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225B1 -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225B1
KR102633225B1 KR1020220014420A KR20220014420A KR102633225B1 KR 102633225 B1 KR102633225 B1 KR 102633225B1 KR 1020220014420 A KR1020220014420 A KR 1020220014420A KR 20220014420 A KR20220014420 A KR 20220014420A KR 102633225 B1 KR102633225 B1 KR 10263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nsulation
lego
insulating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680A (ko
Inventor
김범호
박학선
신희삼
김한다루
김용준
Original Assignee
김범호
박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호, 박학선 filed Critical 김범호
Publication of KR2022011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04C1/41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load-bearing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은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을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최하단부에 스타트바를 설치하는 단계(S1)와, 스타트바의 상부로 단열스타트블록을 안착시켜 설치하는 단계(S2)와, 상기 단열스타트블록의 상부로 단열표준블록을 적층하여 벽체를 완성하는 단계(S3)와, 벽체, 창호 및 출입문부위 상단에 상인방블록을 설치하는 단계(S4)와, 상인방블록의 상부에 상단레일을 설치하는 단계(S5)와, 상기 상단레일의 상부에 슬라브용 목재블록판, 목재판 및 지붕을 설치하는 단계(S6) 및 내외부 벽체에 방습지, 마감재료를 시공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는데, 이에 의할 때, 일체화된 단열 레고 블록을 공장에서 제작하고, 시공 시에는 일체형 단열 레고 블록을 적층하듯이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며, 내외부 벽체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사용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시공품질 편차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단열 레고 블록에 마감재료, 하지철물, 스터드 체결을 위한 고정블록을 구비하여 후속공정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며, 시공, 해체 후 단열블록의 재사용 등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준)불연단열재의 사용으로 화재안전성을 확보하고 단열재가 구조체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Integrated Insulation Block of Assembly-type Inside and Outside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of Zero Energy House in a Wooden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단열 레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로에너지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데 있어서, (준)불연단열재와 OSB합판이 일체화된 단열레고 블록을 공장에서 제작하고, 시공 시에는 일체형 단열 레고 블록을 적층하듯이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며, 내외부 벽체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사용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시공품질 편차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단열 레고 블록에 마감재료, 하지철물, 스터드 체결을 위한 고정블록을 구비하여 후속공정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며, 시공, 해체 후 단열블록의 재사용 등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준)불연단열재의 사용으로 화재안전성을 확보하고 단열재가 구조체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단열 레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조주택은 집의 주요 골격(뼈대)을 나무로 짜 맞추어 지은 주택 또는 나무를 주요 재료로 지은 주택을 의미하는데, 최근에는 콘크리트 주택의 유해물질 방출, 새집증후군 등이 문제가 되면서 보다 친환경적인 목조주택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목조주택은 일반적으로 ① 측량, 터파기, 거푸집설치 등 주택의 기초를 잡아주는 기초공사, ② 벽체를 세우는 골조공사, ③ 창호, 출입문등의 개구부 설치공사 ④ 내,외벽면 OSB합판 부착공사 ⑤ 지붕틀 설치공사, ⑥ 바닥, 외벽, 지붕의 골조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열공사, ⑦ 급배수, 전기, 난방설비 등을 설치하는 설비공사, ⑧ 내외장재 및 지붕재 등의 마감재 공사로 구성된다.
기존 목조주택 시공의 경우 위에서 보는바와 같이 고도의 숙련된 목수공들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공정이 다소 복잡하여 공사기간 또한 많이 소요됨으로써 인력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시공품질에 많은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골조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단열이 끊어지는 부위가 발생할 수 있고, 내외부 벽체와 단열재 간의 기밀성 유지 확보의 한계로 단열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감재료, 하지철물, 스터드 등을 설치하거나, 유지보수, 해체하는 과정에서 목구조벽체의 파손, 마감재료의 설치곤란, 해체에 따른 건축폐기물 발생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단열재와 목구조벽체를 일체화하여 기밀성 및 단열성을 극대화하고, 현장에서 간단한 조립만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며, 시공품질 편차의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또한 마감재료, 하지철물, 스터드 등 후속공정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며, 시공, 해체 후 단열블록의 재사용 등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단열 레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761787호 (등록일자 2007년09월19일)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로에너지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데 있어서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을 적층하듯이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며, 내외부 벽체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사용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시공품질 편차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후속공정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며, 시공, 해체 후 단열블록의 재사용 등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뿐만 아니라 화재안전성을 확보하고 단열재가 구조체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열성을 구비한 단열블록 및 상기 단열블록을 내입하여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단부가 연장되어 인근 단열블록과 밀착되어 지지하는 연장가이드부를 구비한 레고 단열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열블록은 난연성능을 가진 폴리스티렌계 단열블록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열블록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노출블록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열박스의 측면에 고정블록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을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은 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을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최하단부에 스타트바를 설치하는 단계(S1)와, 스타트바의 상부로 단열스타트블록을 안착시켜 설치하는 단계(S2)와, 상기 단열스타트블록의 상부로 단열표준블록을 적층하여 벽체를 완성하는 단계(S3)와, 벽체, 창호 및 출입문부위 상단에 상인방블록을 설치하는 단계(S4)와, 상인방블록의 상부에 상단레일을 설치하는 단계(S5)와, 상기 상단레일의 상부에 슬라브용 목재블록판, 목재판 및 지붕을 설치하는 단계(S6) 및 내외부 벽체에 방습지, 마감재료를 시공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체화된 단열 레고 블록을 공장에서 제작하고, 시공 시에는 일체형 단열 레고 블록을 적층하듯이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며, 내외부 벽체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사용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시공품질 편차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단열 레고 블록에 마감재료, 하지철물, 스터드 체결을 위한 고정블록을 구비하여 후속공정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며, 시공, 해체 후 단열블록의 재사용 등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준)불연단열재의 사용으로 화재안전성을 확보하고 단열재가 구조체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공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공정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을 사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블록이 포함된 레고 단열 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연장가이드부가 대향되게 구비된 형상을 측면에서 (b)는 정면에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열스타트블록, 단열표준블록, 상인방블록을 사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레고 단열 블록 2개가 종횡으로 배열되도록 목재 레고 블록박스를 일체로 구비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레고 단열 블록 3개가 종횡으로 배열되도록 목재 레고 블록박스를 일체로 구비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레고 단열 블록에 구비된 고정블록에 내외벽 마감재료가 직접 체결되거나(a) 또는 하지철물(스터드)(b)이 체결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여기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나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공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공정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을 사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블록이 포함된 레고 단열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열스타트블록, 단열표준블록, 상인방블록을 사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레고 단열 블록 2개가 종횡으로 배열되도록 목재 레고 블록박스를 일체로 구비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레고 단열 블록 3개가 종횡으로 배열되도록 목재 레고 블록박스를 일체로 구비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레고 단열 블록에 구비된 고정블록에 내외벽 마감재료가 직접 체결되거나 또는 하지철물(스터드)이 체결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인데, 이를 참고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100)은 단열성을 구비한 단열블록(120) 및 상기 단열블록을 내입하여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단부가 연장되어 인근 단열블록과 밀착되어 지지하는 연장가이드부를 구비한 레고 단열박스(110)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단열블록(120)은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인 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난연성능을 가진 폴리스티렌계 단열블록을 사용할 수 있고, 이는 폴리스티렌계 수지에 난연코팅액, 팽창흑연, 물유리, 페놀 수지 또는 차르생성 열가소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중합, 함침 또는 코팅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블록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건축물 시공에 유리하게 직육면체 형태가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이 구비되고 단열블록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판(112)이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판이 고정되는 위치를 조정하여 단열블록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노출블록부(122)를 구비할 수 있어, 인접한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100)의 연장가이드부(114)에 노출블록부(122)가 밀착되며 지지되어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가이드부(114)는 노출블록부의 4면에 대면하도록 4개를 구비할 수 있음을 물론, 3개, 2개 또는 1개를 마련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고 단열박스(110)는 단열블록을 지지할 수 있는 한 제한없이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화재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방염액을 이용하여 방염처리된 목재나 목재함입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방염액은 증류수, 인산화합물, 요소, 실리콘수화물, 구아니딘계 화합물, 아크릴폴리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물질 이외에도 방염 역할을 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 다른 예로 고압축의 목재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천연수지와 목재칩이 혼합된 고압축된 목재판이나 나무를 조각으로 만들어 각층을 교차되게 적층한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압축시킨 OSB합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100)들간 고정을 원활하게 하게 위하여 레고 단열박스(110)의 측면에 고정블록(20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시공 후 내벽 또는 외벽을 이루는 면에 후속공정의 체결이나 고정이 용이한데, 인접한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100)의 고정블록(200)이 인접한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의 대향면에 음각으로 마련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블록(200)을 구비함으로써, 후속공정인 마감재료 하지철물, 스터드 등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레고 단열 블록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후속공정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며, 시공, 해체 후 레고 단열 블록의 재사용 등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 한편, 상기 고정블록은 목재판을 타공 후 플레이트를 덧대고, 피스, 앙카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고정블록의 재질은 알루미늄, 스틸, 기타 합금소재, 고무 등 단단하고, 일정수준의 강도를 가진 재질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100)은 건축물의 시공 위치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열스타트블록, 단열표준블록, 상인방블록 등이 있다.
이는 구조적으로 건축물이 안전하도록 하며, 시공을 편리하게 하고, 창호, 지붕 등의 설치를 고려한 것으로, 단열스타트블록은 건축물의 기초가 되는 최하단 콘크리트 바닥(블록)과의 안정적인 체결을 위하여 레고 단열박스의 하단에 마련된 연장가이드부(114)가 하나 또는 2개로 구비되되 2개인 경우에는 대향면에 구비되는 특징이 있고, 대향면에 구비됨으로써 하부 가이드용 스터드, 러너, 지지철물 같은 지지물에 견고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표준블록은 단열스타트블록이나 다른 단열표준블록과의 적층 시공을 위하여 레고 단열박스의 하단에 마련된 연장가이드부(114)는 여러개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인방블록은 창호부위 설치, 슬라브용 목재블록판 체결을 위하여 - 자형이나 ㄱ자형으로 제작되며, 레고 단열박스의 상단에 마련된 추가연장가이드부(116)가 하나 또는 2개로 구비되되 2개인 경우에는 대향면에 구비되는 특징이 있으며, 대향면에 구비됨으로써 하부 가이드용 스터드, 러너, 지지철물 같은 지지물에 견고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은 2개 이상이 이어져서 제작되는 것일 수 있는데, 복수개의 단열블록이 내입될 수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단부가 연장되어 인근 단열블록과 밀착되어 지지하는 연장가이드부를 구비한 레고 단열박스를 포함하도록 하여 레고 단열 블록간 이음부위를 최소화하여 열교를 차단하여 단열성능을 극대화하고, 시공을 편리하게 하며,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을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은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을 이용하여 제로에너지 건축물을 시공하는 데 있어서, 최하단부에 스타트바를 설치하는 단계(S1)와 스타트바의 상부로 단열스타트블록을 안착시켜 설치하는 단계(S2)와, 상기 단열스타트블록의 상부로 단열표준블록을 적층하여 벽체를 완성하는 단계(S3)와 벽체, 창호 및 출입문부위 상단에 상인방블록을 설치하는 단계(S4)와 상인방블록의 상부에 상단레일을 설치하는 단계(S5)와, 상기 상단레일의 상부에 슬라브용 목재블록판, 목재판 및 지붕을 설치하는 단계(S6) 및 내외부 벽체에 방습지, 마감재료를 시공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S1단계에서 건축물의 벽체가 기립되는 위치의 최하단부에 스타트바를 설치하여 시공을 시작하며, 스타트바의 상부로 단열스타트블록을 안착시키게 되는데, 연장가이드부(114)가 하나 또는 2개로 구비되되 2개인 경우에는 대향면에 구비되는 특징이 있고, 대향면에 구비됨으로써 스타트바기 배열된 방향을 따라 단열스타트블록을 연접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S3단계인 단열스타트블록의 상부로 단열표준블록을 적층하여 벽체를 완성하게 되는데, 상기 단열표준블록은 단열스타트블록이나 다른 단열표준블록과의 적층 시공을 위하여 레고 단열박스의 하단에 마련된 연장가이드부(114)는 여러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단열스타트블록의 배열 방향성과는 무관하므로 상기 연장가이드부(114)는 노출블록부의 4면에 대면하도록 4개를 구비할 수 있음을 물론, 3개, 2개 또는 1개를 마련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벽체, 창호 및 출입문부위 상단에 상인방블록을 설치하고, 상인방블록의 상부에 상단레일을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상인방블록은 창호부위 설치, 슬라브용 목재블록판 체결을 위하여 - 자형이나 ㄱ자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레고 단열박스의 상단에 마련된 추가연장가이드부(116)가 하나 또는 2개로 구비되되 2개인 경우에는 대향면에 구비되는 특징이 있으며, 대향면에 구비됨으로써 상단레일이 배치되는데 용이한 장점을 발휘한다.
이어서, 상기 상단레일의 상부에 슬라브용 목재블록판, 목재판 및 지붕을 설치하고 내외부 벽체에 방습지, 마감재료를 시공하여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으며, 내부벽체용 하지(스터드, 300), 내부 마감재료(310), 외부벽체용 하지철물(400), 외부 마감재료(410)를 사용하여 마감재료의 건식 설치를 위한 하지철물, 스터드 등의 하지재료가 더 포함되어 시공되는 것일 수 있고, 이 때 마감재료, 하지철물, 스터드 등은 레고 단열 블록에 직접 시공되거나, 레고 단열 블록에 구비된 고정블록에 시공될 수 있는데, 설치, 해체 및 재사용을 위해서는 고정블록에 시공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laims (5)

  1. 단열성을 구비한 단열블록; 및
    상기 단열블록을 내입하여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단부가 연장되어 인근 단열블록과 밀착되어 지지하는 연장가이드부를 구비한 레고 단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블록은 난연성능을 가진 폴리스티렌계 단열블록인 것이며,
    상기 단열박스의 측면에 고정블록을 구비한 것이고,
    상기 폴리스티렌계 단열블록은 폴리스티렌계 수지에 난연코팅액, 팽창흑연, 물유리, 페놀 수지 또는 차르생성 열가소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중합, 함침이나 코팅된 것이며,
    상기 레고 단열박스 방염액으로 방염처리된 목재나 목재함입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방염액은 증류수, 인산화합물, 요소, 실리콘수화물, 구아니딘계 화합물, 아크릴폴리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블록은 타공 후 플레이트를 덧대고, 체결구를 고정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블록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노출블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
  4. 삭제
  5.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을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최하단부에 스타트바를 설치하는 단계(S1);
    스타트바의 상부로 단열스타트블록을 안착시켜 설치하는 단계(S2);
    상기 단열스타트블록의 상부로 단열표준블록을 적층하여 벽체를 완성하는 단계(S3);
    벽체, 창호 및 출입문부위 상단에 상인방블록을 설치하는 단계(S4);
    상인방블록의 상부에 상단레일을 설치하는 단계(S5);
    상기 상단레일의 상부에 슬라브용 목재블록판, 목재판 및 지붕을 설치하는 단계(S6); 및
    내외부 벽체에 방습지, 마감재료를 시공하는 단계(S7);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은 단열성을 구비한 단열블록 및 상기 단열블록을 내입하여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단부가 연장되어 인근 단열블록과 밀착되어 지지하는 연장가이드부를 구비한 레고 단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블록은 난연성능을 가진 폴리스티렌계 단열블록인 것이며,
    상기 단열박스의 측면에 고정블록을 구비한 것이고,
    상기 폴리스티렌계 단열블록은 폴리스티렌계 수지에 난연코팅액, 팽창흑연, 물유리, 페놀 수지 또는 차르생성 열가소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중합, 함침이나 코팅된 것이며,
    상기 레고 단열박스 방염액으로 방염처리된 목재나 목재함입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방염액은 증류수, 인산화합물, 요소, 실리콘수화물, 구아니딘계 화합물, 아크릴폴리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블록은 타공 후 플레이트를 덧대고, 체결구를 고정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을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
KR1020220014420A 2021-02-02 2022-02-03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 KR102633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14680 2021-02-02
KR1020210014680 2021-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680A KR20220111680A (ko) 2022-08-09
KR102633225B1 true KR102633225B1 (ko) 2024-02-02

Family

ID=8284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420A KR102633225B1 (ko) 2021-02-02 2022-02-03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2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124B1 (ko) * 2001-11-27 2005-02-02 주식회사 유 창 건축물용 벽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16632B1 (ko) * 2011-01-05 2012-12-31 (주)제이엠디글로벌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101575646B1 (ko) * 2015-10-08 2015-12-10 윤승차 일체형 난연 단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148694B1 (ko) * 2017-11-08 2020-08-27 (주)마이즈텍 경량 보온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87B1 (ko) 2006-08-28 2007-09-28 (주) 한국스치로폴 건축용 경량 단열블럭
KR102229817B1 (ko) * 2019-07-12 2021-03-18 이현숙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토목 및 건축 벽체 건설용 속빈 레고형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속빈 레고형 콘크리트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124B1 (ko) * 2001-11-27 2005-02-02 주식회사 유 창 건축물용 벽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16632B1 (ko) * 2011-01-05 2012-12-31 (주)제이엠디글로벌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101575646B1 (ko) * 2015-10-08 2015-12-10 윤승차 일체형 난연 단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148694B1 (ko) * 2017-11-08 2020-08-27 (주)마이즈텍 경량 보온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680A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3291B2 (en) Stronger wall system
US9151046B1 (en) Concrete slab having integral wall base forms and wall base plates for automated construction and system thereof
US5515659A (en) Construction system using panelized insulation having integral structural frame
US7100342B2 (en) Building panel
US8033062B2 (en) Type of building, method and means for erecting it
US9856639B2 (en) Wall assembly and a building structure including the wall assembly
US7946092B2 (en)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such building, and wall and floor elements for use therein
US4138833A (en)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US4306396A (en) Laminated partition for building applications
CA2652839A1 (en) Insulation system for cement walls
KR102633225B1 (ko) 해체 후 재시공이 가능한 내외벽 일체형 레고 단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공방법
FI98398C (fi) Seinäelementti
RU2380492C2 (ru) Каркасно-панельное здание
EP1536077B1 (en)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such building, and wall element for use therein
RU9460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WO2020009586A1 (en) A system providing simplified attachment of insulating mats on wall structures of buildings, and a method thereof
EP3911805B1 (en) A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EP1953300B1 (en) Arrangement for joining wood-based construction elements
AU2023204018A1 (en) Wall panel and panel system
GB2399576A (en) Insulation module in form of filled box; panel
KR200276575Y1 (ko) 건축용 복합판넬
JPH08239980A (ja) 外壁改修構造
MXPA05013253A (es) Sistema constructivo modular centau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