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024B1 -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 Google Patents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024B1
KR102631024B1 KR1020210164563A KR20210164563A KR102631024B1 KR 102631024 B1 KR102631024 B1 KR 102631024B1 KR 1020210164563 A KR1020210164563 A KR 1020210164563A KR 20210164563 A KR20210164563 A KR 20210164563A KR 102631024 B1 KR102631024 B1 KR 102631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 wire
handle
indirect live
coupled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7366A (ko
Inventor
전우영
박재준
김종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6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0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77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0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the shape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or improve g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작업환경 조성을 위한 전력선 비접촉식 간접활선작업에 사용되는 간접활선공구가 오히려 현장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간접활선공구를 지지할 수 있는 보조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에 따르면, 작업자는 체형에 맞는 손잡이 부착위치 조절 및 공구를 쥐는 방향을 전환하여 보다 편리한 자세로 장시간 작업에 신체 부담을 덜 수 있고, 그립부의 내부 직경을 조절하여 하나의 손잡이로 다양한 직경의 공구를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AUXILIARY HANDLE FOR INDIRECT LIVE WIRE TOOLS}
본 발명은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작업자 안전을 위한 전력선 비접촉식 간접활선작업시, 간접활선공구에 고정하여 작업 능률을 개선할 수 있는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간접활선 공법이란 산업재해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도입된 배전 무정전(활선) 공법으로, 전기 작업 근로자의 감전사고 위험이 큰 직접활선 대신, 절연스틱 등을 활용해 전력선 비접촉식으로 전선 절단/압축, 절연커버 설치, 충전부방호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공법이다.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전력선 비접촉식 간접활선공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간접활선스틱 등의 간접활선공구가 활용되나, 간접활선스틱에 선단공구까지 장착하면 무게가 5~10kg에 달한다. 공법 특성상 작업자는 시선을 높이 치켜들고 손을 쭉 뻗은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데, 간접활선공법을 통한 배전 공사는 일반적으로 2시간 이상 소요된다. 5~10kg의 공구를 들고 장시간 배전 작업시 공구의 하중이 목, 어깨, 팔꿈치, 손목에 집중되어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이 우려되며, 작업상 피로도가 과다하여 작업자가 간접활선공법을 기피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간접활선공법의 장점은 취하되 상기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등록특허 10-231420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간접활선공구에 고정하여 공구의 하중을 적절히 분배할 수 있고, 작업자 체형에 따라 부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작업자의 공구 파지 방향을 신체구조상 적합하게 조정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는, 막대 형상의 간접활선공구를 외주면을 따라 둘러쌀 수 있게 구비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일측 단부에 상기 그립부의 타단이 결합되는 바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바디의 타측 일단을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상부에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고정부에 분리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는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제1 그립부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그립부는, 상기 간접활선공구를 외주면을 따라 둘러싸는 면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부와 상기 간접활선공구 사이에서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그립부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부의 일단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핀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의 상기 나사산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나선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회전되면 상기 고정부가 상기 바디 내부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손잡이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는, 상기 회전축에 관통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지지대; 및 상기 바디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는 스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타측 하부 외면에 형성된 바디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대는, 상기 회전지지대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지대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톱부는, 상기 지지대홈에 일단이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기둥 형상의 제1 스토퍼; 상기 제1 스토퍼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홈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 스토퍼; 일단이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토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2 스토퍼의 상면에 결합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토퍼의 하면에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에 의하면, 간접활선공구의 하중을 작업자에게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적절히 분배하고, 작업자 체형에 따라 부착 위치를 조절하고, 공구 파지 방향이 신체구조상 적합하게 조정되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가 간접활선공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의 분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의 그립부가 고정부의 고정홈에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의 그립부에 그립부패드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의 고정부가 직선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의 회전지지대 및 스톱부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의 회전지지대 및 스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가 간접활선공구(2)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는 그립부(10), 바디(11), 고정부(12), 회전축(13), 손잡이(14) 및 수용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10)는 막대 형상의 간접활선공구(2)를 외주면을 따라 둘러쌀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립부(10)의 일단은 고정부(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그립부(10)의 타단은 바디(1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바디(11)는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립부(10)는, 그립부(10)의 일단이 고정부(12)에 결합되면, 바디(11), 고정부(12)와 함께 폐곡선을 이루고, 이 폐곡선 내부에 간접활선공구(2)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반대로, 그립부(10)의 일단이 고정부(12)에서 분리되면, 개방상태가 되어 간접활선공구(2)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는, 중력에 의해 내부의 간접활선공구(2)가 그립부(10)에서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경우를 막기 위해, 그립부(10)가 개방될 수 있는 고정부(12)가 배치된 바디(11)의 면이 중력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바디(11)에서 고정부(12)가 배치된 방향을 상방, 그 반대 방향을 하방으로 부르기로 한다.
회전축(13)은 바디(11)의 타측 일단 및 고정부(12)를 관통할 수 있게 배치되고, 손잡이(14)는 바디(11)의 타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회전축(13)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디(11)는, 바디(11)의 상부에 고정부(1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10)는 고정부(12)에 분리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될 수 있는 제1 그립부(101) 및 제1 그립부(101)와 바디(11)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은 제1 그립부(10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바디(1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그립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10)는 내면에 간접활선공구(2)가 지지되어야 하므로, 간접활선공구(2)의 형상에 따라 내면의 형상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간접활선공구(2)가 원기둥 내지 봉의 형상인 경우, 그립부(10)의 내측면은 간접활선공구(2)보다 직경이 약간 큰 원의 형태로써 간접활선공구(2)를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10)가 제1 그립부(101) 및 제2 그립부(103) 등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경우, 그러한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어 전술한 그립부(10)의 내측면 형상을 이루게 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4 내지 도 5의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회전축(13)은, 손잡이고정핀(141)에 의해 손잡이(14)와 결합될 수 있고, 회전축(13)에는 나사산(131)이 형성될 수 있는 한편, 고정부(12)에는 회전축(13)의 나사산(131)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3)은 바디(11)의 타측을 관통한 후 고정부(12)에 형성된 나선홈(122)에 결합될 수 있고, 회전축(13)이 회전되면 고정부(12)가 바디(11) 내부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이하 도 7 내지 도 8의 설명과 함께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손잡이(14)는 작업자의 그립감 향상을 위해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가 손에 쥘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14)의 가상의 길이 방향 연장선은 간접활선공구(2)의 가상의 길이 방향 연장선과 교차될 수 있다. 종래 간접활선스틱 등 간접활선공구(2)를 활용한 활선작업시, 간접활선공구(2)가 작업자의 팔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나온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는 간접활선공구(2)를 팔의 길이방향으로만 파지할 수 있었고, 간접활선공구(2)의 무게가 5~10kg으로 작업자의 손목 등을 포함한 근골격계에 상당한 부담을 주어 작업 효율을 저하시켰다. 이와 대비하여, 활선작업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를 사용하여 보조손잡이(1)의 손잡이(14)가 간접활선공구(2)와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되면, 작업자는 팔과 수직한 방향으로 손잡이(14)를 파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를 사용하면, 작업자가 간접활선공구(2)를 파지하는 각도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어, 신체구조상 종래의 파지보다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14)의 가상의 길이 방향 연장선과 간접활선공구(2)의 가상의 길이 방향 연장선은 수직방향 즉 90°에서 ±10°정도로 각도로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손잡이(14)는, 손잡이(14)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손잡이패드(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간접활선 작업자는 손잡이(14)를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패드(142)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 작업자가 손잡이를 파지할 때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떠한 소재도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패드(142)는 손잡이(14)를 직접 둘러쌀 수도 있지만, 손잡이(14)와 손잡이패드(142) 사이에 완충부재(미도시)를 배치하면 작업자가 손잡이(14)를 파지할 때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압력이 완화되어 장시간 작업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손잡이패드(142)는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1~2 cm 크기의 홈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이 더욱 안정적으로 손잡이(14)를 쥘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의 그립부(10)가 고정부(12)에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제1 그립부(101)는 고정부(12)에 직접 결합되는 구성요소로, 일단은 고정부(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 그립부(10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그립부(10)는 그립부(10)의 일단을 관통하는 고정핀(10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고정부(12)에는 고정홈(121)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핀(102)의 일부가 제1 그립부(101)의 일단을 관통할 수 있고, 제1 그립부(101)를 관통하지 않은 나머지 일부가 고정부(12)에 결합되면 그립부(10)가 고정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립부(10)가 고정부(12)에 결합되면, 그립부(10) 내부는 폐쇄되어 간접활선공구(2)를 지지할 수 있고, 제1 그립부(101)가 고정부(12)에서 분리되면, 그립부(10)가 개방되어 간접활선공구(2)에서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가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제2 그립부(103)는, 일단은 제1 그립부(101)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바디(11)의 일측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 개의 구성요소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그립부(103)는, 간접활선공구(2)가 지지되기에 충분한 개수와 크기의 구성요소로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간접활선공구(2)는 원기둥 내지 봉의 형상이므로, 제1 그립부(101) 및 제2 그립부(103)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폐쇄될 경우 원에 가까운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그립부(103)의 구성요소의 개수가 많을수록 다각형에서 원에 가까운 폐곡선이 형성될 수 있고, 더욱 안정적으로 간접활선공구(2)를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그립부(101) 및 제2 그립부(103)는 각각 양단에 연결핀(104)이 관통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그립부(101)와 제2 그립부(103) 또는 복수의 제2 그립부(103) 구성요소 상호간에는 연결핀(104)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그립부(101) 및 제2 그립부(103)를 포함하는 그립부(10)는 전체적으로 체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2)에 고정홈(121)이 복수 개로 구비되면, 제1 그립부(101)의 고정핀(102)을 각각 다른 고정홈(121)에 결합함으로써, 그립부(10) 내부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직경의 간접활선공구(2)가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의 그립부(10)에 그립부패드(105)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를 참고하면, 그립부(10)가 간접활선공구(2)를 지지하는 면에 그립부패드(105)가 부착되면, 더욱 안정적으로 간접활선공구(2)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립부패드(105)는 간접활선공구(2)와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므로, 지지하려는 간접활선공구(2)의 외주면의 일부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의 고정부(12)가 직선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손잡이(14)에 결합된 회전축(13)은, 손잡이(14)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고, 고정부(12)의 나선홈(122)에 결합되므로 회전축(13)이 회전되면 고정부(12)가 바디(11)에 형성된 수용홈(111)에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잡이(14)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부(12)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14)를 회전시켜 고정부(12)를 손잡이(14)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립부(10)는 간접활선공구(2)를 더 단단하게 조일 수 있게 되고, 반대로 고정부(12)를 그립부(1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립부(10)는, 간접활선공구(2)를 느슨하게 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잡이(14)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부(12)를 그립부(10)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립부(10)를 고정부(12)의 고정홈(121)에 결합한 후, 고정부(12)를 손잡이(14)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립부(10)를 간접활선공구(2)에 단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의 회전지지대(15) 및 스톱부(16)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의 회전지지대(15) 및 스톱부(1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의 회전지지대(15)는, 바디(11)의 타측에 배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축(13)에 관통 및 결합되어 회전축(13)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스톱부(16)는, 바디(11)의 타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바디(11)는, 타측 하부 외면에 바디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지지대(15)는,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지대홈(15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톱부(16)는, 지지대홈(151)에 일단이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기둥 형상의 제1 스토퍼(161), 제1 스토퍼(161)의 타단에 배치되고, 바디홈(112)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 스토퍼(162), 일단이 바디(11)에 결합되고, 제1 스토퍼(161)의 외주면을 따라 감싸도록 배치되며, 타단이 제2 스토퍼(162)의 상면에 결합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163) 및 제2 스토퍼(162)의 하면에 결합되는 핸들(16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3)은, 지지대고정핀(152)에 의해 회전지지대(15)와 결합되어, 회전축(13)이 회전되면 회전지지대(15)도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톱부(16)는 바디(11) 타단에서 고정부(12) 및 회전축(13)이 직선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바디(11) 타측 하부를 관통하며 직선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스토퍼(161)는 회전지지대(15)의 지지대홈(15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61)가 지지대홈(151)에 결합되면, 회전지지대(15)는 회전할 수 없고, 제1 스토퍼(161)가 지지대홈(151)에서 분리되면, 회전지지대(15)는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톱부(16)가 직선 이동됨에 따라, 제1 스토퍼(161)는 회전지지대(15)의 회전을 차단 또는 허용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기 제1 스토퍼(161)는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지대홈(151)은 제1 스토퍼가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토퍼(162)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들 수 있고, 그에 따라 바디홈(112) 또한 제2 스토퍼(162)가 수용될 수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164)은 제2 스토퍼에 결합되며 작업자가 회전시키기 쉽도록 육각형 등 다각형의 평판형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자는 핸들(164)을 조작하여 스톱부(1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스톱부(16)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2 스토퍼(162)도 회전되고, 제2 스토퍼(162)는 바디홈(112)에 180도마다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토퍼(162)가 바디홈(112)에 결합될 수 없는 각도에 위치할 경우, 스톱부(16)의 제1 스토퍼(161)가 지지대홈(151)에서 분리되고, 제2 스토퍼(162)가 바디홈(112)에 결합될 수 있는 각도로 회전되어 바디홈(112)에 결합될 경우 제1 스토퍼(161)가 지지대홈(15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핸들(164)의 조작 각도에 따라, 제1 스토퍼(161)가 지지대홈(151)에 결합 또는 분리되어 회전지지대(15)의 회전이 차단 또는 허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스토퍼(162)가 지지대홈(151)에 결합되면 제2 스토퍼(162)또한 바디홈(112)에 결합되고, 제1 스토퍼(162)가 지지대홈(151)에서 분리되면 제2 스토퍼(162)또한 바디홈(112)에서 분리되도록 크기와 형상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코일 형상의 스프링(163)은 일단이 바디(11)에 결합되고, 제1 스토퍼(161)의 외주면을 따라 감싸고, 타단이 제2 스토퍼(162)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스프링(163)은 제1 스토퍼(161)가 지지대홈(151)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변위를 탄성위치에너지가 0인 원점으로 하여, 제1 스토퍼(161)가 지지대홈(151)에서 분리될 경우, 제1 스토퍼(161)에 지지대홈(151)에 결합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스톱부(16)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163)은 바디(11) 내부에서 스톱부(16)가 외부로 분리될 경우 스톱부(16)에 가해지는 중력보다 큰 복원력을 스톱부(16)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회전지지대(15)의 회전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 핸들(164)을 조작하여 제2 스토퍼(162)가 바디홈(112)에 결합되는 각도로 회전시켜 제1 스토퍼(161)를 지지대홈(151)에 결합시킬 수 있고, 스프링(163)으로 인해 스톱부(16)는 중력에도 불구하고 중력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아,제1 스토퍼(161)는 회전지지대(15)의 회전 차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회전지지대(15)에 지지대홈(151)이 촘촘하게 복수로 구비될수록, 작업자는 다양한 회전각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유연하게 고정부(12)가 고정될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반대로 작업자가 회전지지대(15)의 회전을 허용하고자 할 경우, 바디(11)의 하부 방향으로 핸들(164)에 복원력보다 강한 힘을 가하여 제1 스토퍼(161)를 회전지지대(15)에서 분리한 후, 핸들(164)을 제2 스토퍼(162)가 바디홈(112)에 결합될 수 없는 각도로 회전시키면 회전지지대(15)가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이 때에도, 스프링(163)은 계속하여 스톱부(16)에 복원력에 가하므로, 스톱부(16)는 바디(11)쪽으로 힘을 받게 되고, 제2 스토퍼(162)는 바디홈(112)에 삽입될 수 없는 상태에서 바디(11) 하면을 누르도록 고정된다. 이때, 바디(11)의 하면과 제2 스토퍼(162)는 서로 수직항력을 가하게 되고 바디(11)와 제2 스토퍼(162)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제2 스토퍼(162)가 작업자의 의도 없이 바디홈(112)에 결합될 수 있는 각도로 회전되어 바디홈(112)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스톱부(16)의 조작으로 회전지지대(15)의 회전을 차단 또는 허용할 수 있고, 이로써 회전축(13)의 회전을 차단 또는 허용할 수 있으며, 회전축(13)의 회전각도에 따라 고정부(12)의 위치가 결정되므로, 결과적으로 작업자는 손잡이(14)의 회전을 통한 회전축(13)의 회전 및 스톱부(16)의 조작을 통해 고정부(1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먼저 손잡이(14)를 회전시켜 고정부(12)의 위치를 결정한 후, 그립부(10)를 고정부(12)에서 결합 또는 분리하고, 스톱부(16)의 조작으로 그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는 간접활선공구(2)를 간접활선공구(2)의 다양한 직경에 맞추어(핫스틱, 핸드스틱 등) 유연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1)를 간접활선공구(2)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 체형(팔길이 등)에 따라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보조손잡이: 1
간접활선공구: 2
그립부: 10
제1 그립부: 101
고정핀: 102
제2 그립부: 103
연결핀: 104
그립부패드: 105
바디: 11
수용홈: 111
바디홈: 112
고정부: 12
고정홈: 121
나선홈: 122
회전축: 13
나사산: 131
손잡이: 14
손잡이고정핀: 142
손잡이패드: 142
회전지지대: 15
지지대홈: 151
지지대고정핀: 152
스톱부: 16
제1 스토퍼: 161
제2 스토퍼: 162
스프링: 163
핸들: 164

Claims (8)

  1. 막대 형상의 간접활선공구를 외주면을 따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일측 단부에 상기 그립부의 타단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고정부에 분리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는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제1 그립부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는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가상의 길이 방향 연장선은 상기 간접활선공구의 가상의 길이 방향 연장선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간접활선공구를 외주면을 따라 둘러싸는 면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부와 상기 간접활선공구 사이에서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그립부패드;
    를 포함하는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5. 막대 형상의 간접활선공구를 외주면을 따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일측 단부에 상기 그립부의 타단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부의 일단을 관통하는 고정핀;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핀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홈;을 포함하는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손잡이패드;
    를 더 포함하는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7. 막대 형상의 간접활선공구를 외주면을 따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일측 단부에 상기 그립부의 타단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바디의 타측 일단을 관통하고,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의 상기 나사산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나선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회전되면 상기 고정부가 상기 바디 내부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관통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지지대; 및
    상기 바디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는 스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타측 하부 외면에 형성된 바디홈;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대는,
    상기 회전지지대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지대홈;
    을 포함하고,
    상기 스톱부는,
    상기 지지대홈에 일단이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기둥 형상의 제1 스토퍼;
    상기 제1 스토퍼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홈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 스토퍼;
    일단이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토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2 스토퍼의 상면에 결합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토퍼의 하면에 결합되는 핸들;
    을 포함하는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KR1020210164563A 2021-11-25 2021-11-25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KR102631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563A KR102631024B1 (ko) 2021-11-25 2021-11-25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563A KR102631024B1 (ko) 2021-11-25 2021-11-25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366A KR20230077366A (ko) 2023-06-01
KR102631024B1 true KR102631024B1 (ko) 2024-01-31

Family

ID=8677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563A KR102631024B1 (ko) 2021-11-25 2021-11-25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0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7900A (ja) * 2012-11-26 2014-06-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補助グリ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共用操作棒
JP2017163700A (ja) 2016-03-09 2017-09-14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工具用の操作補助具
JP2019161778A (ja) 2018-03-09 2019-09-19 中国電力株式会社 絶縁操作棒用補助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033B1 (ko) * 2016-09-28 2018-07-12 (주) 진흥이엔지 간접 활선을 유도하는 활선 고소차량용 다용도 절연스틱 봉
KR20200063787A (ko) * 2018-11-28 2020-06-05 한국전력공사 로터 스틱 구동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간접 활선 작업 장치
KR102314204B1 (ko) 2021-02-03 2021-10-18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 작업용 선단공구 원터치 착탈식 절연 툴 스틱 및 이의 조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7900A (ja) * 2012-11-26 2014-06-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補助グリ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共用操作棒
JP2017163700A (ja) 2016-03-09 2017-09-14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工具用の操作補助具
JP2019161778A (ja) 2018-03-09 2019-09-19 中国電力株式会社 絶縁操作棒用補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366A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1903B2 (en) Hand grip
US20100116103A1 (en) Ergonimic tool handle
WO2018048734A1 (en) Auxiliary handle attachment for a material-moving tool
KR102631024B1 (ko) 간접활선공구용 보조손잡이
US10537984B2 (en) Side handle
SE1750911A1 (en) Hand tool with self-resilient handle
US9987739B2 (en) Apparatus for sliding auxiliary handle
JP4990025B2 (ja) 万能把持スティック
US20110247646A1 (en) Electric Hair Curling Iron
KR20200004034A (ko)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장치
US20180141222A1 (en) Scissors for hairdressing
JP4889701B2 (ja) 理美容はさみ
CN207044015U (zh) 一种多用途工具钳
JP5795249B2 (ja) 間接活線用把持工具
CN205173132U (zh) 过滤器盖子
CN208575794U (zh) 一种建筑施工用碎石锤
CN207387581U (zh) 一种切割机用安全防滑手柄
CN208246673U (zh) 套筒扳手
JP5562718B2 (ja) 補助グリップ、及び当該補助グリップを装着した共用操作棒
CN207527823U (zh) 便携式热水器
CN209190552U (zh) 夹取工具
CN201483463U (zh) 一种锤子
KR20210053417A (ko)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길이변화 목발
KR102549108B1 (ko)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CN207288719U (zh) 一种钢绞线握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