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182B1 -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182B1
KR102631182B1 KR1020230035335A KR20230035335A KR102631182B1 KR 102631182 B1 KR102631182 B1 KR 102631182B1 KR 1020230035335 A KR1020230035335 A KR 1020230035335A KR 20230035335 A KR20230035335 A KR 20230035335A KR 102631182 B1 KR102631182 B1 KR 102631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ater level
unit
wate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경
Original Assignee
권오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경 filed Critical 권오경
Priority to KR1020230035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96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조 물탱크 또는 집수정의 크기 및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청수 또는 오염물질이 많아서 오물들로 인하여 센싱이 부정확하였으나 오수 또는 오물에도 오염되지 않고 방해받지 않으며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오물들로 인하여 손상되지 않으며 오염물질에 의한 부정확한 수위 측정을 비접촉 방식을 통하여 해결하여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외부 파이프 몸체(10)와 상기 외부 파이프 몸체(10)의 내부에 수납공(12)이 형성된 센서 몸체부(102)와; 상기 센서 몸체부(10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플랜지부(104)와; 상기 플랜지부(104)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도록 터미널 플랜지 몸체(22)를 구비하는 터미널부(106)와; 상기 센서 몸체부(102)의 수납공(12)에 삽입 설치되며 초음파 감지센서들이 고정 설치되는 센서 고정유닛부(108)와;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의 내측부에 결합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112)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는, 수직하게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유닛몸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유닛몸체(30)의 내측면부에는 다수의 내부몸체(13)와 제1 내지 제4 감지센서(50,52,54,5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는 집수정의 내부에 각종 오염물질이 있어도 파이프 내부에 비접촉식 센서를 설치하여 빠르게 수위를 감지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수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오염물질로 부터 감지센서들을 밀폐 파이프를 이용하여 보호하여 감지센서 및 수위조절장치의 내구성을 우수하게 향상시켜서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Control apparatus for water leve}
본 발명은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조 물탱크 또는 집수정의 크기 및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청수 또는 오염물질이 많아서 오물들로 인하여 센싱이 부정확하였으나 오수 또는 오물에도 오염되지 않고 방해받지 않으며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오물들로 인하여 손상되지 않으며 오염물질에 의한 부정확한 수위 측정을 비접촉 방식을 통하여 해결하여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 빌딩, 백화점, 호텔, 공동주택, 대단지 아파트는 지하 및 지상에 대형 물탱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물탱크의 수위를 수위센서를 통하여 감지하고 물의 보관량을 확인하지만 물탱크 청소 등 스케쥴에 따른 물의 보관량을 예측하지 못하고 이에 물탱크 청소 시에 물탱크를 비워야 함에 따라 많은 물을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수위조절시스템은 한 개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를 통하여 물의 양을 측정하고 수위조절장치를 무선이나 원격으로 조절하여 물이 공급되는 물탱크의 밸브를 온오프시키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건물관리시스템은 청소 용역업체의 일정에 따라서 물탱크 청소 일정을 급하게 잡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에 따라 청소 작업 시의 물탱크의 수위조절이 체계적으로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물탱크용 수위조절시스템에 관한 종래의 기술은 내부통신이나 원격으로 수위조절은 가능하지만 다수의 건물에 구비된 물탱크의 경우는 개개의 건물에 따른 물의 소비 패턴이나 특색에 따른 물의 소비량이 일정하지 않은 것에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다.
종래의 물탱크에서는 수위를 조절하는 경우에 일정한 수위를 기준으로 수위가 낮아지면 즉시 개폐밸브가 작동하기 때문에 밸브의 잦은 개폐로 인하여 기기적인 결합과 아울러 장치의 오작동을 불러 일으키고 이로 인하여 물이 모두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물이 물탱크 내로 유입되므로 물탱크 내에 물이 오염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위변화에 따라 오뚜기 볼이 부상하면서 접점을 생성하는 오뚜기 볼타입, 수위변화에 따라 전극봉간에 숏트로 접접을 생성하는 전극봉 타입, 수위변화에 따라 부레가 상승하강하며 전류의 변화를 수신기로 송신하는 플루트 타입, 수위에 따른 압력 변화를 전용 수신기로 송신하여 감지하는 압력센서 타입, 초음파를 발생하여 수면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전용 수신기로 송신하여 감지하는 초음파 방식등이 있다.
하지만, 전극식 봉센서는 정화조나 찌꺼기가 많은 곳과 습기가 많은 곳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고, 플루트 타입 센서는 정화조나 찌꺼기가 많은 곳에서는 사용이 어려웠으며, 오뚜기 볼타입은 주위의 공간이 많아야 되고 선의 경화에 따라 작동이 원할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수위조절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위조절장치는 대략적인 물의 소비량을 바탕으로 수동적인 물의 양 조절만을 수행하였고 오수 및 하수를 집수하는 집수정 내부에 다양한 오염물질들이 있는 경우에는 수위측정이 어려웠고 수위의 측정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집수정 내부의 각종 오염물질들로 인하여 비접촉 센서가 부정확한 동작을 함으로써 관리가 어려웠고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3274 호(등록 2015년 04월 13일) 한국등록특허 제10-2080250 호(등록 2020년 02월 2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탱크 또는 집수정 내부의 각종 오염물질들이 있어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파이프 내부에 비접촉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정확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염물질들로 인하여 수위측정이 부정확한 상태를 해결하고 오염물질이 있어서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집수정,하수통 또는 물탱크의 수위조절시스템에 적용하여 물 소비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여 수도비용를 아낄 수 있고 저장된 물의 수위조절 및 관리가 용이한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탱크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고수위가 되면 밸브가 자동으로 폐쇄되어 물의 공급이 끊기고 물이 배출되어 저수위가 되면 밸브가 열려서 물공급관을 통해서 물이 유입되게 함으로써 물의 오염이 적고 밸브의 개폐횟수를 정확하게 조정함으로써 기기의 고장을 방지하여 수위조절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외부 파이프 몸체(10)와 상기 외부 파이프 몸체(10)의 내부에 수납공(12)이 형성된 센서 몸체부(102)와; 상기 센서 몸체부(10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플랜지부(104)와; 상기 플랜지부(104)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도록 터미널 플랜지 몸체(22)를 구비하는 터미널부(106)와; 상기 센서 몸체부(102)의 수납공(12)에 삽입 설치되며 초음파 감지센서들이 고정 설치되는 센서 고정유닛부(108)와;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의 내측부에 결합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112)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는, 수직하게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유닛몸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유닛몸체(30)의 내측면부에는 다수의 내부몸체(13)와 제1 내지 제4 감지센서(50,52,54,5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외부 파이프 몸체(10)와 상기 외부 파이프 몸체(10)의 내부에 수납공(2)이 형성된 센서 몸체부(102)와; 상기 센서 몸체부(10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플랜지부(104)와; 상기 플랜지부(104)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도록 터미널 플랜지 몸체(22)를 구비하는 터미널부(106)와; 상기 센서 몸체부(102)의 수납공(12)에 삽입 설치되며 초음파 감지센서들이 고정 설치되도록 고정날개(34,35)를 구비하는 센서 고정유닛부(108)와;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의 고정날개(34,35)에 결합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112)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는, 수직하게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유닛몸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유닛몸체(30)의 내측면부에는 기역자(ㄱ)형상으로 이루어지고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고정날개(34,35)가 형성되며 상기 유닛몸체(30)와 고정날개(34,35) 사이에 결합홈(36,3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의 내측면부에는 가이드 유닛부(110)가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기 가이드 유닛부(110)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밴드형태의 가이드 유닛몸체(40)와;
상기 가이드 유닛몸체(40)의 좌우측부에 윙부(42,44)가 형성되고 상기 윙부(42,44)가 상기 유닛몸체(30)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는 집수정의 내부에 각종 오염물질이 있어도 파이프 내부에 비접촉식 센서를 설치하여 빠르게 감지하고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수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오염물질로 부터 감지센서들을 밀폐 파이프를 이용하여 보호하여 감지센서 및 수위조절장치의 내구성을 우수하게 향상시켜서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도면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으로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비접촉 수위조절장치가 설치된 정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를 설명하여 보면, 먼저 도 1 및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100)는, 저수조, 물탱크 또는 집수정(200)과, 상기 집수정(200)의 내측부에는 오수 또는 하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조절장치(100)가 설치된다.
상기 집수정(200)에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의 밸브(202,20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밸브(202)는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 상기 밸브(204)는 오수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정(200)의 일측부에는 상기 수위조절장치(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오수의 공급 수위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콘트롤 판넬부(206)가 설치된다.
상기 수위조절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바디부(102)와, 플랜지부(104)와, 터미널부(106)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 바디부(102)에는 다수의 감지센서들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들은 비접촉 초음파 센서로서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여 물만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물 또는 오수의 상태를 감지하여 접점을 발생하고 각 접점에 동작을 부여하여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 바디부(102)는 PVC재질의 원통형 바형태의 밀폐 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감지센서가 밀폐된 상태에서 청수, 오수, 부유물, 이물질 등에도 오염되지 않으면서도 설정 위치에서 밀폐 파이프의 바깥쪽에 있는 물 또는 오수를 감지하여 정확한 동작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먼저, 센서 몸체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 몸체부(102)는 원통형상의 바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부 파이프 몸체(10)로 형성되고, 내측부에는 센서들이 설치되는 수납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 몸체부(102)의 내측부에는 다수개의 내부몸체(13)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내부몸체(13)는 반원형상 또는 아치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일측 전면부는 완만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12)에 일착 결합되도록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안쪽의 내측면에는 결합면(15)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센서 고정유닛부(108)의 전면부와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부몸체(13)의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내부몸체(13)에는 각각의 센서들이 대응하여 연결 설치된다.
상기 외부 파이프 몸체(10)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104)가 결합 형성되는바, 상기 플랜지부(104)는, 상기 외부 파이프 몸체(10)와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플랜지 몸체(16)와, 상기 플랜지 몸체(16)의 상부에 서로 밀착 고정되는 터미널 플랜지 몸체(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 몸체(16)의 중앙부에는 상기 외부 파이프 몸체(10)가 결합되는 결합공(18)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8)의 주위에는 다수의 고정공(20)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104)의 플랜지 몸체(16)의 상부면에는 터미널부(106)가 결합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부(106)는 터미널 플랜지 몸체(22)와, 터미널 하부몸체(24)와, 터미널 상부몸체(26)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 플랜지 몸체(22)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 몸체(16)와 서로 대응하여 밀착 고정되도록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터미널 하부 몸체(24)가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상의 터미널 하부 몸체(24)의 상부에는 다각형상의 터미널 상부몸체(26)가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상부몸체(26)에는 다수의 터미널 연결부(28)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센서 몸체부(102)의 내측부에 형성된 수납공(12)에는 센서 고정유닛부(108)가 결합 설치된다.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는, 유(U)자형상의 유닛 몸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유닛몸체(30)의 내측부에는 결합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유닛몸체(30)의 외측면부에는 다수의 고정공(38)이 횡방향으로 관통된다.
상기 다수의 고정공(38)에는 다수의 고정수단(300)이 횡방향으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300)은 볼트, 피스, 리벳, 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센서 고정유닛부(108)에는 가이드 유닛부(11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유닛부(110)는 세로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밴드 타입의 가이드 유닛몸체(4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몸체(40)의 좌우측부에는 윙부(42,4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윙부(42,44)는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의 유닛몸체(30)의 내측면부에 삽입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유닛몸체(30)가 안쪽 방향으로 휘거나 좁혀지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서 상기 감지센서(112)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윙부(42,44)는 좌우측 끝단부가 뾰족한 삼각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뾰족한 삼각형상의 끝단부는 예각으로서 10도 내지 30도 범위 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10도 이하보다 적으로 경우에는 끝단부가 힘을 받지 못하고 휘어져서 고정부의 역할이 어렵고 30도 보다 클 경우에는 폭이 좁아져서 고정수단(300)과의 고정이 원할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유닛몸체(40)의 전면부에는 전면홈부(4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몸체(40)의 후면부에는 후면홈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센서고정 유닛부(108)의 전면부에는 다수의 감지센서(112)들이 결합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들(112)은 제1 센서(50), 제2 센서(52), 제3 센서(54), 제4 센서(56)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와 설치 환경 및 조건에 따라 감지센서들의 설치 수량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12)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센서 몸체(5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센서몸체(58)의 전면부에는 초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발신부(51)가 구비되고, 상기 발신부(51)는 전면방향으로 둥그렇게 형성되는 라운드형상을 갖는다.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112)들은 유닛몸체(3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1 센서(50)는 하한 경보를 감지하고, 제2 센서(52)는 급수 또는 정지 상태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3 센서(54)는 배수 또는 정지신호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4 센서(56)는 상한경보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112)들은 고정수단(300)에 의해 유닛몸체(30)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112)의 전면부에는 다수의 내부몸체(13)들이 결합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내부몸체(13)들은 가로방향의 밴드형상으로 형성된 내부몸체(13)를 상기 감지센서(112)의 전부에 부착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12)는 상기 유닛몸체(30)의 내측면부에 삽입되고 상기 감지센서(112)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서 횡방향으로 각각 유닛몸체(30)를 관통하여 상기 감지센서(112)에 체결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상기
센서 몸체부(102) 내측부에 감지센서(112)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외부 파이프 몸체(10)의 수납공(12) 내측면부에 유닛몸체(30)가 삽입되고, 거 전면부가 센서 몸체부(102)의 내면부와 밀착되도록 끼움 설치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닛몸체(30)를 하방으로 압착하면서 센서 고정 유닛부(108)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센서 고정 유닛부(108)에는 가이드 유닛부(110)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센서 고정 유닛부(108)가 안쪽으로 오므라들지 않도록 좌우측방향으로 벌려줌과 동시에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유닛부(110)의 윙부(42)와 윙부(44)는 고정수단(300)에 의해 상기 유닛몸체(3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112)는 상기 유닛몸체(30)의 내측면부에 삽입되고 고정수단(300)에 의해 관통됨과 동시에 감지센서(112)의 센서몸체(58)에 양측면부에 체결 설치된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비접촉 수위조절장치가 설치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센서 몸체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 몸체부(102)의 내측부에는 센서 고정유닛부(108)가 삽입 설치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 이격되도록 다수개의 내부몸체(15)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내부몸체(15)는 반원형상 또는 아치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일측 전면부는 완만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12)에 밀착 결합되도록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안쪽의 내측면에는 결합면(15)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센서 고정유닛부(108)의 전면부와 밀착 결합되되, 발신부(64)와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관통 결합공(19)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부몸체(17)는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내부몸체(13)에는 각각의 센서들이 대응하여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에는 가이드 유닛부(110)가 삽입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 센서고정 유닛부(108)의 전면부에는 다수의 감지센서(112)들이 결합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들(112)은 제1 센서(50), 제2 센서(52), 제3 센서(54), 제4 센서(56)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와 설치 환경 및 조건에 따라 감지센서들의 설치 수량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12)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센서 몸체(5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센서몸체(58)의 전면부에는 초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발신부(64)가 구비되고, 상기 발신부(51)는 전면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구 또는 반구형상을 갖는다.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112)들은 유닛몸체(3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1 센서(50)는 하한 경보를 감지하고, 제2 센서(52)는 급수 또는 정지 상태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3 센서(54)는 배수 또는 정지신호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4 센서(56)는 상한경보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112)들은 감지센서들의 상부와 하부에 체결되는 고정수단(301)에 의해 유닛몸체(30)에 가로방향으로 삽입 고정된다.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112)는 상기 고정수단(301)에 의해 상기 유닛몸체(30)가 좌우측면방향에서 조여지면서 가압시킴으로써 고정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내부몸체(13)들은 가로방향의 밴드형상으로 형성된 내부몸체(13)를 상기 감지센서(112)의 전부에 부착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12)는 상기 유닛몸체(30)의 내측면부에 삽입되고 상기 감지센서(112)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서 횡방향으로 각각 유닛몸체(30)를 관통하여 상기 감지센서(112)에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12)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된 발신부(64)는 상기 관통결합공(19)에 결합 고정되어 흔들림이 방지됨이 바람직하다.
도 8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센서 몸체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 몸체부(102)는 원통형상의 바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부 파이프 몸체(10)로 형성되고, 내측부에는 센서들이 설치되는 수납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 몸체부(102)의 내측부에는 내부몸체(14)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내부몸체(14)는 반원형상 또는 아치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일측면부는 완만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12)에 일착 결합되도록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안쪽의 내측면에는 결합면(15)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센서 고정유닛부(108)의 일단부와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파이프 몸체(10)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104)가 결합 형성되는바, 상기 플랜지부(104)는, 상기 외부 파이프 몸체(10)와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플랜지 몸체(16)와, 상기 플랜지 몸체(16)의 상부에 서로 밀착 고정되는 터미널 플랜지 몸체(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 몸체(16)의 중앙부에는 상기 외부 파이프 몸체(10)가 결합되는 결합공(18)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8)의 주위에는 다수의 고정공(20)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104)의 플랜지 몸체(16)의 상부면에는 터미널부(106)가 결합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부(106)는 터미널 플랜지 몸체(22)와, 터미널 하부몸체(24)와, 터미널 상부몸체(26)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 플랜지 몸체(22)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 몸체(16)와 서로 대응하여 밀착 고정되도록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터미널 하부 몸체(24)가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상의 터미널 하부 몸체(24)의 상부에는 다각형상의 터미널 상부몸체(26)가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상부몸체926)에는 다수의 터미널 연결부(28)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센서 몸체부(102)의 내측부에 형성된 수납공(12)에는 센서 고정유닛부(108)가 결합 설치된다.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는, 유(U)자형상의 유닛 몸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유닛몸체(30)의 내측부에는 결합공(3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32)의 내측면부에는 기역자(ㄱ)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대칭으로 형성된 한 쌍의 고정날개(34)(35)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날개(34)와 유닛몸체(30)의 사이에는 결합홈(3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개(35)와 유닛몸체(30)의 사이에는 결합홈(3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닛몸체(30)의 외측면부에는 다수의 고정공(38)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공(38)에는 다수의 고정수단(300)이 결합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300)은 볼트, 피스, 리벳, 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센서 고정유닛부(108)에는 가이드 유닛부(11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유닛부(110)는 세로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밴드 타입의 가이드 유닛몸체(4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몸체(40)의 좌우측부에는 윙부(42,4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윙부(42,44)는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의 유닛몸체(30)의 내측면부에 삽입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유닛몸체(30)가 안쪽 방향으로 휘거나 좁혀지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서 상기 감지센서(112)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윙부(42,44)는 좌우측 끝단부가 뾰족한 삼각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뾰족한 삼각형상의 끝단부는 예각으로서 10도 내지 30도 범위 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10도 이하보다 적으로 경우에는 끝단부가 힘을 받지 못하고 휘어져서 고정부의 역할이 어렵고 30도 보다 클 경우에는 폭이 좁아져서 고정수단(300)과의 고정이 원할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유닛몸체(40)의 전면부에는 전면홈부(4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몸체(40)의 후면부에는 후면홈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센서고정 유닛부(108)의 전면부에는 다수의 감지센서(112)들이 결합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들(112)은 제1 센서(50), 제2 센서(52), 제3 센서(54), 제4 센서(56)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와 설치 환경 및 조건에 따라 감지센서들의 설치 수량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12)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센서 몸체(58)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 몸체(58)의 좌우측부에는 고정몸체(60)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몸체(58)와 고정몸체(60)의 사이에는 결합홈(6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몸체(58)의 전면부에는 초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발신부(6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결합홈(62)에는 전술된 센서 고정 유닛부(108)의 유닛몸체(30)에 형성된 고정날개(34)가 상기 좌측부의 결합홈(62)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고정날개(35)가 상기 우측부의 결합홈(62)에 각각 끼워져서 고정됨으로써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112)들은 상하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1 센서(50)는 하한 경보를 감지하고, 제2 센서(52)는 급수 또는 정지 상태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3 센서(54)는 배수 또는 정지신호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4 센서(56)는 상한경보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센서 몸체부(102)에 감지센서(112)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외부 파이프 몸체(10)의 수납공(12) 내측면부에 유닛몸체(30)가 밀착되도록 끼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닛몸체(30)를 하방으로 압착하면서 센서 고정 유닛부(108)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센서 고정 유닛부(108)에는 가이드 유닛부(110)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센서 고정 유닛부(108)가 안쪽으로 오므라들지 않도록 좌우측방향으로 벌려줌과 동시에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유닛부(11)의 윙부(42)와 윙부(44)는 고정수단(300)에 의해 상기 유닛몸체(3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112)들은 상기 유닛몸체(30)의 내측면부에 형성된 고정날개(34) 및 고정날개(35)에 각각 끼워져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도면으로서,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9)는 다수의 센서 고정유닛부(10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112)들의 수량에 대응하여 각각 개별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상하 자유롭게 설치위치를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사용 및 설치 작업을 신속하고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청수 및 오수의 감지를 비접촉 근접 초음파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내의 기술적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외부 파이프 몸체 12 : 수납공
13,14,17 : 내부몸체 15 : 결합면
16 : 플랜지 몸체 18 : 결합공
20 : 고정공 22 : 터미널 플랜지몸체
24 : 터미널 하부몸체 26 : 터미널 상부몸체
28 : 터미널 연결부 30 : 유닛몸체
32 : 결합공 34,35 : 고정날개
36,37 : 결합홈 38 : 고정공
40 : 가이드 유닛몸체 42,44 : 윙부
46 : 전면홈부 48 : 후면홈부
50 : 제1 센서 52 : 제2 센서
54 : 제3 센서 54 : 제4 센서
56 : 제4 센서 58 : 센서몸체
60 : 고정몸체 62 : 결합홈
64 : 발신부
100 :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 102 : 센서 바디부
104 : 플랜지부 106 : 터미널부
108 : 센서 고정유닛부 110 : 가이드 유닛부
112,113 : 감지센서
200 : 집수정 202,204 : 밸브
206 : 콘트롤 판넬부

Claims (3)

  1.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외부 파이프 몸체(10)와 상기 외부 파이프 몸체(10)의 내부에 수납공(12)이 형성된 센서 몸체부(102)와;
    상기 센서 몸체부(10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플랜지부(104)와;
    상기 플랜지부(104)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도록 터미널 플랜지 몸체(22)를 구비하는 터미널부(106)와;
    상기 센서 몸체부(102)의 수납공(12)에 삽입 설치되며 초음파 감지센서들이 고정 설치되는 센서 고정유닛부(108)와;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의 내측부에 결합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112)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는,
    수직하게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유닛몸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유닛몸체(30)의 내측면부에는 다수의 내부몸체(13)와 제1 내지 제4 감지센서(50,52,54,56)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의 내측면부에는 가이드 유닛부(110)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부(110)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밴드형태의 가이드 유닛몸체(40)와;
    상기 가이드 유닛몸체(40)의 좌우측부에 윙부(42,44)가 형성되고 상기 윙부(42,44)가 상기 유닛몸체(30)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센서 고정유닛부(108)는, 유(U)자형상의 유닛 몸체(30)로 형성되고 상기 유닛몸체(30)의 내측부에는 결합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유닛몸체(30)의 외측면부에는 다수의 고정공(38)이 횡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다수의 고정공(38)에는 다수의 고정수단(300)이 횡방향으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와 같이 형성된 센서 고정유닛부(108)에는 가이드 유닛부(110)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윙부(42,44)는 좌우측 끝단부가 뾰족한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뾰족한 삼각형상의 끝단부는 예각으로서 10도 내지 30도 범위 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유닛몸체(40)의 전면부에는 전면홈부(4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몸체(40)의 후면부에는 후면홈부(48)가 형성되되,
    상기 센서고정 유닛부(108)의 결합공(30)의 중간 내측부에는 가이드 유닛몸체(110)이 고정되고, 상기 결합공(30)의 전단 내측부에는 다수의 감지센서(112)들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30035335A 2023-03-17 2023-03-17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 KR102631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335A KR102631182B1 (ko) 2023-03-17 2023-03-17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335A KR102631182B1 (ko) 2023-03-17 2023-03-17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182B1 true KR102631182B1 (ko) 2024-01-29

Family

ID=8971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335A KR102631182B1 (ko) 2023-03-17 2023-03-17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18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274B1 (ko) 2013-09-06 2015-04-22 주식회사 하이드로넷 절전형 물탱크 수위조절 시스템
KR102080250B1 (ko) 2019-07-16 2020-02-26 로지시스템(주) 조절 수위 예측 및 수위 자동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물탱크
KR102162448B1 (ko) * 2020-02-28 2020-10-06 주식회사 하이트롤 자석식 수위센싱유닛
KR102208778B1 (ko) * 2020-08-24 2021-01-28 대한센서 주식회사 배수 레벨 센서
KR102353352B1 (ko) * 2020-09-25 2022-01-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수위 측정 시스템
KR102356556B1 (ko) * 2021-02-25 2022-02-08 니브스코리아 주식회사 불감대가 제거된 수위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274B1 (ko) 2013-09-06 2015-04-22 주식회사 하이드로넷 절전형 물탱크 수위조절 시스템
KR102080250B1 (ko) 2019-07-16 2020-02-26 로지시스템(주) 조절 수위 예측 및 수위 자동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물탱크
KR102162448B1 (ko) * 2020-02-28 2020-10-06 주식회사 하이트롤 자석식 수위센싱유닛
KR102208778B1 (ko) * 2020-08-24 2021-01-28 대한센서 주식회사 배수 레벨 센서
KR102353352B1 (ko) * 2020-09-25 2022-01-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수위 측정 시스템
KR102356556B1 (ko) * 2021-02-25 2022-02-08 니브스코리아 주식회사 불감대가 제거된 수위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4516B2 (en) Leak-detecting check valve, and leak-detection alarm system that uses said check valve
DE3907209C1 (de) Vorrichtung zum Überwachen eines Leitungssystems für Fluid auf Leckstellen
MXPA03010014A (es) Deteccion de fugas en inodoro y sistema de prevencion de rebosamiento.
US20070063856A1 (en) Monitoring system for drain pipes and plumbing fixtures
US10214881B2 (en) Water loss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US9157227B2 (en) Fluid backup preven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042568B1 (ko) 양변기용 물탱크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US7336190B2 (en) Early detection and advanced warning “waste is backing up” apparatus and method
KR102631182B1 (ko) 오염방지가 가능하고 오염물질에서도 수위측정이 정확한 비접촉 수위조절장치
KR20160092734A (ko)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KR101661513B1 (ko) 안전감시기능을 갖춘 상하수도 맨홀장치
EP0358672B1 (en) Back flow blocker in sloping pipes
EP3204562B1 (en) Assembly of a sewer and a sewer blockage detection system
KR102290391B1 (ko) 배관 역류 감지 장치
EP3705895B1 (en) Urinal sensor system
KR101200040B1 (ko) 센서 일체형 수문
JP2001104689A (ja) 洗濯排水分別装置及び洗濯排水分別方法
EP3348721B1 (de) Rohrbehälter mit rückstaufunkmelder und stromspeichereinheit
CA2994117C (en) Water flow control device
JP2022100842A (ja) 配管、配管システム、配管の設置方法および管詰まりまたは溢液検出方法
CA2216989A1 (en) Flow detector
US20230351880A1 (en) Liquid level sensor and protective cover
US20070027824A1 (en) Handheld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drain pipes
JP5285938B2 (ja) 温水器用排水ホッパー
DE19831555B4 (de) Flüssigkeitsführendes Haushaltgerät mit Überwachung des Ablaufschlauch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