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538B1 - 자동 용접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용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538B1
KR102630538B1 KR1020230077296A KR20230077296A KR102630538B1 KR 102630538 B1 KR102630538 B1 KR 102630538B1 KR 1020230077296 A KR1020230077296 A KR 1020230077296A KR 20230077296 A KR20230077296 A KR 20230077296A KR 102630538 B1 KR102630538 B1 KR 10263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elding
unit
roller unit
drive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7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명
고현호
Original Assignee
고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현호 filed Critical 고현호
Priority to KR1020230077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rotating tub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10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driven essentially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용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에 용접장치조작반의 제어에 의해 파이프에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장치와 해당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파이프롤링장치를 동시에 구성하여 용접 효율성을 높이며, 동시에 원형 파이프 용접 공정시, 모터에 의해 원형 파이프를 회전시킬 경우에 텐션라인을 이용하여 원형 파이프를 주동롤러부와 종동롤러부에 더욱 밀착시켜 모터부가 동작할 경우에 원형 파이프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여 용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용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작업 능률 향상 및 품질 저하 방지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자동 용접시스템{automatic weld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 용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에 용접장치조작반의 제어에 의해 파이프에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장치와 해당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파이프롤링장치를 동시에 구성하여 용접 효율성을 높이며, 동시에 원형 파이프 용접 공정시, 모터에 의해 원형 파이프를 회전시킬 경우에 텐션라인을 이용하여 원형 파이프를 주동롤러부와 종동롤러부에 더욱 밀착시켜 모터부가 동작할 경우에 원형 파이프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여 용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용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큰 직경의 무거운 원통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짧은 길이의 단위 원통을 제조하여 이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거나, 압력 용기처럼 단위 원통을 제조하여 양단에 엔드 플레이트 등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거나, 단위 원통을 연결하는 경우, 각 단위 원통의 결합부분을 적당한 각도로 면취한 후, 용접각을 형성시켜서 이웃하는 단위 원통들을 용접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단위 원통을 다수 결합하거나, 압력 용기 등의 양단을 결합하거나, 단위 원통의 면취를 위해서는 단위 원통을 나란히 위치시키면서 센터를 정확하게 맞춘 다음 용접으로 결합하는 작업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의 두 원통을 나란히 위치시키면서 센터를 맞추기 위하여는, 단위 작업대에 두 개의 롤러를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결합할 단위 원통을 단위작업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이동하거나 회전시키면서 용접으로 결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위 작업대에 의하여서는 단위 원통의 직경의 크기가 크거나 작을 때 용접 작업이 상당히 어려우며, 각 단위 작업대의 위치에 따라 그 위에 단위 원통은 길이 방향으로 의도치 않게 움직이므로 작업이 어려워 작업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의 파이프 용접 공정에서 원형 파이프의 용접은 파이프의 회전 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용접 공정에 미치는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용접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용접하는 동안 파이프에 일정한 속도와 장력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용접품질이 저하될 수 있었다.
따라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장력도 유지되어 용접 품질 및 작업 능률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용접시스템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2-0118808호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0-2020-008305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반에 용접장치조작반의 제어에 의해 파이프에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장치와 해당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파이프롤링장치를 동시에 구성하여 용접 효율성을 높이며, 동시에 원형 파이프 용접 공정시, 모터에 의해 원형 파이프를 회전시킬 경우에 텐션라인을 이용하여 원형 파이프를 주동롤러부와 종동롤러부에 더욱 밀착시켜 모터부가 동작할 경우에 원형 파이프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여 용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용접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은,
선반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되며, 롤링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샤프트에 주동롤러부(300)가 형성되고, 주동롤러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종동롤러부(400)가 형성되어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 사이에 원형 파이프(500)가 안착되며, 롤링본체부(100)의 양측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는 텐션라인(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이프롤링장치(1000)와,
일정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에 상기 파이프롤링장치와 용접장치 및 용접장치조작반을 설치 구성하고 있는 선반(2000)과,
상기 선반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되어 용접장치조작반의 제어에 의해 파이프에 용접을 실시하기 위한 용접장치(3000)와,
상기 선반의 타측에 설치 구성되어 용접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용접장치조작반(400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반에 용접장치조작반의 제어에 의해 파이프에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장치와 해당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파이프롤링장치를 동시에 구성하여 용접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원형 파이프 용접 공정시, 모터에 의해 원형 파이프를 회전시킬 경우에 텐션라인을 이용하여 원형 파이프를 주동롤러부와 종동롤러부에 더욱 밀착시켜 모터부가 동작할 경우에 원형 파이프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용접 작업 능률 향상 및 품질 저하 방지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용접장치(3000)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용접장치조작반(4000)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보조롤링장치(5000)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롤링장치(1000)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롤링장치(1000)의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롤링장치(1000)의 상측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롤링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롤링장치(1000)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롤링장치(1000)의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은,
선반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되며, 롤링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샤프트에 주동롤러부(300)가 형성되고, 주동롤러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종동롤러부(400)가 형성되어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 사이에 원형 파이프(500)가 안착되며, 롤링본체부(100)의 양측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는 텐션라인(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이프롤링장치(1000)와,
일정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에 상기 파이프롤링장치와 용접장치 및 용접장치조작반을 설치 구성하고 있는 선반(2000)과,
상기 선반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되어 용접장치조작반의 제어에 의해 파이프에 용접을 실시하기 위한 용접장치(3000)와,
상기 선반의 타측에 설치 구성되어 용접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용접장치조작반(40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이프롤링장치(100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 구성되어 파이프의 일측을 보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보조롤링장치(5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롤링장치(1000)는,
롤링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샤프트에 주동롤러부(300)가 형성되고, 주동롤러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종동롤러부(400)가 형성되어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 사이에 원형파이프(500)가 안착되며, 롤링본체부(100)의 양측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는 텐션라인(800)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파이프롤링장치(1000)는,
일정 크기로 형성되며, 양측으로 수직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직프레임들에 의해 모터부가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롤링본체부(100);와
상기 롤링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메인샤프트(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 공급시, 동작되어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부(200);와
상기 모터부에 형성된 메인샤프트(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모터부가 회전할 경우에 회전되는 주동롤러부(300);와
상기 주동롤러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 구성되는 종동롤러부(400);와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 사이에 안착되어 모터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일정하게 회전되는 원형파이프(500);와
상기 롤링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텐션라인의 일측을 연결시키기 위한 일측고정부(600);와
상기 롤링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텐션라인의 타측을 연결시키기 위한 타측고정부(700);와
상기 일측고정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고정부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의 사이에 안착된 원형파이프의 상부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원형파이프를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와 밀착시켜 용접 공정 중 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텐션라인(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텐션라인(800)이 원형파이프의 상부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원형파이프를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와 밀착시켜 용접 공정 중 장력을 제공하여 모터부가 동작할 경우에 원형파이프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용접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은 예시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용접장치(3000)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용접장치조작반(4000)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보조롤링장치(5000)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롤링장치(1000)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롤링장치(1000)의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롤링장치(1000)의 상측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롤링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롤링장치(1000)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시스템의 파이프롤링장치(1000)의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 용접시스템은,
선반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되며, 롤링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샤프트에 주동롤러부(300)가 형성되고, 주동롤러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종동롤러부(400)가 형성되어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 사이에 원형 파이프(500)가 안착되며, 롤링본체부(100)의 양측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는 텐션라인(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이프롤링장치(1000)와,
일정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에 상기 파이프롤링장치와 용접장치 및 용접장치조작반을 설치 구성하고 있는 선반(2000)과,
상기 선반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되어 용접장치조작반의 제어에 의해 파이프에 용접을 실시하기 위한 용접장치(3000)와,
상기 선반의 타측에 설치 구성되어 용접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용접장치조작반(40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파이프롤링장치(1000)는 선반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되며, 롤링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샤프트에 주동롤러부(300)가 형성되고, 주동롤러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종동롤러부(400)가 형성되어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 사이에 원형 파이프(500)가 안착되며, 롤링본체부(100)의 양측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는 텐션라인(8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선반(2000)은 일정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에 상기 파이프롤링장치와 용접장치 및 용접장치조작반을 설치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선반의 상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가이드레일부(2100)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선반에 설치 구성된 파이프롤링장치(1000)와 용접장치(3000) 및 파이프보조롤링장치(5000)가 해당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배관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파이프롤링장치(1000)와 파이프보조롤링장치(500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접장치(3000)는 상기 선반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되어 용접장치조작반의 제어에 의해 파이프에 용접을 실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인 용접장치를 설치 구성하고 있으며, 용접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동스테이지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용접장치조작반의 제어에 따라 상하, 좌우 용접장치의 지그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접장치조작반(4000)은 선반의 타측에 설치 구성되어 용접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용접장치조작반(4000)은,
턴테이블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버튼부;와
정지, 회전, 회전 및 위빙, 자동 용접 대기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운전선택조절부;와
용접 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용접전류설정부;와
펄스 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펄스전류설정부;와
위빙을 설정하기 위한 위빙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정보를 획득하여 턴테이블 혹은 용접장치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예를 들어, 각도조절버튼부를 통해 턴테이블의 각도를 180도로 조절하게 되면, 해당 180도 조절 신호를 제어부에서 획득하여 턴테이블에 포함된 전동수단에 해당 신호를 제공하여 턴테이블을 180도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선택조절부는 정지, 회전, 회전 및 위빙, 자동 용접 대기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인데, 사용자가 회전을 설정하게 되면 파이프롤링장치(100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턴테이블의 경우, 파이프롤링장치(1000)가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턴테이블이 형성되게 되면 이를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한국공개특허번호 10-2020-0048395호인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가 설치 구성될 수도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턴테이블 혹은 파이프롤링장치(1000) 중 어느 하나를 설치 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접전류설정부는 용접 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펄스전류설정부는 펄스 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용접 전류 - 70 , 펄스전류 - 70 을 설정하게 되면, 제어부에서는 설정값을 획득하여 용접장치에 해당 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위빙설정부는 위빙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좌-멈춤, 우-멈춤, 위빙폭, 위빙속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며, 이를 설정하게 되면 제어부에서는 설정값을 획득하여 해당 값으로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부를 통해 설정된 정보(신호)를 획득하여 턴테이블 혹은 용접장치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턴테이블 및 용접장치에는 구동수단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즉, 조작반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인 자동 용접시스템은,
파이프롤링장치(100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 구성되어 파이프의 일측을 보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보조롤링장치(5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파이프보조롤링장치(5000)는,
본체프레임(5100);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에 일정 간격으로 파이프롤러의 회전축을 삽입하기 위한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부(5200);와
상기 삽입홈부에 중앙에 형성된 회전축을 삽입시키기 위한 파이프롤러(5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용접 대상물의 길이가 긴 경우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길이가 긴 용접 대상물의 용접 작업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의도치 않게 움직이므로(기울어짐) 수평을 맞추면서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롤링장치(1000)는,
롤링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샤프트에 주동롤러부(300)가 형성되고, 주동롤러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종동롤러부(400)가 형성되어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 사이에 원형파이프(500)가 안착되며, 롤링본체부(100)의 양측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는 텐션라인(800)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롤링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부(200)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모터부의 양측으로 메인샤프트를 형성하고, 여기에 주동롤러부(300)를 각각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주동롤러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종동롤러부(400)를 형성시켜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 사이에 원형파이프(500)가 안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롤링본체부(100)의 양측으로 각각 일측이 고정되는 텐션라인(800)을 구성함으로써, 모터부가 회전하더라도 원형 파이프가 텐션라인의 장력에 의해 일정한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파이프롤링장치(1000)는,
일정 크기로 형성되며, 양측으로 수직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직프레임들에 의해 모터부가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롤링본체부(100);와
상기 롤링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메인샤프트(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 공급시, 동작되어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부(200);와
상기 모터부에 형성된 메인샤프트(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모터부가 회전할 경우에 회전되는 주동롤러부(300);와
상기 주동롤러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 구성되는 종동롤러부(400);와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 사이에 안착되어 모터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일정하게 회전되는 원형파이프(500);와
상기 롤링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텐션라인의 일측을 연결시키기 위한 일측고정부(600);와
상기 롤링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텐션라인의 타측을 연결시키기 위한 타측고정부(700);와
상기 일측고정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고정부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의 사이에 안착된 원형파이프의 상부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원형파이프를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와 밀착시켜 용접 공정 중 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텐션라인(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롤링본체부(100)는,
일정 크기로 형성되며, 양측으로 수직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직프레임들에 의해 모터부가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롤링본체부(100)는 일정한 크기의 몸체(105)가 구성되며, 몸체의 양측에 각각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부(110)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프레임들에 의해 모터부가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부(110)는,
주동롤러부(300)의 메인샤프트(210)가 삽입되어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주동롤러삽입홈부(111);와
종동롤러부(400)의 회전축을 삽입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마다 다수 형성되는 종동롤러삽입홈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동롤러삽입홈부(111)를 모터부가 형성된 수직프레임부(110) 주변에 형성시켜 주동롤러부(300)의 메인샤프트(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모터부 동작시에 메인샤프트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동롤러삽입홈부(112)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마다 다수 형성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종동롤러부(400)의 회전축을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특징적인 사항은 원형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종동롤러부(400)의 회전축을 삽입시킬 수 있는 종동롤러삽입홈부(112)를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원형 파이프의 직경이 커지면 커질수록 종동롤러부(400)의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는 위치는 모터부와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모터부(200)는 상기 롤링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메인샤프트(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 공급시, 동작되어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모터부(200)는 상기 롤링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키며, 모터부(200)에는 메인샤프트(210)가 형성되어 있고, 메인샤프트의 양측으로 각각 주동롤러부(300)를 형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모터부가 회전할 경우에 회전력을 메인샤프트로 전달하고, 메인샤프트에 결합된 주동롤러부(300)가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동롤러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종동롤러부(400)를 형성되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상기 종동롤러부(400)는,
수직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종동롤러삽입홈부(112)에 삽입되는 종동롤러회전축;과
상기 종동롤러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종동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 사이에 원형 파이프(500)가 안착되어 모터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일정하게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모터부가 동작하게 되면, 모터부와 연결된 메인샤프트가 회전하게 되며, 여기에 결합된 주동롤러부(300)가 회전하게 될 것이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 사이에 안착된 원형 파이프(500)가 회전하고, 회전력이 종동롤러부(400)에 전달되어 종동롤러부(40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원형 파이프에 다른 부품 예를 들어, 'ㄱ'자 형강을 맞대어 용접한다면, 'ㄱ'자 형강의 중력에 의하여 원형 파이프가 일정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지 않고, 헛도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한 속도와 장력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용접품질이 저하될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파이프롤링장치(1000)는,
롤링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텐션라인의 일측을 연결시키기 위한 일측고정부(600);와
상기 롤링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텐션라인의 타측을 연결시키기 위한 타측고정부(700);와
상기 일측고정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고정부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의 사이에 안착된 원형파이프의 상부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원형파이프를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와 밀착시켜 용접 공정 중 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텐션라인(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링본체부의 일측에 일측고정부(600)를 형성시키고, 여기에 텐션라인의 일측을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일측고정부(600)는 텐션라인을 감거나, 풀기 위한 회전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쉽게 감거나, 풀기 위하여 일측에 손잡이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롤링본체부의 타측에 타측고정부(700)를 형성시키고, 여기에 텐션라인의 타측을 연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텐션라인의 일측을 타측고정부(700)에 고정시키고, 텐션라인의 타측에 연결된 일측고정부(600)를 회전시켜 텐션라인을 감게 되면 텐션라인의 하면에 원형 파이프의 상면이 접촉되어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텐션라인의 하면에 원형 파이프의 상면이 접촉되어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텐션라인(800)은 상기 일측고정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고정부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의 사이에 안착된 원형파이프의 상부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원형파이프를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와 밀착시켜 용접 공정 중 장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텐션라인(800)은,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체인은 일정 간격으로 양측으로 다수의 체인용롤러(8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텐션라인의 하측에 밀착된 원형 파이프가 회전할 경우에 동시에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텐션라인(800)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으로 형성하게 되며, 원형 파이프가 회전할 경우에 동시에 회전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으로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한 사실이다.
이때, 체인은 일정 간격으로 양측으로 체인용롤러(8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텐션만 유지하기 위한 라인이라면, 원형 파이프의 회전력에 마찰을 가해 회전력이 떨어지거나,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체인용롤러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텐션라인(800)이 체인으로 형성될 경우에, 롤링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된 타측고정부(700)에 텐션라인을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 체인에 형성된 틈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에 형성된 틈에 타측고정부(700)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인 파이프롤링장치(1000)는,
모터부의 정회전 혹은 역회전을 선택할 수 있는 회전선택버튼부;와
모터부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속도조절부;와
상기 회전선택버튼부와 회전속도조절부에 의해 조작된 정보를 획득하여 모터부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거나, 설정된 회전속도로 모터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터컨트롤러(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컨트롤러(900)를 구성하게 되는데, 모터컨트롤러(900)에는 회전선택버튼부, 회전속도조절부, 모터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용접장치조작반(4000)을 구성하여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파이프롤링장치(1000)의 경우, 별도의 모터컨트롤러를 구성하여 이를 통해 개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용접 진행시, 직접 파이프롤링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모터부의 정회전 혹은 역회전을 선택할 수 있는 회전선택버튼부를 구성함으로써, 용접 작업자가 정회전 혹은 역회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회전 방향으로 모터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모터부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모터부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속도조절부를 돌려 회전 속도를 설정하게 되면, 설정된 회전 속도 정보를 모터제어부에서 획득하여 설정된 회전 속도로 모터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인 파이프롤링장치(1000)는 텐션라인(800)이 원형파이프의 상부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원형파이프를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와 밀착시켜 용접 공정 중 장력을 제공하여 모터부가 동작할 경우에 원형파이프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반에 용접장치조작반의 제어에 의해 파이프에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장치와 해당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파이프롤링장치를 동시에 구성하여 용접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원형 파이프 용접 공정시, 모터에 의해 원형 파이프를 회전시킬 경우에 텐션라인을 이용하여 원형 파이프를 주동롤러부와 종동롤러부에 더욱 밀착시켜 모터부가 동작할 경우에 원형 파이프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파이프롤링장치
2000 : 선반
3000 : 용접장치
4000 : 용접장치조작반
5000 : 파이프보조롤링장치

Claims (2)

  1. 자동 용접시스템에 있어서,
    선반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되며, 롤링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샤프트에 주동롤러부(300)가 형성되고, 주동롤러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종동롤러부(400)가 형성되어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 사이에 원형 파이프(500)가 안착되며, 롤링본체부(100)의 양측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는 텐션라인(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이프롤링장치(1000)와,
    일정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에 상기 파이프롤링장치와 용접장치 및 용접장치조작반을 설치 구성하고 있는 선반(2000)과,
    상기 선반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되어 용접장치조작반의 제어에 의해 파이프에 용접을 실시하기 위한 용접장치(3000)와,
    상기 선반의 타측에 설치 구성되어 용접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용접장치조작반(40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파이프롤링장치(1000)는,
    일정 크기로 형성되며, 양측으로 수직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직프레임들에 의해 모터부가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롤링본체부(100);와
    상기 롤링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메인샤프트(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 공급시, 동작되어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부(200);와
    상기 모터부에 형성된 메인샤프트(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모터부가 회전할 경우에 회전되는 주동롤러부(300);와
    상기 주동롤러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 구성되는 종동롤러부(400);와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 사이에 안착되어 모터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일정하게 회전되는 원형파이프(500);와
    상기 롤링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텐션라인의 일측을 연결시키기 위한 일측고정부(600);와
    상기 롤링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텐션라인의 타측을 연결시키기 위한 타측고정부(700);와
    상기 일측고정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고정부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의 사이에 안착된 원형파이프의 상부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원형파이프를 주동롤러부(300)와 종동롤러부(400)와 밀착시켜 용접 공정 중 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텐션라인(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롤링장치(100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 구성되어 파이프의 일측을 보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보조롤링장치(5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시스템.
KR1020230077296A 2023-06-16 2023-06-16 자동 용접시스템 KR10263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296A KR102630538B1 (ko) 2023-06-16 2023-06-16 자동 용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296A KR102630538B1 (ko) 2023-06-16 2023-06-16 자동 용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538B1 true KR102630538B1 (ko) 2024-01-30

Family

ID=8971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7296A KR102630538B1 (ko) 2023-06-16 2023-06-16 자동 용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5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267Y1 (ko) * 2001-07-31 2001-11-22 이승열 파이프 가공장치
KR20120118808A (ko) 2011-04-19 2012-10-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터닝롤러를 이용한 파이프 용접용 자동 접지장치
KR20180080529A (ko) * 2017-01-04 2018-07-12 신관우 파이프 자동 용접장치
KR20200083054A (ko) 2018-12-31 2020-07-08 고기명 용접용 터닝 롤러 장치
KR20200089861A (ko) * 2019-01-18 2020-07-28 고기명 가공기가 구성된 터닝 롤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267Y1 (ko) * 2001-07-31 2001-11-22 이승열 파이프 가공장치
KR20120118808A (ko) 2011-04-19 2012-10-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터닝롤러를 이용한 파이프 용접용 자동 접지장치
KR20180080529A (ko) * 2017-01-04 2018-07-12 신관우 파이프 자동 용접장치
KR20200083054A (ko) 2018-12-31 2020-07-08 고기명 용접용 터닝 롤러 장치
KR20200089861A (ko) * 2019-01-18 2020-07-28 고기명 가공기가 구성된 터닝 롤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199B2 (en) Vertical spinner
KR102144761B1 (ko) 용접용 터닝 롤러 장치
US7793816B2 (en) Friction stir welding apparatus
KR101060003B1 (ko) 용접선 추적 로봇
CN104203476B (zh) 带有具备彼此隔开的细长导引面的导丝件的焊丝进给机
KR102046631B1 (ko) H 빔 전용 자동용접장치
CN108857203B (zh) 一种保温管头的环绕焊接装置
KR102247448B1 (ko) 가공기가 구성된 터닝 롤러 장치
KR102630538B1 (ko) 자동 용접시스템
KR101395155B1 (ko) 강관 자동 용접장치
EP3791994B1 (en) Carriage for pipe machining
KR101506967B1 (ko) 비틀림 평강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US4793890A (en) Automatic joining apparatus for a carcass ply
JPH08323471A (ja) 円周自動溶接装置
KR101056877B1 (ko) 3차원 곡면 자동 용접용 대전류 미그 용접 장치
KR102589329B1 (ko) 원형 파이프 롤링 장치
CN103084667A (zh) 钢筋焊疤切削机
KR100898720B1 (ko) 포터블 타입 티그(tig) 자동용접장비를 포함한 강관연결시공방법
CN111843343A (zh) 一种对焊接机
KR102646097B1 (ko) 분기관 자동용접장치
JPS61159275A (ja) 自動溶接方法
KR20180077488A (ko)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장치
KR100196637B1 (ko) 복수 자동 용접 장치
KR20220168436A (ko) 동위상 마찰용접기구
KR102222063B1 (ko) 용접지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