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565B1 - 개인 맞춤형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하는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하는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565B1
KR102620565B1 KR1020210025673A KR20210025673A KR102620565B1 KR 102620565 B1 KR102620565 B1 KR 102620565B1 KR 1020210025673 A KR1020210025673 A KR 1020210025673A KR 20210025673 A KR20210025673 A KR 20210025673A KR 102620565 B1 KR102620565 B1 KR 102620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user
tooth
process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510A (ko
Inventor
손예준
Original Assignee
손예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예준 filed Critical 손예준
Priority to KR102021002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56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0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means for controlling duration, e.g. time of brus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관리서버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본정보 및 치아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기본정보 및 상기 치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솔루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솔루션을 제2 전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솔루션에 의하여 구동된 상기 제2 전자장치로부터 양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양치정보에 기초하여 양치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양치패턴에 따른 치아관리 개선사항을 제1 전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양치패턴 및 상기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솔루션을 제2 솔루션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솔루션을 상기 제2 전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하는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DENTAL CARE SERVIC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개인 맞춤형 치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개인 맞춤형의 칫솔을 제작하고, 관리할 수 있는 치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2019 의료 급여 통계" 중 전체 수급권자 질병 소분류별 다빈도 상병 진료현황과 65세 이상 수급권자 질병 소분류별 다빈도 상병 진료현황에서 치은염 및 치주질환은 전체 상병명 중 두 번째로 높은 진료인원 비율로 나타났다.
"2020년 상반기 진료비 통계지표"에 따르면, 다발생 질병 순위별 현황 진료일 기준 가장 높은 비율의 진료인원, 내원일수, 요양급여비용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6년 HIRA 정책동향에서 발표한 "최근 5년간 구강질환"자료에 따르면, 구강질환의 환자수와 총 진료비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4년간 각각 29.6%, 56.5%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6.7%, 11.8% 증가하였다. 구강질환 중 치아우식과 치은염 및 치주질환의 환자수는 4년간 각각 약 1.7%, 약 67.1% 증가하였고, 치은염 및 치주질환의 환자수 증가는 2013년 7월 스케일링 급여 확대로 인해 치은염 및 치주질환의 진료행위 중 스케일링 전악에 대한 진료 급증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연결구간별 구강질환 환자수를 살펴보면 50~59세 연령구간에서 가장 많은 환자가 분포되어 있고, 구강질환 환자수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연평균 증가율이 증가하여 90세 이상의 4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015년 기준 18.1%로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점차 고령화되는 시점을 대입해보면, 치과병원, 치과의원의 환자수 및 진료비는 계속하여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개인 맞춤형 치아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삭제
등록특허공보 제10-1911834호 (2018.10.19)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 맞춤형 치아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를 구현하기 위한 발명으로써, 개인이 효과적으로 양치를 할 수 있도록 치아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방법은, 사용자의 기본정보 및 치아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기본정보 및 상기 치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솔루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솔루션을 제2 전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솔루션에 의하여 구동된 상기 제2 전자장치로부터 양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양치정보에 기초하여 양치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양치패턴에 따른 치아관리 개선사항을 제1 전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양치패턴 및 상기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솔루션을 제2 솔루션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솔루션을 상기 제2 전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치아정보는 사용자의 치아구조, 치과치료이력, 구강스캔 데이터, 사용자 치아에 대응하는 3D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솔루션 및 상기 제2 솔루션은
상기 사용자의 기본정보 및 상기 치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진동모드, 진동주파수, 지속시간, 칫솔모방향, 칫솔모각도 및 진동향을 개별적으로 설정하여 생성 및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양치정보는 사용자의 양치지속시간, 하루동안의 양치횟수, 치석량, 치아상태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선사항은 양치횟수, 양치시간, 양치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관리서버는 효과적인 잇솔질이 가능하며, 거동이 불편하거나 고령화되어 효율적인 잇솔질이 불가능한 사람들의 치태 및 치주관리를 할 수 있어 개인에게는 구강위생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시적으로 국가건강보험의 요양급여 지출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시스템 구현되는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장치, 제2 전자장치 및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sequence-chart)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들)와 제2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예컨대, "명령(command)", "명령어(instruction)", "제어 정보", "메시지", "정보", "데이터", "패킷", "데이터 패킷", "인텐트(intent)" 및/또는 "신호"는 그 표현에 구애됨 없이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사상이나 구체적인 전기적 표현(예: 디지털 부호/아날로그 물리량)을 포함하거나 그 자체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거된 예시적인 표현이 사용하게 되는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음은 본 문서에서 개시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문서에서 “A가 B보다 크다”는 단순히 “A가 B보다 크다”는 의미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A가 B보다 같거나 크다”라는 의미도 포함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하, 치아관리 시스템)이 구현되는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관리 시스템은 제1 전자장치(110), 제2 전자장치(130) 및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10) 및 제2 전자장치(13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15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지칭한다.
제1 전자장치(110)는 사용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장치(110)는 치아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전자장치(110)를 활용하여 서버(150)에 접속할 수 있다.
제2 전자장치(130)는 서버(150)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구동되는 치아관리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자장치(130)는 마우스피스형 칫솔일 수 있다.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하고, 해당 솔루션을 제2 전자장치(13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양치질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버를 지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15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150)는 버스(210), 디스플레이(220), 통신회로(230), 데이터베이스(240), 메모리(250), I/O 인터페이스(26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서버(150)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210)는 구성요소들(220 내지 27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버스(210)는 구성요소들(220 내지 270) 간의 통신(예를 들면,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각종 콘텐츠를 구성하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혹은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펜 혹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혹은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20)는 액정디스플레이(LCD),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기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서버(150)에 포함되어 구현되거나, 서버(150)와 별도로 구현되되 서버(150)에 기능적(operatively)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회로(230)는 서버(150)와 외부 장치들(예를 들면, 제1 전자장치(110), 제2 전자장치(130))과의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회로(230)는 무선 통신 혹은 유선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280)에 액세스하여 외부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80)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 혹은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280)에 액세스하기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또는 5G 표준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0)는 메모리(250) 상에 구현되거나 별도의 저장매체에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0)는 제1 전자장치(11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의 기본정보, 치아에 대한 정보 등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고객의 민감한 정보이므로, 상기 정보들의 이용에 관한 보안성 향상을 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24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되면, 데이터베이스(240)에 포함된 정보의 전송, 수정(modification), 삭제, 추가 등의 이력은 당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더욱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서버(150)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혹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250)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270)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명령어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패키지 파일에 포함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60)는 사용자 혹은 다른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혹은 데이터를 서버(150)의 다른 구성요소에 전달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60)는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외부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단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중앙처리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혹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버스(210)를 통하여 메모리(250), 디스플레이(220) 및 통신회로(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동작 중에, 메모리(250)에 저장된 명령어, 프로그램 혹은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명령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소프트웨어의 실행은 프로세서(270)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70)의 동작들은 대표적인 예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직간접적으로 기재된 "서버(150)"의 동작은 해당 "서버(150)"에 포함된 프로세서(270)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서버(150)에서 이루어지는 동작 중 적어도 일부는 서버-클라이언트 아키텍쳐, 클라우드 컴퓨팅 및/또는 병렬 컴퓨팅 등을 통하여 제3의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개별 주체를 포함한 환경에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장치(110), 제2 전자장치(130) 및 서버(1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sequence-chart)이다.
단계 S301에서, 제1 전자장치(110)는 서버(150)에 사용자등록 요청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전자장치(110)를 활용하여 사용자등록 신청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전자장치(110)를 활용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플랫폼에서 회원가입신청을 하면서 사용자등록신청을 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전자장치(110)는 사용자등록신청에 기초하여 사용자등록 요청메시지를 서버(15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장치(110)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직업, 거주지, 장애여부 등과 같은 사용자의 기본정보를 상기 사용자등록 요청메시지와 함께 서버(1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장치(110)는 사용자의 치아구조, 치과치료이력 등과 같은 치아정보를 상기 사용자등록 요청메시지와 서버(1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장치(110)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제2 전자장치(130)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등록 요청메시지와 서버(15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면에 기재되어 있지는 않지만, 서버(150)는 사용자의 치아구조, 구강스캐너, 인상재, 치과치료이력 등을 사용자가 내원한 병원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사용자의 치아에 대하여 3D 모델화되어 있는 치아모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기본정보 및 치아정보, 병원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치아정보를 종합 고려하여 사용자 맞춤형 치아관리장치를 제작도록 설계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303에서,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기본정보 및 치아정보를 제2 전자장치(130)와 매핑시킬 수 있다. 예컨대,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기본정보 및 치아정보와 제2 전자장치(130)의 시리얼번호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데이터베이스(240)가 아닌 외부 저장매체(예컨대, 클라우드)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사용자의 기본정보와 제2 전자장치(130)의 시리얼번호가 매칭된 데이터 혹은 사용자의 치아정보와 제2 전자장치(130)의 시리얼번호가 매칭된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암호화키를 추출한 뒤, 암호화키를 활용하여 암호화시키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40) 혹은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305에서,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기본정보 및 치아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50)는 사용자의 기본정보 및 치아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자장치(130)의 진동모드, 진동주파수, 지속시간, 칫솔모방향, 칫솔모각도 및 진동방향을 개별적으로 설정하여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연령대가 높은 사용자에게는 진동주파수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고, 지속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할 수 있으며, 연령대가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자에게는 진동주파수를 높게 설정하고, 지속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서버(150)는 사용자의 연령과 반비례하도록 진동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연령과 비례하도록 지속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진동모드에 따라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미백모드, 충치클리닉모드, 마사지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서버(150)는 해당 모드에 기초하여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2 전자장치(130)를 사용하는 시각에 따라 서버(150)는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50)는 사용자가 아침(예컨대, 오전 10시 이전)에 제2 전자장치(130)를 사용한다면, 지속시간을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지속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고, 사용자가 점심(예컨대, 오전 10시 이후 내지 14시 이전)에 제2 전자장치(130)를 사용한다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지속시간을 유자하고, 사용자가 저녁(예컨대, 14시 이후 내지 24시 이전)에 제2 전자장치(130)를 사용한다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지속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지속시간을 길게 설정하도록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치과치료를 받은 경우, 서버(150)는 병원서버로부터 치과치료이력을 제공받아 치료가 있었던 치아에 대해서는 진동주파수를 다른 치아에 비하여 낮게 설정하도록 치아관리 솔루션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교정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교정장치에 의하여 칫솔질이 안될 것을 감안하여 서버(150)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진동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진동주파수를 높게 설정하도록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치과치료이력에 기초하여 서버(150)는 자주 충치가 발생되는 치아에 대하여 진동주파수를 다른 치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도록 치아관리 솔루션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진동모드, 진동주파수, 지속시간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서버(150)는 수정으로 설정된 진동모드, 진동주파수,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제공받은 사용자의 치아구조에 기초하여 칫솔모방향이 설정되도록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제2 전자장치(130)의 칫솔모를 치아와 잇몸의 경계(즉, 치주낭의 위치)에 배치되어 치주낭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2 전자장치(130)의 칫솔모는 치아와 잇몸의 경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결과적으로 칫솔모는 치아별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칫솔모는 치주낭에 삽입될 수 있도록 치아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고 비스듬히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버(150)는 제2 전자장치(130)의 개별적인 칫솔모의 각도가 치아별로 상이하게 설정되도록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어금니에 배치된 칫솔모의 각도와 송곳니에 배치된 칫솔모의 각도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송곳니면과 칫솔모의 각도는 30도, 어금니면과 칫솔모의 각도는 45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기초하여 미세모 혹은 실리콘 모를 이용한 잇몸 마사지 모드가 설정되?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치주질환을 가진 경우, 서버(150)는 사용자의 치아구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잇몸과 치아 사이 경계에 칫솔모가 투입되어 20~30초 동안 전후 방향으로 짧게 진동되도록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유아이거나 장애인인 경우, 서버(150)는 진동방향을 원을 그리면서 진동하는 폰스(fones)법에 따라 운용될 수 있도록 치아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07에서, 서버(150)는 생성된 치아관리 솔루션을 제2 전자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09에서, 제2 전자장치(130)는 서버(150)로부터 제공받은 치아관리 솔루션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제2 전자장치(130)는 치아관리 솔루션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단계 S311에서, 제2 전자장치(130)는 사용자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기 저장된 치아관리 솔루션을 사용하지 않고, 제2 전자장치(13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 저장된 치아관리 솔루션이 아니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양치질 솔루션을 제1 전자장치(110)를 활용하여 다시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제로 필요한 치아관리 솔루션이 있는 경우, 제1 전자장치(110)를 이용하여 진동모드, 진동주파수, 지속시간, 진동방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내용을 서버(15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150)는 제공된 내용을 바탕으로 치아관리 솔루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S313에서, 제2 전자장치(130)는 사용자의 양치지속시간, 하루 동안의 양치횟수, 치석량, 치아 상태값 등과 같은 양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다양한 예에 따르면, 제2 전자장치(130)는 사용자의 치아에 서로 다른 파장대를 갖는 복수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구강 세균을 살균하고 치석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치아 상태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자장치(130)는 UV 280~400nm, 청색광 450~490nm, 적색광 625~740nm, 보라색광 380~420n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장대로 사용자의 치아를 조사할 수 있다. UV 280~400nm과 적색광 625~740nm은 구강 세균 살균효과가 있으며, 청색광 450~490nm은 치아 미백효과가 있고, 보라색광 380~420nm은 치주염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UV 280~400nm가 사용자의 치석으로 조사되면, 치석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이 생성될 수 있다. 반사광은 580~590nm의 파장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광의 광량은 치석량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치석량에 기초하여, 제2 전자장치(130)는 상기 치아 상태값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서버(15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50)는 제2 전자장치(130)로부터 제공받은 치아 상태값을 저장 및 분석하고, 분석된 치아 상태값을 제1 전자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제공받은 치아 상태값이 크고 작음에 따라 등급화하여 사용자의 치아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서버(150)는 상기 등급을 1등급에서 5등급으로 나누며, 등급이 높을수록 사용자의 치아에 치석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S315에서, 제2 전자장치(130)는 수집된 양치정보를 서버(15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2 전자장치(130)의 전원을 OFF할 때, 제2 전자장치(130)는 양치정보를 서버(15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17에서, 서버(150)는 제2 전자장치(130)로부터 제공받은 양치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양치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사용자의 양치습관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분석된 양치패턴에 기초하여 양치횟수, 양치시간, 양치순서 등에 대하여 개선사항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319에서, 서버(150)는 상기 추출된 개선사항을 제1 전자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50)는 양치횟수, 양치시간, 양치순서 등에 대하여 보다 효율적인 양치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개선사항을 제시할 수 있다.
단계 S321에서, 사용자는 제1 전자장치(110)를 통하여 상기 추출된 개선사항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1 전자장치(110)에 요구사항을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전자장치(110)를 이용하여 진동모드, 진동주파수, 지속시간, 진동방향, 칫솔모각도 등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323에서, 제1 전자장치(110)는 서버(150)에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25에서, 서버(150)는 사용자의 요구사항 및 추출된 문제점을 고려하여 치아관리 솔루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S327에서, 서버(150)는 업데이트된 치아관리 솔루션을 제2 전자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27에서, 제2 전자장치(130)는 제공받은 치아관리 솔루션을 저장할 수 있으며, 치아관리 솔루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제2 전자장치(130)로부터 칫솔모 변형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제1 전자장치(110)로 장치변경필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제2 전자장치(130)로부터 칫솔모 변형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않더라도, 일정기간마다 예컨대, 제1 전자장치(110)로 2~3개월마다 장치변경필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서버, 혹은 외부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제1 전자장치로부터 사용자의 기본정보 및 치아정보를,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공받는 단계;
    상기 기본정보 및 상기 치아정보에 기초하여 제1 솔루션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본정보 및 상기 치아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2 전자장치와 매핑하는 단계;
    상기 기본정보와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시리얼번호가 매칭된 제1 매핑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암호화키 및 상기 치아정보와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시리얼번호가 매핑된 제2 매핑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암호화키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각각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암호화키 및 상기 제2 암호화키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솔루션을 상기 제2 전자장치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솔루션에 의하여 구동된 상기 제2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치아에 280nm 내지 400nm의 UV, 450nm 내지 490nm의 청색광, 625nm 내지 740nm의 적색광, 380nm 내지 420nm의 보라색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장대로 조사하여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하여 파악한 치석량에 기초하여 생성된 치아상태값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공받는 단계;
    상기 치아상태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아상태에 등급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책정하는 단계;
    상기 책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치아관리 개선사항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개선사항을 상기 제1 전자장치에,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공받는 단계;
    상기 개선사항 및 상기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솔루션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제1 솔루션을 상기 제2 전자장치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정보는 사용자의 치아구조, 치과치료이력, 3D모델링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솔루션은 상기 사용자의 기본정보 및 상기 치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진동모드, 진동주파수, 지속시간, 칫솔모방향, 칫솔모각도 및 진동방향을 개별적으로 설정하여 생성 및 업데이트되며,
    상기 개선사항은 양치횟수, 양치시간, 양치순서를 포함하는
    치아관리 서버의 동작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25673A 2021-02-25 2021-02-25 개인 맞춤형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하는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620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673A KR102620565B1 (ko) 2021-02-25 2021-02-25 개인 맞춤형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하는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673A KR102620565B1 (ko) 2021-02-25 2021-02-25 개인 맞춤형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하는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510A KR20220121510A (ko) 2022-09-01
KR102620565B1 true KR102620565B1 (ko) 2024-01-03

Family

ID=8328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673A KR102620565B1 (ko) 2021-02-25 2021-02-25 개인 맞춤형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하는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5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421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닥터프리벤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75335A (ko) * 2015-12-23 2017-07-03 차희찬 지능형 구강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911834B1 (ko) 2017-04-10 2018-10-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칫솔 및 그 제어방법
KR102171837B1 (ko) * 2018-11-08 2020-10-29 이상근 스마트 칫솔을 이용한 구강정보 관리 시스템
KR102174059B1 (ko) * 2019-01-30 2020-11-04 한국광기술원 Led를 포함하는 칫솔 및 홈 덴탈 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510A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ttlewood et al. Orthodontic retention: what's on the horizon?
Kumar et al. Using smartphone video “selfies” to monitor change in toothbrushing behavior after a brief intervention: A pilot study
Park A licensed orthodontist versus do-it-yourself orthodontics
KR102620565B1 (ko) 개인 맞춤형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하는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
Zhang et al. The global burden of periodontal diseases in 204 countries and territories from 1990 to 2019
Mark Diabetes and oral health
Aguirre-Zorzano et al. Treatment of Amalgam Tattoo With a New Technique: Mucoabrasion and Free Connective Tissue Graft.
Singh Adult orthodontic patients in primary care and their motivation for seeking treatment
Mark Can diabetes affect my oral health?
Ciancio Whole mouth health
Edney Making the most of your dental therapist
Turner You also might like
Ambekar et al. Mini Implant Punch (MIP)
Hellyer Teeth for life? Some hope...
Sheikh For the Love of Your Teeth, Speak Up.
Kämmerer et al. Methodical bias for comparison of periodontal ligament injection and local infiltration anesthesia for routine extractions in the maxilla
Mark Replacing missing or lost teeth
KR20230108087A (ko) 구강 관리 서버 및 그에 관한 방법
Hunter Limited evidence for evaluating differences in marginal bone loss between conventional, early and immediate loading protocols for mandibular two-implant overdentures
Emanuel KISS principle and non AGP dentistry for pandemic periods and beyond
Ryan Hungate AI and the modern optometric practice restart
GUMS SBDN LAUNCH NEWLY QUALIFIED DENTAL NURSE’S GUIDE
Emanuel Pragmatic dentistry for frail elderly patients
Berr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dental practitioner
Robbins et al. A Patient with Dementia Presents from a Nursing Home with a History of Decreased Oral Intake, Malodor, and Weight Lo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