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188B1 - Marine animal type boat - Google Patents

Marine animal type bo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188B1
KR102621188B1 KR1020210177694A KR20210177694A KR102621188B1 KR 102621188 B1 KR102621188 B1 KR 102621188B1 KR 1020210177694 A KR1020210177694 A KR 1020210177694A KR 20210177694 A KR20210177694 A KR 20210177694A KR 102621188 B1 KR102621188 B1 KR 102621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fin
marine animal
water
shaped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89232A (en
Inventor
표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과학잠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과학잠수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과학잠수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17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188B1/en
Publication of KR20230089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2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1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9Floating structures with underwater viewing devices, e.g. with windows ; Arrangements on floating structures of underwater viewing devices, e.g. on boats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동물 보트에 관한 것으로, 해양동물에 대응하는 외관형상을 가지며, 탑승자가 수면을 향해 엎드려 누운 자세로 탑승하도록 형성되는 보트 본체, 및 보트 본체의 양측에서 수중을 향하여 아래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는 보트 본체에 탑승한 탑승자의 손과 팔이 삽입되고, 탑승자의 손과 팔의 움직임에 의해 수중에서 지느러미 형태로 패들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ine animal boat, which has an external shape corresponding to a marine animal, a boat body formed so that the occupants can board it in a prone position facing the water, and a plurality of bodies protruding downward toward the water from both sides of the boat body. It includes a fin-shaped protrusion.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s and arms of the rider on board the boat are inserted, and the boat is paddled in the form of fins in the water by the movement of the rider's hands and arms.

Description

해양동물 보트{MARINE ANIMAL TYPE BOAT}MARINE ANIMAL TYPE BOA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양동물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동물 형상의 외관을 가지며 해양동물의 보호 및 보존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탑승 시 안정감을 가지며, 해양동물의 이동 및 움직임 역할을 하는 지느러미 부분을 탑승자가 직접 체험할 수 있으며, 탑승 중 수중을 관람할 수 있는 해양동물 보트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marine animal boats, and more specifically, have an appearance shaped like a marine animal, induce interest in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marine animals,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when boarding, and play a role in the movement and movement of marine animals. It is about a marine animal boat that allows passengers to directly experience the fins that do the work and view the underwater world while riding.

최근 들어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포유류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포유류는 물론 다양한 해양동물에 대한 보호와 보존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Recently, public interest in endangered marine mammals has been increasing, and there is a need to induce interest in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various marine animals as well as endangered marine mammals.

다양한 해양동물의 이동 및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체험자가 실제로 해양동물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자세로 직접 지느러미 부분을 움직이면서 수면 위에서 이동하는 것을 체험하는 것이 중요하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vement and movement of various marine animals, it is important for the experiencer to actually experience movement on the water surface by directly moving the fins in the same or similar posture as the marine animal.

따라서, 해양동물 형상을 갖는 보트를 제공하고, 해양동물의 지느러미 부분을 탑승자가 직접 움직일 수 있게 하면서 탑승자가 육안으로 수중 환경을 관람할 수 있는 해양동물 보트의 개발이 요청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marine animal boat that provides a boat that has the shape of a marine animal and allows the occupants to directly move the fins of the marine animal while allowing the occupants to view the underwater environment with the naked eye.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1556호(2009.02.02, 공개일)가 있으며, 물놀이튜브 겸용 보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A prior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11556 (2009.02.02, published date), which discloses technology related to a boat that serves as a water play tub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155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11556

본 발명은 목적은 해양동물 형상의 외관을 가지며 해양동물의 보호 및 보존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해양동물 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animal boat that has an appearance shaped like a marine animal and can induce interest in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marine anima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좌식 보트와 달리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탑승 시 안정감이 향상된 해양동물 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animal boat with improved stability when riding by using a method of boarding the boat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in a prone position on the water, unlike existing sitting boa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하는 동시에, 탑승자가 손과 팔을 이용하여 해양동물의 이동 및 움직임 역할을 하는 지느러미 부분을 직접 동작시킬 수 있어, 해양동물의 움직임에 대한 이해와 재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해양동물 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oard the boat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in a prone position on the w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rider can use his or her hands and arms to directly operate the fin portion that plays a role in the movement and movement of marine animals, thereby improving the movement of marine animal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arine animal boat that can improve understanding and enjoyment 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하면서, 얼굴은 반구형 창에 수용되어 탑승자가 보트를 이동시키면서 수중 환경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해양동물 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animal boat that allows the rider to directly observe the underwater environment while moving the boat while riding the boat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in a prone position on the water, with the face accommodated in a hemispherical window.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해양동물 형상의 외관을 가지며 해양동물의 보호 및 보존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해양동물 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좌식 보트와 달리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탑승 시 안정감이 향상되며, 탑승자가 손과 팔을 이용하여 해양동물의 이동 및 움직임 역할을 하는 지느러미 부분을 직접 동작시킬 수 있어, 해양동물의 움직임에 대한 이해와 재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해양동물 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하면서, 얼굴은 반구형 창에 수용되어 탑승자가 보트를 이동시키면서 수중 환경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해양동물 보트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rine animal boat that has an appearance in the shape of a marine animal and can induce interest in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marine animals. In addition, unlike existing sit-down boats, stability is improved when boarding by using a method of ri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in a prone position on the water, and the rider uses his or her hands and arms to control the fins that play a role in the movement and movement of marine animals. Since it can be operated direct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rine animal boat that can improve understanding and enjoyment of the movement of marine animals. In addition, while ri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in a prone position on the water, the face is accommodated in the hemispherical window, thereby providing a marine animal boat that allows the occupants to directly observe the underwater environment while moving the boa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는 해양동물에 대응하는 외관형상을 가지며, 탑승자가 수면을 향해 엎드려 누운 자세로 탑승하도록 형성되는 보트 본체; 및 상기 보트 본체의 양측에서 수중을 향하여 아래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는, 상기 보트 본체에 탑승한 탑승자의 손과 팔이 삽입되고, 탑승자의 손과 팔의 움직임에 의해 수중에서 지느러미 형태로 패들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at body that has an exterior shape corresponding to a marine animal and is formed so that the occupants can ride in a prone position facing the water; and a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at body toward the water, wherein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re into which the hands and arms of a rider on the boat body are inserted, and the rider's hands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It is characterized by paddling in the water in the form of a fin by moving the arms and le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에서, 상기 보트 본체는, 탑승자가 누울 수 있도록 수면 위에 부상하는 바닥몸체; 및 상기 바닥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 돌출되어 상기 보트 본체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하는 측벽몸체;를 포함한다. In the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at main body includes a bottom body that floats on the water surface so that the occupants can lie down; and a side wall body that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body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boat body.

또한, 보트 본체는, 해양동물의 머리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선수부; 해양동물의 몸통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선체부; 및 해양동물의 꼬리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선미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oat body includes a bow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d shape of a marine animal; A hull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shape of a marine animal; and a stern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ail of a marine anim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에서, 상기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는, 해양동물의 지느러미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e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n of a marine animal.

또한,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는, 네오프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네오프랜 소재는 보온성이 우수하며, 유연한 재질을 가져, 탑승자의 손과 팔을 이용하여 유연한 패들링 동작을 가능하게 해준다.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may be made of neoprene material. Neoprene material has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and is a flexible material, allowing flexible paddling movements using the rider's hands and arms.

또한,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는, 상기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 각각의 선단 부위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로 삽입된 탑승자의 손을 끼워 고정시키는 손 끼움부재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re formed inside the tip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nd further include a hand fitting member for fixing the rider's hand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또한,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는, 상기 바닥몸체를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penetrating the bottom body.

또한,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와 상기 바닥몸체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제1 쿠션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쿠션재는 상기 바닥몸체에 몸을 엎드린 채 상기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를 움직여 패들링 하는 탑승자의 팔과 어깨 등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장시간 패들링 시 접촉 마찰에 따른 피부 상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a first cushioning material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nd the floor body, and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is provided with the arm of the rider who paddles by moving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while lying face down on the floor body. It absorbs shock applied to the body, such as the shoulders, and provides a function to prevent skin injuries caused by contact friction when paddling for long periods of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는, 상기 선수부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며, 아래로 볼록한 반구 형상을 갖는 안면 수용 창;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면 수용 창은, 상기 보트 본체에서 수면을 향해 엎드려 누운 자세로 탑승한 탑승자의 안면을 안착 수용하여, 탑승자의 육안으로 수중 환경을 관찰하도록 해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ace receiving window locat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bow portion and having a downwardly convex hemispherical shape, wherein the face receiving window is located in the boat body. It can seat and accommodate the face of the occupant in a lying position facing the water, allowing the occupant to observe the underwater environment with the naked eye.

안면 수용 창은 투명한 PC, 즉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ace-receiving window may be made of transparent PC, i.e. polycarbonate material.

안면 수용 창과 상기 선수부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제2 쿠션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쿠션재는 상기 안면 수용 창에 탑승자의 안면을 안착시킬 때, 탑승자의 안면 주변 부위, 예를 들어, 목, 머리, 귀, 턱 등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탑승자의 피부가 안면 수용 창 주변 구조물과의 접촉 마찰로 인해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A second cushioning material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ace receiving window and the bow portion, and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covers areas around the occupant's face, such as the neck, head, and ears, when the occupant's face is seated in the face receiving window. , absorbs shocks applied to the body, such as the chin, and prevents injury to the occupant's skin due to contact friction with structures around the face receiving wind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에서, 상기 바닥몸체는, 원단 재질을 갖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적층 되며, 탑승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쿠션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쿠션부의 사이에 적층 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In the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body includes a base portion made of a fabric material; A cushion part lamin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and in contact with the occupant's body; and a reinforcing part that is laminated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cushion part and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base part.

예를 들어, 베이스부는, PLA 원단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는, 쿠션감과 유연성이 우수한 네오프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부는 SUS 재질의 박판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신체와 닿는 부위에는 네오프랜 재질의 쿠션부를 배치하고, 베이스부와 쿠션부 사이에는 SUS 재질의 보강부를 삽입 배치함으로써, 내구성 및 탑승감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base part may be made of PLA fabric material. The cushion part may be made of neoprene material, which has excellent cushioning and flexibility. The reinforcement part may be a thin plate made of SUS material. Accordingly, by placing a cushion made of neoprene in the area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ccupant's body, and inserting and placing a reinforcing part made of SUS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cushion part, both durability and riding comfort can be satisf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에서, 보트 본체는, 상기 측벽몸체의 외부 면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측벽몸체에 가해진 외력을 완충 또는 흡수하는 띠 형상의 범퍼부;를 더 포함한다. In the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at body is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body, and further includes a band-shaped bumper portion that buffers or absorbs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ide wall body.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에서, 선미부는 탑승자의 발 또는 다리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 홈을 구비한다. 이로써, 탑승자는 보트 본체의 위에서 엎드려 누운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해양동물의 움직임을 공감할 수 있다. In the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rn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occupant's foot or leg is inse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a result, the occupants can stably maintain a prone position on the boat body and empathize with the movements of marine animal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의 후방에 구비되며, 해양동물 보트의 이동에 필요한 추력을 발생시키는 수중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탑승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수중모터의 동작이 제어되고, 수중모터에서 발생된 추력에 의해 해양동물 보트의 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Meanwhile, the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nd may further include an underwater motor that generates thrust necessary for movement of the marine animal boat. The operation of the underwater motor can be controlled by the rider's switch operation, and the movement of the marine animal boat can be made possible by the thrust generated by the underwater mo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해양동물(예: 듀공, 매너티 등)의 형상을 갖는 보트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로 하여금 해양동물의 보호 및 보존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by providing a boat having the shape of a marine animal (eg, dugong, manatee, etc.), it can induce interest in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marine animals in the occupan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좌식 보트와 달리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탑승 시 안정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existing sit-down boats,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stability when boarding by using a method of boarding the boat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in a prone position on the wa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하는 동시에, 탑승자가 손과 팔을 이용하여 해양동물의 이동 및 움직임 역할을 하는 지느러미 부분을 직접 동작시킬 수 있어, 해양동물의 움직임에 대한 이해와 재미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der can board the boat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in a prone position on the water, and at the same time use the hands and arms to directly operate the fin portion that plays a role in the movement and movement of marine animals.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understanding and enjoyment of animal movemen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하면서, 얼굴은 반구형 창에 수용되어 탑승자가 보트를 이동시키면서 수중 환경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ider can directly observe the underwater environment while moving the boat by riding the boat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while lying prone on the water, and the face is accommodated in the hemispherical window.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dditionally,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dentical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interposed”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may be subdivid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or module, or on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multiple devices or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In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It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rine animal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10)는 듀공, 매너티 등과 같은 해양동물 형상의 외관을 가지며, 해양동물의 보호 및 보존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 The marine animal bo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ppearance of a marine animal such as a dugong, a manatee, etc., and can induce interest in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marine animal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10)는 기존의 좌식 보트와 달리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탑승 시 안정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한 채로 탑승자가 손과 팔을 이용하여 지느러미형 돌출부를 직접 동작시켜 지느러미 형태의 패들링 조작이 가능하다. 이로써, 해양동물의 움직임에 대한 이해와 재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rine animal bo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stability when boarding by using a method of ri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in a prone position on the water, unlike existing sitting boats. In addition, while ri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in a prone position, the rider can directly operate the fin-shaped protrusion using his or her hands and arms to perform fin-shaped paddling. This can improve understanding and enjoyment of the movements of marine animal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10)는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하면서, 탑승자의 얼굴을 반구형 창, 즉 안면 수용 창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탑승자가 직접 패들링 하여 보트를 이동시키면서 보트 하부의 수중 환경을 관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rine animal bo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at the occupant's face on the hemispherical window, that is, the face receiving window, while ri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in a prone position on the water. As a result, the rider can directly paddle and move the boat while observing the underwater environment under the boat.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해양동물 보트(10)는 보트 본체(100),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를 포함한다. 1 to 4, the marine animal boat 10 shown includes a boat body 100 and a fin-shaped protrusion 200.

보트 본체(100)는 해양동물에 대응하는 외관형상을 가진다. The boat body 100 has an external shape corresponding to a marine animal.

예를 들어, 보트 본체(100)는 듀공 또는 매너티 등과 같은 해양포유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boat body 100 may have the shape of a marine mammal such as a dugong or manatee.

또한, 보트 본체(100)는 사용자, 즉 보트 탑승자가 수면을 향해 엎드려 누운 자세로 탑승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boat body 100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that is, the boat rider, rides it in a lying position facing the water.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는 보트 본체(100)의 양측에서 수중을 향하여 아래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downward toward the water from both sides of the boat body 100.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는 보트 본체(100)에 탑승한 탑승자의 손과 팔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긴 삽입 홈을 갖는다. 탑승자는 양손과 양팔을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의 내부로 삽입시켜 양손과 양팔을 움직여 수중에서 지느러미 형태로 패들링 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have long insertion grooves therein so that the hands and arms of a passenger on board the boat body 100 can be inserted. The rider can paddle in the water in the form of fins by inserting both hands and both arms into the interior of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and moving both hands and arms.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트 본체(100)는 바닥몸체(110)와 측벽몸체(130)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boat body 100 includes a bottom body 110 and a side wall body 130.

바닥몸체(110)는 탑승자가 누울 수 있는 평평한 바닥 면을 제공하며, 수면 위에 부상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loor body 110 provides a flat floor surface on which the occupants can lie,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floats on the water surface.

측벽몸체(130)는 수면 위에 부상하는 바닥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벽몸체(130)는 튜브 형태로 제공되며, 보트 본체(100), 더 구체적으로는 바닥몸체(110)의 상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side wall body 130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body 110 floating above the water. The side wall body 1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and blocks water from flowing into the boat body 100, more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body 1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양동물 형상의 외관을 갖는 보트 본체(100)는 해양동물의 머리 모양에 대응하는 선수부(101), 해양동물의 몸통 모양에 대응하는 선체부(102), 및 해양동물의 꼬리 모양에 대응하는 선미부(103)를 포함한다(도 3 참조).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at body 100 having an exterior shaped like a marine animal includes a bow portion 101 corresponding to the head shape of the marine animal, a hull portion 102 correspon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marine animal, and a marine animal body. It includes a stern portion 103 corresponding to the tail shape of (see Figure 3).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는 해양동물의 양쪽 지느러미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both fins of a marine animal.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는 네오프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may be made of neoprene material.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는 탑승자의 양손 및 양팔이 삽입되어 해양동물의 지느러미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패들링 조작되는 부위로서, 보온성이 우수하며, 유연한 네오프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are parts where both hands and arms of the rider are inserted and are manipulated for paddling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e fins of marine animals. It has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and is preferably made of flexible neoprene material.

이에 따라, 탑승자의 양손 및 양팔의 보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유연한 패들링 조작이 가능하며,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rider's both hands and arms can be kept warm, flexible paddling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xcellent durability can be achieved.

또한,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는 장갑 형태의 손 끼움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may further include a glove-shaped hand fitting member 220.

손 끼움부재(220)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 각각의 선단 부위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hand fitting member 220 may be formed inside the tip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손 끼움부재(220)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로 삽입된 탑승자의 양손을 장갑 형태로 삽입시켜 패들링 조작 시 정확한 동작을 가능하게 해준다. The hand fitting member 220 inserts both hands of the rider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in the form of gloves to enable accurate operation during paddling.

다시 말해, 손 끼움부재(220)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 각각의 선단 부위 내측에 마련되며 장갑 형태로 탑승자의 양손 손가락이 모두 또는 적어도 일부가 개별 삽입되어 지느러미형 돌출부(200)의 선단 부위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고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준다. In other words, the hand fitting member 220 is provided inside the tip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and in the form of a glove, all or at least some of the fingers of both hands of the rider are individually inserted into the tip of the fin-shaped protrusion 200. It allows you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part more accurately and easily.

이로써,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를 이용한 패들링 동작이 용이해지며, 탑승자의 양손과 양팔 동작이 지느러미형 돌출부(200)의 패들링 동작으로 정확하게 구현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paddling operation using the fin-shaped protrusion 200 becomes easier, and the rider's both hands and arms movements can be accurately implemented through the paddling operation of the fin-shaped protrusion 200.

이러한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는 바닥몸체(110)를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는 선수부(101)에 근접한 선체부(102)의 양측에서 바닥몸체(110)를 관통하여 연결되어, 탑승자의 양손과 양팔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s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may penetrate the bottom body 110 and be connect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are connected to penetrate the bottom body 110 on both sides of the hull portion 102 adjacent to the bow portion 101, allowing the passenger to insert both hands and arms. .

이에 더하여,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와 바닥몸체(110)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환형의 제1 쿠션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nnular first cushioning material 210 may be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and the bottom body 110.

제1 쿠션재(210)는 바닥몸체(110)에 몸을 엎드린 채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를 움직여 패들링 할 때, 탑승자의 팔과 어깨 등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장시간 패들링 시 바닥몸체(110)와 접촉 마찰되어 발생 가능한 피부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cushion material 210 absorbs the shock applied to the body of the rider, such as the arms and shoulders, when paddling by moving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while lying down on the bottom body 110, and protects the bottom when paddling for a long time. Skin damage that may occur due to contact and friction with the body 110 can be prevented in advanc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1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탑승자의 육안으로 보트 하부 수중 환경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안면 수용 창(300)을 더 포함한다. Meanwhile, the marine animal bo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further includes a face receiving window 300 that allows the occupant to observe the underwater environment under the boat with the naked eye.

안면 수용 창(300)은 선수부(101)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데, 바닥몸체(110)보다 아래로 볼록하게 연결되는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ace receiving window 300 is locat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bow portion 101, and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that is convexly connected below the bottom body 110.

안면 수용 창(300)은 보트 본체(100), 더 구체적으로는 바닥몸체(110)에서 수면을 향해 엎드려 누운 자세로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를 패들링 하여 보트를 이동시키는 탑승자의 안면을 안착 및 수용할 수 있다.The face receiving window 300 seats the face of the occupant who moves the boat by paddling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in a prone position on the boat body 100,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body 110, toward the water surface. and can be accepted.

이에 따라, 탑승자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를 패들링 하면서 수면 위에서 이동하는 보트 본체(100)의 하부에 펼쳐진 수중 환경을 직접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ider can directly observe the underwater environment unfolding under the boat body 100 moving on the water with the naked eye while paddling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예를 들어, 안면 수용 창(300)은 투명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PC(polycarbonat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face-receiving window 300 may be made of polycarbonate (PC) material, which is transparent and highly durable.

또한, 안면 수용 창(300)과 선수부(101)의 바닥몸체(110)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제2 쿠션재(3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cushioning material 310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ace receiving window 300 and the bottom body 110 of the bow portion 101.

제2 쿠션재(310)는 안면 수용 창(300)에 안착된 탑승자의 얼굴 부위, 즉 안면 주변 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2 쿠션재(310)는 탑승자의 안면 주변 부위인 목, 머리, 귀, 턱 등이 선수부(101)의 바닥몸체(110)에 직접 닿아 가해지는 신체 또는 피부 손상을 방지하도록 충격을 흡수하고 피부 쓸림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second cushion material 310 serves to protect the facial area of the occupant seated in the face receiving window 300, that is, the area around the face. For example,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310 provides impact to prevent damage to the body or skin caus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bottom body 110 of the bow 101 by the neck, head, ears, chin, etc. around the occupant's face. It provides an effect that absorbs and suppresses skin chaf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10)에서, 바닥몸체(110)는 베이스부(111), 쿠션부(112), 보강부(113)를 포함한다. Meanwhile, in the marine animal bo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body 110 includes a base portion 111, a cushion portion 112, and a reinforcement portion 113.

베이스부(111)는 3D PRINT PLA(polylactic acid)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The base portion 111 may be made of 3D PRINT PLA (polylactic acid) material.

쿠션부(112)는 베이스부(111)의 상부에 적층 될 수 있다. The cushion portion 112 may be laminated on top of the base portion 111.

쿠션부(112)는 탑승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위에 배치되어 탑승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ushion portion 112 may be disposed at an area in contact with the occupant's body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to the occupant.

예를 들어, 쿠션부(112)는 보온성이 우수하며, 유연성 및 쿠션성이 좋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네오프랜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ushion portion 112 may be made of a neoprene material that has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good flexibility and cushioning properties, and excellent durability.

보강부(113)는 베이스부(111)와 쿠션부(112)의 사이에 적층 삽입될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portion 113 may be stacked and inserted between the base portion 111 and the cushion portion 112.

보강부(113)는 베이스부(11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데 탑승자가 바닥몸체(110)에 엎드려 누운 경우 이를 지탱할 수 있도록 강도를 보강한다.The reinforcing part 113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ase part 111 so that it can support the occupant when he or she lies down on the floor body 110.

예를 들어, 보강부(113)은 SUS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inforcement portion 113 may be made of SUS material.

이에 따라, 보트 본체(100)의 바닥몸체(110)는 보온성과 쿠션감을 제공하면서도, 탑승자가 엎드려 누울 경우 이를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하고, 내구수명이 우수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bottom body 110 of the boat main body 100 provides warmth and cushioning, secures strength to support the occupants when they lie face down, and can have a structure with excellent durability.

또한, 보트 본체(100)는 범퍼부(140)를 더 포함한다. Additionally, the boat body 100 further includes a bumper portion 140.

범퍼부(140)는 측벽몸체(1300의 외부 면을 띠 형태로 둘러 감싸도록 배치된다. 범퍼부(140)는 탄성을 갖는 러버(rubber)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범퍼부(140)는 측벽몸체(130)에 가해진 외력을 완충 또는 흡수하여 보트 본체(100)를 보호할 수 있다 The bumper portion 140 is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body 1300 in a strip shape. The bumper portion 140 may be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The bumper portion 140 is the side wall body. The boat body 100 can be protected by buffering or absorbing external force applied to (130).

그리고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동물 보트(10)에서, 선미부(103)에는 탑승자의 발 또는 다리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 홈(104)이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marine animal bo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rn portion 103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104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occupant's foot or leg is inse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탑승자는 보트 본체(100)의 바닥몸체(110) 상에 엎드려 누울 때 발 또는 다리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 홈(104)에 삽입시킬 수 있는데, 안정적인 탑승자세 확보가 가능하며, 이러한 자세를 통해 해양동물 보트(10)와 일체감을 가질 수 있어 해양동물의 움직임을 이해하거나 공감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When the rider lies face down on the bottom body 110 of the boat main body 100, he or she can insert at least part of the foot or leg into the insertion groove 104. It is possible to secure a stable riding posture, and through this posture, marine animals can be It is possible to have a sense of unity with the boat 10, which can help understand or sympathize with the movements of marine animals.

이에 더하여,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200)의 후방에 추력을 발생시키는 수중모터(400)(도 5 참조)를 더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an underwater motor 400 (see FIG. 5) that generates thrust can be furth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200.

수중모터(400)는 관용적으로 알려진 형태라면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The underwater motor 400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in a commonly known form.

수중모터(400)가 더 장착되는 경우, 탑승자는 스위치(500) 조작을 통해 수중모터(400)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여 수중모터의 추력을 이용하여 해양동물 보트(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an underwater motor 400 is additionally installed, the rid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nderwater motor 400 on/off by manipulating the switch 500 to move the marine animal boat 10 using the thrust of the underwater motor. there i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해양동물(예: 듀공, 매너티 등)의 형상을 갖는 보트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로 하여금 해양동물의 보호 및 보존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boat having the shape of a marine animal (e.g., dugong, manatee, etc.), it is possible to induce interest in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marine animals in the occupants. .

나아가, 기존의 좌식 보트와 달리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탑승 시 안정감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more, unlike existing sit-down boats, the sense of stability when boarding can be improved by using a method of boar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while lying face down on the water.

더 나아가,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하는 동시에, 탑승자가 손과 팔을 이용하여 해양동물의 이동 및 움직임 역할을 하는 지느러미 부분을 직접 동작시킬 수 있어, 해양동물의 움직임에 대한 이해와 재미를 높일 수 있다. Furthermore, while ri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in a prone position on the water, the rider can use their hands and arms to directly operate the fins that play a role in the movement and movement of marine animals, allowing them to understand and understand the movement of marine animals. It can increase fun.

이에 더하여,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보트에 밀착하여 탑승하면서, 얼굴은 반구형 창에 수용되어 탑승자가 보트를 이동시키면서 수중 환경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In addition, while ri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at in a prone position on the water, the face is accommodated in the hemispherical window, allowing the rider to directly observe the underwater environment while moving the boa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iv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ransformation can occur.

10: 해양동물 보트
100: 보트 본체
101: 선수부
102: 선체부
103: 선미부
104: 삽입 홈
110: 바닥몸체
111: 베이스부
112: 쿠션부
113: 보강부
130: 측벽몸체
140: 범퍼부
200: 지느러미형 돌출부
210: 제1 쿠션재
220: 손 끼움부재
300: 안면 수용 창
310: 제2 쿠션재
400: 수중모터
500: 스위치
10: Marine animal boat
100: Boat body
101: bow section
102: Hull part
103: Stern part
104: Insertion groove
110: bottom body
111: base part
112: Cushion part
113: reinforcement part
130: side wall body
140: Bumper part
200: fin-shaped protrusion
210: First cushion material
220: Hand fitting member
300: face receiving window
310: Second cushion material
400: Underwater motor
500: switch

Claims (8)

해양동물에 대응하는 외관형상을 가지며, 탑승자가 수면을 향해 엎드려 누운 자세로 탑승하도록 형성되는 보트 본체; 및
상기 보트 본체의 양측에서 수중을 향하여 아래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트 본체는, 탑승자가 누울 수 있도록 수면 위에 부상하는 바닥몸체; 및 상기 바닥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 돌출되는 측벽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는, 상기 바닥몸체를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와 상기 바닥몸체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제1 쿠션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는, 상기 보트 본체에 탑승한 탑승자의 손과 팔이 삽입되고, 탑승자의 손과 팔의 움직임에 의해 수중에서 지느러미 형태로 패들링 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의 후방에 구비되며, 해양동물 보트의 이동에 필요한 추력을 발생시키는 수중모터를 더 포함하며,
탑승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상기 수중모터의 동작이 제어되는
해양동물 보트.
A boat body that has an external shape corresponding to a marine animal and is formed so that the occupants can ride in a lying position facing the water;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toward the water on both sides of the boat body,
The boat body includes a bottom body that floats on the water so that the occupants can lie down; And a side wall body that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body,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re connected to penetrate the bottom body,
A first cushioning material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nd the bottom body,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re formed so that the hands and arms of the rider on the boat body are inserted and paddled in the water in the form of fins by the movement of the rider's hands and arms,
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nd further includes an underwater motor that generates thrust necessary for movement of the marine animal boat,
The operation of the underwater motor is controlled by the rider's switch operation.
Marine animal bo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 본체는,
해양동물의 머리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선수부;
해양동물의 몸통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선체부; 및
해양동물의 꼬리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선미부;
를 포함하는 해양동물 보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at body is,
A bow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d shape of a marine animal;
A hull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shape of a marine animal; and
A stern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ail of a marine animal;
Marine animal boats including.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부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며, 아래로 볼록한 반구 형상을 갖는 안면 수용 창;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면 수용 창은,
상기 보트 본체에서 수면을 향해 엎드려 누운 자세로 탑승한 탑승자의 안면을 안착 수용하여, 탑승자의 육안으로 수중 환경을 관찰하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을 더 포함하는 해양동물 보트.
According to paragraph 4,
It further includes a face receiving window locat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bow portion and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convex downward,
The face receiving window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at body seats and accommodates the face of the occupant in a lying position facing the water, allowing the occupant to observe the underwater environment with the naked eye.
A marine animal boat that further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 본체는,
상기 측벽몸체의 외부 면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측벽몸체에 가해진 외력을 완충 또는 흡수하는 띠 형상의 범퍼부;
를 더 포함하는 해양동물 보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at body is,
a band-shaped bumper portion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body and buffering or absorbing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ide wall body;
A marine animal boat that further includes.
탑승자가 수면을 향해 엎드려 누운 자세로 탑승하도록 형성되는 보트 본체; 및
상기 보트 본체의 양측에서 수중을 향하여 아래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트 본체는, 탑승자가 누울 수 있도록 수면 위에 부상하는 바닥몸체; 및 상기 바닥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 돌출되는 측벽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는, 상기 바닥몸체를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와 상기 바닥몸체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제1 쿠션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는, 상기 보트 본체에 탑승한 탑승자의 손과 팔이 삽입되고, 탑승자의 손과 팔의 움직임에 의해 수중에서 지느러미 형태로 패들링 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지느러미형 돌출부의 후방에 구비되며, 해양동물 보트의 이동에 필요한 추력을 발생시키는 수중모터를 더 포함하며,
탑승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상기 수중모터의 동작이 제어되는
해양동물 보트.
A boat body configured to allow the occupants to board in a prone position facing the water;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toward the water on both sides of the boat body,
The boat body includes a bottom body that floats on the water so that the occupants can lie down; And a side wall body that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body,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re connected to penetrate the bottom body,
A first cushioning material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nd the bottom body,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re formed so that the hands and arms of the rider on the boat body are inserted and paddled in the water in the form of fins by the movement of the rider's hands and arms,
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lurality of fin-shaped protrusions and further includes an underwater motor that generates thrust necessary for movement of the marine animal boat,
The operation of the underwater motor is controlled by the rider's switch operation.
Marine animal boat.
KR1020210177694A 2021-12-13 2021-12-13 Marine animal type boat KR1026211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694A KR102621188B1 (en) 2021-12-13 2021-12-13 Marine animal type bo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694A KR102621188B1 (en) 2021-12-13 2021-12-13 Marine animal type bo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232A KR20230089232A (en) 2023-06-20
KR102621188B1 true KR102621188B1 (en) 2024-01-05

Family

ID=8699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694A KR102621188B1 (en) 2021-12-13 2021-12-13 Marine animal type bo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18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68Y1 (en) * 2003-12-12 2004-04-06 이균호 Air boat
KR100558281B1 (en) * 2004-11-16 2006-03-10 박효진 Board
JP2015155266A (en) * 2014-02-21 2015-08-27 浜口ウレタン株式会社 boa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3317B2 (en) * 1991-10-23 1997-10-15 正民 丸山 Sea and lake observation swimming boat
KR20090011556A (en) 2007-07-26 2009-02-02 김송학 Combination swimming tube and rubber boat
KR20160068337A (en) * 2014-12-05 2016-06-15 서휘성 Versatile buoyant bo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68Y1 (en) * 2003-12-12 2004-04-06 이균호 Air boat
KR100558281B1 (en) * 2004-11-16 2006-03-10 박효진 Board
JP2015155266A (en) * 2014-02-21 2015-08-27 浜口ウレタン株式会社 bo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232A (en)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6331A (en) Apparatus for body surf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2086364A1 (en) Vehicle seat back structure
KR102621188B1 (en) Marine animal type boat
US20070151501A1 (en) Boat construction with stowable seat
KR101146698B1 (en) Chair buffer of vessel
US7197996B2 (en) Seat board for board kiting
US7097521B1 (en) Self-propelled surfboard
JP2897071B2 (en) Small jet propulsion boat
KR102093977B1 (en) Ship with auxiliary buoyant material
GB2215198A (en) Car seat covers
JP3074293U (en) Life jacket
CN105664461A (en) Oar-pulling bodybuilding device
KR100803283B1 (en) A rippling of water instrument
KR100746151B1 (en) Boat chair for high-speed power boat
JP2535530B2 (en) Small jet propulsion boat
US9242706B2 (en) Dual keel kayak
KR200305880Y1 (en) A snow-sled and air boat in one
KR102405862B1 (en) Cabin structure for leisure boat
KR100613769B1 (en) The chair for rigid inflatable boat
JP2014218177A (en) Float
KR101865551B1 (en) Jet ski with the function of preventing an overturn
KR200465996Y1 (en) A rippling of water instrument
JP7110931B2 (en) seat for vehicle
KR101541724B1 (en) Folding kayak
KR0154561B1 (en) Lifesaving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