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601B1 - 각도조절수단이 개선된 파라솔 지지대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수단이 개선된 파라솔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601B1
KR102626601B1 KR1020220101798A KR20220101798A KR102626601B1 KR 102626601 B1 KR102626601 B1 KR 102626601B1 KR 1020220101798 A KR1020220101798 A KR 1020220101798A KR 20220101798 A KR20220101798 A KR 20220101798A KR 102626601 B1 KR102626601 B1 KR 102626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tube
ang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무영
신선호
Original Assignee
정무영
신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무영, 신선호 filed Critical 정무영
Priority to KR102022010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7/00Tiltable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에서 행사나 레저활동을 할 때 햇빛을 가리고 비를 피하기 위한 파라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삽입부와 연결부의 사이 및 연결부와 지지부의 사이에는 나사방식의 각도조절수단이 각각 구성되어 수직신축관을 기준으로 연결관의 각도를 조절하고, 연결신축관을 기준으로 지지관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상하였으며, 각도조절수단은 양측에 반대나사가 각각 형성된 나사봉과 이에 각각 결합되는 반대나사를 가진 조절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개선된 것이다.

Description

각도조절수단이 개선된 파라솔 지지대{Parasol support with improved angle adjustment means}
본 발명은 야외에서 행사나 레저활동을 할 때 햇빛을 가리고 비를 피하기 위한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개선된 파라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라솔은 해수욕장, 낚시터, 야외활동 등에서 태양의 직사광선을 차단하거나 비를 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큰 양산(우산)과 같은 것으로서, 지주를 테이블의 중앙에 연결 설치하거나 땅에 꽂아서 사용한다.
그러나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라 그늘도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지주를 잡고 파라솔의 위치나 방향을 변화시키거나 사용자가 그늘을 따라 자리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땅에 삽입된 지주는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파라솔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파라솔 지지대가 선보이고 있는데, 이와 같이 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으로는 지주를 몇 개로 분할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파라솔을 설치하고 연결부위에 나사방식이나 볼조인트방식 등의 조절 수단을 갖는 것들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각도조절 방식들은 볼조인트방식의 경우 미세하고 다양한 각도로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강력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장시간 사용에 의한 마모나 강한 바람이 부는 상태에서는 마찰력이 저하되어 저절로 각도가 변화되어 버리는 단점이 있었으며, 나사방식의 조절인 경우에는 조절하는 동작에 힘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절구조에 의하여 분할된 지주들 간의 결합이 약하여 바람이나 외력에 의하여 파라솔이나 중간 지주의 각도가 변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허등록 10-1651323(등록일자 2016년08월19일) 실용신안 공개 20-2018-0000954(공개일자 2018년04월06일)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땅에 삽입하는 하부지주와 중간지주 및 파라솔이 장착되는 상부지주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면서 각도의 조절이 신속하고 편리한 파라솔 지지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라솔 지지대를 삽입부와 연결부 및 지지부로 구성하되, 삽입부는 땅에 삽입되는 삽입관과, 삽입관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삽입관을 땅에 삽입시 충격을 가하는 타격관과, 타격관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연결부를 지지하는 수직신축관으로 구성하였으며, 상기 연결부는 수직신축관에 힌지로 결합되어 각도변화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관과, 연결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부를 지지하는 연결신축관으로 구성하였으며, 지지부는 상기 연결신축관에 힌지로 결합되어 각도변화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관과 지지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조절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신축관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수직신축관과 연결관의 사이 및 연결신축관과 지지관의 사이에는 나사방식의 각도조절수단이 각각 구성되어 수직신축관을 기준으로 연결관의 각도를 조절하고, 연결신축관을 기준으로 지지관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상하였으며, 각도조절수단은 양측에 반대나사가 각각 형성된 나사봉과 이에 각각 결합되는 반대나사를 가진 조절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파라솔은 삽입관 내부에 타격관을 구성하여 땅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고, 반대나사 방식의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연결부 및 지지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삽입부와 연결부 및 연결부와 지지부 사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파라솔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톱니면이 맞닿는 형태의 작동블럭이 구성된 회전조절수단을 구비하여 파라솔의 각도 또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삽입부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부 및 지지부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 각도조절수단의 분해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각도조절수단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회전조절수단의 분해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회전조절수단의 결합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파라솔 지지대에 대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바, 이어지는 설명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 예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파라솔 지지대는 삽입부(1)와 연결부(2) 및 지지부(3)로 구성되며, 삽입부(1)는 땅에 삽입되는 삽입관(10)과, 삽입관(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삽입관(10)을 땅에 삽입시 충격을 가하는 타격관(20)과, 타격관(2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연결부(2)를 지지하는 수직신축관(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2)는 수직신축관(30)에 힌지(H)로 결합되어 각도변화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관(40)과, 연결관(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부(3)를 지지하는 연결신축관(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지지부(3)는 상기 연결신축관(50)에 힌지(H)로 결합되어 각도변화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관(60)과 지지관(60)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조절수단(90)을 지지하는 지지신축관(7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신축관(30)과 연결관(40)의 사이 및 연결신축관(50)과 지지관(60)의 사이에는 각도조절수단(80)이 각각 구성되며, 지지신축관(70)의 상단에는 회전조절수단(90)이 결합되며, 회전조절수단(90)에 파라솔 고정관(91)이 결합되어 파라솔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삽입관(10) 하단에는 땅속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한 촉(11)이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되며 촉(11)의 바로 위에는 땅에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판(12)이 용접되어 일체화된다.
상기 삽입관(10)의 상단에는 조임수단(C)을 구성한 다음 타격관(20)이 삽입관(10)의 내부로 삽입되는데, 타격관(20)의 하단에는 타격판(21)이 결합되어, 삽입관(10)을 지면에 대고 타격관(20)을 내려치면 그 충격으로 삽입관(10)이 지면에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타격관(20)의 상단에도 조임수단(C)을 구성한 다음 수직신축관(30)을 삽입하여 수직신축관(30)의 신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결관(40)의 끝단에는 조임수단(C)을 구성한 다음 내부로 연결신축관(50)을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연결신축관(50)의 신축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지관(60)의 끝단에도 조임수단(C)을 구성한 다음 내부로 지지신축관(70)이 삽입되어 신축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H)로 연결되는 수직신축관(30)과 연결관(40)의 사이 및 연결신축관(50)과 지지관(60)의 사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수단(80)을 살펴보면, 각각 수직신축관(30)과 연결관(40) 사이의 힌지(H)로부터 그리고 연결신축관(50)과 지지관(60) 사이의 힌지(H)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힌지로 각각 나사봉(82)을 고정한 다음 중간에 양측 나사봉(82)과 나사결합되는 조절관(81)을 결합한 것인데, 상기 두 개의 나사봉(82)은 반대방향의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조절관(81)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각각 나사봉(82)의 나사와 일치하는 방향의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관(81)을 회전시키면 양측 나사봉(82)이 조절관(81)의 중앙으로 모이거나 멀어지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관(81)의 일측에는 직접 나사가 설치되고 다른 일측에는 별도의 나사관(83)을 형성하여 해당 나사봉(82)과 나사결합한 후에 조절관(81)과 일체화하도록 하였다. 이는 나사봉(82)이 서로 반대 나사이므로 한꺼번에 나사결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조절관(81)의 중앙부 외면에는 너얼링가공을 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조절관(81)과 나사관(83) 및 나사봉(82) 간에 결합되는 나사는 두줄나사를 형성하여 결합하게 되면 신속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지지신축관(70)의 상단에 설치되는 회전조절수단(90)을 자세히 살펴보면, 두 개의 작동블럭(92)(92')이 마주보고 결합되어 하나의 작동블럭(92) 하단에 지지신축관(70)이 결합되며, 두 개의 작동블록(92)(92')이 맞닿는 면에는 각각 원형의 톱니면(93)이 형성된 상태로 조절나사(94)가 일측 작동블럭(92)을 관통하여 다른 작동블럭(92')과 결합되어 있어서, 조절나사(94)를 풀면 톱니면(93)이 이격되어 일측 작동블럭(92')이 회전가능하고 회전 후 다시 조절나사(94)를 조이면 톱니면(93)이 조여지면서 조절된 각도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회전되는 일측 작동블럭(92')에는 파라솔을 결합하는 파라솔 고정관(91)이 형성되어 파라솔을 삽입한 후 조임수단(C)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사용방법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하여는 먼저 삽입관(10)을 땅속에 깊숙이 삽입하여야 하는데, 삽입관(10)에 타격관(20)을 삽입한 상태로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수직으로 세운 다음, 타격관(20)을 아래로 내려치면 타격판(21)이 촉(11)을 타격하여 그 충격으로 삽입관(10)이 땅속에 삽입된다. 이후 회전방지판(12)이 삽입관(10)과 파라솔을 포함한 전체 지지대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타격관(20)에 수직신축관(30)을 삽입하는데, 수직신축관(30)을 포함한 회전조절수단(90)까지 모두 미리 결합된 상태로 준비하여 결합하며, 최종적으로 파라솔을 일측 조절블럭(92')의 파라솔 고정관(91)에 파라솔을 결합하면 설치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삽입부(1)와 연결부(2) 간의 각도조절 및 연결부(2)와 지지부(3) 간의 각도조절이 필요한 경우 각도조절수단(80)의 조절관(81)을 회전시키는데,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조절관(81)과 두 개의 나사봉(82)이 반대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되어 결합된 상태이므로 조절관(81)의 회전에 의하여 나사봉(82) 간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나사방식의 조절수단에 의하여 힘을 크게 들이거나 시간이 길게 소요되지 않고 조절이 가능하며, 조절된 상태에서는 나사의 결합력으로 조절각도가 유지되면서 수직신축관(30)과 연결관(40) 및 연결신축관(50)과 지지관(60) 사이가 삼각형으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되어 전체적으로 강력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조절수단(90)의 작용으로 파라솔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조절나사(94)를 이완시켜 양측 작동블럭(92)(92')의 톱니면(93)을 이격시킨 다음 파라솔이 결합되는 일측 조절블록(92')을 회전시키고, 원하는 각도로 회전이 된 다음 다시 조절나사(94)를 조여주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된 파라솔의 각도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기타 삽입부(1)를 중심으로 연결부(2)를 포함한 지지부(3)와 파라솔의 위치 조절은 타격관(20)에 설치된 조임수단(C)을 이용하는데, 조임수단(C)을 풀고 수직신축관(30)의 길이조절 및 회전작용을 통하여 원하는 높이와 각도를 조절한 후 다시 조임수단(C)을 조여주면 되며, 연결관(40)을 기준으로 연결신축관(50)의 길이 조절 및 지지부(3)의 방향조절은 연결관(40)에 설치된 조임수단(C)을 이용하며, 파라솔의 높이 및 회전조절도 지지관(60)에 설치된 조임수단(C)을 이용하면 된다.
1: 삽입부 2: 연결부 3: 지지부
10: 삽입관 11: 촉 12: 회전방지판
20: 타격관 21: 타격판
30: 수직신축관
40: 연결관
50: 연결신축관
60: 지지관
70: 지지신축관
80: 각도조절수단 81: 조절관 82: 나사봉 83: 나사관
90: 회전조절수단, 91: 파라솔 고정관, 92(92'): 작동블록, 93: 톱니면

Claims (3)

  1. 삽입부(1)와 연결부(2) 및 지지부(3)로 구성되는 파라솔 지지대에 있어서,
    삽입부(1)는 땅에 삽입되는 삽입관(10)과, 삽입관(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삽입관(10)을 땅에 삽입시 충격을 가하는 타격관(20)과, 타격관(2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연결부(2)를 지지하는 수직신축관(30)으로 구성되며,
    삽입관(10) 하단에는 땅에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판(12)이 용접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삽입관(10)의 상단에 타격관(20)이 삽입관(10)의 내부로 삽입되는데, 타격관(20)의 하단에는 타격판(21)이 결합되어, 삽입관(10)을 지면에 대고 타격관(20)을 내려치면 그 충격으로 삽입관(10)이 지면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2)는 수직신축관(30)에 힌지(H)로 결합되어 각도변화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관(40)과, 연결관(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부(3)를 지지하는 연결신축관(50)으로 구성되며,
    지지부(3)는 상기 연결신축관(50)에 힌지(H)로 결합되어 각도변화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관(60)과 지지관(60)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조절수단(90)을 지지하는 지지신축관(70)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신축관(30)과 연결관(40)의 사이 및 연결신축관(50)과 지지관(60)의 사이에는 나사방식의 각도조절수단(80)이 각각 구성되어 수직신축을 기준으로 연결관의 각도를 조절하되,
    각도조절수단(80)은 각각 수직신축관(30)과 연결관(40) 사이의 힌지(H)로부터 그리고 연결신축관(50)과 지지관(60)의 사이의 힌지(H)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힌지로 각각 나사봉(82)을 고정한 다음 중간에 양측 나사봉(82)과 나사결합되는 조절관(81)을 결합하며, 상기 두 개의 나사봉(82)은 반대방향의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조절관(81)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각각 나사봉(82)의 나사와 일치하는 방향의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조절관(81)을 회전시키면 양측 나사봉(82)이 조절관(81)의 중앙으로 모이거나 멀어지도록 작용을 함에 의하여 삼각형 형태로 수직신축관(30)과 연결관(40) 사이 및 연결신축관(50)과 지지관(60)의 견고한 지지를 이룩함과 동시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수단이 개선된 파라솔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신축관(70)의 상단에는 회전조절수단(90)이 결합되며, 회전조절수단(90)에 파라솔 고정관(91)이 결합되어 파라솔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수단이 개선된 파라솔 지지대.
  3. 삭제
KR1020220101798A 2022-08-16 2022-08-16 각도조절수단이 개선된 파라솔 지지대 KR102626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798A KR102626601B1 (ko) 2022-08-16 2022-08-16 각도조절수단이 개선된 파라솔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798A KR102626601B1 (ko) 2022-08-16 2022-08-16 각도조절수단이 개선된 파라솔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601B1 true KR102626601B1 (ko) 2024-01-17

Family

ID=8971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798A KR102626601B1 (ko) 2022-08-16 2022-08-16 각도조절수단이 개선된 파라솔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6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999Y1 (ko) * 2005-06-15 2006-01-10 신중균 설치각도가 입체적으로 조정되는 파라솔
JP2006307874A (ja) * 2005-04-26 2006-11-09 Nippon Light Metal Co Ltd 吊りロッドおよびその締付方法
KR101651323B1 (ko) 2014-03-17 2016-08-25 정운성 파라솔의 각도 조절장치
KR20160004026U (ko) * 2015-05-15 2016-11-23 박정건 파라솔 각도 조절 장치
KR20170000816U (ko) * 2015-08-25 2017-03-07 최종관 파라솔 편심지주 형성장치
KR20180000954U (ko) 2016-09-29 2018-04-06 정태영 파라솔의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874A (ja) * 2005-04-26 2006-11-09 Nippon Light Metal Co Ltd 吊りロッドおよびその締付方法
KR200404999Y1 (ko) * 2005-06-15 2006-01-10 신중균 설치각도가 입체적으로 조정되는 파라솔
KR101651323B1 (ko) 2014-03-17 2016-08-25 정운성 파라솔의 각도 조절장치
KR20160004026U (ko) * 2015-05-15 2016-11-23 박정건 파라솔 각도 조절 장치
KR20170000816U (ko) * 2015-08-25 2017-03-07 최종관 파라솔 편심지주 형성장치
KR20180000954U (ko) 2016-09-29 2018-04-06 정태영 파라솔의 각도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385B2 (en) Adjustable umbrella base
KR102626601B1 (ko) 각도조절수단이 개선된 파라솔 지지대
CN105604077B (zh) 一种集成式降水井防护监测装置及其操作方法
US6371139B1 (en) Bracket for facilitating displacement of a parasol in an arcuate path
KR101913683B1 (ko) 파라솔 각도 조절장치
KR20140052746A (ko) 파라솔
CN2908631Y (zh) 预应力钢结构撑杆可调节节点连接装置
KR101594454B1 (ko) 경사각과 높이조절이 되는 비치파라솔
KR101743219B1 (ko) 파라솔 거치장치
KR200389739Y1 (ko) 파라솔용 지주의 각도조정장치
KR101782561B1 (ko) 파라솔 각도 조절장치
KR200458590Y1 (ko) 갯바위용 파라솔받침대
KR200488049Y1 (ko) 파라솔 설치용 삼각지지대
CN209799521U (zh) 一种具有抗风结构的重冰区杆塔
KR200486840Y1 (ko) 파라솔 지주대 조립체
CN210919157U (zh) 一种用于矿山的临时封堵装置
KR102635517B1 (ko) 지주의 외부배치에 의해 공간활용이 자유로운 파라솔
KR100676743B1 (ko) 파라솔 받침대의 기울기 조절장치
KR101532319B1 (ko)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CN214696039U (zh) 一种基于园林景观设计的景观廊架
CN109898680A (zh) 一种调谐质量阻尼器与钢梁连接装置及装配方法
CN216587983U (zh) 一种带地脚钉的旅游帐篷
KR102110917B1 (ko) 각도 조절형 파라솔 거치대
CN216844015U (zh) 一种智能球机三脚架用辅助固定装置
CN220202776U (zh) 一种用于挡土墙的临时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