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691B1 -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 - Google Patents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691B1
KR102621691B1 KR1020230026521A KR20230026521A KR102621691B1 KR 102621691 B1 KR102621691 B1 KR 102621691B1 KR 1020230026521 A KR1020230026521 A KR 1020230026521A KR 20230026521 A KR20230026521 A KR 20230026521A KR 102621691 B1 KR102621691 B1 KR 102621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receiving
trigger
accommodating
contac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현
조아라
Original Assignee
에이치이티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이티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이티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26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구조물에 설치된 배관에 전달되는 진동 혹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을 개시한다.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은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형강빔에 안착되는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로서, 배관의 일부가 내부에 수납되기 위한 수용공간과 수용공간에 연통되고 배관이 삽입되기 위한 인입홀과 수용공간에 연통되고 인입홀과 대향되는 개방홀을 가지며 배관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수용부, 수용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 그 상부가 몸체부를 지지하고 그 하부가 형강빔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형강빔에서 발생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몸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흡수부재와 제1 흡수부재의 하측에 이격되고 형강빔에 설치되는 제2 흡수부재와 적어도 일부가 탄성력을 가지고 제1 흡수부재와 제2 흡수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흡수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되는 과정에서 배관을 지지한 상기 수용부의 일부분에 걸리며 수용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부 및 배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의 누전 여부를 판별하여 누전이 발생될 경우 누전 발생 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체결부는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중심부재, 그 중심부가 상기 중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일측이 몸체부를 관통하며 수용부와의 접촉에 의해 그 일측이 상하로 회전 이동 가능하고 그 일측에서 그 타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두께가 감소하는 트리거부재, 트리거부재의 일측이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도록 트리거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수용부에 구비되는 체결돌기가 끼워지기 위한 체결부재, 트리거부재의 일측에 상측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트리거부재 및 수용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몸체부에 설치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력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Vibration absorbing piping structure}
본 발명은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에 설치된 배관에 전달되는 진동 혹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배관 행거는 아파트나 고층건물의 지하층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을 천정에 매달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층의 콘크리트 내에 매설된 인서트 플레이트 또는 천정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천정 행거 볼트에 결합되어 배관을 천정으로부터 일정간격 유지하고 배관의 수평 상태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배관 내의 유체 흐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배관의 이완 또는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종래에는 배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강빔에 배관 지지대를 설치하고, 배관 지지대에 배관을 지지 고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배관 지지대는 다수의 배관을 배관 지지대의 위에 올려놓고 예컨데, 강철끈 등으로 배관 지지대에 배관을 고정시켰다. 하지만, 종래의 배관 지지대는 외부의 충격 혹은 지진등이 발생될 경우, 배관이 배관 지지대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관이 배관 지지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술한 외부의 충격 혹은 지진 등이 발생될 경우, 배관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배관 지지대가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관 내부에 인입되는 전선으로부터 누전이 발생될 경우, 누전된 전기가 배관을 타고 이동하므로,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KR 20-0213625 Y1
본 발명은 구조물에 설치된 배관에 전달되는 진동 혹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은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형강빔에 안착되는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로서, 상기 배관의 일부가 내부에 수납되기 위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배관이 삽입되기 위한 인입홀과,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인입홀과 대향되는 개방홀을 가지며, 상기 배관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수용부; 상기 수용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 그 상부가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고, 그 하부가 상기 형강빔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상기 형강빔에서 발생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흡수부재와, 상기 제1 흡수부재의 하측에 이격되고 상기 형강빔에 설치되는 제2 흡수부재와, 적어도 일부가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제1 흡수부재와 상기 제2 흡수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흡수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관을 지지한 상기 수용부의 일부분에 걸리며, 상기 수용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부; 및 상기 배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의 누전 여부를 판별하여, 누전이 발생될 경우 누전 발생 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중심부재; 그 중심부가 상기 중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일측이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며, 상기 수용부와의 접촉에 의해 그 일측이 상하로 회전 이동 가능하고, 그 일측에서 그 타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두께가 감소하는 트리거부재; 상기 트리거부재의 일측이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트리거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는 체결돌기가 끼워지기 위한 체결부재; 상기 트리거부재의 일측에 상측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트리거부재; 및 상기 수용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력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트리거부재는, 상기 트리거부재의 일측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로 신장수축 가능한 제1 보조트리거바디; 및 상기 트리거부재의 타측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로 신장수축 가능한 제2 보조트리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트리거바디와 상기 제2 보조트리거바디는, 상기 제1 보조트리거바디가 수축될 경우 상기 제2 보조트리거바디가 신장되고, 상기 제1 보조트리거바디가 신장될 경우 상기 제2 보조트리거바디가 수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트리거부재에 연결되는 결합바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바디에 연결되는 가이드바디; 중심부를 상기 가이드바디가 관통하고, 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바디에 지지되는 무빙바디; 상기 무빙바디에서 상기 가이드바디의 둘레를 감싸도록 수평하게 연장되고,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바디를 항해 절곡되며, 상기 무빙바디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절곡된 부분에 상기 체결돌기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바디; 상기 결합바디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바디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바디에서 상기 결합바디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결합바디에 결합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정바디; 및 상기 무빙바디와 상기 결합바디 사이에서 신장수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용부와 접촉 가능한 몸체부재; 상기 수용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재에 설치되는 유도부재; 및 상기 수용부가 슬라이딩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재에 설치되는 멈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흡수부재; 상기 제1 흡수부재의 하측에 이격되는 제2 흡수부재; 및 적어도 일부가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제1 흡수부재와 상기 제2 흡수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그 일측에 상기 인입홀의 일부를 형성하고, 그 타측에 상기 개방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수용부재; 상기 제1 수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에 상기 인입홀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고, 그 타측에 상기 개방홀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2 수용부재; 상기 제1 수용부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의 체결부재에 끼움 체결 가능한 체결돌기;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일측 하부와 상기 제1 수용부재의 타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유도부재에 체결되는 결합리브;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 중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내벽체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탄성지지부재;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 중 상기 인입홀을 구획하는 내벽체에서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인입유도부재; 및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 중 상기 개방홀을 구획하는 내벽체에서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충격완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이동기; 상기 제1 이동기의 단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는 제1 연결기; 상기 제1 연결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관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배관이 이동할 경우 상기 배관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제1 접촉롤러; 그 일단이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벽체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1 이동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이동기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제1 탄성기; 그 일단이 상기 제1 접촉롤러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1 연결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촉롤러의 양측에서 상기 제1 접촉롤러를 탄성 지지하는 한쌍의 제1 보조탄성기; 및 상기 제1 접촉롤러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한 진동흡수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흡수커버는, 상기 제1 접촉롤러의 둘레면를 감싸는 메인 커버파트와, 상기 메인 커버파트의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1 접촉롤러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복수의 서브 커버파트를 구비하며, 고리 형상을 갖는 커버유닛;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커버파트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커버유닛 보다 짧은 둘레길이를 갖는 한쌍의 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커버파트의 폭(Wc)은, 상기 제1 접촉롤러의 폭(w)과 동일하고, 상기 서브 커버파트의 폭(Ws)은, 상기 메인 커버파트의 폭(Wc)의 0.3 내지 0.5 배이고, 상기 커버유닛은, 방진원단으로 이루어지며,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서 결정되는 둘레길이(L)를 갖고,
[수학식 1]
커버유닛의 둘레길이(L) = 제1 접촉롤러의 둘레길이(l) + 여유 길이(m)
상기 수학식 1의 상기 여유 길이(m)는,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서 결정되고,
[수학식 2]
여유 길이(m) = 2 × 제1 접촉롤러의 폭(w) × 여유 계수(k)
상기 수학식 2의 상기 여유 계수(k)는, 상기 제1 접촉롤러의 폭(w) 및 상기 제1 접촉롤러의 직경(d)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탄성유닛의 둘레길이(b)는, 하기의 수학식 3에 의해서 결정되고,
[수학식 3]
탄성유닛의 둘레길이(b)=커버유닛의 둘레길이(L) × 조임 계수(s)
상기 수학식 3의 상기 조임 계수(s)는, 상기 탄성유닛의 최대팽창계수(e)가 작을수록 그 값이 커지고(즉, 반비례이고), 상기 방진원단은, 0.2 ㎛ 입자에 대해 82% 내지 98%의 차폐도를 가지며, 0% 내지 2.5%의 신축률을 갖고, 상기 방진원단은 95% 이상 99% 미만의 폴리에스테르와 0% 초과 3.5% 이하의 카본을 포함한다.
상기 인입유도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인입유도모터; 상기 인입유도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인입유도모터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동접촉롤러샤프트; 상기 구동접촉롤러샤프트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인입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관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인입유도모터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동접촉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접촉롤러는,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허브; 상기 한쌍의 허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허브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45°의 경사로 배치되는 복수의 패시브롤러;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의 중심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허브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 상기 한쌍의 허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링; 및 상기 지지링을 상기 패시브롤러와 함께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회전유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도체는, 상기 한쌍의 허브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회전유도체샤프트; 및 상기 회전유도체샤프트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유도체샤프트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지지링이 고정되는 복수의 메인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링은, 상기 패시브롤러의 굴곡진 외주면에 대응하여 상기 패시브롤러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홈을 형성하고, 상기 함몰홈의 외주면이 마찰표면처리(Knurling)되고, 상기 한쌍의 허브는, 제1 허브부재와 상기 제1 허브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허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브부재는, 상기 제1 허브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사선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 허브부재 가장자리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릿; 그 내부에 상기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보조베어링;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보조베어링 각각을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서 상기 보조베어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의 연장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조절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개방홀로 이동 가능한 제2 이동기; 상기 제2 이동기의 단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방홀 내에 배치되는 제2 연결기; 상기 제2 연결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관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배관이 이동할 경우 상기 배관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제2 접촉롤러; 그 일단이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벽체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2 이동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이동기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제2 탄성기; 및 그 일단이 상기 제2 접촉롤러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2 연결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접촉롤러의 양측에서 상기 제2 접촉롤러를 탄성 지지하는 한쌍의 제2 보조탄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롤러는, 상기 제2 접촉롤러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센터부재; 상기 센터부재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센터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개방홀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배관에 접촉 가능한 컨택부재; 상기 센터부재와 상기 컨택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흡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흡인부재는, 상기 센터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메인충격흡수홀과, 상기 센터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그 사이에 복수개의 상기 메인충격흡수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충격흡수바를 가지며, 상기 메인충격흡수홀은, 육각 형상(hexagonal)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충격흡수바는, 각각 허니콤(honeycomb)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센터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센터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파트와, 상기 복수의 제1 파트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컨택부재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파트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탄성지지부재가 배관을 탄성지지하므로, 배관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배관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으로부터 누전이 발생될 경우, 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에 의해 누전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강빔에 설치된 몸체부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배관을 수용하는 수용부에 전달되어 수용부 혹은 배관이 파손될 경우, 수용부 및 배관을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해 형강빔으로부터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의 구조물이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형강빔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에 배관이 지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흡수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입유도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입유도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접촉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접촉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진동흡수커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진동흡수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의 구조물이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형강빔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에 배관이 지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흡수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B-B'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입유도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입유도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C-C'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접촉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접촉롤러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진동흡수커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진동흡수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1000)은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형강빔(B)에 안착되는 배관(P)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배관(P)의 일부가 내부에 수납되기 위한 수용공간(S)과 수용공간(S)에 연통되고 배관(P)이 삽입되기 위한 인입홀(H)과 수용공간(S)에 연통되고 인입홀(H)과 대향되는 개방홀(O)을 가지며 배관(P)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수용부(1100), 형강빔(B)에 설치되고 수용부(110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1200),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몸체부(1200)를 지지하기 위한 흡수부(1300), 수용부(11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배관(P)을 지지한 수용부(1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1200)에 설치되는 체결부(1400) 및 배관(P)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의 누전 여부를 판별하여, 누전이 발생될 경우 누전 발생 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100)는 형강빔(B)에 설치될 수 있다. 수용부(1100)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00)의 내부에는 배관(P)이 인입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1100)는 배관(P) 아니라 전선(미도시)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1000)에 배관(P)이 인입되며, 인입된 배관(P)을 지지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수용부(1100)는 인입홀(H), 개방홀(O), 수용공간(S), 제1 수용부재(1110), 제2 수용부재(1120), 체결돌기(1130), 결합리브(1140), 탄성지지부재(1150), 인입유도부재(1160) 및 충격완화부재(1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홀(H)은 배관(P)이 이동하는 이동방향(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수용부(11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인입홀(H)에는 배관(P)이 인입될 수 있다.
개방홀(O)은 배관(P)이 이동하는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수용부(110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홀(O)에는 인입홀(H)로 인입되어 수용공간(S)을 통과한 배관(P)이 삽입되어 수용부(1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수용공간(S)은 수용부(1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인입홀(H)과 개방홀(O)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1 수용부재(1110)는 수용부(1100)의 하부를 이룰 수 있다.
제2 수용부재(1120)는 수용부(1100)의 상부를 이룰 수 있다. 제1 수용부재(1110)와 제2 수용부재(1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수용부재(1110)를 기준으로 제2 수용부재(11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힌지(hinge)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용부재(1110)와 제2 수용부재(1120)는 상술한 인입홀(H)과 개방홀(O)과 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수용부재(1110)와 제2 수용부재(1120)는 그 내부에 각각 수용홈(1111,111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홈(1111,1112)은 제1 홈(1111a,1112a)과, 제1 홈(1111a,1112a)보다 직경이 짧고, 제1 홈(1111a,1112a)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깊게 파여지는 제2 홈(1111b,1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홈(1111a,1112a)과 제2 홈(1111b,1112b)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111a,1112a)에는 후술하는 탄성지지부재(1150)의 제1 이동기(1151) 및 제1 연결기(1152) 및 제1 접촉롤러(1153)와 제1 탄성기(1154)가 함께 삽입될 수 있고, 제2 홈(1111b,1112b)에는 제1 연결기(1152) 및 제1 이동기(1151)만 삽입될 수 있다.
체결돌기(1130)는 수용부(1100)의 일면(또는, 전면)에서 외측(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130)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체결돌기부재(1131) 및 제1 체결돌기부재(1131)의 일단(또는, 전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제2 체결돌기부재(113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돌기(1130)가 체결부(1400)에 걸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돌기(113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수용부(1100)의 일면의 하부에서 연결되고, 이동방향(도 2 참조)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1400)가 한 쌍의 체결돌기(1130)를 각각 잡아 수용부(1100)의 양측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수용부(1100)를 더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체결돌기(113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결합리브(114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수용부(1100)의 양측면(또는, 좌측면과 우측면)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리브(1140)들은 수용부(1100) 양측면 각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리브(1140)들은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리브(1140)들은 수용부(1100)의 양측면 하부에 연결되어, 수용부(1100)의 하부면과 함께 몸체부(1200)에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결합리브(114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재(1150)는 제1 이동기(1151), 제1 연결기(1152), 제1 접촉롤러(1153), 제1 탄성기(1154), 제1 보조탄성기(1155) 및 진동흡수커버(1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롤러(1153)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기(1152)의 샤프트는 원기둥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접촉롤러(1153)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기(1152)에는 제1 보조탄성기(1155)가 설치되며, 제1 보조탄성기(1155)는 제1 접촉롤러(1153)의 양측에서 제1 접촉롤러(1153)를 신축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진동흡수커버(1156)는 제1 접촉롤러(1153)에 탈부착하는 진동흡수커버(1156)로서, 제1 접촉롤러(1153)의 둘레면를 감싸는 메인 커버파트(1156aa)와, 상기 메인 커버파트(1156aa)의 폭방향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1 접촉롤러(1153)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복수의 서브 커버파트(1156ab)를 포함하며, 고리 형상을 갖는 커버유닛(1156a);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커버파트(1156ab)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커버유닛(1156a)보다 짧은 둘레길이를 갖는 한 쌍의 탄성유닛(1156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유닛(1156a)은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접촉롤러(1153)의 둘레면 및 측면 일부를 감쌀 수 있으며, 제1 접촉롤러(1153)의 둘레면를 감싸는 메인 커버파트(1156aa)와 메인 커버파트(1156aa)의 폭방향 양측에 제공되어 제1 접촉롤러(1153)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복수의 서브 커버파트(1156ab)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커버파트(1156aa)는 제1 접촉롤러(1153)의 둘레면를 감쌀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커버파트(1156ab)는 메인 커버파트(1156aa)의 폭방향 양측에 제공될 수 있고, 제1 접촉롤러(1153)의 측면 일부를 감싸 커버유닛(1156a)이 제1 접촉롤러(1153)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 쌍의 탄성유닛(1156b)은 복수의 서브 커버파트(1156ab)에 각각 제공될 수 있고, 커버유닛(1156a)보다 짧은 둘레길이를 가질 수 있다. 탄성유닛(1156b)은 커버유닛(1156a)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탄성유닛(1156b)의 탄성에 의해 제1 접촉롤러(1153)와 커버유닛(1156a)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촉롤러(1153)와 커버유닛(1156a)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제1 접촉롤러(1153)와 커버유닛(1156a)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유닛(1156a)은 방진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방진(防塵)원단은 먼지를 방지하는 원단으로 먼지가 투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청정실용 방진원단일 수 있고, 방진 및 제전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촉롤러(1153)에 부착된 오염물이 커버유닛(1156a)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오염물이 배관이 설치된 수용부(1100)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진원단은 청정실용으로서, 0.3 ㎛ 입자에 대해 80 내지 100 %의 차폐도(filtration)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진원단은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을 정도(예를 들어, 0.001 ㎛ 이상)의 입자(particle)을 일정 수준(약 90 %) 이상 차폐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방진원단은 0.1 내지 0.001 ㎛의 미세한 입자까지 차폐할 수 있어야 하므로, 경사(세로방향 실)와 위사(가로방향 실)를 직조하여 230 내지 300 T의 고밀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 밀도는 140 내지 170/in이고, 위사 밀도는 90 내지 130/in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방진원단의 신축성은 거의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원단의 신축으로 경사 간, 위사 간 및/또는 경사와 위사 간이 벌어지게 되면, 0.1 내지 0.001 ㎛의 미세한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질 수도 있으므로, 상기 방진원단은 신축성을 거의 갖지 않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방진원단은 비신축성일 수 있으며, 0 내지 3 %의 신축률(ratio of expansion and contraction)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비신축성은 신축성이 없는(또는 신축률이 0 %인) 것뿐만 아니라 3 % 이하로 신축률이 매우 낮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신축률은 (le - l0) / l0 × 100 (%)으로 계산될 수 있고, 방향에 관계없이 신축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le는 상기 방진원단의 신장된 길이이고, l0는 상기 방진원단의 초기 길이이다. 신축률이 0 %인 것은 신축률이 없는 것을 의미하고, 신축률이 0 %가 아니라는 것은 신축률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방진원단은 신축률을 거의 갖지 않는 비신축성이기 위해 3 % 이하의 신축률을 가질 수 있다. 신축률이 3 %보다 크게 되면, 경사 간, 위사 간 및/또는 경사와 위사 간이 벌어지게 되면, 0.1 내지 0.001 ㎛의 미세한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져 0.3 ㎛ 입자에 대해 80 내지 100 %의 차폐도를 가질 수 없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진원단은 청정실용이므로, 비신축성인 것이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신축성으로 갖는 원단과는 차이가 있고, 제1 접촉롤러(1153)에 용이하게 씌우기 위해서는 여유 길이(m)를 갖도록 커버유닛(1156a)를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다. 즉, 비신축성의 상기 방진원단으로 제조된 커버유닛(1156a)은 제1 접촉롤러(1153)에 용이하게 씌우기 위해서 여유 길이(m)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여유 길이(m)를 알맞게 계산하지 않게 되면, 커버유닛(1156a)의 둘레길이(L)가 너무 커져 커버유닛(1156a)이 제1 접촉롤러(1153)의 표면에서 들뜨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200)의 운행 중에 진동흡수커버(1156)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벗겨질 수 있다.
상기 방진원단은 96 이상 100 % 미만의 폴리에스테르와 0 초과 4 % 이하의 카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진원단은 고밀도 천으로 수 많은 작은 분자들을 에스테르 결합시켜 만든 선형(사슬모양) 또는 교차 결합된(그물 모양) 분자로 이루어진 유기물질인 폴리에스테르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집적회로에 영향을 주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카본으로 된 도전사(導電絲)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는 방진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고밀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카본은 제전 기능을 위해 정전기를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도전사로 들어갈 수 있고, 상기 방진원단에서 체크(check) 또는 스트라이프(stripe) 등의 무늬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유닛(1156a)의 둘레길이(L)는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덮개부의 둘레길이(L)=바퀴의 둘레길이(l) + 여유 길이(m)
[수학식 2]
여유 길이(m)=2 × 바퀴의 폭(w) × 여유 계수(k)
커버유닛(1156a)은 상기 방진원단으로 이루어져 비신축성이므로, 커버유닛(1156a)의 신축성을 고려하여 제1 접촉롤러(1153)의 둘레길이(l)에 여유 길이(m)을 둠으로써, 진동흡수커버(1156)를 제1 접촉롤러(1153)에 용이하게 씌울(또는 장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여유 길이(m)가 너무 크게 되면, 커버유닛(1156a)이 제1 접촉롤러(1153)의 표면에서 들뜨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여유 계수(k)를 통해 알맞은 여유 길이(m)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여유 계수(k)는 상기 제1 접촉롤러(1153)의 폭(w) 및 상기 제1 접촉롤러(1153)의 직경(d)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접촉롤러(1153)의 직경(d)이 커질수록 소정 각도의 둘레 길이도 같이 커지게 되므로, 제1 접촉롤러(1153)의 직경(d)에 따라 필요한 여유 공간이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접촉롤러(1153)의 직경(d)에 따라 여유 계수(k)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롤러(1153)의 폭(w)에 따라 제1 접촉롤러(1153)의 둘레면 전체가 메인 커버파트(1156aa)에 덮여지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여유 공간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접촉롤러(1153)의 폭(w)을 더 고려하여 여유 계수(k)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여유 계수(k)는 0.15 내지 1.1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탄성유닛(1156b)의 둘레길이(b)는 수학식 3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3]
탄성밴드의 둘레길이(b)=덮개부의 둘레길이(L) × 조임 계수(s)
탄성유닛(1156b)의 둘레길이(b)에 따라 탄성유닛(1156b)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렇게 결정된 탄성력에 따라 제1 접촉롤러(1153)와 커버유닛(1156a)의 밀착력이 결정될 수 있다.
인입유도부재(1160)는 수용부(1100)의 내부로 배관(P)이 용이하게 인입되게 배관(P)의 인입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인입유도부재(1160)는 인입유도모터(1161), 동력전달샤프트(1162) 및 구동접촉롤러(1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유도모터(1161)는 제1 수용부재(1110) 및 제2 수용부재(1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동력전달샤프트(1162)는 인입유도모터(1161)로부터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구동접촉롤러(1163)에 전달하여, 구동접촉롤러(1163)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접촉롤러(1163)는 허브(1163a), 패시브롤러(1163b), 구동접촉롤러샤프트(1163c), 지지링(1163d), 회전유도체(1163e)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1163a)는 구동접촉롤러(1163)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허브(1163a)는 구동접촉롤러(1163)의 중앙 몸체 및 중앙 고정 프레임의 역할을 수행하며, 전체적으로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되,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관찰하였을 때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허브(1163a)의 다각형 모서리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총 8개의 모서리를 가지도록 설계된다면, 후술되는 패시브롤러(1163b)가 총 8개로 구비되어 허브(1163a)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총 결합되는 패시브롤러(1163b)들의 개수를 고려하여, 허브(1163a)의 다각형의 모서리의 개수를 설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허브(1163a)는 제1 허브부재(1163aa)와 제2 허브부재(1163a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허브부재(1163aa)와 제2 허브부재(1163ab)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허브부재(1163aa)는 가이드슬릿(1163aaa), 보조베어링(1163aab) 및 복수의 조절유닛(1163aac)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슬릿(1163aaa)은 제1 허브부재(1163aa)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사선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슬릿(1163aaa)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제1 허브부재(1163aa)의 가장자리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보조베어링(1163aab)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가이드슬릿(1163aaa)에 복수의 가이드슬릿(1163aaa)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보조베어링(1163aab)은 그 내부에 구동접촉롤러샤프트(1163c)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조절유닛(1163aac)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각각 가이드슬릿(1163aaa)에 설치될 수 있다. 조절유닛(1163aac)은 보조베어링(1163aab)을 지지하며, 가이드슬릿(1163aaa) 내에서 보조베어링(1163aa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절유닛(1163aac)은 가이드슬릿(1163aaa)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신장 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조절유닛(1163aac)은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유닛(1163aac)은 보조베어링(1163aab)의 일측단을 지지할 수 있으며, 그 타측단에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보조베어링(1163aab)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조절유닛(1163aac)은 한쌍으로 마련되어, 보조베어링(1163aab)의 양측단을 지지하며, 일 조절유닛(1163aac)이 신장될 경우 타 조절유닛(1163aac)이 수축될 수 있다. 이에, 한쌍의 조절유닛(1163aac)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슬릿(1163aaa) 내에서 보조베어링(1163aab)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베어링(1163aab)의 위치가 조절되면서, 보조베어링(1163aab)에 삽입된 구동접촉롤러샤프트(1163c)의 배치상태가 변경되고, 구동접촉롤러샤프트(1163c)에 관통된 패시브롤러(1163b)의 배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패시브롤러(1163b)의 배치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구동접촉롤러(1163)가 한번 회전할 때, 배관(P)을 이동시키는 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접촉롤러(1163)가 회전하면서 배관(P)을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관한 설명은 후술되는 패시브롤러(1163b)를 설명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패시브롤러(1163b)는 그 양측단부보다 그 중심부의 직경이 더 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시브롤러(1163b)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허브(1163a)의 둘레방향에 대하여 각각이 사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구동접촉롤러(1163)가 회전하면, 접촉된 배관(P)에 배관(P)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회전방향에 중심축이 되는 이동방향을 따라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선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패시브롤러(1163b)가 배관(P)을 회전시키고, 동시에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1163a)에 복수의 패시브롤러(1163b)가 마련되는 구조는, 메카넘휠(Mecanum wheel)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접촉롤러샤프트(1163c)는 패시브롤러(1163b)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양측단부가 보조베어링(1163aab)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링(1163d)은 한쌍의 허브(1163a)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패시브롤러(1163b)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패시브롤러(1163b)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패시브롤러(1163b)가 변형 혹은 파손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회전유도체(1163e)는 지지링(1163d)을 패시브롤러(1163b)와 함께 회전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회전유도체(1163e)는 허브(1163a)의 내부 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유도체샤프트(1163ea) 및 회전유도체샤프트(1163ea) 상에 회전유도체샤프트(1163ea)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지지링(1163d)이 결합되는 복수의 메인베어링(1163e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링(1163d)은 회전유도체(1163e)를 통해 허브(1163a)의 회전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오직 지지링(1163d)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패시브롤러(1163b)의 회전에 대응하여 메인베어링(1163eb)과 함께 회전되므로, 패시브롤러(1163b)의 회전에 의한 지지링(1163d)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패시브롤러(1163b)가 마찰로 인해 필요없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지지링(1163d)을 통한 패시브롤러(1163b)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여 패시브롤러(1163b)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환형의 지지링(1163d)은 경사진 패시브롤러(1163b)가 360° 회전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링(1163d)의 외주면에는 패시브롤러(1163b)의 외주 굴곡에 대응하여 패시브롤러(1163b)를 안정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함몰홈(1163d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링(1163d)은 함몰홈(1163da)의 외주면이 마찰표면처리(Knurling)될 수 있다.
마찰표면처리된 함몰홈(1163da)은 지지링(1163d)에 밀착되는 패시브롤러(1163b)가 이탈되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패시브롤러(1163b)와 높은 마찰력이 발생하는 구조이므로, 지지링(1163d)을 통한 패시브롤러(1163b)의 이탈이나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지링(1163d)에 형성되는 마찰표면처리 된 구조를 통해 패시브롤러(1163b)와 접촉되는 지지링(1163d)이 패시브롤러(1163b)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유도함으로, 지지링(1163d)이 패시브롤러(1163b)의 회전을 원활하게 보상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패시브롤러(1163b) 회전의 간섭(방해)을 최소화할 수 있어 구동접촉롤러(1163)의 안정적인 작동(구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링(1163d)에 형성되는 함몰홈(1163da)으로 인해 패시브롤러(1163b)와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하여 패시브롤러(1163b)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하중에 의한 패시브롤러(1163b)의 변형이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예컨데 럭비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시브롤러(1163b)를 결속하여 큰 하중에 의한 패시브롤러(1163b)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충격완화부재(1170)는 제2 이동기(1171), 제2 연결기(1172), 제2 접촉롤러(1173), 제2 탄성기(1174), 제2 보조탄성기(1175)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완화부재(1170)는 상술한 탄성지지부재(1150)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동기(1171)는 제1 수용부재(1110)와 제2 수용부재(1120)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개방홀(O)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연결기(1172)는 제2 이동기(1171)의 단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개방홀(O)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촉롤러(1173)는 제2 연결기(117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관(P)에 접촉 가능하고, 배관(P)이 이동할 경우 배관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제2 탄성기(1174)는 그 일단이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 수용부재(1110)와 제2 수용부재(1120)의 내벽체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제2 이동기(1171)에 연결되며, 제2 이동기(117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2 보조탄성기(1175)는 그 일단이 제2 접촉롤러(1173)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제2 연결기(1172)에 연결되며, 제2 접촉롤러(1173)의 양측에서 제2 접촉롤러(1173)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2 접촉롤러(1173)는 제2 접촉롤러(1173)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센터부재(1173a), 센터부재(1173a)의 반경방향을 따라 센터부재(1173a)와 이격되고 개방홀(O) 내에 배치되어 배관(P)에 접촉 가능한 컨택부재(1173b), 센터부재(1173a)와 컨택부재(1173b)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흡인부재(1173c)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흡인부재(1173c)는 센터부재(1173a)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메인충격흡수홀(1173ca)과, 센터부재(1173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그 사이에 복수개의 메인충격흡수홀(1173ca)을 형성하는 복수의 충격흡수바(1173cb,1173cc)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센터부재(1173a)는 보조충격흡수홀(1173aa)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충격흡수홀(1173ca)은 육각 형상(hexagonal)을 가질 수 있다.
메인충격흡수홀(1173ca)의 한 변의 길이는 보조충격흡수홀(1173aa)의 지름보다 작고, 메인충격흡수홀(1173ca)의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 사이의 간격은 보조충격흡수홀(1173aa)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메인충격흡수홀(1173ca)이 수축되며 1차로 충격을 흡수하고, 잔여 충격을 보조충격흡수홀(1173aa)이 수축되며 2차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복수의 충격흡수바(1173cb,1173cc)는 각각 허니콤(honeycomb)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센터부재(1173a)의 외주면으로부터 센터부재(1173a)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파트(1173cb)와, 복수의 제1 파트(1173cb)로부터 분기되고 컨택부재(1173b)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파트(1173cc)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200)는 수용부(11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이에, 수용부(1100)가 몸체부(1200)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몸체부(120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몸체부(1200)는, 몸체부재(1210), 유도부재(1220) 및 멈춤부재(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재(1210)는 수용부(1100)와 접촉할 수 있다. 몸체부재(1210)는, 몸체플레이트(1211) 및 몸체받침대(1212)를 포함한다.
몸체플레이트(1211)는 수용부(1100)의 하부면 형상을 따라 형성되고, 수용부(1100)의 하부면 이상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플레이트(1211)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00)의 하부면이 몸체플레이트(1211)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하거나, 수용부(1100)의 하부면 전체가 몸체플레이트(1211)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몸체플레이트(1211)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몸체플레이트(1211)의 중심부에는 개구(1211a)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1211a)는 수용부(1100)가 몸체플레이트(1211)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방향인 폭방향(도 2 참조)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개구(1211a) 내에 체결부(1400)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몸체플레이트(121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몸체받침대(1212)는 몸체플레이트(1211)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받침대(121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4개가 구비되어 몸체플레이트(1211)의 4개의 모서리 각각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플레이트(1211)가 몸체받침대(1212)들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받침대(1212)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유도부재(1220)는 몸체부재(1210)에 설치된다. 유도부재(12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몸체부재(1210)의 양측면(또는, 좌측면과 우측면) 각각에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재(1210)들은 몸체부재(1210)가 상하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도부재(1220)는 수용부(11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수용부(1100)는 유도부재(1220)에 의해 몸체부재(1210) 상에서 폭방향으로만 슬라이딩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하면서 수용부(1100)가 몸체부재(1210) 양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도부재(1220)에는 보조유도기(1221)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유도기(1221)는 몸체부재(1210)의 상부면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고, 유도부재(1220)의 벽체에서 몸체부재(1210)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에, 수용부(1100)의 결합리브(1140)가 보조유도기(1221)와 몸체부재(12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보조유도기(1221)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00)가 몸체부재(1210) 상에서 일방향으로만 슬라이딩할 수 있고,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나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유도부재(122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멈춤부재(1230)는 몸체부재(12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체결부(1400)에 구비되는 체결부재(1430)가 몸체부재(121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몸체부재(1210)는 체결부재(1430)와 대향되도록 몸체부재(1210)의 후면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멈춤부재(1230)는 몸체부재(1210)의 상부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몸체부재(1210)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수용부(1100)가 멈춤부재(1230)에 의해 몸체부재(1210)의 일측(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00)가 멈춤부재(1230)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거리가 제한되어 슬라이딩하면서 몸체부재(1210)의 일측으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멈춤부재(123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흡수부(1300)는 몸체부(1200)를 지지한다. 흡수부(1300)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흡수부(1300)가 몸체부(1200)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부(1300)는 와이어로프 완충기를 포함하거나 면진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진등으로 인해 배관(P)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부(1300)가 흡수하거나 완충하여 수용부(1100)를 보호할 수 있다. 흡수부(1300)는, 제1 흡수부재(1310), 제2 흡수부재(1320) 및 충격흡수부재(1330)를 포함한다.
제1 흡수부재(1310)는 몸체부(1200)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제1 흡수부재(1310)가 몸체부(1200)의 몸체받침대(1212)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흡수부재(1310)는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수부재(1310)는 한 쌍이 구비되어, 하나는 전방에 배치되는 몸체받침대(1212)들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후방에 배치되는 몸체받침대(1212)들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흡수부재(131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흡수부재(1320)는 제1 흡수부재(1310)의 하측에 이격된다. 상세하게는 제2 흡수부재(1320)의 상부면은 제1 흡수부재(1310)의 하부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하로 이격되고, 제2 흡수부재(1320)의 하부면은 형강빔(B)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제2 흡수부재(1320)는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수부재(1320)는 제1 흡수부재(1310)가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되어, 각 제1 흡수부재(131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흡수부재(132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1330)는 제1 흡수부재(1310)와 제2 흡수부재(1320)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제1 흡수부재(1310)와 제2 흡수부재(1320)가 충격흡수부재(1330)에 의해 연결되어, 제2 흡수부재(1320)가 제1 흡수부재(1310)를 지지해줄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1330)는 제1 흡수부재(1310)나 제2 흡수부재(1320)가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되어, 각 제1 흡수부재(1310)와 제2 흡수부재(1320)를 연결해줄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재(1330)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흡수부재(1330)는 스프링 형상의 와이어로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흡수부재(1310)와 제2 흡수부재(1320) 사이에서 충격흡수부재(1330)가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형강빔(B)에 설치된 수용부(1100)의 배관(P)에 절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충격흡수부재(1330)에서 흡수하기 때문에, 수용부(1100)에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충격흡수부재(133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흡수부(1300)가 수용부(1100)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수용부(1100)의 수명이 연장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체결부(1400)는 수용부(1100)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수용부(1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1200)에 설치된다. 즉, 체결부(1400)가 수용부(1100)의 슬라이딩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몸체받침대(1212) 상에서 수용부(1100)의 위치에 따라 체결부(1400)의 일부가 수용부(1100)를 고정시키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수용부(1100)에서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체결부(1400)는, 중심부재(1410), 트리거부재(1420) 및 체결부재(1430)를 포함한다.
중심부재(1410)는 몸체부(12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중심부재(1410)는 트리거부재(1420)의 중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부재(1410)는 몸체부(1200)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힌지몸체 및 일단이 힌지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트리거부재(1420)를 관통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힌지몸체가 구비되어 개구(1211a)의 이동방향 길이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힌지몸체들 사이에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회전축이 구비되고, 회전축이 힌지몸체들 사이의 트리거부재(1420)를 관통할 수 있다. 이에, 트리거부재(142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중심부재(141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트리거부재(1420)는 일측이 몸체부(120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은 수용부(1100)와의 접촉에 의해 상하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즉, 몸체부(1200) 상에 수용부(1100)를 안착시켜 슬라이딩시키면,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수용부(1100)와 접촉할 수 있고,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이 수용부(110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부재(1420)의 타측에는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바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트리거부재(1420)의 타측에 이동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체결부재(1430)가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트리거부재(142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부재(1420)는 삼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트리거부재(1420)의 경사면이 체결부재(143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수용부(1100)가 트리거부재(1420)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후방으로 밀 수 있다. 이에, 개구(1211a) 상측으로 돌출되었던 트리거부재(1420)가 개구(1211a) 하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수용부(1100)가 멈춤부재(1230)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트리거부재(14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체결부재(1430)는 트리거부재(1420)의 이동에 연동하여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트리거부재(1420)의 타측에 연결된다. 이에,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이 하측으로 회전 이동하면 체결부재(1430)는 상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수용부(1100)와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고,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이 상측으로 회전 이동하면 체결부재(1430)는 하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수용부(1100)와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430)와 수용부(1100)가 서로 마주볼 때, 수용부(1100)에 구비되는 체결돌기(1130)가 체결부재(1430)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00)가 체결부재(1430)에 의해 고정되어, 체결부재(1430)와 멈춤부재(1230) 사이에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체결부재(1430)는 결합바디(1431), 가이드바디(1432), 무빙바디(1433), 걸림바디(1434) 및 조정바디(1435)를 포함한다.
이때, 체결부재(1430)는 수용부(1100)에 체결돌기(1130)가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돌기(1130)들 각각이 서로 다른 체결부재(143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결합바디(1431)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에 나사산일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바디(1431)는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바디(1431)의 일단은 가이드바디(1432)에 연결되고, 타단은 트리거부재(14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결합바디(1431)는 트리거부재(1420)의 이동에 연동할 수 있고, 결합바디(1431)에 연결된 가이드바디(1432)와, 가이드바디(1432)에 지지되는 무빙바디(1433) 및 무빙바디(1433)에 연결되는 걸림바디(1434)가 모두 트리거부재(1420)의 타측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바디(1432)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의 막대일 수 있다. 가이드바디(1432)는 무빙바디(1433)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무빙바디(1433)가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바디(1432)의 일단에는 무빙바디(1433)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한플레이트(1432a)가 구비되고, 타단은 결합바디(1431)와 연결될 수 있다. 제한플레이트(1432a)는 무빙바디(1433)에 구비되는 관통홀보다 면적이 클 수 있다. 이에, 무빙바디(1433)는 제한플레이트와 결합바디(1431) 사이에서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바디(143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무빙바디(1433)는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바디(1432)에 지지된다. 예를 들어, 무빙바디(1433)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에 가이드바디(1432)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무빙바디(143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걸림바디(1434)는 무빙바디(1433)에서 수용부(1100)에 구비되는 체결돌기(1130)를 향하여 돌출되고, 체결돌기(113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체결돌기(1130)가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바디(1434)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 벽체에서 내측 중심부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수용부(1100)의 체결돌기(1130)가 걸림바디(1434)의 돌기에 걸릴 수 있다. 그러나 걸림바디(1434)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조정바디(1435)는 결합바디(1431)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걸림바디(1434)의 내측에 배치되어 무빙바디(1433)에서 결합바디(1431)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바디(1435)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 벽체에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정바디(1435)는 걸림바디(1434)보다 직경이 작고, 가이드바디(14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정바디(1435)는 무빙바디(1433)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무빙바디(1433)를 결합바디(1431) 측으로 이동시키면, 조정바디(1435)가 결합바디(143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조정바디(1435)가 결합바디(1431)에 결합되는 정도가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바디(1435)의 내부에 결합바디(143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정바디(143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산에 의해 조정바디(1435)가 결합바디(1431)에 끼워지면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조정바디(1435)의 내부에 결합바디(1431)가 끼워진 상태에서 조정바디(143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산에 의해 조정바디(1435)가 결합바디(1431)로부터 풀어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바디(1434)에 체결돌기(1130)를 끼울 때는 조정바디(1435)를 시계방향으로 조여 걸림바디(1434)를 체결돌기(113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걸림바디(1434)를 체결돌기(1130)에서 풀 때는 조정바디(1435)를 반시계방향으로 풀어 걸림바디(1434)를 체결돌기(1130)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조정바디(1435)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1430)는 스프링바디(143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스프링바디(1436)는 무빙바디(1433)와 결합바디(143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바디(1436)는 무빙바디(1433)를 밀어낼 수 있도록, 무빙바디(1433)가 이동 가능한 방향(또는, 폭방향)을 따라 신장수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스프링바디(1436)는 스프링일 수 있고, 가이드바디(1432)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바디(1436)는 무빙바디(1433)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걸림바디(1434)가 수용부(1100)의 체결돌기(1130)와 일방향으로 이격되어 체결돌기(1130)가 걸림바디(1434)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무빙바디(1433)를 작업자가 후방으로 밀면 스프링바디(1436)가 수축하면서 걸림바디(1434)가 체결돌기(1130) 측으로 이동하여, 체결돌기(1130)가 걸림바디(1434)에 걸릴 수 있다. 결합바디(1431)에 조정바디(1435)가 체결되면 스프링바디(1436)는 수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바디(1431)에서 조정바디(1435)를 풀어주면 스프링바디(1436)가 신장하면서 무빙바디(1433)를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체결돌기(1130)와 걸림바디(1434)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00)를 몸체부(1200) 상에서 용이하게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바디(1436)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는 보조트리거부재(14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에 상측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트리거부재(14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수용부(1100)가 몸체부(1200) 상에 위치하지 않을 때는 트리거부재(1420)가 보조트리거부재(1440)에 의해 몸체부(1200)를 상으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보조트리거부재(1440)는 제1 보조트리거바디(1441) 및 제2 보조트리거바디(1442)를 포함한다.
제1 보조트리거바디(1441)는 흡수부(1300) 상에 지지되어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보조트리거바디(1441)가 후방에 배치된 한 쌍의 몸체받침대(1212) 사이에 위치하여, 하부가 흡수부(1300)의 후방의 제1 흡수부재(1310)에 연결되고, 상부가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트리거바디(1441)는 상하로 신장수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트리거바디(1441)는 스프링일 수 있다. 몸체부(1200) 상에 수용부(1100)가 안착되지 않을 때는 제1 보조트리거바디(1441)가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을 상측으로 밀어 트리거부재(1420)의 타측이 몸체부(1200)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몸체부(1200) 상에 수용부(1100)가 안착되면 수용부(1100)의 하중에 의해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이 하측으로 밀리면서 제1 보조트리거바디(1441)가 수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00)가 몸체부(1200)에서 분리되면 수축되었던 제1 보조트리거바디(1441)가 신장하면서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을 수용부(1100)가 가압하기 전의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2 보조트리거바디(1442)는 흡수부(1300) 상에 지지되어 트리거부재(1420)의 타측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보조트리거바디(1442)가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몸체받침대(1212) 사이에 위치하여, 하부가 전방에 위치한 흡수부(1300)의 제1 흡수부재(1310)에 연결되고, 상부가 트리거부재(1420)의 타측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트리거바디(1442)는 상하로 신장수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조트리거바디(1442)는 스프링일 수 있다. 몸체부(1200) 상에 수용부(1100)가 안착되지 않을 때는 제2 보조트리거바디(1442)가 트리거부재(1420)의 타측을 하측으로 당겨 트리거부재(1420)의 타측이 몸체부(120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몸체부(1200) 상에 수용부(1100)가 안착되면 수용부(1100)의 하중에 의해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이 하측으로 밀리면서 트리거부재(1420)의 타측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1 보조트리거바디(1441)가 신장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00)가 몸체부(1200)에서 분리되면 신장되었던 제2 보조트리거바디(1442)가 수축하면서 트리거부재(1420)의 타측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보조트리거바디(1441)가 수축하면 제2 보조트리거바디(1442)는 신장하고, 제1 보조트리거바디(1441)가 신장하면 제2 보조트리거바디(1442)는 수축할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트리거부재(1420)가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제1 보조트리거바디(1441)와 제2 보조트리거바디(1442)가 함께 트리거부재(1420)의 위치를 조절하기 때문에, 트리거부재(1420)가 수용부(1100)에 눌렸다가 수용부(1100)가 분리될 때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조트리거부재(144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1000)(1000)에 수용부(1100)가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00)를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1000)(1000)에 설치하거나, 수용부(1100)를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해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1000)(1000)에서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때, 수용부(1100)를 몸체부(1200) 상에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수용부(1100)를 체결부(1400) 상에 안착시키기 전에, 트리거부재(1420)의 타측이 몸체부(120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이고, 체결부재(1430)는 하측으로 내려간 상태이다. 수용부(1100)를 몸체부(1200) 상에 안착시키고 후방으로 밀면, 트리거부재(1420)의 일측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타측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부재(1420)의 타측과 연결된 체결부재(143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수용부(1100)의 체결돌기(1130)와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체결부재(1430)의 걸림바디(1434)는 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이지만, 작업자가 걸림바디(1434)를 체결돌기(1130) 측으로 밀 수 있다. 이에, 걸림바디(1434)에 체결돌기(1130)가 걸릴 수 있다. 수용부(1100)는 체결부재(1430), 유도부재(1220) 및 멈춤부재(123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수용부(1100)를 몸체부(1200) 상에 분리시키는 과정은 고정시키는 과정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1400)는 자기력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자기력부재는 자기력으로 수용부(1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몸체부(120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력부재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가 구비되어 몸체부(12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착홈 각각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자기력부재들은 몸체부(1200)에 구비되는 개구(1211a)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200) 상에 수용부(1100)를 안착시키면, 자기력부재들이 발생시키는 자기력에 의해 수용부(1100)의 하부면에서 복수의 부분이 고정되어 수용부(11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1100)의 수용부(1100)는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재질이나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수용부(1100)에서 금속재질이나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영역이 복수개 구비되고 자기력부재들의 위치에 맞추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00)를 몸체부(1200) 상에 안착시키면, 수용부(1100)에서 금속재질이나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영역이 자기력에 의해 각각 자기력부재들이 배치되는 위치에 맞춰질 수 있기 때문에, 수용부(1100)가 몸체부(1200) 상에서 정위치에 자동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몸체부(1200) 상에서 수용부(1100)의 정렬을 맞추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자기력부재는 자석 대신 전자석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전자석은 전력공급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시키거나 자기력 발생을 중단할 수 있다. 이에, 수용부(1100)를 몸체부(1200) 상에 고정할 때는 자기력부재에 전력을 공급하여 자기력으로 수용부(1100)를 고정시키고, 수용부(1100)를 몸체부(1200) 상에서 분리할 때는 자기력부재에 전력 공급을 중단하여 수용부(11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처럼 체결부재(1430)와 자기력부재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수용부(1100)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00)가 몸체부(1200) 상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미도시)는 배관(P)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전선(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누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는 전선으로부터 누전이 발생될 경우, 누전 발생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는 시각 혹은 청각의 알림 방식으로 누전 발생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배관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탄성지지부재가 배관을 탄성지지하므로, 배관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배관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으로부터 누전이 발생될 경우, 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에 의해 누전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강빔에 설치된 몸체부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배관을 수용하는 수용부에 전달되어 수용부 혹은 배관이 파손될 경우, 수용부 및 배관을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해 형강빔으로부터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 1100: 수용부
1200: 몸체부 1300: 흡수부
1400: 체결부

Claims (3)

  1.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형강빔에 안착되는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로서,
    상기 배관의 일부가 내부에 수납되기 위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배관이 삽입되기 위한 인입홀과,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인입홀과 대향되는 개방홀을 가지며, 상기 배관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수용부;
    상기 수용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
    그 상부가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고, 그 하부가 상기 형강빔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상기 형강빔에서 발생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흡수부재와, 상기 제1 흡수부재의 하측에 이격되고 상기 형강빔에 설치되는 제2 흡수부재와, 적어도 일부가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제1 흡수부재와 상기 제2 흡수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흡수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관을 지지한 상기 수용부의 일부분에 걸리며, 상기 수용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부; 및
    상기 배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의 누전 여부를 판별하여, 누전이 발생될 경우 누전 발생 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중심부재;
    그 중심부가 상기 중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일측이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며, 상기 수용부와의 접촉에 의해 그 일측이 상하로 회전 이동 가능하고, 그 일측에서 그 타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두께가 감소하는 트리거부재;
    상기 트리거부재의 일측이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트리거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는 체결돌기가 끼워지기 위한 체결부재;
    상기 트리거부재의 일측에 상측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트리거부재; 및
    상기 수용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력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트리거부재는,
    상기 트리거부재의 일측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로 신장수축 가능한 제1 보조트리거바디; 및
    상기 트리거부재의 타측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로 신장수축 가능한 제2 보조트리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트리거바디와 상기 제2 보조트리거바디는, 상기 제1 보조트리거바디가 수축될 경우 상기 제2 보조트리거바디가 신장되고, 상기 제1 보조트리거바디가 신장될 경우 상기 제2 보조트리거바디가 수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트리거부재에 연결되는 결합바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바디에 연결되는 가이드바디;
    중심부를 상기 가이드바디가 관통하고, 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바디에 지지되는 무빙바디;
    상기 무빙바디에서 상기 가이드바디의 둘레를 감싸도록 수평하게 연장되고,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바디를 항해 절곡되며, 상기 무빙바디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절곡된 부분에 상기 체결돌기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바디;
    상기 결합바디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바디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바디에서 상기 결합바디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결합바디에 결합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정바디; 및
    상기 무빙바디와 상기 결합바디 사이에서 신장수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용부와 접촉 가능한 몸체부재;
    상기 수용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재에 설치되는 유도부재; 및
    상기 수용부가 슬라이딩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재에 설치되는 멈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흡수부재;
    상기 제1 흡수부재의 하측에 이격되는 제2 흡수부재; 및
    적어도 일부가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제1 흡수부재와 상기 제2 흡수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그 일측에 상기 인입홀의 일부를 형성하고, 그 타측에 상기 개방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수용부재;
    상기 제1 수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에 상기 인입홀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고, 그 타측에 상기 개방홀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2 수용부재;
    상기 제1 수용부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의 체결부재에 끼움 체결 가능한 체결돌기;
    상기 제1 수용부재의 일측 하부와 상기 제1 수용부재의 타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유도부재에 체결되는 결합리브;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 중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내벽체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탄성지지부재;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 중 상기 인입홀을 구획하는 내벽체에서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인입유도부재; 및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 중 상기 개방홀을 구획하는 내벽체에서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충격완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이동기;
    상기 제1 이동기의 단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는 제1 연결기;
    상기 제1 연결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관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배관이 이동할 경우 상기 배관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제1 접촉롤러;
    그 일단이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2 수용부재의 내벽체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1 이동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이동기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제1 탄성기;
    그 일단이 상기 제1 접촉롤러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1 연결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촉롤러의 양측에서 상기 제1 접촉롤러를 탄성 지지하는 한쌍의 제1 보조탄성기; 및
    상기 제1 접촉롤러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한 진동흡수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흡수커버는,
    상기 제1 접촉롤러의 둘레면를 감싸는 메인 커버파트와, 상기 메인 커버파트의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1 접촉롤러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복수의 서브 커버파트를 구비하며, 고리 형상을 갖는 커버유닛;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커버파트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커버유닛 보다 짧은 둘레길이를 갖는 한쌍의 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커버파트의 폭(Wc)은, 상기 제1 접촉롤러의 폭(w)과 동일하고,
    상기 서브 커버파트의 폭(Ws)은, 상기 메인 커버파트의 폭(Wc)의 0.3 내지 0.5 배이고,
    상기 커버유닛은, 방진원단으로 이루어지며,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서 결정되는 둘레길이(L)를 갖고,
    [수학식 1]
    커버유닛의 둘레길이(L) = 제1 접촉롤러의 둘레길이(l) + 여유 길이(m)
    상기 수학식 1의 상기 여유 길이(m)는,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서 결정되고,
    [수학식 2]
    여유 길이(m) = 2 × 제1 접촉롤러의 폭(w) × 여유 계수(k)
    상기 수학식 2의 상기 여유 계수(k)는, 상기 제1 접촉롤러의 폭(w) 및 상기 제1 접촉롤러의 직경(d)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탄성유닛의 둘레길이(b)는, 하기의 수학식 3에 의해서 결정되고,
    [수학식 3]
    탄성유닛의 둘레길이(b)=커버유닛의 둘레길이(L) × 조임 계수(s)
    상기 수학식 3의 상기 조임 계수(s)는, 상기 탄성유닛의 최대팽창계수(e)가 작을수록 그 값이 커지고(즉, 반비례이고),
    상기 방진원단은, 0.2 ㎛ 입자에 대해 82% 내지 98%의 차폐도를 가지며, 0% 내지 2.5%의 신축률을 갖고,
    상기 방진원단은 95% 이상 99% 미만의 폴리에스테르와 0% 초과 3.5% 이하의 카본을 포함하는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
KR1020230026521A 2023-02-28 2023-02-28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 KR102621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521A KR102621691B1 (ko) 2023-02-28 2023-02-28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521A KR102621691B1 (ko) 2023-02-28 2023-02-28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691B1 true KR102621691B1 (ko) 2024-01-05

Family

ID=8954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6521A KR102621691B1 (ko) 2023-02-28 2023-02-28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6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201U (ko) * 1998-01-16 1999-08-25 박종현 도어 개폐장치
KR200213625Y1 (ko) 2000-09-04 2001-02-15 나명환 내진형 배수배관용 이음장치
JP2004360812A (ja) * 2003-06-05 2004-12-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配管ガイドサポート装置
KR101368661B1 (ko) * 2012-05-16 2014-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고정장치
KR101972261B1 (ko) * 2018-02-22 2019-04-25 대상시너스(주) 배관 지지장치
JP2022096575A (ja) * 2020-12-17 2022-06-2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長尺部材の保持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201U (ko) * 1998-01-16 1999-08-25 박종현 도어 개폐장치
KR200213625Y1 (ko) 2000-09-04 2001-02-15 나명환 내진형 배수배관용 이음장치
JP2004360812A (ja) * 2003-06-05 2004-12-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配管ガイドサポート装置
KR101368661B1 (ko) * 2012-05-16 2014-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고정장치
KR101972261B1 (ko) * 2018-02-22 2019-04-25 대상시너스(주) 배관 지지장치
JP2022096575A (ja) * 2020-12-17 2022-06-2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長尺部材の保持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3641B2 (en) High-performance shear friction damper
KR102177483B1 (ko) 면진용 댐퍼
KR101326401B1 (ko) 볼베어링 타입 면진 장치
KR101355191B1 (ko)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2621691B1 (ko) 진동 흡수 배관 구조물
KR20180085961A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JPH0258497B2 (ko)
KR101205809B1 (ko) 액세스 플로어용 면진 시스템
KR101954442B1 (ko) 전방향 내진 성능을 갖는 배전반
KR102251950B1 (ko) 배관 지지 장치
KR20180054242A (ko) 내진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KR101701810B1 (ko) 내진장치
KR102010187B1 (ko)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101284885B1 (ko) 볼베어링을 이용한 면진 액세스플로어
FI92997C (fi) Tukirakenne hissin lineaarimoottoria varten
JP201716673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防振ベースプレート
KR20160087787A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KR20160087789A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KR102186904B1 (ko) 바퀴 커버
KR20080034071A (ko) 케이블 베어 시스템
JP5968688B2 (ja) 減震構造体
KR102432928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안내 활차
KR102281465B1 (ko) 방진 및 완충 기능을 구비한 실외기용 거치대
KR101184741B1 (ko) 액세스 플로어용 면진 정착구조물
KR101393694B1 (ko) 이축 거동 내력 가변 마찰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