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129B1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129B1
KR102635129B1 KR1020190087825A KR20190087825A KR102635129B1 KR 102635129 B1 KR102635129 B1 KR 102635129B1 KR 1020190087825 A KR1020190087825 A KR 1020190087825A KR 20190087825 A KR20190087825 A KR 20190087825A KR 102635129 B1 KR102635129 B1 KR 102635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eat
air
air conditioning
ven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0208A (en
Inventor
맹찬주
박태영
김영근
전기만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129B1/en
Publication of KR20210010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2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1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Abstract

후석 페이스 벤트를 통해 따뜻한 바람이, 후석 플로어 벤트를 통해 차가운 바람이 토출되어 온도성 상하 역전 현상을 방지한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 및 후석 모드 도어의 형상을 변경하여 후석 플로어 벤트로 온풍이 토출되고, 후석 페이스 벤트로 냉풍이 토출되어 공조 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토출하우징은 온풍이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어 플로어 쪽을 향하도록 상부가 편평한 형상인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 및 중앙부에 내측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후석 모드 도어를 포함하여 냉풍의 유로 경사를 완만하게 하여 냉풍이 후석 페이스 벤트로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의 중앙부에 제4 베플을 추가로 설치하여 온풍이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is disclosed that prevents temperature inversion by blowing warm air through the rear seat face vent and cold air through the rear seat floor vent.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n air conditioning case in which an air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n air outlet is formed, and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and a heat exchanger for heating provided in the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wherein the rear seat face ven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front and rear seat mode doors, warm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rear seat floor vent and col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rear seat face vent, improving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 rear seat face vent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with a flat top so that warm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rear seat floor vent and directed toward the floor, and a rear seat mode door that is convex inward in the center portion. Gently slope the cool air flow path so that the cool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rear seat face vent. A fourth baffle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to prevent warm air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rear seat face vent.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시 디포깅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이면서 전방 운전석, 전방 조수석, 후방좌석, 3존의 독립 공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2층류&3존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a two-layer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maintaining high heating performance while ensuring defogging performance during heating, and provides independent air conditioning for the front driver's seat, front passenger seat, and rear seat, and three zones. This relates to a two-layer flow & three-zone typ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can perform control.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내기 또는 외기를 도입하여 송풍하는 블로어 유닛과, 블로어 유닛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공조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하는 공조 유닛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s a device that heats or cools the interior b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or circulating interior air to heat or cool it. It consists of a blower unit that introduces and blows inside or outside air, and 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unit. It consists of an air conditioning unit that conditions air and discharges it into the vehicle interior.

겨울철 난방 주행시 창문에 서리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서 저습한 차가운 외기가 효과적이지만, 실내온도가 낮아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난방시 디포깅(Defogging)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층류(2 Layer) 공조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 2층류 공조장치는 난방시 디포깅을 위해 차량 창문의 상부에 외기를 공급하고 하부에는 내기를 순환시키는 내외기 2층 공기 유동을 구현하여, 창문의 상부로 공급되는 신선하고 저습한 외기를 이용하여 성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탑승자에게 신선한 외부 공기를 제공하고, 따뜻한 내기를 하부로 공급하여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하도록 한다.Cool, low-humidity outdoor air is effective in removing frost from windows when driving in winter, but it results in a lower indoor temperature. To solve this problem, a two-layer air conditioning system was developed to maintain high heating performance while securing defogging performance during heating. The two-layer air conditioning device implements a two-layer internal and external air flow that supplies outdoor air to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window and circulates indoor air to the lower part for defogging during heating, using fresh and low-humidity outdoor air su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window. This effectively removes frost, provides fresh outside air to occupants, and maintains high heating performance by supplying warm air to the lower part.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10) 및 후석 모드 도어(11)가 포함된 종래의 후석 토출하우징(12)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10)는 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후석 모드 도어(11)는 외측이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 including the rear seat face vent part 10 and the rear seat mode door 11 of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Referring to FIG. 1, the rear seat face vent portion 10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configured in a dome shape, and the rear seat mode door 11 is configured in a convex shape on the outside.

상기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10)와 상기 후석 모드 도어(11)로 인해 내부에 일정 형태의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데, 온풍은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10) 내벽을 타고 흘러가게 되어 제1 공기유로를 통과하여 콘솔로 향하게 되는 온도 역전 현상의 문제점이 존재했다. 또한, 차가운 공기는 상기 후석 모드 도어(11)의 외측이 볼록한 형상의 구조에 따른 급한 경사로 인해 콘솔로 가지 못하고 제2 공기유로를 통과하여 플로어 쪽으로 향하게 되는 온도 역전 현상의 문제점이 존재했다.A certain type of air flow path is form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s rear face vent unit 10 and the rear seat mode door 11, and warm air flow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rear seat face vent unit 10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temperature inversion phenomenon that passed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and headed to the consol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of a temperature inversion phenomenon in which cold air could not go to the console due to the steep slope of the outer convex shape of the rear seat mode door 11, but instead passed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and headed toward the floor.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부 온풍통로가 하부 냉풍통로에 비해 상부에 위치하며 후석 페이스 벤트가 후석 플로어 벤트에 비해 상부에 위치함에 따라, 물리적으로 온풍은 위로 향하고 냉풍은 아래로 향하여 후석 페이스 벤트를 통해 온풍이, 후석 플로어 벤트를 통해 냉풍이 토출되어 후석의 온도성 상하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the lower warm air passage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compared to the lower cold air passage, and the rear seat face vent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compared to the rear seat floor vent, so physically hot air is directed upward and cold air is directed downward, so that the rear seat face v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rm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rear seat floor vent and col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rear seat floor vent, cau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r seat to change up and down.

특허문헌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8-0001693호(2018.01.05)Patent document: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8-0001693 (2018.01.05)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 및 후석 모드 도어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한편, 후석 모드 도어의 고정부에 제4 베플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온도 역전 현상을 방지하여 공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s the shape of the rear face vent part and the rear seat mode doo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while additionally installing a fourth baffle on the fixing part of the rear seat mode door, thereby reducing the temperature inversion phenomenon. Provides a two-layer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s that can prevent and improve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하단에는 후석 공기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 공기통로에는 온풍유로가 상측에, 냉풍유로가 하측에 형성되고, 후석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후석 페이스 벤트 및 후석 플로어 벤트를 갖는 후석 토출하우징과,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 및 후석 플로어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모드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후석 모드 도어는 상기 개도를 조절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로터리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온풍유로의 온풍이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로 또는 상기 냉풍유로의 냉풍이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로 토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갖는다.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n air passage formed therein and an air discharge port, and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and a heat exchanger for heating provided in the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 rear seat air passag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in the rear seat air passage, a hot air passag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 cold air passag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a rear seat discharge device having a rear seat face vent and a rear seat floor vent to discharge air to the rear seat side. It includes a housing and a rear seat mode door installed inside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rear seat face vent and the rear seat floor vent, wherein the rear seat mode door is of a rotary type including a plat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 and has a guide portion that guides the warm air from the warm air flow path to be discharged to the rear seat floor vent or the cold air from the cold air flow path to be discharged to the rear seat face vent.

상기에서, 후석 플로어 벤트는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 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풍을 후석 페이스 벤트로 가이드하며,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온풍을 후석 플로어 벤트로 가이드한다.In the above, the rear seat floor vent is disposed lower than the rear seat face vent, and guides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to the rear seat face vent, and guides warm air passing through the heating heat exchanger to the rear seat floor vent.

상기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를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 the guide part may be formed by forming the rear seat face vent par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seat face vent in a straight line.

상기에서, 가이드부는 상기 후석 모드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측보다 하측의 공기 유로 넓이가 더 크게 형성된다.In the above, the guid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arger air flow passage area on the lower side than on the upper side centered on the rear seat mode door rotation axis.

상기에서, 후석 모드 도어는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반 고정되어 내측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며,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의 중심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rear seat mode door is rotatably semi-fixed to the center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to form a convex shape in the inward direction, and is detachable from the center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상기에서, 후석 모드 도어에는 온풍을 후석 플로어 벤트 토출구로 가이드하는 베플이 설치된다.In the above, a baffle is installed on the rear seat mode door to guide warm air to the rear seat floor vent outlet.

상기에서, 베플은 탈부착이 가능하며, 특히 수직막대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In the above, the baffle is detachable and has a vertical bar-shaped shape.

상기에서, 공조케이스의 내부 공기통로는 상하 방향으로 상부통로와 하부통로로 구획되어 2층류 타입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방 운전석, 전방 조수석, 후방 좌석으로 3존(Zone)의 독립적인 온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In the above, the internal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divided into an upper passage and a lower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two-layer flow type, and independent temperature control in three zones is possible for the front driver's seat, front passenger seat, and rear seat. It is done so that

상기에서, 후석 페이스 벤트 및 후석 플로어 벤트는 상기 하부통로와 연통되게 연장 형성된다.In the above, the rear seat face vent and the rear seat floor vent are formed to ext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assage.

상기에서, 공기 토출구는 차량 전석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전석 디프로스트 벤트, 전석 페이스 벤트 및 전석 플로어 벤트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통로에 상기 전석 플로어 벤트로 향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통로의 공기가 전석 플로어 벤트 또는 상부통로로 선택적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연통도어가 구비되어 있다.In the above, the air outlet is provided with a front seat defrost vent, a front seat face vent, and a front seat floor vent for discharging air to the front seats of the vehicle, and a passage leading to the front seat floor vent is formed in the lower passage, and the air in the lower passage is formed. It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door that allows it to selectively flow to the front floor vent or upper passage.

상기에서, 공조케이스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안내수단은 한쌍의 제1 베플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온풍을 하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 베플 및 상기 하부통로를 지나 상승하는 공기의 기울기를 낮추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3 베플을 구비한다.In the above, the first guide mean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consists of a pair of first baffles, a second baffle that guides the warm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ing heat exchanger in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air that rises through the lower passage. It is provided with a third baffle that is rounded to lower the inclination of the baff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후방의 공조를 수행함에 있어 후석 페이스 벤트로 차가운 공기를 유도하고 후석 플로어 벤트로 따뜻한 공기를 유도하여 탑승자에게 쾌적한 공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풍량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이고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가이드 수단을 구현할 수 있다.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mfortable air conditioning to the occupants by inducing cold air through the rear seat face vent and warm air through the rear seat floor vent when air conditioning the rear of the vehicle, and does not cause a decrease in air volume. The guidance means can be easily implemented effectively and without increasing costs.

도 1 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토출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스 모드시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토출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 형상 및 이에 따른 따뜻한 공기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후석 모드 도어 형상 및 이에 따른 차가운 공기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모드 도어에 결합되어 있는 제4 베플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벤트모드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믹스모드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모드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of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ar discharge housing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showing the flow of cold air and warm air in a mixe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rear face vent part of an air conditioning case constitut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rresponding warm air guide par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rear-seat mode door constituting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rresponding cold air guide par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baffle coupled to the rear mode door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showing the air flow in the vent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showing the air flow in the mix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showing air flow in a defrost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elow,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10)를 구비한다. 공조케이스(110)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출구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다. 공기토출구는 차량 전석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전석 공기 토출구와 차량 후석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후석 공기토출구로 구성된다. 전석 공기토출구는 전석 디프로스트 벤트(111), 전석 페이스 벤트(112) 및 전석 플로어 벤트(113)로 구성되며, 후석 공기토출구는 후석 페이스 벤트(114) 및 후석 플로어 벤트(115)로 구성된다.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110. An air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an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outlet. The air outlet consists of a front seat air outlet that discharges air to the front seats of the vehicle and a rear seat air outlet that discharges air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The front seat air outlet consists of a front seat defrost vent (111), a front seat face vent (112), and a front seat floor vent (113), and the rear seat air outlet consists of a rear seat face vent (114) and a rear seat floor vent (115).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도어가 구비된다. 도어는 전석 디프로스트 벤트(111)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121)와 전석 페이스 벤트(112)의 개도를 조절하는 페이스도어(122)와, 전석 플로어 벤트(113)의 개도를 조절하는 연통도어(123)와, 후석 페이스 벤트(114) 및 후석 플로어 벤트(115)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모드 도어(124)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doors are provid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door has a defrost door (121) that controls the opening degree of the front seat defrost vent (111), a face door (122) that controls the opening degree of the front seat face vent (112), and a front door that controls the opening degree of the front seat floor vent (113). It includes a communication door 123 and a rear seat mode door 124 that adjusts the opening degrees of the rear seat face vent 114 and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공조케이스(110)의 입구에는 블로어 유닛이 구비되며, 블로어 유닛은 내기와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한다. 블로어 유닛의 내부는 내기통로와 외기통로가 구획 형성된다.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에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순차로 구비된다. 냉각용 열교환기는 증발기(102)로 구성되며, 가열용 열교환기는 히터코어(103) 및 PTC 등의 전열히터(104)로 구성된다.A blower unit is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the blower unit selectively introduces internal and external air. The inside of the blower unit is divided into an internal passage and an external air passage. In the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 cooling heat exchanger and a heating heat exchanger are sequentially provided in the air flow direction. The cooling heat exchanger consists of an evaporator 102, and the heating heat exchanger consists of a heater core 103 and an electric heater 104 such as a PTC.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는 분리벽(140)에 의해 상부통로(151)와 하부통로(152)로 구획된다. 블로어 유닛의 내기통로로 유입된 공기는 공조케이스(110)의 하부통로(152)로 유동하며, 블로어 유닛의 외기통로로 유입된 공기는 공조케이스(110)의 상부통로(151)로 유동한다. 분리벽(140)은 증발기(102)의 상류, 증발기(102)와 히터코어(103)의 사이 및 전열히터(104)의 하류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통로(151)와 하부통로(152)로가 상하로 구획된다.The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divided into an upper passage 151 and a lower passage 152 by a separation wall 140. The air flowing into the internal passage of the blower unit flows into the lower passage 15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external air passage of the blower unit flows into the upper passage 15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separation wall 140 is formed to extend approximately horizontally upstream of the evaporator 102, between the evaporator 102 and the heater core 103, and downstream of the electric heater 104, and forms an upper passage 151 and a lower passage ( 152) The road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공기통로는 상하 방향으로 상부통로(151)와 하부통로(152)로 구획되어 2층류(2Layer) 타입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방 운전석, 전방 조수석, 후방 좌석으로 3존(Zone)의 독립적인 온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는, 난방시 디포깅(Defogging)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난방시 디포깅을 위해 차량 상부에는 외기를 공급하고 하부에는 내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상부로 공급되는 신선하고 저습한 외기를 이용하여 성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탑승자에게 신선한 외부 공기를 제공하고, 따뜻한 내기를 하부로 공급하여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하도록 한다.The internal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divided into an upper passage 151 and a lower passage 15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of a 2-layer type, and is divided into three zones (front driver's seat, front passenger seat, and rear seat). Zone) is made to enable independent temperature control. The two-laye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can maintain high heating performance while ensuring defogging performance during heating. In other words, for defogging during heating,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top of the vehicle and indoor air is circulated to the bottom,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frost using fresh, low-humidity outside air supplied to the top, while providing fresh outside air to the occupants and providing warm, warm air. The heater is supplied to the bottom to maintain high heating performance.

상부통로(151)에는 상부 템프도어(161)가 구비되고, 하부통로(152)에는 하부 템프도어(162)가 구비된다. 상부 템프도어(161)는 증발기(102)와 히터코어(103) 사이에 구비되어, 히터코어(103)를 통과하는 공기와 바이패스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하부 템프도어(162)는 증발기(102)와 히터코어(103) 사이에 구비되어, 히터코어(103)를 통과하는 공기와 바이패스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The upper passage 151 is provided with an upper temp door 161, and the lower passage 152 is provided with a lower temp door 162. The upper temp door 161 is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102 and the heater core 103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and bypassing the heater core 103. The lower temp door 162 is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102 and the heater core 103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and bypassing the heater core 103.

상부통로(151)에는 히터코어(103)를 바이패스하는 상부 냉풍통로와 히터코어(103)를 통과하는 상부 온풍통로가 형성되며, 하부통로(152)에는 히터코어(103)를 통과하는 하부 온풍통로와 히터코어(103)를 바이패스하는 하부 냉풍통로가 형성된다. 상부 냉풍통로, 상부 온풍통로, 하부 온풍통로 및 하부 냉풍통로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차로 형성된다.In the upper passage 151, an upper cold air passage bypassing the heater core 103 and an upper warm ai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3 are formed, and in the lower passage 152, a lower warm ai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3 is formed. A lower cold air passage that bypasses the passage and the heater core 103 is formed. The upper cold air passage, the upper warm air passage, the lower warm air passage, and the lower cold air passage are formed sequentially from top to bottom.

상부통로(151)를 유동하는 일부 공기는 차량 운전석의 전석 디프로스트 벤트(111) 또는 전석 페이스 벤트(112)로 토출되고, 다른 일부 공기는 차량 전방의 조수석의 전석 디프로스트 벤트(111) 또는 전석 페이스 벤트(112)로 토출된다. 또한, 하부통로(152)를 유동하는 공기는 차량 전방의 전석 플로어 벤트(113)로 토출되거나 상부통로(151)와 연통하여 전석 공기토출구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센터통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차량 후방의 후석 페이스 벤트(114) 또는 후석 플로어 벤트(115)로 토출된다.Som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upper passage 151 is discharged to the front defrost vent 111 or the front seat face vent 112 o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air is discharged to the front defrost vent 111 or the front passenger seat at the front of the vehicle.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face vent (112). Additionally, the air flowing in the lower passage 152 may be discharged to the front seat floor vent 113 at the front of the vehicle, or may be discharged to the front seat air outle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passage 151. In additio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lower center passage is discharged to the rear seat face vent 114 or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at the rear of the vehicle.

차량용 공조장치는 온도 상하 역전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온도 상하 역전 방지수단은 하부통로(152)를 유동하는 냉풍 또는 온풍을 가이드하여, 후석 플로어 벤트(115)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후석 페이스 벤트(114)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더 낮도록 한다. 즉, 온도 상하 역전 방지수단은 후석 플로어 벤트(115)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후석 페이스 벤트(114)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더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한다.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es a means to prevent temperature reversal. The temperature reversal prevention means guides the cold or warm air flowing in the lower passage 152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rear seat face vent 114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do. That is, the temperature reversal prevention means prevents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ear seat face vent 114 from becoming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후석 페이스 벤트(114)를 통해 뜨거운 공기가 토출되고 후석 플로어 벤트(115)를 통해 차가운 공기가 토출되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며, 온도 상하 역전 방지수단은 후석 페이스 벤트(114)로 비교적 차가운 공기가 토출되고 후석 플로어 벤트(115)로 비교적 따뜻한 공기가 토출되도록 안내하여 후석(2열 또는 3열) 탑승자에게 쾌적한 공조를 수행하게 한다.When hot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rear seat face vent (114) and col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it causes discomfort to the occupants, and the means of preventing temperature reversal is the rear seat face vent (114), which prevents relatively cold air from flowing out. It is discharged and guides relatively warm ai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rear floor vent 115, thereby providing comfortable air conditioning to rear seat (second or third row) passengers.

후석 플로어 벤트(115)는 탑승자의 발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며 후석 페이스 벤트(114)는 탑승자의 얼굴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후석 플로어 벤트(115)는 후석 페이스 벤트(114)보다 물리적으로 하부에 배치된다. 하부 온풍통로는 하부 냉풍통로에 비해 물리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므로, 하부 온풍통로를 유동하는 따뜻한 공기는 물리적으로 후석 플로어 벤트(115)보다 상부에 위치한 후석 페이스 벤트(114)로 토출되려는 경향을 보이며, 하부 냉풍통로를 유동하는 차가운 공기는 물리적으로 후석 페이스 벤트(114)보다 하부에 위치한 후석 플로어 벤트(115)로 토출되려는 경향을 보인다. 온도 상하 역전 방지수단은 하부 온풍통로의 공기를 후석 플로어 벤트(115)로 유도하고 하부 냉풍통로의 공기를 후석 페이스 벤트(114)로 유도하여, 이러한 상하 온도 역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ar seat floor vent 115 discharges air toward the occupant's feet, and the rear seat face vent 114 discharges air toward the occupant's face, so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is physically located lower than the rear seat face vent 114. do. Since the lower warm air passage is physically located higher than the lower cold air passage, the warm air flowing through the lower warm air passage tends to be discharged to the rear seat face vent 114, which is physically located higher than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Cold air flowing through the lower cold air passage tend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which is physically located lower than the rear seat face vent 114.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 reversal prevention means guides the air in the lower warm air passage to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and the air in the lower cold air passage to the rear seat face vent 114, thereby preventing this upper and lower temperature reversal phenomenon.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 상하 역전 방지수단은 후석 토출하우징(300)의 구조를 변화시켜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means for preventing temperature up/down reversal is formed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스 모드시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토출하우징(30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ar discharge housing 300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showing the flow of cold air and warm air in a mixe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토출하우징(300)은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300)내부의 중간에는 후석 모드 도어(124)가 형성된다.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102)와 히터코어(103)를 거친 공기는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300)을 통과한다. 상기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200)와 상기 후석 모드 도어(124)에 의해 상기 증발기(102)와 히터코어(103)를 거친 공기 중 냉풍은 후석 페이스 벤트(114)를 통해 콘솔방향으로 향하고 온풍은 후석 플로어 벤트(115)를 통해 플로어 방향으로 흘러가게 된다.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115)는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114)보다 하부에 배치된다.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face vent portion 200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 rear seat mode door 124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interior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is form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02 and heater core 103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passes through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The cold air i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02 and the heater core 103 by the rear seat face vent unit 200 and the rear seat mode door 124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directed toward the console through the rear seat face vent 114. Warm air flows toward the floor through the rear floor vent 115.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is disposed lower than the rear seat face vent 114.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토출하우징(300)을 구성하는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 형상 및 이에 따른 따뜻한 공기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rear face vent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constituting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rm air guide portion accordingly.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200) 형상은 직선형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선과 도 3에 도시된 점선을 참고하면 종래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10)는 형상이 둥근 반원 모양을 하고 있어 후석 토출하우징(12)으로 유입된 온풍은 종래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10) 내측 벽면을 타고 이동하여 후석 페이스 벤트로 이동하여 콘솔쪽으로 토출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하지만, 상기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200) 형상을 직선형으로 구성하면서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공기의 흐름처럼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300)으로 유입된 온풍이 상기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200) 내벽에 부딪혀 굴절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후석 모드 도어(124)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측보다 하측의 공기 유로 넓이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300)의 하부로 굴절된 온풍은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115)쪽으로 이동하여 결국 플로어 방향으로 토출된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rear seat face vent portion 200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configured in a straight shape. Referring to the solid line shown in FIG. 1 and the dotted line shown in FIG. 3, the rear seat face vent portion 10 of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case has a round semicircular shape, so the warm air flowing into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 is blown into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case. There were frequent cases where it mov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rear seat face vent part 10, moved to the rear seat face vent, and was discharged toward the console. However, while the shape of the rear seat face vent 200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configured to be straight, the warm air flowing into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like the air flow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3, flows through the rear seat face ven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It can be seen that it is refracted when it hits the inner wall. In particular, the air flow passage area at the lower side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upper side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rear seat mode door 124. The warm air refracte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moves toward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and is eventually discharged toward the floor.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모드 도어 형상 및 이에 따른 차가운 공기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rear-seat mode door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ing cold air guide portion.

도 4에 도시된 점선을 참고하면 종래의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모양을 이루는 후석 모드 도어(11)는 급격한 유로 경사면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300)으로 유입된 냉풍이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114)를 지나 콘솔방향으로 토출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 새로 형성된 상기 후석 모드 도어(124)는 내측방향으로 볼록한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종전의 유로 경사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유로 경사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300)으로 들어온 냉풍은 쉽게 상기 후석 모드 도어(124)의 경사면을 타고 흐르며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114) 방향으로 이동하여 콘솔방향으로 토출된다.Referring to the dotted line shown in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conventional rear seat mode door 11, which has a convex shape in the outward direction, has a steep flow path slope. Therefore, it was difficult for the cold air flowing into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to pass through the rear seat face vent 114 and be discharged toward the console. On the other hand, the newly formed rear seat mode door 124 has a convex shape in the inward direction. This structure forms a relatively gentle flow path slope compared to the previous flow path slope. Accordingly, the cold air entering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easily flows along the slope of the rear seat mode door 124, moves toward the rear seat face vent 114,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console.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모드 도어에 결합되어 있는 제4 베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baffle coupled to the rear mode door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후석 모드 도어(124)는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300)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반 고정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점선을 참조하면 종래의 경우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로부터 들어온 온풍이 상기 후석 모드 도어(124)의 가장자리 부분이 닿지 않는 틈 사이로 빠져나가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114)로 흘러들어가 콘솔방향으로 토출되는 현상이 빈번했다. 이에 따라 비록 상기와 같이 후석 모드 도어(124)의 형상을 개선하더라도 완벽하게 공기 역전 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상기 후석 모드 도어에 제4 베플(240)을 추가로 설치하였다.The rear seat mode door 124 is rotatably semi-fixed to the center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Referring to the dotted line shown in FIG. 5,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warm air coming from the vehicle air conditioner escapes through the gap where the edge of the rear seat mode door 124 does not reach, flows into the rear seat face vent 114, and flows toward the console. Discharge was frequent. Accordingly,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air reversal phenomenon even if the shape of the rear seat mode door 124 is improved as described above, a fourth baffle 240 wa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rear seat mode door.

상기 베플(240)은 상기 후석 모드 도어(124)의 고정부에 구비된다. 상기 베플(240)은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300)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300)으로 유입되는 온풍과 마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온풍의 후석 페이스 벤트(114) 방향의 유로가 차단 되거나 상기 베플(240)에 부딪혀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300) 하부 방향으로 굴절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114) 토출구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굴절되거나 차단된 뜨거운 공기는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115)로 이동하여 플로어 방향으로 토출된다. 특히, 굴절 및 차단 효과를 최대화 하기 위해 상기 베플은(240) 수직막대 모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막대 모양의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후석 모드 도어(124)가 미처 차단하지 못하는 온풍의 흐름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석 모드 도어(124)의 고정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사용자 입장에서 쉽게 설치할 수 있다.The baffle 240 is provided on the fixing part of the rear seat mode door 124. The baffle 24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and faces the warm air flowing into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Accordingly, the flow path of warm air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seat face vent 114 is blocked or it hits the baffle 240 and is deflecte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Accordingly, the hot air that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outlet of the rear seat face vent 114 and is refracted or blocked moves to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floor. In particular, in order to maximize the refraction and blocking effect, the baffle 240 is shaped like a vertical bar. By forming a bar-shaped shape, it is possible to block as much as possible the flow of warm air that the rear seat mode door 124 cannot block. 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be attachable and detachable from the fixing part of the rear seat mode door 124, so it can be easily installed from the user's perspectiv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모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스모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프로스트모드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showing the air flow in a ven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showing the air flow in a mixe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oss-sectional view,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showing air flow in a defros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벤트모드 시, 상부 템프도어(161) 및 하부 템프도어(162)는 상부 온풍통로와 하부 온풍통로를 각각 폐쇄한다. 또한, 후석 모드 도어(124)는 후석 플로어 벤트(115)를 폐쇄하고 후석 페이스 벤트(114)를 개방한다. 증발기(102)를 통과한 상부통로의 냉풍은 히터코어(103)를 바이패스하고 상부 냉풍통로를 지나 전석 페이스 벤트(11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며, 하부통로의 냉풍은 하부 냉풍통로를 지나 후석 페이스 벤트(11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Referring to FIG. 6, in the vent mode, the upper temp door 161 and the lower temp door 162 close the upper warm air passage and the lower warm air passage,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rear seat mode door 124 closes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and opens the rear seat face vent 114. The cold air from the uppe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2 bypasses the heater core 103, passes through the upper cold air passage, and is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front seat face vent 112, and the cold air from the lower passage passes through the lower cold air passage to the rear seats. It is discharged indoors through the face vent (114).

후석 모드 도어(124)의 배면이 후석 페이스 벤트(114)쪽으로 향하도록 놓여있어 후석 플로어 벤트(115)를 지나 플로어 방향으로 흐르는 냉풍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 후석 토출하우징(300)으로 유입된 냉풍이 내측으로 볼록한 모양이 형성된 후석 모드 도어(124)가 형성하는 완만한 경사면을 타고 후석 페이스 벤트(114)를 지나 콘솔방향으로 토출된다.The back of the rear seat mode door 124 is positioned toward the rear seat face vent 114 to block cold air flowing through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toward the floor. As a result, the cold air flowing into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passes through the rear seat face vent 114 along the gentle slope formed by the rear seat mode door 124, which has an inward convex shape,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console.

도 7을 참조하면, 믹스모드 시, 상부 템프도어(161)는 상부 온풍통로와 상부 냉풍통로를 모두 개방하며, 하부 템프도어(162)는 하부 온풍통로와 하부 냉풍통로를 모두 개방한다. 후석 모드 도어(124)는 후석 페이스 벤트(114)와 후석 플로어 벤트(115)를 모두 개방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mix mode, the upper temp door 161 opens both the upper hot air passage and the upper cold air passage, and the lower temp door 162 opens both the lower hot air passage and the lower cold air passage. The rear seat mode door 124 opens both the rear seat face vent 114 and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증발기(102)를 통과한 상부통로의 공기 중 일부는 히터코어(103)를 바이패스하고 상부 냉풍통로를 지나며 다른 일부는 히터코어(103)를 통과하여 상부 온풍통로를 지나 전석 페이스 벤트(112) 또는 전석 디프로스트 벤트(11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Some of the air in the uppe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2 bypasses the heater core 103 and passes through the upper cold air passage, and the other portion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103 and passes through the upper warm air passage to the front seat face vent 112. Alternatively, it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front seat defrost vent (111).

증발기(102)를 통과한 하부통로의 공기 중 일부는 히터코어(103)를 바이패스하고 하부 냉풍통로를 지나며 다른 일부는 히터코어(103)를 통과하여 하부 온풍통로를 지나 전석 플로어 벤트(113), 후석 페이스 벤트(114) 및 후석 플로어 벤트(115)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하부 냉풍통로를 지나는 공기는 제1 베플이 구비된 제1 안내수단(210) 및 제3 베플(230)에 의해 후석 페이스 벤트(114)로 더 많이 토출되며, 하부 온풍통로를 지나는 공기는 제2 베플(220)에 의해 후석 플로어 벤트(115)로 더 많이 토출된다.Some of the air in the lowe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2 bypasses the heater core 103 and passes through the lower cold air passage, and the other portion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103 and passes through the lower warm air passage to the front floor vents 113. , it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rear seat face vent 114 and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cold air passage is discharged to the rear seat face vent 114 by the first guide means 210 and the third baffle 230 equipped with the first baffle,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warm air passage is discharged to the second baffle. More is discharged to the rear floor vent 115 by the baffle 220.

특히 후석 토출하우징(300)에 공기가 유입된 후에는 냉풍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후석 모드 도어(124)의 경사면을 타고 후석 페이스 벤트(114)를 지나 콘솔방향으로 토출된다. 온풍은 편평한 형상을 이루는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200)에 부딪혀 후석 토출하우징(300)의 하부방향으로 굴절되거나, 제4 베플(240)에 가로막혀 차단 및 굴절되어 후석 페이스 벤트(114) 방향으로 흐르지 못하고 후석 플로어 벤트(115)로 흘러 플로어 방향으로 토출된다. 제4 베플(240)은 후석 모드 도어(124)의 하단부와 일직선을 이루어 온풍이 후석 페이스 벤트(114)로 향하는 경로를 차단한다. In particular, after air flows into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the cold air travels along the gently sloping slope of the rear seat mode door 124, passes through the rear seat face vent 114,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console. The warm air hits the rear seat face vent part 200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which has a flat shape, and is refracte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or is blocked and refracted by the fourth baffle 240, causing the rear seat face vent 114. It cannot flow in this direction and flows to the rear floor vent 115 and is discharged in the floor direction. The fourth baffle 240 is in a straight line with the lower part of the rear seat mode door 124 and blocks the path of warm air toward the rear seat face vent 114.

도 8를 참조하면, 상부 템프도어(161) 및 하부 템프도어(162)는 상부 냉풍통로와 하부 냉풍통로를 각각 폐쇄한다. 또한, 후석 모드 도어(124)는 후석 페이스 벤트(114) 및 후석 플로어 벤트(115)를 폐쇄하고 연통도어(123)는 전석 플로어 벤트(113)를 폐쇄한다. 증발기(102)를 통과하고 히터코어(103) 및 전열히터(104)를 통과한 상부통로의 온풍은 상부 온풍통로를 지나 전석 디프로스트 벤트(11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며, 증발기(102)를 통과하고 히터코어(103) 및 전열히터(104)를 통과한 하부통로의 온풍은 하부 온풍통로를 지나 상부통로로 이동하여 전석 디프로스트 벤트(11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upper temp door 161 and the lower temp door 162 close the upper and lower cold air passages,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rear seat mode door 124 closes the rear seat face vent 114 and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and the communication door 123 closes the front seat floor vent 113. The warm air in the upper passage that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02, the heater core 103, and the electric heater 104 passes through the upper warm air passage and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front defrost vent 111, and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evaporator 102. The warm air in the lowe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3 and the electric heater 104 moves through the lower warm air passage to the upper passage and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front seat defrost vent 111.

후석 토출하우징(300)에서는 후석 모드 도어(124)의 배면이 공조케이스(110) 내부방향으로 향하도록 놓여있어 히터코어(103)에서 온풍이 후석 페이스 벤트(114) 방향과 후석 플로어 벤트(115) 방향으로 흐르지 못해 콘솔방향과 플로어 방향으로 토출되지 않는다.In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300), the back of the rear seat mode door (124) is placed so that the back of the rear seat mode door (124) faces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so that warm air from the heater core (103) flows toward the rear seat face vent (114) and the rear seat floor vent (115). It cannot flow in either direction, so it is not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sole or floor.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So far,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anyon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0: 종래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 11: 종래의 후석 모드 도어
12: 종래의 후석 토출하우징 102: 증발기
103: 히터코어 104: 전열히터
110: 공조케이스 111: 전석 디프로스트 벤트
112: 전석 페이스 벤트 113: 전석 플로어 벤트
114: 후석 페이스 벤트 115: 후석 플로어 벤트
121: 디프로스트도어 122: 페이스도어
123: 연통도어 124: 후석 모드 도어
140: 분리벽 151: 상부통로
152: 하부통로 161: 상부 템프도어
162: 하부 템프도어
200: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
210: 제1 안내수단
220: 제2 베플 230: 제3 베플
240: 제4 베플 300: 후석 토출하우징
10: Conventional rear seat face vent 11: Conventional rear seat mode door
12: Conventional rear discharge housing 102: Evaporator
103: heater core 104: electric heater
110: Air conditioning case 111: Front seat defrost vent
112: Front seat face vent 113: Front seat floor vent
114: Rear seat face vent 115: Rear seat floor vent
121: Defrost door 122: Face door
123: Flue door 124: Rear seat mode door
140: separation wall 151: upper passage
152: lower passage 161: upper temp door
162: Lower temp door
200: Rear seat face vent of air conditioning case
210: First guidance means
220: 2nd baffle 230: 3rd baffle
240: Fourth baffle 300: Rear seat discharge housing

Claims (13)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하단에는 후석 공기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 공기통로에는 온풍유로가 상측에, 냉풍유로가 하측에 형성되고,
후석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후석 페이스 벤트 및 후석 플로어 벤트를 갖는 후석 토출하우징과,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 및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모드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후석 모드 도어는 상기 개도를 조절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로터리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온풍유로의 온풍이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로 또는 상기 냉풍유로의 냉풍이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는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 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냉각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풍을 후석 페이스 벤트로 가이드하며,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온풍을 후석 플로어 벤트로 가이드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의 상부에 위치한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를 직선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후석 모드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측보다 하측의 공기 유로 넓이가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후석 모드 도어는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반 고정되어 내측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되,
후석 토출하우징으로 유입된 온풍이 공조케이스의 후석 페이스 벤트부 내벽에 부딪혀 굴절되고,
후석 토출하우징으로 들어온 냉풍은 후석 모드 도어의 경사면을 타고 흐르며 후석 페이스 벤트 측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n air conditioning case with an air passage formed inside and an air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In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including a cooling heat exchanger and a heating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 rear air passag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n the rear seat air passage, a hot air passag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 cold air passag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 rear seat discharge housing having a rear seat face vent and a rear seat floor vent to discharge air to the rear seat side,
It includes a rear seat mode door installed inside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rear seat face vent and the rear seat floor vent,
The rear seat mode door is of a rotary type including a plate that adjusts the opening degree,
It has a guide part that guides the warm air from the warm air flow path to be discharged to the rear seat floor vent or the cold air from the cold air flow path to the rear seat face vent,
The rear seat floor vent is disposed lower than the rear seat face vent,
The guide part guides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to the rear seat face vent, and guides warm air passing through the heating heat exchanger to the rear seat floor vent,
The guide portion forms a straight rear seat face vent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located above the rear seat face vent,
The guid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arger air flow path area on the lower side than on the upper side centered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rear seat mode door,
The rear seat mode door is rotatably semi-fixed to the center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and has a convex shape in the inward direction,
The warm air flowing into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hits the inner wall of the rear face vent par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is refracted,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ld air entering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flows along the slope of the rear seat mode door and is guided to the rear seat face v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석 모드 도어는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의 중심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rear seat mode door is detachable from the center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석 모드 도어에는 온풍을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로 가이드하는 베플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baffle is installed on the rear seat mode door to guide warm air to the rear seat floor v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플은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In clause 7,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baffle is detachab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플은 수직막대 모양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In clause 7,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baffle has a vertical bar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 공기통로는 상하 방향으로 상부통로와 하부통로로 구획되어 2층류 타입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방 운전석, 전방 조수석, 후방 좌석으로 3존(Zone)의 독립적인 온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ternal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divided into an upper passage and a lower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of a two-layer flow type, and is configured to enable independent temperature control of three zones for the front driver's seat, front passenger seat, and rear seat.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 및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는 상기 하부통로와 연통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rear seat face vent and the rear seat floor vent exten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passa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는 차량 전석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전석 디프로스트 벤트, 전석 페이스 벤트 및 전석 플로어 벤트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통로에 상기 전석 플로어 벤트로 향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통로의 공기가 전석 플로어 벤트 또는 상부 통로로 선택적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연통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air outlet is provided with a front seat defrost vent, a front seat face vent, and a front seat floor vent for discharging air to all seats of the vehicle,
A passage leading to the floor vent for all seats is formed in the lower passage,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door that allows air from the lower passage to selectively flow to the front seat floor vent or the upper passag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안내수단은 한쌍의 제1 베플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온풍을 하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 베플 및
상기 하부통로를 지나 상승하는 공기의 기울기를 낮추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3 베플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first guide mean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consists of a pair of first baffles,
a second baffle that guides the warm air passing through the heating heat exchanger downward;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 third baffle that is rounded to lower the slope of air rising through the lower passage.
KR1020190087825A 2019-07-19 2019-07-19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6351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825A KR102635129B1 (en) 2019-07-19 2019-07-19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825A KR102635129B1 (en) 2019-07-19 2019-07-19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208A KR20210010208A (en) 2021-01-27
KR102635129B1 true KR102635129B1 (en) 2024-02-08

Family

ID=7423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825A KR102635129B1 (en) 2019-07-19 2019-07-19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1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9080B (en) * 2021-09-26 2023-09-2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Cold and hot saucer, auxiliary instrument assembly using same an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443A (en) * 2005-07-28 2007-02-01 한라공조주식회사 Two-layer air flowing type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KR101453366B1 (en) * 2012-05-07 2014-10-2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80001693A (en) 2016-06-27 2018-01-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208A (en)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3646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2531526B1 (en)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65807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180001693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635129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70121069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536564B1 (en)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648124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KR102635124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10109152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10056227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53342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80001618A (en)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38229B1 (en) 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210066138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30150478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220212520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3877187B2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US1130560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20139086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30150506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63512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11801729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23015008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20109775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