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406B1 - 굴착 장치 - Google Patents

굴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406B1
KR102625406B1 KR1020210107674A KR20210107674A KR102625406B1 KR 102625406 B1 KR102625406 B1 KR 102625406B1 KR 1020210107674 A KR1020210107674 A KR 1020210107674A KR 20210107674 A KR20210107674 A KR 20210107674A KR 102625406 B1 KR102625406 B1 KR 102625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me
rod
ground
excav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5293A (ko
Inventor
장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무기업
장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무기업, 장하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무기업
Priority to KR1020210107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406B1/ko
Publication of KR2023002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00Drives for drilling, used in the borehole
    • E21B4/006Mechanical motion converting means, e.g. reduction g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5Rock drills, i.e. jumbo dr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이치빔을 지반에 설치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 장치로서, 크레인의 단부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로드결합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드결합부의 둘레에 외부케이스 결합부가 구비된 구동부와; 상기 로드결합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로드결합부가 회전 구동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하며 굴착된 지반의 내부로 연장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반을 천공하는 해머 비트로 이루어진 굴착부와; 상기 외부케이싱 결합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로드와 상기 해머 비트의 둘레에 배치되며 굴착된 지반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임을 배출하기 위한 슬라임 배출공간부를 형성하는 외부케이스과; 상기 해머 비트를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시에 생성되는 슬라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슬라임 배출부를; 포함한 굴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머 비트가 연결된 로드의 외부에 회전 구동하는 별도의 외부케이스를 설치하여 로드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에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임을 흡인시에 로드의 외면과 슬라임 및 외부케이스 내면과 슬라임의 마찰을 줄여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슬라임을 흡인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굴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착 장치{EXCAVATION DEVICE}
본 발명은 굴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머 비트가 연결된 로드의 외부에 회전 구동하는 별도의 외부케이스를 설치하여 로드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에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임을 흡인시에 로드의 외면과 슬라임 및 외부케이스 내면과 슬라임의 마찰을 줄여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슬라임을 흡인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굴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굴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 암반층에 기초 말뚝을 정착시키기 위해 지반을 천공하는 말뚝공 굴착 방법 중 하나로서 PRD(Percussion Rotary Drill) 공법과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이 알려져 있다. 이들 공법은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예처럼 크레인에 설치된 회전축의 단부에 해머나 드릴 로드를 장착하여 상하로 타격하거나 회전시켜 암반을 굴진 해 들어간다.
첫째로, PRD 공법은, 크레인의 회전하는 축의 하단에 해머를 장착하고, 고압의 압축 공기에 의해 해머 내 피스톤을 상하운동시켜 해머 단부의 비트를 타격함으로써 비트가 암반을 타격하여 파쇄시키는 공법이다.
PRD 공법에 사용하는 해머로서는, 비트가 단일체로 이루어진 모노 해머(Mono Hammer)와, 비트가 여러 개로 나뉘어져 있는 조합 해머(Cluster Drill Hammer)가 있다.
모노 해머는,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은 해머 몸체(도 1의 전체 조립체)의 단부에 단일체로 이루어진 드릴 비트를 장착하여, 크레인의 회전축에 설치한 한 형태이다. 조합 해머는 해머 몸체의 단부에 여러 개로 나뉘어져 있는 드릴 비트들을 장착하여, 크레인의 회전축에 설치한 형태이다.
통상적으로, 모노 해머의 경우에는 굴착속도는 높지만 비트 제작에 필요한 단조제품의 사이즈 증가에 한계가 있으므로 굴착 구경 최대 1,200mm 정도의 공사에 주로 적용하며, 조합 해머의 경우에는 굴착 구경을 800 ~ 5,000mm 까지 확장할 수 있어 굴착 구경에 대한 제약이 모노 해머에 비해 적으나 굴착 속도는 다소 떨어진다.
이와 같은 PRD 공법은, 해머/비트를 이용하여 암반을 타격하여 굴착하므로, 지질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단단한 지층을 굴착할 수 있고, 굴착속도 면에서도 타 공법에 비해 우수하며, 비트를 장착한 로드의 구경이 굴착구경과 같기 때문에 말뚝공의 수직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해머 구동을 위한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대규모의 컴프레서 장비가 필요하므로, 그 컴프레서 장비를 구동하기 위해 많은 연료를 소모할 수밖에 없다. 통상적으로, 굴착구경 1,000mm인 경우 4 ~ 5대의 컴프레서 장비가 필요한데, 그것의 엔진 구동을 위해서는 1대당 60 ~ 75ℓ/h의 디젤 연료가 소모된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1일 3,000 ~ 3,500리터 정도의 많은 디젤 연료가 들어가기 때문에 공사비용의 30 ~ 50%가 연료비용으로 소요되기까지도 하는 폐단이 있다.
또한, 해머/비트로 타격함에 따라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여 민원이 발생하고, 굴착장비와 굴착 로드의 중량이 많이 나가는 단점도 있다.
다음으로,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은, 드릴 로드 단부에 특수한 비트(예; 롤러 비트)를 장착하여 회전시키면서 암반을 파쇄하고, 파쇄된 굴착토는 드릴 로드 파이프를 통해 순환수와 함께 지상으로 흡입해 올리며, 순환수는 침전조를 통해 다시 굴착공으로 순환시키면서 굴착하는 원리를 가진다.
이러한 RCD 공법은, 해머를 사용하지 않아 연료소모가 적고 타격 소음 및 진동이 발생치 않으며, 굴착 구경에 대한 제약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PRD 공법에 비해 굴착속도가 떨어져서 암반 깊이가 깊고 강도가 높은 경우 굴착 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PRD 공법에 비해 수직도가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한편, 말뚝공을 천공하는 또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서, 바레트 파일 공법이 알려져 있다.
바레트 파일 공법은, 사각형으로 말뚝공을 형성해 나가는 형태로서, 드릴 하단에 유압 펌프에 의해 회전하는 버킷을 설치하고, 버킷의 원주에 여러 개의 비트를 부착하여 타격이 아니라 긁어내는 원리에 의해 굴진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바레트 파일 공법은, 해머 사용이 없어 소음 및 진동에는 유리하지만, 굴착 구경이 원형이 아니라 사각형으로 한정되어 있고, 특히 지반을 긁어내야 하는 특수성 때문에 굴착 중에 암반이 출현하는 경우에는 굴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머 비트가 연결된 로드의 외부에 회전 구동하는 별도의 외부케이스를 설치하여 로드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에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임을 흡인시에 로드의 외면과 슬라임 및 외부케이스 내면과 슬라임의 마찰을 줄여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슬라임을 흡인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굴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굴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굴착 장치는, 에이치빔을 지반에 설치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 장치로서, 크레인의 단부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로드결합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드결합부의 둘레에 외부케이스 결합부가 구비된 구동부와; 상기 로드결합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로드결합부가 회전 구동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하며 굴착된 지반의 내부로 연장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반을 천공하는 해머 비트로 이루어진 굴착부와; 상기 외부케이싱 결합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로드와 상기 해머 비트의 둘레에 배치되며 굴착된 지반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임을 배출하기 위한 슬라임 배출공간부를 형성하는 외부케이스과; 상기 해머 비트를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시에 생성되는 슬라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슬라임 배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싱 결합부는 상기 로드결합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상기 외부케이스를 상기 로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상기 슬라임 배출공간부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 결합부와 상기 로드결합부는 각각 상기 구동부 내부에 설치된 유성기어의 내측 태양기어와 외측 태양기어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임 배출부는 상기 슬라임 배출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구동부의 외면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슬라임 배출구와, 상기 슬라임 배출구와 연결되어 슬라임을 흡입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슬라임 배출관과, 상기 슬라임 배출관의 단부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상기 슬라임이 수용되는 슬라임 수용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임 배출구 내부의 상기 구동부의 내측 판면에는 상기 슬라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측면에는 체결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 결합부의 내측 판면에는 상기 체결돌부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ㄱ'자 형상의 체결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굴착 장치는 해머 비트가 연결된 로드의 외부에 회전 구동하는 별도의 외부케이스를 설치하여 로드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에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임을 흡인시에 로드의 외면과 슬라임 및 외부케이스 내면과 슬라임의 마찰을 줄여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슬라임을 흡인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굴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굴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 장치의 구동부와 케이스 및 로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 장치의 구동부와 케이스 및 로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 장치는 에이치빔을 지반에 설치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 장치로서, 크레인(1)의 단부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로드결합부(1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드결합부(110)의 둘레에 외부케이스 결합부(120)가 구비된 구동부(100)와; 상기 로드결합부(11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로드결합부(110)가 회전 구동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하며 굴착된 지반의 내부로 연장 형성된 로드(210)와, 상기 로드(2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반을 천공하는 해머 비트(220)로 이루어진 굴착부(200)와; 상기 외부케이싱 결합부(12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로드(210)와 상기 해머 비트(220)의 둘레에 배치되며 굴착된 지반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임을 배출하기 위한 슬라임 배출공간부(310)를 형성하는 외부케이스(300)과; 상기 해머 비트(220)를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시에 생성되는 상기 슬라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슬라임 배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100)는 크레인(1)의 단부에 결합되어 크레인(1)에 의하여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압기와 연결되어 유압기가 구동함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유성기어(130)가 구동하면서 하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각각 돌출되게 구비된 로드결합부(110)와 외부케이스 결합부(120)가 회전 구동되도록 한다.
로드 결합부(110)는 구동부(100)의 중앙 영역 하면에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외부케이스 결합부(120)는 로드 결합부(110)와 동심원 상에 배치되며 로드 결합부(11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드 결합부(110)에는 로드(210)가 나사 결합되어 로드 결합부(110)의 회전 구동에 따라 함께 회전구동하며, 외부케이스 결합부(120)에는 외부케이스(300)가 고정 결합되어 외부케이스 결합부(120)의 회전 구동에 따라 함께 회전구동하게 된다.
외부케이스 결합부(120)의 내측 판면에는 'ㄱ'자 형상의 체결홈(121)이 함몰 형성되고, 외부케이스(300)의 측면에는 체결홈(121)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체결돌부(32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외부케이스 결합부(120)와 외부케이스(3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외부케이스 결합부(120)와 로드결합부(110)는 각각 상기 구동부(100) 내부에 설치된 유성기어(130)의 내측 태양기어(131)와 외측 태양기어(132)와 고정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케이스 결합부(120)는 로드결합부(11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외부케이스(300)를 로드(21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슬라임 배출공간부(310)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슬라임의 흡인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굴착부(200)는 로드결합부(110)에 고정 결합되어 로드결합부(110)가 회전 구동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하며 굴착된 지반의 내부로 연장 형성된 로드(210)와, 로드(2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지반과 접촉하면서 실질적으로 상기 지반을 천공하는 해머 비트(220)로 이루어진다.
로드결합부(110)의 결합되는 로드(210)의 상단부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210)는 굴착의 진행에 따라 그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상호 조립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210)의 내부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주입공(211)이 관통 형성되어, 지반을 굴착하면서 공기주입공(211)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슬라임이 슬라임 배출고안부(31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해머 비트(220)는 로드(2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지반에 직접적으로 타격을 가하거나 회전하면서 지반의 굴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하면에 복수의 팁이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외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싱 결합부(12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로드(210)와 상기 해머 비트(220)의 둘레에 배치되며 굴착된 지반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임을 배출하기 위한 슬라임 배출공간부(310)를 형성하게 된다.
외부케이스(300)의 내면에는 외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 결합부(120)에 형성된 체결돌부(121)와 체결하기 위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320)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라임 배출부(400)는 해머 비트(220)를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시에 생성되는 상기 슬라임을 슬라임 배출구(4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슬라임 배출부(400)는 슬라임 배출공간부(310)와 연통되며 구동부(100)의 외면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슬라임 배출구(410)와, 슬라임 배출구(410)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임을 흡입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슬라임 배출관(420)과, 슬라임 배출관(420)의 단부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상기 슬라임이 수용되는 슬라임 수용조(4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임 배출구(410) 내부의 구동부(100)의 내측 판면에는 슬라임 배출공간부(310)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송되는 슬라임을 슬라임 배출구(4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슬라임 배출구(410)와 연통되는 배출공(15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임 배출구(410) 내부의 구동부(100)의 내측 판면에는 상기 슬라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140)이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슬라임 배출공간부(31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 슬라임이 배출되는 방향을 안내함으로써 효과적인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 장치의 경우에는 가이드판(140)이 평탄한 판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가이드판(140)의 판면을 굴곡지게 형성하고 단부가 슬라임 배출구(410)로 연장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슬라임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 장치를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크레인(1)의 단부에 로드결합부(110)와 외부케이스 결합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구동부(100)가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후에 구동부(100)를 일정 높이에 배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드결합부(110)에 굴착부(200)를 구성하는 로드(210)를 결합시키고 로드(210)의 단부에는 해머 비트(220)를 결합시키고, 외부케이스 결합부(120)에 형성된 체결홈(121)과 외부케이스(300)에 형성된 체결돌부(320)를 이용하여 외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 결합부(120)에 결합시킨다.
로드(210)와 외부케이스(300)가 각각 로드결합부(110)와 외부케이스 결합부(120)에 결합 완료되면, 크레인(1)을 이용하여 구동부(100)를 하강 이동시켜 굴착하고자 하는 지반과 해머 비트(220)가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구동부(100)를 구동시켜 지반의 굴착이 시작되도록 한다.
여기서, 지반을 굴착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굴착부(200)가 결합된 로드결합부(110)가 회전 구동하면서 굴착부(200)의 로드(210)가 회전하게 되고, 로드(210)의 회전에 의하여 로드(210)의 단부에 구비된 해머 비트(220)가 회전 구동하여 지반을 파쇄하면서 굴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지반을 파쇄하여 굴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로드(2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공기주입공(211)을 통하여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여 슬라임이 슬라임 배출구(410)로 신속하게 흡인되도록 한다.
그리고, 외부케이스(300)가 결합된 외부케이스 결합부(120)는 로드결합부(110)와 반대로 회전하여 외부케이스(300)가 굴착부(200)와 반대로 회전하게 되는데, 그로 인하여 슬라임 배출공간부(310) 내부에서 와류가 형성되기 때문에 슬라임이 효과적으로 배출공간부(31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배출공(150)을 통과한 후에 슬라임 배출구(4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슬라임이 슬라임 배출구(410)로 배출시에 가이드판(140)에 의하여 슬라임 배출구(410) 측으로 이동이 안내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라임 배출구(4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슬라임은 슬라임 배출관(420)을 따라 이동한 후에 슬라임 수용조(430)에 수용된다.
그리고, 지반의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로드(210)의 길이와 외부케이스(300)의 길이를 연장시키면서 굴착을 진행하게 되며, 원하는 깊이만큼 굴착이 이루어지게 되면 크레인(1)을 이용하여 로드(210)와 외부케이스(30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굴착공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지반의 굴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굴착 장치는 해머 비트가 연결된 로드의 외부에 회전 구동하는 별도의 외부케이스를 설치하여 로드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에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임을 흡인시에 로드의 외면과 슬라임 및 외부케이스 내면과 슬라임의 마찰을 줄여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슬라임을 흡인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굴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크레인 100 : 구동부
110 : 로드결합부 120 : 외부케이스 결합부
130 : 유성기어 131 : 내측 태양기어
132 : 외측 태양기어 140 : 가이드판
200 : 굴착부 210 : 로드
220 : 해머 비트 300 : 외부케이스
310 : 슬라임 배출공간부 320 : 체결돌부
400 : 슬라임 배출부 410 : 슬라임 배출구
420 : 슬라임 배출관 430 : 슬라임 수용조

Claims (6)

  1. 에이치빔을 지반에 설치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굴착 장치로서,
    크레인(1)의 단부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로드결합부(1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드결합부(110)의 둘레에 외부케이스 결합부(120)가 구비된 구동부(100)와;
    상기 로드결합부(11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로드결합부(110)가 회전 구동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하며 굴착된 지반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공(211)이 형성된 로드(210)와, 상기 로드(2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반을 천공하는 해머 비트(220)로 이루어진 굴착부(200)와;
    상기 외부케이싱 결합부(12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로드(210)와 상기 해머 비트(220)의 둘레에 배치되며 굴착된 지반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임을 배출하기 위한 슬라임 배출공간부(310)를 형성하는 외부케이스(300)과;
    상기 해머 비트(220)를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시에 생성되는 상기 슬라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슬라임 배출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임 배출부(400)는 상기 슬라임 배출공간부(310)와 연통되며 상기 구동부(100)의 외면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슬라임 배출구(410)와, 상기 슬라임 배출구(410)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임을 흡입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슬라임 배출관(420)과, 상기 슬라임 배출관(420)의 단부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상기 슬라임이 수용되는 슬라임 수용조(430)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임 배출구(410) 내부의 상기 구동부(100)의 내측 판면에는 상기 슬라임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판면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슬라임 배출구(410)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판(140)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싱 결합부(120)는 상기 로드결합부(11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상기 외부케이스(300)를 상기 로드(21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상기 슬라임 배출공간부(310)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며, 상기 외부케이스 결합부(120)와 상기 로드결합부(110)는 각각 상기 구동부(100) 내부에 설치된 유성기어(130)의 내측 태양기어(131)와 외측 태양기어(132)와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300)의 측면에는 체결돌부(3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 결합부(120)의 내측 판면에는 상기 체결돌부(320)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ㄱ'자 형상의 체결홈(121)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 장치.
KR1020210107674A 2021-08-13 2021-08-13 굴착 장치 KR102625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674A KR102625406B1 (ko) 2021-08-13 2021-08-13 굴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674A KR102625406B1 (ko) 2021-08-13 2021-08-13 굴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293A KR20230025293A (ko) 2023-02-21
KR102625406B1 true KR102625406B1 (ko) 2024-01-17

Family

ID=8532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674A KR102625406B1 (ko) 2021-08-13 2021-08-13 굴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4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739Y1 (ko) * 1998-03-31 2000-06-01 신영철 지하굴착장비용 슬라임 배출장치
KR102132384B1 (ko) * 2019-09-11 2020-07-09 박천호 강관 파일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739Y1 (ko) * 1998-03-31 2000-06-01 신영철 지하굴착장비용 슬라임 배출장치
KR102132384B1 (ko) * 2019-09-11 2020-07-09 박천호 강관 파일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293A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159B1 (ko) 말뚝공 굴착 장치
KR101302554B1 (ko) 지반 천공용 해머의 비트
CN107002379B (zh) 利用挖掘机的挖掘装置
KR20060101053A (ko) 수평관 추진용 조합해머
KR102625406B1 (ko) 굴착 장치
CN112901074A (zh) 一种海上大直径斜桩旋挖机嵌岩钻进成孔工艺
KR102464394B1 (ko) 말뚝의 확대선단보강부를 형성하기 위한 회전관입로드
KR102505718B1 (ko) 연약지반 굴착용 비트
CN220267601U (zh) 旋挖机桶钻附加引泥板
KR0145495B1 (ko) 멀티해머오가머신과 싱글해머오가머신을 복합한 지반굴착 방법과 그 장치
KR100478234B1 (ko) 스크류함마를 이용한 파일 시공장치
CN207033350U (zh) 一种复合型多功能岩土螺旋钻具
KR101237749B1 (ko) 쉴드공법에 사용되는 추진장치의 헤드
KR100855709B1 (ko) 리퍼 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KR200390760Y1 (ko) 제방뚝 및 연약지반 지중 물막이 연속벽 시공장치
CN220580962U (zh) 一种岩土体内可旋切成孔钻头
CN216197860U (zh) 一种回转旋挖套筒
CN205713988U (zh) 一种高效旋挖入岩钻头
JP3246049U (ja) 油圧ショベルを駆動装置とする硬質地盤用掘削機
KR102296781B1 (ko) 지반 천공용 다단 비트
KR200285602Y1 (ko) 스크류함마를 이용한 파일 시공장치
CN216767268U (zh) 一种组合式钻头
CN203625892U (zh) 长螺旋冲击桩机
JP6875707B2 (ja) 掘削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掘削方法
KR100562465B1 (ko) 보링용 교반함마장치 및 그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