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215B1 -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215B1
KR102625215B1 KR1020230089944A KR20230089944A KR102625215B1 KR 102625215 B1 KR102625215 B1 KR 102625215B1 KR 1020230089944 A KR1020230089944 A KR 1020230089944A KR 20230089944 A KR20230089944 A KR 20230089944A KR 102625215 B1 KR102625215 B1 KR 102625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insertion portion
protrusion
fram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프스포츠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프스포츠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프스포츠상사
Priority to KR102023008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부피를 최소화하고 경량화하여 휴대하였다가 등산 또는 야외 활동 중이거나, 축구장 또는 야구장과 같이 관람자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 커피나 음료수를 마실 때 신속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요입홈(110)이 좌우 양단에 각각 만곡지게 절곡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요입홈(110)이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전후부에는 다리부(220)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쌍의 프레임(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210)의 일측면 하부에는 상판(100)의 저면이 접촉되는 접촉돌기(21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돌기(211)가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210)의 상부에는 상판(100)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지지돌기(212)가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Portable Assembly Table}
본 발명은 야외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부피를 최소화하고 경량화하여 휴대하였다가 등산 또는 야외 활동 중이거나, 축구장 또는 야구장과 같이 관람자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 커피나 음료수를 마실 때 신속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각 가정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등산이나 산책 또는 축구경기나 야구경기를 즐기는 레저문화가 발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식이나 경기를 관람하면서 커피는 물론이고 간단한 음식을 취식할 때 사용하는 휴대용 테이블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테이블은 통상 의자와 상판이 각각 연결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이들 연결링크를 펼치거나 접음으로써, 휴대하기에 용이하고 펼쳐 사용하기 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판을 의자로부터 분리하거나 의자와 상판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 휴대용 테이블이 야외에서 물품의 보관대로서의 용도뿐만 아니라 식탁, 취사대, 독서대 또는 작업대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즉, 야외 나들이용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테이블의 상판은 2쪽으로 분할 형성되어 힌지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며, 양측의 상판을 결합하게 되면 상판의 양단에 형성된 손잡이들이 서로 합치되어 휴대하기 용이한 가방형태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상판의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의자가 절첩되면서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은 물론 결합된 테이블의 상판과 의자를 펼쳐지게 하면 테이블 양측으로 의자가 설치되어 주로 4인이 사용할 수 있는 식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펼쳐진 상판과 의자를 이용하여 야외에서의 식사할 때 간단하게 펼쳐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테이블의 상판과 의자가 연결링크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제작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전체 중량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 등산 또는 야외 활동 시 휴대가 곤란하다.
둘째, 절첩식이어서, 조립 및 분해에 익숙하지 않은 주부 또는 노약자들은 사용이 불편하다.
셋째, 축구장이나 야구장과 같이 관람자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는 사용이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5-0004225호(2015.11.2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판의 좌우 양측단부를 프레임의 상단부에 끼워주는 것에 의해 테이블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에 익숙하지 않은 주부 또는 노약자들도 편리하게 조립식 테이블을 조립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립식 테이블의 부피를 최소화함은 물론이고 경량화하여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기를 최소화하여 축구장이나 야구장과 같이 관람자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간단하게 테이블을 조립하여 음료수는 물론이고 간단한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요입홈(110)이 좌우 양단에 각각 만곡지게 절곡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요입홈(110)이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전후부에는 다리부(220)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쌍의 프레임(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210)의 일측면 하부에는 상판(100)의 저면이 접촉되는 접촉돌기(21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돌기(211)가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210)의 상부에는 상판(100)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지지돌기(212)가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부(210)에는 지지돌기(212)에 상판(100)을 위치되도록 삽입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삽입홈(213)이 경사지게 파여져 있어, 상기 삽입홈(213)을 통해 상판(10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경사지게 인입시킨 상태에서 요입홈(110)을 삽입부(210)에 삽입시키면서 상판(100)의 단부를 프레임(200)의 삽입부(210)에 끼워주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212)와 이격되는 위치에는 요입홈(110)이 삽입부(210)에 삽입되면서 끼워진 상판(100)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고정돌기(214)가 삽입부(21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상기 상판(100)의 요입홈(110)을 프레임(200)의 삽입부(210)에 끼움시 상판(100)전후 단부가 각각 고정돌기(214)와 지지돌기(212)에 의해 접촉되면서 프레임(200)의 삽입부(210)에 끼워지도록 함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프레임(200)에는 결합돌기(23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230)가 끼워지는 결합공(240)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200)의 결합돌기(230)를 다른 프레임(200)의 결합공(240)에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프레임(200)과 프레임(200)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에는 복 수개의 관통공(250)이 관통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 수개 형성시켜. 상기 프레임(200) 중량이 가벼워지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상판(100)의 요입홈(110)에는 1개 이상의 압압돌기(11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판(100)의 요입홈(110)을 프레임(200)의 삽입부(210)에 끼움시 보다 안정적으로 삽입부(210)에 요입홈(110)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에 따르면 상판과 다리역할을 하는 한쌍의 프레임이 분리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한쌍의 프레임이 상호 흩어지지 않도록 결합시켜 휴대시에 부피를 최소화하였다가 다리역할을 하도록 상판의 좌우 양측단부를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테이블의 조립이 완료되어 지게 됨으로써, 조립식 테이블을 휴대하는 것은 물론이고, 조립 및 분해에 익숙하지 않은 주부 또는 노약자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시 또는 보관시 체적이 작아 관람자가 관람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한 축구장이나 야구장과 같은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판과 분리된 프레임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분실될 염려가 없으므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용 프레임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용 상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용 상판의 요입홈에 상판의 삽입부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의 상판이 접촉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의 상판이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의 상판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용 프레임을 보인 배면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용 상판의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용 상판의 요입홈에 상판의 삽입부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의 상판이 접촉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의 상판이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의 상판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요입홈(110)이 좌우 양단에 각각 만곡지게 절곡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요입홈(110)이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전후부에는 다리부(220)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쌍의 프레임(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210)의 일측면 하부에는 상판(100)의 저면이 접촉되는 접촉돌기(21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돌기(211)가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210)의 상부에는 상판(100)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지지돌기(212)가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부(210)에는 지지돌기(212)에 상판(100)을 위치되도록 삽입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삽입홈(213)이 경사지게 파여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212)와 이격되는 위치에는 요입홈(110)이 삽입부(210)에 삽입되면서 끼워진 상판(100)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고정돌기(214)가 삽입부(21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200)에는 결합돌기(23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230)가 끼워지는 결합공(240)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에는 복수개의 관통공(250)이 관통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판(100)의 요입홈(110)에는 1개 이상의 압압돌기(111)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을 휴대 및 보관시에는 요입홈(110)이 좌우 양단에 각각 만곡지게 절곡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요입홈(110)이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전후부에는 다리부(220)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쌍의 프레임(200)을 각각 분리시켜 보관 및 휴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프레임(200)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200)에 형성된 결합공(240)에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른 프레임(200)에 형성된 결합돌기(230)를 삽입시켜 상기 프레임(200)과 프레임(200)이 상호 결합된 상태로 보관 및 휴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한쌍의 프레임(200)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200)이 보관 및 휴대시 분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각 상판(100)과 프레임(200)을 분리시켜 보관 및 휴대중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을 조리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쌍의 프레임(200)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200) 상부에 형성된 삽입부(210)에 상판(100)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요입홈(110)을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요입홈(110)에 형성된 압압돌기(111)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상판(100)의 일측단부가 삽입부(2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상판(100)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요입홈(110)이 프레임(200)의 삽입부(210)에 삽입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상판(10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요입홈(110)이 다른 프레임(200)의 삽입부(210)에 삽입시켜 주게된다.
이로인해 상판(100)의 좌우 양측단부에 각각 프레임(200)이 고정되게 조립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상판(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프레임(200)을 조립시킨 후에는 상기 프레임(200)의 전후부에 형성된 다리부(220)의 하단부가 저면에 접촉되도록 놓아주게되면 상기 상판(100)이 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200)의 삽입부(210)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된 접촉돌기(211)는 상판(100)의 저면에 접촉되고, 상기 프레임(200)의 삽입부(2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212)는 상판(100)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프레임(2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프레임(200)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고정되게 상판(100)의 좌우 양측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요입홈(110)을 삽입부(210)에 삽입되도록 상판(100)을 프레임(200)에 조립시에는 상기 삽입부(210)에 형성된 삽입홈(213)을 통해 기울어진 상태로 원할하게 상판(100)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상판(100)의 타측 상부면이 지지돌기(212)의 저면에 접촉되면서 지지되고, 상기 상판(100)의 일측단부는 지지돌기(212)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돌기(214)에 의해 접촉되면서 지지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상판
110 : 요입홈
200 : 프레임
210 : 삽입부
211 : 접촉돌기
212 : 지지돌기
220 : 다리부

Claims (5)

  1. 요입홈(110)이 좌우 양단에 각각 만곡지게 절곡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요입홈(110)이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전후부에는 다리부(220)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쌍의 프레임(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210)의 일측면 하부에는 상판(100)의 저면이 접촉되는 접촉돌기(21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돌기(211)가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210)의 상부에는 상판(100)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지지돌기(212)가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10)에는 지지돌기(212)에 상판(100)을 위치되도록 삽입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삽입홈(213)이 경사지게 파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212)와 이격되는 위치에는 요입홈(110)이 삽입부(210)에 삽입되면서 끼워진 상판(100)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고정돌기(214)가 삽입부(21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에는 결합돌기(23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230)가 끼워지는 결합공(240)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의 요입홈(110)에는 1개 이상의 압압돌기(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KR1020230089944A 2023-07-11 2023-07-11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KR102625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944A KR102625215B1 (ko) 2023-07-11 2023-07-11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944A KR102625215B1 (ko) 2023-07-11 2023-07-11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215B1 true KR102625215B1 (ko) 2024-01-15

Family

ID=8954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944A KR102625215B1 (ko) 2023-07-11 2023-07-11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2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697B1 (ko) * 2011-05-06 2011-11-15 박성일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
KR20150004225U (ko) 2014-05-16 2015-11-25 윤수봉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KR20170002579U (ko) * 2016-01-07 2017-07-17 주식회사라이프스포츠상사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JP3217077U (ja) * 2017-09-26 2018-07-19 有限会社中村木工所 組立式バーベキューテーブル
KR20230060122A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레마 가변 조립식 다용도 받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697B1 (ko) * 2011-05-06 2011-11-15 박성일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
KR20150004225U (ko) 2014-05-16 2015-11-25 윤수봉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KR20170002579U (ko) * 2016-01-07 2017-07-17 주식회사라이프스포츠상사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JP3217077U (ja) * 2017-09-26 2018-07-19 有限会社中村木工所 組立式バーベキューテーブル
KR20230060122A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레마 가변 조립식 다용도 받침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217077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410Y1 (ko)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US6032590A (en) Knockdown table/chair assembly
US5029938A (en) Portable leisure table having collapsible seating structure
US8870294B2 (en) Collapsible chair
US20160166068A1 (en) Chair with entertaining device for mutual interaction between people
US6955401B1 (en) Collapsible rocker chair
US11000131B2 (en) Game furniture
US7469642B1 (en) Adjustable table and base assembly and method for use
KR102625215B1 (ko)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KR200484129Y1 (ko)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US10130167B1 (en) Foldable table
KR200464280Y1 (ko) 휴대용 테이블
KR200495625Y1 (ko) 캠핑용 테이블
KR102339257B1 (ko) 조립식 가구
KR20160003566U (ko) 캠핑용 테이블
KR102275210B1 (ko) 야외용 원목 테이블
US20020139282A1 (en) Folding table
KR20130113847A (ko)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KR20200037504A (ko) 조립식 낚시용 의자
KR200230723Y1 (ko) 야외놀이용 다용도 테이블
JP3133619U (ja) 茶道点前用座礼棚組合せ体
TWI630888B (zh) 收納式桌椅
KR200262907Y1 (ko) 절첩식 간이 테이블
KR880003209Y1 (ko) 절첩식 탁자용 골조
KR960009954Y1 (ko) 테이블이 부설된 아이스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