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611B1 - Lift drives for rail-guided climbing systems - Google Patents

Lift drives for rail-guided climbing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611B1
KR102625611B1 KR1020217002053A KR20217002053A KR102625611B1 KR 102625611 B1 KR102625611 B1 KR 102625611B1 KR 1020217002053 A KR1020217002053 A KR 1020217002053A KR 20217002053 A KR20217002053 A KR 20217002053A KR 102625611 B1 KR102625611 B1 KR 102625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mbing
rail
lift
sho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0372A (en
Inventor
요세프 슈미드
Original Assignee
페리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리 에스이 filed Critical 페리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210030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3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611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04G11/24Construction of lifting jacks or climbing rods for slid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10)용 리프트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리프트 드라이브는 고정된 방식으로 건물(1)에 배열될 수 있는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에 의해 가이드되고, 프레임 유닛(11)에 통합되거나 상기 프레임 유닛(11)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18); 및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로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각각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에 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이동될 수 있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포함한다. 리프트 드라이브는 또한, 일 단부에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고정되고, 타 단부에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고정된 리프트 디바이스(26)로서,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스트로크의 길이(3, 4, 5)가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한 상기 크라이밍 레일(24)의 이동(3', 3', 4', 5', 5")에 대응되는,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된 경우 상기 스트로크의 길이(4)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의 장착 거리(20)만큼 오프셋되도록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을 장착하기에 충분하다.The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a lift drive for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10), which can be used as a climbing formwork, a climbing frame, a climbing protection wall and/or a climbing work platform. The lift drive includes climbing shoes 32, 34, 36, 38 which can be arranged on the building 1 in a fixed manner; at least one climbing rail (18) guided by the climbing shoes (32, 34, 36, 38) and which can be integrated into or fixed to the frame unit (11); and a climbing lift rail (24) movable relative to the climbing rail (18) and guided by the climbing rail (18), wherein the climbing rail (18) and the climbing lift rail (24) are each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climbing shoes 32, 34, 36, and 38 in one direction and can be re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and the climbing rail and the climbing lift rail are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movable relative to at least one of the shoes 32, 34, 36, 38. The lift drive also includes a lift device 26 fixed at one end to the climbing rail 18 and at the other end to the climbing lift rail 24, the length of the stroke of the lift device 26 The lift device, where (3, 4, 5) correspond to the movement (3', 3', 4', 5', 5") of the climbing rail (24) relative to the climbing rail (18) Including, when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mounted, the length of the stroke (4) is to mount the climbing rail (18) so that it is offset by the mounting distance (20) of the climbing rail (18). Suffice.

Description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리프트 드라이브Lift drives for rail-guided climbing systems

본 발명은, 특히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용 리프트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이 리프트 드라이브는 고정된 방식으로 건물에 배열될 수 있는 크라이밍 슈, 및 크라이밍 슈에 의해 가이드되고, 프레임 유닛에 통합되거나 프레임 유닛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리프트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 및 상기 리프트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특히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크라이밍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a lift drive for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which can be used as climbing formwork, climbing frame, climbing protective wall and/or climbing work platform, the lift drive being used to secure a building in a fixed manner. a climbing shoe, which can be arranged, and at least one climbing rail, which is guided by the climbing shoe and can be integrated into or fixed to the frame unit.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with a lift drive, and a rail guide with said lift drive, which can be used in particular as a climbing formwork, a climbing frame, a climbing protection wall and/or a climbing work platform. It relates to a method for climbing a type climbing system.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이러한 리프트 드라이브는 크라이밍 시스템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독일 특허출원공개 DE 10 2016 205 956 A1호 및 국제공개 WO 2009/117986 A1호에 설명되어 있다. 건설에서, 크라이밍 시스템은, 예를 들어 수직으로 배향된 콘크리트 구조물, 특히 소위 건물 코어, 교량, 댐 등의 건설에서 크라이밍 거푸집 공사 및/또는 크라이밍 보호 벽으로서 그리고/또는 크라이밍 프레임의 형태로 사용된다. 크라이밍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프레임 유닛으로서 작업 플랫폼을 구비하고, 건설될 또는 마감될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측 마감된 콘크리트 벽 부분으로부터 위에 배열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추가 경화된 콘크리트 타설 부분까지 크레인과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크라이밍 슈에 의해 지지되는 유압 실린더를 통해 위로 이동될 수 있는, 즉 크라이밍될 수 있는 크라이밍 레일. 또는, 작업 콘솔 또는 작업 플랫폼은 작업 콘솔 아래의 콘크리트 벽에 그리고 작업 콘솔에 고정된 크라이밍 콘솔에 앵커 볼트에 의해서 고정된 크라이밍 실린더에 의해서 올려질 수 있다. 유압 실린더 없이 작동되는 크레인 크라이밍 시스템이 또한 알려져 있다.This lift drive using hydraulic cylinders is described in the prior art for climbing systems in Germ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DE 10 2016 205 956 A1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WO 2009/117986 A1. In construction, climbing systems are used as climbing formwork and/or climbing protective walls and/or in the form of climbing frames, for example in the construction of vertically oriented concrete structures, especially so-called building cores, bridges, dams, etc. It is used as. The climbing system is generally a frame unit, equipped with a working platform and capable of being moved independently of a crane from the lower finished concrete wall se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to be built or finished to the additionally hardened concrete poured se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arranged above. there is. The climbing rail can then be moved upward, i.e. climbed, via hydraulic cylinders supported by climbing shoes. Alternatively, the work console or work platform can be raised by a climbing cylinder secured by anchor bolts to the concrete wall below the work console and to a climbing console fixed to the work console. Crane climbing systems that operate without hydraulic cylinders are also known.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알려진 리프트 드라이브의 단점은, 다음 크라이밍 부분 또는 콘크리트 타설 부분에 대해 유압 실린더가 매번 다음 가장 높은 층으로 운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용되는 리프트 드라이브에 따라, 건물에 수동으로 부착되어야 하는 리딩 레일도 필요할 수 있으며, 이 레일을 당기기 위해서 크라이밍 동안 크라이밍 시스템 상에서 크라이밍 방향이 수동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 리프팅 과정 후에 수동 노력이 커, 연속 크라이밍이 가능하지 않다. 또한, 기존의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용 리프트 드라이브는 너무 크게 구성될 수 있어, 크라이밍 시스템이 사용될 때, 크라이밍 레일의 길이로 인해 건물 높이가 먼저, 제1 콘크리트 타설 부분이 세워지는 지면과 또는 제1 콘크리트 타설 부분 아래에 세워질 수 있는 바닥 슬래브와 크라이밍 레일의 자유 단부가 충돌하지 않도록 충분하게 도달되어야 한다. 기어 모터 구동식 크라이밍 시스템은 비용이 많이 들고 수리에 민감하기 때문에 기어가 있는 드라이브는 훨씬 단순한 방식으로 설계된 리프트 드라이브에 대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없다.A disadvantage of known lift drives for climbing systems is that the hydraulic cylinders have to be transported each time to the next highest level for the next climbing section or concrete pouring section. Depending on the lift drive used, leading rails may also be required which must be manually attached to the building and the climbing direction must be manually switched on the climbing system during climbing in order to pull these rails. Therefore, the manual effort after each lifting process is large, and continuous climbing is not possible. In addition, the lift drive for a conventional rail-guided climbing system can be configured to be too large, so that when the climbing system is used, the length of the climbing rail increases the building height first, and the ground on which the first concrete pour portion is erected. Alternatively, the free end of the climbing rail should reach sufficiently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floor slab that may be erected below the first concrete pour portion. Because gear motor-driven climbing systems are expensive and sensitive to repairs, drives with gears are not a suitable alternative to lift drives, which are designed in a much simpler way.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는 연속적인 크라이밍을 가능하게 하는 단순하게 구성된 리프트 드라이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각 리프팅 과정 후 이전에 요구되던 높은 수동 노력 없이 단계별 연속 크라이밍이 가능한 리프트 드라이브가 제공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리프트 드라이브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통해 최대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콤팩트한 구성을 가져야 한다.Accordingly, the problem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y configured lift drive that allows continuous climbing. Additionally, a lift drive must be provided that allows step-by-step continuous climbing after each lifting process without the high manual effort previously required. Lastly, the lift drive must have a compact configuration so that it can be used in as many ways as possible through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이 문제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리프트 드라이브와 청구항 18의 특징을 가진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크라이밍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은 편리한 개량물을 개시한다.This problem is solved by a method for climbing a lift drive with the features of claim 1 and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with the features of claim 18. The dependent claims disclose convenient improvements.

본 발명에 따르면, 문제는 따라서, 특히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용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서 해결되며, 이 리프트 드라이브는 고정된 방식으로 건물에 배열될 수 있는 크라이밍 슈, 크라이밍 슈에 의해 가이드되고, 프레임 유닛에 통합되거나 프레임 유닛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레일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크라이밍 레일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각각 상기 크라이밍 슈 중 적어도 하나에 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고,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상기 크라이밍 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드라이브는 또한, 일 단부에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에 고정되고, 타 단부에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고정된 리프트 디바이스로서,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의 스트로크의 길이가 상기 크라이밍 레일에 대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이동에 대응되는,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된 경우 상기 스트로크의 길이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의 장착 거리만큼 오프셋되도록 상기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하기에 충분하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roblem is thus solved by a lift drive for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which can be used in particular as a climbing formwork, a climbing frame, a climbing protective wall and/or a climbing work platform, the lift drive a climbing shoe that can be arranged on the building in a fixed manner, at least one climbing rail that is guided by the climbing shoe and can be integrated into or fixed to a frame unit, and movable relative to the climbing rail. It can be and includes a climbing lift rail guided by the climbing rail. The climbing rail and the climbing lift rail may each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climbing shoes in one direction and re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and the climbing rail and the climbing lift rail may be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It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Ming Shu. The lift drive may also be a lift device fixed to the climbing rail at one end and the climbing lift rail at another end, wherein the length of the stroke of the lift device is equal to the climbing lift relative to the climbing rail. and the lif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ail. When the climbing lift rail is mounted, the length of the stroke is sufficient to mount the climbing rail to be offset by the mounting distance of the climbing rail.

본 발명에 따르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크라이밍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고, 크라이밍 레일에 관하여 이동 가능하고, 리프트 디바이스를 통해 크라이밍 레일에 연결되는 유닛으로서 제공된다. 크라이밍 레일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고 크라이밍 레일에 관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크라이밍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예를 들어, 크라이밍 레일의 가이드 슈를 통해 크라이밍 레일 상에서 고정되거나 가이드된다. 크라이밍 레일에 대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이동은 연장 및 수축 가능한 리프트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된다. 리프트 디바이스는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 즉 일 단부에서 크라이밍 레일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하측 단부 또는 상측 단부, 즉 타 단부에서 리프트 디바이스는 크라이밍 레일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즉 이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지 않은 결합 및 체결 탭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limbing lift rail is provided as a unit guided by the climbing rail,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limbing rail and connected to the climbing rail via a lift device. The climbing lift rail, the movement of which is restricted by the climbing rail and which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limbing rail, is movably connected to the climbing rail. The climbing lift rail is fixed or guided on the climbing rail, for example via guide shoes of the climbing rail. The movement of the climbing lift rail relative to the climbing rail is realized by means of an extendable and retractable lift device. The lift device may be releasably fastened to the climbing rail at its upper or lower end, i.e. at one end, and at its lower or upper end, i.e. at the other end, the lift device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climbing rail, i.e. therefrom. It may have engaging and fastening tabs that are not easily removable.

리프트 디바이스가 연장되고 축소되는 경우 크라이밍 레일의 상향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 리프트 디바이스의 스트로크 길이는 크라이밍 레일의 장착 거리만큼 오프셋된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하기에 충분하도록 선택된다.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하기 위한 크라이밍 슈와 크라이밍 레일 사이의 연결의 구성에 따라,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된 경우 리프트 디바이스로부터 크라이밍 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장착 거리가 커버되어야 한다. 리프트 디바이스가 연장될 때 건물에 관하여 크라이밍 레일의 상향 이동과 리프트 디바이스가 수축될 때 크라이밍 레일에 관하여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상향 이동으로, 프레임 유닛의 연속 크라이밍이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는 리프트 이동으로 인해 크라이밍된다.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각각 상기 크라이밍 슈 중 적어도 하나에 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고, 상기 크라이밍 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리프트 디바이스를 연장시키고 및 축소시키는 각 단계에 대한 수동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다음 크라이밍 부분 또는 콘크리트 타설 부분을 위해, 리프트 디바이스는 분해된 상태에서 다음의 최고 층으로 더 이상 운반될 필요가 없다.To achieve upward movement of the climbing rail when the lift device is extended and retracted, the stroke length of the lift device is selected such that it is sufficient to mount the climbing rail offset by the mounting distance of the climbing rail.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climbing shoe for mounting the climbing rail and the climbing rail, at least one mounting distance of the climbing rail must be covered from the lift device when the climbing lift rail is mounted.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climbing rail with respect to the building when the lift device is extended and the upward movement of the climbing lift rail with respect to the climbing rail when the lift device is retracted, continuous climbing of the frame unit is achieved in a simple manner. Therefore, the lift dri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limbs due to the lift movement. Because the climbing rail and the climbing lift rail are each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climbing shoes in one direction, can be re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and are movable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climbing shoes. , manual work for each step of extending and retracting the lift device can be omitted. For the next climbing section or concrete pouring section, the lift device no longer needs to be transported to the next highest floor in its disassembled state.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크라이밍 레일에 대해 움직일 때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크라이밍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리프트 디바이스가 완전히 연장된 경우에도 크라이밍 레일과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세로 방향 연장이 합산되지 않도록 하며, 이는 리프트 드라이브의 콤팩트한 구조로 귀결된다. 리프트 디바이스가 수축되고 연장되는 경우 모두 리프트 디바이스의 일 단부가 크라이밍 레일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크라이밍 레일을 가이드하는 것과 별도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단지 리프트 디바이스를 통해서만 크라이밍 레일에 연결되기 때문에, 리프트 드라이브는 매우 간단하게 구성되었으며 그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손실이 거의 없이 작동되며 수리에 민감하지 않다.When the climbing lift rail moves relative to the climbing rail, the climbing lift rail is guided by the climbing rail so that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limbing rail and the climbing lift rail do not add up even when the lift device is fully extended. , which results in a compact structure of the lift drive. When the lift device is both retracted and extended, one end of the lift device may be fixed to the climbing rail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climbing lift rail, and apart from guiding the climbing rail, the climbing lift rail Since it is connected to the climbing rail only via the lift device, the lift drive is very simple to construct and can therefore be implemented at low cost, operates with almost no losses and is not susceptible to repair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스트로크의 길이는 또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장착 스트로크 거리를 커버하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기 위해 사전에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전체 장착 스트로크 거리를 커버해야 하는 경우에도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 거리만큼 오프셋하여 장착할 수 있다. 크라이밍 레일에 관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하향 이동보다 건물에 관한 크라이밍 레일의 상향 이동을 위해 리프트 디바이스의 전체 스트로크 길이 중 더 큰 부분을 사용하기 위하여, 장착 스트로크 거리가 장착 거리보다 작게 선택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length of the stroke is also sufficient to cover the mounting stroke distance of the climbing lift rail. In this way, even if the entire mounting stroke distance of the climbing lift rail must be covered in advance to mount the climbing lift rail, the climbing rail can be mounted offset by the mounting distance. In order to use a larger portion of the total stroke length of the lift device for upward movement of the climbing rail relative to the building rather than downward movement of the climbing lift rail relative to the climbing rail, the mounting stroke distance may be selected to be smaller than the mounting distance. there is.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된 경우 상기 크라이밍 레일을 가이드하는 상기 크라이밍 슈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된 상기 크라이밍 슈의 위 또는 아래에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 의해 설명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된 경우 상기 크라이밍 레일을 가이드하는 상기 크라이밍 슈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된 상기 크라이밍 슈(따라서 요구되지 않음)의 위에 배열될 수 있다.When the climbing lift rail is mounted, the climbing shoe that guides the climbing rail may be arranged above or below the climbing shoe on which the climbing lift rail is moun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by the drawings, the climbing shoe that guides the climbing rail when the climbing lift rail is mounted is of the climbing shoe on which the climbing lift rail is mounted (and is therefore not required). Can be arranged above.

상기 크라이밍 슈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 또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거나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모두 장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의 크라이밍 슈가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크라이밍 레일과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모두 장착하도록 크라이밍 슈가 구성되면 전체 크기 및 특히 요구되는 크라이밍 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The climbing shoe may be configured to mount the climbing rail or the climbing lift rail, or to mount both the climbing rail and the climbing lift rail. In this way, existing climbing shoes can be used to mount climbing rails. On the other hand, if the climbing shoes are configured to mount both climbing rails and climbing lift rails, the overall size and especially the number of climbing shoes required can be reduced.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과 상기 크라이밍 슈 사이의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유지 요소에 의해서, 또는 복수의 래칭/스냅 요소 및 상기 복수의 래칭/스냅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의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상기 크라이밍 슈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래칭/스냅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상기 크라이밍 슈에 위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상기 크라이밍 슈에 위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래칭/스냅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크라이밍 슈와 함께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climbing lift rail and the climbing shoe is preferably achieved by the climbing lift rail having at least one latching/snapping element and a plurality of retaining elements for retaining the at least one latching/snapping element. , or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configured to mount the climbing lift rail by a plurality of latching/snap elements and at least one retaining element for retaining at least one latching/snap element of the plurality of latching/snap elements. It is set in such a way that In this case, the one or more latching/snap elements are positioned on the climbing shoe configured to mount the climbing lift rail, and the one or more retaining elements are positioned on the climbing lift rail, or the one or more retaining elements are positioned on the climbing lift rail. and positioned on the climbing shoe configured to mount the climbing lift rail, wherein the one or more latching/snap elements are positioned on the climbing lift rail. In this way, climbing lift rails together with climbing shoes can be produced easily and reliably.

상기 래칭/스냅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요소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 가능한 요소는, 래치, 특히 잠금 래치 또는 크라이밍 래치, 멈춤쇠, 특히 스냅인 노즈(snap-in nose) 또는 볼트, 특히 잠금 볼트의 형태로, 선회 가능, 접힘 가능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래칭/스냅 요소는 크라이밍 래치 또는 접힘 가능 스냅인 노즈의 형태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일렬로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지 요소는, 도면에 의해 아래에 설명된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상기 크라이밍 슈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와 결합되기 위한 유지 리세스의 형태로 일렬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도입될 수 있거나, 또는 유지 손잡이가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예를 들어, 용접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latching/snap element preferably consists of a movable element, said movable element being a latch, in particular a locking latch or climbing latch, a detent, in particular a snap-in nose or a bolt, in particular a locking bolt. It is configured to be pivotable, foldable, or movable. The latching/snap elements may be in line with the climbing lift rail in the form of climbing latches or collapsible snap-in noses. Alternatively, the retaining elements may be aligned with the climbing lift in the form of a retaining recess for engagement with the at least one latching/snapping element of the climbing shoe, a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by means of the drawings.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rail, or retaining handles can be applied to the climbing lift rail, for example by welding.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후크-인 윤곽선(hook-in contour), 특히 치형부를 갖는 프로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일 측부에 상기 유지 리세스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특히,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크라이밍 슈에 단지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만 있는 경우, 이어(ear)라고도 불리는 완전히 엣지가 있는 구멍 형태의 유지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유지 리세스로서 완전히 엣지가 있는 구멍은 특히, 리프트 디바이스가 연장될 때 단지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만이 크라이밍 시스템을 지지해야 하는 경우 치형부들 사이에 완전히 엣지가 있는 리세스가 아닌 경우보다 더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 반면에,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리세스들 사이에서 생성되는 치형부는 제조하기가 더 쉬우므로 홀 패턴보다 비용 효율적이다. 적용(예를 들어: 요구되는 안정성 및/또는 비용 사양)에 따라, 이러한 경우에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중실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예를 들어, 압착되거나 또는 엠보싱 처리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레이저 가공된 형태(lasered form)로 중공 프로파일로서 존재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limbing lift rail has the retaining recess on at least one side in such a way that the climbing lift rail is in the form of a profile with a hook-in contour, in particular with teeth. Alternatively, the climbing lift rail may have a retaining recess in the form of a fully edged hole, also called an ear, especially if there is only one latching/snapping element in the climbing shoe configured to mount the climbing lift rail. You can have A fully edged hole as a retaining recess is more effective than a non-fully edged recess between the teeth, especially when only one latching/snap element is required to support the crimping system when the lift device is extended. Has high stability. On the other hand, teeth created, for example between rectangular or square recesses, are easier to manufacture and therefore more cost-effective than hole pattern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e.g. required stability and/or cost specifications), in these cases the climbing lift rails are made of solid material, for example pressed or embossed or, for example, laser machined. It can exist as a hollow profile in lasered form.

상기 크라이밍 슈 상에 또는 안에 배열된 래칭/스냅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모두를 장착하도록 크라이밍 래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크라이밍 래치의 이중 기능으로 인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뿐만 아니라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하기 위해 크라이밍 래치가 제공되는 경우보다 더 간단하게 크라이밍 슈가 구성될 수 있다.The latching/snap elements arranged on or in the climbing shoe are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limbing latch to mount both the climbing rail and the climbing lift rail. Due to the dual function of the climbing latch, the climbing shoe can be constructed more simply than if the climbing latch were provided for mounting the climbing rail as well as the climbing lift rail.

크라이밍 레일 및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적용 사례에 따라 하나가 다른 하나 내에 배열되거나 서로 옆에 놓여 있을 수 있다.The climbing rail and climbing lift rail may be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or next to each other,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하나가 다른 하나 내부에 놓여 있는 배열의 경우, 크라이밍 레일에 의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가이드가, 하나가 다른 하나 내에 놓이는 배열보다 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서로 옆에 놓여 있는 배열보다 더 효과적 일 수 있다.In an arrangement where one lies within the other, the guidance of the climbing lift rails by the climbing rails can be more effective than an arrangement where they lie next to each other, which can be more easily identified than an arrangement where one lies within the other. there is.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프로파일 또는 L, T 또는 I 형태의 단면 프로파일(또한, 이중 T라고도 함)을 갖는다. 그 결과,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간단하고 안정적인 구성이 보장된다.The climbing lift rail preferably has a rectangular profile or a cross-sectional profile in the shape of L, T or I (also called double T). As a result, a simple and stable construction of the climbing lift rail is ensured.

유압 실린더, 스핀들 드라이브, 또는 랙과 피니언 드라이브, 액추에이터 또는 선형 드라이브는 리프트 디바이스로서 고려되며, 상기 스핀들 또는 랙과 피니언 드라이브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일반적인 표준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Hydraulic cylinders, spindle drives, or rack and pinion drives, actuators or linear drives are considered as lifting devices, the spindle or rack and pinion drive being driven, for example, by an electric motor. Therefore, any standard hydraulic cylinder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만약 상기 크라이밍 레일이 수직 축선에 관하여 적어도 4도만큼 선회되도록 구성되면, 리프트 드라이브는 또한, 수정 없이 건물의 외측 벽 또는 외측 벽의 비수직 구성을 생성하는데 적합한다.If the climbing rail is configured to pivot by at least 4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the lift drive is also suitable for creating a non-vertical configuration of the exterior wall or exterior walls of a building without modification.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 및, 상기 크라이밍 레일 중 적어도 하나가 통합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이 고정되는 상기 프레임 유닛을 구비하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의 전체 길이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크라이밍 슈의 상기 크라이밍 레일을 가이드하기에 충분하다. 동시에 여러 개의 크라이밍 레일을 사용함으로써 크라이밍 시스템의 하중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건물에 크라이밍 시스템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해서,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복수의 크라이밍 레일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복수의 크라이밍 레일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디바이스의 각각의 연장 및 수축 후에 단부 위치 보상을 통해 동기화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comprising a lift dr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rame unit into which at least one of the climbing rails is integrated or where the at least one climbing rail is fixed, The total length of one climbing rail is sufficient to guide the climbing rails of at least two climbing sho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using multiple climbing rails at the same time,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climbing system can be increased. In order to sufficiently provide a climbing system for a building, it may be necessary to provide a plurality of climbing rails for the climbing system. The heights of the plurality of climbing rails are preferably synchronized through end position compensation after each extension and retraction of the lift device.

상기 적어도 2개의 크라이밍 슈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물의 층 높이 또는 그 일부에 대략적으로 해당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다. 대략 한 층 높이의 간격으로, 크라이밍 시스템이 한 층 높이만큼 위쪽으로 이동되는 각 크라이밍 사이클마다 크라이밍 슈가 건물 외측 벽에 놓이거나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거푸집 작업, 콘크리트 타설 등과 같은 추가 작업 없이 크라이밍 슈를 놓거나 제거하기 위한 중간 크라이밍 사이클이 회피될 수 있다.The at least two climbing shoes are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approximately corresponding to the floor height of the building or a portion thereof.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one story height, climbing shoes may be placed or removed from the exterior walls of the building with each climbing cycle in which the climbing system is moved upward by one story height. Intermediate climbing cycles for placing or removing climbing shoes can therefore be avoided without additional operations such as formwork, concrete pouring, etc., for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특히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크라이밍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본 발명의 부분이다. 이 방법은,The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climbing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with a lift dri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can be used in particular as a climbing formwork, a climbing frame, a climbing protection wall and/or a climbing work platform. It is part of . This method:

- 상기 장착된 크라이밍 레일로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를 연장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될 때까지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상기 크라이밍 레일에 대해 아래로 이동되는, 상기 연장시키는 단계;- extending the lift device onto the mounted climbing rail, wherein the climbing lift rail is moved down relative to the climbing rail until the climbing lift rail is mounted;

-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의 연장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상기 장착에 의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추가 하향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크라이밍 레일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대해 상기 크라이밍 레일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거리만큼 위로 제거되어 이동되는, 상기 연장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 continuing the extending movement of the lift device, wherein further downward movement of the climbing lift rail is prevented by the mounting of the climbing lift rail, and wherein the climbing rail is configured to move the climbing lift rail relative to the climbing lift rail. continuing the extending movement, wherein the rail is removed and moved upward by the at least one mounting distance;

-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를 수축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장착 거리만큼 위로 이동되어 장착될 때까지 상기 크라이밍 레일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대해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상기 수축시키는 단계; 및- retracting the lift device, wherein the climbing rail is moved downward relative to the climbing lift rail until the climbing rail is moved upward by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distances and is mounted. ; and

-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의 수축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의 상기 장착에 의해 상기 크라이밍 레일의 추가 하향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상기 크라이밍 레일에 대해 상기 크라이밍 레일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거리만큼 위로 제거되어 이동되는, 상기 연장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ontinuing the retracted movement of the lift device, wherein further downward movement of the climbing rail is prevented by the mounting of the climbing rail, wherein the climbing lift rail moves relative to the climbing rail. and continuing the extending movement, wherein the device is removed and moved upward by the at least one mounting distance of.

예를 들어, 리프트 디바이스는, 크라이밍 레일을 동시에 가이드할 수 있는 적어도 3개의 크라이밍 슈의 하측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장착될 때까지 연장된다. 그러면 건물에 관하여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추가 하향 이동이 더 이상 불가능하고, 리프트 디바이스의 추가 스트로크는 프레임 유닛이 부착된 크라이밍 레일을, 이제 건물에 관하여 제 자리에 고정되고 리프트 디바이스에 연결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위로, 설치될 때까지 크라이밍 레일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크라이밍 레일은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상의 리프트 디바이스에 의해 지지된다. 그 결과, 이전에 수직 하중 전달을 담당했던, 크라이밍 레일을 가이드하기 위한 3개의 크라이밍 슈 중 가운데 하나로부터 크라이밍 레일이 리프트되고, 수직 하중은,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되어 있는 하측 크라이밍 슈에 전달된다. 리프트 디바이스의 스트로크 길이가 장착 거리만큼 오프셋된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크라이밍 레일은 3개의 크라이밍 슈 중 상측의 하나를 넘어 간다. 크라이밍 스트로크가 완료된 후, 리프트 디바이스가 수축될 때, 하측 크라이밍 슈로부터, 크라이밍 레일이 이제 장착된 상측 크라이밍 슈로의 수직 하중 전달이 변경된다. 다른 실시형태가 가능하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영역에 위치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임의의 크라이밍 슈가 상향 밀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크라이밍 레일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능을 갖는 크라이밍 슈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고 지지하기 위한 크라이밍 슈 위에 위치된다. 그러나, 추가 래치를 구비하는 크라이밍 슈로서 구성될 수 있는 크라이밍 레일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능을 갖는 크라이밍 슈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고 지지하기 위한 크라이밍 슈에 관하여 임의의 지점에, 예를 들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고 지지하기 위한 크라이밍 슈 아래 또는 중간 크라이밍 슈의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ft device extends until the lower sides of at least three climbing shoes capable of guiding the climbing rail simultaneously are mounted on the climbing lift rail. Further downward movement of the climbing lift rails in relation to the building is then no longer possible, and further strokes of the lift device cause the climbing rails to which the frame unit is attached to the climbing lift, now fixed in place in relation to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lift device. Slide onto the rail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limbing rail until installed. The climbing rail is therefore supported by a lift device on the climbing lift rail to move the climbing system upward. As a result, the climbing rail is lifted from one of the three climbing shoes for guiding the climbing rail, which was previously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the vertical load, and the vertical load is transferred to the lower climbing shoe on which the climbing lift rail is mounted. It is delivered to shoe. Since the stroke length of the lift device is sufficient to mount the climbing rail offset by the mounting distance, the climbing rail goes over the upper one of the three climbing shoes. After the climbing stroke is completed, when the lift device is retracted, the vertical load transfer from the lower climbing shoe to the upper climbing shoe, on which the climbing rail is now mounted, changes.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in which any climbing shoe of the climbing lift rail, located in the area of the climbing lift rail, may be used for upward pushing. In the above embodiment, a climbing shoe with a retaining function for holding the climbing rail is positioned above the climbing shoe for mounting and supporting the climbing lift rail. However, the climbing shoe with a retaining function for holding the climbing rail, which may be configured as a climbing shoe with an additional latch, may be positioned at any point with respect to the climbing shoe for mounting and supporting the climbing lift rail. , for example, can be arranged under the climbing shoe or in the area of the middle climbing shoe for mounting and supporting the climbing lift rail.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서 정의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이 건물 또는 콘크리트로 만들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부분의 추가 층 또는 복수의 추가 층에 도달될 때까지 사이클이 반복된다.The method step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preferably defined as a cycle, the cycle being repeated until the frame unit reaches an additional layer or a plurality of additional layers of the building or the poured concrete part of the building to be made of concrete.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 특허 청구범위 및 본 발명에 필수적인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특징부는 본 발명에 따른 특수 특징부가 명확하게 볼일 수 있도록 묘사되어 있다. 상이한 특징부는 각각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복수로 실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요소를 나타낸다.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claims and the drawings, which illustrate details essential to the invention. The features shown in the drawings are depicted so that the special featur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clearly seen. Each of the different features can be realized singly or in plurality in any combination in a vari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bers indicate identical or corresponding elements.

도면에서,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크라이밍 시스템의 일련의 크라이밍 프로세스 a 내지 e의 단면도이며, 크라이밍 시스템은 외측 거푸집을 운반하는 작업 플랫폼, 및 또한 트레일링 플랫폼을 갖는 프레임 유닛을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는 측면도(a) 및 평면도(b)로 2개의 크라이밍 레일을 갖는 도 1b에 도시된 크라이밍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a는 도 2a의 섹션 B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크라이밍 슈의 평면도를 갖는 크라이밍 레일 및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도 3a의 평면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식 리프트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공간적 외부도이다.
도 5는 도 2b의 섹션 C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크라이밍 레일 및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확대된 공간적 단면도이다.
In the drawing,
1a to 1e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series of climbing processes a to e of a climbing system with a lift dri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limbing system having a working platform carrying the outer formwork and also a trailing platform. Includes frame unit.
Figures 2a and 2b show the climbing system shown in Figure 1b with two climbing rails in side view (a) and top view (b).
Figure 3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section B of Figure 2A.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plane AA of FIG. 3A of a climbing rail and a climbing lift rail with a top view of a climbing sho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patial external view of a climbing lift rail equipped with a stationary lif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spa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imbing rail and climbing lift rail according to the invention shown in section C of Figure 2b;

도 1a는 건물(1)의 층 주위의 프레임 유닛(11)을 크라이밍하기 위한 일련의 크라이밍 프로세스 동안의 단면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크라이밍 시스템(10)의 초기 위치를 도시한다. 건물(1)은 외측 벽(40, 44, 48, 52)을 갖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며, 이 외측 벽은 예를 들어, 창문 설치를 위한 절결부(41, 45, 49, 53)에 의해 단면도에서 수직 방향(Y)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층 높이(42, 46, 50, 54)를 갖고 위로 적층 배치되는 건물(1)의 층들은 층 슬래브(43, 47, 51, 5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Figure 1a show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climbing system 10 with a lift dri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 cross-sectional view during a series of climbing processes for climbing the frame unit 11 around the floor of the building 1. It shows. The building 1 comprises a plurality of floors with outer walls 40, 44, 48, 52, which are formed, for example, by cutouts 41, 45, 49, 53 for installing windows. In the cross-sectional view, they are shown a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Y). The floors of the building 1, which have floor heights 42, 46, 50, 54 and are arranged upwardl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loor slabs 43, 47, 51, 55.

크라이밍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건물(1)의 한 층의 콘크리트 타설 부분을 완성하기 위해 건물(1)을 향해 그리고/또는 건물(1)로부터 멀어지도록 수평 방향(14)으로 공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거푸집(13)을 구비하는 거푸집 플랫폼(12)을 구비하는 프레임 유닛(11)을 포함한다. 거푸집 플랫폼(12)에 고정된 작업 플랫폼(16)은 거푸집 플랫폼(12) 아래에 배열된다. 거푸집을 이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및/또는 크라이밍 시스템을 크라이밍시키기 위한 리프트 디바이스(26)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이 작업 플랫폼(16)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리프트 디바이스(26)는, 작업 플랫폼(16) 아래에 배열되고 작업 플랫폼(16)에 고정되는 트레일링 플랫폼(22) 상에 위치된다. 도 1a에 도시된 크라이밍 시스템(10)에서, 프레임 유닛(11)은 따라서, 거푸집 플랫폼(12), 작업 플랫폼(16) 및 트레일링 플랫폼(22)을 포함하며, 크라이밍 레일(18)은 프레임 유닛(11)에 통합된다. 크라이밍 레일(18)을 프레임 유닛(11)에 체결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트레일링 플랫폼(22)은, 무엇보다도 크라이밍 슈(32, 34, 36, 38)를 부착하고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 슈는 건물(1)에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되고, 프레임 유닛(11)에 의해 운반되는 크라이밍 레일(18)을 가이드하고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The climbing system 10 may be configured to move horizontally 14 towards and/or away from the building 1, for example to complete the poured concrete portion of one floor of the building 1. It includes a frame unit (11) provided with a formwork platform (12) provided with a formwork (13) that can be moved. A working platform (16) fixed to the formwork platform (12) is arranged below the formwork platform (12).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drive for moving the formwork and/or the lift device 26 for climbing the climbing system can be arranged on the working platform 16 . The lift device 26 is located on a trailing platform 22 arranged below the working platform 16 and fixed to the working platform 16 . In the climbing system 10 shown in Figure 1a, the frame unit 11 thus comprises a formwork platform 12, a working platform 16 and a trailing platform 22, and the climbing rails 18 It is integrated into the frame unit (11). It is also possible to fasten the climbing rail 18 to the frame unit 11 . The trailing platform 22 is used, inter alia, for attaching and removing climbing shoes 32 , 34 , 36 , 38 , which are arranged in a fixed manner on the building 1 and on the frame unit 11 It is used to guide and support the climbing rail 18 carried by ).

크라이밍 레일(18)은 보어(19) 및, 스페이서라고도 불리는 지지 볼트(19')를 가지며, 이들은 장착 거리(20)만큼 서로 수직으로 이격되어 있고, 크라이밍 레일(18)이 수직 방향으로, 예를 들어 하향 이동의 경우,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즉, 위쪽으로, 크라이밍 레일이 크라이밍 슈(32, 34, 36, 38) 각각에 관하여 제거되어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크라이밍 슈(32, 34, 36, 38)의 각각에 결합된다.The climbing rail 18 has a bore 19 and support bolts 19', also called spacers, which are vertically spaced from each other by a mounting distance 20, and the climbing rail 18 is vertically align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downward movement, the climbing rail is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2, 34, 36, 38)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climbing shoes (32, 34, 36, 38), an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is direction, i.e. upward. 32, 34, 36, 38) are coupled to each of the climbing shoes 32, 34, 36, 38 in such a way that they can be removed and moved relative to each.

본 발명에 따르면, 크라이밍 레일(18)뿐만 아니라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도 존재하며, 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한 방향으로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고 크라이밍 슈(32, 34, 36, 38) 각각에 관하여 이동될 수 있는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고 크라이밍 레일(18)에 의해서 가이드될 수 있다. 크라이밍 레일(18)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 외에도,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리프트 디바이스(26)를 통해 크라이밍 레일(18)에만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리프트 디바이스는 그 하측 단부(27)로 리프트 레일(24)에 연결되고 그 상측 단부(28)로 크라이밍 레일(18)에 연결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t only a climbing rail 18 but also a climbing lift rail 24, which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climbing shoes 32, 34, 36, and 38 in one direction. A climbing rail 18 that is movable relative to a climbing rail 18 that can be mounted and re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said direction and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climbing shoes 32, 34, 36, 38 respectively. It can be guided by . Besides being guided by the climbing rail 18 ,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only connected to the climbing rail 18 via a lift device 26 . In this embodiment, the lift device is connected with its lower end 27 to the lift rail 24 and with its upper end 28 to the climbing rail 18 .

크라이밍 과정의 초기에, 리프트 디바이스, 보다 정확하게는 리프트 디바이스의 리프팅 실린더 또는 램이 완전히 수축되어, 리프트 디바이스의 스트로크 길이(2)가 0이다. 리프트 디바이스(26)가 수축된 경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상측 엣지의 높이(25)와 크라이밍 레일(18)의 상측 엣지의 높이(21) 사이에 거리(2')가 존재한다. 크라이밍 레일(18)은 크라이밍 슈(34)에 장착되어, 수직 하중이 상기 크라이밍 슈를 통해 전달된다.At the beginning of the climbing process, the lift device, more precisely the lifting cylinder or ram of the lift device, is fully retracted, so that the stroke length 2 of the lift device is zero. When the lift device 26 is retracted, there is a distance 2' between the height 25 of the upper edge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and the height 21 of the upper edge of the climbing rail 18. . The climbing rail 18 is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4, so that the vertical load is transmitted through the climbing shoe.

도 1b에서, 리프트 디바이스(26)는 0이 아닌 스트로크 길이(3)만큼 연장된다. 크라이밍 레일(18)은 여전히 크라이밍 슈(34)에 장착되고,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도 1a에 도시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높이(25)에 관하여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상측 엣지의 높이(25a)가 아래로 거리(3')만큼 이동되는 방식으로 아래로 이동한다. 크라이밍 레일(18)이 도 1a에서의 높이에 관하여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스트로크의 길이(3)는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이동(3')에 대응된다. 리프트 디바이스(26)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크라이밍 슈(32)에 장착될 때까지 연장되지만, 도 1b에서는 아직 그렇지 않다.In Figure 1b, the lift device 26 extends by a non-zero stroke length 3. The climbing rails 18 are still mounted on the climbing shoes 34 and the climbing lift rails 24 are positioned relative to the height 25 of the climbing lift rails 24 shown in FIG. 1A. The height 25a of the upper edge of (24) moves downward by a distance 3'. Since the climbing rail 18 is not moved with respect to the height in FIG. 1A , the length 3 of the stroke of the lift device 26 is determined by the movement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relative to the climbing rail 18 ( 3'). The lift device 26 extends until the climbing lift rails 24 are mounted on the climbing shoes 32, but not yet in FIG. 1B.

도 1c에서, 리프트 디바이스(26)는 스트로크 길이(3)보다 더 큰 스트로크 길이(4)만큼 연장되어, 이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크라이밍 슈(32)에 장착된다.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크라이밍 슈(32)에 장착되어 더 아래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이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 대신에 크라이밍 레일(18)이 위로 이동된다. 따라서, 프레임 유닛(11)을 포함하는 전체 크라이밍 시스템(10)이 위로 올라간다. 도 1a 및 도 1b의 크라이밍 레일(18)의 상단 엣지의 높이(21)에 관해, 도 1c의 크라이밍 레일의 상단 엣지의 높이(21a)는 거리(4')만큼 위로 이동된다. 따라서,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스트로크의 길이(4)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도 1a의 높이에 관하여 아래로 이동된 거리(3') 및 크라이밍 레일(18)이 도 1a의 높이에 관하여 위쪽으로 이동된 거리(4')로 구성된다. 이 경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된 경우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스트로크의 길이(4)는 장착 거리(20)만큼 오프셋되어 크라이밍 레일(18)이 크라이밍 슈(36)에 장착되기에 충분하다. 적어도 장착 거리(20)가 커버된다. 따라서, 하측 크라이밍 슈(32)에 지지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지지된 리프트 디바이스(26)는 크라이밍 레일(18)을 적어도 장착 거리(20)만큼 밀어 올린다. 도 1c의 경우, 크라이밍 레일(18)은 장착 거리(20)만큼 그리고 또한 크라이밍 슈(36)에 크라이밍 레일(18)을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유지 지점 거리만큼 오프셋된다. 크라이밍 레일(18)이 크라이밍 슈(36)에 장착될 수 있기 위해서 크라이밍 레일(18)로부터 상기 크라이밍 슈의 유지 지점 위로 크라이밍된다. 따라서 크라이밍 레일(18)의 지지 볼트(19')는 크라이밍 슈(36)의 장착 높이(36') 위에 위치된다. 유지 지점 거리는 대략 크라이밍 레일(18)에서 2개의 인접한 보어(19) 사이의 수직 거리이다. 다른 구성에서, 유지 지점 거리가 더 작게 되거나 0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된 상태에서 스트로크 길이(4)가 크라이밍 레일(18)의 장착 거리(20)를 커버할 수 있다면 충분하다. 크라이밍 레일이 장착 거리(20)만큼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스트로크 길이(4)보다 더 긴 스트로크 길이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스트로크 길이(4)는 최대 스트로크 길이이다. 그러나, 더 높은 최대 스트로크 길이가 가능하다.In Figure 1c, the lift device 26 is extended by a stroke length 4 which is greater than the stroke length 3, so that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now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2. Since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2 and cannot be moved further down, the climbing rail 18 is now moved upward instead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Accordingly, the entire climbing system 10 including the frame unit 11 rises upward. With respect to the height 21 of the top edge of the climbing rail 18 in FIGS. 1a and 1b , the height 21a of the top edge of the climbing rail 18 in FIG. 1c is shifted upward by a distance 4'. Accordingly, the length 4 of the stroke of the lift device 26 corresponds to the distance 3' by which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moved down relative to the height in Figure 1a and the distance 3' by which the climbing rail 18 is moved relative to the height in Figure 1a. It consists of a distance (4') moved upward with respect to . In this case, when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mounted, the stroke length 4 of the lift device 26 is offset by the mounting distance 20 so that the climbing rail 18 is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6. It's enough to become At least the mounting distance 20 is covered. Accordingly, the lift device 26 supported on the climbing lift rail 24 supported on the lower climbing shoe 32 pushes the climbing rail 18 up by at least the mounting distance 20. In the case of FIG. 1C , the climbing rail 18 is offset by the mounting distance 20 and also by the holding point distance required to mount the climbing rail 18 to the climbing shoe 36 . The climbing rail 18 is climbed from the climbing rail 18 onto the holding points of the climbing shoe 36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6 . Accordingly, the support bolts 19' of the climbing rail 18 are positioned above the mounting height 36' of the climbing shoes 36. The holding point distance is approximately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bores 19 in the climbing rail 18. In other configurations, the holding point distance may be made smaller or reduced to zero. In this case, it is sufficient if the stroke length (4) can cover the mounting distance (20) of the climbing rail (18) when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mounted. Since the climbing rail can be moved upwards by the mounting distance (20),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troke length longer than the stroke length (4).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stroke length 4 is the maximum stroke length. However, higher maximum stroke lengths are possible.

도 1d에서, 리프트 디바이스(26)는 수축되어, 스트로크 길이(5)는 도 1c의 스트로크 길이(4)보다 더 작다. 도 1a 및 도 1b의 크라이밍 레일(18)의 상단 엣지의 높이(21)에 관해, 크라이밍 레일의 상단 엣지의 높이(21b)는 거리(5')만큼 위로 이동된다. 상기 거리는 도 1c의 거리(4')보다 유지 지점 거리만큼 더 작고 장착 거리(20)와 동일하여, 크라이밍 레일(18)이 크라이밍 슈(36)에 장착된다. 이는 지지 볼트(19')가 크라이밍 슈(35)의 장착 높이(36')에 위치된다는 사실로부터 알 수 있다. 스트로크 길이(5)를 갖는 리프트 디바이스(26)는 스트로크 길이(4)에 관해 유지 지점 거리보다 더 많이 수축되고, 크라이밍 레일(18)은 크라이밍 슈(36)에 장착되어 있어 더 아래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는 이제 크라이밍 레일(18) 대신 위쪽으로 이동된다. 도 1a의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상단 엣지의 높이(25)에 관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상단 엣지의 높이(25b)는 아래로 단지 거리(5")이며, 여기서 상기 거리는 도 1b 및 도 1c의 거리(3')보다 작다.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스트로크의 길이(5)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도 1a의 높이에 관하여 아래로 이동된 거리(5") 및 크라이밍 레일(18)이 도 1a의 높이에 관하여 위쪽으로 이동된 거리(5')로 구성된다. 따라서, 크라이밍 레일(18)을 통해 크라이밍 슈(36)에 장착된 프레임 유닛(11)의 이동 없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위쪽으로 당겨진다.In figure 1d the lift device 26 is retracted so that the stroke length 5 is smaller than the stroke length 4 in figure 1c. With respect to the height 21 of the top edge of the climbing rail 18 in FIGS. 1a and 1b, the height 21b of the top edge of the climbing rail is moved upward by a distance 5'. This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4' in Figure 1c by the holding point distance and is equal to the mounting distance 20, so that the climbing rail 18 is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6.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support bolt 19' is located at the mounting height 36' of the climbing shoe 35. The lift device 26 with a stroke length 5 is retracted more than the holding point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stroke length 4 and the climbing rail 18 is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6 and moves further down. Since this cannot be done,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now moved upwards instead of the climbing rail 18. With respect to the height 25 of the top edge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in Figure 1a, the height 25b of the top edge of the climbing lift rail is only a distance 5" down, where the distance is less than the distance 3' in Figure 1C. The length 5 of the stroke of the lift device 26 is the distance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moved down relative to the height in Figure 1A (5") and the climbing The rail 18 is configured to be moved a distance 5' upward with respect to the height in FIG. 1A. Accordingly,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pulled upward without moving the frame unit 11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6 through the climbing rail 18.

도 1d에서, 리프트 디바이스(26)는 완전히 수축된다. 따라서, 스트로크 길이(2)는 0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이밍 레일(18)의 상단 엣지의 높이(21b)는 장착 거리(20)에 대응하는 거리(5')만큼 위쪽으로 이동된다. 지지 볼트(19')는 크라이밍 슈(35)의 장착 높이(36')의 높이에 위치되고, 크라이밍 레일(18)은, 도 1a 및 도 1d의 상단 엣지의 높이들(21 및 21b)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듯이, 도 1a에서 그 높이에 관하여 장착 거리(20)만큼 위쪽으로 오프셋된다.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상단 엣지의 높이(25c)는 또한, 도 1d에서 거리(5''')로 도시된, 도 1a에서 높이(25)에 관하여 장착 거리(20)만큼 위쪽으로 오프셋되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로부터 크라이밍 레일의 상단 엣지들(21b 및 25c)의 거리(2")는 도 1a의 거리(2')에 대응된다. 도 1d의 리프트 디바이스(26)가 수축될 때, 크라이밍 레일(18)은 크라이밍 슈(36)에 장착된다. 도 1a에서, 크라이밍 레일(18)은 리프트 디바이스(26)가 수축된 상태로 크라이밍 슈(34)에 장착되었다.In Figure 1D, lift device 26 is fully retracted. Therefore, stroke length (2) is 0. As shown in FIG. 1C, the height 21b of the top edge of the climbing rail 18 is moved upward by a distance 5'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distance 20. The support bolt 19' is located at the height of the mounting height 36' of the climbing shoe 35, and the climbing rail 18 is positioned at the heights 21 and 21b of the upper edge in FIGS. 1a and 1d. As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of , in Figure 1a it is offset upward by the mounting distance 20 with respect to its height. The height 25c of the top edge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also offset upward by a mounting distance 20 with respect to the height 25 in FIG. 1A, shown at distance 5''' in FIG. 1D. , the distance 2" of the top edges 21b and 25c of the climbing rail from the climbing lift rail corresponds to the distance 2' in FIG. 1A. When the lift device 26 in FIG. 1D is retracted , the climbing rail 18 is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6. In Figure 1A, the climbing rail 18 is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4 with the lift device 26 retracted.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크라이밍 시스템(10)의 측면도이다.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보이지 않도록 크라이밍 레일(18)에 놓여 있다. 거푸집(13)은 거푸집용 수직 빔(13')에 장착된다. 이 영역에서 안전한 작업을 보장하기 위해, 난간(13")이 수직 빔(13')의 상측 단부에 부착된다.FIG. 2 is a side view of the climbing system 10 shown in FIG. 1B.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placed on the climbing rail 18 so that the climbing lift rail is not visible. The formwork 13 is mounted on a vertical beam 13' for the formwork. To ensure safe working in this area, a handrail 13"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eam 13'.

도 2b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크라이밍 레일(18)을 갖는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크라이밍 시스템(10)의 평면도이다. 거푸집 플랫폼(12), 작업 플랫폼(16) 및 트레일링 플랫폼(22) 이외에, 수직 빔(13') 및 난간(13'')을 구비하는 거푸집(13) 및 건물(1)의 외측 벽(44)에 있는 절결부(41, 45, 49)가 도시된다.Figure 2b is a top view of the climbing system 10 shown in Figures 1b and 2a with two climbing rails 18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addition to the formwork platform 12, the working platform 16 and the trailing platform 22, the formwork 13 with vertical beams 13' and handrails 13'' and the outer wall 44 of the building 1 ) are shown.

도 3a는 단면 확대도로서 도 2a의 하측 영역의 섹션(B)을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가이드되는 크라이밍 레일(18)의 가이드 슈(19")와 함께 도 1b에서 이미 도시된 섹션을 도시한다. 크라이밍 레일(18)은 크라이밍 슈(34)에 장착되며, 지지 볼트(19')는 크라이밍 슈(34)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크라이밍 슈(34)에 장착된다.FIG. 3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ection B of the lower region of FIG. 2A. In this regard, Figure 3 shows the section already shown in Figure 1b together with the guide shoes 19" of the climbing rail 18, on which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guided. The climbing rail 18 is It is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4, and the support bolt 19' is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4 at approximately the cent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limbing shoe 34.

도 3b는, 2개의 대향하는 U 자형 요소를 포함하는 크라이밍 레일(18) 및 I 자형 단면(이중 T 자형 단면이라고도 함)을 갖는 크라이밍은 리프트 레일(24)의 도 3a에서 평면(A-A)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크라이밍 레일(18)의 U 자형 요소들 사이에서 크라이밍 레일(18)에 배열되고, 크라이밍 레일(18)의 U 자형 요소들 사이에서 또한 배열되는 가이드 슈(19")에 의해 가이드된다. 가이드 슈(19")는 외측 벽(40)으로부터 멀어지게 대향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측부만을 가이드하며, 외측 벽(40)을 향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측부는 크라이밍 래치(3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래치는, 크라이밍 레일 및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단면뿐만 아니라, 크라이밍 슈(32)의 평면도가 도시되기 때문에, 도 3b에서 잘 보여질 수 있다. 크라이밍 래치(32")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외측 벽을 향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측부에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러그(lug)를 갖는다. 크라이밍 슈(32)는 외측 벽(40)을 향하는 크라이밍 레일(18)의 측부를 가이드하는 2개의 림(limb)(32')을 갖는다. 림들(32″)은 각각 수직 축선(y)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고, 잠금 핀으로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선회 가능하지 않고 그리고/또는 잠금 핀 없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림이 가능하다. 크라이밍 래치(32")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 및 크라이밍 레일(18) 모두가 크라이밍 슈(32)에 장착될 수 있도록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및 크라이밍 레일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크라이밍 레일이나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라이밍 래치가 이용 가능한 크라이밍 슈의 구성이 또한 착상 가능하다.FIG. 3B shows the plane (A-A) in FIG. 3A of the climbing rail 18 comprising two opposing U-shaped elements and the climbing lift rail 24 having an I-shaped cross-section (also known as a double T-shaped cross-section). A cross section along is shown.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arranged on the climbing rail 18 between the U-shaped elements of the climbing rail 18, and the guide shoes are also arranged between the U-shaped elements of the climbing rail 18. 19". The guide shoe 19" guides only the side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facing away from the outer wall 40, and the climbing lift rail (24) facing the outer wall 40. The side of 24) can be coupled to a climbing latch 32", which can be connected to a climbing latch 32", since a top view of the climbing shoe 32, as well as a cross section of the climbing rail and climbing lift rail, is shown in FIG. 3b. The climbing latch 32" has two lug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engageable with the side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facing the outer wall. The climbing shoe 32 has two limbs 32' that guide the side of the climbing rail 18 towards the outer wall 40. The rims 32″ can each be pivoted about a vertical axis y and locked in place with locking pins. Other rims are possible that are not pivotable and/or can be used without locking pins. The climbing latch 32" can be coupled to both the climbing lift rail 24 and the climbing rail 18 so that both the climbing lift rail 24 and the climbing rail 18 can be mounted on the climbing shoe 32.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a climbing shoe in which various climbing latches are available for mounting a climbing rail or climbing lift rail.

도 4는, 리프트 디바이스(26)가 이미 도 1b 및 도 3a에서 도시된 스트로크 길이(3)를 갖고 하측 단부(27)에서 고정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공간적 외부도로 도시한다. 리프트 디바이스(26)의 하측 단부(27)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나사 결합되고, 상측 단부(28)는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한 연결을 위해 개방된다. 도 4의 상측 단부에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단면이 도시될 수 있으며, 도 3b에 따른 외측 벽(40)을 향하는 측부는 도 3b에 따른 가이드 슈(19")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상기 측부의 반대 쪽 측부보다 더 넓다. 더 넓은 측부는 직사각형 리세스(61)를 갖는 톱니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장착 스트로크 거리(60)로 이어진다. 톱니형 프로파일로 이어지는 직사각형 리세스(61) 대신에, 이어(ear)라고도 불리는 완전히 엣지가 있는 구멍 형태의 리세스가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리세스는 리세스(61)보다 더 큰 리세스 당 수직 하중을 수용할 수 있다.FIG. 4 shows in spatial outline the climbing lift rail 24 on which the lift device 26 is fixed at the lower end 27 with the stroke length 3 already shown in FIGS. 1b and 3a . The lower end 27 of the lift device 26 is screwed to the climbing lift rail 24 and the upper end 28 is open for connection to the climbing rail 18 . At the upper end in FIG. 4 a cross-section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can be seen, the side facing the outer wall 40 according to FIG. 3b being guided by a guide shoe 19 "according to FIG. 3b It is wider than the side opposite to said side.The wider side has a toothed profile with a rectangular recess 61, which leads to the mounting stroke distance 60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With a toothed profile Instead of the continuous rectangular recess 61, a completely edged hole-shaped recess, also called an ear, may be present in the climbing lift rail 24, which recess may be larger than the recess 61. Vertical load per recess can be accommodated.

도 5는 도 2b의 섹션(C)에 도시된 크라이밍 레일(18) 및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확대된 공간적 단면도를 도시한다. 스트로크 길이(3)를 갖는 리프트 디바이스의 하측 단부(27)는 나사 연결에 의해 외측 벽(40)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측부에 고정되며,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상측 단부(28)는 외측 벽(44)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크라이밍 레일(18)의 가이드 슈(19")의 측부 상에 나사 연결에 의해 고정된다. 도 5의 하측 영역에서, 외측 벽(40)에 고정 방식으로 부착된 크라이밍 슈(32)는 외측 벽(40)을 향하는 크라이밍 레일(18)의 측부를 가이드하는 림(32')을 갖는다. 크라이밍 래치(32")는 크라이밍 레일(18)의 지지 볼트(19') 및 외측 벽(40)을 향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측부 상의 리세스(61)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2개의 지지 볼트(19') 사이의 도 3에 도시된 크라이밍 레일(18)의 장착 거리(20)는 인접된 보어들(19) 사이의 거리 4개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장착 스트로크 거리(60)는 장착 거리 (20)보다 작고, 인접된 보어들(19) 사이의 대략 2개의 거리이다. 따라서, 리프트 디바이스를 연장시킬 때, 장착 거리(20)만큼 크라이밍 레일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요구되는 스트로크 길이의 2/3가 크라이밍 레일(18)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한편,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장착하기 위해서 스트로크 길이의 최대 1/3만 필요하다.Figure 5 shows an enlarged spa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imbing rail 18 and climbing lift rail 24 shown in section C of Figure 2b. The lower end 27 of the lift device with a stroke length 3 is fixed by means of a screw connection to the side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facing away from the outer wall 40, the upper side of the lift device 26 The end 28 is fixed by a screw connection on the side of the guide shoe 19 "of the climbing rail 18 facing away from the outer wall 44. In the lower region of FIG. 5, the outer wall 40 ) has a rim 32' that guides the side of the climbing rail 18 facing the outer wall 40. The climbing latch 32" is attached to the climbing shoe 32 in a fixed manner. It may be coupled to both the support bolts 19' of the rail 18 and the recess 61 on the side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facing the outer wall 40. The mounting distance 20 of the climbing rail 18 shown in FIG. 3 between two support bolts 19' includes four distances between adjacent bores 19. The mounting stroke distance 60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shown in FIG. 5 is less than the mounting distance 20 and is approximately two distances between adjacent bores 19. Therefore, when extending the lift device, two-thirds of the stroke length required to move the climbing rail by the mounting distance 20 can be used to move the climbing rail 18, while the climbing lift rail To install (24), only a maximum of 1/3 of the stroke length is required.

도 4에 따른 크라이밍 레일(24)의 톱니형 프로파일과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부는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기술적인 이유로 본질적으로 금지되지 않는 한, 크라이밍 레일(18) 내에 배열되지 않고 크라이밍 레일(24) 옆에 놓인다.Features of the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such as the toothed profile of the climbing rail 24 according to FIG. 4 , may also be present in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in climbing rails 24 . The lift rails 24 are not arranged within the climbing rails 18 but lie next to the climbing rails 24, unless otherwise stated or essentially prohibited for technical reasons.

참조 부호 목록List of reference signs

1 건물1 building

2, 3, 4, 5 스트로크 길이 리프트 디바이스2, 3, 4 and 5 stroke length lift devices

2', 2" 거리 상측 엣지 크라이밍 레일 내지 상측 엣지 2', 2" distance top edge climbing rail to top edge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Climbing Lift Rail

3', 5", 5"' 이동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3', 5", 5"' travel climbing lift rails

4', 5' 이동 크라이밍 레일4', 5' moving climbing rails

10 크라이밍 시스템10 Climbing System

11 프레임 유닛11 frame unit

12 거푸집 플랫폼12 formwork platform

13 거푸집13 Formwork

13' 수직 빔 거푸집13' vertical beam formwork

13" 난간 거푸집 플랫폼13" Handrail Formwork Platform

14 수평 방향14 horizontal direction

16 작업 플랫폼16 working platform

18 크라이밍 레일18 Climbing Rail

19 크라이밍 레일의 보어19 Bore of climbing rail

19' 지지 볼트 크라이밍 레일19' support bolt climbing rail

19" 크라이밍 레일을 위한 가이드 슈 크라이밍 레일Guide shoe climbing rail for 19" climbing rail

20 장착 거리 크라이밍 레일20 mounting distance climbing rail

21, 21a, 21b 높이 상측 엣지 크라이밍 레일21, 21a, 21b height upper edge climbing rail

22 트레일링 플랫폼22 Trailing Platform

24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 Climbing lift rail

25, 25a, 25b, 25c 높이 상측 엣지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5, 25a, 25b, 25c height upper edge climbing lift rails

26 리프트 디바이스26 lift device

27 하측 단부 리프트 디바이스27 Lower end lift device

28 상측 단부 리프트 디바이스28 Upper end lift device

32, 34, 36, 38 크라이밍 슈32, 34, 36, 38 climbing shoes

32' 림 크라이밍 슈32' Rim Climbing Shoe

32" 크라이밍 래치32" Climbing Latch

36' 장착 높이 크라이밍 슈36' mounting height climbing shoe

40, 44, 48, 52 외측 벽 건물40, 44, 48, 52 outer wall buildings

41, 45, 49, 53 외측 벽 건물의 절결부41, 45, 49, 53 Cutouts in exterior wall buildings

42, 46, 50, 54 층 슬래브42, 46, 50, 54 layer slabs

43, 47, 51, 55 층 높이 건물Buildings 43, 47, 51, and 55 stories tall

60 장착 스트로크 거리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60 Mounting Stroke Distance Climbing Lift Rail

61 유지 리세스61 Retention recess

A-A 단면도 도 3aA-A cross section Figure 3a

B 섹션 도 2aB section Figure 2a

C 섹션 도 2bC section Figure 2b

Y 수직 방향 위로Y vertical direction up

Claims (19)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10)용 리프트 드라이브로서,
고정된 방식으로 건물(1)에 배열될 수 있는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에 의해 가이드되고, 프레임 유닛(11)에 통합되거나 상기 프레임 유닛(11)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18);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로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각각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에 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이동될 수 있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및 일 단부에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고정되고, 타 단부에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고정된 리프트 디바이스(26)로서,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스트로크의 길이(3, 4, 5)가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이동(3', 3', 4', 5', 5")에 대응되는,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된 경우 상기 스트로크의 길이(4)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을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의 장착 거리(20)만큼 오프셋되게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드라이브.
A lift drive for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10) that can be used as a climbing formwork, climbing frame, climbing protection wall and/or climbing work platform, comprising:
climbing shoes 32, 34, 36, 38 which can be arranged on the building 1 in a fixed manner;
at least one climbing rail (18) guided by the climbing shoes (32, 34, 36, 38) and which can be integrated into or fixed to the frame unit (11);
A climbing lift rail (24) movable relative to the climbing rail (18) and guided by the climbing rail (18), wherein the climbing rail (18) and the climbing lift rail (24) are Each of the climbing shoes 32, 34, 36, and 38 is mounted in one direction and can be re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and the climbing rail and the climbing lift rail are connected to the climbing shoe. the climbing lift rail movable relative to at least one of (32, 34, 36, 38); and a lift device (26) fixed to the climbing rail (18) at one end and to the climbing lift rail (24) at the other end, the stroke length (3, 4) of the lift device (26) , 5) corresponds to the movement (3', 3', 4', 5', 5")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relative to the climbing rail (18),
When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mounted, the length of the stroke (4) is configured to mount the climbing rail (18) offset by the mounting distance (20) of the climbing rail (18). lift dr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의 길이(4)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장착 스트로크 거리(60)를 커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리프트 드라이브.Lift driv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stroke (4) is further adapted to cover the mounting stroke distance (60)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된 경우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을 가이드하는 상기 크라이밍 슈(34, 36)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된 상기 크라이밍 슈(32)의 위 또는 아래에 배열되는, 리프트 드라이브.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when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mounted, the climbing shoes (34, 36) that guide the climbing rail (18) are the climbing lift rail (24). A lift drive arranged above or below the climbing shoe 32 mounted there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또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장착하거나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모두 장착하도록 구성된, 리프트 드라이브.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limbing shoes (32, 34, 36, 38) are mounted on the climbing rail (18) or the climbing lift rail (24) or are mounted on the climbing rail (18). and a lift drive configured to mount both the climbing lift rails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유지 요소에 의해서, 또는 복수의 래칭/스냅 요소 및 상기 복수의 래칭/스냅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의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에 장착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래칭/스냅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에 위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에 위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래칭/스냅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위치되는, 리프트 드라이브.3. The climbing lift rail (24)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provided by at least one latching/snap element and a plurality of retaining elements for retaining the at least one latching/snap element, or by a plurality of latching elements. /The climbing shoes (32, 34) configured to mount the climbing lift rail (24) by means of a snap element and at least one retaining element for retaining at least one latching/snapping element of the plurality of latching/snapping elements. , 36, 38), wherein the one or more latching/snap elements are located on the climbing shoes (32, 34, 36, 38) configured to mount the climbing lift rail (24), and the one or more retaining an element is positioned on the climbing lift rail (24), or the one or more retaining elements are positioned on the climbing shoe (32, 34, 36, 38) configured to mount the climbing lift rail (24), Lift drive, wherein the one or more latching/snap elements are located on the climbing lift rail (2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스냅 요소는 이동 가능한 요소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 가능한 요소는, 래치, 잠금 래치 또는 크라이밍 래치(32"), 멈춤쇠, 스냅인 노즈(snap-in nose) 또는 볼트, 잠금 볼트의 형태로, 선회 가능, 접힘 가능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드라이브.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atching/snap element is comprised of a movable element, the movable element being a latch, locking latch or climbing latch (32"), a detent, a snap-in nose or A lift drive in the form of a bolt, locking bolt, and configured to be pivotable, collapsible or movab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스냅 요소는 크라이밍 래치(32") 또는 접힘 가능 스냅인 노즈의 형태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일렬로 존재하는, 리프트 드라이브.Lift driv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atching/snap elements are present in line on the climbing lift rail (24) in the form of climbing latches (32") or collapsible snap-in nos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와 결합되기 위한 유지 리세스(61)의 형태로 일렬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도입되거나, 또는 유지 손잡이가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용접으로 적용될 수 있는, 리프트 드라이브.7. The climbing sho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taining elements are aligned in the form of a retaining recess (61) for engagement with the at least one latching/snapping element of the climbing shoe (32, 34, 36, 38). Lift drive, which can be introduced into the lift rail (24), or a retaining handle can be applied to the climbing lift rail (24) by weld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후크-인 윤곽선(hook-in contour), 치형부를 갖는 프로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일 측부에 상기 유지 리세스(61)를 갖거나, 또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크라이밍 슈(32, 34, 36, 38)에 단지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가 있는 경우,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이어(ear)라고도 불리는, 완전히 엣지가 있는 구멍의 형태의 상기 유지 리세스(61)를 가질 수 있는, 리프트 드라이브.9. The climbing lift rail (24)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in such a way that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in the form of a profile with hook-in contour, teeth. If there is only one latching/snapping element in the climbing shoe 32 , 34 , 36 , 38 configured to mount the climbing lift rail 24 , the climbing lift rail 24 has a retaining recess 61 . The lift rail (24) may have said retaining recess (61) in the form of a fully edged hole, also called an ea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중실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압착되거나 또는 엠보싱 처리되거나, 또는 레이저 가공된 형태(lasered form)로 중공 프로파일로서 존재하는, 리프트 드라이브.Lift driv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made of solid material, is pressed or embossed or is present as a hollow profile in lasered for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상에 또는 안에 배열된 크라이밍 래치(32") 형태의 래칭/스냅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 모두를 장착하도록 구성된, 리프트 드라이브.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 latching/snap element in the form of a climbing latch (32") arranged on or in the climbing shoe (32, 34, 36, 38) is connected to the climbing rail (18) and the climbing shoe (32, 34, 36, 38). A lift drive configured to mount both lift rails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하나가 다른 하나 내에 배열되거나, 또는 서로 옆에 놓여 있는, 리프트 드라이브.Lift driv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limbing rail (18) and the climbing lift rail (24) are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or lie next to each oth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직사각형 프로파일 또는 L, T 또는 I 형태의 단면 프로파일(또한, 이중 T라고도 함)을 갖는, 리프트 드라이브.Lift driv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limbing lift rail (24) has a rectangular profile or a cross-sectional profile in the form of L, T or I (also called double 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는 유압 실린더, 스핀들 드라이브, 또는 랙과 피니언 드라이브, 액추에이터 또는 선형 드라이브로서 구성되고, 상기 스핀들 또는 랙과 피니언 드라이브는 전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는, 리프트 드라이브.3. The lift device (26)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ift device (26) is configured as a hydraulic cylinder, a spindle drive, or a rack and pinion drive, an actuator or a linear drive, the spindle or rack and pinion drive being driven by an electric motor. Can be, lift driv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은 수직 축선에 관하여 적어도 4도만큼 선회되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드라이브.Lift driv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limbing rail (18) is configured to pivot by at least 4 degrees with respect to a vertical axis.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 및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중 적어도 하나가 통합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18)이 고정되는 상기 프레임 유닛(11)을 구비하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10)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18)의 전체 길이가 미리 정해진 거리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크라이밍 슈(32, 34, 36, 38)의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을 가이드하기에 충분한,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10).A rail guide comprising a lift drive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frame unit (11) on which at least one of the climbing rails (18) is integrated or on which the at least one climbing rail (18) is fixed. A type climbing system (10), wherein the entire length of the at least one climbing rail (18) comprises at least two climbing shoes (32, 34, 36, 38)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10) sufficient to guide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크라이밍 슈(32, 34, 36, 38)는 상기 건물(1)의 층 높이(43, 47, 51, 55) 또는 그 일부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10).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at least two climbing shoes (32, 34, 36, 38)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floor height (43, 47, 51, 55) of the building (1) or a portion thereof. , rail-guided climbing system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10)을 크라이밍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장착된 크라이밍 레일(18)로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를 연장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될 때까지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해 아래로 이동되는, 상기 연장시키는 단계;
-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연장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상기 장착에 의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추가 하향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대해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거리(20)만큼 위로 제거되어 이동되는, 상기 연장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
-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를 수축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장착 거리(20)만큼 위로 이동되어 장착될 때까지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대해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상기 수축시키는 단계; 및
-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수축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의 추가 하향 이동은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의 상기 장착에 의해 방지되고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해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장착 거리(20) 만큼 제거되어 위로 이동되는, 상기 수축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Climbing rail-guided climbing system (10), which can be used as a climbing formwork, a climbing frame, a climbing protection wall and/or a climbing work platform, having a lift drive according to claim 1 or 2. As a way to do this,
- extending the lift device (26) to the mounted climbing rail (18), wherein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positioned on the climbing rail (24) until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mounted. 18) said extending step, moving downward;
- continuing the extending movement of the lift device 26, wherein further downward movement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is prevented by the mounting of the climbing lift rail 24, and the climbing rail ( continuing said extending movement, wherein 18) is removed and moved upward relative to said climbing lift rail (24) by said at least one mounting distance (20) of said climbing rail (18);
- retracting the lifting device (26), wherein the climbing rail (18) is moved upward by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distances (20) until the climbing rail (18) is mounted. said retracting step being moved downward relative to the rail (24); and
- continuing the retracted movement of the lifting device (26), wherein further downward movement of the climbing rail (18) is prevented by the mounting of the climbing rail (18) and the climbing lift rail (24) and continuing the retraction movement, wherein the climbing rail (18) is removed and moved upward relative to the climbing rail (18) by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distances (20) of the climbing rail (18).
제18항에 있어서, 제18항에 따른 방법 단계는 사이클로서 정의되고, 상기 프레임 유닛(11)이 건물(1) 또는 콘크리트로 만들 건물(1)의 콘크리트 타설 부분의 추가 층 또는 복수의 추가 층(43, 47, 51, 55)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사이클이 반복되는, 방법.19.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method steps according to claim 18 are defined as a cycle, wherein the frame unit (11) is an additional layer or a plurality of additional layers of the building (1) or the poured concrete part of the building (1) to be made of concrete. The cycle is repeated until (43, 47, 51, 55) is reached.
KR1020217002053A 2018-07-23 2019-07-15 Lift drives for rail-guided climbing systems KR1026256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7727:5 2018-07-23
DE102018117727.5A DE102018117727A1 (en) 2018-07-23 2018-07-23 LIFT DRIVE FOR A RAILWAY CLIMBING SYSTEM
PCT/DE2019/100652 WO2020020412A1 (en) 2018-07-23 2019-07-15 Lift drive for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372A KR20210030372A (en) 2021-03-17
KR102625611B1 true KR102625611B1 (en) 2024-01-16

Family

ID=6751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053A KR102625611B1 (en) 2018-07-23 2019-07-15 Lift drives for rail-guided climbing systems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293037A1 (en)
EP (1) EP3827146B1 (en)
KR (1) KR102625611B1 (en)
CN (1) CN112513392A (en)
AU (1) AU2019311134A1 (en)
CA (1) CA3106333A1 (en)
DE (2) DE102018117727A1 (en)
ES (1) ES2968201T3 (en)
PL (1) PL3827146T3 (en)
SG (1) SG11202100494PA (en)
WO (1) WO202002041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5956A1 (en) * 2016-04-08 2017-10-12 Peri Gmbh Self-climbing system, self-climbing uni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uch a self-climbing unit on a concrete structure
ES2695626B2 (en) * 2017-06-30 2020-05-19 Hws Concrete Towers S L Self-climbing device for vertical and quasi-vertical concrete surfaces and operating procedure.
DE102019115346A1 (en) * 2019-06-06 2020-12-10 Peri Gmbh ARRANGEMENT OF A CLIMBING RAIL AND A CLIMBING RAIL FOR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CN110439251B (en) * 2019-08-13 2021-05-11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Well climbing frame
US11655641B2 (en) * 2019-12-29 2023-05-23 The Third Construction Co., Ltd Of China Construction Third Engneering Bureau Construction build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E102020134812A1 (en) 2020-12-23 2022-06-23 Peri Se Climbing shoe device for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CN114232969B (en) * 2021-12-22 2023-12-29 丽水市卓越建设有限公司 Building construction protection frame
CN114876178B (en) * 2022-05-13 2024-03-01 中交四公局第一工程有限公司 Climbing frame clamping mechanism for building construction
WO2023245672A1 (en) * 2022-06-24 2023-12-28 深圳市海柔创新科技有限公司 Shelf climbing robot and warehousing system
CN115162822B (en) * 2022-06-29 2024-04-26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安阳供电公司 Power grid telegraph pole erection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CN115142658B (en) * 2022-08-17 2024-03-15 中建七局第二建筑有限公司 Combined attached lifting scaffold system
CN115370118B (en) * 2022-09-02 2023-10-27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Assembled climbing frame for building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N115823409B (en) * 2023-02-20 2023-06-06 山东鑫海矿业技术装备股份有限公司 Mining double-stage pump with lifting wall climbing fun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3480B2 (en) 2003-11-27 2009-04-07 Ulma C Y E, S. Coop Climbing system for shuttering, scaffolding and loads in general
DE112009005086T5 (en) 2009-07-21 2012-08-16 Tms Tüfekcioglu Mühendisl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Carrier head with bolt mechanism for piston driven climbing systems
KR101225811B1 (en) 2008-03-25 2013-01-23 페리 게엠베하 Concrete section with a rail-guided self-climbing formwork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3924B1 (en) * 2006-08-18 2008-02-15 Rund Stahl Bau Gmbh & Co CLIMBING FOR CONCRETING A WALL OF A BUILDING
KR20090020246A (en) * 2007-08-23 2009-02-26 이병영 Self-standing auto climb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CN201660379U (en) * 2010-01-28 2010-12-01 陈亚洲 Climbing system for tall towers or high-rise buildings
KR101223614B1 (en) * 2010-07-26 2013-01-17 서갑수 gang form rail Device for construction
CN103669818B (en) * 2012-09-07 2016-08-10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Closed type integration climbing frame and using method thereof
CA2838259C (en) * 2013-12-30 2020-08-18 International Chimney Corporation Scaffold system
CN205840293U (en) * 2016-03-09 2016-12-28 陕西开友实业有限公司 Lifting device for scaffold
DE102016205956A1 (en) 2016-04-08 2017-10-12 Peri Gmbh Self-climbing system, self-climbing uni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uch a self-climbing unit on a concrete structure
CN107762132B (en) * 2017-11-02 2020-02-04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Side-swinging mechanical arm and us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3480B2 (en) 2003-11-27 2009-04-07 Ulma C Y E, S. Coop Climbing system for shuttering, scaffolding and loads in general
KR101225811B1 (en) 2008-03-25 2013-01-23 페리 게엠베하 Concrete section with a rail-guided self-climbing formwork system
DE112009005086T5 (en) 2009-07-21 2012-08-16 Tms Tüfekcioglu Mühendisl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Carrier head with bolt mechanism for piston driven climb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7146C0 (en) 2023-10-25
US20210293037A1 (en) 2021-09-23
DE112019003709A5 (en) 2021-04-08
PL3827146T3 (en) 2024-04-02
KR20210030372A (en) 2021-03-17
EP3827146A1 (en) 2021-06-02
DE102018117727A1 (en) 2020-01-23
EP3827146B1 (en) 2023-10-25
CA3106333A1 (en) 2020-01-30
SG11202100494PA (en) 2021-02-25
CN112513392A (en) 2021-03-16
AU2019311134A1 (en) 2021-02-11
WO2020020412A1 (en) 2020-01-30
ES2968201T3 (en) 202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611B1 (en) Lift drives for rail-guided climbing systems
US6557817B2 (en) Wall climbing form hoist
JP3468243B2 (en) lift device
JP7193151B2 (en) Self-climb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for vertical and near-vertical concrete surfaces
US20220325541A1 (en) Assembly consisting of a climbing rail and a climbing lift rail for a rail-guided
US20190376301A1 (en) Concrete forming system
KR20150125984A (en) Building system
EP2412894B1 (en) A climbing screen support system
WO2014167186A1 (en) Lifting device
CA3190589A1 (en) Formwork system and method
KR102387167B1 (en) Form Panel Climbing System
CN108660928B (en) Bridge high pier climbing formwork lifting device
US56448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torey buildings
RU2793508C2 (en) Lifting mechanism for rail lifting system
NZ546333A (en) A lifting assembly for a shutter to allow continuous casting
KR101314170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tower silo
RU2780416C2 (en) Lif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of lifting system
EP4087992B1 (en) A climbing formwork system for mass concrete construction, in particular for building a dam or for hydropower industry, and a method for building a mass concrete construction
CN114197860B (en) Double-layer climbing formwork system for rapid construction and climbing formwork construction method
KR102086828B1 (en) Sliding shoe for construction
JPH05125843A (en) Unit staircase
CA2624702A1 (en) Overhead beam assembly
JPH06336827A (en) Scaffold device
GB2390110A (en) Width variable access apparatus
CN116065809A (en) Novel cloud building factory supporting system and operation proces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