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127B1 - 원터치 튜브 커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터치 튜브 커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127B1
KR102626127B1 KR1020210159642A KR20210159642A KR102626127B1 KR 102626127 B1 KR102626127 B1 KR 102626127B1 KR 1020210159642 A KR1020210159642 A KR 1020210159642A KR 20210159642 A KR20210159642 A KR 20210159642A KR 102626127 B1 KR102626127 B1 KR 102626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ire
assembly
touch
cor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2931A (ko
Inventor
김용덕
최문주
구희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5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127B1/ko
Publication of KR2023007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held in expanded condition in radial direction prior to installation
    • H02G15/182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held in expanded condition in radial direction prior to installation on a removable hollow core, e.g. a tub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튜브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성이 간단하면서도 원터치 방식으로 전선 압축이 가능한 원터치 튜브 커버에 관한 기술로서, 탄성을 가지고 와이어에 삽입되는 튜브(100); 상기 튜브(100)의 일측 개구에 삽입되는 제1 결합체 및 상기 튜브(100)의 타측 개구에 삽입되는 제2 결합체;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를 서로 인접된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하여 상기 튜브(100)를 길이 방향으로 수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튜브(100)의 내주면이 상기 와이어를 압착하는 힘을 극복시켜 상기 튜브(100)이 상기 와이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지지밴드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를 포함하여,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연결한 부위에서 지지밴드부(300)의 절단동작을 통해 튜브(100)이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연결한 부위에 완벽하게 압착되는 동시에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가 제거되는 동작이 한꺼번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시공성이 향상되는 강점이 발휘된다.

Description

원터치 튜브 커버 및 방법{An one touch tube cover and the method of using it}
본 발명은 원터치 튜브 커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성이 간단하면서도 원터치 방식으로 전선 압축이 가능한 원터치 튜브 커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리브커버는 도 1(a)처럼 직선부에서 간접활선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다른 스리브커버는 도 1(b)처럼 원형구조이며, 전선의 규격과 무관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종래 스리브커버는 경질이며 훅크식 구조여서 도 2(a) 및 도 2 (b)처럼 시공시에 탈부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스리브커버는 커버 이음부가 개방되며 전선에서 이탈 및 탈락되는 문제를 야기해 왔다.
또한, 도 1과 같은 종래 간접활선용 스틱을 사용한 기존 커버는 그립이 곤란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간접활선 스틱 시공시 정교한 테이핑(Taping) 처리의 어려움이 있었고 이는 결국 테이핑 처리개소에 수분이나 이물이 침투하여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했다.
한편, 종래기술은 전선 압축개소 열화 발생시 상시 발열감지 기능이 없어, 일일이 열화상장비를 사용해 접속개소의 정기적인 열화진단을 시행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다시 말해, 종래 기술로는 접속개소의 열화 정도를 육안으로 판단하기가 곤란하였다.
KR 2021-0114153 A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선,분기,잠바 접속 등 가공 고압선의 원터치 자동압축 신소재 튜브커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탄성을 가지고 와이어에 삽입되는 튜브(100); 상기 튜브(100)의 일측 개구에 삽입되는 제1 결합체 및 상기 튜브(100)의 타측 개구에 삽입되는 제2 결합체;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를 서로 인접된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하여 상기 튜브(100)를 길이 방향으로 수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튜브(100)의 내주면이 상기 와이어를 압착하는 힘을 극복시켜 상기 튜브(100)가 상기 와이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지지밴드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내부에 원형의 와이어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상기 튜브(100)의 중앙을 향해 갈수록 외주면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코어부재에는 밴드가 통과하도록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공; 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체는 돌기가 형성된 제1 직선부 측벽(212)을 갖는 제1 코어부재(210);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제2 직선부 측벽(222)을 갖는 제2 코어부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광하협 형상의 원뿔형상이며, 상기 홈은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오목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튜브(100)는 외주면이 길이 방향으로 나란한 바디부(102); 상기 바디부(102)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외주면을 갖는 제1 가장자리부(101) 및 바디부(102)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장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터치 튜브 커버는 온도감응형 색상표시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와이어를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로 절단시켜 튜브(100)를 절단된 와이어에 삽입하는 단계(S1); 절단된 와이어에 튜브-코어부재 결합체 삽입단계(S2); 튜브 위치 조정 후 지지밴드부(300) 제거단계(S3); 를 포함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 설치방법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튜브 커버는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연결한 부위에서 지지밴드부(300)의 절단동작을 통해 튜브(100)이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연결한 부위에 완벽하게 압착되는 동시에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가 제거되는 동작이 한꺼번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시공성이 향상되는 강점이 발휘된다.
둘째, 제1 코어부재(210)와 제2 코어부재(220)는 튜브(10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돌기와 홈에 의해 서로 위치가 고정되나, 후술할 지지밴드부(300) 제거에 의한 외력 제거시 튜브(100)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제1 코어부재(210)와 제2 코어부재(220)는 자연스럽게 서로 분리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셋째, 별도의 측정장치 등이 없이도 시각적으로 바로 탐지온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도 2는 종래기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공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공절차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온도에 따른 색상표시 모습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할 용어를 정리한다.
길이 방향이라 함은 전선(이하 와이어) 또는 튜브(100)의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튜브(100) 또는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한다.
중심선이라 함은 튜브(10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인 단면의 중심점들을 연결한 가상의 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튜브 커버(튜브-코어부재 조립체라고도 함)는 튜브(100), 코어부재, 지지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100)는 제1 가장자리부(101), 바디부(102) 및 제2 가장자리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부재는 제1 코어부재(210), 제2 코어부재(220), 제3 코어부재(230) 및 제4 코어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부재(210)는 제1 장반경 라운드 측벽(211), 제1 직선부 측벽(212), 제1 삽입공(213)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코어부재(220)는 제2 라운드 측벽(221), 제2 직석부 측벽(222), 제2 삽입공(2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지밴드부(300)는 제1 밴드(310) 및 제2 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코어부재(210)와 제2 코어부재(220)는 서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포개어질 수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는 내부에 단면적이 원형의 공간을 형성시킨다.
다시 말해서, 제1 코어부재(210)와 제2 코어부재(220)는 서로 동형일 수 있다.
한편, 제1 코어부재(210)의 제1 직선부 측벽(212)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제2 코어부재(220)의 제2 직선부 측벽(222)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돌기는 상광하협 형상의 원뿔형상이며, 홈은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오목부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코어부재(210)와 제2 코어부재(220)는 튜브(10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돌기와 홈에 의해 서로 위치고정되나, 후술할 지지밴드부(300) 제거에 의한 외력 제거시 튜브(100)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제1 코어부재(210)와 제2 코어부재(220)는 자연스럽게 서로 분리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삽입공(213)은 제1 코어부재(2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며, 이 구멍에 제1 밴드(310)이 통과하도록 마련된다.
제2 삽입공(223)는 제2 코어부재(2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며, 이 구멍에 제2 밴드(320)이 통과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코어부재(2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갈수록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의 면적이 점차 감소하여 외주면이 점차 중심선을 향해 인접되고, 제1 직선부 측벽(212)은 중심선과 나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코어부재(210)와 제2 코어부재(220)가 결합된 상태(이하 결합체)는 중공을 가지는 속이 빈 채 양측이 개구된 콘(corn) 형상일 수 있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제1 코어부재(210)와 제2 코어부재(22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감소되는 호퍼 형상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제2 가장자리부(103)에서 바디부(102)로 갈수록 튜브(100)의 외주면 직경이 점차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코어부재(210) 및 제2 코어부재(220) 결합체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어 탄성재질의 튜브(100)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3 코어부재(230) 및 제4 코어부재(240) 역시 전술한 제1 코어부재(210) 및 제2 코어부재(220)의 각각의 구조와 동형이다.
따라서, 튜브(100)는 제3 코어부재(230) 및 제4 코어부재(240) 결합체(이하 제1 결합체)와 제1 코어부재(210) 및 제2 코어부재(220)의 결합체(이하 제2 결합체) 사이에 삽입되어 전체적으로 장구형 형상을 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밴드부(300)는 제1 결합체와 제2 결합체를 서로 인접된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밴드(310)는 고무링으로서 제1 삽입공(213)에 삽입되고, 제3 코어부재(230)에 마련된 구멍(마치 제1 삽입공(213)처럼 형성되어 있음)에도 삽입되어 도 3과 같이 폐루프를 형성한다.
도 3에서는 시각적 현출을 위해 지지밴드부(300)의 엣지를 90도 꺽어 표현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설명을 위한 것이고, 실제는 탄력에 의해 2겹이 서로 밀착될 수 있고, 튜브(100)의 외주면에도 접촉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제2 밴드(320)도 제2 삽입공(223)에 삽입되고, 제4 코어부재(240)에 마련된 구멍(마치 제2 삽입공(223)처럼 형성되어 있음)에도 삽입되어 도 3과 같이 폐루프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1 밴드(310) 및 제2 밴드(320)는 튜브(100)의 탄성과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도 3처럼 튜브(100)에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튜브(100)을 장구형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지지밴드부(300)가 제거되면 힘의 균형은 깨지고 튜브(100)의 원상회복력에 의해 제1 결합체와 제2 결합체는 해체되는데, 이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4 (a)는 전술한 튜브(100)가 장구형을 유지한 상태인데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가 연결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는 본래 서로 연결된 와이어이나 튜브(100)를 와이어에 삽입하기 위해 절단시켜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로 분리(절단)시킨다.(S1)
분리된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 사이로 원터치 튜브 커버를 삽입하고 다시 분리된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연결시킨다.(S2)
도 4(a)는 분리된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 사이로 원터치 튜브 커버를 삽입한 모습이며, 원터치 튜브 커버의 삽입위치는 바로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연결한 부위이다.
다음으로 도 4(b)와 같이 지지밴드부(300)를 절단한다.(S3)
즉, 제1 구간(311) 및 제3 구간(321)을 절단한다.
다시 말해 최외곽에 있는 부분부터 절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튜브(100)와 지지밴드부(300) 사이의 힘의 균형은 깨지고 튜브(100)는 탄성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확장하게 되고,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는 각각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며, 제1 코어부재(210) 와 제2 코어부재(220) 사이도 벌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4(c)처럼 제2 구간(312) 및 제4 구간(322) 마저 절단하게 되면, 튜브(100)의 탄성력에 의해 튜브(100)가 길이 방향으로 더욱 확장하면서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연결한 부위에 완벽하게 압착된다.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는 튜브(100)의 중앙을 향해 갈수록 외주면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는데, 이것은 바로 210에 형성된 제1 테이퍼부(214)와 제2 코어부재(220)에 형성된 제2 테이퍼부(224)의 형상이 바로 테이퍼 형상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제1 장반경 라운드 측벽(211)의 상단은 제1 단반경 라운드 측벽(215)의 상단 보다 와이어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높다.
또한, 제2 라운드 측벽(221)의 하단은 제2 단반경 라운드 측벽(225)의 상단 보다 와이어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낮다.
바꿔 말해, 제1 장반경 라운드 측벽(211)의 상단에서 제1 단반경 라운드 측벽(215)의 상단으로 갈수록 와이어의 중심을 향해 높이가 낮아지도록 테이퍼지고, 제2 라운드 측벽(221)의 하단에서 제2 단반경 라운드 측벽(225)의 하단으로 갈수록 와이어의 중심을 향해 높이가 낮아지도록 테이퍼진다.
여기서 높이의 낮고 높음은 와이어 중심선에 대한 거리 개념으로서 이해하길 바란다.
동시에 도 4(d)처럼 제1 코어부재(210) 및 제2 코어부재(220)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고, 제3 코어부재(230) 및 제4 코어부재(240) 역시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튜브 커버는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연결한 부위에서 지지밴드부(300)의 절단동작을 통해 튜브(100)이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연결한 부위에 완벽하게 압착되는 동시에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가 제거되는 동작이 한꺼번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튜브 커버는 도 6처럼 온도감응형 색상표시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연결한 부위를 포함한 와이어의 온도에 따라 다른 색상 표현이 시각적으로 현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연결한 부위를 포함한 와이어의 온도(이하 탐지온도)가 섭씨 50도씨 이상일 경우 붉은 색(C1)을 나타낼 수 있고, 탐지온도가 섭씨 40도 씨 이상 50도씨 미만일 경우에는 주황색(C2)을 나타낼 수 있으며, 탐지온도가 섭씨 30도 씨 이상 40도씨 미만일 경우에는 연두색(C3)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측정장치 등이 없이도 시각적으로 바로 탐지온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100 : 튜브
101 : 제1 가장자리부
102 : 바디부
103 : 제2 가장자리부
210 : 제1 코어부재
211 : 제1 장반경 라운드 측벽
212 : 제1 직선부 측벽
213 : 제1 삽입공
214 : 제1 테이퍼부
215 : 제1 단반경 라운드 측벽
220 : 제2 코어부재
221 : 제2 라운드 측벽
222 : 제2 직선부 측벽
223 : 제2 삽입공
224 : 제2 테이퍼부
225 : 제2 단반경 라운드 측벽
230 : 제3 코어부재
240 : 제4 코어부재
300 : 지지밴드부
310 : 제1 밴드
311 : 제1 구간
312 : 제2 구간
320 : 제2 밴드
321 : 제3 구간
322 : 제4 구간
W1 : 제1 와이어
W2 : 제2 와이어

Claims (9)

  1. 탄성을 가지고 와이어에 삽입되는 튜브(100);
    상기 튜브(100)의 일측 개구에 삽입되는 제1 결합체 및 상기 튜브(100)의 타측 개구에 삽입되는 제2 결합체;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를 서로 인접된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하여 상기 튜브(100)를 길이 방향으로 수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튜브(100)의 내주면이 상기 와이어를 압착하는 힘을 극복시켜 상기 튜브(100)이 상기 와이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지지밴드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밴드부(300)의 절단에 통해 상기 튜브(100)가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연결한 부위에 압착되는 동시에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가 제거되는,
    원터치 튜브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내부에 원형의 와이어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상기 튜브(100)의 중앙을 향해 갈수록 외주면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
  4. 제2항에 있어서,
    코어부재에는 밴드가 통과하도록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공; 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체는,
    돌기가 형성된 제1 직선부 측벽(212)을 갖는 제1 코어부재(210);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제2 직선부 측벽(222)을 갖는 제2 코어부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광하협 형상의 원뿔형상이며, 상기 홈은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오목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0)는 외주면이 길이 방향으로 나란한 바디부(102);
    상기 바디부(102)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외주면을 갖는 제1 가장자리부(101) 및 바디부(102)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장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튜브 커버는 온도감응형 색상표시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튜브 커버.
  9. 와이어를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로 절단시켜 튜브(100)를 절단된 와이어에 삽입하는 단계(S1);
    절단된 와이어에 튜브-코어부재 조립체 삽입단계(S2);
    튜브 위치 조정 후 지지밴드부(300) 제거단계(S3);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밴드부(300)의 절단에 통해 상기 튜브(100)가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를 연결한 부위에 압착되는 동시에 제1 결합체 및 제2 결합체가 제거되는,
    원터치 튜브 커버 설치방법.
KR1020210159642A 2021-11-18 2021-11-18 원터치 튜브 커버 및 방법 KR102626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642A KR102626127B1 (ko) 2021-11-18 2021-11-18 원터치 튜브 커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642A KR102626127B1 (ko) 2021-11-18 2021-11-18 원터치 튜브 커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931A KR20230072931A (ko) 2023-05-25
KR102626127B1 true KR102626127B1 (ko) 2024-01-18

Family

ID=8654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642A KR102626127B1 (ko) 2021-11-18 2021-11-18 원터치 튜브 커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1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1830B1 (fr) * 1997-04-07 2000-01-28 Pirelli Cables Sa Support de jonction a extraction autonome commandee
KR20130023419A (ko) * 2011-08-29 2013-03-08 김경태 고장감지용 절연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334494B1 (ko) 2020-03-10 2021-12-02 윤재학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931A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345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small tubes of a blown-fiber cable on insertion into collar
US7753596B2 (en) Fiber optic closure methods and apparatus
US8969741B2 (en) Damming device for cable sealing
CA2953956C (en) Automatic cable splice
US20170069981A1 (en) Automatic cable splice
US7670192B2 (en) Audio plug
KR20090100728A (ko) 전선 이음 커넥터
CA2838266A1 (en) Damming device for cable sealing
US3041575A (en) Connecting means
KR102626127B1 (ko) 원터치 튜브 커버 및 방법
CA2875463A1 (en) Damming device for cable sealing
US867271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12882169A (zh) 柔性铠装管道光缆组件
CN114944568B (zh) 线缆连接器对接机构
US7614918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20120267146A1 (en) Wire separator suitable for use in a cable splice enclosure
TWM486070U (zh) 連接光纖纜線接續的連接裝置
CN213243506U (zh) 一种可拆卸的锥面活接头
US10649164B1 (en) Optical fiber and power transition design
CN109597170B (zh) 线缆分线方法及实现上述方法的分线器、线缆分线结构
CN111474639B (zh) 一种光纤野战连接器及连接方法
CN215497422U (zh) 一种新型自动化专业用接线装置
CN211603621U (zh) 一种防止光纤折断的光纤连接器
CN218848396U (zh) 一种双芯分支结构
CN221175072U (zh) 一种方便快速识别的光纤尾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