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109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109B1
KR102630109B1 KR1020180124394A KR20180124394A KR102630109B1 KR 102630109 B1 KR102630109 B1 KR 102630109B1 KR 1020180124394 A KR1020180124394 A KR 1020180124394A KR 20180124394 A KR20180124394 A KR 20180124394A KR 102630109 B1 KR102630109 B1 KR 102630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itch
display
opening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4246A (ko
Inventor
양성진
김성희
김인호
박현식
방경남
유춘기
이창호
한혜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4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109B1/ko
Priority to US16/374,762 priority patent/US10832981B2/en
Priority to CN201910699724.2A priority patent/CN111081729A/zh
Publication of KR2020004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02Containers; Seals
    • H01L23/04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 H01L23/053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the container being a hollow construction and having an insulating or insulated base as a mounting for the semiconductor bod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using holographic or diffractiv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6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with positional variation of the diffusing properties, e.g. gradient or patterned diffus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57Partial encapsulation or coating
    • H01L23/3192Multilayer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64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rotection against mois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02B2027/0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comprising devices for attenuating parasitic image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 상에 위치하는 제2 기판, 그리고 상기 제2 기판 상에 위치하는 무기막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막은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 중 헤드 마운티드 표시 장치(Head Mounted Display, HMD)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헤드 마운티드 표시 장치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또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하는 시각화 장치로 부각되고 있다.
헤드 마운티드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표시 패널과 사용자 사이에 위치하는 광학부를 포함한다. 광학부는 표시 패널의 영상을 확대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광학부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의 영상을 확대하는 경우 영상이 그물처럼 보이거나 비표시 영역이 흑색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스크린 도어 현상(Screen Door Effect, SDE, 격자 현상)이 발생하고 표시 품질 및 문자의 가독성이 저하된다.
실시예들은 투과율 및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 상에 위치하는 제2 기판, 그리고 상기 제2 기판 상에 위치하는 무기막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막은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 그리고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의 지름과 상기 제2 개구부의 지름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의 지름은 상기 제2 개구부의 지름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의 지름은 상기 제2 개구부의 지름 보다 작을 수 있다.
인접한 복수의 제1 개구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1 피치이고, 인접한 복수의 제2 개구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2 피치일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와 상기 제2 피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는 상기 제2 피치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는 상기 제2 피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에서 인접한 3 개의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여 가상의 삼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삼각형은 정삼각형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에서 인접한 4 개의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여 가상의 사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사각형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의 일 가장자리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가상의 제1선에 대해, 복수의 개구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제2선은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제1선과 상기 가상의 제2선이 이루는 각도는 약 3도(°) 내지 약 30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실장된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표시부 상에 위치하는 무기막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막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며 반복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와 중첩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부와 상기 무기막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기판 또는 봉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개구부의 지름은,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인접한 2 개의 개구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의 55 % 내지 85%일 수 있다.
상기 봉지층은, 제1 봉지 무기막, 상기 제1 봉지 무기막과 중첩하는 제2 봉지 무기막, 그리고 상기 제1 봉지 무기막 및 상기 제2 봉지 무기막 사이에 위치하는 봉지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막은 상기 제2 봉지 무기막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투과율 및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a는 무기막이 제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무기막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시인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 각각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체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가 포함하는 일 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투과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 및 도 18 각각은 사용자에 시인되는 표시 영역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가 사용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사용자(U)의 머리에 장착되어 사용자(U)의 안구(좌안, 우안)에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 표시 패널(10)과 중첩하는 광학부(20), 그리고 표시 패널(10) 및 광학부(20)가 실장되는 하우징(3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은 하우징(30)에 실장되며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0)은 사용자(U)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 패널(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좌안과 우안 각각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10)이 분리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좌안과 우안 각각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을 이룰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일 수도 있다.
광학부(20)는 표시 패널(10)과 중첩하며 사용자(U)와 표시 패널(10) 사이에 위치한다. 광학부(20)는 표시 패널(10)이 표시하는 영상을 사용자(U)의 안구 방향으로 굴절시킨다. 표시 장치(1)는 좌안과 우안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광학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광학부(20)는 표시 패널(10)을 향해 볼록한 볼록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20)는 볼록 렌즈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는 오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목 렌즈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30)은 표시 패널(10) 및 광학부(20)를 실장한 상태에서 사용자(U)의 머리에 장착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하우징(3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안경 형상 또는 헬멧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4a는 표시 패널에서 무기막이 제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시인되는 패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무기막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시인되는 패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은 제1 기판(111)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120), 표시부(120)를 덮는 제2 기판(112),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을 결합시키는 실링부(130), 그리고 제2 기판(112) 위에 위치하는 무기막(14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111)은 복수의 화소와 중첩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주변 영역(PA)은 제1 기판(111)의 가장자리와 중첩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DA)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판(111)은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절연성 기판이거나 스테인리스 강 등을 포함하는 금속성 기판일 수 있다. 제1 기판(111)은 실시예에 따라 플랫하거나 플렉서블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화소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는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박막 트랜지스터와 액정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기판(112)은 표시부(120) 상에 위치하는 봉지 기판일 수 있다. 제2 기판(112)은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절연성 기판이거나 스테인리스 강 등을 포함하는 금속성 기판일 수 있다. 제2 기판(112)은 연성 또는 가요성을 가지는 투명 수지 기판이거나 평판형 기판일 수 있다.
무기막(140)은 제2 기판(11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무기막(140)은 제2 기판(112)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무기막(140)은 표시부(120)를 향하는 제2 기판(112)의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판(111)을 기준으로 D3 방향을 따라 표시부(120), 제2 기판(112) 및 무기막(140)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무기막(140)은 제1 기판(111) 및 제2 기판(112)과 중첩할 수 있다. 특히 무기막(140)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무기막(140)은 어떠한 무기 물질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일 예로 질화규소, 산화규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140)은 복수의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무기막(140)을 완전히 관통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무기막(140)의 두께 방향(D3 방향)을 따라 무기막(140)이 제거된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무기막(14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뿐만 아니라 주변 영역(PA)과도 중첩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OP)가 차지하는 평면 면적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의 면적의 합에 대해 약 60 % 내지 약 70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이라 함은 D1 방향 및 D2 방향이 이루는 면을 의미한다.
개구부(OP)의 평면 형태는 일 예로 원형일 수 있다. 그러나 개구부(OP)의 평면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 어떠한 형태도 가능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 그리고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개구부(OP1) 또는 제2 개구부(OP2)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 사이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의 경계 상에 위치하는 제1 개구부(OP1)는 표시 영역(PA) 및 주변 영역(PA)과 동시에 중첩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의 경계 상에 위치하는 제2 개구부(OP2)는 표시 영역(PA) 및 주변 영역(PA)과 동시에 중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인접한 두 개의 개구부(OP)에서 각 개구부(OP)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피치라고 지칭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부(OP1)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거리는 제1 피치(P1)이다.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2 개구부(OP2)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거리는 제2 피치(P2)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피치(P1)와 제2 피치(P2)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거리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에 걸쳐, 복수의 개구부(OP1, OP2)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개구부(OP1, OP2) 사이의 간격 또는 거리는 인접한 개구부(OP1, OP2) 사이의 최소 직선 거리를 지칭할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은 약 5 μm 내지 약 10 μm일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이 약 5 μm 미만이거나 약 10 μm 초과인 경우 무기막(140)을 관통하는 광이 효과적으로 회절 또는 산란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과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와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의 평면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복수의 개구부(OP1, OP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1 피치(P1)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약 65% 내지 약 75%일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은 제2 피치(P2)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약 65% 내지 약 75%일 수 있다.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는 상기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의 지름이 피치의 55% 미만이거나 85% 초과인 경우 표시부(120)에서 방출되는 광이 효과적으로 회절 또는 산란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와 같이 무기막(140)이 제2 기판(112) 상에 위치하는 경우 표시부(120)에서 방출된 광(L1)은 회절 또는 산란 또는 굴절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에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제2 기판(112) 상에 별도의 무기막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가 포함하는 하나의 화소는 광의 방출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화소(PX1)로 시인될 수 있다.
그러나 일 실시예와 같이 제2 기판(112) 상에 위치하는 무기막(140)을 포함하는 경우 표시부(120)에서 방출되는 광(L1)은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점선과 같이 회절되거나 산란되거나 굴절될 수 있다. 표시부(120)에서 방출된 광의 회절 또는 산란 또는 굴절에 따르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화소(PX1)를 중심으로 복수의 가상 화소(PX1')가 사용자에 의해 시인될 수 있다. 복수의 가상 화소(PX1')는 일 화소(PX1)가 복제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표시부(120)가 가지는 실제 해상도에 비해 고해상도의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학부(20)를 포함하므로 표시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이 확대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이때 그물과 같은 형태가 시인되거나 화소 영역 사이의 비화소 영역이 흑색으로 시인되는 스크린 도어 현상(SDC)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일 화소(PX1)가 복제된 것과 같이 복수의 가상 화소(PX1')가 시인되는 경우 비화소 영역 등이 시인되는 스크린 도어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기막(1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가 복제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많은 수의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140)은 무기 물질을 적층하고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많은 수의 개구부(OP)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공정 상 로드가 발생할 수 있다. 개구부(OP)를 형성하는 공정을 복수회 반복 실시하는 경우 복수의 개구부(OP)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으면서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OP)의 크기 또는 피치가 불균일해질 수 있다. 불균일한 형태 또는 배열을 가지는 복수의 개구부(OP)를 포함하는 경우 표시 패널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기막(140)은 개구부(OP)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 모두와 중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판 전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 기판 일부 영역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 대비 개구부 형성에 대한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복수의 개구부(OP)는 균일한 형태 및 균일한 피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 상의 로드에 의해 일부 개구부(OP)의 형태 또는 피치가 불균일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조 공정 로드에 의해 복수의 개구부(OP) 중 상대적으로 외곽에 위치하는 개구부(OP)가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이 아닌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개구부(OP)의 형태 또는 피치가 달라질 수 있다. 표시 영역(DA)을 통해 표시되는 표시 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각각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무기막(140)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무기막(140)은 복수의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14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뿐만 아니라 주변 영역(PA)과도 중첩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OP)가 차지하는 평면 면적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의 면적의 합에 대해 60% 내지 70%일 수 있다.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 그리고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개구부(OP1) 또는 제2 개구부(OP2)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 사이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부(OP1)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거리는 제1 피치(P1)이다.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2 개구부(OP2)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거리는 제2 피치(P2)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피치(P1)와 제2 피치(P2)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직선 거리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직선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에 걸쳐 복수의 개구부(OP1, OP2)의 중심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은 약 5 μm 내지 약 10 μm일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가 약 5 μm 미만이거나 약 10 μm 초과인 경우 무기막(140)을 관통하는 광이 효과적으로 회절 또는 산란 또는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 보다 클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의 평면 크기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의 평면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평면 크기는 제1 개구부(OP1)의 평면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1 피치(P1)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은 제2 피치(P2)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 각각은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에 대해 약 55% 내지 85%의 범위에 해당하는 지름을 가지면서 ii)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 보다 클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무기막(140)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무기막(140)은 복수의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14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뿐만 아니라 주변 영역(PA)과도 중첩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OP)가 차지하는 평면 면적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의 면적의 합에 대해 60% 내지 70%일 수 있다.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 그리고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개구부(OP1) 또는 제2 개구부(OP2)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 사이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부(OP1)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거리는 제1 피치(P1)이다.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2 개구부(OP2)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거리는 제2 피치(P2)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피치(P1)와 제2 피치(P2)는 다를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거리와,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거리는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피치(P1)는 제2 피치(P2) 보다 작을 수 있다.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직선 거리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직선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은 약 5 μm 내지 약 10 μm일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가 약 5 μm 미만이거나 약 10 μm 초과인 경우 무기막(140)을 관통하는 광이 효과적으로 회절 또는 산란 또는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i)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는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시키면서 ii) 제2 피치(P2)는 제1 피치(P1)보다 클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 보다 클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의 평면 크기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의 평면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평면 크기는 제1 개구부(OP1)의 평면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1 피치(P1)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은 제2 피치(P2)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 각각은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에 대해 약 55% 내지 85%의 범위에 해당하는 지름을 가지면서 ii)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보다 클 수 있다.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무기막(140)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무기막(140)은 복수의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14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뿐만 아니라 주변 영역(PA)과도 중첩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OP)가 차지하는 평면 면적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의 면적의 합에 대해 60% 내지 70%일 수 있다.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 그리고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개구부(OP1) 또는 제2 개구부(OP2)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 사이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부(OP1)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거리는 제1 피치(P1)이다.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2 개구부(OP2)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거리는 제2 피치(P2)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피치(P1)와 제2 피치(P2)는 다를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거리와,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거리는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피치(P1)는 제2 피치(P2) 보다 클 수 있다.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직선 거리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직선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은 약 5 μm 내지 약 10 μm일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가 약 5 μm 미만이거나 약 10 μm 초과인 경우 무기막(140)을 관통하는 광이 효과적으로 회절 또는 산란 또는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는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시키면서 제2 피치(P2)가 제1 피치(P1)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보다 클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의 평면 크기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의 평면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평면 크기는 제1 개구부(OP1)의 평면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1 피치(P1)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은 제2 피치(P2)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 각각은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에 대해 약 55% 내지 85%의 범위에 해당하는 지름을 가지면서 ii) 제1 개구부(OP1)의 지름은 제2 개구부(OP2)의 지름 보다 클 수 있다.
다음 도 8을 참조하면 무기막(140)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무기막(140)은 복수의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14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뿐만 아니라 주변 영역(PA)과도 중첩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OP)가 차지하는 평면 면적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의 면적의 합에 대해 60% 내지 70%일 수 있다.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 그리고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개구부(OP1) 또는 제2 개구부(OP2)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 사이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부(OP1)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거리는 제1 피치(P1)이다.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2 개구부(OP2)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거리는 제2 피치(P2)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피치(P1)와 제2 피치(P2)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 사이의 직선 거리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 사이의 직선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에 걸쳐 복수의 개구부(OP1, OP2)의 중심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은 약 5 μm 내지 약 10 μm일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가 약 5 μm 미만이거나 약 10 μm 초과인 경우 무기막(140)을 관통하는 광이 효과적으로 회절 또는 산란 또는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의 평면 크기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의 평면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평면 크기는 제1 개구부(OP1)의 평면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1 피치(P1)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은 제2 피치(P2)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 각각은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에 대해 약 55% 내지 85%의 범위에 해당하는 지름을 가지면서 ii)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보다 작을 수 있다.
다음, 도 9를 참조하면 무기막(140)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무기막(140)은 복수의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14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뿐만 아니라 주변 영역(PA)과도 중첩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OP)가 차지하는 평면 면적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의 면적의 합에 대해 60% 내지 70%일 수 있다.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 그리고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개구부(OP1) 또는 제2 개구부(OP2)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 사이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부(OP1)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거리는 제1 피치(P1)이다.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2 개구부(OP2)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거리는 제2 피치(P2)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피치(P1)와 제2 피치(P2)는 다를 수 있다. 제1 개구부(OP1) 사이의 거리와, 제2 개구부(OP2) 사이의 거리는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피치(P1)는 제2 피치(P2) 보다 작을 수 있다.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직선 거리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직선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은 약 5 μm 내지 약 10 μm일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가 약 5 μm 미만이거나 약 10 μm 초과인 경우 무기막(140)을 관통하는 광이 효과적으로 회절 또는 산란 또는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는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시키면서 제2 피치(P2)가 제1 피치(P1)보다 클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의 평면 크기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의 평면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평면 크기는 제1 개구부(OP1)의 평면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1 피치(P1)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은 제2 피치(P2)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 각각은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에 대해 약 55% 내지 85%의 범위에 해당하는 지름을 가지면서 ii)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보다 작을 수 있다.
다음, 도 10을 참조하면 무기막(140)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무기막(140)은 복수의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14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뿐만 아니라 주변 영역(PA)과도 중첩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OP)가 차지하는 평면 면적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의 면적의 합에 대해 60% 내지 70%일 수 있다.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 그리고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개구부(OP1) 또는 제2 개구부(OP2)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 사이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부(OP1)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거리는 제1 피치(P1)이다.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제2 개구부(OP2)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거리는 제2 피치(P2)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피치(P1)와 제2 피치(P2)는 다를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중심(C1) 사이의 거리와, 제2 개구부(OP2)의 중심(C2) 사이의 거리는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피치(P1)는 제2 피치(P2) 보다 클 수 있다.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OP1)의 중심 사이의 직선 거리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부(OP2)의 중심 사이의 직선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은 약 5 μm 내지 약 10 μm일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가 약 5 μm 미만이거나 약 10 μm 초과인 경우 무기막(140)을 관통하는 광이 효과적으로 회절 또는 산란 또는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는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시키면서 제2 피치(P2)가 제1 피치(P1)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의 평면 크기는 주변 영역(PA)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OP2)의 평면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평면 크기는 제1 개구부(OP1)의 평면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1 피치(P1)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은 제2 피치(P2)의 약 55% 내지 약 8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 각각은 제1 피치(P1) 및 제2 피치(P2) 각각에 대해 약 55% 내지 85%의 범위에 해당하는 지름을 가지면서 ii) 제1 개구부(OP1)의 지름(h1)은 제2 개구부(OP2)의 지름(h2)보다 작을 수 있다.
다음 도 11을 참조하면, 무기막(140)은 복수의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3개의 개구부(OP)의 중심(C)을 연결하면 가상의 삼각형(V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의 삼각형(V1)은 일 예로 정삼각형이거나 이등변 삼각형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D1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제1선(L1)에 대해 복수의 개구부(OP)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제2선(L2)은 기울어질 수 있다. 제1선(L1)과 제2선(L2) 사이의 제1 각도(θ1)는 약 3도(°) 내지 약 30 도(°)일 수 있다.
이때 가상의 제2선(L2)은 복수의 개구부(OP)의 중심을 지나는 복수의 가상의 선 중 가상의 제1선(L1)과 가장 작은 각도로 기울어진 선일 수 있다. 가상의 제1선(L1)은 D1 방향과 평행할 수 있으며, 제1 기판의 일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일 수 있다.
다음 도 12를 참조하면 무기막(140)은 복수의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4 개의 개구부(OP)의 중심(C)을 연결하면 가상의 사각형(V2)을 형성할 수 있다. 가상의 사각형(V2)은 4 개의 모서리가 90도 (°)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정사각형이거나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D1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제1선(L1)에 대해 복수의 개구부(OP)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제2선(L2)은 기울어질 수 있다. 제1선(L1)과 제2선(L2) 사이의 제2 각도(θ2)는 약 3도(°) 내지 약 30 도(°)일 수 있다.
이때 가상의 제2선(L2)은 복수의 개구부(OP)의 중심을 지나는 복수의 가상의 선 중 가상의 제1선(L1)에 대해 가장 작은 각도로 기울어진 선일 수 있다. 가상의 제1선(L1)은 D1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상의 제1선(L1)은 기판의 일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표시 패널의 구체적인 단면도이고,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포함하는 일 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은 제1 기판(111), 제1 기판(111) 위에 위치하는 표시부(120), 표시부(120)를 덮는 봉지층 (113), 그리고 봉지층 (113) 상에 위치하는 무기막(14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은 실시예에 따라 평판형 표시 패널이거나 벤딩, 폴딩 또는 롤링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111)은 복수의 화소와 중첩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주변 영역(PA)은 제1 기판(111)의 가장자리와 중첩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DA) 외측에 위치한다.
제1 기판(111)은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절연성 기판이거나 스테인리스 강 등을 포함하는 금속성 기판일 수 있다. 제1 기판(111)은 실시예에 따라 플랫하거나 플렉서블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화소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와, 이에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는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은 박막 트랜지스터와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박막 트랜지스터와 액정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봉지층(113)은 교번하여 적층된 유기막 및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봉지층(113)은 제1 무기막과 제2 무기막 사이에 제1 유기막이 위치하는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층(113)은 표시부(120)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기막(140)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층(113)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봉지층(113)은 하나 이상의 무기막과 하나 이상의 유기막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봉지층(113)은 제1 봉지 무기막(113a), 봉지 유기막(113b) 및 제2 봉지 무기막(113b)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113)에서 제1 봉지 무기막(113a) 및 제2 봉지 무기막(113b)은 주로 수분 등의 침투를 방지하고, 봉지 유기막(113b)은 주로 봉지층(113)의 표면, 특히 봉지층(113)의 상부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제1 봉지 무기막(113a) 및 제2 봉지 무기막(113c)은 규소 산화물, 규소 질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 유기막(113b)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페릴렌계 수지 등의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기막(140)은 봉지층(113)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봉지층(113)의 제2 봉지 무기막(113b)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봉지층(113)의 최상층이 유기막인 경우 유기막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표시 패널이 포함하는 일 화소에 대해 살펴본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포함되는 일 화소(PX)는 신호선(121, 171, 172), 신호선(121, 171, 172)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1, T2),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 및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T1, T2)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T1),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T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선(121, 171, 172)은 스캔 신호(Sn)를 전달하는 스캔선(121), 스캔선(121)과 교차하며 데이터 신호(Dm)를 전달하는 데이터선(171), 그리고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하며 데이터선(17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형태를 가지는 구동 전압선(172)을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진다. 제어 단자는 스캔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T2)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스캔선(121)에 인가되는 스캔 신호(Sn)에 응답하여 데이터선(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Dm)를 구동 트랜지스터(T2)에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2)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진다. 제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선(1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발광 다이오드(LE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구동 전류(Id)를 전달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턴 오프(turn off)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 공통 전압(ELVSS)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구동 전류(I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 및 구동 트랜지스터(T2)는 n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 또는 p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 개의 트랜지스터와 1 개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일 화소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랜지스터의 수와 커패시터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앞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이들이 서로 조합된 실시예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7 및 도 18 각각은 사용자에 시인되는 표시 영역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6에서 비교예는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무기막을 가지는 표시 패널이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무기막을 가지는 표시 패널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 사이의 피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실시예 2는 개구부의 지름이 실시예 1에 비해 큰 경우이며, 실시예 3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비해 개구부의 지름이 큰 경우이다. 또한 100 개의 개구부를 기준으로 개구부 크기 및 간격의 균일도는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순으로 증가한다.
비교예에 따른 경우 투과율이 약 75%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대비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무기막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 1만으로도 투과율이 약 75.7%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 같이 개구부의 크기 또는 개구부 사이의 피치를 조절하면서 개구부의 균일도가 상승하는 경우 투과율이 약 76.2%와 약 83.6%까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7은 실시예 1에 따른 무기막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통과한 일부 화소 영역에 대한 이미지이며, 도 18은 실시예 3에 따른 무기막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통과한 일부 화소 영역에 대한 이미지이다.
균일한 형태 및 균일한 피치를 가지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무기막의 경우 도 1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표시 패널의 투과율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기막에 의한 광 회절 현상으로 복수의 가상 화소가 시인될 수 있으며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표 1을 참조하여 비교예 및 실시예에 대한 공정 능력을 살펴본다. 비교예는 무기막이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경우이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무기막이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경우이다. 이때 실시예 1은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의 지름은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의 지름보다 작으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 사이의 피치가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 사이의 피치와 동등한 수준인 경우이다. 실시예 2는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개구부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피치인 경우이다. 실시예 3은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의 지름은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의 지름보다 작고,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 사이의 피치는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 사이의 피치보다 큰 경우이다. 실시예 4는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의 지름은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의 지름보다 크고,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 사이의 피치는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 사이의 피치보다 큰 경우이다. 표 1에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 대비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부의 피치 및 지름을 나타냈다.
공정 능력을 평가하는 Ppk를 기준으로 비교예는 약 0.32 수준을 나타냈으나, 실시예 1은 약 6.53, 실시예 2는 약 6.73, 실시예 3은 약 5.39, 그리고 실시예 4는 약 2.26의 공정 능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Ppk 값은 큰 값일수록 공정 능력이 우수하면서 불량률이 낮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에 개구부가 위치하는 경우 공정 능력이 상당히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불량률도 감소함을 알 수 있다.
개구부 사이의 피치 개구부 지름 공정 능력 (Ppk)
비교예 - - 0.32
실시예 1 동등 감소 6.53
실시예 2 동등 동등 6.73
실시예 3 상향 감소 5.39
실시예 4 상향 상향 2.26
정리하면, 실시예에 따른 무기막의 개구부는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 공정에 따르면 복수의 개구부는 균일한 형태 및 균일한 피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수한 표시 품질 및 향상된 투과율을 가지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DA: 표시 영역
PA: 주변 영역
111: 제1 기판
112: 제2 기판
120: 표시부
140: 무기막
OP: 개구부

Claims (22)

  1.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 상에 위치하는 제2 기판, 그리고
    상기 제2 기판 상에 위치하는 무기막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막은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 그리고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개구부의 지름과 상기 제2 개구부의 지름은 동일한 표시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제1 개구부의 지름은 상기 제2 개구부의 지름 보다 큰 표시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제1 개구부의 지름은 상기 제2 개구부의 지름 보다 작은 표시 장치.
  6. 제2항에서,
    인접한 복수의 제1 개구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1 피치이고,
    인접한 복수의 제2 개구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2 피치인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1 피치와 상기 제2 피치가 동일한 표시 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제1 피치는 상기 제2 피치 보다 큰 표시 장치.
  9. 제6항에서,
    상기 제1 피치는 상기 제2 피치보다 작은 표시 장치.
  10. 제1항에서,
    인접한 3 개의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여 가상의 삼각형을 형성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가상의 삼각형은 정삼각형인 표시 장치.
  12. 제1항에서,
    인접한 4 개의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여 가상의 사각형을 형성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가상의 사각형은 정사각형인 표시 장치.
  14. 제1항에서,
    상기 제1 기판의 일 가장자리에 평행한 가상의 제1선에 대해, 복수의 개구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제2선은 기울어진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가상의 제1선과 상기 가상의 제2선이 이루는 각도는 3도(°) 내지 30도(°)인 표시 장치.
  16.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실장된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표시부 상에 위치하는 무기막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막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표시부와 상기 무기막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기판 또는 봉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6항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 그리고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는 평면상 크기가 동일한 표시 장치.
  20. 제16항에서,
    하나의 개구부의 지름은,
    인접한 2 개의 개구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의 55 % 내지 85%인 표시 장치.
  21. 제17항에서,
    상기 봉지층은,
    제1 봉지 무기막,
    상기 제1 봉지 무기막과 중첩하는 제2 봉지 무기막, 그리고
    상기 제1 봉지 무기막 및 상기 제2 봉지 무기막 사이에 위치하는 봉지 유기막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제21항에서,
    상기 무기막은 상기 제2 봉지 무기막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KR1020180124394A 2018-10-18 2018-10-18 표시 장치 KR10263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394A KR102630109B1 (ko) 2018-10-18 2018-10-18 표시 장치
US16/374,762 US10832981B2 (en) 2018-10-18 2019-04-04 Display device
CN201910699724.2A CN111081729A (zh) 2018-10-18 2019-07-31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394A KR102630109B1 (ko) 2018-10-18 2018-10-1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46A KR20200044246A (ko) 2020-04-29
KR102630109B1 true KR102630109B1 (ko) 2024-01-26

Family

ID=7027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394A KR102630109B1 (ko) 2018-10-18 2018-10-1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32981B2 (ko)
KR (1) KR102630109B1 (ko)
CN (1) CN1110817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8034A (ja) 2003-09-03 2005-03-24 Seiko Epson Corp 無機配向膜の形成方法、無機配向膜、電子デバイス用基板、液晶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8526B2 (ja) * 2002-09-12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el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該ディスプレイ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KR100563059B1 (ko) * 2003-11-28 2006-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레이저 열전사용 도너 필름
KR20090125697A (ko) * 2008-06-02 2009-12-0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전자파 차폐용 필터와 그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US9876064B2 (en) * 2013-08-30 2018-01-23 Lg Display Co., Ltd. Flexibl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160813B1 (ko) * 2014-01-07 2020-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00096A (ko) * 2014-06-23 2016-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10986B1 (ko) * 2014-08-01 2021-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대역 광 흡수체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102180647B1 (ko) * 2014-09-03 2020-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마스크
KR102318418B1 (ko) * 2014-12-08 2021-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29295B1 (ko) * 2015-01-09 2021-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7268B1 (ko) 2015-11-30 2017-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를 포함한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
KR102605957B1 (ko) * 2016-02-23 2023-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585535B1 (ko) 2016-06-30 2023-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95087B1 (ko) * 2016-09-23 2023-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렌즈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61467A (ko) 2016-11-28 2018-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헤드 장착 전자 장치
KR102652439B1 (ko) 2016-12-29 2024-03-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51276B1 (ko) 2018-02-02 2019-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산란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8034A (ja) 2003-09-03 2005-03-24 Seiko Epson Corp 無機配向膜の形成方法、無機配向膜、電子デバイス用基板、液晶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32981B2 (en) 2020-11-10
CN111081729A (zh) 2020-04-28
KR20200044246A (ko) 2020-04-29
US20200126878A1 (en)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30103B (zh) 显示装置
US10224380B2 (en) Display device
US1202750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pane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0854849B2 (en) Display device and head mount display device
US8531623B2 (en) Display device
EP3493265B1 (en) Display apparatus
KR2016002760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0120402B (zh) 显示设备
JP661230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20240147760A1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630109B1 (ko) 표시 장치
CN110780364B (zh) 光控膜和包括该光控膜的显示装置
KR201900814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4156323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31336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52881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window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0013581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0637243B (zh) 显示面板、显示装置和制造显示面板的方法
CN111077673B (zh) 显示装置
US11385519B2 (en) Display devic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d mounted display module
KR1023263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6416860A (zh) 平板显示器和包括该平板显示器的个人沉浸感显示器
CN115776833A (zh) 显示装置
CN115524860A (zh) 一种显示系统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