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713B1 - 커튼봉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커튼봉용 지지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0713B1 KR102630713B1 KR1020220088346A KR20220088346A KR102630713B1 KR 102630713 B1 KR102630713 B1 KR 102630713B1 KR 1020220088346 A KR1020220088346 A KR 1020220088346A KR 20220088346 A KR20220088346 A KR 20220088346A KR 102630713 B1 KR102630713 B1 KR 1026307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curtain
- central pipe
- support
- compres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4—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 A47H1/142—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for supporting ro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2—Adjustable mountings
- A47H1/122—Adjustable mountings for curtain rod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봉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 방식으로 고정되는 커튼봉의 중간 부분을 무타공으로 견고히 지지하여 커튼 이동에 따른 떨림을 방지하면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커튼박스 내에서 커튼박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커튼봉을 가로지르게끔 커튼박스의 마주하는 양측벽에 고정되고 커튼봉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관 형태를 이루며 커튼박스의 양측벽 간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된 중심관과, 중심관의 양단을 통해 각각 인출되게끔 중심관과 결합되는 제1 압착봉 및 제2 압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튼봉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 방식으로 고정되는 커튼봉의 중간 부분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커튼봉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은, 창문의 앞에 달아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거나 외부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등의 용도로 쓰인다. 커튼을 설치하기 위하여 커튼의 상단이 결합되고 커튼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커튼봉이 천장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커튼봉은, 통상 창문 근처의 천장에 움푹 들어간 부분인 '커튼박스' 내에 최대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끔 설치된다. 커튼박스 내에서 커튼봉은, 종래 양끝부분과 중간 중간을 일정 간격으로 천장에 나사 등을 통해 고정시켰다. 그러나, 나사로 인해 천장에 구멍이 뚫리는 것을 싫어하는 사용자가 있음은 물론, 전세나 월세로 생활하는 사용자는 집에 구멍을 뚫기 위해서는 집주인에게 허락을 구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고자, 근래 압축 방식으로 고정되는 커튼봉이 출시되고 있다. 압축 방식으로 고정되는 커튼봉은, 양단이 커튼박스 내 천장과 인접한 벽면 부분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압축식 커튼봉은,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처짐이 발생되지 않으나, 길이가 긴 경우 중간 부분에 처짐이 발생되어 커튼을 이동시 떨림이 발생되고 자칫 압착력의 저하로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축 방식으로 고정되는 커튼봉의 중간 부분을 무타공으로 견고히 지지하여 커튼 이동에 따른 떨림을 방지하면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커튼용 지지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는, 커튼박스 내에서 커튼박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커튼봉을 가로지르게끔 커튼박스의 마주하는 양측벽에 고정되고 커튼봉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관 형태를 이루며 커튼박스의 양측벽 간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된 중심관과, 중심관의 양단을 통해 각각 인출되게끔 중심관과 결합되는 제1 압착봉 및 제2 압착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압착봉 및 제2 압착봉은, 중심관이 길이방향 내측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각각의 외측단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압착봉 및 제2 압착봉은, 상호 반대 방향을 이루게끔 나사산이 형성되어 각각 중심관과 나사결합되어, 중심관의 회전시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압착봉 및 제2 압착봉은, 관 형태를 이루면서 중심관과 결합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외측단에 구비되어 커튼박스의 측벽과 맞닿게 되는 밀착구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구는, 중심관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중심관에 결합되고 중심관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가 갈고리 형태를 이루어 커튼봉을 지지하는 걸이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걸이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대는 제1 압착봉과 제2 압착봉이 중심관으로부터 인출되어 커튼박스의 마주하는 양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커튼봉을 지지하게 되므로, 커튼박스에 타공없이 커튼봉의 일 지점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압축 방식으로 고정되는 커튼봉의 중간 부분을 무타공으로 지지할 수 있는바, 커튼봉의 쳐짐이 방지됨에 따라, 커튼 이동시 떨림이 최소화되면서 커튼봉의 낙하와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심관의 회전을 통해 제1 압착봉 및 제2 압착봉이 동시에 이동되어 커튼박스에 제1 압착봉 및 제2 압착봉의 외측단이 밀착될 수 있으므로, 설치의 편이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를 통해 커튼봉이 지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에 적용되는 제1 압착봉 및 제2 압착봉이 이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에 적용되는 제1 압착봉 및 제2 압착봉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가 커튼박스 내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에 적용되는 걸이부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에 적용되는 걸이부재가 상하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에 적용되는 제1 압착봉 및 제2 압착봉이 이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에 적용되는 제1 압착봉 및 제2 압착봉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가 커튼박스 내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에 적용되는 걸이부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에 적용되는 걸이부재가 상하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압축 방식으로 고정되는 커튼봉의 중간 부분을 무타공으로 견고히 지지하여 커튼 이동에 따른 떨림을 방지하면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커튼박스 내에서 커튼박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커튼봉을 가로지르게끔 커튼박스의 마주하는 양측벽에 고정되고 커튼봉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관 형태를 이루며 커튼박스의 양측벽 간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된 중심관과, 중심관의 양단을 통해 각각 인출되게끔 중심관과 결합되는 제1 압착봉 및 제2 압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용 지지대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는, 창문 근처의 천장이 움푹 들어가 하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는 커튼박스 내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박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커튼봉(10)을 지지하는 지지대(A)를 포함한다.
여기서의 커튼봉(10)은 일부가 커튼박스에 나사 또는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커튼봉브라켓에 고정된 것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단이 커튼박스와 인접한 벽면에 밀착되면서 압축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A)는 커튼봉(10)의 일 지점을 지지하는데, 상기 일 지점은 커튼봉(10)의 양단 부분, 중간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일 수 있다.
다만, 커튼봉(10)의 무타공 설치를 고려하였을 때, 커튼봉(10)이 압축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면서, 지지대(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봉(10)의 중간 부분을 적어도 일 지점 지지하는 것을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지지대(A)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봉(10)을 가로지르게끔 커튼박스의 마주하는 양측벽에 고정되어 커튼봉(10)을 지지한다. 일 예로, 지지대(A)는 커튼봉(10)의 중간 부분 일 지점을 가로지르게끔 커튼박스의 마주하는 양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A)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관(100), 제1 압축봉(200) 및 제2 압축봉(300)을 포함한다.
중심관(1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고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며, 커튼박스의 양측벽 간의 간격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중심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은, 중심관(100)을 수평하게 배치하였을 때 종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을 고려하였을 때, 종단면이 원형임이 바람직하다.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관(100)의 양단을 통해 각각 인출되게끔 중심관(100)과 결합된다. 즉, 제1 압착봉(200)은 중심관(100)의 일단을 통해 일부가 삽입되어 중심관(100)과 결합되며, 제2 압착봉(300)은 중심관(100)의 타단을 통해 일부가 삽입되어 중심관(100)과 결합된다.
이러한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은, 그 종단면이 중심관(100)에 형성된 관통공의 종단면 형태에 대응되게끔 형성된다. 일 예로,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관(100)과 결합되는 지지관(210,3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중심관(100)에 형성된 관통공의 종단면 형태가 원형인 경우, 지지관(210,310)은 적어도 중심관(100) 내에 삽입되는 부분의 종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제작의 용이성 측면 등을 고려하였을 때,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은 전체가 봉 형태 또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관(210,310)은 중심관(100) 내에 삽입되는 내측단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외측단이 커튼박스에 맞닿으며 고정될 수 있으나, 견고한 지지력을 위하여,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210,310)의 외측단에 구비되어 커튼박스의 측벽과 맞닿게 되는 밀착구(220,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구(220,320)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마찰력이 강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관(210,310)의 외측단에 억지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밀착구(220,320)는 커튼박스와 맞닿는 면에 마찰력 향상을 위한 마찰홈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구(220,320)의 외측면이 원형인 경우, 링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마찰홈이 동심원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이 중심관(100)으로부터 인출되어 외측단이 커튼박스에 맞닿을 시, 흡착 방식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210,310)은 내부가 비고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밀착구(220,320)는 중심관(100)과 연통되는 통공(221,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관(210,310)과 밀착구(220,320)는, 밀착구(220,320)가 커튼박스에 맞닿아 고정되는 과정에서 그 내부에 있던 공기가 외부로 원활히 빠져나가게 되므로, 커튼박스에 견고히 흡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은, 중심관(100)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인출되어 커튼박스와 맞닿으며 고정될 수 있으나, 설치의 편이성 측면에서 동시에 인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관(100)이 길이방향 내측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은 각각의 외측단이 동시에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이는 다양한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예로 나사결합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은, 상호 반대 방향을 이루게끔 나사산이 형성되어 각각 중심관(100)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압착봉(200)은 오른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중심관(100)과 결합되고, 제2 압착봉(300)은 왼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중심관(1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중심관(100)을 상기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은 외측을 향해 동시에 인출되어 그 외측단이 커튼박스에 맞닿으며 밀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외측으로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이 인출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중심관(100)을 상기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은 내측을 향해 동시에 이동된다.
이처럼 중심관(100)과의 나사결합을 통해 동시에 인출되게끔 구성된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축봉(300)이 인출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관(10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10)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10)는 일 예로, 탄성스프링일 수 있으며, 일단이 제1 압착봉(200)의 내측단과 맞닿고 타단이 제2 압착봉(300)의 내측단과 맞닿게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10)는 중심관(100)의 회전에 따라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이 동시에 이동됨으로 인해, 그 길이가 늘어나거나 짧아진다. 커튼박스의 마주하는 양측벽에 맞닿도록 인출된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은, 중심관(100) 내에 구비된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으로 인해 중심관(100)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임의로 이동되지 못하게 되어, 그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대(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중심관(100)에 결합되고 중심관(100)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가 커튼봉(10)을 지지하는 걸이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걸이부재(400)는, 중심관(100)과의 결합을 위해 상부가 링 또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튼봉(10)과의 결합을 위해 하부가 링 또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축봉(200) 및 제2 압축봉(300)의 이동을 위한 중심관(100)의 회전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커튼봉(10)이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얹혀져 고정될 수 있게끔, 걸이부재(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 모두가 갈고리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에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 걸이구는, 하측을 향해 개방되게끔 형성되고, 하부에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 걸이구는, 상측을 향해 개방되게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이부재(4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걸이구는, 중심관(100)과 커튼봉(10)이 직교하게끔 배치되는바, 이에 맞춰 직교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걸이부재(400)는, 커튼봉(10)이 지지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걸이부재(4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관(100)과 결합되는 걸이상부체(410)와, 커튼봉(10)과 결합되는 걸이하부체(420)와, 걸이상부체(410)와 걸이하부체(420) 간을 결합시키면서 고정시키는 고정핀(430)을 포함할 수 있다.
걸이상부체(410)는 갈고리 형태를 이루는 제1 걸이구와, 제1 걸이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걸이하부체(410)와 결합되는 제1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걸이하부체(420)는 갈고리 형태를 이루는 제2 걸이구와, 제2 걸이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걸이상부체(410)와 결합되는 제2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구 및 제2 결합구는, 마주하는 면에 대응되는 쐐기면이 형성되어, 쐐기면이 대응되게 맞닿음을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구에는 쐐기면의 일 지점을 관통하는 제1 고정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결합구에는 제1 결합구의 쐐기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쐐기면에 장공 형태를 이루는 제2 고정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400)는 걸이상부체(41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걸이하부체(4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끔, 고정핀(430)이 제1 고정공 및 제2 고정공을 관통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커튼봉용 지지대는, 도 6dp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착봉(200)과 제2 압착봉(300)이 중심관(100)으로부터 인출되어 커튼박스의 마주하는 양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커튼봉(10)을 지지하게 되므로, 커튼박스에 타공없이 커튼봉(10)의 일 지점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며, 특히 압축 방식으로 고정되는 커튼봉(10)의 중간 부분을 무타공으로 지지할 수 있는바, 커튼봉(10)의 쳐짐이 방지됨에 따라, 커튼 이동시 떨림이 최소화되면서 커튼봉(10)의 낙하와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A : 지지대
10 : 커튼봉
100 : 중심관 110 : 탄성부재
200 : 제1 압착봉 210 : 지지관
220 : 밀착구 221 : 통공
300 : 제2 압착봉 310 : 지지관
320 : 밀착구 321 : 통공
400 : 걸이부재 410 : 걸이상부체
420 : 걸이하부체 430 : 고정핀
10 : 커튼봉
100 : 중심관 110 : 탄성부재
200 : 제1 압착봉 210 : 지지관
220 : 밀착구 221 : 통공
300 : 제2 압착봉 310 : 지지관
320 : 밀착구 321 : 통공
400 : 걸이부재 410 : 걸이상부체
420 : 걸이하부체 430 : 고정핀
Claims (5)
- 커튼박스 내에서 커튼박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커튼봉(10)을 가로지르게끔 커튼박스의 마주하는 양측벽에 고정되고 커튼봉(10)을 지지하는 지지대(A)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A)는, 관 형태를 이루며 커튼박스의 양측벽 간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된 중심관(100)과, 중심관(100)의 양단을 통해 각각 인출되게끔 중심관(100)과 결합되는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과, 상부가 상기 중심관(100)에 결합되고 중심관(100)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가 커튼봉(10)을 지지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걸이부재(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은, 상호 반대 방향을 이루게끔 나사산이 형성되어 각각 중심관(100)과 나사결합되어, 중심관(100)이 길이방향 내측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각각의 외측단이 동시에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며,
상기 중심관(100)의 내부에는, 탄성을 가지면서 일단이 제1 압착봉(200)의 내측단과 맞닿고 타단이 제2 압착봉(300)의 내측단과 맞닿으며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의 이동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짧아지는 탄성스프링(110)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걸이부재(400)는, 하측을 향해 개방되게끔 형성된 갈고리 형태를 이루는 제1 걸이구를 포함하는 걸이상부체(410)와, 상측을 향해 개방되게끔 형성된 갈고리 형태를 이루는 제2 걸이구를 포함하는 걸이하부체(420)를 포함하며, 제1 걸이구와 제2 걸이구가 직교하게 배치되어 중심과(100)과 커튼봉(10)이 직교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용 지지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봉(200) 및 제2 압착봉(300)은, 관 형태를 이루면서 중심관(100)과 결합되는 지지관(210,310)과, 상기 지지관(210,310)의 외측단에 구비되어 커튼박스의 측벽과 맞닿게 되는 밀착구(220,320)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구(220,320)는, 중심관(100)과 연통되는 통공(221,3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용 지지대.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8346A KR102630713B1 (ko) | 2022-07-18 | 2022-07-18 | 커튼봉용 지지대 |
PCT/KR2023/010208 WO2024019457A1 (ko) | 2022-07-18 | 2023-07-17 | 커튼봉용 지지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8346A KR102630713B1 (ko) | 2022-07-18 | 2022-07-18 | 커튼봉용 지지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0942A KR20240010942A (ko) | 2024-01-25 |
KR102630713B1 true KR102630713B1 (ko) | 2024-01-29 |
Family
ID=8961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8346A KR102630713B1 (ko) | 2022-07-18 | 2022-07-18 | 커튼봉용 지지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0713B1 (ko) |
WO (1) | WO2024019457A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7614Y1 (ko) * | 1996-12-14 | 2001-02-01 | 정몽규 | 상용차의 l좌표 세팅장치 |
KR200256879Y1 (ko) * | 2001-09-19 | 2001-12-31 | 심우열 | 커튼봉 고정 장치 |
WO2016038344A1 (en) * | 2014-09-11 | 2016-03-17 | Croydex Limite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ower rods |
KR102182757B1 (ko) * | 2020-09-05 | 2020-11-25 | 전영미 |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커튼과 블라인드를 함께 장착 가능한 고정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06047B1 (ja) * | 1998-03-23 | 1999-06-14 | 博 森 | カーテンとカーテンレール |
-
2022
- 2022-07-18 KR KR1020220088346A patent/KR10263071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7-17 WO PCT/KR2023/010208 patent/WO2024019457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7614Y1 (ko) * | 1996-12-14 | 2001-02-01 | 정몽규 | 상용차의 l좌표 세팅장치 |
KR200256879Y1 (ko) * | 2001-09-19 | 2001-12-31 | 심우열 | 커튼봉 고정 장치 |
WO2016038344A1 (en) * | 2014-09-11 | 2016-03-17 | Croydex Limite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ower rods |
KR102182757B1 (ko) * | 2020-09-05 | 2020-11-25 | 전영미 |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커튼과 블라인드를 함께 장착 가능한 고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19457A1 (ko) | 2024-01-25 |
KR20240010942A (ko) | 2024-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22552B1 (en) | Curtain rod support | |
US6101675A (en) | Pivoting and telescoping curtain dual-rod bracket for bay windows | |
US1037128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a package in an elevated position | |
KR20210076562A (ko) | 초미세먼지 방지용 나노 방진망을 설치한 창호 | |
KR101380233B1 (ko) | 전동 롤 블라인드 | |
KR102630713B1 (ko) | 커튼봉용 지지대 | |
ITMI950416A1 (it) | Parete divisoria per ambienti dotata di mezzi per la regolazione dell'allineamento | |
KR200472251Y1 (ko) | 폭 조절이 용이한 천장 부착형 빨래건조대 | |
KR102349410B1 (ko) | 레일걸이구 | |
JP2018164721A (ja) | カーブカーテンレール突っ張り棒吊り具 | |
US1209687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rivacy curtain including a swing arm wall mount and end stop cap support | |
CN209429828U (zh) | 一种地弹簧的安装机构 | |
JP2020018566A (ja) | 昇降式収納機器 | |
US2483475A (en) | Venetian blind bracket | |
KR102600570B1 (ko) | 지중 배전선로간 간격 유지 장치 | |
CN219691451U (zh) | 一种grg卷帘盒 | |
US562257A (en) | Oliver ii | |
CN210463261U (zh) | 一种便于安装的墙体嵌入式空调 | |
CN220089191U (zh) | 高度可调的挂帘结构及衣柜 | |
RU189550U1 (ru) |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кронштейна для оконных штор | |
KR20240123554A (ko) | 커튼 높이 조절용 브라켓 | |
TWI437160B (zh) | 百葉窗 | |
KR940003700Y1 (ko) | 창문 보조장치 | |
KR200172495Y1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등기구 | |
JP3984888B2 (ja) | 室内物干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