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483B1 - Testing apparatus of brake calip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Testing apparatus of brake calip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483B1
KR102634483B1 KR1020210037203A KR20210037203A KR102634483B1 KR 102634483 B1 KR102634483 B1 KR 102634483B1 KR 1020210037203 A KR1020210037203 A KR 1020210037203A KR 20210037203 A KR20210037203 A KR 20210037203A KR 102634483 B1 KR102634483 B1 KR 102634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ing fluid
brake caliper
pressure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2693A (en
Inventor
서영교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3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483B1/en
Publication of KR2022013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6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48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42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G01N2203/0048Hydraul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브레이크 캘리퍼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브레이크 캘리퍼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및 유체공급부에 연결되고, 브레이크 캘리퍼로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supporting the brake caliper, a fluid supply portion that supplies working fluid to the brake caliper, and a fluid supply portion connected to the brake calip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essure regulator that adjusts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caliper.

Description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TESTING APPARATUS OF BRAKE CALIPER FOR VEHICLE}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TESTING APPARATUS OF BRAKE CALIP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브레이크 캘리퍼를 시험할 수 있는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capable of testing air brake calipers.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를 제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이때의 밟는 힘을 소정의 과정을 통해 브레이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에 인가하여 브레이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자동차를 제동시킨다. 최근 자동차의 고성능화에 따라 강력하고, 안정적인 제동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떠한 조건에서도 충분한 제동력과 안정성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이 요구된다. Generally,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a brake device to brake the automobile. In this brake device, when the driver steps on the brake pedal,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brake disc and brake pad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ss to brake the car by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brake disc and brake pad. Recently, as the performance of automobiles has increased, a brake system with sufficient braking power and stability under any conditions is required to ensure strong and stable braking performance.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종래에는 브레이크 다이나모 시험에 의해 브레이크의 일반 성능, 스퀼 소음, 마찰재의 마모, 고속 이상 진동 및 효력 특성을 측정하여 자동차의 브레이크의 성능 파악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종래의 브레이크 성능시험을 위한 시험기는 1회 시험을 위한 시험 비용이 과도하게 높아 활용성과 이용성에 제한이 있으며, 트럭이나 버스와 같은 대형차량에 장착되는 대용량 에어 브레이크 캘리퍼의 작동 내구성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response to such demands, conventional brake dynamo tests have been used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automobile brakes by measuring the general performance of the brakes, squeal noise, wear of friction materials, high-speed abnormal vibration, and effectiveness characteristics. However, the test equipment for conventional brake performance tests has limitations in usability and usability due to the excessively high test cost for a single test, and it cannot confirm the operational durability of large-capacity air brake calipers mounted on large vehicles such as trucks and buses.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6136호(2009.02.13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차의 브레이크 디스크용 시험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16136 (published on February 13, 2009, title of the invention: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obile brake discs).

본 발명은 브레이크 캘리퍼의 작동성과 내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that can check the oper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brake caliper.

또한, 본 발명은 시험 환경, 압력, 주기, 횟수 등의 시험 조건을 가변시킬 수 있는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that can vary test conditions such as test environment, pressure, cycle, and number of time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브레이크 캘리퍼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및 상기 유체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공급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supporting the brake caliper; and supplying working fluid to the brake caliper. fluid supply unit; and a pressur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unit and controlling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또한, 상기 본체부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Additionally,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to be movable.

또한, 상기 본체부를 지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moving part that supports the main body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또한,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작동 유체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유체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와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전달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작동 유체를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공급하는 챔버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luid supply unit may include: a compression unit that compresses and supplies the working fluid; and a delivery unit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to provide a flow path for the working fluid; and a chamber unit provided between the transmission unit and the brake caliper and supplying the working fluid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to the brake caliper.

또한,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의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를 지지하고,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전달부와 상기 챔버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 유체를 각각의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분기시키는 분기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supports a plurality of the brake calipers, and the fluid supply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mission part and the chamber part, and further includes a branch part that branches the working fluid to each of the brake calipers.

또한, 상기 분기부는, 상기 전달부를 통해 상기 작동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작동 유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제거부;와, 상기 제거부에 의해 제거된 상기 수분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와, 상기 제거부로부터 수분이 제거된 상기 작동 유체를 전달받는 유동부; 및 상기 유동부로 전달된 상기 작동 유체를 복수개의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분배하는 분배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ranch part includes an inlet into which the working fluid flows through the delivery part; and a removal part that removes moisture from the working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and the moisture removed by the removal part includes a filter unit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and a moving unit that receives the working fluid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from the removal unit; and a distribution unit that distributes the working fluid delivered to the moving unit to the plurality of brake calipers.

또한, 상기 제거부는,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제거부몸체;와, 상기 제거부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분의 통과를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작동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통과부;와, 상기 차단부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수분을 상기 필터부로 유입시키는 낙하부; 및 상기 차단부와 상기 낙하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를 상기 낙하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moval unit includes: a removal unit body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a blocking unit disposed inside the removal unit body to block passage of the moisture; and a blocking unit formed through the blocking unit to allow passage of the working fluid. a passing part that allows; and a falling part that allows the moisture falling from the blocking part to flow into the filter part; and a spacer provided between the blocking part and the falling part, and separating the blocking part from the falling part.

또한, 상기 유동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차단부를 상기 낙하부를 향해 가압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cover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moving portion and pressing the blocking portion toward the falling portion.

또한, 상기 제거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유동부로 전달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압력유지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pressure maintenance part provided between the removal part and the cover part and maintaining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delivered to the moving part uniformly.

또한, 상기 압력유지부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거부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Additionally, the pressure holding portions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moval portion body.

또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공급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설정 주기로 반복하여 상승 및 하강시킨다.Additionally, the pressure regulator repeatedly raises and lowers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at a set cycle.

또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전달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달부를 개폐하여 상기 작동 유체의 유동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개폐부;와, 상기 전달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달부의 폐쇄 시 상기 작동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배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sure regulator is provided in the delivery unit,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that opens and closes the delivery unit to allow or restrict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and, provided in the delivery unit, when the delivery unit is closed, the working fluid is supplied to the outside. A discharge part that discharges to;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opening/clos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nd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opening/clos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배출부에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상기 설정 주기로 반복하여 전달하는 타이머부; 및 상기 타이머부에 연결되고, 상기 타이머부의 상기 제1신호와 상기 제2신호를 통해 상기 전달부의 개폐 횟수를 측정하는 카운터부;를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timer unit that repeatedly transmits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to the opening/clos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t the set period; and a counter unit connected to the timer unit and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the transmission unit is opened and closed using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from the timer unit.

또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공급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sur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pressure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본 발명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는 유체공급부와 압력조절부를 통한 작동 유체 공급 조절을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브레이크 캘리퍼의 작동 성능을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제작 및 시험에 따른 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The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brake caliper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by controlling the operating fluid supply through the fluid supply unit and the pressure control unit,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effort of manufacturing and testing. You can save mone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는 이동부에 의해 본체부의 설치 위치가 가변시켜 실차 모사 환경을 구현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조건의 시험 환경에서 성능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n environment simulating an actual vehicle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by a moving part, so that performance tests can be performed in a test environment under various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는 지지부가 복수개의 브레이크 캘리퍼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다수개의 브레이크 캘리퍼를 동시에 시험할 수 있음에 따라 신속한 시험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upport portion to support a plurality of brake calipers, so that multiple brake calipers can be tested simultaneously, enabling rapid tes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는 분기부에 의해 하나의 압축부만으로 복수개의 브레이크 캘리퍼를 동시에 시험할 수 있어 시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test a plurality of brake calipers using only one compression section due to the branching section, thereby improving test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는 제거부에 의해 브레이크 캘리퍼로 공급되는 작동 유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어 수분 유입으로 인한 브레이크 캘리퍼의 손상 및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through the removal unit, thereby preventing damage and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brake caliper due to moisture inflow.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는 압력유지부에 의해 제거부와 커버부 사이에 작동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분기부로 공급되는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a space for the working fluid to flow between the removal part and the cover part by means of the pressure holding part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 the pressure supplied to the branch part evenly.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는 분기부에 의해 하나의 압축부만으로 복수개의 브레이크 캘리퍼를 동시에 시험할 수 있어 시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test a plurality of brake calipers using only one compression section due to the branching section, thereby improving test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 유체의 공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정확한 시험결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more accurate test results because information on the supply state of the working fluid can be visually confirmed by the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는 타이머부의 주기와 카운터부의 횟수를 다양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시험 조건에 따른 브레이크 캘리퍼의 작동성과 내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cycle of the timer unit and the number of times of the counter unit to various values, thereby confirming the oper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brake caliper under various test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는 신품뿐만 아니라 재제조 브레이크 캘리퍼의 작동성과 내구성을 확인할 수 있어 재제조 제품에 대한 품질보증 확보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operability and durability of not only new but also remanufactured brake calipers, making it possible to secure quality assurance for remanufactured produ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공급부와 압력조절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공급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luid supply unit and the press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uid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nch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does not only mean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but also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Also includes cases where there is an “indirect connection (or connec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or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rather “includes (or includes)” other components. It means you can do it.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Even if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signs are not mentioned or explained in a particular drawing, the numbers may be explained based on other drawings. Additionally, even if there are parts that are not indicated by reference signs in a specific drawing, those parts can be explained based on other drawings. In addition, the number, shape, size, and relative differences in size of detailed components included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set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do not limit the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front view showing.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1)는 본체부(100), 지지부(200), 이동부(300), 유체공급부(400), 압력조절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brake caliper test device 1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support part 200, a moving part 300, and a fluid supply part 400. , includes a pressure control unit 500.

이하에서 서술되는 브레이크 캘리퍼(2)는 후술하는 챔버부(440)로부터 공급받는 작동 유체의 압력에 의해 진퇴 이동되며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푸시로드가 구비되어 큰 제동력을 필요로 하는 트럭이나 버스와 같은 대형차량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에어식 브레이크 캘리퍼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브레이크 캘리퍼(2)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압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식 브레이크 캘리퍼 등 다양한 종류의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The brake caliper 2 described below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from the chamber portion 4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provided with a push rod to pressurize or depressurize the brake pad, so that it is used for trucks or trucks that require a large braking force. Let's use an example to explain that it is an air-type brake caliper that generates braking force for large vehicles such as buses. However, the brake caliper 2 is not limited to this form, and its design can be changed to various types of disc brake devices, such as a hydraulic brake caliper that generates braking force by hydraulic pressure.

또한, 이하에서 서술되는 작동 유체는 공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working fluid described below will be explained by taking air as an example.

본체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1)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지지부(200)를 지지한다. 본체부(100)는 후술하는 이동부(300)에 의해 지면 상을 주행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는 상온 시험 또는 내환경성 시험 등 다양한 시험 조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1)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대략 박스 형태를 갖는 프레임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하중을 충분히 잘 견딜 수 있도록 스틸 등과 같은 높은 강성을 지닌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00 forms one side of the exterior of the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1 for commercial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pports the support portion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ain body 100 may be equipped to travel on the ground by a moving par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main body 100 can freely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rake caliper test device 1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various test conditions such as a room temperature test or an environmental resistance test.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frame having a substantially box shape.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material with high rigidity, such as steel, to sufficiently withstand the load.

지지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되고, 브레이크 캘리퍼(2)의 작동 시험 시 브레이크 캘리퍼(2)를 지지한다. 지지부(200)는 브레이크 캘리퍼(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비되어 브레이크 캘리퍼(2)의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200)는 복수개의 브레이크 캘리퍼(2)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200)는 여러개의 브레이크 캘리퍼(2)를 동시에 시험 할 수 있어 시험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200 extends from the main body portion 100 and supports the brake caliper 2 during an operation test of the brake caliper 2. The support portion 200 is provided so that the brake caliper 2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it, so that the brake caliper 2 can be smoothly replaced. The support portion 200 may be provided to support a plurality of brake calipers 2. Accordingly, the support unit 200 can test multiple brake calipers 2 at the same time, ensuring speed and efficiency of tes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는 고정부(210), 지지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xing part 210 and a support member 220.

고정부(210)는 본체부(100)의 상측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지지부재(22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10)는 대략 링 형상의 액슬 하우징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상측에 고정된다. 고정부(210)는 볼팅 등에 의해 본체부(1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용접 등에 의해 본체부(100)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xing part 21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supports the support member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xing par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substantially ring-shaped axle housing and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fixing part 2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by bolting or the like, and may also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main body 100 by welding or the like.

지지부재(220)는 일측이 고정부(210)에 연결되고, 타측이 고정부(21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지지부재(220)의 일측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부(210)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볼팅 등에 의해 고정부(2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재(220)의 타측은 브레이크 캘리퍼(2)가 볼팅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브레이크 캘리퍼(2)를 지지한다. 지지부재(2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 서로 다른 브레이크 캘리퍼(2)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지지부재(220)는 고정부(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는 차량의 액슬축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220)는 브레이크 캘리퍼(2)의 시험 조건을 보다 실제에 가깝게 구현할 수 있다. 지지부재(22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고정부(210)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다. 한 쌍의 지지부재(220)는 볼팅 등에 의해 한 쌍의 브레이크 캘리퍼(2)를 각각 고정 및 지지한다. 지지부재(220)의 형상은 도 1,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레이크 캘리퍼(2)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210, and the other side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part 210.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210 by welding or the like, and may als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210 by bolting or the like.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220 is formed so that the brake caliper 2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it by bolting or the like, and supports the brake caliper 2.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20 may be provided, each supporting a different brake caliper 2.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2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210 and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The support memb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axle shaft of a vehicle.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220 can implement the test conditions of the brake caliper 2 more closely to reality. The support members 220 are provided in pairs and exten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part 210, respectively. A pair of support members 220 respectively fix and support a pair of brake calipers 2 by bolting or the like.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22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S. 1 and 2, an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brake caliper 2.

이동부(300)는 본체부(100)를 지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본체부(100)에 주행 성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0)는 본체부(100)의 하측에 고정되고, 지면에 구름 접촉되는 대차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300)는 사용자가 본체부(100)에 외력을 가할 시 지면에 대해 상대 이동되며 본체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지면에 대해 상대 이동되며 본체부(10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부(3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부(1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The moving unit 300 supports the main body 100 so that it can move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reby providing driving performance to the main body 100. The moving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art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und. The moving unit 300 is moved relative to the ground 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main body 100, and can move the main body 100. It is supplied with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moves relative to the ground, and the main body 100 is moved relative to the ground.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move the unit 100. The specific shape of the moving part 30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an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a shape that can movably support the main body part 100.

유체공급부(400)는 브레이크 캘리퍼(2)로 작동 유체를 공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공급부(400)는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시켜 브레이크 캘리퍼(2)로 공급하고, 작동 유체의 압력에 의해 브레이크 캘리퍼(2)의 푸시로드를 전진 이동시킨다.The fluid supply unit 400 supplies working fluid to the brake caliper (2). More specifically, the fluid supply unit 400 increases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above the set pressure and supplies it to the brake caliper 2, and moves the push rod of the brake caliper 2 forward by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공급부와 압력조절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공급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luid supply unit and the press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uid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공급부(400)는 압축부(410), 전달부(420), 분기부(430), 챔버부(440)를 포함한다.1 to 4, the fluid supply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ion unit 410, a delivery unit 420, a branch unit 430, and a chamber unit 440.

압축부(410)는 작동 유체를 압축하여 후술하는 전달부(420)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부(41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받은 공기를 설정 압력으로 압축시켜 배출하는 공기 압축기 또는 컴프레셔(Compressor)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압력은 약 7bar 이상 등 브레이크 캘리퍼(2)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압력값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The compression unit 410 compresses the working fluid and supplies it to the delivery unit 4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mpression un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air compressor or compressor that compresses air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a set pressure and discharges it. Here,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of pressure values that can smoothly operate the brake caliper (2), such as the set pressure of about 7 bar or more.

전달부(420)는 압축부(410)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의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420)는 일측이 압축부(410)에 연결되고, 타측이 후술하는 분기부(430)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호스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달부(420)는 압축부(410)로부터 공급받은 작동 유체를 내부로 유동시켜 분기부(430)로 전달한다. 전달부(420)는 압축부(410)에 의해 압축된 작동 유체의 압력에 충분히 잘 견딜 수 있도록 고분자 합성수지 등 내압 성능이 구비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420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410 and provides a flow path for the working fluid. The transmission unit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hose with one side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41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ranch portion 4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livery unit 420 flows the working fluid supplied from the compression unit 410 inside and transfers it to the branch unit 430. The transmission unit 420 may include a material with pressure-resistant performance, such as polymer synthetic resin, to sufficiently withstand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compressed by the compression unit 410.

분기부(430)는 전달부(420)와 후술하는 챔버부(440) 사이에 구비되고, 작동 유체를 각각의 브레이크 캘리퍼(2)로 분기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기부(430)는 지지부(200)가 복수의 브레이크 캘리퍼(2)를 지지하는 경우, 전달부(420)로부터 전달받은 작동 유체의 압력을 서로 다른 브레이크 캘리퍼(2)로 각각 분배한다. 이에 따라 분기부(430)는 하나의 압축부(410)만으로 복수의 브레이크 캘리퍼(2)를 모두 작동시킬 수 있어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분기부(430)는 본체부(100)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고, 본체부(100)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분기부(430)는 각각의 챔버부(440)에 동일한 압력을 분배할 수 있고, 각각의 챔버부(440)에 서로 다른 압력을 분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ranch part 430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mission part 420 and the chamber part 4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branches the working fluid to each brake caliper 2. More specifically, when the support portion 200 supports a plurality of brake calipers 2, the branch portion 430 distributes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delivered from the transmission portion 420 to each different brake caliper 2. do. Accordingly, the branch portion 430 can operate all of the plurality of brake calipers 2 with only one compression portion 410,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The branch portion 430 may be installed separately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may also b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0. The branch portion 430 may distribute the same pressure to each chamber portion 440, and may also distribute different pressures to each chamber portion 44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430)는 하우징(431), 유입부(432), 제거부(433), 필터부(434), 유동부(435), 커버부(436), 압력유지부(437), 분배부(438), 회수부(439)를 포함한다.5 and 6, the branch part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431, an inlet part 432, a removal part 433, a filter part 434, and a flow part 435. ), a cover part 436, a pressure holding part 437, a distribution part 438, and a recovery part 439.

하우징(4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43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431)은 내부에 제거부(433), 유동부(435), 커버부(436), 압력유지부(437)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우징(431)은 내부에 설치된 구성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431)은 각각 하우징(431)의 일측과 타측 외관을 형성하며, 나사 등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하우징(4311) 및 제2하우징(43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431 forms a schematic appearance of the branch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431 is formed so that a removal part 433, a moving part 435, a cover part 436, a pressure maintaining part 437, etc. can be installed therein. The housing 431 may be provided to be open and closed so that replacement and management of components installed therein can be easily performed. The housing 4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exterior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431, respectively, and includes a first housing 4311 and a second housing 4312 that are sepa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screws, etc. It can be included.

유입부(432)는 전달부(420)를 통해 작동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작동 유체를 후술하는 제거부(433)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432)는 제1하우징(4311)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432)는 일측이 전달부(420)와 연통되어 전달부(420)를 통해 작동 유체를 공급받는다. 유입부(432)는 타측이 제거부(433)의 제거부몸체(4311)와 연통되어 전달부(420)부터 공급된 작동 유체를 제거부몸체(4311)의 내부로 전달한다.The inlet 432 receives the working fluid through the delivery part 420 and transfers the introduced working fluid to the removal part 4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nlet 4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ip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4311. One side of the inlet portion 43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ssion portion 420 and receives working fluid through the transmission portion 420. The other side of the inlet part 432 communicates with the removal part body 4311 of the removal part 433 and delivers the working fluid supplied from the delivery part 420 to the inside of the removal part body 4311.

제거부(433)는 유입부(432)로 유입된 작동 유체로부터 수분을 제거한다. 즉, 제거부(433)는 압축부(410)를 통한 압축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이 후술하는 분배부(438)를 통해 브레이크 캘리퍼(2)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거부(433)는 수분 또는 이물질로 인해 브레이크 캘리퍼(2)가 손상되거나 작동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moval unit 433 removes moisture from the working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432. That is, the removal unit 433 is provided to prevent moisture generated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through the compression unit 410 from being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2 through the distribution unit 43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removal unit 433 can prevent the brake caliper 2 from being damaged or operating efficiency reduced due to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부(433)는 제거부몸체(4331), 차단부(4332), 통과부(4333), 낙하부(4334), 이격부(4335), 실링부(4336)를 포함한다.The removal part 4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val part body 4331, a blocking part 4332, a passing part 4333, a falling part 4334, a separation part 4335, and a sealing part 4336. Includes.

제거부몸체(4331)는 제거부(433)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유입부(432)및 회수부(439)와 연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부몸체(4331)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하우징(4331)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제거부몸체(4331)의 양측면에는 제거부몸체(4331)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1관통홀(4331a), 및 제2관통홀(4331b)이 형성된다. 제거부몸체(4331)는 제1관통홀(4331a), 및 제2관통홀(4331b)을 통해 양측면이 각각 유입부(432) 및 회수부(439)와 연통된다. 제1관통홀(4331a)과 제2관통홀(4331b)은 제거부몸체(4331)의 높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거부몸체(4331)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거부몸체(4331)는 후술하는 차단부(4332)에 의해 차단되어 응축된 수분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removal unit body 4331 forms a schematic appearance of the removal unit 433 and communicates with the inlet 432 and the recovery unit 439. The removal body 43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open upper and lower ends and is dispos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first housing 4331. A first through hole (4331a) and a second through hole (4331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moval unit body 4331, which vertically penetrate the removal unit body 4331. Both sides of the removal unit body 4331 communicate with the inlet 432 and the recovery unit 439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4331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4331b, respectively. The first through hole 4331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4331b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moval unit body 4331. The removal unit body 4331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ccordingly, the removal unit body 4331 is blocked by the blocking unit 43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densed moisture can be induced to fall by its own weight.

차단부(4332)는 제거부몸체(4331) 내부에 배치되고, 유입부(432)를 통해 제거부몸체(4332)의 내부로 전달된 작동 유체에 포함된 수분이 후술하는 유동부(435)를 향해 통과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4332)는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거부몸체(4331)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차단부(4332)는 제거부몸체(4331)의 내부로 유입된 작동 유체의 유동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측면이 막혀있게 형성된다. 즉, 차단부(4332)는 막혀있는 상측면에 의해 작동 유체와, 작동 유체에 포함된 수분이 유동부(435)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부(4332)의 상측면은 후술하는 커버부(436)에 밀착된다. 이 경우, 차단부(4332)는 후술하는 커버부(436)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 합성 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4332)는 하측면이 제거부몸체(4331)의 내부에서 제1관통홀(4331a)과 제2관통홀(4331b)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부(4332)는 제1관통홀(4331a)과 제2관통홀(4331b)을 통한 작동 유체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차단부(4332)의 하측면은 후술하는 이격부(4335)에 접해 제거부몸체(4332)의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The blocking unit 4332 is disposed inside the removal unit body 4331, and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working fluid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removal unit body 4332 through the inlet part 432 flows to the flowing unit 43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locks passage toward the The blocking portion 43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is dispos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removal portion body 4331. The blocking portion 4332 is formed to have its upper side blocked so as to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flowing into the removal portion body 4331. That is, the blocking part 4332 prevents the working fluid and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working flui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moving part 435 by the blocked upper side. The upper side of the blocking portion 43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portion 43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blocking portion 433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such as rubber or synthetic resin, so that it can be more firmly adhered to the cover portion 43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side of the blocking unit 433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4331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4331b within the removal unit body 4331. Accordingly, the blocking portion 4332 may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working flui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4331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4331b. The lower side of the blocking portion 4332 may be supported within the removal portion body 4332 in contact with a spaced portion 4335 to be described later.

통과부(4333)는 차단부(4332)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유입부(432)를 통해 제거부몸체(4332)의 내부로 전달된 작동 유체가 유동부(435)를 향해 통과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과부(4333)는 차단부(4332)의 상측면을 상하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과부(4333)의 직경은 공기의 통과를 허용함과 동시에 수분 또는 각종 이물질의 통과를 차단할 있는 직경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통과부(433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통과부(4333)는 차단부(43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assing portion 4333 is formed to penetrate the blocking portion 4332 and allows the working fluid deliver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moval unit body 4332 through the inlet portion 432 to pass toward the flowing portion 435. . The passing part 43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that passes vertically vertically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blocking part 4332. The diameter of the passage portion 4333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within a range of diameters that allow passage of air and simultaneously block the passage of moisture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There may be a plurality of passing parts 4333, and the plurality of passing parts 433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ocking part 4332.

낙하부(4334)는 차단부(4332)로부터 낙하되는 수분을 필터부(434)로 유입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낙하부(4334)는 차단부(4332)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차단부(4332)의 내부 표면에 응축된 수분이 자중에 의해 필터부(434)로 낙하되는 것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부(4334)는 중공형의 링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거부몸체(4331)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낙하부(4334)는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제거부몸체(4331)의 개구된 하측면과 연통된다. 낙하부(4334)는 상측면이 차단부(4332)의 하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낙하부(4334)는 상측면이 제거부몸체(4331)의 내부에서 제1관통홀(4331a)과 제2관통홀(4331b)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낙하부(4334)는 제1관통홀(4331a)과 제2관통홀(4331b)을 통한 작동 유체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The falling part 4334 causes moisture falling from the blocking part 4332 to flow into the filter part 434. More specifically, as the falling part 4334 is blocked by the blocking part 4332, it guides the moisture conden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part 4332 to fall to the filter part 434 by its own weight. The dropping part 433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the shape of a hollow ring and is dispos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removal part body 4331. The dropping portion 4334 communicates with the open lower side of the removal portion body 4331 through a hollow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he upper side of the dropping portion 4334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side of the blocking portion 433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The upper side of the dropping part 4334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4331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4331b inside the removal part body 4331. Accordingly, the falling part 4334 may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working flui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4331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4331b.

이격부(4335)는 차단부(4332)와 낙하부(4334) 사이에 구비되고, 차단부(4332)를 낙하부(4334)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부(4335)는 제거부몸체(4331) 내부에서 양단이 각각 차단부(4332)의 하측면과 낙하부(4334)의 상측면에 접하고,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격부(4335)는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구비됨에 따라 차단부(4332)를 낙하부(4334)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킴과 동시에 차단부(4332)가 커버부(436)에 밀착시킬 수 있다.The spacing portion 4335 is provided between the blocking portion 4332 and the falling portion 4334, and separates the blocking portion 4332 from the falling portion 433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paced part 433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oth ends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blocking part 4332 and the upper side of the falling part 4334 inside the removal part body 4331, and has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provided to have. Since the spacing portion 4335 is provided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it is possible to space the blocking portion 4332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alling portion 4334 and at the same time bring the blocking portion 4332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portion 436.

실링부(4336)는 차단부(4332)에 접해 제거부몸체(4331)를 밀폐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링부(4336)는 제거부몸체(4331)로 유입된 작동 유체가 통과부(4333)를 통해서만 통과되도록 차단부(4332)와 제거부몸체(4331)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밀폐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4336)는 중공형의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차단부(4332)의 상측면에 밀착된다. 실링부(4336)의 외주면의 직경은 제거부몸체(4331)의 내주면에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실링부(4336)는 외주면이 제거부몸체(4331)의 내주면에 접해 제거부몸체(4331)로 유입된 수분과 작동유체가 차단부(4332)와 통과부(4333)를 거치지 않고 제거부몸체(4331)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4336)의 내주면 직경은 복수개의 통과부(4333)가 형성하는 직경보다 큰 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실링부(4336)는 하측면이 통과부(4333)를 가로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4336 contacts the blocking portion 4332 and seals the removal portion body 4331. More specifically, the sealing part 4336 seals the gap formed between the blocking part 4332 and the removal part body 4331 so that the working fluid flowing into the removal part body 4331 passes only through the passing part 4333. . The sealing portion 433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hollow ring shap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blocking portion 4332. The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4336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moval unit body 4331. According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unit 4336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moval unit body 4331, so that moisture and working fluid flowing into the removal unit body 4331 do not pass through the blocking unit 4332 and the passing unit 4333. Leakage from the body 4331 can be prevented. The inner peripheral diameter of the sealing portion 4336 is formed to have a larger value than the diameter formed by the plurality of passing portions 4333. Accordingly, the sealing portion 4336 can prevent the lower side from blocking the passing portion 4333.

필터부(434)는 제거부(433)에 의해 제거된 수분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434)는 차단부(4332)의 내부 표면에서 응축되어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수분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기에 앞서 수분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434)는 제1하우징(4311)의 하방에 고정되고, 제거부몸체(4331) 및 낙하부(4334)의 하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필터부(434)의 구체적인 형상은 수분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filter unit 434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moisture removed by the removal unit 433. More specifically, the filter unit 434 can receive moisture conden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unit 4332 and fall due to its own weight, and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moisture before the received mois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provided so that The filter unit 43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ousing 4311 and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side of the removal unit body 4331 and the dropping unit 4334. The specific shape of the filter unit 434 can be changed in various design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a filter that can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moisture.

유동부(435)는 제거부(434)로부터 수분이 제거된 작동 유체를 전달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부(435)는 제1하우징(4311)의 내부에서 제거부몸체(43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빈 공간인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유동부(435)의 직경, 깊이는 제1하우징(4311) 및 제거부몸체(4331)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moving part 435 receives the working fluid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from the removal part 434. The moving part 43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llustrated as an empty spac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emoval part body 4331 inside the first housing 4311. The diameter and depth of the moving part 435 can be changed to various valu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rst housing 4311 and the removal body 4331.

커버부(436)는 유동부(435)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유동부(435)를 밀폐시킨다. 즉, 커버부(436)는 유동부(435)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어 제1하우징(4311)의 내부면과 함께 유동부(435)의 경계면을 형성한다. 커버부(436)는 차단부(4332)에 접해 차단부(4332)를 낙하부(4334)를 향해 가압한다. 이에 따라 커버부(436)는 차단부(4332)가 제거부몸체(4331) 내부에서 설정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ver part 436 is disposed to face the moving part 435 and seals the moving part 435. That is, the cover part 436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part 435 and forms the boundary surface of the moving part 435 together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4311. The cover portion 436 contacts the blocking portion 4332 and presses the blocking portion 4332 toward the falling portion 4334. Accordingly, the cover part 436 can allow the blocking part 4332 to be located at a set position inside the removal part body 433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436)는 커버부몸체(4361)와 가압부(43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43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ver body 4361 and a pressing portion 4362.

커버부몸체(4361)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유동부(435)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커버부몸체(4361)의 하측면은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몸체(4361)는 유동부(435)가 보다 넓은 작동 유체의 유동 공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커버부몸체(4361)는 유동부(435)로부터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측면 테두리가 제1하우징(4311)에 밀착된다. The cover body 4361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is arrang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part 435. The lower side of the cover body 4361 may be formed to be concavely recessed toward the inside. Accordingly, the cover body 4361 can allow the moving part 435 to secure a wider space for the working fluid to flow. The lower edge of the cover body 436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housing 4311 to prevent the working fluid from leaking from the moving part 435.

압력유지부(437)는 제거부(433)와 커버부(436) 사이에 구비되고, 유동부(435)로 전달되는 작동 유체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력유지부(437)는 제거부(433)로부터 유동부(435)로 전달되는 작동 유체의 유동 경로를 마련함과 동시에, 제거부(433)를 통과한 작동 유체의 유로를 적정한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작동 유체가 유동부(435)로 균일한 압력으로 전달되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유지부(437)는 제거부몸체(4331)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유지부(437)는 상단부가 커버부(436)의 하측면에 접해 커버부(436)를 지지한다. 압력유지부(437)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압력유지부(437)는 제거부몸체(43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압력유지부(437)의 개수 및 간격은 유동부(435)로 전달하고자하는 작동 유체의 압력값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pressure maintenance part 437 is provided between the removal part 433 and the cover part 436, and maintains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delivered to the moving part 435 uniformly. More specifically, the pressure maintenance unit 437 provides a flow path for the working fluid delivered from the removal unit 433 to the moving unit 435, and at the same time, adjusts the flow path of the work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removal unit 433 to an appropriate size. By forming a , the working fluid is induced to be transmitted to the moving part 435 at a uniform pressure. The pressure holding portion 43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that protrudes vertically upward from the removal portion body 4331. The upper end of the pressure holding part 437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cover part 436 and supports the cover part 436. There are a plurality of pressure maintaining parts 437, and the plurality of pressure maintaining parts 437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moval unit body 4331.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pressure holding units 437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to be delivered to the moving unit 435.

분배부(438)는 유동부(435)로 전달된 작동 유체를 복수개의 브레이크 캘리퍼(2)로 각각 분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438)는 제1하우징(431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일측이 유동부(435)와 연통되는 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분배부(438)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분배부(438)는 타측이 복수개의 챔버부(440)와 각각 연통된다.The distribution unit 438 distributes the working fluid delivered to the moving unit 435 to the plurality of brake calipers 2,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unit 43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from the side of the first housing 4311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ipe with one side in communication with the moving unit 435. There may be a plurality of distribution units 438, and the other side of each distribution unit 438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chamber units 440.

회수부(439)는 제거부(433)로 유입된 작동 유체를 회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439)는 제1하우징(431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회수부(439)는 유입부(432)와 반대측에 배치되는 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432)는 일측이 제2관통홀(4311b)을 통해 제거부몸체(4311)와 연통되어 통과부(4333)를 통과하지 않고 제거부몸체(4311) 내부에 머무는 작동 유체를 전달받는다. 회수부(439)의 타측은 압축부(410) 또는 별도의 작동 유체 저장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를 회수한다. 이에 따라 회수부(439)는 유입부(43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에 비해 통과부(4333)를 통과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제거부몸체(4331) 내부에 과도한 압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covery unit 439 recovers the working fluid flowing into the removal unit 433. The recovery part 43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from the side of the first housing 4311, and the recovery part 439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ip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inlet part 432. . One side of the inlet portion 432 communicates with the removal unit body 4311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4311b and receives the working fluid that stays inside the removal unit body 4311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assage part 4333. The other side of the recovery unit 439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410 or a separate working fluid storage means (not shown) to recover the working fluid. Accordingly, in the recovery unit 439, the flow rate of the work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passage part 4333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flow rat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from the inlet part 432, so excessive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removal part body 4331. You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챔버부(440)는 전달부(420)와 브레이크 캘리퍼(2) 사이에 구비되고, 전달부(420)로부터 전달받은 작동 유체를 브레이크 캘리퍼(2)로 공급한다. 지지부(200)에 복수개의 브레이크 캘리퍼(2)가 지지되는 경우, 챔버부(44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브레이크 캘리퍼(2)에 연결된다. 복수개의 챔버부(440)는 한 쌍의 분배부(438)의 타측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분배부(438)로부터 분배되는 작동 유체를 전달받는다. 복수개의 챔버부(440)는 분기부(430)로부터 전달받은 작동 유체를 복수개의 브레이크 캘리퍼(2)로 개별적으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챔버부(440)는 내부가 비어있는 에어 챔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챔버부(44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챔버부(440)는 일측이 분기부(430)의 분기관과 연결되고, 타측이 브레이크 캘리퍼(2)의 푸시로드와 연결된다. 챔버부(440)는 분기부(430)로부터 전달받은 작동 유체의 압력값의 크기에 따라 푸시로드를 진퇴 이동시켜 브레이크 캘리퍼(2)를 작동시킨다.The chamber unit 440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mission unit 420 and the brake caliper 2, and supplies the working fluid deliver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420 to the brake caliper 2. When a plurality of brake calipers 2 are supported on the support part 200, a plurality of chamber parts 440 are provided and connected to each brake caliper 2. The plurality of chamber units 440 ar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distribution units 438 and receive the working fluid distributed from the distribution unit 438. The plurality of chamber parts 440 individually supply the working fluid received from the branch part 430 to the plurality of brake calipers 2. The chamber portion 4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air chamber with an empty interior. The chamber portion 440 is provided as a pair, and one side of each chamber portion 440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of the branch portion 43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ush rod of the brake caliper 2. The chamber portion 440 operates the brake caliper 2 by moving the push rod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received from the branch portion 430.

압력조절부(500)는 유체공급부(400)에 연결되고, 브레이크 캘리퍼(2)로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력조절부(500)는 유체공급부(400)에 의해 브레이크 캘리퍼(2)로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설정 주기로 반복하여 상승 및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압력조절부(500)는 브레이크 캘리퍼(2)의 푸시로드를 설정 주기로 진퇴 이동시킬 수 있어 브레이크 캘리퍼(2)의 작동 성능을 연속적으로 시험할 수 있다.The pressure control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unit 400 and adjusts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2). More specifically, the pressure regulator 500 repeatedly raises and lowers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2 by the fluid supply unit 400 at a set cycle. Accordingly, the pressure regulator 500 can move the push rod of the brake caliper 2 forward and backward at a set cycle, so that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brake caliper 2 can be continuously tes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500)는 개폐부(510), 배출부(520), 압력측정부(530) 제어부(5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pressure adjusting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ning/closing unit 510, a discharge unit 520, a pressure measuring unit 530, and a control unit 540.

개폐부(510)는 전달부(420)에 구비되고, 전달부(420)를 개폐하여 전달부(420)를 통한 작동 유체의 유동을 허용 또는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510)는 전달부(420) 내부의 작동 유체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510)는 후술하는 제어부(540)에 구비되는 타이머부(542)의 개폐 신호에 따라 전달부(420)를 설정 주기로 개폐한다.The opening/closing unit 510 is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unit 420 and opens and closes the transmission unit 420 to allow or restrict the flow of working flui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420. The opening/closing unit 5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olenoid valve installed on the flow path of the working fluid inside the transmission unit 420.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510 opens and closes the transmission unit 420 at a set cycl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signal of the timer unit 542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5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배출부(520)는 전달부(420)에 구비되고, 개폐부(510)에 의한 전달부(420)의 폐쇄 시 작동 유체를 전달부(42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520)는 전달부(420)로부터 분기되어 작동 유체의 배출 경로를 마련하는 배출관과, 제어부(5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520)는 개폐부(510)의 후단, 즉 개폐부(510)와 분기부(4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부(520)는 개폐부(510)와 반대 매커니즘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즉, 배출부(520)는 개폐부(510)가 전달부(420)를 개방하는 경우, 작동 유체의 배출 경로를 폐쇄하고, 개폐부(510)가 전달부(420)를 폐쇄하는 경우, 작동 유체의 배출 경로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배출부(520)는 개폐부(510)에 의한 전달부(420)의 폐쇄 시 전달부(420) 내부의 잔압을 제거함으로써 챔버부(440)로 전달되는 작동 유체의 압력값이 설정 주기로 반복하여 상승 및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520 is provided in the delivery unit 420 and discharges the working fluid to the outside of the delivery unit 420 when the delivery unit 420 is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510. The discharge unit 5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pipe that branches off from the transmission unit 420 to provide a discharge path for the working fluid, and a drain valve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pip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40. may include. The discharge part 52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510, that is,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510 and the branch part 440. The discharge unit 520 may be operated by a mechanism opposite to the opening/closing unit 510. That is, the discharge unit 520 closes the discharge path of the working flui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510 opens the delivery unit 420, 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510 closes the delivery unit 420, the discharge path of the working fluid is closed. Open the exhaust path. Accordingly, the discharge unit 520 removes the residual pressure inside the delivery unit 420 when the delivery unit 420 is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510, so that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delivered to the chamber unit 440 repeats at a set cycle. This allows it to rise and fall.

압력측정부(530)는 브레이크 캘리퍼(2)로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측정한다. 압력측정부(5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브레이크 캘리퍼(2)로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다수 지점에서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압력측정부(530) 중 어느 하나의 압력측정부(530)는 전달부(420)에 설치되어 전달부(420) 내부를 유동하는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측정할 수 있고, 또 다른 하나의 압력측정부(530)는 분기부(430)에 연결되어 각각의 챔버부(440)로 분기되어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부(530)는 배관 내의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 압력게이지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ure measuring unit 530 measures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2). The pressure measuring unit 530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and can measure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2 at multiple points. More specifically, one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measuring units 530 is installed in the delivery unit 420 and can measure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flowing inside the delivery unit 420. , Another pressure measuring unit 530 is connected to the branch unit 430 and can measure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branched and supplied to each chamber unit 440. The pressure measuring unit 5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ressure sensor or pressure gauge that can measure the pressure of fluid in a pipe.

제어부(540)는 압력조절부(5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40)는 개폐부(510)와 연결되고, 개폐부(5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달부(420)를 설정 주기로 반복하여 개폐시킨다. 제어부(540)는 배출부(520)와 연결되고, 배출부(5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달부(420) 내부의 작동 유체의 배출 경로를 설정 주기로 반복하여 개폐시킨다. 제어부(540)는 개폐부(510), 배출부(520)의 동작 상태와, 압력측정부(530)에 의한 측정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40 gener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500.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40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51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510 to repeatedly open and close the transmission unit 420 at a set cycle. The control unit 54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unit 52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520 to repeatedly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ath of the working fluid inside the delivery unit 420 at a set cycle. The control unit 540 may be provided to visually display the operating states of the opening/closing unit 510 and the discharge unit 520 and the measured values by the pressure measuring unit 53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40)는 컨트롤박스(541), 타이머부(542), 카운터부(543), 압력표시부(54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control unit 5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box 541, a timer unit 542, a counter unit 543, and a pressure display unit 544.

컨트롤박스(541)는 제어부(54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후술하는 타이머부(542), 카운터부(543), 압력표시부(544)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컨트롤박스(541)는 내부에 회로 기판이 설치되어 압력조절부(500)의 각 구성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외부의 전원장치에 연결되어 압력조절부(500)의 각 구성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control box 541 forms the outline of the control unit 540 and provides a space where a timer unit 542, a counter unit 543, and a pressure display unit 54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talled. The control box 541 has a circuit board installed inside to electrically connect each component of the pressure regulator 500, and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pressure regulator 500. .

타이머부(542)는 개폐부(510)와 배출부(520)에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설정 주기로 반복하여 전달하여 개폐부(510)와 배출부(5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부(542)는 제1타이머(542a), 제2타이머(54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mer unit 54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unit 510 and the discharge unit 520 by repeatedly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to the opening/closing unit 510 and the discharge unit 520 at a set cycle. The timer unit 5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timer 542a and a second timer 542b.

제1타이머(542a)는 개폐부(510)와 배출부(520)에 제1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제1신호는 전달부(420)가 개방되도록 개폐부(510)를 동작시키고, 작동 유체의 배출 경로가 폐쇄되도록 배출부(520)를 동작시키는 전기적 신호로 예시될 수 있다. 즉, 제1타이머(542a)는 제1신호에 의해 전달부(420)를 통한 작동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고, 작동 유체가 전달부(4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제1타이머(542a)는 압축부(410)에 의해 압력이 상승된 작동 유체가 챔버부(440)로 공급되도록 유도하여 브레이크 캘리퍼(2)의 푸시로드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타이머(542a)는 개폐부(510)와 배출부(5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타이머 스위치와, 컨트롤박스(541)에 설치되어 제1타이머(542a)의 작동 상태에 따라 점등 및 소등되는 LED, 전구 등 제1발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imer 542a transmits the first signal to the opening/closing unit 510 and the discharge unit 520. Here, the first signal may be exemplified as an electrical signal that operates the opening/closing unit 510 to open the transmission unit 420 and operates the discharge unit 520 to close the discharge path of the working fluid. That is, the first timer 542a allows the working fluid to flow through the delivery unit 420 by the first signal and restricts the working flui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livery unit 420. Accordingly, the first timer 542a can induce the working fluid whose pressure has been increased by the compression unit 410 to be supplied to the chamber unit 440 to move the push rod of the brake caliper 2 forward. The first timer 542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imer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ning/closing unit 510 and the discharge unit 520, and is installed in the control box 541 to set the first timer 542a. It may include a first light-emitting module such as an LED or a light bulb that turns on and off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e.

제2타이머(542b)는 개폐부(510)와 배출부(520)에 제2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제2신호는 전달부(420)가 폐쇄되도록 개폐부(510)를 동작시키고, 작동 유체의 배출 경로가 개방되도록 배출부(520)를 동작시키는 전기적 신호로 예시될 수 있다. 즉, 제2타이머(542b)는 제2신호를 통해 전달부(420)를 통한 작동 유체의 유동을 제한하고, 작동 유체가 전달부(4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제2타이머(542b)는 챔버부(440)로 공급된 작동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브레이크 캘리퍼(2)의 푸시로드를 후퇴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타이머(542b)는 개폐부(510)와 배출부(5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타이머 스위치와, 컨트롤박스(541)에 설치되어 제2타이머(542b)의 작동 상태에 따라 점등 및 소등되는 LED, 전구 등 제2발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timer 542b transmits a second signal to the opening/closing unit 510 and the discharge unit 520. Here, the second signal may be exemplified as an electrical signal that operates the opening/closing unit 510 to close the transmission unit 420 and operates the discharge unit 520 to open the discharge path of the working fluid. That is, the second timer 542b limits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through the delivery unit 420 through the second signal and allows the working flui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livery unit 420. Accordingly, the second timer 542b can induce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chamber part 44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move the push rod of the brake caliper 2 backward. The second timer (542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timer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ning/closing unit 510 and the discharge unit 520, and is installed in the control box 541 to activate the second timer (542b). It may include a second light-emitting module such as an LED or a light bulb that turns on and off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e.

제1타이머(542a)와 제2타이머(542b)는 설정 주기에 따라 반복하여 개폐부(510)와 배출부(520)에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전달한다. 제1타이머(542a)와 제2타이머(542b)는 제1신호와 제2신호의 발생 주기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타이머(542a)와 제2타이머(542b)는 상호 교번적으로 2초간 개폐부(510)와 배출부(520)에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timer 542a and the second timer 542b repeatedly transmit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to the opening/closing unit 510 and the discharge unit 520 according to a set cycle. The first timer 542a and the second timer 542b are provided so that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The first timer 542a and the second timer 542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ternately transmit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to the opening/closing unit 510 and the discharge unit 520 for 2 seconds. .

카운터부(543)는 타이머부(542)에 연결되고, 타이머부(542)의 제1신호와 제2신호를 통해 전달부(420)의 개폐 횟수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부(543)는 제1타이머(541a)의 제1신호와 제2타이머(542b)의 제2신호가 설정 주기로 1회 왕복됨에 따라 카운팅 신호를 +1씩 증가시켜 출력하는 카운터와, 컨트롤박스(541)에 설치되어 카운터에 의해 출력된 카운팅 신호의 횟수를 숫자의 형태로 표시하는 카운터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부(543)는 카운팅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목표한 횟수를 채운 경우, 타이머부(542), 압축부(41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The counter unit 543 is connected to the timer unit 542 and measures the number of times the transmission unit 420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of the timer unit 542. The counter unit 54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counting signal by +1 as the first signal of the first timer 541a and the second signal of the second timer 542b reciprocate once at a set period. It may include a counter that outputs a counter and a counter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control box 541 to display in the form of numbers the number of counting signals output by the counter. The counter unit 543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timer unit 542 and the compression unit 410 when the counting signal reaches the number of times targeted by the user.

압력표시부(544)는 압력측정부(530)와 연결되고, 압력측정부(530)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을 외부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표시부(544)는 컨트롤박스(541)에 설치되고, 압력측정부(530)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을 숫자의 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ure display unit 544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measuring unit 530 and displays the pressure value measured by the pressure measuring unit 530 to the outside. The pressure display unit 54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ontrol box 541 and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display that displays the pressure value measured by the pressure measurement unit 530 in the form of numbers.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1)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brake caliper test device 1 for a commer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압축부(410)는 작동 유체의 압력을 설정 압력으로 압축하여 전달부(420)로 공급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9, first, the compression unit 410 compresses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to a set pressure and supplies it to the delivery unit 420.

제1타이머(542a)는 개폐부(510)와 배출부(520)로 제1신호를 전달하여 전달부(420)를 개방하고, 작동 유체의 배출 경로를 차단한다.The first timer 542a transmits the first signal to the opening/closing unit 510 and the discharge unit 520 to open the transmission unit 420 and block the discharge path of the working fluid.

전달부(420)로 공급된 작동 유체는 전달부(420), 분기부(430), 챔버부(440)를 순차적으로 거쳐 브레이크 캘리퍼(2)로 공급된다.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transmission unit 420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2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420, branch unit 430, and chamber unit 440.

분기부(430)를 통한 작동 유체의 분기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달부(420)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 유체는 유입부(432)를 통해 제거부몸체(4331)의 내부로 공급된다.To describe the branching process of the working fluid through the branch part 430 in more detail, the working fluid flowing along the delivery part 420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emoval part body 4331 through the inlet part 432.

압축부(410)의 압축 과정에서 작동 유체에 형성된 수분은 차단부(4332)에 의해 통과가 차단되고, 수분이 제거된 작동 유체는 통과부(4333)를 차단부(4332)를 통과한다.Moisture formed in the working fluid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of the compression unit 410 is blocked from passing by the blocking unit 4332, and the working fluid from which the moisture has been removed passes through the passing unit 4333 and the blocking unit 4332.

차단부(4332)에 의해 통과가 차단되는 수분은 차단부(4332)의 내부 표면에 응축되고, 자중에 의해 낙하부(4334)를 향해 낙하된다.Moisture whose passage is blocked by the blocking portion 4332 condens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portion 4332 and falls toward the falling portion 4334 by its own weight.

낙하부(4334)를 향해 낙하된 수분은 낙하부(4334) 및 제거부몸체(4331)를 순차적으로 거쳐 필터부(434)로 전달된다.The moisture that falls toward the falling part 4334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falling part 4334 and the removal part body 4331 and is transferred to the filter part 434.

필터부(434)는 수분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이물질이 걸러진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filter unit 434 filter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within the moisture and discharges the moisture containing the foreign substances to the outside.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통과부(4333)를 통과한 작동 유체는 이웃하는 압력유지부(437)의 사이를 통해 유동부(435)로 전달된다.The working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assage part 4333 with the moisture removed is transferred to the flow part 435 through the adjacent pressure maintaining parts 437.

유동부(435)로 전달된 작동 유체는 분배부(438)에 의해 복수개의 브레이크 캘리퍼(2)로 분배된다.The working fluid delivered to the moving part 435 is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brake calipers 2 by the distribution part 438.

이후 브레이크 캘리퍼(2)로 공급된 작동 유체의 압력에 의해 푸시로드가 전진 이동되고,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한다.Thereafter, the push rod moves forward by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2) and pressurizes the brake pad.

이후, 제2타이머(542b)는 개폐부(510)와 배출부(520)로 제2신호를 전달하여 전달부(420)를 폐쇄하고, 작동 유체의 배출 경로를 개방한다.Thereafter, the second timer 542b transmits the second signal to the opening/closing unit 510 and the discharge unit 520 to close the transmission unit 420 and open the discharge path of the working fluid.

전달부(420), 분기부(430), 챔버부(440) 내에 잔존하고 있던 작동 유체는 배출부(5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working fluid remaining in the delivery part 420, the branch part 430, and the chamber part 4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rt 520.

작동 유체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브레이크 캘리퍼(2)로 공급된 작동 유체의 압력은 하강되고, 푸시로드가 후퇴 이동되며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 해제한다.As the working fl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2 decreases, the push rod moves back, and the brake pad is depressurized.

카운터부(543)는 제1타이머(541a)의 제1신호와 제2타이머(542b)의 제2신호가 1회 왕복하여 발생함에 따라 카운팅 신호를 +1씩 증가시켜 출력한다.The counter unit 543 increases the counting signal by +1 and outputs it as the first signal of the first timer 541a and the second signal of the second timer 542b are generated in one round trip.

상술한 작동은 사용자가 목표하고자 한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된다.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performed repeatedly as many times as the user desire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 :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 100 : 본체부
200 : 지지부 210 : 고정부
220 : 지지부재 300 : 이동부
400 : 유체공급부 410 : 압축부
420 : 전달부 430 : 분기부
431 : 하우징 4311 : 제1하우징
4312 : 제2하우징 432 : 유입부
433 : 제거부 4331 : 제거부몸체
4331a : 제1관통홀 4331b : 제2관통홀
4332 : 차단부 4333 : 통과부
4334 : 낙하부 4335 : 이격부
4336 : 실링부 434 : 필터부
435 : 유동부 436 : 커버부
437 : 압력유지부 438 : 분배부
439 : 회수부 440 : 챔버부
500 : 압력조절부 510 : 개폐부
520 : 배출부 530 : 압력측정부
540 : 제어부 541 : 컨트롤박스
542 : 타이머부 542a : 제1타이머
542b : 제2타이머 543 : 카운터부
544 : 압력표시부
1: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100: Main body
200: support part 210: fixing part
220: support member 300: moving part
400: fluid supply unit 410: compression unit
420: transmission part 430: branch part
431: Housing 4311: First housing
4312: second housing 432: inlet
433: Removal part 4331: Removal part body
4331a: first through hole 4331b: second through hole
4332: blocking part 4333: passing part
4334: Falling part 4335: Separated part
4336: sealing part 434: filter part
435: moving part 436: cover part
437: pressure maintenance unit 438: distribution unit
439: recovery part 440: chamber part
500: pressure control unit 510: opening and closing unit
520: Discharge unit 530: Pressure measurement unit
540: Control unit 541: Control box
542: Timer unit 542a: First timer
542b: second timer 543: counter unit
544: Pressure display unit

Claims (14)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복수개의 브레이크 캘리퍼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및
상기 유체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공급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작동 유체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유체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와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전달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작동 유체를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공급하는 챔버부; 및
상기 전달부와 상기 챔버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 유체를 각각의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분기시키는 분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부는,
상기 전달부를 통해 상기 작동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작동 유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제거부;
상기 제거부에 의해 제거된 상기 수분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제거부로부터 수분이 제거된 상기 작동 유체를 전달받는 유동부; 및
상기 유동부로 전달된 상기 작동 유체를 복수개의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분배하는 분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제거부몸체;
상기 제거부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분의 통과를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작동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통과부;
상기 차단부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수분을 상기 필터부로 유입시키는 낙하부; 및
상기 차단부와 상기 낙하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를 상기 낙하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
main body;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brake calipers;
a fluid supply unit that supplies working fluid to the brake caliper; and
It includes a pressur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unit and controlling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The fluid supply unit,
A compression unit that compresses and supplies the working fluid;
a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to provide a flow path for the working fluid;
a chamber unit provided between the transmission unit and the brake caliper and supplying the working fluid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to the brake caliper; and
It includes a branch part provided between the transmission part and the chamber part and branching the working fluid to each of the brake calipers,
The branch part is,
an inlet portion through which the working fluid flows through the delivery portion;
a removal unit that removes moisture from the working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a filter unit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moisture removed by the removal unit;
A moving part that receives the working fluid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from the removal part; and
It includes a distribution unit that distributes the working fluid delivered to the moving unit to the plurality of brake calipers,
The removal part,
A removal body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portion;
A block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removal portion body to block passage of the moisture;
a passing portion formed through the blocking portion to allow passage of the working fluid;
a falling part that introduces the moisture falling from the blocking part into the filter part; and
A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comprising: a spacer provided between the blocking part and the falling part, and separating the blocking part from the falling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to be movab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지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A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moving part that movably supports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gr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차단부를 상기 낙하부를 향해 가압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cover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moving portion and pressing the blocking portion toward the dropping por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유동부로 전달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압력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maintain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removal part and the cover part and maintaining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delivered to the moving part uniformly.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지부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거부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A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commercial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holding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moval portio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공급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설정 주기로 반복하여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pressure regulator is a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is repeatedly raised and lowered at a set cycl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전달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달부를 개폐하여 상기 작동 유체의 유동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개폐부;
상기 전달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달부의 폐쇄 시 상기 작동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배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The pressure regulator,
An opening and closing part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uni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transmission unit to allow or restrict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a discharge part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unit and discharging the working fluid to the outside when the delivery unit is close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opening/clos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 brake caliper testing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comprising: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배출부에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상기 설정 주기로 반복하여 전달하는 타이머부; 및
상기 타이머부에 연결되고, 상기 타이머부의 상기 제1신호와 상기 제2신호를 통해 상기 전달부의 개폐 횟수를 측정하는 카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control unit,
a timer unit that repeatedly transmits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to the opening/clos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t the set period; and
A counter unit connected to the timer unit and measuring the number of openings and closings of the transmission unit through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of the timer unit.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로 공급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자동차용 브레이크 캘리퍼 시험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pressure regulator,
A brake caliper test device for a commercial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pressure value of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brake caliper.
KR1020210037203A 2021-03-23 2021-03-23 Testing apparatus of brake caliper for vehicle KR1026344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203A KR102634483B1 (en) 2021-03-23 2021-03-23 Testing apparatus of brake calip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203A KR102634483B1 (en) 2021-03-23 2021-03-23 Testing apparatus of brake calip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693A KR20220132693A (en) 2022-10-04
KR102634483B1 true KR102634483B1 (en) 2024-02-07

Family

ID=8360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203A KR102634483B1 (en) 2021-03-23 2021-03-23 Testing apparatus of brake calip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48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29929A (en) * 2023-07-21 2023-10-24 哈尔滨工业大学(深圳)(哈尔滨工业大学深圳科技创新研究院) Compression mechanical property tes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437Y1 (en) * 2020-08-13 2020-10-14 김문수 A Testing Apparatus Capable Of Static Friction Force and Dynamic Friction Force Of Caliper Break Frictio Force For Automotiv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513B1 (en) * 2015-10-30 2017-10-3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id for controlling brake caliper of electronic park brake
KR101794819B1 (en) * 2016-04-27 2017-11-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testing performance of brake of vehicle
FR3073157A1 (en) * 2017-11-06 2019-05-10 Sogefi Filtration FILTERING DEVICE AND USE OF THE DEVICE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BRAKING DU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437Y1 (en) * 2020-08-13 2020-10-14 김문수 A Testing Apparatus Capable Of Static Friction Force and Dynamic Friction Force Of Caliper Break Frictio Force For Automo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693A (en)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4483B1 (en) Testing apparatus of brake caliper for vehicle
KR100944255B1 (en) Electronic height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with multiple input signals
US5509727A (en) Ralway automatic brake control valve test unit
US3593266A (en) Disc brake wear monitor system
US20100237690A1 (en) Electropneumatic parking brake modulator for controlling a parking brake mode.of brakes of a trailer in a vehicle/trailer combination.
CA1095436A (en) Disc brake pack wear indicator
US20050279439A1 (en) Automatic tire pressurizing device
CN103003074A (en) Constant pressure pneumatic balancing tire inflation system
JPH11309332A (en) Canister containing air drying agent and its manufacture
US5695258A (en) Railway manual brake control valve test unit
AU2018301852B2 (en) Tire pressure management system
CA2148424C (en) Railway automatic brake control valve test unit
US85056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erformance of vehicle braking systems
CN213839357U (en) Abrasion detection device for brake pad
AU733037B2 (en) Dual seal coupling apparatus for enabling quick measurement of brake cylinder pressure
US2002010437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neumatic tire pressures during dynamic vehicle test procedures
KR102514339B1 (en) Disc-type hydraulic anti-lock brake and brake system
KR20160013035A (en) Functional unit and electrohydraulic brake release device comprising such a functional unit
US3948360A (en) Wear indicator for disk brakes on a vehicle
US3677611A (en) Isolator valve for pneumatic brake systems
KR102054447B1 (en) Checking and repai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aulic control unit of ABS
WO2006105224A1 (en) System for automatic tire inflation comprising a differential pressure type leakage detection flowmeter with a porous flow restriction element
RU2772510C1 (en) Railway brake system containing a device displaying the state of the service brake and/or the state of the parking brake, and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such system
AU2006230649A1 (en) Green Disc Brake Pad Wear and Warning Device
KR100952727B1 (en) Brake disk clearanc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