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417B1 -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 Google Patents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417B1
KR102632417B1 KR1020230087906A KR20230087906A KR102632417B1 KR 102632417 B1 KR102632417 B1 KR 102632417B1 KR 1020230087906 A KR1020230087906 A KR 1020230087906A KR 20230087906 A KR20230087906 A KR 20230087906A KR 102632417 B1 KR102632417 B1 KR 102632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ion
bag
cervical
ai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형
김경일
Original Assignee
김수형
김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형, 김경일 filed Critical 김수형
Priority to KR102023008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인이 본 장치의 높이조절 키성장베개를 베고 누운 상태에서,
수동식 내장형 프레스펌프를 이용하여 원하는 견인높이와 압박강도의 공기를 경추견인백과 흉추견인백에 주입하면, 경추견인백으로, 목 주위 근육(경근頸筋)과 목뼈(경추頸椎)를 상부로 견인하여 견인치료를 시행하고, 동시에 목과 경추를 머리 방향으로 견인하여 틀어진 경추와 자세의 교정을 시행하며, 후두부(後頭部) 하단 근육과 혈(穴)자리에 압박마사지를 진행한다.
또한, 동시에 흉추견인백으로, 등(背)과 흉추(胸椎)를 상부로 견인하여 뒤틀린 척추와 자세의 기본적인 교정을 시행하고, 경추견인백에 의하여 머리 방향으로 견인되는 목과 경추의 C자 꺽임과 견인강도 효과를 상승시켜, 키성장장애 교정을 시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견인치료와 압박마사지, 척추교정, 자세교정의 기능으로, 추간판탈출증(목디스크)과 초기증상인 일자목, 거북목, 굳은목 및 퇴행성협착증 등의 목관련 질환 치료와 더불어 목 어깨통증, 손발저림통증, 스트레스, 경추성두통과 불면증,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의 수면장애 개선을 제공하고, 경직된 등근육과 틀어진 척추질환을 교정하고, 척추측만증(척추옆굽음증) 등의 성장장애 개선을 목적으로, 통상적인 베개와 같이 사용인이 편안하게 누워서 수면 전에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Height adjusted Height growth Pillow with Spinal correction and Sleep disorder Improvement function}
본 발명은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에 관한 것으로, 목 경추 부위를 들어서 견인하고 이완하며, 후두부(後頭部) 아래를 압박(壓迫)하여 마사지하는 역할의 경추견인백과 경추견인백에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역할의 프레스펌프(Press pump)와 목과 경추를 지지하고 머리를 받쳐주며 상기 경추견인백과 프레스펌프를 장착(裝着)하는 헤드베이스(Head base)와 헤드베이스와 연결되어 등과 흉추(胸椎) 부위를 들어서 견인하는 역할의 흉추견인백과 등과 흉추를 지지하고 흉추견인백이 내장(內裝)되어 있는 백베이스(Back base)로 구성되어있다.
사용인이 헤드베이스에는 머리를, 백베이스에는 등을 베고 누워서, 헤드베이스의 상부 하단에 위치하고 경추견인백이 내장된 경추지지부에 뒷목 아래를 밀착시키고, 프레스펌프를 이용하여 원하는 목 높이와 원하는 후두부 압박강도의 공기를 경추견인백에 주입하면, 여러 층으로 형성된 경추견인백의 하단 1층 내지 2층의 서포트백(Support bag)은, 내부에 위로 둥글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로 평편하게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는 평면팽창격막이 설치되어 있어서 목과 경추를 위로 들어 올려서 견인과 이완하는 역할을 하고, 서포트백의 상부에 연결된 압박백은 목근육과 경추 및 후두부 아래의 혈자리를 밀착 압박하여 마사지를 진행하고, 동시에 머리 위쪽으로 팽창하여 목과 경추를 머리 방향으로 견인하여, 뒤틀린 경추와 자세를 교정(矯正)하는 기능과 어린이 키성장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헤드베이스의 프레스펌프를 이용하여 등과 흉추의 원하는 견인 높이의 공기를 흉추견인백에 주입하면, 여러 층으로 형성된 흉추견인백은, 내부에 위로 둥글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로 평편하게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는 평면팽창격막이 설치되어 있어서, 등과 흉추를 평편하고 편하게 위로 들어 올려서 기본적인 견인과 교정하는 역할을 하고, 경추견인백에 의하여 머리 방향으로 견인되는 목과 경추의 C자 꺽임과 견인강도를 효율적으로 높여주어, 뒤틀린 척추와 자세를 교정하고 키성장장애를 개선하는 효과를 배가(倍加)시키는 추가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견인치료와 압박마사지의 기능으로, 추간판탈출증(椎間板脫出症.목디스크)과 초기 증상인 일자목, 거북목, 굳은목 및 퇴행성협착증(退行性狹窄症) 등의 목 관련 질환 치료와 더불어 목 어깨통증, 손발저림통증, 스트레스, 경추성두통과 불면증,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의 수면장애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 상기 척추교정 및 자세교정 기능으로, 초기 척추질환과 성장장애의 주요 요인인 척추측만증(脊椎側彎症) 및 척추옆굽음증 등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의 생체전기(生體電氣)를 활성화 하는 마그네틱, 그래핀, 구리 등의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원단을 헤드베이스와 백베이스의 커버에 적용하여, 고혈압, 당뇨 및 치매의 원인인 기억력감퇴를 초래하는 혈액순환장애의 개선을 목적으로, 통상적인 베개와 같이 수면 시에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수면장애는, 건강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있음에도 낮 동안에 각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 또는 수면리듬이 흐트러져 있어서 잠자거나 깨어 있을 때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포함하는 매우 폭넓은 개념이다. 수면장애는, 인구의 약 20% 이상이 경험한 적이 있거나 앓고 있는 매우 흔한 질환이다. 수면장애는 여러 가지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학습장애, 능률저하, 교통사고, 안전사고, 정서장애, 사회 적응장애, 결혼생활의 불만족, 그리고 산업재해 등의 원인이 된다. 또한 수면장애를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이미 앓고 있는 내과적, 신경과적, 정신과적 질환이 악화되거나 회복이 지연될 수 있고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의 심각한 병을 초래할 수 있다.
수면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불면증, 수면호흡장애(코골이, 수면무호흡증) 기면증, 하지불안증후군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가지고 있다.
불면증은, 가장 흔한 수면 장애이다. 일반인의 약 1/3이 반복되는 불면증을 경험하고, 9%가 매일의 일상생활에서 불면증 때문에 괴로움을 느낀다고 한다. 불면증은 잠들기 힘들거나, 잠은 들지만 자주 깨고, 새벽에 너무 일찍 잠에서 깨어 수면부족 상태가 되어, 이로 인해 낮 동안 피로감, 졸음, 의욕상실 등의 결과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수면장애이다. 불면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평소 수면리듬이 약한 사람이,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겪으면서 수면리듬이 더욱 심하게 약화되고, 그 결과 잘못된 수면습관을 가지게 되면서 불면증이 생기게 된다. 이후 심리적 스트레스 등이 줄어들더라도 잘못된 수면습관이 남아 있어 불면증을 지속시키며, 만성불면증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우울증, 불안장애 및 기타 정신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불면증상은 흔히 나타난다.
수면호흡장애는, 수면 중에 기도의 저항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중추수면무호흡증후군(central sleep apnea syndrome), 폐쇄수면무호흡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 폐쇄수면무호흡증후군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중년 성인의 2~4%에서 발견된다. 폐쇄수면무호흡증후군이란 수면 중에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혀서 호흡이 일시적으로 줄어들거나 끊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환자가 잠이 들면 인두의 근육이 이완되면서 목젖과 혀가 후두에 닿아 기도가 막히게 되고, 공기가 이 곳을 통과하면서 인두와 후두가 진동하여 코골이를 하게 된다. 저호흡이나 무호흡이 발생할 때마다 혈액의 산소 농도가 떨어지고 각성이 일어나므로 결과적으로 깊은 잠을 취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낮에 피곤하며 졸음이 온다. 보통 밤에 심하게 코를 골면서 자는 뚱뚱한 사람이 낮에 졸음이 많이 오고 아침에 일어나면서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 폐쇄수면무호흡증후군일 가능성이 있다. 폐쇄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는 낮 동안의 졸음과 인지기능 저하로 인하여 기억력과 집중력이 떨어지고, 그 결과 자동차사고나 작업장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심근경색증이나 협심증과 같은 심장동맥질환, 뇌졸중, 허파고혈압, 부정맥의 발생률이 높아진다.
코골이는, 매우 흔한 생리적인 현상이다.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 코를 곤다고 해서 모두 비정상인 것은 아니며 문밖에서 코고는 소리가 들리거나, 1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속삭이는 소리보다 더 큰 소음의 코골이라면 문제가 된다. 사회적으로는 코고는 소음으로 인해 주위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기 쉬우며 만성적인 수면부족으로 인하여 주간의 사회활동 중 졸음을 이기지 못하여 근무능률이 떨어지고, 학생들은 학업성적이 떨어지게 된다. 가정적으로는 소음으로 인하여 이혼까지 하는 경우도 있다. 약 48%의 환자에서 발기불능이나 성욕감퇴를 일으키고, 전립샘비대증이나 요실금에 걸릴 확률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 30%의 환자에서 야뇨증과 아침 기상 시 머리가 무겁거나 두통을 경험하게 된다.
수면무호흡증은, 잠을 자는 동안 목 근육의 움직임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아 기도 위쪽이 일시적으로 폐쇄되면서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 상태가 한 시간에 5회 이상 나타나는 것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라고 한다. 보통 한 번에 30~90초 정도 호흡이 정지되고 잠을 자는 동안 최대 600번까지 일어날 수 있다. 주요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무호흡증상 중 가장 위험한 경우로 뇌와 폐 사이의 신경 신호 전달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호흡이 조절되지 않으면서 일어난다. 주로 40대 이후의 남성과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 잘 발생하는데, 비만한 사람이나 술을 마시고 잠을 자는 경우에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코골이가 있는 사람의 75%는 수면 중에 호흡이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다. 수면무호흡증은 주변사람이 관찰해도 알기 힘든 경우가 있다. 수면무호흡증이 하룻밤에 40회 이상 나타나는 경우에는 깊은 잠을 자지 못하고, 체내 산소 공급이 어렵게 되어, 낮 동안 피로감, 자도 잔 것 같지 않은 느낌, 아침 두통, 무기력감, 중력과 기억력 저하, 우울증 등을 유발한다. 또한 수면 무호흡으로 인해 수면 중 유발되는 저산소증은 다양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주간에는 피로감, 주간 졸림증, 성격 변화(공격적 성격, 자극 과민성, 불안감, 우울 반응 등), 성 충동 감소, 발기부전, 이산화탄소 축적으로 인한 심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소아는 학습 부진이나 발달 지연, 그리고 입으로 숨을 쉬게 되어 말처럼 얼굴이 길어지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수면 무호흡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95%가 자신의 증상을 깨닫지 못하고 있는데, 호흡이 일시적으로 중단된 뒤에는 매우 큰 소리로 코를 골거나 몸을 크게 움직이기 때문에 함께 잠을 자는 사람이 있다면 쉽게 고쳐지기도 한다. 또 위험한 상황이 이어지는 것을 막으려면 환자가 잠을 자다가 기도가 폐쇄되었을 때 잠을 깨워 숨을 쉴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법으로는, 행동요법, 공기펌프, 구강장치, 수술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체중감량, 음주의 절제, 금연, 옆으로 누워 자기와 같은 자가 행동요법을 먼저 시행해야 하며 이런 방법으로 충분한 효과를 거두지 못할 때 구강장치 요법이나 수술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목근육(頸筋)과 경추(頸椎)에 관련된 질환으로 흔히 일자목과 거북목 증후군(일명 컴퓨터병 VDT증후군) 및 추간판탈출증(목디스크)와 퇴행성협착증 등이 있다.
일자목은, 잘못된 자세가 습관화가 되면서 경추뼈가 C자형에서 일자 형태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젊은층 사에에서 일자목 환자가 급증한 주된 원인은 스마트폰 사용의 폭발적인 증가를 들 수 있다. 일자목을 방치하고 자세 교정과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목 디스크로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10~30대 젊은층의 일자목 환자들은 잠재적인 목 디스크 환자라고 볼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한 연령대별 목 디스크 진료 환자 수 조사를 보면 목 디스크 환자 수가 40대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해 50대에서 정점을 찍는 것으로 나왔다. 이번조사는 30대까지 적절한 관리 없이 일자목을 방치하면 근력이 약해지는 40대부터 목 디스크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통계라 더욱 주목을 받는다. 현대인들에게 목과 허리 관련 척추 관절 질환은 오래전에 일상이 되어 버렸다. 2010년 스마트폰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경추 관련 질환은 더욱 늘어나는 추세이다. 스마트폰이 우리의 삶을 혁명적으로 바꿔 놓은 대신 목 건강을 빼앗은 것 같아 한편으로는 아쉽기도 하다. 하지만 일자목과 목 디스크를 예방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전혀 어렵지가 않다. 평소 스마트폰 사용을 좀 줄이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스트레칭만 자주 해줘도 일자목 증후군과 목 디스크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작은 생활습관 변화로 목 질환 걱정 없이 좀 더 편하게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거북목증후군은, 목을 앞으로 뺀 자세를 거북목이라고 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전체 목뼈 수가 7개인데 정상적으로는 귀가 어깨뼈 봉우리와 같은 수직면 상에 있고 7개의 목뼈는 앞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서 배열되어 있다. 이를 경추 전만이라고 한다. 거북목 자세는 아래쪽 목뼈는 과하게 구부러지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위쪽 목뼈와 머리뼈는 머리를 젖히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목뼈 전만이 소실되고 머리가 숙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개가 앞으로 빠진 자세이다.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없을수록 잘 생기지만 컴퓨터를 많이 하는 요즘에는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호발한다. 이런 자세는 통증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이러한 문제들을 모두 거북목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자세로 발생하는 장애는 생각보다 크고 교정이 어렵다. 원인으로는,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없을수록 거북목이 잘 생긴다. 그러나 컴퓨터를 많이 하는 요즘에는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호발한다. 증상은, 고개가 1센티미터 앞으로 빠질 때마다 목뼈에는 2~3킬로그램의 하중이 더 걸린다. 거북목이 있는 사람들은 최고 15킬로그램까지 목에 하중이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경추부 추간판(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여 뒷목과 어깨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근육이 과하게 긴장하는 상태가 장기화되면 근막통증 증후군이 생겨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도 통증은 지속된다. 그리고 뒤통수 아래 신경이 머리뼈와 목뼈 사이에 눌려서 두통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통증은 수면을 방해해서 금방 피로해지는 등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다. 거북목 자세를 오래 하면 목 뼈의 정상적인 역학이 무너져서 경추부 디스크에 손상을 주고 경추 뼈의 관절염이 가속된다. 이는 단순히 통증만 있는 것이 아니라 호흡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 목뿔뼈에 붙은 근육들은 갈비뼈를 올려서 호흡하는 것을 도와주는데 거북목 자세는 이 근육들이 수축하는 것을 방해하여 폐활량을 최고 3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거북목 자체 때문은 아니지만 여러 문제들이 발생해서 거북목이 있는 사람들이 골절의 위험이 정상인에 비해 1.7배가 높고 노인들을 대상으로 장기간 추적 관찰을 했을 때 사망률이 1.4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간판탈출증(목디스크)은, 정상적인 노화 과정 또는 반복적인 외상으로 인해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 존재하는 추간판(디스크)의 수핵이 탈출됨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을 일컫는다. 탈출된 수핵은 해당 부위 주변을 지나는 척추신경을 압박하는데 이로 인해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퇴행성디스크의 주요한 원인은 외상이나 조직의 노화이며 척추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퇴행성디스크 중에서도 요추(허리) 부위에서 일어나는 추간판탈출증이 90% 이상으로 가장 흔하고, 경추 부위(목)가 그 다음으로 8% 내외이며, 흉추 부위(가슴)는 매우 드물다. 경추에서 일어나는 퇴행성디스크의 증상은 디스크가 탈출된 정도와 방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몇 가지로 압축하여 설명하기 어렵다. 다만 경추 부위의 통증과 더불어 대표적인 증상은 아래의 증상들로 정리할 수 있다. 어깨와 팔, 손 전체에 통증이 있다. 팔에 힘이 빠지고 반신이 저리며 우둔해진다. 두통, 현기증, 어지럼증, 이명이 온다.
한편, 대다수의 퇴행성디스크 환자는 과거에 목, 허리, 엉치, 하지 부위의 통증을 경험한 적이 있거나 장기간에 걸쳐 통증의 악화와 호전을 반복적으로 경험한 병력을 지니고 있다. 원인으로는, 대부분의 퇴행성디스크는 노화, 외상, 흡연, 비만,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점진적인 퇴행과 관련이 있으며 정상적인 노화 과정 또는 반복적인 외상으로 발생한다. 어린 나이의 정상적인 디스크 수핵의 수분 함량은 88%의 수준에 이르며 탄력성도 좋다. 그러나 노화가 진행되어 50세 즈음에 이르면 수분 함량은 70~75% 정도로 줄어들고 탄력도 잃게 되어 디스크의 충격 흡수 능력도 떨어지게 된다. 또 뼈마디의 네 귀퉁이에 ‘골극’이라는 가시같이 뾰족한 뼈가 자라기도 한다. 이렇게 퇴행성디스크는 눌린 디스크와 제멋대로 자란 뼈가 주변 근육과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염증을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요통이나 경부통이 생긴다. 퇴행성 변화는 인체에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변화로서 보통 20대 후반부터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퇴행성디스크는 50~60대에 나타나는 노인성 질환으로써 주로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30~40대의 비교적 젊은 층의 발병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디스크의 퇴행을 가속화하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잘못된 자세로 오래 앉아있거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행동, 몸에 잦은 진동이 가해지는 장시간의 운전, 흡연 등이다. 즉, 한순간의 충격으로 인한 수분 감소가 아닌 지속적으로 약한 진동을 받는 것이 허리에는 훨씬 더 좋지 않는 것으로 최근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거북목(VDT)증후군은, 평소 컴퓨터모니터를 많이 보는 사람, 특히 낮은 위치에 있는 모니터를 내려다보는 사람에게 많이 발생한다. 또한 이런 자세가 오래되어 목, 어깨의 근육과 인대가 늘어나 통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이 증상은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없을수록 잘 생기지만 컴퓨터를 많이 하는 요즘에는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호발한다. 이런 자세는 통증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이러한 문제들을 모두 거북목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자세로 발생하는 장애는 생각보다 크고 교정이 어렵다. 근육이 과하게 긴장하는 상태가 장기화되면 근막통증 증후군이 생겨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도 통증은 지속된다. 그리고 뒤통수 아래 신경이 머리뼈와 목뼈 사이에 눌려서 두통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통증은 수면을 방해해서 금방 피로해지는 등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다. 기본적 치료는 어깨를 펴고 고개를 꼿꼿이 하는 것이다. 아울러 20~30분에 한 번씩 목을 스트레칭해 주면 큰 도움이 된다.
척추측만증(脊柱側彎症, scoliosis)은 척추가 'C자형'이나 'S자형'으로 휘어져서 몸이 좌우로 기울거나 돌아가 변형되는 증상이다. 척추의 만곡이 없어져 척추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골반이나 어깨의 높이가 서로 다르거나 몸통이 한쪽으로 치우쳐 보인다. 이때 척추의 모양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도,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모두 틀어져 보인다. 현대인은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잘못된 자세나 습관으로 인해 척추가 휘어질 가능성이 이전보다는 많아졌다. 특히 성장기 청소년들의 경우 성장이 멈춘 성인의 뼈보다 유연하기 때문에 그만큼 자세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척추가 5˚ 이상 옆으로 휘었다면 비정상으로 간주되는데 인구의 약 7.7% 정도가 척추측만증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척추측만증은 보통 유전적 경향이 있어 그 가족에서는 20~40% 이상의 발현율을 보인다. 보통 성장이 왕성한 시기에 나타나서 14세 전에 발병하고, 특히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보다 3~5배 정도 많다. 증상으로는 서 있을 때 양측 어깨 높이가 좌우 비대칭으로 차이가 나거나 골반의 높이가 좌우 비대칭인 경우, 한쪽 젖가슴이 다른 쪽에 비해 덜 발달돼 있는 경우에 척추측만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원인으로는 초기에는 통증 등의 자각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 알기 어렵다. 척추측만증이 진행되면서 척추 주변의 근육, 인대, 신경이 압박을 받게 되므로 요통이나 어깨 결림, 두통 등의 증세가 먼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측만증의 진행 정도가 심해지면 척추부터 갈비뼈, 골반의 변형이 일어나 심장과 폐를 압박하여 심폐 기능에 이상이 생길 수도 있다. 일부 환자의 경우 수면 중에도 심한 통증을 경험한다. 척추측만증 환자는 디스크 간격이 줄어드는 중년이 되면 골격과 뼈의 불균형으로 쉽게 피로하게 되고 같은 자세로 오래 있지 못하고 두통과 어깨 통증도 함께 느낀다. 신경학적으로는 호르몬과 소화기능의 불균형도 초래하며 청소년기 환자의 경우 알레르기나 집중력 장애, 성장 장애로 이어지기도 한다.
상기 목 관련 질환치료 및 수면장애의 증상을 개선하고 수면에 도움을 주는 선행기술은 다수가 있지만, 그 중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선행기술 중,
본 발명인이 선 등록한 등록특허 10-1643545 다기능 베개패드장치는, 높이조절기능 및 수면장애(코골이방지, 무호흡증)기능에서, 복수의 압력제어모듈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중첩으로 오작동 할 가능성이 있으며, 부품의 추가사용으로 인하여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베개의 저면에 사용할 경우에 베개몸체의 부피저항으로 인하여 제 기능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베개의 몸체내부에 장착할 경우에는 사용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선행기술 중 등록특허 10-0788715 높이가 자동 조정되는 베개는, 베개 내부 전체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고 빈 공간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베개자체를 팽창시켜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로, 베개자체가 팽창하면 시중의 물놀이풍선튜브와 튜브목베개와 같이 머리와 목의 무게에 의해 베고 있는 부위가 아래로 쳐져서 머리와 목이 베개에 감싸이는 단점이 있고, 베개를 최대한 팽창시켜 탱탱한 상태를 유지하여도 머리와 목은 공중에 들뜨는 것 같은 어지러움과 좌우로 돌아누울 때 베개자체가 울렁거리는 불편감을 초래할 수 있으며, 베개에 누웠을 때 머리와 얼굴이 베기는 불편감을 초래하여 사용인의 숙면을 방해할 수 있고 외피의 세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선행기술 중 공개특허 10-2008-0075263 에어셀을 이용한 베개의 높이조절장치는, 내부에 격막이 없는 하나의 에어셀로 구성되고 에어셀이 베개의 목 부위 하부에 설치되어 베개의 목 부위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로, 팽창 시 베개 상부 전체가 상승되어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아닌 목 부위만 상승된 상태이며, 이 기능이 오래 지속되면 사용 불편함과 목 디스크에 손상을 끼칠 우려가 있으며, 베개몸체의 커버내에 내장되어 머리의 압력을 감지하는 체압센서는, 머리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경량급의 센서를 사용해도 센서를 받쳐주는 하부인 베개몸체가 시중에서 흔히 사용되는 탄성이 있는 스펀지나 메모리폼, 라텍스 재질이면, 체압센서의 하부로 머리무게가 분산되어 체압센서가 압력을 감지하지 못하는 중요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공개특허 10-2010-0124613 코골이방지용베개는, 베개몸체 내부 양측에 2칸으로 분리된 에어주머니에 일정량의 공기가 투입된 밀폐된 구조이며, 이는 상기 등록특허 10-0788715 와 같이, 베개자체가 팽창하면 시중의 물놀이풍선튜브와 튜브목베개와 같이 머리와 목의 무게에 의해 베고 있는 부위가 아래로 쳐져서 머리와 목이 베개에 감싸이는 단점이 있고, 베개를 최대한 팽창시켜 탱탱한 상태를 유지해도 머리와 목은 공중에 뜨는 어지러움과 좌우로 돌아누울 때 베개자체가 울렁거리는 불편감을 초래할 수 있으며, 에어주머니의 공기를 다른 에어주머니로 이동시키는 에어펌프는 베개의 몸체내부 에어주머니 사이에 내장되어, 베개에 누웠을 때 머리와 얼굴이 베기는 불편감을 초래하고 수면 내내 발생하는 에어펌프의 작동소음으로 사용인의 숙면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이 선 등록한 등록특허공보 제10-1935722호 일체형기능베개, 등록특허공보 제10-2086307호 신체이완마사지기기, 등록특허공보 제10-2178703호 목이완마사지 및 코골이방지 수면유도기기에서 발명한 기술 중 아래의 제조, 생산성 저하 및 사용의 불편함과 가격상승의 단점이 있다.
베개 본체가 상하로 분리된 구조로, 조립생산성이 저하되는 요인과 제조가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컨트롤러가 베개와 일체화된 구조의 영향으로,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하며,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체화된 천 재질의 외부케이스는, 베개의 하부 또는 베개를 감싸서 사용하는 번거로운 단점과 제품력저하의 주요 요인이다. 또한 에어포켓기술 중 원형팽창방지벽 및 수평팽창유도격막은, 에어백의 각 층의 내부에 다수의 격막이 형성되어 수직팽창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여 상승높이가 낮은 단점이 있으며, 4개 층의 에어백 구조와 함께 생산성 저하로 제조단가의 상승요인의 단점이 있으며, 상층부에 형성된 마사지볼이 사용에 불편감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에어백이 형성된 이완마사지부는, 고정패드와 받침부, 고정부 등으로 다수의 부품이 조합된 구조로 제조생산성의 저하와 제조단가 상승 단점이 있으며,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동에어펌프는, 베개의 양측면에 분산되어 제조생산성 저하로 제조 단가의 상승요인의 단점이 있으며, 펌프의 작동 소리가 공명되어 소음 확산으로 수면에 방해요인이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인이 선 등록한 등록특허공보 제10-2406918호 수면장애, 혈액순환 개선기능을 겸비한 목경추정형베개는, 수동공기펌프가 서포트베개의 외부에 위치하여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고 제품력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으며, 목과 경추를 견인하는 견인에어백이 서포트베개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견인에어백이 팽창하였을 때 옆으로 쓰러져서 제품 불량을 유발할 수 있으며, 견인에어백 만으로 목과 경추를 견인하는 폭에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른 목경추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데에는 부족한 단점이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43545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88715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8-0075263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0-0124613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35722호(2018.12.28.)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86307호(2020.03.0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178703호(2020.11.09.)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406918호(2022.06.03..)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베개 본체인 메모리폼 소재의 헤드베이스 내부에, 프레스펌프를 장착하고 경추견인백을 내장하여 하나의 일체화된 구조로, 조립생산성을 높여서 제조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며, 불량 발생률을 현저히 낮추어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는데 있다.
또한 기존의 목과 경추를 견인하는 견인에어백과 연결되는 흉추견인백을 추가하여, 동시에 등과 흉추를 들어서 견인하여, 기존의 견인치료와 압박마사지 기능을 강화함과 더불어, 척추교정 및 자세교정과 키성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에 따르면,
먼저, 견인치료와 압박마사지 기능 및 수면 시에 인체의 머리부위를 받쳐주며, 견인치료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경추견인백을 내장하고, 경추견인백에 공기를 주입하는 프레스펌프가 장착된 것으로서, 통상의 탄성 있는 재질의 사각면체 또는 타원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헤드베이스;와
상기 헤드베이스의 내부에 내장되어 고정되고, 여러 층이 연결되어 공기가 통하는 비신축성 재질의 내부가 비어있는 에어튜브 형상으로, 견인치료와 압박마사지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경추견인백;과
상기 헤드베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경추견인백에 연결되어, 손으로 눌러 경추견인백에 공기를 공급하여 인체 목과 경추부위의 상승하강 및 압박세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프레스펌프;와
상기 헤드베이스의 프레스펌프와 연결되고, 여러 층이 연결되어 공기가 통하는 비신축성 재질의 내부가 비어있는 에어튜브 형상으로, 척추교정과 자세교정 및 키성장장애 개선 기능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흉추견인백;과
상기 흉추견인백을 내장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쿠션 있는 합성섬유 재질의 사각면체 또는 타원면체 커버 형태로 형성되는 백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헤드베이스는,
견인치료 및 수면 시에 인체의 목 경추부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헤드베이스의 상부 전면에 굴곡된 평편한 형상으로 형성된 경추지지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의 내부에, 견인치료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경추견인백이 내장되는 직사각 공간 형상의 견인백내장홈;과
상기 견인백내장홈의 좌우 일측에, 직사각 공간 형상으로 경추견인백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역할의 견인백삽입가이드홈;과
상부 중앙에는 사용인이 정면으로 누웠을 때 보다 편안함과 아늑하게 뒷머리 후두부를 받쳐주는 후두안착부; 및
상부 양측에는, 사용인이 옆으로 누울 시에 옆얼굴과 귀부위의 편안함을 제공하는 역할의 귀안착홈;과
저면 일측에는 연결호스가 매립될 수 있게 형성된 연결호스매립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경추견인백은,
프레스펌프를 이용하여 원하는 높이와 압박세기의 공기를 경추견인백에 주입하면, 여러 층으로 형성된 경추견인백의 내부에 형성되며 견인백이 위로 둥글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로 평편하게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는 평면팽창격막; 및
경추견인백의 하단 1층 내지 2층에 형성되어, 목과 경추를 위로 들어 올려서 직접적인 견인과 이완 역할을 하는 서포트백;과
상기 서포트백의 상부에 연결되어 목근육과 경추 및 후두부 아래의 혈자리에 직접적인 압박마사지를 진행하는 동시에, 머리 위쪽으로 팽창하여 목과 경추를 머리 방향으로 견인하는 역할을 하는 압박백;과
경추견인백에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통로 입구 역할을 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프레스펌프는,
헤드베이스의 내면 일측에 조성된 펌프내장홈에 장착되며, 통상의 플라스틱 및 합성고무 재질의 속이 빈 원형구 및 타원형구 형상으로, 손으로 눌러서 목과 경추를 견인하는 경추견인백과 등과 흉추를 견인하는 흉추견인백에 공기를 주입하는 역할을 하는 에어발생부; 및
상기 에어발생부의 측면에 위치하여, 손으로 눌러서 경추견인백과 흉추견인백의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에어배출부;와
상기 에어배출부의 상부와 연결되고 헤드베이스의 상부 상면에 위치하며, 통상의 플라스틱 및 합성고무 재질로, 손으로 누르면 각 견인백의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배출버튼;과
상기 배출버튼의 하부에 결합되어, 통상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배출버튼을 손으로 누를 시에 상승 복귀 역할을 하는 스프링; 및
상기 에어배출부의 하단 저면에는 연결호스가 체결되는 에어노즐;과
상기 에어노즐에 체결되고 각 견인백의 에어노즐과도 연결 체결되어, 각 견인백의 공기통로 역할을 하는 고무재질의 연결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흉추견인백은,
프레스펌프를 이용하여 원하는 높이의 공기를 흉추견인백에 주입하면, 여러 층으로 형성된 흉추견인백의 내부에 격막형상으로 형성되고, 견인백이 위로 둥글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로 평편하게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는 평면팽창격막; 및
흉추견인백의 하단 1층 내지 3층으로 형성되어, 등과 흉추를 들어서 기본적인 견인과 이완하는 역할을 하며, 경추견인백에 의하여 머리 방향으로 견인되는 목과 경추의 C자 꺽임과 견인강도 효과를 효율적으로 상승시켜, 뒤틀린 척추와 자세를 교정하고 키성장장애를 개선하는 효과를 배가(倍加)시키는 역할을 하는 서포트백;과
흉추견인백에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통로 입구 역할을 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백베이스는,
척추교정 및 성장장애 개선 시에 인체의 등과 흉추부위를 견인하는 역할의 흉추견인백을 탄성과 쿠션감 있게 지지하고, 감싸는 역할의 백베이스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헤드베이스 및 백베이스 커버는,
통상의 신축성 천재질의 일반원단과 인체의 생체전기를 활성화 하는 마그네틱, 그래핀, 구리 등의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원단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헤드베이스에 내장된 수동 프레스펌프로 작동되는 경추견인백을 통해, 목과 경추부위를 상승하강 시켜서, 굳은 목근육을 이완하고 틀어진 경추를 견인하여, 추간판탈출증(목디스크)와 초기 증상인 일자목, 거북목, 굳은목 및 퇴행성협착증 등의 목관련 질환 치료와 불면증,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의 수면장애 치료에 도움을 주기위한 목적과, 동시에 목근육과 후두부 혈자리에 압박마사지를 시행하여, 목 어깨통증, 손발저림통증과 스트레스 및 경추성두통의 개선 목적과, 동시에 머리 위쪽으로 팽창시켜 목과 경추를 머리 방향으로 견인하여, 뒤틀린 경추와 자세를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인이 편안하게 누워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헤드베이스에 내장된 프레스펌프로 작동되는 흉추견인백을 통해, 등과 흉추를 상승하강 시켜서, 경직된 등근육과 틀어진 척추를 교정하는 목적과, 동시에 경추견인백에 의한 목과 경추의 C자 꺽임과 견인강도를 효율적으로 높여주어, 뒤틀린 경추와 흉추 및 자세를 교정하고 초기 척추질환과 성장장애의 주요 요인인 척추측만증, 척추옆굽음증 등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사용인이 편안하게 누워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바이오마그네틱 및 그래핀 성분 등이 함유된 기능성원단의 베이스커버를 통하여, 인체의 생체전기를 활성화시켜서, 고혈압, 당뇨 및 치매의 원인인 기억력감퇴를 초래하는 혈액순환장애의 개선 목적으로,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헤드베이스의 외형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헤드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헤드베이스의 상면과 저면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헤드베이스의 외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헤드베이스의 상면과 저면, 정면 구조를 나타낸 다른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헤드베이스의 측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헤드베이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헤드베이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다른 개요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헤드베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프레스펌프 구조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의 결합된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의 결합된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의 인체적용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1)는, 헤드베이스(10), 경추견인백(20), 프레스펌프(30)를 포함한다.
헤드베이스(10)는, 메모리폼, 라텍스, 솜 등의 충전재로 이루어지며, 사각형상 또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베이스(10)는, 상부, 저면부로 구분되며, 헤드베이스(10)의 상부 하측에는 경추견인백(20)이 내장되는 견인백내장홈(15)이 조성되고, 상부 상측에는 경추견인백(20)의 팽창과 수축을 위해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프레스펌프(30)가 장착되는 펌프내장홈(32)이 조성된다.
즉, 헤드베이스(10)와 경추견인백(20) 및 프레스펌프(3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헤드베이스(10) 사용 시 경추견인백(20)를 통한 신체 목경추 부위의 견인치료와 압박마사지를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헤드베이스(10)의 상부 중앙에는, 헤드베이스(10)의 상부측면보다 아래로 2~4cm 정도 낮게 꺼져있는 원형의 넓은 굴곡홈인 후두안착부(11)가 조성된다.
또한, 헤드베이스(10)의 상부 중앙 하측에는 후두안착부(11)보다 좁게 굴곡된 평편한 형상의 경추지지부(12)가 조성된다.
이때, 경추지지부(12)는 본 발명의 핵심 기능인 인체 목 경추 부위의 견인치료 및 압박마사지 기능을 담당하는 경추견인백(20)을 내장하고, 목과 경추부위를 낮게 지지하여 사용인의 수면자세를 편안하게 유도한다.
그리고, 헤드베이스(10)의 상부 양측에는 귀안착홈(13)이 형성된다.
이때, 귀안착홈(13)은 사용인이 옆으로 누울 시에 옆얼굴과 귀가 압박받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원형 또는 사각으로 아래로 꺼져있는 형상이 조성된다.
그리고, 헤드베이스(10)의 저면에는, 프레스펌프(30)와 경추견인백(20)을 연결하여 공기가 유통되는 연결호스(38)가 매립되는 연결호스매립홈(16)이 조성된다.
한편, 도6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1)의 경추견인백(20)은, 서포트백(21), 압박백(22), 및 평면팽창격막(23), 에어노즐1(24)을 포함한다.
이때, 서포트백(21)은, PU, PP, PE 등 합성수지재의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 및 타원형의 비닐주머니형상이며, 여러 층으로 형성된 경추견인백(20)의 하단 1층 내지 2층에 설치되어, 서포트백(21)의 내부에는 위로 둥글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로 평편하게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는 평면팽창격막(23)이 설치되어 있어서, 목과 경추를 위로 들어 올려서 이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평면팽창격막(23)은, 서포트백(21)의 내부 상하에 격막형상으로 접합되어 내부의 공기가 양측면으로 통하는 구조이며, 서포트백(21)이 상부로 둥글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 면이 평편하게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압박백(22)은, 상기 서포트백(21)과 동일한 재질로 서포트백(21)의 절반 사이즈형상으로 서포트백(21)의 상면에 각각 고주파로 접합된 형상이며, 인체의 뒷목과 후두부 아래를 밀착 압박하는 동시에 머리 위쪽으로 팽창하여 목과 경추가 머리 방향으로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노즐1(24)은,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원통형 형상으로, 서포트백(21)의 저면에 고주파로 접합되어, 상기 프레스펌프(30)에서 발생된 공기를 경추견인백(20)으로 주입시키고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한편, 도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1)의 프레스펌프(30)는, 에어발생부(33), 에어배출부(34) 및 배출버튼(35), 스프링(36), 에어노즐2(37)를 포함한다.
이때, 에어발생부(33)는,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재질의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구체 형상이며, 손으로 누르면 공기가 발생되어 경추견인백(10)과 흉추견인백(52)으로 유입되어 목과 경추 및 등과 흉추를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에어배출부(34) 및 배출버튼(35)과 스프링(36)은, 경추견인백(10)과 흉추견인백(52)으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배출버튼(35)은, 플라스틱 재질로 에어배출부(34)의 상부에 연결되어, 손으로 누르면 공기가 배출되는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스프링(36)은, 금속재질로서 배출버튼(35)의 아래에 결속되어, 배출버튼(35)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에어노즐2(37)는, 에어배출부(34)의 하부에 형성되고, 경추견인백(10)과 연결되는 연결호스(38)가 체결되어 공기통로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조립된 헤드베이스(10)와 백베이스(50)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1)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백베이스(50)는, 흉추견인백(52), 평면팽창격막(53) 및 에어노즐3(54), 백베이스커버(51)를 포함한다.
이때, 흉추견인백(52)은, PU, PP, PE 등 합성수지재의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 및 타원형의 비닐주머니형상이며, 여러 층으로 형성된 흉추견인백(52)의 내부에는 위로 둥글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로 평편하게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는 평면팽창격막(53)이 설치되어 있어서, 등과 흉추를 위로 평편하고 편하게 들어 올려서 척추교정과 성장장애를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평면팽창격막(53)은, 흉추견인백(52)의 각층, 내부 상하에 격막형상으로 접합되어 내부의 공기가 양측면으로 통하는 구조이며, 흉추견인백(52))이 상부로 둥글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 면이 평편하게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에어노즐3(54)은,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원통형 형상으로, 흉추견인백(52)의 저면에 고주파로 접합되어, 상기 프레스펌프(30)에서 발생된 공기를 흉추견인백(52)으로 주입시키고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백베이스커버(51)는, 일반 베게에 사용되는 신축성 있는 천 재질 또는 자연친화적인 나무의 원액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직조한 모달원단 및 텐셀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백베이스커버커버(51)는, 전기적 도전(導電)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미세 전기가 접촉되면 전기가 활성화되는 바이오마그네틱 및 그래핀 성분 등이 함유된 기능성원단의 백베이스커버(51)를 통하여, 인체의 생체전기를 활성화시켜서, 고혈압, 당뇨 및 치매의 원인인 기억력감퇴를 초래하는 혈액순환장애의 개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1)의 작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목과 경추 및 등과 흉추를 견인하는 핵심 기능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10 : 헤드베이스
11 : 후두안착부
12 : 경추지지부
13 : 귀안착홈
14 : 견인백삽입가이드홈
15 : 견인백내장홈
16 : 연결호스매립홈
20 : 경추견인백
21 : 서포트백
22 : 압박백
23 : 평면팽창격막
24 : 에어노즐1
30 : 프레스펌프
31 : 펌프폼캡
32 : 펌프내장홈
33 : 에어발생부
34 : 에어배출부
35 : 배출버튼
36 : 스프링
37 : 에어노즐2
38 : 연결호스
50 : 백베이스
51 : 백베이스커버
52 : 흉추견인백
53 : 평면팽창격막
54 : 에어노즐3

Claims (6)

  1. 견인치료와 압박마사지 기능 및 수면 시에 인체의 머리부위를 받쳐주며, 견인치료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경추견인백을 내장하고, 경추견인백에 공기를 주입하는 프레스펌프가 장착된 것으로서, 통상의 탄성 있는 재질의 사각면체 또는 타원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헤드베이스;와
    상기 헤드베이스의 내부에 내장되고, 여러 층이 연결되어 공기가 통하는 비신축성 재질의 내부가 비어있는 에어튜브 형상으로, 견인치료와 압박마사지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경추견인백;과
    상기 헤드베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경추견인백에 연결되어, 손으로 눌러 경추견인백에 공기를 공급하여 인체 목과 경추부위의 상승하강 및 압박세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프레스펌프;와
    상기 헤드베이스의 프레스펌프와 연결되고, 여러 층이 연결되어 공기가 통하는 비신축성 재질의 내부가 비어있는 에어튜브 형상으로, 척추교정과 자세교정 및 키성장장애 개선 기능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흉추견인백;과
    상기 흉추견인백을 내장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쿠션 있는 합성섬유 재질의 사각면체 또는 타원면체 커버 형태로 형성되는 백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레스펌프는,
    헤드베이스의 내면 일측에 조성된 펌프내장홈에 장착되며, 통상의 플라스틱 및 합성고무 재질의 속이 빈 원형구 및 타원형구 형상으로, 손으로 눌러서 목과 경추를 견인하는 경추견인백과 등과 흉추를 견인하는 흉추견인백에 공기를 주입하는 역할을 하는 에어발생부; 및
    상기 에어발생부의 측면에 위치하여, 손으로 눌러서 경추견인백과 흉추견인백의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에어배출부;와
    상기 에어배출부의 상부와 연결되고 헤드베이스의 상부 상면에 위치하며, 통상의 플라스틱 및 합성고무 재질로, 손으로 누르면 각 견인백의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배출버튼;과
    상기 배출버튼의 하부에 결합되어, 통상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배출버튼을 손으로 누를 시에 상승 복귀 역할을 하는 스프링; 및
    에어배출부의 하단 저면에는 연결호스가 체결되는 에어노즐;과
    상기 에어노즐에 체결되고 각 견인백의 에어노즐과도 연결 체결되어, 각 견인백의 공기통로 역할을 하는 고무재질의 연결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2. 견인치료와 압박마사지 기능 및 수면 시에 인체의 머리부위를 받쳐주며, 견인치료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경추견인백을 내장하고, 경추견인백에 공기를 주입하는 프레스펌프가 장착된 것으로서, 통상의 탄성 있는 재질의 사각면체 또는 타원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헤드베이스;와
    상기 헤드베이스의 내부에 내장되고, 여러 층이 연결되어 공기가 통하는 비신축성 재질의 내부가 비어있는 에어튜브 형상으로, 견인치료와 압박마사지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경추견인백;과
    상기 헤드베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경추견인백에 연결되어, 손으로 눌러 경추견인백에 공기를 공급하여 인체 목과 경추부위의 상승하강 및 압박세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프레스펌프;와
    상기 헤드베이스의 프레스펌프와 연결되고, 여러 층이 연결되어 공기가 통하는 비신축성 재질의 내부가 비어있는 에어튜브 형상으로, 척추교정과 자세교정 및 키성장장애 개선 기능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흉추견인백;과
    상기 흉추견인백을 내장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쿠션 있는 합성섬유 재질의 사각면체 또는 타원면체 커버 형태로 형성되는 백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흉추견인백은,
    프레스펌프를 이용하여 원하는 높이의 공기를 흉추견인백에 주입하면, 여러 층으로 형성된 흉추견인백의 내부에 격막형상으로 형성되며 견인백이 위로 둥글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로 평편하게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는 평면팽창격막; 및
    흉추견인백의 하단 1층 내지 3층으로 형성되어, 등과 흉추를 들어서 기본적인 견인과 이완하는 역할을 하며, 경추견인백에 의하여 머리 방향으로 견인되는 목과 경추의 C자 꺽임과 견인강도 효과를 효율적으로 상승시켜, 뒤틀린 척추와 자세를 교정하고 키성장장애를 개선하는 효과를 배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서포트백;과
    흉추견인백에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통로 입구 역할을 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베이스는,
    견인치료 및 수면 시에 인체의 목 경추부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헤드베이스의 상부 전면에 굴곡된 평편한 형상으로 형성된 경추지지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의 내부에, 견인치료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경추견인백이 내장되는 직사각 공간 형상의 견인백내장홈;과
    상기 견인백내장홈의 좌우 일측에, 직사각 공간 형상으로 경추견인백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역할의 견인백삽입가이드홈;과
    상부 중앙에는, 사용인이 정면으로 누웠을 때 보다 편안함과 아늑하게 뒷머리 후두부를 받쳐주는 후두안착부; 및
    상부 양측에는, 사용인이 옆으로 누울 시에 옆얼굴과 귀부위의 편안함을 제공하는 역할의 귀안착홈;과
    저면 일측에는, 연결호스가 매립될 수 있게 형성된 연결호스매립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견인백은,
    프레스펌프를 이용하여 원하는 높이와 압박세기의 공기를 경추견인백에 주입하면, 여러 층으로 형성된 경추견인백의 내부에 형성되며 견인백이 위로 둥글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로 평편하게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는 평면팽창격막; 및
    경추견인백의 하단 1층 내지 2층에 형성되어, 목과 경추를 위로 들어 올려서 직접적인 견인과 이완 역할을 하는 서포트백;과
    상기 서포트백의 상부에 연결되어 목근육과 경추 및 후두부 아래의 혈자리에 직접적인 압박마사지를 진행하는 동시에, 머리 위쪽으로 팽창하여 목과 경추를 머리 방향으로 견인하는 역할을 하는 압박백;과
    경추견인백에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통로 입구 역할을 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베이스는,
    통상의 신축성 천재질의 일반원단과 인체의 생체전기를 활성화 하는 마그네틱, 그래핀, 구리 등의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원단을 사용하여, 인체의 등과 흉추부위를 견인하여 척추교정 및 성장장애 개선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흉추견인백을 감싸서 탄성과 쿠션감 있게 지지하는 역할의 백베이스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KR1020230087906A 2023-07-06 2023-07-06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KR102632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906A KR102632417B1 (ko) 2023-07-06 2023-07-06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906A KR102632417B1 (ko) 2023-07-06 2023-07-06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417B1 true KR102632417B1 (ko) 2024-01-31

Family

ID=8971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906A KR102632417B1 (ko) 2023-07-06 2023-07-06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41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715B1 (ko) 2006-11-29 2007-12-26 주식회사 남영물산 높이가 자동 조절되는 베개
KR20080075263A (ko) 2007-02-12 2008-08-1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에어 셀을 이용한 베개의 높이 조절 장치
KR20090031201A (ko) * 2007-09-20 2009-03-25 오석관 다중의 구조를 갖는 베개
KR20100124613A (ko) 2009-05-19 2010-11-29 송득영 코골이 방지용 베개
KR101643545B1 (ko) 2016-04-06 2016-07-28 김수형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KR20180063577A (ko) * 2016-12-02 2018-06-12 김양수 코골이 및/또는 수면무호흡 방지 베개
KR101935722B1 (ko) 2018-05-18 2019-04-03 김수형 일체형기능베개
KR102086307B1 (ko) 2019-12-20 2020-03-06 김수형 신체 이완마사지 기기
KR102178703B1 (ko) 2020-04-14 2020-11-13 김수형 목 이완마사지 및 코골이 방지 수면유도기기
KR102406918B1 (ko) 2021-06-29 2022-06-10 김수형 수면장애, 혈액순환 개선기능을 겸비한 목경추정형베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715B1 (ko) 2006-11-29 2007-12-26 주식회사 남영물산 높이가 자동 조절되는 베개
KR20080075263A (ko) 2007-02-12 2008-08-1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에어 셀을 이용한 베개의 높이 조절 장치
KR20090031201A (ko) * 2007-09-20 2009-03-25 오석관 다중의 구조를 갖는 베개
KR20100124613A (ko) 2009-05-19 2010-11-29 송득영 코골이 방지용 베개
KR101643545B1 (ko) 2016-04-06 2016-07-28 김수형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KR20180063577A (ko) * 2016-12-02 2018-06-12 김양수 코골이 및/또는 수면무호흡 방지 베개
KR101935722B1 (ko) 2018-05-18 2019-04-03 김수형 일체형기능베개
KR102086307B1 (ko) 2019-12-20 2020-03-06 김수형 신체 이완마사지 기기
KR102178703B1 (ko) 2020-04-14 2020-11-13 김수형 목 이완마사지 및 코골이 방지 수면유도기기
KR102406918B1 (ko) 2021-06-29 2022-06-10 김수형 수면장애, 혈액순환 개선기능을 겸비한 목경추정형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722B1 (ko) 일체형기능베개
KR101643545B1 (ko)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JP3181658U (ja) 熟眠用整形枕
KR102406918B1 (ko) 수면장애, 혈액순환 개선기능을 겸비한 목경추정형베개
JP6855670B2 (ja)
KR101077885B1 (ko)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KR101474820B1 (ko)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JPH10503403A (ja) 頭部及び首部の厚さ可変な頚部枕
US20120073057A1 (en) Pillow having structurally varying core and cover
KR101630386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KR200484005Y1 (ko) 기능성 라텍스 베개
KR100795271B1 (ko) 베어 등목 베개
KR200483101Y1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102632417B1 (ko) 척추교정 및 수면장애 개선기능을 겸비한 높이조절 키성장베개
KR20090011511U (ko) 미용, 지압 교정 베개
CN202919716U (zh) 磁疗定型易筋枕
KR20180004993A (ko) 지압기능이 있는 경추치료용 롤링마사지 베개
CN201123611Y (zh) 组合式枕具
KR20090047078A (ko) 후두부 양측을 받쳐주어 목경추부 정형이 되는 베개
CN107157226A (zh) 一种仿生护颈气囊枕头
KR100591744B1 (ko) 자세교정용 매트
CN204351483U (zh) 凹形力学颈椎康复枕头
CN209004368U (zh) 一种组合脊椎曲度牵引器
RU30532U1 (ru) Подушка ортопедическа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