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943B1 - 정밀한 측량이 가능한 이동형 측지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정밀한 측량이 가능한 이동형 측지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943B1
KR102630943B1 KR1020230054841A KR20230054841A KR102630943B1 KR 102630943 B1 KR102630943 B1 KR 102630943B1 KR 1020230054841 A KR1020230054841 A KR 1020230054841A KR 20230054841 A KR20230054841 A KR 20230054841A KR 102630943 B1 KR102630943 B1 KR 102630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und
vertical bar
fixing
sta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용
Priority to KR1020230054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척수의 작업피로도를 낮춰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전시 후시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측량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인바스타프의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인바스타프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정밀한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형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밀한 측량이 가능한 이동형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직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며 일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바코드가 형성된 인바스타프(100)와, 인바스타프(100)의 바코드를 읽어들여 높이를 구하는 전자레벨기(200)와, 인바스타프(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대차(300), 인바스타프(100)를 지면에 견고하게 안착,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밀한 측량이 가능한 이동형 측지측량장치{Mobile geodetic surveying device for precise measuring level of ground}
본 발명은 표척수의 작업피로도를 낮춰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전시 후시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측량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인바스타프의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인바스타프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정밀한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형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종 건축 관련 이벤트 또는 토목 관련 이벤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측지측량이 필수적으로 행하여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 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인바스타프(표척)와 전자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 차를 구하는 측량을 의미한다.
통상 인바스타프와 전자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척수(標尺手)가 인바스타프를 고도를 미리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에 세우고, 기계수(機械手)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 관측점에서 전자레벨기로 인바스타프의 눈금을 읽는다.
둘째, 표척수가 제1 지점으로 이동하여 인바스타프를 세우고, 기계수가 제1 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데, 여기서 지상기준점과 제1 지점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셋째, 기계수는 제1지점 뒤의 제2관측점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인바스타프를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인바스타프가 전자레벨기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 관측점에서 전자레벨기로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마지막으로, 표척수가 제2 지점으로 이동하여 인바스타프를 세우고, 기계수가 제2관측점에서 제2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 관측점에서 읽은 제1 지점과 제2 지점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인바스타프(표척)와 전자레벨기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의 인바스타프와 각 관측점에서의 전자레벨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한편, 넓은 지역을 측지측량하는 경우 표척수는 무거운 인바스타프를 들고 각 지점으로 이동해야 했기 때문에 표척수의 작업피로도가 극심하게 되고,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표척수가 걸음걸이로 거리를 가늠해 각 지점까지 이동하였기 때문에 전시/후시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이에 따라 인바스타프를 세워야 할 지점에 정확하게 설치하지 못함에 따라 측정오차가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인바스타프는 지면으로부터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그 충격이나 진동이 지지대를 통해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인바스타프가 충격을 받거나 흔들리게 되어 측정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표척수의 작업피로도를 낮춰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대차에 인바스타프를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는 정밀한 측량이 가능한 이동형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바스타프를 이용하여 전시/후시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측량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인바스타프를 지면에 고정하되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풍력 등에 의해서도 인바스타프가 흔들리지 않게 별도의 고정장비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정확한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바코드가 형성되는 수직바(110)와, 상기 수직바(110)에 설치되어 수직바(110)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140)를 구비하는 인바스타프(100); 상기 한 쌍의 지지대(140)에 각각 관통 결합되며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부(600); 상기 완충부(600)와 수직바(110)의 내측 사이를 연결하여 각 지지대(140)와 수직바(110)를 이격된 상태로 고정 및 지지하는 고정부(500); 상기 한 쌍의 지지대(140)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접지부(800); 상기 인바스타프(100)의 바코드를 읽어들여 높이를 구하는 전자레벨기(200); 및 상기 인바스타프(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대차(300);를 포함하는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바스타프(100)는, 일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바코드가 형성되고, 타면 하단부에 걸림홈(111)이 형성된 수직바(110)와, 수직바(11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무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관통홀(121)이 형성된 어댑터(120)와,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31)를 매개로 관통홀(121)에 끼워져 수직바(110)를 지지하는 금속재질의 하부고정대(130)와, 수직바(110)에 설치되어 수직바(110)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140)와, 수직바(110)와 직교되게 수직바(110)의 타면에 설치되어 수직바(110)의 수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기(1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차(300)는, 인바스타프(100)가 얹혀져 지지되되, 상면 일측에는 하부고정대(130)를 들어올릴 수 있게 요홈(311)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지지대(140)의 하단이 인입될 수 있게 지지대안착홈(312)이 형성된 판상의 베이스(310)와, 베이스(310)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타이어(320)와, 베이스(310)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손잡이(330)와, 요홈(311)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하부고정대(130)를 감싸는 호형상의 펜스부(341)와, 손잡이(330)에 인접배치되며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된 펜스부(34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수직바(110)의 하단부를 감싸 지지하며 외면에 상호 대향되게 끼움돌기(342a)가 형성된 지지부(342)와, 끼움돌기(342a)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공(343a)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수직바(110)의 걸림홈(111)으로 인입되어 수직바(110)를 탄성가압하는 고무밴드(343)로 이루어진 스타프 거치대(340)와, 베이스(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르는 원형의 휠(351)과, 휠(351)과 연결되어 휠(351)의 회전을 카운터하는 숫자표시부(352)로 이루어져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거리측정기(3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부(600)는, 그 중앙을 관통하며, 지지대(140)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지지대 삽입홀(610); 그 측면에 고정부(500)의 지지다리(7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다리 삽입홈(620); 상기 지지대 삽입홀(610) 및 지지다리 삽입홈(620)을 경계로 4개의 공동 구역을 형성하는 완충케이스(650); 및 각 공동 구역 내에 각각 형성되는 십자지지대(630)와, 각 십자지지대(630)와 완충케이스(650)의 내측을 연결하는 다수의 스프링(64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완충부(600) 및 수직바(110)와 각각 연결되는 3개의 지지다리(700); 상기 3개의 지지다리(700)가 고정삽입홈(511)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다리 고정구(510); 고정케이스(520); 상기 고정케이스(5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부 공간(540), 중앙 공간(550), 하부 공간(560)을 형성하는 工자 프레임(530); 상기 지지다리 고정구(510)에 형성되는 상부 홀(515)에 삽입되어 상부너트(512)와 결합되는 고정볼트(513); 상기 고정볼트(513)의 하부에 형성되며, 工자 프레임(530)과 연결되는 제1 스프링지지대(514); 상기 중앙 공간(550)에 형성되며, 고정케이스(520)의 내측과 工자 프레임(530) 사이에 구비되는 측부 지지대(553); 및 상기 고정케이스(5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하는 고정부 받침대(570);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 공간(540)이 형성되는 고정케이스(520)의 측부에는 다수의 공기 유로(54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공간(560)에는 유체가 주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장치에 의하면, 인바스타프를 대차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표척수가 무거운 인바스타프를 짊어지고 이동해야 했던 어려움을 해소하고,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차에 설치된 거리측정기를 이용해 각 지점으로 정확하게 이동하여 인바스타프를 세울 수 있어 전시/후시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측량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풍력,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충격 등에 의해서도 인바스타프가 흔들리지 않게 별도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강력하게 고정함으로써 정확한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고, 측정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바스타프의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다리 고정구의 예시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부의 예시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장치의 각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바스타프의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측지측량장치는 인바스타프(100)와 전자레벨기(200) 및 대차(3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무거운 인바스타프(100)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다음 표척지점으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성의 극대화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인바스타프(100)를 별도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지면에 견고하여 고정함으로써 측정 오차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인바스타프(100)는 표척지점에 세워져 높이정보를 제공하는 기구로서, 수직바(110)와 어댑터(120), 하부고정대(130), 한 쌍의 지지대(140) 및 수평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인바스타프(100)의 수직바(110)는 길이가 길고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진 금속재질의 사각형상의 바(bar)로서,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바코드, 숫자, 눈금 등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는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걸림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111)에는 고무밴드(343)가 인입되어 탄성적으로 수직바(111)를 가압하게 되며, 고무밴드(343)에 걸림홈(111)이 걸림에 따라 수직바(111)의 상하이동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120)는 고무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해 제작한 것으로서, 수직바(110)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고정대(130)의 고정돌기(131)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관통홀(121)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고정대(130)는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한 반구형상의 부재로서, 상면에는 어댑터(120)의 관통홀(12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돌기(13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하부고정대(130)는 어댑터(120)의 하부에 끼워져 수직바(110)를 지지한다. 특히, 상기 고정돌기(131)의 상단부는 반구형으로 되어 있어 수직바(110)의 하면과 점 접촉하며, 이에 따라 수직바(110)는 위치설정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140)는 수직바(110)에 설치되어 수직바(110)가 연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140)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서, 수직바(11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2개의 바(bar)를 구비하게 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대(140)는 수직바(110)와 함께 삼각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수평기(150)는 수직바(110)의 후면에 설치되어 수직바(110)와 직교를 이룬다. 상기 수평기(150)는 내부에 있는 수포를 이용해 수직바(110)를 연직으로 맞춰주기 위한 보조기구로서, 수포를 중앙에 위치한 원에 넣은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대(140)로 수직바(110)를 지지해 주게 되면 수직바(110)를 연직상태로 만들어줄 수 있다.
상기 전자레벨기(200)는 인바스타프(100)의 바코드, 숫자, 눈금 등을 읽어들여 높이를 구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대차(300)는 인바스타프(100)를 표척지점까지 이동시켜주기 위한 이동수단으로서, 베이스(310)와 복수의 타이어(320), 손잡이(330) 및 스타프 거치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10)는 얹혀진 인바스타프(100)를 지지해주는 지지판으로서, 상면 일측에는 요홈(311)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접지부안착홈(3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홈(311)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게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한 것으로, 베이스(310)의 상면에 밀착된 무거운 하부고정대(130)를 펜스부(341)로부터 손쉽게 꺼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안착홈(312)은 지지대(15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접지부(800)를 끼울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스타프 거치대(340)와 함께 인바스타프(1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타이어(320)는 베이스(310)의 하면에 4개가 설치되어 이동의 효율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타이어(320)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어 주행 중 자유롭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손잡이(330)는 표척자가 끌고 다닐 수 있게 베이스(31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타프 거치대(340)는 베이스(310)에 안착된 인바스타프(100)가 쓰러지지 않게 지지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펜스부(341)와 지지부(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341)는 호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요홈(311)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인바스타프(100)를 구성하는 하부고정대(130)를 감싸 하부고정대(13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펜스부(341) 중 손잡이(330)에 인접배치된 펜스부(341)는 맞은편의 펜스부(341)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어 있어 있는데, 이는 하부고정체(130)를 펜스부(341)의 내측으로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작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부(342)는 평면에서 본 모양이 ‘ㄷ’자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손잡이(330)에 인접배치된 펜스부(341)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인바스타프(100)를 구성하는 수직바(110)의 하단부를 감싸 수직바(110)가 손잡이(330) 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42)의 외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원추형상의 끼움돌기(342a)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끼움돌기(342a)에는 고무밴드(343)가 끼움공(343a)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무밴드(343)는 탄성 및 마찰력을 갖는 부재로서, 양단부에 마련된 끼움공(343a)을 매개로 끼움돌기(342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수직바(110)의 결함홈(111)으로 인입되어 수직바(11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수직바(11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거리측정기(350)는 공지의 워킹메타로서, 휠(351)과 숫자표시부(352)로 구성되며, 휠(351)의 회전수를 거리로 환산하여 정확한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휠(351)은 원형을 이루며 베이스(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르며, 숫자표시부(352)와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숫자표시부(352)는 휠(351)과 연결되어 휠(351)의 회전을 카운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카운터된 숫자는 베이스(110)의 상면을 통해 노출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인바스타프(100)를 대차(300)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표척수가 무거운 인바스타프(100)를 짊어지고 이동해야 했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혁신적으로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타프 거치대(340) 및 지지대안착홈(312)을 매개로 인바스타프(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과정에 인바스타프(100)가 무게중심을 잃고 쓰러지는 문제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어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310)에 마련되는 요홈(311)을 통해 베이스(310)의 상면에 밀착된 무거운 하부고정대(130)를 펜스부(341)로부터 손쉽게 꺼낼 수 있으므로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고무밴드(343)가 인바스타프(100)의 걸림홈(111)으로 인입되어 인바스타프(100)를 감싸면서 탄성가압해 줌에 따라 수직바(110)의 상하이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100)를 운반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대차(300)에 설치된 거리측정기(350)를 이용해 각 지점으로 정확하게 이동하여 인바스타프(100)를 세울 수 있게 됨에 따라 전시 후시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바스타프(100)의 한 쌍의 지지대(140)에는 완충부(600), 접지부(800)가 결합되며, 인바스타프(100)를 이용한 측량시 지면에 견고한 고정을 담보하기 위해 수직바(110) 및 한 쌍의 지지대(140) 사이에 고정부(500)가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40)에 결합되며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부(60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40)에 형성되는 완충부(600)와 수직바(110)의 내측 사이를 연결하여 각 지지대(140)를 벌어진 상태로 고정 및 지지하는 고정부(50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40)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접지부(800)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140)는 수직바(110)의 상부에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면의 굴곡에 관계없이 상단지지대(10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며, 그 끝단에는 접지부(800)가 결합되고, 각 지지대(140)의 중앙 영역에는 완충부(600)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완충부(600) 및 수직바(110)와 삽입 결합되는 3개의 지지다리(700)와, 상기 3개의 지지다리(700)가 고정삽입홈(511)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다리 고정구(510)와, 그 내부에 지면으로부터의 진동을 완화시키는 구조를 구비하는 고정케이스(520)와, 상기 고정케이스(5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하는 고정부 받침대(570)를 구비한다.
즉, 상기 고정부(500)는, 한 쌍의 지지대(140)에 끼워지는 완충부(600) 및 수직바(110)의 후면과 연결되며, 수직바(110) 및 각 지지대(140)가 형성하는 삼각형 형상의 중앙 영역에 무게 중심을 갖는 고정케이스(520) 등을 배치함으로써, 지지대(140)가 어떠한 각도로 펼쳐진 상태라도 용이하고 견고하게 지지하여 인바스타프(100)가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기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500)는, 수직바(110)와 각 지지대(140)가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케이스(520)를 지면에 안착시킨 후, 지지다리(700)를 지지다리 고정구(510)에 삽입 결합시킨 후, 그 타측을 지지대(140)가 결합되어 있는 완충부(600) 또는 수직바(110) 후면의 결합홈(미도시)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수직바(110)와 각 지지대(14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접지부(800)는 각 지지대(140)의 끝단에 장착되어 인바스타프(100)의 지면 안착 시 접지부(800)의 일측은 지면을 파고 들어가 삽입되며, 타측은 지면에 안착됨으로써 하부고정체(130)와 함께 인바스타프(100)를 지면에 강력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완충부(600)는 지지대 삽입홀(610), 지지다리 삽입홈(620), 완충케이스(650), 완충케이스 내부의 공동 구역내에 각각 형성되는 십자지지대(630)와 스프링(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완충케이스(650)는 완충부 본체를 형성하는데, 지지대 삽입홀(610) 및 지지다리 삽입홈(620)을 경계로 4개의 공동(空洞) 구역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케이스(650)는, 아크릴로니트릴고무(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20 내지 60 중량부, 가교촉진제 1 내지 5 중량부, 산화아연 1 내지 5 중량부 및 디하이드퀴놀린 3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교촉진제는 N-시클로헥실벤조티아졸-2-술펜아미드 및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가 0.5~1 : 0.5~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이고, 상기 탄성체 조성물은 황이 0.8~1.5 PHR의 함량으로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은 탄성체 조성물로 완충케이스(650)를 형성하면, 인장강도 230 ~ 240 kgf/cm2와, KSM 6518에 따른 진동절연성은 1.9~2.6의 값을 갖게 되므로, 기계적 물성,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진동/소음 대응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완충케이스(610)는, 그 중앙을 관통하는 지지대 삽입홀(61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 삽입홀(610)은 인바스타프의 지지대(140)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결과적으로 완충부(600)와 지지대(140)가 삽입 결합되게 된다(도 4b 참조).
참고로, 상기 수직바(110) 및 지지대(140)는 각각, 2.2 ~ 4.4 중량%의 니켈(Ni), 0.4 ~ 2.3 중량%의 망간(Mn), 2.1 ~ 7.9 중량%의 구리(Cu), 0.5 ~ 2.7 중량%의 텅스텐(W), 0.4 ~ 2.6 중량%의 철(Fe), 0.5 ~0.9 중량%의 크롬(Cr), 6.8 ~ 7.2 중량%의 아연(Zn), 7.1 ~ 8.8 중량%의 규소(Si), 1.8 ~ 1.9 중량%의 마그네슘(Mg) 및 잔부의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지지대(140)를 형성하면, 그 압축강도는 580MPa ~ 660MPa의 값을 가지게 되며, 연신율은 11.0% ~ 18.0%의 값을 갖게 되며, 강성, 내구성, 피로강도, 성형성 등에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게 되며, 지면으로부터의 진동, 충격에도 강한 특성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완충케이스(650)는 그 일측면에 고정부(500)의 지지다리(7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다리 삽입홈(620)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500)의 지지다리(700)는 제1 회전축(710)을 구비하여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인바스타프의 지지대(140)가 지면에 안착되면, 고정부(500)의 고정케이스(고정부 본체)를 별도로 안착시키되, 지지다리 고정구(510)에 지지다리(700)의 일측을 삽입 결합 시킨 후, 지지다리(700)의 타측을 완충부(600)의 지지다리 삽입홈(620) 또는 수직바(110) 후면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시켜서 고정부(500)로 하여금 수직바(110) 및 지지다리(200)를 흔들리지 않게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케이스(600)는 그 내부에 4개의 공동구역을 갖게 되는데, 각 공동 구역의 내부마다 각각 십자지지대(630)와 4개의 스프링(640)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동구역은 그 내부에 공기가 차 있게 되어 그 자체로도 진동, 충격에 대한 완충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지면으로부터의 진동, 충격 전달 시 각 십자지지대(630)와 완충케이스(650)의 내측을 연결하는 다수의 스프링(640)의 복원력이 작동하게 되는 바, 진동 충격 완화에 일조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다리 고정구의 예시도이다.
상기 고정부(500)는, 3개의 지지다리(700), 지지다리 고정구(510), 고정케이스(520); 工자 프레임(530), 고정볼트(513), 제1 스프링지지대(514), 측부 지지대(553) 및 고정부 받침대(5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지지다리(700)는 고정부 본체와 수직바(100) 및 완충부(60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다리(700)는 제1 회전축(710)을 구비하여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인바스타프의 각 지지대(140)가 지면에 안착되면, 고정부(500)의 고정케이스를 수직바(100) 및 각 지지대(140)의 내측 중앙 영역에 안착시키되, 지지다리 고정구(510)의 고정삽입홈(511)에 지지다리(700)의 일측을 삽입 결합 시킨 후, 지지다리(700)의 타측을 완충부(600)의 지지다리 삽입홈(620) 또는 수직바(110)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시켜서 고정부(500)로 하여금 수직바(110) 및 지지대(140)를 흔들리지 않게 지지하게 된다.
참고로, 인바스타프의 각 지지대(140)가 어떠한 각도로 지면에 안착되더라도, 지지다리(700)의 제1 회전축(710)에 의해 지지다리의 결합부위의 각도를 조절하여 완충부(600)와 결합할 수 있고, 지지다리(700)의 지지에도 용이하다.
상기 지지다리 고정구(510)는 3개의 지지다리(700)가 고정삽입홈(511)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고정케이스(520)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볼트(513)가 지지다리 고정구(510)의 상부 홀(515)에 삽입되어 상부너트(512)와 결합되도록 기능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지지다리 고정구(510)는 적어도 3개의 고정삽입홈(511)을 각 측면 및 전면에 구비하여 3개의 지지다리(200)와 결합하게 되고, 상하부를 관통하는 상부홀(515)을 구비하여, 고정케이스(520) 내부의 부품과 결합하여 고정부(500)가 일체성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다리(700) 및 지지다리 고정구(510)는 각각, 크롬(Cr) 9∼14 중량%, 텅스텐(W) 2∼4중량%, 티타늄(Ti) 0.7∼3.7 중량%, 주석(Sn) 2∼6 중량%, 몰리브덴(Mo) 2∼3 중량%, 망간(Mn) 0.8∼1.1 중량%, 철(Fe) 2∼3 중량%, 및 탄소(C) 0.1 ∼ 1 중량%, 규소(Si) 0.2∼0.3 중량% 및 잔부는 니켈(Ni)로 형성되는 고강도 및 내마모성이 향상된 니켈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니켈(Ni)과 크롬(Cr)의 합량을 조절하고, 석출 상의 분산을 위해 주석(Sn)를 첨가하고 티타늄(Ti), 탄소(C)와 규소(Si)를 소정량 첨가시킬 경우 니켈 합금의 윤활성, 내마모성, 탄성, 내식성 등이 향상되게 되며, 그 인장강도 420(N/m2) 및 항복강도 420(N/m2) 이상, 연신율 1% 미만, 내식성 0.06 gr/hr 이 되며, 통상적인 스테인레스계 소재와는 달리 마찰계수가 작아서 지지다리(700) 및 지지다리 고정구(510)가 결합 또는 해제시 반복해서 마찰되는 경우라도, 마찰면이 미려하므로 기밀성 및 결합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케이스(520)는, 일반적인 술병과 같이 목이 긴 병모양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케이스(520)는, 그 내부에 고정볼트(513), 제1 스프링지지대(514), 측부 지지대(553), 하부공간(560)에 채워지는 유체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고정케이스(520)는, 2.2 ~ 4.4 중량%의 니켈(Ni), 0.4 ~ 2.3 중량%의 망간(Mn), 2.1 ~ 7.9 중량%의 구리(Cu), 0.5 ~ 2.7 중량%의 텅스텐(W), 0.4 ~ 2.6 중량%의 철(Fe), 0.5 ~0.9 중량%의 크롬(Cr), 6.8 ~ 7.2 중량%의 아연(Zn), 7.1 ~ 8.8 중량%의 규소(Si), 1.8 ~ 1.9 중량%의 마그네슘(Mg) 및 잔부의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고정케이스(520)를 형성하면, 그 압축강도는 580MPa ~ 660MPa의 값을 가지게 되며, 연신율은 11.0% ~ 18.0%의 값을 갖게 되며, 강성, 내구성, 피로강도, 성형성 등에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게 되며, 지면으로부터의 진동, 충격에도 강한 특성을 갖게 된다.
상기 工자 프레임(530)은, 고정케이스(52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고정케이스(520)의 내부를 상부 공간(540), 중앙 공간(550) 및 하부 공간(560)으로 나누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工자 프레임(530)은, 그 단면이 '工'자 형상인 것으로, 상면과 하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工자 프레임(530)은, 아크릴로니트릴고무(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20 내지 60 중량부, 가교촉진제 1 내지 5 중량부, 산화아연 1 내지 5 중량부 및 디하이드퀴놀린 3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교촉진제는 N-시클로헥실벤조티아졸-2-술펜아미드 및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가 0.5~1 : 0.5~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이고, 상기 탄성체 조성물은 황이 0.8~1.5 PHR의 함량으로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은 탄성체 조성물로 工자 프레임(530)을 형성하면, 인장강도 230 ~ 240 kgf/cm2와, KSM 6518에 따른 진동절연성은 1.9~2.6의 값을 갖게 되므로, 기계적 물성,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진동/소음 대응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工자 프레임(530)은, 지면으로부터의 진동, 충격에 의해 상측으로 미세 이동될 수 있으며, 상부공간(540)의 공기 유로(541)들을 통한 공기의 유출입 작용과 제1 스프링지지대(514)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자리로 이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스프링지지대(514)는, 工자 프레임(53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1 스프링지지대(514)의 상부에는 고정볼트(513)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고정볼트(513)는, 지지다리 고정구(510)에 형성되는 상부 홀(515)에 삽입되어 상부너트(512)와 결합되게 되며, 이로써 고정케이스(520)와 지지다리 고정구(510)는 일체성을 갖게 된다.
상기 상부 공간(540)이 형성되는 고정케이스(520)의 측부에는 다수의 공기 유로(541)가 형성되는데, 工자 프레임(530)이 지면으로부터의 진동, 충격에 의해 상측으로 미세 이동되면, 다수의 공기 유로(541)를 통해 상부 공간(540) 속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게 되며, 제1 스프링 지지대(514)의 복원력에 의해 工자 프레임(530)이 다시 제자리를 찾아가게 되면, 다수의 공기 유로(541)를 통해 상부 공간(540)속으로 다시 공기가 유입되게 되는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부 지지대(553)는, 상기 중앙 공간(550)에 형성되며, 고정케이스(520)의 내측과 工자 프레임(530)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측부 지지대(553)는 고정케이스(520)에 내측에 접하는 바퀴(551)와, 바퀴(551)와 결하되며 工자 프레임(530)까지 연장되는 제2 스프링지지대(55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 지지대(553)는 고정부(500) 측부에 대한 풍력 등에 대해 수평 측 지지를 보강하고, 또한 工자 프레임(530)의 이동 시 고정케이스(520) 내측과의 마찰력을 부가하여 미세한 이동만을 허용하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공간(560)에는 유체가 주입된다. 이는 고정 케이스(560)의 하부에 무게 중심을 두어 고정 케이스(560)가 풍력 등에 의해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지면으로부터 진동, 충격 전달 시 그 진동,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작용에 일조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 공간(560)에 주입되는 유체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트리메틸렌글리콜 60-72 중량%,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부틸렌글리콜 25-37 중량%의 글리콜류,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0-2.0 중량%의 금속부식 방지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0-2.0 중량%의 산화방지제 및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0-4.0 중량%의 푸시톨(Fucitol)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부식방지제는 톨리트리아졸 또는 몰리브데이트 이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부틸하이드록시 아니솔 또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인 유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유체조성물로 형성된 유체는, 기존 충격 흡수 장치용 유체 대비 유체가 고무제 및 금속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물리적인 충격으로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고, 고무제 신율 변화감소 및 금속 재질에 대한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며, 노화 및 열화로 인한 고무 및 합금의 내구성 저하 및 체적변화로 인한 제품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고정부 받침대(570)는 고정케이스(5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한다. 고정부 받침대(570)는 고정케이스(520) 안착 부분이 지면과 접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양 사이드를 날개 형상으로 구성하여 지면으로부터의 충격 전달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부의 예시도이다.
상기 접지부(800)는 한 쌍의 지지대(140)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접지부(800)는 측지측량 작업을 위해 인바스타프(100)를 지면에 설치할 때, 지면에 박혀서 인바스타프(100)가 외부의 바람, 지면으로부터의 충격 등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준측량 또는 측지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발명의 접지부(800)는 각 지지대(140) 하단에 마련되는 제2 회전축(830)에 각각 제1 접지대(810)와 제2 접지대(82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접지대(810)와 제2 접지대(820)는 각각 이종 성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접지대(820)는 강성을 가진 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접지대(810)는 고무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접지대(820)는 지면에 박히는 구조가 아니고, 지면 등에 안착되는 것에 주안점을 둬서 지지대(140)를 탄력있게 지지하는 고무 탄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지대(810)는 지면 등에 박히는 구조로서, 끝단이 톱니 형상을 갖는 강성 재질로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제2 접지대(820)는, 아크릴로니트릴고무(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20 내지 60 중량부, 가교촉진제 1 내지 5 중량부, 산화아연 1 내지 5 중량부 및 디하이드퀴놀린 3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접지대(810)와 제2 접지대(820)는 각각 곡률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고, 제2 회전축(830)에 맞물리도록 결합되지 않고, 각자 결합하여 지면 안착 시 서로 다른 각도로 지면에 고정, 안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접지부(800)의 적용으로 지지대(140)가 쉽게 미끄러지는 일이 없게 되고, 인바스타프(100)가 거치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측량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장치의 각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표척수는 인바스타프(100)를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세워준다.
즉, 우선 인바스타프(100)를 구성하는 하부고정대(130)를 지상기준점(a0)에 배치한 다음 하단에 결합된 어댑터(120)를 매개로 하부고정대(130)에 수직바(110)를 세워주고, 수직바(110)에 설치된 수평기(150:도 2b 참조)를 이용하여 수직바(110)의 연직상태를 확인하면서 지지대(140)의 접지부(800)를 지면에 삽입 고정한 후, 수직바(110)와 각 지지대(140) 사이에 고정부(500)를 안착시킨 후, 각 지지다리(700)를 이용하여 완충부(600), 수직바(110)와 연결함으로써, 인바스타프(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인바스타프(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계수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전자레벨기(200)로 인바스타프(100)의 높이를 확인한다.
상기 지상기준점(a0)에서의 높이 확인이 완료되면, 표척수는 인바스타프(100)의 고정부(500)와 연결된 지지다리(700)를 완충부(600) 및 수직바(110)로부터 연결해제한 후, 고정부(500) 및 이와 연결된 3개의 지지다리(700)를 대차의 보관함(900)에 넣고, 인바스타프(100)를 대차(300)에 싣은 후 제1지점(a1)으로 이동한다.
도 8c 및 도 8d를 참조하여 상기 대차(300)에 인바스타프(100)를 싣고 내리는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대차(300)의 스타프 거치대(340) 내측으로 하부고정체(130)와 어댑터(120) 및 수직바(11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지지대(14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접지부(800)는 베이스(310)의 지지대 안착홈(312)에 삽입한다.
그리고 고무밴드(343)의 일단부를 끼움공(343a)을 매개로 일측 끼움돌기(342a)에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고무밴드(343)를 늘려 수직바(110)의 결합홈(111)이 고무밴드(343)가 인입되도록 하면서 고무밴드(343)의 타단부를 끼움공(343a)을 매개로 타측 끼움돌기(342a)에 끼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무밴드(343)가 탄성적으로 수직바(110)를 가압하면서 수직바(110)의 결합홈(111)이 고무밴드(343)에 걸리게 됨에 따라 대차로 이동하는 과정에 충격으로 인한 수직바(110)의 상하로의 이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100)를 운반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타프 거치대(340) 내측으로 삽입된 하부고정체(130)는 펜스부(341)에 의해 감싸져 움직임이 제한되고, 수직바(110)의 하단부는 지지부(342)에 의해 감싸져 움직임이 제한되며, 지지대(140)는 지지대 안착홈(312)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제한됨에 따라 안정적인 상태에서 대차(3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대차(300)를 제1지점(a1)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 거리측정기(350)에 의해 이동거리가 표시됨에 따라 표척수는 제1지점(a1)까지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지점(a1)에 도착하면 표척수는 고무밴드(343)의 일측을 끼움돌기(342a)로부터 이탈시켜 준 다음 하부고정체(130)를 제외한 수직바(110)와 지지대(140)를 수직으로 들어올려 스타프 거치대(340)로부터 분리한다.
그 다음 대차(300)의 요홈(311)으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하부고정체(130)를 들어올려 스타프 거치대(340)로부터 분리해주고, 하부고정체(130)에 어댑터(120)가 결합된 수직바(110)를 설치한 다음 수평기(150)와 지지대(140)를 이용해 수직바(110)를 연직상태로 맞춰준다.
그리고, 전술한 바대로, 수직바(110)와 각 지지대(140) 사이에 고정부(500)를 안착시킨 후, 각 지지다리(700)를 이용하여 완충부(600), 수직바(110)와 연결함으로써, 인바스타프(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인바스타프(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계수는 전자레벨기(200)를 이용해 제1지점(a1)의 높이를 확인하며,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높이 차로부터 제1지점(a1)의 고도를 구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a1)의 고도를 구한 이후에는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인바스타프(100)를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인바스타프(100)가 전자레벨기(200)를 바라보도록 하며, 기계수는 제2관측점(b2)에서 전자레벨기(200)로 제1지점(a1)의 높이를 확인한다.
그 다음 표척수는 인바스타프(100)를 대차(300)에 싣고 제2지점(a2)으로 이동하 다음 인바스타프(100)를 내려 다시 설치하고, 기계수는 제2관측점(b2)에서 제2지점(a2)의 인바스타프(100)의 높이를 확인하며,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높이 차로부터 제2지점(a2)의 고도를 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하면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장치에 의하면, 인바스타프를 대차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표척수가 무거운 인바스타프를 짊어지고 이동해야 했던 어려움을 해소하고,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풍력,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충격 등에 의해서도 인바스타프가 흔들리지 않게 별도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강력하게 고정함으로써 정확한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고, 측정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인바스타프 110: 수직바
120: 어댑터 130: 하부고정체
140: 지지대 150: 수평기
200: 전자레벨기 300: 대차
310: 베이스 320: 타이어
330: 손잡이 340: 스타프 거치대
350: 거리측정기
500: 고정부 510: 지지다리 고정구
511: 고정삽입홈 512: 상부너트
513: 고정볼트 514: 제1스프링 지지대
515: 상부 홀 520: 고정케이스
530: 工자 프레임 540: 상부 공간
541: 공기 유로 550: 중앙 공간
551: 바퀴 552: 제2스프링 지지대
553: 측부 지지대 560: 하부 공간
570: 고정부 받침대 600: 완충부
610: 지지대 삽입홀 620: 지지다리 삽입홈
630: 십자 지지대 640: 스프링
650: 완충케이스 700: 지지다리
710: 제1 회전축 800 : 접지부
810: 제1 접지대 820: 제2 접지대
830: 제2 회전축 900: 보관함

Claims (1)

  1. 일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바코드가 형성되는 수직바(110)와, 상기 수직바(110)에 설치되어 수직바(110)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140)를 구비하는 인바스타프(100);
    상기 한 쌍의 지지대(140)에 각각 관통 결합되며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부(600);
    상기 완충부(600)와 수직바(110)의 내측 사이를 연결하여 각 지지대(140)와 수직바(110)를 이격된 상태로 고정 및 지지하는 고정부(500);
    상기 한 쌍의 지지대(140)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접지부(800);
    상기 인바스타프(100)의 바코드를 읽어들여 높이를 구하는 전자레벨기(200); 및
    상기 인바스타프(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대차(300);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600)는,
    그 중앙을 관통하며, 지지대(140)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지지대 삽입홀(610); 그 측면에 고정부(500)의 지지다리(7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다리 삽입홈(620); 상기 지지대 삽입홀(610) 및 지지다리 삽입홈(620)을 경계로 4개의 공동 구역을 형성하는 완충케이스(650); 및 각 공동 구역 내에 각각 형성되는 십자지지대(630)와, 각 십자지지대(630)와 완충케이스(650)의 내측을 연결하는 다수의 스프링(64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완충부(600) 및 수직바(110)와 각각 연결되는 3개의 지지다리(700); 상기 3개의 지지다리(700)가 고정삽입홈(511)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다리 고정구(510); 고정케이스(520); 상기 고정케이스(5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부 공간(540), 중앙 공간(550), 하부 공간(560)을 형성하는 工자 프레임(530); 상기 지지다리 고정구(510)에 형성되는 상부 홀(515)에 삽입되어 상부너트(512)와 결합되는 고정볼트(513); 상기 고정볼트(513)의 하부에 형성되며, 工자 프레임(530)과 연결되는 제1 스프링지지대(514); 상기 중앙 공간(550)에 형성되며, 고정케이스(520)의 내측과 工자 프레임(530) 사이에 구비되되, 고정케이스(520)의 내측에 접하는 바퀴(551)와, 바퀴(551)와 결합되며 工자 프레임(530)까지 연장되는 제2 스프링지지대(552)로 형성되는 측부 지지대(553); 및 상기 고정케이스(5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하되, 상기 고정케이스(520) 안착 부분이 지면과 접하지 않도록 그 중앙 영역은 지면과 이격되고, 양 사이드 부분이 지면과 밀착되는 고정부 받침대(570);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 공간(540)이 형성되는 고정케이스(520)의 측부에는 다수의 공기 유로(54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공간(560)에는 유체가 주입되고,
    상기 접지부(800)는,
    상기 지지대(140)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2 회전축(830)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접지대(810)와 제2 접지대(8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지대(810)는 고무 탄성체로 형성되고, 제2 접지대(820)는 합금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지대(810)와 제2 접지대(820)는 제2 회전축(830)에 맞물리도록 결합되지 않고 각자 결합하되, 각각 곡률이 상이하게 구성되어 지면 안착 시 서로 다른 각도로 지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지측량장치.
KR1020230054841A 2023-04-26 2023-04-26 정밀한 측량이 가능한 이동형 측지측량장치 KR102630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841A KR102630943B1 (ko) 2023-04-26 2023-04-26 정밀한 측량이 가능한 이동형 측지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841A KR102630943B1 (ko) 2023-04-26 2023-04-26 정밀한 측량이 가능한 이동형 측지측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943B1 true KR102630943B1 (ko) 2024-01-30

Family

ID=8971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841A KR102630943B1 (ko) 2023-04-26 2023-04-26 정밀한 측량이 가능한 이동형 측지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9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15B1 (ko) * 2013-08-20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경사지의 수준측량 처리시스템
KR102415008B1 (ko) * 2021-11-15 2022-06-30 삼아항업(주) 기준점 측량 방법에 따라 측량 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KR102597320B1 (ko) * 2023-04-26 2023-11-02 주식회사 대용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15B1 (ko) * 2013-08-20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경사지의 수준측량 처리시스템
KR102415008B1 (ko) * 2021-11-15 2022-06-30 삼아항업(주) 기준점 측량 방법에 따라 측량 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KR102597320B1 (ko) * 2023-04-26 2023-11-02 주식회사 대용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31412A1 (en) Load cell device
CN105606357B (zh) 一种飞机静强度试验加载装置
CN108758276A (zh) 一种测绘仪器支架
CN102084211B (zh) 用于坐标测量机器的机座
CN104583047B (zh) 用于轨道车转向架的横梁
KR101934414B1 (ko) 이중 수평 조절이 가능한 정준대 및 이를 이용한 측량기기의 수평 조절 방법
KR102630943B1 (ko) 정밀한 측량이 가능한 이동형 측지측량장치
KR102597320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고정장치
CN103089244A (zh) 激光方位仪
KR101464168B1 (ko) 수준측량용 스타프 표시 장치
KR101701971B1 (ko) 교량 탄성받침의 전단변형량 측정장치
CN201926403U (zh) 一种汽车r点定位装置
US6874240B1 (en) Angle measuring and level combination device
CN103292661A (zh) 一种轨道衡安装测量器具
CN106705932B (zh) 一种军事地形学野外综合测绘装置
KR102597321B1 (ko) 지형 구조변화를 정밀하게 측량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1949785B1 (ko) 전시 후시 이동이 편리한 측지측량시스템
CN205482675U (zh) 车辆转向节减震孔端面检测装置
CN112969658A (zh) 用于具有桅杆的高空作业平台的作业平台的称重系统
KR102635208B1 (ko) 수준 표척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심도를 측정할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CN209102060U (zh) 一种建筑工程管理用测量工具
KR102238712B1 (ko) 레벨기 및 드론을 활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CN209706800U (zh) 一种工程造价水平尺
CN210981231U (zh) 一种倒尺水准观测的辅助尺套
CN211425399U (zh) 一种水利工程施工用水准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