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481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481B1
KR102631481B1 KR1020160121803A KR20160121803A KR102631481B1 KR 102631481 B1 KR102631481 B1 KR 102631481B1 KR 1020160121803 A KR1020160121803 A KR 1020160121803A KR 20160121803 A KR20160121803 A KR 20160121803A KR 102631481 B1 KR102631481 B1 KR 10263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creens
display device
image
in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760A (ko
Inventor
김혜숙
정순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481B1/ko
Priority to CN201780058665.XA priority patent/CN109792560B/zh
Priority to EP17853401.2A priority patent/EP3479587A4/en
Priority to JP2019513962A priority patent/JP2019529992A/ja
Priority to PCT/KR2017/010294 priority patent/WO2018056687A1/en
Priority to US15/712,384 priority patent/US10692471B2/en
Publication of KR2018003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4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the reformatt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only on part of the stream, e.g. a region of the image or a time seg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06F3/1462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remot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입력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도록 상기 입력영상을 변환한 출력영상으로서, 상기 입력영상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강조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 표시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스크린에 대해서도 영상의 손실이 적도록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스크린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중 디스플레이 기술은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처럼 사용 가능하도록 운용하는 기술이다.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를 배치하고 연결하는 형태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이 모여 형성하는 전체 스크린의 모양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이 놓인 행과 열이 빠짐없이 모두 채워져 있는 사각형 형태가 전형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전체 스크린이 이루는 형태가 반드시 사각형 형태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체 스크린의 형태가 전형적인 사각형 모양일 경우 위 스크린에 영상을 표시하는 데에 큰 문제는 없다. 스크린에 표시할 영상도 대부분 스크린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태를 띠고 있으므로, 전체 스크린의 가로 길이나 세로 길이에 맞추어 영상을 출력하면 영상의 손실 없이 전체 스크린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스크린이 이루는 형태가 비전형적일 경우, 그리고 위 스크린에 사각형 형태의 영상을 표시하고자 할 경우, 전체 스크린의 형태가 사각형일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체 스크린의 가로 길이나 세로 길이에 맞추어 영상을 출력하면, 스크린의 형태와 영상의 형태가 서로 다름에 따라 영상 중 스크린에 표시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영상 중 표시되지 않는 부분이 그 영상에서 중요한 부분일 경우 문제의 심각성은 커진다.
그렇다고 전체 스크린 영역 중 가장 큰 크기의 사각형 디스플레이 영역을 찾아 출력하는 것은, 해당 영역 외의 다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사용하지 않게 되어 비효율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복수의 스크린에 대해서도 영상의 손실이 적도록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중 중요한 영역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복수의 스크린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입력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도록 상기 입력영상을 변환한 출력영상으로서, 상기 입력영상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강조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 표시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스크린에 입력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입력영상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영상 손실이 적도록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서의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점유 정도,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대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근접도 및 상기 영역이 표시된 스크린이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에서 갖는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입력영상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복수의 스크린에 더욱 크게, 중앙에 근접하게 또는 중요한 스크린 위에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입력영상의 스케일링 및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 대한 상기 입력영상의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영상을 상기 출력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스케일링 및 상기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선택영역의 강조도가 최대가 되도록 선택영역을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한 영상별로, 상기 각 영상의 중앙부를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케일링 및 상기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출력영상을 보다 빠르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입력영상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중요도는 상기 입력영상에서의 상기 각 영역의 크기, 위치 및 표시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중요도가 높은 영역을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케일링 및 상기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선택영역 중 중요한 부분이 더욱 강조되어 스크린에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입력영상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출력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입력영상의 상기 일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한 영역과 다른 영역의 사이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더욱 높은 강조도를 갖도록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스크린을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도록 상기 입력영상을 변환한 출력영상으로서, 상기 입력영상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강조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스크린에 입력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입력영상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영상 손실이 적도록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서의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점유 정도,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대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근접도 및 상기 영역이 표시된 스크린이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에서 갖는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입력영상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복수의 스크린에 더욱 크게, 중앙에 근접하게 또는 중요한 스크린 위에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영상의 스케일링 및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 대한 상기 입력영상의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영상을 상기 출력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일링 및 상기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선택영역의 강조도가 최대가 되도록 선택영역을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한 영상별로, 상기 각 영상의 중앙부를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케일링 및 상기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출력영상을 보다 빠르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영상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중요도는 상기 입력영상에서의 상기 각 영역의 크기, 위치 및 표시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중요도가 높은 영역을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케일링 및 상기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결정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선택영역 중 중요한 부분이 더욱 강조되어 스크린에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영상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출력영상으로 변환 할 수 있다.
상기 입력영상의 상기 일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한 영역과 다른 영역의 사이의 영상을 포함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더욱 높은 강조도를 갖도록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스크린에 대해서도 영상의 손실이 적도록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중 중요한 영역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복수의 스크린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조도 결정 요소인, 선택영역의 스크린 점유 정도와 스크린 중앙부 접근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조도 결정 요소인, 선택영역이 표시된 스크린의 중요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조도 계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영상 변환 방법인 스케일링 및 위치 이동에 있어서, 각 변환 범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처리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처리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처리 과정의 다른 예에 의한 영상별 강조도 계산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조도 결정 요소인, 선택영역의 주요도의 일 예 및 이를 반영한 강조도 계산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처리 과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TV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모바일 폰, 컴퓨터, 멀티미디어 재생기, 전자액자, 디지털 광고판, LFD(Large Format Display), 싸이니지, 셋탑박스, 스마트워치,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이하 ‘HMD’라고도 함)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냉장고 등의 스마트가전을 포함해, 수신된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스크린(110)을 포함한다. 각 스크린(111-114)은 서로 독립하여 각자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스크린처럼 복수의 스크린(110) 전체가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각 스크린(111-114)은 서로 별개의 디스플레이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디스플레이모듈 내에서 서로 구별되어 제어되는 영역일 수도 있다. 복수의 스크린(110)은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각 스크린(111-114)마다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속해있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각 스크린들(111-114)을 통합 제어하는 또 다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있을 수도 있고, 아니면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 없이도, 각 디스플레이장치를 블록처럼 자유롭게 하나씩 연결해 가는 과정에서,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들 중 전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동적으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스크린(111-114)이 배치되고 연결되는 형태에 따라, 복수의 스크린이 형성하는 전체 스크린(110)의 모양은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각 스크린(111-114)이 놓인 행과 열이 빠짐없이 모두 채워져 있는 사각형 형태뿐만 아니라, 도 3의 (a), (b), (c), (d)와 같이 자유로운 형태를 띨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영상(120)을 수신한다. 입력영상은 변환을 거쳐 복수의 스크린에 표시될 영상으로서, 방송프로그램, 이미지, 동영상, 3D 영상, 360/VR(Virtual Reality) 영상 등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는 영상이라면 무엇이라도 가능하고 영상의 내용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영상을 수신하는 경로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영상은 통신부나 튜너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에서 수신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장치 내부의 저장소에서 읽어올 수도 있다. 입력영상의 형태에 있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 및 이하에서는 입력영상이 사각형 형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스크린(110)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도록 입력영상(120)을 변환한 출력영상(103)을 복수의 스크린에 표시한다(104). 복수의 스크린(110)이 다양한 형태를 띨 수 있으므로, 입력영상(120)이 복수의 스크린에서(110)도 잘 표시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크린(110)의 형태에 맞게 변환하는 것이다. 입력영상(120)을 출력영상(103)으로 변환하는 방법으로는 입력 영상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이하 '스케일링'이라 함), 복수의 스크린(110)에 대한 입력영상의 위치 이동 등이 가능하다. 변환방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입력영상(120)을 출력영상(103)으로 변환함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영상(12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121-123)(이하 '선택영역'이라 함)의 강조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입력영상(120)을 출력영상(103)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선택영역(121-123)은 입력영상(120)의 일부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스크린에서도 그 강조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표시되기를 희망하여 선택된 영역이다. 선택영역(121-123)은 복수의 스크린(110)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도록 입력영상(120)을 변환한 출력영상(103)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선택영역(121-123)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선택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예를 들어 입력영상 내 각 객체의 크기, 위치, 표시빈도 등을 고려하여 위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강조도란, 출력영상(103)이 표시된 복수의 스크린(110) 내에서, 선택영역(121-123)이 두드러지게 표시된 정도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에게 잘 보이는 정도를 말한다. 강조도의 결정 요인 또는 평가 요인으로는, 입력영상 또는 선택영역 내 영상의 내용이나 종류, 사용자의 취향이나 선호도, 영상 표시의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요인이 가능하다. 강조도의 일 예로는, 복수의 스크린에서의 선택영역의 점유 정도,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대한 선택영역의 근접도 및 선택영역이 표시된 스크린이 복수의 스크린 중에서 갖는 중요도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이상의 요인에 의해 계산된 출력영상(103)에서의 선택영역(121-123)의 강조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입력영상을 변환한다. 소정값은 출력영상(103)에서의 선택영역(121-123)의 강조도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기를 희망하는지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선택 가능한 다수의 출력영상 중에서 강조도가 최대가 되도록 입력영상을 변환한 출력영상을 선택하고 싶은 경우, 미리 결정된 특정값이 아니라 '최대값'으로 소정값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정값은 디스플레이장치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며, 서버 등의 외부장치를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 결과를,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a)와 같은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스크린(110)에 도 1 (b)와 같은 입력영상(120)을 표시하는 예에 있어서, 본 실시예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도 1 (a)의 복수의 스크린(110)은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더 긴 형태이므로, 복수의 스크린(110)의 세로 길이에 맞추어 입력영상(120)을 변환(101)하여 출력하면, 복수의 스크린(110)에 표시되는 영상은 102와 같게 된다.
반면, 도 1 (a) 형태의 복수의 스크린(110)과 도 1 (b)의 입력영상(120)에 있어서, 본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본 실시예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선택영역 및 선택영역의 강조도가 고려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도 1 (b)의 ①, ②, ③과 같은 선택영역(121-123)(이하 각 '선택영역 1', '선택영역 2', '선택영역 3'이라 함)이 선택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선택영역(121-123)의 강조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입력영상(120)을 변환(103)하여 출력하면, 복수의 스크린(110)에 표시되는 영상은 104와 같게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어 표시된 104 영상과 본 실시예가 적용되지 않고 표시된 102 영상을 비교하면, 본 실시예가 적용되지 않은 결과인 102 영상의 경우 선택영역 1(121)의 얼굴의 일부가 잘려서 표시되고 선택영역 3(123)은 아예 표시되지 않은 반면, 본 실시예가 적용된 결과인 104 영상의 경우는 선택영역 1(121)의 얼굴은 잘린 부분 없이 표시되고 선택영역 3(123)의 일부도 표시가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스크린에 입력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입력영상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영상 손실이 적도록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조도 결정 요소의 예시 및 그에 따른 강조도 계산의 예시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조도 결정 요소인, 선택영역의 스크린 점유 정도와 스크린 중앙부 접근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a)가 선택영역의 스크린 점유 정도에 관한 도면이다. 도 1 (b)에서와 마찬가지로 입력영상(120) 내의 3개의 선택영역(121-123)이 선택되었을 경우, 각 선택영역이 전체 스크린을 점유하는 정도가 강조도를 결정하는 한 요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의 스크린을 점유하는 경우를 1이라고 하여 선택영역이 전체 스크린을 점유하는 정도를 측정하면, 도 2 (a)에서 각 선택영역(121-123)이 전체 스크린(110)을 점유하는 정도는 각각 1, 1/4, 1/3이라 할 수 있다.
도 2 (b)는 선택영역의 스크린 중앙부 근접도에 관한 도면이다. 도 1 (b)에서와 마찬가지로 입력영상(120) 내의 3개의 선택영역(121-123)이 선택되었을 경우, 각 선택영역이 전체 스크린의 중앙부에 근접하는 정도가 강조도를 결정하는 한 요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체 스크린 중앙부에 가장 근접한 경우를 1, 가장 먼 경우를 0으로 하여 선택영역이 전체 스크린의 중앙부에 근접한 정도를 측정하면, 도 2 (b)에서 각 선택영역(121-123)의 스크린 중앙부 근접도는 각각 0.5, 0.9, 0.4라 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스크린의 중앙부는 전체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가장 집중되는 영역의 하나의 예시로서, 그 외에 사용자의 시선이 집중될만한 위치를 기준으로 삼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조도 결정 요소인, 선택영역이 표시된 스크린의 중요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수의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전체 스크린 중에서 각 스크린이 차지하는 중요도를 계산하는 방법은 각 스크린의 크기, 위치, 해상도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할 것이나, 도 3에서는 각 스크린에 인접한 스크린의 수에 의해 측정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즉, 해당 스크린의 주위에 연결된 스크린의 수가 많을수록 해당 스크린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 (a)의 경우, 스크린 111에 인접한 스크린은 112 하나뿐이므로 스크린 111의 중요도는 1이 된다. 반면, 스크린 112에 인접한 스크린은 스크린 111과 113 두 개 이므로 스크린 112의 중요도는 2가 된다. 같은 방법으로 스크린 113과 114의 중요도를 계산하면 각각 2와 1이 된다.
도 3 (b) 내지 (d)는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에 있어서, 도 3 (a)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각 스크린의 중요도를 계산하여 그 계산값을 각 스크린의 중앙에 기재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조도 계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강조도 결정 요인으로 예시를 든, 선택영역의 스크린 점유 정도, 스크린 중앙부 근접도 또는 해당 선택영역이 표시된 스크린의 중요도 각각만으로 강조도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고, 위 결정 요인 모두를 함께 고려하여 중요도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위 결정 요인 모두를 함께 고려하여 중요도를 계산하는 예를 나타낸다. 전체 스크린의 형태, 입력영상, 선택영역 및 출력영상의 예시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고, 각 선택영역의 스크린 점유 정도 및 스크린 중앙부 근접도를 측정한 결과인 도 4 (a), (b)는 도 2에서와 같다. 각 스크린의 중요도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각 선택영역이 표시된 스크린의 중요도를 계산한 예시는 도 4 (c)가 도시한다. 선택영역 1(121)의 경우, 선택영역 1에서 전체 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된 영역 중 위쪽 2/3은 스크린 113에 표시되고 나머지 1/3은 스크린 114에 표시되었고, 스크린 113과 114의 중요도는 각각 2와 1이므로, 선택영역 1이 표시된 스크린의 중요도는 (2/3 x 2) + (1/3 x 1) = 5/3이 된다. 선택영역 2(122)와 선택영역 3(123)의 경우 화면에 표시된 부분은 모두 중요도가 2인 스크린에 표시되었으므로, 선택영역 2와 3이 표시된 스크린의 중요도는 각각 2가 된다.
위와 같이 계산된 각 선택영역별의 스크린 점유 정도, 스크린 중앙부 근접도 및 해당 선택영역이 표시된 스크린의 중요도를 모두 곱하여 각 선택영역별 강조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선택영역별 강조도를 모든 선택영역에 대하여 합하면 출력영상(401)에 대한 전체 선택영역의 강조도를 도출할 수 있다. 도 4 (d)가 위와 같은 도출과정을 나타낸다. 위와 같이 선택영역의 강조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각 선택영역별의 스크린 점유 정도, 스크린 중앙부 근접도 및 해당 선택영역이 표시된 스크린의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할 경우, 해당 선택영역이 복수의 스크린에 더욱 크게, 중앙에 근접하게 또는 중요한 스크린 위에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입력영상을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영상의 스케일링 및 복수의 스크린에 대한 입력영상의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영상을 상기 출력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위 스케일링과 위치 이동 각각에 있어서 일정한 변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가 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복수의 스크린(110)과 같이 전체 스크린의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긴 경우를 가정한다.
도 5 (a), (b)는 각각 입력영상에 대한 스케일링의 상한과 하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체 스크린의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길 경우, 변환된 영상의 세로 길이가 전체 스크린의 세로 길이보다 길어지는 정도까지는 스케일링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변환된 영상의 세로 길이가 전체 스크린의 세로 길이보다 길어지는 정도까지 변환할 경우, 변환된 영상이 가로 세로 모든 면에서 전체 스크린보다 커지게 되므로 도 5 (a)를 상한으로 설정하여 그 이상 스케일링 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변환된 영상의 가로 길이가 전체 스크린의 가로 길이보다 짧아지는 정도까지 스케일링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변환된 영상의 가로 길이가 전체 스크린의 가로 길이보다 짧아지는 정도까지 변환할 경우, 전체 스크린에서 아무런 영상도 표시하지 않는 유휴 영역의 범위가 지나치게 넓어지게 되므로 도 5 (b)를 하한으로 설정하여 그 이하의 크기로 스케일링 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 (c), (d)는 각각 입력영상 위치 이동의 양 끝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수의 스크린에 대한 입력영상의 위치를 이동하는 변환에 있어서, 도 5 (c)와 같이 변환된 영상의 상변 끝단과 우변 끝단이 각각 전체 스크린의 상변 끝단과 우변 끝단과 일치하는 상태를 위치 이동의 좌상단 끝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 (c)보다 더 위쪽이나 더 왼쪽으로 가면 유휴 영역이 범위가 지나치게 넓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5 (d)와 같이 변환된 영상의 하변 끝단과 좌변 끝단이 각각 전체 스크린의 하변 끝단과 좌변 끝단과 일치하는 상태를 위치 이동의 우하단 끝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 (d)보다 더 아래쪽이나 더 오른쪽으로 가면 유휴 영역이 범위가 또 지나치게 넓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입력영상을 출력영상으로 변환함에 있어서 위와 같이 스케일링과 위치 이동 각각에 있어서 일정한 변환 범위를 설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스케일링 및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출력영상에서 선택영역의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출력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이하 '출력영상탐색작업'이라 함).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입력영상을 수신하여 출력영상을 복수의 스크린에 표시하기까지의 전체적인 처리 과정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우선 복수의 스크린의 배치 형태를 인식한다(S601).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영상 중 강조도를 산출할 영역인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한다(S602). 위 영역의 선택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디스플레이장치는 스케일링 및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선택영역의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출력영상을 결정한다(S603). 스케일링과 위치 이동이 변환 범위 내인 모든 변환 영상에 대하여 강조도를 계산하여 비교하는 방법에 의해 출력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출력영상이 결정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결정된 출력영상에 맞도록 입력영상을 출력영상으로 변환한다(S604). 그리고 변환된 출력영상을 복수의 스크린에 표시한다(S605). 이에 의하면, 선택영역의 강조도가 최대가 되도록 선택영역을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위 처리과정을, 특히 출력영상탐색작업을 보다 빠르게 처리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스케일링과 위치 이동의 변환 범위 내의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지 않더라도, 선택영역을 기반으로 출력영상탐색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출력영상탐색작업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 7이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의 스크린의 배치형태를 인식하고(S701), 입력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는 것(S702)은 앞서 본 도 6의 예와 동일하다. 다른 부분은 S703 단계, 즉 선택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한 영상별로, 각 영상의 중앙부를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케일링 및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선택영역의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출력영상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출력영상을 결정함에 있어서, 선택영역의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출력영상을 결정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스케일링과 위치 이동의 변환 범위 내의 모든 경우의 수를 다 탐색하지 않더라도, 선택영역을 중심으로 탐색을 시작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영상과 선택영역이 도 1 (b)와 같은 경우, 각 선택영역의 조합별로 이를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출력영상탐색작업을 시작함으로써 출력영상탐색작업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먼저, 선택영역 1만을 포함한 부분 영상, 선택영역 2만을 포함한 부분 영상, 선택영역 3만을 포함한 부분 영상, 선택영역 1과 2를 포함한 부분 영상, 선택영역 2와 3을 포함한 부분 영상, 선택영역 1, 2, 3을 포함한 부분 영상 각각에 대하여, 각 영상의 중앙부를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위치시킨다. 이 위치에서 시작하여, 각 영상이 복수의 스크린을 초과하거나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스케일링과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각 영상마다 해당 영상에 포함된 선택영역의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출력영상인 출력영상 후보를 결정한다. 이 후 각 출력영상 후보들 중에서 선택영역의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출력영상을 결정한다.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면, 스케일링과 위치 이동의 범위 내의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는 것과 비교하여 탐색의 수가 줄어들어 처리 속도도 빨라진다.
위와 같이 도 7에 나타난 방법에 따라 각 영상별 강조도를 계산하여 출력영상을 결정하는 보다 구체적인 예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a)는 선택영역 1, 2, 3을 포함한 부분 영상을 기반으로 출력영상탐색작업을 수행하여 결정한 출력영상 후보 1, 도 8 (b)는 선택영역 1, 2을 포함한 부분 영상을 기반으로 출력영상탐색작업을 수행하여 결정한 출력영상 후보 2, 도 8 (c)는 선택영역 2, 3을 포함한 부분 영상을 기반으로 출력영상탐색작업을 수행하여 결정한 출력영상 후보 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 출력영상 후보 1, 2, 3 중 출력영상으로 결정되는 영상은 선택영역의 강조도가 최대인 영상이다. 이는 각 출력영상 후보에 대하여 선택영역의 강조도를 계산하고 이를 서로 비교하여 결정 가능하다.
선택영역의 강조도를 선택영역의 스크린 점유 정도와 스크린 중앙부 근접도 및 선택영역이 표시된 스크린의 중요도를 모두 곱하여 계산할 경우, 각 출력영상 후보 1, 2, 3에 대한 선택영역의 강조도를 계산한 과정 및 결과는 각각 도 8 (a), (b), (c)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8의 경우, 선택영역 1, 2, 3의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것은 출력영상 후보 2이므로, 이를 출력영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선택영역의 중요도를 더 반영하여 각 선택영역의 강조도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영역의 중요도란, 해당 선택영역이 입력영상에서 얼마나 주요한지,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은 어느 정도인지, 다른 선택영역과 비교하여 입력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들이 갖는 관심도가 어느 정도인지 등을 수치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선택영역의 중요도는 다양한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을 것이고, 일 예로는 입력영상 내에서의 각 선택영역의 크기, 위치 또는 표시빈도 등이 가능하다.
도 9가 선택영역의 중요도를 더 반영하여 각 선택영역의 강조도를 계산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a)에서 볼 수 있듯이, 입력영상(120)과 선택영역(121-123)이 도 1 (b)와 같은 경우, 각 선택영역(121-123)은 입력영상인 드라마 영상의 등장인물들이므로, 해당 드라마에서 각 인물이 주인공인지, 그 인물의 배역이 드라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인지, 해당 입력영상 내에서 각 선택영역이 크기는 어떠한지 등을 바탕으로 각 선택영역의 중요도를 부여할 수 있다. 도 9 (a)는 중요도의 최고치를 1, 최저치를 0으로 하여 각 선택영역의 중요도를 부여한 예로서, 선택영역 1, 2, 3의 중요도는 각각 0.9, 0.7, 0.5가 부여된 예를 나타낸다. 선택영역 2(122)의 경우 선택영역 3(123)보다 입력영상(120)에서 차지하는 크기는 작지만, 드라마 내에서의 인물의 비중이 더 크게 평가되어 중요도가 더 높게 부여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9 (b)는 입력영상(120)이 변환된 출력영상(901)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9 (c)는 위 출력영상(901)에 대하여 선택영역의 중요도를 더 포함하여 선택영역의 강조도를 계산하는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앞서 도 4에서 선택영역별 스크린 점유 정도, 스크린 중앙부 근접도, 선택영역이 표시된 스크린의 중요도를 반영하여 선택영역의 강조도를 계산한 예에서, 선택영역의 중요도를 더 반영하여 선택영역의 강조도를 계산한 것으로서, 그에 따라 선택영역의 강조도 계산 결과가 달라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선택영역 중 중요한 부분이 더욱 강조되어 스크린에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앞서 도 7에서 선택영역에 기반하여 출력영상탐색작업의 속도를 향상하는 방법을 설명했듯이, 선택영역의 중요도에 기반하여 출력영상탐색작업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이 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수의 스크린의 배치 형태를 인식하고(S1001), 입력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S1002)는 도 6 및 도 7과 동일하나, 도 10에서는 각 선택영역의 중요도를 계산하는 단계(S1003)가 추가된다. 그리고 스케일링과 위치 이동의 모든 변환 범위 내에서 출력영상탐색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영역 중 중요도가 높은 영역을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케일링 및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강조도가 최대가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결정(S1004)하는 점에서 도 6 및 도 7과 차이가 있다. 선택영역 중 중요도가 높은 영역이 출력영상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스케일링되고 위치 이동 되는 것이 선택영역의 강조도를 높이는데 기여하므로, 강조도가 클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서부터 출력영상탐색작업을 시작하고, 중요도가 높은 영역이 복수의 스크린을 벗어나는 범위는 탐색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등의 방법을 통해 출력영상탐색작업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영역 중 중요도가 가장 높은 하나의 영역에 대해서만, 이를 출력영상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 후 출력영상탐색작업을 수행하여 바로 출력영상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선택영역 중 중요도의 순서로 각 영역을 출력영상의 중앙 부분에 위치시킨 후 각각에 대하여 출력영상탐색작업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얻어진 출력영상후보들 중 최종 출력영상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입력영상에 대한 변환 방법으로는 앞서 설명한 스케일링과 위치 이동 외에, 입력영상의 일부를 제거하여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거할 입력 영상의 일부는, 하나의 선택영역과 다른 선택영역 사이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두 선택영역 사이의 영상을 제거하는 방법을 통하여 입력영상을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입력영상을 전경과 배경으로 나누었을 때 배경이 전경에 비하여 전체 영상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크게 낮은 경우, 예를 들어, 선택영역이 모두 3D 객체이고 배경은 큰 의미가 없는 경우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전경에서 선택된 선택영역 중에서 스크린에 표시되지 않는 손실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선택영역 사이의 배경 중 일부를 제어하는 변환을 통하여 중요도가 낮은 배경 대신 중요도가 높은 전경이 보다 많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선택영역이 더욱 높은 강조도를 갖도록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수신부(1101), 처리부(1102), 디스플레이부(110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구성과는 다른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11에 도시된 구성 중 어느 하나가 배제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고, 회로나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수신부(1101)는 입력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영상수신부(1101)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tuner)를 구비할 수 있다. 튜너는 복수의 채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1)는 셋탑박스, DVD, PC 등과 같은 영상처리기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처리부(1102)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신호처리를 포함해 입력영상에 대한 각종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를 수행하는 부분은 처리부(1102) 내부에 존재할 수도 있고 처리부(1102)와는 별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처리부(1102)는 제어 및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 시에 디스플레이장치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처리부(1102)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입력영상을 수신하도록 영상수신부(1101)를 제어한다. 또한, 복수의 스크린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도록 입력영상을 변환한 출력영상으로서, 입력영상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강조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는 출력영상을 복수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3)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103)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3)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5)는, 액정 방식인 경우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3)는, 백라이트 유닛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처리부(1102)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처리부(1102)는 스크린 연결 감지부(1201), 스크린 배치 형태 인식부(1202), 영역 선택부(1203), 출력영상 판단부(1205), 출력영상 표시부(1209)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 선택부(1203)는 영역 중요도 판단부(1204)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영상 판단부(1205)는 출력영상탐색부(1206), 강조도 계산부(1207), 출력영상 결정부(120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영상 표시부(1209)는 영상변환부(121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연결 감지부(1201)는 스크린이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감지한다. 스크린 배치 형태 인식부(1202)는 전체 스크린의 배치 형태가 어떤 형태를 띠고 있는지를 인식한다. 영역 선택부(1203)는 입력영상 내에서 선택영역을 선택하며, 영역 중요도 판단부(1204)를 포함하여 입력영상에서 각 선택영역이 차지하는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출력영상 판단부(1205)는 선택영역의 강조도를 바탕으로 출력영상을 판단한다. 출력영상 판단부(1205)가 출력영상탐색부(1206)와 강조도 계산부(1207), 출력영상 결정부(1208)를 포함할 경우, 출력영상탐색부(1206)는 스케일링과 위치 이동의 소정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가변시키면서 출력영상을 탐색하고, 강조도 계산부(1207)는 각 출력영상 후보별로 강조도를 계산하며, 출력영상 결정부(1208)는 각 출력영상 후보 중에서 하나의 출력영상을 결정한다. 출력영상 표시부(1209)는 결정된 출력영상을 복수의 스크린에 표시한다. 출력영상 표시부(1209)가 영상변환부(1210)를 포함할 경우, 영상변환부(1210)는 입력영상을 결정된 출력영상에 맞게 변환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영상을 수신한다(S1301). 그리고, 복수의 스크린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도록 입력영상을 변환한 출력영상으로서, 입력영상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강조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는 출력영상을 복수의 스크린에 표시한다(S1302).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며, 본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110: 복수의 스크린
111 - 114: 각 스크린
120: 입력영상
121 - 123: 선택영역
1101: 영상수신부
1102: 처리부
1103: 디스플레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입력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도록 상기 입력영상을 변환한 출력영상으로서, 상기 입력영상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의 합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 표시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는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대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근접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상기 입력영상 내 각 객체의 크기, 위치, 또는 표시빈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서의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점유 정도, 또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이 표시된 스크린 각각이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에서 갖는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입력영상의 스케일링 및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 대한 상기 입력영상의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영상을 상기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스케일링 및 상기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의 합이 최대가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한 영상별로, 상기 각 영상의 중앙부를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케일링 및 상기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의 합이 최대가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입력영상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중요도에 더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중요도는 상기 입력영상에서의 상기 각 영역의 크기, 위치 및 표시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중요도가 높은 영역을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케일링 및 상기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의 합이 최대가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입력영상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의 상기 일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한 영역과 다른 영역의 사이의 영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복수의 스크린을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입력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도록 상기 입력영상을 변환한 출력영상으로서, 상기 입력영상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의 합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는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대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근접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상기 입력영상 내 각 객체의 크기, 위치, 또는 표시빈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되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서의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점유 정도, 또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이 표시된 스크린 각각이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에서 갖는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영상의 스케일링 및 상기 복수의 스크린에 대한 상기 입력영상의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영상을 상기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일링 및 상기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의 합이 최대가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한 영상별로, 상기 각 영상의 중앙부를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케일링 및 상기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의 합이 최대가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영상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중요도에 더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중요도는 상기 입력영상에서의 상기 각 영역의 크기, 위치 및 표시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중요도가 높은 영역을 상기 복수의 스크린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케일링 및 상기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정도를 점차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의 강조도의 합이 최대가 되는 상기 출력영상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영상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출력영상으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의 상기 일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한 영역과다른 영역의 사이의 영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121803A 2016-09-23 2016-09-2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3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803A KR102631481B1 (ko) 2016-09-23 2016-09-2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1780058665.XA CN109792560B (zh) 2016-09-23 2017-09-20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17853401.2A EP3479587A4 (en) 2016-09-23 2017-09-20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9513962A JP2019529992A (ja) 2016-09-23 2017-09-20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CT/KR2017/010294 WO2018056687A1 (en) 2016-09-23 2017-09-20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712,384 US10692471B2 (en) 2016-09-23 2017-09-2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803A KR102631481B1 (ko) 2016-09-23 2016-09-2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760A KR20180032760A (ko) 2018-04-02
KR102631481B1 true KR102631481B1 (ko) 2024-02-01

Family

ID=6168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803A KR102631481B1 (ko) 2016-09-23 2016-09-2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92471B2 (ko)
EP (1) EP3479587A4 (ko)
JP (1) JP2019529992A (ko)
KR (1) KR102631481B1 (ko)
CN (1) CN109792560B (ko)
WO (1) WO2018056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1522B2 (en) * 2017-12-06 2022-11-15 Nec Corporation Image recognition model generating device, image recognition model generating method, and image recognition model generating program storing medium
CN111258524B (zh) * 2020-01-20 2023-03-24 北京淳中科技股份有限公司 拼接屏组的控制方法、装置和服务器
US11038943B1 (en) * 2020-02-11 2021-06-15 Cedar Inc. Content output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device base on web-browser
CN113010075B (zh) * 2021-04-27 2022-04-19 北京仁光科技有限公司 多信号源窗口交互方法、系统、可读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5767176A (zh) * 2021-09-06 2023-03-07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用于显示墙系统的影像处理装置及播放控制方法
WO2023074669A1 (ja) * 2021-10-27 2023-05-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CN115565479A (zh) * 2022-09-20 2023-01-03 杭州海康慧影科技有限公司 一种多显示屏图像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3200A (ja) * 2005-03-02 2006-09-14 Fujitsu General Ltd マルチ画面用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141424A (ja) * 2010-01-07 2011-07-21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3092735A (ja) * 2011-10-27 2013-05-16 Kyocera Corp 携帯型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6716A1 (en) * 1998-06-18 1999-12-23 Sony Electronics Inc.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artitioning, scaling and displaying video and/or graphics across several display devices
KR100556732B1 (ko) 2001-12-29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확대영역 추적방법
US20040078814A1 (en) * 2002-03-29 2004-04-22 Digeo, Inc. Module-based interactive television ticker
EG23651A (en) * 2004-03-06 2007-03-21 Ct For Documentation Of Cultur Culturama
US7519469B2 (en) * 2005-04-28 2009-04-14 Alpine Electronics, Inc.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US20060282855A1 (en) * 2005-05-05 2006-12-14 Digital Display Innovations, Llc Multiple remote display system
JP4752410B2 (ja) * 2005-09-09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80087572A (ko) * 2007-03-27 2008-10-01 (주)케이이씨디바이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및 장치
JP5194530B2 (ja) * 2007-04-09 2013-05-08 凸版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8928559B2 (en) * 2007-06-04 2015-01-06 Standardvision, Llc Methods and systems of large scale video display
WO2011116360A2 (en) * 2010-03-19 2011-09-22 G2 Technology Distribution of real-time video data to remote display devices
KR101799397B1 (ko) * 2011-08-23 2017-1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3106243A1 (en) * 2012-01-12 2013-07-18 West Kanye Omari Multiple screens for immersive audio/video experience
JP2014010263A (ja) 2012-06-29 2014-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10073667B2 (en) 2013-04-25 2018-09-11 Nec Display Solutions, Ltd. Multi-monitor and display method for multi-monitor
JP2014215604A (ja) * 2013-04-30 2014-11-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9424653B2 (en) * 2014-04-29 2016-08-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representative area of an image
CA2958701A1 (en) * 2014-08-21 2016-02-25 Klarer Freizeitanlagen Ag Water slid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JP6513963B2 (ja) * 2015-02-25 2019-05-1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KR101737089B1 (ko) * 2015-05-29 201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3200A (ja) * 2005-03-02 2006-09-14 Fujitsu General Ltd マルチ画面用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141424A (ja) * 2010-01-07 2011-07-21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3092735A (ja) * 2011-10-27 2013-05-16 Kyocera Corp 携帯型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90108A1 (en) 2018-03-29
CN109792560B (zh) 2021-11-12
WO2018056687A1 (en) 2018-03-29
CN109792560A (zh) 2019-05-21
JP2019529992A (ja) 2019-10-17
EP3479587A4 (en) 2019-07-10
EP3479587A1 (en) 2019-05-08
KR20180032760A (ko) 2018-04-02
US10692471B2 (en)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48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010373B2 (en) Display apparatus, server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ereof
US9582245B2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9980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BR112018013301B1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facilitar acesso a itens de conteúdo, e meio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CN117056622A (zh) 语音控制方法及显示设备
US2017017162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195248A1 (en) Interactive server,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707866A (zh) 用于导航基于层级式菜单的用户界面的方法和装置
KR20120057799A (ko) 휴대단말에서 사전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AU20123169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device
US103732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parameters through multiple pipelines
WO2017181597A1 (zh) 视频播放方法及装置
US20150289002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erver,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ystem for detecting information on location of channel inform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5113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70026707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broadcast content and method thereof
KR20070037919A (ko) 메뉴 가이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KR201500743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8002372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654835B2 (en) Method for display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50186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based searching
KR201401410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방법.
CN104967907A (zh) 视频播放定位的方法和系统
KR102403149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2352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user interface equipped touch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