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491B1 -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491B1
KR102620491B1 KR1020220116872A KR20220116872A KR102620491B1 KR 102620491 B1 KR102620491 B1 KR 102620491B1 KR 1020220116872 A KR1020220116872 A KR 1020220116872A KR 20220116872 A KR20220116872 A KR 20220116872A KR 102620491 B1 KR102620491 B1 KR 102620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tank
tank
reaction
chambe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식
Original Assignee
(주)워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워터솔루션 filed Critical (주)워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16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반응조탱크에 유입되는 오폐수에 대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탱크부; 상기 탱크부의 내부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폭기부; 상기 폭기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내부에 담체가 구비되며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미생물 반응을 통해 오폐수에 대한 여과 처리를 하도록 구성되는 메디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부의 반응조탱크가 복수로 구성되어 탱크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복수의 반응조탱크를 경유하면서 정화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메디아의 미생물에 의한 오폐수 정화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TREATMENT SYSTEM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REACTOR TANKS}
본 발명은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부의 반응조탱크가 복수로 구성되어 탱크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복수의 반응조탱크를 경유하면서 정화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메디아의 미생물에 의한 오폐수 정화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로어는 임펠러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기체를 흡입하고 흡입한 기체를 소정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환경 오폐수처리 시설이나 정화조의 공기 공급, 항공 엔진 및 열풍기의 연료 공급, 양어장 등의 양식에 필요한 산소 공급 등에 사용되고 있다.
블로어의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 복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진다.
즉 이러한 블로어의 일반적인 동작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구동 모터에서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임펠러가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는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은 오폐수처리장의 폭기조에서 블로어가 적용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오폐수처리장의 폭기조(1)에는 복수의 호기성 미생물이 오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질을 영양분으로 배양하여 응집하게 되는데, 이러한 미생물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 산소가 공급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폭기조(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어(2)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덕트(3)가 설치되고, 폭기조(1) 바닥의 공기 공급 덕트(3)에는 폭기공이 형성되어 블로어(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공기 공급 덕트(3)를 통해 폭기조(1)의 내부로 공급되어 공기 공급 덕트(3)의 폭기공을 통과하면서 잘게 부셔져서 폭기된다.
이때, 폭기조(3)의 호기성 미생물 활성의 적정 온도는 20도 내지 30도인데, 블로어(2)에서 토출되는 토출 공기의 온도는 대략 80도의 고온으로, 이러한 토출 공기가 폭기조(1)로 유입되면서 폭기조(1)의 온도를 상승시켜 미생물 활성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블로어의 토출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블로어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온도를 저하시키는 냉각기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폭기조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 10-1865816 호(2018.06.0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 10-1400394 호(2014.04.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탱크부의 반응조탱크가 복수로 구성되어 탱크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복수의 반응조탱크를 경유하면서 정화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메디아의 미생물에 의한 오폐수 정화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반응조탱크에 유입되는 오폐수에 대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탱크부; 상기 탱크부의 내부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폭기부; 상기 폭기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내부에 담체가 구비되며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미생물 반응을 통해 오폐수에 대한 여과 처리를 하도록 구성되는 메디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부에는, 내부 공간을 제1산소칸과 제1무산소칸으로 구획하는 제1격벽부재와, 상기 제1격벽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1산소칸과 제1무산소칸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구가 포함되고, 상기 제1산소칸에 메디아가 구비되는 제1반응조탱크; 내부 공간을 제2산소칸과 제2무산소칸으로 구획하는 제2격벽부재와, 상기 제2격벽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2산소칸과 제2무산소칸을 연통시키는 제2연통구가 포함되고, 상기 제2산소칸에 메디아가 설치되며, 상기 제1반응조탱크와 이웃하게 설치되는 제2반응조탱크; 및 내부 공간을 가이드칸과 여과칸으로 구획하는 제3격벽부재와, 상기 제3격벽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칸과 여과칸을 연통시키는 제3연통구와, 상기 제3격벽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여과칸에 구비되는 제2여과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제2반응조탱크와 이웃하게 설치되는 제3반응조탱크가 포함되며, 상기 탱크부로 유입되는 오폐수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 제2반응조탱크 및 제3반응조탱크를 차례로 경유하면서 처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반응조탱크에는, 상기 제2무산소칸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거치망; 및 상기 제1거치망에 구비되는 제1여과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격벽부재에는, 상기 제2연통구가 하부에 형성되는 차단격벽; 및 상기 제2연통구가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제2산소칸과 제2무산소칸을 연통시키는 순환홈이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통격벽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반응조탱크에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제1반응조탱크의 하부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반응조탱크에는 상기 제2반응조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제2반응조탱크의 하부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제2가이드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반응조탱크에는, 상기 여과칸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거치망; 및 상기 제2거치망에 구비되는 제2여과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반응조탱크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웃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반응조탱크에 형성되는 제1산소칸과 제1무산소칸 각각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반응조탱크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웃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반응조탱크에 형성되는 제2산소칸과 제2무산소칸 각각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탱크부에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 제2반응조탱크 및 제3반응조탱크에 형성되어 상기 탱크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제1반응조탱크, 제2반응조탱크 및 제3반응조탱크를 차례로 경유하도록 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부 중 제1유동구는 일 측의 제1반응조탱크에 형성되는 제1무산소칸과 타 측의 제1반응조탱크에 형성되는 제1산소칸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부 중 제2유동구는 타 측의 제1반응조탱크에 형성되는 제1무산소칸과 일 측의 제2반응조탱크에 형성되는 제2산소칸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통홀부 중 제3유동구는 일 측의 제2반응조탱크에 형성되는 제2무산소칸과 타 측의 제2반응조탱크에 형성되는 제2산소칸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통홀부 중 제4유동구는 타 측의 제2반응조탱크에 형성되는 제2무산소칸과 제3반응조탱크에 형성되는 가이드칸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폭기부에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의 제1산소칸에 설치되어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제1폭기노즐; 상기 제2반응조탱크의 제2산소칸에 설치되어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제2폭기노즐; 및 상기 제3반응조탱크의 여과칸에 설치되어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제3폭기노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폭기부에는, 상기 메디아의 하부 일 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강노즐; 및 상기 메디아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약노즐이 포함되되, 상기 강노즐은 적어도 상기 약노즐보다 강한 압력으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디아는 하면이 상기 강노즐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강노즐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탱크부의 반응조탱크가 복수로 구성되어 탱크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복수의 반응조탱크를 경유하면서 정화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메디아의 미생물에 의한 오폐수 정화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부가 제1반응조탱크, 제2반응조탱크 및 제3반응조탱크로 구성되어 오폐수가 차례로 경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폐수에 대한 정화 작업이 단계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오폐수에 대한 효율적인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반응조탱크에 포함되는 제1격벽부재가 제1반응조탱크의 내부를 제1산소칸과 제1무산소칸으로 구획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반응조탱크에 포함되는 제2격벽부재가 제2반응조탱크의 내부를 제2산소칸과 제2무산소칸으로 구획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산소칸과 제2산소칸에 호기성 미생물을 배양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무산소칸과 제2무산소칸에 혐기성 미생물을 배양시키도록 구성되어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로 유입되는 오폐수에 대한 효율적인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3반응조탱크에 포함되는 제3격벽부재가 제3반응조탱크의 내부를 가이드칸과 여과칸으로 구획시키도록 구성되어 제3반응조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제3격벽부재에 의해 가이드칸의 하부에서 여과칸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폐수가 여과칸에 구비되는 제2여과부재를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게 되면서 여과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반응조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제2반응조탱크의 제2산소칸에 설치되는 메디아에 의해 여과 처리되도록 구성되고, 제2반응조탱크의 제2무산소칸에 구비되는 제1여과부재에 의해 여과 처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반응조탱크를 경유하는 오폐수에 대한 효율적인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반응조탱크의 내부를 제2산소칸과 제2무산소칸으로 구획하는 제2격벽부재가 차단격벽 및 연통격벽으로 구분되어 서로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산소칸을 경유한 오폐수가 제2무산소칸에 구비되는 제1여과부재를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게 되면서 여과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반응조탱크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격벽에 의해 제1반응조탱크에서 유동되는 오폐수가 제1반응조탱크의 하부를 통해 유동되도록 구성되고, 제2반응조탱크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격벽에 의해 제2반응조탱크에서 유동되는 오폐수가 제2반응조탱크의 하부를 통해 유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반응조탱크에 설치되는 메디아 및 제2반응조탱크에 설치되는 메디아에 의한 오폐수 정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반응조탱크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도록 구성되되 제1산소칸과 제1무산소칸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제2반응조탱크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도록 구성되되 제2산소칸과 제2무산소칸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제1산소칸, 제1무산소칸, 제1산소칸, 제1무산소칸, 제2사소칸, 제2무산소칸, 제2산소칸 및 제2무산소칸 순으로 경유하면서 정화되도록 구성되어, 오폐수에 대한 효율적인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폐수가 제1반응조탱크, 제2반응조탱크 및 제3반응조탱크를 차례로 경유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부가 제1유동구, 제2유동구, 제3유동구 및 제4유동구로 구성되어 각각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반응조탱크, 제2반응조탱크 및 제3반응조탱크를 경유하는 오폐수가 제1반응조탱크, 제2반응조탱크 및 제3반응조탱크를 용이하게 경유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반응조탱크, 제2반응조탱크 및 제3반응조탱크에 각각 설치되는 제1폭기노즐, 제2폭기노즐 및 제3폭기노즐에 의해 제1반응조탱크, 제2반응조탱크 및 제3반응조탱크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디아의 하면 형상이 강노즐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메디아와 강노즐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강노즐에서 폭기되는 기체가 폭기되자마자 메디아와 부딪혀 방향이 변하고 힘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체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오폐수처리장의 폭기조에서 블로어가 적용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의 탱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의 메디아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탱크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폭기부에서 폭기되는 기체에 의해 탱크부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되며, 메디아에 설치되는 담체의 미생물에 의해 탱크부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오폐수가 처리되어 정화되도록 하는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에는 탱크부(100), 폭기부(200), 제어부 및 메디아(400)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은 상기 탱크부(100)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탱크부(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반응조탱크를 경유하면서 상기 메디아(400)의 미생물에 의해 정화 처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은, 탱크부(100)로 유입되어 정화되는 오폐수가 다량으로 유입되어 한 번에 정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오폐수가 상기 복수의 반응조탱크에 순차적으로 유입되면서 점진적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부(100)는 오폐수가 유입되어 상기 메디아(400)의 미생물에 의한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기름 및 폐기물 등의 유기물질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장소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폭기부(200)는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폭기부(200)에는, 상기 탱크부(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팬이 구동되어 기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블로어 및 상기 블로어에서 분사되는 기체를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폭기관(240)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질의 처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산소의 공급이 필요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폭기관(240)에 의해 가이드되는 기체는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가이드되어 상기 메디아(400)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메디아(400)의 미생물 활성화를 촉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폭기부(200)에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산소칸(112)에 설치되어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제1폭기노즐(210),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제2산소칸(122)에 설치되어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제2폭기노즐(220) 및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의 여과칸(133)에 설치되어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제3폭기노즐(2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폭기노즐(210)은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산소칸(112)에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제1산소칸(112)에서 순환되면서 일부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무산소칸(113)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폭기노즐(210)은 복수로 구성되어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폭기노즐(220)은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제2산소칸(122)에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제2산소칸(122)에서 순환되면서 일부는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제2무산소칸(123)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폭기노즐(220)은 복수로 구성되어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실시 환경에 따라, 상기 제2폭기노즐(220)은 산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메디아(400) 하부에 설치되어 기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메디아(400)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 환경에 따라, 상기 제2폭기노즐(220)에는 상기 제1거치망(126)의 중앙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거치망(126)에 거치되어 있는 제1여과부재(125)에 기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제1분사관(221)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분사관(221)은 상기 제1거치망(126)에 거치되어 있는 제1여과부재(125)에 기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여과부재(125)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상기 제1여과부재(125)에 의한 오폐수의 여과 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폭기노즐(230)은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의 여과칸(133)에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여과칸(133)에서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폭기노즐(230)은 복수로 구성되어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실시 환경에 따라, 상기 제3폭기노즐(230)은 산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의 제2여과부재(135) 하부에 설치되어 기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의 여과칸(133)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 환경에 따라, 상기 제3폭기노즐(230)에는 상기 제2거치망(136)의 중앙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2거치망(136)에 거치되어 있는 제2여과부재(135)에 기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제2분사관(231)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분사관(231)은 상기 제2거치망(136)에 거치되어 있는 제2여과부재(135)에 기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여과부재(135)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상기 제2여과부재(135)에 의한 오폐수의 여과 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폭기부(200)에는 상기 메디아(400)의 하부 일 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강노즐(201) 및 상기 메디아(40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약노즐(202)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노즐(201)은, 적어도 상기 약노즐(202)보다 강한 압력으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탱크부(100) 내부의 오폐수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폭기노즐(210)에 포함되는 약노즐(202)은 산기관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메디아(400)의 담체로 기체를 분사하여 상기 담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상기 약노즐(202) 보다 강한 압력으로 기체를 폭기하여 상기 탱크부(100) 내부의 오폐수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강노즐(201)은 상기 탱크부(100) 내부에 존재하는 오폐수의 순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내부의 오폐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폭기부(200)에는 에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블로우, 상기 블로우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제1폭기노즐(210), 제2폭기노즐(220) 및 제3폭기노즐(230)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폭기관(240) 및 상기 폭기관(240)에 설치되어 상기 제1폭기노즐(210), 제2폭기노즐(220) 및 제3폭기노즐(230)로 분기되는 에어의 분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밸브(25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폭기부(200)는, 상기 블로우에서 발생되는 에어가 상기 폭기관(240)을 통해 상기 제1폭기노즐(210), 제2폭기노즐(220) 및 제3폭기노즐(230)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밸브(250)에 의해 상기 에어의 전달이 제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폭기부(20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폭기노즐(210), 제2폭기노즐(220) 및 제3폭기노즐(230)를 통한 에어의 폭기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폭기부(2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폭기부(200)의 블로어를 제어하여 상기 블로어에서 분사되는 기체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블로어에서 분사되는 기체가 지나치게 높은 온도로 분사되거나 낮은 온도로 분사되어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로어에서 분사되어 상기 탱크부(100)로 폭기되는 기체의 온도가 40도 ~ 50도의 온도로 폭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블로어에서 분사되는 기체의 온도가 상기 폭기관(240)을 통해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이동되면서 외부 환경 등의 요인에 의해 저하되는 것을 감안한 것으로서, 40도 ~ 50도 온도의 기체가 미생물 활성화의 촉진에 가장 적절한 온도이기 때문이다.
상기 메디아(400)는 내부에 담체가 설치되어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에서 미생물 반응을 통해 오폐수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메디아(400)는 일반적으로 상기 담체가 설치되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담체는 미생물이 부착되어 서식하며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메디아(400)는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와 접촉되어 상기 오폐수를 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담체 및 산기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디아(400)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 환경에 따라 상기 메디아(400)의 형상은 실시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디아(400)를 이루는 각 면은 메쉬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메디아(400)의 내부로 오폐수가 용이하게 유입되고 상기 메디아(400) 내부의 오폐수가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디아(4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담체의 미생물이 상기 오폐수와 접촉되어 유기물을 분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은 상기 폭기부(200)의 블로어에서 분사되는 기체가 내부에서 유동되면서 외부로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온열배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에는 상기 폭기부(200)의 블로어에서 분사되는 기체를 후술되는 폭기노즐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관, 상기 제1가이드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기체를 온열배관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관 및 상기 제1가이드관과 제2가이드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블로어에서 분사되는 기체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밸브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밸브는 3way 밸브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블로어에서 분사되는 기체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온열배관, 제1가이드관, 제2가이드관 및 제어밸브의 구성이 갖는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이 기 출원한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21-0134339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상기 온열배관, 제1가이드관, 제2가이드관 및 제어밸브에 대한 자세한 구성 및 특징은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21-0134339에 개시된 내용을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차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의 탱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3a 내지 도 3e에 따르면, 본 발명의 탱크부(100)에는, 내부 공간을 제1산소칸(112)과 제1무산소칸(113)으로 구획하는 제1격벽부재(111) 및 상기 제1격벽부재(111)에 형성되어 상기 제1산소칸(112)과 제1무산소칸(113)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구(114)가 포함되는 제1반응조탱크(110), 내부 공간을 제2산소칸(122)과 제2무산소칸(123)으로 구획하는 제2격벽부재(121) 및 상기 제2격벽부재(121)에 형성되어 상기 제2산소칸(122)과 제2무산소칸(123)을 연통시키는 제2연통구(124)가 포함되며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와 이웃하게 설치되는 제2반응조탱크(120) 및 내부 공간을 가이드칸(132)과 여과칸(133)으로 구획하는 제3격벽부재(131), 상기 제3격벽부재(131)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칸(132)과 여과칸(133)을 연통시키는 제3연통구(134), 상기 제3격벽부재(131)에 의해 구획되는 여과칸(133)에 구비되는 제2여과부재(135) 및 상기 여과칸(133)에 설치되어 상기 제2여과부재(135)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거치망(136)이 포함되며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와 이웃하게 설치되는 제3반응조탱크(13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탱크부(100)로 유입되는 오폐수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제2반응조탱크(120) 및 제3반응조탱크(130)를 차례로 경유하면서 처리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산소칸(112)에는 상기 폭기부(200)에서 폭기되는 기체가 유입되고 호기성 미생물이 투입되어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화가 촉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제1무산소칸(113)에는 별도의 기체 유입은 없이 혐기성 미생물이 투입되어 혐기성 미생물의 활성화가 촉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산소칸(112)에 투입되는 호기성 미생물은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만들고 유기물을 분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방선균, 사상균 및 효모균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무산소칸(113)에 투입되는 혐기성 미생물은 산소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절대 혐기성 미생물과 통성 혐기성 미생물로 분류되어 유산균 및 대장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디아(400)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산소칸(112)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제2산소칸(122)에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제2산소칸(122) 및 제2무산소칸(123)에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산소칸(112) 및 제1무산소칸(113)과 같이 각각 호기성 미생물 및 혐기성 미생물이 투입되어 활성화가 촉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산소칸(112) 및 제1무산소칸(113)에 투입되는 호기성 미생물 및 혐기성 미생물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의 제3격벽부재(131)는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의 내부를 가이드칸(132)과 여과칸(133)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제3격벽부재(131)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가이드칸(132)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3연통구(134)를 통해 여과칸(133)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3격벽부재(131)는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여과칸(133)의 하부를 통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오폐수가 상기 여과칸(133)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차오르면서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의 제2여과부재(135)에 의해 여과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의 여과칸(133)에 구비되는 제2여과부재(135)는 내열성, 내산성, 내알칼리성이 높은 경량콘크리트 골재가 복수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여과부재(135)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화산석이 복수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에는 상기 제2무산소칸(123)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거치망(126) 및 상기 제1거치망(126)에 구비되는 제1여과부재(12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망(126)은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의 제2거치망과 같이 상기 제2무산소칸(123)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여과부재(125)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거치망(126) 및 제2거치망(136)은 중앙 부분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거치망(126) 및 제2거치망(136)에 거치되는 제1여과부재(125) 및 제2여과부재(135)가 상기 제1거치망(126) 및 제2거치망(136)에서 위치 이탈이 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부재(135)는 상기 제1여과부재(125)와 같이 내열성, 내산성, 내알칼리성이 높은 경량콘크리트 골재가 복수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여과부재(135)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화산석이 복수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격벽부재(121)에는, 상기 제2연통구(124)가 하부에 형성되는 차단격벽(121a) 및 상기 제2연통구(124)가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제2산소칸(122)과 제2무산소칸(123)을 연통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순환홈(121c)이 형성되는 연통격벽(121b)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격벽부재(121)의 차단격벽(121a)은 상기 연통격벽(121b)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산소칸(122)과 제2무산소칸(123)에 각각 존재하는 오폐수가 상기 차단격벽(121a)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연통구(124)를 통해서만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격벽부재(121)의 연통격벽(121b)은 상기 차단격벽(121a)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산소칸(122)과 제2무산소칸(123)에 각각 존재하는 오폐수가 상기 연통격벽(121b)의 상부에 형성되는 순환홈(121c) 및 상기 연통격벽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연통구(124)를 통해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연통구(124)는 상기 차단격벽(121a)과 연통격벽(121b)의 하부 전체에 걸쳐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단격벽(121a)과 연통격벽(121b)이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하면에서 일정 높이를 갖는 위치에 설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순환홈(121c)은 상기 연통격벽(121b)의 상부에 하나 또는 복수의 관통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연통구(124) 및 순환홈(121c)의 형상은 실시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격벽부재(111)는 상기 제1격벽부재(111)에 의해 구획되는 제1산소칸(112)과 제1무산소칸(113) 각각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생존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1격벽부재(111)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중첩되는 구조로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격벽부재(121)는 상기 제2격벽부재(121)에 의해 구획되는 제2산소칸(122)과 제2무산소칸(123) 각각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생존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2격벽부재(121)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중첩되는 구조로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격벽부재(121)의 경우 상기 제1격벽부재(111)와 달리 차단격벽(121a) 및 연통격벽(121b)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격벽부재(121)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차단격벽(121a)과 복수의 연통격벽(12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격벽부재(111)과 제2격벽부재(121)가 각각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제2무산소칸(123)의 크기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무산소칸(113)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무산소칸(123)에서 생존하는 미생물의 양이 상기 제1무산소칸(113)에서 생존하는 미생물의 양보다 많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에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하부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격벽(11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에는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하부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제2가이드격벽(12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가이드격벽(115) 및 제2가이드격벽(127)은 각각 상기 제1무산소칸(113) 및 제2무산소칸(123)과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되는 오폐수가 상기 제1가이드격벽(115) 및 제2가이드격벽(127)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가이드격벽(115) 및 제2가이드격벽(127)에 됨으로써 상기 제1가이드격벽(115) 및 제2가이드격벽(127)의 하부를 통해 상기 제1산소칸(112) 및 제2산소칸(122)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가이드격벽(115)은,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내부에서 순환되어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상부로 이동된 오폐수가 상기 제1가이드격벽(115)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하부로 이동된 이후에만 상기 제1가이드격벽(115)을 통과하여 상기 메디아(400)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정화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제2가이드격벽(127)은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에서 순환되어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상부에서 이동된 오폐수가 상기 제2가이드격벽(127)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하부로 이동된 이후에만 상기 제2가이드격벽(127)을 통과하여 상기 메디아(400)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정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1가이드격벽(115) 및 제2가이드격벽(127)은 각각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에서 유동되는 유체가 상기 메디아(40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메디아(400)에 의한 오폐수의 정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가이드격벽(115) 및 제2가이드격벽(127)은 각각 지면과 직각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환경에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격벽(115) 및 제2가이드격벽(127)은, 상기 메디아(400)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가이드격벽(115) 및 제2가이드격벽(127)의 후방으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메디아(400)가 설치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가이드격벽(115) 및 제2가이드격벽(127)의 후방으로 유입된 오폐수의 하부 이동에 대한 가이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웃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반응조탱크(110)에 형성되는 제1산소칸(112)과 제1무산소칸(113) 각각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웃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반응조탱크(110)에 형성되는 제2산소칸(122)과 제2무산소칸(123) 각각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탱크부(100)에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제2반응조탱크(120) 및 제3반응조탱크(130)에 형성되어 상기 탱크부(100)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제2반응조탱크(120) 및 제3반응조탱크(130)를 차례로 경유하도록 하는 관통홀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홀부(140)를 통해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오폐수는 최초 상기 한 쌍의 제1반응조탱크(110) 중 일 측에 위치되는 제1반응조탱크(110a)에 형성된 관통홀부(140)를 통해 타 측에 위치되는 제1반응조탱크(110b)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타 측에 위치되는 제1반응조탱크(110b)로 이동된 오폐수는 상기 타 측에 위치되는 제1반응조탱크(110b)에 형성된 관통홀부(140)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제2반응조탱크(120) 중 일 측에 위치되는 제2반응조탱크(120a)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일 측에 위치되는 제2반응조탱크(120a)로 이동된 오폐수는 상기 일 측에 위치되는 제2반응조탱크(120a)에 형성된 관통홀부(140)를 통해 타 측에 위치되는 제2반응조탱크(120b)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타 측에 위치되는 제2반응조탱크(120b)로 이동된 오폐수는 상기 타 측에 위치되는 제2반응조탱크(120b)에 형성된 관통홀부(140)를 통해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관통홀부(140)는 제1유동구(141), 제2유동구(142), 제3유동구(143) 및 제4유동구(1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중 상기 제1유동구(141)는 일 측의 제1반응조탱크(110a)에 형성되는 제1무산소칸(113)과 타 측의 제1반응조탱크(110b)에 형성되는 제1산소칸(112)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부(140) 중 제2유동구(142)는 타 측의 제1반응조탱크(110b)에 형성되는 제1무산소칸(113)과 일 측의 제2반응조탱크(120a)에 형성되는 제2산소칸(122)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부(140) 중 제3유동구(143)는 일 측의 제2반응조탱크(120a)에 형성되는 제2무산소칸(123)과 타 측의 제2반응조탱크(120b)에 형성되는 제2산소칸(122)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부(140) 중 제4유동구(144)는 타 측의 제2반응조탱크(120b)에 형성되는 제2무산소칸(123)과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에 형성되는 가이드칸(132)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동구(141), 제2유동구(142), 제3유동구(143) 및 제4유동구(144)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반응조탱크(110), 한 쌍의 제2반응조탱크(120) 및 제3반응조탱크(130)의 상부 측에 형성되되 서로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유동구(141), 제2유동구(142), 제3유동구(143) 및 제4유동구(144)는 상기 제1유동구(141)가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동구(142), 제3유동구(143) 및 제4유동구(144)의 순서로 점차 낮은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4유동구(144)가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유동구(141), 제2유동구(142), 제3유동구(143) 및 제4유동구(144)는 상기 제4유동구(144)가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3유동구(143), 제2유동구(142) 및 제1유동구(141)의 순서로 점차 낮은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유동구(141)가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유동구(141), 제2유동구(142), 제3유동구(143) 및 제4유동구(144)가 서로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에 유입되도록 하는 오폐수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제2반응조탱크(120) 및 제3반응조탱크(130)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의 메디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메디아(400)는 하면이 상기 강노즐(201)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강노즐(201)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강노즐(201)에서 폭기되는 기체가 폭기되자마자 메디아(400)와 부딪혀 방향이 변하고 힘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체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디아(400)와 강노즐(201)의 간격이 비교적 큰 경우 강노즐(201)에서 폭기된 기체가 메디아(400)와 부딪혀 상기 기체의 폭기된 힘의 방향이 변화되더라도 메디아(400)의 형상을 따라 유체가 순환하는 방향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반면, 메디아(400)와 강노즐(201)의 간격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강노즐(201)에서 폭기된 기체가 폭기되자마자 메디아(400)와 부딪혀 상기 기체의 폭기된 힘의 방향이 유체가 순환하는 방향을 크게 벗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은 메디아(400)의 하부 형상이 상기 강노즐(201)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강노즐(201)과 메디아(400)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강노즐(201)에서 폭기된 기체의 방향이 변화되고 힘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부의 반응조탱크가 복수로 구성되어 탱크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복수의 반응조탱크를 경유하면서 정화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메디아의 미생물에 의한 오폐수 정화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탱크부
110 : 제1반응조탱크
111 : 제1격벽부재 112 : 제1산소칸
113 : 제1무산소칸 114 : 제1연통구
115 : 제1가이드격벽
120 : 제2반응조탱크
121 : 제2격벽부재 121a : 차단격벽
121b : 연통격벽 121c : 순환홈
122 : 제2산소칸 123 : 제2무산소칸
124 : 제2연통구 125 : 제1여과부재
126 : 제1거치망 127 : 제2가이드격벽
130 : 제3반응조탱크
131 : 제3격벽부재 132 : 가이드칸
133 : 여과칸 134 : 제3연통구
135 : 제2여과부재 136 : 제2거치망
140 : 관통홀부
141 : 제1유동구 142 : 제2유동구
143 : 제3유동구 144 : 제4유동구
200 : 폭기부
210 : 제1폭기노즐
201 : 강노즐 202 : 약노즐
220 : 제2폭기노즐 221 : 제1분사관
230 : 제3폭기노즐 231 : 제2분사관
240 : 폭기관 250 : 제어밸브
400 : 메디아

Claims (11)

  1.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반응조탱크에 유입되는 오폐수에 대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탱크부(100);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폭기부(200);
    상기 폭기부(2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내부에 담체가 구비되며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미생물 반응을 통해 오폐수에 대한 여과 처리를 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메디아(400);
    가 포함되고,
    상기 폭기부(200)에는,
    상기 메디아(400)의 하부 일 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강노즐(201); 및
    상기 메디아(40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약노즐(202);
    이 포함되되,
    상기 강노즐(201)은,
    적어도 상기 약노즐(202)보다 강한 압력으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디아(400)는,
    하면이 상기 강노즐(201)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강노즐(201)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100)에는,
    내부 공간을 제1산소칸(112)과 제1무산소칸(113)으로 구획하는 제1격벽부재(111)와, 상기 제1격벽부재(111)에 형성되어 상기 제1산소칸(112)과 제1무산소칸(113)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구(114)가 포함되고, 상기 제1산소칸(112)에 메디아(400)가 구비되는 제1반응조탱크(110);
    내부 공간을 제2산소칸(122)과 제2무산소칸(123)으로 구획하는 제2격벽부재(121)와, 상기 제2격벽부재(121)에 형성되어 상기 제2산소칸(122)과 제2무산소칸(123)을 연통시키는 제2연통구(124)가 포함되고, 상기 제2산소칸(122)에 메디아(400)가 설치되며,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와 이웃하게 설치되는 제2반응조탱크(120); 및
    내부 공간을 가이드칸(132)과 여과칸(133)으로 구획하는 제3격벽부재(131)와, 상기 제3격벽부재(131)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칸(132)과 여과칸(133)을 연통시키는 제3연통구(134)와, 상기 제3격벽부재(131)에 의해 구획되는 여과칸(133)에 구비되는 제2여과부재(135)가 포함되며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와 이웃하게 설치되는 제3반응조탱크(130);
    가 포함되며,
    상기 탱크부(100)로 유입되는 오폐수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제2반응조탱크(120) 및 제3반응조탱크(130)를 차례로 경유하면서 처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에는,
    상기 제2무산소칸(123)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거치망(126); 및
    상기 제1거치망(126)에 구비되는 제1여과부재(125);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격벽부재(121)에는,
    상기 제2연통구(124)가 하부에 형성되는 차단격벽(121a); 및
    상기 제2연통구(124)가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제2산소칸(122)과 제2무산소칸(123)을 연통시키는 순환홈(121c)이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통격벽(121b);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에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하부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격벽(1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에는,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하부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제2가이드격벽(12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에는,
    상기 여과칸(133)에 설치되어 상기 제2여과부재(135)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거치망(136);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웃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반응조탱크(110)에 형성되는 제1산소칸(112)과 제1무산소칸(113) 각각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웃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반응조탱크(110)에 형성되는 제2산소칸(122)과 제2무산소칸(123) 각각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탱크부(100)에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제2반응조탱크(120) 및 제3반응조탱크(130)에 형성되어 상기 탱크부(100)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제2반응조탱크(120) 및 제3반응조탱크(130)를 차례로 경유하도록 하는 관통홀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부(140) 중 제1유동구(141)는,
    일 측의 제1반응조탱크(110)에 형성되는 제1무산소칸(113)과 타 측의 제1반응조탱크(110)에 형성되는 제1산소칸(112)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부(140) 중 제2유동구(142)는,
    타 측의 제1반응조탱크(110)에 형성되는 제1무산소칸(113)과 일 측의 제2반응조탱크(120)에 형성되는 제2산소칸(122)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통홀부(140) 중 제3유동구(143)는,
    일 측의 제2반응조탱크(120)에 형성되는 제2무산소칸(123)과 타 측의 제2반응조탱크(120)에 형성되는 제2산소칸(122)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통홀부(140) 중 제4유동구(144)는,
    타 측의 제2반응조탱크(120)에 형성되는 제2무산소칸(123)과 제3반응조탱크(130)에 형성되는 가이드칸(132)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부(200)에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산소칸(112)에 설치되어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제1폭기노즐(210);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의 제2산소칸(122)에 설치되어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제2폭기노즐(220); 및
    상기 제3반응조탱크(130)의 여과칸(133)에 설치되어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제3폭기노즐(230);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KR1020220116872A 2022-09-16 2022-09-16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KR102620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872A KR102620491B1 (ko) 2022-09-16 2022-09-16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872A KR102620491B1 (ko) 2022-09-16 2022-09-16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491B1 true KR102620491B1 (ko) 2024-02-01

Family

ID=8985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872A KR102620491B1 (ko) 2022-09-16 2022-09-16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4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434A (ko) * 1998-01-13 1999-08-05 이상일 폐수의 정화방법
KR100871651B1 (ko) * 2008-06-11 2008-12-02 (주)윈앤윈 고농도 유기폐수 처리장치
KR101400394B1 (ko) 2013-11-04 2014-05-30 주식회사 이앰 오폐수처리장용 에너지 획득시스템
KR20180002548A (ko) * 2017-08-23 2018-01-08 (주)미래에프앤디 고밀도 축양 양식을 위한 육상 도심용 고도순환 여과장치
KR101865816B1 (ko) 2018-01-26 2018-07-05 주식회사 이앰 오폐수처리장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434A (ko) * 1998-01-13 1999-08-05 이상일 폐수의 정화방법
KR100871651B1 (ko) * 2008-06-11 2008-12-02 (주)윈앤윈 고농도 유기폐수 처리장치
KR101400394B1 (ko) 2013-11-04 2014-05-30 주식회사 이앰 오폐수처리장용 에너지 획득시스템
KR20180002548A (ko) * 2017-08-23 2018-01-08 (주)미래에프앤디 고밀도 축양 양식을 위한 육상 도심용 고도순환 여과장치
KR101865816B1 (ko) 2018-01-26 2018-07-05 주식회사 이앰 오폐수처리장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2775B2 (en) Fish culturing system
KR100883802B1 (ko) 어류 양식 수조용 산소 용해장치
CN108739617B (zh) 一种鲟鱼工厂化循环水养殖供水系统
CN103706233A (zh) 一种环氧乙烷零排放处理体系及方法
Malone Recirculating aquaculture tank production systems: a review of current design practice.
US20230210095A1 (en) Water circulation and aeration system for aquaculture facility, related facility, methods and use
CN102942292A (zh) 水产养殖废水组合净化处理流程及装置
CN206101330U (zh) 水产养殖水循环系统及水产动物与微藻的共生养殖系统
KR102620491B1 (ko) 복수의 반응조탱크가 구비되는 처리 시스템
US5223130A (en) Device for organic neutralization and removal of phosphorus compounds present in water basins
WO2018094624A1 (zh) 一种单池循环污水生化处理装置
CN100378011C (zh) 曝气设备
CN111606468B (zh) 用于河道排口病毒防控的多级处理系统及运行方法
JP6117049B2 (ja) 水処理システム
KR102539493B1 (ko) 수질 정화용 메디아가 구비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
KR102608604B1 (ko) 아쿠아포닉스 설비의 수조 칸막이장치
KR100859550B1 (ko) 배양액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경 재배 장치
JPS63252596A (ja) 廃水処理装置
CN203440197U (zh) 一种微污染水体原位修复系统
CN103342437A (zh) 一种微污染水体原位修复系统
CN214936427U (zh) 一种用于净化水体的微生物养殖设备
CN104353353A (zh) 一种自动调控微生物分布的生物滴滤池
TW201831080A (zh) 密閉式微藻養殖裝置、微藻養殖牆與微藻養殖屋
CN111777192A (zh) 废水处理系统的滴滤池及曝气池组合结构
CN215074845U (zh) 一种用于甲鱼养殖的一体化循环水养殖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