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830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830B1
KR102623830B1 KR1020230098230A KR20230098230A KR102623830B1 KR 102623830 B1 KR102623830 B1 KR 102623830B1 KR 1020230098230 A KR1020230098230 A KR 1020230098230A KR 20230098230 A KR20230098230 A KR 20230098230A KR 102623830 B1 KR102623830 B1 KR 102623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guide
storage
draw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8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18769A (en
Inventor
임현애
곽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9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830B1/en
Publication of KR20230118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769A/en
Priority to KR1020240002298A priority patent/KR202400105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30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실(3)이 형성된 캐비넷과, 상기 저장실(3)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130a)이 형성된 수납조립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조립체(100)에는 상기 저장실(3)에 배치되고, 서랍가이드부(121) 및 선반가이드부(125)가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1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가이드부(121)를 따라 수납서랍(130)이 이동되고, 상기 수납서랍(130)의 상부에는 상기 수납공간(130a)을 차폐하는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의 연결가이드부(155)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제1선반(150)에 겹쳐지고, 겹쳐진 상기 제1선반(150) 및 상기 제2선반(170)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높이가 높은 물건을 수납공간(130a)에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납서랍(130)을 전방으로 인출하면 냉장고 내부의 다른 부품과 간섭 없이 물건을 꺼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efrigerator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3 formed therein, and a storage assembly 100 install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 and having a storage space 130a formed therein. In addition, the storage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frame 110 dispos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 and in which the drawer guide portion 121 and the shelf guide portion 125 are provided at different heights. The storage drawer 130 is moved along the drawer guide part 121, and a first shelf 150 and a second shelf 170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drawer 130 to shield the storage space 130a. can be placed.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shelf 170 moves along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55 of the first shelf 150, it overlaps the first shelf 150, and the overlapped first shelf 150 and the first shelf 150 overlap. The two shelves 170 can be rotated together. Accordingly, the user can not only store tall items in the storage space 130a, but also can take out the items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 parts inside the refrigerator by pulling the storage drawer 130 forward.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서랍형 수납조립체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drawer-type storage assembly therein.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can store food at low temperatures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To this end, refrigerators are designed to keep stored food in optimal condition by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최근에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되고,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냉장고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의 내부에 과일 등 신선식품을 보관하는 수납함을 따로 두고, 사용자가 수납함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수납함 상부를 투명한 소재의 커버로 덮는 구조가 있다. 이때 수납함의 위에는 다양한 제품을 얹을 수도 있다. Recently,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the trend of higher quality products, they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more multi-functional. Additionally, for user convenience, various structures are being developed to enable efficient us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storage box for storing fresh food such as fruit is placed inside the refrigerator, and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box is cover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cover so that the user can observe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At this time, various products can be placed on top of the storage box.

그런데, 수납함 자체의 높이로 인해 수납함의 상부에 보관할 수 있는 물건의 높이가 제한된다. 즉, 수납함과 그 상부에 배치된 선반 사이의 높이 보다 낮은 물건만 수납함 위에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the height of the items that can be stored i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box is limited due to the height of the storage box itself. In other words, only items lower than the height between the storage box and the shelf placed on top of it can be stored on the storage box.

한편, 냉장고 내부의 수납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 냉장고의 선반을 접을 수 있는 기술도 공개되어 있다. 선반이 접히면 선반에 의한 높이 제한이 제거되므로 냉장고의 내부에 높이가 높은 물건도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0460호(선행기술1)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1346호(선행기술2)에는 회전할 수 있는 가변식 선반이 적용된 냉장고가 공개되어 있다. Meanwhile, a technology that can fold the shelves of a refrigerator to increase the storage height inside the refrigerator has also been disclosed. When the shelf is folded, the height limitation caused by the shelf is removed, allowing tall items to be stored inside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10460 (Prior Art 1)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431346 (Prior Art 2) disclose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rotatable variable shelf.

다만, 냉장고의 선반을 회전시켜 접더라도, 냉장고의 안쪽에 보관된 물건을 외부로 꺼내는 작업은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높이가 높은 물건은 위쪽에 배치된 선반과 간섭되기 쉬우므로 외부로 꺼내기가 더욱 어렵다. However, even if the shelf of the refrigerator is rotated and folded,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in taking out items stored inside the refrigerator to the outside. In particular, tall objects tend to interfere with shelves placed above, making it more difficult to take them ou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0460호(선행기술1)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10460 (Prior Art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1346호(선행기술2)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431346 (Prior Art 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높이가 가변될 뿐 아니라 외부로 쉽게 인출할 수 있는 수납조립체가 설치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storage assembly that not only has a variable storage height but can be easily pulled o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부품으로 수납공간을 덮는 커버와 선반기능을 모두 구현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both a cover covering a storage space and a shelf function with one par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캐비넷과,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조립체에는 서랍가이드부 및 선반가이드부가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가이드부를 따라 수납서랍이 이동되고, 상기 수납서랍의 상부에는 상기 수납공간을 차폐하는 제1선반과 제2선반이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having a storage room formed therein, and a storage assembly installed in the storage room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dditionally, the storage assembly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frame in which the drawer guide portion and the shelf guide portion are provided at different heights. A storage drawer may be moved along the drawer guide portion, and a first shelf and a second shelf may b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drawer to shield the storage space.

이때, 상기 제2선반이 상기 제1선반의 연결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제1선반에 겹쳐지고, 겹쳐진 상기 제1선반 및 상기 제2선반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높이가 높은 물건을 수납공간에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납서랍을 전방으로 인출하면 냉장고 내부의 다른 부품과 간섭 없이 물건을 꺼낼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shelf moves along the connection guide part of the first shelf, it overlaps the first shelf, and the overlapping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can be rotated together. Accordingly, users can not only store tall items in the storage space, but also can take out items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 parts inside the refrigerator by pulling the storage drawer forward.

그리고, 상기 서랍가이드부에는 상기 수납서랍의 인출레일이 결합되고, 상기 선반가이드부에는 상기 제2선반의 선반레일이 결합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pull-out rail of the storage drawer may be coupled to the drawer guide portion, and a shelf rail of the second shelf may be coupled to the shelf guide portion.

또한, 상기 서랍가이드부와 상기 선반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동일 표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납가이드부는 상기 선반가이드부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가이드프레임에 수납서랍 및 두 개의 선반이 모두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rawer guide portion and the shelf guide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guide frame, and the storage guide portion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helf guide portion. Accordingly, both a storage drawer and two shelves can be placed on one guide frame.

그리고, 상기 선반가이드부는 상기 제1선반이 조립되는 제1선반가이드와, 상기 제1선반가이드와 연결되는 제2선반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가이드는 상기 제2선반가이드 보다 상하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선반가이드와 상기 제2선반가이드의 사이에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elf guide unit may include a first shelf guide on which the first shelf is assembled, and a second shelf guide connected to the first shelf guide. The first shelf guide may have a larger upper and lower width than the second shelf guide, so that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helf guide and the second shelf guide.

또한, 상기 제1선반가이드에는 상기 제1선반의 회전돌부가 삽입되는 회전홈이 함몰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rotation groove into which the rotation protrusion of the first shelf is inserted may be recessed in the first shelf guide.

그리고, 상기 연결가이드부는 상기 제2선반을 향한 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2선반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가이드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돌출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is opened forward toward the second shelf, and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may protrude from a side of the second shelf.

또한, 상기 제1선반과 상기 제2선반이 서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선반의 상면과 상기 제2선반의 상면은 서로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are unfolded from each o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elf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helf may form the same plane.

그리고, 상기 제1선반가이드의 상부는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1선반 및 상기 제2선반은 상기 제1선반가이드의 상부를 통해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다. Als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helf guide is opened upward, and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can each be assembled to the guide frame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helf guide.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선반가이드와 상기 제2선반가이드가 구비된 한 쌍의 측면바디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에 각각 연결되는 후면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frame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ude a pair of side bodies provided with the first shelf guide and the second shelf guide, and a rear body each of which has both ends connected to the pair of side bodies. You can.

한편, 상기 제1선반에는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선반바디와, 상기 제2선반의 후단부와 마주보는 제1프론트바디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선반에는 상기 제1선반바디의 상면과 상기 제1프론트바디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상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shelf may include a pair of first shelf bodies each coupled to the pair of side bodies, and a first front body facing the rear end of the second shelf. In addition, the first shelf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op plat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elf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ont body.

그리고, 상기 제2선반은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선반바디와, 상기 한 쌍의 제2선반바디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프론트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선반바디의 상면과 상기 제2프론트바디의 상면에는 제2상판이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2선반바디가 상기 측면바디의 제2선반가이드로부터 상기 제1선반의 상기 연결가이드부로 이동하면 상기 제1상판의 하부에 상기 제2상판이 겹쳐질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shelf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shelf bodi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air of side bodies, and a second front body disposed in front of the pair of second shelf bodies. At this time, a second top plate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helf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ont body, and the second shelf body may be connected from the second shelf guide of the side body to the connection guide of the first shelf. When moving to the upper part, the second upper plate may overlap the lower part of the first upper plate.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seen abov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 수납조립체의 커버역할을 하는 제1선반과 제2선반이 서로 겹쳐지면 수납공간이 위쪽으로 개방되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높이가 증가한다. 이와 동시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수납서랍 자체는 전방으로 인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높이가 높은 물건을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납서랍을 전방으로 인출하면 냉장고 내부의 다른 부품과 간섭 없이 물건을 꺼낼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which serve as covers for the storage assembly, overlap each other, the storage space is opened upward and the height at which items can be stored increases. At the same time, the storage drawer itself with the storage space may be pulled forward. Accordingly, not only can users store tall items, but by pulling out the storage drawer forward, items can be taken out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 parts inside the refrigerator, thereby improving usability.

그리고, 제1선반과 제2선반이 서로 펼쳐지면 제1선반과 제2선반은 수납공간의 위를 덮어 커버 역할을 함과 동시에, 그 위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 기능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조립체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수납조립체의 활용성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Also, when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are spread out from each other,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cover the top of the storage space and serve as a cover, and can also function as a shelf for storing items on it. Therefore, users can use the storage assembly for various purposes, and the usability of the storage assembly increases.

특히, 사용자는 (i) 제1선반과 제2선반을 펼쳐서 커버 및 선반으로 사용할 수 있고, (ii) 제2선반을 제1선반에 겹쳐서 수납서랍의 전방만 위쪽으로 개방할 수도 있으며, (iii) 겹쳐진 제2선반과 제1선반을 접어서 수납서랍의 전방과 후방을 모두 개방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환경에 맞추어 수납조립체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고, 수납조립체의 활용자유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user can (i) unfold the first and second shelves to use them as covers and shelves, (ii) overlap the second shelf on the first shelf to open only the front of the storage drawer upward, (iii) ) Both the front and rear of the storage drawer can be opened by folding the overlapping second and first shelves. Accordingly, the user can modify the storage assembly in various ways to suit his or her usage environment,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orage assembly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of use.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선반과 제2선반은 수납서랍과는 독립적으로 동작된다. 제1선반과 제2선반은 고내에 남아 선반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납서랍만 인출시켜 물건을 꺼내거나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공간을 덮기 위한 커버와,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선반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납조립체의 부품수가 줄어들고 구조가 간소화되는 효과도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operate independently from the storage drawer. With the first and second shelves remaining in the cabinet and performing the shelf function, the user can pull out only the storage drawer to take out or store items. 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cover to cover the storage space and a shelf to place items, which reduces the number of parts of the storage assembly and simplifies th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납조립체에 물건이 보관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조립체에서 수납서랍이 인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납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납조립체에서 제2커버가 제1커버에 겹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수납공간에 물건이 수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납조립체에서 제1커버와 제2커버가 접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납조립체의 각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납조립체의 가이드프레임과 수납서랍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4의 X-X'선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선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선반프레임을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4는 제1선반프레임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5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선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2선반프레임 중 제2선반바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8은 제2선반프레임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tem stored in a storage assembly constituting an example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orage drawer pulled out from the storage assembly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orage assembly constituting an example of Figure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over overlaps a first cover in the storage assembly constituting the example of Figure 1.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tem stored in a storage space in the state shown in Figure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in a folded state in the storage assembly constituting the example of Figure 1.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each part of the storage assembly constituting the example of Figure 1.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guide frame and storage drawer of the storage assembly constituting the example of Figure 1.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ure 4.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helf constituting the example of Figure 1.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helf frame shown in Figure 11.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I-XIII' of FIG. 12.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shelf frame.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shelf constituting the example of Figure 1.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shelf body of the second shelf frame shown in Figure 15.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VII-XVII' of FIG. 16.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shelf fram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고, 냉장고의 내부에는 수납조립체(100)가 배치된다. 상기 수납조립체(100)는 음식물을 비롯한 물건들(이하 '보관물(P1,P2,P3)'이라 함)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납조립체(100) 중 일부(수납서랍(130))는 냉장고의 저장실(3) 내외로 입출될 수 있고, 다른 일부(제1선반(150) 및 제2선반(170))은 저장실(3) 내에서 겹치거나 접히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수납조립체(100)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storage assembly 100 is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tor. The storage assembly 100 is for storing food and other i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orage items (P1, P2, P3)'). Some of the storage assemblies 100 (storage drawers 130) can be moved into and out of the storage compartment 3 of the refrigerator, and other portions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can be moved into and out of the storage compartment 3. ), you can perform overlapping or folding actions within. Below,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structure of the storage assembly 100.

설명에 앞서 도면의 방향에 대해 정의하면, 냉장고의 앞쪽(전방)은 사용자가 냉장고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용자를 향한 방향이 되고, 뒤쪽(후방)은 그 반대방향이 된다.(도 1의 X축 방향 참조) 그리고 냉장고의 왼쪽(좌방)과 오른쪽(우방)은 냉장고의 좌우폭방향(도 1의 Y축 방향 참조)가 되고, 냉장고의 위쪽(상방)과 아래쪽(하방)은 냉장고의 높이방향(도1의 Z축 방향 참조)이 된다. Before explaining, if we define the direction of the drawing, the front (front) of the refrigerator is the direction toward the user when the user looks at the refrigerator from the front, and the back (rear) is the opposite direction. (X in Figure 1 (see axial direction) and the left (left) and right (right) sides of the refrigerator ar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refrigerator (see Y-axis direction in Figure 1), and the top (up) and bottom (down) of the refrigerator ar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see Y-axis direction in Figure 1). (see Z-axis direction in Figure 1).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3)을 갖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3)을 차폐하는 도어(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넷은 전방으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는데, 도 1에는 상기 캐비넷을 구성하는 이너케이스(1)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캐비넷은 캐비넷의 외측 벽면을 이루는 아웃케이스와 내측 벽면을 이루는 이너케이스(1)를 포함한다. The refrigerator includ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3 therein, and a door (not shown) coupled to the cabinet to shield the storage compartment 3. The cabinet is formed as a cylindrical body open to the front, and Figure 1 shows the inner case 1 constituting the cabinet. Although not shown, the cabinet includes an outer case forming an outer wall of the cabinet and an inner case 1 forming an inner wall.

상기 이너케이스(1)의 내부에는 저장실(3)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실(3)은 물건이 보관되는 빈 공간으로, 상기 저장실(3)에는 다수의 선반(미도시)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들은 상기 저장실(3)을 상하방향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의 설치를 위해서 상기 저장실(3)의 내측면에는 장착레일(5)이 구비된다. A storage compartment (3) is provided inside the inner case (1). The storage room 3 is an empty space where goods are stored, and the storage room 3 may be equipped with a number of shelves (not shown). The shelves may serve to partition the storage compartment 3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installation of the shelf, a mounting rail (5)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3).

상기 저장실(3)에는 수납조립체(10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조립체(100)는 보관물(P1,P2,P3)을 내부의 수납공간(130a)에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관물(P1,P2,P3)이 안착될 수 있는 선반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납조립체(100)는 상기 저장실(3)에 배치되는데,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저장실(3)의 바닥부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저장실(3)의 중간이나 위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compartment 3 is provided with a storage assembly 100. The storage assembly 100 not only stores the stored items (P1, P2, and P3) in the internal storage space (130a), but also provides a shelf function on which the stored items (P1, P2, and P3) can be placed. You can. The storage assembly 100 is plac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 As shown in FIG. 1, it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mpartment 3, but may also be placed in the middle or upper part of the storage compartment 3.

도 2와 도 3을 보면, 상기 수납조립체(100)를 구성하는 부품 중 수납서랍(130)이 상기 저장실(3)에서 입출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수납서랍(130)이 저장실(3)의 안쪽에 있고, 도 3에는 상기 수납서랍(130)이 상기 저장실(3)의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수납서랍(130)을 도 3과 같이 당겨 꺼낸 후에, 상기 수납공간(130a)에 보관물(P1,P2,P3)을 보관하거나 상기 수납공간(130a)에 수납된 보관물(P1,P2,P3)을 꺼낼 수 있다. 2 and 3, it can be seen that the storage drawer 130, among the parts constituting the storage assembly 100, is moved in and out of the storage compartment 3. In FIG. 2, the storage drawer 130 is locat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3, and in FIG. 3, the storage drawer 130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3. After the user pulls out the storage drawer 130 as shown in FIG. 3, the user stores the items P1, P2, and P3 in the storage space 130a or stores the items P1, P3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30a. P2,P3) can be taken out.

도 2와 도 3에는 상기 수납서랍(130)의 수납공간(130a)이 위쪽으로 개방된 상태로 표현되어 있다. 즉, 수납서랍(130)의 위쪽을 덮는 선반(150,170)이 서로 겹쳐지거나, 겹쳐진 상태로 회전되어 수납공간(130a)이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공간(130a)이 열리면, 상기 수납공간(130a)에는 높이가 높은 보관물(P1,P2,P3)도 수납할 수 있다. 2 and 3, the storage space 130a of the storage drawer 130 is shown in an upwardly open state. That is, the shelves 150 and 170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drawer 130 overlap each other or are rotated in an overlapped state to open the storage space 130a. When the storage space 130a is opened, tall storage items P1, P2, and P3 can also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30a.

여기서, 상기 선반(150,170)을 구성하는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서로 겹치는 것은 도 5와 같은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회전되는 것은 도 7과 같은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서로 펼쳐지는 것은 도 4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30a)의 위쪽을 덮는 상태를 의미한다. Here, the fact that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constituting the shelves 150 and 170 overlap each other means the state as shown in FIG. 5, and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Rotation in this overlapping state means the state shown in FIG. 7. And, the fact that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are spread out means that they cover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130a, as shown in FIG. 4.

따라서 사용자는 (i) 도 4처럼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을 펼쳐서 커버 및 선반으로 사용할 수 있고, (ii) 도 5와 같이 제2선반(170)을 제1선반(150)에 겹쳐서 상기 수납서랍(130)의 전방만 위쪽으로 개방할 수도 있으며, (iii) 도 7과 같이 겹쳐진 제2선반(170)과 제1선반(150)을 접어서 수납서랍(130)의 전방과 후방을 모두 개방시킬 수도 있다. 이 중에서 도 5와 도 7은 수납공간(130a)이 위쪽으로 개방되므로 수납공간(130a)의 높이 보다 높은 보관물(P1,P2,P3)도 보관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user can (i) unfold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as shown in Figure 4 and use them as a cover and a shelf, and (ii) as shown in Figure 5, the user can use the second shelf 170 as the first shelf ( 150), only the front of the storage drawer 130 can be opened upward, and (iii) the front of the storage drawer 130 can be opened by folding the overlapping second shelf 170 and first shelf 150 as shown in FIG. 7. Both the front and back can be opened. Among these, in Figures 5 and 7, the storage space 130a is opened upward, so storage items P1, P2, and P3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torage space 130a can be stored.

상기 수납조립체(100)는 상기 저장실(3)에 배치되는데, 상기 수납조립체(100)의 위치는 가이드프레임(110)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상기 이너케이스(1)에 고정되고, 상기 수납서랍(130)의 전후방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상기 제1선반(150)의 회전 및 상기 제2선반(170)의 전후방 이동도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상기 이너케이스(1)에 스크류 등 체결구로 고정되거나, 또는 압입이나 접착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assembly 100 is plac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 and the position of the storage assembly 100 is determined by the guide frame 110. The guide frame 110 is fixed to the inner case 1 and guid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torage drawer 130. In addition, the guide frame 110 guides the rotation of the first shelf 150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econd shelf 170. The guide frame 110 may be fixed to the inner case 1 with a fastener such as a screw, or may be fixed by press-fitting or gluing.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대략 ㄷ자 형태의 골격을 갖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바디(111)와,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111)를 연결하는 후면바디(115)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합성수지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7 and 8, the guide frame 110 has an approximately U-shaped skeleton. More precisely, the guide frame 110 includes a pair of side bodies 111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rear body 115 connecting the pair of side bodies 111. The guide frame 11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ay be integrally molded.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측면바디(111)는 상기 이너케이스(1)의 내면 중 양쪽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후면바디(115)는 상기 이너케이스(1)의 내면 중 후면에 밀착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상기 수납서랍(130)의 입출과정에서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이너케이스(1)에 고정된다. The side body 111 of the guide frame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 and the rear body 11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 The guide frame 110 is firmly fixed to the inner case 1 so as not to move together during the entry and exit process of the storage drawer 130.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측면바디(111)는 대략 사각판상이다. 상기 이너케이스(1)의 내면을 향한 상기 측면바디(111)의 바깥쪽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도면부호 생략)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들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상면까지 연장되지는 않고, 중간에 생략된다. The side body 111 of the guide frame 110 has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shape.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reference numerals omitted)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body 111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 The reinforcing ribs do not exte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110 and are omitted in the middle.

그리고 상기 측면바디(111)의 상부에는 변형방지부(113)가 있다. 상기 변형방지부(113)는 상기 측면바디(111)의 상단을 따라 전후방으로 구비되고, 일종의 살빼기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변형방지부(113)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을 사출성형할 때 상기 측면바디(111)가 열변형에 의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부호 112는 상기 변형방지부(113)의 전단에 구비된 프론트데코이고, 상기 프론트데코(1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선반(170)의 제2프론트바디(178)와 통일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And there is a deformation prevention portion 113 at the top of the side body 111. The deformation prevention portion 113 is provided front and rear along the top of the side body 111, and may be a type of slimming structure. The deformation prevention portion 113 is used to prevent the side body 111 from shrinking due to thermal deformation when the guide frame 110 is injection molded. Reference numeral 112 denotes a front decoration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deformation prevention portion 113, and the front decoration 112 has a unified aesthetic with the second front body 178 of the second shelf 17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provided.

상기 보강리브와 상기 변형방지부(113) 사이에는 장착홈(S)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S)은 상기 변형방지부(113) 및 상기 보강리브 보다 상대적으로 함몰된 부분이다. 상기 장착홈(S)에는 이너케이스(1)의 장착부(미도시)가 끼워져,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상기 이너케이스(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A mounting groove (S) is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 and the deformation prevention portion 113. The mounting groove (S) is a relatively depressed portion than the deformation prevention portion 113 and the reinforcing rib. The mounting portion (not shown) of the inner case (1)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S), so that the base frame can be fixed to the inner case (1).

상기 측면바디(111)의 내면에는 서랍가이드부(121) 및 선반가이드부(125)가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된다.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은 상기 수납서랍(130)을 안내하고, 상기 선반가이드부(125)는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을 안내한다.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와 상기 선반가이드부(125)는 상기 측면바디(111)의 길이방향인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body 111, a drawer guide part 121 and a shelf guide part 125 are provided at different heights. The drawer guide part 121 guides the storage drawer 130, and the shelf guide part 125 guides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The drawer guide part 121 and the shelf guide part 125 extend in the front-back direction,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body 111, respectively.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서랍가이드부(121)는 선반가이드부(125) 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서랍(130)은 상기 제1선반(150) 및 제2선반(170)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고,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상기 수납서랍(130)의 커버 기능을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rawer guide part 121 is disposed lower than the shelf guide part 125. Accordingly, the storage drawer 130 is disposed lower than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and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are located below the storage drawer 130. It can function as a cover.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서랍가이드부(12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면바디(111)에서 함몰된 형상이다.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에는 상기 수납서랍(130)의 인출레일(135)이 끼워지고, 상기 수납서랍(130)이 전후방으로 입출될 때 인출레일(135)이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에 안내된다. As shown in FIG. 8, the drawer guide portion 121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has a recessed shape in the side body 111. The drawer rail 135 of the storage drawer 130 is inserted into the drawer guide unit 121, and when the storage drawer 13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e drawer rail 135 is attached to the drawer guide unit 121. Guided.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의 전단부는 전방으로 개방되어 레일입구(121a)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입구(121a)를 통해서 상기 인출레일(135)이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레일입구(121a)에는 레일스토퍼(121b)가 돌출되고, 상기 레일스토퍼(121b)는 상기 인출레일(135)의 레일단부(135a)를 걸어 상기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front end of the drawer guide portion 121 is opened forward to form a rail entrance (121a). The pull-out rail 135 can be inserted into the drawer guide portion 121 through the rail entrance 121a. A rail stopper (121b) protrudes from the rail entrance (121a), and the rail stopper (121b) hangs on the rail end (135a) of the pull-out rail (135) so that the storage drawer (130) is connected to the guide frame (110). prevent complete separation from

상기 선반가이드부(125)를 보면, 상기 선반가이드부(125)는 상대적으로 측면바디(111)의 안쪽에 배치된 제1선반가이드(126)와, 바깥쪽에 배치된 제2선반가이드(127)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에는 상기 제1선반(150)이 배치되고,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에는 상기 제2선반(170)이 배치된다.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와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shelf guide unit 125, the shelf guide unit 125 includes a first shelf guide 126 disposed relatively inside the side body 111, and a second shelf guide 127 disposed outside the side body 111. Includes. The first shelf 150 is disposed on the first shelf guide 126, and the second shelf 170 is disposed on the second shelf guide 127. The first shelf guide 126 and the second shelf guide 127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path.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는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 보다 상하폭이 더 넓다. 도 5를 보면,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에는 상기 제1선반(150) 뿐 아니라, 상기 제1선반(150)에 겹쳐지도록 상기 제2선반(170)도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가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 보다 폭이 큰 것이다. The first shelf guide 126 has a wider vertical width than the second shelf guide 127. Referring to FIG. 5, not only the first shelf 150 but also the second shelf 170 can be placed on the first shelf guide 126 so as to overlap the first shelf 150. The shelf guide 126 is wider than the second shelf guide 127.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와 제2선반가이드(127) 사이에는 단차부(128)가 있다.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가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 보다 폭이 크므로 그 사이에 일종의 단차형태의 단차부(128)가 형성되는 것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단차부(128)는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에서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선반(170)의 후단부가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쳐질 수 있다. There is a step 128 between the first shelf guide 126 and the second shelf guide 127. Since the first shelf guide 126 is wider than the second shelf guide 127, a step portion 128 in the form of a step is formed between them. In this embodiment, the step portion 128 is extends in an inclined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second shelf 170 moves from the second shelf guide 127 to the first shelf guide 126, the rear end of the second shelf 170 may naturally droop downward.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선반(170)에 구비된 가이드돌부(177)는 상기 단차부(128)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선반(170) 전체가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170)의 가이드돌부(177)가 단차부(128)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선반(170) 전체가 경사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2선반(170)이 서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More precisely, the guide protrusion 177 provided on the second shelf 170 moves downward along the step portion 128, and thus the entire second shelf 170 can move in an inclined direction. there is. When the guide protrusion 177 of the second shelf 170 moves downward along the step 128, the entire second shelf 170 is in an inclined state, and in this state, the second shelf 170 ) moves below the first shelf 150 so that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can be stacked on each other.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차부(128)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와 제2선반가이드(127) 사이에는 선반스토퍼(128')가 구비된다. 상기 선반스토퍼(128')는 상기 가이드돌부(177)와 간섭되어, 상기 가이드돌부(177)의 초기위치를 고정해줄 수 있다. 상기 제2선반(170)을 제1선반(150)으로부터 다시 펼칠 때(도 4참조), 상기 선반스토퍼(128')에 상기 가이드돌부(177)가 간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선반스토퍼(128')의 후방에 상기 가이드돌부(177)가 위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a shelf stopper 128'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helf guide 126 and the second shelf guide 127, which are on opposite sides of the step portion 128. The shelf stopper 128' may interfere with the guide protrusion 177 and fix the initial position of the guide protrusion 177. When the second shelf 170 is unfolded again from the first shelf 150 (see FIG. 4), the guide protrusion 177 may interfere with the shelf stopper 128'. Accordingly, the guide protrusion 177 can be located behind the shelf stopper 128'.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는 제2선반가이드(127) 보다 함몰된 깊이도 더 깊다. 즉,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는 좌우폭 방향(도 1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 보다 상기 측면바디(111)의 안쪽으로 더욱 많이 함몰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에는 상기 제1선반(150)의 제1선반바디(152)가 위치하고,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연결가이드부(155)가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helf guide 126 has a deeper depression than the second shelf guide 127. That is, the first shelf guide 126 is recessed more into the side body 111 than the second shelf guide 127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in FIG. 1). In this case, the first shelf body 152 of the first shelf 150 is located on the first shelf guide 126, and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55 of the first shelf body 152 is positioned on the second shelf. It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guide 127.

도 7을 보면,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의 상부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측면바디(111)의 상단에는 개구부(126a)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26a)는 상기 수납공간(130a)의 좌우 폭을 더 넓히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은 상기 개구부(126a)를 통해서 아래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선반(170)이 먼저 상기 개구부(126a)를 통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장착된 후에,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에서 제2선반가이드(127)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상기 제1선반(150)이 상기 개구부(126a)를 통해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에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helf guide 126 is opened upward, and an opening 126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body 111. The opening 126a is formed in a direction to further wide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torage space 130a.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may be mounted on the guide frame 110 in a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opening 126a. More precisely, the second shelf 170 is first mounted on the guide frame 110 through the opening 126a and then moves from the first shelf guide 126 to the second shelf guide 127. do. Subsequently, the first shelf 15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shelf guide 126 through the opening 126a.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의 안쪽에는 회전가이드(126b)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가이드(126b)는 상기 제1선반(15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대해 상대회전할 때,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와 간섭되지 않도록 회피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가이드(126b)는 상기 측면바디(111)에서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 보다 상하 폭이 더 크게 형성된다. A rotation guide (126b)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shelf guide (126). The rotation guide 126b can be viewed as a part that is avoid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shelf guide 126 when the first shelf 150 rotates relative to the guide frame 110. To this end, the rotation guide 126b is formed to have a larger vertical width than the first shelf guide 126 on the side body 111.

상기 회전가이드(126b)에는 회전홈(129)이 함몰된다. 상기 회전홈(129)은 상기 회전가이드(126b)의 상부에 함몰된 것이다. 상기 회전홈(129)에는 상기 제1선반(150)의 회전돌부(159)가 끼워져, 상기 제1선반(150)의 회전중심이 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홈(129)은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111)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부(159)도 상기 제1선반(150)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A rotation groove 129 is recessed in the rotation guide 126b. The rotation groove 129 is recessed in the upper part of the rotation guide 126b. The rotation protrusion 159 of the first shelf 150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groove 129 to become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shelf 150. The rotation groove 129 is formed on each of the pair of side bodies 111, and the rotation protrusion 159 is also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helf 150.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의 전단부는 막혀있다. 따라서, 상기 제2선반(170)은 상기 전단부에 막혀 전방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의 전반부는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선반(170)이 전방으로 당겨질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helf guide 127 is blocked. Accordingly, the second shelf 170 may be blocked at the front end and may not be separated forward. As shown in FIG. 7, the front half of the second shelf guide 127 is formed to have a gradually narrower width, thereby reducing noise generated when the second shelf 170 is pulled forward.

다음으로 상기 수납서랍(130)을 보면, 상기 수납서랍(13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중심에는 수납공간(130a)이 마련된다. 상기 수납공간(130a)은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빈 공간이다. 상기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수납공간(130a)은 상방으로 개방되고,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다시 수납되면 상기 수납공간(130a)은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에 의해 차폐된다. Next, looking at the storage drawer 130, the storage drawer 130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a storage space 130a is provided at the center. The storage space 130a is an empty space open upward. When the storage drawer 130 is pulled out from the guide frame 110, the storage space 130a opens upward, and when the storage drawer 130 is stored again in the guide frame 110, the storage space 130a opens. is shielded by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상기 수납서랍(130)을 구성하는 서랍측면부(131), 서랍후면부(132) 및 서랍전면부(133)들이 서로 연결되고, 그 안쪽에 감싸진 부분에 상기 수납공간(130a)이 형성된다. 이 중에서 상기 서랍전면부(133)는 사용자를 향한 부분이 되고, 상기 서랍후면부(132)는 상기 이너케이스(1)의 안쪽을 향한다. 그리고 상기 서랍측면부(131)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의해 안내되는 부분이다. The drawer side portion 131, the drawer rear portion 132, and the drawer front portion 133 that constitute the storage drawer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torage space 130a is formed in a portion wrapped inside the drawer. Among these, the drawer front portion 133 faces the user, and the drawer rear portion 132 faces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1. And the drawer side part 131 is a part guided by the guide frame 110.

상기 서랍측면부(131)에는 인출레일(135)이 구비된다. 상기 인출레일(135)은 상기 수납서랍(130)의 인출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상기 인출레일(135)은 상기 수납서랍(130)의 전후방향(도 1의 X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서랍측면부(131)에서 돌출된 구조이다. The drawer side portion 131 is provided with a pull-out rail 135. The pull-out rail 135 extends along the pull-out direction of the storage drawer 130. That is, the pull-out rail 135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FIG. 1) of the storage drawer 130 and protrudes from the drawer side portion 131.

상기 인출레일(135)의 끝부분에는 레일단부(135a)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단부(135a)는 상기 인출레일(135) 보다 큰 폭을 갖는다. 상기 레일단부(135a)는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의 레일입구(121a)를 통해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레일단부(135a)는 레일입구(121a)에 구비된 레일스토퍼(121b)에 걸려, 상기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 rail end portion 135a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ull-out rail 135. The rail end portion 135a has a larger width than the pull-out rail 135. The rail end portion 135a is inserted into the drawer guide portion 121 through the rail entrance 121a of the drawer guide portion 121. In addition, the rail end 135a is caught by the rail stopper 121b provided at the rail entrance 121a, thereby preventing the storage drawer 130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guide frame 110.

상기 서랍측면부(131)에는 상기 인출레일(135)과 이격되어 안착돌부(136)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돌부(136)는 상기 레일단부(135a) 보다 상기 서랍측면부(131)의 후방에 위치되고, 본 실시례에서는 원기둥형상이다. 상기 안착돌부(136)는 레일단부(135a)와 이격되되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돌부(136)는 상기 인출레일(135)이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에 완전히 끼워지면 서랍가이드부(121)의 가장 안쪽 공간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안착돌부(136)는 곡면형태의 표면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을 따라 저장실(3)의 안쪽으로 끼워질 때, 수납서랍(130)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The drawer side portion 131 is provided with a seating protrusion 136 spaced apart from the pull-out rail 135. The seating protrusion 136 is located rearward of the drawer side portion 131 than the rail end portion 135a, and has a cylind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seating protrusion 13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ail end portion 135a and have the same height. The seating protrusion 136 is seated in the innermost space of the drawer guide portion 121 when the pull-out rail 135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drawer guide portion 121. In addition, the seating protrusion 136 has a curved surface, so that when the storage drawer 13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3 along the guide frame 110, the storage drawer 130 moves smoothly. Allows you to move.

도 9을 보면, 상기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완전히 장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9에는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생략되어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130a)이 상방으로 완전히 개방되어 있다. Looking at FIG. 9, you can see that the storage drawer 130 is completely mounted on the guide frame 110. In Figure 9,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are omitted, so the storage space 130a is completely open upward.

다음으로, 상기 선반(150,170)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선반(150,170)의 골격은 선반프레임(151,171)이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상판(160,180)이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판(160,180)은 상기 선반프레임(151,171)에 형성된 접착부(152b,153b,172b) 에 접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선반(150,170)을 구성하는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을 차례로 설명한다. Next, the shelves 150 and 170 will be described. The skeletons of the shelves 150 and 170 are formed by shelf frames 151 and 171, and top plates 160 and 180 are disposed on top of them,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top plates 160 and 180 may be adhered to the adhesive portions 152b, 153b, and 172b formed on the shelf frames 151 and 171. Hereinafter,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which constitute the shelves 150 and 170, will be described in turn.

먼저 제1선반(150)의 기능을 살펴보면, (i) 상기 제1선반(150)은 보관물(P1,P2,P3)의 안착될 수 있는 선반기능을 하고, 동시에 (ii) 상기 수납서랍(1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공간(130a)을 막는 커버기능도 한다. 또한 (iii) 상기 제1선반(150)이 회전되면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수납공간(130a)을 개방시켜 높이가 높은 보관물(P1,P2,P3)도 상기 수납공간(130a)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iv) 상기 제1선반(150)은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에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2선반(17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First, looking at the function of the first shelf 150, (i) the first shelf 150 functions as a shelf on which stored items (P1, P2, and P3) can be placed, and at the same time (ii) the storage drawer ( It is located at the top of 130) and also functions as a cover to block the storage space (130a). In addition, (iii) when the first shelf 150 is rotated, as shown in FIG. 7, the storage space 130a is opened so that tall storage items P1, P2, and P3 can also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30a. make it possible Lastly, (iv) the first shelf 150 may also serv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shelf 170 so that the second shelf 170 can overlap the first shelf 150. .

상기 제1선반(150)은 상기 제2선반(170)과 함께 선반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제1선반(150)의 상면과 상기 제2선반(170)의 상면은 서로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도 10에서 A는 상기 제1선반(150)의 상면과 상기 제2선반(170)의 상면을 연결한 가상의 연장선을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2선반(170)의 상부에 보관물(P1,P2,P3)을 올려두더라도 보관물(P1,P2,P3)이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2선반(170) 사이의 단차에 의해 기울어져 불안정하게 보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shelf 150 can function as a shelf together with the second shelf 170. Referring to FIG. 10,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helf 150 and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shelf 170 form the same plane. In FIG. 10, A represents a virtual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elf 1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helf 170. Therefore, even if the user places the stored items (P1, P2, and P3) on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the stored items (P1, P2, and P3) are stored on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 and the second shelf 170 can prevent the shelf from being tilted and stored unstable. This structure will be explained again below.

도 11을 보면, 상기 제1선반(150)은 제1선반프레임(151)과,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에 결합되는 제1상판(160)을 포함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은 대략 'ㄷ'자 형태이고, 합성수지소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은 상기 제1선반(150)의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1상판(160)은 상기 수납공간(130a)의 상부를 덮고 보관물(P1,P2,P3)이 안착될 수 있는 수납장소를 그 상부에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first shelf 150 includes a first shelf frame 151 and a first top plate 160 coupled to the first shelf frame 151.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helf frame 151 is approximately 'ㄷ' shaped and i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first shelf frame 151 forms the skeleton of the first shelf 150, and the first top plate 160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130a and stores the stored items P1, P2, and P3. A storage space where it can be placed is provided at the top.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선반바디(152)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152)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프론트바디(15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152)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한 쌍의 측면바디(111)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프론트바디(153)는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펼쳐졌을 때, 상기 제2선반(170)의 후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first shelf frame 151, the first shelf frame 151 includes a pair of first shelf bodies 152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oth ends of the pair of first shelf bodies ( It includes a first front body 153 each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152). The pair of first shelf bodies 152 are each coupled to a pair of side bodies 111 of the guide frame 110. In addition, the first front body 153 is disposed to face the rear end of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when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are unfolded.

상기 제1상판(160)은 사각판상이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상판(160)은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상판(160)이 투명하면, 상기 제1상판(160)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130a)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제1상판(160)의 상면(161)에 상기 보관물(P1,P2,P3)이 안착될 수 있다. The first top plate 160 has a square plate shape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top plate 160 may be made of glass or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If the first top plate 160 is transparent, the storage space 130a can be observed through the first top plate 160. The stored items (P1, P2, and P3)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161 of the first top plate 160.

상기 제1상판(160)의 가장자리는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152)와 상기 제1프론트바디(153)와 밀착된다. 상기 제1상판(160)이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152)와 상기 제1프론트바디(153)의 상부에 안착되므로, 상기 제1상판(160)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전체 면적이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수납조립체(100)의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The edge of the first upper plate 1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first shelf bodies 152 and the first front body 153. Since the first top plate 160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first shelf bodies 152 and the first front body 153, the edge of the first top plate 160 is adjacent to the first shelf frame ( 151), the entire area can be exposed upward without being obscured. Through this structure, the aesthetics of the storage assembly 100 can be improved.

상기 제1상판(160)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상면(152a)과 상기 제1프론트바디(153)의 상면(153a)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을 보면,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의 상면에는 제1접착부(152b,153b)가 함몰된다. 상기 제1접착부(152b,153b)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상판(160)을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는 실란트(Sealant)라 할 수도 있는데, 접착성분을 갖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PVC계, 합성고무계, 부틸고무계, 에폭시수지계, 폴리우레탄계 또는 실리콘계 접착제일 수 있다. The edge of the first top plate 160 may be adhered and fixed to the top surface 152a of the first shelf body 152 and the top surface 153a of the first front body 153. 12 and 13, the first adhesive portions 152b and 153b are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elf frame 151.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rst adhesive portions 152b and 153b, and the adhesive can fix the first top plate 16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elf frame 151. Here, the adhesive can also be called a sealant, and various materials with adhesive components can be applied. For example, the adhesive may be PVC-based, synthetic rubber-based, butyl rubber-based, epoxy resin-based, polyurethane-based, or silicone-based adhesive.

상기 제1접착부(152b,153b)는 사이드접착홈(152b)과 프론트접착홈(153b)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접착홈(152b)은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상면(152a)에 함몰된 것이고, 상기 프론트접착홈(153b)은 상기 제1프론트바디(153)의 상면(153a)에서 함몰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이드접착홈(152b)과 상기 프론트접착홈(153b)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The first adhesive portions 152b and 153b include a side adhesive groove 152b and a front adhesive groove 153b. The side adhesive groove 152b is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152a of the first shelf body 152, and the front adhesive groove 153b is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153a of the first front body 153. will be. In this embodiment, the side adhesive groove 152b and the front adhesive groove 153b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3을 보면, 상기 사이드접착홈(152b)은 상대적으로 안쪽에 배치된 제1사이드접착홈(152b1)과,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 보다 바깥쪽에 배치된 제2사이드접착홈(152b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과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은 각각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Referring to Figure 13, the side adhesive groove (152b) includes a first side adhesive groove (152b1) disposed relatively inside, and a second side adhesive groove (152b2) disposed outside the first side adhesive groove (152b1). ) includes. The first side adhesive groove 152b1 and the second side adhesive groove 152b2 each exten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helf body 152.

이처럼 상기 사이드접착홈(152b)이 다수개로 구성되면, 상기 제1상판(160)과 상기 제1선반바디(152) 사이의 접착면적이 넓어져 제1상판(160)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상판(160)이 기울어지거나 틀어지더라도 최소한의 접착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상판(160)의 저면이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에 밀착되나, 제2사이드접착홈(152b2)으로부터는 이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제1상판(160)은 제1사이드접착홈(152b1)에 주입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선반바디(152)에 고정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side adhesive grooves 152b are configured in multiple numbers, the adhesive area between the first top plate 160 and the first shelf body 152 is expanded, so that the first top plate 160 can be more firmly fixed. there is. Additionally, even if the first top plate 160 is tilted or twisted, a minimum adhesive area can be secured. For example, the bottom of the first top plate 16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ide adhesive groove 152b1, bu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ide adhesive groove 152b2. In this case, the first top plate ( 160) may be fixed to the first shelf body 152 by adhesive injected into the first side adhesive groove 152b1.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은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 보다 좌우폭이 넓고,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은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 보다 함몰된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된다.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은 상기 제1상판(160)과 상기 제1선반바디(152) 사이의 접착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은 상기 제1사이드잡착홈에서 누설된 접착제가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상면(152a) 바깥쪽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으로부터 누설된 접착제는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에 스며들어 고이게 되고, 더이상 바깥쪽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ide adhesive groove (152b1) is wider left and right than the second side adhesive groove (152b2), and the second side adhesive groove (152b2) is more recessed than the first side adhesive groove (152b1). The depth formed becomes deeper. The first side adhesive groove 152b1 can secure a wide adhesive area between the first top plate 160 and the first shelf body 152, and the second side adhesive groove 152b2 can secure the first adhesive groove 152b2. Adhesive leaking from the side attachment groove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152a of the first shelf body 152. That is, the adhesive leaking from the first side adhesive groove (152b1) seeps into the second side adhesive groove (152b2) and accumulates, and is no longer discharged to the outside.

물론,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에도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도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과 함께 상기 제1상판(160)의 저면과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상면(152a) 사이의 접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Of course, since the second side adhesive groove 152b2 can also be filled with adhesive, the second side adhesive groove 152b2 can also be used along with the first side adhesive groove 152b1 and the bottom of the first top plate 160 and the It may serve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upper surfaces 152a of the first shelf body 152.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과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은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상면(152a)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과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은 각각 하나씩 형성되거나, 둘 중 어느 하나는 한 개로 구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두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Two first side adhesive grooves 152b1 and two second side adhesive grooves 152b2 are each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52a of the first shelf body 152. Alternatively, the first side adhesive groove 152b1 and the second side adhesive groove 152b2 may each be formed one by one, or one of them may be composed of one piece and the other may be composed of two pieces.

본 실시례에서, 상기 프론트접착홈(153b)은 하나로 구성되는데,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에 연결된다. 물론, 상기 프론트접착홈(153b)도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adhesive groove (153b) is composed of one, and both end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ide adhesive groove (152b1). Of course, the front adhesive grooves 153b may also be composed of multiple numbers.

참고로, 도 14에는 제1선반바디(1152)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의 제1선반바디(152)와 동일한 구조는 1000번대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선반바디(1152)의 상면(1152a)에는 사이드접착홈(1152b)이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접착홈(1152b)은 한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1선반바디(11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된다. 상기 사이드접착홈(1152b)은 상기 제1선반바디(1152)의 상면(1152a) 중심부에 함몰된 형태로 구성된다. For reference, Figure 14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shelf body 1152.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shelf body 152 of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assigned a 1000 number and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 side adhesive groove 1152b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52a of the first shelf body 1152. The side adhesive groove 1152b consists of one piece and extend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helf body 1152. The side adhesive groove (1152b) is formed in a recessed form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1152a) of the first shelf body (1152).

다시 도 10을 보면, 상기 제1프론트바디(153)에는 상기 제1상판(160)의 전방 둘레면을 감싸는 커버부(153')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153')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상판(160)의 전방 둘레면을 감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선반(160)과 상기 제2선반(180)이 서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선반(160)의 상면(161), 상기 제2선반(180)의 상면(181) 및 상기 커버부(153')의 상면은 서로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상의 연장선 A는 상기 제1선반(160)의 상면(161), 상기 제2선반(180)의 상면(181) 및 상기 커버부(153')의 상면이 서로 동일평면인 것을 보이고 있다. Looking again at FIG. 10, the first front body 153 is provided with a cover portion 153' surrounding the front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upper plate 160. The cover portion 153' may protrude upward and surround the front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upper plate 160. At this time, when the first shelf 160 and the second shelf 180 are unfolded from each other, the upper surface 161 of the first shelf 160, the upper surface 181 of the second shelf 180, and the cover The upper surfaces of the portions 153' may form the same plane. The virtual extension line A shows that the top surface 161 of the first shelf 160, the top surface 181 of the second shelf 180, and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53' are on the same plane.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례를 보면, 상기 제1선반바디(152)에는 연결가이드부(155)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는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152)가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는 상기 선반가이드부(125)와 연결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는 상기 선반가이드부(125) 중 제2선반가이드(127)의 가이드바디(174, 선반레일)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선반(170)의 제2선반바디(172)는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연결가이드부(155)로 이어지는 경로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11 to 13, a connection guide portion 155 is formed on the first shelf body 152.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55 is formed in a recessed form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shelf bodies 152 facing each other. The connection guide part 155 is connected to the shelf guide part 125. More precisely, the connection guide part 155 is the guide body 174 of the second shelf guide 127 among the shelf guide parts 125. , shelf rail). Accordingly, the second shelf body 172 of the second shelf 170 can be guided along a path leading to the second shelf guide 127 and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55.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는 전방으로 개방된다. 상기 연결가이드부(155)에는 가이드입구(155a)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입구(155a)는 상기 제2선반(170)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선반(170)은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로 이동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55 opens forward. A guide inlet 155a is formed in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55, and the guide inlet 155a is open toward the second shelf 170. Accordingly, the second shelf 170 can be moved to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55 while positioned on the second shelf guide 127.

상기 연결가이드부(155)의 말단부에는 가이드스토퍼(156)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스토퍼(156)는 상기 제2선반(170)이 제1선반(150) 하부로 적층되면서 이동할 때,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스토퍼(156)는 상기 연결가이드부(155)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선반(170)의 제2선반바디(172) 끝부분과 간섭될 수 있다. A guide stopper 156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55. The guide stopper 156 serves to limit the moving distance when the second shelf 170 moves while being stacked below the first shelf 150. The guide stopper 156 may protrude from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55 and interfere with the end of the second shelf body 172 of the second shelf 170.

상기 제1선반바디(152)에는 회전돌부(159)가 돌출된다. 상기 회전돌부(159)는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표면 중에서 상기 연결가이드부(155)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표면에서 돌출된다. 상기 회전돌부(159)는 대략 원기둥형상이고, 상기 회전가이드(126b)에 형성된 회전홈(129)에 끼워진다. 상기 회전돌부(159)는 상기 제1선반(150)의 회전중심이 된다.A rotating protrusion 159 protrudes from the first shelf body 152. The rotating protrusion 159 protrudes from a surface of the second shelf body 172 that is opposite to the connection guide part 155. The rotation protrusion 159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groove 129 formed in the rotation guide 126b. The rotating protrusion 159 becomes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shelf 150.

도 15에는 상기 제2선반(17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선반(170)은 제2선반프레임(171)과 상기 제2선반프레임(171)에 고정되는 제2상판(180)을 포함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선반프레임(171)은 대략 'ㄷ'자 형태이고, 합성수지소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선반프레임(171)은 상기 제2선반(170)의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2상판(180)은 상기 수납공간(130a)의 상부를 덮고 보관물(P1,P2,P3)이 안착될 수 있는 수납장소를 그 상부에 제공한다. Figure 15 shows the second shelf 170. The second shelf 170 includes a second shelf frame 171 and a second top plate 180 fixed to the second shelf frame 171.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helf frame 171 is approximately 'ㄷ' shaped and i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econd shelf frame 171 forms the skeleton of the second shelf 170, and the second top plate 180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130a and stores the stored items P1, P2, and P3. A storage space where it can be placed is provided at the top.

상기 제2선반프레임(171)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선반프레임(171)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선반바디(172)와, 상기 한 쌍의 제2선반바디(172)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프론트바디(178)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2선반바디(172)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한 쌍의 측면바디(111)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프론트바디(178)는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펼쳐졌을 때, 상기 제1선반(150)의 전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second shelf frame 171, the second shelf frame 171 includes a pair of second shelf bodies 172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air of second shelf bodies 172. It includes a second front body 178 disposed in front of. The pair of second shelf bodies 172 are respectively coupled to a pair of side bodies 111 of the guide frame 110. Additionally, the second front body 178 is disposed to face the front end of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when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are unfolded.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한 쌍의 제2선반바디(172)는 각각 상기 제2상판(180)의 좌우 가장자리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에 상기 제2상판(180)의 좌우 가장자리 저면이 접착된다. 상기 제2선반바디(172)와 상기 제2상판(180) 사이의 구체적인 접착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second shelf bodies 172 are respectively disposed below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econd top plate 180. The left and right edge bottom surfaces of the second upper plate 180 ar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172a of the pair of second shelf bodies 172. The specific adhesive structure between the second shelf body 172 and the second top plate 180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양측면에는 후술할 가이드바디(174)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바디(174)는 선반레일로 볼 수 있다. 상기 선반레일은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에 배치되어 있다가, 상기 제2선반(170)이 후퇴할 때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를 따라 이동하는 부분이다. 상기 선반레일은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양측면에서 더 돌출된 구조일 수도 있다. Guide bodies 17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helf body 172. The guide bodies 174 can be viewed as shelf rails. The shelf rail is a part that is disposed on the second shelf guide 127 and moves along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55 when the second shelf 170 retreats. The shelf rails may have a structure that protrudes further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shelf body 172.

상기 프론트바디는 상기 제2상판(180)의 전면 가장자리 하부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2상판(180)의 전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바디의 상면이 상기 제2상판(180)의 상면(181)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상판(180) 위의 보관물(P1,P2,P3)이 굴러서 제2상판(180) 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바디를 파지하고 제2상판(180)을 쉽게 밀거나 당길 수 있다. 도면부호 178a는 상기 제2상판(180)의 전면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결합홈을 나타낸다. The front body is not disposed below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top plate 180, but is assembled in such a way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second top plate 180.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body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181 of the second top plate 180. In this case, the stored objects (P1, P2, P3) on the second top plate 180 can be prevented from rolling and falling in front of the second top plate 180, and the user can hold the front body and hold the second top plate ( 180) can be easily pushed or pulled. Reference numeral 178a denotes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top plate 180 is inserted.

도 16을 보면,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에는 제2접착부(172b)가 있다. 상기 제2접착부(172b)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2상판(180)을 상기 제2선반프레임(171)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는 실란트(Sealant)라 할 수도 있는데, 접착성분을 갖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re is a second adhesive portion 172b on the upper surface 172a of the second shelf body 172. Adhesive is applied to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72b, and the adhesive can fix the second top plate 18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helf frame 171. Here, the adhesive can also be called a sealant, and various materials with adhesive components can be applied.

상기 제2접착부(172b)는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에 함몰된 것이다. 상기 제2접착부(172b)는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길이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선반바디(172)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가 된다.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72b is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172a of the second shelf body 172.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72b extends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helf body 172, and is recessed downward in the second shelf body 172.

도 17을 보면, 상기 제2접착부(172b)는 상대적으로 안쪽에 배치된 메인접착홈(172b1)과 상기 메인접착홈(172b1) 보다 바깥쪽에 배치된 보조접착홈(172b2)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접착홈(172b1)과 상기 보조접착홈(172b2)은 각각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Referring to FIG. 17,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72b includes a main adhesive groove 172b1 disposed relatively inside and an auxiliary adhesive groove 172b2 disposed outside the main adhesive groove 172b1. The main adhesive groove 172b1 and the auxiliary adhesive groove 172b2 each exten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helf body 172.

이처럼 상기 제2접착부(172b)가 다수개로 구성되면, 상기 제2상판(180)과 상기 제2선반바디(172) 사이의 접착면적이 넓어져 제2상판(180)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상판(180)이 기울어지거나 틀어지더라도 최소한의 접착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상판(180)의 저면이 상기 메인접착홈(172b1)에 밀착되나, 보조접착홈(172b2)으로부터는 이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제2상판(180)은 메인접착홈(172b1)에 주입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2선반바디(172)에 고정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72b is composed of multiple pieces, the adhesive area between the second top plate 180 and the second shelf body 172 is expanded, so that the second top plate 180 can be more firmly fixed. there is. Additionally, even if the second top plate 180 is tilted or twisted, a minimum adhesive area can be secured. For example, the bottom of the second top plate 18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adhesive groove 172b1, bu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adhesive groove 172b2. Even in this case, the second top plate 18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adhesive groove 172b1. It can be fixed to the second shelf body 172 by adhesive injected into the adhesive groove 172b1.

본 실시례에서, 상기 메인접착홈(172b1)은 상기 보조접착홈(172b2) 보다 좌우폭이 넓고, 상기 보조접착홈(172b2)은 상기 메인접착홈(172b1) 보다 함몰된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접착홈(172b1)은 상기 제2상판(180)과 상기 제2선반바디(172) 사이의 접착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상기 보조접착홈(172b2)은 상기 메인접착홈(172b1)에서 누설된 접착제가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 바깥쪽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접착홈(172b1)으로부터 누설된 접착제는 상기 보조접착홈(172b2)에 스며들어 고이게 되고, 더이상 바깥쪽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main adhesive groove (172b1) is wider left and right than the auxiliary adhesive groove (172b2), and the auxiliary adhesive groove (172b2) has a deeper depression than the main adhesive groove (172b1). The main adhesive groove (172b1) can secure a wide adhesive area between the second top plate 180 and the second shelf body 172, and the auxiliary adhesive groove (172b2) is the main adhesive groove (172b1). It is possible to prevent adhesive leak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172a of the second shelf body 172. That is, the adhesive leaking from the main adhesive groove (172b1) seeps into the auxiliary adhesive groove (172b2) and accumulates, and is no longer discharged to the outside.

물론, 상기 보조접착홈(172b2)에도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접착홈(172b2)도 상기 메인접착홈(172b1)과 함께 상기 제2상판(180)의 저면과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 사이의 접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Of course, since the auxiliary adhesive groove (172b2) can also be filled with adhesive, the auxiliary adhesive groove (172b2) is also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top plate 180 and the second shelf body 172 along with the main adhesive groove (172b1). ) may serve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upper surfaces 172a.

상기 보조접착홈(172b2)은 상기 메인접착홈(172b1)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어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보조접착홈(172b2)은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에 하나만 형성되거나, 상기 메인접착홈(172b1)과 상기 보조접착홈(172b2)이 모두 두 개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uxiliary adhesive grooves 172b2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adhesive groove 172b1 and may be composed of two. In contrast, only one auxiliary adhesive groove (172b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72a) of the second shelf body 172, or the main adhesive groove (172b1) and the auxiliary adhesive groove (172b2) are composed of two each. It could be.

참고로, 도 18에는 제2선반바디(1172)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의 제2선반바디(172)와 동일한 구조는 1000번대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선반바디(1172)의 상면(1172a)에는 제2접착부(1172b)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접착부(1172b)는 한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2선반바디(1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된다. 상기 제2접착부(1172b)는 상기 제2선반바디(1172)의 상면(1172a) 중심부에 함몰된 형태로 구성된다. For reference, Figure 18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shelf body 1172.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shelf body 172 of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assigned a 1000 number and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 second adhesive portion 1172b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72a of the second shelf body 1172.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172b consists of one piece and extend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helf body 1172.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172b is formed in a recessed shape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1172a of the second shelf body 1172.

다시 도 17을 보면, 상기 제2선반바디(172)에는 가이드펜스(173)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펜스(173)는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에서 위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펜스(173)는 상기 제2접착부(172b)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펜스(173)에는 상기 제2상판(180)의 측면 가장자리가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펜스(173)는 상기 제2상판(180)의 측면을 지지해줄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펜스(173)의 표면은 상기 제2상판(18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Looking at FIG. 17 again, the second shelf body 172 is provided with a guide fence 173. The guide fence 173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172a of the second shelf body 172. The guide fence 173 may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72b. The side edge of the second top plate 180 is seated on the guide fence 173, so that the guide fence 173 can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top plate 180. The surface of the guide fence 173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second upper plate 180.

상기 제2선반바디(172)에는 가이드바디(17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174)는 상기 제2선반바디(172)에서 바깥쪽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바디(174)는 상기 선반가이드부(125) 중 제2선반가이드(127)와,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를 따라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바디(174)는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와 상기 연결가이드부(155)에 끼워진 상태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부호 176은 상기 가이드바디(174)에서 하부로 연장된 연장부를 나타낸다. The second shelf body 17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body 174. The guide body 174 protrudes further outward from the second shelf body 172. The guide body 174 is a part of the shelf guide part 125 that is guided along the second shelf guide 127 and the connection guide part 155. The guide body 174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shelf guide 127 and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55. Reference numeral 176 denotes an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guide body 174.

상기 제2선반바디(172)에는 가이드돌부(177)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부(177)는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말단부에서 하부로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돌부(177)는 상기 선반가이드부(125)의 상기 단차부(128)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제2선반(170) 전체가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170)의 후단부가 단차부(128)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선반(170) 전체가 경사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2선반(170)이 서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The second shelf body 172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177. The guide protrusion 177 protrudes downward from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shelf body 172. The guide protrusion 177 is a part that moves downward along the step portion 128 of the shelf guide portion 125. Accordingly, the entire second shelf 170 can move in an inclined direction. When the rear end of the second shelf 170 moves downward along the step portion 128, the entire second shelf 170 is in an inclined state, and in this state, the second shelf 170 moves downward. By moving downward on the first shelf 150,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can be stacked on each other.

상기 제2선반바디(172)가 상기 측면바디(111)의 제2선반가이드(127)로부터 상기 제1선반(150)의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로 이동하면 상기 제1상판(160)의 하부에 상기 제2상판(180)이 겹쳐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second shelf body 172 moves from the second shelf guide 127 of the side body 111 to the connection guide part 155 of the first shelf 150, the first top plate 160 The second upper plate 180 may overlap the lower part. This appearance is well shown in Figures 5 and 6.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례의 수납조립체(100)가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은 서로 펼쳐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수납공간(130a)의 상부는 가려진 상태이고,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의 상부에는 보관물(P1,P2,P3)이 안착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는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선반기능과 함께 수납서랍(130)의 커버기능을 하고 있다. Next,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storage assembly 100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First, as shown in FIG. 4,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are unfolded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130a is covered, and the storage items P1, P2, and P3 can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That is, in FIG. 4,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function as shelves and as covers for the storage drawer 130.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의 하부에 겹쳐지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사용자가 상기 제2선반(170)을 후방으로 밀면,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와 제2선반가이드(127) 사이에는 단차부(128)가 형성되므로,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에서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돌부(177)가 구비된 제2선반(170)의 후단부가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쳐질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second shelf 170 overlaps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helf 150, the state is as shown in FIG. 5.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pushes the second shelf 170 backward, the second shelf 170 is placed below the first shelf 150. Since a step portion 128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helf guide 126 and the second shelf guide 127, the second shelf 17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shelf guide 127 by the first shelf guide ( When moving in the direction 126), the rear end of the second shelf 170 equipped with the guide protrusion 177 may naturally droop downward.

이때, 상기 제2선반(170)에 구비된 가이드돌부(177)는 상기 단차부(128)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선반(170) 전체가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170)의 후단부가 단차부(128)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선반(170) 전체가 경사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2선반(170)이 서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 177 provided on the second shelf 170 moves downward along the step 128, and thus the entire second shelf 170 can move in an inclined direction. When the rear end of the second shelf 170 moves downward along the step portion 128, the entire second shelf 170 is in an inclined state, and in this state, the second shelf 170 moves downward. By moving downward on the first shelf 150,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can be stacked on each other.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선반(170)이 초기에 위치했던 곳은 상방으로 개방되므로, 사용자는 높이가 높은 보관물(P1,P2,P3)을 상기 수납공간(130a)에 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area where the second shelf 170 was initially located is opened upward, so the user can store tall items P1, P2, and P3 in the storage space 130a. This appearance is well shown in Figure 6.

만약 사용자가 높이가 높은 보관물(P1,P2,P3)을 더 많이 보관하고자 한다면,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을 회전시켜 접을 수 있다. 상기 제2선반(170)은 상기 제1선반(150)의 연결가이드부(155)에 장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선반(150)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2선반(170)도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선반(150)의 회전돌부(159)를 회전중심으로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2선반(170)이 함께 회전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If the user wants to store more tall items (P1, P2, and P3),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can be rotated and folded. Since the second shelf 170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55 of the first shelf 150, when the first shelf 150 is rotated, the second shelf 170 is also rotated. At this time,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protrusion 159 of the first shelf 150 as the rotation center. This state is shown in Figure 7.

즉, 사용자는 도 5와 같이 제2선반(170)을 제1선반(150)에 겹쳐서 수납서랍(130)의 전방만 위쪽으로 개방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7과 같이 겹쳐진 제2선반(170)과 제1선반(150)을 접어서 수납서랍(130)의 전방과 후방을 모두 개방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환경에 맞추어 수납조립체(100)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user may open only the front of the storage drawer 130 upward by overlapping the second shelf 170 on the first shelf 150 as shown in FIG. 5, or the second shelf 170 overlapped as shown in FIG. 7. Both the front and rear of the storage drawer 130 can be opened by folding the first shelf 150. Accordingly, the user can modify the storage assembly 100 in various ways to suit his or her usage environment.

한편, 도 2와 도 3을 보면, 사용자는 상기 수납서랍(130)을 전방으로 당겨 상기 보관물(P1,P2,P3)을 꺼낼 수 있다. 도 2는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안쪽에 장착된 상태이고, 도 3은 사용자가 상기 수납서랍(130)을 당겨 꺼낸 상태이다. 상기 수납서랍(130)이 전방으로 꺼내지면, 사용자는 보관물(P1,P2,P3)을 꺼낼 때 상부의 다른 선반(미도시)과의 간섭없이 쉽게 꺼낼 수 있다. Meanwhile, looking at Figures 2 and 3, the user can pull the storage drawer 130 forward to take out the stored items (P1, P2, and P3). Figure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drawer 130 is mounted inside the guide frame 110, and 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pulls out the storage drawer 130. When the storage drawer 130 is brought out to the fron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stored items P1, P2, and P3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 upper shelves (not shown).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은 수납서랍(130)과는 독립적으로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서랍(130)을 꺼내더라도,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은 고내에 남아 선반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수납서랍(130)만 인출시켜 물건을 꺼내거나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공간(130a)을 덮기 위한 커버와,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선반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And,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operate independently from the storage drawer 130. Therefore, even if the storage drawer 130 is taken out,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shelf 170 can remain inside the cabinet and perform the shelf function, and the user can pull out only the storage drawer 130 to take out items or It can be stored.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cover to cover the storage space 130a and a separate shelf to place items on i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이너케이스 3: 저장실
100: 수납조립체 110: 가이드프레임
111: 측면바디 115: 후면바디
121: 서랍가이드부 125: 선반가이드부
126: 제1선반가이드 127: 제2선반가이드
128: 단차부 130: 수랍서랍
150: 제1선반 151: 제1선반프레임
152: 제1선반바디 152b,153b: 제1접착부
152b: 사이드접착홈 153: 제1프론트바디
153b: 프론트접착홈 155: 연결가이드부
156: 가이드스토퍼 159: 회전돌부
160: 제1상판 170: 제2선반
171: 제2선반프레임 172: 제2선반바디
172b: 제2접착부 174: 가이드바디
177: 가이드돌부 178: 제2프론트바디
180: 제2상판 P1,P2,P3: 보관물
1: Inner case 3: Storage room
100: Storage assembly 110: Guide frame
111: side body 115: rear body
121: Drawer guide part 125: Shelf guide part
126: 1st shelf guide 127: 2nd shelf guide
128: step 130: drawer drawer
150: first shelf 151: first shelf frame
152: First shelf body 152b, 153b: First adhesive part
152b: Side adhesive groove 153: First front body
153b: Front adhesive groove 155: Connection guide part
156: Guide stopper 159: Rotating protrusion
160: First top plate 170: Second shelf
171: Second shelf frame 172: Second shelf body
172b: second adhesive portion 174: guide body
177: Guide protrusion 178: Second front body
180: Second top plate P1, P2, P3: Storage items

Claims (15)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캐비넷과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조립체는,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고, 측면바디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전방으로 개방되는 레일입구가 형성된 서랍가이드부와 상기 측면바디에서 함몰된 선반가이드부가 상기 서랍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인출레일이 외부 측면에 형성되어져 상기 서랍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수납서랍;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 중 후방을 덮고, 상기 선반가이드부와 연속된 연결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제1선반; 및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 중 전방을 덮고, 상기 선반가이드부 및 상기 연결가이드부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제2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선반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전면, 양측면, 후면을 갖는 유리재질의 제1상판과,
상기 제1상판의 하부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고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에 상기 연결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선반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선반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전면, 양측면, 후면을 갖는 유리재질 의 제2상판과,
상기 제2상판의 하부면에 접착제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선반가이드부와 상기 연결가이드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돌부를 갖는 한 쌍의 제2선반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제2선반이 상기 제1선반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상판의 상부면과 상기 제2상판의 상부면은 동일 평면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t includ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room inside, and a storage assembly installed in the storage room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The storage assembly is,
A guide frame dispos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having a drawer guide portion formed with a rail entrance opening forward in a recessed shape in a side body and a shelf guide portion recessed in the side bod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rawer guide portion;
a storage drawer in which the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a pull-out rail is formed on the outside side, and is moved by being coupled to the drawer guide;
a first shelf covering the rear of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and having a connection guide part continuous with the shelf guide part; and
A second shelf covers the front of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and slid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shelf guide portion and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The first shelf is,
A first top plate made of glass with a flat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front, two sides, and a back,
It includes a pair of first shelf bodies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plate by an adhesive and each having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facing each other,
The second shelf is,
A second top plate made of glass whos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ormed as flat surfaces and has a front, two sides, and a back,
Including a pair of second shelf bodies each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op plate with an adhesive and having a guide protrusion whose movement is guided by the shelf guide portion and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A refrigerator, wherein when the second shelf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shel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plate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가이드부에는 상기 제2선반의 선반레일이 결합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lf rail of the second shelf is coupled to the shelf guide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랍가이드부와 상기 선반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동일 표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서랍가이드부는 상기 선반가이드부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wer guide portion and the shelf guide portion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guide frame, and the drawer guide portion is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helf guide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가이드부는
상기 제1선반이 조립되는 제1선반가이드;와,
상기 제1선반가이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2선반이 조립되는 제2선반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선반가이드는 상기 제2선반가이드 보다 상하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선반가이드와 상기 제2선반가이드의 사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lf guide unit
A first shelf guide on which the first shelf is assembled;
A second shelf guide connected to the first shelf guide and on which the second shelf is assembled,
A refrigerator in which the first shelf guide is formed to have a larger upper and lower width than the second shelf guide, and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helf guide and the second shelf guid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가이드에는 상기 제1선반의 회전돌부가 삽입되는 회전홈이 함몰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rotation groove into which the rotation protrusion of the first shelf is inserted is recessed in the first shelf gu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가이드부는 상기 제2선반을 향한 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2선반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가이드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돌출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is open forward toward the second shelf, and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protrudes from a side of the second shelf.
삭제delet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가이드의 상부는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1선반 및 상기 제2선반은 상기 제1선반가이드의 상부를 통해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조립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helf guide is opened upward, and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are each assembled to the guide frame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helf guid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선반가이드와 상기 제2선반가이드가 구비된 한 쌍의 측면바디;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선반의 후단부가 배치되는 후면바디;을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frame is
A pair of side bodi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vided with the first shelf guide and the second shelf guide;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rear body, each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ide bodies, and a rear end of the first shelf being dispo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측면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선반바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선반의 후단부와 마주보는 제1프론트바디;와
상기 제1선반바디의 상면과 상기 제1프론트바디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에는 각각 상기 연결가이드부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helf is
a pair of first shelf bodi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ach coupled to the pair of side bodies;
A first front body, each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pair of first shelf bodies, and facing the rear end of the second shelf;
It includes a first upper plat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elf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ont body,
A refrigerator in which the connection guide portions of the pair of first shelf bodies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바디에는 상기 측면바디의 회전홈에 결합되는 회전돌부가 돌출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 rotating protrusion coupled to a rotating groove of the side body protrudes from the first shelf body.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선반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선반바디;
상기 한 쌍의 제2선반바디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프론트바디;와
상기 제2선반바디의 상면과 상기 제2프론트바디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선반바디가 상기 측면바디의 제2선반가이드로부터 상기 제1선반의 상기 연결가이드부로 이동하면 상기 제1상판의 하부에 상기 제2상판이 겹쳐지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shelf is
a pair of second shelf bodi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ach coupled to the pair of side bodies;
a second front body disposed in front of the pair of second shelf bodies; and
It includes a second top plat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helf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ont body,
A refrigerator in which the second shelf body overlaps a lower part of the first shelf when the second shelf body moves from the second shelf guide of the side body to the connection guide part of the first shelf.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제1선반가이드의 후방에는 상기 제1선반가이드 보다 상하 폭이 큰 회전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가이드에는 상기 제2선반의 회전돌부가 고정되는 회전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rotation guide having a larger vertical width than the first shelf guid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shelf guide of the guide frame, and a rotation groove to which the rotation protrusion of the second shelf is fixed is formed in the rotation guide. refrigerato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측면바디의 전면에는 프론트데코가 결합되고,
상기 제2프론트바디의 상부면, 상기 프론트데코의 상부면 및 상기 측면바디의 상부면은 동일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 front decoration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ide body,
A refrigerator,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ont body,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deco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body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론트바디에는 상기 제2상판의 전방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론트바디의 상부면은 상기 제2상판의 상부면 보다 높아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제2프론트바디의 하부면은 상기 제2상판의 하부면 보다 낮아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econd front body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top plate is inserted,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ont body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op plate, forming a step,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ront body is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op plate, forming a step. .
KR1020230098230A 2021-07-26 2023-07-27 Refrigerator KR1026238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230A KR102623830B1 (en) 2021-07-26 2023-07-27 Refrigerator
KR1020240002298A KR20240010509A (en) 2021-07-26 2024-01-05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908A KR102562299B1 (en) 2021-07-26 2021-07-26 Refrigerator
KR1020230098230A KR102623830B1 (en) 2021-07-26 2023-07-27 Refriger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908A Division KR102562299B1 (en) 2021-07-26 2021-07-26 Refrigera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2298A Division KR20240010509A (en) 2021-07-26 2024-01-05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769A KR20230118769A (en) 2023-08-14
KR102623830B1 true KR102623830B1 (en) 2024-01-10

Family

ID=8522548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908A KR102562299B1 (en) 2021-07-26 2021-07-26 Refrigerator
KR1020230098230A KR102623830B1 (en) 2021-07-26 2023-07-27 Refrigerator
KR1020240002298A KR20240010509A (en) 2021-07-26 2024-01-05 Refrigerat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908A KR102562299B1 (en) 2021-07-26 2021-07-26 Refrigerato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2298A KR20240010509A (en) 2021-07-26 2024-01-05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622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299B1 (en) * 2021-07-26 202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2342A (en) 2008-03-18 2009-10-01 Toshiba Corp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346B1 (en) 2002-01-15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having shelf
JP2005164159A (en) 2003-12-03 2005-06-23 Sanyo Electric Co Ltd Storage shed
KR20070004359A (en) * 2005-07-04 200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storing food for refrigerator
KR101410460B1 (en) * 2009-07-02 201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Variable shelf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036281B1 (en) * 2013-03-15 2019-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043201B1 (en) * 2013-05-15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50000683A (en) * 2013-06-25 2015-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026464B1 (en) * 2015-02-17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Variable shelf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519048B1 (en) * 2016-07-14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00054924A (en) * 2020-05-08 2020-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562299B1 (en) * 2021-07-26 202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2342A (en) 2008-03-18 2009-10-01 Toshiba Corp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769A (en) 2023-08-14
KR102562299B1 (en) 2023-08-01
KR20230016428A (en) 2023-02-02
KR20240010509A (en)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3830B1 (en) Refrigerator
US9574820B2 (en) Variable shelf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292998B1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495373B2 (en) Refrigerator
JP6496419B2 (en) refrigerator
US10240854B2 (en) Refrigerator
EP2256444B1 (en) Refrigerator with height-adjustable receiving apparatus
US11015863B2 (en) Refrigerator
KR20180106734A (en) Refrigerator
EP2345859B1 (en) A door for an electric appliance and a refrigerator having a door
KR20100032549A (en) A shelf of refrigerator
US20240142161A1 (en) Multi-joint link hing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445184B1 (en) refrigerator
KR102525648B1 (en) Refrigerator
KR20190128421A (en) Refrigerator
JP2007046807A (en) Refrigerator
KR20210156158A (en) Refrigerator
KR100766565B1 (en)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KR20070004359A (en) Device for storing food for refrigerator
EP3751223B1 (en) Storage contain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US20230030975A1 (en) Refrigerator
KR20210156156A (en) Door for a refrigerator
KR100334648B1 (en) Refrigerator for kimchi
KR20240031808A (en) Refrigerator
KR20240072755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