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143B1 -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143B1
KR102625143B1 KR1020227012038A KR20227012038A KR102625143B1 KR 102625143 B1 KR102625143 B1 KR 102625143B1 KR 1020227012038 A KR1020227012038 A KR 1020227012038A KR 20227012038 A KR20227012038 A KR 20227012038A KR 102625143 B1 KR102625143 B1 KR 102625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unit
encoding
spectral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028A (ko
Inventor
성호상
콘스탄틴 오시포브
이 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700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413A/ko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5/00166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5122752A1/ko
Publication of KR2022005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1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using orthogonal transform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2Dynamic bit allo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32Quantisation or dequantisation of spectral compon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4Variable rate codecs, e.g. for generating different qualities using a scalable representation such as hierarchical encoding or layered encoding

Abstract

스펙트럼 부호화방법은 적어도 각 밴드의 비트할당정보에 근거하여 부호화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제로밴드에 대하여 제로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각 넌제로밴드에 대하여 선택된 중요주파수성분의 정보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SIGN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IGNAL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오디오 혹은 스피치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스펙트럼 계수를 부호화 혹은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스펙트럼 계수들의 효율적인 부호화를 위해 다양한 방식의 양자화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TCQ(Trellis Coded Quantization), USQ(Uniform Scalr Quantization), FPC(Factorial Pulse Coding), AVQ(Algebraic VQ), PVQ(Pyramid VQ) 등이 있으며, 각각의 양자화기에 최적화된 무손실 부호화기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다양한 비트율 혹은 다양한 서브밴드의 크기에 적응적으로 스펙트럼 계수를 부호화 혹은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신호 부호화방법 혹은 복호화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신호 부호화장치 혹은 복호화장치를 채용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스펙트럼 부호화방법은 적어도 각 밴드의 비트할당정보에 근거하여 부호화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제로밴드에 대하여 제로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각 넌제로밴드에 대하여 선택된 중요주파수성분의 정보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스펙트럼 복호화방법은 적어도 각 밴드의 비트할당정보에 근거하여 복호화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제로밴드에 대하여 제로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각 넌제로밴드에 대하여 얻어진 중요주파수성분의 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비트율과 다양한 서브밴드의 크기에 적응적인 스펙트럼 계수의 부호화 및 복호화가 가능하다. 또한, 멀티레이트를 지원하는 코덱에서 설계된 비트레이트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고정비트율로 스펙트럼을 TCQ로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TCQ의 높은 성능을 정확한 타겟비트율로 부호화하여 코덱의 부호화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오디오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장치의 일예에 따른 구성을 각각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오디오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장치의 다른 예에 따른 구성을 각각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오디오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장치의 다른 예에 따른 구성을 각각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오디오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장치의 다른 예에 따른 구성을 각각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주파수 도메인 오디오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주파수 도메인 오디오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서브밴드 분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양자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ISC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ISC 정보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5는 일실시예에 따른 ISC 수집 및 부호화과정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ISC 수집 및 부호화과정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TCQ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주파수 도메인 오디오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9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0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역양자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1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2는 일실시예에 따른 ISC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3은 일실시예에 따른 ISC 정보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5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ISC 정보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ISC 정보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8은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1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의 미세 구조 부호화방법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3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의 미세 구조 복호화방법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오디오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장치의 일예에 따른 구성을 각각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오디오 부호화장치(110)는 전처리부(112),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114), 및 파라미터 부호화부(116)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a에 있어서, 전처리부(112)는 입력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혹은 다운샘플링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신호는 오디오, 뮤직 혹은 스피치, 혹은 이들의 혼합신호를 나타내는 사운드 등의 미디어 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오디오 신호로서 지칭하기로 한다.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114)는 전처리부(112)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시간-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오디오 신호의 채널 수, 부호화대역 및 비트율에 대응하여 부호화 툴을 선택하고, 선택된 부호화 툴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시간-주파수 변환은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MLT(Modulated Lapped Transform) 혹은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주어진 비트수가 충분한 경우 전체 대역에 대하여 일반적인 변환 부호화방식을 적용하며, 주어진 비트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일부 대역에 대해서는 대역확장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신호가 스테레오 혹은 멀티채널인 경우, 주어진 비트수가 충분하면 각 채널별로 부호화하고, 충분하지 않으면 다운믹싱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114)로부터는 부호화된 스펙트럼 계수가 생성된다.
파라미터 부호화부(116)는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114)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된 스펙트럼 계수로부터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파라미터를 부호화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서브밴드 혹은 밴드 별로 추출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서브밴드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각 서브밴드는 스펙트럼 계수들을 그루핑한 단위로서, 임계대역을 반영하여 균일 혹은 비균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비균일 길이를 가지는 경우, 저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서브밴드의 경우 고주파수 대역에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밴드의 개수 및 길이는 코덱 알고리즘에 따라서 달라지며 부호화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파라미터는 서브밴드의 스케일팩터, 파워, 평균 에너지, 혹은 norm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호화결과 얻어지는 스펙트럼 계수와 파라미터는 비트스트림을 형성하며,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채널을 통하여 예를 들어 패킷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오디오 복호화장치(130)는 파라미터 복호화부(132),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134), 및 후처리부(13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134)는 프레임 소거 은닉(FEC: frame erasure concealment) 알고리즘 혹은 패킷 손실 은닉(PLC: packet loss concelament)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b에 있어서, 파라미터 복호화부(132)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된 파라미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파라미터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소거 혹은 손실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에러 체크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 프레임이 정상 프레임인지 소거 혹은 손실 프레임인지에 대한 정보를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134)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소거 혹은 손실 프레임을 에러프레임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134)는 현재 프레임이 정상 프레임인 경우 일반적인 변환 복호화과정을 통하여 복호화를 수행하여 합성된 스펙트럼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134)는 현재 프레임이 에러프레임인 경우 FEC 혹은 PLC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전 정상 프레임의 스펙트럼 계수를 에러프레임에 반복하여 사용하거나 회귀분석을 통하여 스케일링하여 반복함으로써, 합성된 스펙트럼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134)는 합성된 스펙트럼 계수에 대하여 주파수-시간 변환을 수행하여 시간도메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후처리부(136)는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134)로부터 제공되는 시간도메인 신호에 대하여 음질 향상을 위한 필터링 혹은 업샘플링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처리부(136)는 출력신호로서 복원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오디오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장치의 다른 예에 따른 구성을 각각 나타낸 블록도로서, 스위칭 구조를 가진다.
도 2a에 도시된 오디오 부호화장치(210)는 전처리부(212), 모드결정부(213),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214), 시간도메인 부호화부(215) 및 파라미터 부호화부(216)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a에 있어서, 전처리부(212)는 도 1a의 전처리부(1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모드결정부(213)는 입력신호의 특성을 참조하여 부호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입력신호의 특성에 따라서 현재 프레임에 적합한 부호화 모드가 음성모드인지 또는 음악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현재 프레임에 효율적인 부호화 모드가 시간도메인 모드인지 아니면 주파수도메인 모드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의 단구간 특성 혹은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한 장구간 특성 등을 이용하여 입력신호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입력신호가 음성신호에 해당하면 음성모드 혹은 시간도메인 모드로 결정하고, 입력신호가 음성신호 이외의 신호 즉, 음악신호 혹은 혼합신호에 해당하면 음악모드 혹은 주파수도메인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모드결정부(213)는 입력신호의 특성이 음악모드 혹은 주파수도메인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전처리부(212)의 출력신호를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214)로, 입력신호의 특성이 음성모드 혹은 시간도메인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시간도메인 부호화부(215)로 제공할 수 있다.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214)는 도 1a의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1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시간도메인 부호화부(215)는 전처리부(212)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CELP(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CELP(Algebraic CELP)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라미터 부호화부(216)는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214) 혹은 시간도메인 부호화부(215)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된 스펙트럼 계수로부터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파라미터를 부호화한다. 파라미터 부호화부(216)는 도 1a의 파라미터 부호화부(11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부호화결과 얻어지는 스펙트럼 계수와 파라미터는 부호화 모드 정보와 함께 비트스트림을 형성하며, 채널을 통하여 패킷 형태로 전송되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오디오 복호화장치(230)는 파라미터 복호화부(232), 모드결정부(233),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234), 시간도메인 복호화부(235) 및 후처리부(23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234)와 시간도메인 복호화부(235)는 각각 해당 도메인에서의 FEC 혹은 PLC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b에 있어서, 파라미터 복호화부(232)는 패킷 형태로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라미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파라미터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에러 체크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 프레임이 정상 프레임인지 에러프레임인지에 대한 정보를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234) 혹은 시간도메인 복호화부(235)로 제공한다.
모드결정부(233)는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부호화 모드 정보를 체크하여 현재 프레임을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234) 혹은 시간도메인 복호화부(235)로 제공한다.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234)는 부호화 모드가 음악모드 혹은 주파수도메인 모드인 경우 동작하며, 현재 프레임이 정상 프레임인 경우 일반적인 변환 복호화과정을 통하여 복호화를 수행하여 합성된 스펙트럼 계수를 생성한다. 한편, 현재 프레임이 에러프레임이고, 이전 프레임의 부호화 모드가 음악모드 혹은 주파수도메인 모드인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FEC 혹은 PLC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전 정상 프레임의 스펙트럼 계수를 에러프레임에 반복하여 사용하거나 회귀분석을 통하여 스케일링하여 반복함으로써, 합성된 스펙트럼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234)는 합성된 스펙트럼 계수에 대하여 주파수-시간 변환을 수행하여 시간도메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시간도메인 복호화부(235)는 부호화 모드가 음성모드 혹은 시간도메인 모드인 경우 동작하며, 현재 프레임이 정상 프레임인 경우 일반적인 CELP 복호화과정을 통하여 복호화를 수행하여 시간도메인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현재 프레임이 에러프레임이고, 이전 프레임의 부호화 모드가 음성모드 혹은 시간도메인 모드인 경우 시간 도메인에서의 FEC 혹은 PLC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후처리부(236)는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234) 혹은 시간도메인 복호화부(235)로부터 제공되는 시간도메인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혹은 업샘플링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처리부(236)는 출력신호로서 복원된 오디오신호를 제공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오디오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장치의 다른 예에 따른 구성을 각각 나타낸 블록도로서, 스위칭 구조를 가진다.
도 3a에 도시된 오디오 부호화장치(310)는 전처리부(312), LP(Linear Prediction) 분석부(313), 모드결정부(314), 주파수도메인 여기부호화부(315), 시간도메인 여기부호화부(316) 및 파라미터 부호화부(317)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에 있어서, 전처리부(312)는 도 1a의 전처리부(1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LP 분석부(313)는 입력신호에 대하여 LP 분석을 수행하여 LP 계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LP 계수로부터 여기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신호는 부호화 모드에 따라서 주파수도메인 여기부호화부(315)와 시간도메인 여기부호화부(316)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모드결정부(314)는 도 2b의 모드결정부(2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주파수도메인 여기부호화부(315)는 부호화 모드가 음악모드 혹은 주파수도메인 모드인 경우 동작하며, 입력신호가 여기신호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의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1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시간도메인 여기부호화부(316)는 부호화 모드가 음성모드 혹은 시간도메인 모드인 경우 동작하며, 입력신호가 여기신호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2a의 시간도메인 부호화부(21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파라미터 부호화부(317)는 주파수도메인 여기부호화부(315) 혹은 시간도메인 여기부호화부(316)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된 스펙트럼 계수로부터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파라미터를 부호화한다. 파라미터 부호화부(317)는 도 1a의 파라미터 부호화부(11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부호화결과 얻어지는 스펙트럼 계수와 파라미터는 부호화 모드 정보와 함께 비트스트림을 형성하며, 채널을 통하여 패킷 형태로 전송되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오디오 복호화장치(330)는 파라미터 복호화부(332), 모드결정부(333), 주파수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4), 시간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5), LP 합성부(336) 및 후처리부(33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4)와 시간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5)는 각각 해당 도메인에서의 FEC 혹은 PLC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b에 있어서, 파라미터 복호화부(332)는 패킷 형태로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라미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파라미터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에러 체크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 프레임이 정상 프레임인지 에러프레임인지에 대한 정보를 주파수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4) 혹은 시간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5)로 제공한다.
모드결정부(333)는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부호화 모드 정보를 체크하여 현재 프레임을 주파수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4) 혹은 시간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5)로 제공한다.
주파수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4)는 부호화 모드가 음악모드 혹은 주파수도메인 모드인 경우 동작하며, 현재 프레임이 정상 프레임인 경우 일반적인 변환 복호화과정을 통하여 복호화를 수행하여 합성된 스펙트럼 계수를 생성한다. 한편, 현재 프레임이 에러프레임이고, 이전 프레임의 부호화 모드가 음악모드 혹은 주파수도메인 모드인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FEC 혹은 PLC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전 정상 프레임의 스펙트럼 계수를 에러프레임에 반복하여 사용하거나 회귀분석을 통하여 스케일링하여 반복함으로써, 합성된 스펙트럼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주파수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4)는 합성된 스펙트럼 계수에 대하여 주파수-시간 변환을 수행하여 시간도메인 신호인 여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시간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5)는 부호화 모드가 음성모드 혹은 시간도메인 모드인 경우 동작하며, 현재 프레임이 정상 프레임인 경우 일반적인 CELP 복호화과정을 통하여 복호화를 수행하여 시간도메인 신호인 여기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현재 프레임이 에러프레임이고, 이전 프레임의 부호화 모드가 음성모드 혹은 시간도메인 모드인 경우 시간 도메인에서의 FEC 혹은 PLC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LP 합성부(336)는 주파수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4) 혹은 시간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5)로부터 제공되는 여기신호에 대하여 LP 합성을 수행하여 시간도메인 신호를 생성한다.
후처리부(337)는 LP 합성부(336)로부터 제공되는 시간도메인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혹은 업샘플링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처리부(337)는 출력신호로서 복원된 오디오신호를 제공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오디오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장치의 다른 예에 따른 구성을 각각 나타낸 블록도로서, 스위칭 구조를 가진다.
도 4a에 도시된 오디오 부호화장치(410)는 전처리부(412), 모드결정부(413),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414), LP 분석부(415), 주파수도메인 여기부호화부(416), 시간도메인 여기부호화부(417) 및 파라미터 부호화부(418)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오디오 부호화장치(410)는 도 2a의 오디오 부호화장치(210)와 도 3a의 오디오 부호화장치(310)를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공통되는 부분의 동작 설명은 생략하는 한편, 모드결정부(41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모드결정부(413)는 입력신호의 특성 및 비트율을 참조하여 입력신호의 부호화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모드결정부(413)는 입력신호의 특성에 따라서 현재 프레임이 음성모드인지 또는 음악모드인지에 따라서, 또한 현재 프레임에 효율적인 부호화 모드가 시간도메인 모드인지 아니면 주파수도메인 모드인지에 따라서 CELP 모드와 그외의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입력신호의 특성이 음성모드인 경우에는 CELP 모드로 결정하고, 음악모드이면서 고비트율인 경우 FD 모드로 결정하고, 음악모드이면서 저비트율인 경우 오디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모드결정부(413)는 FD 모드인 경우 입력신호를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414)로, 오디오 모드인 경우 LP 분석부(415)를 통하여 주파수도메인 여기부호화부(416)로, CELP 모드인 경우 LP 분석부(415)를 통하여 시간도메인 여기부호화부(417)로 제공할 수 있다.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414)는 도 1a의 오디오 부호화장치(110)의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114) 혹은 도 2a의 오디오 부호화장치(210)의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214)에, 주파수도메인 여기부호화부(416) 혹은 시간도메인 여기부호화부(417는)는 도 3a의 오디오 부호화장치(310)의 주파수도메인 여기부호화부(315) 혹은 시간도메인 여기부호화부(316)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오디오 복호화장치(430)는 파라미터 복호화부(432), 모드결정부(433),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434), 주파수도메인 여기복호화부(435), 시간도메인 여기복호화부(436), LP 합성부(437) 및 후처리부(43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434), 주파수도메인 여기복호화부(435)와 시간도메인 여기복호화부(436)는 각각 해당 도메인에서의 FEC 혹은 PLC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오디오 복호화장치(430)는 도 2b의 오디오 복호화장치(230)와 도 3b의 오디오 복호화장치(330)를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공통되는 부분의 동작 설명은 생략하는 한편, 모드결정부(43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모드결정부(433)는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부호화 모드 정보를 체크하여 현재 프레임을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434), 주파수도메인 여기복호화부(435) 혹은 시간도메인 여기복호화부(436)로 제공한다.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434)는 도 1b의 오디오 부호화장치(130)의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134) 혹은 도 2b의 오디오 복호화장치(230)의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234)에, 주파수도메인 여기복호화부(435) 혹은 시간도메인 여기복호화부(436)는 도 3b의 오디오 복호화장치(330)의 주파수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4) 혹은 시간도메인 여기복호화부(335)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주파수 도메인 오디오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주파수 도메인 오디오 부호화장치(510)는 트랜지언트 검출부(511), 변환부(512), 신호분류부(513), 에너지 부호화부(514), 스펙트럼 정규화부(515), 비트할당부(516), 스펙트럼 부호화부(517) 및 다중화부(518)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도메인 오디오 부호화장치(510)는 도 2에 도시된 주파수 도메인 부호화부(214)의 모든 기능과 파라미터 부호화부(216)의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주파수 도메인 오디오 부호화장치(510)는 신호분류부(513)를 제외하고는 ITU-T G.719 표준에 개시된 엔코더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때 변환부(512)는 50%의 오버랩 구간을 갖는 변환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도메인 오디오 부호화장치(510)는 트랜지언트 검출부(511)와 신호분류부(513)를 제외하고는 ITU-T G.719 표준에 개시된 엔코더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각 경우에 있어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ITU-T G.719 표준에서와 같이 스펙트럼 부호화부(517)의 후단에 노이즈 레벨 추정부를 더 구비하여, 비트할당 과정에서 제로 비트가 할당된 스펙트럼 계수를 위한 노이즈 레벨을 추정하여 비트스트림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랜지언트 검출부(511)는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트랜지언트 특성을 나타내는 구간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대응하여 각 프레임에 대한 트랜지언트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트랜지언트 구간의 검출에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지언트 검출부(511)는 먼저 현재 프레임이 트랜지언트 프레임인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트랜지언트 프레임으로 판단된 현재 프레임에 대하여 2차적으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지언트 시그널링 정보는 다중화부(518)를 통하여 비트스트림에 포함되는 한편, 변환부(512)로 제공될 수 있다.
변환부(512)는 트랜지언트 구간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변환에 사용되는 윈도우 사이즈를 결정하고, 결정된 윈도우 사이즈에 근거하여 시간-주파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서, 트랜지언트 구간이 검출된 서브밴드의 경우 단구간 윈도우(short window)를, 검출되지 않은 서브밴드의 경우 장구간 윈도우(long window)를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트랜지언트 구간을 포함하는 프레임에 대하여 단구간 윈도우를 적용할 수 있다.
신호분류부(513)는 변환부(512)로부터 제공되는 스펙트럼을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각 프레임이 하모닉 프레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하모닉 프레임의 판단에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분류부(513)는 변환부(512)로부터 제공되는 스펙트럼을 복수의 서브밴드로 나누고, 각 서브밴드에 대하여 에너지의 피크치와 평균치를 구할 수 있다. 다음, 각 프레임에 대하여 에너지의 피크치가 평균치보다 소정 비율 이상 큰 서브밴드의 갯수를 구하고, 구해진 서브밴드의 갯수가 소정값 이상인 프레임을 하모닉 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비율 및 소정값은 실험 혹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미리 결정될 수 있다. 하모닉 시그널링 정보는 다중화부(518)를 통하여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에너지 부호화부(514)는 각 서브밴드 단위로 에너지를 구하여 양자화 및 무손실 부호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로서, 각 서브밴드의 평균 스펙트럼 에너지에 해당하는 Norm 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스케일 팩터 혹은 파워를 대신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각 서브밴드의 Norm 값은 스펙트럼 정규화부(515) 및 비트할당부(516)로 제공되는 한편, 다중화부(518)를 통하여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스펙트럼 정규화부(515)는 각 서브밴드 단위로 구해진 Norm 값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정규화할 수 있다.
비트할당부(516)는 각 서브밴드 단위로 구해진 Norm 값을 이용하여 정수 단위 혹은 소수점 단위로 비트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트할당부(516)는 각 서브밴드 단위로 구해진 Norm 값을 이용하여 마스킹 임계치를 계산하고, 마스킹 임계치를 이용하여 지각적으로 필요한 비트수 즉, 허용비트수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 비트할당부(516)는 각 서브밴드에 대하여 할당 비트수가 허용 비트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비트할당부(516)는 Norm 값이 큰 서브밴드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비트를 할당하며, 각 서브밴드의 Norm 값에 대하여 각 서브밴드의 지각적 중요도에 따라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지각적으로 중요한 서브밴드에 더 많은 비트가 할당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때, Norm 부호화부(514)로부터 비트할당부(516)로 제공되는 양자화된 Norm 값은 ITU-T G.719 에서와 마찬가지로 심리음향가중(psycho-acoustical weighting) 및 마스킹 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미리 조정된 다음 비트할당에 사용될 수 있다.
스펙트럼 부호화부(517)는 정규화된 스펙트럼에 대하여 각 서브밴드의 할당 비트수를 이용하여 양자화를 수행하고, 양자화된 결과에 대하여 무손실 부호화할 수 있다. 일예로서, 스펙트럼 부호화에 TCQ(Trellis Coded Quantizer), USQ(Uniform Scalar Quantizer), FPC(Factorial Pulse Coder), AVQ(Analog Vector Quantizer), PVQ(Predictive Vector Quantizer) 혹은 이들의 조합과, 각 양자화기에 대응되는 무손실 부호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코덱이 탑재되는 환경 혹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스펙트럼 부호화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스펙트럼 부호화부(517)에서 부호화된 스펙트럼에 대한 정보는 다중화부(518)를 통하여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주파수 도메인 오디오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오디오 부호화장치(600)는 전처리부(610),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630), 시간도메인 부호화부(650) 및 다중화부(670)을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630)는 트랜지언트 검출부(631), 변환부(633) 및 스펙트럼 부호화부(6355)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전처리부(610)는 입력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혹은 다운샘플링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처리부(610)는 신호 특성에 근거하여 부호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신호 특성에 따라서 현재 프레임에 적합한 부호화 모드가 음성모드인지 또는 음악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현재 프레임에 효율적인 부호화 모드가 시간도메인 모드인지 아니면 주파수도메인 모드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의 단구간 특성 혹은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한 장구간 특성 등을 이용하여 신호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입력신호가 음성신호에 해당하면 음성모드 혹은 시간도메인 모드로 결정하고, 입력신호가 음성신호 이외의 신호 즉, 음악신호 혹은 혼합신호에 해당하면 음악모드 혹은 주파수도메인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전처리부(610)는 신호 특성이 음악모드 혹은 주파수도메인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입력신호를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630)로, 신호 특성이 음성모드 혹은 시간도메인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입력신호를 시간도메인 부호화부(650)로 제공할 수 있다.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630)는 전처리부(61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부호화에 근거하여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지언트 검출부(631)는 오디오신호로부터 트랜지언트 성분을 검출하여 현재 프레임이 트랜지언트 프레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변환부(633)는 트랜지언트 검출부(631)로부터 제공되는 프레임 타입 즉, 트랜지언트 정보에 근거하여 변환 윈도우의 길이 혹은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변환 윈도우에 근거하여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기법으로는 MDCT, FFT, 혹은 MLT를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랜지언트 성분을 갖는 프레임에 대해서는 짧은 길이의 변환 윈도우를 적용할 수 있다. 스펙트럼 부호화부(635)는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오디오 스펙트럼에 대하여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스펙트럼 부호화부(635)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시간도메인 부호화부(650)는 전처리부(61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CELP(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CELP(Algebraic CELP)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중화부(670)는 주파수도메인 부호화부(630) 혹은 시간도메인 부호화부(650)에서 부호화결과 생성되는 스펙트럼 성분 혹은 신호 성분과 다양한 인덱스를 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며, 비트스트림은 채널을 통하여 패킷 형태로 전송되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장치는 도 6의 스펙트럼 부호화부(635)에 대응되거나, 다른 주파수도메인 부호화장치에 포함되거나,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스펙트럼 부호화장치(700)는 에너지 추정부(710), 에너지 양자화 및 부호화부(720), 비트할당부(730), 스펙트럼 정규화부(740), 스펙트럼 양자화 및 부호화부(750) 및 노이즈 필링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에너지 추정부(710)는 원래의 스펙트럼 계수들에 대하여 서브밴드로 분리하고, 각 서브밴드별 에너지, 예를 들면 Norm값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프레임에서 각 서브밴드는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저대역에서부터 고대역으로 갈수록 각 서브밴드에 포함되는 스펙트럼 계수들의 갯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에너지 양자화 및 부호화부(720)는 각 서브밴드에 대하여 추정된 Norm값을 양자화 및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Norm값은 벡터 양자화, 스칼라 양자화, TCQ, LVQ(Lattice vector quantization) 등 다양한 방식으로 양자화될 수 있다. 에너지 양자화 및 부호화부(720)는 추가적인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손실 부호화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비트할당부(730)는 서브밴드별로 양자화된 Norm값을 이용하여 프레임당 허용비트를 고려하면서 부호화에 필요한 비트를 할당할 수 있다.
스펙트럼 정규화부(740)는 서브밴드별로 양자화된 Norm값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에 대한 정규화를 수행할 수 있다.
스펙트럼 양자화 및 부호화부(750)는 정규화된 스펙트럼에 대하여 서브밴드별로 할당된 비트에 근거하여 양자화 및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노이즈 필링부(760)는 스펙트럼 양자화 및 부호화부(750)에서 허용비트의 제약으로 0으로 양자화된 부분에 적절한 노이즈를 추가할 수 있다.
도 8은 서브밴드 분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신호가 48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사용하며, 20ms의 프레임 크기를 갖는 경우, 매 프레임당 처리할 샘플의 개수는 960개가 된다. 즉, 입력 신호를 MDCT를 이용하여 50%의 오버래핑을 적용하여 변환하면 960개의 스펙트럼 계수가 얻어진다. 여기서, 오버래핑의 비율은 부호화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이론적으로 24kHz까지 처리가능하지만 인간의 가청대역을 고려하여 20kHz까지의 대역을 표현하기로 한다. 저대역인 0~3.2kHz까지는 8개의 스펙트럼 계수를 하나의 서브밴드로 묶어서 사용하며, 3.2~6.4kHz의 대역에서는 16개의 스펙트럼 계수를 하나의 서브밴드로 묶어서 사용한다. 6.4~13.6kHz의 대역에서는 24개의 스펙트럼 계수를 하나의 서브밴드로 묶어서 사용하며, 13.6~20kHz의 대역에서는 32개의 스펙트럼 계수를 하나의 서브밴드로 묶어서 사용한다. 실제 Norm값을 구해서 부호화를 할 경우, 부호화기에서 정해준 대역까지 Norm을 구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정해진 대역 이후의 특정 고대역에서는 대역확장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근거한 부호화가 가능하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양자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장치는 양자화기 선택부(910), USQ(930) 및 TCQ(9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있어서, 양자화기 선택부(910)는 입력신호 즉, 양자화될 신호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양자화기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양자화기를 선택할 수 있다. 입력신호의 특성으로서는 밴드별 비트 할당정보, 밴드의 크기 정보 등이 사용 가능하다. 선택결과에 따라서, 양자화될 신호를 USQ(830) 및 TCQ(850) 중 하나로 제공되어 대응되는 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장치는 도 7의 스펙트럼 양자화 및 부호화부(750)에 대응되거나, 다른 주파수도메인 부호화장치에 포함되거나,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장치는 부호화방식 선택부(1010), 제로 부호화부(1020), 스케일링부(1030), ISC 부호화부(1040), 양자화 성분 복원부(1050) 및 역스케일링부(10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양자화성분 복원부(1050) 및 역스케일링부(1060)는 옵션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있어서, 부호화방식 선택부(1010)는 입력신호 특성을 고려하여 부호화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입력신호 특성은 밴드별 할당된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정규화된 스펙트럼은 밴드별로 선택된 부호화방식에 근거하여 제로 부호화부(1020) 혹은 스케일링부(1030)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의 각 샘플에 할당된 평균 비트수가 소정값, 예를 들면 0.75 이상인 경우 해당 밴드는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USQ가 사용되는 한편, 모든 다른 밴드는 TCQ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평균 비트수는 밴드 길이 혹은 밴드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선택된 부호화방식은 1 비트의 플래그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로 부호화부(1020)는 할당된 비트가 0인 밴드에 대하여 모든 샘플들을 0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스케일링부(1030)는 밴드에 할당된 비트에 근거하여 스펙트럼에 대한 스케일링을 수행함으로써 비트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정규화된 스펙트럼이 사용될 수 있다. 스케일링부(1030)는 밴드에 포함된 각 샘플, 즉 스펙트럼 계수에 할당된 평균 비트수를 고려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균 비트수가 많을수록 더 큰 스케일링이 행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일링부(1030)는 밴드별로 비트 할당에 따라 적절한 스케일링값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밴드 길이(band length)와 비트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밴드를 위한 펄스 개수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펄스는 단위 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먼저 하기의 수학식 1에 근거하여 현재 밴드에서 실제로 필요한 비트(b)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밴드의 길이를 나타내며, m은 펄스 개수(number of pulses)를 의미하고, i는 ISC(the Important Spectral Component)를 갖는 넌제로위치의 갯수를 의미한다.
한편, 넌제로위치의 개수는 예를 들면, 하기 수학식 2에서와 같이 확률에 근거하여 얻어질 수 있다.
그리고, 넌제로위치들을 위하여 필요한 비트수는 하기 수학식 3에서와 같이 추정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최종적으로 펄스의 개수는 각 밴드에 할당된 비트에 가장 가까운 값을 갖는 b 값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다음, 밴드별로 구해진 펄스 개수 추정치와 입력신호의 절대값을 이용하여 초기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할 수 있다. 입력신호는 초기 스케일링 팩터에 의해 스케일링될 수 있다. 만약, 스케일링된 원신호 즉, 양자화된 신호에 대한 펄스 개수의 합이 펄스 개수 추정치와 같지 않은 경우에는, 업데이트된 스케일링 팩터를 이용하여 펄스 재분배(redistribution)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펄스 재분배 처리는 현재 밴드에 대하여 선택된 펄스 개수가 밴드별로 구해진 펄스 개수 추정치보다 적은 경우에는 스케일링 팩터를 감소시켜 펄스 개수를 증가시키며, 반대로 많은 경우에는 스케일링 팩터를 증가시켜 펄스 개수를 감소시킨다. 이때, 원신호와의 왜곡을 최소화 하는 위치를 선택하여 미리 정해진 값만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TSQ를 위한 왜곡 함수는 정확한 거리보다는 상대적인 크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하기의 수학식 4에서와 같이 각 밴드에서 각 양자화 및 역양자화된 값의 자승 거리의 합으로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pi는 실제 값이고, qi는 양자화된 값을 나타낸다.
한편, USQ를 위한 왜곡 함수는, 최선의 양자화된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유클리디안 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복잡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케일링 팩터를 포함하는 수정된 수학식을 사용하며, 왜곡 함수는 하기 수학식 5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만약, 밴드당 펄스개수가 요구되는 값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최소 메트릭을 유지하면서 소정갯수의 펄스를 가감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하나의 펄스를 가감하는 과정을 펄스개수가 요구되는 값에 이를때까지 반복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펄스를 가감하기 위하여, 가장 최적의 왜곡값을 구하기 위한 n개의 왜곡값을 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왜곡값 j는 하기 수학식 6에서와 같이 밴드에서 j 번째 위치에 펄스를 추가하는 것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6을 n 번 수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하기 수학식 7에서와 같은 편차(deviation)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7에서 는 한번만 계산하면 된다. 한편, n은 밴드 길이 즉, 밴드에 있는 계수 갯수를 나타내며, p는 원신호 즉, 양자화기의 입력신호, q는 양자화된 신호, g는 스케일링 팩터를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왜곡 d를 최소화하는 위치 j가 선택되고, qj 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비트율을 제어하기 위하여, 스케일링된 스펙트럼 계수를 사용하여 적절한 ISC를 선택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자화하기 위한 스펙트럼 성분은 각 밴드의 비트 할당을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스펙트럼 성분들의 분포 및 분산에 따른 다양한 조합에 근거하여 스펙트럼 성분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 실제 넌제로위치들을 산출할 수 있다. 넌제로위치는 스케일링 양과 재분배 동작을 분석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선택된 넌제로위치가 다른 말로 ISC라할 수 있다. 요약하면, 스케일링과 재분배 과정을 거친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최적 스케일링 팩터와 ISC에 해당하는 넌제로위치 정보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넌제로위치 정보는 넌제로위치의 개수와 위치를 의미한다. 만일 스케일링과 재분배 과정을 통해서 펄스 개수가 조절되지 않을 경우, 선택된 펄스를 실제 TCQ과정을 통해 양자화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잉여 비트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예가 가능하다.
넌제로위치 갯수와 밴드별로 구해진 펄스개수 추정치가 같지 않고 넌제로위치의 개수가 소정값, 예를 들면 1보다 크고 구해진 양자화기 선택정보가 TCQ를 나타내는 조건의 경우, 실제 TCQ 양자화를 통해서 잉여 비트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잉여 비트를 조정하기 위하여 먼저 TCQ양자화 과정을 거친다. 사전에 밴드별로 구해진 펄스개수 추정치에 비해 실제 TCQ 양자화를 통해 구해진 현재 밴드의 펄스개수가 더 적은 경우에는 그전에 정해진 스케일링 팩터에 1보다 큰 값, 예를 들어 1.1을 곱해서 스케일링 팩터를 증가시키고, 반대의 경우에는 1보다 적은 값, 예를 들어 0.9를 곱해서 스케일링 팩터를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밴드별로 구해진 펄스 개수 추정치와 TCQ 양자화를 통해 구해진 현재 밴드의 펄스개수가 같아지는 경우에 실제 TCQ양자화 과정에서 사용된 비트를 계산하여 잉여 비트를 업데이트한다. 이와 같이 구해진 넌제로위치가 ISC에 해당할 수 있다.
ISC 부호화부(1040)에서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ISC의 개수 정보 및 넌제로위치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무손실 부호화를 적용할 수도 있다. ISC 부호화부(1040)는 할당된 비트가 0이 아닌 넌제로밴드에 대하여 선택된 양자화기를 이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SC 부호화부(1040)는 정규화된 스펙트럼에 대하여 각 밴드별로 ISC를 선택하고, 각 밴드별로 선택된 ISC의 정보를 갯수, 위치, 크기 및 부호에 근거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ISC의 크기는 갯수, 위치 및 부호와는 다른 방식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ISC의 크기는 USQ와 TCQ 중 하나를 이용하여 양자화하고 산술부호화하는 한편, ISC의 갯수, 위치 및 부호에 대해서는 산술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특정 밴드가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USQ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TCQ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특성에 근거하여 TCQ와 USQ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특성은 각 밴드에 할당된 비트 혹은 밴드의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밴드에 포함된 각 샘플에 할당된 평균 비트수가 임계치, 예를 들어 0.75 이상인 경우 해당 밴드는 매우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USQ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밴드의 길이가 짧은 저대역의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서 USQ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역폭에 따라서 제1 조인트 방식과 제2 조인트 방식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NB와 WB에 대해서는 각 밴드에 대한 원래의 비트할당 정보 뿐 아니라, 이전 부호화된 밴드로부터의 잉여 비트에 대한 2차 비트할당 처리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양자화기 선택이 수행되는 제1 조인트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SWB와 FB에 대해서는 USQ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된 밴드에 대하여 LSB(Least Significant Bit)에 대해서는 TCQ를 사용하는 제2 조인트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조인트 방식에서 2차 비트할당 처리는 이전 부호화된 밴드로부터의 잉여 비트들을 분배하는 것으로서, 두개 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2 조인트 방식에서 나머지 비트들은 USQ를 사용할 수 있다.
양자화 성분 복원부(1050)는 양자화된 성분에 ISC의 위치, 크기 및 부호 정보를 부가하여 실제의 양자화된 성분을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로 위치 즉, 제로로 부호화된 스펙트럼 계수에는 0이 할당될 수 있다.
역스케일링부(1060)는 복원된 양자화 성분에 대하여 역스케일링을 수행하여, 정규화된 입력 스펙트럼과 동일한 레벨의 양자화된 스펙트럼 계수를 출력할 수 있다. 스케일링부(1030)와 역스케일링부(1060)에서는 동일한 스케일링 팩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ISC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장치는 ISC 선택부(1110) 및 ISC 정보 부호화부(1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장치는 도 10의 ISC 부호화부(1040)에 대응되거나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 있어서, ISC 선택부(1110)는 비트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스케일링된 스펙트럼으로부터 소정 기준에 의거하여 ISC를 선택할 수 있다. ISC 선택부(1110)는 스케일링된 스펙트럼으로부터 스케일링된 정도를 분석하여, 실제의 넌제로위치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ISC는 스케일링 이전의 실제의 넌제로 스펙트럼 계수에 해당할 수 있다. ISC 선택부(1110)는 밴드별 할당된 비트에 근거하여 스펙트럼 계수의 분포 및 분산을 고려하여 부호화할 스펙트럼 계수 즉 넌제로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ISC 선택을 위하여 TCQ를 사용할 수 있다.
ISC 정보 부호화부(1130)는 선택된 ISC에 근거하여, ISC 정보 즉 ISC 개수정보, 위치정보, 크기정보 및 부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ISC 정보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장치는 위치정보 부호화부(1210), 크기정보 부호화부(1230) 및 부호 부호화부(1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있어서, 위치정보 부호화부(1210)는 ISC 선택부(도 11의 1110)에서 선택된 ISC의 위치정보 즉, 넌-제로 스펙트럼 계수의 위치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위치정보는 선택된 ISC의 갯수와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의 부호화에는 산술 부호화(arirhmetic coding)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ISC를 모아서 새로운 버퍼를 구성할 수 있다. ISC 수집을 위하여 제로 밴드와 선택되지 못한 스펙트럼은 제외될 수 있다.
크기정보 부호화부(1230)는 새롭게 구성된 ISC의 크기정보에 대하여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TCQ와 USQ 중 하나를 선택하여 양자화를 수행하고, 이어서 산술 부호화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산술 부호화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넌-제로 위치정보와 ISC의 갯수가 사용될 수 있다.
부호정보 부호화부(1250)는 선택된 ISC의 부호정보에 대하여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부호정보의 부호화에는 산술 부호화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장치는 도 7의 스펙트럼 양자화 및 부호화부(750)에 대응되거나, 다른 주파수도메인 부호화장치에 포함되거나,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장치는, 스케일링부(1330), ISC 부호화부(1340), 양자화 성분 복원부(1350) 및 역스케일링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과 비교할 때, 제로 부호화부(1020)와 부호화방식 선택부(1010)가 생략되며, ISC 부호화부(1340)는 TCQ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동일하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장치는 도 7의 스펙트럼 양자화 및 부호화부(750)에 대응되거나, 다른 주파수도메인 부호화장치에 포함되거나,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장치는, 부호화방식 선택부(1410), 스케일링부(1430), ISC 부호화부(1440), 양자화 성분 복원부(1450) 및 역스케일링부(14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과 비교할 때, 제로 부호화부(1020)가 생략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동일하다.
도 15는 일실시예에 따른 ISC 수집 및 부호화과정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먼저 제로 밴드 즉, 0으로 양자화될 밴드는 제외한다. 다음, 넌-제로 밴드에 존재하는 스펙트럼 성분들 중에서 선택된 ISC를 이용하여 새로운 버퍼를 구성할 수 있다. 새로 구성된 ISC에 대하여 밴드 단위로 TCQ를 수행하고, 대응하는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ISC 수집 및 부호화과정ISC 수집과정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먼저 제로 밴드 즉, 0으로 양자화될 밴드는 제외한다. 다음, 넌-제로 밴드에 존재하는 스펙트럼 성분들 중에서 선택된 ISC를 이용하여 새로운 버퍼를 구성할 수 있다. 새로 구성된 ISC에 대하여 밴드 단위로 USC 혹은 TCQ를 수행하고, 대응하는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TCQ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두개의 제로 레벨을 갖는 8 스테이트 4 코셋의 트렐리스 구조에 해당한다. 해당 TCQ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US 7605727에 개시되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주파수 도메인 오디오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주파수 도메인 오디오 복호화장치(1800)는 프레임 에러 검출부(1810),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1830), 시간도메인 복호화부(1850) 및 후처리부(1870)을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1830)는 스펙트럼 복호화부(1831), 메모리 갱신부(1833), 역변환부(1835) 및 OLA(overlap and add)부(1837)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프레임 에러 검출부(1810)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레임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1830)는 부호화 모드가 음악모드 혹은 주파수도메인 모드인 경우 동작하며, 프레임에러가 발생한 경우 FEC 혹은 PLC 알고리즘을 동작시키며, 프레임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일반적인 변환 복호화과정을 통하여 시간 도메인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스펙트럼 복호화부(1831)는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복호화를 수행하여 스펙트럼 계수를 합성할 수 있다. 스펙트럼 복호화부(1831)에 대해서는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메모리 갱신부(1833)는 정상 프레임인 현재 프레임에 대하여 합성된 스펙트럼 계수,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얻어진 정보, 현재까지 연속된 에러프레임의 개수, 각 프레임의 신호특성 혹은 프레임 타입 정보 등을 다음 프레임을 위하여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특성은 트랜지언트 특성, 스테이셔너리 특성을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 타입은 트랜지언트 프레임, 스테이셔너리 프레임 혹은 하모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역변환부(1835)는 합성된 스펙트럼 계수에 대하여 시간-주파수 역변환을 수행하여 시간 도메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OLA부(1837)는 이전 프레임의 시간 도메인 신호를 이용하여 OLA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 현재 프레임에 대한 최종 시간 도메인 신호를 생성하여 후처리부(18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시간도메인 복호화부(1850)는 부호화 모드가 음성모드 혹은 시간도메인 모드인 경우 동작하며, 프레임에러가 발생한 경우 FEC 혹은 PLC 알고리즘을 동작시키며, 프레임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일반적인 CELP 복호화과정을 통하여 시간도메인 신호를 생성한다.
후처리부(1870)는 주파수도메인 복호화부(1830) 혹은 시간도메인 복호화부(1850)로부터 제공되는 시간도메인 신호에 대하여 필터링 혹은 업샘플링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처리부(1670)는 출력신호로서 복원된 오디오신호를 제공한다.
도 19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장치는 도 18의 스펙트럼 복호화부(1831)에 대응되거나, 다른 주파수도메인 복호화장치에 포함되거나,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스펙트럼 복호화장치(1900)는 에너지 복호화 및 역양자화부(1910), 비트할당부(1930), 스펙트럼 복호화 및 역양자화부(1950), 노이즈 필링부(1970) 및 스펙트럼 쉐이핑부(199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 필링부(1970)는 스펙트럼 쉐이핑부(1990)의 후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에너지 복호화 및 역양자화부(1910)는 부호화과정에서 무손실 부호화가 수행된 파라미터, 예를 들어 Norm값과 같은 에너지에 대하여 무손실 복호화를 수행하고, 복호화된 Norm값에 대하여 역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부호화과정에서 Norm값의 양자화된 방식에 대응되는 방식을 사용하여 역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비트할당부(1930)는 양자화된 Norm값 혹은 역양자화된 Norm값에 근거하여 서브밴드별로 필요로 하는 비트수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밴드 단위로 할당된 비트수는 부호화과정에서 할당된 비트수와 동일할 수 있다.
스펙트럼 복호화 및 역양자화부(1950)는 부호화된 스펙트럼 계수에 대하여 서브밴드별로 할당된 비트수를 사용하여 무손실 복호화를 수행하고, 복호화된 스펙트럼 계수에 대하여 역양자화 과정을 수행하여 정규화된 스펙트럼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노이즈 필링부(1970)는 정규화된 스펙트럼 계수 중, 서브밴드별로 노이즈 필링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대하여 노이즈를 채울 수 있다.
스펙트럼 쉐이핑부(1990)는 역양자화된 Norm값을 이용하여 정규화된 스펙트럼 계수를 쉐이핑할 수 있다. 스펙트럼 쉐이핑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복호화된 스펙트럼 계수가 얻어질 수 있다.
도 20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역양자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장치는 역양자화기 선택부(2010), USQ(2030) 및 TCQ(20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 있어서, 역양자화기 선택부(2010)는 입력신호 즉, 역양자화될 신호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역양자화기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역양자화기를 선택할 수 있다. 입력신호의 특성으로서는 밴드별 비트 할당정보, 밴드의 크기 정보 등이 사용 가능하다. 선택결과에 따라서, 역양자화될 신호를 USQ(2030) 및 TCQ(2050) 중 하나로 제공되어 대응하는 역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1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장치는 도 19의 스펙트럼 복호화 및 역양자화부(1950)에 대응되거나, 다른 주파수도메인 복호화장치에 포함되거나,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장치는 복호화방식 선택부(2110), 제로 복호화부(2130), ISC 복호화부(2150), 양자화성분 복원부(2170) 및 역스케일링부(219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자화성분 복원부(2170) 및 역스케일링부(2190)는 옵션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1에 있어서, 복호화방식 선택부(2110)는 밴드별 할당된 비트에 근거하여 복호화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정규화된 스펙트럼은 밴드별로 선택된 복호화방식에 근거하여 제로 복호화부(2130) 혹은 ISC 복호화부(2150) 로 제공될 수 있다.
제로 복호화부(2130)는 할당된 비트가 0인 밴드에 대하여 모든 샘플들을 0으로 복호화할 수 있다.
ISC 복호화부(2150)는 할당된 비트가 0이 아닌 밴드에 대하여 선택된 역양자화기를 이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ISC 복호화부(2150)는 부호화된 스펙트럼의 각 밴드별로 중요주파수성분의 정보를 얻고, 각 밴드별로 얻어진 중요주파수성분의 정보를 갯수, 위치, 크기 및 부호에 근거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중요주파수성분의 크기는 갯수, 위치 및 부호와는 다른 방식으로 복호화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중요주파수성분의 크기는 산술복호화하고 USQ와 TCQ 중 하나를 이용하여 역양자화하는 한편, 중요주파수성분의 갯수, 위치 및 부호에 대하여 산술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역양자화기 선택은 도 10에 도시된 ISC 부호화부(1040)에서와 동일한 결과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ISC 복호화부(2150)는 할당된 비트가 0이 아닌 밴드에 대하여 TCQ와 USQ 중 하나를 이용하여 역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양자화 성분 복원부(2170)는 복원된 ISC의 위치, 크기 및 부호 정보에 근거하여 실제의 양자화 성분을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로 위치 즉, 제로로 복호화된 스펙트럼 계수인 양자화되지 않은 부분에는 0이 할당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역스케일링부(미도시)를 포함하여 복원된 양자화 성분에 대하여 역스케일링을 수행하여, 정규화된 스펙트럼과 동일한 레벨의 양자화된 스펙트럼 계수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2는 일실시예에 따른 ISC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2의 장치는 펄스수 추정부(2210) 및 ISC 정보 복호화부(2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의 장치는 도 21의 ISC 복호화부(2150)에 대응되거나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2에 있어서, 펄스수 추정부(2210)는 밴드 크기와 비트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밴드에서 필요한 펄스 개수 추정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현재 프레임의 비트할당 정보가 인코더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비트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펄스 개수 추정치를 도출하여 복호화를 진행한다.
ISC 정보 복호화부(2230)는 추정된 펄스수에 근거하여, ISC 정보 즉 ISC 개수정보, 위치정보, 크기정보 및 부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도 23은 일실시예에 따른 ISC 정보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장치는 위치정보 복호화부(2310), 크기정보 복호화부(2330) 및 부호 복호화부(2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에 있어서, 위치정보 복호화부(2310)는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관련된 인덱스를 복호화하여 ISC의 갯수 및 위치를 복원할 수 있다. 위치정보의 복호화에는 산술 복호화가 사용될 수 있다. 크기정보 복호화부(2330)는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크기정보와 관련된 인덱스에 대하여 산술복호화를 수행하고, 복호화된 인덱스에 대하여 TCQ와 USQ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역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산술 복호화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넌-제로 위치정보와 ISC의 갯수가 사용될 수 있다. 부호 복호화부(2350)는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부호정보와 관련된 인덱스를 복호화하여 ISC의 부호를 복원할 수 있다. 부호정보의 복호화에는 산술 복호화가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넌-제로 밴드가 필요로 하는 펄스 갯수를 추정하여 위치정보, 크기정보 혹은 부호정보 복호화에 사용할 수 있다.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장치는 도 19의 스펙트럼 복호화 및 역양자화부(1950)에 대응되거나, 다른 주파수도메인 복호화장치에 포함되거나,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장치는 ISC 복호화부(2150), 양자화성분 복원부(2170) 및 역스케일링부(24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과 비교할 때, 복호화방식 선택부(2110)와 제로 복호화부(2130)가 생략되어 있고, ISC 복호화부(2150)가 TCQ를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동일하다.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장치는 도 19의 스펙트럼 복호화 및 역양자화부(1950)에 대응되거나, 다른 주파수도메인 복호화장치에 포함되거나,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장치는 복호화방식 선택부(2510), ISC 복호화부(2550), 양자화성분 복원부(2570) 및 역스케일링부(25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과 비교할 때, 제로 복호화부(2130)가 생략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동일하다.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ISC 정보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6의 장치는 확률 산출부(2610)와 무손실 부호화부(26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6에 있어서, 확률 산출부(2610)는 ISC 개수, 펄스 개수, TCQ 정보를 이용하여 하기의 수학식 8과 9에 따라 크기 부호화를 위한 확률값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는 각 밴드에서 전송될 ISC 개수중에서 부호화되고 남은 개수, 은 각 밴드에서 전송될 펄스의 개수중의 부호화되고 남은 개수를 나타내며, Ms는 트렐리스 상태에서 존재하는 크기의 집합을 의미한다. 그리고 j는 크기 중에서 부호화된 펄스 개수를 의미한다.
무손실 부호화부(2630)는 이 구해진 확률값을 이용하여 TCQ 크기 정보 즉, 크기와 경로정보를 무손실 부호화할 수 있다. 각 크기의 펄스 개수는 값에 의해 부호화된다. 여기서 값은 이전 크기의 마지막 펄스의 확률을 의미한다. 그리고 는 그 이외의 다른 펄스들에 해당하는 확률을 의미한다. 최종적으로 이와 같이 구해진 확률값에 의해 부호화된 인덱스를 출력한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ISC 정보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7의 장치는 확률 산출부(2710)와 무손실 복호화부(27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에 있어서, 확률 산출부(2710)는 ISC 정보(개수 i, 위치), TCQ 정보, 펄스 개수(m)와 밴드의 크기(n)를 이용하여 크기(magnitude) 부호화를 위한 확률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구해진 펄스 개수와 밴드 크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비트 정보(b)를 구한다. 이때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구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구해진 비트 정보(b), ISC 개수, ISC 위치, 그리고 TCQ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8 및 9에 근거하여 크기 부호화를 위한 확률값을 계산한다.
무손실 복호화부(2730)는 부호화장치에서와 동일하게 구해진 확률값과 전송된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TCQ 크기정보 즉, 크기(magnitude) 정보와 경로(path) 정보를 무손실 복호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확률값을 이용하여 개수 정보에 대한 산술부호화 모델을 만들고, 이 구해진 모델을 이용하여 TCQ 크기 정보의 산술복호화를 수행하여 TCQ 크기 정보를 복호화한다. 구체적으로, 각 magnitude의 펄스 개수는 값에 의해 복호화된다. 여기서 값은 이전 magnitude의 마지막 펄스의 확률을 의미한다. 그리고 는 그 이외의 다른 펄스들에 해당하는 확률을 의미한다. 최종적으로 이와 같이 구해진 확률값에 의해 복호화된 TCQ 정보 즉 크기 정보와 경로 정보를 출력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호화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2800)는 통신부(2810)와 부호화모듈(28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결과 얻어지는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용도에 따라서,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부(28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2800)는 마이크로폰(28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저장부(2450)와 마이크로폰(2870)은 옵션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8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2800)는 임의의 복호화모듈(미도시), 예를 들면 일반적인 복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복호화모듈 혹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호화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모듈(2830)은 멀티미디어 기기(280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요소(미도시)와 함께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통신부(281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와 부호화된 비트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거나, 복원된 오디오와 부호화모듈(2830)의 부호화결과 얻어지는 오디오 비트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810)는 무선 인터넷, 무선 인트라넷, 무선 전화망, 무선 랜(LAN),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FD, Wi-Fi Direct), 3G(Generation), 4G(4 Genera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전화망, 유선 인터넷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멀티미디어 기기 혹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호화모듈(2830)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규화된 스펙트럼에 대하여 각 밴드별로 중요주파수성분을 선택하고, 각 밴드별로 선택된 중요주파수성분의 정보를 갯수, 위치, 크기 및 부호에 근거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중요주파수성분의 크기는 갯수, 위치 및 부호와는 다른 방식으로 부호화할 수 있으며, 일예를 들면 중요주파수성분의 크기는 USQ와 TCQ 중 하나를 이용하여 양자화하고 산술부호화하는 한편, 중요주파수성분의 갯수, 위치 및 부호에 대하여 산술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규화된 스펙트럼을 각 밴드별 할당된 비트에 근거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하고, 스케일링된 스펙트럼에 대하여 중요주파수성분을 선택할 수 있다.
저장부(2850)는 멀티미디어 기기(2800)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870)은 사용자 혹은 외부의 오디오신호를 부호화모듈(283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호화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2900)는 통신부(2910)와 복호화모듈(29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 결과 얻어지는 복원된 오디오신호의 용도에 따라서, 복원된 오디오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29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2900)는 스피커(29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저장부(2950)와 스피커(2970)는 옵션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2900)는 임의의 부호화모듈(미도시), 예를 들면 일반적인 부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부호화모듈 혹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호화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호화모듈(2930)은 멀티미디어 기기(290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요소(미도시)와 함께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통신부(291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된 비트스트림과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거나 복호화 모듈(2930)의 복호화결과 얻어지는 복원된 오디오 신호와 부호화결과 얻어지는 오디오 비트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910)는 도 28의 통신부(281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복호화 모듈(2930)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910)를 통하여 제공되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부호화된 스펙트럼의 각 밴드별로 중요주파수성분의 정보를 얻고, 각 밴드별로 얻어진 중요주파수성분의 정보를 갯수, 위치, 크기 및 부호에 근거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중요주파수성분의 크기는 갯수, 위치 및 부호와는 다른 방식으로 복호화할 수 있으며, 일예를 들면 중요주파수성분의 크기는 산술복호화하고 USQ와 TCQ 중 하나를 이용하여 역양자화하는 한편, 중요주파수성분의 갯수, 위치 및 부호에 대하여 산술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950)는 복호화 모듈(2930)에서 생성되는 복원된 오디오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950)는 멀티미디어 기기(2900)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스피커(2970)는 복호화 모듈(2930)에서 생성되는 복원된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호화모듈과 복호화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0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3000)는 통신부(3010), 부호화모듈(3020)과 복호화모듈(30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결과 얻어지는 오디오 비트스트림 혹은 복호화 결과 얻어지는 복원된 오디오신호의 용도에 따라서, 오디오 비트스트림 혹은 복원된 오디오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30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3000)는 마이크로폰(3050) 혹은 스피커(30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모듈(3020)과 복호화모듈(3030)은 멀티미디어 기기(300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요소(미도시)와 함께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는 도 28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2800)의 구성요소 혹은 도 29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2900)의 구성요소와 중복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2800, 2900, 3000)에는, 전화, 모바일 폰 등을 포함하는 음성통신 전용단말, TV,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방송 혹은 음악 전용장치, 혹은 음성통신 전용단말과 방송 혹은 음악 전용장치의 융합 단말장치, 텔레컨퍼런싱 혹은 인터랙션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2800, 2900, 3000)는 클라이언트, 서버 혹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배치되는 변환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기기(2800, 2900, 3000)가 예를 들어 모바일 폰인 경우, 도시되지 않았지만 키패드 등과 같은 유저 입력부, 유저 인터페이스 혹은 모바일 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모바일 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폰은 촬상 기능을 갖는 카메라부와 모바일 폰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기기(2800, 2900, 3000)가 예를 들어 TV인 경우, 도시되지 않았지만 키패드 등과 같은 유저 입력부, 수신된 방송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TV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V는 TV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1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의 미세 구조 부호화방법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3110 단계에서는 부호화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밴드에 대한 정보 및 비트 할당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방식은 양자화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3130 단계에서는 현재 밴드가 비트 할당이 제로인 밴드 즉, 제로 밴드인지를 판단하여, 제로 밴드인 경우 3250 단계로 이행하고, 넌제로 밴드인 경우 3270 단계로 이행한다.
3150 단계에서는 제로 밴드에 있는 모든 샘플을 제로로 부호화할 수 있다.
3170 단계에서는 제로 밴드가 아닌 밴드를 선택된 양자화방식에 근거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길이 및 비트 할당 정보를 사용하여 밴드당 펄스 개수를 추정하고, 넌제로위치 개수를 결정하고, 넌제로위치의 필요 비트수를 추정하여 최종 펄스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 밴드당 펄스 개수와 입력신호의 절대값에 근거하여 초기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하고, 초기 스케일링 팩터에 의한 스케일링 및 펄스 재분배 과정을 통하여 스케일링 팩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최종 업데이트된 스케일링 팩터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계수를 스케일링하고, 스케일링된 스펙트럼 계수를 사용하여 적절한 ISC가 선택될 수 있다. 양자화할 스펙트럼 성분은 각 밴드의 비트 할당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다음, 수집된 ISC의 크기가 USC 및 TCQ 조인트 방식에 의해 양자화되고 산술부호화될 수 있다. 여기서, 산술부호화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넌제로위치와 ISC의 갯수가 사용될 수 있다. USC 및 TCQ 조인트 방식은 대역폭에 따라서 제1 조인트 방식과 제2 조인트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제1 조인트 방식은 이전 밴드로부터의 잉여 비트에 대한 2차 비트할당 처리를 이용하여 양자화기 선택이 수행되는 것으로서, NB 와 WB에 사용될 수 있고, 제2 조인트 방식은 USQ 로 결정된 밴드에 대하여 LSB에 대해서는 TCQ를 사용하고 나머지 비트들은 USQ를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SWB 와 FB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ISC의 부호 정보는 음과 양의 부호에 대하여 동일한 확률로 산술 복호화될 수 있다.
3170 단계 이후 추가적으로 양자화 성분을 복원하는 단계와 밴드를 역스케일링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각 밴드의 실제 양자화 성분을 복원하기 위하여 양자화 성분에 위치, 부호, 크기 정보가 부가될 수 있다. 제로 위치에는 제로가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스케일링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스케일링 팩터를 사용하여 역스케일링 팩터를 추출하고, 복원된 실제 양자화 성분에 대하여 역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역스케일링된 신호는 정규화된 스펙트럼 즉, 입력신호와 동일한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도 31의 각 단계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전술한 부호화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이 더 부가될 수 있다.
도 3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의 미세 구조 복호화방법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32의 방법에 따르면, 정규화된 스펙트럼의 미세 구조를 역양자화하기 위하여, 각 밴드에 대하여 ISC와 선택된 ISC에 대한 정보가 위치, 갯수, 부호 및 크기에 의해 복호화된다. 여기서, 크기 정보는 산술복호화와 USQ 및 TCQ 조인트 방식에 의해 복호화되고, 위치, 갯수, 부호 정보는 산술복호화에 의해 복호화된다.
구체적으로, 도 32를 참조하면, 3210 단계에서는 복호화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밴드에 대한 정보 및 비트 할당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복호화방식은 역양자화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역양자화방식은 전술한 부호화장치에서 적용된 양자화방식 선택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선택될 수 있다.
3230 단계에서는 현재 밴드가 비트 할당이 제로인 밴드 즉, 제로 밴드인지를 판단하여, 제로 밴드인 경우 3250 단계로 이행하고, 넌제로 밴드인 경우 3270 단계로 이행한다.
3250 단계에서는 제로 밴드에 있는 모든 샘플을 제로로 복호화할 수 있다.
3270 단계에서는 제로 밴드가 아닌 밴드를 선택된 역양자화방식에 근거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길이 및 비트 할당 정보를 사용하여 밴드당 펄스 개수를 추정 혹은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부호화장치에서 적용된 스케일링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음, ISC 의 위치 정보 즉, ISC의 갯수 및 위치를 복원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부호화장치에서와 유사하게 처리되고, 적절한 복호화를 위하여 동일한 확률값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수집된 ISC의 크기가 산술 복호화에 의해 복호화되고, USC 및 TCQ 조인트 방식에 의해 역양자화될 수 있다. 여기서, 넌제로위치와 ISC의 갯수가 산술복호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USC 및 TCQ 조인트 방식은 대역폭에 따라서 제1 조인트 방식과 제2 조인트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제1 조인트 방식은 이전 밴드로부터의 잉여 비트에 대한 2차 비트할당 처리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양자화기 선택이 수행되는 것으로 NB 와 WB에 사용될 수 있고, 제2 조인트 방식은 USQ 로 결정된 밴드에 대하여 LSB에 대해서는 TCQ를 사용하고 나머지 비트들은 USQ를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SWB 와 FB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ISC의 부호 정보는 음과 양의 부호에 대하여 동일한 확률로 산술 복호화될 수 있다.
3270 단계 이후 추가적으로 양자화 성분을 복원하는 단계와 밴드를 역스케일링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각 밴드의 실제 양자화 성분을 복원하기 위하여 양자화 성분에 위치, 부호, 크기 정보가 부가될 수 있다.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는 밴드는 제로로 채워질 수 있다. 다음, 넌제로 밴드에 있는 펄스 수가 추정되고 ISC의 갯수와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가 추정된 펄스 수에 근거하여 복호 U힐 수 있다. 크기 정보에 대해서는 무손실 복호화 및 USC 및 TCQ 조인트 방식에 의한 복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넌제로 크기값에 대해서는 부호 및 양자화된 성분이 최종적으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복원된 실제 양자화 성분에 대하여 전송된 norm 정보를 사용하여 역스케일링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2의 각 단계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전술한 복호화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명령, 혹은 데이터 파일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로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코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8)

  1.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에 대한 스펙트럼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밴드에 할당된 비트에 기초하여, USQ(Uniform scalar quantization)와 TCQ(trellis coded quantization) 중 상기 밴드의 양자화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밴드에 할당된 비트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의 스펙트럼 성분을 스케일링하는 단계;
    상기 밴드의 스케일링된 스펙트럼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의 주요 스펙트럼 성분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양자화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밴드의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크기를 양자화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화 결과를 이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펙트럼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주요 스펙트럼 성분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일링된 스펙트럼 성분으로부터 스케일링된 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펙트럼 부호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트럼 부호화 방법은,
    상기 밴드의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개수, 위치, 및 부호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밴드의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개수, 위치, 및 부호를 부호화하는 단계는,
    산술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개수, 위치 및 부호를 산술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펙트럼 부호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크기를 양자화하는 단계는,
    대역폭에 따라, 제1 조인트 방식 및 제2 조인트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크기를 양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펙트럼 부호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크기를 양자화하는 단계는,
    대역폭에 따라, 상기 선택된 양자화 방식이 UCQ인 경우,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크기의 LSB(Least Significant Bit)를 TCQ를 사용하여 양자화하고,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크기의 나머지 비트를 USQ를 사용하여 양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펙트럼 부호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은 초광대역(SWB) 또는 전대역(FB)인, 스펙트럼 부호화 방법.
  10.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에 대한 스펙트럼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펙트럼 부호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밴드에 할당된 비트에 기초하여, USQ(Uniform scalar quantization)와 TCQ(trellis coded quantization) 중 상기 밴드의 양자화 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밴드에 할당된 비트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의 스펙트럼 성분을 스케일링하고,
    상기 밴드의 스케일링된 스펙트럼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의 주요 스펙트럼 성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양자화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밴드의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크기를 양자화하고,
    상기 양자화 결과를 이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설정되는,
    스펙트럼 부호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스케일링된 스펙트럼 성분으로부터 스케일링된 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을 선택하도록 설정되는,
    스펙트럼 부호화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산술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밴드의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개수, 위치 및 부호를 산술 부호화하도록 설정되는,
    스펙트럼 부호화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대역폭에 따라, 제1 조인트 방식 및 제2 조인트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크기를 양자화하도록 설정되는,
    스펙트럼 부호화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대역폭에 따라, 상기 선택된 양자화 방식이 UCQ인 경우,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크기의 LSB(Least Significant Bit)를 TCQ를 사용하여 양자화하고, 상기 주요 스펙트럼 성분의 크기의 나머지 비트를 USQ를 사용하여 양자화하도록 설정되는,
    스펙트럼 부호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은 초광대역(SWB) 또는 전대역(FB)인, 스펙트럼 부호화 장치.
KR1020227012038A 2014-02-17 2015-02-17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KR102625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0605A KR20240008413A (ko) 2014-02-17 2015-02-17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40798P 2014-02-17 2014-02-17
US61/940,798 2014-02-17
KR1020167022489A KR102386738B1 (ko) 2014-02-17 2015-02-17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PCT/KR2015/001668 WO2015122752A1 (ko) 2014-02-17 2015-02-17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489A Division KR102386738B1 (ko) 2014-02-17 2015-02-17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0605A Division KR20240008413A (ko) 2014-02-17 2015-02-17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028A KR20220051028A (ko) 2022-04-25
KR102625143B1 true KR102625143B1 (ko) 2024-01-15

Family

ID=5725723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038A KR102625143B1 (ko) 2014-02-17 2015-02-17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KR1020247000605A KR20240008413A (ko) 2014-02-17 2015-02-17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KR1020167022489A KR102386738B1 (ko) 2014-02-17 2015-02-17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0605A KR20240008413A (ko) 2014-02-17 2015-02-17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KR1020167022489A KR102386738B1 (ko) 2014-02-17 2015-02-17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109611A4 (ko)
JP (1) JP6633547B2 (ko)
KR (3) KR102625143B1 (ko)
CN (2) CN1062331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6104B1 (en) 2013-09-16 2019-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encoding method and signal decoding method
EP3109611A4 (en) * 2014-02-17 2017-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ignal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30066137A (ko) 2014-07-28 2023-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WO2019091576A1 (en) * 2017-11-10 2019-05-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coders, audio decoder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adapting an encoding and decoding of least significant bits
WO2019198383A1 (ja) 2018-04-13 2019-10-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符号化装置、復号装置、符号化方法、復号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0992963B (zh) * 2019-12-10 2023-09-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网络通话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1055A1 (en) 2001-05-08 2003-03-27 Rakesh Taori Audio coding
US20130290003A1 (en) 2012-03-21 201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high frequency for bandwidth extension
JP2014016625A (ja) 2008-01-04 2014-01-30 Dolby International Ab オーディオコーディングシステム、オーディオデコーダ、オーディオ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オーディオデコーディング方法
KR102386738B1 (ko) * 2014-02-17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9724A (en) * 1992-01-17 1994-11-2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decoding and compression of audio-type data using reference coefficients located within a band of coefficients
JP3685823B2 (ja) * 1993-09-28 2005-08-24 ソニー株式会社 信号符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信号復号化方法及び装置
US6717990B1 (en) * 2000-01-05 2004-04-06 General Dynamics Decision Systems,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rate, channel-optimized trellis-coded quantization
US6847684B1 (en) * 2000-06-01 2005-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Zero-block encoding
EP1798724B1 (en) * 2004-11-05 2014-06-18 Panasonic Corporation Encoder, decoder, encoding method, and decoding method
KR100851970B1 (ko) * 2005-07-15 2008-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중요주파수 성분 추출방법 및 장치와 이를이용한 저비트율 오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4640020B2 (ja) * 2005-07-29 2011-03-02 ソニー株式会社 音声符号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音声復号装置及び方法
US8527265B2 (en) * 2007-10-22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Low-complexity encoding/decoding of quantized MDCT spectrum in scalable speech and audio codecs
CA2840732C (en) * 2011-06-30 2017-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bandwidth extension signal
EP2763137B1 (en) * 2011-09-28 2016-09-14 LG Electronics Inc. Voice signal encoding method and voice signal decoding method
US9672840B2 (en) * 2011-10-27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ncoding voice signal, method for decoding voice signal, and apparatus using same
KR20230066137A (ko) * 2014-07-28 2023-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1055A1 (en) 2001-05-08 2003-03-27 Rakesh Taori Audio coding
JP2014016625A (ja) 2008-01-04 2014-01-30 Dolby International Ab オーディオコーディングシステム、オーディオデコーダ、オーディオ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オーディオデコーディング方法
US20130290003A1 (en) 2012-03-21 201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high frequency for bandwidth extension
KR102386738B1 (ko) * 2014-02-17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MR Wideband speech codec. 3GPP TS 26.190 version 5.1.0 Release 5. 2001.12.*
ETSI TS 126 445 V12.0.0, EVS Codec Detailed Algorithmic Description, 2014.11.
Low-complexity, full-band audio coding for high-quality, conversational applications. Recommendation ITU-T G.719. 2008.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33112B (zh) 2019-06-28
EP3109611A1 (en) 2016-12-28
JP6633547B2 (ja) 2020-01-22
CN110176241B (zh) 2023-10-31
CN110176241A (zh) 2019-08-27
EP3109611A4 (en) 2017-08-30
JP2017506771A (ja) 2017-03-09
KR20220051028A (ko) 2022-04-25
KR20240008413A (ko) 2024-01-18
KR102386738B1 (ko) 2022-04-14
CN106233112A (zh) 2016-12-14
KR20160122160A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0540A (ko) 대역폭 확장을 위한 고주파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6980871B2 (ja) 信号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信号復号方法及びその装置
US11705142B2 (en) Signal encoding method and device and signal decoding method and device
KR102625143B1 (ko)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KR102386737B1 (ko)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TW201724087A (zh) 對信號的包絡進行寫碼的設備及對其進行解碼的設備
US10902860B2 (en) Sign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ignal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CN111312278B (zh) 用于带宽扩展的高频解码的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