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632B1 - Board game projector - Google Patents

Board game proj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632B1
KR102623632B1 KR1020220109125A KR20220109125A KR102623632B1 KR 102623632 B1 KR102623632 B1 KR 102623632B1 KR 1020220109125 A KR1020220109125 A KR 1020220109125A KR 20220109125 A KR20220109125 A KR 20220109125A KR 102623632 B1 KR102623632 B1 KR 102623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frame
lower frame
boar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즐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즐에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즐에듀
Priority to KR1020220109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6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6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보드게임용 프로젝터를 제시하며, 고정레일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고정레일에 결합되는 가동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고, 지면을 향해 이미지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빔투사부가 설치되고, PC 및 터치패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지털박스부;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단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라이더센서;를 포함한다.Presenting a projector for board games, a lower frame with fixed rails installed vertically; An upper frame installed with a movable rail coupled to the fixed rail to be rais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the lower frame; A digital box uni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upper frame, equipped with a beam projection unit to project an image or video toward the groun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C and a touch panel; An actuator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to raise and lower the upper frame; And a lidar sensor installed to face forward at one end of the lower frame.

Description

보드게임용 프로젝터{BOARD GAME PROJECTOR}Projector for board games{BOARD GAME PROJECTOR}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드에 투사되는 영상과 보드상에서 이동하는 로봇과 로봇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등의 작용을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통해 게임이나 교육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된 보드게임용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relate to a projector, which can be used for games or educ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a user using images projected on a board, a robot moving on the board, and a sensor that detects the robot's position. This is about a projector for board games that has been made available.

프로젝터는 영상을 확대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장치로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큰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A projector is a device that enlarges an image and projects it on a screen,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reate a larger screen than other display devices.

종래 일반적인 프로젝터는 특정 위치에 거치된 상태에서 벽면 등에 설치되는 스크린에 이미지나 영상을 투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해상도나 밝기 등의 기능이 향상되고 소형화되는 등, 프로젝터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보다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투사되는 콘텐츠의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 실정이다.Conventionally, a typical projector was used to project an image or video onto a screen installed on a wall while being mounted in a specific location. However, in recent years, the performance of projectors has improved dramatically, with features such as resolution and brightness improved and miniaturization. It is being used in more diverse forms, and the types of content projected using projectors are also becoming more diverse.

이러한 프로젝터와 콘텐츠의 발전은 교육이나 게임 등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관공서 등에서의 안내나 홍보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게임적인 요소와 결합된 형태의 콘텐츠도 제공되고 있다.These developments in projectors and content are being applied to education and games, and can also be used for guidance and promotion in government offices, etc. In particular, content combined with game elements is being provided to ensure efficient learning for children.

효과적인 학습방법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이어져 왔는 바, 근래에는 흥미를 유발시키는 게임과 학습적인 콘텐츠를 결합한 학습용 게임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학습용 게임은 학습적인 요소와 게임적인 요소를 결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로운 게임을 하면서 용이하게 학습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다.There has been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n effective learning methods, and recently, learning games that combine interesting games and learning content are being used. These learning games combine learning elements and game elements to engage users. The goal is to enable students to easily obtain learning effects while playing interesting games.

특히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나 영상을 투사하고, 그 이미지나 영상을 통해 게임이나 놀이 등을 하면서 그로부터 학습효과를 얻도록 하는 시스템도 제안되고 있다.In particular, a system has been proposed that uses a projector to project augmented reality-based images or videos and to gain learning effects while playing games or playing with the images or videos.

1. 공개특허 제10-2010-0020051호(2010.02.22.)1. Publication Patent No. 10-2010-0020051 (2010.02.22.)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보드게임을 통해 보다 입체적이고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여 다양한 게임이나 교육 또는 안내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보드게임용 프로젝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seeks to provide a board game projector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games, education, or guidance by maximizing a more three-dimensional and visual effect through board games using a projector.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드에 투사되는 영상의 넓이나 간격 등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보드게임용 프로젝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seeks to provide a projector for a board game that can easily adjust the width or spacing of the image projected on the boar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eam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보드상에서 이동하는 로봇이나 물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정확한 진행을 체크함으로써 안정된 프로그램의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된 보드게임용 프로젝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seeks to provide a board game projector that enables stable program operation by detecting robots or objects moving on the board in real time and checking accurate progress.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레일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고정레일에 결합되는 가동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고, 지면을 향해 이미지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빔투사부가 설치되고, PC 및 터치패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지털박스부;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단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라이더센서; 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lower frame in which a fixed rail is installed vertically; An upper frame installed with a movable rail coupled to the fixed rail to be rais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the lower frame; A digital box uni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upper frame, equipped with a beam projection unit to project an image or video toward the groun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C and a touch panel; An actuator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to raise and lower the upper frame; And a lidar sensor installed to face forward at one end of the lower frame; It has features including.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캐스터가 더 구비되어 이동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A pair of casters protruding rearward are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frame to facilitate movement.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하부커버가 씌워져서 조립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부커버가 씌워져서 조립되며, 상기 상부커버의 하단은 개구되어 상기 하부커버의 상단 외곽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is covered with a lower cover and assembled, the upper frame is covered with an upper cover,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ver is opened to cover the upper outer edge of the lower cov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내부에 센서망이 매입 설치되며, 상기 빔투사부로부터 투사되는 빔을 수용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sensor network is embedded therein, and it further includes a board that receives the beam projected from the beam projection unit to form a screen.

상기 보드상에서 동작하는 로봇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로봇의 이동을 라이더센서에 의해 체크되도록 할 수 있다.A robot operating on the board can be used, and in this case, the movement of the robot can be checked by a lidar sensor.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프로젝터와 보드 및 로봇을 이용한 입체적이고 시청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ree-dimensional and audio-visual effects using a projector, board, and robot.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빔투사부가 구비된 상부프레임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투사되는 빔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최적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height of the projected beam can be adjusted to provide an optimal video or image by allowing the upper frame equipped with the beam projection unit to be raised and lowered.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보드 상에서 이동하는 로봇을 라이더센서에 의해 정확한 진행을 체크함으로써 안정적인 프로그램의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아울러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effect of ensuring stable program operation is provided by checking the accurate progress of the robot moving on the board using a lidar sensor.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프로젝터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프로젝터의 전체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프로젝터의 배면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프로젝터의 외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일부분리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프로젝터의 외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조립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승강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프로젝터의 개략 측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승강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보드상에 영상이 투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보드상에서 로봇이 이동하는 상태를 측면으로 나타낸 일실시예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projector.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projector.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back of the projector.
Figure 4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jector with the external case remov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Figure 4.
Figure 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with the external case of the projector remove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unit in Figure 6 is raised.
Figure 8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jector.
Figur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unit in Figure 8 is raised.
10 to 12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projected on a board.
Figure 13 is an embodiment showing a side view of a robot moving on a boar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following embodiments belong have been omitt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nfiguration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nfiguration,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connect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between.” In addition, when a configuration “includes” a configuration, this means that other configuration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nfiguration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프로젝터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로젝터의 전체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프로젝터의 배면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프로젝터의 외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일부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프로젝터의 외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조립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젝터(1)는 이동 가능한 독립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본체는 기부(10)와, 하부프레임(20)과, 상부프레임(30)과, 디지털박스부(40)와, 하부커버(50) 및 상부커버(60)로 대별된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projector,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projector,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back of the projector, and Figure 4 is a portion of the projector with the outer case remove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FIG. 4, and FIG. 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with the external case of the projector removed.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projector 1 is made in a movable independent form. , the main body is roughly divided into a base 10, a lower frame 20, an upper frame 30, a digital box portion 40, a lower cover 50, and an upper cover 60.

기부(10)는 판 형태로 되어 있으며, 프로젝터(1)의 기기 전체를 지지한다. 기부(10)의 윗면 일단에는 전방으로 센싱방향이 설정된 라이더센서(11)가 설치되고, 후단에는 한 쌍의 캐스터(12)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The base 10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supports the entire device of the projector 1. A lidar sensor 11 with a forward sensing direction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and a pair of casters 12 are installed at the rear end to protrude rearward.

하부프레임(20)은 기부(10)의 윗면에 설치되어 기부(10)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며, 수직으로 지지대(21)가 설치되어 그 내측에는 PC(41)가 수납되고, 지지대(21)의 양 외측면에는 고정레일(22)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다.The lower frame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to firmly maintain the base 10, and a support 21 is installed vertically to accommodate the PC 41 inside the support 21. Fixed rails 22 are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outer surfaces.

상기 기부(10)와 하부프레임(20) 및 지지대(21)는 하나의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라이더센서(11)와 캐스터(12) 및 고정레일(22)과 후술하는 액츄에이터(13)는 하부프레임에 설치된다.The base 10, the lower frame 20, and the support 21 may be composed of one lower frame. In this case, the lidar sensor 11, caster 12, fixed rail 22, and actuator 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상기 기부(10)와 하부프레임(20) 및 지지대(21)는 도 5에서와 같이 하부커버(50)가 씌워져서 조립되는데, 하부커버(50)는 윗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된다.The base 10, the lower frame 20, and the support 21 are assembled by being covered with a lower cover 50, as shown in FIG. 5, and the lower cover 50 has an open upper surface.

상부프레임(30)은 상기 하부프레임(20)과 분리 구성된다.The upper frame 30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lower frame 20.

상부프레임(30)의 양 측 하단에는 측면프레임(31)이 설치되고, 측면프레임의 내측에는 수직으로 가동레일(32)이 설치되어 하측으로 연장된다.Side frames 31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30, and movable rails 32 are installed vertically inside the side frames and extend downward.

상기 가동레일(32)은 하부프레임(20)의 고정레일(22)과 수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기부(10)상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액츄에이터(13)의 상단이 상부프레임(30)을 지지함으로써, 이 액츄에이터(13)에 의해 상부프레임(30)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movable rail 32 is coupled to the fixed rail 22 of the lower frame 20 so that it can slide vertically, and the upper end of the actuator 13, which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base 10, moves the upper frame 30. By supporting, the upper frame 30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actuator 13.

상기 가동레일(32)은 측면프레임이 아닌 상부프레임(30)이나 디지털박스부(40)에 연결 고정될 수도 있다.The movable rail 32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upper frame 30 or the digital box unit 40 rather than the side frame.

또한 고정레일(22)과 가동레일(32)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뒷면에도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레일(22)이 지지대(21)의 후방으로도 더 고정 설치되고, 상부프레임(30) 또는 측면프레임(31)의 후방 하단으로 가동레일(32)이 더 설치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Additionally, the fixed rail 22 and the movable rail 32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rear side as shown in FIGS. 4 and 5. That is, the fixed rail 22 is further fixed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21, and the movable rail 32 is further install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30 or the side frame 31 and is coupled to enable sliding. .

이와 같이 가동레일(32)이 측면과 후면에 설치됨으로써 상부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20)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승강시에도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installing the movable rails 32 on the side and rear, the upper frame 30 and the lower frame 20 can be more firmly coupled, and a stable postur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lifting.

상기 측면프레임(31)은 상부커버(60)를 조립 또는 지지하는 매개체로서도 기능하게 되는데, 측면프레임(31)은 상부프레임(30)을 변형 또는 추가 설치하여 대신할 수 있다.The side frame 31 also functions as a medium for assembling or supporting the upper cover 60, and the side frame 31 can replace the upper frame 30 by modifying or additionally installing it.

상기의 하부프레임(20)과 상부프레임(30) 및 측면프레임(31) 등은 금속 막대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르게는 철판이나 앵글 등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20, upper frame 30, and side frames 3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metal bars, and alternatively, various forms that can maintain sufficient rigidity, such as steel plates or angles, may be applied.

상부프레임(30)의 전면에는 디지털박스부(40)가 설치되는데, 이 디지털박스부(40)에는 실질적인 빔 프로젝터와 스피커 등의 장치가 내장되며, 전면 일단에는 빔투사부(42)가 구비된다.A digital box unit 4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upper frame 30. This digital box unit 40 has devices such as a practical beam projector and speaker built in, and a beam projection unit 42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ont. .

본원 프로젝터에서는 영상이나 이미지가 지면을 향하도록 투사되기 때문에 상기 빔투사부(42)는 하향 각을 형성하게 된다.In our projector, since the video or image is projected toward the ground, the beam projection unit 42 forms a downward angle.

디지털박스부(40)의 상단 전면에는 터치패널(43)이 설치된다. 이 터치패널(43)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선정하게 되며, 프로젝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4)가 디지털박스부(40)의 전면 일단에 구비된다.A touch panel 43 is installed on the upper front of the digital box unit 40. Content is selected using the touch panel 43, and an operation unit 44 for operating the projector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ont of the digital box unit 40.

디지털박스부(40)와 터치패널(43) 및 조작부(44)는 상기 PC(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동된다.The digital box unit 40, the touch panel 43, and the operating unit 4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interwork with the PC 41.

디지털박스부(40)의 측면에는 방열을 위한 환기구(45)가 형성될 수 있다.A ventilation hole 45 for heat dissipation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digital box unit 40.

상부프레임(30)의 후방 상단에는 손잡이(33)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33)는 도면에서 홈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돌출된 형태이거나 인출식 등의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A handle 33 is provided at the rear top of the upper frame 30. The handle 33 is shown in the drawing as a groove shape, but various shapes such as a protruding shape or a pull-out type may be applied.

상기 상부프레임(30)과 디지털박스부(40)의 외측으로 상부커버(60)가 씌워지게 되는데, 상부커버(60)는 밑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커버(50)의 외곽으로 씌워지게 된다.An upper cover 60 is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frame 30 and the digital box unit 40. The upper cover 60 is configured with an open bottom and covers the outside of the lower cover 50. You lose.

상부커버(60)는 상부프레임(30)과 디지털박스부(40)와 함께 액츄에이터(13)에 의해 일체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upper cover 60 is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upper frame 30 and the digital box unit 40 by the actuator 13.

상부커버(60)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빔투사부(42)와, 조작부(44)와, 터치패널(43) 및 손잡이(33)에 대응되는 위치가 개구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상기 디지털박스부(40)의 환기구(45)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풍구(61)가 형성된다.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eam projection unit 42, operation unit 44, touch panel 43, and handle 33 are open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cover 60, and the digital box unit is located on the side. A vent 6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ent 45 of (40).

상부커버(60)의 전면은 디지털박스부(40)의 전면에 밀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향 투사되는 빔투사부(42)의 투사각을 확보하기 위해 빔투사부(42)의 하측에는 경사면(62)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of the upper cover 60 is preferably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digital box unit 40, and in order to secure the projection angle of the downwardly projected beam projection unit 42, the lower side of the beam projection unit 42 has an inclined surface ( 62) can be formed.

상부커버(60)의 전면 상측으로 터치패널(43)이 배치되는데, 이는 조작하는 사람의 눈높이를 고려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이면서 상향 경사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시인성과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 touch panel 43 is dispos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upper cover 60, which can take into account the eye level of the person operating it, and has a shape that protrudes forward and is inclined upward to promote visibility and convenience.

또한 상부커버(60)의 뒷면에는 착탈 가능한 점검용 도어(63)가 설치된다. 이 점검용 도어(63)를 분리하고 내부를 점검할 수 있다.Additionally, a removable inspection door 63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upper cover 60. This inspection door (63) can be removed and the interior inspected.

도 7은 도 6에서 승강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프로젝터의 개략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승강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승강작용을 보여준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ing part in a raised state in Figure 6, Figure 8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jector, and Figur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fting part in a raised state in Figure 8, showing the elevating action of the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본원 프로젝터(1)는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며, 높이에 따라 투사되는 영상이나 이미지의 면적이 다르게 나타난다.As shown in Figures 7 to 9, the height of our projector 1 is adjustable, and the projected image or area of the image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height.

조작부(44)와 터치패널(43)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와 제반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승강 작용은 액츄에이터(13)의 작동에 의해 하부프레임(20)의 고정레일(22)과 상부프레임(30)의 가동레일(32)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Desired content and various functions can be selected through the control panel 44 and the touch panel 43, and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operating the actuator 13 to move the fixing rail 22 and the upper frame 30 of the lower frame 20. This is achieved by sliding vertically while the movable rails 32 are coupled to each other.

프로젝터(1)의 이동시에는 기부(10)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캐스터(12)를 이용하게 되는데, 상부커버(60) 후방 상단의 손잡이(33)를 잡고 프로젝터(1)를 후방으로 기울이면, 기부의 후방에서 캐스터(12)만 지면과 접촉되므로 캐스터의 구름으로 이동할 수 있다.When moving the projector (1), a caster (12) installed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base (10) is used. If you hold the handle (33) at the rear top of the upper cover (60) and tilt the projector (1) backward, the base (10) will move. Since only the caster 12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t the rear, it can move to the caster's clou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 프로젝터(1)는 빔투사부(42)를 통해 영상이나 이미지를 전방의 지면으로 투사하게 되는데, 이 때 별도의 보드(70)를 화면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projector 1 of the hospital, configured in this way, projects an image or an image onto the ground in front through the beam projection unit 42, and at this time, a separate board 70 can be used as a screen.

도 10 내지 도 12는 보드상에 영상이 투사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프로젝터(1)의 전방 하측의 지면상에 보드(70)를 배치하여 이 보드(70)상에 빔투사부(42)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이나 이미지의 빔을 수용함으로써 화면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10 to 12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image is projected on a board. Referring to this, a board 70 is placed on the ground at the front lower side of the projector 1, and a board 70 is placed on the board 70. It is used as a screen by receiving the video or image beam projected from the beam projection unit 42.

보드(70)상에 투사되는 영상이나 이미지는 게임이나 교육 또는 홍보나 안내 등에 관련된 다양한 내용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콘텐츠들은 미리 PC(41)에 입력된 상태에서 터치패널(43)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video or image projected on the board 70 can be selected from various contents related to games, education, promotions, or guidance, and these various contents are input into the PC 41 in advance by operating the touch panel 43. It can be output selectively by .

보드(70)상에서는 로봇(R)이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동을 하면서 투사된 영상이나 이미지에 합치되는 미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인터랙티브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On the board 70, the robot (R) can move according to the input program and perform a mission function that matches the projected video or image. This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by applying interactive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there is.

이러한 과정에서 프로그램된 내용의 음향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봇(R)이 입력된 경로를 진행하면서 특정 위치를 통과할 때, 그 위치에 표현된 이미지에 대한 표현이나 설명 등을 음성으로 송출할 수 있고, 미션이 완료되면 그에 대한 음향을 송출하는 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is process, sound effects of programmed content can also be provided. For example, when the robot (R) passes a specific location while proceeding along the input path, the expression or explanation of the image expressed at that location can be transmitted as a voice, and when the mission is completed, the corresponding sound can be transmitted. It can be set in this way.

사용자는 이와 같은 영상과 로봇의 움직임 및 음향을 통해 시청각적인 흥미를 감득하게 되며, 이를 통해 게임의 즐거움이나 학습효과 또는 홍보효과 등을 얻게 된다.Users gain audiovisual interest through these videos and the robot's movements and sounds, and through this, they gain enjoyment from the game, learning effects, and promotional effects.

상기 보드(70) 내부에는 전체적으로 센서망(71)이 매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망(71)은 금속의 망으로 이루어지며, 보드(7)상에서 이동하는 로봇(R)의 좌표기능을 하게 된다.A sensor network 71 may be installed entirely inside the board 70. The sensor network 71 is made of a metal mesh and functions as a coordinate for the robot R moving on the board 7.

로봇(R)의 일단에는 센서(S)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센서(S)는 보드(70)에 매입되어 있는 센서망(71)을 감지하여 좌표를 측정함으로써 설정 경로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이동하게 된다.A sensor (S)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robot (R), and this sensor (S) detects the sensor network (71) embedded in the board (70) and measures the coordinates to accurately detect and move the set path. do.

또한 라이더센서(11)는 보드(70)상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동하는 로봇(R)을 감지하여 PC(41)에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센서(S)와 더불어 로봇(R)이 정확한 경로를 이동하는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게 되고, 이에따라 로봇의 이동 경로상에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정확하고 안정된 프로그램의 진행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lidar sensor 11 can detect an object on the board 70. It detects a moving robot (R)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PC 41, so that the robot (R) along with the sensor (S) can accurately It is checked in real time whether the robot is moving along the path, and as a result, errors that may occur in the robot's movement path can be minimized, allowing accurate and stable program progress.

그리고 프로젝터의 높이를 달리하여 화면의 크기를 변경할 때에는 라이더센서(11)도 그에 비례하여 설정됨으로써 정확한 포지셔닝이 가능하게 된다.And when the size of the screen is changed by varying the height of the projector, the lidar sensor 11 is also set proportionally, enabling accurate positioning.

상술된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가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understand that they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 will be.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sought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

1 ; 프로젝터
10 ; 기부 11 ; 라이더센서
12 ; 캐스터 13 ; 액츄에이터
20 ; 하부프레임 21 ; 지지대
22 ; 고정레일 30 ; 상부프레임
31 ; 측면프레임 32 ; 가동레일
33 ; 손잡이 40 ; 디지털박스
41 ; PC 42 ; 빔투사부
43 ; 터치패널 44 ; 조작부
45 ; 환기구 50 ; 하부커버
60 ; 상부커버 61 ; 통풍구
62 ; 경사면 63 ; 도어
70 ; 보드 71 ; 센서망
R ; 로봇
One ; projector
10 ; donation 11 ; lidar sensor
12 ; Caster 13 ; actuator
20 ; lower frame 21; support fixture
22 ; fixed rail 30; upper frame
31 ; side frame 32; movable rail
33 ; handle 40 ; digital box
41 ; PC 42 ; Beam Projection Department
43 ; touch panel 44; control panel
45 ; Ventilation port 50; lower cover
60 ; Top cover 61; ventilation opening
62 ; slope 63 ; door
70 ; board 71 ; sensor network
R ; robot

Claims (5)

고정레일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캐스터가 구비되며, 외측으로 하부커버가 씌워져서 조립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고정레일에 결합되는 가동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고, 하단이 개구된 상부커버가 씌워져서 상기 하부커버의 상단 외곽을 커버하도록 조립되며, 상부커버의 후방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고, 지면을 향해 이미지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하향 각을 형성하여 빔투사부가 설치되고, PC 및 터치패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지털박스부;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단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라이더센서;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에서 상기 빔투사부로부터 투사되는 빔을 수용하여 윗면에 화면을 형성하고, 내부에 금속망으로 되는 센서망이 매입 설치되어, 이 센서망이 윗면을 이동하는 로봇을 좌표로서 안내하도록 된 보드; 를 포함하는 보드게임용 프로젝터.
A lower frame in which a fixed rail is installed vertically, a pair of casters protruding rearward at the rear end, and a lower cover covered on the outside to be assembled;
A movable rail coupled to the fixed rail is installed to enable eleva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frame, an upper cover with an open bottom is covered and assembled to cover the upper outer edge of the lower cover, and a handle is provided at the upper rear end of the upper cover. An upper frame provided with;
A digital box uni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upper frame, where a beam projection unit is installed at a downward angle to project an image or video toward the ground, and where a PC and a touch panel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 actuator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to raise and lower the upper frame;
A lidar sensor installed to face forward at one end of the lower frame; and
A scree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by receiving the beam projected from the beam projection unit in front of the lower frame, and a sensor network made of metal mesh is installed inside, and this sensor network guides the robot moving on the upper surface as coordinates. board made to do; A projector for board games includ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09125A 2022-08-30 2022-08-30 Board game projector KR1026236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125A KR102623632B1 (en) 2022-08-30 2022-08-30 Board game pro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125A KR102623632B1 (en) 2022-08-30 2022-08-30 Board game proj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632B1 true KR102623632B1 (en) 2024-01-10

Family

ID=8951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125A KR102623632B1 (en) 2022-08-30 2022-08-30 Board game proj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63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051A (en) 2008-08-12 2010-02-2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Board game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KR101369358B1 (en) * 2013-08-06 2014-03-04 홍주희 Display control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975784B1 (en) * 2018-04-27 2019-05-08 주식회사 로봇앤모어 Board game system using character robot and character building
US20200197772A1 (en) * 2018-12-20 2020-06-25 Uatp Ip, Llc Projected game arena with movable surfaces
CN214847397U (en) * 2021-04-21 2021-11-23 郑州华凯数字科技股份有限公司 Digital sand table with interactive animation effec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051A (en) 2008-08-12 2010-02-2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Board game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KR101369358B1 (en) * 2013-08-06 2014-03-04 홍주희 Display control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975784B1 (en) * 2018-04-27 2019-05-08 주식회사 로봇앤모어 Board game system using character robot and character building
US20200197772A1 (en) * 2018-12-20 2020-06-25 Uatp Ip, Llc Projected game arena with movable surfaces
CN214847397U (en) * 2021-04-21 2021-11-23 郑州华凯数字科技股份有限公司 Digital sand table with interactive animation eff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1131A (en) Display apparatus
US20150054963A1 (en) Interactive projection effect and entertainment system
US9028077B2 (en) Projector
CN107206285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immersing theater context with active screen
CN101739567A (en) Termina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102605411B1 (en) Immersive all-in-one PC system
TWI746466B (en) Immersive display enclosure
JP2015210379A (en) Image fus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623632B1 (en) Board game projector
WO2015036852A2 (en) Interactive projection effect and entertainment system
JP5842371B2 (en) Video game apparatus and video game control method
KR101670939B1 (en) Driving method of virtual reality walking platform system
CN107608170A (en) The projecting method of projection arrangement, supporting plate and projection arrangement
US20150029473A1 (en) Mobile interactive presentation and collaboration system
CN109285487A (en) A kind of holography sand table display systems
KR20200026543A (en) Interaction apparatus using image projection
KR102350198B1 (en) Beam projector electric driving type black offset adjustment device for deleting multiple projection overlay section black level
KR101305135B1 (en) Terminal having dual touch panel
CN112666816B (en) Movable holographic projection device and method
CN105511214B (en) Display device with Projection Division and screen section
KR20080075640A (en) Projector with four direction
CN209765260U (en) Holographic projection device and holographic projection system
KR101366276B1 (en) Camera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726967B1 (en) Display media and extensions to display media
KR100693336B1 (en) A cyber-table for tea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