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136B1 - 요람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요람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136B1
KR102626136B1 KR1020210037786A KR20210037786A KR102626136B1 KR 102626136 B1 KR102626136 B1 KR 102626136B1 KR 1020210037786 A KR1020210037786 A KR 1020210037786A KR 20210037786 A KR20210037786 A KR 20210037786A KR 102626136 B1 KR102626136 B1 KR 102626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range
body portion
sensor uni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2799A (ko
Inventor
홍순범
신승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10037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136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요람어셈블리는 영유아가 안착가능하게 구성되는 요람으로서, 내측에 영유아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요람과, 요람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장치로서, 요람의 내부를 지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요람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요람어셈블리{CRADLE ASSEMBLY}
본 발명은 요람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들은 자신의 상태를 표현하는데 미숙하므로 자칫 보호자의 잘못된 판단으로 인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확률도 있으며, 실제로 영유아 돌연사증후군 (SIDS: Sudden Infant Death Syndrome)을 비롯하여, 경련, 발작과 감기에 의한 발열 등 영유아들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질병과 집안에서 크고 작은 사고로 인해 매해 많은 수의 영유아들이 다치거나 사망하고 있다.
요람이란 이와 같은 영유아의 수면장소로서, 바구니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담요 등과 같은 쿠션재가 구비되며, 스윙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 부가적으로 구비되기도 한다.
그러나, 요람은 수면 중인 영유아의 관찰이 용이하지 않아, 모로 누운 자세 또는 엎드린 자세에서 영유아의 호흡기가 막힌 채로 방치되어, 영유아가 질식사하는 치명적인 위험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위험성을 해결하고자 시중에는 영유아를 흔들어주는 요람이 출시되어 있으나, 흔들림 과정에서 영유아의 낙상 위험이 있으며, 영유아의 자세변환이 어려워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조를 개선한 요람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안전성을 향상시킨 요람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요람 어셈블리는 영유아가 안착가능하게 구성되는 요람으로서, 내측에 영유아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요람; 상기 요람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장치로서, 상기 요람의 내부를 지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요람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요람은, 상기 안착공간에 대해 상기 회전축의 수직한 방향이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요람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람본체는, 상기 회전축방향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 개방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요람은,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안착공간과, 상기 요람의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공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요람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요람본체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으로 형성되는 제 1 본체부분; 상기 제 1 본체부분 이외의 제 2 본체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본체부분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부분은, 상기 제 1 본체부분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요람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본체부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요람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 상기 복수의 돌기와 맞물려 상기 요람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요람본체의 상기 회전축방향에 대한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그 외주면 둘레 전체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요람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기초로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요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이내일 때까지, 상기 회전장치에 의한 회전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보다 큰 제 1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요람이 제 1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 1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요람이 상기 제 1 각도보다 큰 제 2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보다 큰 제 1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요람이 제 1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 1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단말로 위험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보다 큰 제 1 범위이내인 경우, 상기 요람이 제 1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 1 범위보다 큰 제 2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요람이 상기 제 1 각도보다 큰 제 2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 2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단말로 위험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낙상방지 구조를 통해 요람어셈블리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유아의 자세 및 호흡등에 대한 감지를 기초로 동작하여, 영유아가 위험한 상황에 놓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동작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회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다른 동작에 관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또 다른 동작에 관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사시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요람어셈블리(1)는 요람(10)을 포함할 수 있다. 요람(10)은 영유아가 안착가능한 안착공간(13)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유아가 안착된다는 것은 영유아가 요람(10)에 누워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요람(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요람(10)은 회전축(11, 도 2, 3 참고)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원통의 회전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람(10)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원통의 측면인 요람본체(12)를 포함할 수 있다. 요람본체(12)의 내부에는 영유아가 안착되는 침구류(16)를 포함할 수 있다. 요람본체(12)는 회전축(11)의 수직한 방향이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안착공간(13)은 요람본체(12)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람(10)은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요람(10)은 원통의 회전체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그 중심인 가상의 회전축(11)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요람(10)은 이후 설명하는 회전장치(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요람(10)은 제 1 상태(10a, 도 2 참고)와, 제 1 상태(10a)로부터 회전한 제 2 상태(10b, 도 3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상태(10a)는 요람(10)의 회전하기 전 상태로서, 영유아가 요람(10) 내부에서 천장을 향하도록 누웠을 때,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의 실시예와 같이, 요람본체(12)는 그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된 개구(18)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18)는 요람본체(12)의 양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개구(18)는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람본체(12)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일측은 커버에 의해 막혀 있을 수도 있다.
요람(10)은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요람본체(12)에 형성된 개구(18)를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어(20)는 힌지(24)를 통해 요람본체(12)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개구(18)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20)는 요람본체(12)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개구(18)를 밀폐할 수도 있다. 도어(20)는 안착공간(13)과 외부공간간의 공기유출입을 위한 공기홀(22)을 포함할 수 있다.
요람어셈블리(1)는 받침대(3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30)는 요람(10)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받침대(30)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요람본체(12)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오목한 오목부(32, 도 4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요람(10)은 오목부에 안착되어 받침대(3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동작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회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요람(10)의 요람본체(12)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요람본체(12)는 침구류(16)가 배치되는 제 1 본체부분(12a)과, 제 1 부분을 제외한 제 2 본체부분(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본체부분(12a, 12b)은 가상의 가상선(12c)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제 1, 2 본체부분(12a, 12b)은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요람본체(12)의 회전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2와 같이, 제 1 본체부분(12a)은 요람본체(12)의 회전축(11)을 기준으로 A각도의 부채꼴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제 2 본체부분(12b)은 B각도의 부채꼴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A와 B가 각각 대략 180도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 B의 각도는 한정되지 않으며, A각도와 B각도의 합이 360도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이를 설계할 수 있다.
제 1 본체부분(12a)은 침구류(16)가 배치되며,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본체부분(12b)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대략 제 1 본체부분(12a)은 요람본체(12)의 하부를 형성하며, 제 2 본체부분(12b)은 요람본체(12)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영유아의 보호자는 제 2 본체부분(12b)을 통해 요람본체(12)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2 본체부분(12a, 12b)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영유아의 보호자가 요람본체(12)의 내부를 관찰 할 수 있도록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요람어셈블리(1)는 회전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장치(40)는 요람(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장치(40)는 요람(10)의 외면과 접촉하여, 요람(10)을 직접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장치(40)는 받침대(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기어(42)를 포함할 수 있다. 요람본체(12)는 그 외면을 따라 형성되며, 구동기어(42)와 맞물리는 기어 형상의 복수의 돌기(1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14)는 회전장치(40)의 일구성일 수 있다. 구동기어(42)는 요람본체(1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돌기(14)들과 순차적으로 맞물리며,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장치(40)는 구동기어(4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장치(40)는 요람(10)을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복수의 돌기(14)는 요람본체(12)의 회전축(11)방향에 대한 적어도 일부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14)는 상기 구간에서 요람본체(12)의 외주면 둘레 전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동기어(42)는 받침대(30)에서 복수의 돌기(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요람본체(12)에서 복수의 돌기(14)가 형성되지 않는 나머지 일부 구간의 외주면은 받침대(30)의 오목부(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요람(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회전장치(40)는 롤러를 포함하여, 요람(10)의 회전시 요람본체(12)의 나머지 일부의 외면과 받침대(30)의 오목부(32)와의 마찰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회전장치(4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장치(40)는 요람(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면 이를 만족한다.
요람(10)은 회전장치(40)에 의해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람(10)은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요람(10)의 제 2 상태(10b)는 제 1 상태(10a)로부터 0도 초과 360도 미만 회전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 2 상태(10b)는 제 1 상태(10a)로부터 -180도 이상 180도 이하로 회전한 상태일 수도 있다. 회전각도와 방향은 한정되지 않으며, 요람(10) 내부의 영유아의 배치 및 자세에 대한 감지된 신호를 기초하여 회전방향과 회전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요람(10) 내부에 영유아가 엎드려 있거나, 호흡기가 막힌 경우 요람(10)의 회전을 통해 영유아의 자세를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각도가 과도한 경우에도 영유아를 원통형의 요람(10)의 안착공간(13)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어서, 영유아의 낙상과 같은 위험을 방지하고, 영유아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요람어셈블리(1)는 센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요람(10)에 장착되어 요람(1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50)는 복수개가 구성되어, 요람(10)의 회전에 의해 영유아가 침구류(16)로부터 벗어나 제 2 본체부분(12b) 또는 요람본체(12)의 내측면에 위치한 경우에도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센서부(50)는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서, 요람본체(12) 내부에서 영유아의 위치에 구속되지 않고,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부(50)는 요람(1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센서부(50)는 요람(10) 내부의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면, 그 배치상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부(50)는 영유아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신호센서와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신호센서는 영유아의 호흡에 대한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 영유아의 흉부 및 복부 움직임을 통해 호흡을 감지하는 센서, 요람(10) 내부의 공기 순환을 감지하여 호흡을 감지하는 센서, 심장박동을 감지하는 센서, 영유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산소포화도를 감지하는 센서, 뇌파를 감지하는 센서, 심전도를 감지하는 센서, 근전도를 감지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감지센서는 적외선센서, 안면 인식센서, 시선 추적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요람어셈블리(1)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요람(10)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회전장치(40)를 통해 요람(10)의 회전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회전장치(40)의 제어를 통해, 요람(10)의 제 1 상태(10a)와 제 2 상태(10b)간을 회전하며, 제 2 상태(10b)에서의 회전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 의해 측정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회전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 의해 측정되는 수치가 기설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회전장치(40)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져서 요람(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유아의 호흡에 대한 소리가 기설정범위보다 작거나 또는 크거나, 영유아의 흉부 및 복부의 움직임이 기설정범위보다 작거나 크거나, 요람(10) 내부의 공기 순환이 기설정범위보다 느리거나 빠르거나, 영유아의 심장박동이 기설정범위보다 느려지거나 빨라지거나, 영유아의 움직임이 기설정범위보다 느리거나 또는 빠르거나, 영유아의 산소포화도가 기설정범위보다 낮거나 또는 높거나, 뇌파의 진폭이 기설정범위보다 작거나 크거나, 뇌파의 주기가 기설정범위보다 짧거나 길거나, 심전도의 진폭이 기설정범위보다 작거나 크거나, 심전도의 주기가 기설정범위보다 짧거나 길거나, 근전도의 진폭이 기설정범위보다 작거나 크거나, 근전도의 주기가 기설정범위보다 짧거나 길거나하는 경우를 센서부(50)에 의해 측정되는 수치가 기설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자세감지센서에 의해 영유아가 뒤집혀 있어서, 영유아의 얼굴 중 일정범위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기설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 의해 측정되는 수치가 기설정한 범위를 벗어나서 회전장치(40)에 의해 요람(10)을 회전시켰으나, 센서부(50)에 의해 재측정된 신호를 기초로 영유아의 자세가 바뀌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60)는 회전장치(40)의 회전동작을 더 수행하여 요람(10)의 회전각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센서부(50)의 신호를 기초로 기설정범위 이내일 때까지 이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수치를 기초로 회전동작이 일정각도씩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수치의 설정된 범위들마다 회전각도를 달리하여, 회전장치(40)의 회전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별도의 입력부에 입력되는 입력값에 따라 회전장치(40)의 회전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60)에 의한 요람(10)의 회전을 통해 요람(10) 내부의 영유아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60)는 이와 같은 회전장치(40)에 의한 요람(10)의 회전동작 발생시, 통신부(70)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해당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70)는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70)는 위험신호나, 센서부(50)의 측정결과, 회전장치(40)의 동작현황과 같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유아의 보호자는 요람(10)의 동작을 확인하고, 영유아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0)는 회전장치(40)의 동작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제어부(60)는 통신부(70)로 전달된 입력신호를 기초로 회전장치(40)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통신부(70)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0)는 사용자 단말과,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Communication), 셀룰러(cellular) 및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규약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규약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한정되지 않으며, 전용모니터링 기기,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순서도이다.
영유아는 요람본체(12) 내부의 안착공간(13)에 안착될 수 있다. 센서부(50)는 요람(10)에 배치되어, 요람(10) 내부에 안착된 영유아의 생체신호 또는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센서부(50)는 요람(10) 내부에 안착된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S110).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기설정범위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S120).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기설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회전장치(40)를 통해 요람(10)을 설정된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S130). 즉,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기설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회전장치(40)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져서 요람(10) 내부의 영유아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요람(10)이 회전장치(40)에 의해 회전한 후에, 센서부(50)는 영유아의 상태를 다시 감지할 수 있으며(S110), 센서부(50)에 의해 측정되는 신호가 기설정범위 이내일 경우일 때까지 상기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수치에 따라 회전동작이 일정각도씩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제어부(60)는 센서부(50)의 신호를 기초로 기설정범위 이내일 때까지 요람(10)의 회전각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센서부(50)에 의해 측정되는 신호가 기설정범위 이내인 경우는 요람(10)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설정된 주기마다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영유아가 안착공간(13)에 안착된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다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다른 동작에 관한 순서도이다.
영유아는 요람본체(12) 내부의 안착공간(13)에 안착될 수 있다. 센서부(50)는 요람(10)에 배치되어, 요람(10) 내부에 안착된 영유아의 생체신호 또는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센서부(50)는 요람(10) 내부에 안착된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S210).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기설정범위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S220).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기설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기설정범위보다 큰 제 1 범위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S230). 기설정범위보다 크다는 것은, 기설정범위의 상한보다 크고, 하한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범위는 기설정범위보다 상한만 크거나, 하한만 낮게 설정할 수도 있다. 기설정범위가 제 1 범위에 포함되면 이를 만족한다.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제 1 범위 이내 인 경우에, 회전장치(40)를 통해 요람(10)을 제 1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S240).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제 1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회전장치(40)를 통해 요람(10)을 제 1 각도보다 큰 제 2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S250). 즉,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에 의해 기설정범위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요람(10)의 회전각도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서, 요람(10) 내부의 영유아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동작에서 S250단계에서 요람(10)을 제 1 각도보다 큰 제 2 각도 회전시키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제 1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통신부(70)를 통해 사용자단말로 위험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영유아의 보호자가 신호를 전달받고 육안으로 영유아를 관찰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또 다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또 다른 동작에 관한 순서도이다.
영유아는 요람본체(12) 내부의 안착공간(13)에 안착될 수 있다. 센서부(50)는 요람(10)에 배치되어, 요람(10) 내부에 안착된 영유아의 생체신호 또는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센서부(50)는 요람(10) 내부에 안착된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S310).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기설정범위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S320).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기설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기설정범위보다 큰 제 1 범위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S330).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제 1 범위 이내 인 경우에, 회전장치(40)를 통해 요람(10)을 제 1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S340).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제 1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범위보다 큰 제 2 범위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S350).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제 2 범위 이내인 경우에, 회전장치(40)를 통해 요람(10)을 제 1 각도보다 큰 제 2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S360). 즉,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에 의해 기설정범위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요람(10)의 회전각도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서, 요람(10) 내부의 영유아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제 2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통신부(70)를 통해 사용자단말로 위험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S370). 이를 통해 영유아의 보호자가 신호를 전달받고 육안으로 영유아를 관찰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기설정범위보다 크다는 것은, 기설정범위의 상한보다 크고, 하한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선 도 7에서의 설명과 같이, 기설정범위가 제 1 범위에 포함되고, 제 1 범위가 제 2 범위에 포함되면 이를 만족한다.
이와 같은 동작들을 통해 영유아의 자세를 변화시킴으로서, 영유아의 질식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영유아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람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요람어셈블리(100)는 요람(110)을 포함할 수 있다. 요람(110)은 영유아가 안착가능한 안착공간(113)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유아가 안착된다는 것은 영유아가 요람(110)에 누워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요람(1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요람(110)은 회전축(11, 도 2, 3 참고)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원통의 회전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람(110)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원통의 측면인 요람본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요람본체(112)의 내부에는 영유아가 안착되는 침구류(116)를 포함할 수 있다.
요람(110)은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요람(110)은 원통의 회전체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그 중심인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요람(110)은 회전장치(1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요람(110)은 제 1 상태와, 제 1 상태로부터 회전한 제 2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상태는 요람(110)의 회전하기 전 상태로서, 영유아가 요람(110) 내부에서 천장을 향하도록 누웠을 때,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요람본체(112)는 침구류(116)가 배치되는 제 1 본체부분(112a)과, 제 1 부분을 제외한 제 2 본체부분(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본체부분(112a, 112b)은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요람본체(112)의 회전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1 본체부분(112a)은 침구류(116)가 배치되며,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본체부분(112b)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대략 제 1 본체부분(112a)은 요람본체(112)의 하부를 형성하며, 제 2 본체부분(112b)은 요람본체(112)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영유아의 보호자는 제 2 본체부분(112b)을 통해 요람본체(112)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2 본체부분(112a, 112b)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영유아의 보호자가 요람본체(112)의 내부를 관찰 할 수 있도록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요람본체(112)는 그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커버(112a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2aa)는 요람본체(112)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112aa)는 앞선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도어(20)가 배치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112aa)는 제 1 본체부분(112a)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112aa)는 안착공간(113)과 외부공간간의 공기유출입을 위한 공기홀(112a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본체부분(112b)은 제 1 본체부분(112a)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본체부분(112a)은 개구(112d)를 형성하며, 제 2 본체부분(112b)은 제 1 본체부분(112a)의 개구(112d)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본체부분(112b)은 힌지(112c)를 통해 제 1 본체부분(112a)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2 본체부분(112b)은 제 1 본체부분(112a)에 힌지결합되어, 안착공간(113)이 요람(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1 본체부분(112a)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요람어셈블리(100)는 회전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장치(140)는 요람(1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장치(140)는 요람(1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도록, 회전축(11)이 지나는 커버(112aa)의 중심과 연결될 수 있다. 회전장치(140)는 커버(112aa)의 중심과 연결되어 요람(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장치(140)는 별도의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요람(110)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장치(14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장치(140)는 요람(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면 이를 만족한다.
요람어셈블리(100)는 받침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130)는 지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회전장치(140)는 받침대(130)와 요람(110)을 연결하되, 요람(110)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요람(110)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장치(140)와 받침대(130)가 앞선 도 1 내지 도 4에서의 실시예에서의 받침대(30)와 회전장치(40)와 다르게 구성되나, 도 10에서의 요람어셈블리(200)와 같이, 앞선 도 1 내지 도 4 에서의 실시예에서의 받침대(30)와 회전장치(40)가 적용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도 9에서의 받침대(130)와 회전장치(140)가 도 1 내지 도 4에서의 실시예의 요람어셈블리(1)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요람어셈블리 10 : 요람
10a : 제 1 상태 10b : 제 2 상태
12 : 요람본체 20 : 도어
30 : 받침대 40 : 회전장치

Claims (15)

  1. 원통 형상으로서 내부에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아래로 볼록한 요람본체를 구비하는 요람;
    상기 요람본체의 아래에 위치하고, 위로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는, 받침대; 그리고
    회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요람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 그리고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에 맞물려 상기 복수의 돌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요람본체는,
    전단에서 뒤로 연장되어 후단에 이어지고, 상기 요람본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요람본체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단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1 변 및 제2 변을 구비하는, 제 1 본체부분;
    상기 제 1 본체부분의 상기 제1 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1 본체부분을 개폐하는, 제 2 본체부분;
    상기 제 1 본체부분의 상기 전단에 결합되며, 상기 요람본체의 전면(front face)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 그리고
    상기 제 1 본체부분의 상기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요람본체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본체부분은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요람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본체부분에 대해 회전하는,
    요람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람본체는,
    상기 안착공간에 대해서 상기 요람본체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이 밀폐되는,
    요람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본체부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요람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안착공간과 상기 요람의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공기홀;을 포함하는 요람어셈블리.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부분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요람어셈블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기초로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요람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요람을 회전시키는 요람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이내일 때까지, 상기 회전장치에 의한 회전각도를 증가시키는 요람어셈블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보다 큰 제 1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요람이 제 1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 1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요람이 상기 제 1 각도보다 큰 제 2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키는 요람어셈블리.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보다 큰 제 1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요람이 제 1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 1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단말로 위험신호를 전달하는 요람어셈블리.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보다 큰 제 1 범위이내인 경우, 상기 요람이 제 1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 1 범위보다 큰 제 2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요람이 상기 제 1 각도보다 큰 제 2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 2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단말로 위험신호를 전달하는 요람어셈블리.
KR1020210037786A 2021-03-24 2021-03-24 요람어셈블리 KR102626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786A KR102626136B1 (ko) 2021-03-24 2021-03-24 요람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786A KR102626136B1 (ko) 2021-03-24 2021-03-24 요람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799A KR20220132799A (ko) 2022-10-04
KR102626136B1 true KR102626136B1 (ko) 2024-01-17

Family

ID=8360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786A KR102626136B1 (ko) 2021-03-24 2021-03-24 요람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1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5428A (ja) 1999-07-14 2001-01-30 Yoshinori Sato ベビーベッド
WO2006022492A1 (en) 2004-08-21 2006-03-02 Man Woo Heo Security cradle for infant
WO2011147202A1 (zh) 2010-05-24 2011-12-01 Lin Chenglong 磁动摇篮
JP2016533840A (ja) * 2013-09-02 2016-11-04 アスペクト イメージング リミテッド 受動的に温度調節される新生児搬送用保育器
WO2017118926A2 (en) 2016-01-08 2017-07-13 Pelleossa Srl Foldable casing usable as a cradle-tent or small watercraft
CN109924763A (zh) 2017-12-15 2019-06-25 江苏高博智融科技有限公司 婴儿摇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550Y1 (ko) * 1995-06-29 1999-03-20 김태구 실린더블럭과 오일팬의 체결구조
KR100539398B1 (ko) * 2003-08-20 2005-12-28 이철규 자궁환경형 요람
KR20160028859A (ko) * 2014-09-04 2016-03-14 김학수 질식방지 안전요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5428A (ja) 1999-07-14 2001-01-30 Yoshinori Sato ベビーベッド
WO2006022492A1 (en) 2004-08-21 2006-03-02 Man Woo Heo Security cradle for infant
WO2011147202A1 (zh) 2010-05-24 2011-12-01 Lin Chenglong 磁动摇篮
JP2016533840A (ja) * 2013-09-02 2016-11-04 アスペクト イメージング リミテッド 受動的に温度調節される新生児搬送用保育器
WO2017118926A2 (en) 2016-01-08 2017-07-13 Pelleossa Srl Foldable casing usable as a cradle-tent or small watercraft
CN109924763A (zh) 2017-12-15 2019-06-25 江苏高博智融科技有限公司 婴儿摇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799A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2910T3 (es) Dispositivo para calma de bebés
KR101798498B1 (ko) 영유아 수면 감시용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시스템
US201800553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n-invasive health monitoring
US7230530B1 (en) Child seat safety system for vehicles
Symo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smart baby monitoring system based on Raspberry Pi and Pi camera
WO2016164376A1 (en) Infant caregiver system, and infant data aggregation system, and aggregating observations related to infant data, and aggregating inferences related to infant data
US20150302721A1 (en) Crib Having Child Monitoring System
KR20130032891A (ko) 웰니스 겸용 휴먼 케어 로봇
KR101409500B1 (ko) 영·유아 감시장치
US20160292576A1 (en) Infant learning receptivity detection system
US20110221598A1 (en) device for avoiding sudden infant death
CN106003097A (zh) 一种监护机器人
WO2014043166A1 (en) Device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KR102626136B1 (ko) 요람어셈블리
US20230162586A1 (en) Event based monitoring of a person
KR20120095053A (ko) 유아용 침대
KR101678784B1 (ko) 영유아의 질식을 방지하기 위한 영유아용 수면 조끼 및 그 구동 방법
WO2019112705A1 (en) Closed loop alarm management
US20160287097A1 (en) Remotely aggregating measurement data from multiple infant monitoring systems
WO2016164374A1 (en) Intelligent infant monitoring system and infant monitoring hub and infant learning receptivity detection system
TW201322191A (zh) 嬰幼兒生理監視與安撫裝置
US20160293026A1 (en) Intelligent infant monitoring system
US201703479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reath monitoring mattress
CN107924643B (zh) 婴幼儿发育分析方法及系统
KR20130072428A (ko) 유아 급사 방지구 및 유아 급사 방지구를 포함하는 유아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