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951B1 - 삽입 손실 개선을 위한 능동형 스위치 - Google Patents

삽입 손실 개선을 위한 능동형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951B1
KR102621951B1 KR1020220020102A KR20220020102A KR102621951B1 KR 102621951 B1 KR102621951 B1 KR 102621951B1 KR 1020220020102 A KR1020220020102 A KR 1020220020102A KR 20220020102 A KR20220020102 A KR 20220020102A KR 102621951 B1 KR102621951 B1 KR 10262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element
switch
output
output unit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2790A (ko
Inventor
전상근
김은정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52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 H03K17/62Switching arrangements with several input- output-terminals, e.g. multiplexers,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삽입 손실 개선을 위한 능동형 스위치가 개시된다. 능동형 스위치는,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1 RF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1 스위치 소자; 및 상기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2 RF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되, 제1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치 소자는 공통 베이스 구조를 가지도록 병렬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삽입 손실 개선을 위한 능동형 스위치{Active switch for insertion loss compensation}
본 발명은 삽입 손실 개선을 위한 능동형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RF 스위치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신호의 전송경로에 직렬로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방식, 전송경로에 병렬로 연결하는 방식, 또는 직렬과 병렬을 함께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신호의 전송경로에 직렬로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경우 트랜지스터가 on 상태일 때 신호가 통과하며, off 상태일 때 open 임피던스로 신호가 통과하지 않는다. 신호의 전송경로에 병렬로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경우 트랜지스터가 off 상태일 때 신호가 통과하며, on 상태일 때 open 임피던스로 신호가 통과하지 않는다.
스위치의 주요 평가 지표로는 삽입 손실과 격리도가 있으며, 이는 트랜지스터의 on/off 저항과 관련되어 있다. 직렬 스위치에서 on 저항은 삽입손실과 관련된 파라미터로 on 저항이 작을수록 삽입 손실이 작아지게 된다. off 저항은 스위치의 격리도와 관련된 파라미터로 off 저항이 클수록 격리도가 커지게 된다.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트랜지스터의 on/off 저항 뿐만 아니라 off 커패시턴스 또한 고려해야한다. 직렬 스위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off 커패시턴스가 격리도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고, 반대로 병렬 스위치에서는 off 커패시턴스에 의한 삽입 손실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밀리미터웨이브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트랜지스터의 off 커패시턴스에 의한 직렬 스위치의 격리도 성능 저하가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대부분 병렬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낮은 주파수 대역이나 밀리미터 대역에서의 스위치는 수동형 스위치가 주로 사용되었지만 테라헤르츠와 같은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트랜지스터의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에 의한 성능 저하 및 수동 소자의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수동형 스위치의 삽입 손실이 매우 증가하게 된다. 특히 RF 신호의 전송 경로에 트랜지스터가 병렬 연결되는 스위치의 경우 동작 주파수에 대한 파장의 1/4 만큼의 긴 전송선로가 필수적이므로 전송선로에 의한 손실이 추가된다. 이러한 특징은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삽입 손실 개선을 위한 능동형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토폴로지에 적용이 가능한 능동형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SPST, SPDT, DPDT 등과 같은 다양한 스위치 구조에 적용이 가능한 능동형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삽입 손실 개선을 위한 능동형 스위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1 RF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1 스위치 소자; 및 상기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2 RF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되, 제1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치 소자는 공통 베이스 구조를 가지도록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치 소자는 제1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이되,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로 바이어스 전압(Vcc)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로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상기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가 증폭되어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2 출력부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1 RF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1 스위치 소자; 제1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2 RF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치 소자; 제2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1 RF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3 스위치 소자; 및 제2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2 RF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4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상기 제2 스위치 소자, 상기 제3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4 스위치 소자는 공통 베이스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치 소자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1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가 증폭되어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2 출력부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되며, 상기 제3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4 스위치 소자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2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가 증폭되어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2 출력부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RF 입력부로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스위치 소자; 제2 RF 입력부로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스위치 소자;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치 소자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입력받아 증폭하여 제1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3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치 소자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입력받아 증폭하여 제2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4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내지 제4 스위치 소자는 공통 베이스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내지 제4 스위치 소자는 각각 트랜지스터이되, 상기 제1 스위치 소자의 컬렉터와 상기 제2 스위치 소자의 컬렉터는 상기 제3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4 스위치 소자의 이미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3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4 스위치 소자의 컬렉터는 바이어스 전압(Vcc)가 인가되며, 상기 제3 스위치 소자의 컬렉터는 상기 제1 출력부와 연결되고, 상 기 제4 스위치 소자의 컬렉터는 상기 제2 출력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치 소자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입력부와 상기 제2 입력부 중 어느 하나로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3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4 스위치 소자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증폭된 신호를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2 출력부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삽입 손실 개선을 통해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토폴로지에 적용이 가능하며, SPST, SPDT, DPDT 등과 같은 다양한 스위치 구조에 적용이 가능한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위치 소자 또는 제2 스위치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능동형 스위치의 삽입 손실과 격리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능동형 스위치의 삽입 손실과 격리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능동형 스위치의 삽입 손실과 격리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도 2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위치 소자 또는 제2 스위치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능동형 스위치의 삽입 손실과 격리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스위치(100)는 RF 입력부(110), 제1 스위치 소자(120), 제2 스위치 소자(130), 제1 출력부(140) 및 제2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F 입력부(110)는 입력 신호를 인가 받기 위한 수단이다. RF 입력부(110)를 통해 인가된 신호는 제1 스위치 소자(120)와 제2 스위치 소자(130)로 전달된다.
제1 스위치 소자(120)와 제2 스위치 소자(130)는 병렬로 연결되되, 각각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스위치 소자(120)와 제2 스위치 소자(130)는 RF 입력부(11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제1 출력부(140) 및 제2 출력부(150)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한다.
제1 스위치 소자(120)와 제2 스위치 소자(130)는 베이스로 인가되는 베이스 전압에 의해 제1 스위치 소자(120) 및 제2 스위치 소자(130)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스위치 소자(120)와 제2 스위치 소자(130)는 트랜지스터로 공통 베이스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소자(120) 및 제2 스위치 소자(130)의 각 이미터는 RF 입력부(110)와 연결된다. 따라서, RF 입력부(110)를 통해 인가된 신호는 제1 스위치 소자(120)와 제2 스위치 소자(130)의 각 이미터로 입력된다.
또한, 제1 스위치 소자(120)와 제2 스위치 소자(130)의 컬렉터는 제1 출력부(140), 제2 출력부(150)와 연결되며, 제1 스위치 소자(120)와 제2 스위치 소자(130)의 컬렉터에는 고정 바이어스 전압(Vcc)가 일정하게 인가된다.
제1 스위치 소자(120)와 제2 스위치 소자(130)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에 따라 제1 스위치 소자(120)와 제2 스위치 소자(130) 중 어느 하나가 동작된다.
만일 RF 입력부(110)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제1 출력부(140)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스위치 소자(120)의 베이스(Vbb1)로 베이스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제2 스위치 소자(130)의 베이스(Vbb2)로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 스위치 소자(120)가 동작되어 RF 입력부(110)를 통해 인가된 신호가 제1 스위치 소자(120)에 의해 증폭되어 제1 출력부(140)로 출력된다(도 2 참조).
다른 예를 들어, RF 입력부(110)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제2 출력부(150)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스위치 소자(120)의 베이스(Vbb1)로는 베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으며, 제2 스위치 소자(130)의 베이스(Vbb2)로 베이스 전압을 인가하여 제2 스위치 소자(130)로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입력부(110)를 통해 인가된 신호는 제2 스위치 소자(130)를 통해 증폭되어 제2 출력부(150)로 출력될 수 있다(도 3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 소자(120) 및 제2 스위치 소자(130)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로 적절한 베이스 전압을 인가하여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이득을 가질 수 있으며, 정합을 위한 수동 소자 등으로 인한 손실 보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4에는 도 1의 능동형 스위치의 삽입 손실과 격리도를 측정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삽입 손실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능동형 스위치의 삽입 손실과 격리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스위치(500)는 제1 입력부(510a), 제2 입력부(510b), 제1 스위치 소자(520a), 제2 스위치 소자(520b), 제3 스위치 소자(520c), 제4 스위치 소자(520d), 제1 출력부(530a) 및 제2 출력부(53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입력부(510a)는 제1 스위치 소자(520a) 및 제2 스위치 소자(520b)의 이미터와 연결되며, 제2 입력부(510b)는 제3 스위치 소자(520c) 및 제4 스위치 소자(520d)의 이미터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입력부(510a)를 통해 인가된 신호는 제1 스위치 소자(520a) 및 제2 스위치 소자(520b)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증폭되어 제1 출력부(530a) 및 제2 출력부(530b)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부(510b)를 통해 인가된 신호는 제3 스위치 소자(520c) 및 제4 스위치 소자(520d)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증폭되어 제1 출력부(530a) 및 제2 출력부(530b)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소자(520a) 내지 제4 스위치 소자(520d)는 트랜지스터이되, 공통 베이스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소자(520a) 내지 제4 스위치 소자(520d)의 컬렉터는 바이어스 전압(Vcc)가 일정하게 인가된다.
따라서, 제1 입력부(510a)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제1 출력부(530a)로 출력하는 경우, 제1 스위치 소자(520a)의 베이스(Vbb1)로 전압을 인가하여 제1 스위치 소자(520a)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제2 스위치 소자(520b) 내지 제4 스위치 소자(520d)의 베이스(Vbb2 내지 Vbb4)로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 입력부(510a)를 통해 인가된 신호가 제1 스위치 소자(520a)에 의해 증폭되어 제1 출력부(530a)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부(510a)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제2 출력부(530b)로 출력하는 경우, 제2 스위치 소자(520b)의 베이스(Vbb2)로 전압을 인가하여 제2 스위치 소자(520b)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제1 스위치 소자(520a), 제3 스위치 소자(520c) 내지 제4 스위치 소자(520d)의 베이스(Vbb1, Vbb3 내지 Vbb4)로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 입력부(510a)를 통해 인가된 신호가 제2 스위치 소자(520b)에 의해 증폭되어 제2 출력부(530b)로 출력된다.
또한, 제2 입력부(510b)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제1 출력부(530a)로 출력하는 경우, 제3 스위치 소자(520c)의 베이스(Vbb3)로 전압을 인가하여 제3 스위치 소자(520c)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제1 스위치 소자(520a), 제2 스위치 소자(520b) 및 제4 스위치 소자(520d)로는 전류를 인가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2 입력부(510b)를 통해 인가된 신호는 제3 스위치 소자(520c)로 입력된 후 증폭되어 제1 출력부(530a)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입력부(510b)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제2 출력부(530b)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4 스위치 소자(520d)의 베이스(Vbb4)로 전압을 인가하여 제4 스위치 소자(520d)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제1 스위치 소자(520a) 내지 제3 스위치 소자(520c)로는 전류를 인가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2 입력부(510b)를 통해 인가된 신호는 제4 스위치 소자(520d)로 입력된 후 증폭되어 제2 출력부(530b)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능동형 스위치(500)는 공통 베이스 구조를 적용하여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바이어스 전압(Vcc)을 일정하게 인가한 후 베이스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제1 스위치 소자 또는 제2 스위치 소자로 전류를 흐르도록 하여 이미터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증폭한 후 복수의 출력부(제1 출력부, 제2 출력부)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는 도 5의 능동형 스위치 구조의 삽입손실과 격리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공통 베이스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삽입 손실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능동형 스위치의 삽입 손실과 격리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스위치(700)는 공통 베이스 트랜지스터 2단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스위치(700)는 제1 입력부(710a), 제2 입력부(710b), 제1 스위치 소자(720a), 제2 스위치 소자(720b), 제3 스위치 소자(720c) 및 제4 스위치 소자(720d), 제1 출력부(730a) 및 제2 출력부(73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입력부(710a)는 제1 스위치 소자(720a)의 이미터와 연결되며, 제1 스위치 소자(720a)의 컬렉터는 제3 스위치 소자(720c) 및 제4 스위치 소자(720d)의 이미터와 연결된다. 또한, 제2 입력부(710b)는 제2 스위치 소자(720b)의 이미터와 연결되며, 제2 스위치 소자(720b)의 컬렉터는 제3 스위치 소자(720c) 및 제4 스위치 소자(720d)의 이미터와 연결된다. 제1 스위치 소자(720a) 내지 제4 스위치 소자(720d)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제3 스위치 소자(720c)와 제4 스위치 소자(720d)의 컬렉터에는 바이어스 전압(Vcc)이 일정하게 인가될 수 있으며, 제1 출력부(730a)와 제2 출력부(730b)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입력부(710a)로 인가된 신호를 제1 출력부(730a)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스위치 소자(720a)의 베이스(Vbb1)와 제3 스위치 소자(720c)의 베이스(Vbb3)로 일정한 전압을 각각 인가하여 제1 스위치 소자(720a)와 제3 스위치 소자(720c)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제2 스위치 소자(720b)와 제4 스위치 소자(720d)의 베이스(Vbb2, Vbb4)에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 입력부(710a)로 인가된 신호는 제1 스위치 소자(720a)로 입력된 후 증폭되어 출력되어 제3 스위치 소자(720c)로 입력되며, 제3 스위치 소자(720c)에 의해 다시 증폭된 후 제1 출력부(730a)로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입력부(710a)로 인가된 신호를 제2 출력부(730b)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스위치 소자(720a)의 베이스(Vbb1)와 제4 스위치 소자(720d)의 베이스(Vbb4)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제1 스위치 소자(720a)와 제4 스위치 소자(720d)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제2 스위치 소자(720b)와 제3 스위치 소자(720c)의 베이스(Vbb2, Vbb3)에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 입력부(710a)로 인가된 신호는 제1 스위치 소자(720a)에 의해 증폭되어 제4 스위치 소자(720d)로 입력된 후 제4 스위치 소자(720d)에 의해 다시 증폭되어 제2 출력부(730b)로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입력부(710b)로 인가된 신호를 제1 출력부(730a)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스위치 소자(720b)의 베이스(Vbb2)와 제3 스위치 소자(720c)의 베이스(Vbb3)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제2 스위치 소자(720b)와 제3 스위치 소자(720c)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제1 스위치 소자(720a)의 베이스(Vbb1)와 제4 스위치 소자(720d)의 베이스(Vbb4)에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2 입력부(710b)로 인가된 신호는 제2 스위치 소자(720b)로 입력되어 증폭된 후 제3 스위치 소자(720c)로 입력된 후 제3 스위치 소자(720c)에서 증폭된 후 제1 출력부(730a)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부(710b)로 인가된 신호를 제2 출력부(730b)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스위치 소자(720b)의 베이스(Vbb2)와 제4 스위치 소자(Vbb4)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제2 스위치 소자(720b)와 제4 스위치 소자(720d)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제1 스위치 소자(720a)의 베이스(Vbb1)과 제3 스위치 소자(720c)의 베이스(Vbb3)로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2 입력부(710b)를 통해 인가된 신호는 제2 스위치 소자(720b)로 전달되어 증폭된 후 제4 스위치 소자(720d)로 출력되며 제4 스위치 소자(720d)에서 증폭되어 제2 출력부(730b)로 출력될 수 있다.
도 8에는 도 8의 능동형 스위치의 삽입 손실과 격리도를 측정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공통 베이스 트랜지스터 2단을 사용한 경우에도 이득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능동형 스위치
110: RF 입력부
120: 제1 스위치 소자
130: 제2 스위치 소자
140,150: 제1 출력부, 제2 출력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제1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1 RF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1 스위치 소자;
    제1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2 RF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치 소자;
    제2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1 RF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3 스위치 소자; 및
    제2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2 RF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4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상기 제2 스위치 소자, 상기 제3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4 스위치 소자는 공통 베이스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스위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내지 상기 제4 스위치 소자는 각각 트랜지스터이되,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내지 상기 제4 스위치 소자의 컬렉터로 바이어스 전압(Vcc)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스위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치 소자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1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가 증폭되어 상기 제1 RF 출력부 및 상기 제2 RF 출력부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되며,
    상기 제3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4 스위치 소자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2 RF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가 증폭되어 상기 제1 RF 출력부 및 제2 RF 출력부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스위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20102A 2021-10-13 2022-02-16 삽입 손실 개선을 위한 능동형 스위치 KR102621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700 2021-10-13
KR20210135700 2021-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790A KR20230052790A (ko) 2023-04-20
KR102621951B1 true KR102621951B1 (ko) 2024-01-09

Family

ID=8614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102A KR102621951B1 (ko) 2021-10-13 2022-02-16 삽입 손실 개선을 위한 능동형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9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9360A (ja) * 2010-05-10 2011-11-24 Mediatek Singapore Pte Ltd ミリメートル波減衰器及びシャントスイッチング回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0431A1 (de) * 2003-01-09 2004-07-22 Deutsche Thomson-Brandt Gmbh Regelbarer HF-Breitbandverstärker mit konstanter Eingangsimpedanz
KR20040095759A (ko) * 2003-04-28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증폭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9360A (ja) * 2010-05-10 2011-11-24 Mediatek Singapore Pte Ltd ミリメートル波減衰器及びシャントスイッチング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790A (ko)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4901B2 (en) Wideband AFT power amplifier systems with frequency-based output transformer impedance balancing
US8970296B1 (en) Amplifying circuit with bypass mode and series isolation switch
EP2306639B1 (en) Amplifier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0955822B1 (ko) 선형성이 향상된 차동 증폭 회로
KR102621951B1 (ko) 삽입 손실 개선을 위한 능동형 스위치
CN111193477B (zh) 一种复合放大器
CN116961690B (zh) 双模射频前端模组
US7282993B2 (en) Frequency characteristics-variable amplify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H07122943A (ja) 集積回路形式の超広帯域直流マイクロ波増幅デバイス
TWI240482B (en) Inter-stage coupling in multistage amplifiers
Pazhouhesh A broadband class AB power amplifier with second harmonic injection
KR20240073165A (ko) 가변 이득 증폭기 및 송신 장치
John et al. Investigation of direct-coupled amplifier topologi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ing normally-on mHEMT technology
Wang et al. A 3.4 GHz to 4.3 GHz frequency-reconfigurable class E power amplifier with an integrated CMOS-MEMS LC balun
US10826448B2 (en) Trans-impedance amplifier (TIA) with a T-coil feedback loop
Yishay et al. A 17.5-dBm D-band power amplifier and doubler chain in SiGe BiCMOS technology
Perennec et al. Computer-aided design of hybrid and monolithic broad-band amplifiers for optoelectronic receivers
WO2002056458A2 (en) A fully differential, variable-gain amplifier and a multidimensional amplifier arrangement
JPH0946148A (ja) 電力増幅器
KR101637672B1 (ko) 고주파 신호 생성 장치
Manni et al. Experimental Validation of Class F Waveform Engineering in Class C Biasing Condition
CN213661576U (zh) 一种温度漂移抑制电路
Zhang et al. Architecture comparison for concurrent multi-band linear power amplifiers
Huang et al. An X-/Ku-Band CMOS Broadband Power Amplifier with Transformer-Coupled Resonator
US9401770B1 (en) Broadband integrated single ended to differential active balun with an n-Way power splitter, DC power shutdown circuit, and /or a default-on 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