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380B1 - 전극패널 탈부착형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 Google Patents

전극패널 탈부착형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380B1
KR102622380B1 KR1020220077096A KR20220077096A KR102622380B1 KR 102622380 B1 KR102622380 B1 KR 102622380B1 KR 1020220077096 A KR1020220077096 A KR 1020220077096A KR 20220077096 A KR20220077096 A KR 20220077096A KR 102622380 B1 KR102622380 B1 KR 102622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eak detection
case
point sensor
electrod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0288A (ko
Inventor
유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한테크
Priority to KR1020220077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380B1/ko
Publication of KR2024000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누액감지포인트센서에 관한 것으로, 전극의 구조를 소모성 패치형태로 제작하여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센싱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그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자식 누액감지포인트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식 누액감지포인트센서는 신호처리용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누액감지용 전극패널을 조립하여 완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케이스에는 하면에서 돌출되어 바닥면과 소정의 이격공간이 생성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4개의 지지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벽에는 회로기판의 접점과 전극패널의 나사홈이 위치맞춤되어 전기적·기계적 연결을 지원하는 도전경로가 구비되며, 그 전극패널의 일면에는 제1전극과 제2전극이 형성되고, 그 제1, 2전극의 양단부에는 상기 도전경로를 경유하여 나사결합을 지원하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그 나사홈을 통한 나사체결에 의해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극패널 탈부착형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Electronic Leak Detection Point Sensor Having Detachable Electrode Panel}
본 발명은 전극패널 탈부착형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의 전극을 소모성 패치형태로 제작하여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의 센싱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그 설치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에 관한 것이다.
인구밀집 지역이나 공장 등의 화학약품 저장소에는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여부를 상시적으로 감시하는 누액감지센서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이로 인해 현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누액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있는데, 그러한 누액감지센서는 물리적 특성에 따라 저항성 누액감지센서와 리액턴스성 누액감지센서로 분류되거나 설치구조에 따라 케이블형, 밴드형, 포인트형 누액감지센서로 분류되어 존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본 출원인은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기능향상을 위한 다수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바, 대표적으로 특허출원 제10-2021-184055호, 제10-2021-184067호, 제10-2022-8713호 및 제10-2022-8717호 등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한 상기의 특허출원 기술들은 모두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기능향상을 위해 내부 전자회로의 개발에만 치중된 기술로서, 그 특허기술들을 이용하여 제작한 누액감지포인트센서를 직접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에 대하여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체감하게 되었는데, 특히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센싱전극은 강우, 강설, 이물질 제거를 위한 물청소 등에 빈번하게 노출되어 그 센싱전극의 도전라인에 대한 성능관리 및 오염처리와 관련된 유지보수 비용의 상승을 피하기 어려웠고, 센싱전극에 수분, 금속, 금속성 분진 등과 같은 이물질의 접촉시 센서의 오작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음을 경험적으로 깨닫게 되었다.
이는 특정 위치의 누액여부만 감지할 수 있고, 주변장치와의 연결작업이 복잡하며, 설치환경에 따라 센서의 형태가 달라서 설치작업 및 유지관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구조적 특성을 간과하고, 단지 누액감지신호의 처리를 위한 전자회로의 개선에만 몰두한 결과에 기인한 것으로 현장적용 이전까지는 미처 발견하지 못한 문제였다.
이에 본 출원인은 현장에서 체감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강기술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으며,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전극구조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개량하여 누액감지의 신뢰도를 높이면서도 오동작의 유발요인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특히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설치작업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틈새기술의 하나로 본 발명을 완성하여 추가로 본 출원을 하게 된 것이다.
(선행특허 1) 특허출원 제10-2021-184055호 (선행특허 2) 특허출원 제10-2021-184067호
본 발명은 한쌍의 센싱전극을 하나의 패널 내에 설치하거나 각 센싱전극을 별도의 독립제품으로 제작하여 대량생산과 원가절감이 가능하도록 하고, 단순히 전극이나 전극패널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오염원의 악영향에 쉽게 대처할 수 있는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의 전극패널을 소모품 성격의 부품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환경에 따른 센싱 신뢰도의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유지보수와 관련된 비용절감이 가능한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감지포인트센서는 신호처리용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100)와 누액감지용 전극패널(110)을 조립하여 완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100)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바닥면과 소정의 이격공간이 생성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4개의 지지다리(120)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벽에는 회로기판의 접점과 전극패널(110)의 나사홈(130)이 위치맞춤되어 전기적·기계적 연결을 지원하는 도전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극패널(110)의 일면에는 제1전극(111)과 제2전극(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전극(111, 112)의 양단부에는 상기 도전경로를 경유하여 나사결합을 지원하는 나사홈(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00)와 전극패널(110)은 지지다리(120)에 의해 생성되는 이격공간 내에서 나사홈(130)을 통한 나사결합에 의해 제1, 2전극(111, 112)이 바닥면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신호처리용 회로기판은 상기 전극패널(110)을 통해 감지한 신호로부터 전기전도도를 산출하는 전기전도도 산출부와 온도보정부, 상기 전기전도도 산출부에서 산출한 전기전도도가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별하는 임계값(0.1㎲/㎝) 초과감지부, 상기 임계값 이상으로 감지된 전기전도도의 산출값에 대응되는 산·알칼리성 물질의 전도도를 표준DB에서 검색하여 비교하는 전도도 비교부 및 상기 전기전도도 비교부의 출력을 통해 누액물질을 특정하는 누액물질 확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전도도 산출부에서 산출된 전기전도도의 값이 수용액의 pH와 전기전도도의 상관관계를 통해 도출된 임계값(0.1㎲/㎝)을 초과하는 영역에서만 선택적으로 누액감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회로를 이용하거나 전극패널(110)의 제1전극(111)의 전압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1전극(111)의 전압이 임계값(Vw)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임계값 감지회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극(111)의 전압이 임계값(Vw)을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에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자동으로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는 회로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100)의 지지다리(120) 길이와 전극패널(110)의 두께를 표준사이즈로 규격화하고, 그 사이에 절연스프링을 개입시켜 전극(111, 112)과 바닥면 사이의 근접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누액감지포인트센서는 제1, 2 전극(111, 112)을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제1, 2 전극(111, 112) 자체를 케이스(100)의 하면에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누액감지포인트센서는 전극(111, 112)과 바닥면 사이의 근접거리가 최종 조립과정에서 그 설치환경에 따라 맞춤형으로 조정될 수 있고, 그 근접거리는 누액감지대상 물질의 특성에 적합하게 임의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다리(120)에 의해 생성되는 전극(111, 112)과 바닥면 사이의 근접거리는 소량의 누액까지 정밀하고 시급하게 감지할 필요가 있는 고위험 물질의 경우에 근접거리를 최대한 줄여서 설계하고, 점성을 갖는 윤활유나 오일 등은 적절한 범위의 여유를 두고 근접거리가 유지되도록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센싱전극이 하나의 패널에 형성된 별도의 독립제품으로 제작하여 대량생산과 원가절감이 가능하고, 그 전극패널을 단순히 교체하는 것만으로 오염원의 악영향을 쉽게 벗어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전극패널을 소모품 성격의 부품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센싱 신뢰도의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유지보수의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한 선출원 특허(선행특허 1)의 누액감지포인트센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한 또다른 선출원 특허(선행특허 2)의 누액감지포인트센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전극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전극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액감지포인트센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10-2021-184055호(선행특허 1)에 개시된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위 선행특허 1은 산·알칼리성 물질에 대한 누액감지에 특화된 것으로,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한쌍의 센싱전극(11, 12)으로 이루어진 센싱전극부(10) 및 제어부(20)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20)는 센싱전극부(10)를 통해 감지한 신호로부터 전기전도도를 산출하는 전기전도도 산출부(21)와 온도보정부(22), 그리고 상기 전기전도도 산출부(21)에서 산출한 전기전도도가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별하는 임계값(0.1㎲/㎝) 초과감지부(23)와 상기 임계값 이상으로 감지된 전기전도도의 산출값에 대응되는 산·알칼리성 물질의 전도도를 표준DB(25)에서 검색하여 비교하는 전도도 비교부(24) 및 상기 전기전도도 비교부(24)의 출력을 통해 누액물질을 특정하는 누액물질 확정부(26)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전도도 산출부(21)에서 산출된 전기전도도의 값이 수용액의 pH와 전기전도도의 상관관계를 통해 도출된 임계값(0.1㎲/㎝)을 초과하는 영역에서만 선택적으로 누액감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는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10-2021-184067호(선행특허 2)에 개시된 누액감지포인트센서를 보여주고 있는데, 위 선행특허 2는 유기용제 및 오일류에 대한 누액감지에 특화된 것으로, 한쌍의 센싱전극(11, 12)으로 이루어진 센싱전극부(10), 모드전환부(20), 전압검출부(30) 및 제어부(40)를 구비하되, 상기 모드전환부(20)는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모드 1과 교류전원을 공급하여 리액턴스를 측정하는 모드 2를 포함하고,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드가 전환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부(40)에는 센싱전극부(10)의 상부전극(11)에 대한 전압신호를 검출하여 그 전압신호가 임계값(Vw)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임계값 감지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전극(11)의 전압이 상기 임계값(Vw)을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에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자동으로 모드 1에서 모드 2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한 도 1, 2의 특허출원 기술들은 모두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감지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험실 단계에서 센싱신호의 처리회로를 개발하는데만 치중한 나머지, 실제 설치환경에서 직면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하여는 깊이 있는 고민과 해결책 제시가 미흡한 상태였다.
현실적으로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로는 센싱신호에 대한 전기적 신호처리방식도 중요하지만 누액여부를 예민하게 감지할 수 있는 센싱전극과 신호처리회로와의 연결방식도 무시할 수 없는 중요요소로 작용하고 있는데,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전극설계를 어떻게 하고 어떤 방식으로 신호처리회로와 연결해야만 최고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했음에도 도 1, 2의 선행특허들은 그 부분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고, 특히 위 선행특허들은 케이스 내부에 센싱전극과 신호처리회로를 함께 수용하는 것을 전제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실제 센싱전극을 설치하는 방식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전극과 설치지면의 상호관계, 오염원의 악영향에 대한 대책 및 유지보수의 편리성 등에 대하여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안고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 2의 누액감지포인트센서는 화학물질 저장탱크나 공급파이프 등의 바닥주변에 설치되어, 한쌍의 센싱전극에 직류 또는 교류전원을 공급하고 이격된 한쌍의 센싱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저항값이나 리액턴스값의 변화를 감지하면서 그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누액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는데, 위와 같은 도 1, 2의 누액감지포인트센서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싱전극과 그 감지신호를 전기적으로 처리하는 전기회로부로 구성되고, 그 센싱전극과 전기회로부는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센싱전극과 전기회로부 사이의 연결케이블은 외부노이즈에 취약할 수밖에 없고, 주변의 오염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쉬우며, 그 연결작업에 전문성과 숙련도가 요구되어 누액감지포인트센서에 대한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를 피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한 선행출원 1, 2의 문제점에 대한 후속연구의 결과물을 추가로 특허출원하고자 하는 것으로, 센싱전극과 신호처리 회로부의 연결관계에 주목하여 센싱전극과 전기회로부 사이의 연결구조를 개선하고, 센싱전극을 별도의 소모품으로 제작하여 대량생산과 원가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며, 단순한 센싱전극의 교체작업만으로 오염원에 의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 그 기술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전극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상단부에는 누액감지포인트센서(100)의 측면도, 중앙부에는 전극패널(110)의 하면도, 하단부에는 전극패널(110)이 결합된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하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3의 상단부에는 상부커버(101)와 하부커버(102) 및 지지다리(120)로 이루어진 케이스(100)의 하면에 전극패널(110)이 결합된 구조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누액감지포인트센서가 예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케이스(100)에는 신호처리 회로기판이 수용되어 있고, 그 케이스(100)의 하부벽에는 회로기판의 전기적 접점과 전극패널(110)의 나사홈(130)이 정렬(위치맞춤)되어 전기적 연결을 지원하는 도전경로(미도시)가 구비되며, 케이스(100)의 하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설치바닥과 케이스(100)의 하면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이 생성되도록 지원하는 4개의 지지다리(1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의 중앙부에 나타낸 전극패널(110)은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나사홈(130)을 이용한 나사체결로 케이스(100)와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전극패널(110)의 일면은 케이스(100)의 하면에 접촉되고, 제1, 2전극(111, 112)이 형성되어 있는 타면은 설치바닥을 향해 노출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지지다리(120)는 상기 전극패널(1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2전극(111, 112)이 그 설치장소의 바닥면과 직접 접촉되지는 않지만 최대한 근접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검출가능한 누액량의 기준이 한쌍의 전극(111, 112)과 바닥면 사이의 근접거리(이격거리)에 따라 결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고위험 물질은 소량의 누액까지 정밀하고 시급하게 감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근접거리를 최대한 줄여서 설계하고, 윤활유나 오일 등은 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다소 여유있게 근접거리를 유지하도록 설계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3의 누액감지포인트센서가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되는 케이스(100)와 전극패널(110)을 조립하여 완성되는 구조라는 점을 감안하면, 케이스(100)의 지지다리(120)의 길이와 전극패널(110)의 두께를 표준사이즈로 규격화하고, 그 사이에 절연스프링을 개입시켜 전극(111, 112)과 바닥면 사이의 근접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최종 조립과정에서 설치환경에 맞게 그 근접거리에 대한 인위적인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3의 하단부에는 전극패널(110)이 결합된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하면도가 개시되어 있는데, 케이스(100)의 하면에는 4개의 지지다리(120), 제1, 2전극(111, 112)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패널(110)의 조립상태가 나타나 있고, 제1, 2전극(111, 112)의 양단부에는 케이스(100)에 수용된 회로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케이스(100)와의 기계적 결합을 지원하는 4개의 나사홈(130)이 구비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도 3에서의 제1, 2전극(111, 112)은 의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제1, 2전극(111, 11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누액감지 대상물질의 특성이나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설치환경에 따라 그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형상변경은 통상적인 PCB(Printed Circuit Board) 제작기법을 이용하여 쉽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도 3의 실시예에 의하면,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센싱전극과 신호처리 회로부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별도의 연결케이블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외부노이즈의 악영향을 줄일 수 있으며, 전극패널(110)을 별도의 소모품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생산과 원가절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순히 전극패널(110)의 교체작업만으로 오동작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100) 지지다리(120)의 길이와 전극패널(110)의 두께를 표준사이즈로 규격화하고, 그 사이에 절연스프링을 개입시켜 그 전극(111, 112)과 바닥면 사이의 근접거리(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누액감지포인트센서를 최종 조립과정에서 그 설치환경에 따라 맞춤형으로 그 근접거리(이격거리)를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앞서 언급한 도 3의 제1 실시예와는 전극구조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4의 누액감지포인트센서는 통상의 PCB(Printed Circuit Board) 제작기법을 이용하여 만든 전극패널(110)을 케이스(100)의 하면에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제1, 2 전극(111, 112)을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제1, 2 전극(111, 112)자체를 케이스(100)의 하면에 직접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지지다리(120)는 도 3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2전극(111, 112)을 설치장소의 바닥면과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지만, 검출가능한 누액량의 기준이 한쌍의 전극(111, 112)과 바닥면 사이의 근접거리(이격거리)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그 지지다리(120)의 길이는 감지대상물질과 설치환경에 적합한 근접거리(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도 4의 실시예에 의하면,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센싱전극과 신호처리 회로부의 연결구조를 더욱 단순화할 수 있고, 제1, 2전극(111, 112)을 별도의 소모품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생산과 원가절감에 유리하며, 단순히 제1전극(111) 또는 제2전극(112)의 선별적 교체작업만으로 오염원에 의한 오동작 가능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누액감지포인트센서의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는데도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 케이스 101 : 상부커버 102 : 하부커버
110 : 전극패널 111 : 제1전극 112 : 제2전극
120 : 지지다리 130 : 나사홈

Claims (8)

  1. 누액감지대상 물질의 저장조가 위치하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누액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소모성 패치 형태의 전극 탈부착형 누액감지 포인트센서에 있어서,
    상기 누액감지 포인트센서는 신호처리용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100) 하면 외부에 상기 회로기판과 별도로 구성하여 탈부착 가능한 누액감지용 전극패널(110)을 조립하여 완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신호처리용 회로기판은 전극패널(110)의 제1전극(111)의 전압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1전극(111)의 전압이 임계값(Vw)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임계값 감지회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극(111)의 전압이 임계값(Vw)을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에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자동으로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회로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회로는 모드전환부, 전압검출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모드전환부는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모드 1과 교류전원을 공급하여 리액턴스를 측정하는 모드 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드가 전환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센싱전극부의 상부전극에 대한 전압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압신호가 임계값(Vw)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임계값 감지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전극의 전압이 상기 임계값(Vw)을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에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자동으로 모드 1에서 모드 2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가장자리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바닥면과 소정의 이격공간이 생성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4개의 지지다리(12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면에는 상기 신호처리용 회로기판의 전기적 접점과 상기 전극패널(110)의 나사홈(130)이 위치맞춤되어 전기적·기계적 연결을 지원하는 도전경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전경로는 상기 전극패널의 상하부 가장자리까지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전극패널(110)의 하면에는 기판의 일면 전체에 전극만을 인쇄한 제1전극(111)과 제2전극(11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2전극(111, 112)의 양단부에는 상기 도전경로에 위치맞춤되어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전극패널(110)의 나사결합을 지원하는 나사홈(13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전극패널(110)은 상기 지지다리(120)에 의해 생성되는 이격공간 내에서 상기 나사홈(130)을 통한 나사체결로 결합되되,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전극패널(110) 사이에는 절연스프링을 개입시켜 상기 제1,2전극(111, 112)과 바닥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격거리는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전극패널(110)의 최종 조립과정에서 누액감지 포인트센서의 설치환경과 누액감지대상 물질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포인트 센서는 전극패널을 필요 시 쉽게 탈부착 할 수 있는 소모성 부품으로 관리되며,
    상기 전극패널(110)은 상기 제1, 2전극(111, 112)이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조립하는 것이 특징인 전극 탈부착형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77096A 2022-06-23 2022-06-23 전극패널 탈부착형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KR102622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096A KR102622380B1 (ko) 2022-06-23 2022-06-23 전극패널 탈부착형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078A KR20240000281A (ko) 2022-06-23 2022-06-23 전극패널 탈부착형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KR1020220077096A KR102622380B1 (ko) 2022-06-23 2022-06-23 전극패널 탈부착형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078A Division KR20240000281A (ko) 2022-06-23 2022-06-23 전극패널 탈부착형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288A KR20240000288A (ko) 2024-01-02
KR102622380B1 true KR102622380B1 (ko) 2024-01-08

Family

ID=895121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096A KR102622380B1 (ko) 2022-06-23 2022-06-23 전극패널 탈부착형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KR1020220077078A KR20240000281A (ko) 2022-06-23 2022-06-23 전극패널 탈부착형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078A KR20240000281A (ko) 2022-06-23 2022-06-23 전극패널 탈부착형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223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5883A (ja) * 2001-08-29 2003-03-05 Mitsubishi Electric Corp 漏洩検知装置
KR102227603B1 (ko) * 2020-10-30 2021-03-12 유종근 접지분리를 이용한 통합형 누액감지 경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436Y2 (ja) * 1988-11-28 1997-08-06 株式会社 キッツ 漏液検知器
JP4131231B2 (ja) * 2003-12-02 2008-08-13 オムロン株式会社 漏液検出器
KR20160006091A (ko) * 2014-07-08 2016-01-18 (주)유민에쓰티 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2310737B1 (ko) * 2019-08-23 2021-10-12 지아이에프코리아 주식회사 이중 감지를 이용한 누액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5883A (ja) * 2001-08-29 2003-03-05 Mitsubishi Electric Corp 漏洩検知装置
KR102227603B1 (ko) * 2020-10-30 2021-03-12 유종근 접지분리를 이용한 통합형 누액감지 경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288A (ko) 2024-01-02
KR20240000281A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680B1 (ko) 수위센서
JP5401333B2 (ja) 回路異常検出装置および方法
US8508373B2 (en) Fluid leak detection and alarm
JP2008506119A (ja) ビルジ・レベル検出用近接センサ
JP4347251B2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の加工液面検出装置
WO2008026882A1 (en) Capacitance type leakage sensor
JP2017003285A (ja) 基板の腐食検出回路及びそれを具備したモータ駆動装置
KR102227603B1 (ko) 접지분리를 이용한 통합형 누액감지 경보시스템
KR102622380B1 (ko) 전극패널 탈부착형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US6229229B1 (en) Liquid sensor for disabling an electrical device
KR20180038839A (ko) 정전용량의 근접 검출 기술을 이용한 유체 감지 센서
KR20160006091A (ko) 용액 누설 감지 장치
CN101371364A (zh) 用于检测有机液体的传感器
JP5086684B2 (ja) 自己診断機能付き近接センサ
KR101362782B1 (ko) 수중펌프 제어장치
KR102021427B1 (ko) 강우 구분형 누액 감지 장치
JP6558212B2 (ja) 水分検出装置
CN100454017C (zh) 用于监控参考半电池的方法和设备
CN204142667U (zh) 水质检测装置和净水机
JP5112119B2 (ja) ガス検知装置
KR102425838B1 (ko) 유기용제 및 오일류용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JPH07239263A (ja) 液体検出装置
KR20110040429A (ko) 정전 용량식의 레벨센서
KR102076294B1 (ko) 필름형 유해화학용액 누설 감지센서를 내장한 커넥터
KR20170021138A (ko) 앰프 일체형 누설 감지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