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381B1 - Motor vehicle lighting modul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ized image - Google Patents

Motor vehicle lighting modul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ized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381B1
KR102625381B1 KR1020180049382A KR20180049382A KR102625381B1 KR 102625381 B1 KR102625381 B1 KR 102625381B1 KR 1020180049382 A KR1020180049382 A KR 1020180049382A KR 20180049382 A KR20180049382 A KR 20180049382A KR 102625381 B1 KR102625381 B1 KR 102625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module
light
matrix
light source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1417A (en
Inventor
피에르 알보
뱅상 고드빌론
Original Assignee
발레오 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비젼 filed Critical 발레오 비젼
Publication of KR2018012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4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381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21S41/153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arranged in a matri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changing their light transmissivity, e.g. by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 F21S41/64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changing their light transmissivity, e.g. by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by electro-optic means, e.g.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Guidance using head up displays or projectors, e.g. virtual vehicles or arrows projected on the windscreen or on the road itsel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modul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e.g. micromirr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 G09G3/362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using liquid crystals having memory effect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09G3/364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using liquid crystals having memory effect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with use of subpix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2Driving therefor
    • H04N9/3126Driving therefor for spatial light modulators in s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38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arrays of modulate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7Improvement of perceived resolution by subpixel re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셀화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빔을 투사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조명 모듈은 광원(102) 및 이 광원(102)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200)를 포함하며, 픽셀화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광원(102)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활성 소자(202)의 매트릭스(201)를 포함한다.
광원(102)은 방출 소자(134)의 매트릭스를 포함하며, 이 중에서 2개 이상의 방출 소자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고, 방출 소자(134)의 매트릭스 및 활성 소자(202)의 매트릭스는, 각각의 활성 소자(202)가 방출 소자(134)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일부에 걸쳐 배치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module for an automobil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ated image. The illumination module includes a light source 102 and a device 200 for processing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02, wherein the light beam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02 is formed in a manner that forms a pixelated image. It includes a matrix 201 of active elements 202 configured to process at least some of them.
The light source 102 includes a matrix of emitting elements 134, of which two or more emitting elements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and the matrix of emitting elements 134 and the matrix of activating elements 202 are each The active elements 202 are offset relative to each other in such a way that they are positioned over a portion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 134 .

Description

픽셀화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빔을 투사하도록 구성된 자동차 조명 모듈{MOTOR VEHICLE LIGHTING MODUL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IZED IMAGE}Automotive lighting modul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ated image {MOTOR VEHICLE LIGHTING MODUL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IZED IMAGE}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자동차 조명 분야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픽셀화된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조명 모듈 및 이것의 자동차 헤드라이트에의 결합에 관한 것이다.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utomotive lighting fiel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module configured to project a pixelated image and its coupling to an automobile headlight.

자동차에는 야간이나 낮은 조명 조건 하에서 차량의 전방의 도로를 전체 광빔으로 비추도록 되어 있는 헤드라이트나 헤드램트 유형의 투사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헤드라이트, 좌측 헤드라이트 및 우측 헤드라이트는 각각 전체 광빔을 형성하는 부분 광빔을 생성 및 지향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조명 모듈을 포함한다. Motor vehicles are equipped with headlights or headlamp-type projection devices that are designed to illuminate the entire road in front of the vehicle with a beam of light at night or under low light conditions. These headlights, the left headlight and the right headlight, each include one or more lighting modules configured to generate and direct partial light beams to form the overall light beam.

모든 도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인 법정 조명 기능에 더하여 자동차 제조사 및 원본 설비 제조사는 운전을 용이화하는 장치, 특히 차량의 상태, 긴급 상황의 검출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의 프리젠테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도모한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정보를 보기 위해 도로 장면으로부터 시선을 돌릴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해 도로 장면 상에 정보를 투사하기 위한 조명 모듈이 개발되어 왔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이들 조명 모듈은 차량의 탑승자가 볼 정보의 경우에는 그 전방 이동 방향에 대해 차량의 전방에 투사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뒤따르는 차량의 탑승자가 볼 정보의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에 투사하도록 구성된다. 보게 될 정보는, 예를 들면, 차량에 장착된 위성 네비게이션 장치가 다음 턴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화살표를, 또는 긴급 상황이 차량의 급정거와 관련되는 경우에는 느낌표 등과 같이, 용이하게 이해되는 픽토그램의 형태를 취한 픽셀화된 이미지의 형태로 도로 상에 투사된다.In addition to the statutory lighting functions that are essential for the safety of all road users, car manufacturers and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s also provide devices that facilitate driving, in particular devices that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s status, detection of emergency situations or presentation of navigation information. promote what is being proposed. For example, lighting modules have been developed to project information onto a road scene so that drivers do not have to look away from the road scene to see the information. More precisely, these lighting modules are configured to project to the front of the vehicle in the direction of its forward movement, in the case of information to be viewed by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or to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e case of information to be viewed by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following. It is composed. The information you will see will be in the form of easily understandable pictograms, for example, an arrow if the vehicle's satellite navigation device has detected the next turn, or an exclamation point if the emergency involves a sudden stop of the vehicle. It is projected onto the road in the form of a pixelated image.

도 1은 픽셀화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빔을 투사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유형의 조명 모듈(1)의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 이 조명 모듈은 마이크로미러의 매트릭스(5)를 향해 빔의 광선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반사기(4)의 방향으로 광빔(3)을 방출하는 광원(2)을 포함한다. 광원은 반사기의 이미지 초점의 부근에 배치되고, 마이크로미러 매트릭스는 상기 반사기의 이미지 초점의 부근에 배치되어, 반사기의 반사 내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선은 마이크로미러 매트릭스(5) 상에 집중되어 모든 마이크로미러를 비춘다. 마이크로미러 매트릭스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미러들을 포함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로서, 마이크로미러 매트릭스(5)는 각 면 상에 500개 내지 800개의 미러로 형성되며, 각각의 미러는 7 내지 10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각각의 마이크로미러는 마이크로미러가 투사 광학 시스템의 방향으로 입사 광빔을 반사하는 활성 위치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발광성 복사 흡수체 소자의 방향으로 입사 광빔을 반사하는 불활성 위치 사이에서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장착된다. 마이크로미러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반사되면, 광빔은 조명 모듈(1)의 디옵터(6)를 통과하여 광빔을 투사한다.Figure 1 shows one embodiment of an illumination module 1 of the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typ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ated image. For this purpose, this lighting module comprises a light source 2 which emits a light beam 3 in the direction of a reflector 4 configured to deflect the rays of the beam towards the matrix 5 of micromirrors. The light source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image focus of the reflector, and the micromirror matrix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image focus of the reflector, so that the light ray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inner surface of the reflector are concentrated on the micromirror matrix 5 and are reflected by all micromirrors. illuminates The micromirror matrix includes mirrors that can rot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micromirror matrix 5 is formed of 500 to 800 mirrors on each side, and each mirror may have a size of about 7 to 10 micrometers. More precisely, each micromirror has an axis between an active position where the micromirror reflects the incident light beam in the direction of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and an inactive position where the micromirror reflects the incident light beam in the direction of a luminescent radiation absorber element, not shown in Figure 1. It is mounted to pivot around the center. When reflected by at least part of the micromirror, the light beam passes through the diopter 6 of the illumination module 1 to project the light beam.

이 조명 모듈(1)은 도로 장면 상에 투사되도록 된 픽셀화된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고해상도 픽셀화 및 디지털화된 광빔(7)을 디옵터(6)의 출구에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광빔(7)을 구성하는 각각의 픽셀 또는 픽셀화 광선은 마이크로미러에 의해 편향되는 원본 빔(3)의 일부에 대응하고, 그러면 제어 모듈(8)을 사용하여 각각의 마이크로미러를 제어함으로써 이들 마이크로픽셀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정의 특징은 도로 상의 마킹(marking)에 대한 요구사항에 따라 디옵터(6)의 출구에서 임의의 요구되는 형상의 광빔(7)을 설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차량의 전방의 투사 영역 상에 픽토그램을 나타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DMD 유형의 조명 모듈은 도로 상에 픽셀화된 이미지의 투사를 가능하게 한다. This illumination module 1 is capable of providing at the exit of the diopter 6 a high-resolution pixelated and digitized light beam 7 forming all or part of a pixelated image intended to be projected onto a road scene. Each pixel or pixelated ray that makes up this light beam 7 corresponds to a portion of the original beam 3 that is deflected by a micromirror, and then the control module 8 is used to control each micromirror to control these micromirrors. It is possible to activate or deactivate micropixels. This specific feature makes it possible to design the light beam 7 of any required shape at the exit of the diopter 6 depending on the requirements for marking on the road, especially in the projection area in front of the vehicle. It makes it possible to display pictograms. Therefore, a lighting module of the DMD type as described above enables the projection of pixelated images on the road.

픽셀화된 이미지의 해상도는 제어가능한 마이크로미러의 수에 의존한다. 마이크로미러를 선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메커니즘은 진동 및 온도 변화에 민감하며, 가동식 마이크로미러 매트릭스의 사용은 매트릭스의 크기에 비해 마이크로미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약해지고, 그 크기 자체는 구성요소의 비용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마이크로미러 선회 메커니즘의 파손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현재 자동차 헤드라이트에서 매우 고해상도의 DMD 유형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The resolution of the pixelated image depends on the number of controllable micromirrors. The mechanisms used to pivot the micromirrors are sensitive to vibration and temperature changes, and the use of a moveable micromirror matrix becomes increasingly fragile as the number of micromirrors increases relative to the size of the matrix, and the size itself depends on the cost of the components. limited by Therefore, it is currently difficult to use very high-resolution DMD-type devices in automobile headlights due to the high risk of damage to the micromirror turning mechanism.

본 발명은 이러한 문맥 내에 속하며, 단위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및/또는 오작동의 위험성을 제한하기 위해 감소되는 전술한 마이크로미러 유형의 다수의 활성 소자를 갖는 픽셀화된 이미지의 투사를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조명 모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alls within this context and provides automotive lighting that enables the projection of pixelated images with a reduced number of active elements of the above-described micromirror type in order to reduce unit costs and/or limit the risk of malfunctions. The purpose is to propose a modul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픽셀화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빔을 투사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조명 모듈을 제안한다. 이 조명 모듈은 광원 및 이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이 처리 장치는 픽셀화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활성 소자”는, 활성 소자가 활성화된 경우에, 필요한 장면, 예를 들면, 도로 장면의 방향으로 비추는 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도록 된 표면을 의미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lighting module for an automobil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ated image. This lighting module includes a light source and a device for processing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More precisely, the processing device comprises a matrix of active elements configured to proces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the light source in a manner to form a pixelated image. “Active element” means a surface adapted to at least partially transmit light shining in the direction of a required scene, for example a road scene, when the active element is activated.

본 발명은 광원이 방출 소자의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이들 중 2개 이상의 방출 소자는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고, 방출 소자의 매트릭스 및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는, 각각의 활성 소자가 방출 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일부에 걸쳐 배치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source comprising a matrix of emitting elements, at least two of which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wherein the matrix of emitting elements and the matrix of active elements are such that each active element is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 They are characterized by being offset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such a way that they are disposed over a portion of the light beam.

“광빔의 일부에 걸쳐”는 각각의 활성 소자가 방출 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빔의 일부에만 걸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각각의 활성 소자는 광선을 반사시키거나 굴절시키기 위해 방출 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빔의 이 부분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 방출 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이 광빔을 형성하는 광선의 나머지는 활성 소자 매트릭스의 외부 또는 그 매트릭스의 다른 활성 소자로 지향된다. 따라서, 활성 소자가 활성화되고, 단일의 방출 소자에 의해 조사되는 경우, 이 활성 소자는 상기 방출 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일부를 투과시킨다. 투과된 광빔은 필요한 장면 상으로 투사되어 픽셀을 형성한다. 명백하게 방출 소자로부터의 광빔은 활성 소자의 표면의 일부만을 조사한다. 따라서, 활성 소자의 전체 표면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방출 소자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동일한 활성 소자가 활성화되고 복수의 방출 소자에 의해 조사되는 경우, 활성 소자는 방출 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복수의 부분을 투과시킨다. 그러면 투과된 광빔은 픽셀화된 이미지의 복수의 픽셀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활성 소자만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픽셀화된 이미지의 2개 이상의 픽셀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으로 인해, 단일 활성 소자의 활성화하면 하나 이상의 방출 소자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픽셀이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방출 소자는 활성 소자를 부분적으로 조명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장치에 비해, 동일한 이미지 해상도에 대해, 본 발명은 유리하게도 더 적은 수의 마이크로미러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더 작은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이는 더 저렴하거나 더 큰 마이크로미러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이들 활성 소자의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Over a portion of the light beam” means that each active element is positioned over only a portion of the beam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 That is, each active element is affected only by that portion of the beam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 to reflect or refract the light rays. The remainder of the rays forming this light beam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 are directed out of the active element matrix or onto other active elements of the matrix. Accordingly, when an active element is activated and illuminated by a single emitting element, this active element transmits a part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said emitting element. The transmitted light beam is projected onto the required scene to form a pixel. Obviously the light beam from the emitting element illuminates only part of the surface of the active el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wo or more emitting elements in order to irradiate the entire surface of the active elements. For this reason, when the same active element is activated and illuminated by a plurality of emitting elements, the active element transmits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s. The transmitted light beam then forms a plurality of pixels of a pixelated image. Therefore, it is clear that it is possible to form two or more pixels of a pixelated image by activating only one active element. For this reason, due to the invention, activation of a single active element allows more than one pixel to be formed by activating more than one emitting element, each emitting element partially illuminating the active element. Therefore, compared to conventional devices as described above, for the same image resolution, the invention advantageously makes it possible to use fewer micromirrors, which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smaller processing device, and thus This makes it possible to use cheaper or larger micromirrors, which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se active elements.

다시 말하면, 각각의 매트릭스 내에서 이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소자는 구분선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점에서 오프셋되고, 처리 장치의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 및 처리 장치의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 상에 투사되는 광원의 방출 소자의 매트릭스의 이미지가 주어지는 경우에, 구분선은 중첩되지 않음이 분명하다. In other words, within each matrix the elements constituting this matrix are offset at the point where they are separated by a dividing line, and the matrix of the active elements of the processing device and the emitting elements of the light source projected onto the matrix of the active elements of the processing device Given the image of the matrix, it is clear that the dividing lines do not overlap.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방출 소자는 2개 이상의 인접한 활성 소자를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방출 소자는 4개 이상의 인접한 활성 소자를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수적으로, 각각의 활성 소자는 4개 이상의 방출 소자에 의해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명백하게, 활성 소자의 전체를 조사하기 위한 방출 소자의 수를 증가시키면 활성 소자가 이미지에서 형성할 수 있는 픽셀의 수가 증가된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해상도를 가진 이미지에 대해, 상기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활성 소자의 수가 감소된다.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each emitting element can be configured to irradiate two or more adjacent active elements. Each emitting elemen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rradiate four or more adjacent active elements. Incidentally, each active element is configured to be irradiated by four or more emitting elements. Obviously, increasing the number of emitting elements to illuminate the entirety of the active element increases the number of pixels that the active element can form in the image. In other words, for an image with the same resolution, the number of active elements to form the image is reduc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방출 소자의 매트릭스의 표면적은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의 표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매트릭스의 연부를 한정하는 각각의 활성 소자의 표면이 복수의 방출 소자에 의해 전체적으로 조사되도록 보장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urface area of the matrix of the emitting element may be larg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matrix of the active element. This ensures that the surface of each active element defining the edges of the matrix is entirely irradiated by the plurality of emitting elements.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방출 소자의 표면적은 하나 이상의 활성 소자의 표면적과 동등할 수 있다. 방출 소자의 표면적과 활성 소자의 표면적은 방출 소자의 매트릭스와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 사이의 광학적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방출 소자와 활성 소자 사이에는 일정한 오프셋을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the surface area of the one or more emitting elements may be equivalent to the surface area of the one or more active elements. The surface area of the emitting element and the surface area of the active element are preferably the same to facilitate optical alignment between the matrix of the emitting element and the matrix of the active element, and there is a certain offset between the emitting element and the active element.

명백하게, 이전의 2개의 특징에서, 표면적 비교는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 상으로의 하나 이상의 방출 소자의 투사된 표면적과 방출 소자가 특정 배율로 투사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활성 소자의 표면적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원의 크기는 최소화될 수 있다. Obviously, in the previous two features, a surface area comparison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projected surface area of the one or more emitting elements onto the matrix of active elements and the surface area of the one or more active elements when the emitting elements are projected at a certain magnification. . Because of this, the size of the light source can be minimized.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방출 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처리 장치 상으로의 투사의 표면적은 하나 이상의 활성 소자의 표면적과 동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the surface area of projection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 onto the processing device may be equivalent to the surface area of the one or more active elements.

다른 특징에 따르면, 조명 모듈은 픽셀화된 이미지를 장치의 외부에 투사하는 방식으로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와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 1 투사 광학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투사 광학기기는 하나 이상의 렌즈, 하나 이상의 반사기, 하나 이상의 광 가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광학 소자를 포함한다. 전술한 광학 소자의 각각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the lighting module may comprise first projection optics arranged to face the matrix of active elements in such a way as to project a pixelated image to the exterior of the device. Projection optics include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such as one or more lenses, one or more reflectors, one or more light guides, or combinations there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optical elements may have various shapes.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활성 소자는 방출 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일부를 반사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는 복수의 회전가능한 DMD 유형의 마이크로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투사 광학기기 및 광원은 처리 장치의 동일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the one or more active elements can reflect a portion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matrix of the active elemen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rotatable micromirrors of DMD type. In this case, the projection optics and the light source can be placed on the same side of the processing device.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활성 소자는 방출 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일부를 굴절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활성 소자는 액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특히,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는LCD 유형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투사 광학기기 및 광원은 처리 장치의 반대 면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광원은 처리 장치에 인접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the one or more active elements may be configured to deflect a portion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 One or more active elements may take the form of liquid crystals. In particular, the matrix of active elements can form an LCD type screen. In this case, the projection optics and the light source can each be placed on opposite sides of the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light source may be adjacent to the processing device.

다른 특징에 따르면, 조명 모듈은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 상에 투사하는 방식으로 광원과 처리 장치 사이에 배치된 제 2 투사 광학기기를 포함한다. 투사 광학기기는 하나 이상의 렌즈, 하나 이상의 반사기, 하나 이상의 광 가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광학 소자를 포함한다. 전술한 광학 소자의 각각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the lighting module comprises second projection optics arranged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processing device in such a way as to project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onto the matrix of active elements. Projection optics include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such as one or more lenses, one or more reflectors, one or more light guides, or combinations there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optical elements may have various shapes.

다른 특징에 따르면, 조명 모듈은 방출 소자의 점등 및/또는 소등과 처리 장치의 활성 소자의 구성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소자의 구성을 제어한다”는 것은,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가 DMD 유형인 경우에, 제어 모듈이 하나 이상의 가동형 마이크로미러를 선회시킬 수 있는 가능성 또는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가 LCD 유형의 스크린인 경우에, 하나 이상의 액정 셀의 투과율을 수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the lighting module may comprise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control the lighting and/or extinguishing of the emitting element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ctive elements of the processing device. “Control the configuration of the active elements” means the possibility of the control module to pivot one or more movable micromirrors, if the matrix of the active elements is of the DMD type, or if the matrix of the active elements is a screen of the LCD type. , refers to the possibility of modifying the transmittance of one or more liquid crystal cells.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방출 소자는 광빔을 방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서브밀리미터(submillimetre) 크기의 전계발광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 분야에서는 기판 상에 성장된 복수의 전계발광 로드를 이용하여 전계 발광 부품을 제조하여 3 차원 토폴로지를 생성하는 기술이 적용된다. 명백하게, 3 차원 토폴로지는 자동차 분야에서 이전에 공지된 발광 다이오드, 실질적으로 평면인 다이오드에 비해 발광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더 낮은 단위 비용으로 매우 밝은 조명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each emitting element may comprise one or more submillimeter sized electroluminescent rods for emitting a light beam. Therefore, in the automotive field, a technology is applied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topology by manufacturing electroluminescent components using a plurality of electroluminescent rods grown on a substrate. Clearly, the three-dimensional topology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light-emitting surface area compared to previously known light-emitting diodes in the automotive field, substantially planar diode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very bright lights at lower unit costs.

방출 소자, 특히 이 경우에는 전계발광 로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어서 광원의 2개 이상의 방출 소자가 선택적으로 조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는 사실, 및 이들 방출 소자로부터 분리된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이 제공되어 방출 소자의 점등 또는 소등을 동시에 또는 비동시에 각각 개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사실은 투사하고자 하는 픽셀화된 이미지에 따라 발현될 수 있는 픽셀화된 광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The fact that the emitting elements, in particular the electroluminescent rods in this case,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so that two or more emitting elements of the light source can be arranged to be selectively illuminated, and a module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separate from these emitting elements. The fact that the emitting elements can be individually turned on or off simultaneously or non-simultaneously makes it possible to generate pixelated light that can be expressed according to the pixelated image to be projected.

전계발광 로드는 기판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특히 그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기판은 실리콘 또는 실리콘 탄화물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명백하게, 기판은 이것이 실리콘을 주로, 예를 들면, 50% 이상, 실제로는 약 99% 포함하는 경우,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다. The electroluminescent rod may protrude from the substrate and, in particular,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substrate. The substrate may be based on silicon or silicon carbide. Obviously, a substrate is based on silicon if it contains predominantly silicon, for example more than 50%, in fact about 99%.

별개로 고려되거나 다른 것과의 조합으로 고려되는 전계발광 로드의 구조 및 기판의 이들 전계발광 로드의 배치에 특화된 일련의 특징에 따르면,According to a set of features specific to the structure of the electroluminescent rods and the arrangement of these electroluminescent rods in the substrate, consider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with others,

- 각각의 로드는 원통형 일반적인 형상, 특히 다각형 단면을 가지며; 각각의 로드는 동일한 일반적인 형상, 특히 육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each rod has a cylindrical general shape, in particular a polygonal cross-section; Each rod may have the same general shape, in particular a hexagonal shape;

- 로드의 각각은 말단 면 및 높이를 형성하는 로드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주방향의 벽에 의해 형성되고, 광은 적어도 원주방향의 벽으로부터 방출되고, 광은 말단 벽에 의해 동등하게 방출될 수 있다;- each of the rods is formed by a circumferential wall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rod defining the end face and height, the light being emitted from at least the circumferential wall, the light being emitted equally by the end walls. can be;

- 각각의 로드는 원주방향의 벽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말단 면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변형례에서 이 말단 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거나 볼록하거나 또는 그 중심이 뾰족할 수 있다;- each rod may have an end fac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ircumferential wall, which in various variants may be substantially planar, convex or pointed at its center;

- 로드는 주어진 정렬의 2개의 연속하는 로드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갖거나 로드가 퀸컨스(quincunx)로 배치되는 2 차원 매트릭스로 배치된다;- The rods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with constant spacing between two consecutive rods of a given arrangement or with the rods arranged quincunx;

- 로드의 높이는 1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이다;- the height of the rod is 1 to 10 micrometers;

- 말단 면의 최대 치수는 2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다; - the maximum dimension of the distal face is less than 2 micrometers;

- 2개의 인접하는 로드를 분리하는 거리는 최소 2 마이크로미터 내지 최대 100 마이크로미터이다.- The distance separating two adjacent rods is a minimum of 2 micrometers and a maximum of 100 micrometers.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서브밀리미터 크기의 전계발광 로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광원은 로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는 봉입체(encapsulation)를 형성하는 폴리머 재료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종류의 봉입체는 기판 상에 퇴적되어 로드를 피복하고, 봉입체는 적어도 최고 높이의 로드를 피복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폴리머 재료는 실리콘을 기반으로 할 수 있고, 폴리머 재료는 이것이 실리콘을 주로, 예를 들면, 50% 이상, 실제로는 약 99% 포함하는 경우,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다고 이해된다. 폴리머 재료의 층은 복수의 로드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발생되는 광에 의해 여기되는 하나의 발광단(luminophore) 또는 복수의 발광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단, 또는 광 변환기는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여기 광(excitation light)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도록, 그리고 상기 흡수된 여기 광의 적어도 일부를 여기 광의 파장과 다른 파장을 갖는 방출된 광으로 변환시키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전계발광 재료의 존재를 의미한다. 이 발광단 또는 이 복수의 발광단은 폴리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거나, 폴리머 재료의 층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a semiconductor light source comprising a plurality of submillimeter-sized electroluminescent rods may further comprise a layer of polymer material forming an encapsulation in which the rods are at least partially embedded, this type of enclosure being It is deposited on the substrate and covers the rod, and the enclosure advantageously extends to cover the rod at least at its full height. The polymer material may be based on silicone, and a polymer material is understood to be based primarily on silicone if it comprises primarily silicone, for example more than 50%, in fact about 99%. The layer of polymer material may include a luminophore or a plurality of luminophores that are excited by light generated by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rods. A luminophore, or light converter, is designed to absorb at least a portion of the excitation light emitted by a light source and to convert at least a portion of the absorbed excitation light into emitted light having a wavelength different from the wavelength of the excitation light. mean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This luminophore or plurality of luminophores may be at least partially embedded in the polymer or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layer of polymer material.

대안적으로,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방출 소자는 광빔을 방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서브밀리미터 크기의 전계발광 스터드(stu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터드는, 예를 들면, 실리콘 탄화물의 특히 n 도핑된 GaN 제 1 층 및 p 도핑된 GaN 제 2 층의 에피택시얼 성장에 의해 형성되며, 전체는 동일한 기판으로부터 생성되는 복수의 픽셀을 형성하기 위해 (연삭 및/또는 연마에 의해) 절삭된다. 이러한 종류의 설계의 결과, 동일한 기판으로부터 생성되는, 그리고 서로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전계발광 블록이 얻어진다. 단일 기판은 100 내지 800 μm, 특히 2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블록은 각각 50 μm 내지 500 μm, 바람직하게는 100 μm 내지 200 ㎛의 폭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변형례에서, 길이 및 폭은 동일하다. 각각의 블록의 높이는 500 μm 미만, 바람직하게는 300 μm 미만이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블록의 출광면은 에피택시얼 성장의 반대면 상의 기판에 있을 수 있다. 2개의 인접한 픽셀들 사이의 분리 거리는 1 mm 미만, 특히 500 μm 미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μ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0 μm 미만일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each emitting element may comprise one or more submillimeter sized electroluminescent studs for emitting a light beam. These studs are formed by epitaxial growth of, for example, silicon carbide, in particular a first layer of n-doped GaN and a second layer of p-doped GaN, to form a plurality of pixels entirely created from the same substrate. is cut (by grinding and/or polishing) to The result of this type of design is a plurality of electroluminescent blocks produced from the sam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selectively activate one another. A single substrate may have a thickness of 100 to 800 μm, especially 200 μm, and each block may have a width and length respectively of 50 μm to 500 μm, preferably 100 μm to 200 μm. In one variation, the length and width are the same. The height of each block is less than 500 μm, preferably less than 300 μm. Finally, the light exit side of each block may be on the substrat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pitaxial growth.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pixels may be less than 1 mm, especially less than 500 μm, preferably less than 100 μm, more preferably less than 20 μm.

방출 소자, 특히 이 경우에는 전계발광 스터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어서 광원의 2개 이상의 방출 소자가 선택적으로 조명되도록 배출될 수 있다는 사실, 및 이들 방출 소자로부터 구별되는 조명 제어 모듈이 제공되어 각각의 방출 소자의 점등 또는 소등을 각각 개별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또는 비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는 사실은 투사하고자 하는 픽셀화된 이미지에 따라 발현될 수 있는 픽셀화된 광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The fact that the emitting elements, in particular the electroluminescent studs in this case,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so that two or more emitting elements of the light source can be emitted to be selectively illuminated, and that an illumination control module distinct from these emitting elements is provided so that each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turn on or off the emitting elements individually and simultaneously or non-simultaneously makes it possible to generate pixelated light that can be produced depending on the pixelated image to be projected.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조명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동차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조명 장치는 헤드라이트, 후미등, 또는 실내 조명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종류의 헤드라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utomotive lighting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of the lighting modules described above. This lighting device may consist of headlights, taillights, or interior lighting systems.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otor vehicle comprising a headlight of this type.

물론, 본 발명의 특징, 변형례, 및 다양한 실시형태는 호환되지 않거나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면 다양한 조합으로 서로 관련될 수 있다. Of course, features, vari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lated to each other in various combinations if not incompatible or mutually exclusive.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설명 및 도면에 비추어 더 명백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in light of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도 1은 픽셀화된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조명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모듈의 측면도로서,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대면하는 반도체 광원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반도체 광원의 개략 사시도로서, 기판 상에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전계발광 로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련의 전계발광 로드의 단면을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상의 전계발광 로드의 배열체의 개략도로서,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전계발광 로드의 2개의 영역을 구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광원의 상세 단면도로서, 2개의 전계발광 로드가 기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전계발광 로드는 보호층에 봉입되어 있다;
도 6은 방출 소자의 매트릭스의 정면도로서, 각각의 방출 소자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광원의 하나 이상의 전계발광 로드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모듈에서 사용되는 광 처리 장치의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와 도 6의 방출 소자의 매트릭스의 투사된 이미지의 중첩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7a는 활성화된 방출 매트릭스의 4개의 소자의 이미지의 전방에 위치된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의 비활성화된 활성 소자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활성화된 방출 매트릭스의 4개의 소자의 이미지의 전방에 위치된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의 활성화된 활성 소자의 정면도이고;
도 7c는 활성화된 방출 매트릭스의 3개의 소자의 이미지와 비활성화된 방출 매트릭스의 소자의 이미지의 전방에 위치된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의 활성화된 활성 소자의 정면도이고;
도 7d는 활성화된 방출 매트릭스의 2개의 소자의 이미지와 비활성화된 방출 매트릭스의 소자의 이미지의 전방에 위치된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의 활성화된 소자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모듈의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명 모듈에서 사용된 광 처리 장치의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와 도 8의 조명 모듈에서 사용된 광원의 방출 소자의 매트릭스의 투사된 이미지의 중첩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llumination module configured to project a pixelated image;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lighting modu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showing a semiconductor light source facing a device for processing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emiconductor light source of Figure 2,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oluminescent rods projecting above a substrate, wherein a cross-section of a series of electroluminescent rods is visible;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rrangement of electroluminescent rods on a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two regions of electroluminescent rods that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Figure 5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onductor light source according to one particula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wo electroluminescent rods protruding from a substrate, the electroluminescent rods being enclosed in a protective layer;
Figure 6 is a front view of a matrix of emitting elements, each emitting element comprising one or more electroluminescent rods of light sources as shown in Figures 3-5;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uperimposition of a projected image of the matrix of the emitting elements of Figure 6 with the matrix of active elements of the light processing device used in the lighting module shown in Figure 1;
Figure 7a is a front view of a deactivated active element of a matrix of active elements positioned in front of an image of four elements of an activated emitting matrix;
Figure 7b is a front view of an activated active element of a matrix of active elements positioned in front of an image of four elements of the activated emitting matrix;
Figure 7c is a front view of an image of three elements of an activated emitting matrix and an activated active element of a matrix of active elements positioned in front of an image of an element of a deactivated emitting matrix;
Figure 7d is a front view of an activated element of a matrix of active elements positioned in front of an image of two elements of an activated emitting matrix and an image of an element of a deactivated emitting matrix;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ghting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a superposition of a projected image of a matrix of active elements of a light processing device used in the lighting module shown in FIG. 8 and a matrix of emitting elements of a light source used in the lighting module of FIG. 8 .

본 발명은 도로 장면 상에 픽셀화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빔을 투사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조명 모듈을 제안하는 것임을 기억해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조명 모듈(10)은 제어 모듈(101), 이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광원(102), 및 광원에 의해 방출되고 제어 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광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200)를 포함한다.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lighting module for an automobil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ated image on a road scene. The lighting module 10 described below includes a control module 101, a light source 102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and a device for processing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101 ( 2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모듈(10)은 외부 렌즈(104)에 의해 폐쇄된 하우징(103)으로 형성된 조명 장치(여기서는, 헤드라이트) 내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모듈(10)은 광원(102)에 의해 방출되는 광선의 적어도 일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 1 광학기기(106)를 포함한다. 제 1 광학기기(106)는 광원(102)에 의해 방출되는 광선의 적어도 일부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 the lighting module 10 is accommodated within a lighting device (here a headlight) formed by a housing 103 closed by an external lens 104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lighting module 10 includes first optics 106 for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rays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02 . The first optics 106 are configur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rays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02 .

광원(102)은 방출 소자 및 특히 서브밀리미터 크기의 전계발광 로드, 즉 전계발광 로드를 가진 소스가 최소 1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높이를 갖는 반면에 수 나노미터 정도의 두께로 인해 실질적으로 평면 소스와 유사한 종래의 2 차원 소스와 대조적인 이하에서 설명되는 3 차원 반도체 소스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스이다. The light source 102 is a conventional emitting element and in particular an electroluminescent rod of submillimeter size, i.e. a conventional electroluminescent rod substantially similar to a planar source due to its thickness of the order of several nanometers, while the source with the electroluminescent rod has a height of at least 1 micrometer. A semiconductor source that includes a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source described below in contrast to a two-dimensional sourc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2)은 이하에서 전계발광 로드(108)로 지칭되는 복수의 서브밀리미터 크기의 전계발광 로드(108)를 포함한다. 이들 전계발광 로드(108)는 동일한 기판(110)으로부터 유래한다. 여기서 갈륨 질화물(GaN)을 이용하여 형성된 각각의 전계발광 로드는 실리콘을 기반으로 하는 기판으로부터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며, 본 발명의 문맥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실리콘 탄화물과 같은 다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계발광 로드는 알루미늄 질화물과 갈륨 질화물의 합금(AlGaN)으로 제조되거나, 알루미늄, 인듐 및 갈륨의 합금(AlInGaN)으로 제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 light source 102 includes a plurality of submillimeter sized electroluminescent rods 108, hereinafter referred to as electroluminescent rods 108. These electroluminescent rods 108 originate from the same substrate 110. Here each electroluminescent rod formed using gallium nitride (GaN) protrudes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from a silicon-based substrate, although other materials such as silicon carbide may also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or example, the electroluminescent rod may be made of an alloy of aluminum nitride and gallium nitride (AlGaN), or an alloy of aluminum, indium and gallium (AlInGaN).

기판(110)은 제 1 전극(114)이 장착되는 하면(112) 및 전계발광 로드(108)가 연장되는, 그리고 제 2 전극(118)이 장착되는 상면(116)을 갖는다. 특히 기판 상의 전계발광 로드의 성장(여기서는 상향 성장) 후에 양한 재료의 층이 이 상면(116) 상에 중첩된다. 이들 다양한 층 중에서 로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의 층이 발견될 수 있다. 이러한 층은 로드들 중 일부를 함께 연결하는 방식으로 에칭되고, 이들 로드의 점등은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 모듈에 의해 동시에 명령(command)될 수 있다. 반도체 광원의 2개 이상의 전계발광 로드 또는 2개 이상의 그룹의 전계발광 로드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확실하게 점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substrate 110 has a lower surface 112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14 is mounted, an upper surface 116 on which the electroluminescent rod 108 extends, and a second electrode 118. In particular, after growth (here upward growth) of the electroluminescent rods on the substrate, layers of various materials are superimposed on this top surface 116. Among these various layers, one or more layers of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can be found to enable powering the load. This layer is etched in such a way as to connect some of the rods together, and lighting of these rods can be simultaneously commanded by a control module not shown here. Two or more electroluminescent rods or groups of two or more electroluminescent rods of a semiconductor light source can be arranged to be reliably illuminated using a lighting control system.

서브밀리미터 크기의 전계발광 로드는 기판으로부터 연장되고, 각각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갈륨 질화물 코어(119)를 포함하고, 그 주위에는 상이한 재료(여기서는, 갈륨 질화물 및 갈륨-인듐 질화물)의 층의 반경방향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양자 우물(120) 및 이 양자 우물을 둘러싸는 셸(shell; 121)이 배치된다. Submillimeter sized electroluminescent rods extend from the substrate, each comprising a gallium nitride core 119, as can be seen in Figure 3, around which a different material (here gallium nitride and gallium-indium nitride) is formed. ) A quantum well 120 formed by radial overlap of layers and a shell 121 surrounding the quantum well are disposed.

각각의 로드는 그 높이를 한정하는 종방향 축선(122)을 따라 연장되며, 각각의 로드의 베이스(123)는 기판(110)의 상면(116)의 평면(124)에 배치된다.Each rod extends along a longitudinal axis 122 that defines its height, and the base 123 of each rod is disposed in a plane 124 of the top surface 116 of the substrate 110.

반도체 광원의 전계발광 로드(108)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들 로드의 각각은 말단 면(126) 및 종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주방향의 면(128)에 의해 형성된다. 전계발광 로드가 도핑 및 분극된 경우, 반도체 소스의 출광면에서 얻어지는 광은 주로 원주방향의 벽(128)으로부터 방출되고, 말단 면(126)으로부터는 적어도 소량으로 광선이 방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 결과 각각의 로드는 단일의 발광 다이오드와 같이 작용하고, 전계발광 로드(108)의 밀도는 이 반도체 소스의 광 생성량을 증가시킨다. It is advantageous for the electroluminescent rods 108 of the semiconductor light source to have the same shape. Each of these rods is formed by a distal face 126 and a circumferential face 128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axis. It is understood that when the electroluminescent rod is doped and polarized, the light obtained from the exi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ource is mainly emitted from the circumferential wall 128, and at least a small amount of light may be emitted from the end face 126. . As a result, each rod acts like a single light-emitting diode, and the density of electroluminescent rods 108 increases the light production of this semiconductor source.

갈륨 질화물 셸에 대응하는 로드(108)의 원주방향의 벽(128)은 기판에 의해 형성된 캐소드에 상보적인 각각의 로드의 애노드를 형성하는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TCO) 층(129)에 의해 피복된다. 이 원주방향의 벽(128)은 기판(110)으로부터 말단 면(126)까지 종방향 축선(122)을 따라 연장되고, 말단 면(126)으로부터 전계발광 로드(108)가 생성되는 기판의 상면(116)까지의 거리는 각각의 로드의 높이를 정의한다. 예로서, 전계발광 로드(108)의 높이는 1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이고, 고려되는 전계발광 로드의 종방향 축선(122)에 수직인 말단 면의 최대의 횡방향 치수는 2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다. 이 종방향 축선(122)에 수직인 단면에서 로드의 표면적은 특정의 값의 범위, 특히 1.96 내지 4 평방 마이크로미터 범위 내에서 정의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walls 128 of the rods 108 corresponding to the gallium nitride shell are covered by a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TCO) layer 129 that forms the anode of each rod complementary to the cathode formed by the substrate. This circumferential wall 128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122 from the substrate 110 to the distal face 126, from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8) is formed. 116) defines the height of each rod. By way of example, the height of the electroluminescent rod 108 is between 1 and 10 micrometers, and the largest transverse dimension of the distal fac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122 of the electroluminescent rod under consideration is less than 2 micrometers. The surface area of the rod in a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is longitudinal axis 122 can be defined within a range of specific values, in particular within the range of 1.96 to 4 square micrometers.

로드(108)의 형성 중에, 로드의 높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밝기가 증가된다고 가정하면, 반도체 광원의 일부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동일 광원의 일 부분으로부터 다른 부분까지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음이 분명하다. During the formation of the rod 108, assuming that the brightness increases with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ro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height from one part of the same light source to another in such a way as to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at part of the semiconductor light source. Obvious.

특히 로드의 단면 및/또는 말단 면(126)의 형상에 대해 전계발광 로드(108)의 형상도 또한 동일 광원의 일 부분으로부터 다른 부분까지 변화될 수 있다. 도 3에는 원통형의 일반적 형상, 특히 다각형 단면, 여기서는 특히 6각형 단면을 갖는 전계발광 로드가 도시되어 있다. 광이 예를 들면, 다각형 또는 원형의 원주방향의 벽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히 중요하다.The shape of the electroluminescent rod 108 may also vary from one part of the same light source to another,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and/or end face 126 of the rod. Figure 3 shows an electroluminescent rod having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in particular a polygonal cross-section, here in particular a hexagonal cross-section. It is clearly important that the light can be emitted through a circumferential wall, for example polygonal or circular.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면(126)은 원주방향의 벽에 수직인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기판(110)의 상면(11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말단 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방출 방향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그 중심에서 볼록한 형상 또는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3, the distal surface 126 may have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perpendicular to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thus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op surface 116 of the substrate 110, or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ure 5, it may have a convex or pointed shape at its center in a way that increases the emission direction of light emitted from this end face.

도 3 및 도 4에서, 전계발광 로드(108)는 2 차원 매트릭스로 배치되며, 로드들은 서로 수직인 행 및 열로 정렬된다. 이러한 배열체에서 전계발광 로드(108)는 퀸컨스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동일한 광원의 상이한 부분에서 로드 밀도가 달라질 수 있는 다른 분포의 로드를 포함한다. 도 4에는 제 1 횡단 방향으로 2개의 인접한 전계발광 로드의 분리 거리(d1) 및 제 2 횡단 방향으로 2개의 인접한 전계발광 로드의 분리 거리(d2)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분리 거리(d1 및 d2)는 인접한 전계발광 로드의 2개의 종방향 축선(122)들 사이에서 측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110)으로부터 돌출하는 전계발광 로드(108)의 수는 특히 광원의 일부의 발광성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광원의 하나의 부분으로부터 다른 부분까지 달라질 수 있으나, 각각의 전계발광 로드(108)의 원주방향의 벽(128)에 의해 방출되는 광이 로드의 매트릭스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분리 거리(d1 및 d2)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는 2 마이크로미터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이 인정된다. 또한, 이들 분리 거리는 10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지 않는다.3 and 4, the electroluminescent rods 108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with the rods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this arrangement the electroluminescent rods 108 may be arranged in quincense. The invention particularly encompasses different distributions of rods where the rod density may vary in different parts of the same light source.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the separation distance d1 of two adjacent electroluminescent rods in the first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2 of two adjacent electroluminescent rods in the second transverse direction. The separation distance d1 and d2 is measured between the two longitudinal axes 122 of adjacent electroluminescent rods. As mentioned above, the number of electroluminescent rods 108 protruding from the substrate 110 may vary from one part of the light source to another, particularly to increase the luminous density of that portion of the light source, but each electroluminescent rod It is recognized that one or the other of the separation distances d1 and d2 should be at least 2 micrometers so that the light emitted by the circumferential wall 128 of 108 can be emitted from the matrix of the rod. Additionally, these separation distances do not exceed 100 micrometer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은 전계발광 로드(10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하는 봉입체를 형성하는 폴리머 재료의 층(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층(130)은 기판의 전체 범위에 걸쳐 연장되거나 또는 특정 그룹의 전계발광 로드(108)의 주위에만 연장된다. 특히 실리콘을 기반으로 할 수 있는 폴리머 재료는 광선의 확산을 방해함이 없이 전계발광 로드(108)를 보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As shown in FIG. 5 , the light source may further include a layer 130 of polymer material forming an enclosure that at least partially embeds the electroluminescent rod 108 . Accordingly, this layer 130 may extend over the entire extent of the substrate or only around certain groups of electroluminescent rods 108 . Polymer materials, which in particular may be based on silicon, make it possible to protect the electroluminescent rod 108 without hindering the diffusion of light rays.

광원은 최초에 전계발광 로드(108)의 말단 면(126)을 향해 기판을 향해 배향되는 광선을 편향시키기 위해 전계발광 로드(108)들 사이에 배치된 광을 반사하는 재료의 코팅(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판(110)의 상면(116)은 최초에 광원의 출광면을 향해 상면(116)을 향해 배향된 광선을 방향전환시키는 반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손실될 수도 있는 광선을 회수한다. 이러한 코팅(132)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 층(129) 상의 전계발광 로드(108)들 사이에 배치된다. The light source initially includes a coating 132 of a light-reflecting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electroluminescent rods 108 to deflect the light rays directed toward the substrate toward the distal face 126 of the electroluminescent rods 108. More may be included. In other words, the upper surface 116 of the substrate 110 may include reflection means that redirects the light rays initially oriented toward the upper surface 116 toward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source. This recovers light rays that might otherwise be lost. This coating (132) is disposed between the electroluminescent rods (108)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129).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102)은 제어 모듈(101)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 모듈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계산 유닛 및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저장 유닛은 적어도 광원(102)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광 처리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계산 유닛은 광원(102)과 광 처리 장치(200)의 동작을 상관시키는 방식으로 이들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도록 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source 10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101. This control module includes a calculation unit and a storage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torage unit is configured to store at least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102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light processing device 200. The computing unit is configured to execute these programs simultaneously in a manner that correlates the operations of the light source 102 and the light processing device 200.

이를 위해, 제어 모듈(101)은 광원(102)의 방출 소자(134)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고, 방출 소자(134)는 단일 전계발광 로드,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발광 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방출 소자(134)의 활성화는 제어 모듈(101)로부터의 단일 명령에 의한 구분선(137)에 의해 한정된 영역에 존재하는 모든 로드(108)의 동시 활성화이다. 도 4에는 제 1 방출 소자(134)의 로드와 제 2 방출 소자의 인접한 로드 사이의 제 1 횡단 방향으로의 분리 거리(d3) 가 도시되어 있다. 전계발광 로드의 2개의 종방향 축선들 사이에서 측정된 이 분리 거리(d3)는 각각의 로드(108)의 원주방향의 벽(128)에 의해 방출되는 광이 전계발광 로드의 매트릭스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2 마이크로미터 이상이어야 하고, 그 목적은 관원의 동일 구역의 2개의 로드의 분리 거리(d1 또는 d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2개의 상이한 영역의 2개의 로드들 사이의 분리 거리(d3)를 갖는 것임이 인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분된 각각의 방출 소자(134)는 방향성 광빔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방출 소자에 대응하는 상기 또는 각각의 로드(108)가 소등된 경우, 광원(102)의 방출 표면 상에는 어두운 구역이 나타난다.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module 101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activate the emitting element 134 of the light source 102, wherein the emitting element 134 is a single electroluminescent rod or, as shown in Figure 4, electrically. It may consist of interconnected light emitting rods. In the latter case, activation of the emitting element 134 is a simultaneous activation of all loads 108 present in the area defined by the dividing line 137 by a single command from the control module 101. 4 shows the separation distance d3 in the first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rod of the first emitting element 134 and the adjacent rod of the second emitting element. This separation distance d3, measured between the two longitudinal axes of the electroluminescent rods, allows the light emitted by the circumferential wall 128 of each rod 108 to be emitted from the matrix of the electroluminescent rods. The aim is to have a separation distance (d3) between two rods in two different areas that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separation distance (d1 or d2) of two rods in the same area of the tube. This is acknowledged. Each emitting element 134 divided in this way is configured to emit a directional light beam. When the or respective rod 108 corresponding to the emitting element is turned off, a dark area appears on the emitting surface of the light source 102.

광원(102)은 제어 모듈(101)에 의해 선택적으로 그리고 서로 독립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복수의 방출 소자(134)를 특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문맥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 다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102)은 방출 소자(134)의 균질의 매트릭스(140)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행 및 열로 배치된 구분선(137)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동일한 방출 소자(134), 즉 동일한 수의 로드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을 갖는다. The light source 102 may take a number of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features a plurality of emitting elements 134 that can be activated selectively an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y the control module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 6 , the light source 102 has a plurality of identical emitting elements separated by dividing lines 137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in such a way as to form a homogeneous matrix 140 of emitting elements 134. Elements 134, i.e., have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containing an equal number of rods.

광원은 광 처리 장치(200)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조명 모듈(10)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 처리 장치(200)는 픽셀화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빔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LCD(액정 디스플레이) 유형이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처리 장치(200)는 활성 소자(202)의 매트릭스(201)를 포함하고, 각각의 활성 소자는 활성 구역을 형성하는 액정의 블록에 대응한다. 각각의 활성 소자(202)는 성형용 제 1 광학기기(106)의 방향으로 광원(102)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활성 위치 및 광원(102)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는 불활성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활성 소자(202)는 제어 모듈(101)에 의해 다른 것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is disposed within the lighting module 10 in such a way as to irradiate the light processing device 200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light processing device 200 is of the LCD (liquid crystal display) type configured to transmi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ated image. 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 7, the light processing device 200 comprises a matrix 201 of active elements 202, each active element corresponding to a block of liquid crystal forming an active zone. Each active element 202 has an active position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02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tical device 106 for forming and an active position capable of blocking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02. It is configured to assume an inert position. Each active element 202 can be activated or deactivated independently from the others by the control module 101.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102) 및 광 처리 장치(200)는, 방출 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광선의 일부만이 활성 소자에 마주치도록, 그리고 적절한 경우에는 각각의 방출 소자(134)에 의해 방출되는 광선이 복수(여기서는 그 중 4개)의 활성 소자(202)를 조사하는데 참여하도록, 조명 모듈(10) 내에서 그 각각의 방출 소자 매트릭스 및 활성 소자 매트릭스가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광원(102)은, 각각의 방출 소자(134)가 4개의 인접한 활성 소자(202) 중 일부만을 조사하는 광빔을 투사하도록 매트릭스(201)에 대면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201)의 후방에 위치되어 점선으로 표시된 방출 소자(134)는, 각각의 방출 소자에 의해 투사된 이미지가 구분선(220)에 의해 한정된 매트릭스(201)의 구역(210)을 조사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다. 각각의 구역(210)은 실선으로 표시된 구분선(220)에 의해 한정된 활성 소자(202)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활성 소자(202)는 4개의 구역(210A, 210B, 210C, 210D)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구역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별되는 방출 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투사 표면적의 일부에 대응한다. 다시 말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소자(134)의 매트릭스 및 활성 소자(202)의 매트릭스는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200) 상의 활성 소자(134)의 구분선(137)의 투사가 활성 소자를 구성하는 활성 소자(202)의 구분선(220) 상에 중첩되지 않도록 면 대 면(face-to-face)으로 배치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light source 102 and the light processing device 200 are configured such that only a portion of the light rays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s encounter the active elements and, where appropriate, only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by each emitting element 134. The respective emitting element matrix and the active element matrix are arranged so as to be offset relative to each other within the illumination module 10 such that the light rays participate in illuminating a plurality of active elements 202 (here four of them). More precisely, the light source 102 is positioned facing the matrix 201 such that each emitting element 134 projects a light beam that illuminates only a portion of the four adjacent active elements 202 . 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the emitting elements 134 located at the rear of the matrix 201 and indicated by a dotted line ar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matrix 201, where the image projected by each emitting element is defined by the dividing line 220. It is arranged and configured to survey an area 210 of. Each zone 210 overlaps at least a portion of the active element 202 defined by a dividing line 220 indicated by a solid line. For example, the active element 202 shown in FIG. 7 is divided into four zones 210A, 210B, 210C, and 210D, each zone receiving a portion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a distinct emitting element, as described below. Corresponds to a portion of the projected surface area.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ure 7, the matrix of emitting elements 134 and the matrix of active elements 202 are such that the projection of the dividing line 137 of the active elements 134 on the matrix 200 of the active elements is are arranged face-to-face so as not to overlap on the dividing line 220 of the active elements 202 constituting the .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역(210)은 동일한 형상이며 활성 소자(201)와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물론, 이것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다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zone 210 is of the same shape and has the same dimensions as active element 201. Of course, this may be different in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다음에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모듈(10)의 동작, 더 정확하게는 4개의 인접한 방출 소자에 의해 조사되는 활성 소자(202)의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4개의 방출 소자(134A 내지 134D)의 투사된 이미지의 전면에 배치된 하나의 활성 소자(202)만이 제시되어 있다. 물론, 활성 소자는 이론적으로 다른 활성 소자에 의해 둘러싸여 도 7에 도시된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201)를 형성한다. 7a to 7d next show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module 10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re precisely of the active element 202 illuminated by four adjacent emitting elements.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only one active element 202 is shown, which is disposed in front of the projected image of the four emitting elements 134A to 134D. Of course, the active elements are theoretically surrounded by other active elements to form the matrix 201 of active elements shown in Figure 7.

제어 모듈(101)이 4개의 인접한 방출 소자(134A 내지 134D)를 활성화하는 경우, 이들 각각은 동일 활성 소자(202)의 4개의 구별되는 구역(210A 내지 210D)의 각각의 하나를 조사한다. When the control module 101 activates four adjacent emitting elements 134A through 134D, each of them illuminates each of the four distinct zones 210A through 210D of the same activating element 202.

도 7a 내지 도 7d에서 광은 음영 영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어 모듈이 이 활성 소자(202)를 비활성화시키면, 이들 방출 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은 활성 소자(202)에 의해 성형용 제 1 광학기기(106)로 전송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방출 소자의 각각에 의해 투사되는 이미지의 일부와 교차하는 활성 소자(202)는 이들 4개의 방출 소자의 각각으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은폐시킨다. 이 때문에, 조명 모듈(10)에 의해 투사되는 이미지는 활성 소자(202)에 대응하는 어두운 구역을 포함한다. 반대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이 활성 소자(202)를 활성화시키는 경우, 방출 소자(134A 내지 134D)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일부는 조명 모듈(10)에 의해 전송된다. 그러면 전술한 어두운 구역은 밝아진다. 이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101)은 방출 소자(134A)를 비활성화시킨다. 따라서 활성 소자(202)의 구역(210A)은 더 이상 조사되지 않고, 픽셀화된 이미지의 픽셀에 대응하는 흑색 마크의 광 구역에서의 외관으로 반사된다. 이 어두운 구역은 방출 소자(134B 또는 134C)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제어 모듈(101)에 의해 종방향 횡단 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고, 그 결과 활성 소자(202)의 구역(210B 또는 210C)도 더 이상 조사되지 않게 된다. 도 7d에 도시된 대안례에 따르면, 제어 모듈은, 4개의 구별되는 픽셀(그 중 2개는 밝고, 2개는 어두움)를 포함하는 픽셀화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활성 소자(202)의 구역구역(210A, 210D)만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방출 소자(134A, 134D)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FIGS. 7A to 7D, light is indicated as a shaded area. If the control module deactivates these active elements 202 , the light emitted by these emitting elements is not transmitted by the active elements 202 to the first shaping optics 106 .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ure 7A, an active element 202 that intersects a portion of the image projected by each of the four emitting elements obscures a portion of the light from each of these four emitting elements. For this reason, the image projected by the illumination module 10 includes dark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active elements 202 . Conversely, as shown in FIG. 7B, when the control module activates the activation element 202, a portion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s 134A through 134D is transmitted by the illumination module 10. Then the dark area mentioned above becomes bright. Control module 101 now deactivates emitting element 134A, as shown in FIG. 7C. Area 210A of active element 202 is therefore no longer illuminated, but is reflected with the appearance in the light area of black marks corresponding to pixels of the pixelated image. This dark area can be expanded longitudinally and transversely by the control module 101 by deactivating the emitting element 134B or 134C, so that the area 210B or 210C of the active element 202 is also no longer irradiated. It won't happen.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xample shown in FIG. 7D,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active element 202 in a manner that forms a pixelated image comprising four distinct pixels, two of which are bright and two of which are dark. By irradiating only the zones 210A and 210D, only the emitting elements 134A and 134D can be activated.

따라서, 상기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은, 모듈(101)이 활성 소자(202)를 활성화시킬 필요 없이, 픽셀화된 이미지의 4개의 픽셀을 선택적 및 독립적으로 수정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때문에,본 발명으로 인해, 픽셀화된 이미지에서 픽셀의 형성은 특정의 대응하는 활성 소자(202)의 활성화를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실제로, 단 하나의 활성 소자(202)만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활성 소자(202)를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방출 소자(134)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픽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의 장치에 비해, 동일한 이미지 해상도에 대해, 본 발명은 유리하게도 더 적은 수의 활성 소자(202)를 사용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저가의 장치 및/또는 이들 활성 소자의 고장의 위험성이 감소된 장치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Thus, from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module 101 to selectively and independently modify four pixels of a pixelated image without the need to activate the active element 202. For this reason, thanks to the invention, the formation of a pixel in a pixelated image no longer requires activation of a specific corresponding active element 202. In fact, activating only one active element 202 can form more than one pixel by activating one or more emitting elements 134 that illuminate the active element 202 . Therefore, compared to the prior art devices described above, for the same image re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dvantageously use a smaller number of active elements 202, which, as mentioned above, makes it possible to use less expensive devices and/or these active elements. It is possible to obtain a device with a reduced risk of failure.

도 2에는 광원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된, 그리고 그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선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처리 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형태에 따르면, 광원(102)은 도어 모듈(5)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에 인접될 수 있다. 2 shows a processing device 200 disposed at a distance from a light source and configured to pass light rays emitted by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a variant embodiment not shown, the light source 102 can be adjacent to the matrix of active elements in order to reduce the overall size of the door module 5 .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하며, 여기서 광 처리 장치(300)는 픽셀화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빔을 투사하도록 구성된 DMD(디지털 미러 장치) 유형이며,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의 굴절 특성 대신 성형용 제 1 광학기기(106)를 향해 광선을 반사하는 특성을 갖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처리 장치와 다르다. 사실상, 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광원이 제 1 광학기기(106)와 동일한 면 상에 광 처리 장치에 대해 위치되는 반면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광원 및 성형용 제 1 광학기기(106)가 광 처리 장치의 각각의 반대면 상에 배치된다.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8, wherein the light processing device 300 is of the DMD (digital mirror device) typ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ated image, and th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differs from the process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has a characteristic of reflecting light toward the first optical device 106 for forming instead of a refractive characteristic of . In fact, according to this second embodiment, the light source is positioned relative to the light processing device on the same side as the first optics 106, where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light source and the first shaping optics 106 are are disposed on each opposite side of the light processing device.

이러한 제 2 실시형태에서, 광 처리 장치(300)는 활성 소자(302)의 매트릭스(301)를 포함하며, 각각의 활성 소자는 가동형 마이크로미러에 대응한다. 각각의 마이크로미러는 마이크로미러가 성형용 제 1 광학기기(106)의 방향으로 광원(102)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는 활성 위치와 마이크로미러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발광성 복사 흡수체 소자의 방향으로 상기 광을 반사하는 불활성 위치 사이에서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장착된다. 각각의 마이크로미러의 회전은 제어 모듈(101)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301)는 정사각형이며, 각각의 면 상에 500개 내지 1500개의 마이크로미러 또는 활성 소자(302)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마이크로미러는 7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를 갖는다. 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light processing device 300 includes a matrix 301 of active elements 302, each active element corresponding to a movable micromirror. Each micromirror has an active position where the micromirror reflects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02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tics 106 for shaping, and the micromirror has an active position where the micromirror reflects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02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tical device 106 for shaping. It is mounted to pivot about an axis between inert positions that reflect the light. The rotation of each micromirror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y the control module 101.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ich does not limit the invention, the matrix 301 of active elements is square and is formed on each side by 500 to 1500 micromirrors or active elements 302, each micromirror has a size of 7 to 10 micrometers.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102)은, 조명 모듈을 구성하는 방출 소자(134)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리고 광원의 하나 이상의 방출 소자(134), 즉 로드 또는 일련의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된 로드가 복수의 마이크로미러(301)(여기서는 그 중 4개)를 도사하도록, 조명 모듈(10) 내에 배치된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광원(102)은, 각각의 방출 소자(134)가, 광빔 중 일부만이 마이크로미러를 조사하고, 및/또는 광빔 중 전체가 4개의 마이크로미러 중 일부만을 조사하는, 광빔을 투사하도록, 활성 소자(302)의 매트릭스(301)에 대해 위치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light source 102 is provided in such a way that the emitting elements 134 constituting the lighting module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and one or more emitting elements 134 of the light source, i.e. a load or a series of electrically interconnected The connected rods are arranged within the illumination module 10 so that they project a plurality of micromirrors 301 (here four of them). More precisely, the light source 102 is configured such that each emitting element 134 projects a light beam such that only some of the light beams illuminate the micromirrors and/or all of the light beams illuminate only a portion of the four micromirrors. , is located relative to the matrix 301 of the active elements 302.

이러한 제 2 실시형태에서 방출 소자 및 활성 소자의 제어는 특히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전술한 교시는 액정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대신 제 1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마이크로미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The control of the emitting element and the activating element in this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for the first embodiment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FIGS. 7a to 7d, so that the above-described teachings instead of controlling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liquid crystals are controlled from the first position. It can be appli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micromirror to different positions.

전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으로 인해, 제 2 실시형태에서 픽셀화된 이미지 내의 픽셀의 형성은 특정의 대응하는 마이크로미러의 활성화를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다. 사실상, 마이크로미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그 마이크로미러(302)를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방출 소자(134)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픽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의 장치에 비해, 동일한 이미지 해상도에 대해, 본 발명은 유리하게도 더 적은 수의 마이크로미러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저가의 장치 및/또는 활성 소자의 고장의 위험성이 감소된 장치를 얻을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e foregoing description, thanks to the invention, the formation of pixels in a pixelated image in a second embodiment no longer requires activation of a specific corresponding micromirror. In fact, by activating a micromirror, one or more pixels can be formed by activating one or more emitting elements 134 that illuminate the micromirror 302 . Therefore, compared to the prior art devices described above, for the same image re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advantageously allows the use of fewer micromirrors and, as described above, reduces the cost of devices and/or failure of the active elements. It is possible to obtain a device with reduced risk.

조명 모듈은 광원(102)과 광 처리 장치(300) 사이에 위치된 성형용 제 2 광학기기(10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광학기기(107)의 목적은, 광원의 치수가 활성 소자(302)의 매트릭스(301)의 치수보다 작은 경우에 모든 활성 소자의 매트릭스를 광원(102)이 조사할 수 있도록, 광빔의 투사 표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며, 적절한 경우,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 2 광학기기(107)는 소스와 활성 소자의 종횡비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사 확대(homothetic enlargement)에 영향을 주도록, 그리고 종횡비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아마모포시스(anamorphosis)에 영향을 주도록 구성된다.The lighting module may include second optics 107 for shaping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source 102 and the light processing device 300 . The purpose of the second optics 107 is to project a light beam so that the light source 102 illuminates the matrix of all active elements in case the dimensions of the light source are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matrix 301 of the active elements 302. The purpose is to expand the surface area and, where appropriate, to deflect the beam emitted by the light source. In other words, the second optical device 107 is configured to affect homothetic enlargement when the aspect ratios of the source and the active element are the same, and to affect anamorphosis when the aspect ratios are not the same. It is composed.

Claims (13)

픽셀화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빔을 투사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조명 모듈(10)로서, 광원(102) 및 상기 광원(102)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장치(200, 300)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장치(200, 300)는 상기 픽셀화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광원(102)에 의해 방출된 광빔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활성 소자(202, 302)의 매트릭스(201, 301)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용 조명 모듈(10)에 있어서,
상기 광원(102)은 2개 이상의 방출 소자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출 소자(134)의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방출 소자(134)의 매트릭스(140) 및 상기 활성 소자(202, 302)의 매트릭스(201, 301)는, 각각의 활성 소자(202, 302)가 상기 방출 소자(134)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일부에 걸쳐 배치되도록,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A lighting module (10) for an automobil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ated image, comprising a light source (102) and a processing device (200, 300) for processing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02). , the processing device (200, 300) is configured to proces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02) in a manner to form the pixelated image. ), in the automotive lighting module 10, including:
The light source 102 includes a matrix of emitting elements 134 in which two or more emitting elements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the matrix 140 of the emitting elements 134 and the activating elements 202, 302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rices (201, 301) are offset relative to each other such that each active element (202, 302) is disposed over a part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said emitting element (134).
Automotive lighting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방출 소자(134)는 2개 이상의 인접한 활성 소자(202, 302)를 점등시키도록 구성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According to claim 1,
Each emitting element 134 is configured to light up two or more adjacent active elements 202, 302.
Automotive lighting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소자(134)의 매트릭스(140)의 표면적은 상기 활성 소자(202, 302)의 매트릭스(201, 301)의 표면적보다 큰
자동차용 조명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surface area of the matrix 140 of the emitting element 134 is great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matrix 201, 301 of the active elements 202, 302.
Automotive lighting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방출 소자(134)의 표면적은 하나 이상의 활성 소자(202, 302)의 표면적과 동등한
자동차용 조명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surface area of one or more emitting elements (134) is equivalent to the surface area of one or more active elements (202, 302).
Automotive lighting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소자(134)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상기 처리 장치(200, 300) 상으로 투사되는 표면적은 하나 이상의 활성 소자(202, 302)의 표면적과 동등한
자동차용 조명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surface area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 134 projected onto the processing device 200, 300 is equivalent to the surface area of one or more active elements 202, 302.
Automotive lighting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10)은, 상기 처리 장치(200, 300)의 외부에 픽셀화된 이미지를 투사하는 방식으로, 상기 활성 소자(302)의 매트릭스(301)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제 1 투사 광학기기(106)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illumination module 10 includes first projection optics disposed facing the matrix 301 of the active elements 302 in such a way as to project a pixelated image to the outside of the processing device 200, 300. Containing (106)
Automotive lighting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활성 소자(302)는 상기 방출 소자(134)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일부를 반사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or 2,
One or more active elements 302 reflect a portion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 134.
Automotive lighting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활성 소자(302)는 상기 방출 소자(134)에 의해 방출되는 광빔의 일부를 굴절시키도록 구성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or 2,
One or more active elements 302 are configured to deflect a portion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the emitting element 134.
Automotive lighting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10)은, 상기 광원(102)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활성 소자(302)의 매트릭스(301) 상으로 투사하는 방식으로, 상기 광원(102)과 상기 처리 장치(300) 사이에 배치된 제 2 투사 광학기기(107)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lighting module 10 project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02 onto the matrix 301 of the active element 302, thereby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102 and the processing device 300. ) comprising a second projection optic 107 disposed between
Automotive lighting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10)은 상기 방출 소자(134)의 점등 및/또는 소등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그리고 상기 처리 장치(200, 300)의 활성 소자(202, 302)를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101)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lighting module 10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control turning on and/or turning off the emitting element 134 and activating and/or deactivating the active elements 202, 302 of the processing devices 200, 300. comprising a control module 101 that is
Automotive lighting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방출 소자(134)는 광빔을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서브밀리미터의 전계발광 로드(108)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or 2,
Each emitting element 134 includes a plurality of submillimeter electroluminescent rods 108 for emitting a light beam.
Automotive lighting modul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발광 로드(108)는 기판(11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According to claim 11,
The electroluminescent rod 108 protrudes from the substrate 110.
Automotive lighting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조명 모듈(10)을 포함하는
자동차 조명 장치.
Comprising the lighting module 10 according to claim 1 or 2
Automotive lighting devices.
KR1020180049382A 2017-04-28 2018-04-27 Motor vehicle lighting modul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ized image KR1026253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3784 2017-04-28
FR1753784A FR3065818B1 (en) 2017-04-28 2017-04-28 LUMINOUS MODULE FOR A CONFIGURED MOTOR VEHICLE FOR PROJECTING A LIGHT BEAM FORMING A PIXELIZED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417A KR20180121417A (en) 2018-11-07
KR102625381B1 true KR102625381B1 (en) 2024-01-15

Family

ID=5981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382A KR102625381B1 (en) 2017-04-28 2018-04-27 Motor vehicle lighting modul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ized imag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01010B2 (en)
EP (1) EP3399519B1 (en)
JP (1) JP6995685B2 (en)
KR (1) KR102625381B1 (en)
CN (1) CN108800035B (en)
FR (1) FR30658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63846A1 (en) * 2019-02-20 2020-08-20 Magna Closures Inc. Vehicle light assembly with quantum doped material illuminable using distinct illumination sources
FR3104742B1 (en) 2019-12-12 2023-03-31 Valeo Comfort & Driving Assistance Vehicle display system
JP7444744B2 (en) * 2020-09-15 2024-03-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Lighting units and vehicle ligh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8211A (en) * 2008-03-11 2009-09-24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Light module for illuminating device
US20170059110A1 (en) * 2015-08-07 2017-03-02 Valeo Vision Lighting and/or signaling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1359A (en) * 1967-12-07 1971-10-05 Maria Panerai Compact component device for the visible display of letters, digits, symbols and figures
US6445884B1 (en) * 1995-06-22 2002-09-03 3Dv Systems, Ltd. Camera with through-the-lens lighting
US6861809B2 (en) * 1998-09-18 2005-03-01 Gentex Corporation Headlamp control to prevent glare
US6497503B1 (en) * 2001-06-21 2002-12-2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Headlamp system with selectable beam pattern
US7456805B2 (en) * 2003-12-18 2008-11-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lay including a solid state light device and method using same
US7744225B2 (en) * 2005-03-15 2010-06-29 Casio Computer Co., Ltd. Light source apparatus that collects and provides different-colored light rays emitted by a plurality of different-colored light sources and a projector comprising such light source apparatus
EP1889112B1 (en) * 2005-05-25 2009-07-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projecting a pixelated lighting pattern
US7438423B2 (en) * 2005-08-29 2008-10-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llumination system and projection system incorporating same
US20080198372A1 (en) * 2007-02-21 2008-08-21 Spatial Photonics, Inc. Vehicle headlight with image display
WO2009034521A1 (en) * 2007-09-13 2009-03-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llumination device for pixelated illumination
GB2499579B (en) * 2012-02-07 2014-11-26 Two Trees Photonics Ltd Lighting device
US9534756B2 (en) * 2012-04-03 2017-01-03 Sharp Kabushiki Kaisha Light-emitting device, floodlight, and vehicle headlight
JP6138420B2 (en) * 2012-04-06 2017-05-31 シャープ株式会社 Light emitting device and vehicle headlamp
DE102013020549A1 (en) 2013-12-12 2015-06-18 Hella Kgaa Hueck & Co. Device for generating light distributions, headlights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generating light distributions
US20150285458A1 (en) * 2014-04-08 2015-10-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eadlamp system
US10066799B2 (en) 2014-06-26 2018-09-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ixelated projection for automotive headlamp
US9766454B2 (en) * 2015-08-04 2017-09-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ual output headlight system for a vehicle
WO2017025445A1 (en) * 2015-08-07 2017-02-16 Valeo Vision Lighting and/or signalling device for motor vehicle
FR3041112A1 (en) * 2015-09-15 2017-03-17 Valeo Vision MODULE FOR PROJECTING A LIGHT BEAM OF AUTOMOTIVE LIGHTING, AND PROJECTOR PROVIDED WITH SUCH A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8211A (en) * 2008-03-11 2009-09-24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Light module for illuminating device
US20170059110A1 (en) * 2015-08-07 2017-03-02 Valeo Vision Lighting and/or signaling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9519A1 (en) 2018-11-07
CN108800035A (en) 2018-11-13
FR3065818A1 (en) 2018-11-02
US10501010B2 (en) 2019-12-10
JP6995685B2 (en) 2022-02-04
US20180312104A1 (en) 2018-11-01
JP2018200867A (en) 2018-12-20
KR20180121417A (en) 2018-11-07
FR3065818B1 (en) 2019-04-26
EP3399519B1 (en) 2020-02-12
CN108800035B (en)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0700B2 (en) Vehicular lamp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25381B1 (en) Motor vehicle lighting module configured to project a light beam forming a pixelized image
US9162609B2 (en) Vehicle headlight
JP7281947B2 (en) Light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having a function of drawing on the ground
US9347635B2 (en) Headlight system incorporating adaptive beam function
US20040196663A1 (en) Vehicular headlamp a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JP6742445B2 (en) Headlight device
US20110305029A1 (en) Illuminating system and thin plate shield illuminating apparatus
JP7234257B2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with at least one pixelated light source
JP2014007093A (en)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projector including the same
CN109716196A (en) Optical system for pixelation light beam
KR20220002399A (en) LED having an active area disposed within an optical cavity defined by a buried nanostructured layer and a reflector
CN112236617B (en) Matrix array monolithic motor vehicle lighting device for writing on the ground
EP3399226B1 (en) Light emitting device, optical module comprising same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module
EP3450830B1 (en)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KR102409825B1 (en) Lamp for vehicle
US11873959B2 (en) Optical system
JP2021120932A (en) Luminaire and vehicular lighting tool
KR20190124257A (en) Automotive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light source having a plurality of emitting elements
EP4202495A1 (e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automotive vehicle
EP4202292A1 (e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automotive vehicle
EP4202496A1 (en) Automotive lighting arrangement and automotive vehicle
WO2020226129A1 (en) Vehicular lamp
WO2023118130A1 (en) Automotive lighting arrangement and automotive vehicle
CN116624802A (en) Self-adaptive lamp module and car lamp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