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307B1 - 통신장치, 그 통신방법, 정보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통신장치, 그 통신방법, 정보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307B1
KR102627307B1 KR1020230103238A KR20230103238A KR102627307B1 KR 102627307 B1 KR102627307 B1 KR 102627307B1 KR 1020230103238 A KR1020230103238 A KR 1020230103238A KR 20230103238 A KR20230103238 A KR 20230103238A KR 102627307 B1 KR102627307 B1 KR 102627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data
noma
legacy
e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9099A (ko
Inventor
토모유키 타카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9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48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detection of multiuser or interfering signals, e.g. iteration between CDMA or MIMO detector and FEC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물리 레이어(PHY)의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장치가 제공된다. 프리앰블은, L-STF(Legacy Short Training Field), L-LTF(Legacy Long Training Field), L-SIG(Legacy Signal Field), EHT-SIG(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Field), EHT-STF(EHT Short Training Field)과 EHT-LTF(EHT 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하고, EHT-SIG은,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이 사용되는지 아닌지에 관한 정보가 설정되는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장치, 그 통신방법, 정보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무선 LAN에 있어서의 통신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통신할 데이터 량의 증가에 따라,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통신기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무선 LAN의 주요한 통신 규격으로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규격 시리즈가 알려져 있다. IEEE802.11 규격 시리즈에는, IEEE802.11a/b/g/n/ac/ax 등의 규격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최신 규격인 IEEE802.11ax에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을 사용하여, 최대 초당 9.6기가비트(Gbps)의 높은 피크 스루풋을 구현하고에, 혼잡 상황하에서의 통신 속도를 더 향상시키는 기술이 규격화되어 있다(일본국 2018-050133호 참조).
한편, 더욱 더 스루풋을 향상시키기 위해, IEEE802.11ax의 후계 규격으로서, IEEE802.11EHT(Extremely High Throughput)으로 불리는 스터디 그룹이 결성되어 있다. IEEE802.11EHT에서는, 스루풋 향상을 위해,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방식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장치는, 그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NOMA가 이용되고 있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NOMA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규격에 있어서는 NOMA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통신장치가, 통신장치가 그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NOMA가 이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인식하기 위한 메카니즘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NOMA가 이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명확하게 인식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물리 레이어(PHY)의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리앰블은, L-STF(Legacy Short Training Field), L-LTF(Legacy Long Training Field), L-SIG(Legacy Signal Field), EHT-SIG(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Field), EHT-STF(EHT Short Training Field)과 EHT-LTF(EHT 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EHT-SIG은,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이 사용되는지 아닌지에 관한 정보가 설정되는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통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물리 레이어(PHY)의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리앰블은, L-STF(Legacy Short Training Field), L-LTF(Legacy Long Training Field), L-SIG(Legacy Signal Field), EHT-SIG(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Field), EHT-STF(EHT Short Training Field)과, EHT-LTF(EHT 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EHT-SIG은,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이 사용되는지 아닌지에 관한 정보가 설정되는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통신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EHT SU PPDU의 PHY 프레임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EHT ER SU PPDU의 PHY 프레임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EHT MU PPDU의 PHY 프레임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PPDU를 송신하는 통신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절차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PPDU를 수신하는 통신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절차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이하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관련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에는 복수의 특징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들 복수의 특징의 모두가 발명에 필수적인 것인 것은 아니며, 또한 복수의 특징은 임의로 조합되어도 된다. 더구나, 첨부도면에 있어서는, 동일 혹은 유사한 구성에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중복한 설명은 생략한다.
(네트워크 구성)
도 1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본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1대의 액세스 포인트(AP)와 3대의 스테이션(STA)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AP(102)과 STA 103 내지 105 각각은, IEEE802.11EHT(Extremely High Throughput)에 준거하고 있고, IEEE802.11EHT 규격 이전에 책정된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IEEE802.11EHT"라고 하는 명칭은 편의상 제공된 것이며, 규격이 확정되었을 때 다른 명칭이 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 및 첨부의 청구범위는, 후술하는 처리를 서포트할 수 있는 모든 규격을 커버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다. 또한, EHT는 Extreme High Throughput의 두문자어로 해석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특정한 장치를 가리키지 않을 경우 등에 있어서, 참조번호를 붙이지 않고, 액세스 포인트를 "AP"로 부르고, 스테이션(단말)을 "STA"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이때, 도 1에서는, 일례로서 1대의 AP과 3대의 STA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통신장치의 대수는, 도시되는 것보다 많아도 적어도 된다. 일례에 있어서는, STA끼리의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 AP이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AP(102)이 Wi-Fi(등록상표) Direct 규격에 준거한 그룹 오너(group owner)이고, STA 103 내지 105가, Wi-Fi Direct 규격의 클라이언트이어도 된다. 도 1에서는, AP(102)이 형성하는 네트워크의 통신가능 영역이 원(101)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이때, 이 통신가능 영역은 보다 넓은 범위를 커버하거나, 보다 좁은 범위만을 커버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AP(102)과 STA 103 내지 105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송수신에 NOMA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NOMA는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의 두문자어다. NOMA 방식을 사용한 통신에 있어서는, 적절하게 전력이 할당된 (서로 직교하지 않는) 독립된 복수의 신호가 같은 시각에 병렬로 공통의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전송된다. 이에 따라, 무선 리소스가 유효하게 활용되어, 전체 시스템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장치의 구성)
도 2는, 통신장치(AP 및 STA) 각각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다. 통신장치는, 그것의 구성의 일례로서, 기억부(201), 제어부(202), 기능부(203), 입력부(204), 출력부(205), 통신부(206), 및 안테나(207)을 갖는다.
기억부(201)는, ROM 및 RAM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인 1개 이상의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고, 후술하는 각종 동작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파라미터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이때, 기억부(201)로서, ROM 및 RAM 등의 메모리 이외에,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CD-ROM, CD-R, 자기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또는 DVD 등의 기억매체가 사용되어도 된다.
제어부(202)는, 예를 들면, CPU와 MPU 등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_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때,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프로세서이거나 멀티코어 프로세서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두문자어이고, MPU는 Micro Processing Unit의 두문자어다. 제어부(202)는, 기억부(20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02)는, 기억부(201)에 기억된 프로그램과 OS(Operating System)의 협동에 의해 장치 전체를 제어하여도 된다.
또한, 제어부(202)는, 기능부(203)를 제어하여, 촬상, 인쇄, 또는 투영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기능부(203)는, 장치가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드웨어다. 예를 들면, 장치가 카메라일 경우, 기능부(203)는 촬상부이며, 촬상처리를 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장치가 프린터일 경우, 기능부(203)는 인쇄부이며, 인쇄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장치가 프로젝터일 경우, 기능부(203)는 투영부이며, 투영 처리를 행한다. 기능부(203)가 처리하는 데이터는 기억부(20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이어도 되고, 또는 후술하는 통신부(206)를 거쳐 다른 AP나 STA와 통신한 데이터이어도 된다.
입력부(204)는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의 접수를 행한다. 출력부(205)는, 유저에 대하여 각종 출력을 행한다. 여기에서, 출력부(205)에 의한 출력은, 예를 들면, 화면 상에의 표시, 스피커에 의한 음성 출력, 진동 출력 등의 적어도 1개를 포함한다. 이때, 터치패널과 같이 입력부(204)와 출력부(205)의 양쪽을 1개의 모듈로 실현하여도 된다.
통신부(206)는, IEEE802.11 규격 시리즈에 준거한 무선 통신의 제어나, IP(Internet Protocol) 통신의 제어를 행한다. 통신부(206)는, 소위 무선 칩이며, 그 자체가 1개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부(206)는, 적어도 IEEE802.11EHT 규격에 준거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06)는 안테나(207)를 제어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장치는, 통신부(206)를 거쳐, 화상 데이터, 문서 데이터, 또는 영상데이터 등의 콘텐츠를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한다. 안테나(207)는, 예를 들면, 서브 GHz대, 2.4GHz대, 5GHz대 및 6GHz대의 적어도 어느 한 개에서 신호를 송수신 가능한 안테나다. 이때, 안테나(207)가 대응가능한 주파수대(및 주파수대의 조합)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안테나(207)는, 1개의 안테나이거나, MIMO(Multi-Input and Multi-Output) 송수신을 행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2개 이상의 안테나의 세트이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207)는, 예를 들면, 각각 다른 주파수대에 대응가능한 2개 이상의 안테나(2세트 이상의 안테나)로 구성되어도 된다.
(프레임 구조)
IEEE802.11EHT 규격에서 정해진 무선 프레임(PPDU)(Physical layer(PHY) Protocol Data Unit)의 예를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다. 도 3은, 싱글 유저 통신용의 PPDU인 EHT SU(Single User) PPDU의 예를 나타내고, 도 4는, 장거리 전송용의 EHT ER(Extended Range) SU PPDU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EHT ER SU PPDU는, AP와 단일의 STA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통신 범위를 확장해야 할 경우에 사용된다. 도 5는, 멀티 유저 통신용의 EHT MU(Multi User) PPDU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PPDU는, STF(Short Training Field), LTF(Long Training Field) 및 SIG(Signal Field)를 포함하는 필드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PPDU 선두부는, IEEE802.11a/b/g/n/ax 규격과의 후방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L(Legacy)-STF 301, L-LTF 302 및 L-SIG 303을 갖는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프레임 포맷의 각각은, L-STF(L-STF 401 또는 501), L-LTF(L-LTF 402 또는 502), L-SIG(L-SIG 403 또는 503)을 포함한다. 이때, L-LTF는 L-STF의 직후에 배치되고, L-SIG은 L-LTF의 직후에 배치된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은, L-SIG의 직후에 배치되는 RL-SIG(Repeated L-SIG)(RL-SIG 304, 404 또는 504)를 포함한다. RL-SIG 필드에서는, L-SIG의 내용이 반복하여 송신된다. RL-SIG은, 이 PPDU가 IEEE802.11ax 규격 이후의 규격에 준거한다는 것을 수신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IEEE802.11EHT에서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RL-SIG 대신에, 이 PPDU가 IEEE802.11EHT에 준거한다는 것을 수신자가 인식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필드가 설치되어도 된다.
L-STF 301은, 물리 레이어(PHY) 프레임 신호의 검출, AGC(Automatic Gain Control)m 타이밍 검출 등에 사용된다. L-LTF 302는, 주파수/시간의 고정밀도의 동기, 전파 채널 정보(CSI: Channnel State Information)의 취득 등에 사용된다. L-SIG 303은, 물리층 데이터 레이트,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PHY 프레임 길이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IEEE802.11a/b/g/n/ax 규격에 따르는 레거시 기기(Non-EHT 기기)는 상기한 각종 레거시 필드를 복호할 수 있다.
각 PPDU는, RL-SIG의 직후에 배치되고 EHT용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1개 이상의 EHT-SIG(EHT-SIG-A 305, EHT-SIG-A 405, 또는 EHT-SIG-A 505, EHT-SIG-B 506)을 더 포함한다. EHT-SIG 필드는 EHT PPDU의 수신 처리에 사용된다. 각 PPDU는, EHT용의 STF(EHT-STF 306, 406 또는 507) 및 EHT용의 LTF(EHT-LTF 307, 407 또는 508)을 더 갖는다. 각 PPDU는, 이들 제어용의 필드의 뒤에, 데이터 필드 308, 408 또는 509과, Packet Extension 필드 309, 409 또는 510을 갖는다. 각 PPDU의 L-STF로부터 EHT-LTF까지의 필드를 포함하는 부분은 PHY 프리앰블로 불린다. 이때, 각 PPDU의 각 필드는, 반드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순서로 배열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또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지 않은 신규의 필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때, 도 3 내지 도 5 각각은, 일례로서, 후방 호환성을 확보가능한 PPDU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후방 호환성을 확보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레거시 필드가 생략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동기의 확립을 위해, L-STF 및 L-LTF 대신에, EHT-STF 및 EHT-LTF가 사용된다. 그리고, EHT-SIG 필드 뒤의 EHT-STF와 EHT-LTF들 중에서 1개가 생략될 수 있다.
EHT SU PPDU에 포함되는 EHT-SIG-A 305 및 EHT ER SU PPDU에 포함되는 EHT-SIG-A 405 각각은, PPDU의 수신에 필요한,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EHT-SIG-A1과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EHT-SIG-A2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것의 PPDU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전송시에 NOMA가 사용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NOMA" 서브필드가, EHT-SIG-A1과 EHT-SIG-A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EHT-SIG-A1에 NOMA 서브필드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EHT-SIG-A2에는 NOMA 서브필드가 설정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EHT-SIG-A2에 NOMA 서브필드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EHT-SIG-A1에는 NOMA 서브필드가 설정되지 않아도 된다. 더구나, EHT-SIG-A1과 EHT-SIG-A2의 양쪽에 NOMA 서브필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도 5애 나타낸 EHT MU PPDU의 EHT-SIG-A 505는 PPDU의 수신에 필요한 표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EHT-SIG-A1과 표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EHT-SIG-A2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EHT MU PPDU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NOMA 서브필드가 EHT-SIG-A2에 포함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NOMA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 NOMA 서브필드에 "1"이 설정되거나, 또는 NOMA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 NOMA 서브필드에 "0"이 설정된다. 단,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이와 반대로, NOMA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 NOMA 서브필드에 "0"을 설정하고, NOMA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 NOMA 서브필드에 "1"을 설정해도 된다. 이때, NOMA가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값이 NOMA 서브필드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것은 그후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NOMA 방식을 사용하여 다중화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NOMA가 사용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값이 NOMA 서브필드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것은 그후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NOMA 방식을 사용하여 다중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에 따르면, EHT-SIG 필드를 포함하는 PPDU를 송신하는 통신장치는, 프레임 포맷을 변화시키지 않고, 이 PPDU를 수신하는 통신장치에 대하여 NOMA에 관한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이때, 표 1 내지 4에 나타낸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다른 구성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EHT SU PPDU 및 EHT ER SU PPDU에 있어서, EHT-SIG-A1 필드와 EHT-SIG-A2 필드의 15번째의 비트 이외의 위치에서, 이 NOMA와 관련된 정보가 통지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EHT MU PPDU에 있어서, EHT-SIG-A2 필드의 8번째의 비트 이외의 위치에서, 이 NOMA와 관련된 정보가 통지되어도 된다. 또한, 각 필드의 이름과 내용이 표 1 내지 4에 표시되는 것과 달라도 된다.
ETH-
SIG
-A1
Bit 위치 서브필드 비트 수 설명
BO Format 1 ETH TB PPDU와 구별하기 위해 ETH PPDU와 ETH ER PPDU에 대해 "1"을 설정
B1 Beam
Change
1 PPDU의 pre-EHT가 EHT-LTF의 제1심볼과 다른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1"이 설정되고, pre-EHT가 제1 심볼과 유사하게 매핑되어 있는 경우에는 "0"이 설정
B2 UL/DL 1 이서브필드는 PPDU가 UL 또는 DL에 대한 것인지 나타내고, TXVECTOR UPLINK_FLAG와 같은 값을 갖는다
B3-B6 MCS 4 이 서브필드는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의 값을 나타낸다.
ETH SU PPDU의 경우, n=0,1,2,…,11(12 내지 15는 예약)
ETH ER SU PPDU이고 Bandwidth=0의 경우, n=0,1,2(3 내지 15는 예약 영역)
ETH ER SU PPDU이고 Bandwidth=1의 경우, n=0(1 내지 15는 예약 영역)
B7 DCM 1 이 서브필드는 Dual Carrier Modulation이 데이터 필드에 적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STBC 필드에 "0"이 설정된 경우, "1"이 설정된다
(DCM과 STBC 필드가 "1"인 경우, 어느쪽도 적용되지 않는다
DCM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0"이 설정된다
B8-B13 BSS Color 6 BSS를 식별하는 6비트 수
B14 NOMA 1 NOMA 방식을 사용한 다중화가 행해지는 경우. "1"이 설정
NOMA 방식을 사용한 다중화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 "0"이 설정
B15-B18 Spatial
Reuse
4 이 서브필드는 이 PPDU의 송신중에 Spatial Reuse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별도의 표에 나타낸 Spatial Reuse 필드 인코딩의 값이 설정된다
B19-B20 Bandwidth 2 ETH SU PPDU의 경우:
20MHz에 대해 "0"이 설정, 40MHz에 대해 "1"이 설정, 80MHz에 대해 "2"가 설정, 160MHz(80+80MHz)에 대해 "3"이 설정
ETH ER SU PPDU의 경우:
242-tone RU에 대해 "0"이 설정, 또는 20MHz의 upper 106-tone RU에 대해 "1"이 설정
B21-B22 Gl+LTF
Size
2 이 서브필드는 Guard Interval 기간과 ETH-LTF 크기를 나타낸다.
1xEHT-LTF 및 0.8μs GI에 대해 "0"이 설정, 2xEHT-LTF 및 0.8μs GI에 대해 "1"이 설정, 2xEHT-LTF 및 1.6μs GI에 대해 "2"가 설정, DCM 및 STBC 필드 모두가 "1"이고 4xEHT-LTF 및 0.8μs GI에 대해 "3"이 설정, 상기 이외의 4xEHT-LTF 및 3.2μs GI에 대해 "3"이 설정
B23-B25 NSTS And
Midamble
Periodicity
3 이 서브필드는 space-time stream의 수와 프레임 동기를 위한 미드앰블 주기를 나타낸다.
Doppler의 필드가 "0"인 경우, "(space-time stream의 수)-1"이 설정된다.
Doppler의 필드가 "1"인 경우, B23 및 B24는 space-time stream의 수를 나타낸다.
미드앰플 필드가 10인 경우, B25는 "0"이고, 미드앰플 필드가 20인 경우, "1"이다.
ETH-SIG-A2 Bit
위치
서브필드 비트
설명
B0-B6 TXOP 1 Transmission opportunity
TXVECTOR의 TXOP_DURATION이 UNSPECIFIED이고 기간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127이 설정
TXVECTOR의 TXOP_DURATION이 512보다 적은 경우, NAV를 설정하기 위해 127보다 작은 값이 설정. 이때, B0가 "0"인 경우, B1 내지 B6에는 TXOP_DURATION/8의 FLOOR(잘라버림)이 설정.
B0가 "1"인 경우, B1-B6에는 (TXOP_DURATION-512)/8의 FLOOR가 설정
B7 Coding 1 BCC(Binary Convolutional Code)에 대해 "0"이 설정, 또는 LDPC(Low Density Parity Check)에 대해 "1"이 설정
B8 LDPC Extra
Symbol
Segment
1 이 서브필드는 LDPC를 위한 extra OFDM 심볼 세그먼트의 유부를 나타낸다.
B9 STBC 1 STBC(Space-Time Block Coding)가 사용되고 DCM 서브필드가 "0"인 경우 이 필드에 "1"이 설정, DCM도 STBC도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1"이 설정, 또는 기타의 경우넨 "0"이 설정
B10 Beamformed 1 SU 전송의 파형에 빔포빙 스티러링이 적용되는 경우 "1"이 설정
B11-B12 Pre-FFC
Padding
Factor
2 Pre-FFC Padding Factor가 4인 경우 "1"이 설정
Pre-FFC Padding Factor가 1인 경우 "1"이 설정
Pre-FFC Padding Factor가 2인 경우 "2"가 설정, 또는
Pre-FFC Padding Factor가 3인 경우 "3"이 설정
B13 PE
Disambiguity
1 Packet Extension의 Disambiguity 필드
B14 NOMA 1 NOMA 방식을 사용한 다중화가 행해지는 경우, "1"이 설정
NOMA 방식을 사용한 다중화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 "0"이 설정
B15 Doppler 1 이하의 조건 중 어느 한개를 만족할 때 "1"이 설정
- 데이터 필드의 OFDM 심볼 수가 "미드앰블 주기로 표시된 값+1"보다 크고 미드앰블이 존재한다
- 데이터 필드의 OFDM 심볼 수가 "미드앰블 주기로 표시된 값+1" 이하이고, 미드앰블이 존재하지 않고, 채널이 급격히 변할 때
B16-B19 CRC 4 지금까지의 ETH-SIG-A(A1의 26비트와 A2의 B15까지의 16비트, 즉 총 42비트) 필드의 CRC
B20-B25 Tail 6 트렐리스 콘볼루션 디코더에 종단을 표시하기 위해 "0"으로 설정된 영역
ETH-SIG-A1 Bit
위치
서브필드 비트수 설명
B0 UL/DL 1 이 서브필드는 PPDU가 UL 또는 DL에 대한 것인지 나타내고 TXVECTOR UPLINK_FLAG와 같은 값을 갖는다.
B1-B3 SIGB MCS 3 이 서브필드는 ETH-SIG-B의 MCS를 나타낸다. MCS 0에 대해 "0"이 설정, MCS 1에 대해 "1"이 설정, MCS 2에 대해 "2"가 설정, MCS 3에 대해 "3"이 설정, MCS 4에 대해 "4"가 설정, MCS 5에 대해 "5"가 설정. "6" 및 "7"은 예약 영역
B4 SIGB DCM 1 HT-SIG-B 필드가 DCM을 사용하여 변조되는 경우 "1"이 설정
B5-B10 BSS Color 6 BSS를 식별하는 6비트 수
B11-B14 Spatial
Reuse
4 이서브필드는 이 PPDU의 전송중에 Spatial Reuse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별도의 표에 나타낸 Spatial Reuse 필드 인코딩의 값이 설정된다.
B15-B17 Bandwidth 3 20MHz에 대해 "0"이 설정, 40MHz에 대해 "1"이 설정, 80MHz에 대해 "2"가 설정, 또는 160MHz(80+80MHz)에 대해 "3"이 설정
SIGB Compression 필드가 "0"일 때,
80MHz preamble puncturing에서 세컨더리 20MHz만이 puncturing할 경우 "4"가 설정,
80MHz preamble puncturing에서 세컨더리 40MHz의 2개의 20MHz가 puncturing할 경우 "5"가 설정,
160(또는 80+80)MHz preamble puncturing에서 세컨더리 20MHz 만이 puncturing할 경우 "6"이 설정,
160(또는 80+80)MHz preamble puncturing에서 세컨더리 40MHz 만이 puncturing할 경우 "7"이 설정,
SIGB 필드가 "1"인 경우, "4" 내지 "7"의 값은 "예약"을
의미
B18-B21 Number of
EHT-SIG-B
Symbols or
MU-MIMO
Users
4 SIGB Compression 필드가 "0"일 때, 이 서브필드는 ETH-SIG-B의 OFDMA 심볼 수를 나타낸다.
EHY-SIG0B의 OFDM 심볼 수가 16보다 작은 경우, EHT-SIG-B의 OFDM 심볼 수에서 1을 빼서 얻어진 수가 설정된다. 적어도 한개의 수신 단말이 16보다 큰 EHT-SIG-B OFDM 심볼 수를 서포트하는 능력을 "0"으로 설정한 경우, EHT-SIG-B의 OFDM 심볼 수가 16인 것을 표시하기 위해 "15"가 설정된다. 모든 수신 단말이 16보다 큰 EHT-SIG-B OFDM 심볼 수를 서포트하는 능력을 "0"으로 설정하고 EHT-SIG-B의 데이터 레이트가 DCM을 사용하지 않는 MCS 4보다 작은 경우, EHT-SIG-B의 OFDM 심볼 수가 16 이상인 것을 표시하기 위해 "15"가 설정된다. SIGB Compression 필드가 "1"이면, 여기에서 설정된 값은 MU-MIMO users의 수에서 1을 빼서 얻어진 수를 의미한다.
B22 SIG
Compression
1 EHT-SIG-B에Common 필드가 존재하면 "1"이 설정된다.
B23-B24 Gi+LTF Size 2 이 서브필드는 Guard Interval 기간과 EHT-LTF 크기를 표시한다. 4xEHT-LTF와 0.8μs GI에 대해 "0"이 설정, 2xEHT-LTF와 0.8μs GI에 대해 "1"이 설정, 2xEHT-LTF와 1.6μs GI에 대해 "2"가 설정, 4xEHT-LTF와 3.2μs GI에 대해 "3"이 설정
B25 Doppler 1 이하의 조건 중 어느 한개를 만족할 때 "1"이 설정
- 데이터 필드의 OFDM 심볼 수가 "미드앰블 주기로 표시된 값+1"보다 크고 미드앰블이 존재한다
- 데이터 필드의 OFDM 심볼 수가 "미드앰블 주기로 표시된 값+1" 이하이고, 미드앰블이 존재하지 않고, 채널이 급격히 변할 때
EHT-SIG-A2 BIT
위치
서브필드 비트
설명
B0-B6 TXOP 1 Transmission opportunity
TXVECTOR의 TXOP_DURATION이 UNSPECIFIED이고 기간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127이 설정
TXVECTOR의 TXOP_DURATION이 512보다 적은 경우, NAV를 설정하기 위해 127보다 작은 값이 설정. 이때, B0가 "0"인 경우, B1 내지 B6에는 TXOP_DURATION/8의 FLOOR(잘라버림)이 설정.
B0가 "1"인 경우, B1-B6에는 (TXOP_DURATION-512)/8의 FLOOR가 설정
B7 NOMA 1 NOMA 방식을 사용한 다중화가 행해지는 경우, "1"이 설정
NOMA 방식을 사용한 다중화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 "0"이 설정
B8-B10 Number of EHT-LTF Symbols And Midamble Periodicity 3 이서브픽드는 EHT-LTF의 수를 나타낸다.
1개의 EHF-LTF에 대해 "0"이 설정, 2개의 EHF-LTF에 대해 "1"이 설정, 4개의 EHF-LTF에 대해 "2"가 설정, 6개의 EHF-LTF에 대해 "3"이 설정, 8개의 EHF-LTF에 대해 "4"가 설정된다.
Doppler 필드가 "1"일 때, B8 및 B9은 EHT-LTF의 심볼 수를 나타내고 B10은 미드앰블 주기를 나타낸다.
B11 LDPC Extra
Symbol
Segment
1 이 서브필드는 LDPC에 대한 extra OFDM 심볼 세그먼트의 유무를 나타낸다.
B12 STBC 1 각 RU_Resource Unit)의 유저의 수가 1보다 크지 않을 때, 부호화를 위해 STBC가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1"이 설정
B13-B14 Pre-FEC Padding Factor 2 Pre-FEC Padding Factor가 4인 경우, "0"이 설정된다.
Pre-FEC Padding Factor가 1인 경우, "1"이 설정된다.
Pre-FEC Padding Factor가 2인 경우, "2"가 설정된다.
Pre-FEC Padding Factor가 3인 경우, "3"이 설정된다.
B15 PE
Diaambiguity
1 Packet Extention의 Disambiguity 필드
B16-B19 CRC 4 지금까지의 ETH-SIG-A(A1의 26비트와 A2의 B15까지의 16비트, 즉 총 42비트) 필드의 CRC
B20-B25 Tail 6 트렐리스 콘볼루션 디코더에 종단을 표시하기 위해 "0"으로 설정된 영역
이때, 각 PPDU는, 예를 들면, 상기한 EHT-SIG-A 필드 이외에, 별개의 필드를 가져도 된다. 여기에서는, 이 필드를 EHT-SIG-x 필드로 부른다. EHT-SIG-x 필드는, NOMA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EHT-SIG-x 필드는 기타 정보를 더 포함하여도 된다. EHT-SIG-x 필드에 격납되는 정보의 예를 표 5에 나타낸다.
서브필드 설명
EHT-SIG-x ...
NOMA 이 서브필드는 NOMA 방식을 사용한 다중화가 행해지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Destination_0 ID Destination_0의 식별자
SIC Destination_0의 SIC 필요성
MCS Destination_0에 대응하는 MCS
TX power Destination_0에의 송신 전력
Destination_0 ID Destination_1의 식별자
SIC Destination_1의 SIC 필요성
MCS Destination_1에 대응하는 MCS
TX power Destination_1에의 송신 전력
...
EHT-SIG-x는, EHT-SIG-A에 격납되는 것으로 설명한 NOMA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EHT-SIG-x에 있어서 NOMA 서브필드가 설정될 경우에는, 상기한 EHT-SIG-A에는, NOMA 서브필드가 설정되어도 설정되지 않아도 된다.
EHT-SIG-x는, 각 데이터의 목적지마다 1개의 구조화된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이 서브필드를 Destination_y 서브필드로 부른다(이때, y는 0 이상의 정수). 1개의 Destination_y 서브필드는, 1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되어도 된다. 1개 이상의 Destination_y 서브필드의 각각은, 목적지 STA의 ID(식별자)를 나타내는 필드, SIC(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필드, 사용할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인덱스를 나타낸 필드와,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필드를, 각각, ID 필드, SIC 필드, MCS 필드 및 TX 전력 필드로 부른다.
ID 필드는, STA를 식별가능한 비트 수(예를 들면, 11bit)의 필드이며, 이 Destination_y 서브필드에 대응하는 STA의 식별자가 격납된다. 이때, STA의 식별자 대신에, 1개 이상의 STA를 포함하는 그룹의 식별자가 ID 필드에 격납되어도 된다.
SIC 필드는, SIC(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의 적용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필드이며, 1bit 이상의 필드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면, PPDU를 송신하는 통신장치는, SIC 필드가 1bit로 구성될 경우에, SIC 필드에 "1"을 격납함으로써, 이 Destination_y 서브필드에 대응하는 STA가 SIC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통신장치는, SIC 필드에 "0"을 격납함으로써, 이 Destination_y 서브필드에 대응하는 STA가 SIC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MCS 필드는, EHT 규격에 있어서 NOMA 방식을 사용한 데이터 송신시에 사용가능한 MCS를 고유하게 특정할 수 있는 비트 수의 필드다. 예를 들면, MCS 필드는, ceil{log2(NOMA 방식을 사용한 데이터 송신에 사용가능한 MCS 종류의 수)} 비트의 필드로서 구성된다. 여기에서, ceil(x)은, x를 인수로 하는 천정 함수이며, x 이상의 최소의 정수를 반환하는 함수다. NOMA 방식을 사용한 데이터 전송시에 사용된 MCS의 종류의 수가, NOMA 방식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 MCS의 종류의 수와 같은 경우, 이 MCS 필드의 비트 수는 4bit 이상, 또는 5bit 이상일 수 있다. 한편, NOMA 방식을 사용한 데이터 전송시에 사용되는 MCS의 종류의 수가, NOMA 방식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의 MCS의 종류의 수보다 적을 경우, 이 MCS 필드의 비트 수는 4bit 이하일 수 있다. 또한, MCS 필드가 1차 변조 방식만을 나타내는 경우, EHT 규격에 있어서 NOMA 방식을 사용한 데이터 송신시에 사용가능한 1차 변조 방식을 고유하게 특정할 수 있는 비트 수의 필드로서 MCS 필드가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최소의 비트 수는, ceil(log2(NOMA 방식을 사용한 데이터 송신시에 사용가능한 1차 변조 방식의 종류의 수))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7개의 1차 변조 방식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1024QAM 및 4096QAM이 사용될 수 있는 경우, MCS 필드는 최소로 3bit의 필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BPSK과 QPSK의 2종류의 1차 변조 방식만 사용가능한 경우에는, MCS 필드의 최소 비트 수는 1bit가 된다. BPSK, QPSK과 16QAM의 3종류의 1차 변조 방식만 사용가능한 경우에는, MCS 필드의 최소 비트 수는 2bit가 된다.
TX 전력 필드는,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송신 전력에 대한, 이 Destination_y 서브필드에 대응하는 STA(또는 STA의 그룹)에 할당된 전력의 비율을 나타낸다. 이 필드는, 이 Destination_y 서브필드에 대응하는 STA 또는 STA 그룹에 할당된 전력의 절대값을 나타내거나, SIC을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력의 상대값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전력의 절대값에 대응하는 인덱스 등 다른 포맷으로 전력이 표시되어도 된다. 전력값은, 부동 소수점형 상수 또는 정수형 상수로서 표시되어도 된다. 이들의 경우, TX 전력 필드의 비트 수는, 예를 들면, 8bit, 16bit, 32bit, 또는 64bit일 수 있다. 전력값은, 보다 적은 비트 수로 부호화되어 표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TX 전력 필드가, 이 Destination_y 서브필드에 대응하는 STA 또는 STA 그룹에 할당되는 전력의 비율을 나타낼 경우, 이 비트 수의 최소값은 ceil(log2(비율의 종류의 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1+0.1*i(i=0, 1, …, 8)로 표현되는 9종류의 비율이 존재할 경우, TX 전력 필드는, 최소로 4비트의 필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들 파라미터는 일례이며, 이들의 일부만이 각 Destination_y 서브필드에 격납되거나, 이들 파라미터 이외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값이 각 Destination_y 서브필드에 격납되어도 된다. 또한, NOMA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가 소정의 고정값일 경우나, 이와 같은 파라미터를 수신 처리에 있어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 NOMA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필드가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도시하지 않지만, EHT MU PPDU의 EHT-SIG-B는, PPDU의 수신에 필요한 Common 필드와 User Block 필드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유저(수신장치)마다의 정보를 격납할 수 있는 User Block 필드 내에, 상기한 EHT-SIG-x의 정보가 격납되어도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ID, SIC, MCS 및 TX 전력 등의 수신장치마다의 정보를, User Block 필드를 사용해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NOMA가 사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기 위한 NOMA 서브필드를 Common 필드에 설정해도 된다. 또한, NOMA 서브필드가 User Block 필드에 설정되고, 수신장치마다 NOMA가 사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공간 분리 가능한 수신장치에 대해서는 NOMA를 사용하지 않지만, 공간 분리가 곤란하거나 또는 공간 분리에 의해서는 충분한 품질을 얻을 수 없는 2개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해서는 NOMA를 사용하여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PPDU를 수신한 통신장치는, NOMA 필드에 근거하여, NOMA가 사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NOMA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장치는, 취득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NOMA 방식을 사용하여 다중화된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로부터 분리해서 분리된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처리의 절차)
다음에, 무선 프레임을 송신하는 통신장치(송신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절차의 예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처리는, 송신장치의 기억부(20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제어부(202)가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송신장치의 제어부(202)는 데이터 필드에 포함시킬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 S601). 그리고, 송신장치는, 송신 대상의 PPDU의 데이터 필드의 다중화에 NOMA를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602). 통신장치는, NOMA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정했을 경우에(스텝 S602에서 YES), EHT-SIG 필드의 NOMA 서브필드의 값을 "1"로 설정해서, PHY 프리앰블을 생성한다(스텝 S603). 한편, 통신장치는, NOMA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했을 경우에(스텝 S602에서 NO), EHT-SIG 필드의 NOMA 서브필드의 값을 "0"으로 설정해서, PHY 프리앰블을 생성한다(스텝 S604). 송신장치의 통신부(206)는, 스텝 S601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스텝 S603 및 스텝 S604 중에서 한개에서 생성한 PHY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생성하고, 안테나(207)를 거쳐, 생성한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다(스텝 S605).
다음에, 무선 프레임을 수신하는 통신장치(수신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절차의 예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처리는, 수신장치의 기억부(20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제어부(202)가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수신장치의 통신부(206)는, 송신장치로부터, 상기한 프레임 구성을 갖는 EHT PPDU를 수신한다(스텝 S701). 그리고, 수신장치의 통신부(206)와 제어부(202)의 적어도 어느 한개는, PHY 프리앰블의 EHT-SIG에 포함되는 NOMA 서브필드를 참조하여, 데이터의 다중화에 NOMA가 사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702). 수신장치는, NOMA가 사용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702에서 YES), NOMA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분리 및 복조 등의 수신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703).
예를 들면, 수신장치는, Destination_y 서브필드 내의 ID 필드를 참조하여, 자 장치에 대응하는 Destination_y 서브필드를 특정한다. 그리고, 수신장치는, 자 장치에 대응하는 Destination_y 서브필드 내의 SIC 필드를 참조한다. 수신장치는, SIC 필드에 SIC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값이 격납되어 있는 경우, 다른 수신장치에 대응하는 Destination_y 서브필드 내의 MCS 필드의 값에 근거하여 순차 간섭 제거 절차를 실행하여, 자 장치에게 보내진 데이터를 취득한다. 즉, 수신장치는, 예를 들면, 다른 수신장치의 변조 방식 등을 사용해서 다른 수신장치에게 보내진 신호 성분의 복조 등을 행하고, 이 신호 성분의 리플리커를 수신 신호로부터 감산하여, 다른 수신장치에게 보내진 신호 성분을 제거하여 얻어진 신호 성분을 취득한다. 수신장치는, 주요한 다른 통신장치(예를 들면, 자 장치보다 송신 전력이 큰 다른 통신장치)에게 보내진 신호 성분의 이러한 신호 성분의 제거를 반복 실행함으로써, 자 장치에게 보내진 신호 성분을 주로 포함하는 신호 성분을 취득할 수 있다. 수신장치는, 이 다른 수신장치에게 보내진 신호 성분의 제거 결과로써 얻어진 신호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간섭의 영향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복조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신장치는, 자 장치 및 다른 수신장치에 대응하는 Destination_y 서브필드 내의 TX 전력 필드를 참조해도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이들 필드의 값을 사용하여, 제거 대상의 신호의 파일럿 신호의 크기를 보정해도 된다. 이에 따라 제거 대상의 신호를 보다 정밀하게 등화, 복조하고,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수신장치는, 자 장치에 대응하는 Destination_y 서브필드 내의 SIC 필드의 값이, SIC가 불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SIC을 실행하지 않고 자 장치에게 보내진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때, 수신장치는, 자 장치 및 다른 수신장치에 대응하는 Destination_y 서브필드 내의 TX 전력 필드를 참조해도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이들 필드의 값을 사용하여, 파일럿 신호의 크기를 보정해도 된다. 이에 따라 신호를 보다 정밀하게 등화, 복조하고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수신장치는, 사전에 정해진 파라미터를 사용할 경우나, 사전에 정해진 절차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들 파라미터의 참조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자 장치에게 보내진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수신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수신장치는, NOMA가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702에서 NO), NOMA 방식과 다른 방식(예를 들면, OMA(Orthogonal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한 데이터의 분리 및 복조 등의 수신 처리를 실행하여, 자 장치에게 보내진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704). 수신장치는, 이렇게 하여 얻어진 데이터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출력 제어(데이터의 표시나 인쇄 등) 등의 각종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통신장치는, 무선 프레임 내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다중화에 NOMA를 사용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무선 프레임 내의 PHY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이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상대장치가, 그 무선 프레임 내의 데이터가 NOMA 방식을 사용하여 다중화되어 있는지를 신속히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적절한 데이터 취득 처리(수신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1차 변조 방식 또는 MCS 인덱스와 송신 전력 등의 파라미터를 PHY 프리앰블에 포함시킴으로써, 통신장치가 NOMA 방식을 사용한 통신시에 다양한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HY 프리앰블에 SIC가 필요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장치는, 무선 프레임마다, SIC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수신장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것들에 따르면,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사이에서, 다양한 전송로 환경과 그 변화에 적응한 적절한 통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통신장치인 AP(102)와 STA 103 내지 105 이외에, 상기한 PHY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정보 처리장치(예를 들면, 무선 칩)에 의해,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AP(102)이 송신하는 비콘이나 Probe Response, 또는 STA가 송신하는 Probe Request 등의 소정의 무선 프레임의 PHY 프리앰블이, 레거시 필드를 포함하지만, EHT-SIG을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무선 프레임의 PHY 프리앰블이, EHT-SIG을 포함하지만, NOMA 서브필드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렇게, 무선 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EHT-SIG을 배치할 것인지 아닌지, 또는 EHT-SIG 중에 NOMA 방식에 관한 필드를 배치할 것인가 아닌지를 전환해도 된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4)

  1.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로서,
    한 개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한 개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장치에게,
    IEEE 802.11 규격 시리즈에 준거하고 물리 레이어(PHY)의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송신 또는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한 개 이상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앰블은, Legacy Training Field, Legacy Signal Field, non-Legacy Training Field 및 non-Legacy Signal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non-Legacy Signal Field는,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이 사용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되는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on-Legacy Signal Field는, 상기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상기 NOMA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NOMA와 관련된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필드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NOMA와 관련된 상기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필드는, 상기 무선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장치마다 설정되는 통신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필드는, 상기 NOMA를 사용해서 다중화된 상기 데이터의 1차 변조 방식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필드는, 상기 NOMA를 사용해서 다중화된 상기 데이터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필드는, 상기 NOMA를 사용해서 다중화된 상기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필드는, 상기 NOMA를 사용해서 다중화된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서 SIC(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이 사용될 필요가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장치는, 다른 수신장치에게 보내지고 상기 NOMA를 사용해서 다중화된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수신장치에 보내진 신호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수신장치에게 보내진 데이터를 취득하는 통신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은, SU(Single User)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ER(Extended Range) SU PPDU와, MU(Multi User) PPDU 중 어느 한 개인 통신장치.
  10.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정보 처리장치로서,
    한 개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한 개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게,
    IEEE 802.11 규격 시리즈에 준거하고 물리 레이어(PHY)의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생성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한 개 이상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앰블은, Legacy Training Field, Legacy Signal Field, non-Legacy Training Field 및 non-Legacy Signal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non-Legacy Signal Field는,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이 사용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되는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장치.
  11.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방법으로서,
    IEEE 802.11 규격 시리즈에 준거하고 물리 레이어(PHY)의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앰블은, Legacy Training Field, Legacy Signal Field, non-Legacy Training Field 및 non-Legacy Signal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non-Legacy Signal Field는,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이 사용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되는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통신방법.
  12.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정보 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방법으로서,
    IEEE 802.11 규격 시리즈에 준거하고 물리 레이어(PHY)의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앰블은, Legacy Training Field, Legacy Signal Field, non-Legacy Training Field 및 non-Legacy Signal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non-Legacy Signal Field는,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이 사용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되는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13. 컴퓨터에,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IEEE 802.11 규격 시리즈에 준거하고 물리 레이어(PHY)의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앰블은, Legacy Training Field, Legacy Signal Field, non-Legacy Training Field 및 non-Legacy Signal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non-Legacy Signal Field는,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이 사용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되는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기억매체.
  14. 컴퓨터에,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IEEE 802.11 규격 시리즈에 준거하고 물리 레이어(PHY)의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앰블은, Legacy Training Field, Legacy Signal Field, non-Legacy Training Field 및 non-Legacy Signal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non-Legacy Signal Field는,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이 사용되는지 아닌지에 관한 정보가 설정되는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기억매체.
KR1020230103238A 2019-04-11 2023-08-08 통신장치, 그 통신방법, 정보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및 기억매체 KR102627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75763 2019-04-11
JP2019075763A JP7398874B2 (ja) 2019-04-11 2019-04-11 通信装置並びにその通信方法、情報処理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200040065A KR102566666B1 (ko) 2019-04-11 2020-04-02 통신장치, 그 통신방법, 정보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065A Division KR102566666B1 (ko) 2019-04-11 2020-04-02 통신장치, 그 통신방법, 정보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099A KR20230119099A (ko) 2023-08-16
KR102627307B1 true KR102627307B1 (ko) 2024-01-23

Family

ID=727483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065A KR102566666B1 (ko) 2019-04-11 2020-04-02 통신장치, 그 통신방법, 정보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230103238A KR102627307B1 (ko) 2019-04-11 2023-08-08 통신장치, 그 통신방법, 정보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및 기억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065A KR102566666B1 (ko) 2019-04-11 2020-04-02 통신장치, 그 통신방법, 정보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083045B2 (ko)
JP (1) JP7398874B2 (ko)
KR (2) KR102566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131B1 (ko) * 2015-06-29 2020-11-12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레거시 무선 통신 단말과 공존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JP7324040B2 (ja) * 2019-04-24 2023-08-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並びにその通信方法、情報処理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124722A1 (ko) * 2020-12-10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a-ppdu의 구조 및 채널 스위칭을 위한 지시자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34940A1 (ko) * 2022-08-09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다중-레이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5116A (ja) 2011-10-07 2013-05-09 Canon Inc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912784A1 (en) * 2012-10-26 2015-09-0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niform wlan multi-ap physical layer methods
KR102088529B1 (ko) * 2013-11-06 202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빔 훈련 방법 및 장치
JP6374166B2 (ja) 2014-01-17 2018-08-15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261051B1 (ko) * 2014-05-14 2021-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피드백 방법 및 장치
WO2015199306A1 (ko) * 2014-06-26 2015-12-30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40753B1 (ko) * 2014-07-14 2020-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US10412744B2 (en) * 2014-08-21 2019-09-10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866364B2 (en) 2014-08-29 2018-01-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mi-orthogonal multiple access
ES2811831T3 (es) 2014-12-16 2021-03-15 Lg Electronics Inc Método de transmisión de dato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y dispositivo para el mismo
US9614711B2 (en) * 2015-01-12 2017-04-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emi-orthogonal multiple acces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107251461B (zh) * 2015-02-12 2020-07-14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非正交传输信令的设备与方法
JP6586762B2 (ja) 2015-04-07 2019-10-09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受信方法、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48332B2 (en) * 2015-05-28 2018-12-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level beamformed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AU2015404488B2 (en) 2015-07-31 2019-03-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170020001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427299B1 (ko) * 2015-08-13 202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백홀을 통해서 무선 접속망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43505B1 (ko) * 2015-12-10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연결 장치 및 방법
JP2018050133A (ja) 2016-09-20 2018-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17779A (ja) 2016-11-02 2020-01-30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信号受信方法
US10862637B2 (en) * 2018-11-08 2020-12-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egment based reference signal
US20190097850A1 (en) * 2018-11-30 2019-03-28 Thomas Kenney Preamble design for extremely high throughpu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backward compatibility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nsung Park, "Overview of PHY Features for EHT", IEEE 802.11-18/1967r1(2019.01.14.)
Evgeny Khorov, "Experimental Study of NOMA/SOMA in Wi-Fi", IEEE 802.11-18/1957r3(2019.03.11.)
Imran Latif, "HARQ in EHT", IEEE 802.11-18/2029r1(2018.11.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74302A (ja) 2020-10-22
US20210321484A1 (en) 2021-10-14
US11083045B2 (en) 2021-08-03
JP7398874B2 (ja) 2023-12-15
US11612014B2 (en) 2023-03-21
KR102566666B1 (ko) 2023-08-14
US20200329526A1 (en) 2020-10-15
KR20230119099A (ko) 2023-08-16
KR20200120516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7570B2 (en) Physical layer frame format for WLAN
KR102627307B1 (ko) 통신장치, 그 통신방법, 정보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및 기억매체
EP3809662B1 (en) Signal field indication method and device
US1172903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70139539A (ko) 채널 결합을 위한 레거시 호환가능한 시그널링
US20220060941A1 (en) Low power indoor frame format
EP3934318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11706058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10391941A1 (en)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817991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20182881A1 (en) Defining source of bits in trigger frame for disregard bits and releasing redundant beamformed bit
US20210368391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10367714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2021039220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30348923A1 (en) Defining source of bits in trigger frame for disregard bits and releasing redundant beamformed bit
US1184397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throughput improvement of wireless networks
US2022005288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EP3934317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14586408A (zh) 带有可检测wlan版本标识符的前导码
KR102666238B1 (ko) 통신장치, 정보 처리장치, 통신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