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476B1 - Guide device for cable send-out - Google Patents

Guide device for cable send-o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476B1
KR102622476B1 KR1020230063711A KR20230063711A KR102622476B1 KR 102622476 B1 KR102622476 B1 KR 102622476B1 KR 1020230063711 A KR1020230063711 A KR 1020230063711A KR 20230063711 A KR20230063711 A KR 20230063711A KR 102622476 B1 KR102622476 B1 KR 102622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lange
cable
guide dev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지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지티
Priority to KR102023006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4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4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6Supports fo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는, 케이블이 포설되는 레일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를 가지고, 플랜지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는 본체부와,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슬라이드 홀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플랜지부와 상기 본체부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와,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한다.A guide device for c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has a flange portion coupled to a rail on which a cable is laid, a main plate in which slide holes ar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main body configured to slide relative to the flange portion. It includes a part, a fastening part installed through the flange part, movable along the slide hole, and configured to couple the flange part and the main body part, and a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art.

Description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GUIDE DEVICE FOR CABLE SEND-OUT}Guide device for cable transmission {GUIDE DEVICE FOR CABLE SEND-OUT}

본 개시는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전력의 송전 및 배전을 위해 사용되는 전력 케이블의 시공은 지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진 철탑 또는 지중에 배치된 공동구를 사용한다. 한편, 건물 내부에는 전력 케이블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의 케이블이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블은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 상에 포설된다.The construction of power cables used for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uses steel towers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ground or utility tunnels placed underground. Meanwhile, not only power cables but also cables for various purposes ar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These cables are laid on rails that are installed along a predetermined route.

케이블 송출 장치는 케이블 드럼에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을 송출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송출된 케이블을 미리 정해진 포설 경로상의 레일에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 송출 장치에 의해 송출되는 케이블을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포설 경로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케이블 가이드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포설 경로는 직선 경로뿐만 아니라 곡선 경로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경로가 변경되는 위치에도 케이블 가이드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가이드 장치는 레일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The cable delivery device is configured to send out a cable wound around a cable drum, move it along a rail, and install the delivered cable on a rail on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path. Cable guide device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stallation path so that the cable transmitted by the cable transmission device can move smoothly along a predetermined path. Additionally, since the installation path includes not only a straight path but also a curved path, a cable guide device can be installed even at a location where the path changes. Generally, the cable guide devic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ail.

하지만, 레일 상에 이미 포설된 케이블이 없는 경우와 레일 상이 이미 포설된 케이블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레일 상에서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높이가 달라져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높이가 정해져 있어서, 서로 다른 케이블 가이드 높이를 갖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를 보유하고 레일 상의 케이블 유무에 따라 해당 상황에 맞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또한, 케이블을 일차적으로 포설한 다음 계속하여 케이블을 적층하여 포설해야 하는 경우에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cable already laid on the rail and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cable already laid on the rail, the height for guiding the cable on the rail must be different. However, the conventional cable guide device has a fixed height for guiding the cable, so it is necessary to have cable guide devices with different cable guide heights and install a cable guide device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bles on the rail. In addition, if the cables must be laid first and then the cables must be layered and laid,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place the cable guide devic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종래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적어도 일부 문제점들을 개선 또는 해결한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실시예들은 케이블의 가이드 높이를 가변할 수 있는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mprove or solve at least some problems of conventional cable guide devices. To this end, a plurality of embodiments provide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that can vary the guide height of the cable.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예들은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에 관련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는, 케이블이 포설되는 레일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를 가지고, 플랜지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는 본체부와,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슬라이드 홀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플랜지부와 상기 본체부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와,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A guide device for c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has a flange portion coupled to a rail on which a cable is laid, a main plate in which slide holes ar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main body configured to slide relative to the flange portion. It includes a part, a fastening part installed through the flange part, movable along the slide hole, and configured to couple the flange part and the main body part, and a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art.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는,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에 배치되고 메인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롤러와, 제1 롤러의 일 단부에서 제1 롤러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 롤러와, 제1 롤러의 타 단부에서 제1 롤러에 대하여 수직이고 제2 롤러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3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ller includes a first roller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main plate and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te, a second roller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ller at one end of the first roller, an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ller, a third roller may b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ller and parallel to the second roll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롤러 및 제3 롤러의 각각은 제1 롤러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second roller and the third roller may include a pair of rollers disposed in front and behind the first roll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는 제1 롤러에 평행하고 제2 롤러와 제3 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ble delivery guid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abl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parallel to the first roller and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roller and the third roll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이탈 방지부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ble separation prevention unit may include a roll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부는, 체결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 플랜지와, 제1 플랜지와 평행하고 제1 플랜지로부터 이격되는 제2 플랜지와,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를 연결하는 플랜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lange portion includes a first flang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ortion penetrates, a second flange parallel to the first flang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lange, and a flange connecting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는 메인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플랜지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portion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plate and include guide portions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lange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는 본체부에 설치되고 케이블의 적층 높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stacking height of the cab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적층 높이에 기초하여 플랜지부에 대한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높이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device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lange portion based on the stacking height detected by the sensor.

일 실시예에 있어서, 높이 조절 장치는, 슬라이드 홀의 내부에 슬라이드 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랙 기어와, 랙 기어에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includes a rack gear formed inside the slide 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hole, a pinion gear meshing with the rack gear, and a drive motor configured to drive the pinion gear and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may inclu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홀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의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slide hole at predetermined interval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부가 플랜지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케이블이 적층되어 케이블의 포설 위치가 높아지는 경우에도 플랜지부가 레일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부의 높이만을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케이블 포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에 대한 본체부의 높이가 다른 가이드 장치로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케이블 포설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main body portion is configured to slide relative to the flange portion, even when cables are stacked and the cable laying position is increased, the cable can be easily adjusted by on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ain body portion while the flange portion is coupled to the rail. The laying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main body portion with a guide device having a different height with respect to the flange portion, so the time required for cable laying work can be reduced.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ble delivery guide device shown in FIG. 1 viewed from another angl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lide hole formed in the main plat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or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se embodiments.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All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pertains. All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a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explaining this disclosure and are not select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is disclosure.

본 개시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도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comprising,” “having,” and the like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open terms that imply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phrase or sentence containing the express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open-ended term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던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overlapping descriptions of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However, even if descriptions of components are omitted, it is not intended that such components are not included in any embodiment.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ble delivery guide device shown in FIG. 1 viewed from another angl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shown in Figure 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100)는 플랜지부(110)와, 본체부(120)와, 체결부(130)와, 롤러(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guide device 100 for cable deliv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lange portion 110, a main body portion 120, a fastening portion 130, and a roller. Includes (140).

플랜지부(110)는 케이블이 포설되는 레일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레일은 지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천정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플랜지부(110)는 체결구에 의해 레일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랜지부(110)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flange portion 11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ail on which the cable is laid. The rail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or floor, or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iling. The flange portion 110 may be coupled to the rail by a fastener. To this end, one or more fastening holes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110.

본체부(12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홀(121a)(도 3 참조)이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121)를 가진다. 본체부(120)는 플랜지부(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 방향은 케이블이 송출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서 본체부(120)가 플랜지부(110)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본체부(120)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적인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120)는 메인 플레이트(121)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인 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닥 플레이트(122)와 바닥 플레이트(122)의 측 방향 단부로부터 수직인 상방으로 연장하는 수직 플레이트(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플레이트(123)는 메인 플레이트(12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플레이트(121)와, 바닥 플레이트(122)와, 수직 플레이트(123)는 금속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메인 플레이트(121)의 하단과 바닥 플레이트(122)의 측 방향 일단의 사이 및 바닥 플레이트(122)의 측 방향 타단과 수직 플레이트(123)의 하단의 사이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The main body 120 has a main plate 121 in which slide holes 121a (see FIG. 3) ar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main body portion 120 is configured to slide relative to the flange portion 11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120 slides relative to the flange 110 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delivered. The main body 120 may have an approximate U-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20 includes a bottom plate 122 extending in a vertical later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main plate 121 and a vertically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lateral end of the bottom plate 122. It may further include a plate 123. The vertical plate 123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main plate 121. For example, the main plate 121, the bottom plate 122, and the vertical plate 123 may be formed by bending a metal plate. As another exampl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ain plate 121 and one lateral end of the bottom plate 122 and the other lateral end of the bottom plate 122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23 may be joined by welding. there is.

체결부(130)는 플랜지부(11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슬라이드 홀(121a)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체결부(130)는 플랜지부(110)와 본체부(120)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체결부(130)는 플랜지부(110)와 슬라이드 홀(121a)을 관통하는 볼트(131)와 메인 플레이트(121)를 기준으로 플랜지부(110)의 반대쪽 면에서 볼트(131)에 체결되는 너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130 is installed penetrating the flange part 110 and is movable along the slide hole 121a. The fastening part 130 is configured to couple the flange part 110 and the main body part 120. 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130 includes a bolt 131 penetrating the flange part 110 and the slide hole 121a, and a bolt 13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lange part 110 based on the main plate 121. It may include a nut 132 fastened to.

롤러(140)는 본체부(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롤러(140)는 케이블이 송출될 때 케이블의 자중에 의해 레일 또는 이미 포설된 다른 케이블과 마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140)는 케이블의 포설 경로가 변경되는 위치에서 케이블의 방향 전환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roller 1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20. The roller 140 can prevent the cable from rubbing against rails or other already laid cables due to its own weight when the cable is delivered. Additionally, the roller 140 serves to guide the change in direction of the cable at a location where the cable laying path changes.

이와 같이, 본체부(120)가 플랜지부(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케이블이 적층되어 케이블의 포설 위치가 높아지는 경우에도 플랜지부(110)가 레일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부(120)의 높이만을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케이블의 포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에 대한 본체부의 높이가 다른 가이드 장치로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케이블 포설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main body portion 120 is configured to slide with respect to the flange portion 110, even when cables are stacked and the cable installation position is increased, the main body portion 120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flange portion 110 is coupled to the rail. ) You can easily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cable by adjusting only the height. Therefore, since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main body with a different height with respect to the flange, the time required for cable laying work can be reduced an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140)는 제1 롤러(141)와, 제2 롤러(142)와, 제3 롤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141)는 메인 플레이트(121)의 하단에 배치되고 메인 플레이트(121)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롤러(141)는 메인 플레이트(121)의 하단부와 수직 플레이트(123)의 하단부 사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롤러(141)는 회전축의 양단이 메인 플레이트(121)와 수직 플레이트(123)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ller 140 may include a first roller 141, a second roller 142, and a third roller 143. The first roller 141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main plate 121 and may b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te 121.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oller 141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ain plate 121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23. For example, both ends of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roller 14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main plate 121 and the vertical plate 123.

제2 롤러(142)는 제1 롤러(141)의 일 단부에서 제1 롤러(141)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일 단부는 바닥 플레이트(122)에서 메인 플레이트(121)에 가까운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롤러(142)는 회전축의 하단이 바닥 플레이트(122)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제2 롤러(142)는 회전축의 상단이 메인 플레이트(121)의 상단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플레이트(121)의 상단에는 메인 플레이트(121)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직 플레이트(123)를 향하여 연장하는 제1 롤러 결합부(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롤러(142)는 바닥 플레이트(122)와 메인 플레이트(121)의 제1 롤러 결합부(121b) 사이에 설치된다.The second roller 142 is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roller 141 at one end of the first roller 141. Here, one end may point to a position close to the main plate 121 in the bottom plate 122.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roller 14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22, and the upper end of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roller 14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plate 121. there is. To this end, a first roller coupling portion 121b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main plate 121, which is bent vertically from the main plate 121 and extends toward the vertical plate 123.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roller 142 is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plate 122 and the first roller engaging portion 121b of the main plate 121.

제3 롤러(143)는 제1 롤러(141)의 타 단부에서 제1 롤러(141)에 대하여 수직이고 제2 롤러(142)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타 단부는 바닥 플레이트(122)에서 수직 플레이트(123)에 가까운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롤러(143)는 회전축의 하단이 바닥 플레이트(122)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제3 롤러(143)는 회전축의 상단이 수직 플레이트(123)의 상단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직 플레이트(123)의 상단에는 메인 플레이트(121)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메인 플레이트(121)를 향하여 연장하는 제2 롤러 결합부(12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롤러(143)는 바닥 플레이트(122)와 수직 플레이트(123의 제2 롤러 결합부(123a) 사이에 설치된다.The third roller 143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ller 141,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ller 141, and parallel to the second roller 142. Here, the other end may point to a position close to the vertical plate 123 on the bottom plate 122.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axis of the third roller 143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22, and the upper end of the rotation axis of the third roller 143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23. there is. To this end, a second roller coupling portion 123a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vertical plate 123, which is bent vertically from the main plate 121 and extends toward the main plate 121.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roller 143 is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plate 122 and the second roller engaging portion 123a of the vertical plate 123.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롤러(142) 및 제3 롤러(143)의 각각은 제1 롤러(141)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은 케이블이 송출되어 나아가는 방향을 가리키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으로서 케이블이 송출되기 시작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100)가 케이블의 곡선 경로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 제2 롤러(142)와 제3 롤러(143)를 한 쌍씩 구비함으로써, 각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second roller 142 and the third roller 143 may include a pair of rollers disposed in front and behind the first roller 141. Here, forward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transmitted, and backward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begins to be transmitted as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ront. When the guide device 100 for cable delivery is installed on a curved path of the ca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able, a pair of second rollers 142 and third rollers 143 are provided, so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each roller is The load can be distribu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100)는 제1 롤러(141)에 평행하고 제2 롤러(142)와 제3 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블 이탈 방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이탈 방지부(150)는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블 이탈 방지부(150)는 케이블이 송출되는 도중에 케이블이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10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이탈 방지부(150)는 메인 플레이트(121)의 상부와 수직 플레이트(123)의 상부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이탈 방지부(150)는 메인 플레이트(121)와 수직 플레이트(12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이탈 방지부(150)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100)의 사이에 추가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케이블을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100)의 내부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device 100 for cable delivery may further include a cabl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150 that is parallel to the first roller 141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roller 142 and the third roller. there is. The cabl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 may have a rod shape. The cabl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 prevents the cable from escaping upward from the cable delivery guide device 100 while the cable is being delivered. In this embodiment, the cabl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top of the main plate 121 and the top of the vertical plate 123. The cabl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plate 121 and the vertical plate 123. In this way, by configuring the cabl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 to be detachable, the cable can be stored inside the cable delivery guide device 100 even when it is additionally installed between the existing cable delivery guide devices 100. It can be positioned easil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이탈 방지부(150)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이탈 방지부(150)가 롤러로 구성됨으로써, 케이블이 케이블 이탈 방지부(150)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케이블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원활하게 송출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bl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 may include a roller. Since the cabl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 is composed of rollers, even when the cabl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bl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0, not only can it prevent the cable from coming off, but it can also help the cable be delivered smoothly.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부(110)는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12)와, 플랜지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랜지(111)에는 체결부(130)가 관통하는 관통공(111a)이 형성된다. 제1 플랜지(111)는 메인 플레이트(121)보다 작고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플랜지(112)는 제1 플랜지(111)와 평행하고 제1 플랜지(111)로부터 이격된다. 제2 플랜지(112)는 제1 플랜지(111)보다 작고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플랜지(112)의 하단에는 체결구가 삽입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112a)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 연결부(113)는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12) 사이를 연결한다. 플랜지 연결부(113)는 제1 플랜지(111) 및 제2 플랜지(112) 각각에 대하여 수직이다. 예를 들어, 제2 플랜지(112)와 플랜지 연결부(113)는 금속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 연결부(113)가 제1 플랜지(111)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12) 사이의 공간에 레일이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구가 체결공(112a)을 관통하여 레일에 체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lange portion 110 may include a first flange 111, a second flange 112, and a flange connection portion 113. A through hole 111a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art 130 penetrates is formed in the first flange 111. The first flange 111 is smaller than the main plate 121 and may be made of a metal plate. The second flange 112 is parallel to the first flange 11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lange 111 . The second flange 112 is smaller than the first flange 111 and may be made of a metal plate. At the bottom of the second flange 112, one or more fastening holes 112a may be formed into which a fastener is inserted and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lange connection portion 113 connects the first flange 111 and the second flange 112. The flange connection portion 113 is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first flange 111 and the second flange 112. For example, the second flange 112 and the flange connection portion 113 may be formed integrally by bending a metal plate. The integrally formed flange connection portion 113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lange 111 by welding or the like. With the rail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lange 111 and the second flange 112, the fastener may pass through the fastening hole 112a and be fastened to the rail.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120)는 메인 플레이트(121)의 하측에서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플랜지부(1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60)는 플랜지부(110)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부(160)는 슬라이드 홀(121a)을 기준으로 거울 대칭이므로, 하나의 가이드부(16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가이드부(160)는 메인 플레이트(121)로부터 플랜지부(110)를 향하여 돌출한 다음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가이드부(160)는 L자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120)가 가이드부(160)를 포함하고 플랜지부(110)가 제2 플랜지(112)와 플랜지 연결부(113)를 포함하는 경우, 가이드부(160)와 플랜지 연결부(113)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 연결부(113)의 전후방을 따른 폭은 제2 플랜지(112)의 전후방을 따른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portion 12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plate 121 and may include a guide portion 160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lange portion 110. The guide portion 160 is configured to at least partially cover the front end and rear end of the flange portion 110. Since the guide unit 160 is mirror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lide hole 121a, only one guide unit 160 will be described. The guide portion 160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main plate 121 toward the flange portion 110 and then bending backward. The guide unit 160 may have an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When the main body 120 includes the guide portion 160 and the flange portion 110 includes the second flange 112 and the flange connection portion 113, interference between the guide portion 160 and the flange connection portion 113 To prevent this, the width along the front and rear of the flange connection portion 113 may be narrower than the width along the front and rear of the second flange 112.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100)는 본체부(120)에 설치되고 케이블의 적층 높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센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170)는 케이블의 적층 높이를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이 비정상적으로 송출(예컨대, 케이블의 적체)되는 경우에 이를 검출할 수도 있다. 센서(170)는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센서(170)는 메인 플레이트(121)의 제1 롤러 결합부(121b) 또는 수직 플레이트(123)의 제2 롤러 결합부(123a)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센서(170)는 메인 플레이트(121) 또는 수직 플레이트(123)에 별도로 설치되는 브라켓에 고정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device 100 for cable delivery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17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20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stacking height of the cable. The sensor 170 can not only detect the stacking height of cables, but also detect when cables are abnormally delivered (eg, cable stacking). Sensor 170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or a laser sensor. As an example, the sensor 17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roller coupling portion 121b of the main plate 121 or the second roller coupling portion 123a of the vertical plate 123. As another example, the sensor 170 may be fixed to a bracket separately installed on the main plate 121 or the vertical plate 123.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100)는 센서(170)에 의해 검출된 적층 높이에 기초하여 플랜지부(110)에 대한 본체부(1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높이 조절 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높이 조절 장치(180)는 센서(17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device 100 for cable delivery is a height adjustment device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ain body portion 120 with respect to the flange portion 110 based on the stacking height detected by the sensor 170. (180) may be further included. To this end,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18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170 by wire or wirelessly.

도 5는 본 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높이 조절 장치(180)는 슬라이드 홀(121a)의 내부에 슬라이드 홀(12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랙 기어(181)와, 랙 기어(181)에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182)와, 피니언 기어(182)를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110)에 결합되는 구동 모터(183)를 포함할 수 있다. 랙 기어(181)는 슬라이드 홀(121a)의 전방 또는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니언 기어(182)와 구동 모터(183)의 사이에는 감속을 위한 감속 기어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 5, in one embodiment,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180 includes a rack gear 181 formed inside the slide hole 121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hole 121a, and a rack gear It may include a pinion gear 182 engaged with (181) and a drive motor 183 configured to drive the pinion gear 182 and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110. The rack gear 181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slide hole 121a. For example, a reduction gear for speed reduction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inion gear 182 and the drive motor 183.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100)는 제어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센서(170) 및 높이 조절 장치(18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90)는, 센서(170)로부터 검출된 적층 높이에 기초하여, 플랜지부(110)에 대한 본체부(120)의 높이 조절량을 산출하여, 구동 모터(183)에 회전 방향 및 회전수에 관련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device 100 for cable delivery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190. The control unit 19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170 and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180 by wire or wirelessly. The control unit 190 calculates the height adjustment amount of the main body portion 120 with respect to the flange portion 110 based on the stacking height detected by the sensor 170 and sets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to the drive motor 183.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relevant signals.

도 6은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lide hole formed in the main plat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홀(121a)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의 걸림 홈(121c)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홈(121c)에는 체결부(130)가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130)가 복수의 걸림 홈(121c)에 걸리도록 구성됨으로써, 체결부(130)가 슬라이드 홀(121a)을 따라 의도하지 않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20)는 플랜지부(110)에 대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걸림 홈(121c)은 슬라이드 홀(121a)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걸림 홈(121c)은 슬라이드 홀(121a)의 전방 및 후방에서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 홈(121c)이 전방 및 후방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경우, 플랜지부(110)에 대한 본체부(120)의 높이를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121c may be formed in the slide hole 121a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fastening part 130 may be configured to be caught in the catching groove 121c. As the fastening part 130 is configured to be caught in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121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stening part 130 from unintentionally moving along the slide hole 121a. Accordingly, the main body portion 120 can be firmly supported while maintaining its height relative to the flange portion 110. As an example, the locking groove 121c may be formed in front or behind the slide hole 121a. As another example, the locking groove 121c may be formed at positions that are offse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slide hole 121a. In this way, when the locking grooves 121c are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at the front and rear,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20 with respect to the flange 110 can be more finely adjusted.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항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경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through some embodiments and example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does not go beyond the technical details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It should be noted that various substitutions, changes, and changes may be made in the scope. Furthermore, such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 110: 플랜지부
111: 제1 플랜지 111a: 관통공
112: 제2 플랜지 112a: 체결공
113: 플랜지 연결부 120: 본체부
121: 메인 플레이트 121a: 슬라이드 홀
121b: 제1 롤러 결합부 121c: 걸림 홈
122: 바닥 플레이트 123: 수직 플레이트
123a: 제2 롤러 결합부 130: 체결부
131: 볼트 132: 너트
140: 롤러 141: 제1 롤러
142: 제2 롤러 143: 제3 롤러
150: 케이블 이탈 방지부 160: 가이드부
170: 센서 180: 높이 조절 장치
181: 랙 기어 182: 피니언 기어
183: 구동 모터 190: 제어부
100: Guide device for cable transmission 110: Flange portion
111: first flange 111a: through hole
112: second flange 112a: fastening hole
113: flange connection 120: main body
121: main plate 121a: slide hole
121b: first roller coupling portion 121c: catching groove
122: bottom plate 123: vertical plate
123a: second roller coupling part 130: fastening part
131: bolt 132: nut
140: roller 141: first roller
142: second roller 143: third roller
150: Cabl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60: Guide unit
170: sensor 180: height adjustment device
181: rack gear 182: pinion gear
183: driving motor 190: control unit

Claims (11)

케이블이 포설되는 레일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홀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본체부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홀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의 걸림 홈이 형성되는,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
A flange portion coupled to the rail on which the cable is laid,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main plate in which a slide hole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figured to slide relative to the flange portion;
A fastening part installed through the flange part, movable along the slide hole, and configured to couple the flange part and the main body part,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Including,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guide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plate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lange portion,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wherein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slide hole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의 일 단부에서 상기 제1 롤러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의 타 단부에서 상기 제1 롤러에 대하여 수직이고 상기 제2 롤러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3 롤러를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oller is,
a first roller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main plate and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te;
a second roller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roller at one end of the first roller;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including a third roller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ller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ller and parallel to the second rol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 및 상기 제3 롤러의 각각은 상기 제1 롤러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Each of the second roller and the third roller includes a pair of rollers disposed in front and behind the first rol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에 평행하고 상기 제2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further comprising a cable separation prevention part parallel to the first roller and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roller and the third roll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이탈 방지부는 롤러를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wherein the cabl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ncludes a 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체결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 플랜지와,
상기 제1 플랜지와 평행하고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이격되는 제2 플랜지와,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를 연결하는 플랜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lange part,
A first flang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art passes,
a second flange parallel to the first flang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lange;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including a flang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적층 높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further comprising a sens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stacking height of the cab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적층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높이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further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device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lange portion based on the stacking height detected by the sens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 홀의 내부에 상기 슬라이드 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송출용 가이드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is,
a rack gear formed inside the slide 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hole;
a pinion gear meshing with the rack gear;
A guide device for cable delivery, comprising a drive motor configured to drive the pinion gear and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삭제delete
KR1020230063711A 2023-05-17 2023-05-17 Guide device for cable send-out KR1026224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711A KR102622476B1 (en) 2023-05-17 2023-05-17 Guide device for cable send-o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711A KR102622476B1 (en) 2023-05-17 2023-05-17 Guide device for cable send-o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476B1 true KR102622476B1 (en) 2024-01-10

Family

ID=8951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711A KR102622476B1 (en) 2023-05-17 2023-05-17 Guide device for cable send-o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476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355A (en) * 1992-10-30 1994-05-31 Towa Supply:Kk Electric cable feeding unit
JP2000197230A (en) * 1998-12-24 2000-07-14 Toenec Corp Cable feeding apparatus and cable laying
KR20080102761A (en) * 2007-05-22 2008-11-26 김일종 Supporting appratus for cable arrangement
KR20120083753A (en) * 2011-01-18 2012-07-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able guiding device
JP2013243810A (en) * 2012-05-18 2013-12-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Guide roller device
CN111799703A (en) * 2020-07-09 2020-10-20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中卫供电公司 Electric power communication engineering cable laying device
KR102380674B1 (en) * 2021-07-06 2022-04-01 주식회사 한미개발 Cable puller and method of laying cable using the same
KR102403739B1 (en) * 2021-10-20 2022-05-30 이상우 Cable puller
KR102473373B1 (en) * 2022-08-18 2022-12-0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cable sending devic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355A (en) * 1992-10-30 1994-05-31 Towa Supply:Kk Electric cable feeding unit
JP2000197230A (en) * 1998-12-24 2000-07-14 Toenec Corp Cable feeding apparatus and cable laying
KR20080102761A (en) * 2007-05-22 2008-11-26 김일종 Supporting appratus for cable arrangement
KR20120083753A (en) * 2011-01-18 2012-07-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able guiding device
JP2013243810A (en) * 2012-05-18 2013-12-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Guide roller device
CN111799703A (en) * 2020-07-09 2020-10-20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中卫供电公司 Electric power communication engineering cable laying device
KR102380674B1 (en) * 2021-07-06 2022-04-01 주식회사 한미개발 Cable puller and method of laying cable using the same
KR102403739B1 (en) * 2021-10-20 2022-05-30 이상우 Cable puller
KR102473373B1 (en) * 2022-08-18 2022-12-0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cable send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70818A1 (en) Elevator
US7354100B2 (en) Power slide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US8097808B2 (en) Separation and/or reinforcement device for a wire cable duct
KR101505802B1 (en) Cable guide device, and cable lay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US20120168255A1 (en) Stacker Crane
CA2930301C (en) Rescue elevator system
KR102622476B1 (en) Guide device for cable send-out
KR102079506B1 (en) Stage drive machine with taper multi sheaves
CN112744649B (en) Walking wiring structure of rig floor manipulator
KR20110001043U (en) Traction Guide Device for Cable
CN110092261B (en) Guide wheel support for offset platen
KR102178507B1 (en) Mast support type construction elevator system
EP3517475B1 (en) Elevator rope sway restriction device
US20120085594A1 (en) Drive Arrangement for Machine Roomless Elevator
US8061493B2 (en) Power conducting system for long distances
KR200454118Y1 (en) A safety winch equipment for high place works
US11447367B2 (en) Magnetic tape stabilizing systems
US11148828B2 (en) Tape elevation adjustment device for aircraft arresting systems
KR102605037B1 (en) Cable towing apparatus
US20180118516A1 (en) Elevator safety gear guiding assembly and method
GB2551576A (en) Gangway provided with a movable cable holder
EP3898493B1 (en) Trolley of rope crane
CN220457313U (en) Saddle-shaped fixing device for middle cable of flexible photovoltaic bracket
JP7257538B2 (en) adjustable bracket
CN212406444U (en) Glass lifter guide rail and glass lif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