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980B1 - 야생동물의 영상정보를 추출하여 상황 별로 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설비의 손상과 통신계통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는 양수장/배수장 설비 케이스 - Google Patents

야생동물의 영상정보를 추출하여 상황 별로 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설비의 손상과 통신계통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는 양수장/배수장 설비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980B1
KR102629980B1 KR1020230043963A KR20230043963A KR102629980B1 KR 102629980 B1 KR102629980 B1 KR 102629980B1 KR 1020230043963 A KR1020230043963 A KR 1020230043963A KR 20230043963 A KR20230043963 A KR 20230043963A KR 102629980 B1 KR102629980 B1 KR 10262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image
certai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효선
Original Assignee
신효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효선 filed Critical 신효선
Priority to KR1020230043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3/00Other circuits or apparat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Abstract

야생동물의 영상정보를 추출하여 상황 별로 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설비의 손상과 통신계통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는 양수장/배수장 설비 케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양수장 설비 케이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양수장의 설비를 제어하는 설비 모듈;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적외선 영상을 생성하는 적외선 센서;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가시광선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센서;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상기 적외선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를 제어하고, 적외선 영상과 가시광선 영상을 수신하는 전자 제어 유닛;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발진하는 발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야생동물의 영상정보를 추출하여 상황 별로 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설비의 손상과 통신계통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는 양수장/배수장 설비 케이스{PUMPING PLANT/DRAINAGE PLANT EQUIPMENT CASE THAT CAN PREVENT EQUIPMENT DAMAGE AND COMMUNICATION SYSTEM PARALYSIS BY EXTRACTING VIDEO INFORMATION OF WILD ANIMALS AND CONTROLLING OSCILLATOR FOR EACH SITUATION}
본 발명은 야생동물의 영상정보를 추출하여 상황 별로 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설비의 손상과 통신계통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는 양수장/배수장 설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한국농어촌공사는 1990년대 이후 원격감시제어시스템, 방류예경보시설, 급수관리계획의 물관리프로그램 등 물관리자동화시스템의 연구개발에 착수해 충북 충주지구, 경북 상주지구, 전남 해남지구, 전남 고흥지구 등에 대규모 지구단위로 시행하는 등 전국 27개지구에 시공중이거나 설치완료돼 운영중에 있다.
TM/TC시스템(물관리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이란 저수지, 양·배수장, 용·배수로 등 농업기반시설물의 주요시설에 원격측정 및 제어장치를 설치해 중앙감시제어식 물관리시스템을 통해 용수의 적기·적량공급으로 물관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축된 시스템을 말한다. 따라서 TM/TC시스템이 구축될 경우 용수의 효율적 이용으로 농업생산성 제고 및 수요증가에 대비할 수 있으며, 용수의 균등배분과 용수부족지역의 추가개발량 제시, 가뭄과 홍수 관리 정보제공, 물관리 DB구축을 통한 정보화·자동화로 물관리기술의 선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같은 TM/TC시스템(물관리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이 구축되면 용수의 적기·적량공급이 가능해져 용수손실을 최소화해 연간 5억1400만톤(347억원)의 용수절약을 기대할 수 있으며, 가뭄피해 예방과 홍수시 사전통제 및 조절기능을 향상시켜 연간 197억원가량의 재해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TM/TC 시스템에서 양수장/배수장 등에 원격소 장치를 설치하는데 일 예로, 통신/제어 설비가 내장된 설비 케이스 등이 있다. 하지만, 야생동물 등이 설비 케이스에 침투하여 고가의 전장부품을 파손하여 피해를 입히고 통신망을 마비시키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야생동물의 영상정보를 추출하여 상황 별로 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설비의 손상과 통신계통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는 양수장/배수장 설비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수장 설비 케이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양수장의 설비를 제어하는 설비 모듈;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적외선 영상을 생성하는 적외선 센서;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가시광선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센서;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상기 적외선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를 제어하고, 적외선 영상과 가시광선 영상을 수신하는 전자 제어 유닛;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발진하는 발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적외선 영상을 처리하여 생물체 여부를 판단하고 가시광선 영상을 처리하여 생물체 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발진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적외선 센서를 온시키고 카메라 센서를 오프시키고, 적외선 영상으로부터 생물체가 존재하는 것을 판단한 다음 카메라 센서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가시광선 영상을 처리하여 야생동물의 종에 대한 생물체 정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생물체 정보에 따라 발진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수장 설비 케이스는 적외선 센서와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케이스 내 야생동물의 유무와 야생동물의 정보를 판단하여 위험도 등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진기의 출력을 조절하여 야생동물의 쫓아냄으로써 내부 전장부품이 발진기의 작동에 의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야생동물이 전장부품 등을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수장 설비 케이스가 배치되는 물관리 자동화 통신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수장 설비 케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양수장 설비 케이스(500)가 배치되는 물관리 자동화 통신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관리 자동화 통신시스템(1)은 저수지에 설치되어 제1계측정보를 생성하며, 저수지의 방류량을 결정하는 제1원격소 장치(10)와, 양수장에 설치되어 제2계측정보를 생성하며, 양수장의 양수량을 결정하는 제2원격소 장치(20)와, 용배수로에 설치되어 제3계측정보를 생성하며, 용배수로의 배수량을 결정하는 제3원격소 장치(30)와, 하나 이상의 기상관측 지점에 설치되어 제4계측정보를 생성하는 제4원격소 장치(40)와, 제1계측정보와 제2계측정보와 제3계측정보와 제4계측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중앙관리소(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계측정보는 저수지의 수위와 저수지의 개도율에 관한 정보이고, 제2계측정보는 양수장의 수위와 양수량에 관한 정보이고, 제3계측정보는 용배수로의 배수량에 관한 정보이고, 제4계측정보는 하나 이상의 기상관측 지점의 강수량에 관한 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원격소 장치(10, 20, 30)는 저수지와 양수장과 용배수로의 각종 설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중앙관리소(5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중앙관리소(50)는 복수의 지점관리소(미도시)를 거쳐 복수의 지점관리소가 관리하는 제1원격소 장치(10)와 제2원격소 장치(20)와 제3원격소 장치(30)와 제4원격소 장치(40) 별로 제1 내지 제4계측정보와 제1 내지 제3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분산지점 중앙관시스템).
중앙관리소(50)는 제1 내지 제4계측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1원격소 장치(10)를 제어하여 저수지의 방류량을 결정하고, 제2원격소 장치(20)를 제어하여 양수장의 양수량을 결정하고, 제3원격소 장치(30)를 제어하여 용배수로의 배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원격소 장치(10)와 제2원격소 장치(20)와 제3원격소 장치(30)와 제4원격소 장치(40)는 계측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계측 센서와, 설비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상태 센서와, 제1 내지 제4계측 정보와 제1 내지 제3상태 정보를 복수의 지점관리소를 통해 중앙관리소(50)로 전송하거나 중앙관리소(50)로 직접 전송하기 위한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복수의 지점관리소 또는 중앙관리소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시스템 포함)과, 중앙관리소(50)의 제어 신호를 복수의 지점관리소로를 통해 수신하거나 중앙관리소(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직접 수신하여 저수지와 양수장과 용배수로의 방류량과 양수량과 배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일 예로, 수문 개폐 액추에이터, 양수/배수 펌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SCADA 시스템은 원격지 시설 장치를 중앙 집중적으로 감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특히 농수관리/송배전 분야에서 통신 경로 상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원격 장치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RTU(remote terminal unit)로 수집, 수신, 기록 표시함으로써 중앙 제어 시스템이 원격 장치를 감시, 제어하는 것이다.
중앙관리소(50)에서는 제1 내지 제4원격소 장치(10, 20, 30, 40)로부터 저수지의 수위와 양수장의 수위와 용배수로의 배수량과 강수량에 대한 제1 내지 제4계측정보를 수신하여 중앙관제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소(50)는 강수량에 따른 저수지와 양수장의 수위와 용배수로의 배수량을 예측하여 저수지와 양수장의 수위와 용배수로의 배수량이 적정 값을 유지하도록 저수지의 방류량과 양수장의 양수량과 용배수로의 배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관리소(50)는 제어 신호를 제1 내지 제3원격소 장치(10, 20, 30)로 송신하여 저수지와 양수장과 용배수로의 방류량과 양수량과 배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일 예로, 수문 개폐 액추에이터, 양수/배수 펌프 등)를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저수지와 양수장의 수위와 용배수로의 배수량이 적정 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수장(배수장) 설비 케이스(500)를 설명한다. 양수장 설비 케이스(500)는 일 예로, 제2원격소 장치(20)를 구성하는 구성품 중에 하나로서, 양수장에 배치되어 양수장의 환경 상태를 계측하고 판단하는 센싱 장비와, 이러한 데이터를 중앙관리소(50)로 전송하여 모니터링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장비와, 중앙관리소(50)로부터 원격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받거나 양수장의 각종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비를 갖출 수 있다(이하, 설비 모듈).
양수장 설비 케이스(500)는 케이스(510), 케이스(510)의 내/외부에 배치되며 양수장의 설비를 제어하는 설비 모듈(520), 케이스(510)의 내/외부에 배치되며 적외선 영상을 생성하는 적외선 센서(530), 케이스(510)의 내/외부에 배치되며 가시광선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센서(540), 케이스(510)의 내/외부에 배치되며 적외선 센서(530)와 카메라 센서(540)를 제어하고 적외선 영상과 가시광선 영상을 수신하는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 전자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발진하는 발진기(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적외선 영상을 처리하여 생물체 여부를 판단하고 가시광선 영상을 처리하여 생물체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제어 유닛은 적외선 센서(530)를 온시키고 카메라 센서(540)를 오프시키고, 적외선 영상으로부터 생물체가 존재하는 것을 판단한 다음 카메라 센서(540)를 온시킬 수 있다. 즉, 전자 제어 유닛은 평상 시에는 적외선 센서(530)만을 작동시켜 열화상 영상을 분석하여 생명체의 온도가 감지되면 케이스(510) 내부에 생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다음, 케이스(510)의 내부에 생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카메라 센서(540)를 온시켜 가시광선 영상을 생성하고 선명한 가시광선 영상을 분석하여 생물체 정보를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전력소비량이 높은 카메라 센서(540)는 필요 시에만 온시켜 작동시킴으로써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생물체 정보는 "생물체(야생동물)의 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제어 유닛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생물체의 온도 범위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적외선 센서(530)의 적외선 영상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물체의 온도 범위에 대한 열화상 데이터가 감지되면 전자 제어 유닛은 케이스(500)의 내부/주변에 생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제어 유닛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각각의 이미지에 따른 야생동물의 종에 대한 데이터가 맵핑되어 있고 카메라 센서(540)의 가시광선 영상의 특정 이미지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를 매칭한 다음 해당 이미지에 맵핑되어 있는 야생동물의 종, 크기에 대한 데이터로서 생물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진기(550)는 초음파 발진기일 수 있으며 전자 제어 유닛이 판단한 생물체 정보에 따라 주파수의 세기와 대역폭이 제어되어 작동될 수 있다(일 예로, 뱀과 쥐는 가청영역이 달라 상호 다른 주파수의 세기와 대역폭으로 발진기가 작동되어야 함). 이에 따라, 양수장 설비 케이스(500)로 야생 동물 등이 침입하여 고가의 전장 부품을 훼손시키고 제어 계통을 마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양수장 설비 케이스(500)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적외선 센서(530)와 카메라 센서(540) 외에 케이스(500)의 내/외부에 배치되는 3차원 카메라(미도시, 일 예로, 라이다; 3차원 뎁스 영상을 생성)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제어 유닛은 평상 시 적외선 센서(530)를 온시키고 카메라 센서(540)와 3차원 카메라(미도시)와 발진기(550)를 오프시키고, 적외선 영상으로부터 생물체가 존재하는 것을 판단한 다음 카메라 센서(540)를 온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제어 유닛은 가시광선 영상을 분석하여 생물체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생물체 정보는 "생물체(야생동물)의 종과 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양수장 설비 케이스(500)의 변형례에서는 전자 제어 유닛이 가시광선 영상에서 생물체의 이미지의 위치가 단위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을 연산하여 단위 시간에 따른 야생동물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야생동물의 속도가 특정값 미만이면 야생동물의 종에 매칭되는 주파수의 세기와 대역폭으로 발진기(550)를 발진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자 제어 유닛은 야생동물의 속도가 특정값 이상이면 3차원 카메라를 온시켜 생물체 부피(미도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제어 유닛은 생물체 부피가 특정값 이상이면 야생동물의 속도가 특정값 미만이 될 때까지 발진기(550)가 작동시키지 않은 다음 야생동물의 속도가 특정값 미만이 되며 야생동물의 종에 매칭되는 주파수의 세기와 대역폭으로 발진하도록 발진기(5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자 제어 유닛은 생물체 부피가 특정값 미만이면 야생동물의 속도에 상관없이 야생동물의 종에 매칭되는 주파수의 세기와 대역폭으로 발진하도록 발진기(5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야생동물의 속도가 특정값 이상인 경우 야생동물이 갑작스럽게 케이스(510)의 내부로 들어오거나 좁은 공간에서 당황한 경우로서, 발진기(550)를 갑작스럽게 작동시키면 혼란이 가중되어 더욱 빠른 속도로 케이스(500)의 내부를 돌아다녀 큰 손상을 일으킬 확률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자 제어 유닛은 3차원 카메라(미도시)로 야생동물의 크기를 판단한 다음 크기가 작으면 빠른 속도로 돌아다닌다고 하더라도 손상 위험이 적고 조속히 내보내는 것이 중요하므로 바로 발진기(550)를 작동시킬 수 있고, 크기가 크면 갑자기 발진기(550)를 작동시키는 것보다 속도가 어느 정도 줄어든 다음 발진기(550)를 작동시켜 야생동물이 진정한 상태에서 찬찬히 케이스(510)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양수장 설비 케이스(500)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평상 시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오프되어 있으며, 야생동물의 속도가 특정값 이상인 시간이 특정값 이상인 경우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의 관리자는 야생동물이 케이스(510) 내부에서 요동하는 것을 인지하고 긴급히 양수장 설비 케이스(500)를 관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양수장의 설비를 제어하는 설비 모듈;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적외선 영상을 생성하는 적외선 센서;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가시광선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센서;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라이다 형태로서 생물체 부피를 생성하는 3차원 카메라;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상기 적외선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와 상기 3차원 카메라를 제어하고, 적외선 영상과 가시광선 영상과 생물체의 부피를 수신하는 전자 제어 유닛; 및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적외선 영상을 처리하여 생물체 여부를 판단하고 가시광선 영상을 처리하여 생물체 정보를 판단하고, 생물체 정보는 생물체의 종과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생물체의 온도 범위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적외선 영상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물체의 온도 범위에 대한 열화상 데이터가 감지되면 생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각각의 이미지에 따른 야생동물의 종에 대한 데이터가 맵핑되어 있어 가시광선 영상의 이미지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를 매칭한 다음 해당 이미지에 맵핑되어 있는 야생동물의 종에 대한 데이터로 생물체 정보를 산출하고, 가시광선 영상의 이미지에서 생물체의 위치가 단위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을 연산하여 단위 시간에 따른 야생동물의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초음파 발진기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이 판단한 생물체 정보에 따라 주파수의 세기와 대역폭이 제어되어 작동되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평상 시 상기 적외선 센서를 온시키고 상기 카메라 센서와 상기 3차원 카메라와 상기 초음파 발진기를 오프시키고, 적외선 영상으로부터 생물체가 존재하는 것을 판단한 다음, 상기 카메라 센서를 온시켜 가시광선 영상을 분석하여 생물체 정보를 판단한 다음,
    야생동물의 속도가 특정값 미만이면, 야생동물의 종에 매칭되는 주파수의 세기와 대역폭으로 상기 초음파 발진기를 작동시키고,
    야생동물의 속도가 특정값 이상이면, 상기 3차원 카메라를 온시켜 생물체 부피를 판단한 다음 생물체 부피가 특정값 이상이면 야생동물의 속도가 특정값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초음파 발진기를 작동시키지 않고 야생동물의 속도가 특정값 미만이 된 다음 야생동물의 종에 매칭되는 주파수의 세기와 대역폭으로 발진하도록 상기 초음파 발진기를 작동시키고, 생물체 부피가 특정값 미만이면 야생동물의 속도에 상관없이 야생동물의 종에 매칭되는 주파수의 세기와 대역폭으로 발진하도록 상기 초음파 발진기를 작동시키고,
    양수장 설비 케이스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평상 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오프되어 있으며 야생동물의 속도가 특정값 이상인 시간이 특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장 설비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43963A 2023-04-04 2023-04-04 야생동물의 영상정보를 추출하여 상황 별로 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설비의 손상과 통신계통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는 양수장/배수장 설비 케이스 KR10262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963A KR102629980B1 (ko) 2023-04-04 2023-04-04 야생동물의 영상정보를 추출하여 상황 별로 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설비의 손상과 통신계통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는 양수장/배수장 설비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963A KR102629980B1 (ko) 2023-04-04 2023-04-04 야생동물의 영상정보를 추출하여 상황 별로 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설비의 손상과 통신계통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는 양수장/배수장 설비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980B1 true KR102629980B1 (ko) 2024-01-25

Family

ID=8972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963A KR102629980B1 (ko) 2023-04-04 2023-04-04 야생동물의 영상정보를 추출하여 상황 별로 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설비의 손상과 통신계통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는 양수장/배수장 설비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9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4504A (zh) * 2016-10-09 2017-02-22 中苏科技股份有限公司 一体化智能泵站
KR102295743B1 (ko) * 2020-11-08 2021-08-31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CN114442684A (zh) * 2022-01-29 2022-05-06 文运洪 一种排涝站智能综合控制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4504A (zh) * 2016-10-09 2017-02-22 中苏科技股份有限公司 一体化智能泵站
KR102295743B1 (ko) * 2020-11-08 2021-08-31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CN114442684A (zh) * 2022-01-29 2022-05-06 文运洪 一种排涝站智能综合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ddula et al. Water level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dams using IoT
CN109639762B (zh) 城市物联网信息分级处理系统及方法
CN105163090B (zh) 基于4g的家庭庭院智能看护装置
Aarthi et al. IoT based drainage and waste management monitoring and alert system for smart city
KR101017746B1 (ko) 지능형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CN106801463B (zh) 排水管的排水状态检测方法和系统
KR20090011073A (ko) 환경 센서를 이용한 관개용수 자동제어시스템
CN105163089A (zh) 基于wifi的家庭庭院智能看护装置
US20180279566A1 (en) Wireless Solenoid Mesh Network
Ancona et al. An “Internet of Things” vision of the flood monitoring problem
CN105141928B (zh) 一种水利信息自动化及安全化控制系统
Hassa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irrigation mobile robot
KR102629980B1 (ko) 야생동물의 영상정보를 추출하여 상황 별로 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설비의 손상과 통신계통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는 양수장/배수장 설비 케이스
KR102138296B1 (ko) 소류지 농업용수 무인관리 시스템
Irianto Design of smart farm irrig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IoT and LoRA
Tadrist et al. Towards Low-Cost IoT and LPWAN-Based flood forecast and monitoring system
KR102125517B1 (ko) 소규모 수도시설 통합관리시스템
CN105334786A (zh) 一种河道生态环境场景与水利设施监控终端
KR20130053859A (ko)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에이치엠아이 시스템 관제시스템 및 방법
JP2020031627A (ja) 水田の水門管理システム
CN109102447A (zh) 一种水土保持多指标动态实时监测系统
Ufuoma et al. Efficiency of camera sensors for flood monitoring and warnings
Mhamdi et al. Methodological approach for the implementation of a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large-scale irrigation
KR102634262B1 (ko) 원격으로 계측과 감시와 제어를 기반으로 현장인력 수동조작 방식을 중앙원격화하여 용수를 절약하고 재해대응력이 제고되는 물관리 자동화 통신시스템
Al-Gumaei et al. Research Article Smart Tree Care System with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