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664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664B1
KR102627664B1 KR1020190042660A KR20190042660A KR102627664B1 KR 102627664 B1 KR102627664 B1 KR 102627664B1 KR 1020190042660 A KR1020190042660 A KR 1020190042660A KR 20190042660 A KR20190042660 A KR 20190042660A KR 102627664 B1 KR102627664 B1 KR 102627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le
treatment device
rib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6024A (ko
Inventor
박주형
강동원
남호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52455.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90116B1/en
Priority to AU2020200665A priority patent/AU2020200665B2/en
Priority to US16/779,027 priority patent/US11225751B2/en
Priority to CN202010078635.9A priority patent/CN111519403B/zh
Publication of KR2020009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수조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는 드로어; 및 상기 수조의 내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게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통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측 및 내측으로 개방되는 돌출홈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의 통기부를 통한 세탁수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또는 세탁물을 세탁과정, 헹굼과정 및/또는 탈수과정을 통해 처리(오염제거)하는 장치의 일종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탁과정, 헹굼과정 및/또는 탈수과정을 거친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하게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 세탁물은 이불과 같은 침구류, 커튼, 봉제 인형 등과 같이 세탁이 가능한 물품을 포함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조(드럼)를 구비한다.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세제박스가 구비된다.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드로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로어의 내부에는 세제 수용(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세제 수용공간은, 예를 들면, 메인세탁(본세탁, main wash)시 사용되는 메인세제가 수납되는 메인세제수납부, 예비세탁(pre wash)시 사용되는 프리세제가 수납되는 프리세제수납부 및 섬유유연제가 수납되는 섬유유연제수용부를 구비한다.
상기 드로어의 상측에는 상기 드로어의 각 세제공간으로 세척수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분배유닛의 후단에는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게 세탁수공급유로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의 전방영역은 상기 드로어가 전후이동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는 일 단부가 상기 수조에 연결되는 세탁수공급관이 연결된다. 상기 세탁수공급관을 통해 세탁수, 세제, 섬유유연제 등이 상기 수조의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드로어의 수납 시 상기 수조의 내부와 외부가 상호 연통되게 하는 통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통기부는 상기 터브(실제로는 드럼)의 내부에 체구가 작은 유아 또는 동물(애완동물)이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유아 또는 동물의 호흡을 위한 소위 "숨구멍"의 기능을 한다.
상기 통기부는, 상기 드로어의 수납 시 상기 통기부가 상기 드로어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상기 드로어의 하측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세제 공급을 위해, 상기 분배유닛을 통해 세탁수가 공급되는 도중에, 상기 드로어가 불시에 인출되는 경우 상기 분배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의 일부가 상기 통기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세제박스의 하우징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시각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통기부를 통한 세탁수의 누설이 발생되어도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기가 곤란하므로 적기에 누설된 세탁수를 제거하는 등 조치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세제박스의 통기부를 통해 누설되어 낙하된 세탁수는 캐비닛의 내부 저부영역의 먼지 등 오염물질과 혼합되어 세균, 곰팡이 등을 증식시킬 수 있고, 냄새(악취)를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우징의 통기부를 통한 세탁수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기부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낙하된 세탁수를 하우징의 내부로 다시 유입되게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통기부를 통해 외부로 비산되는 세탁수를 차단하여 내부로 유입되게 안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제박스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향 개구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돌출홈부를 구비한 통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제박스는 수조와 연통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출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측 및 내측이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낙하되는 세탁수가 상기 돌출홈부의 내측으로 낙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통기부를 통한 세탁수의 외부 누설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세제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수조와 연통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드로어를 구비한다.
상기 드로어의 내부에는 세제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세제수용공간은 서로 구획된 복수 개로 구현된다.
상기 돌출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상부(상부테두리)에 비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낙하된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돌출홈부의 내측으로 낙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유입)될 수 있다.
상기 돌출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양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통해 낙하된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돌출홈부의 내측으로 낙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수조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는 드로어; 및 상기 수조의 내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게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측 및 내측이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는 돌출홈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누설억제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통기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비산되는 세탁수의 일부를 차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통기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누설되는 세탁수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드로어가 수용되는 수직구간 및 상기 수직구간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구간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상부(상부테두리)가 상기 수직구간 및 경사구간의 경계영역에 배치되고 하부(하부테두리)가 상기 경사구간에 배치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드로어의 수납 시 상기 드로어에 의해 상기 관통공이 차단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관통공의 상변은 상기 수직구간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하변은 상기 경사구간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공의 상변은 상기 수직구간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하변은 상기 경사구간에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상기 관통공의 하변은 상기 관통공의 상변에 비해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돌출홈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경사구간)으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게 세로로 배치되는 복수의 측면부 및 상기 복수의 측면부의 하단을 차단하게 형성되는 저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측면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 측면부 및 상기 양 측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양 측면부는 동일한 돌출길이를 구비할 경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수직구간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돌출홈부는 평단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개방된 "U"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돌출홈부의 상단은 상기 관통공의 상변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수직구간의 내벽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는 세탁수가 상기 관통공의 상변으로부터 낙하되는 경우, 상기 돌출홈부의 내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홈부의 상단의 내폭은 상기 관통공의 상변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홈부의 양 측면부가 상기 관통공의 상변의 양 단부보다 외측으로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관통공의 상변으로부터 낙하되는 세탁수가 상기 돌출홈부의 내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리브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리브는 사각 판 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리브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낙하되는 세탁수를 차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안내하는 점에서 상기 누설억제리브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상기 통기부는 상기 하부리브의 양 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측면리브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리브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비산되는 세탁수를 차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안내하는 점에서 상기 누설억제리브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리브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리브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비산되는 세탁수를 차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안내하는 점에서 상기 누설억제리브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상기 측면리브는 상기 상부리브보다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리브는 상기 상부리브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중앙에 비해 양 측이 상향 돌출되는 하부리브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부리브는 원호 단면 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중앙에 비해 양 측이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하부리브를 구비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이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부리브는 상기 육각형 형상의 하부 테두리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리브는 상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부리브의 상면에 있는 세탁수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저면부에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일 단이 상기 터브와 연통되게 연결된 세탁수공급관의 타 단이 연통되게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수조의 내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통기부에 의해 상기 수조의 내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제박스의 하우징이 통기부를 구비하되, 상기 통기부는,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홈부를 구비함으로써, 하우징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는 세탁수가 상기 돌출홈부의 내측으로 낙하되게 하여 세탁수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비해 외측으로 더 돌출됨으로써, 상기 관통공을 통해 낙하되는 세탁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내부에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양 측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관통공을 통해 낙하되는 세탁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내부에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누설억제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비산되어 누설되는 세탁수를 효과적으로 차단 및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낙하되는 세탁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 및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상기 하부리브의 양 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측면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세탁수를 효과적으로 차단 및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비산되는 세탁수를 효과적으로 차단 및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리브는 상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부리브의 상면의 세탁수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일 단이 상기 수조와 연통되게 연결된 세탁수공급관의 타단이 연통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조의 내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가 연통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제박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세제박스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하우징의 평면도,
도 6은 도 2의 드로어의 평면도,
도 7은 도 2의 분배유닛본체의 평면도,
도 8은 도 3의 하우징의 통기부의 확대도,
도 9는 도 8의 통기부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통기부의 종단면도,
도 11은 도 4의 하우징의 통기부의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통기부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통기부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하우징의 통기부의 내부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통기부의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하우징의 통기부의 내부 정면도,
도 17은 도 16의 통기부의 종단면도,
도 18은 도 2의 하우징의 통기부의 변형례,
도 19는 도 18의 통기부의 종단면도,
도 20은 도 2의 하우징의 통기부의 변형례,
도 21은 도 20의 통기부의 종단면도,
도 22는 도 2의 하우징의 통기부의 변형례,
도 23은 도 22의 통기부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제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10), 수조(140) 및 세제박스(200)를 구비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외관을 형성하게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터브 또는 수조(140)가 구비된다. 상기 수조(140)는 내부에 세탁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수조(140)는 전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진다. 상기 수조(140)는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현가 지지된다. 상기 수조(140)의 내부에는 드럼(160)이 수용된다. 상기 드럼(160)은 전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드럼(160)의 원주면에는 복수의 관통공(162)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160)의 내부는 상기 수조(140)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드럼(160)은 후단에 구비된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수조(140)의 후단에는 상기 드럼(160)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드럼(16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160)을 정회전 또는 정, 역회전 되게 구동한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전면판(110a))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게 개구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15)가 마련된다. 상기 도어(115)는, 예를 들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구성된다. 상기 도어(115)는 상기 캐비닛(110)의 좌우방향으로 회동되게 구성된다. 상기 도어(115)의 개방 시,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개구, 상기 수조(140)의 전면 개구 및 상기 드럼(160)의 전면 개구가 연통된다. 이에 의해 상기 드럼(160)의 내부로 세탁물이 투입되거나, 상기 드럼(160)의 내부의 세탁물이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도어(115)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개구, 상기 수조(140)의 전면 개구 및 상기 드럼(160)의 전면 개구를 동시에 차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조작패널(12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패널(120)은 신호 입력 및/또는 운전 조작을 위한 다이얼(122) 및 복수의 조작버튼(124)을 구비한다. 상기 캐비닛(110)에는 상기 수조(140)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세제박스(200)가 구비된다.
상기 세제박스(200)는, 하우징(210), 드로어(310) 및 분배유닛(36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수조(140)의 일 측 상부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상부 일 측(본 실시예에서 좌측)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상기 드로어(310)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된다. 상기 드로어(31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인출 및 수납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저부에는 세탁수공급관(260)이 연결된다. 상기 세탁수공급관(260)의 일 단부는 상기 수조(140)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하우징(210)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와 상기 수조(140)의 내부가 서로 연통된다.
도 3은 도 2의 세제박스(200)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전방 및 상방이 각각 개구되게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상기 드로어(310)가 전후방향을 따라 인출 가능하게 수납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일 측면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및 외부가 연통될 수 있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부(500)가 구비된다.
상기 드로어(310)는 내부에 세제수용공간(312)이 형성된다. 상기 세제수용공간(312)은 서로 다른 세제가 분리되어 수납될 수 있게 복수 개로 구획된다. 상기 세제수용공간(312)은, 예를 들면, 메인세제가 수용되는 메인세제수용부(314), 프리세제가 수용되는 프리세제수용부(316) 및 섬유유연제가 수납되는 섬유유연제수용부(318)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세제는 예비세탁(프리워시) 시 사용되는 세제를 의미하며, 상기 메인세제는 본세탁(메인워시)시 사용되는 세제를 의미한다. 상기 드로어(310)에는 사이펀 현상에 의해 액상 세제(섬유유연제)가 공급되게 하는 사이펀형성부재(321)가 구비된다. 상기 드로어(310)의 전면에는 상기 드로어(310)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 개구를 차단하는 전면차단부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차단부에는 상기 전면차단부의 전면을 차단하는 전면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분배유닛(360)은 상기 드로어(310)의 복수의 세제수용공간(312)에 각각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분배유닛(360)은, 복수의 세탁수공급유로가 형성된 분배유닛본체(362) 및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의 상부영역을 차단하는 상부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분배유닛(360)은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 개구 영역을 차단하게 결합된다. 상기 분배유닛(360)은 상기 하우징(210)의 상측에서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 개구의 내부로 미리 설정된 깊이로 삽입 결합된다. 상기 분배유닛(360) 및 상기 하우징(210)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구속되게 맞물림 결합된다. 상기 분배유닛(360) 및 상기 하우징(21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맞물림결합부가 구비된다. 상기 맞물림결합부는, 상기 분배유닛(360) 및 상기 하우징(210)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걸림턱이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되는 걸림턱수용부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턱은 대략 사각 형상의 돌기로 구현된다. 상기 걸림턱수용부는 상기 걸림턱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유닛(360)에 상기 걸림턱수용부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21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하우징(210)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은 상방 및 전방이 각각 개구된 통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판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양 측 외면에는 상기 전면판과 스크류에 의해 체결될 수 있게 스크류체결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 스크류체결부에는 상기 스크류가 나사결합될 수 있게 암나사부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내부에 상기 드로어(310)가 수납되는 수직구간(220) 및 상기 수직구간(220)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구간(230)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구간(220)의 내측에는 상기 드로어(310)가 수납된다. 상기 수직구간(220)은, 상기 드로어(310)의 양 측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경사구간(230)은 상기 드로어(310)의 하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드로어(310)의 양 측에 배치되는 측면부(241), 상기 드로어(3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부(242) 및 상기 드로어(3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저면부(245)를 구비한다.
상기 수직구간(220)은, 예를 들면, 상기 양 측면부(241) 및 후면부(24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면부(245)는, 예를 들면, 상기 수직구간(2200의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경사구간(230a,230b,230c,230d,230e)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면부(245)는 내부의 세탁수가 유출될 수 있게 관통되는 관통부(24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부(247)는 상기 하우징(210)의 저면부의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경사구간은 상기 양 측면부(241)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구간(230a) 및 제2경사구간(230b)을 구비한다. 상기 제1경사구간(230a) 및 제2경사구간(230b)은 상기 하우징(210)의 좌우방향을 따라 각각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구간은 상기 관통부(247)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3경사구간(230c), 상기 관통부(247)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4경사구간(230d) 및 상기 관통부(247)의 측방에 배치되는 제5경사구간(230e)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3경사구간(230c) 및 상기 제4경사구간(230d)은 상기 하우징(2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경사구간(230e)은 상기 하우징(210)의 좌우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경사구간(230c) 및 제4경사구간(230d)은,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210)의 좌우방향에 대해 수평 또는 약간의 기울기를 구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경사구간(230e)은 상기 하우징(210)의 전후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좌우방향에 대해 수평 또는 약간의 기울기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면부(245)는 상기 관통부(247)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경사구간을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세제 및/또는 세탁수가 상기 관통부(247)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247)에는 일 단부가 상기 수조(140)에 연통되게 연결된 세탁수공급관(260)의 타 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게 세탁수공급관연결부(251)가 형성된다. 상기 세탁수공급관연결부(251)는 일 영역이 상기 하우징(210)의 폭방향을 따라 도면상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상기 드로어(310)로부터 공급되는 세제가 구획되어 공급될 수 있게 구획부(270)가 형성된다. 상기 구획부(270)는, 예를 들면,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상기 드로어(310)의 이동방향에 가로로 형성되는 가로구획부(272)를 구비한다. 상기 가로구획부(272)는 상기 관통부(247)의 상측에 가로로 형성되고, 다시 후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로구획부(272)는 상기 관통부(247)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5경사구간(230e) 및 제1경사구간(230a)에 걸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드로어(310)의 메인세제수용부(314)를 경유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저면부의 후방구간으로 낙하되는 메인세제 및 세탁수가 상기 저면부의 전방구간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이 억제됨으로써, 상기 관통부(247)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로구획부(272)는, 예를 들면, 상기 관통부(247)의 상측에 가로로 형성되는 제1구간 및 상기 제5경사구간(230e) 및 제1경사구간(230a)의 상측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구간을 구비한다.
상기 구획부(270)는 상기 저면부(제1경사구간(230a))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드로어(310)의 이동방향(상기 하우징(2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로구획부(282)를 구비한다. 상기 세로구획부(282)는 상기 하우징(210)의 저면부(제1경사구간(230a))의 후방영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를 구비하게 구현된다. 상기 세로구획부(282)의 후방 단부는 상기 하우징(210)의 후방단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세로구획부(282)는 상기 가로구획부(272)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구획부(270)는 상기 세로구획부(282)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된 연장구획부(292)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구획부(292)는, 상기 세로구획부(282)로부터 이격된 제1연장구획부(293) 및 상기 제1연장구획부(293)로부터 이격된 제2연장구획부(296)를 구비한다. 상기 제1연장구획부(293) 및 제2연장구획부(296)는 상기 세로구획부(282)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연장구획부(293)는, 상기 드로어(310)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바디(294) 및 상기 제1바디(294)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제1절곡단부(295)를 구비한다.
상기 제2연장구획부(296)는, 상기 드로어(310)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바디(297) 및 상기 제2바디(297)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제2절곡단부(298)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연장구획부(296)는 상기 제1연장구획부(293)에 비해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드로어(310)의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어(310)의 내부에는 서로 구획된 복수의 세제수용공간(312)이 구비된다. 상기 세제수용공간(312)은, 메인세탁시 투입되는 메인세제가 수용되는 메인세제수용부(314), 프리세탁 시 사용되는 프리세제가 수용되는 프리세제수용부(316) 및 섬유유연제가 수용되는 섬유유연제수용부(318)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는, 예를 들면, 상기 드로어(310)의 내부 좌측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는 상기 드로어(310)의 내부 우측영역중 전방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섬유유연제수용부(318)는 상기 드로어(310)의 내부 우측영역 중 후방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는 세제 및 세탁수가 후방영역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제4경사구간(230d)의 후방영역으로 낙하되게 구성된다.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는 상기 세제 및 세탁수가 상기 드로어(310)의 후방영역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경사구간(제1경사구간(230a))의 후방영역으로 낙하되게 구성된다.
상기 섬유유연제수용부(318)에는 내부에 섬유유연제 및 세탁수가 하향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유출관(319)이 구비된다. 상기 유출관(319)은 상기 섬유유연제수용부(318)의 저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사이펀형성부재(321)에는 상기 유출관(319)이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관상부(323)가 구비된다. 상기 관상부(323)는 상기 사이펀형성부재(321)의 저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상부(323)는 상기 유출관(319)과 사이에 섬유유연제 및 세탁수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구성된다. 상기 섬유유연제 및 세탁수는 상기 관상부(323)와 상기 유출관(319)의 사이로 유입되어 상기 유출관(319)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저면부(제1경사구간(230a))의 후방영역으로 낙하된다.
도 7은 도 2의 분배유닛본체(362)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유닛본체(36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의 후방단부에는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공급유로(364)가 연결된다.
상기 세탁수공급유로(364)의 일 단부는 상수도의 수전(359)에 연결된다. 상기 세탁수공급유로(364)는 본세탁시 세탁수를 공급하는 메인세탁수공급유로(365) 및 예비세탁 시 세탁수를 공급하는 프리세탁수공급유로(366)를 구비한다.
상기 세탁수공급유로(364)는 급수밸브(368)에 의해 각각 개폐된다. 상기 급수밸브(368)는 메인세탁(본세탁)시 상기 메인세탁수공급유로(365)를 개방하여 세탁수를 공급하는 메인밸브(369) 및 프리세탁(예비세탁) 시 상기 프리세탁수공급유로(366)를 개방하여 세탁수를 공급하는 프리밸브(370)를 구비한다.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의 후방 단부에는 세탁수공급유로(364)가 각각 연결될 수 있게 세탁수공급유로연결부(38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세탁수공급유로연결부(380)는 상기 메인세탁수공급유로(365)가 연결되는 메인세탁수공급유로연결부(382) 및 상기 프리세탁수공급유로(366)가 연결되는 프리세탁수공급유로연결부(383)를 구비한다.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의 내부에는 복수의 세탁수이동경로(390)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세탁수이동경로(390)는, 메인밸브(369)의 개방 시 세탁수가 공급되는 메인밸브공급부(391), 프리밸브(370)의 개방시 세탁수가 공급되는 프리밸브공급부(395) 및 상기 메인밸브(369) 및 프리밸브(370)의 동시 개방시 세탁수가 공급되는 메인-프리밸브공급부(399)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밸브공급부(391)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메인세제수용부(314)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게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밸브공급부(391)에는 복수의 분배공(392)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밸브공급부(391)의 분배공(392)은 상대적으로 큰 이격거리를 가지고 이격 되게 배치된다.
상기 프리밸브공급부(395)에는 복수의 분배공(397)이 구비된다. 상기 프리밸브공급부(395)의 분배공(397)은 상대적으로 작은 이격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프리밸브공급부(395)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분배공(401)이 구비된다.
도 8은 도 3의 하우징(210)의 통기부(500)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8의 통기부(500)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통기부(500)의 종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은, 수직구간(220) 및 상기 수직구간(220)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구간(제2경사구간(230b))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통기부(500)는 상기 하우징(210)의 일 측에 형성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통기부(500)는 도면상 상기 하우징(210)의 좌측에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기부(500)는 도면상 상기 하우징(210)의 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통기부(500)는, 상기 수직구간(220) 및 경사구간(230)(제2경사구간(230b))의 경계영역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505) 및 상기 관통공(505)의 하측에 내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홈부(5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와 외부가 상기 통기부(500)에 의해 연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조(140)의 내부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가 연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개구를 통해 상기 드럼(160)의 내부로 유아 또는 동물이 들어가고 난 후, 상기 도어(115)가 닫힌 경우에도, 상기 통기부(500)를 통해 상기 수조(140)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와 연통되므로 상기 유아 또는 상기 동물의 호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관통공(505)은, 예를 들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은 상기 수직구간(220)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05)의 하변(505a)은 상기 경사구간(제2경사구간(230b))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기 관통공(505)의 하변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부(512) 및 상기 복수의 측면부(512)의 하단을 차단하게 형성되는 저면부(515)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측면부(512)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양 측면부(513) 및 상기 양 측면부(513)를 연결하는 연결부(51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측면부(512)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의 측면부(512)는 상단이 하단에 비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을 향해 개방된 "U"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측이 개방된다. 상기 저면부(515)는 상기 양 측면부(513) 및 상기 연결부(514)의 하단을 차단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으로부터 낙하된 세탁수는 상기 돌출홈부(510)의 내측으로 낙하되어 상기 저면부(515)를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홈부(510)의 저면부(515)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공(505)의 하변은 상기 돌출홈부(510)의 형성에 의해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예를 들면, 상기 돌출홈부(510)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선과 상기 하우징(210)의 경사구간(230)(본 실시예에서 제2경사구간(230b))이 만나는 지점을 연결한 가상선(505a)으로 도시될 수 있다.
상기 돌출홈부(510)의 상단은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의 하측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홈부(510)의 상단은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으로부터 낙하되는 세탁수가 내측으로 낙하될 수 있게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낙하되는 세탁수의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1은 도 4의 하우징(210)의 통기부(500)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통기부(500)의 외부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통기부(500)의 측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부(500)는 상기 관통공(505)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누설억제리브(53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상기 통기부(500)를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비산되는 세탁수의 일부를 차단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통기부(500)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세탁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공(505)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현되고, 상기 누설억제리브(530)는 상기 관통공(505)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설억제리브(530)는 상기 관통공(505)의 하변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리브(530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리브(530a)는 사각 판 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리브(530a)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리브(530a)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나란한 수평선에 대해 미리 설정된 경사각(θ)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리브(530a)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되, 상면이 상기 수평선에 대해 미리 설정된 경사각(θ)을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서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외측으로 낙하되는 세탁수는 상기 하부리브(530a)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하부리브(530a)를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통기부(500)는 상기 하부리브(530a)의 양 측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면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누설억제리브(530)는 상기 측면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리브는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보다 높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리브는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비산되는 세탁수의 이동을 차단하여 세탁수의 외부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통기부(500)는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리브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설억제리브(530)는 상기 상부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리브는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비산되는 세탁수를 차단하여 상기 관통공(505)을 통한 세탁수의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하부리브(530a)는 상기 상부리브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상부리브로부터 낙하된 세탁수가 상기 하부리브(530a)의 상면으로 낙하되고, 상기 하부리브(530a)를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통기부(500)를 통한 세탁수의 외부 누설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리브는 상기 상부리브보다 더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측면리브는 상기 하부리브(530a)와 동일한 돌출길이를 구비하므로, 상기 측면리브는 상기 상부리브에 비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하부리브(530a)의 하측에는 상기 돌출홈부(51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홈부(510)의 양 측면부는 대략 삼각형 형상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상측에 상기 분배유닛(360)이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10)에는 세탁수공급유로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상기 드로어(310)가 수납되고,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스크류체결부에 스크류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드로어(310)의 내부 세제수용공간(312)에는 메인세제, 프리세제 및 섬유유연제가 해당 수용공간의 내부에 각각 수용된다.
상기 분배유닛(360)을 통해 해당 영역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면 해당 영역에 수용된 세제와 세탁수가 상기 하우징(210)의 해당 세제 공급영역으로 낙하된다. 낙하된 세제 및 세탁수는 상기 세탁수공급관(260)을 통해 상기 수조(140)의 내부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분배유닛(360)을 통해 해당 영역으로 세탁수가 공급될 때, 상기 드로어(310)가 불시에 인출되면 상기 분배유닛(360)에서 유출된 세탁수가 상기 하우징(210)의 내면을 따라 낙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면으로 낙하되는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낙하된 세탁수는 상기 하부리브(530a)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로 다시 유입된다. 이에 의해, 상기 통기부(500)를 통한 세탁수의 외부 누설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의 세탁수 중 일부가 비산되어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비산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비산되는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누설억제리브(530)(상기 하부리브(530a), 측면리브 및 상부리브)에 의해 차단되어 하측으로 낙하되고 상기 하부리브(530a)를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통기부(500)를 통해 외부로 비산되어 누설되는 세탁수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개구를 통해 상기 드럼(160)의 내부로 유아 또는 동물이 들어가고, 상기 도어(115)가 닫혀 상기 개구가 차단되는 경우, 상기 수조(140)는 상기 하우징(210)의 통기부(500)를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와 연통되므로, 상기 유아 또는 동물의 호흡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하우징(210)의 통기부(501)의 내부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통기부(501)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10), 수조(140), 세제박스(2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세제박스(200)는, 하우징(210), 드로어(310) 및 분배유닛(36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세탁수공급관(260)에 의해 상기 수조(140)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일 측에는 통기부(501)가 구비된다. 상기 통기부(501)는, 상기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506) 및 상기 관통공(506)의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돌출홈부(5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측 및 내측이 개방된 형상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기 관통공(506)으로부터 낙하되는 세탁수를 수집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관통공(506)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통기부(501)는 상기 관통공(506)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누설억제리브(531)를 구비한다.
상기 통기부(501)는 상기 관통공(506)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리브(531a)를 구비한다. 상기 누설억제리브(531)는 상기 하부리브(531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리브(531a)는 원호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하부리브(531a)는 중앙이 하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리브(531a)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선에 대해 미리 설정된 경사각(θ)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부(501)는 상기 하부리브(531a)의 양 측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면리브(531b)를 구비한다. 상기 측면리브(531b)는 상기 하부리브(531a)와 동일한 돌출길이(돌출폭)를 구비하게 구현된다.
상기 통기부(501)는 상기 관통공(506)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리브(531c)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리브(531c)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리브(531c)는 중앙이 상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리브(531a)(측면리브(531b))는 상기 상부리브(531c)에 비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구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리브(531b)는 상기 상부리브(531c)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하우징(210)의 통기부의 내부 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통기부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통기부(50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507) 및 상기 관통공(507)의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돌출홈부(5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관통공(507)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공(507)의 하측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측 및 내측으로 각각 개방된 돌출홈부(510)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기 관통공(507)으로부터 낙하된 세탁수를 수집하여 상기 세탁수가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본 실실예의 통기부(502)는 상기 관통공(507)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설억제리브(532)를 구비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부(502)는 상기 관통공(507)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리브(532a)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리브(532a)는, 예를 들면, 상기 관통공(507)의 최하측에 배치되는 하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저면부(532a1) 및 상기 하변의 양 측에 각각 연결되는 변에 대응되게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532a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리브(532a)는 수평선에 대해 미리 설정된 경사각(θ)을 가지고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통기부(502)는 상기 하부리브(532a)의 양 측에 상향 연장되는 측면리브(532b)를 구비한다. 상기 통기부(502)는 상기 관통공(507)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리브(532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리브(532c)는 상기 관통공(507)의 최상측 상변에 대응되는 상면부(532c1) 및 상기 상변의 양 측에 연결된 변에 각각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532c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리브(532b)는 상기 상부리브(532c)보다 더 높이 상향 연장된다. 상기 하부리브(532a)(측면리브(532b))는 상기 상부리브(532c)에 비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통기부의 변형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도 2의 하우징(210)의 통기부(500)의 변형례이고, 도 19는 도 18의 통기부(500)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통기부(500)는,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505) 및 상기 관통공(505)의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돌출홈부(5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505)은, 예를 들면, 사각형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은 상기 하우징(210)의 수직구간(220)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05)의 하변(505a)은 상기 하우징(210)의 경사구간(제2경사구간(230b))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05)의 하변은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가상선으로 도시될 수 있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으로부터 낙하되는 세탁수가 상기 돌출홈부(510)의 내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개방된 "U"단면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복수의 측면부(512) 및 상기 복수의 측면부(512)의 저부를 차단하게 형성되는 저면부(5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측면부(512)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 측면부(513) 및 상기 양 측면부(513)를 연결하는 연결부(514)를 구비한다. 상기 양 측면부(513)의 상단은 상기 관통공(505)의 하변(505a)에 연결된다.
상기 돌출홈부(510)의 상단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에 비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미리 설정된 폭(w1)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수직구간(220)을 따라 하향 이동된 세탁수가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으로부터 낙하되는 경우, 상기 돌출홈부(510)의 내부에 유입될 가능성이 증가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낙하되는 세탁수의 누설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돌출홈부(510)의 양 측면부(513)의 사이의 내폭은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의 길이보다 미리 설정된 폭만큼 더 크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으로부터 낙하되는 세탁수가 상기 돌출홈부(510)의 내부로 낙하될 가능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낙하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누설되는 세탁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수직구간(220)을 따라 낙하되는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으로부터 상기 관통공(505)의 외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에 비해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으로부터 낙하되는 세탁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는 세탁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20은 도 2의 하우징(210)의 통기부(500)의 변형례이고, 도 21은 도 20의 통기부(5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통기부(500)는,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505) 및 상기 관통공(505)의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돌출홈부(5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505)은, 예를 들면, 사각형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은 상기 하우징(210)의 수직구간(220)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05)의 하변은 상기 하우징(210)의 경사구간(230)(제2경사구간(230b))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기 관통공(505)의 하측에 하향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부(512) 및 상기 복수의 측면부(512)의 하단을 차단하게 형성되는 저면부(515)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측 및 내측으로 각각 개방된 형상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통기부(500)는 상기 관통공(505)의 테두리에서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누설억제리브(5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설억제리브(530)는 상기 관통공(505)의 하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리브(530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리브(530a)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수평인 수평선에 대해 미리 설정된 경사각(θ)을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리브(530a)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리브(530a)의 상면이 상기 경사각(θ)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홈부(510)의 상단은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의 하측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공(505)의 하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리브(530a)가 구비되므로 상기 돌출홈부(510)의 상단이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에 비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지 아니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수직구간(220)의 내면을 따라 하향 이동되는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낙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리브(530a)는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낙하되는 세탁수를 차단(수집)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로 이동되게 한다. 이에 의해,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낙하되는 세탁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22는 도 2의 하우징(210)의 통기부(500)의 변형례이고, 도 23은 도 22의 통기부(5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통기부(500)는,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505) 및 상기 관통공(505)의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돌출홈부(5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505)은, 예를 들면, 사각형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은 상기 하우징(210)의 수직구간(220)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05)의 하변(505a)은 상기 하우징(210)의 경사구간(230)(제2경사구간(230b))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복수의 측면부(512) 및 상기 복수의 측면부(512)의 하단을 차단하게 형성되는 저면부(515)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홈부(510)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측 및 내측으로 각각 개방된 형상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통기부(500)는 상기 관통공(505)의 테두리에서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누설억제리브(5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설억제리브(530)는 상기 관통공(505)의 하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리브(530a) 및 상기 하부리브(530a)의 양 측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면리브(530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리브(530a)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수평인 수평선에 대해 미리 설정된 경사각(θ)을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하부리브(530a)의 양 측에는 측면리브(530b)가 각각 상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측면리브(530b)는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505b)보다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수직구간(220)의 내면을 따라 하향 이동되는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관통공(505)의 상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낙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리브(530a)는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낙하되는 세탁수를 차단(수집)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로 이동되게 한다. 이에 의해,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낙하되는 세탁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서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비산되는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하부리브(530a) 및 상기 측면리브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하부리브(530a) 및 측면리브(530b)에 의해 차단된 세탁수는 상기 하부리브(530a)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공(505)을 통해 외부로 비산되어 누설되는 세탁수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수조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는 드로어; 및
    상기 수조의 내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게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측 및 내측으로 개방되는 돌출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비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양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누설억제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드로어의 양 측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직구간 및 상기 수직구간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은 상부가 상기 수직구간 및 경사구간의 경계영역에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경사구간에 배치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사각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의 상변은 상기 수직구간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하변은 상기 경사구간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홈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게 세로로 배치되는 복수의 측면부 및 상기 복수의 측면부의 하단을 차단하게 형성되는 저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리브는 사각 판 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하부리브의 양 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측면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리브는 상기 상부리브보다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리브는 상기 상부리브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중앙에 비해 양 측이 상향 돌출되는 하부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중앙에 비해 양 측이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하부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8항 내지 제13항, 제15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리브는 상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일 단이 상기 수조와 연통되게 연결된 세탁수공급관의 타 단이 연통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42660A 2019-02-01 2019-04-11 의류처리장치 KR102627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52455.0A EP3690116B1 (en) 2019-02-01 2020-01-1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20200665A AU2020200665B2 (en) 2019-02-01 2020-01-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6/779,027 US11225751B2 (en) 2019-02-01 2020-01-31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010078635.9A CN111519403B (zh) 2019-02-01 2020-02-03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4086 2019-02-01
KR1020190014086 2019-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24A KR20200096024A (ko) 2020-08-11
KR102627664B1 true KR102627664B1 (ko) 2024-01-23

Family

ID=7204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660A KR102627664B1 (ko) 2019-02-01 2019-04-1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6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4256A1 (en) 2001-11-08 2003-05-30 Arçelik A. S. A household appliance
US20180087210A1 (en) 2016-09-28 2018-03-29 Miele & Cie. Kg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587B1 (ko) * 2008-03-13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555299B (zh) * 2015-09-28 2019-10-0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喷淋系统及洗衣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4256A1 (en) 2001-11-08 2003-05-30 Arçelik A. S. A household appliance
US20180087210A1 (en) 2016-09-28 2018-03-29 Miele & Cie. Kg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24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700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082563B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박스
KR20180088205A (ko) 싱크대
KR20120081729A (ko) 세제함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110027001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US9487903B2 (en) Washing machine soap and chemical dispenser with improved flushing
KR20140027849A (ko) 세제공급장치를 가지는 세탁기
KR20100082916A (ko) 세탁기 및 그 드로워 어셈블리
KR102627664B1 (ko) 의류처리장치
US5934109A (en) Dispenser for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KR20100065589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CN111519403B (zh) 衣物处理装置
CN111519399B (zh) 衣物处理装置
KR10157909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464781Y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KR102487866B1 (ko) 세탁기
EP369011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65498Y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10103419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1959312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세제공급장치
KR100924800B1 (ko) 세탁기의 세제박스
KR100716248B1 (ko) 드럼세탁기
AU202247709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096036A (ko) 의류처리장치
KR100782977B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