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849B1 - 드론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드론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849B1
KR102630849B1 KR1020230154722A KR20230154722A KR102630849B1 KR 102630849 B1 KR102630849 B1 KR 102630849B1 KR 1020230154722 A KR1020230154722 A KR 1020230154722A KR 20230154722 A KR20230154722 A KR 20230154722A KR 102630849 B1 KR102630849 B1 KR 10263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opening
loading unit
unit
dr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전혜원
Original Assignee
캠핑플레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캠핑플레인(주) filed Critical 캠핑플레인(주)
Priority to KR102023015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8Multilevel-deck construction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7Charging when not in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90Launching from or landing on platforms
    • B64U70/92Portable platforms
    • B64U70/93Portable platforms for use on a land or nautical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64U80/8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by vehicles
    • B64U80/86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층에 복수의 드론을 적재할 수 있는 드론 적재부와, 드론 적재부를 개폐하되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드론 적재부의 1층에 적재된 복수의 드론이 수직 이착륙 가능한 이착륙 공간을 제공하는 개폐부와, 개폐부를 구동하여 드론 적재부를 개폐하는 구동부와,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드론 적재부의 1층에 적재된 복수의 드론을 이착륙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드론 트레일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론 트레일러{DRONE TRAILER}
본 발명은 드론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거의 매년 수십 건의 산불 화재가 발생하면서 심각한 생태적 파괴 및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의 원인은 대부분 산림에서 발생하는 자연 발화, 낙뢰에 의한 연소로, 산림에는 가연물 및 비교적 높은 산소 함량이 채워져 있으므로, 산불이 발생하면 번지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진화하기 어려워 사람들의 생명과 재산에 큰 위협을 초래한다.
산림의 면적이 크기 때문에 초기 발화점을 즉각적으로 발견하고 진화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이는 화재가 일정한 규모에 도달하여야만 사람들이 발견할 수 있다. 이 때, 화재를 진화시키는 것은 큰 대가를 지불하고, 또 이미 큰 손실을 초래한 생태가 된다.
현재, 산림 감시원들은 주기적인 순찰을 통해 상대적으로 이른 발화 지점을 발견할 수 있으며, 드론의 사용이 결합하여 순찰 효율 및 순찰 면적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인공에 대한 의존성이 너무 크고, 드론의 항속 시간이 짧아 화재 감시 구역에 제약이 있다. 즉, 매우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는 효과적인 화재 감시가 불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론을 통해 화재 감시를 구현할 수 있어 화재 발화점을 적시에 발견할 수 있고,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드론의 자동 충전 및 환류 항로를 구현하여 장시간 야외 감시 작업에 적응할 수 있는 드론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이 센싱한 이미지, 열화상 이미지, 공기 중의 연기 농도를 이용하여 화재 위험 또는 화재 발화 지점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후속 화재 예방, 화재 진압에서 정확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는 드론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일러가 드론을 보관 및 충전 가능하고 드론의 위치 및 경로를 지정할 수 있고 드론의 자율 주행이 가능한 드론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드론이 복수의 층에 적재된 경우, 하부 층에 적재된 드론을 이착륙 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하부층에 적재된 드론을 수동으로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드론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층에 복수의 드론을 적재할 수 있는 드론 적재부와, 드론 적재부를 개폐하되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드론 적재부의 1층에 적재된 복수의 드론이 수직 이착륙 가능한 이착륙 공간을 제공하는 개폐부와, 개폐부를 구동하여 드론 적재부를 개폐하는 구동부와,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드론 적재부의 1층에 적재된 복수의 드론을 이착륙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드론 트레일러를 제공한다.
여기서, 개폐부는, 드론 적재부의 1층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드론 적재부의 양측면 및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는,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드론 적재부의 1층 양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개폐 부재와, 제1 개폐 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제1 개폐 부재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제2 개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 부재는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드론 적재부의 1층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 부재는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제1 개폐 부재 일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 부재는 드론 적재부의 양측면을 개폐하고, 제2 개폐 부재는 드론 적재부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 부재는 바닥면의 평탄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는 복수의 드론이 이착륙 공간에 착륙된 것에 기반하여 복수의 드론을 드론 적재부의 1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 부재는 드론 적재부가 폐쇄된 것에 기반하여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론 트레일러는, 태양광 패널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공급 받으며 복수의 드론을 충전시키는 배터리와, 복수의 드론, 구동부 및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복수의 드론과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을 통해 화재 감시를 구현할 수 있어 화재 발화점을 적시에 발견할 수 있고,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드론의 자동 충전 및 환류 항로를 구현하여 장시간 야외 감시 작업에 적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이 센싱한 이미지, 열화상 이미지, 공기 중의 연기 농도를 이용하여 화재 위험 또는 화재 발화 지점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후속 화재 예방, 화재 진압에서 정확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일러가 드론을 보관 및 충전 가능하고 드론의 위치 및 경로를 지정할 수 있고 드론의 자율 주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드론이 복수의 층에 적재된 경우, 하부 층에 적재된 드론을 이착륙 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하부층에 적재된 드론을 수동으로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의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를 설명하겠다.
트레일러는 자체 동력을 갖지 않고 다른 견인차에 이끌려 물품을 수송하는 목적을 위하여 설계된 차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복수의 드론(10)을 적재하여 산림 등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수송하기 위한 차량일 수 있다.
드론(drone)은 프로그램화된 제어 방식 또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인간의 관여 없이도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동으로 이륙과 비행 및 착륙 가능한 비행체를 의미한다.
드론은 군사용 정찰 드론부터 무인 촬영기와 무인 택배 배달 서비스 등의 통상적인 분야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 분야가 무궁무진하다. 특히, 기술의 발전에 따라 드론 자체의 무게는 가벼워졌고, 이동 거리가 늘어났으며, 각종 센서를 장착하게 됨으로써 드론의 역할은 보다 다양화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산림 등 특정 장소에 이동한 후 장시간 머물러 있을 수 있으며, 특정 장소에서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복수의 드론(10)을 이용해 화재를 감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드론 적재부(110), 개폐부(120), 구동부(130) 및 이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론 적재부(110)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층에 복수의 드론을 적재할 수 있다. 도면에는 드론 적재부(110)가 1층(111) 및 2층(11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폐부(120)는, 드론 적재부(110)를 개폐하되, 드론 적재부(110)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드론 적재부(110)의 1층(111)에 적재된 복수의 드론(10)이 수직 이착륙 가능한 이착륙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개폐부(120)는, 드론 적재부(110)의 1층(111)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드론 적재부(110)의 양측면 및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120)는, 제1 개폐 부재(121) 및 제2 개폐 부재(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개폐 부재(121)는 드론 적재부(110)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드론 적재부(110)의 1층(111) 양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개폐 부재(122)는 제1 개폐 부재(12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드론 적재부(110)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제1 개폐 부재(121)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제1 개폐 부재(121)는 드론 적재부(110)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드론 적재부(110)의 1층(111)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개폐 부재(122)는 드론 적재부(110)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제1 개폐 부재(121) 일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개폐 부재(121)는 드론 적재부(110)의 양측면을 개폐하고, 제2 개폐 부재는 드론 적재부(11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120)는, 평상 시 제1 개폐 부재(121)가 회동되어 드론 적재부(110)의 양측면을 폐쇄하고, 제2 개폐 부재(122)가 회동되어 드론 적재부(110)의 상부면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20)는, 드론(10) 이착륙 시 제2 개폐 부재(122)가 회동되어 드론 적재부(110)의 상부면을 개방하고(도 4 참조), 제1 개폐 부재(121)가 회동되어 드론 적재부(110)의 양측면을 개방할 수 있다(도 5 참조). 이 때, 제2 개폐 부재(122)는 제1 개폐 부재(121)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제2 개폐 부재(122)는 바닥면의 평탄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개폐 부재(122)는 파쇄석, 무른 땅 등에서 드론 트레일러의 무게로 수평이 달라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으며, 특히, 단시간에 적은 힘으로 드론 트레일러의 수평을 맞추며 드론 트레일러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준다.
구동부(130)는 개폐부(120)를 구동하여 드론 적재부(110)를 개폐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부(140)는 드론 적재부(110)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드론 적재부(110)의 1층(111)에 적재된 복수의 드론(10)을 제1 개폐 부재(121)에 의해 형성된 이착륙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부(140)는 복수의 드론(10)이 이착륙 공간에 착륙된 것에 기반하여 복수의 드론(10)을 드론 적재부(110)의 1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론 적재부(110)의 1층(111) 및 1층(11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개폐 부재(121) 상에는 레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부(140)는 복수의 드론(10)이 탑재된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트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트레이 하부에는 바퀴가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을 참조하면, 드론 적재부(110)의 1층(111)에 적재된 복수의 드론(10)이 이착륙 공간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복수의 드론(10)은 장애물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수직 이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복수의 층에 적재된 복수의 드론의 이착륙 공간을 확보하여 장애물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수직으로 이착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복수의 드론(10)이 복수의 층에 적재된 경우, 하부 층에 적재된 드론(10)을 이착륙 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하부층에 적재된 드론(10)을 수동으로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전술한 드론(10) 이륙 방법의 순서와 반대로 드론(10)을 착륙시키고 및 보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개폐 부재(122)는 드론 적재부(110)가 폐쇄된 것에 기반하여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태양광 패널(150)은 최대 전력이 생산될 수 있도록 태양의 위치에 따라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태양광 패널(150)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공급 받으며 복수의 드론(10)을 충전시키는 배터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드론 적재부(1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 개폐 부재(122)에 상부에 배치되는 태양광 패널(150)을 통해 전력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전력을 통해 배터리(160)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160)는 복수의 드론(10)이 드론 적재부(110)에 적재된 상태에서 복수의 드론(10)을 충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드론(10)의 충전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드론(10) 하부에는 수신 코일이 배치되고, 복수의 드론(10)이 적재된 드론 적재부(110)의 상부에는 송신 코일이 배치되어 무선으로 전력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드론(10)이 드론 적재부(110)에 적재된 상태에서 복수의 드론(10)을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드론(10) 하부 및 복수의 드론(10)이 적재된 드론 적재부(110)의 상부에 전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석은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기화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자석으로서,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자기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석에 의해 자기력을 생성되면 복수의 드론(10)을 고정시킬 수 있고, 자기력이 차단되면 복수의 드론(10)은 이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자기력을 통해 복수의 드론(10)의 착륙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10)이 드론 트레일러에 접근하면 자기력을 생성하여 드론(10)이 착륙 지점에 정확히 착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드론(10)이 착륙된 곳의 전자석의 자기력은 드론(10)에 의해 차단되지만, 드론(10)이 착륙되는 않은 곳의 전자석의 자기력은 상부로 출력되기 때문에, 드론(10)은 착륙 가능한 지점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복수의 드론(10), 구동부(130) 및 이동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복수의 드론(10) 이륙 시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걔폐부(120)를 회동시켜 드론 적재부(110)를 개방하고, 이동부(140)를 제어하여 드론 적재부(110)의 1층에 적재된 복수의 드론(10)을 이착륙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복수의 드론(10) 착륙 시 이동부(140)를 제어하여 이착륙 공간에 착륙된 복수의 드론(10)을 드론 적재부(110)의 1층(111)으로 이동시키고,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개폐부(120)를 회동시켜 드론 적재부(110)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복수의 드론(10)과 통신 가능한 통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드론(10)은 화재 감시에 필요한 적외선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드론(10)이 이륙하면 복수의 드론(10)은 해당 장소에서 화재 감시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고, 화재 감시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를 통신부(18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드론(10)을 통해 화재 감시를 구현할 수 있어 화재 발화점을 적시에 발견할 수 있고,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드론(10)의 자동 충전 및 환류 항로를 구현하여 장시간 야외 감시 작업에 적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드론(10)이 센싱한 이미지, 열화상 이미지, 공기 중의 연기 농도를 이용하여 화재 위험 또는 화재 발화 지점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후속 화재 예방, 화재 진압에서 정확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트레일러는, 트레일러가 드론(10)을 보관 및 충전 가능하고 드론(10)의 위치 및 경로를 지정할 수 있고 드론(10)의 자율 주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드론 적재부
120: 개폐부
130: 구동부
140: 이동부
150: 태양광 패널
160: 배터리
170: 제어부
180: 통신부

Claims (10)

  1.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층에 복수의 드론을 적재할 수 있는 드론 적재부;
    상기 드론 적재부를 개폐하되, 상기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드론 적재부의 1층에 적재된 복수의 드론이 수직 이착륙 가능한 이착륙 공간을 제공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를 구동하여 상기 드론 적재부를 개폐하는 구동부; 및
    상기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드론 적재부의 1층에 적재된 상기 복수의 드론을 상기 이착륙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드론 적재부의 1층 양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개폐 부재; 및
    상기 제1 개폐 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개폐 부재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제2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드론 트레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드론 적재부의 1층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드론 적재부의 양측면 및 상면을 개폐하는
    드론 트레일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부재는
    상기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드론 적재부의 1층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드론 트레일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부재는
    상기 드론 적재부가 개방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개폐 부재 일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론 트레일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부재는
    상기 드론 적재부의 양측면을 개폐하고,
    상기 제2 개폐 부재는
    상기 드론 적재부의 상면을 개폐하는
    드론 트레일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부재는
    상기 바닥면의 평탄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드론 트레일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드론이 상기 이착륙 공간에 착륙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드론을 상기 1층으로 이동시키는
    드론 트레일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부재는
    상기 드론 적재부가 폐쇄된 것에 기반하여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드론 트레일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공급 받으며 상기 복수의 드론을 충전시키는 배터리;
    상기 복수의 드론,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드론과 통신 가능한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드론 트레일러.
KR1020230154722A 2023-11-09 2023-11-09 드론 트레일러 KR10263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4722A KR102630849B1 (ko) 2023-11-09 2023-11-09 드론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4722A KR102630849B1 (ko) 2023-11-09 2023-11-09 드론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849B1 true KR102630849B1 (ko) 2024-01-29

Family

ID=89716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4722A KR102630849B1 (ko) 2023-11-09 2023-11-09 드론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8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5105B (zh) * 2022-04-11 2023-03-24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移动式旋翼无人机蜂群机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5105B (zh) * 2022-04-11 2023-03-24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移动式旋翼无人机蜂群机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1209B2 (en) Pod cover system for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 (UAV)
US6955324B2 (en) Laser-tethered vehicle
US10112700B1 (en) Multi-mode mobility micro air vehicle
US20200055613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safety and functionality of craft having one or more rotors
CN110740932A (zh) 提高具有一个或多个旋翼的飞行器的安全性和功能性的系统、方法和装置
KR101817280B1 (ko)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US20150136897A1 (en) Aircraft, preferably unmanned
CN204415724U (zh) 一种巡逻侦察无人飞行器系统
US20170240062A1 (en) System, method and station for docking unmanned vehicles
US11975224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ontrolled net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6274626A (zh) 可变视场高度的地面机器人
US8536501B2 (en) Virtually attached node
CN110624189B (zh) 无人机机载灭火弹装置、消防无人机以及发射控制方法
CN212332970U (zh) 无人机机载灭火弹装置、消防无人机
KR102630849B1 (ko) 드론 트레일러
KR102202585B1 (ko) 자동리프트장치가 구비된 드론
US10331132B2 (en) Remotely controlled robot
KR20210013682A (ko) 물체들의 저소음 배송을 위한 드론
CN107905835A (zh) 一种复合构型的井下救援机器人及其救援方法
KR101796477B1 (ko) 비종속 비행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
CN207380555U (zh) 面向自主搬运任务的无人机系统
KR102009637B1 (ko) 재난 및 비상상황 시 구호활동을 하는 드론
KR102288514B1 (ko) 고층 건축물 외벽의 화재 방지용 드론 제어 시스템
KR101864266B1 (ko) 멀티로터 타입의 회전익 무인비행체 시스템
CN113570838A (zh) 一种适用于超长隧道的飞行式情报平台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