장 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ID에 대응되는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와 상기 매장 ID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에 대한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가 입력됨에 대한 응답으로 획득되는 추천 모델의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메뉴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고객 정보와 상기 매장 정보가 상기 추천 모델에 입력됨에 따라, 서로 다른 고객 ID 가 할당된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객들 중 상기 고객 ID에 대응되는 고객의 추정 선호도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을 획득하고,
서로 다른 매장 ID 가 할당된 미리 설정된 복수의 매장들 중 상기 매장 ID에 대응되는 특정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이 미리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IoT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로봇은 상기 특정 매장에 구비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를 상기 복수의 IoT 단말 중 하나의 IoT 단말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고객 ID는 상기 하나의 IoT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인 상기 고객에 상응하고, 상기 매장 ID는 상기 하나의 IoT 단말이 설치된 매장에 상응하고,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를, 상기 하나의 IoT 단말에 포함된 출력부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하나의 IoT 단말에게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메뉴의 성질(property)과 상기 메뉴의 성질의 정도(level)에 의하여 정의되는 속성값 테이블(table)에 따라 상기 복수의 매장들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메뉴들 각각에 대하여 값이 할당됨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을 할당하고,
상기 속성값 테이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매장들에서의 상기 고객의 주문 이력과 상기 추천 모델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추정 선호 메뉴 각각에 대하여 값이 할당됨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을 획득하고,
① 상기 하나의 IoT 단말에 할당된 ID, ②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로봇 각각에 할당된 ID 및 ③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로봇 각각과 상기 하나의 IoT 단말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로봇 중에서 특정 서빙로봇을 선택하고,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메뉴들 중 하나 이상의 메뉴에 대한 요청 정보가 상기 하나의 IoT 단말로부터 수신됨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에 대응되는 음식, 음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특정 서빙로봇을 제어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 중 제1 값과 일치되는 값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에 포함됨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에 상기 제1 값과 대응되는 메뉴를 포함시키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속성값 중 제2 값과 일치되는 값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에 포함되지 않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값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각각에 대한 유사도 점수를 산출하되, 상기 추천 메뉴 리스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속성값 중 최대 또는 최소 유사도 점수에 대응되는 값에 대응되는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제1 배달 주문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고객 단말에 상응하는 고객 개인 정보 및 상기 제1 배달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배달 주문 정보를 생성하고,
아래의 수학식 1에 기반하여 종합 점수(CompS, comprehensive score)를 산출하고,
상기 종합 점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2 배달 주문 정보를 배달기사 단말에게 전달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요청 정보의 수신을 상기 POS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대기하고,
상기 종합 점수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대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제2 배달 주문 정보를 배달기사 단말에게 자동으로 전달하고,
[수학식 1]

StabS는 안정성 점수(Stability Score)에 상응하고, DisDiff는 상기 특정 매장의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고객 단말의 제2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 차이(Distance Difference)에 상응하고, w1는 청결도 점수에 상응하는 제1 가중치이고, w2, w3 각각은 상기 안정성 점수에 상응하는 제2 가중치 및 제3 가중치이고,
상기 청결도 점수(CleanS)는 아래의 수학식 2에 기반하여 산출되고,
[수학식 2]

Count는 상기 특정 매장이 외부기관에 점검 받은 횟수에 상응하고, Level은 상기 특정 매장이 상기 외부기관으로부터 부여받은 청결 관련 등급에 상응하고, Category는 상기 특정 매장이 주메뉴로 등록한 음식의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값이고, 상기 외부기관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기타 정부기관, 또는 지자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응하고,
상기 안정성 점수(StabS)는 상기 특정 매장이 설정한 예상 도착 시간 내에 정상적으로 배달이 완료된 비율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값이고,
상기 수학식 1의 상대값(RelValue, Relative Value)은 아래의 수학식 3에 기반하여 산출되고,
[수학식 3]

CusPoi는 상기 고객 단말의 고객이 누적한 포인트(Customer Point)에 상응하고, OrdPri는 상기 고객 단말의 고객이 상기 특정 매장에 주문을 넣은 배달료의 총액(Order Price)에 상응하고,
상기 Category는 상기 특정 매장이 주메뉴로 등록한 음식의 카테고리가 조리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되는 정도가 클수록 더 높은 값으로 설정되는, 시스템.
In the system for the delivery platform,
server; customer terminal; Multiple IoT (internet of things) terminals; One or more serving robots; point of sales (POS) devices; and delivery driver terminal; Including,
Said server:
Receiv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 identifier and information about the store ID,
Obtaining a recommended menu list based on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recommendation model obtained in response to input of input information including customer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D and store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do,
As the customer information and the store information are input to the recommendation model,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related to the estimated preference of a customer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D among a plurality of preset customers to which different customer IDs are assigned are obtained; ,
Among a plurality of preset stores assigned different store IDs,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are pre-assigned to each of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a specific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
The plurality of IoT terminals and the one or more serving robots are provided in the specific store,
Said server: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one Io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IoT terminals, wherein the customer ID corresponds to the customer who is a user using the one IoT terminal, and the store ID is an IoT terminal where the one IoT terminal is installed. Corresponds to the store,
Transmitting the recommended menu list to the one IoT terminal so that it is output from an output unit included in the one IoT terminal,
Said server:
A value for each of a plurality of menus including a plurality of menu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plurality of stores according to a property value table defined by the property of the menu and the level of the property of the menu. assigning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based on this assignment;
Obtaining the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based on a value being assigned to each of one or more estimated preference menus obtained based on the customer's order history at the plurality of stores and the recommendation model according to the attribute value table. do,
① an ID assigned to the one IoT terminal, ② an ID assigned to each of the one or more serving robots, and ③ a specific serving robot among the one or more serving robot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one or more serving robots and the one IoT terminal. Select ,
Based on the request information for one or more menus among a plurality of menus available at the specific store being received from the one Io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commended menu list, at least one of food and beverage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menus Controlling the specific serving robot to perform an operation of delivering any one to the customer,
Based on the fact that a value matching a first value among the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is included in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including a menu corresponding to the first value in the recommended menu list,
Based on the fact that a value matching the second value among the one or more first attribute values is not included in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a similarity score is calculated for each of the second value and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However, the recommended menu list includes a menu corresponding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or minimum similarity score among the one or more second attribute values,
Said server:
Receive first delivery orde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Generating second delivery order information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terminal and the first delivery order information,
Calculate a comprehensive score (CompS) based on Equation 1 below,
If the overall score i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waiting to receive reques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o deliver the second delivery order information to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from the POS device,
If the overall score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the waiting process is skipped and the second delivery order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delivered to the delivery driver terminal,
[Equation 1]

StabS corresponds to the stability score, DisDiff corresponds to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store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and w1 corresponds to the cleanliness score. is the first weight, and w2 and w3 are the second and third weight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stability score,
The cleanliness score (CleanS) is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2 below,
[Equation 2]

Count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times the specific store has been inspected by an external agency, Level corresponds to the cleanliness-related grade given to the specific store by the external agency, and Category is based on the category of food registered as the main menu by the specific store. It is a value determined by, and the external organization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ther government agencies, or local governments,
The stability score (StabS) is a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percentage of normal delivery completed within the expected arrival time set by the specific store,
The relative value (RelValue, Relative Value) of Equation 1 is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3 below,
[Equation 3]

CusPoi corresponds to the points accumulated by the customer of the customer terminal (Customer Point), OrdPri corresponds to the total delivery fee (Order Price) that the customer of the customer terminal placed an order to the specific store,
The Category is set to a higher value as the degree to which the food category registered as the main menu by the specific store changes over time after being cooked is greater.
KR1020220042195A 2021-09-24 2022-04-05 Method of operating a delivery platform and its system KR1026353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195A KR102635381B1 (en) 2021-09-24 2022-04-05 Method of operating a delivery platform and it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270A KR102384793B1 (en) 2021-09-24 2021-09-24 system for delivery service online platform
KR1020220042195A KR102635381B1 (en) 2021-09-24 2022-04-05 Method of operating a delivery platform and its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270A Division KR102384793B1 (en) 2021-09-24 2021-09-24 system for delivery service online plat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659A KR20230043659A (en) 2023-03-31
KR102635381B1 true KR102635381B1 (en) 2024-02-08

Family

ID=812102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270A KR102384793B1 (en) 2021-09-24 2021-09-24 system for delivery service online platform
KR1020220042195A KR102635381B1 (en) 2021-09-24 2022-04-05 Method of operating a delivery platform and its system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270A KR102384793B1 (en) 2021-09-24 2021-09-24 system for delivery service online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47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048A (en)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드림바이크 The online platform system for supporting delivery orders
KR20230165542A (en) 2022-05-27 2023-12-05 어스닉 주식회사 Business method for delivery platfor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408B1 (en) 2017-06-22 2018-09-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tion of food delivery
KR102242380B1 (en) 2020-04-01 2021-04-20 (주) 피큐아이넷 Robot System for Serving of Restaurant
KR102252843B1 (en) 2013-04-05 2021-05-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Determining palettes in palette-based video cod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106A (en) 2011-06-29 2013-01-18 정택현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ayment
KR20150087723A (en) * 2014-01-22 2015-07-3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food
US11472459B2 (en) 2019-11-12 2022-10-18 Bear Robotics, Inc. Serving apparatus
KR20210086195A (en)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이엠비 Method for supplying service of adaptive client using kiosk
KR102255843B1 (en) * 2020-02-17 2021-05-25 주식회사 타키 Method for Recommending Food by using Machine Learn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843B1 (en) 2013-04-05 2021-05-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Determining palettes in palette-based video coding
KR101896408B1 (en) 2017-06-22 2018-09-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tion of food delivery
KR102242380B1 (en) 2020-04-01 2021-04-20 (주) 피큐아이넷 Robot System for Serving of Restau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793B1 (en) 2022-04-11
KR20230043659A (en)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7559B1 (en) Order fulfillment and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US202003425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restaurant recommendations
US105929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hopping in a physical retail facility
US20180150851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lligent Personal Agents for Identifying Intent to Buy
US10943311B1 (en) Order fulfillment and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US109499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centralized customizable operating solution
US2018028546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hannel, decision making, and recommendations
KR102635381B1 (en) Method of operating a delivery platform and its system
US20150379601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Deferring Purchases to Optimize Purchase Conditions
US20150324882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hopping Agents and Sales Agents for Managing Purchasing Decisions
US9898788B1 (en) Predictive restaurant ordering
TWI652637B (en) Regional service provision and service mat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645521B1 (en) system that provides advertising information for restaurants
CN110785784A (en) System for in-store consumer behavior event metadata aggregation, data verifi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and related action triggering for data interpretation
KR102376301B1 (en) system for a platform that provides food recommendation and marketing services based on big data
CN107507037A (en) Server, the present method for pushing on present column and storage medium
KR1016124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US20210264502A1 (en) Electronic Menu, Ordering, and Payment System and Method
US20240020595A1 (en) Coordinated food production, preparation, and delivery
US20130179269A1 (en) Enterprise market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acilitating retail negotiation between merchants and consumers
CA2976615C (en) Repeat order notifications
JP6728147B2 (en) Business management
WO2019202846A1 (en) Food administration system
Tran et al. Fine Dining Restaurant Framework Development and Survey.
KR102645114B1 (en) Location tracking based food pickup system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