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603B1 -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8603B1 KR102628603B1 KR1020220185890A KR20220185890A KR102628603B1 KR 102628603 B1 KR102628603 B1 KR 102628603B1 KR 1020220185890 A KR1020220185890 A KR 1020220185890A KR 20220185890 A KR20220185890 A KR 20220185890A KR 102628603 B1 KR102628603 B1 KR 1026286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low path
- battery pack
- path portion
- heat sink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809 cooling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2782 phase chan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Na 2 HPO 4 ·12H 2 O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7 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5 thermop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9—Fluids undergoing a liquid-gas phase change or transition, e.g. evaporation or condens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01M10/6568—Liquids characterised by flow circuits, e.g. loops, located externally to the cells or cell cas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9—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heat storage or buffering, e.g. heat capacity or liquid-solid phase changes or transi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유체 및 흡열물질을 이용한 이중 냉각 방식을 통해 배터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고, 차량 냉각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모듈 조립부; 상기 배터리 모듈 조립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히트싱크들; 적어도 하나의 히트싱크는, 일면에 형성된 홈 형상 및 타면에 형성된 홈 형상을 갖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을 커버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타면을 커버하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홈 형상은 냉각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의 사이에는 수용부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흡열물질이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히트싱크들의 유로부는 파이프들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홈 형상의 돌출면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끝단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that can improve battery cooling efficiency and improve the vehicle cooling system through a dual cooling method using a cooling fluid and a heat absorbing material, comprising: a battery module assembly; a plurality of heat sink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module assembly portion; At least one heat sink includes: a first plate having a groove shape formed on one side and a groove shape formed on the other side; a second plate covering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a third plate cover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The groove shap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includes a flow path through which cooling fluid can flow, a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low portions, a heat absorbing material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flow path portions of each heat sink are It is connected through pipes, and the groove-shaped protruding surfac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is lower than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냉각유체 및 흡열물질을 이용한 이중 냉각 방식을 통해 배터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고, 차량 냉각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ttery pack that can improve battery cooling efficiency and improve the vehicle cooling system through a dual cooling method using a cooling fluid and a heat absorbing material.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휴대용 전자기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기자동차 등과 같이 유선으로 연결할 수 없는 전기 장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로 인하여, 배터리는 배터리 시장의 확대 추세에 따라 연구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폭발하는 사고가 아직도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batteries are widely used in electrical devices that cannot be connected by wire, such a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electric vehicles. As a resul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batteries is becoming more active as the battery market expands, but accidents in which batteries catch fire or explode still occur frequently.
상기와 같은 배터리의 화재나 폭발은 충격에 의한 손상, 설계 오류, 단락 발생 및 가혹한 사용 환경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실정이다.Battery fires or explosions as described above occur for a variety of reasons such as shock damage, design errors, short circuits, and harsh use environments, and it is still difficult to completely prevent them.
한편,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근래에 빠르게 확산되는 추세이다. 통상의 전기자동차에는 고용량의 배터리 팩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은, 성능과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화재와 폭발에 의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고용량, 고효율 및 고안전성을 모두 구비한 배터리 팩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Meanwhile, the distribution of electric vehicles has been rapidly expanding in recent years. High-capacity battery packs are used in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of an electric vehicle as described above, but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prevent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due to fire and explosion. To this end,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recently been actively conducted to develop battery packs with high capacity, high efficiency, and high safety.
특히, 전기자동차의 급속 충전 및 가혹 운전 조건에서 배터리 팩의 배터리 셀에서 발생되는 온도 상승을 지연시켜 충전 효율 증대 및 전비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나아가 온도 상승에 따른 배터리 셀의 이상현상으로 인한 배터리 모듈의 화재 위험과 폭발 위험을 줄이기 위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변화 과정에서 더 많은 열을 흡수하는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을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의 냉각 성능을 높이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In particular, the purpose is to increase charging efficiency and improve fuel efficiency by delaying the temperature rise that occurs in the battery cells of the battery pack during rapid charging and harsh driving conditions of electric vehicles. Furthermore, the purpose is to increase battery charging efficiency and improve fuel efficiency due to abnormalities in battery cells due to temperature rise. Technologies to reduce the risk of fire and explosion of modules are continuously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cooling performance of battery modules by using phase change materials (PCMs), which absorb more heat during the phase change process.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흡열물질을 적용하는 구조를 통해 배터리 모듈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고, 차량 냉각 시스템의 레이아웃의 부피 및 무게를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battery pack that improves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battery module and reduces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layout of the vehicle cooling system through a structure that applies a heat absorbing material to the battery module.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모듈 조립부; 상기 배터리 모듈 조립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히트싱크들; 적어도 하나의 히트싱크는, 일면에 형성된 홈 형상 및 타면에 형성된 홈 형상을 갖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을 커버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타면을 커버하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홈 형상은 냉각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의 사이에는 수용부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흡열물질이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히트싱크들의 유로부는 파이프들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홈 형상의 돌출면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끝단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battery module assembly; a plurality of heat sink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module assembly portion; At least one heat sink includes: a first plate having a groove shape formed on one side and a groove shape formed on the other side; a second plate covering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a third plate cover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The groove shap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includes a flow path through which cooling fluid can flow, a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low portions, a heat absorbing material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flow path portions of each heat sink are It is connected through pipes, and the groove-shaped protruding surfac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is lower than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pl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트싱크는 상기 배터리 모듈 조립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heat sink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트싱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유로부와, 상기 직선유로부의 유로 방향을 변경하는 곡선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raight flow path par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heat sink, and a curved flow path part that changes the flow direction of the straight flow path par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 직선유로부 및 곡선유로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ght flow path portion and the curved flow path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부의 측면에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홈 형상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된 홈 형상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에 대해 경사진 형태를 갖거나, 곡선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tion is formed on a side of the flow path portion, and the partition is formed between a groove shap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nd a groove shap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The partition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clined shape or a curved shap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직선유로부는 제1 직선유로부 및 제2 직선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선유로부에는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직선유로부에는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ight flow passage portion includes a first straight flow passage portion and a second straight flow passage portion, and an inlet hole through which cooling fluid flows is formed in the first straight flow passage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flow passage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straight flow passage portion. The flow path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utflow hole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플레이트에는 상기 유입홀 및 상기 유출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포트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port groov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plat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pl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타면 중 상기 흡열물질이 수용된 영역에 대응하여 커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vers the area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heat absorbing material is accommod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plate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port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트는 주입 포트 및 흡입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포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중심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포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 includes an injection port and a suction port, wherein the injection port is formed in a central area of the third plate, and the suction port is formed in a corner area of the third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열물질은 상기 격벽의 측면 형태에 따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absorbing material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hape of the parti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부의 폭은 상기 수용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flow path por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유체와 더불어 흡열물질을 통한 이중냉각 방식을 통해 배터리 냉각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ellent battery cooling performance is achieved through a dual cooling method using a heat absorbing material as well as a cooling flui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트싱크에서 유로부가 형성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흡열물질이 형성되므로, 라디에이터 및 펌프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발열된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모듈을 이중냉각 방식을 통해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heat absorbing material is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flow path is formed in the heat sink,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ol the heated battery cell or battery module through a dual cooling method without increasing the radiator and pump capacity. You ca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부에 히트싱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상면 및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히트싱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플레이트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C-C'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하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A-A'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X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의 조립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의 조립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 sink is mounted on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shown in Figure 6.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shown in Figure 6.
9A and 9B are diagrams showing a heat si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3.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X shown in FIG. 11.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a heat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a heat si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Here,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repetitive description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are omitt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부에 히트싱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a heat sink is mounted on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모듈 조립부(110), 히트싱크(120), 하우징(130) 및 커버(140)를 포함한다.1 to 3, the
배터리 모듈 조립부(110)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113)로 구성된다. 배터리 모듈(113)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일정한 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셀은 전기의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복수개의 단위셀이 일정한 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ttery
한편, 배터리 모듈(113)은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기에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Meanwhile, the
배터리 모듈 조립부(110)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113)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 조립부(110)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8개의 배터리 모듈(113)이 하나의 배터리 모듈 단위조립체(110a, 110b, 110c, 110d)로 구성되고, 이러한 배터리 모듈 단위조립체(110a, 110b, 110c, 110d)가 전후 방향으로 4개 배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battery
물론, 배터리 모듈 단위조립체(110a, 110b, 110c, 110d)를 구성하는 배터리 모듈(113)의 개수 또는 배치 형태, 배터리 모듈 단위조립체(110a, 110b, 110c, 110d)의 개수 또는 배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the
히트싱크(120)는 배터리 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배터리 모듈 조립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히트싱크(120)는 사각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배터리 모듈 조립부(110)의 하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모듈(113)에서 발생된 열은 하측에 배치된 히트싱크(120)로 이동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The
히트싱크(120)는 배터리 모듈 단위조립체(110a, 110b, 110c, 110d)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4개의 배터리 모듈 단위 조립체(110a, 110b, 110c, 110d)의 각 하면에 4개의 히트싱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n개의 배터리 모듈 단위 조립체가 배치되는 경우, n개의 히트싱크(120)가 배치될 수 있다.The
한편, 히트싱크(120)는 배터리 모듈 조립부(110)의 상면 또는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히트싱크(120)는 배터리 모듈 조립부(110)에 접촉되는 면의 형상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히트싱크(120)가 배터리 모듈 조립부(110)에 배치되는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Meanwhile, the
한편, 히트싱크(120)와 배터리 모듈 조립부(110) 사이에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갭 필러(gap filler)가 사용되어 히트싱크(120)와 배터리 모듈(113)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이 제거될 수 있다.Meanwhile, a gap filler with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is used between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상면 및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히트싱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플레이트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C-C'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shown in FIG. 6,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line C-C' shown in FIG. 6.
도 4는 히트싱크(12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a)에는 히트싱크(120)의 상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의 (b)에는 히트싱크(120)의 하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히트싱크(120)의 상면은 배터리 모듈 조립부(110)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히트싱크(120)의 하면은 하우징(130) 하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Figure 4 shows the assembled state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히트싱크(120)는 제1 플레이트(121), 제2 플레이트(122), 제3 플레이트(123) 및 흡열물질(12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제1 플레이트(121)에는 냉각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부(121-3)가 프레스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는 제2 플레이트(122) 및 제3 플레이트(123) 사이에 배치된다.A flow path portion 121-3 through which cooling fluid can flow may be formed on the
제1 플레이트(121)의 상면(121-a)을 바라보았을 때, 유로부(121-3)는 상기 제1 플레이트(121)의 상면(121-a)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제1 플레이트(121)의 하면(121-b)을 바라보았을 때, 유로부(121-3)는 제1 플레이트(121)의 하면(121-b)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로부(121-3)는 함몰된 바닥면과, 바닥면과 연결된 측면과, 바닥면과 마주보는 개방면을 가질 수 있다.When looking at the upper surface (121-a) of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부(121-3)는 측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격벽(121-4)과 단면폭(d1)을 가진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공간은 냉각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물론, 유로부(121-3)의 격벽(121-4) 및 단면폭(d1)은 유로 방향을 따라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7, the flow path portion 121-3 may have a partition wall 121-4 on the side having a constant he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pace having a cross-sectional width d1, and this space may contain a space for cooling fluid. It becomes a passageway through which to move. Of course, the partition wall 121-4 and the cross-sectional width d1 of the flow path portion 121-3 may be formed differently along the flow path direction.
한편, 유로부(121-3)에는 냉각유체의 난류화를 유도하도록 엠보(12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의 상면을 바로보았을 때, 엠보(121-4)는 상기 제1 플레이트(121)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제1 플레이트(121)의 하면(121-b)을 바라보았을 때, 엠보(121-4)는 제1 플레이트(121)의 하면(121-b)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엠보(121-4)는 도트형으로 형성되나, 엠보(121-4)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Meanwhile, an emboss 121-4 may be formed in the flow path portion 121-3 to induce turbulence of the cooling fluid. When looking directly at the upper surface of the
제1 플레이트(121)에는 상변화물질(124)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21-5)가 형성된다. 수용부(121-5)는 제1 플레이트(121) 상에서 유로부(121-3)가 형성된 영역 외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A receiving portion 121-5 in which the
제1 플레이트(121)의 상면을 바라보았을 때, 수용부(121-5)는 상기 제1 플레이트(121)의 상면(121-a)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제1 플레이트(121)의 하면(121-b)을 바라보았을 때, 수용부(121-5)는 제1 플레이트(121)의 하면(121-b)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121-5)는 함몰된 바닥면과, 바닥면과 연결된 측면과, 바닥면과 마주보는 개방면을 가질 수 있다.When looking at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21-5)는 측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격벽(121-4)과 단면폭(d2)을 가진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공간으로 흡열물질(124)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121-5)는 유로부(121-3)에 형성된 격벽(121-4)을 공유할 수 있다. 물론, 수용부(121-5)의 격벽 높이(121-4)는 유로부(121-3)의 격벽 높이(121-4)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단면폭(d2)은 수용부(121-5)가 형성된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receiving portion 121-5 may have a partition 121-4 on the side having a constant he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pace having a cross-sectional width d2, and a heat absorbing material is stored in this space. (124) is acceptable. Here, the receiving portion 121-5 may share the partition wall 121-4 formed in the flow path portion 121-3. Of course, the height of the partition 121-4 of the receiving part 121-5 may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partition 121-4 of the flow path part 121-3, and the cross-sectional width d2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partition 121-4 of the receiving part 121-5. ) may vary depending on the area in which it is form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로부(121-3)는 직선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유로부(121-31)와, 유로의 방향을 바꾸는 곡선유로부(121-3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portion 121-3 includes a straight flow path portion 121-31 formed in a straight direction and a curved flow path portion 121-32 that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flow path.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부(121-3)는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도 6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직선유로부(121-31) 및 곡선유로부(121-32)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low path portion 12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ight flow path portion 121-31 and a curved flow path formed on both sides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FIG. 6)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121)의 폭방향 최외측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직선유로부(121-31)들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의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직선유로부(121-31)들은 곡선유로부(121-32)에 의해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 부근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ight passage portions 121-31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직선유로부(121-31) 또는 곡선유로부(121-32)의 개수 또는 배치 방향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 직선유로부(121-31)가 제1 플레이트(121)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 유로부(121-3)가 대칭되지 않게 형성되거나, 직선유로부(121-31) 및 곡선유로부(121-32)가 제1 플레이트(121)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r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traight flow passage portions 121-31 or curved passage portions 121-32. For example, straight flow passage portions 121-3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유로부(121-3)는 외부에서 유로부(121-3)로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121-1)과, 유로부(121-3)에서 외부로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유출홀(121-2)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참조하면, 유입홀(121-1)로 들어온 냉각유체는 양측(도 6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한 뒤 직선유로부와 곡선유로부를 거친 후 유출홀(121-2)에 모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입홀(121-1) 및 유출홀(121-2)은 각각 최외측에 위치한 직선유로부(121-31)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flow path portion (121-3) has an inlet hole (121-1) through which cooling fluid flows into the flow path portion (121-3) from the outside, and an outlet hole (121-1) through which cooling fluid flows out from the flow path portion (121-3) to the outside. 121-2). Referring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6, the cooling fluid entering the inlet hole 121-1 moves to both sides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FIG. 6), passes through the straight flow path portion and the curved flow path portion, and then flows into the outlet hole (121-1). 121-2) and can be leaked to the outsi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hole 121-1 and the outlet hole 121-2 may be formed on the outermost straight flow path portion 121-31, respectively.
본 발명의 수용부(121-5)는 직선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수용부(121-51)와, 곡선수용부(121-52)를 포함한다.The receiving part 121-5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ight receiving part 121-51 formed in a straight direction and a curved receiving part 121-52.
수용부(121-5)는 유로부(121-5)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21-5)는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도 6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직선수용부(121-51) 및 곡선수용부(121-52)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21-5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low path portion 121-5. The receiving portion 12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ight receiving portion 121-51 and a curved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FIG. 6)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격벽(121-4)은 유로부(121-3) 또는 수용부(121-5) 홈의 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 플레이트(121)에 대해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 직선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격벽(121-4)은 제1 플레이트(121)에 가까워질수록 격벽(121-4) 사이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며, 격벽(121-4)의 측면이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진 복수의 경사 형태를 갖거나, 경사 형태 또는 직선 형태 또는 곡선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wall 121-4 forms the side of the groove of the flow path portion 121-3 or the receiving portion 121-5, and is formed on the first plate. It may have an inclined shape with respect to (121). It can be formed to have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the partition wall 121-4 is formed at an angl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21-4 becomes narrower as it approaches the
흡열물질은 배터리 모듈(113) 또는 히트싱크(12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흡열반응을 유발하는 물질이다. 예를 들어, 흡열물질은 파라핀(paraffin), 폴리에틸렌 글리콜, 무기 수화물(예를 들어, Na2HPO4·12H2O, Na2SO4·10H2O, Zn(NO3)2·6H2O 등)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흡열물질 중 상변화물질을 예시로 들어 설명한다. 상변화 물질은, 소정의 온도에서 상변환, 바람직하게는, 고상에서 액상 또는 고상에서 기상으로의 상변화이 일어나며, 이러한 상변환을 통해 잠열을 가진다.The endothermic material is a material that causes an endothermic reac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상변화물질(124)은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모듈(113)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면서 상변화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변화에 필요한 잠열을 이용하여 열의 흡수와 저장 기능을 한다. 이때, 상변화물질(124)은 일정 온도 이상에서 상변화를 수행할 수 있다.The
도 5를 참조하면, 상변화물질(124)은 수용부(121-5)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변화물질(124)은 수용부(121-5)의 전체 영역에 수용되나, 수용부(121-5)의 일부 영역에만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상변화물질(124)은 직선부(124-1)와 곡선부(124-2)를 포함한다. 직선부(124-1)는 직선수용부(121-51)에 수용될 수 있고, 곡선부(124-2)는 곡선수용부(121-52)에 수용될 수 있다.The
한편, 상변화물질(124)은 124)은 탄성재질의 캡슐 부재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변화물질(124)은 배터리 셀의 화재 발생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을 흡수하면서 상변화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 상변화물질(124)에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열계면물질(TIM, Thermal Interface Material)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변화물질(124)이 그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고체 상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변화물질(124)이 액체 상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1 플레이트(121)에는 제1 플레이트 정렬부(12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정렬부(121-6)는 후술할 제2 플레이트 정렬부(122-6)와 삽입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의 상면(121-a)을 바라보았을 때, 제1 플레이트 정렬부(121-6)는 상기 제1 플레이트(121)의 상면(121-a)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제1 플레이트(121)의 하면(121-b)를 바라보았을 때, 제1 플레이트 정렬부(121-6)는 제1 플레이트(121)의 하면(121-b)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정렬부(121-6)는 함몰된 바닥면과, 바닥면과 연결된 측면과, 바닥면과 마주보는 개방면을 가질 수 있다.A first plate alignment portion 121-6 may be formed on the
제2 플레이트(122)는 제1 플레이트(121)의 상면을 덮도록 제1 플레이트(121)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21)의 유로부(121-3) 상면은 외부에 노출되는 바, 제1 플레이트(121)와 제2 플레이트(122)가 결합됨으로써 유로부(121-3)의 상면이 폐쇄되어 냉각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완성된다. 즉, 제2 플레이트(122)는 냉각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제2 플레이트(122)에는 제2 플레이트 정렬부(122-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22)의 상면을 바라보았을 때, 제2 플레이트 정렬부(122-6)는 상기 제2 플레이트(122)의 상면을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 정렬부(122-6)가 제1 플레이트 정렬부(121-6)에 삽입되면, 제1 플레이트(121)와 제2 플레이트(122)는 설계자가 원하는 배치방향으로 정렬되어 결합될 수 있다.A second plate alignment portion 122-6 may be formed on the
제2 플레이트(122)에는 폭 방향 양끝에는 그 길이 방향(도 5에 도시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부(122-1)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부(122-1)는 제2 플레이트(122)의 폭 방향 양 끝단에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측부(122-1)로 인해 제2 플레이트(122)에는 제1 플레이트(121)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External portions 122-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shown in FIG. 5)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제3 플레이트(122)는 제1 플레이트(121)의 하면을 덮도록 제1 플레이트(121)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플레이트(121)의 수용부(121-5) 하면은 외부에 노출되는 바, 제1 플레이트(121)와 제3 플레이트(122)가 결합됨으로써 수용부(121-5)의 하면이 폐쇄되어 상변화물질(124)이 수용되는 공간이 완성된다. 즉, 제3 플레이트(123)는 상변화물질(124)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상변화물질(124)이 고체상태(예를 들어, 페이스트 형태)인 경우, 제1 플레이트(121)의 수용부(121-5)의 형상에 따라 상변화물질(124)을 형성하여 수용부(121-5)에 수용한 후, 제3 플레이트(123)가 제1 플레이트(1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변화물질(124)이 액체상태인 경우, 제1 플레이트(121)의 수용부(121-5)에 상변화물질(124)을 도포한 후, 제3 플레이트(123)가 제1 플레이트(121)에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플레이트(123)는 제1 플레이트(121)의 하면 중 상변화물질(124)이 수용된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플레이트(123)가 제1 플레이트(121)의 하면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3 플레이트(123)에는 유입포트홈(123-1) 및 유출포트홈(123-2)이 형성된다. 유입포트홈(123-1)은 제1 플레이트(121)의 유입홀(1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유출포트홈(123-2)은 제1 플레이트(121)의 유출홀(12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5, an inlet port groove 123-1 and an outlet port groove 123-2 are formed in the
유입포트홈(123-1)은 제1 플레이트(121)의 하면에 유입포트(127)가 장착되기 위해 형성되고, 유출포트홈(123-2)은 제1 플레이트(121)의 하면에 유출포트(128)가 장착되기 위해 형성된다. 유입포트(127)는 냉각유체가 외부에서 제1 플레이트(121)의 유로부(121-3)로 유입되기 위한 연결포트로서, 유입홀(121-1)과 연결된다. 유출포트(128)는 냉각유체가 유로부(121-3)에서 외부로 유출되기 위한 연결포트로서, 유출홀(121-2)과 연결된다.The inlet port groove 123-1 is formed to mount the
이하,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121, 122, 123)의 결합 공정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the joining process of the first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121, 122, 123)는 금속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121, 122, 123)는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21)와 제2 플레이트(122)는 브레이징(brazing) 공법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21)와 제3 플레이트(123)는 레이저 등의 용접 공법 또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플레이트(121, 122)는 금속물질로 구성되고, 제3 플레이트(123)는 필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플레이트(123)의 필름 물질은 열가소성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21)와 제2 플레이트(122)는 브레이징 공법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21)와 제3 플레이트(123)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되거나, 필름 물질을 녹여 제1 플레이트(121)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123)는 필름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제 1 또는 제2 플레이트(121, 123)보다 두께가 적을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를 도시한 도면이다.9A and 9B are diagrams showing a heat si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히트싱크(120)와 제3 플레이트(123)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구성의 차이점은 상변화물질(124)을 수용부(121-5)에 수용하는 방법에 기인하는 것으로, 상변화 물질(124)을 수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히트싱크(120) 중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만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9A and 9B,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플레이트(123)에는 주입포트(223-3)와 흡입포트(223-1)가 형성된다. 주입포트(223-3)는 상변화물질(124)을 수용부(121-5) 내로 주입하기 위한 포트이고, 흡입포트(223-1)는 수용부(121-5)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포트이다. 흡입포트(223-1)를 통해 수용부(121-5)의 공기를 흡입한 상태에서, 주입포트(223-3)로 상변화물질(124)을 주입하면 상변화물질(124)을 원활하게 수용부(121-5)로 주입할 수 있다.An injection port 223-3 and a suction port 223-1 are formed in the
본 발명에서 주입포트(223-3)는 제3 플레이트(123)의 대략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고, 흡입포트(223-1a, 223-1b, 223-1c, 223-1d)는 제3 플레이트(123)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입포트(223-3) 및 흡입포트(223-1a, 223-1b, 223-1c, 223-1d)가 배치된 것은, 상기 수용부(121-5)가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므로,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에서 모서리 방향으로 상변화물질(124)을 주입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주입포트(223-3) 및 흡입포트(223-1a, 223-1b, 223-1c, 223-1d)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port 223-3 is form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한편, 주입포트(223-3) 및 흡입포트(223-1a, 223-1b, 223-1c, 223-1d)의 사용이 완료되면, 각 포트가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injection port 223-3 and the suction ports 223-1a, 223-1b, 223-1c, and 223-1d are used, each port may be clos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30)의 내부공간에는 배터리 모듈 조립부(110)가 수용된다. 하우징(130)의 내부공간은 각 배터리 모듈 단위조립체(110a, 110b, 110c, 110d)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획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battery
하우징(130)에 배터리 모듈 단위조립체(110a, 110b, 110c, 110d)가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130)의 상면은 커버(140)가 결합될 수 있다.With the battery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하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Figure 10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0)이 완성된 상태에서 그 하면을 살펴보면, 히트싱크(120)에 형성된 각 유입포트(127)를 연결하는 파이프(129a)와, 각 유출포트(128)를 연결하는 파이프(129b)가 형성된다. 배터리 팩(100)의 외부에서 제공된 냉각유체는 파이프(129a)를 따라 이동하다가 히트싱크(120)의 유입홀(121-1)을 통해 히트싱크(120) 내부, 더 자세하게는 제1 플레이트(121)와 제2 플레이트(122) 사이 공간인 유로부(121-3)로 유입될 수 있고, 히트싱크(120) 내부를 이동한 냉각유체는 파이프(129b)를 따라 이동하다가 배터리 팩(1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Looking at the bottom of the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X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3, and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X shown in FIG. 1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113)의 하면에는 히트싱크(120)가 장착되므로, 배터리 셀(112) 또는 배터리 모듈(113)에서 발생되는 열이 하부로 이동하여 히트싱크(120)로 전달된다. 이때, 히트싱크(120)의 수용부(121-5)에는 상변화물질(124)이 형성되고, 유로부(122-1)에는 냉각유체가 흐를 수 있다. 배터리 셀(1122) 또는 배터리 모듈(113)에서 발생되는 열은 우선 냉각유체에 의해 냉각되다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변화물질이 상변화하면서 열을 흡수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중 냉각 방식에 따라 배터리 셀(112) 또는 배터리 모듈(113)에서 급격하게 온도가 상승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1 and 12, since the
한편, 차량 냉각수 시스템을 살펴보면, 배터리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낮추기 위해서는 냉각수 흐름을 빨라지게 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라디에이터와 펌프의 용량이 커야 하나, 이렇게 되면 냉각 시스템의 레이아웃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looking at the vehicle coolant system, it is necessary to speed up the coolant flow in order to quickly reduce the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However, for this to happen, the capacity of the radiator and pump must be large, but this has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layout volume and weight of the cooling system.
본 발명에 따르면, 히트싱크(120)에서 유로부(121-3)가 형성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상변화물질(124)이 형성되므로, 라디에이터 및 펌프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냉각유체와 함께 이중냉각 방식으로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배터리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낮추기 위해 유로부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변화물질을 통한 이중냉각이 가능하므로 유로부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Additionally,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flow path portion to quickly reduc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dual cooling is possible through a phase change material, there is no nee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flow path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121)에 유로부(121-3)가 형성된 나머지 공간인 수용부(121-5)에 상변화물질(124)이 수용되므로, 상변화물질(124)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제1 플레이트(121)에 가공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의 조립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의 조립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a heat sin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a heat si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20)의 조립 공정을 살펴본다. 우선,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21)의 유로부(121-3)의 홈이 나타난 일면에 제2 플레이트(122)를 결합한다. 이후,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21)의 수용부(121-5)의 홈이 나타난 타면에 상변화물질(124)을 배치한다. 여기서, 상변화물질(124)은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다. 상변화물질(124)이 고체(예를 들어, 페이스트 상태)인 경우 그 형상은 수용부(121-5)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변화물질(124)을 수용부(121-5)의 홈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상변화물질(124)이 액체인 경우 상변화물질(124)은 수용부(121-5)의 홈에 도포될 수 있다. 이후,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21)의 타면에 제3 플레이트(123)를 결합한다. 그리고, 제3 플레이트(123)의 유입포트홈(123-1)과 유출포트홈(123-2) 각각에 유입포트(127) 및 유출포트(128)를 결합한다. 그러면, 도 1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20)가 조립된다.With reference to FIG. 13, the assembly process of the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20)의 조립 공정을 살펴본다. 우선,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21)의 유로부(121-3)의 홈이 나타난 일면에 제2 플레이트(121)를 결합하고, 제1 플레이트(121)의 수용부(121-5)의 홈이 나타난 타면에 제3 플레이트(123)를 결합한다. 이후,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포트(223-3)를 통해 수용부(121-5) 내 공간에 상변화물질(124)을 주입하고, 이와 동시에 흡입포트(223-1a, 223-1b, 223-1c, 223-1d)를 통해 수용부(121-5) 내 공기를 외부로 빨아드린다. 그러면 상변화물질(124)은 수용부(121-5) 공간 중 주입포트(223-3)가 위치한 곳에서 흡입포트(223-1a, 223-1b, 223-1c, 223-1d)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며 수용부(121-5) 공간을 채우게 된다. 여기서, 상변화물질(124)은 액체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고체일 수 있다. 이후,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포트(223-3)에는 주입포트 캡(224-3)을 결합하고, 흡입포트(223-1a, 223-1b, 223-1c, 223-1d)에는 흡입포트 캡(224-1a, 224-1b, 224-1c, 224-1d)을 결합한다. 주입포트 캡(224-3) 및 흡입포트 캡(224-1a, 224-1b, 224-1c, 224-1d)은 수용부(121-5) 내에 수용된 상변화물질(124)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면, 도 1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20)가 조립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4, the assembly process of 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be able to.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배터리 팩 110 : 배터리 모듈 조립부
113: 배터리 모듈 120 : 히트싱크
121 : 제1 플레이트 122 : 제2 플레이트
123 : 제3 플레이트 124 : 상변화물질
130 : 하우징100: Battery pack 110: Battery module assembly
113: Battery module 120: Heat sink
121: first plate 122: second plate
123: Third plate 124: Phase change material
130: housing
Claims (13)
상기 배터리 모듈 조립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히트싱크들;
적어도 하나의 히트싱크는,
일면에 형성된 홈 형상 및 타면에 형성된 홈 형상을 갖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을 커버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타면을 커버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홈 형상은 냉각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의 사이에는 수용부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흡열물질이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히트싱크들의 유로부는 파이프들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홈 형상 하부의 타면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끝단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Battery module assembly;
a plurality of heat sink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module assembly portion;
At least one heat sink,
a first plate having a groove shape formed on one side and a groove shape formed on the other side;
a second plate covering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 third plate cover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and
The groove shap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includes a flow path through which cooling fluid can flow,
An accommodat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low path portions, and a heat absorbing material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flow path portions of each of the heat sinks are connected through pipes,
The battery pack, wherein the other surface of the groove-shaped lower part of the first plate is lower than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plate.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트싱크는 상기 배터리 모듈 조립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heat sink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트싱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유로부와, 상기 직선유로부의 유로 방향을 변경하는 곡선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pack, wherein the passage portion includes a straight passage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heat sink, and a curved passage portion that changes the passage direction of the straight passage portion.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 직선유로부 및 곡선유로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ccording to claim 3,
The battery pack, wherein the flow path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so that the straight flow path portion and the curved flow path portion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상기 유로부의 측면에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홈 형상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된 홈 형상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에 대해 경사진 형태를 갖거나, 곡선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ccording to claim 1,
A partition is formed on a side of the flow path portion,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between a groove shap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nd a groove shap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The battery pack, wherein the partition wall has an inclined shape or a curved shap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상기 직선유로부는 제1 직선유로부 및 제2 직선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선유로부에는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직선유로부에는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ccording to claim 3,
The straight flow path portion includes a first straight flow path portion and a second straight flow path portion,
An inlet hole through which cooling fluid flows is formed in the first straight flow path portion,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an outflow hole through which cooling fluid flows out is formed in the second straight flow path portion.
상기 제3 플레이트에는 상기 유입홀 및 상기 유출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포트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ccording to claim 6,
A battery pack, wherein port grooves are formed in the third plat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pack, wherein the third plat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plate.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타면 중 상기 흡열물질이 수용된 영역에 대응하여 커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ccording to claim 8,
The battery pack, wherein the third plate covers an area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where the heat absorbing material is accommodated.
상기 제3 플레이트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plate is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ports.
상기 포트는 주입포트 및 흡입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포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중심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포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ccording to claim 10,
The port includes an injection port and a suction port,
The injection port is formed in the center area of the third plate,
The battery pack, wherein the suction port is formed in a corner area of the third plate.
상기 흡열물질은 상기 격벽의 측면 형태에 따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ccording to claim 5,
A battery pack, wherein the heat absorbing material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hape of the partition wall.
상기 유로부의 폭은 상기 수용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ccording to clause 1,
A battery pack, wherein the width of the flow path por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receiv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5890A KR102628603B1 (en) | 2022-12-16 | 2022-12-27 | Battery p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7031A KR20240094614A (en) | 2022-12-16 | 2022-12-16 | Battery pack |
KR1020220185890A KR102628603B1 (en) | 2022-12-16 | 2022-12-27 | Battery pack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7031A Division KR20240094614A (en) | 2022-09-22 | 2022-12-16 | Battery pa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8603B1 true KR102628603B1 (en) | 2024-01-25 |
Family
ID=897216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7031A KR20240094614A (en) | 2022-09-22 | 2022-12-16 | Battery pack |
KR1020220185890A KR102628603B1 (en) | 2022-12-16 | 2022-12-27 | Battery pack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7031A KR20240094614A (en) | 2022-09-22 | 2022-12-16 | Battery pa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40094614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7565A (en) * | 2015-06-15 | 2016-12-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ooling Apparatus for Battery Cell |
KR20220036518A (en) * | 2020-09-16 | 2022-03-23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Provided therein |
-
2022
- 2022-12-16 KR KR1020220177031A patent/KR20240094614A/en unknown
- 2022-12-27 KR KR1020220185890A patent/KR10262860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7565A (en) * | 2015-06-15 | 2016-12-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ooling Apparatus for Battery Cell |
KR20220036518A (en) * | 2020-09-16 | 2022-03-23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Provided therei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4614A (en) | 2024-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82902B2 (en) | BATTERY MODULE INCLUDING HEAT DISPERSION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EAT DISPERSION | |
KR102372348B1 (en) |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oling structure | |
KR20180038310A (en) | Battery Module Comprising Module Case Having Integrally Coupled Heat Sink | |
KR20200044580A (en) | Large module of battery | |
JP7418558B2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ntaining it | |
JP7442920B2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ntaining it | |
JP7353503B2 (en) | Battery packs and devices containing them | |
KR20220091958A (en) | Pouch Type Battery Cell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US11387519B2 (en) | Battery pack and vehicle | |
EP4184683A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
JP7395232B2 (en) | Battery packs and devices containing them | |
KR102628603B1 (en) | Battery pack | |
KR20220081027A (en) |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683482B1 (en) | Battery Pack | |
KR20210152238A (en) | Battery Pack With Multi-Layered Battery Modules | |
JP2024528969A (en) | Battery rack and power storage device including same | |
JP2023529736A (en) | Battery packs and devices containing them | |
CN117293487B (en) | Battery switching assembly, battery and electric equipment | |
CN117276813B (en) | Battery switching assembly, battery module and electric equipment | |
JP7403776B2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ntaining it | |
CN117293474B (en) | Battery, battery module and electric equipment | |
JP7345630B2 (en) | A battery module having a structure that allows quick sprinkler operation and an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 |
US20240072330A1 (en) | Eco-friendly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module for a transportation vehicle | |
KR20240084709A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JP2024533442A (en) | Cooling member, battery module including said cooling member, and battery p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