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160B1 - 회전형 결속보조기기 - Google Patents

회전형 결속보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160B1
KR102633160B1 KR1020190127015A KR20190127015A KR102633160B1 KR 102633160 B1 KR102633160 B1 KR 102633160B1 KR 1020190127015 A KR1020190127015 A KR 1020190127015A KR 20190127015 A KR20190127015 A KR 20190127015A KR 102633160 B1 KR102633160 B1 KR 102633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lug
fastening
insertion ho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994A (ko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김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진 filed Critical 김유진
Priority to KR1020190127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1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는 상부에는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구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콘센트에 구비된 콘센트삽입구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연결봉이 마련된 실린더 형상의 바디부, 바디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되고, 외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된 체결부 및 콘센트의 플러그삽입구에 구비되고, 돌출부의 형성 각도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부가 삽입되어 맞물려 회전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체결홈이 마련된 프레임이 포함되고, 체결부의 내면에는 바디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링 형태의 고정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개방 형성된 레일홈이 마련되어 있고, 레일홈에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부가 바디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결속보조기기{ROTARY BINDING AID}
본 발명은 플러그를 콘센트에 용이하게 연결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방식의 결속보조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는 콘센트에 구비된 삽입구에 플러그 단자를 삽입하여 사용되고 있다. 즉, 플러그와 콘센트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플러그를 파지한 상태에서 플러그 단자를 콘센트의 삽입구에 가압하여 끼워 넣어 삽입해야 한다.
다만, 어린이나 노인의 경우에는 플러그 단자를 콘센트의 삽입구에 일부 삽입하더라도 결합을 위한 힘이 부족하여 전자제품의 사용에 애를 먹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미 플러그가 결합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는 데에도 힘이 부족하여 제대로 분리하지 못하여 부상을 입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노약자의 경우에는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이를 보조하기 위한 결속보조기기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3371호 (2008.08.19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 개발 요구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노약자들로 하여금 용이하게 콘센트에 플러그를 결합하거나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는 결속보조기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기 위한 회전형 결속보조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는 상부에는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구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콘센트에 구비된 콘센트삽입구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연결봉이 마련된 실린더 형상의 바디부, 바디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되고, 외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된 체결부 및 콘센트의 플러그삽입구에 구비되고, 돌출부의 형성 각도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부가 삽입되어 맞물려 회전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체결홈이 마련된 프레임이 포함되고, 체결부의 내면에는 바디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링 형태의 고정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개방 형성된 레일홈이 마련되어 있고, 레일홈에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부가 바디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에 있어서, 체결부의 상부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파지되어 체결부를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일 단에는 플러그가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LED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에 따르면, 상세하게는 노약자가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회전에 의해서 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및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의 바디부와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에 있어서, 프레임 및 콘센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에 있어서, 바디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의 체결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b)는 회전형 결속보조기기를 이용하여 플러그와 콘센트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의 체결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b)는 바디부와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c)는 회전형 결속보조기기를 이용하여 플러그와 콘센트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더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그(20)를 콘센트(30)에 연결하기 위한 회전형 결속보조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러그(20)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전기기기에서 콘센트(30)와 연결하여 전기에너지를 전달받기 위한 접속장치를 지칭한다. 또한, 콘센트(30)는 전기 설비 내의 전기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20)가 삽입되는 기구를 지칭한다. 또한, 플러그 및 콘센트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 및 콘센트의 규격 혹은 크기대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크기 혹은 규격이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20) 및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의 바디부(100)와 체결부(2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에 있어서, 프레임(300) 및 콘센트(30)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에 있어서, 바디부(1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의 체결부(200)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b)는 회전형 결속보조기기를 이용하여 플러그(20)와 콘센트(3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의 체결부(200)와는 달리,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의 체결부(200)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b)는 바디부(100)와 체결부(2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c)는 회전형 결속보조기기를 이용하여 플러그(20)와 콘센트(3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는 상부에는 플러그(20)의 단자(25)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구(110)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콘센트(30)에 구비된 콘센트삽입구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연결봉(120)이 마련된 실린더 형상의 바디부(100), 바디부(1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되고, 외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20)가 마련된 체결부(200) 및 콘센트(30)의 플러그삽입구에 구비되고, 돌출부(220)의 형성 각도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부(220)가 삽입되어 맞물려 회전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체결홈이 마련된 프레임(300)이 포함되고, 체결부(200)의 내면에는 바디부(10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링 형태의 고정부재(130)가 삽입 가능하도록 개방 형성된 레일홈(210)이 마련되어 있고, 레일홈(210)에 고정부재(130)가 삽입되어 체결부(200)가 바디부(1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회전형 결속보조기기는 플러그(20)와 콘센트(30)를 회전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플러그(20)와 결합된 바디부(100)의 연결봉(120)이 콘센트(30) 내 콘센트삽입구에 삽입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무리한 가압이 없이도 용이하게 플러그(20)와 콘센트(30)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먼저, 바디부(100)는 상부에 플러그(20)의 단자(25)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단자삽입구(110)를 통해 플러그(20)와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100)의 하부에는 콘센트(30)에 마련된 콘센트삽입구(32)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봉(120)이 마련되어 상기 바디부(100)가 콘센트(30)와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콘센트(30)의 콘센트삽입구(32)를 통해 입력된 전기에너지가 바디부(100)를 통해 단자삽입구(110)로 삽입된 플러그(20)의 단자(25)로 전달되도록 전기적 연결을 위한 내부회로(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즉, 바디부(100)에는 플러그(20)와 콘센트(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내부회로가 구비되어 플러그(20)와 콘센트(30)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콘센트(30)로부터 플러그(20)를 통해 연결된 전기기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콘센트(30)의 플러그삽입구(31)에 삽입 가능하도록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콘센트(30)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의 측면에는 체결부(200)가 고정부재(130) 및 레일홈(210) 간 결합을 통해 마련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디부(100)에는 바디부(100) 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13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체결부(200)의 내측에 개방 형성된 레일홈(210)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200)가 상기 바디부(1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체결부(200)는 바디부(1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부재(130)와 레일홈(210)을 통해 바디부(100)와 결합되어 있다.
체결부(200)의 외면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200)의 돌출부(220)는 프레임(300)에 마련된 체결홈(310)과 맞물려 체결부(200)와 프레임(300) 간에 회전결합될 수 있다. 즉, 체결부(200)는 체결부(200)의 돌출부(220)가 프레임(300)의 체결홈(310)에 삽입되어 맞물려 회전됨으로써 프레임(3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0)은 콘센트(30)의 플러그삽입구(31)에 구비될 수 있다. 콘센트(30)에는 플러그(20)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플러그삽입구(31) 및 본래는 플러그(20)의 단자(25)가 삽입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연결봉(120)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콘센트삽입구(32)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플러그삽입구(31)에는 본 발명의 프레임(300)이 삽입되어 도 4의 (b) 및 도 5의 (c)와 같이 프레임(300)과 플러그삽입구(31)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프레임(300)은 플러그삽입구(31)에 삽입 가능한 소정 두께를 가진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00)과 플러그삽입구(31) 간 결합 혹은 고정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프레임(300)과 플러그삽입구(31)는 고정될 수 있다. 즉, 프레임(300)과 플러그삽입구(31) 간 고정력 강화를 위한 별도의 기구 혹은 장치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200)는 돌출부(220)를 통해 프레임(300)의 체결홈(310)에 삽입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회전력에 따라 프레임(300)에 마련된 체결홈(310)을 통해 회전하면서 바디부(100)에 마련된 연결봉(120)이 콘센트(30)의 콘센트삽입구(32)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다만, 바디부(100)는 고정부재(130)를 통해 체결부(200)의 레일홈(21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체결부(2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바디부(10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봉(120)이 콘센트삽입구(32)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바디부(100)가 회전하게 되면 콘센트(30)도 회전되어야 하나, 바디부(100)의 고정부재(130)와 체결부(200)의 레일홈(210)을 통해 체결부(200)가 바디부(10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디부(100)는 회전하지 않고, 체결부(200)의 돌출부(220)만 프레임(300)의 체결홈(310)을 통해 회전하여 바디부(100)의 연결봉(120)이 상기 회전에 따라 콘센트삽입구(32)에 완전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00)의 돌출부(220)는 나사산 형태로 체결부(200)의 외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대응되도록, 프레임(300)의 체결홈(310)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체결부(200)의 돌출부(220)와 프레임(300)의 체결홈(310)은 나사결합 방식으로 상호 회전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연결봉(120)은 체결부(200)가 프레임(300)과 회전에 따른 나사결합에 따라 콘센트삽입구(3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5의 (a)와 같이 체결부(200)의 돌출부(220)는 체결부(200)의 외면을 따라 소정의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단일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5에 도시된 체결부(200) 및 프레임(300)의 형태는 상이하지만, 체결부(200)가 프레임(300)과 결합됨에 따라 바디부(100)의 연결봉(120)이 콘센트삽입구(32)에 완전 삽입된다는 플러그(20)와 콘센트(30)의 전기적 결합 방식은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에 있어서, 손잡이부(500)가 더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에 있어서, 체결부(200)의 상부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파지되어 체결부(200)를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0)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체결부(20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에 따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에 있어서, 손잡이부(500)의 일 단에는 플러그(20)가 콘센트(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LED(51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LED(510)는 상기 손잡이부(500)의 기준 회전수 혹은 기준 회전각도에 따라 동작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체결부(200)의 돌출부(220)가 프레임(300)의 체결홈(310)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바디부(100)의 연결봉(120)이 콘센트삽입구(32)에 완전히 삽입되는 손잡이부(500)의 기준 회전각도 혹은 기준 회전수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부(500)가 상기 기준 회전각도 혹은 기준 회전수만큼 회전되는 경우에 LED(510)가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회로(미도시)가 상기 손잡이부(500) 혹은 바디부(100)에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한 과도한 회전을 막아 고장 혹은 파손을 막기 위하여 LED(510)가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플러그(20)가 콘센트(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플러그 25: 단자
30: 콘센트 31: 플러그삽입구
32: 콘센트삽입구
100: 바디부 110: 단자삽입구
120: 연결봉 130: 고정부재
200: 체결부 210: 레일홈
220: 돌출부
300: 프레임 310: 체결홈
500: 손잡이부 510: LED

Claims (3)

  1.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기 위한 회전형 결속보조기기에 있어서,
    상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구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상기 콘센트에 구비된 콘센트삽입구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연결봉이 마련된 실린더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되고, 외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된 체결부; 및
    상기 콘센트의 플러그삽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의 형성 각도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맞물려 회전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체결홈이 마련된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체결부의 내면에는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링 형태의 고정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개방 형성된 레일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레일홈에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가 상기 바디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체결부의 상부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파지되어 상기 체결부를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가 더 포함되는 회전형 결속보조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일 단에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LED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형 결속보조기기.
KR1020190127015A 2019-10-14 2019-10-14 회전형 결속보조기기 KR102633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15A KR102633160B1 (ko) 2019-10-14 2019-10-14 회전형 결속보조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15A KR102633160B1 (ko) 2019-10-14 2019-10-14 회전형 결속보조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994A KR20210043994A (ko) 2021-04-22
KR102633160B1 true KR102633160B1 (ko) 2024-02-02

Family

ID=7573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015A KR102633160B1 (ko) 2019-10-14 2019-10-14 회전형 결속보조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1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258Y1 (ko) * 1992-12-10 1997-05-07 유채준 회전식 콘센트
KR20080003371U (ko) 2007-02-13 2008-08-19 황실권 전선연결 방법이 개량된 플러그 및 콘센트
KR101224949B1 (ko) * 2010-02-01 2013-01-23 김명원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플러그를 끼울 수 있게 되어진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994A (ko)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30835S1 (en) Universal serial bus (USB) electrical wiring device
US9004951B2 (en) Multi-functional transfer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different receptacles
US20140127937A1 (en) Multi-direction adjustable connector joint structure
US20140099811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O2007090066A3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50071590A1 (en) Rotatable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s
KR101219019B1 (ko) 방수용 플러그와 콘센트 구조체
KR102633160B1 (ko) 회전형 결속보조기기
US2570784A (en) Adjustable electric plug
CN104917018B (zh) 一种方向可选的高压大电流连接器
KR100664415B1 (ko) 회전식 조립 모듈 콘센트
CN108598754A (zh) 旋转式接线器
CN201112862Y (zh) 防水式连接器组合装置
CN208209147U (zh) 用于断路器的板后万向接线装置
US20100255711A1 (en) Device for a Contact
KR101725859B1 (ko) 회전 접속형 콘센트
CN109246506A (zh) 耳机收纳盒
EP3093930A1 (en) Extension cord
CN203039171U (zh) 防水连接器
KR200175023Y1 (ko) 전기플러그 단자와 45각도 사선방향으로 전원코드배선이배치된 일체형 전기플러그 하우징
CN205985689U (zh) 一种旋转插头
CN207883972U (zh) 一种接线转换头
KR20160000119U (ko) 접이식 회전 접속형 콘센트
CN210838354U (zh) 便携式两用功能插头
KR200474249Y1 (ko) 피메일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