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396B1 - 미용 시술 기기 - Google Patents

미용 시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396B1
KR102624396B1 KR1020220178397A KR20220178397A KR102624396B1 KR 102624396 B1 KR102624396 B1 KR 102624396B1 KR 1020220178397 A KR1020220178397 A KR 1020220178397A KR 20220178397 A KR20220178397 A KR 20220178397A KR 102624396 B1 KR102624396 B1 KR 102624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sound pressure
negative pressure
controller
cosmetic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종철
이균정
박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피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피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피알
Priority to KR102022017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396B1/ko
Priority to KR1020230176870A priority patent/KR102659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57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09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미용 시술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몸체부 및 피부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흡입구가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헤드; 상기 피부의 시술 부위를 융기시키기 위한 음압을 상기 흡입구로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음압 인가 모듈; 상기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상기 시술 부위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 측정 센서; 상기 음압 인가 모듈 및 상기 높이 측정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 1 음압이 상기 흡입구에 인가되도록 상기 음압 인가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상기 시술 부위의 제 1 측정 높이를 기초로 결정된 제 2 음압이 상기 흡입구에 인가되도록 상기 음압 인가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용 시술 기기{Device for beauty treatment}
본 발명은 미용 시술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의 일 부분을 석션(suction)하는 미용 시술 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제모, 피부 미용 등의 미용 시술을 가정 내에서 사용자가 스스로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가정용 미용 시술 장치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가정용 미용 시술 장치는 사용자가 자신의 집에서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간편하게 미용 시술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미용 시술에 대한 장벽을 낮추고 접근성을 높여준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석션 등을 통하여 피부가 융기되도록 흡입하여 마사지 등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피부의 융기된 부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모, 마사지 또는 피부 관리등을 수행하는 가정용 미용 시술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정용 미용 시술 장치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가정용 미용 시술 장치의 성능도 기존에 비해 비약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시술의 효과도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장치를 이용하여 미용 시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정용 미용 시술 장치의 사용 효과를 부작용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석션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미용 시술 기기는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이나 사용하는 신체 부위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석션의 강도가 다를 수 있음에도, 상기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음압을 갑작스럽게 인가하여 피부 손상 등 부작용을 초래하거나 석션에 따른 미용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를 흡입하여 융기시킴으로써 미용 시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미용 시술 기기 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흡입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그에 따르는 미용 시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미용 시술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의 갑작스러운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목표한 높이만큼 시술 부위를 융기시킬 수 있는 미용 시술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몸체부 및 피부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흡입구가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헤드; 상기 피부의 시술 부위를 융기시키기 위한 음압을 상기 흡입구로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음압 인가 모듈; 상기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상기 시술 부위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 측정 센서; 상기 음압 인가 모듈 및 상기 높이 측정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 1 음압이 상기 흡입구에 인가되도록 상기 음압 인가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상기 시술 부위의 제 1 측정 높이를 기초로 결정된 제 2 음압이 상기 흡입구에 인가되도록 상기 음압 인가 모듈을 제어하는, 미용 시술 기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최종 목표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최종 목표 높이와 상기 제 1 측정 높이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 1 음압을 기초로 상기 제 2 음압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제 1 목표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목표 높이를 기초로 상기 제 1 음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 1 목표 높이와 상기 제 1 측정 높이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 2 음압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목표 높이가 상기 제 1 측정 높이보다 크면 상기 음압 인가 모듈의 출력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목표 높이가 상기 제 1 측정 높이보다 크면 상기 음압 인가 모듈의 출력이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피부의 시술 부위를 석션하여 융기시키기 위한 미용 시술 방법으로서, 상기 시술 부위가 융기될 수 있도록 제 1 음압을 상기 시술 부위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 1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상기 시술 부위의 제 1 측정 높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측정 높이를 기초로 제 2 음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음압을 상기 시술 부위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용 시술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최종 목표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음압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최종 목표 높이와 상기 제 1 측정 높이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 1 음압을 기초로 상기 제 2 음압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목표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목표 높이를 기초로 상기 제 1 음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음압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측정 높이와 상기 제 1 목표 높이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 2 음압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음압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목표 높이가 상기 제 1 측정 높이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 2 음압이 상기 제 1 음압보다 크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음압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목표 높이가 상기 제 1 측정 높이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 2 음압이 상기 제 1 음압보다 작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 2 목표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음압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2 목표 높이를 기초로 상기 제 2 음압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 n-1 목표 높이(n은 3이상의 자연수)를 결정하는 단계; n-1번째로 제 n-1 음압을 상기 시술 부위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 n-1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상기 시술 부위의 제 n-1 측정 높이를 측정하는 단계; 제 n 목표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n-1 목표 높이 및 상기 제 n-1 측정 높이를 기초로 제 n 음압을 결정하는 단계; 및 n번째로 상기 제 n 음압을 상기 시술 부위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n 목표 높이는 상기 제 1 목표 높이에서 상기 제 n 목표 높이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는 음압 인가 모듈이 시술 부위가 융기되도록 소정의 음압을 인가함으로써, 시술 부위 및 이와 인접한 영역에 소정의 미용 시술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는 높이 측정 센서가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시술 부위의 높이를 측정하고, 컨트롤러가 측정된 높이를 기초로 후속하는 음압을 결정하고 결정된 음압이 인가되도록 음압 인가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피부 흡입에 따른 부작용은 최소화하면서도, 그에 따르는 미용 시술 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는 피부의 시술 부위가 최종 목표 높이까지 단계적으로 융기되도록, 컨트롤러가 후속하는 음압을 결정하고 결정된 음압이 인가되도록 음압 인가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피부의 갑작스러운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목표한 높이만큼 시술 부위를 융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의 사시도이다. 이때, 헤드는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하게 도시되었고, 헤드에 의하여 투시되는 구성들은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2는 도 1의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의 음압 인가 모듈, 컨트롤러 및 높이 측정 센서를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가 피부의 시술 부위에 소정의 음압을 인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헤드는 내부가 보이도록 단면이 도시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미용 시술 기기가 피부를 융기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제 1 측정 높이와 제 1 목표 높이가 함께 표시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융기되는 시술 부위의 측정 높이와 측정 시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의 사시도이다. 이때, 헤드는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하게 도시되었고, 헤드에 의하여 투시되는 구성들은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2는 도 1의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의 음압 인가 모듈, 컨트롤러 및 높이 측정 센서를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가 피부의 시술 부위에 소정의 음압을 인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헤드는 내부가 보이도록 단면이 도시되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1)는 본체(10), 헤드(20), 음압 인가 모듈(30), 컨트롤러(40) 및 높이 측정 센서(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본 미용 시술 기기(1)의 헤드(20)의 흡입구(27)가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규정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1)는 피부와 접촉하는 헤드(20)의 흡입구(27)에 소정의 음압을 인가하여 흡입구(27) 내측으로 피부를 융기시킴으로써, 마사지 등 소정의 미용 시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미용 시술 기기이다. 이와 같은 음압의 인가는 음압 인가 모듈(3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1)는 높이 측정 센서(50)가 융기된 피부의 높이를 측정하여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컨트롤러(40)가 획득한 소정의 정보를 기초로 적절한 음압을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음압 인가 모듈(30)을 제어함으로써 적절한 음압이 피부에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1)에 의하면, 석션에 의한 피부 손상 등의 부작용이 최소화되면서도 본 미용 시술 기기(1)가 달성하려는 마사지 등의 미용 시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1)는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다른 구성들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의 기능을 하면서도 사용자가 파지하여 본 미용 시술 기기(1)를 조작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지되 내부에 후술하는 음압 인가 모듈(30) 및 컨트롤러(40)가 수용되는 본체부(12)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본체부(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이러한 본체(10)의 외측부에는 본 미용 시술 기기(1)의 제어 상태 등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나 본 미용 시술 기기(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 부재 또는 터치식 스크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내부에 수용되는 다른 구성 요소의 특성 또는 사용 환경 등에 맞추어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1)의 본체(10)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압 인가 모듈(30)이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음압 인가 모듈(30)은 후술하는 헤드(20)의 흡입구(27) 내측으로 음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생성할 수 있는 펌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압 인가 모듈(30)은 음압 인가 모듈(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음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음압 인가 모듈(30)은 출력이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음압 인가 모듈(30)의 음압 조절은 후술하는 컨트롤러(40)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압 인가 모듈(30)의 음압(또는, 출력) 조절에 따른 작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체(10) 내부에는 컨트롤러(4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40)는 프로세서, 중앙처리장치(cpu), 제어기, 산술 논리 유닛, 연산 논리 회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마이크로 컴퓨터, FPGA, 시스템 온 칩(SoC),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유닛,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40)는 전술한 음압 인가 모듈(30) 외에도 후술하는 높이 측성 센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전기 회선에 의하여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공지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40)는 높이 측정 센서(5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음압 인가 모듈(3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1)의 본체(10)의 본체부(12) 전방에는 피부와 접할 수 있는 헤드(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1)의 헤드(20)는 본체부(1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몸체부(22) 및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몸체부(22)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는 접촉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헤드(20)의 몸체부(22)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깔대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헤드(20)의 몸체부(22) 내부에는 소정의 음압이 형성될 수 있는 시술 공간(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22)의 내측에는 시술 공간(21)을 규정하는 둘레면(23) 및 바닥면(25)이 구비될 수 있다. 둘레면(23)은 몸체부(22)의 연장 방향, 즉 전후 방향을 중심으로 시술 공간(21)을 둘러싸는 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몸체부(22)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2)의 외측부와 몸체부(22)의 둘레면(23)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공간(A)은 음압 인가 모듈(30)이 구비된 본체(10)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둘레면(23)에는 복수의 음압공(24)이 형성될 수 있다. 음압공(24)은 시술 공간(21)과 음압 인가 모듈(30)을 유체적으로 연결하여, 시술 공간(21)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음압공(24)은 후술하는 바닥면(25)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술 공간(21)의 내부 공기가 음압 인가 모듈(30)에 의하여 음압공(24)으로 흡입됨으로써, 시술 공간(21)에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시술 공간(21)의 후방에는 시술 공간(21)의 후면을 규정하는 바닥면(25)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25)에는 후술하는 높이 측정 센서(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둘레면(23)이나 바닥면(25)에는 소정의 미용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자극 발생기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PL(Intense Pulsed Light)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광원 또는 RF(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는 고주파 생성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미용 시술 기기(1)는 상기 구성에 의한 추가적인 미용 시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헤드(20) 몸체부(22)의 전방 단부에는 흡입구(2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27)의 둘레에는 접촉부(2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접촉부(26)는 접촉시의 피부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흡입구(27)는 몸체부(22)의 시술 공간(21)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 공간(21)은 흡입구(27)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될 수 있고, 시술 공간(21)에 음압이 형성되면 흡입구(27)를 통하여 시술 공간(21) 내측으로 피부가 흡입되어 들어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헤드(20)의 형상 및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헤드(20)는 음압 인가 모듈(30)에 의하여 형성된 음압을 피부의 국소적인 부분에 인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본체(10)와 헤드(20)는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되도록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본체(10)와 헤드(20)는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20)에는 높이 측정 센서(50)가 구비될 수 있다. 높이 측정 센서(50)는 흡입구(27) 및 시술 공간(21) 내측으로 융기된 피부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높이 측정 센서(50)는 헤드(20) 몸체부(22)의 바닥면(25)에 흡입구(27) 측, 즉 전방을 바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높이 측정 센서(5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높이 측정 센서(50)는 융기된 피부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면, 헤드(20)의 외측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높이 측정 센서(50)는 근접 센서 또는 광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높이 측정 센서(50)는 융기된 피부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높이 측정 센서(50)가 측정하는 융기된 피부(2)의 높이, 즉, 시술 부위(3)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융기된 시술 부위(3)의 높이는 융기된 시술 부위(3)의 최상단 부분의 높이일 수 있다. 또는, 융기된 시술 부위(3)의 높이는 융기된 시술 부위(3)의 평균 높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융기된 시술 부위(3)의 높이는 본 미용 시술 기기(1)가 달성하려는 미용 시술의 효과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규정될 수 있으며, 높이 측정 센서(50)는 규정된 융기된 시술 부위(3)의 높이를 측정하기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 및 미용 시술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융기된 시술 부위(3)의 높이는 헤드(20)의 접촉부(26)로부터 융기된 시술 부위(3)의 최상단 부분의 높이(h)로 규정됨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도 4를 함께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가 미용 시술을 수행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1)의 헤드(20)를 피부(2)의 표면에 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20) 접촉부(26)의 흡입구(27)에는 피부(2)의 시술 부위(3)가 인접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본 미용 시술 기기(1)의 컨트롤러(40)에 작동을 명령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1)의 컨트롤러(40)는 음압 인가 모듈(30)의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컨트롤러(40)가 흡입구(27) 및 시술 공간(21)에 음압이 인가되도록 음압 인가 모듈(30)을 제어하면, 시술 공간(21)의 공기가 헤드(20)의 음압공(24)을 통하여 헤드(20) 몸체부(22)의 외측부와 둘레면(23) 사이에 구비된 내부 공간(A)으로 흡입될 수 있다.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흡입구(27) 및 시술 공간(21)에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고, 피부(2)의 시술 부위(3)는 음압에 의하여 흡입구(27) 및 시술 공간(21) 내측으로 볼록하게 융기될 수 있다.
이때, 높이 측정 센서(50)는 시술 부위(3)가 융기된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40)는 높이 측정 센서(50)가 측정한 정보를 이용하여 음압 인가 모듈(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1)는 피부(2)에 석션을 통한 마사지 등 소정의 미용 시술을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로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미용 시술 기기가 피부를 융기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제 1 측정 높이와 제 1 목표 높이가 함께 표시되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에서, 사용자는 미용 시술 기기(1)의 컨트롤러(40)에 미용 시술을 시작하라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40)는 미용 시술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시작 신호와 함께 사용자 피부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나이, 성별, 특정 질환 유무 등에 관한 정보(이하, 사용자 정보라 함)를 컨트롤러(40)에 함께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미용 시술의 첫 단계로서 제 1 목표 높이를 설정한다(S100). 이때, 제 1 목표 높이는 본 미용 시술 기기(1)가 후술하는 제 1 음압을 인가하여 융기시키고자 하는 시술 부위(3)의 높이이다. 즉, 제 1 목표 높이는 제 1 음압을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목표 높이는 사용자 등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값이거나, 컨트롤러(40)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 장소에 미리 저장된 값이거나, 또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수식이나 데이터 테이블을 통하여 산출된 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제 1 목표 높이를 기초로 제 1 음압을 결정한다(S200). 이때, 음압을 결정한다는 것은 음압의 강도(또는,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음압 결정 단계(S200)에서 결정되는 제 1 음압은 컨트롤러(40)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 장소에 저장된 값이거나, 또는, 사용자 정보 또는 제 1 목표 높이를 기초로 소정의 수식이나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산출된 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제 1 음압은 시술 부위(3)를 제 1 목표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만큼 융기시키기에 적합한 강도를 가지도록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따라 적합한 음압의 강도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일 예로, 제 1 음압의 강도는 일반적인(또는, 평균적인)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시술 부위(3)에 결정된 제 1 음압이 인가되도록 음압 인가 모듈(30)을 제어한다(S300). 달리 표현하면, 컨트롤러(40)는 제 1 음압이 시술 부위(3)에 인가되도록 음압 인가 모듈(3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2)의 시술 부위(3)가 흡입구(27)를 통하여 시술 공간(21) 내측으로 융기되고, 시술 부위(3)에는 석션에 의한 마사지 등 미용 시술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미용 시술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S400).
이때, 컨트롤러(40)가 미용 시술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용 시술을 종료하라는 입력 신호가 컨트롤러(40)로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기준이 될 수 있다. 또는, 석션에 의하여 시술 부위(3)로 인가된 에너지의 총 량이 특정한 값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기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한 값은 미리 설정된 값이거나 사용자가 컨트롤러(40)로 입력한 값일 수 있다.
만일, 컨트롤러(40)가 미용 시술을 종료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면(S400), 본 실시예에서, 높이 측정 센서(50)가 시술 부위(3)의 융기된 높이를 측정한다(S500). 그리고, 높이 측정 센서(50)는 융기된 높이에 관한 정보를 컨트롤러(40)로 송신한다. 이하에서, 높이 측정 센서(50)가 제 1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시술 부위(3)의 높이를 측정한 것을 제 1 측정 높이(h1)라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다시 목표 높이를 설정한다(S100). 여기서, 다시 설정되는 목표 높이는 제 2 목표 높이다. 이때, 제 2 목표 높이는 앞서 제 1 목표 높이와 관련하여 살펴본 바와 마찬가지로, 제 2 음압을 위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 2 목표 높이를 설정하는 단계(S100)에서, 컨트롤러(40)는 제 1 목표 높이(h1-O,h1-O’)와 제 1 측정 높이(h1)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제 2 목표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은 사용자의 피부 상태, 예를 들어, 피부 탄력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미용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시술 부위(3)의 제 1 측정 높이(h1)가 제 1 목표 높이(h1-O)보다 큰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피부 탄력도가 일반적인(또는, 평균적인) 정도보다 낮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S100단계에서 컨트롤러(40)는 제 1 측정 높이(h1)가 제 1 목표 높이(h1-O)보다 크면, 제 2 목표 높이를 제 1 목표 높이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낮은 피부 탄력도에 의하여 피부가 쉽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과도한 피부 융기에 따른 피부 손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이를 고려하여, S100단계에서 컨트롤러(40)는 제 1 측정 높이(h1)가 제 1 목표 높이(h1-O)보다 크면, 제 2 목표 높이를 제 1 목표 높이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낮은 피부 탄력도에 의하여 변형에 따라 인가되는 자극의 양이 적을 수 있으므로, 목표한 미용 시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피부를 더 강한 음압으로 더 높게 융기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시술 부위(3)의 제 1 측정 높이(h1)가 제 1 목표 높이(h1-O’)보다 작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피부 탄력도가 일반적인(또는, 평균적인) 정도보다 높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S100단계에서 컨트롤러(40)는 제 1 측정 높이(h1)가 제 1 목표 높이(h1-O’)보다 작으면, 제 2 목표 높이를 제 1 목표 높이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더 높은 높이로 시술 부위(3)를 융기시키기 위하여 더 강한 음압으로 흡입하면, 피부의 강한 저항에 의하여 피멍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이를 고려하여, S100단계에서 컨트롤러(40)는 제 1 측정 높이(h1)가 제 1 목표 높이(h1-O’)보다 작으면, 제 2 목표 높이를 제 1 목표 높이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목표한 미용 시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피부를 더 강한 음압으로 더 높게 융기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피부 상태 및 상황에 따라 후속하는 목표 높이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다시 음압을 결정한다(S200). 여기서, 다시 결정되는 음압은 제 2 읍압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음압은 앞서 제 1 음압과 관련하여 살펴본 바와 마찬가지로, 컨트롤러(40)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 장소에 저장된 값이거나, 또는, 사용자 정보 또는 제 2 목표 높이를 기초로 소정의 수식이나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산출된 값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 2 음압은 시술 부위(3)를 제 2 목표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만큼 융기시키기에 적합한 강도를 가지도록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마다 적합한 강도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일 예로, 제 2 음압의 강도는 일반적인(또는, 평균적인)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 2 목표 음압이 제 1 목표 음압보다 크면, 제 2 음압의 강도는 제 1 음압의 강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제 2 목표 음압이 제 1 목표 음압보다 작으면, 제 2 음압의 강도는 제 1 음압의 강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피부 상태 및 상황에 따라 후속하여 인가되는 음압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다시 시술 부위(3)에 음압이 인가되도록 음압 인가 모듈(30)을 제어한다(S300). 여기서, 시술 부위(3)에 인가되는 음압은 앞서 결정된 제 2 음압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에 의하면, 후속하는 음압을 사용자의 피부 상태 및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미용 시술의 종료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40)는 S500단계에서 미용 시술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하기 전까지, 높이 측정 센서(50)가 시술 부위(3)의 융기된 높이를 측정하고(S500), 컨트롤러(40)가 측정 높이를 기초로 후속하여 인가되는 음압을 결정하고(S200), 결정된 음압을 인가하는 단계(S300)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에 의하면, 높이 측정 센서(50) 및 타이머(6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하게 음압이 인가되도록 음압 인가 모듈(30)을 제어함으로써, 부작용은 최소화하면서도, 미용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융기되는 시술 부위의 측정 높이와 측정 시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은 시술 부위가 소정의 높이 만큼 융기되는 과정에서, 석션에 따른 부작용은 최소화하고 미용 시술의 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는 미용 시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미용 시술을 시작하라는 신호 및 사용자 정보를 컨트롤러(40)에 소정의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40)는 미용 시술을 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최종 목표 높이(hf)를 결정한다(S100-1). 여기서, 최종 목표 높이(hf)는 당해 미용 시술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융기시키고자 하는 시술 부위(3)의 높이일 수 있다.
이러한 최종 목표 높이(hf)는 별도의 저장 장소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최종 목표 높이(hf)는 사용자가 입력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최종 목표 높이(hf)는 사용자 정보 등을 기초로 소정의 수식이나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제 1 음압을 결정한다(S200-1). 이때, 제 1 음압은 사용자 등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제 1 음압은 별도의 저장 장소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제 1 음압은 사용자 정보나 최종 목표 높이(hf)를 기초로 소정의 수식이나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 1 음압의 강도는 미용 시술이 시작되는 단계인 만큼, 당해 미용 시술에서 가장 강한 강도로 인가되는 음압에 비해 작은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갑작스러운 피부의 변형에 따른 부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결정된 제 1 음압을 피부(2)의 시술 부위(3)로 인가한다(S300-1). 이에 따라, 시술 부위(3)는 흡입구(27)를 통하여 시술 공간(21) 내측으로 융기되고, 시술 부위(3) 및 이에 인접한 영역에는 소정의 미용 시술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미용 시술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S400-1). 만일, 컨트롤러(40)가 미용 시술을 종료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면(S400-1), 본 실시예에서, 높이 측정 센서(50)가 시술 부위(3)의 융기된 제 1 측정 높이(h1)를 측정한다(S500-1).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다시 음압을 결정한다(S200-1). 여기서, 결정되는 음압은 제 1 음압에 후속하여 인가되는 제 2 음압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40)는 제 2 음압을 결정하기 위하여, 최종 목표 높이(hf)와 제 1 측정 높이(h1)를 비교할 수 있다.
컨트롤러(40)는 최종 목표 높이(hf) 제 1 측정 높이(h1)의 차이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면, 제 2 음압이 제 1 음압보다 크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 범위는 측정 높이와 최종 목표 높이(hf)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 본 미용 시술 기기(1)의 특성, 사용 환경 등에 따라 인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 2 압력과 제 1 압력의 차이, 즉, 음압 증가량은 별도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음압 증가량은 사용자 정보나 최종 목표 높이(hf)를 기초로 소정의 수식이나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시술 부위(3)에 음압이 인가되도록 음압 인가 모듈(30)을 다시 제어한다(S300-1). 이때, 인가되는 음압은 앞서 결정된 제 2 음압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다시 미용 시술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S400-1), 미용 시술을 종료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면, 다시 시술 부위(3)의 융기된 높이를 측정한다(S500-1). 이때, 측정되는 높이는 제 2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시술 부위(3)의 제 2 측정 높이(h2)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종료 여부 판단 단계(S400-1)에서 미용 시술을 종료할 것으로 판단하기 전까지, 전술한 S100-1 단계 내지 S500-1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S100-1 단계 내지 S500-1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도중에, 시술 부위(3)에는 n-1번째로 제 n-1 음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 n-1 음압이 인가된 시술 부위(3)의 제 n-1 측정 높이(hn-1)가 측정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압 결정 단계(S200-1)에서 컨트롤러(40)는 제 n-1 측정 높이(hn-1)가 최종 목표 높이(hf)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이면, 제 n-1 음압을 기초로 제 n 음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40)는 제 n 음압을 제 n-1 음압과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40)는 결정된 제 n 음압을 시술 부위(3)에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 부위(3)의 융기된 높이(h)가 소정의 값을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n 측정 높이(hn)는 제 n-1 측정 높이(hn-1)와 인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제 n 측정 높이(hn)는 제 n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시술 부위(3)를 측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술 부위(3)가 최종 목표 높이(hf)까지 단계적으로 융기되므로, 피부의 갑작스러운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시술 부위(3)를 최종 목표 높이(hf)까지 융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은 갑작스러운 피부의 변형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피부 손상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목표한 미용 시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시술 방법에서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종 목표 높이가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 1 목표 높이와 최종 목표 높이가 함께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기기 외에도, 피부가 융기되도록 음압을 인가하여 소정의 시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미용 시술 기기 2: 피부
3: 시술 부위 10: 본체
20: 헤더 30: 음압 인가 모듈
40: 컨트롤러 50: 높이 측정 센서

Claims (12)

  1.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몸체부 및 피부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흡입구가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헤드;
    상기 피부의 시술 부위를 융기시키기 위한 음압을 상기 흡입구로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음압 인가 모듈;
    상기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상기 시술 부위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 측정 센서;
    상기 음압 인가 모듈 및 상기 높이 측정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 n-1 목표 높이(n은 2이상의 자연수)를 결정하고, n-1번째로 제 n-1 음압이 상기 시술 부위에 인가되도록 상기 음압 인가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 n-1 음압에 의하여 융기된 상기 시술 부위의 제 n-1 측정 높이를 측정하도록 상기 높이 측정 센서를 제어하고, 제 n 목표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제 n-1 목표 높이와 상기 제 n-1 측정 높이의 차이 및 제 n 목표 높이를 기초로 제 n 음압을 결정하고, n번째로 상기 제 n 음압이 상기 시술 부위에 인가되도록 상기 음압 인가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 n 목표 높이는 n이 커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미용 시술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최종 목표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최종 목표 높이와 상기 제 n-1 측정 높이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 n-1 음압을 기초로 상기 제 n 음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미용 시술 기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n-1 목표 높이가 상기 제 n-1 측정 높이보다 크면 상기 음압 인가 모듈의 출력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미용 시술 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n-1 목표 높이가 상기 제 n-1 측정 높이보다 크면 상기 음압 인가 모듈의 출력이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미용 시술 기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20178397A 2022-12-19 2022-12-19 미용 시술 기기 KR102624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397A KR102624396B1 (ko) 2022-12-19 2022-12-19 미용 시술 기기
KR1020230176870A KR102659105B1 (ko) 2022-12-19 2023-12-07 미용시술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397A KR102624396B1 (ko) 2022-12-19 2022-12-19 미용 시술 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6870A Division KR102659105B1 (ko) 2022-12-19 2023-12-07 미용시술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396B1 true KR102624396B1 (ko) 2024-01-12

Family

ID=895415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397A KR102624396B1 (ko) 2022-12-19 2022-12-19 미용 시술 기기
KR1020230176870A KR102659105B1 (ko) 2022-12-19 2023-12-07 미용시술기기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6870A KR102659105B1 (ko) 2022-12-19 2023-12-07 미용시술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243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2076A (ja) * 2009-01-13 2010-07-29 Machiko Akiyama 移動式脂肪減少用吸引器
KR20130071169A (ko) * 2011-12-20 2013-06-28 유니스파테크주식회사 감압 피부 관리 장치
KR20160055046A (ko) * 2015-04-20 2016-05-17 주식회사 하이로닉 여드름 치료 방법 및 장치
JP2018520735A (ja) * 2015-06-03 2018-08-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真空設定を調整するために皮膚ドーム測定を伴う微小皮膚剥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2076A (ja) * 2009-01-13 2010-07-29 Machiko Akiyama 移動式脂肪減少用吸引器
KR20130071169A (ko) * 2011-12-20 2013-06-28 유니스파테크주식회사 감압 피부 관리 장치
KR20160055046A (ko) * 2015-04-20 2016-05-17 주식회사 하이로닉 여드름 치료 방법 및 장치
JP2018520735A (ja) * 2015-06-03 2018-08-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真空設定を調整するために皮膚ドーム測定を伴う微小皮膚剥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105B1 (ko)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917B2 (en) Feedback control of thermokeratoplasty treatments
US10639229B2 (en) Three-dimensional negative pressure stimulator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customized composite stimulation for improvement of skin functions
KR101703290B1 (ko)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US20140371565A1 (en) Accommodation stimulation and recording device
US20100331930A1 (en) Phototherapy device
CA2695780A1 (en) Multi-module skin or body treatment device and the method of using
KR101788725B1 (ko) 비침습 레이저 통증 완화장치
WO2021190316A1 (zh) 可穿戴按摩仪调节方法、可穿戴按摩仪、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624396B1 (ko) 미용 시술 기기
KR102350517B1 (ko) 피부침투장치 및 피부침투방법
KR101633707B1 (ko) Rf 치료장치 및 rf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JP2022533072A (ja) 眼瞼下に装着する治療器具ならびにドライアイ治療のための関連システム、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2659101B1 (ko) 미용 시술 방법
KR102214521B1 (ko) 미용에 사용하는 복합 전극패드를 이용한 미용기기와 그 방법
US20140296838A1 (en) Radio frequency heating device
US20240123247A1 (en) Treatment apparatus using high frequency handpie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105531B2 (en) Device for electrostimulation
KR101122306B1 (ko) 탈모치료장치 제어방법
KR102659103B1 (ko) 미용 시술 장치
KR20170015951A (ko)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KR102588324B1 (ko) 미용 시술 방법
KR200482960Y1 (ko) 고주파 얼굴 축소 시술기
KR102632459B1 (ko) 피부 및 근막용 초음파테라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601630B1 (ko) 비접촉 감지 센서를 구비한 미용 시술 기기
KR102526010B1 (ko) 미용 시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