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290B1 -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290B1
KR102625290B1 KR1020237000174A KR20237000174A KR102625290B1 KR 102625290 B1 KR102625290 B1 KR 102625290B1 KR 1020237000174 A KR1020237000174 A KR 1020237000174A KR 20237000174 A KR20237000174 A KR 20237000174A KR 102625290 B1 KR102625290 B1 KR 102625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ization
application
machine
memory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2427A (ko
Inventor
박수호
김민형
한동우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2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181Instruction operation extension or modification
    • G06F9/30189Instruction operation extension or modification according to execution mode, e.g. mode fl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8Suspend and resume; Hibernate and awa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2Procedural
    • G06F9/4484Executing sub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45Guest-host, i.e. hypervisor is an application program itself, e.g. Virtua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4Instruction set architectures of guest OS and hypervisor or native processor differ, e.g. Bochs or VirtualPC on PowerPC Mac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5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7Logical partitioning of resources; Management or configuration of virtualized re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for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2Driving mod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95Blocking or enabling display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3Illumination of matrix displays
    • B60K2360/344Illumination of matrix displays for additionally illuminating mechanical elements, e.g. pointers or control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62Creating, deleting, cloning virtual machine inst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75Starting, stopping, suspending or resuming virtual machine inst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83Memory management, e.g. access or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신호 처리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어느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2 메모리에 로딩되는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이 복원되도록 제어하며,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차량 내부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탑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클러스터 등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되어, 각 종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차량 주행 정보 등의 표시를 위해, 클러스터와 별도로,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차량에 장착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디스플레이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디스플레이를 위한 신호 처리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기 모드로 진입하였다가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상화 머신의 개수가 증가되더라도,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가상화 머신의 운영체제가 다르더라도,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어느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2 메모리에 로딩되는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이 복원되도록 제어하며,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1 메모리는, 대기 모드에서 파일을 저장하는 영역만 전원을 유지시키며, 나머지 영역은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에, 제1 애플리케이션을 복원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미실행에 대응하여 로딩 중임을 나타내는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제1 영상을 계속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3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 체크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러스터 애플리케이션 또는 후방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은,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또는 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애플리케이션은, 제1 운영 체제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은, 제1 운영 체제와 다른 제2 운영 체제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1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제1 게스트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제2 게스트 가상화 머신에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제1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서버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게스트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제1 메모리는,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더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제2 메모리에서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로딩에 따라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마이컴의 전원 온 이후, 하이퍼바이저를 온 시키고, 하이퍼바이저의 온 이후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제2 메모리에서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로딩에 따라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내의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며, 제2 가상화 머신은 제1 디스플레이를 위해 동작하며, 제3 가상화 머신은, 제2 디스플레이를 위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 내의 제1 가상화 머신은,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제2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제3 가상화 머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은,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공유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은,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제3 가상화 머신으로, 공유 메모리에 대한 버퍼 인덱스를 전송하고,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제3 가상화 머신은, 수신한 버퍼 인덱스에 기초하여, 공유 메모리에 기록된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은, 제1 가상화 머신은,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제2 가상화 머신 및 제3 가상화 머신은, 각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제1 가상화 머신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는,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공유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제3 가상화 머신 내의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는, 공유 메모리에 기록된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내의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3 디스플레이를 위해 동작하는 제4 가상화 머신을 더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은, 차량의 휠 속도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제3 가상화 머신 중 적어도 하나로, 처리된 휠 속도 센서 데이터 또는 처리된 휠 속도 센서 데이터에 대응하는 속도 정보를 나타내는 오버레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어느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에, 제1 애플리케이션을 복원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미실행에 대응하여 로딩 중임을 나타내는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제1 영상을 계속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3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와,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어느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2 메모리에 로딩되는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이 복원되도록 제어하며,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어느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2 메모리에 로딩되는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이 복원되도록 제어하며,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메모리는, 대기 모드에서 파일을 저장하는 영역만 전원을 유지시키며, 나머지 영역은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모드시, 제1 메모리의 전 영영역이 아닌 일부 영역에만 전원이 공급되므로, 대기 전력 소비를 상당히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에, 제1 애플리케이션을 복원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미실행에 대응하여 로딩 중임을 나타내는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제1 영상을 계속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3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 체크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러스터 애플리케이션 또는 후방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은,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또는 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애플리케이션은, 제1 운영 체제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은, 제1 운영 체제와 다른 제2 운영 체제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제1 게스트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제2 게스트 가상화 머신에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서버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게스트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메모리는,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더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제2 메모리에서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로딩에 따라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마이컴의 전원 온 이후, 하이퍼바이저를 온 시키고, 하이퍼바이저의 온 이후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제2 메모리에서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로딩에 따라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내의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며, 제2 가상화 머신은 제1 디스플레이를 위해 동작하며, 제3 가상화 머신은, 제2 디스플레이를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가상화 머신을 통해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 내의 제1 가상화 머신은,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제2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제3 가상화 머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되는 가상화 머신의 개수가 증가되더라도, 터치 입력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복수의 가상화 머신의 운영체제가 다르더라도, 터치 입력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은,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공유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은,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제3 가상화 머신으로, 공유 메모리에 대한 버퍼 인덱스를 전송하고,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제3 가상화 머신은, 수신한 버퍼 인덱스에 기초하여, 공유 메모리에 기록된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은, 제1 가상화 머신은,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제2 가상화 머신 및 제3 가상화 머신은, 각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제1 가상화 머신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는,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공유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제3 가상화 머신 내의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는, 공유 메모리에 기록된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내의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3 디스플레이를 위해 동작하는 제4 가상화 머신을 더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가상화 머신을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은, 차량의 휠 속도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제3 가상화 머신 중 적어도 하나로, 처리된 휠 속도 센서 데이터 또는 처리된 휠 속도 센서 데이터에 대응하는 속도 정보를 나타내는 오버레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휠 속도 센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가상화 머신 등에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어느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에, 제1 애플리케이션을 복원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미실행에 대응하여 로딩 중임을 나타내는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제1 영상을 계속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3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와,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어느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2 메모리에 로딩되는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이 복원되도록 제어하며,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차량 외부 및 차량 내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차량 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와 관련한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b는 도 5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c 내지 도 15b는 도 11a 또는 도 11b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a는 차량 외부 및 차량 내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2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바퀴(103FR,103FL,103RL,..), 차량(2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스티어링휠(150)에 의해 동작한다.
한편, 차량(200)은, 차량 전방의 영상 획득을 위한 카메라(195)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차량(200)은, 내부에 영상, 정보 등의 표시를 위한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a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로,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80a),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180b)를 예시한다. 그 외, HUD(Head Up Display) 등도 가능하다.
한편,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180b)는, 센터 정보 디스플레이(Center Information Dislpay)라 명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200)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1b는 차량 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 내부에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80a),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180b), 뒷 좌석 엔터네인먼트(Rear Seat Entertainment) 디스플레이(180c,180d), 룸미러 디스플레이(미도시)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에 영상,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 장치(170)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 중 제1 디스플레이(180a)는, 주행 상태, 동작 정보 등의 표시를 위한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80a)이고, 제2 디스플레이(180b)는, 챠량 운행 정보, 네비게이션 지도, 다양한 엔테테인먼트 정보 또는 영상의 표시를 위한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180b)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 중 제3 디스플레이(180c)는, 주행 상태 정보, 간이 네비게이션 정보, 다양한 엔테테인먼트 정보 또는 영상의 표시를 위한 뒷 좌석 엔터네인먼트(Rear Seat Entertainment) 디스플레이(180c)일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내부에 프로세서(175)를 구비하며,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20~550)을 실행할 수 있다.
제2 가상화 머신(530)은 제1 디스플레이(180a)를 위해 동작하며, 제3 가상화 머신(540)은, 제2 디스플레이(180b)를 위해 동작하며, 제4 가상화 머신(540)은, 제3 디스플레이(180c)를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가상화 머신(520~550)을 통해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530)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50) 중 복수의 가상화 머신으로, 동일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508)가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내의 제1 디스플레이(180a) 내지 제3 디스플레이(180c) 중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동일한 정보 또는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 분담 처리를 위해, 제2 가상화 머신(530)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50) 중 복수의 가상화 머신에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한다. 이에 따라, 차량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복수의 가상화 머신에서 데이터를 분담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차량의 휠 속도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제2 가상화 머신(530)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50) 중 중 적어도 하나로, 처리된 휠 속도 센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휠 속도 센서 데이터 또는 처리된 휠 속도 센서 데이터에 대응하는 속도 정보를 나타내는 오버레이를, 적어도 하나의 가상화 머신 등에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 중 일부는, 리눅스 OS 기반 하에 동작하며, 다른 일부는 웹 OS 기반 하에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다양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 하에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가상화 머신(510~550) 중 일부에 대해서는 신속한 부팅 또는 웨이크업을 위한 제1 부팅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일부에 대해서는 제1 부팅 모드 보다 늦은 제2 부팅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다양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 하에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 중 어느 하나에서 터치 입력(Touch)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180a)에, 차량 속도 인디케이터(212a), 차량 내부 온도 인디케이터(213a)가 표시되고, 제2 디스플레이(180b)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과 차량 속도 인디케이터(212b)와 차량 내부 온도 인디케이터(213b)를 포함하는 홈 화면(222)이 표시되고, 제3 디스플레이(180c)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과 차량 내부 온도 인디케이터(213c)를 포함하는 제2 홈 화면(222b)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130), 신호 처리 장치(170),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 공급부(190)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버튼 입력, 터치 입력 등을 위한 물리적인 버튼, 패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180a,180b,180c)의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터치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0)는, 사용자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800) 또는 서버(90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차량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WiFi Direct, APiX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800) 또는 서버(9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이동 통신 모듈(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30)는, ECU(770) 또는 센서 장치(760)로부터, 센서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130)는, 카메라(195) 또는 라이더(미도시) 등으로부터 차량 전방 영상 데이터, 차량 측방 영상 데이터, 차량 후방 영상 데이터, 차량 주변 장애물 거리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신호 처리 장치(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180a,180b,180c)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175),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140a)와 제2 메모리(140b), 마이컴(135)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40a)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대기 모드 또는 전원 오프시에도,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모리(140a)는,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510~550) 중 어느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메모리(140a)는, 운영 체제(OS)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1 메모리(140a)는, 신호 처리 장치(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2 메모리(140b)는, 휘발성 메모리로서, 대기 모드 또는 전원 오프시에 각 종 데이터가 지워지며, 액티브 모드에서,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메모리(140b)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메모리(140b)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된 운영 체제(OS)를 로딩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5)는, 하이퍼바이저(도 5의 505)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5)는,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도 5의 505)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20~550)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5)는, 이더넷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레가시 가상화 머신(510)을 더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가시 가상화 머신은, 도 5와 같이,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도 5의 520~550) 중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서버 가상화 머신(Server Virtual Maschine)이라 명명할 수 있으며,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은 게스트 가상화 머신(Guest Virtual Maschine)이라 명명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상화 머신(530)은 제1 디스플레이(180a)를 위해 동작하며, 제3 가상화 머신(540)은, 제2 디스플레이(180b)를 위해 동작하며, 제4 가상화 머신(550)은, 제3 디스플레이(180c)를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차량 센서 데이터, 위치 정보 데이터, 카메라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또는 터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 또는 가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레가시 가상화 머신에서만 처리하는 데이터와,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구분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 대부분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1:N 방식의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을 위해, CAN 통신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USB 데이터, 무선 통신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처리된 데이터를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20~550) 중 제1 가상화 머신(520)만, 통신 데이터, 외부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다른 가상화 머신에서의 신호 처리 부담이 경감되며, 1:N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데이터 공유시의 동기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의 일부를 제2 가상화 머신(530)으로 전달되도록 제1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기록하고, 데이터의 다른 일부를 제3 가상화 머신으로 전달되도록 제1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기록하며, 제2 가상화 머신(530)과 제3 가상화 머신(540)은, 각각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데이터가 제2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기록되도록 제어한다.
이때의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네비게이션 데이터, 또는 음성 인식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의 또 다른 일부를 처리하여, 제2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처리된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가상화 머신(530)과 제3 가상화 머신 외에 추가로 제1 가상화 머신(520)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5) 내에 제3 디스플레이(180c)를 위해 동작하는 제4 가상화 머신(550)이 실행되는 경우,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의 또 다른 일부를 제1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기록하며, 제4 가상화 머신(550)은, 각각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데이터가 제2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기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에서의 데이터의 분산 처리를 위한 각각의 커맨드 큐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가상화 머신에서 데이터를 분담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 1개의 동일한 커맨드 큐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의 분산 처리를 위한 가상화 머신의 개수에 대응하는 커맨드 큐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 분산 처리를 위해,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기 위한 제1 공유 메모리(미도시)를 할당하고,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는 제2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508)에 기록하여,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라디오 데이터 또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508)에 기록하여,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N 방식의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
결국,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 대부분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1:N 방식의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으로, 동일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508)가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508)를 이용하여,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에서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 다양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와 관련한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80a)와 AVN 디스플레이(180b), RSE 디스플레이(180c)를 위해, 가상화 머신이 각각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400)은,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405) 상에서, 클러스터 가상화 머신(430), AVN 가상화 머신(440), RSE 가상화 머신(450)이 실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4의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400)은,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405) 상에서,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410)도 실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410)은, 메모리(14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412), 이더넷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413)을 구비한다.
한편, 클러스터 가상화 머신(430)은, CAN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431),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410)의 인터페이스(412)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432),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410)의 인터페이스(413)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433)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AVN 가상화 머신(440)은, 오디오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USB 데이터, 무선 통신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441),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410)의 인터페이스(412)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442),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410)의 인터페이스(413)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443)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RSE 가상화 머신(450)은, 오디오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USB 데이터, 무선 통신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451),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410)의 인터페이스(412)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452),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410)의 인터페이스(413)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45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400)에 의하면, CAN 통신 데이터는, 클러스터 가상화 머신(430)에서만 입출력되므로, AVN 가상화 머신(440)에서는 CAN 통신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4의 시스템(400)에 의하면, 오디오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USB 데이터, 무선 통신 데이터는, AVN 가상화 머신(440)에서만 입출력되므로, 클러스터 가상화 머신(430)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410)에서 입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터, 이더넷 통신 데이터를 위해, 클러스터 가상화 머신(430)과 클러스터 가상화 머신(440)과 클러스터 가상화 머신(450)가, 각각 별도의 인터페이스(431,432,441,442,451,452)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즉, 도 4와 달리, 가상화 머신을 서버 가상화 머신과 게스트 가상화 머신으로 구분하고, 각종 메모리 데이터, 통신 데이터 등을 게스트 가상화 머신에서 입출력되지 않고, 서버 가상화 머신에서 입출력되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5의 시스템(500)은,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서버 가상화 머신인 제1 가상화 머신(520), 게스트 가상화 머신인 제2 가상화 머신(530), 게스트 가상화 머신인 제3 가상화 머신(540), 게스트 가상화 머신인 제4 가상화 머신(550)이 실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2 가상화 머신(530)은,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80a)를 위한 가상화 머신이고, 제3 가상화 머신(540)은 AVN 디스플레이(180b)를 위한 가상화 머신이고, 제4 가상화 머신(550)은 RSE 디스플레이(180c)를 위한 가상화 머신일 수 있다.
즉, 제2 가상화 머신(530)과, 제3 가상화 머신(540)과, 제4 가상화 머신(550)은, 각각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80a)과 AVN 디스플레이(180b)과 RSE 디스플레이(180c)의 영상 렌더링을 위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구동되는 시스템(500)은,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510)도 실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510)은, 메모리(140)와의 데이터 통신, 및 이더넷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511)을 구비한다.
도면에서는, 인터페이스(511)가, 피지컬 디바이스 드라이버(physical device driver)인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510)은,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5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오디오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USB 데이터, 무선 통신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521), 게스트 가상화 머신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서버 가상화 머신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표준가상화기술(VirtIO)에 의해 가상화되기 힘든 I/O 들을 다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 예를 들어,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 가상화 머신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라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슈퍼바이저(Supervisor) 수준에서 제어하고, 다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 예를 들어,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 가상화 머신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차량 데이터, 센서 데이터, 차량 주변 정보 등을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 또는 정보 등을 다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 예를 들어,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차량 데이터(vehicle data)의 처리, 오디오 라우팅(Audio routing) 관리 등과 같은, 서비스(Supervisory Services)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제2 가상화 머신(530)은, 제1 가상화 머신(52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와,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를 제어하는 APIs(53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상화 머신(530)은, 레가시 가상화 머신(51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가상화 머신(530)은,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를 통해,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510)의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512)로부터 메모리(140a,140b)와의 통신에 의한 메모리 데이터 또는 이더넷 통신에 의한 이더넷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 제3 가상화 머신(540)은, 제1 가상화 머신(52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42)와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42)를 제어하는 APIs(54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3 가상화 머신(540)은, 레가시 가상화 머신(51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가상화 머신(540)은,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를 통해,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510)의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512)로부터 메모리(140a,140b)와의 통신에 의한 메모리 데이터 또는 이더넷 통신에 의한 이더넷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 제4 가상화 머신(550)은, 제1 가상화 머신(52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52)와,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52)를 제어하는 APIs(55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4 가상화 머신(550)은, 레가시 가상화 머신(51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를 구비할 수 있다.
제4 가상화 머신(550)은,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를 통해,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510)의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512)로부터 메모리(140a,140b)와의 통신에 의한 메모리 데이터 또는 이더넷 통신에 의한 이더넷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510)은, 도 5와 달리,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시스템(500)에 의하면, CAN 통신 데이터는,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만 입출력되나,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통해, 다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 예를 들어,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 등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상화 머신(520)의 처리에 의한 1:N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의 시스템(500)에 의하면, 오디오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USB 데이터, 무선 통신 데이터는,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만 입출력되나,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통해, 다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 예를 들어,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 등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상화 머신(520)의 처리에 의한 1:N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의 시스템(500)에 의하면,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에 대한 터치 입력(Touch)은, 제1 가상화 머신(520)에만 입력되고,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에는 입력되지 않는다.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되는 가상화 머신의 개수가 증가되더라도,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의 시스템(500)에서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은 서로 다른 OS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상화 머신(540)은 리눅스 OS 기반 하에 동작하며, 제3 가상화 머신(540)은 웹 OS 기반 하에 동작하며, 제4 가상화 머신(550)은 안드로이드 또는 윈도우 OS 기반 하에 동작할 수 있다.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은 서로 다른 OS 기반 하에 동작하더라도, 데이터 공유를 위해,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508)가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이, 서로 다른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 하에 동작하더라도, 동일한 데이터 또는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에 동일한 데이터 또는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게된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은 서로 다른 OS 기반 하에 동작하더라도,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이, 서로 다른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 하에 동작하더라도,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공유 메모리(508)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공유 메모리(508)에 대한 버퍼 인덱스를 전송하고,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은, 수신한 버퍼 인덱스에 기초하여, 공유 메모리(508)에 기록된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180a)와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되는 오버레이의 제어를 위한 디스플레이 매니저(527)와,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는, 제2 가상화 머신(530)이 제공하는 제1 오버레이와, 제3 가상화 머신(540)이 제공하는 제2 오버레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는, 제1 오버레이 또는 제2 오버레이와 별도의 버츄얼 오버레이(virtual overlay)를,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디스플레이 매니저(527)는, 제2 가상화 머신(530)이 제공하는 제1 오버레이와, 제3 가상화 머신(540)이 제공하는 제2 오버레이와, 제4 가상화 머신(550)이 제공하는 제3 오버레이를,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디스플레이 매니저(527)는, 제1 오버레이 또는 제2 오버레이 또는 제3 오버레이와 별도의 버츄얼 오버레이(virtual overlay)를,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를 통해,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30~55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가상화 머신(530)은, 제1 오버레이와 버츄얼 오버레이(virtual overlay)를 합성하여, 제1 디스플레이(180a)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가상화 머신(540)은, 제2 오버레이와 버츄얼 오버레이(virtual overlay)를 합성하여,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4 가상화 머신(550)은, 제3 오버레이와 버츄얼 오버레이(virtual overlay)를 합성하여, 제3 디스플레이(180c)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매니저(5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입력 신호는, 차량 내의 소정 버튼(시동 버튼 등)의 입력 신호, 터치 입력 신호, 또는 음성 입력 신호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력 매니저(524)는,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 또는 제3 디스플레이(180c)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 또는 제3 디스플레이(180c)로부터의 터치 입력과 관련한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 또는 제4 가상화 머신(550)으로 전송하는 터치 서버(528)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터치 서버(528)는, 제1 디스플레이(180a)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5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터치 서버(528)는,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 또는 제3 디스플레이(180c)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6의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에서 구동되는 시스템(500b)에 의하면,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는,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20~550)을 실행하며,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530), 제3 가상화 머신(540), 및 제4 가상화 머신(550)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508)가 설정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로,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정보가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 또는 제4 가상화 머신(550)으로 전송되며, 결국,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 또는 제3 디스플레이(180c)에 대한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되는 가상화 머신의 개수가 증가되더라도,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데이터로, 영상 데이터가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 또는 제3 디스플레이(180c)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유 메모리(508)에 동일한 영상 데이터가 공유되는 경우, 차량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에서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데이터로, CAN 통신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USB 데이터, 무선 통신 데이터, 위치 정보 데이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 또는 제3 디스플레이(180c)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레가시 가상화 머신(510)은, 메모리(140)로부터의 메모리 데이터, 또는 이더넷 통신에 의해 이더넷 데이터를,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508)를 이용하여, 제2 가상화 머신(530), 제3 가상화 머신(540), 및 제4 가상화 머신(5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 데이터 또는 이더넷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가,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 또는 제3 디스플레이(180c)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의 시스템(500b)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도 5의 시스템(500) 내의 제1 가상화 머신과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매니저(527)와,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 입력 매니저(524), 터치 서버(528)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시스템(500b)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도 5와 달리,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와, 터치 서버(528)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매니저(527)와,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 입력 매니저(524), 터치 서버(528)의 동작은, 도 5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6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전체 시스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매니저(system manager), 차량 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 정보 매니저(vehicle information manager), 오디오 제어를 위한 오디오 매니저(audio manager), 라디오 제어를 위한 라디오 매니저(radio manager)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시스템(500b)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GPS 정보의 입출력을 위한 GNSS 서버, 블루투스 입출력을 위한 블루투스 서버, 와이파이 입출력을 위한 와이파이 서버, 카메라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카메라 서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7의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에서 구동되는 시스템(500c)은, 도 6의 시스템(500b)과 거의 유사하다.
즉, 도 6과 같이, 도 7의 프로세서(175)는,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20~550)을 실행한다.
다만, 도 7에서는 도 6과 달리,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와, 터치 서버(528)가,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의 외부에,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에서 구비되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달리, GPS 정보의 입출력을 위한 GNSS 서버, 블루투스 입출력을 위한 블루투스 서버, 와이파이 입출력을 위한 와이파이 서버, 카메라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카메라 서버 등이,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의 외부에,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에서 구비되어 실행될 수 있다.
즉,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에, 디스플레이 매니저(527)와,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 입력 매니저(524), 터치 서버(528)가 구비되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시스템(500b)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도 5와 달리,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와, 터치 서버(528)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매니저(527)와,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 입력 매니저(524), 터치 서버(528)의 동작은, 도 5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9b는 도 5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500) 내의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4 가상화 머신(520~550)을 실행하며,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이, 제2 가상화 머신(530), 제3 가상화 머신(540) 및 제4 가상화 머신(550)으로, 동일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508)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차량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에서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가상화 머신 사이의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복수의 가상화 머신이 서로 다른 운영체제에 의해 구동되더라도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다른 가상화 머신으로 전송하는 경우, 가상화 머신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메모리 할당이 아닌, 하나의 공유 메모리(508)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화 머신들 사이에서의 1:1 방식의 데이터 통신이 아니라, 공유 메모리(508)를 이용하여, 1:N 방식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와 보안 매니저(5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가상화 머신(530), 제3 가상화 머신(540), 및 제4 가상화 머신(550)은, 각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 5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와,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552)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사이의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제2 가상화 머신(530), 제3 가상화 머신(540), 및 제4 가상화 머신(550) 내의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 552)로부터 동일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공유 데이터를 보안 매니저(526)를 통해, 공유 메모리(508)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공유 메모리(508)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 또는 제4 가상화 머신(550) 내의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542,552)는, 공유 메모리(508)에 기록된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a는 공유 데이터 전송에 대한 보다 상세한 도면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유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보안 매니저(526)로 공유 메모리(508)의 할당 요청을 전송한다(S1).
다음, 보안 매니저(526)는, 하이퍼바이저(505)를 이용하여 공유 메모리(508)를 할당하고(S2), 공유 메모리(508)에 공유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 552)는, 공유 메모리(508) 할당 이후,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3).
한편,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공유 메모리(508) 할당 이후,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 552)로, 키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유 메모리(508)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4). 이때의 키 데이터는, private key 데이터일 수 있다.
즉,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공유 메모리(508)의 설정 이후, 공유 메모리(508)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530), 제3 가상화 머신(540), 제4 가상화 머신(5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가상화 머신 사이의 분산 처리 제어를 위해, 데이터와 별도의, 커맨드 또는 이벤트 처리를 위한 커맨드 큐(command queue)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S5).
도면에서는,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의 제어에 의해, 하이퍼바이저(505) 내의 커맨드 큐 버퍼(504)에서, 커맨드 큐가 생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의 제어에 의해, 하이퍼바이저(505) 내가 아닌,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에서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 552)는, 커맨드 큐 버퍼(504)에 억세스 하여, 생성된 커맨드 큐 또는 커맨드 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6).
예를 들어,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 552)로의 커맨드가 동일한 경우, 생성된 커맨드 큐는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 552)로의 커맨드가 서로 다른 경우, 서로 다른 커맨드 큐가,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 552)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 552)는,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 552)는, 수신한 키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유 메모리(508)에 접근하고(S5), 공유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508)로부터 카피(copy) 또는 독출할 수 있다(S7).
특히,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 552)가 동일한 공유 데이터를 전달받는 경우,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 552)는, 동일한 커맨드 큐 및 동일한 키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유 메모리(508)에 접근하고(S5), 공유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508)로부터 카피(copy) 또는 독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상화 머신(530), 제3 가상화 머신(540), 및 제4 가상화 머신(550)에서 공유 메모리(508)에 억세스 가능하게 되며, 결국, 공유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공유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인 경우, 제2 가상화 머신(530), 제3 가상화 머신(540), 및 제4 가상화 머신(550)에서 영상 데이터를 공유하게 되며, 결국 차량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에서 동일한 공유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9b는, 도 9a의 시스템(500)에 의해, 제2 가상화 머신(530)이 공유 메모리(508)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180a)에 표시하고, 제3 가상화 머신(540)이 공유 메모리(508)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b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180a)에 표시되는 영상(905a)과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되는 영상(905b)의 동기화 수행되어, T1 시점에, 동일한 영상(905a,905b)이 각각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는, 공유 메모리(508)를 통해,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전송되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180a)에 표시되는 제1 영상(905a)과,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되는 제2 영상(905b)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에서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기 모드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마이컴(135)의 전원이 온된다(S1010).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에서 하이퍼바이저(505)를 온 시켜 구동한다(S1020).
그 다음,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는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복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킨다(S1030).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는 도 5의 복수의 가상화 머신(510~550)을 온 시킨다.
그 다음,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제2 메모리(140b)는,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된 운영 체제 파일을 독출하고 로딩시킬 수 있다(S1040).
이때의 운영 체제 파일은, 이미지 파일로서, 하나의 파일일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는, 제2 메모리(140b)에서 로딩된 운영 체제 파일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 등의 서비스 프로세스를 시작한다(S1050).
도 10과 같이, 대기 모드 또는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까지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복수의 가상화 머신(510~550)의 온 시, 복수의 가상화 머신(510~550)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이 더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별로 또는 가상화 머신 별로 또는 운영 체제 별로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하여, 중요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가상화 머신 또는 운영 체제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a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기 모드 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마이컴(135)의 전원이 온된다(S1110).
한편, 대기 모드 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 이전에, 대기 모드로의 진입시, 제1 메모리(140a)는, 복수의 가상화 머신(510~550) 중 어느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파일을 저장한다.
한편, 대기 모드 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 이전에, 대기 모드로의 진입시, 복수의 가상화 머신(510~550) 중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별도의 저장 동작 없이 종료한다.
예를 들어, 제1 애플리케이션은, 중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시스템 체크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러스터 애플리케이션 또는 후방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은, 통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또는 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애플리케이션은, 중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1 운영 체제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고, 제2 애플리케이션은, 통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1 운영 체제와 다른 제2 운영 체제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가상화 머신(510~550) 중 서버 가상화 머신(52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고, 제2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가상화 머신(510~550) 중 게스트 가상화 머신(530~55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실행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가상화 머신(510~550) 중 제1 게스트 가상화 머신(53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고, 제2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가상화 머신(510~550) 중 제2 게스트 가상화 머신(54)에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한편, 제1 메모리(140a)는, 대기 모드에서 파일을 저장하는 영역만 전원을 유지시키며, 나머지 영역은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메모리(140a)는,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더 저장할 수 있으며, 대기 모드에서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영역은 전원 오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대기 모드에서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되는 파일은, 하나의 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신속한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대기 모드에서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되는 파일은, 하나의 이미지 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신속한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가상화 머신은,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1120).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에 따라, 프로세서(175)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2 메모리(140b)에 로딩되는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이 복원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가상화 머신은, 나머지 가상화 머신에서, 통상의 부팅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가상화 머신을 제외한 나머지 가상화 머신이 온 된다(S1130).
예를 들어, 제2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었던 가상화 머신이 온될 수 있다.
그 다음,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제2 메모리(140b)는,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된 운영 체제 파일을 독출하고 로딩시킬 수 있다(S1140).
이때의 운영 체제 파일은, 이미지 파일로서, 하나의 파일일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는, 제2 메모리(140b)에서 로딩된 운영 체제 파일을 이용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 실행 등의 서비스 프로세스를 시작한다(S1150).
한편, 프로세서(175)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에, 제1 애플리케이션을 복원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미실행에 대응하여 로딩 중임을 나타내는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5)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제1 영상을 계속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3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애플리케이션과 제2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유사하게,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가상화 머신과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가상화 머신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5)는,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510~550) 중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제2 메모리(140b)에서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로딩에 따라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5)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마이컴(135)의 전원 온 이후, 하이퍼바이저(505)를 온 시키고, 하이퍼바이저(505)의 온 이후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제2 메모리(140b)에서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로딩에 따라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b의 순서도는 도 11a의 순서도와 유사하나, 마이컴 전원 온 이후,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을 위한 가상화 머신과, 제2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가상화 머신이, 독립적으로 그리고 병렬적으로 진행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가상화 머신은, 나머지 가상화 머신에서, 통상의 부팅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지 않고, 제2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가상화 머신이, 독립적으로 그리고 병렬적으로 서로 다른 부팅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가상화 머신은,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를 수행한다.
즉, 프로세서(175)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2 메모리(140b)에 로딩되는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이 복원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가상화 머신은, 통상의 부팅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a에서 기술한 제1130 단계 내지 제1150 단계(S1130~S1150)가 그대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1c 내지 도 15b는 도 11a 또는 도 11b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c는 도 11a 또는 도 11b의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에 따라, 프로세서(175)는, 부트 로더를 실행할 수 있다(S1122b).
다음, 부트 로더의 실행에 따라, 제2 메모리(140b)는,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한다(S1124b). 이때의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된 파일은,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 모드 진입시의 최종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파일일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75)는, 제2 메모리(140b)에 로딩되는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이 복원되도록 제어한다(S1126b).
이에 따라, 신속하게, 제1 애플리케이션을 복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1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2a는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제1 게스트 가상화 머신(530)에서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가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12b는 도 12a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대기 모드 진입시 제1 게스트 가상화 머신(530)은,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일(1220)을, 도 12b와 같이 제1 메모리(140a)의 일부 영역(140ab)에 저장한다.
한편, 도 12b와 같이, 제1 메모리(140a)의 다른 영역(140aa)에는 제1 게스트 가상화 머신(530)과 관련하여, 하이퍼바이저가 사용하던 파일(1210,1215)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대기 모드에서, 제1 메모리(140a)의 일부 영역(140ab) 중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일(1220)이 저장된 영역만,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대기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대기 모드에서, 제1 메모리(140a)의 다른 영역(140aa) 중 파일(1210,1215)이 저장된 영역만,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대기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대기 모드에서, 프로세서(175)는 전원이 오프된다.
그리고,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시, 제2 메모리(140b)는,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제2 메모리(140b)에 로딩되는 파일에 기초하여, 제1 게스트 가상화 머신(530)에서 실행되었던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복원하여 실행한다.
한편, 도 12a와 도 12b를 참조하면, 제1 게스트 가상화 머신(530)의 제외한 나머지 가성화 머신(520, 540)은, 통상의 부팅 모드에 따라, 부팅 동작을 수행한다.
도 12c는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서버 가상화 머신(520)에서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가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대기 모드 진입시 서버 가상화 머신(520)은,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일을, 제1 메모리(140a)의 일부 영역에 저장한다.
한편, 대기 모드에서, 제1 메모리(140a)의 일부 영역(140ab) 중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일이 저장된 영역만,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대기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시, 제2 메모리(140b)는,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제2 메모리(140b)에 로딩되는 파일에 기초하여, 서버 가상화 머신(520)에서 실행되었던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복원하여 실행한다.
도 13은 대기 모드와 액티브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마이컴(135)는, 대기 모드 진입에 따라, 전원 오프 신호를 프로세서(175)로 전송한다(S1305).
다음, 프로세서(175)는, 제2 메모리(140b)로 메모리 청소 명령을 전달한다(S1310). 이에 따라, 제2 메모리(140b)는, 메모리 내부를 정리한다.
다음, 프로세서(175)는, 제2 메모리(140b)로 중요 가상화 머신이 아닌 가상화 머신의 종료를 요청한다(S1315). 이에 따라, 제2 메모리(140b)는, 중요 가상화 머신이 아닌 가상화 머신을 종료한다.
다음, 프로세서(175)는, 제2 메모리(140b)로 중요 가상화 머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1320).
이에 따라, 제2 메모리(140b)는, 중요 가상화 머신의 하이버네이션 모드 수행을 위해, 제1 메모리(140a)에 중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일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메모리(140a)는, 중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일을 저장한다.
다음,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따라, 전원 온 신호를 프로세서(175)로 전송한다(S1335).
다음, 프로세서(175)는, 제2 메모리(140b)로 웨이크 업 명령을 전달한다(S1340).
다음, 프로세서(175)는, 제2 메모리(140b)로 중요 가상화 머신이 아닌 가상화 머신의 웨이크 업을 요청한다(S1345).
이에 따라, 제2 메모리(140b)는, 중요 가상화 머신이 아닌 가상화 머신이, 통상의 부팅 모드가 수행되도록 한다
다음, 프로세서(175)는, 제2 메모리(140b)로 중요 가상화 머신의 웨이크 업을 요청한다(S1350).
이에 따라, 제2 메모리(140b)는, 중요 가상화 머신의 하이버네이션 모드 수행을 위해, 제1 메모리(140a)에 중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일 전송을 요청한다(S1355).
이에 따라, 제1 메모리(140a)는, 중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일을 제2 메모리(140b)로 전송한다(S1360).
그리고, 제2 메모리(140b)는, 중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일을 로딩하고, 프로세서(175)는, 제2 메모리(140b)에 로딩되는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이 복원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구동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4a는 제2 디스플레이(180b)와 제3 디스플레이(180c)에,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원 버튼(PBR)이 눌려지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180b)에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영상(1410)이 표시되고, 제3 디스플레이(180c)에 게임 애플리케이션 영상(14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전원 오프 버튼(OBR)이 눌려지는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한편, 프로세서(175)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과 게임 애플리케이션 중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중요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모드 진입에 기초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은 별도의 저장 없이 종료되고,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일은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4b는 전원 버튼(PBR)이 눌려져,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의 전환에 기초하여,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되었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일은, 제2 메모리(140b)로 로딩되고, 결국 프로세서(175)에서 신속하게 복원된다.
도면과 같이, 프로세서(175)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에, 제1 애플리케이션을 복원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영상(1410)을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미실행에 대응하여 로딩 중임을 나타내는 제2 영상(1430)을 제3 디스플레이(180c)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5)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제1 영상(1410)을 계속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3 영상(142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5a는 제1 디스플레이(180a)와 제2 디스플레이(180b)에,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원 버튼(PBR)이 눌려지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180a)에 차량 정보 애플리케이션 영상(1510)이 표시되고,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영상(15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전원 오프 버튼(OBR)이 눌려지는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한편, 프로세서(175)는, 차량 정보 애플리케이션과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중 차량 정보 애플리케이션을 중요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모드 진입에 기초하여,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은 별도의 저장 없이 종료되고, 차량 정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일은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5b는 전원 버튼(PBR)이 눌려져,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의 전환에 기초하여, 제1 메모리(140a)에 저장되었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파일은, 제2 메모리(140b)로 로딩되고, 결국 프로세서(175)에서 신속하게 복원된다.
도면과 같이, 프로세서(175)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에, 제1 애플리케이션을 복원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영상(1510)을 제1 디스플레이(180a)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미실행에 대응하여 로딩 중임을 나타내는 제2 영상(1530)을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5)는,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제1 영상(1510)을 계속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3 영상(152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부팅 기간 또는 웨이크업 기간을 달리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어느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상기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메모리에 로딩되는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복원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가상화 머신은, 서버 가상화 머신과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상기 서버 가상화 머신만이, 오디오 데이터 또는 무선 통신 데이터 또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 가상화 머신은,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으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파일을 저장하는 영역만 전원을 유지시키며, 나머지 영역은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복원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미실행에 대응하여 로딩 중임을 나타내는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상기 제1 영상을 계속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3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 체크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러스터 애플리케이션 또는 후방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홈 화면 애플리케이션 또는 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제1 운영 체제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운영 체제와 다른 제2 운영 체제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제1 게스트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제2 게스트 가상화 머신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상기 서버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상기 게스트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더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상기 제2 메모리에서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로딩에 따라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마이컴의 전원 온 이후, 하이퍼바이저를 온 시키고, 상기 하이퍼바이저의 온 이후 상기 다른 하나의 가상화 머신을 온 시키고, 상기 제2 메모리에서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로딩에 따라 운영 체제가 구동된 이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 내의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제2 가상화 머신, 및 제3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며,
    상기 제2 가상화 머신은 제1 디스플레이를 위해 동작하며, 상기 제3 가상화 머신은, 제2 디스플레이를 위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내의 상기 제1 가상화 머신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상기 제3 가상화 머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화 머신은,
    상기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공유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화 머신은,
    상기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상기 제3 가상화 머신으로, 상기 공유 메모리에 대한 버퍼 인덱스를 전송하고,
    상기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상기 제3 가상화 머신은, 수신한 상기 버퍼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화 머신은,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상화 머신 및 상기 제3 가상화 머신은, 각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상화 머신 내의 상기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는,
    상기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공유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상기 제3 가상화 머신 내의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는, 상기 공유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 내의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3 디스플레이를 위해 동작하는 제4 가상화 머신을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화 머신은,
    상기 차량의 휠 속도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상기 제2 가상화 머신 또는 상기 제3 가상화 머신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처리된 휠 속도 센서 데이터 또는 상기 처리된 휠 속도 센서 데이터에 대응하는 속도 정보를 나타내는 오버레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8.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어느 하나의 가상화 머신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상기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제1 시점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복원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미실행에 대응하여 로딩 중임을 나타내는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가상화 머신은, 서버 가상화 머신과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화 머신 중 상기 서버 가상화 머신만이, 오디오 데이터 또는 무선 통신 데이터 또는 터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 가상화 머신은,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으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액티브 모드로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상기 제1 영상을 계속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3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20. 제1 디스플레이;
    제2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7000174A 2020-11-10 2021-11-08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5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9179 2020-11-10
KR1020200149179 2020-11-10
PCT/KR2021/016097 WO2022103093A1 (ko) 2020-11-10 2021-11-08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427A KR20230022427A (ko) 2023-02-15
KR102625290B1 true KR102625290B1 (ko) 2024-01-16

Family

ID=8160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174A KR102625290B1 (ko) 2020-11-10 2021-11-08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409370A1 (ko)
EP (1) EP4245615A4 (ko)
KR (1) KR102625290B1 (ko)
WO (1) WO202210309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1805A1 (en) * 2018-09-26 2020-04-02 Intel Corporation Power Off and Power 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Vehicle System
KR102356316B1 (ko) 2019-03-13 2022-01-2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 시스템, 차량 및 이러한 차량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221B1 (ko) * 2006-08-23 2008-06-09 (주)더싸인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02939B1 (ko) * 2009-10-16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데이터 관리 방법
KR20110094764A (ko) * 2010-02-17 2011-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랜잭션 기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가상화 장치 및 방법
US8788777B2 (en) * 2011-05-06 2014-07-22 Marvell World Trade Ltd. Memory on-demand, managing power in memory
US9389673B2 (en) * 2011-12-22 2016-07-12 Sandisk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performing a data save operation
JP6156620B2 (ja) * 2013-02-08 2017-07-0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装置
US20160328254A1 (en) * 2014-01-06 2016-11-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with multiple user interface operating domains
US9959124B1 (en) * 2014-09-26 2018-05-01 Apple Inc. Secure bypass of low-level configuration in reconfiguration of a computing system
KR101916728B1 (ko) * 2016-03-07 2018-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10696129B2 (en) * 2016-11-27 2020-06-30 Dometic Sweden Ab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mobile climate control system
KR102064420B1 (ko) * 2018-02-06 2020-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20200058157A (ko) * 2018-11-19 202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Ivi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1805A1 (en) * 2018-09-26 2020-04-02 Intel Corporation Power Off and Power 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Vehicle System
KR102356316B1 (ko) 2019-03-13 2022-01-2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 시스템, 차량 및 이러한 차량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ravan Karthik 외 7명. Hypervisor based approach for integrated cockpit solutions. 2018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45615A4 (en) 2024-07-03
EP4245615A1 (en) 2023-09-20
US20230409370A1 (en) 2023-12-21
KR20230022427A (ko) 2023-02-15
WO2022103093A1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9777B2 (ja) 自律走行車における処理ノードのデータフローを管理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10860208B2 (en) Multi-window display controller
KR102262926B1 (ko) 차량용 소프트웨어 제어 장치
WO2020140901A1 (en) Separate operating systems for dashboard display
US20240152370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s including the same
KR20220139790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5290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364138A1 (en) In-vehicle computing system with power conserving maintenance tasks
US20210046823A1 (en) Vehicle integrated computer
KR102581600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327986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647127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231881A9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KR20240093722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036856A1 (en) Vehicle system
US20240037999A1 (en) Vehicle system
TWI816106B (zh) 用於機動車輛的使用者介面之控制裝置、機動車輛,以及用於操作針對使用者介面的控制裝置之方法
JP7484746B2 (ja) 車両用装置、車両用システム
KR20240093724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406236A1 (en) Vehicle device
US20240217342A1 (en) Vehicle display apparatus
KR20230137757A (ko) 메일 박스들을 이용한 가상 머신들 사이의 통신 방법, 상기 통신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온 칩, 및 상기 시스템 온 칩을 포함하는 차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KR20240093723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JP2022163939A (ja) 車両用システム
JP2022110522A (ja) 車載コンピュータ、コンピュータ実行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