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345B1 -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 Google Patents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345B1
KR102620345B1 KR1020230100886A KR20230100886A KR102620345B1 KR 102620345 B1 KR102620345 B1 KR 102620345B1 KR 1020230100886 A KR1020230100886 A KR 1020230100886A KR 20230100886 A KR20230100886 A KR 20230100886A KR 102620345 B1 KR102620345 B1 KR 102620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neck
main body
vib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이보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투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투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투에이치
Priority to KR102023010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게 형성되는 본체; 및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감상중인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연동하며, 영상의 화면별로 부여되는 체감효과 코드에 따라 사용자의 목 주변에 화면별 체감효과를 부여하는 체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하며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된 착용 가능한 구조에 의하여 영화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영상의 현실감을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영상 관람의 몰입감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REALISTIC VIDEO EXPERIENTIAL APPARATUS}
본 발명은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하며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된 착용 가능한 구조에 의하여 영화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영상의 현실감을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영상 관람의 몰입감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영화 관람을 더욱 더 재미있게 관람하기 위하여 평면 스크린에서 출력되는 2D 영화로부터 탈피한 3D 영화나, 더 나아가 영화의 줄거리 상 발생되는 각종 이벤트에 해당하는 다양한 특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4D 영화 상영관도 등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216361호의 "4D 상영관 시스템"(이하 선행기술1)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1을 포함한 기존의 4D 상영관은 많은 관람객이 손쉽게 찾아가 볼 수 있을만큼 주변에 찾아보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즉, 4D 상영관은 초기 설치 및 시공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최근 넷플릭스나 유튜브 또는 디즈니플러스 등과 같은 많은 OTT 서비스가 출시됨에 따라 극장을 찾는 관람객의 수를 분산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OTT 서비스의 선전에 수반하여 기존의 상영관 프랜차이즈에서는 전술한 4D 상영관을 추가적으로 건설 및 시공하는 것에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공개특허 제10-2011-0093683호의 "영화 및 비디오 게임용 특수효과 체감 헬멧"(이하 선행기술2)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2는 물, 조명, 바람, 진동 등의 다양한 효과장치를 조합하여 다양한 특수효과를 가정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2는 구조적 특징상 헤드폰과, 헤드폰과 연결된 송풍장치와 램프 장치가 사용자의 후두부와 정수리를 거쳐 이마 상부까지 밀착되게 착용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있으므로, 헤어 스타일과 미용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는 사용자들에게는 머리카락이 눌려져 헤어 스타일을 저해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선행기술2는 송풍 기능 수행을 위한 팬이나 물효과 장치의 작동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탱크가 구비되는 등 사용자의 머리에 상당한 하중이 가해져 장시간 관람시 사용자의 목과 관절에 부담을 주는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무엇보다도, 선행기술2는 사용자에 따라 물효과 장치의 작동에 따른 물 분사 등의 특수효과를 불쾌하다고 여기는 경우도 있었다.
등록특허 제10-216361호 공개특허 제10-2011-00936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하며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된 착용 가능한 구조에 의하여 영화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영상의 현실감을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영상 관람의 몰입감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정에서도 손쉽게 4D 영화관의 관람 효과를 누림은 물론, 불쾌감을 유발하는 특수효과를 일절 없애면서도 더욱 더 생생한 현실감과 몰입감을 느끼면서 영화 관람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게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감상중인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연동하며, 상기 영상의 화면별로 부여되는 체감효과 코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목 주변에 상기 화면별 체감효과를 부여하는 체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사용자의 목 뒷부분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지는 배면 홀더와, 상기 배면 홀더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 좌우 양측 부분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지는 측면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감 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에 냉감 및 온감을 제공하는 냉온감 제공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측으로 바람을 불어넣는 에어 공급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에 촉감을 일으키는 터치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감 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에 진동을 제공하는 충격진동 제공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 부분을 통하여 음향과 음성을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하는 골전도진동체감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 공급부는, 상기 사용자의 목 뒷부분을 향하여 에어가 취출되는 복수의 제1 토출홀과, 상기 사용자의 목 좌우 양측을 향하여 에어가 취출되는 복수의 제2 토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 좌우 양측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냉감 및 온감을 제공하는 전도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등 부분을 통하여 음향과 음성을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하는 진동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온감 제공부는, 상기 본체의 배면 홀더 양측과 연결되는 측면 홀더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목 좌우 양측에 접촉되는 전도 패드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전도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도 패드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각가열 수단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냉각가열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냉각가열 수단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각가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 공급부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에어를 상기 사용자의 목으로 취출시키는 에어발생 수단과, 상기 본체의 배면 홀더에 복수로 관통되어 상기 에어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에어가 상기 사용자의 목 뒷부분을 향하여 취출되게 하는 복수의 제1 토출홀과, 상기 배면 홀더 양측과 연결되는 측면 홀더에 각각 복수로 관통되어 상기 에어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에어가 상기 사용자의 목 좌우 양측을 향하여 취출되게 하는 복수의 제2 토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목 뒷부분과 마주보는 본체의 배면 홀더에 절개 형성된 설치 슬롯과, 상기 설치 슬롯을 통하여 노출되는 표면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의 목 뒷부분에 접촉하여 촉감을 제공하는 섬유 또는 합성 섬유 또는 수지 또는 합성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접촉편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편을 움직여 상기 사용자의 목에 촉감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충격진동 제공부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골전도진동체감 제공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등 부분을 통하여 음향과 음성을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하는 진동 패드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케이블의 선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진동 패드를 가동시키는 진동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제공부의 작동과 함께 상기 냉온감 제공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냉감을 제공하면서 상기 에어 공급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측으로 바람을 불어넣음으로써 영상을 감상중인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소름이 돋게 하는 소름유발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온감 제공부의 작동과 함께 상기 에어 공급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측으로 바람을 불어넣음으로써 영상을 감상중인 상기 사용자가 해당 영상속의 분위기와 기후를 체감할 수 있게 하는 기후체감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체감 유닛과 통신 가능하게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체감 유닛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될 서로 다른 복수의 체감 효과가, 상기 사용자가 감상할 영상 속의 화면상 필요한 재생 지점에 일정 시간동안 발생되고 사라지게 하는 상기 체감효과 코드인 현실 연결형 영화(Reality Connected Cinema, 이하 RCC) 코드를 생성하고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가 감상할 영상 속의 화면에 상기 RCC 코드의 싱크를 맞추는 체감효과 코드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하며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된 착용 가능한 구조에 의하여 영화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영상의 현실감을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영상 관람의 몰입감을 높이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정에서도 손쉽게 4D 영화관의 관람 효과를 누림은 물론, 불쾌감을 유발하는 특수효과를 일절 없애면서도 더욱 더 생생한 현실감과 몰입감을 느끼면서 영화 관람을 즐길 수 있는 특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영상을 관람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과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정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의 주요부인 체감 유닛과 체감효과 코드처리부의 네트워크 통신 관계 및 작동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의 주요부인 체감효과 코드처리부에 의하여 체감 유닛과 영상의 싱크를 맞추는 상태를 나타낸 프로그램 메인 윈도우를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400)가 영상을 관람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를 사용자(400)가 착용한 모습과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정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를 사용자(400)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의 주요부인 체감 유닛(200)과 체감효과 코드처리부(500)의 네트워크(600) 통신 관계 및 작동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의 주요부인 체감효과 코드처리부(500)에 의하여 체감 유닛(200)과 영상의 싱크를 맞추는 상태를 나타낸 프로그램 메인 윈도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400)의 목에 걸 수 있게 형성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400)가 감상중인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300)과 연동하는 체감 유닛(200)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체감 유닛(200)은, 도 1과 같이 영상의 화면별로 부여되는 체감효과 코드에 따라 사용자(400)의 목 주변, 더욱 구체적으로는 목 주변으로 나 있는 횡격신경과 경추뼈에 전술한 화면에 해당하는 체감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영화 관람의 생동감과 몰입감을 더욱 더 높여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체감 효과는 예를들면 열과 바람과 차가움 그리고 진동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400)가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특수 효과들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영상"이라 함은, 복수의 화면이 이루어져 사용자(400)가 감상할 수 있는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매체가 될 수도 있으며, 비디오게임과 같은 매체가 될 수도 있는 등,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400)가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감상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체(100)는, 사용자(400)의 제1 경추뼈 내지 제7 경추뼈와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지는 배면 홀더(110)와, 배면 홀더(110)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400)의 목덜미와 마주보는 내측면과 쇄골과 마주보는 하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측면 홀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체감 유닛(200)은 배면 홀더(110) 및 측면 홀더(120)에 배치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체감 유닛(200)은 도 5와 같이 크게 냉온감 제공부(210)와 에어 공급부(220)와 터치 제공부(230)와 충격진동 제공부(240)와 골전도진동체감 제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냉온감 제공부(210)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400)의 목에 냉감 또는 온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즉, 냉온감 제공부(210)는, 사용자(400)의 목덜미에서 횡격신경이 지나가는 위치에 배치되고, 영상 속의 화면상 사용자(400)의 체온과 비교하여 일정 크기만큼 온도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사용자(400)는 냉온감 제공부(210)의 가동에 따라 온열감을 느끼며 감상중인 영상 속의 화면에 몰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에어 공급부(220)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400)측으로 바람을 불어넣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즉, 에어 공급부(220)는, 사용자(400)의 횡격신경이 지나가는 위치와 사용자(400)의 볼과 귓불측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영상 속의 화면상 사용자(400)의 체온과 비교하여 일정 크기만큼 온도를 하강시키면서 에어를 취출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터치 제공부(230)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400)의 목에 촉감을 일으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즉, 터치 제공부(230)는, 사용자(400)의 목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뱀이나 벌레 등이 기어가는 것과 유사한 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충격진동 제공부(240)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400)에게 진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즉, 충격진동 제공부(240)는, 의 경추뼈중 제7 경추뼈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영상 속의 화면상 폭발과 상승이나 낙하 또는 추락을 포함하는 충격 발생 정도를 사용자(400)가 체감 가능하도록, 일정 범위의 주파수로 제7 경추뼈에 진동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또한, 골전도진동체감 제공부(250)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400)의 등 부분을 통하여 음향과 음성을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즉, 골전도진동체감 제공부(250)는, 경추뼈중 제4 경추뼈 내지 제7 경추뼈와 마주보는 위치와 사용자(400)의 등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영상 속의 화면상 음성과 음향 및 음악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사용자(400)의 제4 내지 제7 경추뼈 및 사용자(400)의 등뼈를 통하여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본체(100)는, 배면 홀더(110)와 측면 홀더(120) 사이에 배치되고, 체감 유닛(200)과 연동하여 작동되며 음성과 음향 및 음악이 영상 속의 화면에 맞게 출력되는 스피커(1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스피커(130)는 경우에 따라 생략하는 변형 및 응용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감 유닛(200)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부품 위치가 사용자(400)의 목 주변에 배치된 것은 사람의 목 피부가 터치 자극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이다.
이는 목이 신체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피부층이 얇고 신경 말단이 매우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사람의 목은 접촉, 압력, 온도 변화 및 기타 자극에 반응하는 많은 신경 말단을 포함하는 신체의 매우 민감한 부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의 신경 종말은 혈압과 심박수 및 호흡을 포함하여 신체의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는 신호를 뇌로 보내게 된다.
또한, 목은 즐거움과 통증 및 긴장과 같은 신체적, 정서적 감각을 전달하는 핵심 영역이라 할 수 있으며, 목 피부의 민감성을 몸을 보호하고 자극에 반응하는데 도움을 주며 인간의 정서적 사회적 삶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이기 때문에 체감 유닛(200)의 대부분이 바로 사용자(400)의 목덜미 주변과 마주보는 구조로 설계된 것이다.
한편, 전술한 횡격신경(Phrenic Nerve)은 목의 측면을 따라 배열되며, 목의 피부와 가슴 위쪽에서 감각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횡격신경은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열수용체로 알려진 특수한 감각수용체를 포함하고 있다.
온도 변화에 가장 큰 민감성이 느껴지는 정확한 위치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횡경막 신경의 경로를 따라 있는 피부는 온도 변화에 민감하다.
이러한 민감성은 따뜻하거나 차가운 물체의 존재와 같은 환경의 변화에 대한 신호를 뇌에 보내 체온을 조절하고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런 다음 뇌는 안정적인 내부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혈액의 흐름과 같은 신체 기능을 조정하기 위해 이 정보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할 전도 패드(211)와 후술할 제1, 2 토출홀(221, 222)이 횡격신경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열된 것은 바로 이러한 횡격신경의 특성을 이용한 것이라 하겠다.
한편, 본체(100)는, 양측의 측면 홀더(120) 중 일측의 측면 홀더(120)에 형성되어 체감 유닛(200)의 작동 강도를 조절 가능한 강도조절 버튼(1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양측의 측면 홀더(120) 중 타측의 측면 홀더(120)에 형성되어 사용자(400)가 감상중인 영상의 재생을 일시정지하거나 중단하거나 체감 유닛(200)과 영상 재생을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30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조작 버튼(1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배면 홀더(110)는, 내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400)의 제1 경추뼈 내지 제2 경추뼈 각각의 말단부 배치 형상 및 사용자(400)의 목덜미 형상에 대응하는 밀착면(1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밀착면(112)에는 후술할 에어 공급부(220)의 제1 토출홀(221)과 후술할 터치 제공부(230)의 설치 슬롯(2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체감 유닛(200)의 각 구성부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냉온감 제공부(210)는, 본체(100)의 배면 홀더(110) 양측과 연결되는 측면 홀더(120)에 각각 형성되며, 사용자(400)의 목 좌우 양측에 접촉되는 전도 패드(2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냉온감 제공부(210)는, 본체(100)에 내장되어 전도 패드(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도 패드(211)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각가열 수단(2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가열 수단(212)은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펠티에 소자, 즉 열전 소자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펠티에 효과는 열전대에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 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줄열(Joule heat) 이외에 전도성 물질의 여러 층 양 끝에 흡열 및 발열 작용에 따른 온도 차이가 지속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또한, 냉온감 제공부(210)는, 본체(100)에 내장되어 냉각가열 수단(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도 패드(211)를 냉각시키는 냉각가열 컨트롤러(2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에어 공급부(220)는, 본체(100)에 내장되어 에어를 사용자(400)의 목으로 취출시키는 에어발생 수단(2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발생 수단(223)은 일측에서 에어를 끌어들여 타측으로 끌어들인 에어를 취출시키는 구조의 임펠러를 내장한 공지의 제품으로, 여기서는 편의상 상세한 구조 및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에어 공급부(220)는, 본체(100)의 배면 홀더(110)에 복수로 관통되어 에어발생 수단(223)으로부터 발생된 에어가 사용자(400)의 목 뒷부분을 향하여 취출되게 하는 복수의 제1 토출홀(2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 공급부(220)는, 배면 홀더(110) 양측과 연결되는 측면 홀더(120)에 각각 복수로 관통되어 에어발생 수단(223)으로부터 발생된 에어가 사용자(400)의 목 좌우 양측을 향하여 취출되게 하는 복수의 제2 토출홀(22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400)가 영상을 관람하면서 피부에 돋는 소름의 유발 요인과 기작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소름(gooseflesh)은 각 모낭의 기저부에 있는 작은 근육이 수축하면서 발생하는데, 강한 감정(공포, 경외, 흥분 등), 차가운 온도, 어떤 형태의 음악과 같은 다양한 자극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신체적 반응은 신체를 더 크고 잠재적인 위협에 더 위협적으로 보이게 하거나 따뜻함을 유지하기 위해 공기의 절연층을 가두는 방법으로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소름을 유발하는 다양한 방법은 다음의 몇가지와 같은 상황을 통하여 가능할 것이다.
우선, 감동적인 클래식 음악이나 파워풀한 발라드와 같이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음악을 들음으로써 소름이 돋을 수 있다.
그리고, 큰 기쁨, 슬픔 또는 두려움의 순간과 같이 정서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개인적인 경험을 회상함으로써 소름이 돋을 수 있다.
그리고, 가슴 아픈 영화를 보거나 강력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책을 읽음으로써 소름이 돋을 수 있다.
또한, 차가운 온도에 노출될 경우 소름이 돋을 수도 있다.
이러한 자극에 대한 반응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한 사람에게 효과가 있는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효과가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목 주위에 특별히 소름이 돋게 하는 기관은 없다.
하지만, 목에는 다음을 포함하여 고조된 감각에 기여할 수 있는 몇 가지 민감한 구조가 있다.
목에는 촉각에 매우 민감한 얇은 피부층이 있으며 온도 변화 및 기타 자극에 민감한 부분이 사람의 목이다.
아울러, 목에는 얼굴과 머리의 감각을 담당하는 삼차 신경과 척수 신경을 포함한 신경 종말이 풍부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공급부(220)는 전술한 냉온감 제공부(210)와 후술할 터치 제공부(230)와의 협력 작용으로 전술한 신경 종말과 횡격신경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소름 유발 요인에 해당되는 영상 속의 화면에 맞게 가동되어 사용자(400)로 하여금 소름이 돋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터치 제공부(230)는, 사용자(400)의 목 뒷부분과 마주보는 본체(100)의 배면 홀더(110)에 절개 형성된 설치 슬롯(23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제공부(230)는, 설치 슬롯(231)을 통하여 노출되는 표면을 가지며 사용자(400)의 목 뒷부분에 접촉하여 촉감을 제공하는 섬유 또는 합성 섬유 또는 수지 또는 합성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접촉편(2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제공부(230)는, 본체(100)에 내장되어 접촉편(232)과 연결되며, 접촉편(232)을 움직여 사용자(400)의 목에 촉감을 부여하는 터치자극 제공 수단(233)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터치자극 제공 수단(233)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상의 DC모터 구동축에 전술한 접촉편(232)을 감아서 구동축의 rpm을 조절하여 매우 느리게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때, 구동축의 rpm 조절은 코드 프로그래밍에 의한 전기신호에 따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rpm을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접촉편(232)은 서로 다른 다양한 소재의 것들을 준비하여 구동축에 선택적으로 탈착 결합시켜 디스플레이 수단(30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체감을 할 수 있게 터치자극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이 불 때 가장 시원하게 느껴지는 목의 위치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며 머리카락 길이, 피부 두께, 체온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목 뒤나 목덜미는 태양에 덜 노출되고 의복으로부터 단열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목에서 가장 시원한 부위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피부에 부는 바람으로 인한 냉감은 피부에 땀이 증발하여 피부 온도를 낮추고 시원한 느낌을 주기 때문일 수 있다.
목 뒤 피부의 민감도는 사람마다 다르며 피부 유형, 나이, 과거 경험과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목 바로 위의 두개골 기저 부위인 목덜미의 피부는 일반적으로 신체에서 가장 민감한 부위 중 하나로 간주된다.
이는 이 영역에 신경 말단이 집중되어 있어 접촉 및 기타 자극에 더 민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촉각에 대한 개인의 민감도는 크게 다를 수 있으며 불안, 스트레스 또는 건강 상태와 같은 다양한 요인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해부학적 구조 또는 과거 경험으로 인해 목의 특정 영역을 만지는 데 더 높거나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에어 공급부(220)에 사용되는 에어발생 수단(223) 중 하나로서는 BLDC 모터와 같은 것을 채용하여 여러 단계별로 세밀한 강도 조절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충격진동 제공부(240)는, 본체(100)에 내장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사용자(400)에게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발생 수단(241)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진동발생 수단(241)은 본체(100)의 배면 홀더(110) 양측과 연결되는 측면 홀더(120)의 연결부 또는 제7 경추뼈와 대응하는 배면 홀더(110)의 어느 한 지점에 내장되며, 구동력을 전달받아 사용자(400)의 신체에 진동을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진동발생 수단(241)은 공지의 DC모터 구동축에 편심추(이하 미도시)를 장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바이브레이터의 구조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진동발생 수단(241)은 경우에 따라 본체(100)의 내부 좌우 양측에 구비하여 좌우측이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영상을 감상하거나 영상을 보며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400)가 현재 영상 속에서 걸어가거나 날아가거나 유영할 때 상하 또는 좌우 방향 등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의 목에서 가장 튀어나온 뼈는 일반적으로 "C7" 척추라고 하는 일곱 번째 경추이다.
C7 척추는 목의 기저부에 위치하며 남성의 "아담의 사과"라고도 불리는 가장 두드러진 척추이며, 머리와 목의 움직임과 유연성뿐만 아니라 목의 구조와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C7 척추는 머리와 목을 지지하고 광범위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근육, 인대 및 힘줄의 연결 지점 역할을 한다.
목에서 C7 척추의 돌출은 척수의 위치를 결정하고 특정 의료 절차를 수행하는 것과 같은 해부학 및 의료 목적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
C7 척추는 유연하고 이동이 가능한 척추 부분의 일부로, 머리와 목의 광범위한 움직임을 허용한다.
이러한 이동성은 고개를 돌리고, 위아래를 보고, 고개를 옆으로 기울이는 것과 같은 활동에 매우 중요하다.
C7 척추는 다양한 인대, 힘줄, 근육에 의해 목의 다른 뼈와 근육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은 함께 작용하여 목에 안정과 지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안정성은 부상을 예방하고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목에 있는 C7 척추는 의학적, 해부학적 목적으로 유용한 랜드마크가 된다.
예를 들어, 주사나 척추 탭과 같은 특정 의료 절차의 기준점으로 사용되거나 척추와 같은 목의 다른 구조물의 위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C7 척추는 목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동성, 안정성, 구조적 지지에 기여한다.
한편, 골전도진동체감 제공부(250)는, 본체(1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25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골전도진동체감 제공부(250)는, 케이블(251)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400)의 등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400)의 등 부분을 통하여 음향과 음성을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하는 진동 패드(2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골전도진동체감 제공부(250)는, 본체(100)에 내장되어 케이블(251)의 선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진동 패드(252)를 가동시키는 진동 컨트롤러(25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진동 컨트롤러(253)는, 진동 패드(2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설정된 데이터 및 설정값에 따라 영상 속의 화면상 진동 패드(251)를 작동시켜야 하는 시간 동안 진동 패드(252)를 가동시키고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진동 패드(252)란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복잡한 별도의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영상 속의 음악이나 음향의 파형에 따라 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떨림판(이하 미도시)을 내장한 진동 스피커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골전도 이어폰은 기존의 공기 기반 소리 전달 경로를 우회하여 두개골의 뼈를 통해 소리를 전달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어폰의 소리는 두개골의 뼈, 특히 측두골의 진동을 통해 내이로 전달된다.
이 뼈는 귀 바로 앞, 관자놀이 근처에 위치하며 달팽이관과 내이에 가깝다.
골전도 이어폰의 진동은 고막과 외이 및 중이를 거치지 않고 두개골의 뼈를 통해 내이에 도달한다.
이 소리 전달 방법은 특정 청각 조건을 가진 개인에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전도성 난청과 같이 소리가 기존의 공기 기반 경로를 통해 내이에 도달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귀의 손상된 부분을 우회함으로써 골전도 이어폰은 이러한 사람들이 소리를 효과적으로 들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감 유닛(200)은, 터치 제공부(230)의 작동과 함께 냉온감 제공부(210)에 의하여 사용자(400)에게 냉감을 제공하면서 에어 공급부(220)에 의하여 사용자(400)측으로 바람을 불어넣음으로써, 영상을 감상중인 사용자(400)의 피부에 소름이 돋게 하는 소름유발 모드를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름유발 모드에서, 냉온감 제공부(210)는, 사용자(400)의 체온보다 섭씨 1 내지 5도 낮게 사용자(400)에게 냉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400)의 체온보다 3도 정도 낮게 냉각 수단(213)을 가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감 유닛(200)은, 냉온감 제공부(210)의 작동과 함께 에어 공급부(220)에 의하여 사용자(400)측으로 바람을 불어넣음으로써 영상을 감상중인 사용자(400)가 해당 영상속의 분위기와 기후를 체감할 수 있게 하는 기후체감 모드를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후체감 모드에서 냉온감 제공부(210)는 사용자(400)의 체온 보다 섭씨 5도 낮게 하거나 섭씨 2도 높게 사용자(400)에게 냉감 또는 온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에어 공급부(220)는 사용자(400)측을 향하여 0.3 내지 5.4 m/s의 풍속으로 바람을 취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기후체감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체온대비 섭씨 3도 이하 내지 섭씨 1도 이상의 범위에서 적절히 온도 조작을 함으로써 기후 변화에 따른 사용자(400)의 체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보통 섭씨 32-40도 정도의 온도 범위 내에서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피부 온도는 시간, 신체 활동 및 주변 온도와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신경 말단, 혈액 공급, 피부 두께의 차이로 인해 신체 부위의 피부는 온도 민감도가 다를 수 있다.
목 피부는 종종 목 부위의 신경 종말이 풍부하기 때문에 신체의 다른 부분보다 더 온도에 민감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 증가된 민감도는 목 피부가 온도의 작은 변화도 감지하고 이 정보를 뇌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진동발생 수단(241)의 작동에 따른 주파수 대역은 20~50Hz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20Hz 미만의 진동은 사용자(400)가 체감하기 힘들 정도로 미약하며, 50Hz를 초과하는 진동은 사용자(400)가 불쾌감이나 통증을 느낄 정도이기 때문에 적정 주파수 범위의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다.
진동을 뼈에 전달하는데 가장 적합한 주파수 대역이 바로 20 내지 50Hz인 것이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은 진동을 뼈를 통해 소리로 인식할 수 있는 내이로 전달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골전도 헤드폰과 보청기는 난청 환자에게 선명한 소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종 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진동 패드(252)에 의하여 사용자(400)의 등에 가해지는 압력과, 멀미저감 제공부(260)의 작동에 의하여 사용자(400)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은 5 내지 15 psi일 수 있다.
여기서, 5 psi 미만의 압력은 사용자(400)가 체감하기 힘들 정도로 미약하며, 15psi를 초과하는 압력은 사용자(400)가 불쾌감이나 통증을 느끼거나 심지어는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적정 압력 범위의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psi 내외의 압력이 가해지는 진동 발생 또는 압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술한 진동 패드(252)는 강도와 높은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304 및 316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높은 수준의 크롬과 니켈을 함유하여 강도와 내식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스테인리스 스틸 304 및 316과 같은 소재는 일반적으로 헤드밴드에 사용하기 적합한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체감 유닛(200)과 통신 가능하게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체감효과 코드처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체감효과 코드처리부(500)는 체감 유닛(200)에 의하여 사용자(400)의 신체에 전달될 온열감과 냉감과 진동과 바람과 골전도 진동 등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체감 효과가, 사용자(400)가 감상할 영상 속의 화면상 이벤트와 싱크를 맞추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체감효과 코드처리부(500)는 전술한 체감 유닛(200)에 의한 각종 발생 이벤트가, 사용자(400)가 감상할 영상 속의 화면상 필요한 재생 지점에 일정 시간동안 발생되고 사라지게 하는 전술한 체감효과 코드인 현실 연결형 영화(Reality Connected Cinema, 이하 RCC) 코드를 생성하고 저장하여 사용자(400)가 감상할 영상의 줄거리 상 이벤트에 체감효과 코드의 싱크를 맞추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도 8은 이러한 체감효과 코드의 싱크를 영상에 맞추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화면을 나타낸다.
이러한 체감효과 코드처리부(500)는, 체감 유닛(200)의 작동에 따른 사용자(400)의 체감 반응을 사용자(400)의 실기간 체온 및 심박수와 함께 비교 분석하여 등급을 매긴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체감효과 코드처리부(500)는,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들을 사용자(400)를 포함한 다른 사용자(400)들이 감상하는 해당 영상이나 다른 영상의 장르와 해당 영상과 다른 영상의 줄거리상 체감 유닛(200)이 작동되어야 할 부분과 결합함으로써 서로 다른 RCC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감효과 코드처리부(500)는, 복수의 데이터와 복수로 생성된 RCC 코드들의 비교 분석에 따라 해당 영상과 다른 영상 속의 화면상 필요한 온도변화나, 소름 유발 이벤트나, 기후변화 감지 이벤트나, 충격 발생 정도에 따른 충격 진동 발생 이벤트, 또는 해당 영상과 다른 영상의 음성과 음향 및 음악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할 골전도 진동 발생 이벤트 여부에 맞게 매칭시키는 AI 분석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AI 분석부(530)에 의하여 많은 수집된 많은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되면 코드 생성부(520)에 의하여 생성된 RCC 코드가 영상의 특정 타임 라인에 정확하게 정해진 시간동안 싱크가 맞춰지고, 이렇게 싱크가 맞춰진 RCC 코드에 따라 전술한 체감 유닛(200)의 작동이 이루어져 사용자(400)는 더욱 실감나는 영상 관람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하며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된 착용 가능한 구조에 의하여 영화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영상의 현실감을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영상 관람의 몰입감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본체
110...배면 홀더
112...밀착면
120...측면 홀더
130...스피커
140...강도조절 버튼
150...조작 버튼
200...체감 유닛
210...냉온감 제공부
211...전도 패드
212...냉각가열 수단
213...냉각가열 컨트롤러
220...에어 공급부
221...제1 토출홀
222...제2 토출홀
223...에어발생 수단
230...터치 제공부
231...설치 슬롯
232...접촉편
233...터치자극 제공 수단
240...충격진동 제공부
241...진동발생 수단
250...골전도진동체감 제공부
251...케이블
252...진동 패드
253...진동 컨트롤러
300...디스플레이 수단
400...사용자
500...체감효과 코드처리부
510...데이터베이스
520...코드 생성부
530...AI 분석부
600...네트워크

Claims (15)

  1.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목 뒷부분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지는 배면 홀더와, 상기 배면 홀더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 좌우 양측 부분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지는 측면 홀더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감상중인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연동하며, 상기 영상의 화면별로 부여되는 체감효과 코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목 주변에 화면별 체감효과를 부여하는 체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체감 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에 냉감 및 온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의 목 좌우 양측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냉감 및 온감을 제공하는 전도 패드를 포함하는 냉온감 제공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측으로 바람을 불어넣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의 목 뒷부분을 향하여 에어가 취출되는 복수의 제1 토출홀과, 상기 사용자의 목 좌우 양측을 향하여 에어가 취출되는 복수의 제2 토출홀을 포함하는 에어 공급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에 촉감을 일으키는 것으로, 상기 배면 홀더에 절개 형성된 설치 슬롯과, 상기 설치 슬롯을 통하여 노출되는 표면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의 목 뒷부분에 접촉하여 촉감을 제공하는 접촉편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편을 움직여 상기 사용자의 목에 촉감을 부여하는 터치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온감 제공부는,
    상기 본체의 배면 홀더 양측과 연결되는 측면 홀더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목 좌우 양측에 접촉되는 전도 패드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전도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도 패드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각가열 수단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냉각가열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냉각가열 수단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각가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감 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에 진동을 제공하는 충격진동 제공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 부분을 통하여 음향과 음성을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하는 골전도진동체감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등 부분을 통하여 음향과 음성을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하는 진동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부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에어를 상기 사용자의 목으로 취출시키는 에어발생 수단과,
    상기 본체의 배면 홀더에 복수로 관통되어 상기 에어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에어가 상기 사용자의 목 뒷부분을 향하여 취출되게 하는 복수의 제1 토출홀과,
    상기 배면 홀더 양측과 연결되는 측면 홀더에 각각 복수로 관통되어 상기 에어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에어가 상기 사용자의 목 좌우 양측을 향하여 취출되게 하는 복수의 제2 토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충격진동 제공부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진동체감 제공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등 부분을 통하여 음향과 음성을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하는 진동 패드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케이블의 선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진동 패드를 가동시키는 진동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공부의 작동과 함께 상기 냉온감 제공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냉감을 제공하면서 상기 에어 공급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측으로 바람을 불어넣음으로써 영상을 감상중인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소름이 돋게 하는 소름유발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온감 제공부의 작동과 함께 상기 에어 공급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측으로 바람을 불어넣음으로써 영상을 감상중인 상기 사용자가 해당 영상속의 분위기와 기후를 체감할 수 있게 하는 기후체감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감 유닛과 통신 가능하게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체감 유닛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될 서로 다른 복수의 체감 효과가, 상기 사용자가 감상할 영상 속의 화면상 필요한 재생 지점에 일정 시간동안 발생되고 사라지게 하는 상기 체감효과 코드인 현실 연결형 영화(Reality Connected Cinema, 이하 RCC) 코드를 생성하고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가 감상할 영상 속의 화면에 상기 RCC 코드의 싱크를 맞추는 체감효과 코드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KR1020230100886A 2023-08-02 2023-08-02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KR102620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0886A KR102620345B1 (ko) 2023-08-02 2023-08-02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0886A KR102620345B1 (ko) 2023-08-02 2023-08-02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345B1 true KR102620345B1 (ko) 2024-01-03

Family

ID=8953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0886A KR102620345B1 (ko) 2023-08-02 2023-08-02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3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361B1 (en) 1995-04-28 1999-08-16 Yoshino Kogyosh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eal portion of laminated aluminum tube
KR20110093683A (ko) 2010-02-12 2011-08-18 윤정두 영화 및 비디오 게임용 특수효과 체감 헬멧
KR101300467B1 (ko) * 2011-03-16 2013-08-27 주식회사 레드로버 4d관람요소 제어시스템
KR102424787B1 (ko) * 2021-12-15 2022-07-25 박준 가상, 증강 및 혼합 현실 환경 속 인공 바람 및 온도와 공기 저항 전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361B1 (en) 1995-04-28 1999-08-16 Yoshino Kogyosh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eal portion of laminated aluminum tube
KR20110093683A (ko) 2010-02-12 2011-08-18 윤정두 영화 및 비디오 게임용 특수효과 체감 헬멧
KR101300467B1 (ko) * 2011-03-16 2013-08-27 주식회사 레드로버 4d관람요소 제어시스템
KR102424787B1 (ko) * 2021-12-15 2022-07-25 박준 가상, 증강 및 혼합 현실 환경 속 인공 바람 및 온도와 공기 저항 전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40599A1 (en) Sensory stimulation or monitoring apparatus for the back of neck
CN105794223B (zh) 多功能头戴物
US20220386933A1 (en) Brainwave actuated apparatus
US6077237A (en) Headset for vestibular stimul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US11759389B2 (en) Wearable devices, systems, methods and architectures for sensory stimulation and manipulation and physiological data acquisition
US10702694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estibular conditions
KR20110008316A (ko)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8106839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s
US20210169735A1 (en) Vibration producing device with narrative and sleep functions
JPH10153946A (ja) 感覚情報提示装置
JP2014217704A (ja) 画像表示装置並びに画像表示方法
CN106535985A (zh) 康复系统和方法
Groth et al. Omnidirectional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in virtual reality
Foo et al. User experiences of garment-based dynamic compression for novel haptic applications
KR102064183B1 (ko) 가상 현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
KR102620345B1 (ko)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US20220117837A1 (en) Vibration producing device with sleep cycle function and transducer
US20230008214A1 (en) Vibration producing device with sleep cycle function and transducer
Hwang et al. Electrical, vibrational, and cooling stimuli-based redirected walking: Comparison of various vestibular stimulation-based redirected walking systems
US111908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12288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20279292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estibular conditions
KR20200124144A (ko) 가상 현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
KR101558837B1 (ko) 체감 의복 및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
US20230400923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Inducing Transient Sensory Events as User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