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974B1 -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974B1
KR102627974B1 KR1020180140056A KR20180140056A KR102627974B1 KR 102627974 B1 KR102627974 B1 KR 102627974B1 KR 1020180140056 A KR1020180140056 A KR 1020180140056A KR 20180140056 A KR20180140056 A KR 20180140056A KR 102627974 B1 KR102627974 B1 KR 102627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tub
coupling
cas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119A (ko
Inventor
이현승
유상희
장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974B1/ko
Priority to EP19207100.9A priority patent/EP3653777B1/en
Priority to US16/684,221 priority patent/US11280044B2/en
Publication of KR2020005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2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made of plastic material, e.g. by injection moul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는, 세탁수가 채워지는 세탁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세탁공간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탁기의 터브에 있어서, 융착 공정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세탁공간 및 상기 터브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결합면; 상기 제1 케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2 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면과 결합되는 제2 결합면;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세탁공간을 둘러싸며, 융착 공정시 돌출된 단부가 상기 제2 결합면에 융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메인 결합돌기;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메인 결합돌기로 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서브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결합돌기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으로 누수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A tub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
본 발명은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통해 세탁물을 세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된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수 또는 거품이 출입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드럼과, 상기 터브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터브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세탁기의 세탁물이 입출되는 입구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드럼으로 세탁물이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세탁물의 세탁을 위해서 상기 세탁기가 동작되면, 상기 터브의 내부에는 세탁을 위한 세탁수가 공급되며, 상기 터브에 세탁수가 충분히 담수되면 상기 모터에 의해서 상기 드럼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드럼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서 출입되고, 상기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세탁이 완료되면 상기 세탁기에 구비된 배수펌프가 동작되어,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는 분할된 다수의 구성의 결합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는 분할된 다수의 구성의 결합에 의해 상기 드럼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분할된 다수의 구성은 각각 상기 터브의 세척공간 일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터브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 형상의 절반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와, 나머지 절반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접촉면에 실링을 위한 가스켓이 구비되고,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결합되는 결합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89786호에는, 세탁기의 터브(58)가 터브 커버(90)와 터브 본체(92)의 결합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되는 구조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의하면, 상기 터브 커버(90)는 터브(58)의 전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터브 본체(42)는 터브(58)의 후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터브 커버(90)와 터브 본체(58)에는 외주를 따라 형성된 홀이 형성되고, 체결부재(94)가 홀에 체결됨으로써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종래 기술과 같이 터브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되는 경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사이에 가스켓을 구비한 후,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터브의 조립을 위한 작업 공수가 증가하게 되어 세탁기의 제조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스켓 및 체결부재의 구성의 증가에 의해서 터브의 오조립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부품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저하되거나 가스켓이 노후될 경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사이로 세탁수가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결합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되는 세탁기의 터브에 있어서,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융착 공정에 의해서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는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융착 공정에 의해서 누수가 방지되도록 안정적으로 융착될 수 있는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융착시 발생하는 플래시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융착을 위한 결합돌기가 메인 결합돌기와 메인 결합돌기의 외측에 위치된 서브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제공됨에 있어서,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으로 누수된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터브는, 세탁수가 채워지는 세탁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세탁공간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탁기의 터브에 있어서, 융착 공정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세탁공간 및 상기 터브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결합면; 상기 제1 케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2 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면과 결합되는 제2 결합면;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세탁공간을 둘러싸며, 융착 공정시 돌출된 단부가 상기 제2 결합면에 융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메인 결합돌기;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메인 결합돌기로 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서브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결합돌기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으로 누수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는, 상기 터브의 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는, 상기 세탁공간에 채워지는 세탁수의 수위 제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세탁공간의 좌우측에 위치된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에는 상하로 수직한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부에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 중 메인 결합돌기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직선부는 상기 수위 제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수위 제한 높이(H)와 상기 직선부의 사이 영역 또는, 상기 직선부의 하부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연결리브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리브는, 융착이 완료된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결합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중 하나는 상기 터브의 전반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터브의 후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면은 상기 제1 케이스의 둘레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면은 상기 제2 케이스의 둘레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융착시 발생하는 플래시는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의 사이 공간에 구속하기 위한 가림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림 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 보다 내측에 위치된 상기 제2 결합면의 영역과 상기 서브 결합돌기 보다 외측에 위치된 상기 제2 결합면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림 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 보다 내측에 위치된 상기 제2 결합면의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림 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 보다 내측에 위치되되 상기 결합돌기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림 돌기는, 융착기 완료된 상태의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 이하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2 결합면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가림 돌기 외측의 제2 결합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채워지는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터브는, 융착 공정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세탁공간 및 상기 터브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결합면; 상기 제1 케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2 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상기 제1 결합면과 결합되는 제2 결합면;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세탁공간을 둘러싸며, 융착 공정시 돌출된 단부가 상기 제2 결합면에 융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되는 메인 결합돌기;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메인 결합돌기로 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는 서브 결합돌기; 상기 서브 결합돌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으로 누수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는 세탁물을 입출하기 위한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터브와 드럼은 상기 출입구를 향하여 개구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각각 상기 터브의 전반부와 후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는, 상기 터브의 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는, 상기 세탁공간에 채워지는 세탁수의 수위 제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면은 상기 제1 케이스의 둘레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면은 상기 제2 케이스의 둘레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간은 상하 높이 보다 좌우 폭이 더 작게 형성되고, 상기 세탁공간의 좌우측에 위치된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에는, 상기 캐비닛의 좌우 측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직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직선부에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 중 메인 결합돌기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직선부는 상기 수위 제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수위 제한 높이(H)와 상기 직선부의 사이 영역 또는, 상기 직선부의 하부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연결리브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리브는, 융착이 완료된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결합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터브는, 상기 제2 결합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융착시 발생하는 플래시를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의 사이 공간에 구속하기 위한 가림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림 돌기는, 상기 결합돌기 보다 내측에 위치된 상기 제2 결합면의 영역과 상기 결합돌기 보다 외측에 위치된 상기 제2 결합면의 영역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터브는,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2 결합면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가림 돌기 외측의 제2 결합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터브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융착에 의해서 결합됨에 있어서,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에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결합면에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융착 공정에 의해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기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결합돌기는 제1 결합면을 따라 형성되는 메인 결합돌기와, 상기 메인 결합돌기로 부터 외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서브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의와 서브 결합돌기가 함께 구비됨에 따라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보다 견고한 융착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부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둘째, 상기 메인 결합돌기의 외측에 위치된 상기 서브 결합돌기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으로 누수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에 의해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의 융착 불량이나 또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의 손상으로 인해서 세탁수의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세탁수가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에 지속적으로 고여있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가 지속적으로 고여있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곰팡이의 발생 등에 의해서 세탁물의 위생 상태가 저해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개구는 세탁공간에 채워지는 세탁수의 수위 제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누수된 세탁수는 액체상태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증발되어 기체 상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로 누수된 세탁수가 액체상태로 외부로 배출되어 전장부품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서브 결합돌기는 메인 결합돌기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므로, 서브 결합돌기가 메인 결합돌기와 함께 구비되더라도,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융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리브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연결 리브에 의해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가 서로 지지되어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 또는 융착 공정시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가 접히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강도가 보강됨에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연결 리브가 융착이 완료된 결합돌기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에 따라,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이 연결 리브에 의해서 차폐되지 않고 상기 개구와 연통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제1 결합면은 상기 제1 케이스의 둘레면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2 결합면은 상기 제2 케이스의 둘레면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에 융착 장치가 외측에서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는 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일곱째, 일반적으로 캐비닛의 전면에 출입구가 형성되는 드럼 타입의 세탁기의 경우, 캐비닛의 내부 공간이 상하 높이 보다 좌우 폭이 더 작게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세탁공간의 좌우측에 위치된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에는, 상기 캐비닛의 좌우 측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직선부가 형성되어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공간의 좌우측에 위치된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에는 폭이 좁음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결합돌기만 형성된다.
따라서, 융착을 위한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이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간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터브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하여 큰 세탁 용량을 확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의 폭이 비교적 좁게 형성된 상기 세탁공간의 좌우측은, 세탁수가 채워지는 하부측에 비하여 세탁수의 누수가 일어나기 어려우므로, 상기 메인 결합돌기만 형성되더라도 누수의 발생이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즉, 누수가 비교적 발생하기 어려운 상기 세탁공간의 좌우측의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은 비교적 폭을 좁게 형성시키고, 비교적 폭이 좁음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결합돌기만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터브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할 수 있으면서도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여덟째, 상기 제2 결합면에는,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 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가림 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의 융착시 발생하는 플래시가 상기 세탁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림 돌기는,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1 결합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2 결합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의 융착이 이루어지는 중에 상기 플래시가 상기 세탁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2 결합면에 접하는 단부가 용융되므로, 상기 플래시는 상기 제2 결합면 측에서 발생하여,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제2 결합면 측에서 부터 쌓이게 된다. 이 때, 상기 가림 돌기는 상기 제2 결합면에서도 돌출 형성되므로, 상기 제2 결합면측에서 부터 쌓이는 상기 플래시가 상기 터브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홉째, 상기 제2 결합면에는,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가림 돌기 외측의 제 결합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2 결합면의 양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경사면에 의해서 융착이 이루어져야 할 상기 가림 돌기 외측의 상기 제2 결합면으로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의해서 정확한 위치의 상기 제2 결합면으로 안내되어, 안정적인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 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브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케이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4의 a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케이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케이스의 전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브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A''를 기준으로 터브를 절단하여 터브 상부의 융착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B'-B''를 기준으로 터브를 절단하여 터브 좌우측부의 융착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C'-C''를 기준으로 터브를 절단하여 터브 하부의 융착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 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브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브(100)는, 수직한 회전축을 가지는 드럼이 구비되는 일반 세탁기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수평한 회전축을 가지는 드럼 세탁기(1)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브(100)가 드럼 세탁기(1)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드럼 세탁기(1)는, 본체(10)와 도어(2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캐비닛(11)과 탑커버(12) 및 베이스 팬(13)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1)은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은 상기 본체(1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출입하는 출입구(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12)는 상기 캐비닛(11)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탑커버(12)는 상기 캐비닛(11)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팬(13)은 상기 캐비닛(11)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팬(13)은 상기 캐비닛(11)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팬(13)은 상기 캐비닛(11)의 하면을 커버하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테두리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팬(13)의 테두리는 상기 캐비닛(11)의 하부 둘레면과 겹쳐진 상태로 상기 캐비닛(11)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팬(13)에는 전장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1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부품은 후술할 배수 펌프(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3a)는 상기 베이스 팬(13)의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장착되는 전장부품이 상기 베이스 팬(13)의 바닥면으로 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착부(13a)는 장착되는 전장부품의 종류 및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장착부(13a)에 장착되는 전장부품은, 상기 베이스 팬(13)의 바닥면으로 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누수 발생시 물에 접촉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세탁수가 유동되는 구성들에서는 조립불량 또는 제품 불량으로 인해서 세탁수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터브(100) 또는 상기 급수간(16) 또는 상기 배수관(18) 등에서 세탁수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세탁수가 누수되는 경우, 누수된 세탁수는 상기 베이스 팬(13)에 집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 팬(13)에 장착되는 전장부품이 상기 베이스 팬(13)의 바닥면에 위치될 경우, 세탁수에 의해서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장부품이 상기 장착부(13a)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팬(13)의 바닥면으로 부터 이격됨으로써, 누수된 세탁수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팬(13)에는 누수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누수 감지 센서(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수 감지 센서(70)는 상기 베이스 팬(13)의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 팬(13)의 바닥면은 상기 누수 감지 센서(70)가 구비된 위치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누수 감지 센서(70)는 상기 베이스 팬(13)의 대략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팬(13)의 바닥면은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팬(13)에 집수된 물이 상기 누수 감지 센서(70)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누수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 세탁기(1)에는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수 감지 센서(70)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누수의 감지시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 세탁기(1)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드럼 세탁기(1)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출력장치는 문자 또는 그림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는 모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수 감지 센서(70)에서 누수의 감자시, 상기 출력장치를 통해서 특정 알림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제품의 이상 상태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알림을 통해서 누수의 발생을 인식하고, 제품의 사용을 중지 및 수리 등의 대처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드럼 세탁기(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4)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인출입되는 세제박스(15)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세제박스(15)를 인출시켜 상기 세제박스(15)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6)은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10)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6)은 상기 세제박스(15)를 경유하여 상기 터브(100)로 연결되어, 상기 세제박스(15)에 투입된 세제가 세탁수와 함께 상기 터브(10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터브(100)의 하측에는 세탁수를 순환시키거나 배출시키는 배수펌프(17)와 배수관(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17)는 상기 베이스 팬(13)의 장착부(13a)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18)은 상기 터브(100)의 하면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펌프(17)는 상기 배수관(18)의 일측에 연결되어, 세탁수의 배출을 강제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회동에 의해서 상기 출입구(11a)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 세탁기(1)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터브(100)와, 상기 터브(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30)과, 상기 터브(100)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키는 모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10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세탁수가 채워지는 세탁공간(10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100)의 상기 세탁공간(103)에는, 상기 드럼(3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터브(10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누운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출입구(11a)를 향하는 전면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터브(100)는 스프링(19)에 의해서 상기 본체(10)에 매달리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00)의 하부에는 세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101)는 상기 터브(100)의 내측 바닥면이 하방으로 함몰된 구조로 형성되어, 세탁수가 용이하게 집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101)에는 세탁수가 배출되며 상기 배수관(18)과 연통되는 배수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드럼(30)은 상기 터브(100)의 세탁공간(103)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터브(100)의 외측면은 상기 터브(100)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30)은 상기 터브(100)의 내부에 누운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출입구(11a)를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입구(11a)를 통해서 세탁물이 상기 드럼(30)의 내부로 인출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공급된 세탁수가 상기 홀(31)을 통해서 상기 드럼(30)의 내부로 공급되거나 상기 드럼(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100)의 상기 세탁공간(103)의 세탁수가 상기 드럼(30)으로 순환될 수 있다.
상기 모터(40)는 상기 터브(100)의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40)는 상기 터브(100)의 개구된 전면과 반대되는 상기 터브(100)의 후면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40)의 회전축은 상기 터브(100)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40)의 회전축은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30)은 지면과 수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이 상방으로 이동된 후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의 내측면에는, 상기 드럼(30)의 회전시 세탁물을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트(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32)는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32)는 상기 드럼(3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되는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1)가 세탁을 위해 동작하게 되면, 상기 급수관(16)을 통해서 상기 터브(100)의 상기 세탁공간(103)으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공급된 세탁수는 상기 터브(100)의 하부에서 부터 채워질 수 있다.
상기 터브(100)에 채워진 세탁수는 상기 드럼(30)의 홀을 통해서, 상기 드럼(30)의 내부로 순환될 수 있다.
세탁수가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충분히 공급되면, 상기 모터(40)가 동작되어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드럼(30)이 회전되면, 상기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은 상기 리프트(32)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된 후 낙하되면서 세탁수에 의해서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세탁기 완료되면 상기 모터(40)가 정지되고, 상기 배수펌프(17)가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17)가 동작되면 상기 터브(100) 내부의 세탁수는 상기 배수구(102) 및 상기 배수관(18)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00)는 분할된 다수의 구성의 결합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100)는 분할된 다수의 구성의 결합에 의해 상기 드럼(30)을 내부에 완전히 수용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다수의 구성은 각각 상기 세탁공간(103)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로 들어, 상기 터브(100)는,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결합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는 융착 공정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터브(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융착 공정으로는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융착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300)는 원통 형상의 상기 터브(100)의 대략 절반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400)는 원통 형상의 상기 터브(100)의 나머지 절반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케이스(30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가깝게 위치되는 상기 터브(100)의 전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300)는 '프론트 케이스'로 명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400)는 상기 본체(10)의 후면에 가깝게 위치되는 상기 터브(100)의 후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볼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케이스(400)는 '리어 케이스'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300)는 상기 세탁공간(103) 일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케이스(300)는 전후방으로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케이스(300)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300)는 내부 공간이 상기 제2 케이스(400)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과 연결 수 있도록, 후면도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300)의 내부 공간에 의해서 상기 세탁공간(103) 전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400)는 상기 세탁공간(103)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케이스(400)는 전방으로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케이스(400)는 내부 공간이 상기 제1 케이스(300)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400)의 내부 공간에 의해서 상기 세탁공간(103) 후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400)의 후면에는 상기 모터(40)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 관통구(4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제1 케이스(300)의 배면과 상기 제2 케이스(400)의 전면은 서로 대응하는 크기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터브(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터브(100)의 상기 세탁공간(10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400)의 축 관통구(401)를 관통하는 상기 모터(40)의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30)은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세탁공간(103)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터브(100)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기밀되게 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결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케이스(300)의 후면에는, 상기 제1 케이스(300)의 외주를 따라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 결합면(3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케이스(300)의 후면에는 후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 결합면(3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400)의 전면에는, 상기 제2 케이스(400)의 외주를 따라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2 결합면(4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케이스(400)의 전면에는 전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2 결합면(4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 및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은 융착 공정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기밀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구조 및 결합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케이스의 후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4의 a1 영역의 확대도이다.
상기 제1 케이스(300)의 후면에는 상기 제1 결합면(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면(310)에는, 결합돌기(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20)는 상기 제1 케이스(30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돌기(320)는 상기 제1 결합면(310)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20)는 상기 제1 결합면(310)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케이스(300)의 후면 둘레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결합돌기(320)는,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는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 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는 상기 제1 결합면(310)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케이스(300)의 후면 둘레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는 상기 제1 결합면(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폐쇄형 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1 결합면(31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1 결합면(310)에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 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로 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는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0 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되, 상기 제1 결합면(310)의 내측 단부로 부터는 외측으로 다소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 보다 외측에 위치되되, 상기 제1 결합면(310)의 외측 단부로 부터는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결합면(310)은 상기 제1 케이스(300)의 후면 둘레 전체에 형성되되, 형성 위치에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폭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결합면(310)은 형성 위치에 따라 면적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1 결합면(310)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는 상기 세탁공간(103)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결합면(310)의 외주 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1 결합면(310)의 외주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1 결합면(310)의 비교적 폭이 넓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일반적으로, 상기 드럼 세탁기(1)는 좌우 폭보다 상하 높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11)은 좌우 폭보다 상하 높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는 좌우 폭보다 상하로 더 긴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서 상기 터브(100)의 상측에 상기 급수관(16)이 연장되는 공간과, 상기 스프링(19)이 구비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서 상기 터브(100)의 하측에 상기 배수펌프(17)와 배수관(18) 등의 구성이 구비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공간이 좌우 폭보다 상하로 더 길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는 상기 터브(100)의 좌우측 보다 상하로 여유 공간이 더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브(100)는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공간의 가로 방향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100)의 단면의 지름은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공간의 가로 방향폭에 거의 근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100)의 상기 세탁공간(103)이 최대한으로 확보될 수 있고, 상기 드럼(30)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확보하여 세탁용량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서 상기 터브(100)의 상하 보다 좌우측 여유 공간이 작게 확보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은 상기 터브(100)의 좌우측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은, 상기 터브(100)의 좌우측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돌출되는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은 상기 터브(100)의 좌우측부에서 돌출되는 부분의 폭이 비교적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은 상기 터브(100)의 좌우측부에서 돌출되는 단부가 상기 캐비닛(11)의 좌우 내측면에 대응하여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의 좌우측부에는, 외측 단부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직선부(311,4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케이스(300)의 좌우측부에 형성된 상기 직선부(311)는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가 함께 형성되기 위한 면적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300)의 좌우측부에 형성된 상기 직선부(311)에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상기 터브(100)의 상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100)의 상측 공간에는, 세탁물의 세탁 또는 건조를 돕기 위한 다양한 보조 장치(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터브(100)의 상부에는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개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장치(50)는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건조시키거나 가열시키는 덕트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조 장치(50)는 상기 터브(100)의 상측 공간을 지나는 급수판(16)과 연결되어,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장치(50)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은 상기 터브(10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30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상기 제2 케이스(40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2 결합면(410)은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30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결합면(310)에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1 케이스(30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상기 제1 케이스(300)의 좌우측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결합면(310)을 제외한 상기 제1 결합면(310)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1 케이스(300)의 배면을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케이스(300) 하부 공간 및, 상부 공간의 대각 영역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1 케이스(300)의 좌우측부 및 상부에서, 상기 제1 결합면(310)의 폭이 좁아지는 것에 대응하여 끊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의 끊어진 단부는 인접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의 끊어진 단부는, 후술할 연결 리브(323)에 의해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결합면(310)에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가 함께 형성된 영역에는, 연결 리브(3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리브(323)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의 서로 이격된 사이 공간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리브(323)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리브(323)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의 사이 공간에 서로 이격된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상기 연결 리브(323)는 상기 제1 케이스(300)의 배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리브(323)에 의해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가 서로 지지되어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 또는 융착 공정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가 접히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공간(103)의 하부 공간은 세탁수가 집수되는 곳으로, 누수의 방지를 위해서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보다 안정적인 융착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다수의 연결 리브(323)는, 상기 제1 케이스(300)의 하부에서는 이격된 거리가 좁아져 보다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300)의 하부의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의 강도가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융착시, 상기 제1 케이스(300)의 하부의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는 보다 안정적으로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는 서로 대응하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는 동시에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연결 리브(323)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 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연결 리브(323)는, 융착이 완료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 보다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리브(323)에 의해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의 사이 공간이 구획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의 사이 공간이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 리브(323)가 구비되지 않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세탁물의 세척을 위한 상기 드럼 세탁기(1)의 구동시, 세탁수는 상기 세탁 공간(103)의 중간 높이 보다 낮은 높이까지 채워지도록 제한될 수 있다.
예로들어, 세탁수는 상기 세탁 공간(103)의 내부에 채워지되, 상기 직선분(311) 보다 낮은 높이까지 채워지도록 제한될 수 있다.
예로들어, 세탁수는 수위 제한 높이(H) 보다 이하로 공급량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을 감지하거나, 상기 터브(100)의 내부에 채워지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관(16)에 제공되는 급수밸브(도1, 16a)를 제어하여 세탁수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수위 제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서 외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위 제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의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의 일측에는 개구(322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수위 제한 높이(H)는 상기 직선부(311) 보다 낮은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322a)는 상기 터브(10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형성되거나, 좌우측부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직선부(3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개구(322a)는 상기 직선부(311)와 상기 수위 제한 높이(H)의 사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개구(322a)의 위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수위 제한 높이(H)의 하방에 위치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의 사이 공간과 연통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322a)는 상기 수위 제한 높이(H)의 하방에 위치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의 사이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가능토록 하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예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가 상기 제1 결합면(310)을 따라 상기 제1 케이스(300)의 둘레 전체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개구(322a)는 상기 수위 제한 높이(H) 보다 높은 다양한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개구(322a)는 상기 터브(100)의 외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의 사이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의 사이 공간으로 세탁수가 누수될 경우, 상기 개구(322a)를 통해서 상기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상기 제2 결합면(410)의 융착 불량이 발생하거나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상기 제2 결합면(410)의 융착부가 파손되는 경우,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의 사이 공간으로 세탁수가 누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의 사이 공간으로 누수된 세탁수가 배출되지 못하고 고여 있을 경우, 곰팡이의 발생 등 위생상 좋지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세탁물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의 일측에 상기 개구(322a)가 형성됨에 따라, 누수된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의 사이 공간으로 누수된 세탁수가 지속적으로 고여 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의 사이 공간으로 누수된 세탁수는, 상기 개구(322a)를 통해서 증발되어 상기 터브(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케이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케이스의 전면도이다.
상기 제2 케이스(400)는 전방으로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400)의 후면에는 상기 모터(40)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상기 관통구(4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400)의 전면에는 상기 제2 결합면(4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면(410)는 상기 제1 결합면(310)과 대응하는 형상 및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면(410)은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가 융착되는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융착 공정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융착 장치(500, 도 8)에서 공급되는 진동에 의해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2 결합면(410)과의 마찰에 의해서 녹게 되고,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융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결합면(410)에는 가림 돌기(4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 케이스(400)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폐루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결합돌기(320)가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융착될 때 발생하는 플래시(도 9, F)가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 9를 참조하는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제2 케이스(400)의 전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의 폭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의 내측 단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의 내측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2 결합면(41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림 돌기(420)의 외측의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상기 결합돌기(320)가 융착되는 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결합면(410)에는, 가이드 돌기(4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2 케이스(400)의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결합면(410)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다수의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의 외주에 대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2 케이스(400)의 좌우측부에 형성된 상기 제2 결합면(4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2 케이스(40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기 제2 결합면(4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2 케이스(400)의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되는 상기 제2 결합면(410)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이드 돌기(430)가 상기 제2 케이스(400)의 좌우측부에 형성된 상기 제2 결합면(410)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2 케이스(400)의 좌우측부의 상기 제2 결합면(410)에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좌우측의 상기 제2 결합면(410)의 내측 단부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의 폭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430) 외측의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상기 결합돌기(320)가 융착되는 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의 내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의 내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외측 단부에는 수직한 수직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1 케이스(300)가 상기 제2 케이스(400)에 결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결합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터브(100)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융착을 위해서,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이 마주보도록 위치될 때, 상기 결합돌기(320)는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경사에 의해서 융착이 이루어져야 할 상기 제2 결합면(410)의 정확한 위치에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돌기(320)는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경사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돌기(430) 외측의 상기 제2 결합면(410)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수직부(431)에 상기 결합돌기(320)의 내측면이 지지되어, 상기 결합돌기(320)가 정확한 위치의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위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320)가 상기 제2 결합면(410)의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융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430)에 상기 결합돌기(320)의 내측면이 지지됨으로써, 상기 터브(100)의 결합 강도가 보강되고 상기 터브(10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서로 이격된 상기 다수의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가림 돌기(42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 돌기(420)와 가이드 돌기(430)가 모두 상기 제2 결합면(410)의 내측 단부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그 위치가 겹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다수의 가이드 돌기(43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 돌기(430)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 돌기(420)의 두께는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림 돌기(420)는 외측면이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상기 수직부(431)와 연결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브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A''를 기준으로 터브를 절단하여 터브 상부의 융착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융착 구조는 상기 터브(100)의 상부의 융착 구조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제1 결합면(310)에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상기 가림 돌기(420)가 형성되는 영역의 융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을 참조하여, 상기 제1 결합면(310)에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상기 가림 돌기(420)가 형성되는 영역의 융착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은, 융착 공정에 의해서 상기 결합돌기(320)가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융착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융착 공정으로는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융착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로들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융착 방법으로는, 초음파 융착 방법과 진동 융착 방법 등의 다양한 융착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초음파 융착 방법은,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융착 장치를 이용하여 부품에 수직 진동을 공급하여, 접촉된 2개의 부품이 진동에 의해서 마찰되도록 하여 융착시키는 융착 방법이다. 상기 초음파 융착 방법은 공지된 융착 방법으로 초음파 융착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진동 융착 방법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장치를 이용하여 부품에 수평 진동을 공급하여, 접촉된 2개의 부품이 진동에 의해서 마찰되도록 하여 융착시키는 융착 방법이다. 상기 진동 융착 방법은 공지된 융착 방법으로 진동 융착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융착을 위해서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는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이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이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는 상기 제2 결합면(410)에 돌출된 단부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가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융착 장치(500)가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의 외측에서 투입되어,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을 외측에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융착 장치(500)의 투입에 의해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제2 결합면(41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가 상기 제2 결합면(4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융착 장치(500)에 의해서 진동이 공급되고, 진동으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상기 제2 결합면(410)의 접촉부에서 마찰열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마찰열에 의해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가 용융되어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융착될 수 있다.
한편, 융착 공정시에는, 상기 결합돌기(320)가 용융된 후 다시 고체화되는 과정에서 플래시(flash, F)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F)는 상기 결합돌기(320)의 용융된 원료가 덩어리진 것으로, '용착밥'으로 불릴 수 있다.
융착시 발생하는 상기 플래시(F)는 상기 결합돌기(320)의 내측 및 외측에서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20)의 외측에서 발생된 상기 플래시(F)는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의 사이 공간을 통해서 상기 터브(100)의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돌기(320)의 외측에서 발생된 상기 플래시(F)는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의 사이 공간에 고착되어 잔존할 수도 있으나, 상기 결합돌기(320)에 의해서 막혀서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지는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돌기(320)의 내측에서 발생된 상기 플래시(F)는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의 사이 공간을 통해서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플래시(F)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요구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터브(100)의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플래시(F)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터브(100)의 내부에 상기 플래시(F)가 잔존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상기 플래시(F)가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의 사이에 잔존하여, 조립이 완료된 상기 세탁기(1)의 사용시에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세탁기(1)를 사용시에 상기 플래시(F)가 세탁물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자의 큰 불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래시(F)가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림 돌기(42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플래시(F)가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결합시,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결합돌기(32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 보다 상기 터브(100)의 상기 세탁공간(103)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320)와 상기 가림 돌기(420)의 사이에 상기 플래시(F)가 구속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림 돌기(420)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케이스(300)의 내부 공간의 둘레면과 동일한 연장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결합시 상기 가림 돌기(420)가 상기 터브(100)의 상기 세탁공간(103)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어, 상기 터브(100) 내부의 세탁수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상기 드럼(30)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결합돌기(320) 보다 돌출된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결합돌기(320)가 융착 공정에 의해서 녹아서 낮아진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결합돌기(320)가 융착 공정에 의해서 녹아서 낮아진 높이 이하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융착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가림 돌기(420)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인접하거나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320)와의 사이 공간에 상기 플래시(F)를 안정적으로 구속시켜, 상기 플래시(F)가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의 내측에서 발생하는 상기 플래시(F)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상기 가림 돌기(420)의 사이 공간에 구속되어,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는 대략 상기 제1 결합면(310)의 폭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융착 장치(500)에 의해서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게 되며, 융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8의 B'-B''를 기준으로 터브를 절단하여 터브 좌우측부의 융착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융착 구조는 상기 터브(100)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의 융착 구조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제1 결합면(310)에 메인 결합돌기(321)만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면(410)에 가이드 돌기(430) 및 가림 돌기(420)가 형성되는 영역의 융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제1 결합면(310)에 메인 결합돌기(3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면(410)에 가이드 돌기(430) 및 가림 돌기(420)가 형성되는 영역의 융착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융착을 위해서 상기 제1 결합면(310)의 결합돌기(320)가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접하도록 정렬시, 상기 결합돌기(320)가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경사에 의해서 정확한 위치의 상기 제2 결합면(410)으로 안내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의 정렬이 틀어지거나, 변형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는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경사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는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경사를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어, 용착이 이루어져야 할 상기 가이드 돌기(430) 외측의 상기 제2 결합면(410)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는 돌출된 단부가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접촉된 상태에서, 내측면이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수직부(431)에 접촉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정확한 융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돌기(430)가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결합돌기(320)의 융착 위치가 정렬되고 유지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43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상기 결합돌기(320)도 용착이 이루어져야 할 상기 제2 결합면(410)의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고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돌기(430)가 형성되는 영역에서도, 융착시 발생하는 상기 플래시(F)는 상기 결합돌기(320)의 내측 및 외측에서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의 외측에서 발생된 상기 플래시(F)는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의 사이 공간을 통해서 상기 터브(10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의 내측에서 발생하는 상기 플래시(F)는, 상기 가이드 돌기(430)와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의 사이 공간에 구속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경사면 사이에 구속되어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결합돌기(320)가 융착 공정에 의해서 녹아서 낮아진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융착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인접하거나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320)와의 사이 공간에 상기 플래시(F)를 안정적으로 구속시켜, 상기 플래시(F)가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결합돌기(320)가 융착 공정에 의해서 녹아서 낮아진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융착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경사면이 상기 제1 결합면(310)의 내측 단부에 인접하거나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최대로 돌출된 내측 단부는 상기 제1 케이스(300)의 내부 공간의 둘레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융착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경사면은 상기 제1 결합면(310)의 내측 단부에 인접하거나 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결합돌기(320)와의 사이 공간에 상기 플래시(F)를 안정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는 대략 상기 제1 결합면(310)의 폭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융착 장치(500)에 의해서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게 되며, 융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8의 C'-C''를 기준으로 터브를 절단하여 터브 하부의 융착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융착 구조는 상기 터브(100)의 하부의 융착 구조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제1 결합면(310)에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가 모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상기 가림 돌기(420)가 형성되는 영역의 융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제1 결합면(310)에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가 함께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상기 가림 돌기(420)가 형성되는 영역의 융착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는 대략 상기 제1 결합면(310)의 폭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융착 장치(500)에 의해서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게 되며, 두께가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보다 두껍더라도 융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 보다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1 결합면(310)의 내측 단부보다 외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1 결합면(310)의 폭 중심에서 외측으로 편측되어,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에 비해서 상기 초음파 융착 장치(500)로 부터 진동이 안정적으로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의 두께가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융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융착 공정을 위해서, 상기 제1 결합면(310)의 결합돌기(320)가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접하도록 정렬시,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로 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 보다 상기 세탁공간(103)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상기 가림 돌기(420)의 사이에 상기 플래시(F)가 구속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림 돌기(420)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케이스(300)의 내부 공간의 둘레면과 동일한 연장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400)의 결합시 상기 가림 돌기(420)가 상기 세탁공간(103)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융착시 발생하는 상기 플래시(F)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의 내측 및 외측과,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의 내측 및 외측에서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결합돌기(322)의 외측에서 발생된 상기 플래시(F)는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의 사이 공간을 통해서 상기 터브(10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결합돌기(321)의 내측 및 상기 메인 결합돌기(322)의 외측에서 발생하는 상기 플래시(F)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서브 결합돌기(322)의 사이 공간에 구속되어,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의 내측에서 발생하는 상기 플래시(F)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와 상기 가림 돌기(420)의 사이 공간에 구속되어,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결합돌기(321)의 내측에서 발생하는 상기 플래시(F)는, 상기 가이드 돌기(430)가 형성된 상기 제2 결합면(410)의 영역에서는 상기 가이드 돌기(430)에 의해서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돌기(320)는 상기 제1 결합면(310)에 형성되고, 상기 가림 돌기(420) 및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1 결합면(310)과 마주보는 상기 제2 결합면(410)에 형성됨으로써, 융착중에 상기 플래시(F)가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가림 돌기(420)과 가이드 돌기(430)는 융착이 되는 구성이 아님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320)가 융착 완료되어 짧아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인접하거나 접 상기 플래시(F)가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막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돌기(320)의 융착이 완료되지 않고 진행중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상기 가림 돌기(420)의 사이 및,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상기 가이드 돌기(430) 사이에 비교적 큰 이격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상기 가림 돌기(420)의 사이 및,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비교적 큰 이격 공간은 상기 플래시(F)가 유입 가능한 크기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결합돌기(32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에 접하는 단부가 용융되므로, 상기 플래시(F)는 상기 제2 결합면(410) 측에서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상기 플래시(F)는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제2 결합면(410) 측에서 부터 쌓이게 된다.
이 때,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에서 돌출 형성되므로, 상기 제2 결합면(410)측 부터 쌓이는 상기 플래시(F)가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결합돌기(320)의 융착이 완료되지 않고 진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상기 가림 돌기(420)의 사이에 비교적 큰 이격 공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플래시(F)는 상기 제2 결합면(410)에서 돌출되는 상기 가림 돌기(420)에 의해서 막혀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에서 돌출 형성되므로, 상기 제2 결합면(410)측 부터 쌓이는 상기 플래시(F)가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결합돌기(320)의 융착이 완료되지 않고 진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상기 가이드 돌기(430)의 사이에 비교적 큰 이격 공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플래시(F)는 상기 제2 결합면(410)에서 돌출되는 상기 가이드 돌기(430)에 의해서 막혀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케이스(300)에 상기 결합돌기(3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400)에 상기 가림 돌기(420)와 상기 가이드 돌기(430)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케이스(300)에 상기 가림 돌기(420)와 상기 가이드 돌기(4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400)에 상기 결합돌기(32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림 돌기(420)가 상기 제2 결합면(410)의 내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320) 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결합돌기(420)의 외측에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가림 돌기(420)는 상기 제2 결합면(410)의 외측 단부를 따라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래시(F)가 상기 제1 결합면(310)과 제2 결합면(410)의 사이 공간을 통해서 상기 터브(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7)

  1. 세탁수가 채워지는 세탁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세탁공간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탁기의 터브에 있어서,
    융착 공정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세탁공간 및 상기 터브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결합면;
    상기 제1 케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2 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면과 결합되는 제2 결합면;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세탁공간을 둘러싸며, 융착 공정시 돌출된 단부가 상기 제2 결합면에 융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메인 결합돌기;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메인 결합돌기로 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서브 결합돌기; 및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상기 서브 결합돌기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결합돌기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으로 누수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연결리브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상기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터브의 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세탁공간에 채워지는 세탁수의 수위 제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공간의 좌우측에 위치된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에는 상하로 수직한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부에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 중 메인 결합돌기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수위 제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수위 제한 높이(H)와 상기 직선부의 사이 영역 또는, 상기 직선부의 하부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브는, 융착이 완료된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결합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중 하나는 상기 터브의 전반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터브의 후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면은 상기 제1 케이스의 둘레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면은 상기 제2 케이스의 둘레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융착시 발생하는 플래시는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의 사이 공간에 구속하기 위한 가림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림 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 보다 내측에 위치된 상기 제2 결합면의 영역과 상기 서브 결합돌기 보다 외측에 위치된 상기 제2 결합면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 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 보다 내측에 위치된 상기 제2 결합면의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 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 보다 내측에 위치되되 상기 결합돌기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 돌기는,
    융착기 완료된 상태의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 이하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2 결합면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가림 돌기 외측의 제2 결합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16.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채워지는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터브는,
    융착 공정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세탁공간 및 상기 터브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결합면;
    상기 제1 케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2 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면과 결합되는 제2 결합면;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세탁공간을 둘러싸며, 융착 공정시 돌출된 단부가 상기 제2 결합면에 융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되는 메인 결합돌기;
    상기 제1 결합면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메인 결합돌기로 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는 서브 결합돌기; 및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상기 서브 결합돌기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결합돌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으로 누수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연결리브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상기 서브 결합돌기의 사이 공간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는 세탁물을 입출하기 위한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터브와 드럼은 상기 출입구를 향하여 개구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각각 상기 터브의 전반부와 후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터브의 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세탁공간에 채워지는 세탁수의 수위 제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면은 상기 제1 케이스의 둘레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면은 상기 제2 케이스의 둘레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간은 상하 높이 보다 좌우 폭이 더 작게 형성되고,
    상기 세탁공간의 좌우측에 위치된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에는, 상기 캐비닛의 좌우 측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직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직선부에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와 서브 결합돌기 중 메인 결합돌기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수위 제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수위 제한 높이(H)와 상기 직선부의 사이 영역 또는, 상기 직선부의 하부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3. 삭제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브는, 융착이 완료된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결합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돌기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제2 결합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융착시 발생하는 플래시를 상기 제1 결합면과 제2 결합면의 사이 공간에 구속하기 위한 가림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림 돌기는, 상기 결합돌기 보다 내측에 위치된 상기 제2 결합면의 영역과 상기 결합돌기 보다 외측에 위치된 상기 제2 결합면의 영역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2 결합면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가림 돌기 외측의 제2 결합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80140056A 2018-11-14 2018-11-14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2627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56A KR102627974B1 (ko) 2018-11-14 2018-11-14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EP19207100.9A EP3653777B1 (en) 2018-11-14 2019-11-05 Tub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16/684,221 US11280044B2 (en) 2018-11-14 2019-11-14 Tub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56A KR102627974B1 (ko) 2018-11-14 2018-11-14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19A KR20200056119A (ko) 2020-05-22
KR102627974B1 true KR102627974B1 (ko) 2024-01-23

Family

ID=6846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056A KR102627974B1 (ko) 2018-11-14 2018-11-14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80044B2 (ko)
EP (1) EP3653777B1 (ko)
KR (1) KR1026279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978B1 (ko) * 2018-11-14 202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5904A1 (en) * 2006-04-12 2007-10-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ub for washing machine
DE102013113391A1 (de) * 2013-12-03 2015-06-03 Miele & Cie. Kg Laugenbehälter aus Kunststoff für Waschmaschinen und Waschtrockner
US20170152624A1 (en) * 2015-12-01 2017-06-0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51330B1 (es) * 1997-01-21 2001-06-16 Balay Sa Sistema de cierre mejorado para cuba plastica de lavadora.
KR20060089786A (ko) 2005-02-04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터브 배수 구조
KR101154963B1 (ko) * 2005-05-23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ES2317730B1 (es) * 2006-04-12 2010-02-11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Cuba para maquina lavadora.
EP2631346B1 (en) * 2012-02-27 2019-01-0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shing tub unit and washing machine
EP2865800A1 (en) * 2013-10-24 2015-04-2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ssembly method and assembly apparatus of the washing tub of a laundry washing machine
US9828717B2 (en) * 2014-05-28 2017-11-28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tub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CN106283509B (zh) * 2015-05-29 2020-01-1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外筒及洗衣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5904A1 (en) * 2006-04-12 2007-10-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ub for washing machine
DE102013113391A1 (de) * 2013-12-03 2015-06-03 Miele & Cie. Kg Laugenbehälter aus Kunststoff für Waschmaschinen und Waschtrockner
US20170152624A1 (en) * 2015-12-01 2017-06-0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49211A1 (en) 2020-05-14
US11280044B2 (en) 2022-03-22
EP3653777B1 (en) 2021-03-03
EP3653777A1 (en) 2020-05-20
KR20200056119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9335B2 (en) Washing machine
KR102627978B1 (ko)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20130112666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056250A1 (en)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feeding device thereof
KR102459165B1 (ko) 세탁기
KR102627974B1 (ko)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WO2012114753A1 (ja) ドラム式洗濯機
US20180363197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JP7204809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531717B1 (ko)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EP2865801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etergent dispensing assembly
KR20100083208A (ko) 터브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JP5690999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379771B2 (ja) 洗濯機
JP2022126081A (ja) 食器洗い機
JP5676196B2 (ja) 給水口取付部品および洗濯機
KR101234073B1 (ko)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터브 어셈블리
KR20230111119A (ko) 의류처리장치
JP2012228482A (ja) 洗濯機
JP2007175369A (ja) 洗濯機
KR20120116286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