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456B1 -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456B1
KR102622456B1 KR1020220170310A KR20220170310A KR102622456B1 KR 102622456 B1 KR102622456 B1 KR 102622456B1 KR 1020220170310 A KR1020220170310 A KR 1020220170310A KR 20220170310 A KR20220170310 A KR 20220170310A KR 102622456 B1 KR102622456 B1 KR 102622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band
information
wearable device
fi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남
Original Assignee
김효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남 filed Critical 김효남
Priority to KR102022017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은, 회원이 운동 시작 시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 웨어러블 장치에서 체크되는 체크 정보를 클럽의 내부에 마련된 서버에 전달하는 통신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서 선택된 운동프로그램과 회원의 건강관리정보가 서버에 연결되어 표시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서버는 체크 정보와 회원 정보에 기재된 정보를 연산하여 회원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 선택 및 운동 한계치를 고려한 건강관리정보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하여 고객관리 및 건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운동 중인 회원의 체크 정보를 사전에 분석하여 위급 상황 시 회원에게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고, 미리 입력된 비상 연락망(가족, 지인, 병원 응급실 등)을 통해서 자동으로 연락되게 함으로써 위급 상황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MANAGING SYSTEM FOR FITNESS CUSTOMER}
본 발명은,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하여 고객관리 및 건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운동을 할 때 직장이나 거주지 근처에 있는 피트니스 센터를 자주 찾는다. 일반적으로 피트니스 센터는 월 단위 또는 연 단위로 회원 등록을 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에 방문하여 운동을 하게 된다.
스스로 운동하는 사람 중 정확한 운동방법을 숙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잘못된 운동 방법으로 계속 운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운동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운동동작 동영상을 제공하며, 일부 디바이스는 운동 동작의 정확도를 측정하고 피드백을 제공하지만, 소수의 프리 웨이트 또는 맨손 운동동작 제공에 그치며, 그마저도 횟수 및 정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퍼스널 트레이닝을 받는 경우, 피트니스 센터 관리 프로그램에 회원의 출결사항 및 행정적 데이터는 저장되지만, 회원의 운동 관련 정보는 관리되지 않고 있으며, 퍼스널 트레이닝을 받는 회원의 운동 프로그램은 트레이너 개인적 데이터 관리에 의존하고 있고, 회원의 운동 기록 또한 이용자 스스로 또는 트레이너가 별도로 기록해서 관리해야 한다.
따라서 피트니스 센터 및 트레이너는 회원들의 운동 프로그램 및 운동량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회원의 체력 상태에 맞는 정확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0040호(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08. 1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하여 고객관리 및 건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원이 운동 시작 시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서 체크되는 체크 정보를 클럽의 내부에 마련된 서버에 전달하는 통신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서 선택된 운동프로그램과 회원의 건강관리정보가 상기 서버에 연결되어 표시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체크 정보와 회원 정보에 기재된 정보를 연산하여 회원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 선택 및 운동 한계치를 고려한 건강관리정보를 계산하는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원은 상기 클럽 내부의 지정된 PT 장소나 개인 트레이닝룸에서 그룹핑된 단체운동프로그램 또는 개인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운동 실시 후 변화된 회원정보를 서버를 통해 체크받고, 상기 변화된 회원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본사 서버에 저장되어 미래의 운동프로그램에 반영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회원의 심박수, 혈류, 칼로리 소모량 및 운동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실시 후 변화된 회전정보는 상기 회원의 개인 앱으로 송출될 수 있다.
런닝 머신과 바이크를 포함하는 운동 머신에는 상기 표시 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운동 머신이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기 회원을 감지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회원을 조회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회원의 이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에는 상기 운동 머신에 가강 가까운 3명의 상기 회원의 이름이 표시될 수 있다.
비대면 홈트레이닝에 적용되고, 상기 비대면 홈트레이닝은 상기 회원의 센서가 착용되어 있는 위치를 추적하고, 착용된 상기 센서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를 구현하고, 구현한 자세를 회원의 모니터로 출력하고, 회원의 자세를 감지하여 정밀 분석하고, 분석한 정보를 음성 파일 또는 영상 파일로 생성하여 회원의 상기 모니터로 출력하고, 회원의 자세 변화에 따라 자세를 점수를 상기 모니터로 출력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운동 중인 상기 회원의 체크 정보를 사전에 분석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서 상기 회원의 위급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상기 고객에게 경고 메세지를 발송하고, 미리 입력된 비상 연락망을 통해 자동으로 연락이 전송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시간, 심박수, 칼로리를 포함하는 운동 상태를 표시하는 베이스 바디; 일측부가 상기 베이스 바디에 탈착 결합되는 제1 밴드; 일측부가 상기 베이스 바디에 탈착 결합되며 단부가 상기 제1 밴드의 단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밴드;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밴드 및 상기 제2 밴드의 벤딩된 형상을 유지시키는 벤딩판; 및 상기 제1 밴드의 단부와 상기 제2 밴드의 단부에 마련되어 각각의 상기 단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부는, 일측부는 상기 제1 밴드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2 밴드에 나사 결합되는 간격 조절 바디; 상기 제1 밴드의 상기 단부와 상기 제2 밴드의 상기 단부를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홀딩시키는 슬라이딩 홀딩 바디; 및 상기 제1 밴드의 상기 단부와 상기 제2 밴드의 상기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홀딩 바디에 마련된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되는 복수의 자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 바디에는 상기 제1 밴드에 마련된 제1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1 바디나사산 및 상기 제2 밴드에 마련된 제2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바디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바디나사산과 상기 제2 바디나사산은 좌우 대칭되게 마련되어 상기 간격 조절 바디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바디나사산은 상기 제2 바디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바디나사산은 상기 제2 나사산이 마련된 제2 밴드를 밀어내어 상기 제1 밴드의 상기 단부와 상기 제2 밴드의 상기 단부는 서로 멀어지게 이격되고, 상기 슬라이딩 홀딩 바디에는 복수의 제1 지지돌기와 복수의 제2 지지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지지돌기는 상기 제1 밴드에 마련된 복수의 제1 지지홈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지지돌기는 상기 제2 밴드에 마련된 복수의 제2 지지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는 운동 장소, 운동 종류, 체중과 골격근량과 체지방량과 BMI와 기초대사량과 체지방률을 포함하는 바디기록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웨어러블 장치를 통하여 고객관리 및 건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산출한 부상 위험도를 회원 스스로 컨디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회원이 착용하고 있는 보호대로 전송하거나, 회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트레이너 한 명 이상을 포함하는 회원 관리단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부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운동 중인 회원의 체크 정보를 사전에 분석하여 위급 상황 시 회원에게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고, 미리 입력된 비상 연락망(가족, 지인, 병원 응급실 등)을 통해서 자동으로 연락되게 함으로써 위급 상황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고객 관리 및 결제시스템의 고객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객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심박수를 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블루투스나 유선을 이용하여 운동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회원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를 비대면 방식에 적용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웨어러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딩 홀딩 바디가 분리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간격 조절 바디가 분리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작동도로써 간격 조절 바디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밴드와 제2 밴드의 간격이 멀어지게 이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운동시작 화면 이동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운동 운동 종류 선택과 실내와 운동 측정 상태가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운동 종료 후의 운동 측정 기록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월별 운동 기록과 측정 기록과 운동 기록과 식단 기록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미션 내역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바디 기록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17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이달의 운동분석과 일별 칼로리가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주별, 월별, 년별 운동 기록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최근의 바디 변화가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운동 랭킹과 전체 회원 랭킹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고객 관리 및 결제시스템의 고객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객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심박수를 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블루투스나 유선을 이용하여 운동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회원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를 비대면 방식에 적용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웨어러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딩 홀딩 바디가 분리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간격 조절 바디가 분리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작동도로써 간격 조절 바디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밴드와 제2 밴드의 간격이 멀어지게 이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나아가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운동시작 화면 이동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12는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운동 운동 종류 선택과 실내와 운동 측정 상태가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13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운동 종료 후의 운동 측정 기록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14는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월별 운동 기록과 측정 기록과 운동 기록과 식단 기록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15는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미션 내역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16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바디 기록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17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이달의 운동분석과 일별 칼로리가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주별, 월별, 년별 운동 기록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최근의 바디 변화가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운동 랭킹과 전체 회원 랭킹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은, 회원이 운동 시작 시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1000)와, 웨어러블 장치(1000)에서 체크되는 정보를 클럽의 내부에 마련된 서버에 전달하는 통신 장치와, 서버는 정보와 회원 정보에 기재된 정보를 연산하여 회원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 선택 및 운동 한계치를 고려한 건강관리정보를 계산하고 운동프로그램 선택과 건강관리정보가 서버에 연결되어 표시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는 회원이 운동 시작 시 암 밴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1000)를 착용하고, 웨어러블 장치(1000)에서 체크되는 정보 예를 들어 심박수, 혈류, 칼로리 소모량, 운동 시간 등은 무선 통신 장치(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등)를 통해 클럽의 내부에 마련된 서버로 전달된다.
서버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전달된 정보와 회원 정보에 기재된 회원의 나이, 키, 몸무게, 근육량, 체지방량 등의 정보를 연산하여 회원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 선택 및 운동 한계치를 고려한 건강관리 정보를 회원에게 전달한다. 이때 정보 전달은 클럽의 내부에 있는 표시부나 개인 모니터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회원은 클럽내 지정된 PT 장소나 개인 트레이닝룸에서 그룹핑된 단체운동프로그램 또는 개인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운동 실시 후 변화된 회원정보를 체크 받고, 그 정보는 클럽내 서버 또는 본사 서버에 저장되어 미래의 운동프로그램에 반영될 수 있다. 이는 개인별 홈트레이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각 클럽은 365일 24시간 상시 운영되므로 웨어러블 장치(1000)를 착용하고 운동 중인 회원의 체크 정보를 사전에 분석하여 위급 상황 시 회원에게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고, 미리 입력된 비상 연락망(가족, 지인, 병원 응급실 등)을 통해서 자동으로 연락되게 할 수 있다.
도 2에는 웨어러블 장치(1000)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회원이 웨어러블 장치(1000)의 전원을 켜면 웨어러블 장치(1000)가 서버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서버에 먼저 등록을 하고, 서버에 등록된 경우 운동 머신(로잉, 트레드밀, 사이클 등)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장치(1000)가 서버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000), POE, 메인 공유기, 셋탑박스를 통해 서버에 등록 여부를 알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1000)의 심박수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셋톱박스(Set-Top Box)는 텔레비전 자체적으로 수신할 수 없는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해 주는 제품으로, 텔레비전 위에 설치한 상자라는 뜻으로 붙은 이름이고, PoE(Power of Ethernet)는 랜을 통한 데이터 외에 전력까지도 공급을 해주어 허브에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를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여 작동을 시키는 기술이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장치(1000)가 운동 머신에서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 전술한 서버 등록 절차를 거치게 되고, 운동 머신에서 인식이 되는 경우 머신 주변 1m 이내의 웨어러블 장치(1000)를 탐색한다.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0)를 장착한 최대 3명의 회원이 운동 머신의 화면이나 태블릿 콘솔의 화면에 노출된다.
이때 현재 사용자인 회원이 선택 가능하면 서버에 등록된 정보와 매핑하고, 운동을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전술한 웨어러블 장치(1000)가 인식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거친다.
회원의 운동이 종료되면 서버로 운동 정보 데이터가 전송되고, 운동 머신은 인식 대기 상태로 변경된다.
도 4에는 블루투스나 유선을 이용하여 운동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고, 운동 머신의 회원 로그인 정보는 블루투스나 유선을 이용하여 태블릿 콘솔로 전달되고, 장비 정보 체크 센서에서 감지되는 속도, 케이던스, 파워 등의 운동 정보도 블루투스나 유선을 이용하여 태블릿 콘솔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심박수, 속도, 케이던스, 파워 등은 운동 머신에 있는 화면이나 표시부로 전달되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 회원의 시리얼 넘버(ID)는 서버에 등록되고, 운동 머신 예를 들어 로잉, 바이크, 런닝 머신에 부착된 태블릿 PC에는 블루투스, 안테나 또는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다. 블루투스, 안테나 또는 수신기가 장착된 런닝 머신은 RSSI 임계값에 속하는 주변의 웨어러블 장치(1000)를 장착한 회원들을 검색한다.
운동 머신이 주변의 웨어러블 장치(1000)를 장착한 회원들을 감지하면 서버에서 회원을 조회해서 태블릿 PC에 검색된 회원의 이름을 표시하고, 태블릿 PC에 표시되는 회원의 이름 수는 운동 머신의 주변에 가장 가까운 최대 3명이다.
운동 머신에 올라온 회원이 최종적으로 자기 이름을 선택하면 회원 정보가 서버에 전달된다.
서버는 회원들이 운동 머신에서 운동한 모든 데이터를 전술한 안테나 또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전달받아 저장한다. 또한 클럽 내 표시부로 운동 데이터 및 회원의 심박수 및 칼로리 소비량을 실시간으로 송출할 수 있다.
운동이 완료되면 회원은 태블릿 PC에서 종료하고 다음 단계로 이동한다. 또한 저장된 운동 데이터 및 회원의 심박수 및 칼로리 소비량을 회원의 개인 앱으로 송출할 수 있다.
태블릿 PC에서 운동을 종료하는 과정은 백엔드 시스템에 회원이 더 이상 방금 마친 운동 머신에 연관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려 준다.
회원은 다음 운동 머신으로 이동하고 위와 같은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도 5에는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회원 관리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회원 관리 장치(200)는 산출한 부상 위험도를 회원 스스로 컨디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회원이 착용하고 있는 보호대(300)로 전송하거나, 회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트레이너 한 명 이상을 포함하는 회원 관리단 단말(600)에게 전송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원 관리 장치(200)는 생체 정보 획득부(212), 환경 정보 획득부(214), 활동 정보 획득부(216), 그리고 부상 위험도 추출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 획득부(212)는 보호대(300)로부터 선수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생체 정보를 수신한다.
환경 정보 획득부(2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의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한다.
활동 정보 획득부(216)는 보호대(300)로부터 회원의 활동 시간, 활동 거리, 활동량 등의 활동 정보를 획득하거나, 촬영부(500)로부터 수신한 운동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경기 영상으로부터 회원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회원의 운동량을 계산하거나 회원의 움직임을 모니터링 하여 회원의 활동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부상 위험도 추출부(218)는 생체 정보 획득부(212)가 수신한 회원의 생체 정보, 환경 정보 획득부(214)가 수신한 회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 정보, 그리고 활동 정보 획득부(216)를 통해 획득한 회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생체 회복 능력 데이터 저장부(219)에 저장된 생체 회복 능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원의 부상 위험도를 추출한다. 미 설명 도면부호 400은 외부 단말이고, 600은 회원 관리단 단말이다.
도 6에는 본 실시 예를 비대면으로 실시할 수 있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비대면 트레이닝은 회원의 머리, 팔목 또는 발목 중 한 곳 또는 세곳에 착용되어 있는 부착 센서의 위치를 추척할 수 있다(S10).
비대면 트레이닝은 착용된 부착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회원의 자세를 구현할 수 있고(S20), 구현한 자세를 회원의 모니터 등의 회원이 사용하는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S30).
비대면 트레이닝은 부착 센서를 착용한 회원의 자세를 감지하여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고(S40), 분석한 정보를 음성 파일 또는 영상 파일로 생성하여 회원의 모니터 등의 회원이 사용하는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S50).
한편 비대면 트레이닝은 회원의 자세 변화에 따라 자세의 점수를 출력할 수 있고(S60), 이를 이용하여 회원은 비대면 트레이닝할지라도 보다 정밀하게 자세를 교정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웨어러블 장치(1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가 분리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간격 조절 바디(1510)가 분리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1000)의 작동도로써 간격 조절 바디(15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밴드(1100)와 제2 밴드(1300)의 간격이 멀어지게 이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웨어러블 장치(10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0)와, 일측부가 베이스 바디(1100)에 탈착 결합되는 제1 밴드(1100)와, 일측부가 베이스 바디(1100)에 탈착 결합되며 단부가 제1 밴드(1100)의 단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밴드(1300)와, 제1 밴드(1100)와 제2 밴드(1300)에 마련되어 제1 밴드(1100) 및 제2 밴드(1300)의 벤딩된 형상을 유지시키는 벤딩판(1400)과, 제1 밴드(1100)의 단부와 제2 밴드(1300)의 단부에 마련되어 각각의 단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150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장치(1000)의 베이스 바디(1100)에는, 시간, 심박수, 칼로리, 운동 페이스, 평군심박수와 최고심박수와 운동시간과 고강도 운동시간과 운동거리를 포함하는 측정기록, 식단기록, 미션 내역, 체중과 골격근량과 체지방량과 BMI(신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와 기초대사량과 체지방률을 포함하는 바디기록, 이달의 운동분석, 측정기록 분석, 운동기록 분석, 바디 변화, 운동 랭킹, 전체 회원 랭킹 등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100)에는 무선 통신이 마련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근거리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Zigbee, Z-wave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0)의 제1 밴드(1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0)의 좌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밴드(1100)의 하단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홈(1210)이 마련되고, 제1 결합홈(1210)에는 제1 나사산(123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나사산(1230)에는 간격 조절 바디(1510)에 마련된 제1 바디나사산(1511)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밴드(1100)의 하단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결합홈(1210)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결합홈(1210)에는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지지돌기(1522)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0)의 제2 밴드(1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0)의 우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밴드(1300)의 하단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홈(1310)이 마련되고, 제2 결합홈(1310)에는 제2 나사산(133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밴드(1300)의 하단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결합홈(1310)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2 결합홈(1310)에는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에 마련된 한 쌍의 제2 지지돌기(1523)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0)의 벤딩판(1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밴드(1100)와 제2 밴드(13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 밴드(1100)와 제2 밴드(13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밴드(1100)와 제2 밴드(1300)가 변형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벤딩판(1400)은 얇은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벤딩판(1400)은 구리나 스틸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0)의 간격 조절부(1500)는, 제1 밴드(1100)의 하단부와 제2 밴드(13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1 밴드(1100)의 하단부와 제2 밴드(1300)의 하단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간격 조절부(1500)는 베이스 바디(1100)와 제1 밴드(1100)와 제2 밴드(1300)를 도 7에 도시된 형태로 지지하여 웨어러블 장치(1000)를 쓰러짐없이 안전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간격 조절부(1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제1 밴드(1100)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 밴드(1300)에 나사 결합되는 간격 조절 바디(1510)와, 제1 밴드(1100)의 단부와 제2 밴드(1300)의 단부를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홀딩시키는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와, 제1 밴드(1100)의 단부와 제2 밴드(1300)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에 마련된 자성체(1524)와 인력이 작용되는 복수의 자석 부재(1530)를 포함한다.
간격 조절 바디(1510)에는, 제1 밴드(1100)에 마련된 제1 나사산(1230)과 나사 결합되는 제1 바디나사산(1511)과, 제2 밴드(1300)에 마련된 제2 나사산(1330)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바디나사산(1512)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바디나사산(1511)과 제2 바디나사산(1512)은 좌우 대칭되게 마련되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절 바디(15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바디나사산(1511)은 제2 바디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바디나사산(1512)은 제2 나사산(1330)이 마련된 제2 밴드(1300)를 밀어내어 제1 밴드(1100)의 단부와 제2 밴드(1300)의 상기 단부는 서로 멀어지게 이격(L2)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L1은 간격 조절 바디(1510)를 회전시키기 전의 제1 밴드(1100)와 제2 밴드(1300)의 간격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간격 조절 바디(151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손잡이(15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에는 복수의 제1 지지돌기(1522)와 복수의 제2 지지돌기(1523)가 마련되고,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의 상측 중앙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521)이 마련되고, 이 수용홈(1521)에는 제1 밴드(1100)의 하단부와 제2 밴드(1300)의 하단부와 간격 조절 바디(1510)가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는 수용홈(1521)이 슬라이딩 홈으로 작용되어 제1 밴드(1100)의 상부 방향 또는 제2 밴드(1300)의 상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수용홈(1521)이 마련된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의 내벽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지지돌기(1522)와 한 쌍의 제2 지지돌기(1523)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지지돌기(1522)는 제1 밴드(1100)에 마련된 복수의 제1 지지홈(1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제2 지지돌기(1523)는 제2 밴드(1300)에 마련된 복수의 제2 지지홈(13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를 이동 시 한 쌍의 제1 지지돌기(1522)와 한 쌍의 제2 지지돌기(1523)가 한 쌍의 제1 지지홈(1220)과 한 쌍의 제2 지지홈(1320)에 각각 걸려서 지지되므로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의 하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1524)가 마련된다. 이 자성체(1524)는 제1 밴드(1100)와 제2 밴드(1300)에 마련된 자석 부재(1530)와 인력이 작용되어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는 결합된 상태를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1524)가 제1 밴드(1100)와 제2 밴드(1300)에 마련된 자석 부재(1530)와 인력이 작용되어 부착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홀딩 바디(15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운동시작 화면 이동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실내 운동(헬스, 홈트)과 실외 운동(달기기, 걷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실내 운동의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운동을 시작하여 웨어러블 장치(1000)의 연동이 체크되면 운동 기록이 서버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000)에 측정된다. 이 운동 기록 측정은 심박수를 이용한 칼로리 계산에 적용될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1000)가 연동되면 무조건 심박수로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다. 만약 웨어러블 장치(1000)의 연동이 체크되지 않으면 심박수를 기록할 수 없고, 이때는 헬스 MET(Metabolic Equivalent of Task, 신진대사 해당치) 값으로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외 운동의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운동을 시작하여 GPS 허용이 체크되어 웨어러블 장치(1000)의 연동이 체크되면 운동 기록이 측정된다. 이때 운동 거리 측정과 심박수를 이용한 칼로리 계산이 측정된다. 만약 만약 웨어러블 장치(1000)의 연동이 체크되지 않으면 심박수를 기록할 수 없고, 이때는 달리기, 걷기 MET 값으로 칼로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운동을 시작하여 GPS 허용이 체크되지 않으면 운동 기록을 측정하지 못하므로 실외운동 기록 시 GPS 허용은 필수로 요구될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운동 운동 종류 선택과 실내와 운동 측정 상태가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실내 운동을 선택한 후 웨어러블 장치(1000)가 연동이 안되었을 때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웨어러블 장치(1000)가 연동되지 않았음을 표시하는 내용과 웨어러블 장치(1000)를 연동해야 심박수 및 정확한 소모칼로리를 기록할 수 있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1000)의 연동으로 이동하느냐의 여부를 묻는 내용을 아니오 및 예로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실외 운동을 선택 후 GPS 연동이 안되었을 때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GPS가 허용되지 않은 내용과 GPS를 허용해야 운동거리 및 정확한 운동속도, 소모칼로리를 기록할 수 있다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고, GPS 설정으로 이동하느냐의 여부를 묻는 내용을 아니오 및 예로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실내 운동 시, 도 12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심박수, 시간, 칼로리, 운동거리, 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운동 종료 후의 운동 측정 기록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운동의 종료 후에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심박수, 최고심박수, 운동시간, 고강도 운동시간, 소모칼로리, 운동거리, 운동장소, 운동종류 및 메모가 표시될 수 있다. 고강도 운동시간은 회원의 목표심박수를 계산하여 목표심박수에 도달한 시간의 합산으로 계산될 수 있다. 최대 심박수는 '220-나이'로 계산될 수 있고, 목표심박수는 '최대심박수*0.8(운동강도 80%)'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운동의 종료 후에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거리, 평균페이스, 운동시간, 케이던스, 소모칼로리, 평균심박수 및 운동거리 표시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월별 운동 기록과 측정 기록과 운동 기록과 식단 기록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한달치의 달력, 오늘의 미션 내역 및 달성 여부, 걸음수, 실내운동과 실외 운동의 측정기록, 완료된 운동과 미완료된 운동기록, 식단기록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측정기록은 수기 등록은 불가하고, 운동 '시작-종료'에 자동으로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식단기록에 사진이 하나도 없을 때 기본으로 하나의 빈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미션 내역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는 고강도운동/분, 소모칼로리/분, 운동거리/분, 운동시간/분, 식단기록/이미지 업로드 여부, 하체 근력운동하기 등을 포함하는 미션 내역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는 해당 요일별 미션 달성 및 미달성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바디 기록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는,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량, BMI, 기초대사량, 체지방률이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선택된 날의 가장 마지막 인바디 기록의 일부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한 건의 인바디 기록을 자세히 볼 수 있는 상세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6의 (b)에는 바디기록 상세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바디기록을 가져올 때 바디기록을 매번 가져올지,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가져올지를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는 해당 날짜의 인바디 기록만을 가져올지, 모든 인바디 기록을 다 가져올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7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이달의 운동분석과 일별 칼로리가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는,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모칼로리, 운동시간, 운동거리, 운동일수, 평균심박수 걸음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운동랭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는,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별 소모 칼로리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고, 주별 및 월별 소모칼로리도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8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주별, 월별, 년별 운동 기록이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력운동, 유산소운동(횟수), 근력 및 유산소운동(횟수)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근력운동에는 가슴, 어깨, 이두, 삼두, 복근, 허리, 등, 엉덩이, 대퇴전면부, 대퇴후면부 및 종아리의 근력운동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유산소운동에는 런닝 머신, 스텝퍼, 로잉머신, 싸이클, 스테어마스터, 아크트레이너, 트레킹 및 조깅을 이용한 유산소운동이 횟수로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근력 및 유산소운동에는 근력(맨몸), 근력(머신), 유산소(맨몸) 및 유산소(머신) 운동이 횟수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9는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최근의 바디 변화가 표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는 최근 바디 변화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X축에는 날짜기 표시되고, Y축에는 체중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바디 기록은 불규칙적인 데이터를 측정하여 변화 추이를 보기 위해 정해진 기간의 평균을 내어 기록된 데이터를 나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기록은 최근에 기록된 최대 10건의 기록을 표시할 수 있고, 주별은 7일치 평균값 최근 최대 10건을 표시할 수 있고, 월별은 한달치 평균값 최근 최대 10건을 표시할 수 있고, 년별은 1년치 평균값 최근 최대 10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데이터가 있는 날짜들만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 운동 랭킹과 전체 회원 랭킹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의 웨어러블 장치(1000)의 화면에는 이달의 운동 랭킹과 전체 회원 랭킹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달의 운동 랭킹에는 소모칼로리, 운동시간, 고강도운동시간, 운동거리, 걸음수, 친구수가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전체 회원 랭킹은 공개 설정과 관계없이 모든 회원의 데이터로 순위를 집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하여 고객관리 및 건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산출한 부상 위험도를 회원 스스로 컨디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회원이 착용하고 있는 보호대로 전송하거나, 회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트레이너 한 명 이상을 포함하는 회원 관리단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부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운동 중인 회원의 체크 정보를 사전에 분석하여 위급 상황 시 회원에게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고, 미리 입력된 비상 연락망(가족, 지인, 병원 응급실 등)을 통해서 자동으로 연락되게 함으로써 위급 상황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200 : 회원 관리 장치 300 : 보호대
400 : 외부 단말 500 : 촬영부
600 : 회원 관리단 단말 1000 : 웨어러블 장치
1100 : 베이스 바디 1200 : 제1 밴드
1210 : 제1 결합홈 1220 : 제1 지지홈
1230 : 제1 나사산 1300 : 제2 밴드
1310 : 제2 결합홈 1320 : 제2 지지홈
1330 : 제2 나사산 1400 : 벤딩판
1500 : 간격 조절부 1510 : 간격 조절 바디
1511 : 제1 바디나사산 1512 : 제2 바디나사산
1513 : 손잡이 1520 : 슬라이딩 홀딩 바디
1521 : 수용홈 1522 : 제1 지지돌기
1523 : 제2 지지돌기 1524 : 자성체
1530 : 자석 부재

Claims (9)

  1. 회원이 운동 시작 시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서 체크되는 상기 회원의 심박수, 혈류, 칼로리 소모량 및 운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체크 정보를 클럽의 내부에 마련된 서버에 전달하는 통신 장치;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서 선택된 운동프로그램과 회원의 건강관리정보가 상기 서버에 연결되어 표시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회원의 부상 위험도를 산출하여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는 회원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회원에 대한 나이, 키, 몸무게, 근육량, 체지방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회원 정보 및 상기 체크 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회원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선택과 함께, 상기 회원에 대한 운동 한계치를 고려한 건강관리정보를 계산하여 상기 선택된 운동프로그램 및 상기 운동 한계치를 고려하여 계산된 건강관리정보가 상기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회원 관리 장치는,
    상기 회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
    상기 회원의 위치에서 상기 회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정보인 환경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환경 정보 획득부;
    상기 회원의 활동 시간, 활동 거리, 활동량, 움직임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 및 상기 회원의 운동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회원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회원의 운동량을 추출하는 활동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회원의 생체 회복 능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생체 회복 능력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생체 정보, 환경 정보, 활동 정보 및 생체 회복 능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의 부상 위험도를 계산하여 추출하는,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원은 상기 클럽 내부의 지정된 PT 장소나 개인 트레이닝룸에서 그룹핑된 단체운동프로그램 또는 개인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운동 실시 후 변화된 회원정보를 서버를 통해 체크받되, 상기 변화된 회원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본사 서버에 저장되어 미래의 운동프로그램에 반영되는,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동 실시 후 변화된 회원정보는 상기 회원의 개인 앱으로 송출되는,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런닝 머신과 바이크를 포함하는 운동 머신에는 상기 표시 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운동 머신이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기 회원을 감지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회원을 조회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회원의 이름을 표시하는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는 상기 회원을 포함하여 상기 운동 머신에서 가장 가까운 3명의 이름이 표시되는,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비대면 홈트레이닝에 적용되고,
    상기 비대면 홈트레이닝은 상기 회원의 센서가 착용되어 있는 위치를 추적하고, 착용된 상기 센서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를 구현하며, 구현한 자세를 회원의 모니터로 출력하고, 회원의 자세를 감지하여 정밀 분석하며, 분석한 정보를 음성 파일 또는 영상 파일로 생성하여 회원의 상기 모니터로 출력하고, 회원의 자세 변화에 따라 측정한 자세 점수를 상기 모니터로 출력하여 이루어지는,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운동 중인 상기 회원의 체크 정보를 사전에 분석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서 상기 회원의 위급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고객에게 경고 메세지를 발송하며, 미리 입력된 비상 연락망을 통해 자동으로 연락이 전송되도록 하되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시간, 심박수, 칼로리를 포함하는 운동 상태를 표시하는 베이스 바디;
    일측부가 상기 베이스 바디에 탈착 결합되는 제1 밴드;
    일측부가 상기 베이스 바디에 탈착 결합되며 단부가 상기 제1 밴드의 단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밴드;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밴드 및 상기 제2 밴드의 벤딩된 형상을 유지시키는 벤딩판; 및
    상기 제1 밴드의 단부와 상기 제2 밴드의 단부에 마련되어 각각의 상기 단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부는,
    일측부는 상기 제1 밴드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2 밴드에 나사 결합되는 간격 조절 바디;
    상기 제1 밴드의 상기 단부와 상기 제2 밴드의 상기 단부를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홀딩시키는 슬라이딩 홀딩 바디; 및
    상기 제1 밴드의 상기 단부와 상기 제2 밴드의 상기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홀딩 바디에 마련된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되는 복수의 자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조절 바디에는 상기 제1 밴드에 마련된 제1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1 바디나사산 및 상기 제2 밴드에 마련된 제2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바디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바디나사산과 상기 제2 바디나사산은 좌우 대칭되게 마련되어 상기 간격 조절 바디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바디나사산은 상기 제2 바디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2 바디나사산은 상기 제2 나사산이 마련된 제2 밴드를 밀어내어 상기 제1 밴드의 상기 단부와 상기 제2 밴드의 상기 단부는 서로 멀어지게 이격되고,
    상기 슬라이딩 홀딩 바디에는 복수의 제1 지지돌기와 복수의 제2 지지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지지돌기는 상기 제1 밴드에 마련된 복수의 제1 지지홈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지지돌기는 상기 제2 밴드에 마련된 복수의 제2 지지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는 운동 장소, 운동 종류,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량, BMI, 기초대사량 및 체지방률을 포함하는 바디기록이 표시되는,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KR1020220170310A 2022-12-08 2022-12-08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KR102622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310A KR102622456B1 (ko) 2022-12-08 2022-12-08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310A KR102622456B1 (ko) 2022-12-08 2022-12-08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456B1 true KR102622456B1 (ko) 2024-01-08

Family

ID=8953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0310A KR102622456B1 (ko) 2022-12-08 2022-12-08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4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325A (ko) * 2014-11-06 2016-05-16 장재윤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70040B1 (ko) 2015-11-27 2017-08-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피트니스 트레이닝 방법, 피트니스 트레이닝 시스템 및 피트니스 트레이닝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KR20200059428A (ko) * 2018-11-21 2020-05-29 한국전기연구원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운동 관리 시스템
KR20210013419A (ko) * 2019-07-24 2021-02-04 주식회사 에버닌 트래커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20009884A (ko) * 2020-07-16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20028654A (ko) * 2020-08-31 2022-03-08 (주)프로맥스 미러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태권도 동작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325A (ko) * 2014-11-06 2016-05-16 장재윤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70040B1 (ko) 2015-11-27 2017-08-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피트니스 트레이닝 방법, 피트니스 트레이닝 시스템 및 피트니스 트레이닝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KR20200059428A (ko) * 2018-11-21 2020-05-29 한국전기연구원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운동 관리 시스템
KR20210013419A (ko) * 2019-07-24 2021-02-04 주식회사 에버닌 트래커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20009884A (ko) * 2020-07-16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20028654A (ko) * 2020-08-31 2022-03-08 (주)프로맥스 미러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태권도 동작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0402B2 (en) Automated physical training system
US20220180998A1 (en) Fitness monitoring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190269971A1 (en) Custom workout system
CA2587491C (en) System for measuring physical performance and for providing interactive feedback
KR101687252B1 (ko)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465285B2 (ja) スポーツ用電子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トレーニング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方法
US20170278419A1 (en) Biometric data gathering
KR101931724B1 (ko)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US201002341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hysical exertion
JP2013063357A (ja) スポーツ用ボールを有するスポーツ用電子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JP2015061610A (ja) 対話型運動器具システム
JP2013078593A (ja) 電子ゲーム機能を有するスポーツ用電子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KR101680972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실내 운동 시스템
KR20160000124A (ko)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모니터링 운동처방 및 관리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CN113613736B (zh) 用于递送个性化运动量的系统和方法
KR101628713B1 (ko) 센서 정보와 헬스 아바타를 이용한 운동관리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2622456B1 (ko) 피트니스 고객 관리시스템
JP2017188012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20370853A1 (en) J-sleeve system
CN107016227B (zh) 一种智能设备联动型基于实时运转数据的运动处方的运转指导系统
EP3801789A1 (en) Automated physical training system
CN115335921A (zh) 用于使用来自连接装置的生理测量值来确定情绪连接度的方法和系统
CN112206495A (zh) 结合人体生理信息与运动信息之运动健身设备的使用方法
KR20110066432A (ko) 무인 운동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