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78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780B1
KR102632780B1 KR1020180053872A KR20180053872A KR102632780B1 KR 102632780 B1 KR102632780 B1 KR 102632780B1 KR 1020180053872 A KR1020180053872 A KR 1020180053872A KR 20180053872 A KR20180053872 A KR 20180053872A KR 102632780 B1 KR102632780 B1 KR 102632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value
bit rate
termi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357A (ko
Inventor
백상규
강현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780B1/ko
Priority to PCT/KR2019/005525 priority patent/WO2019216652A2/ko
Priority to US17/054,503 priority patent/US11284302B2/en
Publication of KR20190129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2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signalling between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값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값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에 기반하여 비트레이트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플로우(flow) 별 비트레이트 추천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비트레이트 추천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였을 때 해당 링크의 전송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값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값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에 기반하여 비트레이트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LCH(logical channel)에 대한 제1 버퍼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제2 LCH에 대한 제2 버퍼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버퍼 크기에 대응하는 제1 값 및 상기 제2 버퍼 크기에 대응하는 제2 값을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값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값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에 기반하여 비트레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LCH(logical channel)에 대한 제1 버퍼 크기를 확인하고, 제2 LCH에 대한 제2 버퍼 크기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버퍼 크기에 대응하는 제1 값 및 상기 제2 버퍼 크기에 대응하는 제2 값을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특정 트래픽의 통신에 최적화된 비트레이트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한 링크의 불필요한 재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용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에 다수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플로우(flow)가 혼합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트레이트 추천을 위한 신호 교환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에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구조의 분할 베어러(split bearer)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베어러에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 과정을 위한 신호 교환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베어러에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 과정을 위한 다른 신호 교환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베어러에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 과정을 위한 또 다른 신호 교환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베어러에서 비트레이트를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베어러에서 비트레이트를 설정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논리 채널이 셀에 맵핑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RLC(radio link control) 장치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number of maximum retransmissions)에 도달한 경우 단말이 동작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및 버퍼상태보고 동작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RLC 장치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한 경우 단말이 동작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을 예시한다. 도 1은 하나의 기지국만을 도시하나, 기지국 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기지국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들 120, 13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기지국 11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기지국 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 120 및 단말 13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 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 120 및 단말 13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 120 및 단말 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 120 및 단말 130 각각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의 향상을 위해,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 방향성(directivity)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110 및 단말들 120, 130은 빔 탐색(beam search) 또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절차를 통해 서빙(serving) 빔들 112, 113, 121, 131을 선택할 수 있다. 서빙 빔들 112, 113, 121, 131이 선택된 후, 이후 통신은 서빙 빔들 112, 113, 121, 131을 송신한 자원과 QCL(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의 광범위한(large-scale) 특성들이 제2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로부터 추정될(inferred) 수 있다면, 제1 안테나 포트 및 제2 안테나 포트는 QCL 관계에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범위한 특성들은 지연 스프레드(delay spread), 도플러 스프레드(doppler spread),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 평균 이득(average gain), 평균 지연(average delay), 공간적 수신 파라미터(spatial receiver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예시된 구성은 기지국 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무선통신부 210, 백홀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 2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 2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 210은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 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 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 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 22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 220은 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 230은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2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30은 제어부 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240은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40은 무선통신부 210를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 220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240은 저장부 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24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프로토콜 스텍은 무선통신부 2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2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40은 기지국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예시된 구성은 단말 12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은 통신부 310, 저장부 320, 제어부 330를 포함한다.
통신부 3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3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 310은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 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 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 320은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3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320은 제어부 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330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통신부 3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330은 저장부 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33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톨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3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의 일부 및 제어부 330은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330은 단말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용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에 다수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플로우(flow)가 혼합된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QoS 플로우 1 401, QoS 플로우 2 402, QoS 플로우 3 403이 하나의 DRB에 속한다. 통신망의 트래픽은 요구되는 QoS에 따라 각각 QoS 플로우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QoS 플로우가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혼합된 상태로 전송될 수 있다. 어떤 QoS 플로우가 어떤 DRB에서 전송될 것인지는 기지국 같은 통신 시스템의 엔티티(entity)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주로 하나의 DRB를 통해 전송되는 QoS 플로우들은 비슷한 QoS 특성을 가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반드시 그렇게 될 필요는 없다.
단말과 기지국은 여러 종류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의 다양한 종류들 중, 음성과 같은 데이터의 경우, 일정한 전송 속도, 즉 비트레이트(bit rate)가 보장되어야 품질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음성 코덱(codec)은 통상적으로 다양한 속도의 코덱레이트(codec rate)를 지원하며, 코덱레이트가 높을수록 고품질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관점에서, 가능한 높은 코덱레이트를 안정적으로 보장받는 것이 중요하다. 높은 코덱레이트를 보장받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 사이 무선 구간에서 충분한 비트레이트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5의 실시 예와 같이 단말이 기지국에게 비트레이트를 추천을 요청하고, 기지국은 단말에게 특정 트래픽에 대한 비트레이트를 추천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트레이트 추천을 위한 신호 교환을 나타낸다. 도 5를 참고하면, 501 단계에서 단말 120은 기지국 110으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을 송신한다. 그리고, 503 단계에서, 기지국 110은 비트레이트 추천을 단말 120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특정 트래픽에 대해 기지국 110으로부터 비트레이트를 추천받은 단말 120은 추천된 값을 이용하여 적절한 코덱레이트를 결정하고, 음성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와 같은 비트레이트 추천 절차는 음성 서비스에만 국한되지는 않으며, 영상 등 다른 서비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 동작에서 전송되는 정보의 예는 이하 도 6에 나타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에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서 기술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에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을 예시한다. 비트레이트 추천 및 비트레이트 추천 메시지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의 CE (control element)로 전송되거나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6은 MAC CE로 전송되는 형식을 예시하나,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성분(element)들이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6에 예시된 메시지 형식은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메시지와 비트레이트 추천 메시지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은 특정 트래픽 당 비트레이트를 추천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특정 트래픽은 하나의 논리 채널 또는 하나의 QoS 플로우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음성 서비스는 하나의 논리 채널을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서비스를 구분하는 단위는 논리 채널이 될 수 있고, 논리 채널의 식별자, 즉 논리 채널 ID(logical channel ID, 이하 ‘LCID’)가 음성 서비스를 구분하는 단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LCID는 해당 메시지가 전송되는 MAC 엔티티에서 사용하는 LCID 값이거나, 마스터(master) 셀 그룹에서 사용하는 LCID 값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특정한 음성 서비스는 하나의 QoS 플로우를 통해 제공될 수 있고, QoS 플로우의 식별자, 즉 QFI(QoS flow ID)가 음성서비스를 구분하는 단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특정 트래픽을 구분하는 단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해당 메시지의 형식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고하면, Q/L 필드 602는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을 하는 트래픽의 단위가 QoS 플로우인지, LCID인지를 구분하는 식별자이다. DL/UL 필드 604는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을 하는 트래픽이 하향링크(downlink, DL)인지 상향링크(uplink, UL)인지를 구분하는 식별자이다. LCID 또는 QFI 필드 606는 Q/L 필드에서 지시하는 값에 의하여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을 하는 실제 LCID 또는 QFI 값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Q/L 필드 602 값이 QoS 플로우 ID를 의미하면 QFI 값이, Q/L 필드 값이 LCID를 의미하면 LCID 값이 LCID 또는 QFI 필드 606에 표시될 수 있다. 비트레이트(Bit Rate) 필드 608은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메시지에서는 단말이 희망하는 비트레이트 값이, 비트레이트 추천 메시지에서는 기지국이 추천하는 비트레이트 값이 표시될 수 있다. R 필드 610 및 612는 바이트(Byte) 길이를 맞추는 용도 및 추후에 사용될 수 있도록 예약된(Reserved) 필드이다.
도 7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 구조를 나타낸다.
이중 연결 구조에서, 단말이 두 개 이상의 기지국들에 연결되는 상황이 가정된다. 도 7을 참고하면, 단말 120은 제1 기지국 110-1 및 제2 기지국 110-2에 연결된다. 각 기지국과의 연결에서, 다수의 셀들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셀들은 ‘셀 그룹(cell group)’으로 총칭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지국 110-1과의 연결에서 구성된 셀 그룹은 제1 셀 그룹, 제2 기지국 1102과의 연결에서 구성된 셀 그룹은 제2 셀 그룹이라 지칭될 수 있다. 단말 120은 설정되는 무선 베이러의 종류에 따라 제1 기지국 110-1과 데이터를 송신/수신하거나, 제2 기지국 110-2과 데이터를 송신/수신하거나, 제1 기지국 110-1 및 제2 기지국 110-2 모두와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 120은 동일 데이터를 복제한 후, 제1 기지국 110-1 및 제2 기지국 110-2 각각으로 전송하는 동작, 즉, 패킷 중복(packet duplication)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말 120이 이중 연결 구조에서 통신을 수행할 때, 제1 기지국 110-1과 단말 120 간의 링크와 제2 기지국 110-2과 단말 120 간의 링크 간, 무선 채널 환경, 대역폭, 기지국 정책 및 기타 다른 여러 이유들로 인하여 비트레이트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 기지국으로부터 비트레이트 추천을 받는 과정은 충분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구조의 분할 베어러(split bearer)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을 참고하면, 분할 베어러의 경우,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802,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804는 단일 프로토콜로서 존재하고, RLC(radio link control) 806-1 및 806-2, MAC(medium access control) 808-1 및 808-2, PHY(physical) 810-1 및 810-2는 각 셀 그룹 당 하나씩 존재할 수 있다. 단말이 이중 연결 구조에서 통신을 수행할 때 제1 기지국과 단말 간의 링크 및 제2 기지국과 단말 간의 링크 간, 무선 채널 환경, 대역폭, 기지국 정책 및 기타 다른 여러 이유들로 인하여 비트레이트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 기지국으로부터 비트레이트 추천을 받는 과정은 충분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이중 연결 구조의 기지국 중 하나의 기지국으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지국으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메시지를 보낼지는 사전에 기지국이 설정해 주거나, 이중 연결 구조의 마스터 기지국(예: 마스터 gNB 또는 마스터 eNB)이나 세컨더리 기지국(예: 세컨더리 gNB 또는 세컨더리 eNB)으로 사전에 약속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어떤 기지국으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메시지를 보낼지는 무선 링크 상황, 베어러 설정, 자원 할당이나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해 단말에 의해 직접 선택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는 도 6의 형식에 따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또는 기지국이 비트레이트 추천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시점에, 단말에게 추천해 줄 비트레이트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분할 베어러 환경의 경우, 단말이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을 모두 고려하여 비트레이트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비트레이트 값은 제1기지국이 추천할 수 있는 제1 비트레이트와 제2 기지국이 추천할 수 있는 제2 비트레이트 값의 최소값, 최대값, 평균값, 중간값이나 그 외 대표값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대표값은 제1 비트레이트 및 제2 비트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변수로 하는 함수에 따라 결정되며, 그 함수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과 단말간의 링크 측정(measurement) 값 등을 비트레이트 결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단말에게 추천해 줄 비트레이트 값이 결정되면 단말에게 비트레이트를 추천해 줄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는 도 6의 형식에 따를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에게 단말에게 추천해 준 비트레이트 값을 제2 기지국에게 통보해 줄 수도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제2 기지국은 분할 베어러 운용 시 단말에게 추천해 준 비트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은 비트레이트 추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 값을 이용하여 해당 트래픽의 비트레이트 또는 코덱레이트를 결정하여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절차가 이하 도 9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베어러에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 과정을 위한 신호 교환을 나타낸다. 도 9를 참고하면, 901 단계에서, 단말 120은 제1 기지국 110-1에게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을 송신한다. 903 단계에서, 제1 기지국 110-1은 단말 120을 위한 비트레이트를 결정한다. 이후, 905 단계에서, 제1 기지국 110-1는 제2 기지국 110-2에게 결정된 비트레이트를 통보한다. 그리고, 907 단계에서, 제1 기지국 110-1은 단말 120에게 비트레이트 추천을 송신한다. 이후, 909 단계에서, 단말 120은 제1 기지국 110-1 및 제2 기지국 110-2와 결정된 비트레이트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이중 연결 구조의 기지국 중 하나의 기지국으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지국으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메시지를 보낼지는 사전에 기지국이 설정해 주거나, 이중 연결 구조의 마스터 기지국(예: 마?? gNB 또는 마?? eNB)이나 세컨더리 기지국(예: 세컨더리 gNB 또는 세컨더리 eNB)으로 사전에 약속 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어떤 기지국으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메시지를 보낼지는 무선 링크 상황, 베어러 설정, 자원 할당이나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해 단말에 의해 직접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는 도 6의 형식에 따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또는 기지국이 비트레이트 추천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시점에, 단말에게 추천해 줄 비트레이트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분할 베어러 환경의 경우, 단말이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을 모두 고려하여 비트레이트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에 해당 트래픽을 위해 추천할 수 있는 비트레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는 도 6에 예시된 형식을 따를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단말에게 추천할 수 있는 비트레이트 값을 제1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제1 기지국은 단말에게 제공할 비트레이트를 결정한다. 이때, 비트레이트 값은 제1기지국이 추천할 수 있는 비트레이트와 제2 기지국이 추천할 수 있는 비트레이트 값의 최소값, 최대값, 평균값, 중간값이나 그 외 대표값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대표값은 제1 비트레이트 및 제2 비트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변수로 하는 함수에 따라 결정되며, 그 함수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과 단말간의 링크 측정 값 등을 비트레이트 결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단말에게 추천해 줄 비트레이트 값이 결정되면, 제1 기지국은 단말에게 비트레이트를 추천해 줄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는 도 6의 형식에 따를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에게 단말에게 최종적으로 추천해 준 비트레이트 값을 제2 기지국에게 통보해 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제2 기지국은 분할 베어러 운용 시 단말에게 추천해 준 비트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은 비트레이트 추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 값을 이용하여 해당 트래픽의 비트레이트 또는 코덱레이트를 결정하여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기지국이 제2 기지국에서 받은 비트레이트를 그대로 단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기지국이 추천하는 제1 비트레이트와 제2 기지국이 추천하는 제2 비트레이트가 모두 단말에게 전송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절차가 이하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베어러에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 과정을 위한 다른 신호 교환을 나타낸다. 도 10를 참고하면, 1001 단계에서, 단말 120은 제1 기지국 110-1에게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을 송신한다. 1003 단계에서, 제1 기지국 110-1은 제2 기지국 110-2에게 비트레이트 요청을 송신한다. 이어, 1005 단계에서, 제2 기지국 110-2은 제1 기지국 110-1에게 비트레이트를 전달한다. 이후, 1007 단계에서, 제1 기지국 110-1은 단말 120을 위한 비트레이트를 결정한다. 이후, 1009 단계에서, 제1 기지국 110-1는 제2 기지국 110-2에게 결정된 비트레이트를 통보한다. 그리고, 1011 단계에서, 제1 기지국 110-1은 단말 120에게 비트레이트 추천을 송신한다. 이후, 1013 단계에서, 단말 120은 제1 기지국 110-1 및 제2 기지국 110-2와 결정된 비트레이트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의 상호 정보 교환 없이 단말이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각각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 동작을 수행한 후, 비트레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절차가 이하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베어러에서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및 비트레이트 추천 과정을 위한 또 다른 신호 교환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고하면, 1101 단계에서, 단말 120은 제1 기지국 110-1에게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을 송신한다. 또한, 1103 단계에서, 단말 120은 제2 기지국 110-2에게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을 송신한다. 1105 단계에서, 제1 기지국 110-1은 단말 120에게 비트레이트 추천을 송신한다. 또한, 1107 단계에서, 제2 기지국 110-2은 단말 120에게 비트레이트 추천을 송신한다. 이후, 1109 단계에서, 단말 120은 제1 기지국 110-1 및 제2 기지국 110-2로부터 수신된 비트레이트 추천들을 기반하여 하나의 비트레이트를 결정한다. 이후, 1111 단계에서, 단말 120은 제1 기지국 110-1 및 제2 기지국 110-2와 결정된 비트레이트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도 11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비트레이트 추천이 필요한 경우 분할 베어러로 설정된 각각의 기지국에게 비트레이트 추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는 도 6의 형식에 따를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은 해당되는 논리 채널 또는 QoS 플로우에 해당하는 비트레이트를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도 도 6의 형식에 따를 수 있다. 단말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부터 비트레이트 추천 메시지를 각각 수신한 후 이들 값들을 활용하여 실제 사용할 비트레이트 또는 코덱레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레이트 값은 제1기지국이 추천한 제1 비트레이트와 제2 기지국이 추천한 제2 비트레이트 값의 최소값, 최대값, 평균값, 중간값이나 그 외 대표값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 중 디폴트(default) 경로로 설정된 기지국이 추천한 비트레이트 값을 대표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디폴트 경로는 분할베어러에서 대기하고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일정 임계치보다 작을 때 사용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폴트 경로는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대표값을 사용할지를 기지국이 사전에 설정할(configure)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베어러에서 비트레이트를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단말 12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1201 단계에서, 단말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부터 비트레이트 추천 메시지를 각각 수신한다. 이어, 1203 단계에서, 단말은 수신된 값들을 활용하여 실제 사용할 비트레이트 또는 코덱레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에서 수신한 제1 비트레이트와 제2 기지국에서 수신한 제2 비트레이트의 최소값으로 비트레이트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베어러에서 비트레이트를 설정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단말 12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1301 단계에서, 단말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부터 비트레이트 추천 메시지를 각각 수신한다. 이어, 1303 단계에서, 단말은 디폴트 경로가 제1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디폴트 경로가 제1 기지국이면, 1305 단계에서, 단말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비트레이트 값으로 비트레이트를 설정한다. 디폴트 경로가 제1 기지국이 아니면, 즉, 디폴트 경로가 제2 기지국이면, 1307 단계에서, 단말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2 비트레이트 값으로 비트레이트를 설정한다.
도 13의 실시 예와 같이, 단말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값들을 활용하여 실제 사용할 비트레이트 또는 코덱레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에서 수신한 제1 비트레이트와 제2 기지국에서 수신한 제2 비트레이트 중에서 디폴트 경로의 기지국의 비트레이트로 실제 비트레이트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논리 채널이 셀에 맵핑되는 예를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에서는 셀은 PCell(primary cell), PSCell(primary secondary cell), SCell(secondary cell) 등 여러 셀들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셀은 네트워크에서 특정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각각 다른 주파수, 서브캐리어간격(sub-carrier spacing, SCS), PUSCH 간격(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duration) 등의 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비스되는 트래픽은 그 특성에 따라 논리 채널 및 QoS 플로우로 구분되어 각기 다른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기지국 등 네트워크 장치에서는 특정 논리 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음성 서비스를 처리하는 논리 채널은 특정 셀만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LCH(logical channel)1, LCH2 등 두 개의 논리 채널들이 존재하고, LCH1 및 LCH2 각각은 RLC1과 RLC2에 대응된다. LCH1은 PCell 또는 PSCell, SCell1, SCell2를 사용할 수 있고, LCH2는 SCell2, SCell3을 사용할 수 있다. SCell3의 경우, 도 14의 실시 예에서, 단말에게 설정되었으나(configured) 어떤 논리 채널도 사용하지 않는 것을 가정한다. 만일, LCH1이나 LCH2가 패킷 중복을 위한 논리 채널인 경우,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된 경우에는 설정된 모든 셀로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RLC 장치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number of maximum retransmissions)에 도달한 경우 단말이 동작하는 예를 나타낸다. 만약 사용할 수 있는 셀이 제한되어 있는 논리 채널에 대응하는 RLC 장치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한 경우, 단말은 이 상황을 해당 셀의 무선링크가 좋지 않거나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셀로의 전송을 보류할 수 있다. 도 15의 실시 예에서, RLC2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고, LCH2가 SCell2와 SCell3으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게 설정되었다면, 이후에 SCell2와 SCell3의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받는 경우, 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무선 베어러는 하향링크, 상향링크의 양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링크 패킷 전송에 대한 상태 보고(status report) 메시지의 전송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RLC2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여 LCH2가 SCell2와 SCell3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지 아니한다면, 상태 보고 메시지의 전송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정보 전달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한 RLC 장치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상태 보고 메시지는 다른 활성화 된 셀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및 버퍼상태보고 동작을 나타낸다. 도 16의 실시 예는 LCH1과 LCH2가 존재하고, 특정 시점에 각각의 버퍼크기가 a, b인 것을 가정한다. 만약, 상향링크 무선 자원(uplink grant)을 수신한 경우, 단말은 논리 채널 우선화(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동작을 거쳐서 LCH1과 LCH2에서 각각 전송할 데이터 크기를 정한 후, 데이터를 분할하고, LCH1 및 LCH2를 통해 패킷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할당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이 속한 셀에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논리 채널들만 상기 논리 채널 우선화에 참여한다.
만약,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메시지가 트리거링되면, 단말은 모든 논리 채널을 통해 송신할 데이터 양(data volume), 즉, 버퍼 크기를 계산한 후, 버퍼 상태 보고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버퍼 상태 보고 메시지는 논리 채널 그룹(logical channel group, LCG) 별로 남은 데이터 양을 지시하며, 각 논리 채널은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에 속할 수 있다. 도 16은 논리 채널 별로 버퍼 크기를 보고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논리 채널 그룹 별로 버퍼 크기가 송신될 수 있다. 만약, 버퍼 상태 보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MAC PDU(protocol data unit)에 다른 데이터가 포함되면, 버퍼 상태 보고 메시지는 MAC PDU에 포함된 데이터의 양을 제외한 나머지의 남은 데이터 양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7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RLC 장치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한 경우 단말이 동작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7의 실시 예는 도 15의 실시 예와 같이 LCH2에서 대응하는 RLC 장치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한 것을 가정한다. 도 17의 예에서, 버퍼 크기는 도 15의 예와 동일하다.
만약.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한다면, 해당 RLC 장치는 더 이상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해당 RLC 장치가 대응하는 논리 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의 UL 그랜트(grant)를 수신하더라도, 논리 채널 우선화 과정에 참여할 수 없다. 이 동작은 논리 채널 혹은 RLC 장치의 ‘연기(Suspend)’라고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논리 채널이 더 이상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논리 채널의 버퍼 크기, 즉 데이터의 양(data volume)은 0으로 기지국에 보고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지국은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한 논리 채널을 더 이상 자원할당에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7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논리 채널 혹은 RLC 장치의 연기(Suspend) 동작 및 버퍼 크기를 0으로 보고하는 동작은 RLC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했을 때만 적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필요는 없다. 단말에서 특정 논리 채널에 대하여 보장해야 할 최대 데이터 버스트 크기(maximum data burst volume, MDBV)을 초과하였을 때에도, 동일하게 해당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최대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초과하는 데이터 트래픽은 전송이 되더라도 네트워크 망에서 QoS 보장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이 빠르게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다른 논리 채널에 속한 데이터들을 먼저 보내는 것이 단말 전체에 수행되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정한 시간 윈도우(time window) 기간 동안 보내어진 데이터의 양이 최대 데이터 버스트 크기에 도달한 경우, 논리 채널 혹은 RLC 장치의 연기(suspend) 및 버퍼 크기를 0으로 보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무선 베어러는 하향링크, 상향링크의 양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링크 패킷 전송에 대한 상태 보고(status Report) 메시지의 전송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RLC2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여 RLC 장치가 연기되면 논리 채널 우선화 동작에 참여할 수 없기 때문에, 상태 보고 메시지의 전송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정보 전달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한 RLC 장치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상태 보고 메시지가 있는 경우, 해당 논리 채널은 논리 채널 우선화 과정에 참여하고, 상태 보고 메시지는 전송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DC(dual connectivity)에 대한 제1 연결을 제공하는 제1 값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DC에 대한 제2 연결을 제공하는 제2 값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에 기반하여 비트 레이트(bit rate)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연결에 관련된 제1 LCH(logical channel)에 대한 제1 버퍼 크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연결에 관련된 제2 LCH에 대한 제2 버퍼 크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1 버퍼 크기 및 상기 제2 버퍼 크기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LCH에 대한 재전송 횟수가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BSR에 포함되는 상기 제2 버퍼 크기는 0으로 설정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레이트는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 중 최소 값으로 결정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레이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레이트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 디폴트(default) 경로로 정의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DC(dual connectivity)에 대한 제1 연결을 제공하는 제1 값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DC에 대한 제2 연결을 제공하는 제2 값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에 기반하여 비트 레이트(bit rate)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연결에 관련된 제1 LCH(logical channel)에 대한 제1 버퍼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제2 연결에 관련된 제2 LCH에 대한 제2 버퍼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1 버퍼 크기 및 상기 제2 버퍼 크기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LCH에 대한 재전송 횟수가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BSR에 포함되는 상기 제2 버퍼 크기는 0으로 설정되는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레이트는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 중 최소 값으로 결정되는 단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트 레이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비트 레이트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 디폴트(default) 경로로 정의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단말.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비트 레이트(bit rate)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DC(dual connectivity)에 대한 제1 연결을 제공하는 제1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트 레이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 및
    제1 버퍼 크기 및 제2 버퍼 크기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LCH(logical channel)에 대한 상기 제1 버퍼 크기는 상기 제1 연결과 관련되고,
    제2 LCH에 대한 상기 제2 버퍼 크기는 상기 DC에 대한 제2 연결과 관련되고,
    상기 제2 LCH에 대한 재전송 횟수가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BSR에 포함되는 상기 제2 버퍼 크기는 0으로 설정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레이트는 상기 제1 값 및 상기 DC에 대한 상기 제2 연결을 제공하는 제2 값에 기반하고,
    상기 DC에 대한 상기 제2 연결은 제2 기지국에 관련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값을 제2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값은 상기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레이트에 관한 요청을 제2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DC에 대한 상기 제2 연결을 제공하는 제2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을 기반으로 상기 비트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 레이트를 상기 제2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레이트는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 중 최소 값으로 결정되는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비트 레이트(bit rate)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고,
    DC(dual connectivity)에 대한 제1 연결을 제공하는 제1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비트 레이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하고,
    제1 버퍼 크기 및 제2 버퍼 크기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LCH(logical channel)에 대한 상기 제1 버퍼 크기는 상기 제1 연결과 관련되고,
    제2 LCH에 대한 상기 제2 버퍼 크기는 상기 DC에 대한 제2 연결과 관련되고,
    상기 제2 LCH에 대한 재전송 횟수가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BSR에 포함되는 상기 제2 버퍼 크기는 0으로 설정되는 제1 기지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레이트는 상기 제1 값 및 상기 DC에 대한 상기 제2 연결을 제공하는 제2 값에 기반하고,
    상기 DC에 대한 상기 제2 연결은 제2 기지국에 관련되는 제1 기지국.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값을 제2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값은 상기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제1 기지국.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레이트에 관한 요청을 제2 기지국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DC에 대한 상기 제2 연결을 제공하는 제2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을 기반으로 상기 비트 레이트를 식별하고,
    상기 비트 레이트를 상기 제2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1 기지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레이트는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 중 최소 값으로 결정되는 제1 기지국.
KR1020180053872A 2018-05-10 2018-05-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32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72A KR102632780B1 (ko) 2018-05-10 2018-05-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CT/KR2019/005525 WO2019216652A2 (ko) 2018-05-10 2019-05-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7/054,503 US11284302B2 (en) 2018-05-10 2019-05-0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72A KR102632780B1 (ko) 2018-05-10 2018-05-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57A KR20190129357A (ko) 2019-11-20
KR102632780B1 true KR102632780B1 (ko) 2024-02-02

Family

ID=6846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872A KR102632780B1 (ko) 2018-05-10 2018-05-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84302B2 (ko)
KR (1) KR102632780B1 (ko)
WO (1) WO20192166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1666B1 (en) * 2018-06-21 2023-07-05 ZTE Corporation Techniques to adjust transmission rate
US20220060292A1 (en) * 2019-01-30 2022-02-24 Lg Electronics Inc. Determination of maximum number of uplink retransmissions
US11811842B2 (en) * 2020-07-08 2023-11-07 Qualcomm Incorporated Attention (AT) interface for radio access network bitrate recommendations
US11943661B2 (en) * 2021-08-12 2024-03-2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figuring a bitrate reques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15945A1 (en) * 2014-01-28 2015-07-30 Mediatek Inc. Buffer Status Report and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for Dual Connectivity
WO2017172449A1 (en) * 2016-04-01 2017-10-05 Intel IP Corporation Codec rate adaption following dynamic enb bandwidth notification
US20180102871A1 (en) * 2016-10-07 2018-04-12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Codec Rate Adap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61138A1 (en) * 2012-05-04 2013-11-06 Panasonic Corporation Threshold-based and power-efficient scheduling request procedure
US20150003371A1 (en) * 2012-06-26 2015-0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ling buffer status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07088A (ko) * 2013-02-27 2014-09-04 주식회사 케이티 스몰셀 환경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WO2015065265A2 (en) * 2013-11-01 2015-05-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methods performed therein,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635655B2 (en) * 2014-02-24 2017-04-25 Intel Corporation Enhancement to the buffer status report for coordinated uplink grant allocation in dual connectivity in an LTE network
CN104918232A (zh) * 2014-03-14 2015-09-1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缓存状态的上报方法、装置、终端及基站
CN106465320B (zh) * 2014-03-19 2019-11-0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设备到设备同步
HUE042226T2 (hu) * 2014-03-21 2019-06-28 Sun Patent Trust Ütemezéskérési eljárás D2D kommunikációhoz
US9867096B2 (en) * 2014-05-09 2018-0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reconfiguration for split bearer in dual connectivity
EP3651486B1 (en) * 2014-05-09 2024-04-17 Sun Patent Trust Resource allocation for d2d discovery transmission
EP3048847B1 (en) * 2015-01-26 2019-11-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proved scheduling request procedure
EP3051736B1 (en) * 2015-01-30 2020-04-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rioritization in the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procedure for sidelink logical channels in ProSe direct communications
US10104584B2 (en) * 2015-05-14 2018-10-16 Blackberry Limited Uplink data splitting
EP3125643B1 (en) * 2015-07-31 2019-04-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proved scheduling mechanism for prose relays serving remote ues
WO2017119729A1 (en) * 2016-01-05 2017-07-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drx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652922B2 (en) * 2016-01-29 2020-05-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an uplink grant after the last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9942898B2 (en) * 2016-04-25 2018-04-10 Ofinno Technologies, Llc Up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10218558B2 (en) * 2016-04-25 2019-02-26 Ofinno Technologies, Llc Media access control mechanism in a wireless device
KR20170123236A (ko) * 2016-04-28 2017-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볼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사용자기기
US20170332275A1 (en) * 2016-05-13 2017-1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buffer status report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374916B2 (en) * 2016-08-04 2019-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buffer status report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20180176937A1 (en) * 2016-12-16 2018-06-2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multiple uplink resource colli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86530B2 (en) * 2017-03-10 2021-04-20 Kt Corporation Buffer state report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
CN108924871B (zh) * 2017-03-23 2022-09-20 夏普株式会社 无线配置方法、用户设备和基站
KR102367840B1 (ko) * 2017-03-24 2022-02-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91925B1 (ko) * 2017-04-26 2020-03-23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엘리먼트 전송을 위한 자원을 요청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26116B2 (en) * 2017-05-04 2021-06-0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buffer status report
CN110754110B (zh) 2017-06-15 2023-09-1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分组传输的方法和装置
US20180367288A1 (en) * 2017-06-16 2018-12-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Dynamic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packet duplication
CN111615840A (zh) * 2017-08-11 2020-09-01 苹果公司 用于视频和其他应用程序的关键数据处理
US20200404696A1 (en) * 2018-01-11 2020-12-24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devic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KR102543360B1 (ko) 2018-02-14 2023-06-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15945A1 (en) * 2014-01-28 2015-07-30 Mediatek Inc. Buffer Status Report and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for Dual Connectivity
WO2017172449A1 (en) * 2016-04-01 2017-10-05 Intel IP Corporation Codec rate adaption following dynamic enb bandwidth notification
US20180102871A1 (en) * 2016-10-07 2018-04-12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Codec Rate Adap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652A3 (ko) 2020-01-09
US20210195466A1 (en) 2021-06-24
US11284302B2 (en) 2022-03-22
WO2019216652A2 (ko) 2019-11-14
KR20190129357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34175B (zh) 在无线通信系统中确定无线资源的装置和方法
CN107852746B (zh) 用于信道接入过程的方法以及用户设备
US118003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managing quality of service of radio bearer for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902539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uplicated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3278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0063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104101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radio access technology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526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ndwid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4920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3000762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radio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29747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erminal-to-terminal unicast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502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DU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161861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EP37808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erminal-to-terminal unicast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101609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7503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uplicated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177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보고 및 제어 채널의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6184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를 위한 exceptional 전송 자원 풀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30422229A1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dual connectivity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2199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3139852A1 (ja) 端末、基地局、及び、通信方法
WO2022024427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WO2022079955A1 (ja) 端末、基地局及び通信方法
KR202100199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