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927B1 -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 - Google Patents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927B1
KR102620927B1 KR1020180123367A KR20180123367A KR102620927B1 KR 102620927 B1 KR102620927 B1 KR 102620927B1 KR 1020180123367 A KR1020180123367 A KR 1020180123367A KR 20180123367 A KR20180123367 A KR 20180123367A KR 102620927 B1 KR102620927 B1 KR 102620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meniscus
rectangular groove
anchor
su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776A (ko
Inventor
김선미
박상수
정민영
Original Assignee
(주)티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디엠 filed Critical (주)티디엠
Priority to KR102018012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9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3Hand-held instruments for hold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9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4Knot pus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장방홈과, 상기 제1 장방홈과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장방홈과, 상기 제1 장방홈의 전단 및 상기 제2 장방홈의 후단을 연결하는 연결홈을 구비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봉합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방 앵커부재 및 후방 앵커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앵커 수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장방홈과 상기 연결홈을 따라 이동하는 푸시 몸체부재와, 상기 푸시 몸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앵커부재를 밀어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푸시 로드부재와, 상기 푸시 몸체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푸시 스토퍼를 구비하는 푸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APPARATUS FOR SUTURING MENISCUS}
본 발명은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월상 연골판(Meniscus)은 무릎 관절 내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하는 초승달 모양의 섬유성 연골이다. 이러한 반월상 연골판은 둥근 대퇴골(Femur)과 평평한 경골(Tibia) 이 만나 무릎 관절을 이룰 때 바깥쪽에 생기는 빈 공간을 채워주어서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해주어 압박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관절 운동시 관절의 안정성을 제공하고, 관절 연골의 윤활제 역할로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반월상 연골판은 나이가 들거나 외상에 의하여 파열될 수 있으며, 무릎 관절의 압통, 관절 운동시의 통증, 관절 운동 제한(Locking)이 발생할 수 있다. 손상된 반월상 연골판은 소염 진통제 등을 이용한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주사 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자연 회복이 어려워 수술적 치료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수술적 치료는 관절경을 이용한 절제술, 봉합술이 대표적이다.
관절경을 이용한 절제술에서 반월상 연골판은 신경 혈관 손상의 위험 때문에 접근하기가 어렵다. 이에, 반월상 연골판 치료를 위해, 봉합술이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다. 예를 들어, 긴 바늘(needle)과 캐뉼러(cannula)를 사용하여 운반되는 봉합사를 이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봉합사 기반 기술은 봉합사에 결합된 앵커(anchor)를 사용하고 있다.
봉합사에 결합된 앵커(anchor)를 사용할 경우, 앵커가 관통한 연골판 반대쪽에 완전히 노출된 것을 확인 후, 강제적으로 앵커를 니들에서 토출시키게 된다. 이럴 경우, 앵커가 니들의 진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지 않을 경우, 니들 제거 시 다시 빠질 수 있다. 또한, 앵커를 토출시키기 위해 연골판의 반대쪽에 완전히 노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니들의 관통 깊이가 길어지고, 그에 따라 혈관 및 조직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그리고, 앵커가 니들에서 빠지지 않을 경우, 니들을 흔들어 주거나 반복 이동 등의 마찰을 줘야 하며, 이러한 경우에 연골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수술 시간이 길어지고 봉합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7-0077136호 (2017.07.0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5-0022748호 (2015.03.04.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앵커부재를 설치하여 반월상 연골판의 봉합 수술을 부드럽고 편안하게 시행할 수 있는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후방 앵커부재의 토출 시에 앵커 수용부의 니들(needle) 부분을 최소화하여 관통시킬 수 있는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장방홈과, 상기 제1 장방홈과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장방홈과, 상기 제1 장방홈의 전단 및 상기 제2 장방홈의 후단을 연결하는 연결홈을 구비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봉합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방 앵커부재 및 후방 앵커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앵커 수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장방홈과 상기 연결홈을 따라 이동하는 푸시 몸체부재와, 상기 푸시 몸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앵커부재를 밀어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푸시 로드부재와, 상기 푸시 몸체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푸시 스토퍼를 구비하는 푸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앵커 수용부는, 상기 전방 및 후방 앵커부재가 생체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 수용부는, 상기 전방 및 후방 앵커부재 사이의 봉합사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매듭지어져 매듭 아래 봉합사의 일단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매듭이 조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합사는, 생체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부는, 상기 한 쌍의 푸시 스토퍼 중 하나는 상기 제1 장방홈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푸시 스토퍼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연결홈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부는, 상기 제1 장방홈에 설치되는 푸시 스토퍼의 중심 및 상기 연결홈에 설치되는 푸시 스토퍼의 중심 간 거리가 상기 전방 앵커부재의 중심 및 상기 후방 앵커부재의 중심 간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부는, 상기 푸시 몸체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장방홈과, 상기 연결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는, 상기 푸시 몸체부재가 링 형상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원통 형상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속하고 안전하게 앵커부재를 설치하여 반월상 연골판의 봉합 수술을 부드럽고 편안하게 시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봉합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앵커부재의 토출 시에 앵커 수용부의 니들(needle) 부분을 최소화하여 관통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혈관 및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의 손잡이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의 푸시부의 푸시 로드부재를 도시한 개념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의 푸시부의 한 쌍의 푸시 스토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를 이용한 수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의 손잡이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의 푸시부의 푸시 로드부재를 도시한 개념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의 푸시부의 한 쌍의 푸시 스토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는 손잡이부(110), 앵커 수용부(120), 푸시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는 리미터 튜브(140)가 부착될 수 있다.
먼저, 손잡이부(110)는 봉합 수술을 시행하는 사용자가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를 잡는 부분이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장방홈(111)과, 상기 제1 장방홈(111)과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장방홈(112)과, 상기 제1 장방홈(111)의 전단 및 상기 제2 장방홈(112)의 후단을 연결하는 연결홈(11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장방홈(111, 112)과, 상기 연결홈(113)을 따라 푸시부(130)의 푸시 몸체부재(132)가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장방홈(111, 112)을 따라 푸시부(130)의 푸시 몸체부재(132)가 선형 이동하고, 상기 연결홈(113)을 따라 푸시부(130)의 푸시 몸체부재(132)가 회전 이동한다. 이때, 제1 장방홈(111)은 제2 장방홈(11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홈(113)의 길이는 손잡이부(110) 외주 길이의 8~15% 정도일 수 있다.
푸시 몸체부재(132)가 최소의 마찰력으로 움직이도록 손잡이부(110)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때, 푸시 몸체부재(132)가 원통형의 링 형상으로 상기 손잡이부(110)의 원통 형상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통 형상 손잡이부(110)에 링 형상의 푸시 몸체부재(132)가 최소의 마찰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최대한 부드럽고 편안하게 수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장방홈(111, 112)과, 상기 연결홈(113)에 스토퍼(136)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136)에 의해 푸시 몸체부재(132)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장방홈(111)에 하나의 스토퍼(136)가 설치될 수 있고, 연결홈(113)에 하나의 스토퍼(13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10)는 봉합 수술을 시행하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 앵커 수용부(120)와 연결되는 곳에 소정 방향으로 길게 파진 복수의 홈을 가지고 볼록하게 형성되는 말단부재(110a)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앵커 수용부(120)는 손잡이부(11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앵커 수용부(120)는 봉합사(126)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방 앵커부재(128a) 및 후방 앵커부재(128b)를 내부에 수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앵커 수용부(120)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시스부재(122)와 상기 시스부재(122)의 내부에 위치하여 전방 앵커부재(128a) 및 후방 앵커부재(128b)를 반월상 연골판을 관통시켜 반대편에 토출하기 위한 관통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부재(12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부재(124)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부재(124)는 반월상 연골판을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일단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뽀족하게 형성되며, 타단이 시스부재(122)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관통부재(124)는 일단에 소정 길이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을 통해 앵커부재(128)가 토출될 수 있다. 관통부재(124)에서 관통부재(124)가 토출되는 홈은 시스부재(122)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앵커부재(128)는 전방 앵커부재(128a) 및 후방 앵커부재(128b)를 포함한다. 이때, 전방 앵커부재(128a) 및 후방 앵커부재(128b)는 앵커 수용부(120)에서의 위치에 따른 분류이며, 동일한 형상의 앵커부재(128)인 것이 일반적이나, 다른 형상의 앵커부재(128)일 수도 있다.
전방 앵커부재(128a) 및 후방 앵커부재(128b)는 각각 소정 길이를 가지며, 시스부재(122) 및 관통부재(124) 내부에 수용되도록 위치한다. 특히, 전방 앵커부재(128a)는 시스부재(122)의 외부에 위치하며, 전방 앵커부재(128a)가 토출된 후에, 후방 앵커부재(128b)가 전방 앵커부재(128a)가 위치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앵커부재(128)는 생체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흡수성 소재로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앵커부재(128)의 소재가 PLGA로 구성되어 짧은 시간에 몸 안에서 분해되고 기간은 6개월 정도가 된다.
또한, 앵커부재(128)는 전방 앵커부재(128a) 및 후방 앵커부재(128b)가 봉합사(12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앵커부재(128)는 봉합사(126)가 관통되는 적어도 2개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봉합사(126)는 생체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전방 및 후방 앵커부재(128a, 128b) 사이의 봉합사(126)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매듭지어져 매듭 아래 봉합사(126)의 일단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매듭이 조여지는 구조이다. 사용자가 힘을 봉합사(126)에 가할 때, 봉합사(126)를 단축시키고 매듭을 조이도록 봉합사(126)가 미리 묶인 매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봉합사(126)가 전방 및 후방 앵커부재(128a, 128b)를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 전방 앵커부재(128a)의 두 구멍을 별도의 봉합사(126)로 따로 묶어 놓고, 후방 앵커부재(128b)의 두 구멍을 별도의 봉합사(126)로 따로 묶어 놓은 후에 봉합사(126)와 전방 및 후방 앵커부재(128a, 128b)에 연결된 별도의 봉합사들(126)을 묶어서 하나로 연결한 후, 봉합사(126)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터벅 매듭(tarbuck knot) 방식 등으로 매듭지어 앵커 수용부(120)에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푸시부(130)는 손잡이부(110)의 제1 및 제2 장방홈(111, 112)과 연결홈(113)을 따라 이동하는 푸시 몸체부재(132)와, 상기 푸시 몸체부재(132)에 연결되어 후방 앵커부재(128b)를 밀어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푸시 로드부재(134)와, 상기 푸시 몸체부재(132)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푸시 스토퍼(136)를 구비할 수 있다.
푸시 몸체부재(132)는 링 형상으로 손잡이부(110)의 원통 형상의 외주면에 결합하며, 손잡이부(110)의 제1 및 제2 장방홈(111, 112)과 연결홈(113)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제1 및 제2 장방홈(111, 112)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장방홈(111)의 전단 및 상기 제2 장방홈(112)의 후단이 연결홈(113)에 의해 연결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의 길이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푸시 몸체부재(132)가 제1 장방홈(111)을 따라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의 전방으로 직선 이동한다(①).
그런 후에, 사용자가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의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푸시 몸체부재(132)가 연결홈(113)을 따라 회전 이동한다(②).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의 길이 방향으로 다시 힘을 가하면, 푸시 몸체부재(132)가 제2 장방홈(112)을 따라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의 전방으로 직선 이동한다(③).
이러한 푸시 몸체부재(132)의 움직임에 따라 푸시 로드부재(134)가 순차적으로 직선 운동, 회전 운동,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푸시 로드부재(134)가 2차례에 걸쳐 후방 앵커부재(128b)를 밀어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푸시 몸체부재(132)가 제1 장방홈(111)을 따라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의 전방으로 직선 이동(①)함에 따라 후방 앵커부재(128b)가 전방 앵커부재(128a)가 있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푸시 몸체부재(132)가 연결홈(113)을 따라 회전 이동(②)함에 따라, 푸시 몸체부재(132)가 전방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후방으로는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푸시 몸체부재(132)가 연결홈(113)을 따라 원복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연결홈(113)의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연결홈(113)의 단면 직경이 제1 장방홈(111) 측에서 제2 장방홈(112) 측으로 점점 줄어드는 스텝(stepped) 구조의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푸시 몸체부재(132)가 제2 장방홈(112)을 따라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의 전방으로 직선 이동(③)함에 따라 후방 앵커부재(128b)가 앵커 수용부(120)의 관통부재(124)에서 외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푸시 몸체부재(132)를 1차 위치(제1 장방홈의 전단)까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직진 이동하면, 후방 앵커부재(128b)는 자동으로 장착을 위한 위치로 이동하고, 연속해서 푸시 몸체부재(132)를 2차 최종 위치(제2 장방홈의 전단)까지 gear식으로 회전하고 이동하면, 후방 앵커부재(128b)는 자동으로 토출되게 된다. 즉, 적은 힘을 푸시 몸체부재(132)에 사용하여 후방 앵커부재(128b)를 이동시키고, 반월상 연골판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푸시 로드부재(134)는 푸시 몸체부재(132)에 연결되어 후방 앵커부재(128b)를 미는 역할을 한다. 푸시 로드부재(134)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앵커 수용부(120) 내부에 삽입되고, 후단이 푸시 몸체부재(132)와 연결된다.
푸시 몸체부재(132)의 이동에 따라 푸시 로드부재(134)도 연동하여 앵커 수용부(120) 내부에서 선형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푸시 로드부재(134)가 제1 장방홈(111)을 따라 이동하는 푸시 몸체부재(132)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후방 앵커부재(128b)를 밀어 상기 후방 앵커부재(128b)를 전방 앵커부재(128a)가 있던 관통부재(124)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푸시 로드부재(134)가 제2 장방홈(112)을 따라 이동하는 푸시 몸체부재(132)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방 앵커부재(128a)에 위치한 후방 앵커부재(128b)를 관통부재(124)에서 외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푸시 스토퍼(136)는 푸시 몸체부재(132)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러한 푸시 스토퍼(136)는 손잡이부(110)의 제1 및 제2 장방홈(111, 112)과 연결홈(113)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푸시 스토퍼(136)는 적어도 2개가 사용되며, 하나가 제1 장방홈(111)에 설치되며, 다른 하나가 연결홈(113)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장방홈(111)에 설치되는 푸시 스토퍼(136)에 의해 전방 앵커부재(128a)를 반월상 연골판의 반대편에 1차적으로 설치 완료하고, 후방 앵커부재(128b)를 반월상 연골판의 반대편에 2차적으로 설치하기 전에 후방 앵커부재(128b)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후방 앵커부재(128b)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연결홈(113)에 설치되는 푸시 스토퍼(136)에 의해 후방 앵커부재(128b)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한 쌍의 푸시 스토퍼(136)에 의해 푸시 몸체부재(132)의 움직임이 확실히 제어되므로, 앵커부재(128)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한 봉합 수술이 가능하다.
특히, 푸시 몸체부재(132)에 의해 후방 앵커부재(128b)를 전방 앵커부재(128a)가 위치하였던 정확한 위치로 밀기 위해, 제1 장방홈(111)에 설치되는 푸시 스토퍼(136)의 중심 및 연결홈(113)에 설치되는 푸시 스토퍼(136)의 중심 간 거리가 전방 앵커부재(128a)의 중심 및 후방 앵커부재(128b)의 중심 간 거리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장방홈(111)의 길이에 맞추어 적절하게 전방 앵커부재(128a)의 후방에 후방 앵커부재(128b)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장방홈(111)의 길이에 맞추어 적절하게 전방 앵커부재(128a)를 앵커 수용부(12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방홈(111)의 길이가 10mm이면, 전방 앵커부재(128a)와 후방 앵커부재(128b) 사이의 거리가 10mm가 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장방홈(111)의 길이가 3mm이면, 전방 앵커부재(128a)와 후방 앵커부재(128b)가 위치하는 곳이 앵커 수용부(120)의 끝단에서 3mm 이내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관통부재(124)의 끝단에서 3mm 이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후방 앵커부재(128b)를 반월상 연골판의 반대편에 설치 시, 앵커 수용부(120), 특히 관통부재(124)의 삽입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혈관 및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임상적으로 안전하며, 후방 앵커부재(128b)가 빠지지 않을 경우에 관통부재(124)를 흔들 필요가 없어서 안전한 봉합 수술이 가능하다.
리미터 튜브(140)는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에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반월상 연골판의 정확한 관통 깊이를 측정하여 리미터 튜브(140)에 표시된 표식(140M)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표식의 리미터 튜브(140)를 절단하여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에 재삽입하여 봉합 수술을 시작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를 이용한 수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를 이용한 수술 방법은 반월상 연골판(10)의 관통 깊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리미터 튜브(140)를 절단하고, 재삽입한다.
다음으로,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의 관통부재(124)를 1차적으로 관통시켜 반월상 연골판(10)의 반대편에 전방 앵커부재(128a)를 토출시킨다. 이때, 반월상 연골판(10) 관통 후 연골이 전방 앵커부재(128a)의 Stopper의 기능을 함으로써 관통부재(124)를 후퇴시켰을 때 전방 앵커부재(128a)가 토출된다. 즉, 관통부재(124)를 반월상 연골판(10)의 반대편에서 후진하였을 때, 전방 앵커부재(128a)는 앵커 수용부(120)에서 빠지고 전방 앵커부재(128a)가 봉합사(126)에 의해 수직으로 정열되어 앵커(Anchor)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의 관통부재(124)를 2차적으로 관통 전, 제1 장방홈(111)에 위치한 푸시 스토퍼(136)를 제거 후에 푸시 몸체부재(132)를 제1 장방홈(111)의 전단까지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후방 앵커부재(128b)가 푸시 로드부재(134)에 의해 밀어져 전방 앵커부재(128a)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런 후에, 관통부재(124)를 2차적으로 관통시킨다. 이때, 후방 앵커부재(128b)를 토출시키기 위해 반월상 연골판(10)의 반대쪽에 완전히 후방 앵커부재(128b)를 노출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관통부재(124)의 관통 깊이를 줄일 수 있어 혈관 및 조직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연결홈(113)에 위치한 푸시 스토퍼(136)를 제거 후에 푸시 몸체부재(132)를 연결홈(113)을 따라 회전시켜 푸시 몸체부재(132)를 제2 장방홈(112)의 후단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푸시 몸체부재(132)를 제2 장방홈(112)을 따라 제2 장방홈(112)의 전단까지 이동시킨다. 이로부터, 후방 앵커부재(128b)를 푸시 로드부재(134)에 의해 다시 밀어 후방 앵커부재(128b)를 토출시키게 된다. 후방 앵커부재(128b)의 경우, 푸시부(130)에 의해 안전하게 밀어서 후방 앵커부재(128b)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를 흔들거나 강제적으로 후방 앵커부재(128b)를 빼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안전하다.
마지막으로, Knot Pusher & Suture Cutter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봉합사(126) 매듭을 단단히 고정하고, 남아 있는 봉합사를 절단하여 수술을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100)를 통해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앵커부재(128)를 설치하여 반월상 연골판 파열 봉합 수술을 시행 할 수 있다. 특히, 후방 앵커부재(128b)의 토출 시 반월상 연골판 관통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혈관 및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 후방 앵커부재(128b)의 이동 제어가 확실하여 최대한 부드럽고 편안하게 수술을 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봉합 수술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
110: 손잡이부
120: 앵커 수용부
130: 푸시부
140: 리미터 튜브

Claims (7)

  1.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장방홈과, 상기 제1 장방홈과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장방홈과, 상기 제1 장방홈의 전단 및 상기 제2 장방홈의 후단을 연결하는 연결홈을 구비하고 원통 형상의 외주면을 가지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봉합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방 앵커부재 및 후방 앵커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앵커 수용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원통 형상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장방홈을 따라 선형 이동하고 상기 연결홈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링 형상의 푸시 몸체부재와, 상기 푸시 몸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앵커부재를 밀어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푸시 로드부재와, 상기 푸시 몸체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1 장방홈 및 상기 연결홈에 설치되는 한 쌍의 푸시 스토퍼를 구비하는 푸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푸시 스토퍼 중 하나의 중심과 다른 하나의 중심 간 거리가 상기 전방 앵커부재의 중심 및 상기 후방 앵커부재의 중심 간 거리와 동일하도록 상기 한 쌍의 푸시 스토퍼 중 하나는 상기 제1 장방홈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푸시 스토퍼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연결홈에 설치되는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수용부는,
    상기 전방 및 후방 앵커부재가 생체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수용부는,
    상기 전방 및 후방 앵커부재 사이의 봉합사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매듭지어져 매듭 아래 봉합사의 일단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매듭이 조여지는,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생체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23367A 2018-10-16 2018-10-16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 KR102620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367A KR102620927B1 (ko) 2018-10-16 2018-10-16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367A KR102620927B1 (ko) 2018-10-16 2018-10-16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776A KR20200042776A (ko) 2020-04-24
KR102620927B1 true KR102620927B1 (ko) 2024-01-05

Family

ID=7046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367A KR102620927B1 (ko) 2018-10-16 2018-10-16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453B1 (ko) 2020-06-25 2021-05-24 (주)올소테크 반월상 연골 봉합사용 고정 플레이트
CN112168251A (zh) * 2020-10-28 2021-01-05 西安杰威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半月板缝合器
CN116077110A (zh) * 2022-12-05 2023-05-09 杭州锐健马斯汀医疗器材有限公司 半月板缝合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1264B (zh) * 2009-07-24 2016-12-07 德普伊米特克公司 修复半月板组织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236B1 (ko) * 2010-12-01 2013-01-15 신현철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US9084597B2 (en) 2012-03-09 2015-07-21 Smith & Nephew, Inc. Suture-based knotless repair
JP6461336B2 (ja) 2014-10-29 2019-01-30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ジュール式組織修復キットならびにそれに関連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1264B (zh) * 2009-07-24 2016-12-07 德普伊米特克公司 修复半月板组织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776A (ko)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45340A1 (en) Soft Tissue Fixation Device And Methods
JP6445074B2 (ja) 縫合糸アンカー及び縫合糸アンカーシステム
US6280448B1 (en) Cannulated tissue anchor system
US8998949B2 (en) Soft tissue conduit device
KR102620927B1 (ko) 반월상 연골판 봉합장치
US5865834A (en) Coring reamer
US5681320A (en) Bone-cutting guide
US5522846A (en) Suture anchor
US5683400A (en) Graft preparation table
US20150080917A1 (en) Knot pusher and suture cutter instrument
EP2078491A1 (en) T-Bar suture instrument
KR20150023494A (ko) 모듈형 리머 역행 부착물
CN113853167B (zh) 腹腔镜手术用穿刺器系统
EP0739185B1 (en) Allogenic or synthetic composite bone graft
US20220409198A1 (en) Anchor delivery systems
EP3169248B1 (en) Device for surgical suturing
CA131251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nd anchoring tissue
KR101901516B1 (ko) 봉합사 앵커 시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 장치
KR102120596B1 (ko)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WO2023135197A1 (en) Knotless anchor temporary suture cap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