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329B1 -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329B1
KR102633329B1 KR1020230083302A KR20230083302A KR102633329B1 KR 102633329 B1 KR102633329 B1 KR 102633329B1 KR 1020230083302 A KR1020230083302 A KR 1020230083302A KR 20230083302 A KR20230083302 A KR 20230083302A KR 102633329 B1 KR102633329 B1 KR 102633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sensor device
safety management
management devi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헨
Priority to KR1020230083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65Fo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84Electronic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controlling the winding or unwinding process, e.g. with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맨홀 틀에 설치되는 스탠드(30); 상기 맨홀 틀의 최상면으로부터 거리(a)가 유지되도록 상기 스탠드(30)에 탑재되고, 와이어(42)를 주기적으로 풀어내거나 되감는 것을 반복하는 로터 와인더(40); 상기 와이어(42)에 매달려 맨홀 내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 디바이스(50); 및 상기 센서 디바이스(50)로부터 공기질 측정값을 수신하여 작업공간 안전 상태를 평가하고 안전한지를 전파하는 메인 컨트롤러(7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Safety management device for manhole work}
본 발명은 땅속에 설치된 맨홀 내부에서 작업자가 작업할 때, 질식, 중독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땅속에 매설되고, 맨홀의 용도에 따라 땅속 송전선로를 관리하거나 각종 케이블을 관리한다.
맨홀은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고, 맨홀의 크기에 따라 점검구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규모가 비교적 큰 맨홀 조립체는 여러 개의 맨홀 구성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맨홀 조립체 구성을 첨부 도면 도 1부터 4까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부터 도 4까지는 점검구가 복수인 맨홀 조립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은 분해 도면이고, 도 2는 조립 도면이며, 도 3은 점검구 위치에서 보인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점검구 위치에서 보인 횡방향 단면도이다.
맨홀 조립체(10)는, 측면 맨홀(11)과 복수의 중간 맨홀(13)과 복수의 점검구 맨홀(14)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각 맨홀의 사이사이에는 패킹이 배치될 수 있고, 맨홀과 이웃한 맨홀은 강선으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맨홀과 이웃한 다른 맨홀의 틈새는 방수 처리가 될 수 있다.
측면 맨홀(11)은 복수의 케이블 연결구(12)가 배치되고, 케이블 연결구(12)는 각종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고, 예컨대, 고압 송전 선로가 배치될 수 있다.
중간 맨홀(13)은 단면 형상을 보면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된다.
점검구 맨홀(14)은 상부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부에 제1 점검구(15) 또는 제2 점검구(16)를 올려져 조립된다.
제1, 2 점검구(15, 16)의 상부에는 각 맨홀 틀(17)을 설치하고, 맨홀 틀(17)에 맨홀 커버(18)를 덮는다.
맨홀 조립체(10)는 땅속에서 조립이 완료된 후에, 맨홀 조립체(10)의 주변에 흙을 되메우고, 맨홀 틀(17)의 상면과 지표면의 높이가 일치되게 시공한다.
맨홀은 평소에 맨홀 틀(17)에 맨홀 커버(18)를 씌워 놓는 것으로써 맨홀 내부에 공기 흐름이 거의 없이 정체되어 있고, 산소 농도가 낮으며, 인체 호흡에 해로운 가스의 농도가 높을 수 있다.
맨홀 작업을 하고자 할 때는, 맨홀 조립체(10)의 내부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는지 공기질을 평가하고, 공기질이 안전하다고 평가된 후에 작업자가 맨홀 조립체(10)의 내부로 진입한다.
공기질을 평가는 방법으로 센서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는 산소 농도, 황화수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가연성 가스 농도 등의 4대 가스를 측정하고, 작업자가 안전한지 위험한지를 알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맨홀 조립체(10)의 내부 공간은 폭(B)이 2m에서 4m까지 다양하고, 높이(H)가 2.1m에서 3.5m까지 다양하며, 길이(L)가 8m에서 12m까지 다양하고, 현장 요구에 따라 적정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맨홀 조립체(10)의 내부 체적은 최소 33.6㎥에서 최대 168㎥까지 다양할 수 있다.
작업자는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맨홀 내부를 환기할 필요가 있고, 환기를 위해서 에어 서플라이 튜브(20)를 설치하여 맨홀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는다. 환기 시간은 맨홀 조립체(10)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최소한 1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작업자는 앞서 설명된 센서 디바이스를 줄에 매달아서 제1 점검구(15)를 통해 내려보내고,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맨홀 내부로 진입한다.
한편으로, 작업자는 공기질이 안전하다고 평가된 후에 진입하여야 하지만, 작업 현장에서는 미흡한 관리, 안전 불감증, 조급함 등의 이유로 조기에 진입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맨홀 조립체(10)의 내부 체적이 무척 크므로, 환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자는 센서 디바이스를 여러 번 반복하여 확인하는 번거로움과 문제가 있다.
한편으로, 맨홀 작업은 작업자 여러 명이 진입할 수 있고, 이러하면 호흡으로 인해 산소 소비가 급격하게 늘어날 수 있고, 작업하는 환경에 따라서 유해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명의 작업자가 맨홀 작업에 진입하면 인체 호흡에 문제가 없는지 좀 더 세심하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종래에 알려진 기술로써, 작업자의 신체에 센서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작업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는데, 센서 디바이스의 크기는 대략 어른 주먹 2개 수준으로 다소 크고, 센서 디바이스가 신체 움직임에 방해되어 불편을 겪을 수 있다.
또한, 맨홀 작업은 한번 진입하면 4시간에서 8시간까지 꽤 긴 시간 동안 작업하는데 이러하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계속 주입한다고 하더라도 산소 소비 속도가 빨라서 적정한 산소 농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때가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시간 작업하는 동안에 센서 디바이스는 계속 작동하고 있어야 하므로 전력 소비가 많고, 배터리 용량을 늘리면 착용용 센서 디바이스의 무게가 늘어나기 때문에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 데에는 제약이 있어 휴대용이나 인체 부착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KR 10-1061741 B1 KR 10-1673966 B1 KR 10-1742560 B1 KR 10-2276455 B1 KR 10-2305592 B1 KR 20-2014-0002669 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맨홀 작업에 진입하기 전에 맨홀 조립체의 내부에 공기질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현장 작업자와 원격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맨홀 조립체에 진입하여 작업하는 동안에 맨홀 조립체의 내부에서 하부 높이, 중부 높이, 상부 높이 등에 공기질을 구체적으로 평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한 작업환경을 사전 준비하여 작업자가 맨홀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시점을 작업자와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맨홀 틀에 설치되는 스탠드(30); 상기 맨홀 틀의 최상면으로부터 거리(a)가 유지되도록 상기 스탠드(30)에 탑재되고, 와이어(42)를 주기적으로 풀어내거나 되감는 것을 반복하는 로터 와인더(40); 상기 와이어(42)에 매달려 맨홀 내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 디바이스(50); 및 상기 센서 디바이스(50)로부터 공기질 측정값을 수신하여 작업공간 안전 상태를 평가하고 안전한지를 전파하는 메인 컨트롤러(70);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의 상기 스탠드(30)는 3개 이상의 다리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의 하부에 설치되어 맨홀 바닥 또는 물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전기 신호는 상기 로터 와인더(40)의 모터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프로브(54);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의 하부에 설치되어 맨홀 바닥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제1 거리 센서(58a);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의 상부에 설치되어 맨홀 천장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제2 거리 센서(58b);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의 측면 벽체에 설치되어 맨홀 내부의 철재 구조물(60)에 장착되는 자석(56);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와 지상에 배치된 상기 메인 컨트롤러(70)를 연결하는 케이블(52)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52)은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에 전원 공급과 유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상기 스탠드(30)에 설치되는 도그 센서(32); 및 상기 와이어(42)에 서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도그 센서(32)에 감지당하는 제1, 2, 3 도그(44a, 44b, 44c); 를 포함하고,
상기 도그 센서(32)에서 상기 제1, 2, 3 도그(44a, 44b, 44c) 중에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상기 로터 와인더(40)의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상기 제1 도그(44a)와 상기 제2 도그(44b) 간의 제1 거리는 50㎝ 내지 120㎝이고, 상기 제2 도그(44b)와 상기 제3 도그(44c) 간의 제2 거리는 50㎝ 내지 12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지상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값을 수신하여 지상 작업자가 맨홀 작업이 안전한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단말기(72);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작업자가 맨홀 작업에 진입하기 전에 맨홀 조립체의 내부에 공기질을 평가할 수 있고, 공기질의 평가 결과를 현장 작업자와 원격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된 후에 작업자를 진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작업자가 맨홀 조립체에 진입하여 작업하는 동안에 맨홀 조립체의 내부에서 하부 높이, 중부 높이, 상부 높이 등에 공기질을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어느 한 곳에서 공기질이 좋지 않게 평가되었을 때 작업자가 퇴거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부터 도 4까지는 점검구가 복수인 맨홀 조립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은 분해 도면이고, 도 2는 조립 도면이며, 도 3은 점검구 위치에서 보인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점검구 위치에서 보인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에서 센서 디바이스의 승강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에서 센서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에서 센서 디바이스의 높이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5부터 도 9까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를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에서 센서 디바이스의 승강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에서 센서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에서 센서 디바이스의 높이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스탠드(30), 로터 와인더(40), 센서 디바이스(50) 및 메인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스탠드(30)는 도 5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홀 틀(17)에 설치될 수 있다. 스탠드(30)에 LED 경광등과 음성 경고 메시지 출력 장치를 추가하여 보행자 또는 지상 작업자는 스탠드(30)를 쉽게 알아차릴 수 있고, 이로써 보행자 또는 지상 작업자가 제1 점검구(15)를 통하여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30)는 3개 이상의 다리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성일 수 있다. 이로써 스탠드(30)를 펼쳐서 세울 때, 스탠드(30)가 쓰러지지 않고 바른 자세로 세워질 수 있고, 스탠드(30)의 중심 부분이 제1 점검구(15)의 중심 부분과 일치하거나 유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탠드(30)는 3개 이상의 다리로 구성함으로써 제1 점검구(15)를 막지 않고 거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다리와 다리 사이에 공간이 넓게 형상됨으로써 공기 유통에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고,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할 수 있으며 맨홀 내부의 환기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로터 와인더(4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맨홀 틀(17)의 최상면으로부터 거리(a)가 유지되도록 상기 스탠드(30)에 탑재될 수 있다.
로터 와인더(40)를 거리(a)만큼 공중으로 띄운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1 점검구(15)를 막지 않고, 이로써 맨홀 내부 환기에 방해되지 않고 맨홀 내부의 환기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로터 와인더(40)는 와이어(42)를 주기적으로 풀어내거나 되감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다. 로터 와인더(40)는 모터와 보빈을 갖추고 있고, 모터가 회전하면 보빈이 회전하는 구성이며, 보빈에 와이어(42)가 감긴다. 이러한 와이어(42)를 감거나 풀어내는 구성은 알려진 구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센서 디바이스(50)는 주기적으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할 수 있고, 특정한 높이에서 잠시 멈춰서 그 위치에서 공기 질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50)는 상기 와이어(42)에 매달려 맨홀 내부의 공기질을 측정한다.
센서 디바이스(50)는 복합 센서가 탑재되어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질을 평가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복합 센서는, 산소 농도, 황화수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가연성 가스 농도를 기본적으로 측정하고 그 밖에 진동, 충격, 이산화탄소, 온도, 습도, 수위, 미세 먼지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센서 디바이스(50)는 작업자 건강이 위험에 처하기 전에 맨홀 내부 작업자와 지상 작업자와 원격 관리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센서 디바이스(50)는 작업자를 위협하는 상황이 예상될 때, 음성으로 경고하거나, 경광등을 밝혀서 작업자가 위험 상황에 노출되지 않도록 조처를 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70)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50)로부터 공기질 측정값을 수신하고, 공기질을 평가하며, 안전한 상황인지 불안한 상태인지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70)는 안전한지를 전파할 수 있고, 전파 대상은 땅속 작업자, 지상 작업자 및 원격 관리자일 수 있다. 원격 관리자는 맨홀 작업을 총괄하는 기관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점검구(16)에 팬(20a)을 설치할 수 있다. 팬(20a)이 작동하면 맨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맨홀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70)로부터 맨홀 내부의 작업공간에 공기질이 낮아지는 것으로 평가될 때 맨홀 내부 공기질이 더 나빠지기 전에 메인 컨트롤로(70)는 팬(20a)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공기질이 나빠지기 전에 팬(20a)을 작동시킴으로써 강제환기시키고, 작업자는 맨홀 내부 작업공간에서 공기질이 양호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의 하부에 프로브(54)가 설치될 수 있다.
프로브(54)는 센서 디바이스(50)를 맨홀 내부로 내릴 때, 맨홀 바닥 또는 물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프로브(54)가 발생시킨 전기 신호는 상기 로터 와인더(40)의 모터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센서 디바이스(50)가 바닥 또는 물체에 물리적으로 부딪혀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의 하부에 제1 거리 센서(58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리 센서(58a)는 센서 디바이스(50)로부터 맨홀 바닥까지 거리를 비접촉으로 측정할 수 있고, 이로써 소망하는 높이에 센서 디바이스(50)를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의 상부에 제2 거리 센서(58b)를 더 설치할 수 있고, 제2 거리 센서(58b)는 맨홀 천장까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거리 센서(58a)와 제2 거리 센서(58b)로부터 측정된 거릿값을 바탕으로 맨홀 내부에서 센서 디바이스(5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고, 이로써 작업자가 소망하는 높이에 센서 디바이스(5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2 거리 센서(58a, 58b)는 ToF(Time of Flight)일 수 있고, 근적외선, 초음파, 레이저 등의 신호를 이용하여 사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의 측면 벽체에 자석(56)이 설치될 수 있다. 자석(56)은 맨홀 내부의 철재 구조물(60)에 장착될 수 있다.
철재 구조물(60)은 예를 들면 배전반 박스일 수 있고, 각종 철제 기둥이나 철제 선반일 수 있다.
벽면이 철 구조물이 없는 때에 철재 브래킷을 미리 설치할 수 있고, 철재 브래킷에 자석(56)을 부착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자신이 작업하는 위치와 가까운 위치에 센서 디바이스(50)를 고정할 수 있고, 이로써 작업자는 자신의 위치에서 좀 더 안심하고 작업에 집중할 수 있다.
한편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30)에 도그 센서(32)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와이어(42)에 복수의 도그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도그는 제1, 2, 3 도그(44a, 44b, 44c)일 수 있고, 상기 와이어(42)에 서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도그 센서(32)에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도그 센서(32)가 상기 제1, 2, 3 도그(44a, 44b, 44c) 중에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상기 로터 와인더(40)의 모터가 정지할 수 있다.
모터의 정지유지 시간은 상기 센서 디바이스(50)가 해당 공기질을 측정하는 시간 정도이고, 예컨대, 5분 내외일 수 있다.
상기 도그 센서(32)가 상기 제1 도그(44a)를 감지하면 모터가 일시 정지하고, 모터의 정지유지 시간이 지나면 모터가 다시 작동한다. 이후, 상기 도그 센서(32)가 상기 제2 도그(44b)를 감지하면 모터가 일시 정지하고, 모터의 정지유지 시간이 지나면 모터가 다시 작동한다. 이후, 상기 도그 센서(32)가 상기 제3 도그(44c)를 감지하면 모터가 일시 정지하고, 모터의 정지유지 시간이 지나면 모터가 다시 작동한다.
상기 도그 센서(32)가 상기 제1 도그(44a)와 제2 도그(44b)와 제3 도그(44c)를 차례대로 감지한 후에, 반대 순서로 상기 도그 센서(32)가 상기 제3 도그(44c)와 제2 도그(44b)와 제1 도그(44a)를 차례대로 감지한다.
즉, 로터 와인더(40)의 모터는 정회전 작동과 역회전 작동을 반복할 수 있고, 도그 센서(32)가 제1, 2, 3 도그(44a, 44b, 44c) 중에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상기 센서 디바이스(50)를 특정한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도그(44a)는 와이어(42)가 최대로 길게 풀렸을 때 감지될 수 있고, 이때 센서 디바이스(50)는 맨홀 바닥과 무척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센서 디바이스(50)는 작업자가 앉은 자세에서 호흡기와 비슷한 높이일 수 있다.
또한, 제2 도그(44b)는 와이어(42)가 중간 길이로 풀렸을 때 감지될 수 있고, 이때 센서 디바이스(50)는 작업자가 허리를 굽힌 자세에서 작업자의 호흡기와 비슷한 높이일 수 있다.
또한, 제3 도그(44c)는 와이어(42)가 짧은 길이로 풀렸을 때 감지될 수 있고, 이때 센서 디바이스(50)는 작업자가 바로 선 상태에서 작업자의 호흡기와 비슷한 높이일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1 도그(44a)와 상기 제2 도그(44b) 간의 제1 거리는 50㎝ 내지 120㎝이고, 상기 제2 도그(44b)와 상기 제3 도그(44c) 간의 제2 거리는 50㎝ 내지 120㎝인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작업자의 신체 조건에 좀 더 구체적으로 맞추거나 기체의 특성에 따라 흩날려 퍼지거나 정체되는 위치가 다르거나 발생하는 위치가 다를 수 있는데, 이러한 특정 가스의 발생 위치에 대응하여 안전한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2, 3 도그(44a, 44b, 44c)는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즉흥적으로 설치 위치를 수정할 수 있고, 이로써 작업자가 소망하는 위치와 좀더 가까운 높이에서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52)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케이블(52)은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와 지상에 배치된 상기 메인 컨트롤러(7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52)은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에 전원 공급과 유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가 맨홀 작업을 긴 시간 동안 하더라도 센서 디바이스(50)는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작업자가 맨홀 작업을 마무리할 때까지 센서 디바이스(50)는 안정적으로 계속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디바이스(50)는 메인 컨트롤러(7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블(52)로 연결됨으로써 유선 통신할 수 있고, 이로써 공기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측정한 값을 손실과 잡신호가 섞이지 않고 깨끗한 상태로 신속하고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단말기(7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말기(72)는 지상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고, 상기 공기질 측정값을 수신하여 지상 작업자가 맨홀 작업이 안전한지를 알 수 있게 한다.
상기 단말기(72)는 작업자의 휴대전화, 태블릿 PC 등, 소프트웨어 설치 및 실행, 통신, 디스플레이 등의 기능이 포함된 어떤 전자기기라도 이용될 수 있다.
맨홀 작업 안전에 최선을 다하여 준비하더라도 알 수 없는 원인으로 맨홀 내부의 상황이 좋지 않게 변할 가능성이 있고,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지상 작업자가 땅속 작업자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도움을 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한 작업환경을 사전 예측하여 진입 가능한 시점을 작업자와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실내 진입 가능 시간 예측 알람 기능, 좀 더 구체적으로 실내 체적과 4대 유해가스 측정 변화량 분석을 통한 진입가능시점 파악하여 알람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텐드(30)에 경광등, 구체적으로 LED를 포함하는 경과등과 음성경고 메시지 장치를 추가(미도시)하여 외부인 진입시 위험 경고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흡입 팬(미도시)을 설치하여 내부 공기를 빼내는 것과 팬을 자동 제어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긴 시간 작업중 내부의 4대 유해가스를 실시간 측정 후 설정값 이상이나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팬의 동작을 제어하여 공기질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도 와인더를 체인줄로 적용하고 모터 회전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도그센서를 대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맨홀 내부에 공기질을 지속해 평가하여 맨홀 작업에 투입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맨홀 조립체 11: 측면 맨홀
12: 케이블 연결구 13: 중간 맨홀
14: 점검구 맨홀 15, 16: 제1, 2 점검구
17: 맨홀 틀 18: 맨홀 커버
20: 에어 서플라이 튜브
30: 스탠드 32: 도그 센서
40: 로터 와인더 42: 와이어
44a, 44b, 44c: 제1, 2, 3 도그
50: 센서 디바이스 52: 케이블
54: 프로브 56: 자석
58a, 58b: 제1, 2 거리 센서
60: 철재 구조물
70: 메인 컨트롤러 72: 터미널

Claims (10)

  1. 맨홀 틀에 설치되는 스탠드(30);
    상기 맨홀 틀의 최상면으로부터 거리(a)가 유지되도록 상기 스탠드(30)에 탑재되고, 와이어(42)를 주기적으로 풀어내거나 되감는 것을 반복하는 로터 와인더(40);
    상기 와이어(42)에 매달려 주기적으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할 수 있고, 특정한 높이에서 멈춰 그 위치에서 맨홀 내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 디바이스(50);
    상기 센서 디바이스(50)로부터 공기질 측정값을 수신하여 작업공간 안전 상태를 평가하고 안전한지를 전파하는 메인 컨트롤러(70);
    지상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값을 수신하여 지상 작업자가 맨홀 작업이 안전한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단말기(72); 및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의 하부에 설치되어 맨홀 바닥 또는 물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전기 신호는 상기 로터 와인더(40)의 모터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프로브(54);를 포함하되,
    상기 스탠드(30)는 분절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분절 헤드를 통해 3개 이상의 다리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
    을 포함하는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상기 스탠드(30)에 설치되는 도그 센서(32); 및
    상기 와이어(42)에 서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도그 센서(32)에 감지당하는 제1, 2, 3 도그(44a, 44b, 44c); 를 포함하고,
    상기 도그 센서(32)에서 상기 제1, 2, 3 도그(44a, 44b, 44c) 중에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상기 로터 와인더(40)의 모터를 정지유지 시간 동안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디바이스(50)는 산소 농도, 황화수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가연성 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진동, 충격, 이산화탄소, 온도, 습도 및 미세 먼저를 측정하며,
    상기 센서 디바이스(50)는 작업자가 위험에 처하기 전에 맨홀 내부 작업자와 지상 작업자의 원격 관리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센서 디바이스(50)는 작업자를 위협하는 상황이 예상되면, 음성으로 경고하거나 경광등을 밝히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70)가 맨홀 내부의 작업공간에 공기질이 낮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때, 맨홀 내부 공기질이 더 나빠지기 전에 배출팬(20a) 및 흡입팬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정지유지 시간은 상기 센서 디바이스(50)가 해당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시간이고,
    상기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실내 체적과 유해가스 측정 변화량 분석을 통해 맨홀 실내 진입 가능 시간을 예측하여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알람을 주며,
    상기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는 작업 시간 중 맨홀 내부의 유해가스를 측정 후 설정값에 따라 상기 배출팬 및 상기 흡입팬의 동작을 제어하여 공기질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의 하부에 설치되어 맨홀 바닥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제1 거리 센서(58a);
    를 더 포함하는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의 상부에 설치되어 맨홀 천장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제2 거리 센서(58b);
    를 더 포함하는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의 측면 벽체에 설치되어 맨홀 내부의 철재 구조물(60)에 장착되는 자석(56);
    을 더 포함하는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와 지상에 배치된 상기 메인 컨트롤러(70)를 연결하는 케이블(5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52)은 상기 센서 디바이스(50)에 전원 공급과 유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그(44a)와 상기 제2 도그(44b) 간의 제1 거리는 50㎝ 내지 120㎝이고,
    상기 제2 도그(44b)와 상기 제3 도그(44c) 간의 제2 거리는 50㎝ 내지 120㎝인 것;
    을 포함하는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지상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값을 수신하여 지상 작업자가 맨홀 작업이 안전한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단말기(72);
    를 더 포함하는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KR1020230083302A 2023-06-28 2023-06-28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KR102633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302A KR102633329B1 (ko) 2023-06-28 2023-06-28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302A KR102633329B1 (ko) 2023-06-28 2023-06-28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329B1 true KR102633329B1 (ko) 2024-02-05

Family

ID=8990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302A KR102633329B1 (ko) 2023-06-28 2023-06-28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32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741B1 (ko) 2009-06-15 2011-09-02 진창오 지중 송전용 조립식 맨홀에 형성되는 각도를 갖는 관로구의 고정홈
KR101165618B1 (ko) * 2011-12-05 2012-07-19 주식회사 일흥산전 맨홀 내부 감시 시스템
KR20140002669U (ko) 2012-10-29 2014-05-09 한국전력공사 맨홀 추락 방지장치
KR101673966B1 (ko) 2016-01-20 2016-11-10 (주)우진이엔지 지중 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KR101742560B1 (ko) 2017-03-15 2017-06-01 유정남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795286B1 (ko) * 2016-07-18 2017-12-01 김시원 맨홀삽입형 자동채수장치
KR101820058B1 (ko) * 2016-09-06 2018-01-19 주식회사 대창 맨홀 내부검사장치
KR102244501B1 (ko) * 2019-11-30 2021-04-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이드 장비 및 이를 구비하는 맨홀 내부 상태 조사 장치
KR102276455B1 (ko) 2021-04-29 2021-07-12 (주)드림엔지니어링 지중 송배전 설비 운영 관리용 산소 농도 감지 맨홀 뚜껑
KR102305592B1 (ko) 2021-04-29 2021-09-27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하 통신구 운영 관리용 맨홀 뚜껑
KR20220035794A (ko) * 2020-09-14 2022-03-22 더본테크 주식회사 선택적 배치에 따른 독립적 주파수 조사를 통한 맨홀 내부 메저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741B1 (ko) 2009-06-15 2011-09-02 진창오 지중 송전용 조립식 맨홀에 형성되는 각도를 갖는 관로구의 고정홈
KR101165618B1 (ko) * 2011-12-05 2012-07-19 주식회사 일흥산전 맨홀 내부 감시 시스템
KR20140002669U (ko) 2012-10-29 2014-05-09 한국전력공사 맨홀 추락 방지장치
KR101673966B1 (ko) 2016-01-20 2016-11-10 (주)우진이엔지 지중 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KR101795286B1 (ko) * 2016-07-18 2017-12-01 김시원 맨홀삽입형 자동채수장치
KR101820058B1 (ko) * 2016-09-06 2018-01-19 주식회사 대창 맨홀 내부검사장치
KR101742560B1 (ko) 2017-03-15 2017-06-01 유정남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2244501B1 (ko) * 2019-11-30 2021-04-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이드 장비 및 이를 구비하는 맨홀 내부 상태 조사 장치
KR20220035794A (ko) * 2020-09-14 2022-03-22 더본테크 주식회사 선택적 배치에 따른 독립적 주파수 조사를 통한 맨홀 내부 메저링 시스템
KR102276455B1 (ko) 2021-04-29 2021-07-12 (주)드림엔지니어링 지중 송배전 설비 운영 관리용 산소 농도 감지 맨홀 뚜껑
KR102305592B1 (ko) 2021-04-29 2021-09-27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하 통신구 운영 관리용 맨홀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85326U (zh) 地下电缆综合在线监测系统
CN109443440A (zh) 隧道综合监控系统
CN104018884B (zh) 深部开采矿井通风智能感知及远程统一调控系统
KR101556604B1 (ko) 옥내변전소 gis의 누출가스 검출장치
CN112357768B (zh) 塔材起吊情况的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US20170055516A1 (en) Device for holding a bait, in particular a bait for rodents
CN106373318A (zh) 基于LoRa技术的火灾防控系统
KR20200045860A (ko) 맨홀 내 유해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
CN106017542A (zh) 一种电力线路监测系统
CN106875039A (zh) 一种基于Portal接入的路线指引系统及其逃生方法
US10869470B2 (en) Device for holding bait for rodents
CN207924875U (zh) 一种用于gil管廊的气体探测报警系统
KR101893737B1 (ko)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
CN108827267B (zh) 一种垂直度监测设备
CN209055141U (zh) 隧道综合监控系统
CN201909771U (zh) 一种自动探测有害气体的活动装置
KR102633329B1 (ko) 맨홀 작업 안전관리 장치
CN110197567A (zh) 一种窨井盖监控系统
CN212805941U (zh) 一种智能测毒通风一体化设备
CN206045204U (zh) 一种建筑物内火灾逃生装置
CN107596584A (zh) 一种具有自动预警功能的松紧式高楼防火通道逃生设备
CN114915018A (zh) 一种智能配电室监控系统
CN218976684U (zh) 一种通信绳索以及应急救援系统
CN207307000U (zh) 一种具有自动预警功能的松紧式高楼防火通道逃生设备
KR102315558B1 (ko) 옥외형 미세먼지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