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900B1 -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 - Google Patents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900B1
KR102633900B1 KR1020220112523A KR20220112523A KR102633900B1 KR 102633900 B1 KR102633900 B1 KR 102633900B1 KR 1020220112523 A KR1020220112523 A KR 1020220112523A KR 20220112523 A KR20220112523 A KR 20220112523A KR 102633900 B1 KR102633900 B1 KR 10263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ock
foreign matter
mat
cover plat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술
Original Assignee
이복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술 filed Critical 이복술
Priority to KR1020220112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 continuous tongue or groo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소음방지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4개의 변이 마련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춘 커버플레이트부; 및 커버플레이트부의 한 변이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른 소음방지매트의 커버플레이트부의 한 변과 가지런하게 배치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다른 소음방지매트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록이 측변에 마련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부; 를 포함하고, 가이드블록에는 이물저장홈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매트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 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Assembly Mat with Foreign Object Storage Space}
본 발명은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바닥에 설치되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 표면상에 유입된 이물질이 확산되거나 이물질에 의한 오염범위의 확장을 억제할 수 있는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또는 빌라와 같이 복수의 층으로 건축된 건축물에서는 윗층의 바닥이 아래층의 천정이 된다. 그리고 충격 등에 의해 윗층 바닥에서 발생되는 소음인 층간소음은 아래층 세대에게 소음피해를 줄 수 있다. 이러한 건축물의 층간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건축물의 윗층 바닥에 건축물의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소음방지매트를 깔아주고 있다.
다수개의 소음방지매트가 바닥면 상에서 나란히 배열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윗층의 바닥면을 커버함으로써 바닥면으로 충격 전달을 억제하여 소음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면 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소음방지매트 상에 물 또는 음료 등을 쏟거나 흘림으로써 유동성이 있는 이물질이 소음방지매트 상에 유입되는 경우 소음방지매트상에서 물 또는 음료가 퍼지면서 매트와 매트 틈 사이로 인입되기도 한다. 매트와 매트 틈 사이로 인입된 이물질이 매트와 바닥면 사이로 침투하거나 다른 매트와 매트의 틈 사이로 확산되면 다수의 매트를 일일이 분해하여 들어내고 닦아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소음방지매트의 표면상에 유입된 물 또는 음료와 같은 이물질이 확산되거나 이물질에 의한 오염범위의 확장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8095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 표면상에 유입된 이물질이 확산되거나 이물질에 의한 오염범위의 확장을 억제할 수 있는 소음방지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는 바닥에 설치되는 소음방지매트로서, 4개의 변(邊, side)이 마련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춘 커버플레이트부;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부의 한 변이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른 소음방지매트의 커버플레이트부의 한 변과 가지런하게 배치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다른 소음방지매트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록이 측변에 마련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블록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커버플레이트부 상에 유입된 유동성이 있는 이물질을 인입받아 저장시킬 수 있는 이물저장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소음방지매트의 상기 가이드블록이 삽입되거나 안착될 수 있는 가이드블록안착홈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의 측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부에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소음방지매트의 상기 가이드블록에 마련된 상기 이물저장홈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결합블록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소음방지매트의 상기 가이드블록이 삽입되거나 안착될 수 있는 가이드블록안착홈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의 측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블록안착홈에 삽입되거나 안착된 상기 가이드블록의 상기 이물저장홈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결합블록에 의해 상기 가이드블록이 상기 가이드블록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블록이 상기 가이드블록안착홈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의 외측 일부 부분은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블록안착홈은 상기 가이드블록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의 측변에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의 측변에는, 상기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안착홈이 이웃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저장홈의 바닥면은 수평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물저장홈의 내측으로 유입된 상기 이물질은 상기 바닥면의 경사에 의해 일측으로 모여 저장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록에서 이물저장홈을 형성하는 측면으로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인 가이드면이 모서리 상의 점에 이어지게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에 따르면, 매트 표면상에 유입된 물이나 음료와 같이 유동성 있는 이물질이 확산되거나 이물질에 의한 오염범위의 확장을 억제하므로 소음방지매트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의 베이스플레이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의 커버플레이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의 일부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의 가이드블록에서 일부 측단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 다수개가 결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와 같이 결합된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에서, 베이스플레이트부 부분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에서, 이물저장홈을 형성하는 바닥면이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에서, 이물저장홈을 형성하는 바닥면이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교번하여 형성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에서, 이물저장홈을 형성하는 바닥면이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여 설명하고 이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이하 간략히 매트 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트의 베이스플레이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트의 커버플레이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이하 간략히 매트 라고 함)(10)는 건축물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소음방지매트(10)로서, 커버플레이트부(100) 및 베이스플레이트부(200)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매트(10)의 상측 부분에 해당되는 커버플레이트부(100)는 4개의 변(邊, side)이 마련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커버플레이트부(100)의 하측에는 매트(10)의 하측 부분에 해당되는 베이스플레이트부(200)가 위치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매트(10)에서 상측의 커버플레이트부(100)와 하측의 베이스플레이트부(200)으로 구분 지칭하여 설명한다. 즉, 매트(10)에서 4개의 모서리와 변을 갖춘 상측의 플레이트 부분을 커버플레이트부(100)로 칭하고, 커버플레이트부(100)의 하측 부분으로서 후술할 가이드블록(240)이 형성된 플레이트 부분을 베이스플레이트부(200)라고 구분하여 칭할 수 있다는 것이다.
커버플레이트부(100)의 하측면에 베이스플레이트부(200)의 상측면이 부착 결합된 형태도 가능하며, 커버플레이트부(100)와 베이스플레이트부(200)가 단일한 부재로서 성형 제조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아울러, 커버플레이트부(100)의 하측면에는 결합블록(16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웃하여 배치되는 매트(10)의 가이드블록(240)에 마련된 이물저장홈(26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결합블록(16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블록(160)은 이웃하는 매트(10)와 안정적이고 정확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매트(10)의 베이스플레이트부(200)와 체결될 수 있다.
결합블록(160)은 후술할 이물저장홈(26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물저장홈(26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다수개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플레이트부(200)는 커버플레이트부(100)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베이스플레이트부(200)는 커버플레이트부(100)를 지지하여준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부(200)에는 커버플레이트부(100)의 한 변이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른 매트(10)의 커버플레이트부(100)의 한 변과 가지런하게 배치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다른 매트(10)와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블록(240)이 측변(側邊)에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이웃하여 배치되는 매트(10)의 가이드블록(240)이 삽입되거나 안착될 수 있는 가이드블록안착홈(220)이 베이스플레이트부(200)의 측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블록(240)이 이웃하는 매트(10)의 베이스플레이트부(200)의 가이드블록안착홈(220) 내에 삽입 또는 안착되어 매트(10)가 정렬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베이스플레이트부(200)에서 가이드블록(240)과 가이드블록안착홈(220)이 요철(凹凸)처럼 삽입되어 맞물림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한 측변에서 가이드블록(240)과 가이드블록안착홈(220)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블록(240)이 가이드블록안착홈(220)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블록(240)의 외측 일부 부분은 경사진 면(242)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이드블록안착홈(220)은 가이드블록(24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베이스플레이트부(200)의 측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블록(240)의 외측 경사진 면(242)에 면접할 수 있도록 가이드블록안착홈(220)을 형성하는 부분에 경사진 면(224)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부(200)의 측변에는, 가이드블록(240)과 가이드블록안착홈(220)이 이웃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각 변마다 하나의 가이드블록(240)과 하나의 가이드블록안착홈(220)이 형성된 매트(1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가이드블록(240)에는 외부로부터 커버플레이트부(100) 상에 유입된 유동성이 있는 이물질을 인입받아 저장시킬 수 있는 이물저장홈(26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유동성 있는 이물질의 대표적인 예로서, 커버플레이트부(100) 상측 표면상에 엎질러진 물이나 음료와 같은 액체를 들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플레이트부(100) 표면상에 엎질러진 물이나 음료가 커버플레이트부(100)의 각 측변이나 모서리로 이동되면 이물저장홈(260)으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부(200) 하측의 바닥면까지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청소관리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가이드블록안착홈(220)에 삽입되거나 안착된 가이드블록(240)의 이물저장홈(26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결합블록(160)에 의해 가이드블록(240)이 가이드블록안착홈(2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결합블록(160)은 이물저장홈(260) 내에 삽입되되, 이물저장홈(260)의 바닥면(264)까지 삽입되지 않고 공간을 남겨둘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겨진 공간으로 물이나 음료와 같은 이물질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 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트의 일부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트의 가이드블록에서 일부 측단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트 다수개가 결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와 같이 결합된 매트에서, 베이스플레이트부 부분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트의 가이드블록(240)에 이웃하는 다른 매트의 결합블록(160a)이 삽입되어 결합되었을 때 가이드블록(240)과 결합블록(160a)의 측단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나타낸 커버플레이트부(100a)와 결합블록(160a)은, 하나의 매트의 가이드블록(240)에서 이웃하여 결합되는 다른 매트의 커버플레이트부(100a)와 결합블록(160a)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결합블록(160a)의 높이(h)는, 이물저장홈(260)의 깊이(d)에 비하여 작거나 같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높이(h)는 깊이(d)의 크기값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결합블록(160a)의 높이(h)에 비하여 이물저장홈(260)의 깊이(d)가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면 이물저장홈(260) 내에 남겨진 공간으로 물이나 음료와 같은 이물질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가이드블록(240)에는 둘 이상의 이물저장홈(260)이 구분되어 마련된 것도 바람직하다. 도면에서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이물저장홈(260) 사이에 턱(246)이 마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턱(246) 또한 결합블록(160)이 이물저장홈(260)으로 삽입될 때 어긋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해주므로 올바른 결합을 가이드한다고 할 수도 있다.
이물저장홈(260)의 바닥면 즉, 이물저장홈(260)을 형성하는 가이드블록(240)의 홈 내측의 바닥면(264)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처럼 바닥면(264)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이물저장홈(260) 내측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바닥면(264)의 경사에 의해 일측으로 모여 저장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가이드블록(240)에서, 이물저장홈(260)을 형성하는 측면인 가이드면(262)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262)은 물과 같은 이물질이 이물저장홈(26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므로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이드면(262)은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부(200) 및 커버플레이트부(100)의 모서리 점(P) 상에 이어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이드면(262)과 모서리 점(P) 사이의 거리 즉 간격은 2c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가이드면(262)과 모서리점(p)이 닿아있는 형태인 것 또한 가능하며 이 또한 바람직하다.
여기서, 모서리 점(P)이 형성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자면, 도 6 또는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네 개의 매트가 정사각형의 형태로 결합하게 될 때, 어느 하나의 매트의 가이드블록(240)이 이웃하는 다른 매트의 가이드블록안착홈(220)에 삽입되면 경사진 면(242)(224)끼리 맞닿게 된다. 여기서, 각 경사진 면(242)(224)의 끝단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 모서리 점(P)이 형성하게 된다.
각각의 매트의 결합 형상과 각각의 경사진 면(242)(224)이 맞닿아 모서리 점(P)이 형성되면서, 적어도 네 개의 소음방지 매트가 서로 만나는 지점인 모서리 점(P)에 빈공간(틈)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바닥이 노출되지 않아 이물이 바닥 측으로 침투하지 않고 이물저장홈(260) 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처럼 모서리로 이동된 이물질이 모서리 점(P) 상에서 경사진 가이드면(262)을 따라 이물저장홈(260) 내측으로 이동되어 저장되므로, 예를 들어, 커버플레이트부(100) 표면상에 엎질러진 물을 청소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블록(240)에서 이물저장홈(260)을 형성하는 바닥면(264)과 내측면들 중 적어도 일부 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인 가이드면(262)이 모서리 상의 점(P)에 이어지게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이드블록(240)에서 이물저장홈(260)을 형성하는 측면으로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인 가이드면(262)이 모서리 상의 점(P)에 이어지게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바닥면(264)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8 내지 도 10을 더 참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트에서, 이물저장홈을 형성하는 바닥면이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트에서, 이물저장홈을 형성하는 바닥면이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교번하여 형성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트에서, 이물저장홈을 형성하는 바닥면이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바닥면(264)을 단순히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도 가능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264)의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오목하게 형성시킨 것도 바람직하며, 바닥면(264)의 가운데 부분의 깊이가 가장 깊도록 바닥면(264)의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V 자 형태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264)이 물결처럼 마루와 골이 형성된 형태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매트에서 바닥면(264)의 형태는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형성된 바닥면(264)의 형태에 따라 이물저장홈(260) 내 이물저장공간에서 이물질이 저장되는 위치나 형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트에 따르면, 매트 표면상에 유입된 물이나 음료와 같이 유동성 있는 이물질이 이물저장홈에 수용되므로 이물질이 타 위치로 확산되거나 이물질에 의한 오염범위의 확장을 억제하므로 매트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
100 : 커버플레이트부 160 : 결합블록
200 : 베이스플레이트부 220 : 가이드블록안착홈
240 : 가이드블록 260 ; 이물저장홈

Claims (7)

  1. 바닥에 설치되는 소음방지매트로서,
    4개의 변(邊, side)이 마련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춘 커버플레이트부;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부의 한 변이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른 소음방지매트의 커버플레이트부의 한 변과 가지런하게 배치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다른 소음방지매트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록이 측변에 마련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블록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커버플레이트부 상에 유입된 유동성이 있는 이물질을 인입받아 저장시킬 수 있는 이물저장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부에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소음방지매트의 상기 가이드블록에 마련된 상기 이물저장홈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결합블록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소음방지매트의 상기 가이드블록이 삽입되거나 안착될 수 있는 가이드블록안착홈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의 측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블록안착홈에 삽입되거나 안착된 상기 가이드블록의 상기 이물저장홈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결합블록에 의해 상기 가이드블록이 상기 가이드블록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며,
    상기 가이드블록이 상기 가이드블록안착홈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의 외측 일부 부분은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블록안착홈은 상기 가이드블록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의 측변에 형성되며,
    상기 이물저장홈의 바닥면은 수평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물저장홈의 내측으로 유입된 상기 이물질은 상기 바닥면의 경사에 의해 일측으로 모여 저장되며,
    상기 가이드블록에서 상기 이물저장홈을 형성하는 측면으로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인 가이드면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부의 모서리 상의 점에 이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의 측변에는,
    상기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안착홈이 이웃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
  7. 삭제
KR1020220112523A 2022-09-06 2022-09-06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 KR102633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523A KR102633900B1 (ko) 2022-09-06 2022-09-06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523A KR102633900B1 (ko) 2022-09-06 2022-09-06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900B1 true KR102633900B1 (ko) 2024-02-05

Family

ID=8990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523A KR102633900B1 (ko) 2022-09-06 2022-09-06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9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02A (ko) * 2000-06-08 2000-09-05 류장욱 흙, 먼지 받침대가 있는 이중 자동차용 매트
KR102308176B1 (ko) * 2021-02-16 2021-10-05 주식회사 피유텍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 매트
KR102380954B1 (ko) 2021-04-16 2022-04-01 주식회사 꿈비 독립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층간소음 방지매트
KR20220067798A (ko) * 2020-11-18 2022-05-25 이복술 조립용 개별 매트
CN216822705U (zh) * 2022-03-01 2022-06-28 苏州恒瑞达家用地垫有限公司 一种隐藏式拼接地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02A (ko) * 2000-06-08 2000-09-05 류장욱 흙, 먼지 받침대가 있는 이중 자동차용 매트
KR20220067798A (ko) * 2020-11-18 2022-05-25 이복술 조립용 개별 매트
KR102308176B1 (ko) * 2021-02-16 2021-10-05 주식회사 피유텍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 매트
KR102380954B1 (ko) 2021-04-16 2022-04-01 주식회사 꿈비 독립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층간소음 방지매트
CN216822705U (zh) * 2022-03-01 2022-06-28 苏州恒瑞达家用地垫有限公司 一种隐藏式拼接地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654B1 (ko) 바닥 패널
US6058659A (en) Sanitary floor
EP1948883B1 (en) System for setting tiles, tile assembly and joining element for use in the system, method for setting tiles, and tile floor repair method
US1902716A (en) Flooring
US7429144B1 (en) Paving brick assembly
US5228253A (en) Modular tile with shock absorbing properties
US20180066403A1 (en) Paving stones
US6598360B1 (en) Basement water drainage conduit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50183370A1 (en) Interlocking Tile
US20070022689A1 (en) Plastic flooring with improved seal
US9567755B2 (en) Sound-absorbing interlocking floor panels and system
JP2021523861A (ja) 上部デッキにグロメットを備える修理可能なプラスチックパレット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2633900B1 (ko) 이물저장공간이 마련된 조립식 매트
US6865856B2 (en) Plastic floorings using concave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ZA200606926B (en) Loosely laid natural stone panel floor
KR102344024B1 (ko)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
US20070011980A1 (en) Interlocking Tile
KR102059055B1 (ko)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층간 소음 방지 패널
JP2001220852A (ja) 物置・仮設ハウス等の支持ブロック
KR102239977B1 (ko) 바닥 배수판 및 바닥 배수판 시스템
NL1017383C2 (nl) Ophogingsconstructie voor een tegelvloer en/of delen daarvan.
KR20210137012A (ko) 바닥패널 및 바닥재
KR20240034627A (ko) 에어플로우 매트시스템
KR102498058B1 (ko) 조립식 매트
EP1443159A2 (en) Elevated tiled floor, method for constructing of same, and support for a tiled fl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