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750B1 -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 - Google Patents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750B1
KR102622750B1 KR1020220057345A KR20220057345A KR102622750B1 KR 102622750 B1 KR102622750 B1 KR 102622750B1 KR 1020220057345 A KR1020220057345 A KR 1020220057345A KR 20220057345 A KR20220057345 A KR 20220057345A KR 102622750 B1 KR102622750 B1 KR 102622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ast
place concrete
frame
p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7754A (ko
Inventor
하주형
김동준
임창근
김삼수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
Priority to KR1020220057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750B1/ko
Publication of KR2023015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18Placing by vibr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원활한 타설과 고품질의 말뚝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짐 장치를 이용한 다짐 방법에 있어서, 트레미관(100)에 콘크리트(120)를 주입하여 타설하는 단계(S110); 타설중, 압력센서(150) 또는 수위센서(160)의 신호에 기초하여 콘크리트(120)의 타설이 허용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바이브레이터를 작동시켜 콘크리트(120)를 다지는 단계(S130); 압력센서(150) 또는 수위센서(160)의 신호에 기초하여 콘크리트(120)의 타설이 허용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40); 판단단계(S140)에서 허용범위 이내인 경우, 콘크리트(120)의 타설을 완료(S160)하고,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콘크리트(120)의 타설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Compaction device for cast-in-place concrete pil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원활한 타설과 고품질의 말뚝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으로, 말뚝(Pile)은 연약한 지반에서 구조물을 거치할 때 부족한 지지력을 높은 강도의 깊은 지반에 전달할 때 사용되는 구조체를 말한다. 이러한 말뚝은 본체의 재료에 따라 강말뚝, 기성 콘크리트말뚝 및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은 지반을 굴착하여 천공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천공홀 내부에 조립된 철근망을 삽입하고, 이후 콘크리트를 천공홀에 타설하여 콘크리트 말뚝을 형성시키는 공법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타설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20)에 지면(50)까지 거푸집(40)을 설치한 후, 트레미관(10)의 내부로 콘크리트(30)를 주입하여 말뚝을 양생한다. 특히 대구경(예 : 직경 1 ~ 3m)의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은 지반을 천공한 후에 천공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때문에 품질관리와 철근망의 삽입 및 콘크리트 타설이 어려워 시공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대구경의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경우 유동성이 부족하면 콘크리트의 다짐 부족으로 공극이 발생하거나 타설시간의 지연으로 콜드 조인트가 발생되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종래에는 작업자가 콘크리트 반죽의 질기를 경험에 따라 조절하였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수면 2 ~ 6 m 아래이므로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별도의 다짐작업은 어려웠다. 그런데 다양한 현장 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는 쉽게 구현하기 어렵고 숙련된 작업자를 필요로 했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점들은 현장에서 즉시 파악되거나 확인할 수 없고, 양생이 완료된 후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에 콘크리트의 다짐 작업이 매우 중요한 공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420074호(수중콘크리트 타설 공법),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314080호(몰드 케이스 및 트레미관을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시공 방법),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7-0000857호(소구경 강관 시공을 위한 지반 보강용 장비), 4.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267037호(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동성 부족없이 콘크리트를 원활하게 시공할 수 있고, 콘크리트말뚝의 품질을 보증할 수 있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작업성에 따라 다짐과 배합비율 등을 곧바로 변경할 수 있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가 고유동성을 가지면서도 재료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레미관의 일정높이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로 인한 압력이 감지될 때 바이브레이터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콘크리트를 옆으로 퍼질 수 있도록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로 콘크리트(120)가 주입되는 트레미관(100); 트레미관(100)의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90); 지지프레임(190)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지지프레임(190)은 트레미관(100)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설치된다.
또한, 지지프레임(190)은, 트레미관(100)으로부터 제 1 반경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레임(175); 트레미관(100)으로부터 제 1 반경 보다 더 긴 제 2 반경으로 연장되는 제 2 프레임(185);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제 1 프레임(175)은 2개 ~ 4개가 등각도로 설치되고, 제 2 프레임(185)은 인접한 제 1 프레임(175)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바이브레이터는, 제 1 프레임(175)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바이브레이터(170); 및 제 2 프레임(185)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 바이브레이터(180);이다.
또한, 복수의 제 2 프레임(185) 사이를 원주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3 프레임(200)을 더 포함한다.
또한, 트레미관(100)의 내면 또는 외면 상에 설치되어 콘크리트(120)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50)를 더 포함하고, 압력센서(150)가 측정한 압력신호에 기초하여 바이브레이터가 동작한다.
또한, 압력센서(150)는 트레미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된다.
또한, 트레미관(100)의 외면 상에 설치되어 수면으로부터 트레미관(100)의 수직 높이를 측정하는 수위센서(160)를 더 포함하고, 수위센서(160)가 측정한 수위신호에 기초하여 바이브레이터가 동작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써, 전술한 다짐 장치를 이용한 다짐 방법에 있어서, 트레미관(100)에 콘크리트(120)를 주입하여 타설하는 단계(S110); 타설중, 압력센서(150) 또는 수위센서(160)의 신호에 기초하여 콘크리트(120)의 타설이 허용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바이브레이터를 작동시켜 콘크리트(120)를 다지는 단계(S130); 압력센서(150) 또는 수위센서(160)의 신호에 기초하여 콘크리트(120)의 타설이 허용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40); 판단단계(S140)에서 허용범위 이내인 경우, 콘크리트(120)의 타설을 완료(S160)하고,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콘크리트(120)의 타설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판단단계(S120, S140)에서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압력센서(150)가 콘크리트(120)로 인해 임계압력 이상을 감지하였을 때 또는 수위센서(160)가 트레미관(100)의 임계높이 이상의 수직 상승을 감지하였을 때이다.
또한, 임계높이는 40 ~ 50 cm이다.
또한, 다지는 단계(S130)에서 바이브레이터는 최대 30초까지 작동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성 부족없이 콘크리트를 원활하게 시공할 수 있고, 콘크리트말뚝의 품질을 보증할 수 있다. 즉, 공극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타설시간의 지연으로 발생되는 콜드 조인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작업성에 따라 다짐과 배합비율 등을 곧바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가 고유동성을 가지면서도 재료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미관의 일정높이(하단에서 약 2m)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로 인한 압력이 감지될 때 바이브레이터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콘크리트를 옆으로 퍼질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타설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및 그의 다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짐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짐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및 그의 다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30)은 수중(110)에 설치되고, 거푸집(130) 속으로 트레미관(100)이 수직하도록 위치한다.
고유동성의 콘크리트(120)는 트레미관(100)의 상부를 통해 주입되고, 하부를 통해 배출된다.
수위센서(160)는 트레미관(100)의 외면 중 수면과 접하는 영역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수위센서(160)는 수면을 기준으로 트레미관(100)의 투입깊이 또는 상승높이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압력센서(150)는 트레미관(100)의 외면 또는 내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예 : 3개 ~ 5개)의 압력센서(150)는 트레미관(100)의 외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채 설치된다. 압력센서(150)는 트레미관(100)의 하단으로부터 약 2 ~ 3m의 높이 영역에 설치된다.
압력센서(150)는 수중(110)에서 퍼지지 못한 콘크리트(120)의 압력을 검출하여 출력한다. 물의 단위중량은 1 t/m3이고, 콘크리트(120)의 단위중량은 2.3 t/m3이며, 콘크리트(120)가 물을 밀어내면서 타설되므로 압력센서(150)는 부력없이 물과 콘크리트(120)의 압력을 구별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90)은 트레미관(100)의 하단 외주면에 설치되며, 바이브레이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175)의 일단은 지지프레임(190)에 고정되고, 타단은 반경방향으로 제 1 반경(예 : 20 ~ 40cm)의 길이를 갖는 자유단이다. 제 1 프레임(175)은 지지프레임(190)의 둘레에 등각도를 유지한 채 2개 ~ 4개가 설치된다. 제 1 프레임(175)의 자유단에는 제 1 바이브레이터(17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프레임(185)의 일단은 지지프레임(190)에 고정되고, 타단은 반경방향으로 제 2 반경(예 : 50 ~ 100cm)의 길이를 갖는 자유단이다. 제 2 프레임(185)은 지지프레임(190)의 둘레에서 인접한 제 1 프레임(175) 사이마다 위치한다. 제 2 프레임(185)의 자유단에는 제 2 바이브레이터(18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바이브레이터(170, 180)와 복수개의 프레임(175, 185)으로 인해 콘크리트(120)를 균일하게 다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프레임(200)은 인접한 제 2 프레임(185) 사이를 원주 방향으로 연결한다. 각 제 3 프레임(200)은 만곡된 원호형상이며 3개를 조합하여 원형을 형성한다.
도 3과 같이 제 1, 2 프레임(175, 185)만 있는 경우 트레미관(100)을 상승시킬 때 단면적 저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제 1, 2, 3 프레임(175, 185, 200)이 있는 경우 제 2 프레임(185)의 강도 보강을 통해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미도시)는 수위센서(160), 압력센서(150)와 연결되며, 콘크리트(120)의 공급펌프(미도시) 및 트레미관(100)의 승강장치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는 PLC, CPU, 마이컴 등이 될 수 있고, 퍼스널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중(110)에 거푸집(130)을 투입하여 설치한다. 그 다음, 트레미관(100)을 거푸집(130) 속의 수중(110)에 넣어 지면(140)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제 1, 2, 3 프레임(175, 185, 200) 및 제 1, 2 바이브레이터(170, 180)도 함께 투입된다.
그 다음, 트레미관(100)에 콘크리트(120)를 주입하여 타설을 시작한다(S110).
타설중, 콘크리트(120)가 퍼지지 않고 트레미관(100) 주위에 몰려 있는 경우 압력센서(150)가 콘크리트(120)의 압력을 검출한다(S120). 만약, 압력센서(150)의 출력신호가 1 ~ 1.5 t/m3 사이라면, 압력센서(150)가 물에 접하고 있고, 콘크리트(120)는 옆으로 잘 퍼져나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압력센서(150)의 출력신호가 3 ~ 3.5 t/m3 사이라면, 압력센서(150)가 콘크리트(120)에 접하고 있고, 콘크리트(120)는 옆으로 잘 퍼져나가지 못한 채 뭉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준비된 콘크리트(120)가 모두 타설되고, 트레미관(1100) 내의 콘크리트(120)가 잘 내려가면서 압력센서(150)의 검출신호가 정상(예 : 물)이라면 콘크리트의 타설을 완료한다(S160).
만약, 압력센서(150)가 콘크리트(120)의 압력을 검출하면, 제 1, 2 바이브레이터(170, 180)를 작동시켜 콘크리트(120)를 옆으로 퍼지게 하면서 다지는 작업을 한다(S130).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직경이 큰 경우(예 : 3 m), 제 1, 2 바이브레이터(170, 180)를 모두 동작시키거나 교호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직경이 작은 경우(예 : 1 ~ 2 m), 제 1, 2 바이브레이터(170, 180) 중 하나만을 동작시키거나 교호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2 바이브레이터(170, 180)의 다짐단계(S130)는 최대 30초이다. 고유동 콘크리트(120)이므로 30초를 초과할 경우 재료분리가 발생하여 강도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다음, 압력센서(150) 또는 수위센서(160)의 신호에 기초하여 콘크리트(120)의 타설이 허용범위 이내인지를 다시 한번 더 판단한다(S140). 특히, 보통 콘크리트(120)의 타설시 1개층의 타설 두께가 40 ~ 50 cm 이므로 트레미관(100)이 40 ~ 50 cm 상승하면 타설의 완료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수위센서(160)가 수면으로부터 40 ~ 50 cm 상승했다고 검출하면 콘크리트(120)의 타설의 완료한다(S160). 선택적으로 콘크리트의 타설 완료단계(S160) 직전에 제 1, 2 바이브레이터(170, 180)의 작동단계를 추가로 더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단계는 공극을 줄이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만약, 판단단계(S140)에서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콘크리트(120)의 타설을 중단한다. 중단한 후에는 콘크리트(120)의 배합을 변경하거나 유동성을 증진하도록 배합하는 단계(S150)가 실시된 후, 다시 S110 단계부터 반복실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트레미관,
20 : 수중,
30 : 콘크리트,
40 : 거푸집,
50 : 지면,
100 : 트레미관,
110 : 수중,
120 : 콘크리트,
130 : 거푸집,
140 : 지면,
150 : 압력센서,
160 : 수위센서,
190 : 지지프레임.

Claims (13)

  1. 내부로 콘크리트(120)가 주입되는 트레미관(100);
    상기 트레미관(100)의 하단 둘레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90); 및
    상기 지지프레임(190)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90)은,
    상기 트레미관(100)으로부터 제 1 반경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레임(175); 및
    상기 트레미관(100)으로부터 상기 제 1 반경 보다 더 긴 제 2 반경으로 연장되는 제 2 프레임(1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175)은 2개 ~ 4개가 등각도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프레임(185)은 인접한 상기 제 1 프레임(175)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상기 제 1 프레임(175)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바이브레이터(170); 및
    상기 제 2 프레임(185)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 바이브레이터(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2 프레임(185) 사이를 원주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3 프레임(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미관(100)의 내면 또는 외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120)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150)가 측정한 압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150)는 상기 트레미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미관(100)의 외면 상에 설치되어 수면으로부터 상기 트레미관(100)의 수직 높이를 측정하는 수위센서(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위센서(160)가 측정한 수위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10.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짐 장치를 이용한 다짐 방법에 있어서,
    트레미관(100)에 콘크리트(120)를 주입하여 타설하는 단계(S110);
    타설중, 압력센서(150) 또는 수위센서(160)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콘크리트(120)의 타설이 허용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바이브레이터를 작동시켜 상기 콘크리트(120)를 다지는 단계(S130);
    상기 압력센서(150) 또는 상기 수위센서(160)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콘크리트(120)의 타설이 허용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40);
    상기 판단단계(S140)에서 상기 허용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콘크리트(120)의 타설을 완료(S160)하고,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120)의 타설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미관(100)의 하단 둘레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90)은,
    상기 트레미관(100)으로부터 제 1 반경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레임(175); 및
    상기 트레미관(100)으로부터 상기 제 1 반경 보다 더 긴 제 2 반경으로 연장되는 제 2 프레임(1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S120, S140)에서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상기 압력센서(150)가 상기 콘크리트(120)로 인해 임계압력 이상을 감지하였을 때 또는
    상기 수위센서(160)가 상기 트레미관(100)의 임계높이 이상의 수직 상승을 감지하였을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높이는 40 ~ 50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지는 단계(S130)에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최대 30초까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방법.


KR1020220057345A 2022-05-10 2022-05-10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 KR10262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45A KR102622750B1 (ko) 2022-05-10 2022-05-10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45A KR102622750B1 (ko) 2022-05-10 2022-05-10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754A KR20230157754A (ko) 2023-11-17
KR102622750B1 true KR102622750B1 (ko) 2024-01-09

Family

ID=8896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345A KR102622750B1 (ko) 2022-05-10 2022-05-10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7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2841A (ja) * 2005-01-17 2006-07-27 Toyo Constr Co Ltd 閉塞空間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の振動締固め装置および振動締固め工法
KR101902626B1 (ko) * 2016-08-24 2018-10-01 현대건설주식회사 압력센서를 갖는 슬립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장치 및 그 방법
JP6855273B2 (ja) * 2017-02-21 2021-04-07 株式会社安藤・間 コンクリート杭の締固め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杭の打設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074B1 (ko) 2001-02-20 2004-02-25 (주)한석엔지니어링 수중콘크리트 타설 공법
KR200267037Y1 (ko) 2001-12-13 2002-03-06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
KR101314080B1 (ko) 2011-12-27 2013-10-04 (주)하경엔지니어링 몰드 케이스 및 트레미관을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시공 방법
KR20170000857A (ko) 2015-06-24 2017-01-04 (주)도건이엔씨 소구경 강관 시공을 위한 지반 보강용 장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2841A (ja) * 2005-01-17 2006-07-27 Toyo Constr Co Ltd 閉塞空間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の振動締固め装置および振動締固め工法
KR101902626B1 (ko) * 2016-08-24 2018-10-01 현대건설주식회사 압력센서를 갖는 슬립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장치 및 그 방법
JP6855273B2 (ja) * 2017-02-21 2021-04-07 株式会社安藤・間 コンクリート杭の締固め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杭の打設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754A (ko) 202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9024A1 (zh) 一种外包钢板的装配式混凝土柱脚节点及其施工方法
KR20100079506A (ko)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선단부 포스트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선단보강 그라우팅 방법
CN108894214A (zh) 一种溶洞地质环境灌注桩及其成桩施工方法
WO2021103209A1 (zh) 一种复合扩盘桩施工方法及设备
CN109610446A (zh) 一种钻孔灌注桩钢筋笼及抗浮笼方法
CN109024721B (zh) 一种加固基础及提高既有建筑刚性基础抗弯剪能力的方法
CN111945714B (zh) 钢套管导向法结合钢立柱插设施工方法
CN109881668A (zh) 用于软弱土层、填土及砂土层的地基施工方法
CN110206071B (zh) 一种地下连续墙接缝加固方法与装置
CN110700240B (zh) 注浆管桩及注浆管桩的施工方法
KR102622750B1 (ko)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
CN205975637U (zh) 一种用于圆形井内混凝土浇筑的模板加固装置
CN113216215A (zh) 一种复杂环境下深沟槽支护逆作施工方法
CN218148483U (zh) 塔吊基础结构
CN111173047A (zh) 一种psb精轧螺纹钢抗浮锚杆结构及其施工方法
CN214993884U (zh) 一种软基开挖结构
CN109898505A (zh) 软弱地层中具有补强结构的复合管桩
CN214784092U (zh) 一种基坑减压井封闭结构
CN213417870U (zh) 高富水黄土砂卵石地层变压管井中井结构
CN211621668U (zh) 地下室基础改造结构
CN114808938A (zh) 旋挖桩在孤石内终孔的施工方法
CN114351684A (zh) 一种用于维护隧道的地基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026801A (zh) 一种施工电梯基础钢管桩加固施工方法
CN208072414U (zh) 一种深基坑支护植筋挂网固定装置
CN105735248A (zh) 一种保证预制桩桩端进入持力层并提高承载力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