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185B1 - 자기장 간섭 방지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자기장 간섭 방지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185B1
KR102628185B1 KR1020220015686A KR20220015686A KR102628185B1 KR 102628185 B1 KR102628185 B1 KR 102628185B1 KR 1020220015686 A KR1020220015686 A KR 1020220015686A KR 20220015686 A KR20220015686 A KR 20220015686A KR 102628185 B1 KR102628185 B1 KR 102628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coil
shielding layer
driving coil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0178A (ko
Inventor
최병훈
설현희
Original Assignee
(주)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캠시스 filed Critical (주)캠시스
Priority to KR1020220015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185B1/ko
Publication of KR20230120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자기장 간섭 방지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 유닛에 체결되는 렌즈 캐리어와, 상기 렌즈 캐리어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구동 코일과, 상기 구동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구동 코일의 수직 하부에 고정 배치되는 센서 코일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상부면에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 모듈의 하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를 수용 공간 내에 수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렌즈 모듈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에 금속판 형태 및 자기장 차단 필름 형태 중 하나 이상인 자기장 차폐층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장 차폐층은 광 경로를 개방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광축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자기장 간섭 방지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with magnetic field interference prevention sturcure}
본 발명은 자기장 간섭 방지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랩톱 등과 같은 휴대형 장치에는 스틸 및/또는 비디오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다.
카메라 모듈은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정밀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자동 초점 조절(auto focusing)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optical image stabilization), 줌(zoom)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며, 카메라 모듈에는 이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액츄에이터가 구비된다.
액츄에이터 구동부는 렌즈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고, 렌즈 캐리어의 위치 및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렌즈 캐리어를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킨다.
렌즈 캐리어가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정확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은 미리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된 후 스마트폰 제작사 등에 공급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처리가 완료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제작사 등에서 카메라 모듈을 금속성 장착 부재가 존재하는 본체에 탑재하였을 때, 금속성 장착 부재에 의한 자기장 간섭이 발생되어, 렌즈 캐리어의 이동 위치가 정확하게 검출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정확한 액츄에이터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과 도면 1 내지 3을 참조하여 후술될 종래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27732호
본 발명은 자기장 차폐층을 형성하여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환경에 관계없이 렌즈 캐리어의 위치가 정확히 검출될 수 있어 정확한 액츄에이터 구동이 가능한 자기장 간섭 방지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렌즈 유닛이 체결되는 렌즈 캐리어와, 상기 렌즈 캐리어의 외주면에 고정 배치되는 구동 코일과, 상기 구동 코일에 대향하도록 상기 구동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구동 코일의 수직 하부에 고정 배치되는 센서 코일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상부면에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 모듈의 하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를 수용 공간 내에 수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 코일에 구동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구동 코일이 고정 배치된 상기 렌즈 캐리어는 상기 구동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와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센서 코일은 렌즈 캐리어가 이동될 때 함께 이동되는 구동 코일과 달리 상기 렌즈 캐리어의 하부에 위치 고정된 모듈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코일에 인가된 구동 전류에 따른 상호 유도 작용으로 상기 센서 코일에는 유도 전류가 발생되며, 상기 센서 코일에 발생된 상기 유도 전류는 상기 구동 코일과 상기 센서 코일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인식하여 상기 렌즈 캐리어의 이동된 위치가 검출되도록 구동부로 입력되며, 상기 렌즈 모듈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에 금속판 형태 및 자기장 차단 필름 형태 중 하나 이상인 자기장 차폐층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장 차폐층은 광 경로를 개방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광축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브라켓은 사출 제작될 때 금속판 형태의 자기장 차폐층이 인서트되는 인서트 사출 기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광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광축상에 형성된 상기 브라켓의 개구부와 상기 자기장 차폐층의 개구부의 중앙은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장 차폐층의 몸체에는 상기 브라켓과의 결합력 강화를 위한 관통홀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장 차폐층은 상기 브라켓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고정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기장 차폐층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SMD(Surface mount device) 부품을 회피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고정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자기장 차단 필름은 코발트 합금 시트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장 차폐층을 형성하여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환경에 관계없이 렌즈 캐리어의 위치가 정확히 검출될 수 있어 정확한 액츄에이터 구동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부정확한 렌즈 캐리어 위치 검출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장 간섭 방지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부정확한 렌즈 캐리어 위치 검출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모듈(10)에는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렌즈 캐리어(20)를 이동시키고, 렌즈 캐리어(20)가 위치 제어 신호에 따른 정확한 위치로 이동되었는지를 감지하도록 구동 코일(18)과 센서 코일(24)이 구비된다. 여기서, 구동 코일(18)은 렌즈 캐리어(20)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렌즈 캐리어(20)에는 렌즈 유닛(60, 도 4 참조)이 체결된다.
참고로, 도 1에는 렌즈 모듈(10)의 보호용 케이스로서 기능하고 자기장 차폐 기능을 가지는 실드캔(12), 탄성 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1 탄성 부재(14)와 제2 탄성 부재(22), 구동 코일(18)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장 내에서 구동 코일(18)에 인가된 구동 전류에 따른 유도 자기력에 의해 구동 코일(18)과 렌즈 캐리어(20)의 직선 운동을 유발시키는 마그네트(16),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유닛(60)이 체결되는 렌즈 캐리어(20), 구동 코일(18)과 센서 코일(24)이 구동부(70)(예를 들어, 드라이버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동코일 터미널(30)과 센서코일 터미널(26), 실드캔(12)과 결합되고 마그네트(16) 등을 지지하는 모듈 베이스(28)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렌즈 모듈(10)의 실드캔(12) 내부에는 구동 코일(18)과 센서 코일(24)이 배치되고, 렌즈 모듈(10)의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110)의 내부 공간에 이미지 센서(40)가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40)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장착된다.
구동 코일(18)은 모듈 베이스(28)에 고정된 마그네트(16)에 대향하도록 렌즈 캐리어(2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구동 코일(18)에 구동부(70)로부터 구동 전류가 인가되면 마그네트(16)와 구동 코일(18)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즉, 로렌츠 힘)에 의해 렌즈 캐리어(20)는 광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예를 들어, 상승 또는 하강)된다.
여기서, 구동부(70)는 구동 코일(18)의 양극과 음극에 위상 반전된 형태의 구동 전류를 인가하되, 구동 전류가 구형파 형상을 이루도록 주기적으로 미리 지정된 크기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실어 펄스 파형의 구동 전류가 구동 코일(18)에 인가되도록 한다(도 2의 (b) 참조).
렌즈 캐리어(20)가 이동될 때 함께 이동되는 구동 코일(18)과 달리, 센서 코일(24)은 렌즈 캐리어(20)의 하부에 고정 위치되는 모듈 베이스(28)의 위치에 고정 배치된다.
렌즈 캐리어(20)의 외주면에 고정된 구동 코일(18)에 구동 전류가 인가되면, 상호 유도 작용에 의해 구동 코일(18)에 이격하도록 배치된 센서 코일(24)에 유도 전류가 발생된다.
구동 코일(18)에 인가된 주기적인 펄스 파형의 구동 전류(즉, 주기적으로 고주파 펄스 신호가 인가된 구동 전류)에 의해, 센서 코일(24)에는 고주파 펄스 신호가 인가된 시점에 상응하여 고주파 펄스 신호에 따른 톱니 파형 신호가 발생되는 유도 전류가 발생된다(도 2의 (c) 참조).
센서 코일(24)에 발생된 유도 전류는 구동부(70)로 입력되고, 구동부(70)는 유도 전류에 존재하는 톱니 파형 신호의 높이값(α)을 이용하여 구동 코일(18)과 센서 코일(24)의 이격 거리(d)를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동 코일(18)이 외측면에 고정된 렌즈 캐리어(20)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캐리어(20)가 센서 코일(24)쪽으로 상대적으로 접근(즉, 렌즈 캐리어(20)의 하강)하면, 구동 코일(18)과 센서 코일(24)의 근접된 거리만큼 자기선속의 영향이 증가되어 톱니 파형 신호의 높이값(α)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렌즈 캐리어(20)가 센서 코일(24)로부터 멀어지면(즉, 렌즈 캐리어(20)의 상승), 자기선속의 영향이 감소되어 톱니 파형 신호의 높이값(α)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구동부(70)는 구동 코일(18)에 펄스 파형의 구동 전류를 인가하여 렌즈 캐리어(20)를 이동시키면서, 센서 코일(24)에서 입력되는 유도 전류에 발생된 톱니 파형 신호의 높이값을 참조하여 렌즈 캐리어(20)가 이동된 위치(즉, 센서 코일(24)과 구동 코일(18) 사이의 거리(d))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랜즈 캐리어(20)가 지정된 위치까지 정확히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70)는 렌즈 캐리어(20)의 위치를 인식한 후, 구동 전류의 전류량을 조정하여 렌즈 캐리어(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톱니 파형 신호의 높이값을 참조하여 렌즈 캐리어(20)가 어느 위치만큼 이동되었는지 정확히 인식되도록 하는 캘리브레이션 작업이 카메라 모듈 제작사에서 실시되고, 캘리브레이션 작업이 완료된 카메라 모듈이 스마트폰 제작사 등에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제작사 등에서 카메라 모듈을 본체에 탑재하였을 때, 탑재된 카메라 모듈의 주변에 금속성 장착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금속성 장착 부재에 의해 자기장 간섭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센서 코일(24)에 발생되는 유도 전류의 톱니 파형 신호의 높이값에 변화가 발생된다.
즉, 도 3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톱니 파형 신호의 높이값이 α라고 가정할 때, 자기장 간섭으로 인해 톱니 파형 신호의 높이값이 β(case 1 참조) 또는 γ(case 2 참조)로 상이하게 검출될 수 있다.
센서 코일(24)의 유도 전류에서 톱니 파형 신호의 높이값이 부정확하게 검출되면, 구동부(70)는 렌즈 캐리어(20)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될 수 없어 렌즈 캐리어(20)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환경에 관계없이 렌즈 캐리어(20)의 위치를 정확히 검출하여 렌즈 캐리어(20)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장 간섭 방지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 각각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의 렌즈 모듈(10)과 인쇄회로기판(50) 사이에 자기장 차폐층(120)이 배치된다.
자기장 차폐층(120)은 렌즈 유닛(60)에 구비된 렌즈들을 통해 이미지 센서(40)로 유입될 빛이 진행하는 광 경로를 차단하지 않으면서, 광축 방향에 수직한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자기장 차폐층(120)은 예를 들어, 광 경로를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금속판 및 자기장 차단 필름(예를 들어, 코발트 합금 시트 등)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자기장 차폐층(120)이 렌즈 모듈(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인쇄회로기판(50)의 상부면에 장착된 이미지 센서(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110)에 구비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즉, 광 경로를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금속판 형태 또는 자기장 차단 필름 형태의 자기장 차폐층(120)이 브라켓(110)의 하부면에 고정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자기장 차폐층(120)은 예를 들어 본딩 방식, 억지끼움 장착 방식, 돌출부와 대응되는 오목부를 이용한 장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상 물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판 형태의 자기장 차폐층(120)을 브라켓(110)의 하부면에 배치하면, 센서 코일(24)의 하부에 금속판이 이미 존재하는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이 실시될 수 있어, 추후 카메라 모듈이 금속성 장착 부재가 존재하는 대상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장착되더라도 자기장 간섭에 따른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는, 자기장 차단 필름 형태의 자기장 차폐층(120)을 브라켓(110)의 하부면에 배치하더라도,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대상 장치에 존재하는 금속성 장착 부재에 의한 자기장 간섭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에는 자기장 차폐층(120)이 브라켓(110)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자기장 차폐층(120)이 센서 코일(24)의 하부에 배치되면 충분하므로, 자기장 차폐층(120)은 브라켓(11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0)은 금속판 형태의 자기장 차폐층(120)과 일체형을 이루는 차폐형 브라켓(150)으로 제작되고, 차폐형 브라켓(150)이 이미지 센서(40)를 수용 공간에 수용하도록 렌즈 모듈(10)의 하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 등의 절연물질을 이용하여 브라켓(110)을 사출 제작할 때, 금속판 형태의 자기장 차폐층(120)이 인서트 처리되어, 일체형의 차폐형 브라켓(150)이 제작될 수 있다.
차폐형 브라켓(150)이 제작될 때, 광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광축상에 형성된 브라켓(110)의 개구부와 자기장 차폐층(120)의 개구부의 중앙이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5에는 브라켓(110)의 개구부 면적에 비해 자기장 차폐층(120)의 개구부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인서트 사출된 자기장 차폐층(120)의 일부가 브라켓(110)으로부터 개구부의 중앙을 향해 노출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브라켓(110)과 자기장 차폐층(120)의 개구부 면적이 서로 일치하거나, 브라켓(110)의 개구부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금속판 형태의 자기장 차폐층(120)의 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자기장 차폐층(120)이 브라켓(110)에 인서트 사출 제작될 때, 절연 물질이 관통홀에 침투되어 브라켓(110)과의 결합력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6 및 도 7에 각각 예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 형태 또는 자기장 차단 필름 형태의 자기장 차폐층(120)은 브라켓(1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50)의 상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자기장 차폐층(120)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40) 및 SMD(Surface mount device) 부품을 회피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자기장 차폐층을 구비하여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환경에 관계없이 렌즈 캐리어의 위치가 정확히 검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한 액츄에이터 구동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 실드캔 14, 22: 탄성 부재
16 : 마그네트 18 : 구동 코일
20 : 렌즈 캐리어 24 : 센서 코일
26, 30 : 터미널 28 : 모듈 베이스
40 : 이미지 센서 50 : 인쇄회로기판
60 : 렌즈 유닛 70 : 구동부
110 : 브라켓 120 : 자기장 차폐층
150 : 차폐형 브라켓

Claims (7)

  1. 렌즈 유닛이 체결되는 렌즈 캐리어와, 상기 렌즈 캐리어의 외주면에 고정 배치되는 구동 코일과, 상기 구동 코일에 대향하도록 상기 구동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구동 코일의 수직 하부에 고정 배치되는 센서 코일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상부면에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 모듈의 하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를 수용 공간 내에 수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 코일에 구동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구동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간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구동 코일이 고정 배치된 상기 렌즈 캐리어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센서 코일은 렌즈 캐리어가 이동될 때 함께 이동되는 구동 코일과 달리 상기 렌즈 캐리어의 하부에 위치 고정된 모듈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코일에 인가된 구동 전류에 따른 상호 유도 작용으로 상기 센서 코일에는 유도 전류가 발생되며, 상기 센서 코일에 발생된 상기 유도 전류는 상기 구동 코일과 상기 센서 코일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인식하여 상기 렌즈 캐리어의 이동된 위치가 검출되도록 구동부로 입력되고,
    상기 렌즈 모듈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에 금속판 형태 및 자기장 차단 필름 형태 중 하나 이상인 자기장 차폐층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장 차폐층은 광 경로를 개방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광축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사출 제작될 때 금속판 형태의 자기장 차폐층이 인서트되는 인서트 사출 기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광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광축상에 형성된 상기 브라켓의 개구부와 상기 자기장 차폐층의 개구부의 중앙은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 차폐층의 몸체에는 상기 브라켓과의 결합력 강화를 위한 관통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 차폐층은 상기 브라켓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 차폐층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SMD(Surface mount device) 부품을 회피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단 필름은 코발트 합금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20015686A 2022-02-07 2022-02-07 자기장 간섭 방지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KR102628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686A KR102628185B1 (ko) 2022-02-07 2022-02-07 자기장 간섭 방지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686A KR102628185B1 (ko) 2022-02-07 2022-02-07 자기장 간섭 방지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178A KR20230120178A (ko) 2023-08-17
KR102628185B1 true KR102628185B1 (ko) 2024-01-24

Family

ID=87800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686A KR102628185B1 (ko) 2022-02-07 2022-02-07 자기장 간섭 방지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1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233B1 (ko) * 2020-07-16 2022-01-14 자화전자(주) Af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동 제어하는 구동드라이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2253B1 (en) * 2000-08-31 2002-09-1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shielding of an integrated circuit
KR101859377B1 (ko) * 2015-12-07 2018-05-21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27732B1 (ko) 2015-12-07 2021-11-17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176824B1 (ko) * 2019-03-18 2020-11-10 (주)캠시스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233B1 (ko) * 2020-07-16 2022-01-14 자화전자(주) Af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동 제어하는 구동드라이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178A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8893B2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4706261B (zh) 摄像头模块以及光学装置
US11428950B2 (en) Lens moving apparatus
EP2977807B1 (en) Lens moving apparatus
EP2887514B1 (en) Lens moving apparatus
CN114153103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组及光学设备
US9736378B2 (en) Camera module
CN112904644B (zh) 透镜移动装置
US20190391360A1 (en) Driving mechanism
US20210294070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20140077301A (ko) 카메라 모듈
KR20100126990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2628185B1 (ko) 자기장 간섭 방지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KR102240399B1 (ko) 카메라 모듈
KR102444957B1 (ko) 카메라 모듈
KR102639311B1 (ko) 카메라 모듈
KR102232030B1 (ko) 카메라 모듈
US20240176099A1 (en) Driving mechanism
US20230403469A1 (en) Optical element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camera-equippe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